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905B1 - 실외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실외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905B1
KR102163905B1 KR1020187017785A KR20187017785A KR102163905B1 KR 102163905 B1 KR102163905 B1 KR 102163905B1 KR 1020187017785 A KR1020187017785 A KR 1020187017785A KR 20187017785 A KR20187017785 A KR 20187017785A KR 102163905 B1 KR102163905 B1 KR 102163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rectifying plate
bell mouse
air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6472A (ko
Inventor
카츠유키 야마모토
타쿠야 테라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6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4Inlet and outlet arranged on opposite sides

Abstract

실외기(11)의 케이싱(21) 내에 열교환기(23), 축류 팬(25), 벨마우스(27), 팬 모터(29) 및 정류판(37)이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21)은, 공기 취출구(21b)가 마련된 프런트 패널(33)과, 공기 흡입구(21a)가 마련된 리어 패널(35)을 포함한다. 프런트 패널(33)의 내면에는, 벨마우스(27)와 정류판(37)이 배치되어 있다. 벨마우스(27)는, 열교환기(23)를 향하여 개구한 제1 개구(27a)와 공기 취출구(21b)를 향하여 개구한 제2 개구(27b)를 갖는다. 정류판(37)은, 프런트 패널(33)의 내면에서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벨마우스(27)가 배치되어 있는 측으로 경사지는 양태로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실외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본 발명은, 실외기(室外機)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축류(軸流) 팬을 구비한 실외기와, 그와 같은 실외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서는, 열교환기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기를 빠져나가는 공기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하여진다. 열교환기에 공기를 송입하기(送り入む) 위해, 실외기에서는, 축류 팬이 장착되어 있다. 축류 팬의 외주에는, 벨마우스가 마련되어 있다. 축류 팬에 공기를 원활히 유도하기 위해, 축류 팬의 상방에 상부 정류판이 마련되고, 하방에 하부 정류판이 마련되어 있다.
축류 팬의 회전에 의해 실외기 내로 공기가 유입되고(流れ入み),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를 빠져나간다. 열교환기를 빠져나간 공기는 축류 팬을 향하여 흐르고, 실외기의 밖으로 배기된다. 상부 정류판과 하부 정류판은, 그 열교환기로부터 벨마우스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외기를 개시한 특허 문헌의 한 예로서, 특허 문헌 1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2004-211931호 공보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서는, 공기가 흐를 때의 통풍 저항을 내려서, 실외기의 소음을 억제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그 개발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나의 목적은, 통풍 저항의 더한층의 저감이 도모된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이고, 다른 목적은, 그와 같은 실외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실외기는, 케이싱과 열교환기와 송풍 유닛과 벨마우스와 정류판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은, 공기 흡입구를 갖는 제1 벽부(壁部) 및 공기 취출구를 갖는 제2 벽부를 포함한다. 열교환기는, 공기 흡입구와 대향하도록,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있다. 송풍 유닛은, 열교환기와 제2 벽부의 사이에 배치된 축류 팬을 포함한다. 벨마우스는, 공기 취출구에 연통하고, 축류 팬을 둘레 방향에서 둘러싸도록, 제2 벽부의 내면에 배치되어 있다. 정류판은, 제2 벽부의 내면에서의 위치에 부착되고, 그 위치로부터 벨마우스가 배치되어 있는 측으로 경사지는 양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실외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이다.
본 발명에 관한 실외기에서는, 정류판이, 제2 벽부의 내면에서의 위치에 부착되고, 그 위치로부터 벨마우스가 배치되어 있는 측으로 경사지는 양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열교환기를 빠져나와(通り拔けて) 제2 벽부에 충돌한 공기는, 정류판을 흐르고 벨마우스에 유도된다. 이에 의해, 실외기의 통풍 저항을 저감할 수 있고, 실외기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에서는,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실외기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실외기에서의 통풍 저항을 저감할 수 있고, 열교환의 효율을 올릴 수 있다.
도 1은 각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각 실시의 형태에 관한 실외기의 케이싱 내의 구성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
도 3은 각 실시의 형태에 관한 실외기의 프런트 패널의 내면에 배치된 각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실외기의, 도 2에 도시하는 단면선(Ⅳ-Ⅳ)에 대응하는 단면선에서의 단면도.
도 5는 비교례에 관한 실외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비교례에 관한 실외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실외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실외기의, 도 2에 도시하는 단면선(Ⅳ-Ⅳ)에 대응하는 단면선에서의 단면도.
도 9는 동 실시의 형태에서, 실외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실외기의, 도 2에 도시하는 단면선(X-X)에 대응하는 단면선에서의 단면도.
도 11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실외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2는 동 실시의 형태에서, 실외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
도 13은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실외기의, 도 2에 도시하는 단면선(X-X)에 대응하는 단면선에서의 단면도.
도 14는 동 실시의 형태에서, 실외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5는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실외기의, 도 2에 도시하는 단면선(X-X)에 대응하는 단면선에서의 단면도.
도 16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실외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7은 실시의 형태6에 관한 실외기의, 도 2에 도시하는 단면선(X-X)에 대응하는 단면선에서의 단면도.
