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868B1 -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 - Google Patents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868B1
KR102115868B1 KR1020180174138A KR20180174138A KR102115868B1 KR 102115868 B1 KR102115868 B1 KR 102115868B1 KR 1020180174138 A KR1020180174138 A KR 1020180174138A KR 20180174138 A KR20180174138 A KR 20180174138A KR 102115868 B1 KR102115868 B1 KR 102115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emorative coin
holder
commemorative
jig
co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명봉
손진현
Original Assignee
남명봉
손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명봉, 손진현 filed Critical 남명봉
Priority to KR102018017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1/00Coins; Emergency money; Beer or gambling coins or toke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28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40Printing on bodies of particular shapes, e.g. golf balls, candles, wine c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17/00Printing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41P2217/50Printing presses for particular purposes
    • B41P2217/60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는, 하방에서 상승되는 온풍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마련되는 지그본체; 상기 관통홀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지그본체의 판면에서 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기념주화를 수용하는 수용단턱부; 상기 수용단턱부의 원호를 부분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기념주화를 홀딩하는 홀더부; 및 상기 수용단턱부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기념주화의 인쇄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기념주화를 업(up)시켜 상기 홀더부로부터 상기 기념주화를 홀딩 해제시키는 홀딩해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는, 1 포인트만 잡는 홀더부를 통해 인쇄작업의 방해를 최소화하면서 견고히 홀딩하는 한편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탈락하지 아니하고 업/다운 구동부를 통해 지그로부터 기념주화를 자동으로 탈락시킬 수 있어 인쇄 수율과 제품 품질이 향상될 수 있으며 택트타임 감소로 인한 제품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AUTO SEPERATING ZIG COMBINED WITH HOLDER OF COMMEMORATIVE COINAGE}
본 발명은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작업 중 기념주화를 간편하게 고정하는 한편 인쇄작업 완료 후에는 자동으로 탈락가능하여 상처나 훼손없이 안전하게 취출가능할 수 있는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가적인 이벤트나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또는 특정 위인이나 현존인의 위업이나 정신을 기리기 위해서 등 다양한 이유로, 메달이나 주화, 기념품 등(이하, 기념주화로 통칭함)가 발행되어 왔고 기념사업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념주화는 보통, 인쇄장치를 통해 인쇄작업이 선행될 수 있다.
인쇄작업 시에는, 외력에 의해 기념주화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또는 유격이 최소화되도록, 인쇄작업용 홀더(또는 전용지그 등)에 수용시킨 다음 정렬하고 인쇄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념주화의 홀더는 기념주화의 여러 포인트를 홀딩하여 인쇄작업이 원활히 수행되지 못하며 오히려 홀더로 인해 인쇄작업에 방해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쇄작업이 완료된 직후 인쇄층 또는 코팅층이 채 마르기 전에 기념주화를 탈락시킬 수 있어 인쇄 수율과 제품 품질이 낮아질 수 있으며 작업자가 일일이 개별 탈락을 시켜야 하기 때문에 택트타임 증가로 인한 제품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1 포인트만 잡는 홀더부를 통해 인쇄작업의 방해를 최소화하면서 견고히 홀딩하는 한편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탈락하지 아니하고 업/다운 구동부를 통해 지그로부터 기념주화를 자동으로 탈락시킬 수 있어 인쇄 수율과 제품 품질이 향상될 수 있으며 택트타임 감소로 인한 제품단가가 절감될 수 있는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 내에 수용되게 마련되어 결합경사면부가 형성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싱본체; 상기 결합경사면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경사대응면부가 마련되며, 상기 케이싱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싱덮개; 상기 제2 케이스 내부에 관통되게 마련되어 기념주화를 바인딩하는 바인딩부; 및 상기 제2 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바인딩부 중심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기념주화 취출 시 용이하게 취출시키는 용이취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이취출부는 상기 케이싱본체 판면에서 볼 때 원형 형상이며, 상기 용이취출부의 외경은 상기 바인딩부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딩부는 상기 제2 케이스 내벽에 마련되는 바인딩부재이며, 상기 용이취출부는, 상기 바인딩부 저벽에서 돌출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바인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딩부재 및 상기 바인딩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케이싱본체는 