KR20110006601A -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버 드래그 기구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버 드래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601A
KR20110006601A KR1020100058531A KR20100058531A KR20110006601A KR 20110006601 A KR20110006601 A KR 20110006601A KR 1020100058531 A KR1020100058531 A KR 1020100058531A KR 20100058531 A KR20100058531 A KR 20100058531A KR 20110006601 A KR20110006601 A KR 20110006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spool
drag
lever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니오 다케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10006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8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with unwinding indicators, e.g. a bell or a flash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4Multiple drive ratio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903Drive mechanism details with yieldable drive coupling, e.g. friction or fluid clutch
    • A01K89/01908Coaxial with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버 드래그 기구에 있어서, 스풀의 프리 회전을 악화시키지 않고, 드래그력의 초기 설정을 안정시킨다. 레버 드래그 기구는, 마찰 디스크(41)와, 드래그 디스크와,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 기구는, 제1 베어링(16a)의 내륜을 가압하고 제1 베어링(16a)의 외륜이 제1 수납 오목부(3d)에 항상 접촉하도록 가압하는 제1 스프링 부재(17a)와, 제2 베어링(16b)의 내륜을 압압(押壓)하고 제2 베어링(16b)의 외륜이 제2 수납 오목부(3e)에 항상 접촉하도록 가압하는 제2 스프링 부재(17b)를 구비하고 있다. 드래그 레버를 드래그 프리로 되는 방향으로 요동(搖動)시키면, 제2 스프링 부재(17b)의 가압력에 의해 제2 베어링(16b)이 스풀(3)의 제2 수납 오목부(3e)를 좌측으로 가압하여 스풀(3)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제1 스프링 부재(17a)의 가압력에 의해 제1 베어링(16a)이 우측으로 가압되고 스풀(3)의 제1 수납 오목부(3d)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버 드래그 기구{DUAL-BEARING REEL LEVER DRAG MECHANISM}
본 발명은, 레버 드래그 기구, 특히,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의 와이어 송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버 드래그 기구에 관한 것이다.
듀얼 베어링 릴에는, 스풀의 와이어 송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여 급격한 강한 당김에 의한 낚시줄의 절단을 방지하기 위한 드래그 기구가 장착되어 있다.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드래그 기구가 스풀축의 주위에 배치된 레버 드래그식의 듀얼 베어링 릴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레버 드래그 기구는, 스풀축 주위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된 드래그 레버와, 스풀의 우측(릴 본체의 드래그 레버 장착측)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고정된 마찰 디스크와, 릴 본체의 우측 내부에 마찰 디스크와 접촉될 수 있도록 대향하여 배치되고, 축방향 이동이 불가능하고 또한 스풀의 와이어 송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스풀축에 장착되는 드래그 디스크와, 드래그 레버의 요동에 따라 드래그 디스크가 마찰 디스크에 대하여 근접 및 이격되도록 스풀축을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스풀의 우측 외측면에 마찰 디스크를 고정한 것은, 스풀 좌측의 릴 본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으므로, 파밍(palming)의 필요가 있는 소형 릴이나 중형 릴에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이동 기구는, 드래그 레버의 시계 회전 방향의 요동(드래그 온)에 따라 스풀축을 우측(릴 본체의 드래그 레버 장착측)으로 이끌어 스풀에 장착된 마찰 디스크를 드래그 디스크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인장 기구와, 드래그 레버의 반시계 회전 방향의 요동(드래그 프리)에 따라 스풀축을 가압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2 스프링 부재는, 스풀의 우측 내주면과 스풀축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배치된 제2 베어링의 내륜을 좌측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2 베어링의 내륜은 스풀축의 일단측 단차부(우측 단차부)에 접촉함으로써, 스풀축이 좌측으로 가압되어 이동한다.
