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578B1 - 로드 캐리어 풋 - Google Patents

로드 캐리어 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578B1
KR102161578B1 KR1020197033384A KR20197033384A KR102161578B1 KR 102161578 B1 KR102161578 B1 KR 102161578B1 KR 1020197033384 A KR1020197033384 A KR 1020197033384A KR 20197033384 A KR20197033384 A KR 20197033384A KR 102161578 B1 KR102161578 B1 KR 102161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arrier
holder
foot
bracket
carri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126A (ko
Inventor
스테판 안데르손
프레드릭 라르손
Original Assignee
툴레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17208327.1A external-priority patent/EP3501903B1/en
Priority claimed from DE202018105171.7U external-priority patent/DE202018105171U1/de
Application filed by 툴레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툴레 스웨덴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90131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Carriers characterised by wind defl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 상에 로드 바아를 지지하기 위한 로드 캐리어 풋(2), 로드 캐리어 풋(2)을 차량에 결합하기 위한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 및 그러한 로드 캐리어 풋(2)과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을 포함하는 로드 캐리어가 개시되어 있다. 로드 캐리어 풋(2)은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홀더를 포함한다. 홀더는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 공간을 획정하는 슬리브 부분(6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로드 캐리어 풋
본 발명은 차량 상에 로드 바아(load bar)를 지지하기 위한 로드 캐리어 풋(load carrier foot), 로드 캐리어 풋을 차량에 결합시키기 위한 로드 캐리어 브래킷(load carrier bracket), 및 로드 캐리어 풋과 로드 캐리어 브래킷을 포함하는 로드 캐리어(load carrier)에 관한 것이다.
로드 캐리어 풋은 많은 로드 캐리어 시스템의 필수 부품이다. 특히, 로드 캐리어 풋은 로드 바아가 차량의 루프에 고정되는 로드 캐리어 시스템의 고유의 구성요소이다.
로드 캐리어 풋을 고정시키기 위한 루프 레일링(roof railing)을 포함하지 않는 차량에 사용되도록 특별히 설계된 로드 캐리어 풋이 존재한다. 그러한 로드 캐리어 풋은 통상적으로 차체의 일부를 파지할 수 있는 고정 브래킷에 의해 차량에 결합된다. 각각의 로드 캐리어 풋은 고정 브래킷을 조여서 로드 캐리어 풋을 차량 루프에 클램핑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의 치수가 다양하므로, 로드 캐리어 시스템은 상이한 차량 치수에 맞게 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문제는 차량 루프 상에서 로드 캐리어 풋의 위치가 차량마다 다르다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이한 로드 캐리어 브래킷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로드 캐리어 풋을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방식으로, 로드 캐리어 풋의 대부분의 구성요소를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 상이한 차량 유형을 위한 로드 캐리어 브래킷을 제조할 수 있다. 로드 캐리어 브래킷은 높은 힘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하며 로드 캐리어 풋에 확실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그러나, 로드 캐리어 브래킷을 공지된 로드 캐리어 풋과 결합하는 것은 흔히 번거로운 일이다. 로드 캐리어 풋은 로드 캐리어 브래킷 상에 높은 힘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개선된 로드 캐리어 풋 및 개선된 로드 캐리어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목적은 독립 청구항 1에 따른 로드 캐리어 풋, 청구항 11에 따른 및/또는 다음의 요약에 따른 로드 캐리어 브래킷에 의해 해결된다. 유리한 추가 구성이 종속 청구항의 주제인데, 특정한 추가 수정은 다음의 요약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차량 상에 로드 바아를 지지하기 위한 로드 캐리어 풋이 제공된다. 로드 캐리어 풋은 로드 캐리어 풋을 차량에 결합하기 위한 로드 캐리어 브래킷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홀더를 포함한다. 홀더는 로드 캐리어 브래킷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 공간을 획정하는 슬리브 부분을 포함한다.
슬리브 부분은 시스템에 작용하는 힘을 더 잘 견디는 3D 구조를 생성한다. 홀더가 슬리브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브래킷의 전체 강도가 개선된다. 따라서, 홀더는 더 큰 힘을 견딜 수 있다. 따라서, 홀더는 로드 캐리어 브래킷과 같은 다른 요소에 더 큰 힘을 전달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홀더를 통해 로드 캐리어 브래킷을 조이는 데에 필요한 모든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슬리브 부분은 박스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외부 벽, 내부 벽 및 2개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슬리브 부분은 금속 시트를 벤딩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벤딩된 금속 시트의 2개의 접합 섹션이 중첩되는 중첩 섹션을 포함한다. 중첩 섹션은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슬리브 부분을 일체로 형성하고 및/또는 중첩 섹션을 제공함으로써, 홀더의 강도가 더 증가된다.
바람직하게는, 접합 섹션은 적어도 2개의 접합 부분에서 재료 성형, 바람직하게는 클린칭(clinching) 또는 톡싱(torxing)에 의해 접합된다.
적어도 2개의 접합 부분을 형성하는 재료를 통해 접합 섹션을 접합함으로써, 홀더의 강도가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사용하지 않고 증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용 공간이 홀더의 상부 부분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슬리브 부분이 형성된다. 바꿔 말해서, 슬리브 부분은 넓은 하부 단부 및 좁은 상부 단부를 포함하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은, 슬리브 부분의 삽입측에서 더 넓은 부분이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삽입이 단순화되는 이점을 갖는다. 더욱이, 그러한 구성은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피봇 운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중첩 섹션은 슬리브 부분의 외부 벽을 획정한다. 슬리브 부분은 내부 벽 및 2개의 측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퍼형 수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측벽이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슬리브 부분의 외부 벽은 슬리브 부분의 다른 벽과 비교하여 더 높은 강도를 포함하여, 외부 벽에게 로드 캐리어 브래킷 상에 힘 전달을 할 자격을 추가로 부여한다.
바람직하게는, 슬리브 부분은 내부 벽에 형성된 결합 부분을 포함한다. 결합 부분은 결합 부분에 미는 힘을 인가하기 위한 조임 부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수용 리세스로서 형성될 수 있다. 수용 리세스는 지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표면은 만곡된 표면일 수 있다. 더욱이, 수용 리세스는 조임 부재의 일부를 내부 벽을 통해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 부분의 내부 벽에 결합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슬리브 부분 및 이에 따라 홀더를 조임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슬리브 부분의 내부 벽에 힘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으로, 조임 부재로부터 받은 조임력이 로드 캐리어 브래킷이 아닌 슬리브 부분에 직접 인가된다. 바꿔 말해서, 홀더에 의해서만 로드 캐리어 브래킷에 조임력이 인가될 수 있다. 조임 부재는 로드 캐리어 브래킷 상에 직접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브래킷은 조임 부재를 적절히 지지하게 하도록 특별히 형성된 지지 섹션 또는 시트 섹션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지지 표면은 조임 부재를 직접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간 부재를 사용하여 지지 표면 상에 조임 부재를 간접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리브 부분은 슬리브 부분의 상부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하는 상부 에지 부분을 갖는다. 상부 에지 부분은 로드 캐리어 브래킷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드 캐리어 브래킷과 맞물리도록 상부 에지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맞물림 수단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에지 부분은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부 에지 부분을 볼록하게 형성하면 그 상부에 후크 결합된 로드 캐리어 브래킷이 조임 프로세스 동안 상부 에지 부분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더욱이, 로드 캐리어 브래킷이 슬리브 부분에서 약간 비스듬하게 배향된 경우, 상부 에지 부분을 통해 로드 캐리어 브래킷 상에 조임력이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로드 캐리어 풋은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맞물림 섹션 상에 상부 에지 부분을 향해 미는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한다. 가압 부재는 스프링 요소일 수 있다. 가압 부재는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압 부재의 존재는, 로드 캐리어 브래킷이 상부 에지 부분에 자동으로 스냅 체결되어 로드 캐리어 브래킷이 상부 에지 부분 상에 확실하게 후크 결합되는 구성을 초래한다. 더욱이, 가압 부재는, 사용자가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로드 캐리어 브래킷을 이동시키는 힘을 로드 캐리어 브래킷에 인가하지 않는 한 로드 캐리어 브래킷이 상부 에지 부분 상에 확실하게 후크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는 고정 디바이스로서 작용한다. 수용 공간에 브래킷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 부재는 언로딩될 수 있거나 미리 예인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브래킷 홀더는 슬리브 부분의 하부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하는 하부 에지 부분을 포함한다. 하부 에지 부분은 로드 캐리어 브래킷과 접촉하고 로드 캐리어 브래킷 상에 미는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홀더의 슬리브 형상으로 인해, 홀더의 하부 에지 부분을 통해 더 큰 힘이 전달될 수 있다.
