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817B1 - 조사 제어 장치 및 조사 방법 - Google Patents

조사 제어 장치 및 조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817B1
KR102117817B1 KR1020197020887A KR20197020887A KR102117817B1 KR 102117817 B1 KR102117817 B1 KR 102117817B1 KR 1020197020887 A KR1020197020887 A KR 1020197020887A KR 20197020887 A KR20197020887 A KR 20197020887A KR 102117817 B1 KR102117817 B1 KR 102117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radiation
display
vehicle
ligh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077A (ko
Inventor
레이코 사카타
무네타카 니시히라
마사미 아이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9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revers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60Q1/32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on or for doors
    • B60Q1/3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on or for doors for signalling that a door is open or intended to be ope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using immovably-mounted light sources, e.g. fixed flashing lamps
    • B60Q1/38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using immovably-mounted light sources, e.g. fixed flashing lamps with several light sources activated in sequence, e.g. to create a sweep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50Projected symbol or information, e.g. onto the road or c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40Several lamps activated in sequence, e.g. sweep effect, progressive acti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02B20/42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되는 조사 제어 장치는, 소정의 의도를 주위의 사람에게 나타내는 광의 조사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제 1 조사 요소와, 제 1 조사 요소가 사라질 때에 조사되고 있고, 그 조사의 의도를 나타내는 제 2 조사 요소를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조사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고, 대상자의 주의를 끌기 쉽고, 대상자의 이해의 지연을 회피하기 쉬운 광의 조사를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사 제어 장치 및 조사 방법
본 발명은, 바닥면이나 노면을 피표시 대상으로 하여 동적 표시를 행함으로써, 동적 표시를 본 이용자에 대하여, 주의 환기를 촉구하거나, 혹은 유도 안내의 방향성을 전할 수 있는 조사 제어 장치 및 조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서, 드라이버 및 인물의 양쪽에 대하여 주의 환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주의 환기 조사 제어 장치가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 특허문헌 1은, 차체와 차체의 주위에 있는 사람의 관계로, 위험도를 판정하여, 위험한 경우에는, 위험도에 따른 노면으로의 광의 조사를 행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특허문헌 1은, 자차로부터 위험하다고 추정된 인물의 방향 및 인물까지의 거리를 표시하는 광을, 노면에 조사하고 있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로서,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한 경우에, 비상사태에 맞는 최적의 피난 방향을 표시하여, 신속하고 안전한 피난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피난 유도 시스템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특허문헌 2는, 피난 장소에 이르는 경로에, 피난 방향을 가변 표시 가능한 복수의 피난 유도 표시 장치가 배치되고, 유도등 제어반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이 유도등 제어반은, 통상 감시 상태에서는 유도 표시 장치에 소정의 피난 방향을 고정적으로 표시시킨다. 그 한편으로, 유도등 제어반은,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한 경우에는, 비상사태의 발생 상황에 근거하여 최적의 피난 경로를 결정하고, 최적 피난 경로에 근거한 피난 방향을 유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고 있다.
구체적인 표시 내용으로서, 특허문헌 2에는, 피난 방향으로서 화살표 도형을 표시하는 것, 표시되는 도형을 점멸 또는 명멸시키는 것, 및 동영상 표시를 행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화살표 도형의 일부를 피난 방향으로 향해 반복 이동 표시하는 것도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8-143510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2013-242687호 공보
그렇지만, 종래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다.
특허문헌 1은, 차량으로부터 주의 환기를 발신하는 경우에, 점멸, 차례차례로 점등, 슬라이드 등에 의한 가시광 애니메이션의 표시를 행하고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은, 주의 환기의 의미가 전해지기 쉽고, 시인성도 향상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애니메이션이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도형 등이 변함없이 표시(조사)되고 있는 정적 표시가 아닌, 점멸, 차례차례로 점등, 슬라이드 등의 표시의 태양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동적 표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그 한편으로, 주의 환기의 표시를 받는 측인, 자전거 혹은 이륜차의 드라이버는, 재빨리 가시광 애니메이션의 표시 내용을 이해하여, 브레이크 조작 등의 회피 행동을 취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가시광 애니메이션에 비표시의 시간이 있으면, 드라이버에게 있어서는, 내용의 이해가 더딘 원인이 된다. 그리고, 이 특허문헌 1은, 이와 같은 내용 이해의 지연에 관한 대책까지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2는, 빌딩 내에서 유도 안내를 발신하는 경우에, 표시가 점멸ㆍ차례차례로 점등ㆍ슬라이드하는 애니메이션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2는, 안내의 방향성이 전해지기 쉽고, 시인성도 향상된다.
그 한편으로, 유도 안내의 표시를 받는 측인 보행자는, 안내를 찾으면서 보행ㆍ이동한다. 이 때문에, 일순간이라도 가시광 애니메이션이 비표시가 되는 시간이 있으면, 안내를 간과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대상자의 주의를 끌기 쉽고, 대상자의 이해의 지연을 회피하기 쉬운 광의 조사를 행하는 조사 제어 장치 및 조사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조사 제어 장치는, 소정의 의도를 주위의 사람에게 나타내는 광의 조사를 제어하는 조사 제어 장치로서, 제 1 조사 요소와, 제 1 조사 요소가 사라질 때에 조사되고 있고, 그 조사의 의도를 나타내는 제 2 조사 요소를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조사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조사 방법은, 소정의 의도를 주위의 사람에게 나타내는 광을 조사하는 조사 방법으로서, 제 1 조사 요소를 조사하고, 상기 제 1 조사 요소가 사라질 때에 조사되고 있고, 그 조사의 의도를 나타내는 제 2 조사 요소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자의 주의를 끌기 쉽고, 대상자의 이해의 지연을 회피하기 쉬운 광의 조사를 행하는 조사 제어 장치 및 조사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하드웨어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라이팅 제어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미는 도어 타입의 도어 열림에 수반하는 제 1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미는 도어 타입의 도어 열림에 수반하는 제 2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슬라이드 타입의 도어 열림에 수반하는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차량의 후퇴에 수반하는 제 1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차량의 후퇴에 수반하는 제 2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차량의 후퇴에 수반하는 제 3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차량의 발진에 수반하는 제 1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차량의 전진에 수반하는 제 2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차량의 우회전에 수반하는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미는 도어 타입의 도어 열림에 수반하는 경고 아이콘을 병용한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라이팅 제어 장치에 의한 일련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하드웨어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라이팅 제어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을 조합한 제 1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을 조합한 제 2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을 조합한 제 3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라이팅 제어 장치에 의한 일련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슬라이드 도형을 조합한 제 1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슬라이드 도형을 조합한 제 2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슬라이드 도형을 조합한 제 3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조사 제어 장치 및 조사 방법의 실시의 형태의 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예를 실시의 형태 1~3으로 나누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의 형태에서는, 정보를 받는 사람의 시인성이나 알기 쉬움을 향상시키기 위해, 애니메이션화된 광의 도형인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표시ㆍ투사함에 있어서,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유저의 눈에서는 상시 시인할 수 있는 상태의 애니메이션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시 표시"란,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가, 유저의 눈에서는, 상시 표시되고 있다고 시인되는 표시를 의미한다. 따라서, 실제의 광원이 사람의 눈으로 시인할 수 없는 속도로 점멸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요소는, 반드시 동일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표시 요소 중, 적어도 1개의 표시 요소가 표시되고 있다고 시인되는 상태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예컨대,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가 2개 있는 경우에는, 한쪽의 표시 요소가 사라지는 타이밍에 다른 쪽의 표시 요소를 조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양자가 동시에 조사되고 있는 상태를 거쳐, 어느 1개의 표시 요소가 조사되도록 하여 상시 표시를 실현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의 형태 1.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자동차로부터 도로의 노면이나 차체로 향해, 주위의 사람에게 주의를 촉구하는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투영ㆍ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처음으로,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하드웨어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자동차는,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각종 센서, 카메라 등으로 이루어지는 센서군(20)을 갖고 있다. 전체 제어 ECU(Electronic Control Unit)(10)는, 센서군(20) 내의 각종 센서로부터 얻은 정보에 근거하여, 다른 하드웨어에 다양한 지시를 보냄으로써, 이들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제어 ECU(1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통해서, 다른 하드웨어로부터 수신한 소정의 정보를, 라이팅 제어 장치(40) 내의 통합 판별 ECU에 보낸다.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전체 제어 ECU(10)로부터 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외부 라이트 디바이스 A, 외부 라이트 디바이스 B, 프로젝터 디바이스, 보디 라이트 디바이스 등의 차 바깥용의 라이트 디바이스(50)를 제어한다.
도 1에 있어서, 각종 센서는, 차속 센서, 타각 센서, 액셀 센서, 브레이크 센서, 시프트 센서, 방향 지시등 센서, 해저드 센서, 와이퍼 센서, 라이트 센서, 도어 개폐 센서, 드라이버 카메라, 착좌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GPS 디바이스, 내비게이션 시스템, 차 밖 카메라, 차 밖 센서, 및 조도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제어 ECU(10)는, 각 센서가 검출한 정보, 또는 카메라가 촬상한 화상을 수신한다.
여기서, 센서군(20)을 구성하는 각종 센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속 센서는, 차체의 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고, 차륜 속도에 따른 전기 신호(차속 펄스에 상당)를, 전체 제어 ECU(10)에 출력한다.
타각 센서는, 차체의 조타각을 검출하는 센서이고, 조타각에 따른 전기 신호를, 전체 제어 ECU(10)에 출력한다.
액셀 센서는, 액셀의 개방도, 즉, 액셀 페달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센서이고, 액셀 페달의 조작량 정보를, 전체 제어 ECU(10)에 출력한다.
브레이크 센서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센서이고,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량 정보를, 전체 제어 ECU(10)에 출력한다.
시프트 센서는, 시프트 레버의 현재의 상태 또는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이고, 유저에 의한 시프트 변경 등에 의한 시프트 레버의 조작 정보를, 전체 제어 ECU(10)에 출력한다.
방향 지시등 센서는, 방향 지시등(방향 지시기)의 조작을 검출하는 센서이고, 유저가 방향 지시등을 조작한 경우에 있어서의 방향 지시등 조작 지시의 정보를, 전체 제어 ECU(10)에 출력한다.
해저드 센서는, 해저드 스위치의 조작을 검출하는 센서이고, 유저의 해저드 스위치의 조작을 검출하고, 검출한 조작 정보를, 전체 제어 ECU(10)에 출력한다.
와이퍼 센서는, 와이퍼 조작을 검출하는 센서이고, 유저가 와이퍼를 조작한 경우에는, 이 조작 지시 정보를, 전체 제어 ECU(10)에 출력한다.
라이트 센서는, 유저의 라이트 레버의 조작을 검출하는 센서이고, 유저의 라이트의 조작 정보를, 전체 제어 ECU(10)에 출력한다.
도어 개폐 센서는, 차량의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센서이고, 도어의 개폐 정보를, 전체 제어 ECU(10)에 출력한다.
드라이버 카메라는, 차량의 운전석에 대향하여 마련된 카메라(촬상 장치)이고, 운전석에 앉는 유저를 촬상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드라이버 카메라는, 유저의 얼굴이나 상반신을 촬상하고, 촬상한 화상을, 전체 제어 ECU(10)에 출력한다.
착좌 센서는, 시트에 마련되어, 유저의 착좌 상황을 검출하는 센서이고, 예컨대 가압 센서 등에 의해 실현된다. 착좌 센서는, 유저가 착좌 또는 이석(離席)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체 제어 ECU(10)에 출력한다. 착좌 센서는, 시트에 복수 마련되어 있더라도 좋다. 복수의 가압 센서의 정보에 근거하여, 전체 제어 ECU(10)는, 유저의 자세 등을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속도 센서는,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고, 예컨대, 3축 가속도 센서에 의해 구성된다. 가속도 센서는, 차량의 가속도 정보를, 전체 제어 ECU(10)에 출력한다.
각속도 센서는, 각속도(자이로)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각속도 센서는, 검출한 각속도 정보를, 전체 제어 ECU(10)에 출력한다. 전체 제어 ECU(10)는, 이 각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의 선회 속도 등을 검출할 수 있다.
GPS 디바이스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고, 인공위성이 발신하는 전파를 이용하여, 자차의 위치를 검출하는 장치이다. GPS 디바이스는, 자차의 위치의 좌표를 전체 제어 ECU(10) 및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출력한다.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지도 정보를 갖고 있고, 자차 위치와 지도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의 목적지로의 추천 경로를 산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통신 기능을 갖고 있고, 정체 정보, 통행금지 정보 등의 외부 정보를 서버로부터 취득하고, 외부 정보에 근거하여 추천 경로를 산출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차량의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 등을 서버에 보내는 기능을 갖고 있고, 서버 측에서 추천 경로를 산출하고, 이 추천 경로의 정보를 수신하는 시스템으로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산출된 경로 정보를, 전체 제어 ECU(10)에 출력한다.