도 18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실외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9는 실시의 형태7에 관한 실외기의, 도 2에 도시하는 단면선(Ⅳ-Ⅳ)에 대응하는 단면선에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0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실외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1은 실시의 형태 8에 관한 실외기의, 도 2에 도시하는 단면선(Ⅳ-Ⅳ)에 대응하는 단면선에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2는 동 실시의 형태에서, 실외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3은 실시의 형태 9에 관한 실외기의, 도 2에 도시하는 단면선(Ⅳ-Ⅳ)에 대응하는 단면선에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4는 동 실시의 형태에서, 실외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5는 실시의 형태 10에 관한 실외기의, 도 2에 도시하는 단면선(Ⅳ-Ⅳ)에 대응하는 단면선에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6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실외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7은 실시의 형태 11에 관한 실외기의, 도 2에 도시하는 단면선(Ⅳ-Ⅳ)에 대응하는 단면선에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8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벨마우스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제1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9는 동 실시의 형태에서, 벨마우스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제2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0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실외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처음에, 실외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의 전체 구성(냉매 회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는, 압축기(3), 4방밸브(5), 실내기(7), 조임장치(9) 및 실외기(11)를 구비하고 있다. 압축기(3), 4방밸브(5), 실내기(7), 조임장치(9) 및 실외기(11)가, 냉매 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공기 조화기(1)를 냉방 운전시키는 경우의 냉매의 흐름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기(3)를 구동시킴에 의해, 압축기(3)로부터 고온 고압의 가스 상태의 냉매가 토출한다. 토출한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단상(單相))는, 4방밸브(5)를 통하여 실외기(11)에 유입된다. 실외기(11)에서는, 유입된 냉매와 실외기(11) 내로 송입된 공기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하여져서,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는, 응축되어 고압의 액냉매(단상)가 된다.
실외기(11)로부터 송출된 고압의 액냉매는, 조임장치(9)에 의해, 저압의 가스 냉매와 액냉매와의 2상(二相) 상태의 냉매가 된다. 2상 상태의 냉매는, 실내기(7)에 유입된다. 실내기(7)에서는, 유입된 2상 상태의 냉매와, 실내기(7) 내로 송입된 공기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하여져서, 2상 상태의 냉매는, 액냉매가 증발하여 저압의 가스 냉매(단상)가 된다. 이 열교환에 의해, 실내가 냉각되게 된다. 실내기(7)로부터 송출된 저압의 가스 냉매는, 4방밸브(5)를 통하여 압축기(3)에 유입되고,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가 되어, 재차 압축기(3)로부터 토출한다. 이하, 이 사이클이 반복된다.
다음에, 난방 운전시키는 경우의 냉매의 흐름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기(3)를 구동시킴에 의해, 압축기(3)로부터 고온 고압의 가스 상태의 냉매가 토출한다. 토출한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단상)는, 4방밸브(5)를 통하여 실내기(7)에 유입된다. 실내기(7)에서는, 유입된 가스 냉매와, 실내기(7) 내로 송입된 공기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하여져서,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는, 응축되어 고압의 액냉매(단상)가 된다. 이 열교환에 의해, 실내가 난방되게 된다. 실내기(7)로부터 송출된 고압의 액냉매는, 조임장치(9)에 의해, 저압의 가스 냉매와 액냉매의 2상 상태의 냉매가 된다.
이상 상태의 냉매는, 실외기(11)에 유입된다. 실외기(11)에서는, 유입된 2상 상태의 냉매와, 실외기(11) 내로 송입된 공기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하여져서, 2상 상태의 냉매는, 액냉매가 증발하여 저압의 가스 냉매(단상)가 된다. 실외기(11)로부터 송출된 저압의 가스 냉매는, 4방밸브(5)를 통하여 압축기(3)에 유입되고,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가 되어, 재차 압축기(3)로부터 토출한다. 이하, 이 사이클이 반복된다.
다음에, 공기 조화기(1)의 실외기(11)의 개요에 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외기(11)의 케이싱(21) 내에 열교환기(23), 축류 팬(25), 벨마우스(27) 및 팬 모터(29)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21)은 프런트 패널(33)(제2 벽부) 및 리어 패널(35)(제1 벽부)을 포함한다. 리어 패널(35)에는, 케이싱(21) 내로 공기를 받아들이는 공기 흡입구(21a)가 마련되어 있다. 프런트 패널(33)에는, 케이싱(21) 내로 받아들인 공기를 배기하는 공기 취출구(21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프런트 패널(33)과 리어 패널(35)은, 별체로서 형성된 것이라도 좋고, 케이싱(21)으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열교환기(23)는, 공기 흡입구(21a)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기(23)와 프런트 패널(33)과의 사이에 축류 팬(25) 및 팬 모터(29)가 배치되어 있다. 팬 모터(29)는, 모터 지지대(31)에 고정되어 있다.
프런트 패널(33)의 내면(내측)에는, 벨마우스(27)와 정류판(37)이 배치되어 있다. 벨마우스(27)는, 축류 팬(25)을 둘레 방향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벨마우스(27)는, 열교환기(23)를 향하여 개구한 제1 개구(27a)와 공기 취출구(21b)를 향하여 개구한 제2 개구(27b)를 갖는다. 제2 개구(27b)가 공기 취출구(21b)에 연통한다.
정류판(37)은, 벨마우스(27)는 거리를 뗀 프런트 패널(33)의 내면에서의 소정의 위치에 부착되고, 그 위치로부터 벨마우스(27)가 배치되어 있는 측으로 경사지는 양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정류판(37)은, 제2 개구(27b)의 외주단(外周端)(28b)과는 축류 팬(25)의 지름 방향으로 거리를 뗀 프런트 패널(33)의 내면에서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의 외주단(28a)을 향하여 연재(延在)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체적인 정류판(37)은 한 예이고, 이 정류판(37)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 각 실시의 형태에서, 실외기(11)의 정류판(37)의 구체적인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의 형태의 각 도면에서는,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부재와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실시의 형태 1
실외기의 제1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류판(37)은, 제2 개구(27b)의 외주단(28b)과는 거리를 뗀 프런트 패널(33)의 내면에서의 소정의 위치에 부착되고, 그 위치로부터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의 외주단(28a)을 향하여 경사지는 양태로 배치되어 있다. 정류판(37)은, 부착부(37a)와 경사부(37b)를 포함한다. 부착부(37a)가, 프런트 패널(33)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경사부(37b)는, 부착부(37a)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써 배치되어 있다.