또한, 스풀의 좌측 내주면과 스풀축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제1 베어링이 배치되어 있고, 제1 베어링의 좌측 내륜에는, 제1 베어링 및 스풀을 우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스프링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베어링의 우측 내륜은, 스풀축의 타단측 단차부(좌측 단차부)가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스풀축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1 베어링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 스프링 부재가 압축되도록 되어 있다. 스풀은, 와셔에 의해 스풀축에 위치결정된 제1 베어링을 통하여, 스풀축과 일체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2006-246794호 공보
상기 종래의 레버 드래그 기구는, 드래그 레버를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키면(드래그 프리의 상태로 하면), 제2 스프링 부재는 제2 베어링의 내륜을 통하여 스풀축이 좌측으로 압압(押壓)되어 이동한다. 스풀축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스풀축의 타단측 단차부가 제1 베어링의 내륜을 좌측으로 가압하고, 제1 베어링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 스프링 부재가 압축된다. 이 때, 스풀 자체에는 스러스트력이 작용하지는 않지만, 스풀과 스풀축과의 사이에 축방향의 요동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스풀과 스풀축과의 사이에 축방향의 요동이 생기면, 드래그의 초기 설정 위치가 어긋나, 드래그력이 안정되지 않거나, 또한 캐스팅의 도중에 스풀이 이동함으로써, 스풀의 프리 회전이 저해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버 드래그 기구에 있어서, 스풀의 프리 회전을 악화시키지 않아, 드래그력의 초기 설정을 안정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 1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버 드래그 기구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의 와이어 송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버 드래그 기구로서, 드래그 조작 부재와, 제1 제동 부재와, 제2 제동 부재와, 이동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드래그 조작 부재는, 릴 본체의 외측으로 스풀의 회전축인 스풀축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 상태의 부재이다. 제1 제동 부재는, 드래그 조작 부재가 장착되는 측의 릴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스풀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고정된다. 제2 제동 부재는, 드래그 조작 부재가 장착되는 측의 릴 본체의 내부에 제1 제동 부재와 접촉될 수 있도록 대향하여 배치되고, 축방향 이동이 불가능하고 또한 스풀의 와이어 송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스풀축에 장착된다. 이동 기구는, 드래그 조작 부재의 요동에 따라 제2 제동 부재가 제1 제동 부재에 근접 및 이격되도록 스풀축을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스풀은, 내주부를 스풀축이 관통하고 양 측부가 개구되는 관통공과, 관통공의 제1 제동 부재가 장착되지 않은 측의 제1 개구부에 제1 개구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스풀축을 지지하는 제1 베어링이 수납되는 제1 수납 오목부와 관통공의 제1 제동 부재가 장착되는 측의 제2 개구부에 제2 개구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스풀축을 지지하는 제2 베어링이 수납되는 제2 수납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 기구는, 제2 베어링의 내주부를 압압하고 제2 베어링의 외주부가 제2 수납 오목부에 항상 접촉하도록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레버 드래그 기구에서는, 제2 베어링의 내주부를 압압하고, 제2 베어링의 외주부가 스풀의 제2 수납 오목부에 항상 접촉하도록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드래그 조작 부재를 드래그 프리로 되는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제2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제2 베어링을 통하여 스풀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스풀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스풀의 제1 수납 오목부에 수납된 제1 베어링이 제1 수납 오목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게 되므로, 스풀의 축방향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고, 그러므로, 스풀과 스풀축과의 사이의 축방향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는, 드래그 프리의 상태일 때, 스풀과 스풀축과의 사이의 축방향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드래그의 초기 위치(프리세트 위치)가 정해지는 것에 의해, 안정된 드래그를 공출할 수 있는 동시에, 드래그 프리의 상태일 때, 스풀의 축방향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캐스팅의 도중에 스풀이 이동하지 않게 되므로, 스풀의 프리 회전을 악화시키지 않게 된다.