차 밖 카메라는, 차 밖을 촬상하기 위해 마련된 카메라(촬상 장치)이다. 차 밖 카메라는, 예컨대, 전방, 후방, 좌우에 각각 마련되어 있고, 각각의 촬상 화상을, 전체 제어 ECU(10)에 출력한다. 전체 제어 ECU(10)는, 각각의 촬상 화상에 근거하여, 인간의 검출, 인식, 및 차나 장애물 등의 물체(오브젝트)의 검출, 인식을 실행할 수 있다.
차 밖 센서는, 차 밖의 주위의 물체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이고, 예컨대,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밀리파 레이더 센서, 적외선 레이저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된다. 차 밖 센서는, 이 검출 정보를, 전체 제어 ECU(10)에 출력한다. 전체 제어 ECU(10)는, 차 밖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차 밖의 물체에 관한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그 물체와 차량의 거리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거리나 물체의 위치는, 본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전체 제어 ECU(10)가 검출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고, 차 밖 센서가 자신이 검출한 정보에 근거하여, 거리나 물체의 위치를 산출하고, 전체 제어 ECU(10)에, 산출한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조도 센서는, 차 밖으로 향해 마련되어 있고, 차 밖의 조도(밝기)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조도 센서는, 검출한 조도의 정보를, 전체 제어 ECU(10)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전체 제어 ECU(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체 제어 ECU(10)는, 차량 전체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ECU이다. 전체 제어 ECU(10)는, 각종 센서로부터 검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 각 부를 적절히 동작시키는 지시나 정보를 보냄으로써, 차량 전체의 제어를 실행한다.
전체 제어 ECU(10)는, 프로세서,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을 갖고 있다. 프로세서는, 전체 제어 ECU(10)에 있어서, 각종 계산 처리를 실행하는 계산 처리 회로이고, 프로세서 이외에도, 계산 처리 회로, 전기 회로, 컨트롤러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호칭할 수 있는 하드웨어이다.
프로세서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계산 처리 회로의 집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서는, ROM으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내고, 읽어낸 프로그램을 RAM 상에 전개하여, 계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ROM은,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이다. RAM은,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이나 각종 정보의 전개 영역으로서 이용하는 휘발성 기억 장치이다. ROM 및 RAM은, 예컨대, 반도체 기억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되고, 메모리라고 부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는,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 장치로서, ROM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기억 장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스토리지라고 불리는 비휘발성 대용량 기억 장치이더라도 좋다.
또한, 스토리지를 포함시킨 기억 장치를, 총칭하여 메모리라고 부르더라도 좋다. 이와 같은 메모리 구성은, 후술하는 통합 판별 ECU, 라이트 제어 ECU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도 1 중의 차량 제어 대상(3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헤드라이트 드라이버는, 헤드라이트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이다. 헤드라이트 드라이버는, 전체 제어 ECU(10) 또는 라이트 제어 ECU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헤드라이트를 구동시키고, 점등/소등/하이빔과 로우빔의 전환 등의 동작을, 헤드라이트에 행하게 한다.
헤드라이트는, 차체의 앞쪽에 마련되어, 차체의 전방에 광을 조사하는 조사 장치이고, 차체의 좌우 앞쪽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헤드라이트는, 라이트로부터 조사된 광을 유도하는 도광부의 구조, 또는, 복수의 라이트의 전환 등에 의해, 보다 먼 곳을 비추는 하이빔과, 하이빔보다 근거리를 비추는 로우빔을 전환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엔진은, 차량을 구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 기관이고, 가솔린 등의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차륜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엔진은, 전체 제어 ECU(10)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변속기는, 톱니바퀴나 축 등에 의해 구성되고, 동력을 차륜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변속기는, 전체 제어 ECU(10)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기어를 변경함으로써, 차륜에 전달하는 토크를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는, 차량을 감속시키기 위한 브레이크(감속기)를 동작시키는 기구이다.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는, 전체 제어 ECU(10)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차량을 감속시킬 수 있다.
스티어링 액추에이터는, 차륜의 방향을 변경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는 스티어링(조타 장치)을 동작시키는 기구이다. 스티어링 액추에이터는, 전체 제어 ECU(10)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스티어링을 제어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방향 지시등은, 차량의 진행 방향을, 발광에 의해 차 밖으로 나타내기 위한 방향 지시기이다. 방향 지시등은, 전체 제어 ECU(10)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점멸하여, 차 밖으로, 차량의 진행 방향을 나타낸다.
HUD(Head-Up Display)는, 자동차의 앞유리에 중첩하여 마련된 투과형의 영상 표시 장치이다. HUD는, 전체 제어 ECU(10)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HUD는,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차내의 유저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시한다.
다음으로, 도 1 중의 라이팅 제어 장치(4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차량의 라이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이다.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통합 판별 ECU, 무선 통신 장치, 라이트 제어 ECU를 갖는다.
본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차량은, 각종 라이트 디바이스의 광의 조사에 의해, 차의 주위에, 차의 상태, 동작 의도, 경고 등을 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여기서, 라이트 디바이스란, 후술하는 외부 라이트 디바이스 A, 외부 라이트 디바이스 B, 프로젝터 디바이스, 보디 라이트 디바이스, 및 헤드라이트의 총칭인 라이트 디바이스(50)를 가리키고 있다.
통합 판별 ECU는, 전체 제어 ECU(10)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정보에 근거하여, 차체의 상황을 판별하고, 라이트 디바이스(50)에 의해, 주위에 전해야 할 내용을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통합 판별 ECU는, 전체 제어 ECU(10)와 마찬가지로, 프로세서, ROM, RAM을 갖고 있다.
통합 판별 ECU는, 전체 제어 ECU(10)로부터 각종 정보를 접수하여, 차량의 상태를 판단하고, 각 라이트 디바이스의 조사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라이트 제어 ECU에 송신한다. 또한, 통합 판별 ECU는, 통신에 관한 지시를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외부의 통신 기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특정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다른 차와의 차차간 통신, 노측기와의 노차간 통신, 및 사람이 갖는 스마트폰 등의 통신 가능한 전자 기기와의 통신을 행한다.
이 통신은, 특정한 결정된 주파수대를 이용한 독자적인 통신이더라도 좋고, 차내 통신 기기와 외부 통신 기기의 사이의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규격화된 통신 규격을 이용한 통신이더라도 좋다. 또한, 이 통신은, 예컨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Bluetooth(등록상표), Zigbee(등록상표) 등의 기존의 통신 규격을 이용한 통신이더라도 좋다.
무선 통신 장치는, 안테나를 통해서 송신부에서, 다른 기기에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서 수신부에서, 다른 기기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라이트 제어 ECU는, 각 라이트 디바이스가 조사하는 광을 결정하고, 라이트 디바이스(50)에 지시를 송신하는 제어 장치이다. 라이트 제어 ECU는, 프로세서, ROM, RAM을 갖고 있다. 라이트 제어 ECU는, 통합 판별 ECU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각 라이트 디바이스의 조사 패턴을 결정하고, 이것에 근거하여, 각 라이트 디바이스에 조사의 지시를 송신한다.
여기서, 조사 패턴이란, 1개의 표시 요소, 혹은 2개 이상의 표시 요소의 조합으로서 구성되고, 표시되는 주변의 환경에 따라 시인성을 변경할 수 있도록, 조사 형상, 위치, 크기, 색, 타이밍, 휘도, 시간 등의 조정 요소를 갖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1 중의 라이트 디바이스(5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부 라이트 디바이스 A는, 차체로부터 외부로 향해 설치된 조사 장치이다. 외부 라이트 디바이스 A는, 노면이나 가까이의 벽면에 광을 조사하여, 차 밖의 유저에게 차의 향후의 동작의 예고, 현재 또는 향후의 차의 동작의 의도, 경고 등의 정보를 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외부 라이트 디바이스 A는, 이들 정보를 차 밖의 유저에게 전하기 위해, 이에 적합한 조사 패턴으로 광을 노면 등에 조사한다.
외부 라이트 디바이스 A는, 외부 라이트 드라이버와 외부 라이트 세트를 갖고 있다. 외부 라이트 드라이버는, 외부 라이트 세트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이고, 외부 라이트 세트에 소정의 광을 조사시킨다.
외부 라이트 드라이버 A는, 외부 라이트 세트 중의 각 외부 라이트의 조사 타이밍, 조사 시간 등의 조합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외부 라이트 드라이버 A는, 외부 라이트에 마련된 컬러 필터, 셰이드, 도광 기구 등을 동작시켜, 소정의 차체로부터의 상대 위치에, 소정의 조사 패턴을 갖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외부 라이트 세트 A는, 복수의 외부 라이트(조사 장치)를 갖고 있고, 외부 라이트 드라이버에 근거하여, 복수의 외부 라이트가 점등 제어된다.
외부 라이트 디바이스 B는, 차체로부터 외부로 향해 설치된 조사 장치이다. 외부 라이트 디바이스 B는, 노면이나 가까이의 벽면에 광을 조사하여, 차 밖의 유저에게 차의 향후의 동작의 예고, 현재 또는 향후의 동작의 의도, 경고 등의 정보를 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외부 라이트 디바이스 B는, 이들 정보를 차 밖의 유저에게 전하기 위해, 이것에 적합한 조사 패턴으로 광을 노면 등에 조사한다.
외부 라이트 디바이스 B는, 외부 라이트 드라이버와 외부 라이트 세트를 갖고 있다. 외부 라이트 드라이버는, 외부 라이트 세트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이고, 외부 라이트 세트에 소정의 광을 조사시킨다.
외부 라이트 드라이버 B는, 외부 라이트 세트 중의 각 외부 라이트의 조사 타이밍, 조사 시간 등의 조합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외부 라이트 드라이버 B는, 외부 라이트에 마련된 컬러 필터, 셰이드, 도광 기구를 동작시켜, 소정의 차체로부터의 상대 위치에, 소정의 조사 패턴을 갖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외부 라이트 세트 B는, 복수의 외부 라이트(조사 장치)를 갖고 있고, 외부 라이트 드라이버의 동작에 근거하여, 복수의 외부 라이트가 점등 제어된다.
프로젝터 디바이스는, 차체로부터 외부로 향해 설치된 영상 투사 장치이다. 프로젝터 디바이스는, 노면이나 가까이의 벽면에 광을 조사하여, 차 밖의 유저에게 차의 향후의 동작의 예고, 현재 또는 향후의 차의 동작의 의도, 경고 등의 정보를 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프로젝터 디바이스는, 이들 정보를 차 밖의 유저에게 전하기 위해, 이에 적합한 조사 패턴으로 광을 노면 등에 조사(투영)한다.
프로젝터 디바이스는, 프로젝터 드라이버와 프로젝터를 갖고 있다. 프로젝터 드라이버는, 프로젝터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이고, 프로젝터에 소정의 광을 조사시킨다. 프로젝터 드라이버는, 프로젝터가 조사하는 광의 조사 패턴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프로젝터는, 광(영상)을 차 밖에 조사(투영)하는 조사(투영) 장치이다. 프로젝터는, 프로젝터 드라이버의 동작에 근거하여 광(영상)을 차 밖의 노면이나 벽면에 조사한다.
보디 라이트 디바이스는, 차체에 마련된 발광 장치이다. 보디 라이트 디바이스는, 차 밖의 보행자, 다른 차의 운전자 등에게 향후의 차의 동작의 예고, 현재 또는 향후의 동작의 의도, 경고 등의 정보를 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보디 라이트 디바이스는, 차체 표면의 소정의 위치에, 소정의 조사 패턴을 갖는 광을 발광한다.
