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064B1 - 수성 잉크 조성물 및 마킹펜 - Google Patents

수성 잉크 조성물 및 마킹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064B1
KR102149064B1 KR1020130135269A KR20130135269A KR102149064B1 KR 102149064 B1 KR102149064 B1 KR 102149064B1 KR 1020130135269 A KR1020130135269 A KR 1020130135269A KR 20130135269 A KR20130135269 A KR 20130135269A KR 102149064 B1 KR102149064 B1 KR 102149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omposition
styrene butadiene
rubber particles
butadiene rubber
aqueous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7999A (ko
Inventor
마유코 츠지모토
마코토 우가진
모토코 이시다
Original Assignee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7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16Writing 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라텍스와 착색제를 함유하며,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내지 50℃인, 수성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성 잉크 조성물 및 마킹펜 {WATER BASED INK COMPOSITION AND MARKING PEN}
본 발명은 수성 잉크 조성물 및 마킹펜에 관한 것이다.
형광 마커 등의 마킹펜의 역할은, 주로 특정한 목적 부분을 눈에 띄게 하는 것이다. 그로 인해, 마킹펜에 있어서, 발색성은 필기선의 시인성을 높여 목적 부분을 눈에 띄게 하기 위한 중요한 특성이다. 그러나, 우수한 발색성을 나타내는 마킹펜에서는, 필기선이 필기한 지면의 이면측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시인되는 현상(이면 찍힘)이 생기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이면 찍힘의 문제는 사전 등의 얇은 종이 또는 밀도가 낮아 잉크가 침투하기 쉬운 종이 위에 필기한 경우에 현저하다. 이면 찍힘을 경감하는 것을 목표로 한 마킹펜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50331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06640호 공보에 기재된 수성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마킹펜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이면 찍힘이 생기기 어려운 마킹펜은, 잉크 배출량이 억제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양호한 발색도 억제되어 버린다. 따라서, 이들 마킹펜에서는 이면 찍힘의 경감 또는 발색성 중 적어도 한쪽이 불충분해지기 쉽다.
또한, 잉크의 점도를 높인 고형 잉크를 구비하는 고형 형광 마커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형 형광 마커는 이면 찍힘은 생기기 어렵지만, 액상의 잉크를 이용한 형광 마커와 비교하면 발색성이 떨어지고, 또한 목적 부분에 마킹하기 어려운 크레용과 같은 필기 기구로 인하여 선폭의 변동이 크다고 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형광 마커 본래의 역할을 충분히 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지면의 이면 찍힘을 경감하면서 필기선의 양호한 발색성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광택감이 있어 눈에 띄는 필기선을 그리는 것이 가능한 수성 잉크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마킹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라텍스와 착색제를 함유하며,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내지 50℃인, 수성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성 잉크 조성물에 따르면, 이면 찍힘이 생기기 어렵고, 우수한 발색 및 광택을 갖는 필기선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마킹펜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함유량은, 수성 잉크 조성물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15 내지 3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평균 입경은 100 내지 2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섬유심 또는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지는 펜촉과, 잉크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성 잉크 조성물이 잉크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마킹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전과 같은 얇은 종이 또는 밀도가 낮아 침투하기 쉬운 종이 위에 필기하여도 이면 찍힘이 생기기 어려우며, 우수한 발색 및 광택을 갖는 필기선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마킹펜 및 수성 잉크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마킹펜의 단면도이다.
이하, 필요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성 잉크 조성물)
본 실시 형태의 수성 잉크 조성물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라텍스와 착색제를 함유한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유리 전이 온도는 0 내지 50℃이다.