로드 캐리어 풋은 로드 바아를 지지하도록 특별히 설계될 수 있다. 로드 캐리어 풋은 로드 캐리어 풋의 후방 커버, 즉 로드 캐리어 풋이 차량에 장착될 때, 차량측에 배치되거나 차량 중심을 향하는 커버일 수 있는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 캐리어 풋은 차량 루프와 접촉하고 차량 루프 상으로 하중을 전달하기 위한 풋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 예를 들어 후방 커버는 풋 패드 상에 이동 가능하게, 예를 들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지지 부재의 하부 부분은 풋 패드의 상부면 상에 지지되도록 특별히 설계될 수 있다. 더욱이, 지지 부재는 그 위에 로드 바아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꿔 말해서, 지지 부재의 상부 부분은 그 위에 로드 바아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 또는 후방 커버는 로드 바아로부터 받은 하중을 풋 패드 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로드 바아에 의해 로드 캐리어 풋 상에 인가된 수직력의 대부분은 지지 부재에 의해 풋 패드로 직접 전달된다. 그 구성은 풋 패드만이 지지 부재, 예를 들어 후방 커버로부터 힘을 받도록 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로드 캐리어 풋을 차량에 결합하기 위한 로드 캐리어 브래킷이 제공된다. 로드 캐리어 브래킷은 차량 맞물림 섹션 및 홈 형상 결합 부분을 포함한다. 홈 형상 결합 부분은 차량 맞물림 섹션으로부터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로드 캐리어 풋의 홀더와 맞물릴 수 있는 홀더 맞물림 부분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로드 캐리어 브래킷을 3차원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강성 및 강도가 증가된다.
바람직하게는, 홈 형상 결합 부분은 홀더 맞물림 부분이 좁은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깔때기형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홈 형상 결합 부분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로드 캐리어 풋의 홀더로부터 힘을 받도록 구성된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연속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홈 형상 결합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예를 들어 전술한 홀더의 하부 에지에 의해 결합 부분의 외부에 더 큰 힘을 인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홈 형상 결합 부분은 실질적으로 브래킷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홈 형상 결합 부분은 박스형 형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홈 형상 결합 부분은 2개의 측벽 및 측벽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치된 바닥 벽을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구성으로,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강성 및 강도가 훨씬 더 개선된다.
바람직하게는, 홀더 맞물림 섹션은 로드 캐리어 브래킷이 홀더 상에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홀더 맞물림 섹션은 2개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로드 캐리어 풋 및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로드 캐리어 브래킷을 포함하는 로드 캐리어가 개시된다. 로드 캐리어 브래킷은 수용 공간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홀더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로드 캐리어 풋은 홀더의 내부 벽과 로드 캐리어 브래킷 사이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 조임 부재 작동부를 갖는 조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및 로드 캐리어 브래킷은 조임 부재 작동부에 대해 공구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 캐리어는 로드 캐리어 풋에 결합된 로드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 캐리어 풋은 앞서 설명한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앞서 설명한 로드 캐리어 브래킷은 홀더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로드 캐리어 풋은 로드 캐리어가 장착될 때 차량의 루프와 접촉하는 풋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는 로드 캐리어 풋의 조임 메커니즘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임 메커니즘은 조임 부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조임 메커니즘은 홀더의 이동을 실행하고 조임 부재가 작동될 때 로드 바아를 로드 캐리어 풋에 확실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로킹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킹 메커니즘은 후방 커버의 일부일 수 있는 로드 캐리어 풋의 지지부 상에 로드 바아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는 로드 캐리어 풋의 후방 커버의 일체형 부분일 수 있다. 후방 커버는 또한 로드 바아를 그 위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지지부는 후방 커버에 형성된 지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 커버는 로드 바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로서 작용할 수 있다. 바꿔 말해서, 로드 바아는 후방 커버의 상부 부분 상에 지지될 수 있다. 후방 커버는 풋 패드 상에 지지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후방 커버는 풋 패드와 맞물리는 결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풋 패드는 차량 루프와 접촉하고 차량 루프 상으로 하중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방 커버는 풋 패드 상에 이동 가능하게, 예를 들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후방 커버의 하부 부분은 풋 패드의 상부면 상에 지지되도록 특별히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후방 커버는 로드 바아로부터 받은 하중을 풋 패드 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로드 바아 상에 지지된 하중에 의해 로드 캐리어 풋 상에 인가된 수직력의 대부분은 후방 커버에 의해 풋 패드로 직접 전달된다. 그 구성은 풋 패드만이 후방 커버로부터 힘을 받도록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 장치를 구비한 루프 랙 풋(roof rack foot)에 관한 것이다. 루프 랙 풋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로드 캐리어 풋일 수 있다. 루프 랙의 프로파일 요소, 예를 들어 크로스 바아는 루프 랙 풋을 통해 차량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프 랙의 프로파일 요소는 차량의 루프 또는 차량의 적재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루프 랙 풋은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부분은 루프 레일 또는 그 사이의 차량의 루프에 연결된 임의의 다른 요소를 클램핑하기 위해 조절 장치를 통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클램핑 부분에 의해 발생된 클램핑력은 조절 장치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조절 장치는 숫나사부를 갖는 볼트를 포함한다. 숫나사부는 볼트의 섹션을 따라 또는 전체 볼트 길이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볼트의 원주방향으로, 숫나사부는 단지 섹션을 따라 또는 전체 볼트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숫나사부는 임의의 유형의 나사산, 예를 들어 왼손 또는 오른손 나사산 및/또는 메트릭 및/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나사산 - 사다리꼴 및/또는 플랫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음 - 일 수 있다.
또한, 루프 랙 풋의 조절 장치는 배럴 너트를 포함하고, 배럴 너트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너트, 즉 원형 단면을 갖는 너트로서 형성된다. 배럴 너트는 바람직하게 대칭축을 나타내는 배럴축을 포함한다. 원형 단면 이외에, 배럴 너트가 다각형 및/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배럴 너트는 나사식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이 나사식 관통 구멍은 배럴축에 대해 경사져 있고, 바람직하게는 배럴축에 수직이다. 나사식 관통 구멍은 배럴축을 따라 배럴 너트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나사식 관통 구멍은 배럴 너트를 통해 완전히 연장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배럴 너트의 배럴축과 교차한다. 나사식 관통 구멍의 암나사부는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지만 볼트의 숫나사부에 맞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볼트와 배럴 너트는 배럴 너트가 나사식 관통 구멍을 통해 볼트의 숫나사부 상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정합된다. 볼트를 배럴 너트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볼트와 배럴 너트는 병진 운동으로 서로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루프 랙 풋의 조절 장치는 볼트와 배럴 너트 사이의 나사 결합의 느슨화(loosening)를 방지하기 위한 로킹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로킹 메커니즘은 그러한 느슨화를 완전히 방지하거나 또는 그러한 느슨화를 단순히 약화시키거나 느리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뢰성이 높은 루프 랙 풋을 제공한다. 로킹 메커니즘을 통해, 루프 랙 풋을 차량 루프에 클램핑하는 데에 사용되는 클램핑 장치의 느슨화가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이는 의도된 작동 중에 루프 랙 풋이 빈번하게 노출되는 진동에서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메커니즘은 나사식 관통 구멍으로 연장되는 배럴 너트의 보어를 포함한다. 보어는, 보어와 나사식 관통 구멍 사이에 공간 연결이 형성되도록 나사식 관통 구멍 상에 직접 맞닿는다. 특히, 보어는 배럴축을 따라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어는 나사식 관통 구멍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나사 결합의 느슨화를 방지하기 위한 로킹 요소가 보어 내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로킹 요소는 스프링 요소를 통해 나사식 관통 구멍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루프 랙 풋의 경우, 안전 메커니즘을 제공하기 위해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로킹 메커니즘은 기존 구성요소를 적응시킴으로써 제공된다. 이는 루프 랙 풋의 총 부품 수를 감소시킨다. 더욱이, 플라스틱 등과 같은 마모되기 쉬운 재료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로킹 메커니즘은 마모가 적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어는 로킹 요소 및/또는 스프링이 보어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식 관통 구멍의 반대쪽 단부에서 클린칭에 의해 좁아진다. 클린칭에 의해, 보어의 직경은 단지 감소되거나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클린칭에 의해, 로킹 요소는 특히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배럴 너트에 일체화될 수 있다. 클린칭은 루프 랙 풋의 조절 장치를 쉽게 제조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요소는 볼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로킹 요소의 다른 설계가 또한 이와 관련하여 고려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보어는 협폭부를 가질 수 있고, 보어의 직경은, 예를 들어 보어축을 따라 선형으로 감소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계단형 협폭 및/또는 연속적인 비선형 협폭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폭부는 원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협폭부는 로킹 요소에 맞게 구성된 형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로킹 요소가 볼인 경우, 협폭부는 볼의 단면에 맞게 구성된 원형 세그먼트 형태의 협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협폭부는 나사식 관통 구멍에 인접하여, 바람직하게는 바로 인접하여 형성된다. 