보디 라이트 디바이스는, 보디 라이트 드라이버와 보디 라이트를 갖고 있다. 보디 라이트 드라이버는, 보디 라이트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이고, 보디 라이트에 소정의 조사 패턴의 광을 조사시킨다. 보디 라이트 드라이버는, 보디 라이트가 조사하는 광의 조사 패턴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보디 라이트는, 차체의 바깥쪽 표면으로부터 발광하는 광이 노광하도록 마련된 발광 장치이다. 본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보디 라이트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 LED(Light Emitting Diode)에 의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보디 라이트는, LED가 발광한 광이 LCD를 투과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조사 패턴의 광을 차 밖에 조사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보디 라이트가 LCD 및 LED로 구성되는 예를 예시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보디 라이트는,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등의 그 외의 발광 장치나 표시 장치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라이팅 제어 장치(40)에 의한 구체적인 제어 처리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라이팅 제어 장치(4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통합 판별 ECU(41), 무선 통신부(42), 및 라이트 제어 ECU(4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라이팅 제어 장치(40) 내의 통합 판별 ECU(41)는, 차량 정보 취득부(41a), 차량 상태 판별부(41b), 통합 판별부(41c)를 갖고 있다. 또한, 라이팅 제어 장치(40) 내의 라이트 제어 ECU(43)는, 라이팅 판별부(43a), 라이팅 데이터베이스(라이팅 DB)(43b), 라이팅 지시부(43c)를 갖고 있다.
차량 정보 취득부(41a)는, 전체 제어 ECU(10)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차량 정보 취득부(41a)가 취득하는 정보로서는, 엔진 ON/OFF의 전환 정보, 시프트 레버에 의한 기어의 변경 정보, 도어의 개폐 정보, 차의 동작 정보, 핸들의 타각 정보, 방향 지시등의 조작 정보, 주위의 사람이나 차 등의 오브젝트의 검출 정보 및 인식 정보, 차내의 유저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차량 정보 취득부(41a)는, 취득한 정보를 차량 상태 판별부(41b)에 송신한다.
차량 상태 판별부(41b)는, 차량 정보 취득부(41a)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의 상태를 판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예컨대, 차량 상태 판별부(41b)는, 기어의 변경 정보에 근거하여, 차가 정차한 채인지, 전진하려 하고 있는지, 후퇴하려 하고 있는지를 판별한다.
또한, 차량 상태 판별부(41b)는, 핸들의 타각 정보나 방향 지시등의 조작 정보에 의해, 차량이 오른쪽으로 돌려 하고 있는지, 왼쪽으로 돌려 하고 있는지를 판별한다. 또한, 차량 상태 판별부(41b)는, 주위의 사람, 차 등의 오브젝트의 검출 정보 및 인식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 주위의 사람, 차 등이 위험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통합 판별부(41c)는, 차량 상태 판별부(41b)의 판별 결과에 근거하여, 차 밖에 전해야 할 정보를 판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예컨대, 통합 판별부(41c)는, 차가 후퇴하려 하고 있는 상태일 때, 후퇴를 나타내는 취지를 차 밖에 전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이 취지의 조사를 행하는 지시를, 라이팅 판별부(43a)에 보낸다.
또한, 시프트 레버가 파킹으로부터 드라이브(또는 퍼스트 기어)로 바뀌었을 때에는, 차량 상태 판별부(41b)는, 차가 정지 상태로부터 전진하려 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이 정보를 통합 판별부(41c)에 송신한다. 통합 판별부(41c)는, 이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이 정지 상태로부터 전진하려 하고 있는 취지의 조사를 행하는 지시를, 라이팅 판별부(43a)에 보낸다.
또한, 통합 판별부(41c)는, 차량 상태 판별부(41b)의 판별 결과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무선 통신부(42)는, 통합 판별부(41c)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외부 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라이트 제어 ECU(43) 내의 라이팅 판별부(43a)는, 차 밖에 전해야 할 정보를 통합 판별부(41c)로부터 수신하면, 라이팅 DB(43b)를 참조하여, 차 밖에 전해야 할 정보에 적합한 조사 패턴에서의 라이팅을 판별한다.
라이팅 DB(43b)는, 각종 라이팅의 정보가 들어간 데이터베이스이다. 예컨대, 라이팅 DB(43b)는, 라이팅의 식별자와 라이트 디바이스의 식별자(외부 라이트 디바이스 A, 외부 라이트 디바이스 B, 프로젝터 디바이스, 보디 라이트 디바이스, 헤드라이트)와, 그 라이트 디바이스가 조사할 수 있는 광의 조사 패턴과, 그 조사 패턴으로 주위에게 전하는 내용이 저장되어 있다.
라이팅 지시부(43c)는, 라이팅 판별부(43a)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 라이트 디바이스에 조사의 지시를 보냄으로써, 각 라이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예컨대, 통합 판별부(41c)로부터 소정의 목적의 조사 지시가 온 경우에는, 라이팅 판별부(43a)는, 라이팅 DB(43b)를 참조하여, 소정의 목적의 조사 지시에 적합한 라이팅의 식별자를 판별한다.
여기서 판별하는 라이팅의 식별자는, 1개이더라도 복수이더라도 좋다. 라이팅 판별부(43a)는, 조사하는 라이팅의 식별자를 결정한 후, 이 라이팅의 조사 타이밍, 시간을 결정한다. 라이팅 판별부(43a)는, 이 식별자 및 라이팅의 조사 타이밍, 시간의 정보를, 라이팅 지시부(43c)에 지시한다.
라이팅 지시부(43c)는, 라이팅 판별부(43a)로부터 받는 정보에 근거하여, 라이팅 DB(43b)를 참조하여, 각 라이트 디바이스의 광의 조사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통합 판별 ECU(41)와 라이트 제어 ECU(43)가 다른 ECU인 것으로서 예시하고, 설명하고 있지만, 이들은, 일체이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자동차로부터 도로의 노면이나 차체로 향해 투영ㆍ표시되는 가시광 애니메이션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다음의 3가지 케이스에 따른 가시광 애니메이션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라이팅 제어 장치(40)가 행하는 표시 제어로서 설명하고, 도 2에 나타낸 라이팅 제어 장치(40) 내의 각 구성 요소로 나눈 제어 동작의 기재는 생략한다.
[케이스 1] 도어 열림 동작에 따른 가시광 애니메이션
[케이스 2] 후퇴, 발진, 우회전, 좌회전에 따른 가시광 애니메이션
[케이스 3] 특수한 아이콘을 병용한 가시광 애니메이션
[케이스 1] 도어 열림 동작에 따른 가시광 애니메이션
케이스 1의 목적은, 정차 중의 차량의 도어 열림에 따라(차량의 도어 열림 동작의 전에), 사람이 내려오는 구역, 도어가 열리는 구역ㆍ폭, 및 그 주변에 관하여, 예고ㆍ주의 환기의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행하는 것에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미는 도어 타입의 도어 열림에 수반하는 제 1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이하의 P3A1, P3A2의 2종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됨으로써, 동적 표시가 행하여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P3A1 : 도어가 열린 상태를 이미지할 수 있는 표시
P3A2 : 도어가 닫힌 상태로부터 P3A1의 상태까지 이동할 때에, 도어가 이동하는 모든 구역에 상당하는 표시
도 3(a)에 있어서의 P3A1의 표시는,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에 상당한다. 그리고,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P3A1과 P3A2의 표시를 반복하여 점멸 표시를 행한다. 이때,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3A1의 상태는, P3A2의 표시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드라이버는, P3A1, P3A2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어느 시점에 있어서도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3A1을 상시 시인할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차량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드라이버에 대하여, P3A1의 표시를 간과할 우려 없이, 신속하게 전달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미는 도어 타입의 도어 열림에 수반하는 제 2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이하의 P3B1~P3B5의 5종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됨으로써, 동적 표시가 행하여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P3B1 : 도어가 열린 상태를 이미지할 수 있는 표시이고, 도 3(a)의 P3A1과 동등한 표시
P3B2~P3B5 : 도어가 닫힌 상태로부터 P3B1의 상태까지 이동할 때에, 도어가 이동하는 구역을 4단계로 분할한 표시이고, 도 3(a)의 P3A2의 표시를 4단계로 나누어 행한 표시에 상당
도 3(b)에 있어서의 P3B1의 표시는,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에 상당한다. 그리고,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P3B1~P3B5의 표시를 반복하여 점멸 표시를 행한다. 이때,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3B1의 상태는, P3B2~P3B5의 표시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드라이버는, P3B1~P3B5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어느 시점에 있어서도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3B1을 상시 시인할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차량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드라이버에 대하여, P3B1의 표시를 간과할 우려 없이, 신속하게 전달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슬라이드 타입의 도어 열림에 수반하는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이하의 P3C1~P3C4의 4종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됨으로써, 동적 표시가 행하여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P3C1 : 도어가 슬라이드한 후에, 차내로부터 사람이 나오는 구역을 이미지할 수 있는 표시
P3C2~P3C4 : 차내로부터 나온 사람이, 차 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해 서서히 이동하는 구역을 이미지할 수 있는 표시이고, 3단계로 나누어 행한 표시에 상당
도 3(c)에 있어서의 P3C1의 표시는,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에 상당한다. 그리고,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P3C1~P3C4의 표시를 반복하여 점멸 표시를 행한다. 이때,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3C1의 상태는, P3C2~P3C4의 표시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드라이버는, P3C1~P3C4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어느 시점에 있어서도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3C1을 상시 시인할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차량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드라이버에 대하여, P3C1의 표시를 간과할 우려 없이, 신속하게 전달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또, 도 3(c)에서는, P3C1~P3C4에 있어서, 차량의 슬라이드 타입의 도어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상시 시인할 수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차량의 슬라이드 타입의 도어로부터 가장 먼 위치를, 상시 시인할 수 있도록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케이스 2] 후퇴, 발진, 우회전, 좌회전에 따른 가시광 애니메이션
케이스 2의 목적은, 차량이 이동할 때(차량이 이동을 개시하기 전)에, 그 진행 방향과 거리를 예고ㆍ주의 환기하는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행하는 것에 있다. 여기서의 거리란, 예컨대, 시속 10㎞/h의 차가 1초에 진행하는 거리에 상당하는 약 3m 앞, 혹은, 차 1대분에 상당하는 약 4m 앞을 의미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차량의 후퇴에 수반하는 제 1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이하의 P4A1~P4A3의 3종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됨으로써, 동적 표시가 행하여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P4A1 : 차량 뒷부분의 가장 가까운 구역을 이미지할 수 있는 표시이고, V형 마크의 방향에 의해, 차량이 후퇴하여 오는 것을 표시
P4A2, P4A3 : 시간 경과와 함께 차량이 서서히 이동하는 구역을 이미지할 수 있는 표시
도 4(a)에 있어서의 P4A1의 표시는,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에 상당한다. 그리고,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P4A1~P4A3의 표시를 반복하여 점멸 표시를 행한다. 이때,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4A1의 상태는, P4A2 및 P4A3의 표시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드라이버는, P4A1~P4A3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어느 시점에 있어서도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4A1을 상시 시인할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차량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드라이버에 대하여, P4A1의 표시를 간과할 우려 없이, 신속하게 전달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차량의 후퇴에 수반하는 제 2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차량의 후퇴에 수반하는 제 3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b), 도 4(c)는 상시 표시되는 구역이나 전환 표시되는 상태가 도 4(a)와는 상이한 변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 4(a)에서는, 차량 뒷부분의 가장 가까운 구역을 상시 표시하고 있었다. 이것에 비하여, 도 4(b), 도 4(c)에서는, 차량이 후퇴할 때에 이동하는 최대 구역을 상시 표시시키고 있다. 또한, 도 4(b)와 도 4(c)에서는, 도 4(b)에 있어서의 2번째의 표시 패턴 P4B2와, 도 4(c)에 있어서의 2번째의 표시 패턴 P4C2가 상이하다.
도 4(b), 도 4(c)의 어느 경우도, 차량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드라이버는, 어느 시점에 있어서도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4B1 혹은 P4C1을 상시 시인할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차량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드라이버에 대하여, P4B1 혹은 P4C1의 표시를 간과할 우려 없이, 신속하게 전달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차량의 발진에 수반하는 제 1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이하의 P5A1~P5A5의 5종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됨으로써, 동적 표시가 행하여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P5A1 : 차량 전방의 가장 가까운 구역을 이미지할 수 있는 표시이고, 표시된 선분에 기울기를 마련한 것에 의해, 차량이 전진하여 오는 것을 표시
P5A2~P5A5 : 시간 경과와 함께 차량이 서서히 이동하는 구역을 이미지할 수 있는 표시이고, 차량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선분을 길게 표시하는 것에 의해, 차량이 전진하여 오는 것을 표시
도 5(a)에 있어서의 P5A1의 표시는,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에 상당한다. 그리고,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P5A1~P5A5의 표시를 반복하여 점멸 표시를 행한다. 이때,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5A1의 상태는, P5A2~P5A5의 표시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드라이버는, P5A1~P5A5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어느 시점에 있어서도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5A1을 상시 시인할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차량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드라이버에 대하여, P5A1의 표시를 간과할 우려 없이, 신속하게 전달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차량의 전진에 수반하는 제 2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b)에 있어서의 P5B1의 표시는, 도 5(a)에 있어서의 P5A1의 표시에 상당하고, 도 5(b)에 있어서의 P5B2의 표시는, 도 5(a)에 있어서의 P5A5의 표시에 상당한다. 즉, 도 5(a)는 5단계에서의 전환 표시를 행하고 있었지만, 도 5(b)는 가장 가까운 구역과 최대 구역의 2단계에 의한 전환 표시를 행하고 있다.