라텍스는 스티렌 및 부타디엔 등의 단량체를 수중에서 유화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합성 고무 입자의 에멀전이다. 상기 라텍스는 합성 고무 라텍스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라텍스는 합성 고무 입자로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를 포함한다. 수성 잉크 조성물이 상기 라텍스를 함유함으로써, 수성 잉크 조성물 중의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끼리 필기 후에 건조, 융착되어 평활한 막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수성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얻어진 필기선은 광택을 갖는 것이 된다. 또한, 수성 잉크 조성물이 상기 라텍스를 함유함으로써, 잉크 조성물이 필기 후에 종이에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양호한 발색 및 광택을 가지면서 이면 찍힘을 경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수성 잉크 조성물에 따르면, 상기 광택 및 침투 억제의 효과를 얻으면서 수성 잉크 조성물 점도의 과도한 증가를 억제할 수 있어, 잉크의 점도를 낮게 할 필요가 있는 마킹펜 등에도 적용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는 비착색 입자이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유리 전이 온도(이하, Tg라고 함)는 0 내지 50℃이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Tg가 50℃ 이하임으로써, 필기선이 건조될 때의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끼리의 융착이 발생하기 쉽고, 우수한 광택을 갖는 필기선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Tg가 0℃ 이상이면, 필기선의 달라붙음 발생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상기 Tg의 상한값은, 필기선의 광택감을 보다 증대시키는 관점에서 4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Tg의 하한값은, 필기선의 달라붙음의 관점에서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Tg는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구해진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평균 입경은 10 내지 8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300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내지 200n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평균 입경이 10nm 이상임으로써, 이면 찍힘 내성과 발색성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평균 입경이 800nm 이하임으로써, 경시 안정성이 향상되고, 잉크가 배출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평균 입경이 10 내지 800nm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가 융착하기 쉽고, 필기선 표면의 평활성이 얻어지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라텍스 중의 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부피 평균 입경이다. 또한, 라텍스 중의 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면 건조된 중합체 입자를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사진 촬영함으로써 구하는 방법(사진 촬영법), 일정한 농도로 희석한 라텍스의 탁도를 측정함으로써 구하는 방법(탁도법), 라텍스에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중합체 입자의 브라운 운동에 의한 산란광의 요동을 측정하여, 광자 상관법으로 해석함으로써 구하는 방법(동적 광산란법), 라텍스를 모세관 중에 흘려, 중합체 입자의 입경에 의해 생기는 모세관 중에서의 이동 속도차로부터 구하는 방법(CHDF법)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표면은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부타디엔 입자의 표면이 평활함으로써, 필기선 표면에 평활성이 생기기 쉽고, 높은 광택성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입자이며, 스티렌으로부터 유래하는 공중합 성분과 부타디엔으로부터 유래하는 공중합 성분을 갖는다. 스티렌으로부터 유래하는 공중합 성분의 함유량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공중합 성분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85 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내지 75 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스티렌 및 부타디엔으로부터 유래하는 공중합 성분 이외의 별도의 공중합 성분을 가질 수도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별도의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아크릴로니트릴 등으로부터 유래하는 공중합 성분을 들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가 상기 별도의 공중합 성분을 갖는 경우, 상기 별도의 공중합 성분의 함유량은 1 내지 30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일 수도 있고, 블록 공중합체일 수도 있고, 그래프트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또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카르복시 변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수성 잉크 조성물에서의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함유량은, 수성 잉크 조성물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4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3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함유량이 40 질량% 이하임으로써, 잉크의 배출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함유량이 10 질량% 이상임으로써, 이면 찍힘 내성, 발색성 및 광택성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착색제는 안료인 것이 바람직하며, 형광 안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유기 형광 안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 형광 안료는 수지 입자를 형광 염료로 착색한 것이다. 