협폭부는 볼이 보어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볼이 나사식 관통 구멍 내로 공간적으로 침투하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나사 결합의 느슨화를 방지하기 위한 로킹 메커니즘이 특히 간단하고, 신뢰성 있으며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메커니즘은 볼트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한다. 오목부는 홈 또는 노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임의의 다른 유형의 오목부, 예를 들어 슬롯 및/또는 원형 리세스가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오목부는 볼트의 축을 따라 연장되는 홈이다. 홈은 볼트의 전체 길이를 따라 또는 볼트의 일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볼트는 2개 또는 3개의 그러한 홈들을 원주방향으로 포함하고, 홈들은 원주방향으로 등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로킹 메커니즘은 이 실시예에서 로킹 요소와 오목부와의 맞물림에 의해 나사 결합의 느슨화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앞서 설명한 나사 결합의 형상-끼워맞춤 로킹이 낮은 마모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설명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루프 랙 풋을 갖는 루프 랙에 관한 것이다. 개별 특징의 이해 및 장점과 관련하여, 루프 랙 풋과 관련한 상기 설명을 참조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숫나사부를 갖는 볼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볼트는 바람직하게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루프 랙 풋의 조절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볼트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볼트의 옆면으로 프레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방법은 원주방향으로 등거리로 이격된 2개 또는 3개의 홈을 옆면으로 프레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이, 방법은 볼트의 옆면으로 숫나사부를 절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숫나사부의 절삭은 홈의 프레싱 후에 이루어진다. 개별 특징의 이해 및 장점과 관련하여, 루프 랙 풋과 관련한 상기 설명을 참조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배럴 너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배럴 너트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루프 랙 풋의 조절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방법은 배럴 너트에 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배럴 너트는 나사식 관통 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보어는, 예를 들어 나사식 관통 구멍과 공간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나사식 관통 구멍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어는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방법은 배럴 너트와 보어의 나사식 볼트 사이의 나사 결합의 느슨화를 방지하도록 로킹 요소를 위치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볼 및/또는 볼을 편향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보어 내에 위치 설정된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른 로킹 요소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방법은 보어로부터 로킹 요소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린칭에 의해 단부에서 보어의 직경을 좁게 만드는 단계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어의 직경은 감소되거나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직경을 좁히는 단계는 보어를 형성한 후 및 로킹 요소를 보어 내에 위치 설정한 후에 발생한다. 개별 특징 및 그 장점에 대한 이해와 관련하여, 루프 랙 풋과 관련한 상기 설명을 참조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 캐리어 풋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로드 캐리어 풋의 조립체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홀더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3의 홀더의 사시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5의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사시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홀더 및 로드 캐리어 브래킷을 포함하는 조립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의 조립체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홀더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로드 바아에 장착되고 로드 캐리어 브래킷을 포함하는 로드 캐리어 풋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홀더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로드 바아를 지지하는 로드 캐리어 풋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상부 부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의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7의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도 19의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도 21의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도 23의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6은 도 25의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도 27의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9 내지 도 32는 로드 캐리어 브래킷 및 홀더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랙 풋을 사시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루프 랙 풋의 조절 장치를 사시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35는 도 34의 조절 장치의 배럴 너트를 사시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36은 도 35의 배럴 너트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37은 도 36의 배럴 너트를 종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38은 도 36의 배럴 너트를 사시 종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39는 도 34의 조절 장치의 볼트를 사시 상세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40은 선 A-A를 따른 도 39의 볼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됨을 유념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 캐리어 풋(2)을 포함하는 조립체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로드 바아(300)는 로드 캐리어 풋(2)의 상부 부분 상에 지지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로드 바아(300)의 외부 표면(302)이 로드 캐리어 풋(2)의 상부 부분 상에 지지된다. 더욱이, 로드 캐리어 풋(2)에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이 삽입되어 고정 유지된다. 로드 캐리어 풋(2)은 풋 패드(3)를 더 포함한다. 풋 패드(3)는 차량의 루프 상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캐리어 풋(2)은 로드 캐리어 풋(2)의 내부 메커니즘을 덮는 전방 커버(5) 및 후방 커버(4)를 포함한다.
도 2는 홀더(6), 홀더(6)에 삽입되어 홀더와 결합되는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에 미는 힘을 가하기 위한 가압 부재(640), 및 작동부(81)가 홀더(6)에 힘 전달식으로 결합되는 조임 부재(8)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도시한다.
홀더(6)의 구성은 도 3,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더 설명될 것이다. 홀더(6)는 홀더(6)의 하부 부분(67)에 형성된 슬리브 부분(600)을 포함한다. 슬리브 부분(600)은 박스형 형상을 포함하고, 외부 벽(602), 내부 벽(603) 및 내부 벽(603)을 외부 벽(602)과 연결하는 2개의 측벽(605)을 포함한다.
홀더(6)는 금속 시트를 설명된 형상으로 벤딩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다. 외부 벽(602)은 금속 시트의 2개의 접합 섹션(612, 614)에 의해 형성된 중첩 섹션(601)에 의해 획정된다. 접합 섹션(612, 614)은 서로 평행하고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접합 섹션(612, 614)은 함께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서로 결합된다. 본 경우에, 접합 섹션(612, 614)은 4개의 접합 부분(604)에서 함께 클린칭된다. 따라서, 외부 벽(602)은 서로 접합된 2개의 시트 금속 층을 사용하여 보강된다. 도 9 및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첩 플랜지로도 지칭될 수 있는 접합 섹션(612, 614)은 홀더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이는 또한 도 13에도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또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 부분은 도 2의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630)을 둘러싸는 완전히 폐쇄된 형상을 갖는다.
슬리브 부분(600)은 길이방향 양 측면에서 개방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슬리브 부분(600)은 하부 개구(622) 및 상부 개구(615)를 포함한다. 하부 개구(622)는 본 경우에 외부 벽(602)의 하부 에지인 하부 에지 부분(621)에 의해 부분적으로 획정된다. 하부 에지 부분(621)은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이 홀더(6)로부터의 힘을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 상에 전달하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힘 인가 섹션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홀더(6)는 앞서 설명한 슬리브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홀더(6)는 하부 에지 부분(621)에 의해 더 큰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더 큰 힘을 견딜 수 있다.
슬리브 부분(600)의 상부 개구(615)는 상부 에지 부분(619)에 의해 부분적으로 획정된다. 상부 에지 부분(619)은 내부 벽(603)의 상부 에지에 대응하고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부 에지 부분(619)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홀더(6)의 상부 방향으로 향하는 만곡된 지지 표면(620)을 포함한다.
도면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벽(602)은 로드 캐리어 풋(2)의 전방측으로부터 수용 공간(630)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개구(650)를 포함한다. 이 액세스 개구(650)는 조임 부재(8)를 작동시키기 위한 공구가 수용 공간(630)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더욱이, 홀더(6)는 결합 부분(64)을 포함하는 상부 부분(63)을 포함한다. 결합 부분(64)은 내부에 피봇 핀(610)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613)를 각각 갖는 2개의 아암(611)을 포함한다. 피봇 핀(610)은 도 12에 도시되고 피봇축(P)을 획정한다. 바꿔 말해서, 피봇축(P)은 개구(613)의 중심을 통해 연장된다. 따라서, 홀더(6)는 피봇축(P)을 중심으로 피봇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홀더(6)를 피봇시킴으로써, 홀더(6) 내에 삽입된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조여질 수 있다.
홀더(6)는 조임 부재(8)를 지지하기 위한 결합 섹션(61)을 포함한다. 조임 부재(8)는 조임 부재의 작동 시에 결합 부분(61)에 미는 힘을 전달하는 요소이다. 결합 부분(61)은 내부 벽(603)에 형성된 수용 리세스(607)를 포함한다. 수용 리세스(607)는 구형으로 형성된 지지 표면(608)을 포함한다.