프런트 패널(33)의 내면부터 정류판(37)의 열교환기(23)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높이)는, 프런트 패널(33)의 내면부터 벨마우스(27)의 외주단(28a)까지의 거리(높이)와, 거의 같은 거리(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정류판(37)은, 벨마우스(27)와는 별체(別體)로 되어 있고, 각각 별개의 부품으로서 프런트 패널(33)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실외기(11)에서는, 프런트 패널(33)로부터 벨마우스(27)의 외주단(28a)을 향하여 정류판(37)이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통풍 저항을 억제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관해, 비교례에 관한 실외기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례에 관한 실외기(11)에서는, 정류판이 배치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도 4에 도시하는 실외기(11)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하는 부재와 동일 부재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다음에, 비교례에 관한 실외기(1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공기 조화기(도 1 참조)의 동작에 수반하여, 실외기(11)의 축류 팬(25)이 회전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류 팬(25)이 회전함에 의해, 공기 흡입구(21a)로부터 공기가 케이싱(21) 내로 받아들여진다. 케이싱(21) 내에서는, 열교환기(23)로부터 축류 팬(25)(벨마우스(27))을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열교환기(23)를 빠져나간 공기 중, 축류 팬(25)의 중심축의 부근을 흐르는 공기는, 축류 팬(25)을 향하여 직접 흐르고, 벨마우스(27)(축류 팬(25))를 빠져나가 공기 취출구(21b)로부터 케이싱(21)의 밖으로 배기된다(화살표(FM) 참조).
한편, 축류 팬(25)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떨어진 영역(위치)을 흐르는 공기일수록, 축류 팬(25)에 흡입되는 힘이 약해진다. 이 때문에, 열교환기(23)를 빠져나간 공기는, 프런트 패널(33)에 일단 충돌한다. 프런트 패널(33)에 충돌한 공기는, 프런트 패널(33)에 따라 흐른 후, 벨마우스(27)의 외벽(외주면)에 따라 흐르게 된다.
이 때문에, 프런트 패널(33)의 내면 및 벨마우스(27)의 외벽에 공기의 흐름이 집중하여, 공기의 흐르는 속도가 빨라지고,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 부근의 외벽에서, 공기(흐름)가 박리한다(화살표(FD) 참조). 벨마우스(27)의 외벽으로부터 박리한 공기는, 벨마우스(27)의 형상의 영향과, 축류 팬(25)에 의한 공기의 흡입의 영향을 받아, 열교환기(23)에 향하여 역류(逆流)가 되어 흐른다.
그러면, 본래, 축류 팬(25)에 흡입되어 벨마우스(27)(내주면)에 따라 흐르려고 하는 공기가, 열교환기(23)에 향하여 흐르려고 하는 공기에 의해 되밀리게(押し戾される) 된다(화살표(FB) 참조). 이 때문에, 벨마우스(27)를 빠져나가는 풍량이 감소하고,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 부근의 외벽에서는, 다시 공기(흐름)의 박리가 발생한다. 그 결과, 실외기(11)의 통풍 저항이 증대한다.
비교례에 관한 실외기에 대해,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실외기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실외기(11)에서는, 정류판이, 프런트 패널(33)의 내면에서의 소정의 위치에 부착되고, 그 위치로부터 벨마우스(27)의 외주단(28a)을 향하여 경사지는 양태로 배치되어 있다(도 4 참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23)를 빠져나간 공기 중, 축류 팬(25)의 중심축의 부근을 흐르는 공기는, 축류 팬(25)을 향하여 직접 흐르고, 벨마우스(27)(축류 팬(25))를 빠져나가 공기 취출구(21b)로부터 케이싱(21)의 밖으로 배기된다(화살표(FM) 참조).
한편, 축류 팬(25)의 중심축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떨어진 영역(위치)을 흐르는 공기는, 축류 팬(25)에 흡입되는 힘이 약해져서, 프런트 패널(33)에 일단 충돌한다. 프런트 패널(33)에 충돌한 공기는, 정류판(37)에 따라 흘러서,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에 유도된다.
이에 의해, 프런트 패널(33)에 충돌한 공기가, 벨마우스(27)의 외벽(외주면)에 따라 흐르려고 하는 것을 억제하여,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 부근의 외벽에서, 공기(흐름)가 박리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흐름)의 박리에 기인하는 통풍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통풍 저항이 저감됨으로써, 실외기(11)의 열교환의 효율을 올릴 수 있음과 함께, 실외기(11)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비교례에 관한 실외기(도시 생략)로서, 열교환기와 벨마우스의 사이에 정류판이 배치된 실외기에서는, 열교환기의 부근에 배치된 정류판에 의해, 공기 흡입구로부터 열교환기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저해됨에 의한 통풍 저항이 커지는 것이 상정된다.
이에 대해,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실외기(11)에서는, 프런트 패널(33)의 내면에서의 소정의 위치에서 벨마우스(27)의 외주단(28a)을 향하여 경사한 상태로 정류판(37)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공기 흡입구(21a)로부터 열교환기(23)을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저해되는 일은 없고, 공기의 흐름이 저해됨에 의한 통풍 저항이 커지는 일은 없다.
또한,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실외기(11)의 정류판(37)은, 벨마우스(27)와는 별체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류판과 형상이 복잡한 벨마우스를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가 용이해지고, 제조 비용의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실외기의 제2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런트 패널(33)의 내면에, 벨마우스(27)와 정류판(37)이 배치되어 있다. 프런트 패널(33)의 내면부터 정류판(37)의 열교환기(23)측의 단부까지의 거리(HA)(높이)는, 프런트 패널(33)의 내면부터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의 외주단(28a)까지의 거리(HB)(높이)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벨마우스(27)의 외주단(28a)부터 정류판(37)의 열교환기(23)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높이의 차 : HA-HB)로서는, 예를 들면, 30㎜∼50㎜ 정도가 된다.