본 발명 2에 관한 레버 드래그 기구는, 본 발명 1의 레버 드래그 기구에 있어서, 이동 기구는, 제1 베어링의 내주부를 압압하고 제1 베어링의 외주부가 제1 수납 오목부에 항상 접촉하도록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제1 가압 부재가 제1 베어링을 제1 수납 오목부에 항상 접촉하도록 압압하고 있으므로, 스풀의 축방향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제1 가압 부재가 제1 베어링을 제1 수납 오목부에 항상 접촉하도록 압압하고 있으므로, 제1 베어링 및 제1 가압 부재의 축방향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항상 제1 베어링에 축방향의 압압력(押壓力)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드래그가 스풀축에 유효하게 작용함으로써, 스풀의 높은 캐스팅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 3에 관한 레버 드래그 기구는, 본 발명 2의 레버 드래그 기구에 있어서, 제1 가압 부재는, 접시 스프링이다. 이 경우, 제1 가압 부재로서 접시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간소한 구성에 의해 강력한 가압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 4에 관한 레버 드래그 기구는, 본 발명 1 내지 본 발명 3 중 어느 하나의 레버 드래그 기구에 있어서, 제2 가압 부재는, 코일 스프링이다. 이 경우, 제2 가압 부재로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저렴한 구성에 의해 가압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 5에 관한 레버 드래그 기구는, 본 발명 1 내지 4 본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레버 드래그 기구에 있어서,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은, 내주부가 스풀축을 지지하는 내륜과, 외주부가 제1 수납 오목부 및 제2 수납 오목부에 지지되는 외륜과, 내륜과 외륜과의 사이에 배치된 전동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전동체로서 강구(鋼球)를 사용하는 볼베어링을 사용함으로써, 스풀의 스풀축에 대한 회전 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버 드래그 기구에 있어서, 제2 베어링의 내주부를 압압하고, 제2 베어링의 외주부가 스풀의 제2 수납 오목부에 항상 접촉하도록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스풀의 프리 회전을 악화시키지 않고, 드래그력의 초기 설정을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주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스풀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스풀의 베어링 주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역회전 방지 기구 주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형의 레버 드래그 릴이다. 레버 드래그 릴은, 통형의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중심부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축(2)과, 스풀축(2)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방향 이동이 불가능하게 지지된 스풀(3)과,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핸들(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레버 드래그 릴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4)의 회전을 스풀(3)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6)와, 스풀(3)의 와이어 송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레버 드래그 기구(9)와, 드래그 디스크(42)의 와이어 송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는 역회전 방지 기구(70)를 릴 본체(1)의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제의 좌우 한 쌍의 접시형의 제1 측판(10a) 및 제2 측판(10b)과, 제1 측판(10a) 및 제2 측판(10b)을 전후 및 하부에서 연결하는 연결부(11a), 연결부(11b), 연결부(11c)와, 제1 측판(10a)의 외측을 덮도록 제1 측판(10a)과 일체로 형성된 제1 커버 부재(12a)를 가지는 금속제의 프레임(5)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커버 부재(12a) 측부의 우측 상부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커버 부재(12a)의 측부를 관통하고 외형이 대략 긴 원형으로 형성된 긴 구멍(12f)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5)의 연결부(11c)에는, 레버 드래그 릴을 낚시대에 장착하기 위한 로드(rod) 장착부(11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측판(10a), 제2 측판(10b), 연결부(11a), 연결부(11b), 연결부(11c) 및 제1 커버 부재(12a)는, 금속의 절삭 가공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릴 본체(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측판(10b)의 외측을 덮는, 금속제의 제2 커버 부재(12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측판(10a) 및 제2 측판(10b)은, 스풀(3)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커버 부재(12a)의 내부에는, 스풀축(2)의 좌측단을 축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스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커버 부재(12a)의 내부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3)의 회전에 따라 사운드를 발생하는 스풀 사운드 발생 기구(8)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 사운드 발생 기구(8)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3)의 회전에 따라 사운드 발생 가능하고, 또한 사운드 발생 가능 상태와 사운드 발생 불가능한 사운드 발생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기구이다. 스풀 사운드 발생 기구(8)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3)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요철 부재(60)와, 요철 부재(60)와 근접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부재(61)와, 조작 부재(61)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사운드 발생 부재(62)와, 사운드 발생 부재(62)를 요철 부재(60)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와, 제1 커버 부재(12a)의 긴 구멍(12f)에 장착되고 조작 부재(61)를 사운드 발생 가능 위치 또는 사운드 발생 해제 위치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탄성 부재제의 칼라(collar) 부재(65)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4) 측의 제2 커버 부재(12b)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 방향 및 축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팽출부(12d)가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12d)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전달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팽출부(12d)의 아래쪽에는, 핸들(4)의 핸들축(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통부(12e)가 축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스풀축(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커버 부재(12a)의 보스부(12c)와 제2 커버 부재(12b)에 의해 축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2)의 좌단부에는, 직경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회전방지핀(2a)이 장착되어 있고, 제1 커버 부재(12a)의 보스부(12c)에는, 회전방지핀(2a)에 걸어맞추어지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 방지 슬릿이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스풀축(2)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에 배치된 2개의 제1 베어링(16a), 제2 베어링(16b)에 의해 스풀(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1 베어링(16a)은, 접시 스프링형의 제1 스프링 부재(17a)에 의해, 축방향 내측(도 2에서는 우측)으로 가압되고, 제2 베어링(16b)은, 코일 스프링형의 제2 스프링 부재(17b)에 의해 축방향 내측(도 2에서는 좌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제1 스프링 부재(17a)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2세트(4개)의 접시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압 부재로서, 일단이 스풀축(2)에 장착된 제1 와셔(17c)에 접촉하고, 타단이 제3 와셔(17e)를 통하여 제1 베어링(16a)의 내륜에 접촉하도록 되어있고, 제1 스프링 부재(17a)는, 제1 베어링(16a)을 스풀(3)의 후술하는 제1 수납 오목부(3d)에 항상 접촉하도록 압압하고 있다. 또한, 제1 베어링(16a)와 스풀(3)의 제1 수납 오목부(3d)와의 사이에는, 스풀축(2)에 장착된 제2 와셔(17d)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스프링 부재(17b)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베어링(16b)과 제3 베어링(16c)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베어링(16b)의 내륜을 압압함으로써, 제2 베어링(16b)의 외주부가 스풀(3)의 후술하는 제2 수납 오목부(3e)에 항상 접촉하도록 가압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스프링 부재(17a) 및 제2 스프링 부재(17b)는, 후술하는 레버 드래그 기구(9)의 이동 기구(43)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또한, 제1 베어링(16a), 제2 베어링(16b)의 축방향 내측면은, 스풀(3) 및 스풀축(2)에 의해 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이로써, 스풀축(2)과 스풀(3)은, 축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스풀축(2)은, 레버 드래그 기구(9)에 의해 축방향으로 스풀(3)과 함께 이동한다.