지지 표면(608)에는 조임 부재의 일부가 내부 벽(603)을 통과하게 하는 개구(609)가 제공된다. 여기서, 개구는 슬리브 부분(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 개구이다. 세장형 개구는 조임 부재가 하부 개구(622)를 통해 삽입하게 하는 연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조임 부재(8)가 삽입되는 액세스 개구보다 작은 액세스 개구(65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슬리브 부분(600)의 강성을 개선시킨다.
따라서, 조임 부재(8)의 단부 부분을 지지 표면(608) 상에 지지하고 다른 단부를 다른 요소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조임 부재(8)는 당기는 힘 전달 요소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조임 부재(8)는 작동부(81)를 갖는 샤프트 너트이다.
도 2 및 도 12로부터 수집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부(81)는 앞서 설명한 액세스 개구(650)를 통해 도달될 수 있는 육각형 소켓 형태의 맞물림 섹션을 포함한다. 지지 표면(608)은 조임 부재(8)를 직접 지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설명된 구성에서, 중간 부재(642)(도 2, 도 11 및 도 12 참조)가 지지 표면(608) 상에 제공되고 조임 부재(8)는 중간 부재(642) 상에 지지된다. 중간 부재(642)는 조임 부재(8)가 보다 적절하게 지지되도록 개구(609)의 상부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중간 부재(642)는 보다 연성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 구성에서, 중간 부재(642)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압 부재(640)가 제공된다. 가압 부재(640)는 수용 공간(630)에 수용되는 탄성 요소이다. 도 11에 도시된 구성에서, 가압 부재(64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크형 형상을 포함한다. 가압 부재(640)는 외부 벽측으로부터 내부 벽측을 향해 수용 공간(630) 내로 돌출하는 접촉 섹션(644) 및 외부 벽의 내부측 상에, 보다 정확하게는 내부 접합 섹션(614)에 형성된 리세스 내에 수용되는 지지 섹션(646)을 포함한다. 도 11에서, 가압 부재(640)는 언로딩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접촉 섹션은 실질적으로 직선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압 부재(640)는 로드 캐리어 브래킷을 내부 벽(603)을 향해 가압하기 위해 삽입된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 상에 가압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가압 부재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 부재(64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6)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을 도 5,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은 차량 맞물림 섹션(720) 및 홈 형상 결합 부분(730)을 포함한다. 차량 맞물림 섹션(720)은 차체의 일부를 확실하게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바꿔 말하면, 차량 맞물림 부분(720)은 특정 차체에 끼워지도록 특별히 설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맞물림 섹션(720)은 일단부에서 홈 형상 결합 부분(730)에 결합되는 벤딩된 또는 경사진 부분이다. 다른 단부에서, 차량 맞물림 섹션(720)은 홈 형상 결합 부분(730)의 길이방향 연장 방향에 대해 경사진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자유 단부(724)를 포함한다. 자유 단부(724)에는, 로드 캐리어 풋이 차량 루프 상에 클램핑될 때, 차체에 대해 압박되는 접촉 표면(722)이 제공된다. 차량 맞물림 섹션(720)은, 자유 단부(724)가 차량 상에 제공된 적절한 공간, 예를 들어 폐쇄된 차량 도어와 차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홈 형상 결합 부분(730)은 차량 맞물림 섹션(720)으로부터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더욱이, 홈 형상 결합 부분(730)은 로드 캐리어 풋(2)의 홀더(6)와 맞물릴 수 있는 홀더 맞물림 부분(710)을 포함한다. 홈 형상 결합 부분(730)은 깔때기형이고, 홀더 맞물림 부분(710)은 홈 형상 결합 부분(730)의 좁은 단부에 형성된다.
게다가, 홈 형상 결합 부분(730)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로드 캐리어 풋(2)의 홀더(6)로부터 힘을 받도록 구성된 외부 표면(702)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맥락에서, 연속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로드 캐리어 브래킷에 연속적인 융기를 제공하도록 연속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벽 부분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더욱이, 연속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길이방향 섹션의 코스가 단지 한 방향으로 만곡되고 반대 방향으로 임의의 곡률을 포함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만곡은 엄격한 의미로 모든 섹션이 만곡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된 섹션(705)에 의해 연결되어 전체 만곡된 형상을 초래하는 실질적으로 직선형 섹션(704, 706)이 제공될 수 있다.
로드 캐리어 브래킷은 적어도 단면이 중간 평면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드 캐리어 브래킷은 상이한 유형의 차량에 끼워져야 하기 때문에, 차량의 차체에 따라 차량 맞물림 섹션(720)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하부 부분(703)은 차체 유형에 대응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로드 캐리어 풋(700)의 구성은 적어도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고정 및 맞물림과 관련하여 상이한 차량에 대해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홀더(6) 내에 삽입되는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상부 부분(701)은 항상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제로,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단면 방향 형성, 즉 상부 부분(701)과 하부 부분(703)의 개별 형성은 상부 부분(701)을 형성하는 데에 하나의 동일한 공구를 사용하게 하기 때문에 비용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방식으로, 각각의 특정한 더 작은 공구만이 하부 부분(703)를 형성하기 위해 제공되면 된다.
홈 형상 결합 부분(730)은 실질적으로 브래킷(70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며 중단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단일의 홈 형상 결합 부분만이 제공된다. 더욱이, 홈 형상 결합 부분(730)은 박스형 형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홈 형상 결합 부분(730)은 2개의 측벽(714) 및 측벽(714)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 바닥 벽(716)을 포함한다. 바닥 벽(716) 및, 결과적으로, 외부 표면(702)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체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에 볼록한 형상을 제공한다. 바꿔 말하면, 홈 형상 결합 부분(730)은 한 방향으로만 융기를 제공한다. 융기는 차량 맞물림 섹션(720)의 자유 단부(724)가 제공되는 측과 반대되는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측에 제공된다. 도시된 구성에서, 바닥 벽(716)은 전체 구성이 한 방향으로만 만곡되도록 2개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섹션(704, 706) 사이에 배치된 만곡된 섹션(705)을 포함한다. 바꿔 말하면, 바닥 벽(716)은 반대 방향으로 만곡된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홀더 맞물림 섹션(710)은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이 홀더(6) 상에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구성에서, 홀더 맞물림 섹션(710)은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측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된 2개의 후크(712)를 포함한다. 후크(712)는 홀더(6)의 슬리브 부분(600)의 상부 에지 부분(619)과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차량 맞물림 섹션(720)의 후크(712) 및 자유 단부(724)는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동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돌출부로 지칭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이 로드 캐리어 풋(2) 내에 삽입되고 로드 캐리어 풋(2)이 차량 상에 장착될 때, 후크(712) 및 자유 단부(724)는 차량을 향해 돌출된다. 바꿔 말하면,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은 후크(712)가 홀더의 내부 벽(603)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홀더(6) 내에 삽입된다.
앞서 설명한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이 홀더(6) 내에 삽입되어 있는 조립체가 도 2, 도 9, 도 10, 도 12 및 도 29 내지 도 32에 도시되어 있다.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은 아래쪽으로부터 홀더(6) 내에 삽입된다.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상부 부분(701)은 하부 개구(622)를 통해 홀더 맞물림 부분(710)이 상부 개구(615)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위치까지 슬리브 부분(600) 내에 삽입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은, 후크(712)가 상부 에지 부분(619)의 지지 표면(620)과 접촉될 수 있도록 후크(712)가 상부 에지 부분(619) 위에 위치되는 위치로 가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홀더(6)는 가압 부재(640)를 포함한다. 브래킷을 삽입할 때, 가압 부재(640)는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상부 부분(701)과 접촉하고 홀더 맞물림 부분(710)을 내향으로, 즉 상부 에지 부분(619)을 향해 밀어서, 후크(712)는 상부 에지 부분(619)과 맞물리는 위치로 가게 되고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로드 캐리어 브래킷은 상부 에지 부분(619) 상에 확실하게 유지되고 홀더 맞물림 부분(710)이 가압 부재(640)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되도록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이 이동될 때에만 제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에지 부분(619)은 볼록하게 만곡되고 후크(712)는 서로에 대해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따라서,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은 2개의 상이한 지점에서 상부 에지 부분 상에 지지된다. 상부 에지 부분은 홀더 맞물림 섹션(710)의 폭보다 넓어서 후크가 표면(620) 상에서 활주할 수 있는 구성을 초래한다. 다시 말해서,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상부 부분(701)은 로드 캐리어 브래킷이 상부 에지 부분(619) 상에 힌지식으로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표면(620)의 곡률 중심을 중심으로 한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피봇 운동을 허용한다. 이 방식으로, 로드 캐리어 브래킷은 홀더(6)를 이동시켜 조여질 때 차체의 형상에 따라 브래킷 자신을 배향시킬 수 있다.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이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홀더(6)와 맞물리자 마자, 홀더(6)는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을 조이기 위해 도 3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축(P)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홀더(6)의 회전은 홀더(6)의 내부 벽(603) 상에 지지되는 조임 부재(8)의 작동에 의해 실행된다. 홀더(6)를 이동시킴으로써,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이 홀더(6)와 차체 사이에 클램핑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조임 부재가 조여질 때 홀더(6)의 하부 에지 부분(621)은 차량을 향해 이동되고, 이는 하부 에지 부분(621)이 만곡된 섹션(705) 바로 위에서 외부 표면(702)과 접촉하여 로드 캐리어 브래킷을 차량을 향해 밀도록 하부 에지 부분(621)이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외부 표면(702)과 접촉하는 상태를 초래한다.