상기 수지 입자로서는 아크릴 수지 입자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수지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가 안료인 경우, 그 평균 입경(D50)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구해지며, 50 내지 4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300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안료의 평균 입경이 50nm 이상임으로써, 잉크 조성물의 종이에의 침투가 억제되고, 이면 찍힘 내성, 발색성 및 광택성의 효과가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안료의 평균 입경이 400nm 이하임으로써, 경시 안정성이 저하되고, 펜촉으로부터의 잉크의 배출이 곤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수성 잉크 조성물에서의 착색제의 함유량은, 수성 잉크 조성물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3 내지 4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3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착색제의 함유량이 40 질량% 이하임으로써, 경시 안정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착색제의 함유량이 3 질량% 이상임으로써, 발색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성 잉크 조성물은 보습제, 방부제, pH 조정제 및 표면 장력 조정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및 디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점도는 5 내지 50mPaㆍs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성 잉크 조성물을 마킹펜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점도는 5 내지 20mPaㆍs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의 수성 잉크 조성물은,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라텍스, 상기 착색제 및 다른 첨가제를 혼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라텍스, 착색제 및 다른 첨가제의 혼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착색제로서 안료의 수분산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료의 수분산액을 도입한 후,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라텍스 및 그 밖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이것들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음에 안료의 수분산액을 도입함으로써, 안료의 분산성 및 분산 안정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수성 잉크 조성물을 제조할 때 사용하는 라텍스의 불휘발분은 35 내지 6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텍스의 불휘발분이 65 질량% 이하임으로써, 경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라텍스의 불휘발분이 35 질량% 이상임으로써, 수성 잉크 조성물의 종이에의 침투를 억제하여 이면 찍힘 내성 및 발색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라텍스의 점도는 30 내지 300mPaㆍs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텍스의 점도가 300mPaㆍs 이하임으로써, 수성 잉크 조성물 전체의 점도를 낮게 억제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라텍스의 점도가 30mPaㆍs 이상임으로써, 수성 잉크 조성물의 종이에의 침투를 억제하여 이면 찍힘 내성 및 발색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수성 잉크 조성물을 제조할 때, 착색제는 안료의 수분산액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분산액의 불휘발분은 20 내지 5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산액의 불휘발분이 20 질량% 이상임으로써, 발색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수분산액의 불휘발분이 50 질량% 이하임으로써, 경시 안정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착색제가 형광 안료인 경우에 충분한 형광성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마킹펜)
본 실시 형태의 마킹펜은 섬유심 또는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지는 펜촉과, 잉크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성 잉크 조성물이 상기 잉크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마킹펜의 단면도이다. 도 1의 마킹펜(10)은 직액식이지만, 본 발명의 마킹펜은 중면식일 수도 있다. 마킹펜(10)은 잉크 수용부(1), 밸브(2), 펜촉(3), 축체(4) 및 캡(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마킹펜(10)에 있어서는, 축체(4) 내부의 공극이 잉크 수용부(1)로 되어 있으며, 이 잉크 수용부(1)에 수성 잉크 조성물(5)이 수용된다. 또한, 축체(4)와는 별도로 축체(4) 내부에 원통형 중축을 설치하고, 그 중축 내부의 공극을 잉크 수용부(1)로 할 수도 있다. 잉크 수용부(1)와 펜촉(3)은 밸브(2)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잉크 수용부(1) 내의 수성 잉크 조성물(5)은 밸브(2)를 통하여 펜촉(3)에 공급된다.
펜촉(3)은 일반적인 마킹펜의 펜촉이며, 수성 잉크 조성물(5)을 공급할 수 있는 섬유심 또는 플라스틱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킹펜(10)에 있어서, 펜촉(3)의 선단 형상은 축체(4)의 중심선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끌 형상으로 되어 있다. 펜촉(3)의 상기 경사면이 지면과 접촉함으로써 필기선을 그릴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사면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필기선의 선폭이 된다. 상기 경사면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마킹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2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5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마킹펜(10)에 있어서, 펜촉(3)의 선단 형상은 끌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포탄 형상 및 붓펜 형상 등일 수도 있다.