도 5(b)의 경우도, 차량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드라이버는, 어느 시점에 있어서도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5B1을 상시 시인할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차량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드라이버에 대하여, P5B1의 표시를 간과할 우려 없이, 신속하게 전달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차량의 우회전에 수반하는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이하의 P61, P62의 2종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됨으로써, 동적 표시가 행하여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P61 : 차량의 오른쪽 전방의 가장 가까운 구역을 이미지할 수 있는 표시이고, 표시된 선분에 기울기를 마련한 것에 의해, 차량이 전진하여 우회전하여 오는 것을 표시
P62 : 시간 경과와 함께 차량이 이동하는 최대 구역을 이미지할 수 있는 표시이고, 차량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선분을 길게 표시하는 것에 의해, 차량이 우회전하여 오는 것을 표시
도 6에 있어서의 P61의 표시는,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에 상당한다. 그리고,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P61, P62의 표시를 반복하여 점멸 표시를 행한다. 이때,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61의 상태는, P62의 표시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드라이버는, P61, P62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어느 시점에 있어서도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61을 상시 시인할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차량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드라이버에 대하여, P61의 표시를 간과할 우려 없이, 신속하게 전달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케이스 3] 특수한 아이콘을 병용한 가시광 애니메이션
케이스 3의 목적은, 차량이 어떠한 움직임을 하는 경우에, 특별한 아이콘을 이용한 경고 아이콘을 노면에 표시함으로써, 보다 한층 더 주의 환기를 촉구하는 것에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미는 도어 타입의 도어 열림에 수반하는 경고 아이콘을 병용한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이하의 P71~P73의 3종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됨으로써, 동적 표시가 행하여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P71 : 차량의 좌측에서 어떠한 액션이 일어나는 것을 이미지할 수 있는 경고 아이콘을 표시
P72 : 도어가 열린 상태를 이미지할 수 있는 표시 + 경고 아이콘의 표시
P73 : 도어가 닫힌 상태로부터 P72의 상태까지 이동할 때에, 도어가 이동하는 모든 구역에 상당하는 표시 + 경고 아이콘의 표시
도 7에 있어서의 P71의 경고 아이콘의 표시는,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에 상당한다. 그리고,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P71~P73의 표시를 반복하여 점멸 표시를 행한다. 이때,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71의 상태는, P72, P73의 표시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드라이버는, P71~P73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어느 시점에 있어서도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71의 경고 아이콘에 의한 표시를 상시 시인할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차량의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드라이버에 대하여, P71의 경고 아이콘의 표시를 간과할 우려 없이, 신속하게 전달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도 3(a)~도 7에 예시한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는, 모두, 모든 도형이 비표시가 되어 버리는 시간이 없도록,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도안의 일부가 상시 표시되고 있다. 이 결과, 주의 환기를 촉구하는 도형을 표시할 때에, 유저가 간과할 우려 없이, 신속하게 표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행함에 있어서는, 복수의 표시 패턴의 전환 표시를 행할 때에, 페이드인ㆍ페이드아웃을 행하거나, 혹은, 방향 지시등 램프 등, 다른 표시 기기와 연동하도록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에 있어서의 라이팅 DB에 저장되어 있는 조사 패턴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전체 제어 ECU(10)로부터 취득한 다양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 상태를 판별하고, 라이팅 DB로부터, 차량 상태에 맞는 조사 패턴을 골라냄으로써, 적절한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그래서, 조사 패턴의 조정 요소로서, (1) 타이밍, (2) 휘도ㆍ색, (3) 표시 위치, (4) 사이즈의 4개에 대하여, 이하에 상술한다.
(1) 타이밍에 대하여
주의 환기의 정보를 받는 상대인 보행자, 혹은 이륜차ㆍ자전거의 드라이버에 따라, 표시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이하의 파라미터에 따라 표시 타이밍을 바꾸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파라미터 1 : 정보를 받는 상대와의 거리
파라미터 2 : 정보를 받는 상대의 속성
파라미터 1에 관해서는, 예컨대, 보행자가 자차로부터 10~20m 떨어진 위치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일례로서, 다음과 같은 타이밍에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ㆍ차가 움직이기 시작하는 3초 이상 전에 표시를 개시한다.
ㆍ보행자와 자차의 거리가 3m 이하가 된 경우에는, 표시를 정지한다.
파라미터 2에 관해서는, 예컨대, 이륜차ㆍ자전거의 드라이버나 고령자 등에게 향한 정보 제시의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속성의 상대는, 보행자보다 약간 앞쪽으로 기운 자세를 취하기 때문에, 아래쪽 시야가 좁아진다. 그래서,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이와 같은 속성의 상대에 대해서는, 서있는 상태의 보행자보다, 약간 빠른 타이밍에 표시를 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외의 예로서, 정보를 받는 상대가 어린아이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어린아이는, 표시에 정신을 빼앗길 것이 염려된다. 그래서,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표시를 정지하는 타이밍을, 다른 속성의 상대보다 비교적 빠르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파라미터 1, 2에 따른 표시 타이밍의 데이터를, 라이팅 DB에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둘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전체 제어 ECU(10)로부터 취득한 다양한 정보에 근거하여 판별한 차량 상태에 맞는 조사 패턴을, 라이팅 DB로부터 골라낼 수 있고, 적절한 표시 타이밍을 갖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2) 휘도ㆍ색에 대하여
주변의 환경광이나 바닥면 재질 등과의 관계로부터, 표시면과 비표시면에서 특정한 콘트라스트 차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광의 휘도 콘트라스트 차이는,
표시면 : 비표시면 = 4 : 1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고 하는 지표도 있다. 단, 바닥면의 재질 등, 다양한 요인이 있으므로,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그때의 주변 환경에 따라 휘도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휘도 콘트라스트 차이를 확보하기 위해, 표시 색을 변경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노면의 색이 흑색에 가까운 경우에는, 물색, 황록, 초록, 백색 등, 물색과 백색을 베이스로 한 색을 표시 색으로서 채용하고, 노면의 색이 백색에 가까운 경우에는, 황색, 황록, 초록, 백색 등 황색과 백색을 베이스로 한 색을 표시 색으로서 채용한다고 하는 조정을 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은 표시면의 정보에 따른 휘도나 색을, 라이팅 DB에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둘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전체 제어 ECU(10)로부터 취득한 다양한 정보에 근거하여 판별한 차량 상태에 맞는 조사 패턴을, 라이팅 DB로부터 골라낼 수 있고, 적절한 휘도나 색을 갖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3) 표시 위치에 대하여
주의 환기의 정보를 받는 상대에 따라,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1) 타이밍에 대하여"에서 설명한 파라미터 1, 2에 따라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파라미터 1에 관해서는, 예컨대, 보행자가 자차로부터 20~30m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자차로부터 떨어진 구역에 표시시킴으로써 예고의 주의 환기를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보행자가 자차로부터 10~20m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자차의 측근 구역에 표시시킴으로써 예고의 주의 환기를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파라미터 2에 관해서는, 예컨대, 이륜차ㆍ자전거의 드라이버나 고령자 등에게 향한 정보 제시의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속성의 상대는, 정상 보행자보다 약간 앞쪽으로 기운 자세를 취하기 때문에, 아래쪽 시야가 좁아진다. 그래서,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이와 같은 속성의 상대에 대해서는, 이륜차ㆍ자전거의 드라이버나 고령자에게 보다 가까운 위치에 표시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파라미터 2에 따라 표시 위치를 비키어 놓는 것 이외에도, 예컨대, 앞의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경고 아이콘과 같은 특별한 표시를 추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정보를 받는 상대가 어린아이인 경우에는, 표시에 정신을 빼앗길 것이 염려된다. 그래서,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어린아이가 접근하면 표시 위치를 비키어 놓거나, 혹은 표시를 끄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파라미터 1, 2에 따른 표시 위치의 데이터를, 라이팅 DB에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둘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전체 제어 ECU(10)로부터 취득한 다양한 정보에 근거하여 판별한 차량 상태에 맞는 조사 패턴을, 라이팅 DB로부터 골라낼 수 있고, 적절한 표시 위치에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4) 사이즈에 대하여
주의 환기의 정보를 받는 상대와의 거리에 따라, 표시 사이즈를 조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컨대, 보행자가 자차로부터 10~20m 떨어진 위치인 경우에는, 1㎡ 이상의 표시 사이즈를 확보하고, 10m 이하의 위치인 경우에는, 표시 사이즈를 보다 작게 한다고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정보를 받는 상대와 자차의 거리에 따라, 표시하는 도형을 변형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보행자가 자차로부터 10m 이상 떨어져 있던 위치인 경우에는, 도형의 종횡비를 종 방향으로 2배 이상으로 늘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의 환기의 정보를 받는 상대와의 거리 등에 따른 표시 사이즈의 데이터를, 라이팅 DB에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둘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40)는, 전체 제어 ECU(10)로부터 취득한 다양한 정보에 근거하여 판별한 차량 상태에 맞는 조사 패턴을, 라이팅 DB로부터 골라낼 수 있고, 표시 내용을 보다 이해하기 쉬운 크기로 조정하여,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자동차로부터 주의 환기를 발신할 때의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일련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라이팅 제어 장치(40)에 의한 일련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라이팅 제어 장치(40) 내의 각 구성 요소와 대응지어 설명한다.
우선, 스텝 ST101에 있어서, 차량 정보 취득부(41a)는, 차량 측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취득한다. 차량 정보 취득부(41a)는, 예컨대, 시프트 레버의 위치가 "P"로부터 "D"로 이동하고, 핸드 브레이크가 "OFF"가 된 것을 나타내는 차량 정보를 취득한다. 혹은, 차량 정보 취득부(41a)는, 예컨대, 시프트 레버의 위치가 "P"로부터 "R"로 이동하고, 핸드 브레이크가 "OFF"가 된 것을 나타내는 차량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스텝 ST102에 있어서, 차량 상태 판별부(41b)는, 차량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 동작을 추정하고, 판별 결과로서 통합 판별부(41c)에 출력한다.
차량 상태 판별부(41b)는, 예컨대, 시프트 레버의 위치가 "P"로부터 "D"로 이동하고, 핸드 브레이크가 "OFF"가 된 것을 나타내는 차량 정보가 얻어진 경우에는, 자차가 정차 상태로부터 전진하려 하고 있다고 추정한다. 혹은, 차량 상태 판별부(41b)는, 예컨대, 시프트 레버의 위치가 "P"로부터 "R"로 이동하고, 핸드 브레이크가 "OFF"가 된 것을 나타내는 차량 정보가 얻어진 경우에는, 자차가 정차 상태로부터 후퇴하려 하고 있다고 추정한다.
또, 차량 상태 판별부(41b)는, 차량 동작의 추정에 한하지 않고, 차량의 상태를 판정하고, 판별 결과로서 통합 판별부(41c)에 출력하더라도 좋다. 차량 상태 판별부(41b)는, 예컨대, 도어 개폐 센서에 의해, 도어가 잠금해제 되는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 ST103에 있어서, 통합 판별부(41c)는, 차량 상태 판별부(41b)의 판별 결과에 근거하여, 차 밖에 전해야 할 정보를 판별한다. 통합 판별부(41c)는, 예컨대, "자차가 정차 상태로부터 전진하려 하고 있다"는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차 밖에 전해야 할 정보가, 앞의 도 5(a) 혹은 도 5(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차량이 전진하는 것을 주의 환기하는 조사를 행하는 것인 취지를, 라이팅 판별부(43a)에 보낼 수 있다.
또한, 통합 판별부(41c)는, 예컨대, "도어가 잠금해제 되었다", "차내의 사람이 도어의 노브에 손을 대었다" 등의 도어가 열리는 트리거로 판별해야 할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차 밖에 전해야 할 정보가, 앞의 도 3(a)~도 3(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도어가 열리는 것을 주의 환기하는 조사를 행하는 것인 취지를, 라이팅 판별부(43a)에 보낼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 ST104에 있어서, 라이팅 판별부(43a)는, 차 밖에 전해야 할 정보를 통합 판별부(41c)로부터 수신하면, 라이팅 DB(43b)를 참조하여, 차 밖에 전해야 할 정보에 적합한 복수의 조사 패턴에서의 라이팅을 판별한다. 구체적으로는, 라이팅 판별부(43a)는, 차 밖에 전해야 할 정보에 적합한 복수의 조사 패턴을 생성한다.