더욱이, 홀더(6)는 조임 프로세스 동안 피봇축(P)이 또한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유지된다.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이 홀더의 상부 에지 부분(619) 상에 지지되기 때문에, 상향 방향으로 홀더의 이동은 로드 캐리어 브래킷을 상향 방향으로 당기고, 이에 따라 접촉 표면(722)이 상향으로 이동되어 차체와 견고하게 접촉하게 된다. 홀더의 형상 및 브래킷의 형상으로 인해, 더 큰 클램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은 액세스 개구(750)를 포함한다. 액세스 개구(750)는,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이 홀더(6)에 후크 결합될 때, 액세스 개구(750)가 홀더(6)의 액세스 개구(650)와 정렬되도록 제공된다. 양쪽 개구가 정렬되기 때문에, 개구를 통해 공구를 통과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조임 부재(8)의 작동부(81)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조임 부재를 홀더(6)의 내부 벽(603) 상에 지지할 수 있다. 더욱이,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을 삽입하기 전에 조임 부재(8)를 홀더(6) 내에 삽입할 수 있다.
로드 캐리어 내에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 및 홀더(6)를 포함하는 상기 조립체의 가능한 사용이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로드 캐리어는 로드 캐리어 풋(2)에 결합된 로드 바아(300)를 포함한다. 로드 캐리어 풋(2)은 앞서 설명한 홀더(6)를 포함한다. 더욱이, 앞서 설명한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은 홀더(6) 내에 삽입된다. 로드 캐리어 풋(2)은 로드 캐리어가 장착될 때 차량의 루프와 접촉하게 되는 풋 패드(3)를 포함한다. 홀더(6)는 로드 캐리어 풋(2)의 조임 메커니즘(500)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임 메커니즘(500)은 조임 부재(8)에 의해 작동된다. 조임 메커니즘(500)은, 조임 부재(8)가 작동될 때, 피봇축(P)을 중심으로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홀더(6)의 이동을 실행하고 로킹 메커니즘(200)을 작동시켜 로드 바아(300)를 로드 캐리어 풋(2)에 확실히 로킹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조임 부재(8)는 조임 메커니즘(500)의 힘 분배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유지되는 핀(515)과 나사식으로 맞물린다. 힘 분배 부재는 2개의 인가 섹션 상에 입력 힘을 전달한다.
도 14는 로드 바아(300), 로드 바아(300)를 지지하는 로드 캐리어 풋(2) 및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을 포함하는 로드 캐리어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로드 캐리어 풋(2)은 로드 바아(300)를 로드 캐리어 풋(2) 상에 로킹하기 위한, 보다 정확하게는 로드 바아(300)를 후방 커버(4)의 일부인 로드 캐리어 풋(2)의 지지부(402) 상에 클램핑하기 위한 로킹 메커니즘(200)을 포함한다. 개시된 구성에서, 지지부(402)는 로드 캐리어 풋(2)의 후방 커버(4)의 일체형 부분이다. 후방 커버(4)는 또한 로드 바아를 위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400)로 지칭될 수 있다. 지지부(402)는 후방 커버(4)에 형성된 지지 표면(406)을 포함한다. 따라서, 후방 커버(4)는 로드 바아(3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로서 작용한다. 바꿔 말해서, 로드 바아(300)는 후방 커버(4)의 상부 부분 상에 지지된다. 후방 커버(4)는 풋 패드(3) 상에 지지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후방 커버(4)는 풋 패드(3)와 맞물리는 결합 부분(41)을 포함한다. 이 결합 부분은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풋 패드(3)는 차량 루프와 접촉하고 차량 루프 상에 하중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후방 커버는 풋 패드 상에 이동 가능하게, 예를 들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후방 커버의 하부 부분은 풋 패드(3)의 상부면 상에 지지되도록 특별히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후방 커버(4)는 로드 바아(300)로부터 받은 하중을 풋 패드(3) 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로드 바아(300)에 의해 로드 캐리어 풋(2) 상에 인가된 수직력의 대부분은 후방 커버에 의해 풋 패드(3)로 직접 전달된다. 그 구성은 풋 패드(3)만이 후방 커버로부터 힘을 받도록 된다.
로드 캐리어 브래킷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5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도 15는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상부 부분(70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 상부 부분(701)은 도 5,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형성되고 설명된 모든 추가의 실시예에서 동일하다. 도 15에서, 라인(L1)은 상부 부분(701)의 제1 특성을 나타낸다. 보다 정확하게는, 브래킷(700)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홀더 맞물림 섹션(710)으로부터 하부 부분(703)을 향해 넓어진다. 바꿔 말하면, 측벽(714)의 폭은 상부 부분(701)의 하부 단부를 나타내는 전술한 만곡된 섹션(705)을 향해 증가한다. 상부 부분(701)과 하부 부분(703) 사이의 경계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단부에 의해 형성되고,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상부 부분(701)의 정면도인 도 16의 라인(L2)으로 나타낸다. 측벽(714)은 홀더(6) 내에 형성된 수용 공간(630)에 끼워맞추기 위해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측벽(714)은,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이 앞서 설명한 홀더의 측벽의 경우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홀더 맞물림 섹션(710)으로부터 하부 부분(703)을 향해 넓어지도록 일정 각도로 배치된다. 측벽의 경사는 도 16에서 라인(L5 및 L8)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분(701)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고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길이방향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된 측벽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측벽 섹션은 홀더 맞물림 섹션(710)의 영역 및 상부 부분(701)의 반대측에서 상부 부분(701)의 하부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측벽 섹션의 연장은 라인(L3, L4, L6 및 L7)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하부 부분(703)은 모든 실시예에서 상이하다. 보다 정확하게는, 하부 부분(703)은 각각 상이한 차량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예시적인 형상, 즉 하부 부분(703)의 특정 형상이 도 17 내지 도 28에 도시되어 있다. 형상은 하부 부분(703)에서, 예를 들어 하부 부분(703)에 형성된 홈 형상 부분과 관련하여 그리고 차량 맞물림 섹션(720)과 관련하여 달라진다. 대부분의 형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일반적인 형상을 따르고 볼록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도 23에서, 만곡된 섹션(705)이 다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반대 방향으로 벤딩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랙 풋(2000)을 사시 측면도로 도시한다. 루프 랙 풋(2000)에 의해, 루프 랙의 프로파일 요소, 예를 들어 크로스 바아가 차량의 루프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루프 랙 풋(2000)은 조인트/힌지(2003)를 통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클램핑 요소(2001) 및 제2 클램핑 요소(200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루프 상에 제공된 루프 레일링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요소가 클램핑 요소(2001, 2002)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다. 상부면 상에서, 루프 랙 풋(2000), 본 실시예에서 특히 제2 클램핑 요소(2002)는 프로파일 요소, 예를 들어 크로스 바아가 위에 위치될 수 있는 지지 표면(2004)을 형성한다. 체결 요소(2005)에 의해, 프로파일 요소는 루프 랙 풋(2000)의 지지 표면(2004)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제1 클램핑 요소(2001) 및 제2 클램핑 요소(2002)는 조절 장치(1000)를 통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조절 장치(1000)를 구동시킴으로써, 클램핑 요소(2001, 2002)를 통해 루프 레일링과 같은 차량 루프에 고정된 요소에 클램핑력이 인가될 수 있다. 