이 거리(높이의 차이)의 상한치로서는, 정류판(37) 자체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저해되지 않는 거리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거리의 하한치로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역류하는 공기를 벨마우스(27)의 외벽과 정류판(37)과의 사이로 흘릴 수 있는 거리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상술한 실외기(1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케이싱(21) 내의 공기의 대국적인 흐름은,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공기 조화기(1)의 실외기(11)에서는, 운전 상태에 의해, 열교환기(23) 등의 통풍 저항이 상승하는 일이 있다. 그와 같은 운전 상태에서는, 축류 팬(25)으로부터 취출(吹出)되는 공기의 흐름의 원심(遠心) 성분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일이 있다. 그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마우스(27)의 벽면(외주면)에서, 프런트 패널(33)을 향하여 공기가 역류한다(화살표(FC) 참조). 또한, 이 공기의 역류에 관해서는, 실시의 형태 11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실외기(11)에서는, 정류판(37)의 높이(거리(HA))가 벨마우스의 높이(거리(HB))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런트 패널(33)을 향하여 역류하려고 하는 공기가, 벨마우스(27)의 외벽(외주면)과 정류판(37)의 사이로 유입된다. 그 결과, 프런트 패널(33)에 충돌하여 정류판(37)을 벨마우스(27)를 향하여 흐르려고 하는 공기가, 역류하려고 하는 공기와 부딪쳐서, 그 흐름이 방해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통풍 저항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통풍 저항이 저감됨으로써, 실외기(11)의 열교환의 효율을 올릴 수 있음과 함께, 실외기(11)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실외기의 제3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런트 패널(33)의 내면을 향하여 평면시적(平面視的)으로 보아, 상하 방향으로부터 벨마우스(27)를 끼워넣도록, 벨마우스(27)의 상방과 하방의 각각에 정류판(37)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으로부터 벨마우스(27)를 끼워넣도록, 벨마우스(27)의 좌측방과 우측방의 각각에 정류판(37)이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실외기(1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케이싱(21) 내의 공기의 대국적인 흐름은,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히, 축류 팬(25)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떨어진 영역(위치)을 흐르는 공기는, 프런트 패널(33)에 일단 충돌한 후, 정류판(37)에 따라 흘러서,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에 유도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외기(11)에서는, 열교환성을 올리기 위해, 열교환기(23)가 케이싱(21)의 리어 패널(35)측부터 사이드 패널측에 걸처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외기(11)에서는, 사이드 패널측에 위치하는 열교환기의 부분(열교환기(23a))을 빠져나간 공기는, 벨마우스(27)의 외벽(외주면)을 향하여 흐르려고 한다.
이때, 정류판(37)이 배치되지 않은 비교례에 관한 실외기(11)(도 5 참조)에서는, 그 열교환기(23)의 부분과 대향하는 벨마우스(27)의 외벽 부분에, 벨마우스(27)의 다른 외벽 부분에 비하여, 공기의 흐름이 집중하여, 공기의 흐르는 속도가 빨라진다. 그때문에, 공기의 역류 성분이 증가하여,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 부근의 외벽에서, 공기(흐름)가 박리한다.
상술한 실외기(11)에서는, 벨마우스(27)와 사이드 패널측에 위치하는 열교환기(23a)의 사이에 정류판(37)이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측에 위치하는 열교환기(23a)를 빠져나온 공기(공기(A) : 화살표(FS))와, 리어 패널(35)측에 위치하는 열교환기(23)의 부분을 빠져나가 왔던 공기(공기(B) : 화살표(FT))는, 프런트 패널(33)에 충돌 등 한 후, 정류판(37)에 따라 흐르게 된다. 정류판(37)을 흐른 공기(A)와 공기(B)는, 벨마우스(27) 및 공기 취출구(21b)를 경유하여 케이싱(21)의 밖으로 배기된다.
이에 의해, 공기(A)와 공기(B)가, 벨마우스(27)의 외벽을 향하여 흐르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실외기(11)의 통풍 저항이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통풍 저항이 저감됨으로써, 실외기(11)의 열교환의 효율을 올릴 수 있음과 함께, 실외기(11)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외기(11)에서는, 벨마우스(27)에 대해 4개의 정류판(37)을 배치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사이드 패널측에도 열교환기(23)(열교환기(23a))를 배치한 실외기(11)에서는, 상술한 열교환기(23a)를 빠져나온 공기의 흐름을 고려하면, 적어도, 벨마우스(27)와 사이드 패널측에 위치하는 열교환기(23a)의 사이에, 정류판(37)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싱의 높이가 케이싱의 폭보다도 큰 실외기의 경우(도시 생략), 벨마우스의 상방과 하방에서는, 리어 패널로부터 열교환기를 빠져나와 프런트 패널에 충돌한 공기의 양이 많아진다. 이 경우에는, 적어도, 벨마우스의 상방과 하방의 각각에 정류판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의 형태 4
실외기의 제4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런트 패널(33)의 내면을 향하여 평면시적으로 보아, 상하 방향으로부터 원형의 벨마우스(27)를 끼워넣도록, 벨마우스(27)의 상방과 하방의 각각에 정류판(37)이 배치되어 있다.
정류판(37)의 각각은, 정류판(37)이 벨마우스(27)에 가장 접근하고 있는 벨마우스(27)의 외주단(28a) 위치에서의 접선(接線)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정류판(37)의 길이(LA)는, 벨마우스(27)의 외주단(28a)의 직경(LB)을 초과하지 않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정류판(37)의 길이가, 직경(LB)에 비하여 너무 길면, 정류판(37)의 길이 방향의 단부(端部)와, 벨마우스(27)의 외주단(28a)과의 거리가 너무 비어(空き過ぎて) 버린다. 이 때문에, 정류판(37)의 단부 부근을 흐른 공기가, 프런트 패널(33)에 재차 충돌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정류판(37)의 길이(LA)는, 직경(LB)을 초과하지 않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정류판(37)의 길이가, 직경(LB)에 비하여 너무 짧아지면, 벨마우스(27)의 외주단(28a)을 향하여 정류판(37)을 흐르고 있는 공기가, 그 도중에 정류판(37)으로부터 박리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정류판(37)의 길이(LA)는, 직경(LB)의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술한 실외기(1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케이싱(21) 내의 공기의 대국적(大局的)인 흐름은,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히, 축류 팬(25)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떨어진 영역(위치)을 흐르는 공기는, 프런트 패널(33)에 일단 충돌한 후, 정류판(37)에 따라 흘러서,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에 유도된다.