스풀(3)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권취 보디부(3a)와 와이어 권취 보디부(3a)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부(3b)를 구비하고 있다. 우측의 플랜지부(3b)의 단면에는, 레버 드래그 기구(9)를 구성하는 마찰 디스크(41)가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와이어 권취 보디부(3a)의 내주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3c)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3c)의 내부를 스풀축(2)이 삽통(揷通)되어 있다.
스풀(3)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3c)의 마찰 디스크(41)가 장착되지 않은 쪽(도 4의 좌측)의 제1 개구부(3f)에 제1 개구부(3f)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스풀축(2)을 지지하는 제1 베어링이 수납되는 제1 수납 오목부(3d)와, 관통공(3c)의 마찰 디스크(41)가 장착되는 측(도 4의 우측)의 제2 개구부(3g)에 제2 개구부(3g)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스풀축(2)을 지지하는 제2 베어링(16b)이 수납되는 제2 수납 오목부(3e)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수납 오목부(3d)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베어링(16a)의 외주면 및 도 4의 우측면이 제2 와셔(17d)를 통하여 접촉하도록 배치된 관통공(3c)의 제1 개구부(3f)보다 직경이 큰 오목부로서, 제1 베어링(16a)의 후술하는 외륜(16f)이 우측으로 압압되어 접촉 가능한 제1 단차부(3h)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수납 오목부(3e)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베어링(16b)의 외주면 및 도 4의 좌측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된 관통공(3c)의 제2 개구부(3g)보다 직경이 큰 오목부로서, 제2 베어링(16b)의 후술하는 외륜(16f)이 좌측으로 압압되어 접촉 가능한 제2 단차부(3i)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베어링(16a) 및 제2 베어링(16b)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제2 베어링(16b)만 나타내지만, 제1 베어링(16a)의 구조는 제2 베어링(16b)의 구조와 같음), 내주부가 스풀축(2)을 지지하는 내륜(16e)과, 외주부가 제1 수납 오목부(3d) 및 제2 수납 오목부(3e)에 각각 지지되는 외륜(16f)과, 내륜(16e)과 외륜(16f)과의 사이에 배치된 강구로 이루어지는 전동체(16g)를 가지는 볼베어링이다.
핸들(4)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2)의 아래쪽에 스풀축(2)과 평행하게 배치된 통형의 핸들축(20)의 돌출단에 고정되어 있다. 핸들축(20)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 전달 기구(6)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저 2속으로 전환 가능한 변속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전달 기구(6)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4)의 핸들축(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고속 권취용의 제1 메인 기어(18) 및 저속 권취용의 제2 메인 기어(19)와, 제1 메인 기어(18) 및 제2 메인 기어(19)에 각각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스풀축(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피니언 기어(21) 및 제2 피니언 기어(22)와, 제1 메인 기어(18) 및 제2 메인 기어(19) 중 어느 한쪽과 핸들축(20)을 결합시켜 회전을 전달하는 걸어맞춤편(23)과, 걸어맞춤편(23)의 도 2의 좌측에 배치되고 걸어맞춤편(23) 및 후술하는 제2 압축 스프링(24b)을 통하여 조작축(25)을 축방향 외측(도 2의 우측)으로 가압하는 제1 압축 스프링(24a)(조작축 가압 부재의 일례)과, 걸어맞춤편(23)의 도 2의 우측에 배치되고 걸어맞춤편(23)을 제2 메인 기어(19) 측으로 가압하는 제2 압축 스프링(24b)과, 걸어맞춤편(23)의 위치를 제1 메인 기어(18)에 걸어맞추어지는 고속 위치(도 2에서는, 고속 위치의 걸어맞춤편(23)을 실선으로 나타냄) 또는 제2 메인 기어(19)에 걸어맞추어지는 저속 위치(도 2에서는, 저속 위치의 걸어맞춤편(23)을 2점 쇄선으로 나타냄)의 한쪽으로 설정하는 조작축(25)을 구비하고 있다.