밸브(2), 축체(4) 및 캡을 구성하는 재료 또는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것이 적절하게 이용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라텍스로서 카르복시 변성 스티렌부타디엔계 라텍스(닛본 A&L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날스타 SR-100, 불휘발분: 51 질량%, 점도: 150mPaㆍs,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Tg: 27℃,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평균 입경: 180nm) 50.0 질량부, 유기 형광 안료(착색제)로서 착색 아크릴 수지 에멀전(닛본 게이꼬우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NKW3205, 불휘발분; 37 질량%) 29.8 질량부, 보습제로서 글리세린(니찌유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20.0 질량부, 방부제(닛본 엔바이로 케미컬즈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스라우트 99N) 0.2 질량부를 혼합하여 수성 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여기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상기 평균 입경은 탁도법으로 구해진 입경이다.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
혼합하는 재료의 종류 및 양(질량부)을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수성 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수성 잉크 조성물의 조성, 수성 잉크 조성물 전량을 기준으로 한 비착색 입자의 함유량, 및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점도를 정리하여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점도는 하기 조건에서의 측정값이다.
<점도 측정 조건>
장치: 회전 점도계
온도: 25℃
회전수: 12rpm(전단 속도: 90s-1)
Figure 112013101832801-pat00001
또한, 표 1 중의 상품명의 특성은 하기와 같다.
날스타 SR-100: 비착색 입자로서 카르복시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라텍스, 닛본 A&L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불휘발분 51 질량%, 점도 150mPaㆍs,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Tg 27℃,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평균 입경 180nm
날스타 SR-102: 비착색 입자로서 카르복시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라텍스, 닛본 A&L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불휘발분 48 질량%, 점도 70mPaㆍs,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Tg 21℃,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평균 입경 200nm
니폴1571H: 비착색 입자로서 카르복시 변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라텍스, 닛본 제온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불휘발분 40 질량%, 점도 15mPaㆍ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Tg -8℃,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평균 입경 120nm
니폴1571CL: 비착색 입자로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라텍스, 닛본 제온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불휘발분 38 질량%, 점도 12mPaㆍ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Tg -1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평균 입경 100nm
NKW3205: 아크릴 수지계 착색 입자(황색)를 포함하는 수분산형 형광 안료, 닛본 게이꼬우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불휘발분 37 질량%, 아크릴 수지계 착색 입자의 평균 입경 100nm
SF-3015N: 아크릴 수지계 착색 입자(황색)를 포함하는 수분산형 형광 안료, 신로이히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불휘발분 40 질량%, 아크릴 수지계 착색 입자의 평균 입경 100nm
스라우트 99N: 질소 함유 황계 화합물, 닛본 엔바이로 케미컬즈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수성 잉크 조성물의 평가]
도 1에 도시한 구조를 갖는 마킹펜의 잉크 수용부에,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각 수성 잉크 조성물을 충전하고, 펜촉에 수성 잉크 조성물을 스며들게 하였다. 펜촉에는 끌 형상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심을 이용하였다. 얻어진 형광 마킹펜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수성 잉크 조성물의 평가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수성 잉크 조성물과, 상기 수성 잉크 조성물 중의 NKW3205(황색)를 각각 NKW3207ZE(분홍색), NKW3204ZE(오렌지색), NKW3208ZE(청색) 및 NKW3202ZE(녹색)로 바꾼 수성 잉크 조성물을 합한, 총 5종류의 수성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행하였다. 실시예 2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수성 잉크 조성물의 평가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총 5종류의 수성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수성 잉크 조성물의 평가는,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수성 잉크 조성물과, 상기 수성 잉크 조성물 중의 SF-3015N(황색)을 SF-3017N(분홍색), SF-3014N(오렌지색) 및 SF-3022(녹색)로 바꾼 수성 잉크 조성물을 합한, 총 4종류의 수성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행하였다. 수성 잉크 조성물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의 평가 결과는, 상기 5종류 또는 4종류의 수성 잉크 조성물 전부에 대한 종합 평가 결과이다.