상술한 실외기(11)에서는, 정류판(37)의 길이(LA)는, 벨마우스(27)의 외주단(28a)의 직경(LB)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비교적 길다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보다 광범위에 걸처서, 프런트 패널(33)에 충돌한 공기가, 벨마우스(27)의 외벽(외주면)에 따라 흐르려고 하는 것을 억제하여,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 부근의 외벽에서, 공기(흐름)가 박리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통풍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통풍 저항이 저감됨으로써, 실외기(11)의 열교환의 효율을 올릴 수 있음과 함께, 실외기(11)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5
실외기의 제5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런트 패널(33)의 내면을 향하여 평면시적으로 보아, 상하 방향으로부터 원형의 벨마우스(27)를 끼워넣도록, 벨마우스(27)의 상방과 하방의 각각에 정류판(37)이 배치되어 있다. 정류판(37)의 각각은, 벨마우스(27)의 외주단(28a)에 따라 원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실외기(1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케이싱(21) 내의 공기의 대국적인 흐름은,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히, 축류 팬(25)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떨어진 영역(위치)을 흐르는 공기는, 프런트 패널(33)에 일단 충돌한 후, 정류판(37)에 따라 흘러서,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에 유도된다.
상술한 실외기(11)에서는, 정류판(37)의 각각은, 벨마우스(27)의 외주단(28a)에 따라 원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정류판(37)과 벨마우스(27)의 외주단(28a)과의 간격이 거의 일정하게 된다. 이 때문에, 벨마우스(27)의 둘레 방향에 대해, 정류판(37)으로부터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에 흐르는 공기의 흐름이 보다 안정된다.
이에 의해, 프런트 패널(33)에 충돌한 공기가, 벨마우스(27)의 외벽(외주면)에 따라 흐르려고 하는 것을 억제하여,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 부근의 외벽에서, 공기(흐름)가 박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통풍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통풍 저항이 저감됨으로써, 실외기(11)의 열교환의 효율을 올릴 수 있음과 함께, 실외기(11)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으려면, 벨마우스(27)의 전둘레의 10% 이상에 걸처서, 정류판(37)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의 형태 6
실외기의 제6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런트 패널(33)의 내면을 향하여 평면시적으로 보아, 원형의 벨마우스(27)를 둘레 방향에서 둘러싸도록, 링형상의 정류판(37)이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실외기(1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케이싱(21) 내의 공기의 대국적인 흐름은,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히, 축류 팬(25)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떨어진 영역(위치)을 흐르는 공기는, 프런트 패널(33)에 일단 충돌한 후, 정류판(37)에 따라 흘러서,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에 유도된다.
상술한 실외기(11)에서는, 링형상의 정류판(37)이, 원형의 벨마우스(27)를 둘레 방향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벨마우스(27)의 전둘레에 걸처서, 정류판(37)과 벨마우스(27)의 외주단(28a)과의 간격이 거의 일정하게 된다. 이 때문에, 벨마우스(27)의 둘레 방향에 대해, 정류판(37)으로부터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에 흐르는 공기의 흐름이 더욱 안정된다.
이에 의해, 프런트 패널(33)에 충돌한 공기가, 벨마우스(27)의 외벽(외주면)에 따라 흐르려고 하는 것을 억제하여,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 부근의 외벽에서, 공기(흐름)가 박리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통풍 저항을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통풍 저항이 확실하게 저감됨으로써, 실외기(11)의 열교환의 효율을 확실하게 올릴 수 있음과 함께, 실외기(11)의 소음도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으려면, 정류판(37)과 벨마우스(27) 외주단(28a)과의 간극의 거리는, 직경(LB)의 30%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정류판(37)으로서, 일방향으로 연재되는 정류판(37), 원호형상으로 연재된 정류판(37), 링형상의 정류판(37)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정류판(37)의 단면(斷面) 형상의 베리에이션에 관해 설명한다. 단면 형상은, 정류판(37)이 연재된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으로 한다.
실시의 형태 7
여기서는, 정류판의 단면 형상의 베리에이션의 제1례에 관해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등에서는, 부착부(37a)와 경사부(37b)를 포함하는 정류판(37)을 예로 들었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정류판(37)에서는, 부착부(37a)와 경사부(37b)는, 각각 직선형상으로 연재되고, 경사부(37b)는, 부착부(37a)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써 배치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정류판(37)을 구비한 실외기(11)에서는, 실시의 형태 1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런트 패널(33)에 충돌한 공기가, 벨마우스(27)의 외벽(외주면)에 따라 흐르려고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통풍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통풍 저항이 저감됨으로써, 실외기(11)의 열교환의 효율을 올릴 수 있음과 함께, 실외기(11)의 소음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정류판(37)에서는, 부착부(37a)와 경사부(37b)가, 각각 직선형상으로 연재된 단면 형상을 갖고 있음으로써, 가공이 비교적 용이해지고, 정류판(37)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8
여기서는, 정류판의 단면 형상의 베리에이션의 제2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류판(37)은, 부착부(37a), 경사부(37b) 및 만곡부(37c)를 구비하고 있다. 만곡부(37c)는, 부착부(37a)와 경사부(37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만곡부(37c)는, 프런트 패널(33)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37c)는, 부착부(37a)와, 그 부착부(37a)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써 배치되어 있는 경사부(37b)의 사이를 매끈하게 연결하고 있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정류판(37)을 구비한 실외기(11)에서는, 프런트 패널(33)에 충돌한 공기는, 정류판(37)의 만곡부(37c)에 따라 흐른 후, 경사부(37b)에 따라 흐른다. 이 때문에, 부착부(37a)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써 배치되어 있는 경사부(37b)를 향하여 서서히 각도를 바꾸면서 경사부(37b)를 향하여 흐르게 된다.