제1 피니언 기어(2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비자성의 스테인레스 합금 등의 내식성을 가지는 금속제의 통형 부재이다. 제1 피니언 기어(21)는, 우측단이 스풀축(2)의 외측에서 팽출부(12d)에 장착된 제4 베어링(16d)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피니언 기어(21)의 좌측단은, 레버 드래그 기구(9)의 드래그 디스크(42)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다. 제2 피니언 기어(22)는, 제1 피니언 기어(21)와 같은 재질의 통형 부재이며, 좌측단이 드래그 디스크(42)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다. 걸어맞춤편(23)은, 핸들축(20)의 슬릿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조작축(25)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축(20)의 관통공(20a)에 삽입되어 있다. 조작축(25)의 도 2의 우측의 단부는, 핸들(4)의 축방향 외측(도 2의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조작축(25)을 도 2의 좌측 방향으로 압입(壓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회전 전달 기구(6)에서는, 조작축(25)을 도 2의 좌측으로 압입하면, 제2 메인 기어(19)에 걸어맞춤편(23)이 배치되고 핸들(4)의 회전이 제2 메인 기어(19)를 통하여 제2 피니언 기어(22)에 전달되고 스풀(3)이 저속 회전한다. 한편, 조작축(25)을 도 2의 우측으로 인출하면 제1 메인 기어(18)에 걸어맞춤편(23)이 배치되고 핸들(4)의 회전이 제1 메인 기어(18)를 통하여 제1 피니언 기어(21)에 전달되고 스풀(3)이 고속 회전한다.
레버 드래그 기구(9)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3)의 도 2의 우측단에 장착된 마찰 디스크(41)와, 마찰 디스크(41)와 대향하여 배치된 드래그 디스크(42)와, 스풀축(2)을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43)를 구비하고 있다.
마찰 디스크(4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카본 그래파이트나 섬유 강화 수지 등의 내마모성재제의 와셔형의 원판 부재이며,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장착 볼트에 의해, 스풀(3) 우측의 플랜지부(3b)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드래그 디스크(4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피니언 기어(21) 및 제2 피니언 기어(22)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디스크 본체(45)와, 디스크 본체(45)에 복수개의 장착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마찰 디스크(41)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제의 제동 디스크(46)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크 본체(45)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제의 원판형의 부재이며, 스풀축(2)에 제3 베어링(16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디스크 본체(45)의 스풀(3)과 대향하는 면에는, 제동 디스크(46)가 고정되어 있다.
이동 기구(4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 본체(1)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드래그 레버(80)와, 드래그 레버(80)의 도 1의 시계 회전 방향의 요동에 따라 스풀축(2)을 이끌어 도 2의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인장 기구(81)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 기구(43)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베어링(16a)의 내륜(16e)을 압압하고 제1 베어링(16a)의 외륜(16f)이 제1 수납 오목부(3d)에 항상 접촉하도록 가압하는 제1 스프링 부재(17a)와, 제2 베어링(16b)의 내륜(16e)을 압압하고 제2 베어링(16b)의 외륜(16f)이 제2 수납 오목부(3e)에 항상 접촉하도록 가압하는 제2 스프링 부재(17b)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드래그 레버(80)의 도 1반시계 회전 방향(드래그 프리로 되는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제2 스프링 부재(17b)의 가압력에 의해 제2 베어링(16b)이 스풀(3)의 제2 수납 오목부(3e)를 좌측으로 압압하여 스풀(3)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제1 스프링 부재(17a)의 가압력에 의해 제1 베어링(16a)이 우측으로 압압되고 스풀(3)의 제1 수납 오목부(3d)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레버 드래그 릴에 있어서, 레버 드래그 기구(9)의 드래그력을 강약 조정하는 경우에는, 드래그 레버(80)를 요동시킨다. 드래그 레버(80)를 도 1에 있어서 가장 바로 앞쪽의 요동 위치인 드래그 해방 위치에 배치하면, 레버 드래그 기구(9)에 있어서, 드래그 디스크(42)로부터 마찰 디스크(41)가 이반(離反)되어 드래그 개방 상태로 되어, 스풀(3)이 자유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캐스팅을 행할 수 있다. 그로부터, 도 1의 시계 방향으로 드래그 레버(80)를 요동 조작하면 스풀축 방향 외측(도 2의 우측)으로 서서히 이동하고 스풀축(2) 및 스풀(3)이 서서히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마찰 디스크(41)의 드래그 디스크(42)로의 압접력(押接力)이 강해져, 드래그력이 강해진다.