이 결과, 라이팅 판별부(43a)는, 도 3(a), 도 3(b), 도 3(c), 도 4(a), 도 4(b), 도 4(c), 도 5(a), 도 5(b), 도 6, 도 7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복수의 조사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 ST105에 있어서, 라이팅 지시부(43c)는, 라이팅 판별부(43a)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 라이트 디바이스에 조사의 지시를 보냄으로써, 각 라이트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라이팅 지시부(43c)는, 라이팅 판별부(43a)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조사 패턴의 전환 제어를 행함으로써,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행한다.
또, 라이팅 지시부(43c)는, 차량 탑재 스피커에 지시하여, 노면에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조사할 때에, 그 애니메이션에 맞춘 음성을 출력하더라도 좋다. 이때, 라이팅 지시부(43c)는, 차내에 있는 운전수 등에게 향해 음성을 출력하더라도 좋고, 차 밖에 있는 사람에게 향해 음성을 출력하더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실시의 형태 1에 따르면, 주의 환기의 정보를 향수하는 보행자나 자전거ㆍ이륜차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가 상시 표시된 상태에서,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결과, 차량의 주변에 있는 보행자나 자전거ㆍ이륜차의 드라이버는, 표시에 대하여 주의를 향하여, 신속하게 회피 행동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보행자 등은, 주의 환기가 표시되는 구역이 도로면이나 차체인 것을 이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행자 등은, 가시광 애니메이션에 의해, 주의 환기의 내용, 및 주의 환기해야 할 영역을, 간과할 우려 없이, 신속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물리적으로 열리는 최대의 범위(예컨대, 도 3(a), 도 3(b) 참조), 혹은, 차가 이동한다고 예측되는 최대 구역(예컨대, 도 4(b), 도 4(c) 참조)을,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로서 상시 표시할 수 있다. 이 결과, 차량의 주변에 있는 보행자나 자전거ㆍ이륜차의 드라이버는, 상시 표시된 내용에 근거하여, 적절하고 신속한 회피 행동을 취할 수 있고, 불측의 사태를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앞의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자동차로부터 주의 환기를 발신할 때의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것에 비하여,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빌딩 등의 이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이동 경로의 유도 안내를 발신할 때의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처음으로,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하드웨어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시설은, 도 9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각종 센서, 카메라 등으로 이루어지는 센서군(120)을 갖고 있다. 전체 제어 MPU(Micro Processing Unit)(110)는, 센서군(120) 내의 각종 센서로부터 얻은 정보에 근거하여, 다른 하드웨어에 다양한 지시를 보냄으로써, 이들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제어 MPU(110)는, 버스를 통해서, 다른 하드웨어로부터 수신한 소정의 정보를, 라이팅 제어 장치(140) 내의 통합 판별 MPU에 보낸다.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전체 제어 MPU(110)로부터 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외부 라이트 디바이스 A, 외부 라이트 디바이스 B, 프로젝터 디바이스 등의 시설용 라이트 디바이스(150)를 제어한다.
도 9에 있어서, 센서군(120)은, 문 개폐 센서, 사람 감지 센서, 카드 리더, 화재 감지기, 감시 카메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제어 MPU(110)는, 센서군(120) 내의 각 센서가 검출한 정보, 또는 카메라가 촬상한 화상을 수신한다.
여기서, 센서군(120)을 구성하는 각종 센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문 개폐 센서는, 설비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문 개폐를 검출하는 센서이고, 문의 개폐 정보를, 전체 제어 MPU(110)에 출력한다.
사람 감지 센서는, 검출 구역 내에서의 사람의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이고, 사람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전체 제어 MPU(110)에 출력한다.
카드 리더는, 입퇴실이 관리되고 있는 구역의 출입구에 설정되어 있는 센서이고, 카드 내에 기억된 ID 정보, 입퇴실 정보, 행선지 정보 등을, 전체 제어 MPU(110)에 출력한다.
화재 감지기는, 설치된 영역 내에서의 화재 발생의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화재 정보로서, 전체 제어 MPU(110)에 출력한다.
감시 카메라는, 설치 구역 내를 촬상하기 위해 마련된 카메라(촬상 장치)이고, 각각의 촬상 화상을, 전체 제어 MPU(110)에 출력한다. 전체 제어 MPU(110)는, 각각의 촬상 화상에 근거하여, 인간의 검출, 인식, 속성의 판단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체 제어 MPU(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체 제어 MPU(110)는, 시설 전체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MPU이다. 전체 제어 MPU(110)는, 각종 센서로부터 검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에 근거하여, 시설 각 부를 적절히 동작시키는 지시나 정보를 보냄으로써, 시설 전체의 제어를 실행한다.
전체 제어 MPU(110)는, 프로세서,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을 가지고 있다. 프로세서는, 전체 제어 MPU(110)에 있어서, 각종 계산 처리를 실행하는 계산 처리 회로이고, 프로세서 이외에도, 계산 처리 회로, 전기 회로, 컨트롤러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호칭할 수 있는 하드웨어이다.
프로세서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계산 처리 회로의 집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서는, ROM으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내고, 읽어낸 프로그램을 RAM 상에 전개하여, 계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ROM은,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이다. RAM은,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이나 각종 정보의 전개 영역으로서 이용하는 휘발성 기억 장치이다. ROM 및 RAM은, 예컨대, 반도체 기억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되고, 메모리라고 부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는,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 장치로서, ROM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기억 장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스토리지라고 불리는 비휘발성 대용량 기억 장치이더라도 좋다.
또한, 스토리지를 포함시킨 기억 장치를, 총칭하여 메모리라고 부르더라도 좋다. 이와 같은 메모리 구성은, 후술하는 통합 판별 MPU, 라이트 제어 MPU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도 9 중의 시설 제어 대상(13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명 시스템은, 시설 내의 조명을 통괄 제어한다. 공조 시스템은, 시설 내의 공조를 통괄 제어한다. 입퇴실 관리 시스템은, 시설 내의 지정된 각 영역의 입퇴실을 통괄 관리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시설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를 행한다.
다음으로, 도 9 중의 라이팅 제어 장치(14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시설 내에 설치된 라이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이다.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통합 판별 MPU, 무선 통신 장치, 라이트 제어 MPU를 갖는다.
본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시설은, 각종 라이트 디바이스의 광의 조사에 의해, 시설 내의 다양한 장소에서, 유도 안내, 경고 등을 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여기서, 라이트 디바이스란, 후술하는 시설 라이트 디바이스 A, 시설 라이트 디바이스 B, 프로젝터 디바이스의 총칭인 라이트 디바이스(150)를 가리키고 있다.
통합 판별 MPU는, 전체 제어 MPU(110)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정보에 근거하여, 시설의 상황을 판별하고, 라이트 디바이스(150)에 의해, 주위에 전해야 할 내용을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통합 판별 MPU는, 전체 제어 MPU(110)와 마찬가지로, 프로세서, ROM, RAM을 갖고 있다.
통합 판별 MPU는, 전체 제어 MPU(110)로부터 각종 정보를 받아, 시설의 상태를 판단하고, 각 라이트 디바이스의 조사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라이트 제어 MPU에 송신한다. 또한, 통합 판별 MPU는, 통신에 관한 지시를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외부의 통신 기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특정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다른 시설의 제어 장치, 상위의 제어 장치, 및 사람이 갖는 스마트폰 등의 통신 가능한 전자 기기와의 통신을 행한다.
이 통신은, 특정한 결정된 주파수대를 이용한 독자적인 통신이더라도 좋고, 규격화된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행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이 통신은, 예컨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Bluetooth(등록상표), Zigbee(등록상표) 등의 기존의 통신 규격을 이용한 통신이더라도 좋다.
무선 통신 장치는, 안테나를 통해서 송신부에서, 다른 기기에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서 수신부에서, 다른 기기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라이트 제어 MPU는, 각 라이트 디바이스가 조사하는 광을 결정하고, 라이트 디바이스(150)에 지시를 송신하는 제어 장치이다. 라이트 제어 MPU는, 프로세서, ROM, RAM을 갖고 있다. 라이트 제어 MPU는, 통합 판별 MPU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각 라이트 디바이스의 조사 패턴을 결정하고, 이것에 근거하여, 각 라이트 디바이스에 조사의 지시를 송신한다.
여기서, 조사 패턴이란, 1개의 표시 요소, 혹은 2개 이상의 표시 요소의 조합으로서 구성되고, 표시되는 주변의 환경에 따라 시인성을 변경할 수 있도록, 조사 형상, 위치, 크기, 색, 타이밍, 휘도, 시간 등의 조정 요소를 갖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9 중의 라이트 디바이스(15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설 라이트 디바이스 A는, 시설 내의 미리 결정된 영역으로 향해 설치된 조사 장치이다. 시설 라이트 디바이스 A는, 바닥면이나 벽면에 광을 조사하여, 시설 내의 유저에게 유도 안내, 경고 등의 정보를 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시설 라이트 디바이스 A는, 이들 정보를 시설 내의 유저에게 전하기 위해, 이것에 적합한 조사 패턴으로 광을 바닥면 등에 조사한다.
시설 라이트 디바이스 A는, 시설 라이트 드라이버와 시설 라이트 세트를 갖고 있다. 시설 라이트 드라이버는, 시설 라이트 세트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이고, 시설 라이트 세트에 소정의 광을 조사시킨다.
시설 라이트 드라이버 A는, 시설 라이트 세트 중의 각 시설 라이트의 조사 타이밍, 조사 시간 등의 조합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시설 라이트 드라이버 A는, 시설 라이트에 마련된 컬러 필터, 셰이드, 도광 기구 등을 동작시켜, 소정의 구역에, 소정의 조사 패턴을 갖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시설 라이트 세트 A는, 복수의 시설 라이트(조사 장치)를 갖고 있고, 시설 라이트 드라이버에 근거하여, 복수의 시설 라이트가 점등 제어된다.
시설 라이트 디바이스 B는, 시설 내의 미리 결정된 영역으로 향해 설치된 조사 장치이다. 시설 라이트 디바이스 B는, 바닥면이나 벽면에 광을 조사하여, 시설 내의 유저에게 유도 안내, 경고 등의 정보를 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시설 라이트 디바이스 B는, 이들 정보를 시설 내의 유저에게 전하기 위해, 이것에 적합한 조사 패턴으로 광을 바닥면 등에 조사한다.
시설 라이트 디바이스 B는, 시설 라이트 드라이버와 시설 라이트 세트를 갖고 있다. 시설 라이트 드라이버는, 시설 라이트 세트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이고, 시설 라이트 세트에 소정의 광을 조사시킨다.
시설 라이트 드라이버 B는, 시설 라이트 세트 중의 각 시설 라이트의 조사 타이밍, 조사 시간 등의 조합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시설 라이트 드라이버 B는, 시설 라이트에 마련된 컬러 필터, 셰이드, 도광 기구 등을 동작시켜, 소정의 구역에, 소정의 조사 패턴을 갖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시설 라이트 세트 B는, 복수의 시설 라이트(조사 장치)를 갖고 있고, 시설 라이트 드라이버의 동작에 근거하여, 복수의 시설 라이트가 점등 제어된다.
프로젝터 디바이스는, 시설 내의 미리 결정된 영역으로 향해 설치된 영상 투사 장치이다. 프로젝터 디바이스는, 바닥면이나 벽면에 광을 조사하여, 시설 내의 유저에게 유도 안내, 경고 등의 정보를 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프로젝터 디바이스는, 이들 정보를 시설 내의 유저에게 전하기 위해, 이것에 적합한 조사 패턴으로 광을 바닥면 등에 조사(투영)한다.
프로젝터 디바이스는, 프로젝터 드라이버와 프로젝터를 갖고 있다. 프로젝터 드라이버는, 프로젝터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이고, 프로젝터에 소정의 광을 조사시킨다. 프로젝터 드라이버는, 프로젝터가 조사하는 광의 조사 패턴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프로젝터는, 광(영상)을 시설 내에 조사(투영)하는 조사(투영) 장치이다. 프로젝터는, 프로젝터 드라이버의 동작에 근거하여 광(영상)을 시설 내(바닥면이나 벽면)에 조사한다.