작동 중에 강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클램핑력이 유지되어야 한다면, 조절 장치가 느슨해지거나 해제되는 것 및 클램핑 요소(2001, 2002)가, 클램핑력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멀어지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도 34는 도 1의 조절 장치(1000)를 사시 측면도로 도시한다. 조절 장치(1000)는 배럴 너트(1002) 및 볼트(1003)를 포함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 너트(1002)는 제2 클램핑 요소(2002)의 개구(2006)에 제공된다. 다른 한편으로, 조절 장치(1000)의 볼트(1003)는 제1 클램핑 요소(2001)의 슬롯(2007)을 통해 돌출되고, 제2 클램핑 요소(2002)의 반대쪽에 있는 제1 클램핑 요소(2001)측에 후술되는 헤드(1021)를 갖게 배치된다. 볼트(1003)는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 너트(1002)에 나사 결합된다. 볼트(1003)를 배럴 너트(1002) 내로 더 조임으로써, 클램핑 요소(2001, 2002)는 조인트(2003)를 통해 서로를 향해 더 피봇되어 클램핑 동작을 개시하고 클램핑력을 각각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볼트(1003)가 배럴 너트(1002)로부터 풀리면, 클램핑 요소(2001, 2002)가 서로 분리될 수 있고 클램핑력이 감소될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 너트(1002)는 원형 단면을 포함하고, 배럴 너트의 길이는 배럴 너트(1002)의 직경의 1.5배 초과, 바람직하게는 1.7배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8배일 수 있다. 배럴 너트(1002)는 옆면(1004) 뿐만 아니라 제1 측면(1005) 및 제2 측면(100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럴 너트(1002) 및 이에 따라 옆면(1004)은 일정한 직경을 갖게 형성되고, 측면(1005 및 1006)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배럴 너트(1002)는 원통형 너트로서 설계된다. 또한, 배럴 너트(1002)는 배럴축(F)을 포함하며, 이는 본 실시예에서 배럴 너트(1002)의 대칭축이다. 대칭축은 도 36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배럴 너트(1002)는 본 경우에 배럴축(F)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나사식 관통 구멍(1007)을 포함한다. 나사식 관통 구멍(1007)은 그 중심축이 배럴축(F)과 교차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구성된다. 나사식 관통 구멍(1007)은, 본 실시예에서, 측면(1005 및 1006) 사이의 중앙에 배치된다. 나사식 관통 구멍(1007)은 암나사부(1008)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나사 런아웃(thread runout)(1009), 예를 들어 모따기부와 함께 옆면(1004)을 향해 한쪽 또는 양쪽 측면에 제공된다.
또한, 배럴 너트(1002)는 배럴축(F)과 동축으로 형성되는 보어(10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어(1010)는 측면(1005)으로부터 배럴 너트(1002) 내로 그리고 나사식 관통 구멍(1007)까지 연장된다. 보어(1010)는 나사식 관통 구멍(1007)에 대한 공간 연결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나사식 관통 구멍(1007)에 바로 인접한 영역에서, 보어(1010)는, 보어(1010)의 직경이 나사식 관통 구멍(1007)을 향해 연속적으로 감소되는 협폭부(1011)를 포함한다. 보어(1010)의 직경은 또한 나사식 관통 구멍(1007)의 반대쪽 단부에서 클린칭 방법에 의해 감소되었다. 이에 의해, 클린칭 부분(1014)이 형성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보어(1010)의 직경은 클린칭 방법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지 않고, 단지 약 절반 만큼만 감소되었다.
클린칭 부분(1014)은 보어(1010) 내의 적소에 압축 스프링(1013)을 유지하며, 압축 스프링을 통해 볼(1012)이 나사식 관통 구멍(1007)을 향해 편향된다. 볼(1012)은 로킹 요소를 나타낸다. 바꿔 말하면, 배럴 너트(1002)는, 볼(1012)이 압축 스프링(1013)에 의해 나사식 관통 구멍(1007)을 향해 편향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스프링(1013)은 클린칭 부분(1014) 상에 지지될 수 있다. 협폭부(1011)는 그 프로파일이 볼(1012)의 치수에 맞게 조정되어, 도 36 내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1012)은 협폭부에 의해 구멍(1010) 내에 유지되지만, 협폭부(1011)와 접촉할 때 나사식 관통 구멍(1007) 내로 돌출된다.
또한, 조절 장치(1000)는 도 39에 상세히 도시된 볼트(1003)를 포함한다. 볼트(3)는 볼트축(B)을 포함하며, 볼트축은 본 경우에 대칭축으로 설계된다. 볼트의 일단부에 제공되는 볼트 헤드(1021)에는 조절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 바람직하게는 공구, 특히 육각형을 위한 인터페이스(1022)가 형성된다. 측방향 부분(1020)은 볼트축(B)의 방향으로 볼트 헤드(1021)에 연결된다. 처음에, 측방향 부분(1020)은 볼트 헤드(1021)에 인접한 숫나사부가 없는 부분(1026)을 나타낸다. 이 부분(1026)은 측방향 부분(1020)의 총 길이의 약 20%일 수 있다. 측방향 부분 상에 형성된 숫나사부가 있는 나사부(1025)는 부분(1026)에 접할 수 있다. 나사부(1025)는 측방향 부분(1020)의 총 길이의 약 65%일 수 있다. 홈(1024)은 나사부(1025)에 접할 수 있고, 다시 단부 요소(1023)에 대해 맞닿을 수 있다. 볼트 헤드(1021)의 반대쪽에 있는 볼트(1003)의 단부에 제공될 수 있는 단부 요소(1023)는, 나사부가 없는 부분(1026)과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나사부(1025)는 부분(1023 및 1026)과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단부 요소(1023)는 볼트(1003)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배럴 너트(1002)가 볼트(1003) 상에 나사 결합되게 하도록 단부 요소(1003)가 제거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어서, 단부 요소(1023)는, 예를 들어 볼트(1003)가 배럴 너트(1002)로부터 완전히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1003) 상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볼트(1003)는 전체 나사부(1025)를 따라 볼트축(B)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3개의 홈(1027, 1027.1 및 1027.2)을 포함한다. 3개의 홈(1027, 1027.1 및 1027.2)은 도 40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027, 1027.1 및 1027.2)은 볼트(1003)의 옆면(1020) 상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루프 랙 풋(2000)의 조절 장치(1000)는, 스프링(1013)을 통해 나사식 관통 구멍(1007)을 향해 편향되는 배럴 너트(1002)의 볼(1012)이 홈(1027, 1027.1 및 1027.2) 내로 관통되어 형상-끼워맞춤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절 장치(1000)가 클램핑 요소(2001 및 2002) 사이의 거리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조절되려면, 볼트(1003)는 볼(1012)을 홈(1027, 1027.1 또는 1027.2) 밖으로 밀어내도록 스프링(1013)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회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볼(1012)과 홈(1027, 1027.1 또는 1027.2) 사이의 형상-끼워맞춤은 로킹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루프 랙 풋(2000)이 강한 진동에 노출되더라도 볼트(1003)와 배럴 너트(1002) 사이의 나사 결합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럴 너트(1002)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배럴 너트(1002) 내에 나사식 관통 구멍(1007)을 위한 보어가 형성된다. 이어서, 암나사부(1008)가 관통 구멍(1007) 내에서 절삭된다. 다음 단계에서, 보어(1010)는 배럴 너트(1002)의 측면(1005)으로부터 형성되고, 협폭부(1011)는 원추형 드릴링 및/또는 밀링 공구에 의해 형성된다. 후속 단계에서, 볼(1012) 및 스프링(1013)은, 스프링(1013)을 위한 지지면으로서 클린칭 부분(1014)을 형성하고 스프링(1013) 및 볼(1012)이 보어(1010)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어(1010)가 클린칭에 의해 측면(1005)에서 직경이 감소되기 전에 보어(1010) 내에 배치된다. 볼트(1003)의 제조를 위해, 먼저, 홈(1027, 1027.1 및 1027.2)이 측방향 부분(1020)의 옆면으로 프레싱된다. 이어서, 숫나사부(1027)가 옆면으로 절삭되어 홈(1027, 1027.1 및 1027.2)이 형성된다.