역회전 방지 기구(70)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릭식의 원웨이 클러치이며, 외주부 요철부가 형성된 회전 부재(90)와, 회전 부재(90)의 요철부에 걸어맞추어지는 클릭 부재(91)와, 클릭 부재(91)를 회전 부재(90)의 요철부를 향해 가압하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클릭 부재(9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박판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뚫어 형성한 부재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같은 두께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클릭 부재(91)는, 회전 부재(90)의 요철부에 걸어맞추어져 드래그 디스크(42)의 역회전을 금지하는 걸어맞춤 위치와 회전 부재(90)의 요철부로부터 멀어지는 이격 위치에 알루미늄 합금제의 제2 커버 부재(12b)에 볼트형의 핀부재(92)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부재이다. 클릭 부재(91)와 제2 커버 부재(12b)와의 사이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성 수지제의 와셔(93)가 배치되어 있다. 와셔(93)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절연성 수지제의 와셔로서,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클릭 부재(91)와 알루미늄 합금제의 제2 커버 부재(12b)와의 사이에 와셔(93)를 개재함으로써, 클릭 부재(91) 및 제2 커버 부재(12b)의 전해(電解)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버 드래그 기구(9)에서는, 제2 베어링(16b)의 내륜(16e)을 압압하고, 제2 베어링(16b)의 외륜(16f)이 스풀(3)의 제2 수납 오목부(3e)에 항상 접촉하도록 가압하는 제2 스프링 부재(17b)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드래그 레버(80)를 드래그 프리로 되는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제2 스프링 부재(17b)의 가압력에 의해 제2 베어링(16b)을 통하여 스풀(3)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스풀(3)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스풀(3)의 제1 수납 오목부(3d)에 수납된 제1 베어링(16a)이 제1 수납 오목부(3d)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게 되므로, 스풀(3)의 축방향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고, 그러므로, 스풀(3)과 스풀축(2)과의 사이의 축방향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는, 드래그 프리의 상태일 때, 스풀(3)과 스풀축(2)과의 사이의 축방향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드래그의 초기 위치(프리세트 위치)가 정해지는 것에 의해, 안정된 드래그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드래그 프리의 상태일 때, 스풀(3)의 축방향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캐스팅의 도중에 스풀(3)이 이동하지 않게 되어, 스풀(3)의 프리 회전을 악화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드래그 레버(80)를 드래그 프리로 되는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제2 스프링 부재(17b)의 가압력에 의해 제2 베어링(16b)을 통하여 스풀(3)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스풀(3)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스풀(3)의 제1 수납 오목부(3d)에 수납된 제1 베어링(16a)이 제1 수납 오목부(3d)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게 되므로, 제1 베어링(16a)의 축방향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는, 종래와 같이 제2 베어링(16b)이 스풀축(2)을 좌측으로 압압하지 않고, 드래그 온, 드래그 프리의 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제2 스프링 부재(17b)에 의해 제2 베어링(16b)가 스풀(3)을 좌측으로 압압함으로써, 특히, 드래그 프리의 상태에 있어서도, 제1 베어링(16a)의 축방향의 요동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프링 부재(17a)가 제1 베어링(16a)을 제1 수납 오목부(3d)에 항상 접촉하도록 압압하고 있으므로, 제1 베어링(16a) 및 제1 스프링 부재(17a)의 축방향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중형의 레버 드래그 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형의 레버 드래그 릴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스프링 부재(17a)는, 접시 스프링이며, 제2 스프링 부재(17b)는 코일 스프링이었지만, 가압 부재의 형태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베어링(16a)과 스풀(3)의 제1 수납 오목부(3d)와의 사이에 제2 와셔(17d)가 배치되어 있었지만, 이 와셔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베어링(16a) 및 제2 베어링(16b)은, 볼베어링이었지만, 베어링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릴 본체