이에 의해, 공기가 흐르는 각도가 가파르게 변화하는 경우에 비하여, 통풍 저항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통풍 저항이 저감됨으로써, 실외기(11)의 열교환의 효율을 올릴 수 있음과 함께, 실외기(11)의 소음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9
여기서는, 정류판의 단면 형상의 베리에이션의 제3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류판(37)은, 부착부(37a), 경사부(37b) 및 만곡부(37d)를 구비하고 있다. 만곡부(37d)는, 열교환기(23)를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37d)는, 경사부(37b)로부터 벨마우스(27)의 외주단(28a)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37d)의 단에서의 접선의 연장선상에 외주단(28a)이 위치한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정류판(37)을 구비한 실외기(11)에서는, 프런트 패널(33)에 충돌한 공기는, 정류판(37)의 경사부(37b)에 따라 흐른 후, 만곡부(37d)에 따라 흘러서,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에 유입된다.
이때, 만곡부(37d)가, 경사부(37b)로부터 벨마우스(27)의 외주단(28a)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음으로써, 만곡부(37d)를 경유하여,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에 유입하려고 하는 공기는, 벨마우스(27)의 내벽(내주면)에 따라 흐르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만곡부(37d)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통풍 저항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통풍 저항이 저감됨으로써, 실외기(11)의 열교환의 효율을 올릴 수 있음과 함께, 실외기(11)의 소음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0
여기서는, 정류판의 단면 형상의 베리에이션의 제4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류판(37)은, 부착부(37a), 만곡부(37c), 경사부(37b) 및 만곡부(37d)를 구비하고 있다. 만곡부(37c)는, 프런트 패널(33)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부착부(37a)와 경사부(37b)의 사이를 매끈하게 연결하고 있다. 만곡부(37d)는, 열교환기(23)를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경사부(37b)로부터 벨마우스(27)의 외주단(28a)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정류판(37)을 구비한 실외기(11)에서는, 프런트 패널(33)에 충돌한 공기는, 정류판(37)의 만곡부(37c)에 따라 흐른 후, 경사부(37b)에 따라 흐른다. 경사부(37b)에 따라 흐른 공기는, 만곡부(37d)에 따라 흘러서,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에 유입된다.
이에 의해, 실시의 형태 8 및 실시의 형태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가 흐르는 각도가 가파르게 변화하는 경우 및 만곡부(37d)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통풍 저항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통풍 저항이 저감됨으로써, 실외기(11)의 열교환의 효율을 올릴 수 있음과 함께, 실외기(11)의 소음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1
여기서는, 정류판의 단면 형상의 베리에이션의 제5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류판(37)은, 부착부(37a), 경사부(37b) 및 만곡부(37e)를 구비하고 있다. 만곡부(37e)는, 열교환기(23)를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37e)는, 경사부(37b)로부터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의 외주단(28a)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37e)에는, 통기구(通氣口)(45)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실외기(1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실시의 형태 2에서, 벨마우스(27)의 벽면에서, 공기가 역류하는 경우가 있는 것을 기술이었다. 여기서, 그 역류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축류 팬(25)이 회전함에 의해, 축방향의 흐름(축방향 성분)과, 축류 팬(25)의 회전에 수반한 원심력에 의한 지름 방향의 흐름(지름 방향 성분)이 생긴다. 벨마우스(27)로부터는, 이 축방향 성분과 지름 방향 성분을 벡터로 하여 합친 공기가 취출(吹出)되게 된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망량의 공기가 열교환기(23)를 빠져나오고 있는 경우에는, 축방향의 흐름(화살표(VM))이 충분히 강하다. 이 때문에, 축방향의 흐름(화살표(VM))과 지름 방향의 흐름(화살표(VR))을 합친 실제의 흐름(화살표(VA))은, 벨마우스(27)(케이싱(21))의 밖을 향하는 흐름이 된다.
한편, 실외기(11)에서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는, 열교환기(23)에 서리(霜)가 부착하는 일이 있다. 그 경우에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23)를 빠져나가는 공기의 양이 감소하고, 지름 방향의 흐름(화살표(VR))에 대해, 축방향의 흐름(화살표(VM))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된다.
이 때문에, 축방향의 흐름(화살표(VM))과 지름 방향의 흐름(화살표(VR))을 합친 실제의 흐름(화살표(VA))에는, 벨마우스(27)(케이싱(21))의 내벽(내주면)을 향하는 흐름이 포함되는 일이 있다. 벨마우스(27)의 내벽(내주면)에서는, 이 공기의 흐름에 의해, 열교환기(23)를 향하여 공기가 역류한다(화살표(FC) 참조).
상술한 실외기(11)에서는,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마우스(27)의 제1 개구(27a)의 외주단(28a)을 덮도록 만곡부(37e)가 형성되어 있다. 그 만곡부(37e)에는, 통기구(4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열교환기(23)를 향하여 역류하는 공기는, 벨마우스(27)와 정류판(37)(만곡부(37e)) 사이의 간극을 흐른다. 그 간극을 흐른 공기는, 통기구(45)를 경유하여, 만곡부(37e)에 따라 흘러서, 재차 벨마우스(27)를 빠져나가서, 케이싱(21)의 밖으로 배기된다.