다음으로, 라이팅 제어 장치(140)에 의한 구체적인 제어 처리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라이팅 제어 장치(14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통합 판별 MPU(141), 무선 통신부(142), 및 라이트 제어 MPU(14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라이팅 제어 장치(140) 내의 통합 판별 MPU(141)는, 이용자 상황 취득부(141a), 이용자 상태 판별부(141b), 통합 판별부(141c)를 갖고 있다. 또한, 라이팅 제어 장치(140) 내의 라이트 제어 MPU(143)는, 라이팅 판별부(143a), 라이팅 DB(143b), 라이팅 지시부(143c)를 갖고 있다.
이용자 상황 취득부(141a)는, 전체 제어 MPU(110)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용자 상황 취득부(141a)가 취득하는 정보는, 옥내외의 시설에 탑재되어 있는 문 개폐 센서, 사람 감지 센서, 화재 감지기 등의 검출 정보, 시설 내의 각 경로에 탑재된 카메라에 근거하는 인식 정보 등을 통해서 얻어지는 시설 내의 사람의 이동에 관련되는 정보에 상당한다. 이용자 상황 취득부(141a)는, 취득한 정보를 이용자 상태 판별부(141b)에 송신한다.
이용자 상태 판별부(141b)는, 이용자 상황 취득부(141a)로부터 수신한 시설 내의 사람의 이동에 관련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표시 내용을 판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예컨대, 이용자 상황 취득부(141a)는, 방 사이의 문ㆍ입구나 엘리베이터 문에 설치된 문 개폐 센서, 카드 리더에 의한 검출 정보 등으로부터, 이동하는 사람의 유무나 그 속성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 상황 취득부(141a)는, 안내를 표시ㆍ투사하는 기재 구역에 설치된 사람 감지 센서 혹은 카메라의 검출 정보로부터, 표시ㆍ투사 구역 내의 사람의 유무나 그 속성, 혹은, 표시ㆍ투사 구역을 시인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사람의 유무나 그 속성을 판별할 수 있다.
통합 판별부(141c)는, 이용자 상태 판별부(141b)의 판별 결과에 근거하여, 시설 내의 이용자에게 전해야 할 정보를 판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예컨대, 통합 판별부(141c)는, 시설 내의 경로가 분기하는 장소에 있어서, 목적 시설과 그 소재 방향을 식별 표시하기 위한 조사를 행하는 지시를, 시설 이용자에게 전해야 할 정보로서 라이팅 판별부(143a)에 보낸다.
또한, 통합 판별부(141c)는, 화재 감지기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시설 이용자에 대하여 피난 경로를 제공하여 피난 유도를 행하기 위한 조사를 행하는 지시를, 시설 이용자에게 전해야 할 정보로서 라이팅 판별부(143a)에 보낸다.
또한, 통합 판별부(141c)는, 이용자 상태 판별부(141b)의 판별 결과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무선 통신부(142)는, 통합 판별부(141c)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외부 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라이트 제어 MPU(143) 내의 라이팅 판별부(143a)는, 시설 이용자에게 전해야 할 정보를 통합 판별부(141c)로부터 수신하면, 라이팅 DB(143b)를 참조하여, 시설 이용자에게 전해야 할 정보에 적합한 조사 패턴에서의 라이팅을 판별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도 10에 나타낸 라이트 제어 MPU(143)의 기능은, 앞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도 2에 나타낸 라이트 제어 MPU(143)의 기능과 동일하고, 라이팅 DB(143b)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상이하다. 그래서, 각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라이팅 DB(143b)에 저장되어 있는 조사 패턴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후술하는 것으로 하고, 우선 먼저, 빌딩 등의 이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이동 경로의 유도 안내를 행하기 위해 투영ㆍ표시되는 가시광 애니메이션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다음의 3가지 케이스에 따른 가시광 애니메이션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스 1] 안내 대상인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을 조합한 가시광 애니메이션
[케이스 2] 안내 대상인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을 조합한 가시광 애니메이션이고,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이 케이스 1과 상이한 것
[케이스 3] 목적 시설의 내용과 목적 시설 자신이 소재하는 장소의 양쪽을 표시함과 아울러, 양 표시의 사이에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을 조합한 가시광 애니메이션
또, 케이스 1~케이스 3의 목적은, 모두, 안내 대상의 목적 시설과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을 세트로 표시하고, 또한,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에 관해서는,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적용하고, 빌딩 내에서의 유도 안내를 신속하게 행하는 것에 있다.
[케이스 1] 안내 대상인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을 조합한 가시광 애니메이션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을 조합한 제 1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이하의 P111~P113의 3종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됨으로써, 동적 표시가 행하여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P111 : 목적 시설의 명칭과 소재지의 방향을 이미지할 수 있는 표시
P112 : 방향을 보다 강조하기 위해 화살표의 수를 2개로 늘린 표시
P113 : 방향을 더 강조하기 위해 화살표의 수를 3개로 늘린 표시
도 11에 있어서의 P111의 표시는,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에 상당한다. 그리고,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P111~P113의 표시를 반복하여 점멸 표시를 행한다. 이때,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111의 상태는, P112, P113의 표시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시설 이용자는, P111~P113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어느 시점에 있어서도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111을 상시 시인할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시설 이용자에 대하여, P111의 표시를 간과할 우려 없이, 신속하게 전달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케이스 2] 안내 대상인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을 조합한 가시광 애니메이션이고,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이 케이스 1과 상이한 것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을 조합한 제 2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이하의 P121~P123의 3종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됨으로써, 동적 표시가 행하여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P121 : 목적 시설의 명칭과 소재지의 방향을 이미지할 수 있는 표시
P122, P123 : 방향을 보다 강조하기 위해, P121의 표시에 더하여, 슬라이드하는 애니메이션을 표시
도 11에 나타낸 제 1 가시광 애니메이션은, 표시하는 화살표의 수를 변경하여 동적 표시를 행하고 있었다. 이것에 비하여, 도 12에 나타낸 제 2 가시광 애니메이션은, 이동 방향을 의미하는 도형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동적 표시를 행하고 있다.
도 12에 있어서의 P121의 표시는,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에 상당한다. 그리고,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P121~P123의 표시를 반복하여 점멸 표시를 행한다. 이때,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121의 상태는, P122, P123의 표시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시설 이용자는, P121~P123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어느 시점에 있어서도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121을 상시 시인할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시설 이용자에 대하여, P121의 표시를 간과할 우려 없이, 신속하게 전달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케이스 3] 목적 시설의 내용과 목적 시설 자신이 소재하는 장소의 양쪽을 표시함과 아울러, 양 표시의 사이에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을 조합한 가시광 애니메이션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을 조합한 제 3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이하의 P131~P133의 3종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됨으로써, 동적 표시가 행하여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P131 : 목적 시설을 식별 가능한 표시를 좌측 및 우측에 표시하고, 또한,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을 좌우의 표시의 사이의 좌측 가까이에 조합하여 표시시킨 것
P132 : 목적 시설 및 방향성을 보완하는 정보를, 중간에 표시시킨 것. 도 13에서는, 보완하는 정보가 단지 선분으로 나타내어지고 있지만, 적절한 문자, 도형 등을 보완하는 정보로서 표시할 수 있다.
P133 : 방향을 더 강조하기 위해,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을 좌우의 표시의 사이의 우측 가까이에 추가로 표시시킨 것
도 11에 나타낸 제 1 가시광 애니메이션은, 표시하는 화살표의 수를 변경하여 동적 표시를 행하고 있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제 2 가시광 애니메이션은, 이동 방향을 의미하는 도형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동적 표시를 행하고 있었다. 이것에 비하여, 도 13에 나타낸 제 3 가시광 애니메이션은, 보완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표시하는 화살표의 수를 변경하여 동적 표시를 행하고 있다.
도 13에 있어서의 P131의 표시는,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에 상당한다. 그리고,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P131~P133의 표시를 반복하여 점멸 표시를 행한다. 이때,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131의 상태는, P132, P133의 표시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시설 이용자는, P131~P133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어느 시점에 있어서도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인 P131을 상시 시인할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시설 이용자에 대하여, P131의 표시를 간과할 우려 없이, 신속하게 전달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1~도 13에 예시한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는, 모두, 목적 시설을 식별 가능한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표시가, 비표시가 되어 버리는 시간이 없도록, 상시 표시되고 있다. 이 결과, 목적 시설로의 이동 방향을 촉구하는 정보를 표시할 때에, 유저가 간과할 우려 없이, 신속하게 표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에 있어서의 라이팅 DB에 저장되어 있는 조사 패턴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전체 제어 MPU(110)로부터 취득한 다양한 정보에 근거하여 주변 환경 상태를 판별하고, 라이팅 DB로부터, 주변 환경 상태에 맞는 조사 패턴을 골라냄으로써, 적절한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그래서, 조사 패턴의 조정 요소로서, (1) 타이밍, (2) 휘도ㆍ색, (3) 표시 위치, (4) 사이즈의 4개에 대하여, 이하에 상술한다.
(1) 타이밍에 대하여
이동 경로의 유도 안내에 관한 정보를 받는 상대인 시설 이용자의 상황에 따라, 표시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의 개시ㆍ중단ㆍ종료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의 개시ㆍ중단ㆍ종료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각 조건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개시 조건 : 표시ㆍ투사 구역을 시인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이용자가 있는 경우에, 가시광 애니메이션의 표시ㆍ투사를 개시한다. 혹은, 특정한 도어나 카드 리더를 통과하는 이용자가 있는 경우에, 가시광 애니메이션의 표시ㆍ투사를 개시한다.
중단 조건 : 유도 안내를 표시ㆍ투사하는 구역에 허용 인수를 넘는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사람이 방해하여 안내가 보이지 않게 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표시ㆍ투사를 중단한다.
종료 조건 : 표시ㆍ투사 구역을 시인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사람이 없는 경우에, 표시ㆍ투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은 개시ㆍ중단ㆍ종료의 각 조건에 따른 데이터를, 라이팅 DB에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둘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전체 제어 MPU(110)로부터 취득한 다양한 정보에 근거하여 판별한 주변 환경 상태에 맞는 조사 패턴을, 라이팅 DB로부터 골라낼 수 있고, 적절한 표시 타이밍을 갖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2) 휘도ㆍ색에 대하여
주변의 환경광이나 바닥면 재질 등과의 관계로부터, 표시면과 비표시면에서 특정한 콘트라스트 차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광의 휘도 콘트라스트 차이는,
표시면 : 비표시면 = 4 : 1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고 하는 지표도 있다. 단, 바닥면의 재질 등, 다양한 요인이 있으므로,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그때의 주변 환경 상태에 따라 휘도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휘도 콘트라스트 차이를 확보하기 위해, 표시 색을 변경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바닥면 혹은 벽면의 색이 흑색에 가까운 경우에는, 물색, 황록, 초록, 백색 등, 물색과 백색을 베이스로 한 색을 표시 색으로서 채용하고, 바닥면 혹은 벽면의 색이 백색에 가까운 경우에는, 황색, 황록, 초록, 백색 등 황색과 백색을 베이스로 한 색을 표시 색으로서 채용한다고 하는 조정을 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은 표시면의 정보에 따른 휘도나 색을, 라이팅 DB에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둘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전체 제어 MPU(110)로부터 취득한 다양한 정보에 근거하여 판별한 주변 환경 상태에 맞는 조사 패턴을, 라이팅 DB로부터 골라낼 수 있고, 적절한 휘도나 색을 갖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3) 표시 위치에 대하여
이동 경로의 유도 안내에 관한 정보를 받는 상대의 상황에 따라,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이하의 파라미터에 따라 표시 위치를 바꾸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파라미터 1 : 표시ㆍ투사 구역을 시인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사람의 유무
파라미터 2 : 안내의 표시ㆍ투사 대상인 바닥면 혹은 벽면의 구역에 있어서의 사람의 유무
파라미터 3 : 이동 경로의 유도 안내를 필요로 하는 시설 이용자의 속성
파라미터 1에 관해서는, 예컨대, 표시ㆍ투사 구역을 시인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 사람의 거리에 따라, 표시 위치를 가변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사람이 5m 미만의 거리에 있을 때와, 5m 이상 떨어진 거리에 있을 때에, 표시 위치를 상이하게 하는 것, 혹은, 거리에 따라 추가의 도형을 표시하여, 정보를 보완하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파라미터 2에 관해서는, 예컨대, 안내의 표시ㆍ투영 구역에 복수의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도형의 표시 위치를 비키어 놓아, 사람에 의해 숨어 버리는 구역의 비율을 낮추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파라미터 3에 관해서는, 파라미터 1, 2로서 인식된 사람이, 예컨대, 휠체어 유저 혹은 고령자와 같이, 시선이 하강하는 속성인 경우에는, 바닥면의 보기 쉬운 범위가 좁다. 이 때문에, 표시 위치를 휠체어 유저나 고령자의 가까이에 비키어 놓는 것, 혹은, 추가의 도형을 표시하여 정보를 보완하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파라미터 1~3에 따른 표시 위치의 데이터를, 라이팅 DB에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둘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전체 제어 MPU(110)로부터 취득한 다양한 정보에 근거하여 판별한 주변 환경 상태에 맞는 조사 패턴을, 라이팅 DB로부터 골라낼 수 있고, 적절한 표시 위치에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4) 사이즈에 대하여
이동 경로의 유도 안내에 관한 정보를 받는 상대 이동에 관련되는 정보에 따라, 표시 사이즈를 조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3) 표시 위치에 대하여"에서 설명한 파라미터 1~3에 따라 표시 사이즈를 조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파라미터 1에 관해서는, 예컨대, 표시ㆍ투사 구역을 시인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 사람의 거리에 따라, 표시 사이즈를 가변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사람이 5m 미만의 거리에 있을 때는, 1개의 도형 사이즈를 약 50㎝로 하고, 5m 이상 떨어져 있을 때는, 도형 사이즈를 크게 하여 약 100㎝로 한다고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파라미터 2에 관해서는, 예컨대, 안내의 표시ㆍ투영 구역에 복수의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도형 그 자체의 사이즈를 크게 함으로써, 표시 도형 중에서 사람에 의해 숨어 버리는 구역의 비율을 낮추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파라미터 3에 관해서는, 파라미터 1, 2로서 인식된 사람이, 예컨대, 휠체어 유저 혹은 고령자와 같이, 시선이 하강하는 속성인 경우에는, 바닥면의 보기 쉬운 범위가 좁다. 이 때문에, 도형의 사이즈를 크게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투사 방식으로 안내하는 경우, 시설 내의 다른 설비(벽이나 기재 등)에 접촉하지 않도록 사이즈를 조정한다. 또한, 주변의 휘도에 따라 표시 휘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표시 사이즈를 작게 하여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경로의 유도 안내에 관한 정보를 받는 상대의 상황에 따른 표시 사이즈의 데이터를, 라이팅 DB에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둘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전체 제어 MPU(110)로부터 취득한 다양한 정보에 근거하여 판별한 주변 환경 상태에 맞는 조사 패턴을, 라이팅 DB로부터 골라낼 수 있고, 표시 내용을 보다 이해하기 쉬운 크기로 조정하여,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시설의 이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이동 경로의 유도 안내를 발신할 때의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일련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라이팅 제어 장치(140)에 의한 일련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라이팅 제어 장치(140) 내의 각 구성 요소와 대응지어 설명한다.