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는, 1 포인트만 잡는 홀더부를 통해 인쇄작업의 방해를 최소화하면서 견고히 홀딩하는 한편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탈락하지 아니하고 업/다운 구동부를 통해 지그로부터 기념주화를 자동으로 탈락시킬 수 있어 인쇄 수율과 제품 품질이 향상될 수 있으며 택트타임 감소로 인한 제품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가 설치된 인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1개의 수용단턱부, 홀더부 및 한쌍의 관통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를 수용하는 베이스본체의 부분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에서 홀딩해제부가 업 동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가 설치된 인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상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1개의 수용단턱부, 홀더부 및 한쌍의 관통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를 수용하는 베이스본체의 부분 상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에서 상승되는 온풍이 관통되는 관통홀(120)이 마련되는 지그본체(100); 상기 관통홀(120)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지그본체(100)의 판면에서 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기념주화를 수용하는 수용단턱부(110); 상기 수용단턱부(110)의 원호를 부분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기념주화를 홀딩하는 홀더부(200); 및 상기 수용단턱부(110)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기념주화의 인쇄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기념주화를 업(up)시켜 상기 홀더부(200)로부터 상기 기념주화를 홀딩 해제시키는 홀딩해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본체(20)가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본체(20)는 주로 도 6을 참조하면, 내측으로 단차지게 단차부(22)가 마련되어 내측 구역은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함몰 형성된 구역에 지그본체(100)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본체(20)의 판면에는 온풍홀(21)이 마련되어, 하방에서 송풍되는 온풍이 유동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규칙적인 간격마다 홀딩해제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지그본체(100)는 인쇄작업 시 기념주화를 정확한 위치에 정렬하는 한편 견고히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지그본체(100)는 도 2 내지 도 4를 주로 참조하면, 기념주화를 수용하도록 복수의 수용단턱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수용단턱부(110)는 대략 원형 판면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원형의 기념주화를 단차없이 수용되게 기념주화의 두께만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수용단턱부(110)의 판면에는 미세 단차진 함몰홈(111)이 형성되어 기념주화와 수용단턱부(110)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1개의 수용단턱부(110)를 중심으로 각각 좌, 우측에 한쌍의 관통홀(12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120)은 하방에서 상승 형성되는 온풍이 관통되도록 마련되어 인쇄작업 후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념주화를 보다 용이하게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홀더부(200)는 기념주화를 실질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홀더부(200)는 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단턱부(110)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부분적으로 원호 형상을 가지는 텐션플레이트(210); 및 상기 지그본체(100)와 상기 텐션플레이트(21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션플레이트(210)는 수용단턱부(110)의 원호를 부분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기념주화를 홀딩하는 부분이다. 텐션플레이트(210)는 수용단턱부(110)의 곡률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마련되되 텐션플레이트(210)의 원호 중심은, 수용단턱부(110)의 내부가 아닌, 외부(도 4 기준으로 해당 수용단턱부(110)의 아래 구역)에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텐션플레이트(210)가 형성하는 곡률과 수용단턱부(110)의 형성 곡률은 서로 반대방향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텐션플레이트(210)는 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단턱부(110)의 일구역을 부분적으로 교차하는 원호를 형성하면서 배치될 수 있고, 수용단턱부(110)에 배치되는 기념주화를 부분적으로 홀딩할 수 있다.
지그본체(100)의 하단부에는 한쌍의 부재수용홈이 마련될 수 있으며, 부재수용홈에 텐션플레이트(210)의 양단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부재수용홈에는 탄성부재(220)가 개재되며, 이로써 텐션플레이트(210)에 텐션 또는 탄성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홀더부(200) 특히 상기 텐션플레이트(210)는, 해당 상기 수용단턱부(110) 내부가 아닌 외부를 중심으로 하여 곡률을 형성하는 원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원호가 형성하는 곡률로 인해 그리고, 탄성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해 텐션플레이트(210)는 수용단턱부(110) 쪽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념주화의 측부 일부분(1 포인트)이 텐션플레이트(210)에 의해 가압되면서 위치 정렬되고 홀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1 포인트만 잡는 홀더부(200)를 통해 인쇄작업의 방해를 최소화하면서 견고히 홀딩할 수 있다.