이렇게 하여, 벨마우스(27)에서 발생한 역류하는 공기가, 재차 벨마우스(27)로부터 케이싱의 밖으로 배기됨으로써, 통풍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통풍 저항이 저감됨으로써, 실외기(11)의 열교환의 효율을 올릴 수 있음과 함께, 실외기(11)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정류판을 포함하는 실외기에 관해서는, 필요에 응하여 여러가지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금회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예시로서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범위가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축류 팬을 구비한 실외기와, 그 실외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유효하게 이용된다.
1 : 공기 조화기
3 : 압축기
5 : 4방밸브
7 : 실내기
9 : 조임장치
11 : 실외기
21 : 케이싱
21a : 공기 흡입구
21b : 공기 취출구
23, 23a : 열교환기
25 : 축류 팬
27 : 벨마우스
27a : 제1 개구
27b : 제2 개구
28a, 28b : 외주단
29 : 팬 모터
31 : 모터 지지대
33 : 프런트 패널
35 : 리어 패널
37 : 정류판
37a : 부착부
37b : 경사부
37c, 37d, 37e : 만곡부
45 : 통기구
FM, FA, FB, FC, FD, FS, FT, VM, VR, VA : 화살표
HA, HB, LA, LB : 길이

Claims (15)

  1. 공기 흡입구(21a)를 갖는 제1 벽부(35) 및 공기 취출구(21b)를 갖는 제2 벽부(33)를 포함하는 케이싱(21)과,
    상기 공기 흡입구(21a)와 대향하도록, 상기 케이싱(21)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23)와,
    상기 열교환기(23)와 상기 제2 벽부(33)의 사이에 배치된 축류 팬(25)을 포함하는 송풍 유닛(25)과,
    상기 공기 취출구(21b)에 연통하고, 상기 축류 팬(25)을 둘레 방향에서 둘러싸도록, 상기 제2 벽부(33)의 내면에 배치된 벨마우스(27)와,
    상기 제2 벽부(33)의 상기 내면 상의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벨마우스(27)가 배치되어 있는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정류판(37)을 구비하고,
    상기 정류판(37)이, 상기 정류판(37)을 상기 제2 벽부(33)와 상기 벨 마우스(27) 사이에 끼운 상태로, 벨 마우스(27)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벽부(33)의 부분에 충돌하는 공기를 상기 벨 마우스(27)에 인도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27)는,
    상기 열교환기(23)를 향하여 개구한 제1 개구(27a)와
    상기 공기 취출구(21b)를 향하여 개구한 제2 개구(27b)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판(37)은, 상기 제2 벽부(33)의 상기 내면에서의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벨마우스(27)의 상기 제1 개구(27a)의 외주단(28a)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벽부(33)의 상기 내면을 향하여 평면시적으로 보아, 상기 정류판(37)은, 적어도 상방과, 하방부터 상기 벨마우스(27)를 끼워넣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벽부(33)의 상기 내면부터 상기 열교환기(23)에 더 가까운 상기 정류판(37)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 벽부(33)의 상기 내면부터 상기 벨마우스(27)의 상기 외주단까지의 거리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벽부(33)의 상기 내면을 향하여 평면시적으로 보아,
    상기 벨마우스(27)의 상기 외주단(28a)은 원형이고,
    상기 정류판(37)은, 상기 벨마우스(27)의 직경을 초과하지 않는 길이를 갖고, 상기 벨마우스(27)의 상기 외주단(28a)의 접선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벽부(33)의 상기 내면을 향하여 평면시적으로 보아,
    상기 벨마우스(27)의 상기 외주단(28a)은 원형이고,
    상기 정류판(37)은, 상기 벨마우스(27)의 상기 외주단(28a)에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판(37)은, 상기 벨마우스(27)의 상기 외주단(28a)에 따라, 상기 외주단(28a)의 전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판(37)은,
    상기 제2 벽부(33)의 상기 내면에 부착된 제1 부(37a)와,
    상기 제1 부(37a)로부터 상기 벨마우스(27)의 상기 외주단(28a)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부(3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판(37)은, 상기 제1 부(37a)와 상기 제2 부(37b)를 매끈하게 연결하는, 상기 제2 벽부(33)의 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한 제3 부(37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판(37)은, 상기 제2 부(37b)로부터, 상기 열교환기(23)의 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하면서, 상기 벨마우스(27)의 상기 외주단(28a)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4 부(37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판(37)은, 상기 제2 부(37b)로부터, 상기 열교환기(23)의 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하면서, 상기 벨마우스(27)의 상기 외주단(28a)을 덮고, 상기 제1 개구(27a)로부터 상기 제2 개구(27b)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5 부(37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부(37e)에는, 통기구(45)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판(37)과 상기 벨마우스(27)는 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23)는,
    상기 공기 흡입구(21a)에 대향하는 제1 열교환부(23)와,
    상기 제1 열교환부(23)로부터 상기 제2 벽부(33)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열교환부(23a)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판(37)은, 상기 벨마우스(27)와 상기 제2 열교환부(23a)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벽부(33)의 상기 내면의 부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15. 제1항에 기재된 실외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87017785A 2016-01-25 2016-01-25 실외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KR102163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51999 WO2017130273A1 (ja) 2016-01-25 2016-01-25 室外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472A KR20180086472A (ko) 2018-07-31
KR102163905B1 true KR102163905B1 (ko) 2020-10-12

Family

ID=5939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785A KR102163905B1 (ko) 2016-01-25 2016-01-25 실외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54156B2 (ko)
EP (1) EP3410026B1 (ko)
JP (1) JP6680806B2 (ko)
KR (1) KR102163905B1 (ko)
CN (1) CN108474570B (ko)
AU (1) AU2016389531B2 (ko)
WO (1) WO20171302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55007A1 (en) * 2018-03-19 2021-02-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oling structure and outdoor unit including cooling structure
WO2020240618A1 (ja) * 2019-05-24 2020-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7051764B2 (ja) * 2019-08-07 2022-04-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
WO2021084605A1 (ja) * 2019-10-29 2021-05-0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797A (ja) 2001-12-14 2003-07-03 Daikin Ind Ltd 送風装置及び該送風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05114231A (ja) 2003-10-07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US20140299298A1 (en) * 2011-12-19 2014-10-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utdoo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outdoor unit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3976Y2 (ko) 1977-11-05 1982-11-22
JPS59142677U (ja) * 1983-03-14 1984-09-22 三洋電機株式会社 熱交換ユニツト
JPH0648251Y2 (ja) 1988-06-08 1994-12-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吹出口構造