우선, 스텝 ST201에 있어서, 이용자 상황 취득부(141a)는, 시설 측으로부터 시설 내의 사람의 이동에 관련되는 다양한 정보를 취득한다. 이용자 상황 취득부(141a)는, 예컨대, 문 개폐 센서에 의한 검지 정보, 혹은 사람 감지 센서에 의한 검지 정보 등을 취득한다.
다음으로, 스텝 ST202에 있어서, 이용자 상태 판별부(141b)는, 이용자 상황 취득부(141a)가 취득한 정보에 근거하여 이용자 동작을 추정하고, 판별 결과로서 통합 판별부(141c)에 출력한다.
이용자 상태 판별부(141b)는, 예컨대, 시설 내의 영화관으로 연결되는 입구의 문이 열린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얻어진 경우에는, 이용자가 영화관으로 향하려 하고 있다고 추정한다.
또, 이용자 상태 판별부(141b)는, 이용자 동작의 추정에 한하지 않고, 이용자의 상태를 판정하고, 판별 결과로서 통합 판별부(141c)에 출력하더라도 좋다. 이용자 상태 판별부(141b)는, 예컨대, 시설 내에서의 분기 구역에 설치된 사람 감지 센서에 의해, 분기로의 어느 하나의 경로로 이용자가 나아가는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 ST203에 있어서, 통합 판별부(141c)는, 이용자 상태 판별부(141b)의 판별 결과에 근거하여, 이용자에게 전해야 할 정보를 판별한다. 통합 판별부(141c)는, 예컨대, "이용자가 영화관으로 향하려 하고 있다"는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이용자에게 전해야 할 정보가, 앞의 도 11~도 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목적 시설인 영화관에 유도 안내하는 조사를 행하는 것인 취지를, 라이팅 판별부(143a)에 보낼 수 있다.
또한, 통합 판별부(141c)는, 예컨대, "분기로에 이용자가 있는 상태"라는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이용자에게 전해야 할 정보가, 분기로에 따른 각각의 목적 시설과 그 소재 방향을 식별 표시하기 위한 조사를 행하는 것인 취지를, 라이팅 판별부(143a)에 보낼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 ST204에 있어서, 라이팅 판별부(143a)는, 이용자에게 전해야 할 정보를 통합 판별부(141c)로부터 수신하면, 라이팅 DB(143b)를 참조하여, 이용자에게 전해야 할 정보에 적합한 복수의 조사 패턴에서의 라이팅을 판별한다. 구체적으로는, 라이팅 판별부(143a)는, 이용자에게 전해야 할 정보에 적합한 복수의 조사 패턴을 생성한다.
이 결과, 라이팅 판별부(143a)는, 도 11, 도 12, 도 1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복수의 조사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 ST205에 있어서, 라이팅 지시부(143c)는, 라이팅 판별부(143a)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 라이트 디바이스에 조사의 지시를 보냄으로써, 각 라이트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라이팅 지시부(143c)는, 라이팅 판별부(143a)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조사 패턴의 전환 제어를 행함으로써,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행한다.
또, 라이팅 지시부(143c)는, 시설 내의 스피커에 지시하여, 바닥면 혹은 벽면에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조사할 때에, 그 애니메이션에 맞춘 음성을 출력하더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실시의 형태 2에 따르면, 이동 경로의 유도 안내에 관한 정보를 향수하는 시설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가 상시 표시된 상태에서,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결과, 시설 이용자는, 표시 내용에 따라, 목적 시설로 향해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시설 이용자를 목적 시설의 장소로 유도하기 위한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에 대하여 상술했지만, 시설에서 재해가 발생했을 때의 피난 경로의 유도 안내 등의 용도에도,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3.
앞의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빌딩 등의 이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이동 경로의 유도 안내를 발신할 때에, 도 11에 있어서의 P111, 도 12에 있어서의 P121, 도 13에 있어서의 P131과 같이,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의 일부가 고정 위치에서 상시 표시되고 있는 가시광 애니메이션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것에 비하여, 본 실시의 형태 3에서는,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을 이동시키면서 상시 표시시키는 가시광 애니메이션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드웨어 구성은, 앞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도 9와 동일하고, 라이팅 제어 장치(140)의 기능 구성은, 앞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도 10과 동일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빌딩 등의 이용자에 대하여, 적절한 이동 경로의 유도 안내를 행하기 위해,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을 이동시키면서 투영ㆍ표시되는 본 실시의 형태 3의 가시광 애니메이션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 3에서는, 다음의 3가지 케이스에 따른 가시광 애니메이션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스 1] 안내 대상인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슬라이드 도형을 조합한 제 1 가시광 애니메이션
[케이스 2] 안내 대상인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슬라이드 도형을 조합한 제 2 가시광 애니메이션
[케이스 3] 안내 대상인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슬라이드 도형을 조합한 제 3 가시광 애니메이션
또, 케이스 1과 케이스 2에서는, 방향성을 나타내는 슬라이드 애니메이션의 방향을, 목적 시설의 표시로부터 멀어지도록 표시하는지, 목적 시설의 표시로 향해 표시하는지가 상이하다. 또한, 케이스 3은, 전진한 후, 왼쪽으로 가는 2방향의 이동을 슬라이드 애니메이션으로서 표시하는 점에서, 1방향의 이동을 슬라이드 애니메이션으로서 표시하고 있던 케이스 1, 2와는 상이하다.
또, 케이스 1~케이스 3의 목적은, 모두, 안내 대상의 목적 시설과 방향성을 나타내는 슬라이드 도형을 세트로 표시하고, 또한, 방향성을 나타내는 슬라이드 도형에 관해서는,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빌딩 내에서의 유도 안내를 신속하게 행하는 것에 있다.
[케이스 1] 안내 대상인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슬라이드 도형을 조합한 제 1 가시광 애니메이션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슬라이드 도형을 조합한 제 1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화살표가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형태로 동적 표시가 행하여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하의 P151~P153의 3종의 표시는, 화살표가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가는 경과의 대표적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결과, 화살표가 항상 1개 이상 표시된 상태에서의 슬라이드 애니메이션을 실현할 수 있다.
P151 : 목적 시설의 명칭과 소재지의 방향을 이미지할 수 있는 표시이고, 슬라이드 동작의 개시 상태에 상당
P152 : 방향을 보다 강조하기 위해, P151의 상태로부터 화살표를 이동 방향인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표시시키고 있는 도중 경과를 나타낸 것
P153 : 슬라이드시킨 화살표가 우단에 도달함으로써, 좌단의 화살표를 재차 표시시켜, 슬라이드 동작을 개시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
도 15에 있어서의 3종의 표시 P151, P152, P153에서는, 목적 시설의 명칭이 고정 위치에 공통하여 표시되어 있음과 아울러, 슬라이드 도형이 고정 위치가 아니지만,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으로서 반드시 표시되어 있다. 즉, 도 15에 있어서의 3종의 표시 P151, P152, P153은, 공통한 1개의 표시가 아니지만, 목적 시설의 명칭과 방향성의 조합이,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로서 상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P151~P153의 표시를 반복하여 점멸 표시를 행한다. 이때,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가, P151~P153의 어느 표시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시설 이용자는, P151~P153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어느 시점에 있어서도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상시 시인할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시설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간과할 우려 없이, 신속하게 전달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케이스 2] 안내 대상인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슬라이드 도형을 조합한 제 2 가시광 애니메이션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슬라이드 도형을 조합한 제 2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화살표가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형태로 동적 표시가 행하여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하의 P161~P163의 3종의 표시는, 화살표가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가는 경과의 대표적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결과, 화살표가 항상 1개 이상 표시된 상태에서의 슬라이드 애니메이션을 실현할 수 있다.
P161 : 목적 시설의 명칭과 소재지의 방향을 이미지할 수 있는 표시이고, 슬라이드 동작의 개시 상태에 상당
P162 : 방향을 보다 강조하기 위해, P161의 상태로부터 화살표를 이동 방향인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표시시키고 있는 도중 경과를 나타낸 것
P163 : 슬라이드시킨 화살표가 좌단에 도달함으로써, 우단의 화살표를 재차 표시시켜, 슬라이드 동작을 개시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
도 16에 있어서의 3종의 표시 P161, P162, P163에서는, 목적 시설의 명칭이 고정 위치에 공통하여 표시되어 있음과 아울러, 슬라이드 도형이 고정 위치가 아니지만,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으로서 반드시 표시되어 있다. 즉, 도 16에 있어서의 3종의 표시 P161, P162, P163은, 공통한 1개의 표시가 아니지만, 목적 시설의 명칭과 방향성의 조합이,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로서 상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P161~P163의 표시를 반복하여 점멸 표시를 행한다. 이때,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가, P161~P163의 어느 표시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시설 이용자는, P161~P163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어느 시점에 있어서도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상시 시인할 수 있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시설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간과할 우려 없이, 신속하게 전달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케이스 3] 안내 대상인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슬라이드 도형을 조합한 제 3 가시광 애니메이션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 목적 시설의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슬라이드 도형을 조합한 제 3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화살표가 위쪽 방향(직진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형태로 동적 표시가 행하여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하의 P171~P175의 5종의 표시는, 화살표가 2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가는 경과의 대표적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결과, 화살표가 항상 1개 이상 표시된 상태에서의 슬라이드 애니메이션을 실현할 수 있다.