(이면 찍힘 내성)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수성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형광 마킹펜으로 두께 100㎛의 지면에 7cm/초로 필기를 행하였다. 필기한 상기 지면의 이면으로부터 필기선을 하기 기준에 따라 시인하여 이면 찍힘 내성을 평가하였다.
A: 이면으로부터 필기선을 시인할 수 없음
B: 이면으로부터 필기선을 약간 시인할 수 있음
C: 이면으로부터 필기선을 시인할 수 있음
(발색성)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수성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형광 마킹펜으로 상질 지면에 필기를 행하였다. 상기 지면 상의 필기선의 농도를 시인하고, 하기 기준에 따라 발색성을 평가하였다.
A: 필기선의 농도가 높고, 발색성이 우수함
B: A 평가에 비하면 필기선의 농도가 약간 낮고, 발색성이 약간 떨어짐
C: 필기선의 농도가 낮고, 발색성이 떨어짐
(광택감)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수성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형광 마킹펜으로 상질 지면에 필기를 행하였다. 상기 지면 상의 필기선을 시인하고, 하기 기준에 따라 광택감을 평가하였다.
A: 필기선에 현저한 광택이 있어 눈에 뜨임
B: 필기선에 광택이 있지만, A 평가에 비하면 약간 떨어짐
C: 필기선에 거의 광택이 없음
(정착성)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수성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형광 마킹펜으로 상질 지면에 필기를 행하였다. 필기선의 지면에의 정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면 상의 필기선이 지우개로 소거되는지 여부를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A: 필기선을 소거할 수 없어, 정착성이 우수함
B: 필기선을 약간 소거할 수 있어, A 평가에 비하면 정착성이 약간 떨어짐
C: 필기선을 소거할 수 있어, 정착성이 떨어짐
Figure 112013101832801-pat00002
표 2의 평가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얻어지는 수성 잉크 조성물은, 이면 찍힘 내성과 발색성이라고 하는 상반된 특성을 양립할 수 있으며, 또한 광택감이 있어 눈에 띄는 필기선을 그릴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관한 수성 잉크 조성물은 필기 용구, 마킹 용구 및 잉크젯 등의 인자 용구에 적용되며, 특히 마킹펜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1: 잉크 수용부
2: 밸브
3: 펜촉
4: 축체
5: 수성 잉크 조성물
10: 마킹펜

Claims (5)

  1.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0 내지 50℃인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만을 포함하는 라텍스와 착색제를 함유하며,
    상기 착색제는 안료이고, 당해 안료의 평균 입경이 50 내지 400nm인 수성 잉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함유량은 수성 잉크 조성물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15 내지 30 질량%인 수성 잉크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평균 입경은 100 내지 200nm인 수성 잉크 조성물.
  4. 섬유심 또는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지는 펜촉과, 잉크 수용부를 구비하며,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수성 잉크 조성물이 상기 잉크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마킹펜.
  5. 섬유심 또는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지는 펜촉과, 잉크 수용부를 구비하며, 제3항에 기재된 수성 잉크 조성물이 상기 잉크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마킹펜.