도 33 내지 도 40과 관련하여 설명된 조절 메커니즘(1000)은 또한 도 1 내지 도 32와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임 메커니즘(500)은 조절 메커니즘(1000)과 같이 형성될 수 있는데, 조임 부재(8)는 볼트(1003)와 같이 형성될 수 있고 핀(515)은 배럴 너트(1002)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번호가 매겨진 항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항 1: 바람직하게는 루프 랙 풋(2000)을 차량 루프에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장치(2001, 2002)의 일부인 조절 장치(1000)를 갖는 루프 랙 풋(2000)으로서, 조절 장치(1000)는, 숫나사부(1025)를 갖는 볼트(1003); 배럴축(F)을 갖는 배럴 너트(1002),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너트로서, 배럴축(F)에 대해 경사지고, 바람직하게는 배럴축(F)에 수직으로 배향된 나사식 관통 구멍(1007)을 포함하며, 배럴 너트(1002)는 나사식 관통 구멍(1007)을 통해 볼트(1003)의 숫나사부(1025) 상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배럴 너트(1002); 및 볼트(1003)와 배럴 너트(1002) 사이의 나사 결합의 느슨화를 방지하기 위한 로킹 메커니즘(1010, 1012, 1013, 1027)을 포함하는, 루프 랙 풋(2000).
항 2: 항 1에 있어서, 로킹 메커니즘은 배럴 너트(1002) 내의 보어(1010)를 포함하고, 보어는 나사식 관통 구멍(1007) 내로 연장되며, 상기 보어(1010)는 바람직하게는 배럴축(F)을 따라 연장되며, 보어 내에는 나사 결합의 느슨화를 방지하기 위한 로킹 요소(1012)가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로킹 요소(1012)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요소(1013)에 의해 나사식 관통 구멍(1007)을 향해 편향되는, 루프 랙 풋(2000).
항 3: 항 2에 있어서, 나사식 관통 구멍(1007)의 반대쪽 단부에서 보어(1010)는, 로킹 요소(1012) 및/또는 스프링(1013)이 보어(1010)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클린칭에 의해 좁아진, 루프 랙 풋(2000).
항 4: 항 2 또는 항 3에 있어서, 로킹 요소는 볼(1012)로서 형성되고 보어(1010)는 볼(1012)이 보어(1010)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나사식 관통 구멍(1007)에 인접한 테이퍼형 부분(1011)을 포함하는, 루프 랙 풋(2000).
항 5: 항 2 내지 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킹 메커니즘은 볼트(1003)에 형성된 오목부(1027)를 포함하고, 오목부(1027)와 로킹 요소(1012)의 맞물림에 의해 나사 결합의 느슨화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루프 랙 풋(2000).
항 6: 항 5에 있어서, 볼트(1003)의 오목부(1027)는 바람직하게 볼트축(B)을 따라 연장되는 홈(1027)으로서 형성되고, 볼트(1003)는 바람직하게는 2개 또는 3개의 홈(1027, 1027.1, 1027.2)을 포함하며 이들 홈은 원주방향으로 등거리로 이격된, 루프 랙 풋(2000).
항 7: 항 1 내지 항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루프 랙 풋(2000)을 갖는 루프 랙.
항 8: 숫나사부(1025)를 포함하는 볼트(1003)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볼트(1003)는 바람직하게는 항 1 내지 항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루프 랙 풋(2000)의 조절 장치(1000)와 함께 사용되기에 적합하고,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볼트축(B)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1027)을 볼트(1003)의 옆면으로 프레싱하는 단계로서, 바람직하게는 원주방향으로 등거리로 이격된 2개 또는 3개의 홈(1027, 1027.1, 1027.2)이 옆면에 프레싱되는, 단계; 및 바람직하게는 이어서, 볼트(1003)의 옆면에 숫나사부(1025)를 절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 9: 배럴 너트(1002)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배럴 너트(1002)는 바람직하게는 항 1 내지 항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루프 랙 풋(2000)의 조절 장치(1000)와 함께 사용되기에 적합하고, 방법은, 배럴 너트(1002)에 보어(1010)를 형성하는 단계; 배럴 너트(1002)와 나사식 볼트(1003) 사이의 나사 결합의 느슨화를 방지하기 위해 볼(1012)을 편향시키기 위한 로킹 요소(1012), 바람직하게는 볼(1012) 및/또는 스프링(1013)을 보어(1010) 내에 위치 설정하는 단계; 및 바람직하게는 이어서, 보어(1010)로부터 로킹 요소(1012)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린칭에 의해 일단부에서 보어(1010)의 직경을 좁게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Claims (17)

  1. 차량 상에 로드 바아(300)를 지지하기 위한 로드 캐리어 풋(2)으로서, 상기 로드 캐리어 풋(2)은 상기 로드 캐리어 풋(2)을 상기 차량에 결합하기 위한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홀더(6)를 포함하는, 로드 캐리어 풋에 있어서, 상기 홀더(6)는 상기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수용 공간(630)을 획정하는 슬리브 부분(600)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슬리브 부분(600)은 금속 시트를 벤딩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벤딩된 금속 시트의 2개의 접합 섹션(612, 614)이 중첩되는 중첩 섹션(601)을 포함하며, 상기 중첩 섹션(601)은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캐리어 풋(2).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섹션(612, 614)은 적어도 2개의 접합 부분(604)에서 재료 성형에 의해 접합되는, 로드 캐리어 풋(2).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분(600)은 상기 수용 공간(630)이 상기 홀더(6)의 상부 부분(63)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로드 캐리어 풋(2).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섹션(601)은 상기 슬리브 부분(600)의 외부 벽(602)을 획정하고, 상기 슬리브 부분(600)은 내부 벽(603) 및 2개의 측벽(605)을 더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측벽(605)은 상기 테이퍼형 수용 공간(630)을 형성하도록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로드 캐리어 풋(2).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분(600)은 상기 내부 벽(603)에 형성된 결합 부분(61)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분(61)은 상기 결합 부분(61)에 미는 힘을 인가하기 위한 조임 부재(8)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수용 리세스(607)로서 형성되며, 상기 수용 리세스(607)는 지지 표면(608) 및 상기 조임 부재(8)의 일부를 상기 내부 벽(603)을 통해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609)를 갖는, 로드 캐리어 풋(2).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분(600)은 상기 슬리브 부분(600)의 상부 개구(61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하는 상부 에지 부분(619)을 갖고, 상기 상부 에지 부분(619)은 상기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로드 캐리어 풋(2).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에지 부분(619)은 볼록하게 형성되는, 로드 캐리어 풋(2).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홀더 맞물림 섹션(710) 상에 상기 상부 에지 부분(619)을 향해 미는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가압 부재(640), 상기 가압 부재(640)는 상기 수용 공간(630) 내에 배치되는, 로드 캐리어 풋(2).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6)는 상기 슬리브 부분(600)의 하부 개구(62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하는 하부 에지 부분(621)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에지 부분(621)은 상기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과 접촉하고 상기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에 미는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로드 캐리어 풋(2).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르는 로드 캐리어 풋(2) 및 상기 로드 캐리어 풋(2)을 차량에 결합하기 위한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을 포함하는 로드 캐리어로서, 상기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은 차량 맞물림 섹션(720) 및 홈 형상 결합 부분(730)을 포함하고, 상기 홈 형상 결합 부분(730)은 상기 차량 맞물림 섹션(720)으로부터 로드 결합 브래킷(7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로드 캐리어 풋(2)의 상기 홀더(6)와 맞물릴 수 있는 홀더 맞물림 섹션(710)을 포함하는, 로드 캐리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 형상 결합 부분(730)은 상기 홀더 맞물림 섹션(710)이 좁은 단부에 형성되는 깔때기형이고, 또는 상기 홈 형상 결합 부분(730)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로드 캐리어 풋(2)의 상기 홀더(6)로부터 힘을 받도록 구성된 외부 표면(702)을 포함하는, 로드 캐리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 형상 결합 부분(730)은 실질적으로 브래킷(70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또는 2개의 측벽(714) 및 상기 측벽(714)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 바닥 벽(716)을 갖는 박스형 형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로드 캐리어.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맞물림 섹션(720)의 자유 단부(724)는 일 측면에서 상기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으로부터 상기 홈 형상 결합 부분(730)의 길이방향 연장 방향에 대해 경사지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홈 형상 결합 부분(730)은, 상기 차량 맞물림 섹션(720)의 자유 단부(724)가 상기 로드 캐리어 브래킷으로부터 돌출되는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측면 상에 제공되는 융기를 제공하며, 또는 상기 홈 형상 결합 부분(730)은 상기 융기를 한 방향으로만 제공하고, 상기 융기는 연속적인 또는 중단되지 않은 융기인, 로드 캐리어.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맞물림 섹션(710)은 상기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이 홀더(6) 상에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홀더 맞물림 섹션(710)은 2개의 후크(712)를 포함하는, 로드 캐리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712) 및 상기 차량 맞물림 섹션(720)의 자유 단부(724)는 상기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의 동일한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또는 상기 후크(712)는 상기 슬리브 부분(600)의 상부 에지 부분(719)과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되며, 후크는 상기 상부 에지 부분(619)의 지지 표면(620)과 접촉될 수 있는, 로드 캐리어.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은 상기 수용 공간(630)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홀더(6)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며, 상기 로드 캐리어 풋(2)은 상기 홀더(6)의 내부 벽(603)과 상기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 사이의 상기 수용 공간(630) 내에 배치된 조임 부재 작동부(81)를 갖는 조임 부재(8)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6) 및 상기 로드 캐리어 브래킷(700)은 상기 조임 부재 작동부(81)에 대해 공구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개구(650, 750)를 포함하는, 로드 캐리어.