2: 스풀축
2a: 회전방지핀
3: 스풀
3a: 와이어 권취 보디부
3b: 플랜지부
3c: 관통공
3d: 제1 수납 오목부
3e: 제2 수납 오목부
3f: 제1 개구부
3g 제2 개구부
3h: 제1 단차부
3i: 제2 단차부
4: 핸들
5: 프레임
6: 회전 전달 기구
8: 스풀 사운드 발생 기구
9: 레버 드래그 기구
10a: 제1 측판
11a: 연결부
11b: 연결부
11c: 연결부
11d: 로드 장착부
12a: 제1 커버 부재
12b: 제2 커버 부재
12c: 보스부
12d: 팽출부
12e: 지지 통부
12f: 긴 구멍
16a: 제1 베어링
16b: 제2 베어링
16c: 제3 베어링
16d: 제4 베어링
16e: 내륜
16f: 외륜
16g: 전동체
17a: 제1 스프링 부재
17b: 제2 스프링 부재
17c: 제1 와셔
17d: 제2 와셔
17e: 제3 와셔
18: 제1 메인 기어
19: 제2 메인 기어
20: 핸들축
20a: 관통공
21: 제1 피니언 기어
22: 제2 피니언 기어
23: 걸어맞춤편
24a: 제1 압축 스프링
24b: 제2 압축 스프링
25: 조작축
41: 마찰 디스크
42: 드래그 디스크
43: 이동 기구
45: 디스크 본체
46: 제동 디스크
60: 요철 부재
61: 조작 부재
65: 칼라 부재
70: 역회전 방지 기구
80: 드래그 레버
81: 인장 기구
90: 회전 부재
91: 클릭 부재
92: 핀부재
93: 와셔

Claims (5)

  1.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의 와이어 송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버 드래그 기구로서,
    상기 릴 본체의 외측으로 상기 스풀의 회전축인 스풀축 주위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 형상의 드래그 조작 부재와,
    상기 드래그 조작 부재가 장착되는 측의 상기 릴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풀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고정된 제1 제동 부재와,
    상기 드래그 조작 부재가 장착되는 측의 상기 릴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1 제동 부재와 접촉될 수 있도록 대향하여 배치되고, 축방향 이동이 불가능하고 또한 상기 스풀의 와이어 송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상기 스풀축에 장착되는 제2 제동 부재와,
    상기 드래그 조작 부재의 요동에 따라 상기 제2 제동 부재가 상기 제1 제동 부재에 근접 및 이격되도록 상기 스풀축을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스풀은, 내주부를 상기 스풀축이 관통하고 양 측부가 개구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의 상기 제1 제동 부재가 장착되지 않은 측의 제1 개구부에 상기 제1 개구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스풀축을 지지하는 제1 베어링이 수납되는 제1 수납 오목부와, 상기 관통공의 상기 제1 제동 부재가 장착되는 측의 제2 개구부에 상기 제2 개구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스풀축을 지지하는 제2 베어링이 수납되는 제2 수납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제2 베어링의 내주부를 압압(押壓)하고 상기 제2 베어링의 외주부가 상기 제2 수납 오목부에 항상 접촉하도록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버 드래그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제1 베어링의 내주부를 압압하고 상기 제1 베어링의 외주부가 상기 제1 수납 오목부에 항상 접촉하도록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버 드래그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부재는, 접시 스프링인,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버 드래그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 및 상기 제2 베어링은, 내주부가 상기 스풀축을 지지하는 내륜과, 외주부가 상기 제1 수납 오목부 및 상기 제2 수납 오목부에 지지되는 외륜과,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과의 사이에 배치된 전동체를 구비하고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버 드래그 기구.