KR1020130135269A 2012-12-27 2013-11-08 수성 잉크 조성물 및 마킹펜 KR102149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85676A JP6097558B2 (ja) 2012-12-27 2012-12-27 マーキングペン
JPJP-P-2012-285676 2012-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999A KR20140087999A (ko) 2014-07-09
KR102149064B1 true KR102149064B1 (ko) 2020-08-27

Family

ID=50928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269A KR102149064B1 (ko) 2012-12-27 2013-11-08 수성 잉크 조성물 및 마킹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17436B2 (ko)
JP (1) JP6097558B2 (ko)
KR (1) KR102149064B1 (ko)
DE (1) DE1020132227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94923B (zh) * 2011-04-29 2017-08-08 高露洁-棕榄公司 具有流体耗尽的视觉指示器的口腔护理器具
JP6097558B2 (ja) * 2012-12-27 2017-03-15 ゼブラ株式会社 マーキングペン
CA2975385C (en) 2015-01-30 2021-06-29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head including openable agitator chamber and removable agitators for use therein
CN104693892B (zh) * 2015-02-16 2016-08-24 陕西师范大学 一种文物隐形编码标识液
JP6611620B2 (ja) * 2016-01-12 2019-11-27 三菱鉛筆株式会社 サインペン用水性インク組成物
WO2021096560A1 (en) * 2019-11-15 2021-05-20 Napat Thawornsing See-through highlight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1021A (en) 1992-02-07 1997-04-15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Erasable writing ink composition
JP2003034768A (ja) 2001-05-17 2003-02-07 Sakura Color Prod Corp 消去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筆記具
JP2004026926A (ja) 2002-06-24 2004-01-29 Sakura Color Prod Corp 消去性インキ組成物
JP2006070236A (ja) 2004-08-06 2006-03-16 Sakura Color Prod Corp 水性インキ組成物
JP2006225627A (ja) * 2004-09-30 2006-08-31 Sakura Color Prod Corp 水性スクラッチ組成物
JP2010511543A (ja) * 2006-12-07 2010-04-1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インクジェット用紙用スチレン−ブタジエン系ラテックスバインダー、これ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コーティング液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5148A (en) * 1976-10-01 1979-03-20 Sakura Color Products Corporation Ball-point pen for a low-viscosity ink
US5629363A (en) * 1994-02-10 1997-05-13 Abber; Herman Aqueous-based, shear-thinning, erasable ink and roller-ball pen containing same
JP2002030235A (ja) * 2000-07-14 2002-01-31 Konica Corp インクジェット用水性顔料インクセット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02069340A (ja) * 2000-08-28 2002-03-08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
DE60215508T2 (de) * 2001-07-03 2007-06-28 Sakura Color Products Corp. Wässrige pigmenthaltige Tinte für kernmittige Markierstifte
US7070352B2 (en) * 2001-08-31 2006-07-04 Mitsubishi Pencil Kabushikikaisha Writing implement
JP2003155434A (ja) * 2001-11-19 2003-05-30 Mitsubishi Pencil Co Ltd 水性ボールペン用インキ組成物
AU2003211457A1 (en) * 2002-02-05 2003-09-02 Sakura Color Products Corporation Water-based bright colorant composition
WO2003068875A1 (fr) * 2002-02-18 2003-08-21 Sakura Color Products Corporation Composition d'encre effaçable
JP2003277670A (ja) * 2002-03-27 2003-10-02 Sakura Color Prod Corp 消去性インキ組成物の製造方法、着色化粒子の処理方法、消去性インキ組成物及び筆記具
WO2003091037A1 (fr) * 2002-04-25 2003-11-06 Konica Minolta Holdings, Inc. Procede d'impression a jet d'encre
JP4206365B2 (ja) 2003-05-27 2009-01-07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水性インキ組成物
EP1695838B1 (en) * 2003-12-11 2011-10-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recogni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JP4841127B2 (ja) 2004-09-15 2011-12-21 三菱鉛筆株式会社 水性インキ組成物
US7441976B2 (en) * 2004-09-17 2008-10-28 The Pilot Ink Co., Ltd. Water-based ink composition for ballpoint pen and ballpoint pen comprising the same
JP4812305B2 (ja) 2005-01-25 2011-11-09 三菱鉛筆株式会社 水性インキ組成物