US5248224A (en) * 1990-12-14 1993-09-28 Carrier Corporation Orificed shroud for axial flow fan
JP2707861B2 (ja) 1991-03-06 1998-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H05106871A (ja) * 1991-04-25 1993-04-27 Matsushita Refrig Co Ltd セパレート型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524186Y2 (ja) 1991-05-30 1997-01-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H1094832A (ja) 1996-09-24 1998-04-14 Nishizawa Kogyo:Kk 板金プレス成形方法および板金プレス装置
JP3057259U (ja) 1998-09-03 1999-04-09 トキワ工業株式会社 柔軟性ダイス
ES2550999T3 (es) * 1999-08-09 2015-11-13 Daikin Industries, Ltd. Protector de ventilador de una unidad de soplado y aire acondicionado
JP4190683B2 (ja) * 1999-11-22 2008-12-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ファン装置
JP2004150654A (ja) 2002-10-29 2004-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4211931A (ja) 2002-12-27 2004-07-29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用室外機
JP4690682B2 (ja) * 2004-09-07 2011-06-0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機
JP4682635B2 (ja) 2005-02-07 2011-05-1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US7481619B2 (en) * 2005-08-11 2009-01-27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Extended venturi fan ring
KR20080062891A (ko) * 2006-12-29 200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팬
US8221074B2 (en) * 2007-12-21 2012-07-17 Paccar Inc Fan ring shroud assembly
KR20090076031A (ko) * 2008-01-07 2009-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EP2085709A1 (en) * 2008-01-30 2009-08-05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N101925783B (zh) * 2008-03-11 2013-07-17 三菱电机株式会社 空气调节机
WO2009130954A1 (ja) * 2008-04-22 2009-10-29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機およびこの送風機を用いたヒートポンプ装置
JP4823294B2 (ja) * 2008-11-04 2011-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機及びこの送風機を用いたヒートポンプ装置
JP2010127590A (ja) * 2008-12-01 2010-06-10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機及びこの室外機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5289200B2 (ja) * 2009-06-19 2013-09-1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用室外機
JP5418306B2 (ja) 2010-03-03 2014-0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240239B2 (ja) * 2010-06-03 2013-07-17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
US20130125579A1 (en) * 2010-09-14 2013-05-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sending device of outdoor unit, outdoo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JP2013044481A (ja) * 2011-08-25 2013-03-04 Panasonic Corp ヒートポンプ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5558449B2 (ja) 2011-10-03 2014-07-23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機、室外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3096622A (ja) 2011-10-31 2013-05-20 Daikin Industries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14031976A (ja) * 2012-08-06 2014-02-20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ユニット
JP5805598B2 (ja) * 2012-09-12 2015-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WO2014128908A1 (ja) * 2013-02-22 2014-08-2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プロペラファン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5984782B2 (ja) * 2013-11-07 2016-09-0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5984781B2 (ja) * 2013-11-07 2016-09-0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203731634U (zh) * 2013-12-10 2014-07-23 昆山市言兴净化设备有限公司 一种一体化高效送风口
JP6223232B2 (ja) * 2014-03-03 2017-11-01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機
CN104374010B (zh) * 2014-10-27 2018-02-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落地式空调器
CN204787121U (zh) 2015-05-25 2015-1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道组件及空调器
CN105202732B (zh) * 2015-10-23 2018-03-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整流结构及具有该结构的空调柜机
JP6849938B2 (ja) * 2016-05-31 2021-03-3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797A (ja) 2001-12-14 2003-07-03 Daikin Ind Ltd 送風装置及び該送風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05114231A (ja) 2003-10-07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US20140299298A1 (en) * 2011-12-19 2014-10-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utdoo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outdoor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10026A4 (en) 2019-01-02
KR20180086472A (ko) 2018-07-31
EP3410026B1 (en) 2023-06-07
AU2016389531A1 (en) 2018-07-05
EP3410026A1 (en) 2018-12-05
US11054156B2 (en) 2021-07-06
JPWO2017130273A1 (ja) 2018-10-25
US20180363928A1 (en) 2018-12-20
CN108474570B (zh) 2020-10-16
JP6680806B2 (ja) 2020-04-15
AU2016389531B2 (en) 2019-07-18
WO2017130273A1 (ja) 2017-08-03
CN108474570A (zh)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905B1 (ko) 실외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AU2022200749B2 (en) Centrifugal blower, blowing device, air conditione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US10718351B2 (en) Centrifugal blower,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refrigerating cycle apparatus
AU2015413794B2 (en) Fan, outdoo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CN102536907A (zh) 用于空调的鼓风机
EP3018362B1 (en) Air blower and outdoor unit
US20160305448A1 (en) Cooling fan module and system
US20150354584A1 (en) Centrifugal fan
WO2015125486A1 (ja) 送風装置
EP3896290B1 (en)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JP2016166558A (ja) 送風機
US11209011B2 (en) Air conditioner
CN102313319A (zh) 空调机
JP2006105156A (ja) 羽根車と、送風機と、冷蔵庫
JP6430032B2 (ja) 遠心ファン、空気調和装置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20180024047A (ko) 송풍장치용 팬 그릴 유닛
WO2022195717A1 (ja) スクロールケーシング、このスクロールケーシングを備えた送風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20170086313A (ko) 송풍장치용 안전 그릴유닛
EP1172241B1 (en) Vehicle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