P171 : 목적 시설의 명칭과, 현시점에서의 최초의 이동 방향을 이미지할 수 있는 표시이고, 슬라이드 동작의 개시 상태에 상당
P172 : 방향을 보다 강조하기 위해, P171의 상태로부터 화살표를 이동 방향인 직진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표시시키고 있는 도중 경과를 나타낸 것
P173 : 슬라이드시킨 화살표가 상단에 도달함으로써, 그 후, 좌회전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좌측 방향의 화살표를 표시시켜, 좌측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을 개시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
P174 : 직진 후의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보다 강조하기 위해, P173의 상태로부터 화살표를 이동 방향인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표시시키고 있는 도중 경과를 나타낸 것
P175 : 슬라이드시킨 화살표가 좌단에 도달함으로써, P171의 화살표를 재차 표시시켜, 슬라이드 동작을 개시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
도 17에 있어서의 5종의 표시 P171, P172, P173, P174, P175에서는, 목적 시설의 명칭이 고정 위치에 공통하여 표시되어 있음과 아울러, 슬라이드 도형이 고정 위치가 아니지만,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으로서 반드시 표시되어 있다. 즉, 도 17에 있어서의 5종의 표시 P171, P172, P173, P174, P175는, 공통한 1개의 표시가 아니지만, 목적 시설의 명칭과 방향성의 조합이,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로서 상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7을 본 시설 이용자는, 직진 후에 좌회전한다고 하는 2방향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P171~P175의 표시를 반복하여 점멸 표시를 행한다. 이때,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가, P171~P175의 어느 표시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시설 이용자는, P171~P175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어느 시점에 있어서도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상시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도형이, 상시 1개 이상은 표시되도록 루프하여 반복 표시됨으로써, 복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이동 경로를 적확하게 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라이팅 제어 장치(140)는, 시설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간과할 우려 없이, 신속하게 전달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5~도 17에 예시한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는, 모두, 목적 시설을 식별 가능한 표시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표시가, 비표시가 되어 버리는 시간이 없도록, 상시 표시되고 있다. 이 결과, 목적 시설로의 이동 방향을 촉구하는 정보를 표시할 때에, 유저가 간과할 우려 없이, 신속하게 표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의 라이팅 제어 장치(140)에 의한 일련 동작의 플로차트는, 앞의 실시의 형태 2에서 나타낸 도 14의 플로차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의 형태 3에 따르면, 이동 경로의 유도 안내에 관한 정보를 향수하는 시설 이용자에 대하여, 전달 내용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가 상시 표시된 상태에서, 가시광 애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결과, 시설 이용자는, 표시 내용에 따라, 목적 시설로 향해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실시의 형태 3에서는,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형을 이동시키면서 상시 표시시킴으로써, 복수 방향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이동 경로를, 시설 이용자가 신속하게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가시광 애니메이션 표시할 수 있다.
40 : 라이팅 제어 장치(조사 제어 장치)
41 : 통합 판별 ECU(취득부)
43 : 라이트 제어 ECU
43a : 라이팅 판별부(판별부)
43b : 라이팅 DB(데이터베이스)
43c : 라이팅 지시부(조사 제어부)
50 : 라이트 디바이스(조사부)
140 : 라이팅 제어 장치(조사 제어 장치)
141 : 통합 판별 MPU(취득부)
143 : 라이트 제어 MPU
143a : 라이팅 판별부(판별부)
143b : 라이팅 DB(데이터베이스)
143c : 라이팅 지시부(조사 제어부)
150 : 라이트 디바이스(조사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소정의 의도를 주위의 사람에게 나타내는 광의 조사를 제어하는 조사 제어 장치로서,
    제 1 조사 요소와, 상기 제 1 조사 요소가 사라질 때에 조사되고 있고, 그 조사의 의도를 나타내는 제 2 조사 요소를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제 2 조사 요소가 사라질 때에 상기 제 1 조사 요소가 재차 조사되고 있도록 제어하는 조사 제어부를 구비하고,
    조사 제어를 행하기 위한 판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가 취득한 판별 정보에 근거하여 조사 내용을 판별하는 판별부와,
    조사 내용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사 제어부는, 상기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상기 조사 내용에 따라 상기 제 1 조사 요소 및 상기 제 2 조사 요소를 특정하여 광의 조사를 제어하는
    조사 제어 장치로서,
    상기 조사 제어 장치는, 유저가 이용하는 시설에 탑재되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시설 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 검출 센서로부터 유저의 이동에 관련되는 주변 정보를 상기 판별 정보로서 취득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판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조사 내용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조사 내용을 판별하는
    조사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판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의 의도를 주위의 사람에게 나타내는 광을 조사하는 주변 환경 상태 및 조사된 광을 보는 이용자의 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조사 제어부는, 상기 판별부에 의해 판단된 상기 주변 환경 상태 및 상기 속성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조사 요소 및 상기 제 2 조사 요소의 조정 요소인 표시 타이밍, 표시 휘도, 표시 색, 표시 위치, 표시 사이즈 중 적어도 어느 1개를 조정하여, 조사를 제어하는
    조사 제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제어부의 제어에 근거하여,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를 더 구비하는 조사 제어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제어부는, 상기 제 2 조사 요소가 상시 조사되도록 조사를 제어하는 조사 제어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사 요소는, 복수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조사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요소가 1개씩 증가하도록 조사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요소의 모두를 조사한 후에, 상기 제 1 조사 요소가 사라지도록 조사를 제어하는
    조사 제어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사 요소는, 방향을 나타내는 조사 요소이고,
    상기 조사 제어부는, 상기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조사 요소를 슬라이드시키는
    조사 제어 장치.
  11. 삭제
  12. 소정의 의도를 주위의 사람에게 나타내는 광을 조사하는 조사 방법으로서,
    제 1 조사 요소를 조사하고,
    상기 제 1 조사 요소가 사라질 때에 조사되고 있고, 그 조사의 의도를 나타내는 제 2 조사 요소를 조사하고, 또한 상기 제 2 조사 요소가 사라질 때에 상기 제 1 조사 요소를 재차 조사하는
    조사 방법으로서,
    조사 제어를 행하기 위한 판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이 취득한 판별 정보에 근거하여 조사 내용을 판별하는 판별 스텝과,
    상기 판별 스텝에 의해 판별된 상기 조사 내용에 따라 상기 제 1 조사 요소 및 상기 제 2 조사 요소를 특정하여 광의 조사를 제어하는 조사 제어 스텝
    을 구비하고,
    상기 취득 스텝은, 유저가 이용하는 시설 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 검출 센서로부터 유저의 이동에 관련되는 주변 정보를 상기 판별 정보로서 취득하고,
    상기 판별 스텝은, 상기 취득 스텝이 취득한 상기 판별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조사 내용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조사 내용을 판별하는
    조사 방법.
KR1020197020887A 2017-01-26 2017-01-26 조사 제어 장치 및 조사 방법 KR102117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02795 WO2018138842A1 (ja) 2017-01-26 2017-01-26 照射制御装置および照射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077A KR20190089077A (ko) 2019-07-29
KR102117817B1 true KR102117817B1 (ko) 2020-06-02

Family

ID=59969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887A KR102117817B1 (ko) 2017-01-26 2017-01-26 조사 제어 장치 및 조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19445B2 (ko)
JP (1) JP6203463B1 (ko)
KR (1) KR102117817B1 (ko)
CN (1) CN110214472B (ko)
DE (1) DE112017006529B4 (ko)
WO (1) WO20181388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2903B2 (ja) * 2018-07-27 2022-08-22 マクセル株式会社 路面映像投射装置及び車両用灯具
CN112334361B (zh) * 2018-07-04 2024-03-26 三菱电机株式会社 信息显示装置和信息显示方法
WO2020067305A1 (ja) 2018-09-28 2020-04-0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の発進通知表示装置
JP2020055519A (ja) * 2018-09-28 2020-04-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の発進通知表示装置。
CN113170078A (zh) * 2018-12-13 2021-07-23 三菱电机株式会社 动画显示装置和动画显示方法
JP2020100380A (ja) * 2018-12-25 2020-07-02 豊田合成株式会社 旅客車両用情報提供システム
JPWO2021006217A1 (ko) * 2019-07-05 2021-01-14
WO2021049232A1 (ja) * 2019-09-09 2021-03-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描画装置
KR20210060038A (ko) * 2019-11-18 2021-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CN115151444A (zh) * 2020-02-17 2022-10-04 株式会社小糸制作所 灯具系统
JP1677472S (ja) * 2020-04-01 2021-01-25 情報表示用画像
JPWO2022019231A1 (ko) * 2020-07-20 2022-01-27
JPWO2022030181A1 (ko) * 2020-08-05 2022-02-10
KR20220036623A (ko) 2020-09-16 2022-03-23 김범진 사면절개구역의 사면녹화 시공방법
JPWO2022137995A1 (ko) * 2020-12-25 2022-06-30
KR102290486B1 (ko) 2021-05-18 2021-08-17 에덴녹화산업주식회사 보습이 뛰어난 녹생토 및 그 제조방법
DE102021120549A1 (de) 2021-08-06 2023-02-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r Projektionseinhei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s
USD980273S1 (en) * 2021-08-13 2023-03-07 Dropbox,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618373B1 (en) 2022-04-04 2023-04-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aptive color selection for vehicle puddle ligh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6857A (ja) * 2007-05-15 2008-11-27 Mk Seiko Co Ltd 表示装置
JP2016193689A (ja) * 2015-04-01 2016-11-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描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7764A (en) 1986-05-30 1988-04-12 Collins & Aikman Corporation Modular floor covering units with built-in lighting
JPH0855282A (ja) * 1994-08-10 1996-02-27 Denki Koji Nishikawagumi:Kk 誘導装置
JP5262057B2 (ja) 2006-11-17 2013-08-14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照射装置
JP5151452B2 (ja) 2007-12-19 2013-02-27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情報表示装置
CN101718408B (zh) 2009-10-30 2012-10-31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机场跑道警戒装置
JP5541583B2 (ja) * 2010-08-04 2014-07-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発光媒体および発光媒体の確認方法
JP2013242687A (ja) 2012-05-21 2013-12-05 Hochiki Corp 避難誘導システム
JP6011791B2 (ja) 2012-10-24 2016-10-1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後方監視装置
DE102013005788B4 (de) 2013-03-28 2020-06-04 Elmos Semiconductor Aktiengesellschaft Straßenbeleuchtung
ES2561133B1 (es) * 2014-07-24 2016-12-01 Alejandro Rodriguez Barros Retrovisor exterior multifunción con dispositivo emisor laser incorporado
WO2016163294A1 (ja) * 2015-04-10 2016-10-1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映像投射装置
US10752165B2 (en) * 2016-04-13 2020-08-25 Panasonic Automa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Vehicle signal
DE112017005834T5 (de) * 2016-11-18 2019-09-0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enachrichtigungsvorrichtung, automatisch fahrendes Fahrzeug, Benachrichtigungsverfahren, Programm, nichtflüchtiges Aufzeichnungsmedium und Benachrichtigungs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6857A (ja) * 2007-05-15 2008-11-27 Mk Seiko Co Ltd 表示装置
JP2016193689A (ja) * 2015-04-01 2016-11-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描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19445B2 (en) 2021-02-16
WO2018138842A1 (ja) 2018-08-02
DE112017006529B4 (de) 2022-07-14
DE112017006529T5 (de) 2019-09-26
JP6203463B1 (ja) 2017-09-27
KR20190089077A (ko) 2019-07-29
CN110214472A (zh) 2019-09-06
US20200070716A1 (en) 2020-03-05
JPWO2018138842A1 (ja) 2019-02-14
CN110214472B (zh)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817B1 (ko) 조사 제어 장치 및 조사 방법
JP6814153B2 (ja) 車両用照明装置、車両システム及び車両
US11318879B2 (en) Irradiation apparatus and irradiation method
US10723264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KR101916993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065557B2 (en) Rear-road surface illumination apparatus
EP361699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feedback to outside of vehicle, device, and storage medium
JP6761426B2 (ja) 車両用照明装置、車両システム及び車両
KR20190007286A (ko) 차량용 주행 시스템 및 차량
JP2011084106A (ja) 指向性制御照明装置
JP2008094377A (ja) 車両用表示装置
CN109204305B (zh) 丰富视野方法、观察员车辆和对象中使用的设备和机动车
KR20180132668A (ko) 차량 전방의 지장 상황의 존재를 나타내는 픽토그램의 자동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80131600A (ko) 도어의 임박한 개방을 나타내는 픽토그램의 자동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JP6773382B2 (ja) 照射装置および照射方法
US20210197863A1 (en) Vehicle control device, method, and program
EP38851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guidance using light projection
JP7287199B2 (ja) 車両用注視誘導装置
KR20210018728A (ko) 비상차선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JP7439949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20210068643A (ko) 자율주행 차량의 실시간 주행 상황정보 알림장치 및 방법
JP7271941B2 (ja) 車両用表示システム
US11932166B2 (en) Road surface drawing system, lamp system, and vehicle display system
JP2020160612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101672A (ko)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