KR1020197033384A 2017-12-19 2018-12-18 로드 캐리어 풋 KR102161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208327.1 2017-12-19
EP17208327.1A EP3501903B1 (en) 2017-12-19 2017-12-19 Load carrier foot
DE202018105171.7 2018-09-10
DE202018105171.7U DE202018105171U1 (de) 2018-09-10 2018-09-10 Dachträgerfuß mit Verstellanordnung
PCT/EP2018/085449 WO2019121651A1 (en) 2017-12-19 2018-12-18 Load carrier fo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126A KR20190131126A (ko) 2019-11-25
KR102161578B1 true KR102161578B1 (ko) 2020-10-05

Family

ID=64755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384A KR102161578B1 (ko) 2017-12-19 2018-12-18 로드 캐리어 풋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148606B2 (ko)
JP (1) JP6748331B1 (ko)
KR (1) KR102161578B1 (ko)
CN (2) CN110719859B (ko)
AU (2) AU2018391659B2 (ko)
BR (1) BR112019022800B1 (ko)
CA (1) CA3062393C (ko)
RU (2) RU2718201C1 (ko)
WO (1) WO20191216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1904B1 (en) * 2017-12-19 2020-10-14 Thule Sweden AB Load carrier foot
EP3838680B1 (en) * 2019-12-20 2022-03-02 Thule Sweden AB Roof rack foot assembly for a roof rack and a roof rack for a vehicle
US11130437B1 (en) 2021-05-14 2021-09-28 Redtail Overland LLC Collapsible shelter system
WO2024086875A1 (en) * 2022-10-27 2024-05-02 Rhino Rack Australia Pty Limited A roof rack for a motor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6802A (ja) * 2009-02-04 2012-07-26 スーリー スウェーデン アーベー 荷物キャリアフットのためのトルク表示デバイス
DE102013000460B3 (de) 2013-01-14 2014-02-13 Audi Ag Dachgrundträger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7818A (en) 1961-02-15 1963-06-06 Bela Barenyi Improvements relating to supporting frameworks primarily adapted for attachment to the roofs of motor vehicles
US3858774A (en) * 1973-03-30 1975-01-07 Itt Vehicle roof carrier
SE7703192L (sv) * 1977-03-21 1978-09-22 Brorsson Jan Erik Festanordning for takmonterade lastberare for fordon
NL8203504A (nl) * 1982-09-08 1984-04-02 Thule Ind Ab Lastdrager.
SE454156B (sv) * 1985-06-13 1988-04-11 Kalix Mekaniska Ind Lastberare
US4688706A (en) * 1985-09-05 1987-08-25 Industri Ab Thule Device for carrying a load
DE4001546A1 (de) * 1990-01-20 1991-07-25 Theodor Splithoff Tragstrebenhalterung fuer kraftfahrzeuge
FR2700737B1 (fr) * 1993-01-28 1995-04-21 Tef Sa Barre de toit pour véhicule automobile.
SE500727C2 (sv) * 1993-10-20 1994-08-15 Mont Blanc Ind Ab Fotdel för takmonterade lastbärare för fordon
SE502717C2 (sv) * 1994-05-25 1995-12-11 Thule Ind Ab Anordning vid lastbärare
US5762247A (en) * 1996-05-02 1998-06-09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DE19740820A1 (de) * 1996-10-17 1998-04-23 Josef Roesle Dachträger
SE514079C2 (sv) * 1999-04-16 2000-12-18 Thule Ind Ab Takräckesanordning vid motorfordon
SE521631C2 (sv) * 2002-04-04 2003-11-18 Thule Sweden Ab Lastbärarfot
PL2208644T3 (pl) * 2009-01-14 2013-03-29 Thule Sweden Ab Stopa bagażnika
RU91946U1 (ru) * 2009-10-07 2010-03-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еталлопродукция" Опора багажника, закрепляемого на крыше автомобиля
EP2380777B1 (en) * 2010-04-22 2013-01-30 Thule Sweden AB Load carrier foot and a vehicle rack arrangement for a vehicle.
RU102921U1 (ru) * 2010-06-25 2011-03-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АРУС и К" Упор багажника для крыши автомобиля
TWM412106U (en) * 2011-03-25 2011-09-21 Qing-Zuo Shen Retaining seat for roof rack of automobile
FR2980423B1 (fr) * 2011-09-27 2013-09-06 Renault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e barre de toit d'un vehicule automobile et agencement de barres de toit assemblees via un tel dispositif suivant plusieurs configurations
EP2746108B1 (en) * 2012-12-21 2016-04-13 Thule Sweden AB A load carrier foot and a roof rack with such a foot
EP2905179B1 (en) 2014-02-07 2017-07-12 Thule Sweden AB A load carrier foot
CN204184265U (zh) * 2014-07-15 2015-03-04 刘耀煌 车顶行李架锁固结构
US10040403B2 (en) * 2015-06-09 2018-08-07 Yakima Products, Inc. Crossbar clamp actu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6802A (ja) * 2009-02-04 2012-07-26 スーリー スウェーデン アーベー 荷物キャリアフットのためのトルク表示デバイス
DE102013000460B3 (de) 2013-01-14 2014-02-13 Audi Ag Dachgrundträger für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19859B (zh) 2022-04-12
JP2020528382A (ja) 2020-09-24
JP6748331B1 (ja) 2020-08-26
CA3062393A1 (en) 2019-06-27
AU2018391659A1 (en) 2019-11-21
BR112019022800A2 (pt) 2020-07-14
BR112019022800B1 (pt) 2021-03-23
KR20190131126A (ko) 2019-11-25
WO2019121651A1 (en) 2019-06-27
CN110719859A (zh) 2020-01-21
US11148606B2 (en) 2021-10-19
RU2733932C1 (ru) 2020-10-08
US11383651B2 (en) 2022-07-12
RU2718201C1 (ru) 2020-03-31
US20210402931A1 (en) 2021-12-30
AU2018391659B2 (en) 2019-12-05
AU2020201302B2 (en) 2020-07-16
CN114590205A (zh) 2022-06-07
CA3062393C (en) 2020-10-20
AU2020201302A1 (en) 2020-03-12
CN114590205B (zh) 2022-10-18
US20200377033A1 (en)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1578B1 (ko) 로드 캐리어 풋
US10830264B2 (en) Arrangement for fastening a panel in a slot using two opposite wedges
US77266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rattling in receiver hitch arrangement
CN102221067B (zh) 用于链条的拉紧装置
CN111971204B (zh) 顶部架支脚、顶部架横梁和包括它们的系统
US9829026B2 (en) Anchor bolt
JP4500329B2 (ja) ケーブル長さ調整装置
CN109890632B (zh) 具有支撑元件的挂车连接装置
JP5232257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101624516B1 (ko) 차량용 브레이크 호스 어셈블리
US20160290419A1 (en) Drum brake operating in simplex mode and/or in servo-dual mode
US8381613B2 (en) Parking brake cable and adjust system having no lost cable travel
NL2005302A (nl) Verankeringssysteem.
FR3019600A1 (fr) Systeme de fixation d'un objet dans un rail d'un support
CN109790717B (zh) 遮篷紧固系统
KR20180103677A (ko) 캡티브 패스너
EP3321034B1 (en) Wrench type tool for the mounting of studs and similar items
EP0616929A1 (en) Improved mechanical antitheft device for mot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