KR1020100058531A 2009-07-14 2010-06-21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버 드래그 기구 KR201100066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65887 2009-07-14
JP2009165887A JP2011019428A (ja) 2009-07-14 2009-07-14 両軸受リールのレバードラグ機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601A true KR20110006601A (ko) 2011-01-20

Family

ID=43464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531A KR20110006601A (ko) 2009-07-14 2010-06-21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버 드래그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66216B2 (ko)
JP (1) JP2011019428A (ko)
KR (1) KR20110006601A (ko)
CN (1) CN101953327A (ko)
MY (1) MY151379A (ko)
SG (1) SG168464A1 (ko)
TW (1) TW2011108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783A (ko) * 2013-11-06 2015-05-14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 및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을 배치한 낚시용 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5044B2 (ja) * 2011-06-20 2015-07-2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機構
JP5878718B2 (ja) * 2011-09-27 2016-03-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8424790B1 (en) * 2011-12-02 2013-04-23 Shih-Yuan Yeh Brake device for a fishing reel
US9307749B1 (en) * 2012-05-16 2016-04-12 Harout Alajajyan Fishing reel speed control
JP2015065914A (ja) * 2013-09-30 2015-04-13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
ES1098706Y (es) * 2014-01-07 2014-04-25 Melian Correa Bernardo Carrete de pesca con dos velocidades
TWI684406B (zh) * 2015-03-27 2020-02-11 日商島野股份有限公司 雙軸承捲線器
JP6560904B2 (ja) * 2015-05-27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CN107873662A (zh) * 2016-09-30 2018-04-06 宁波海宝渔具有限公司 可变速的钓鱼用两轴式卷线器
JP6857476B2 (ja) * 2016-09-30 2021-04-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
JP6845695B2 (ja) * 2017-01-19 2021-03-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262167B2 (ja) * 2017-11-22 2023-04-2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941560B2 (ja) * 2017-12-28 2021-09-29 株式会社シマノ 軸受収容構造および両軸受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73Y2 (ko) * 1986-04-08 1993-01-19
JPH0460064U (ko) * 1990-09-25 1992-05-22
JPH1175638A (ja) * 1997-09-10 1999-03-23 Ryobi Ltd 両軸受リールの変速装置
JP3525054B2 (ja) * 1998-06-26 2004-05-1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2000350539A (ja) * 1999-06-09 2000-12-19 Mamiya Op Co Ltd 釣用リール
JP2001340042A (ja) * 2000-05-31 2001-12-11 Mamiya Op Co Ltd 両軸受リール
JP4834240B2 (ja) * 2001-05-16 2011-12-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機構
JP3103070U (ja) * 2004-01-29 2004-07-22 隆 大塚 両軸受けリール
JP4334381B2 (ja) * 2004-03-25 2009-09-30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釣り情報表示装置及び釣り情報表示システム
JP4384936B2 (ja) * 2004-05-11 2009-12-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4395409B2 (ja) * 2004-05-11 2010-01-0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機構
US7234661B2 (en) * 2004-07-21 2007-06-26 Shimano Inc. Drag adjustment device for a dual-bearing reel
JP2006025763A (ja) * 2004-07-21 2006-02-02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4546293B2 (ja) * 2005-03-10 2010-09-15 株式会社シマノ ドラグ操作部材の取付構造
JP4451773B2 (ja) * 2004-12-27 2010-04-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
SG123680A1 (en) * 2004-12-27 2006-07-26 Shimano Kk Drag control member attachment structure
JP5143648B2 (ja) * 2008-07-08 2013-02-13 株式会社シマノ レバードラグ型の両軸受リール
JP5242353B2 (ja) * 2008-11-20 2013-07-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783A (ko) * 2013-11-06 2015-05-14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 및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을 배치한 낚시용 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68464A1 (en) 2011-02-28
US20110011967A1 (en) 2011-01-20
JP2011019428A (ja) 2011-02-03
TW201110877A (en) 2011-04-01
MY151379A (en) 2014-05-30
CN101953327A (zh) 2011-01-26
US8066216B2 (en) 201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6601A (ko)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버 드래그 기구
JP2011019428A5 (ko)
JP5324819B2 (ja) レバードラグ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KR102186887B1 (ko) 듀얼 베어링 릴
CN106172285B (zh) 双轴承渔线轮
JP5474428B2 (ja) 両軸受リールの変速操作機構
JP5258688B2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装置
CN107801700B (zh) 双轴承绕线轮
KR102278089B1 (ko) 양 베어링 릴
JP2011019427A5 (ko)
KR20130079135A (ko)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기구
JP2015065961A5 (ko)
CN108967378B (zh) 钓用绕线轮
US4618106A (en) Fishing reel with friction and magnetic brakes
KR102502468B1 (ko) 양 베어링 릴
US11582960B2 (en) Dual-bearing reel
KR100987115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구조
JP4324268B2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CN108935358B (zh) 双轴承绕线轮
JP2009005637A (ja) 魚釣用リール
US20240138388A1 (en) Dual-Bearing Reel for Fishing
KR100987100B1 (ko)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JP4108659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KR20240062914A (ko) 드래그 레버 및 낚시용 양 베어링 릴
JP2001017042A (ja) 釣り用リールのローラクラ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