JP2006263984A (ja) * 2005-03-22 2006-10-05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装置
JP5374812B2 (ja) * 2005-08-23 2013-12-25 株式会社リコー 記録用インク、並びに、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記録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08083267A (ja) * 2006-09-27 2008-04-10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ラインセンサカメラの焦点合わせ装置
KR101448180B1 (ko) * 2007-09-26 2014-10-08 빠이롯트잉크가부시키가이샤 볼펜용 수성 잉크 조성물, 볼펜용 교체심, 볼펜 및 1회용 볼펜
ATE522372T1 (de) * 2008-06-30 2011-09-15 Yokohama Rubber Co Ltd Gummizusammensetzung für reifen
US20100062194A1 (en) * 2008-09-04 2010-03-11 Xiao-Dong Sun Anti-counterfeiting methods and devices using substantially transparent fluorescent materials
US8222313B2 (en) * 2008-10-06 2012-07-17 Xerox Corporation Radiation curable ink containing fluorescent nanoparticles
KR101589462B1 (ko) * 2008-11-11 2016-01-28 가부시키가이샤 사쿠라 크레파스 도포구용 팁 및 도포구
JP2010150331A (ja) 2008-12-24 2010-07-08 Pilot Ink Co Ltd 筆記具用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収容した筆記具
JP5285484B2 (ja) * 2009-03-30 2013-09-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感熱転写受像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456413B1 (fr) * 2009-07-20 2017-06-21 L'Oréal Emulsion contenant une dispersion d'oxychlorure de bismuth
JP5685849B2 (ja) * 2010-07-29 2015-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9675751B2 (en) * 2010-07-31 2017-06-1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fusion reservoir with push-on connector features and/or attachments therefor
JP6097558B2 (ja) * 2012-12-27 2017-03-15 ゼブラ株式会社 マーキングペン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1021A (en) 1992-02-07 1997-04-15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Erasable writing ink composition
JP2003034768A (ja) 2001-05-17 2003-02-07 Sakura Color Prod Corp 消去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筆記具
JP2004026926A (ja) 2002-06-24 2004-01-29 Sakura Color Prod Corp 消去性インキ組成物
JP2006070236A (ja) 2004-08-06 2006-03-16 Sakura Color Prod Corp 水性インキ組成物
JP2006225627A (ja) * 2004-09-30 2006-08-31 Sakura Color Prod Corp 水性スクラッチ組成物
JP2010511543A (ja) * 2006-12-07 2010-04-1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インクジェット用紙用スチレン−ブタジエン系ラテックスバインダー、これ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コーティング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222719A1 (de) 2014-07-03
US9617436B2 (en) 2017-04-11
JP6097558B2 (ja) 2017-03-15
KR20140087999A (ko) 2014-07-09
JP2014125616A (ja) 2014-07-07
US20140186093A1 (en)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064B1 (ko) 수성 잉크 조성물 및 마킹펜
US20080124164A1 (en) Friction body, writing instrument and writing instrument set
JP7480262B2 (ja) 筆記具用水性インキ組成物、それを用いたボールペン、および筆記具用水性インキ組成物の製造方法
JPWO2018116767A1 (ja) 摩擦体並びに筆記具及び筆記セット
JP5118314B2 (ja) 筆記具用インキ組成物
CN112533765B (zh) 书写工具
US7345100B2 (en) Water-based ink composition for ball-point pen
US7279512B2 (en) Water-based ink composition for ballpoint pen
JP4841127B2 (ja) 水性インキ組成物
JP2013035906A (ja) 固形描画材
JP7123570B2 (ja) 筆記具
JP4993850B2 (ja) 消去性インキ組成物
JP4925570B2 (ja) 消去性インキ組成物
JP6896403B2 (ja) 消去式筆記具
JP2016165842A (ja) 筆記具
JP4297728B2 (ja) 水性ボールペン
JP4812305B2 (ja) 水性インキ組成物
JP2017125097A (ja) サインペン用水性インク組成物
JP2022183104A (ja) 水性インキ組成物及び水性インキ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1064557A (ja) 水性黒色顔料組成物
JP2019178203A (ja) 筆記具用水性インキ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筆記具
JP2021011547A (ja) サインペン用水性インク組成物およびサインペン
JP2019147922A (ja) 水性インク組成物および筆記具
JPH09217037A (ja) 油性ボールペン用インキ
JPS58167659A (ja) 紙用インク組成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