한편, 인쇄작업이 완료된 직후 인쇄층 또는 코팅층이 채 마르기 전에 기념주화를 탈락시키게 되면 인쇄 수율과 제품 품질이 낮아질 수 있으며 작업자가 일일이 개별 탈락을 시켜야 하기 때문에 택트타임 증가로 인한 제품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홀딩해제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딩해제부(3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다운 구동부(미도시)와, 상기 지그본체(100)에 관통되게 배치되는 업/다운 로드(310); 및 상기 업/다운 로드(310)의 단부에 마련되는 흡착패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업/다운 구동부에 업/다운 로드(310)가 연결될 수 있다. 업/다운 구동부는 베이스본체(20) 하부 또는 인쇄장치(10) 내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업/다운 로드(310)의 단부에는 탄성 재질의 흡착패드(320)가 마련될 수 있다. 흡착패드(320)는 기념주화를 흡착하여 인쇄작업 과정 동안 고정할 수 있다.
업/다운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업/다운 로드(310)가 업 동작하면서 흡착패드(320)에 부착된 기념주화를 업 이동시킬 수 있다.
인쇄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탈락하지 아니하고 업/다운 구동부를 통해 지그로부터 기념주화를 자동으로 탈락시킬 수 있어 인쇄 수율과 제품 품질이 향상될 수 있으며 택트타임 감소로 인한 제품단가가 절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에서 홀딩해제부가 업 동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의 인쇄 과정 및 인쇄 후 취출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에 인쇄대상이 되는 기념주화를 고정시킨다. 각 기념주화는 수용단턱부(110)에 수용되며, 이때 홀더부(200)의 텐션플레이트(210)가 하방으로 처지면서(도 4 기준으로 볼 때) 기념주화가 수용되고 텐션플레이트(210)의 1 포인트가 기념주화의 측부면을 부분적으로 홀딩하여 강한 홀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후, 인쇄장치(10)를 통한 인쇄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인쇄작업이 완료된 후, 건조 과정 또는 경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주로 도 5와 도 6를 참조하면, 하방에서 온풍이 송풍되고, 온풍홀(21)을 통해 상승된 온풍은 저류부에서 임시 체류되면서 균일한 온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후, 온풍은 관통홀(120)을 거쳐 지그본체(100)의 상면으로 온풍이 공급될 수 있어 수용단턱부(110) 상에 위치된 기념주화를 건조시키고 경화시킬 수 있다.
건조 작업이 완료된 후, 또는 순차적으로 홀딩해제부(300)를 통한 취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데, 홀딩해제부(300)가 동작되어 기념주화(C)를 업 동작시킨다.
보다 상세 설명하면, 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다운 구동부(미도시)가 동작되어 업/다운 로드(310)를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밀어올리고, 흡착패드(320)에 부착된 기념주화(C)가 지그본체(100)의 판면보다 일정 높이만큼 업 이동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텐션플레이트(210)로부터 기념주화(C)가 탈락되어 홀더부(200)의 홀딩력이 해제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인쇄된 기념주화(C)를 원활히 취출 또는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작 과정을 거침으로써, 1 포인트만 잡는 홀더부(200)를 통해 인쇄작업의 방해를 최소화하면서 견고히 홀딩하는 한편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탈락하지 아니하고 업/다운 구동부를 통해 지그로부터 기념주화를 자동으로 탈락시킬 수 있어 인쇄 수율과 제품 품질이 향상될 수 있으며 택트타임 감소로 인한 제품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인쇄장치 C : 기념주화
20 : 베이스본체 21 : 온풍홀
100 : 지그본체
110 : 수용단턱부 111 : 함몰홈
120 : 관통홀 130 : 저류부
200 : 홀더부 210 : 텐션플레이트
220 : 탄성부재 300 : 홀딩해제부
310 : 업/다운 로드 320 : 흡착패드

Claims (4)

  1. 하방에서 상승되는 온풍이 관통되는 관통홀(120)이 마련되는 지그본체(100);
    상기 관통홀(120)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지그본체(100)의 판면에서 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기념주화를 수용하는 수용단턱부(110);
    상기 수용단턱부(110)의 원호를 부분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기념주화를 홀딩하는 홀더부(200); 및
    상기 수용단턱부(110)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기념주화의 인쇄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기념주화를 업(up)시켜 상기 홀더부(200)로부터 상기 기념주화를 홀딩 해제시키는 홀딩해제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200)는,
    상기 수용단턱부(110)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부분적으로 원호 형상을 가지는 텐션플레이트(210); 및
    상기 지그본체(100)와 상기 텐션플레이트(21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플레이트(210)는, 해당 상기 수용단턱부(110) 내부가 아닌 외부를 중심으로 하여 곡률을 형성하는 원호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해제부(300)는,
    상기 지그본체(100)에 관통되게 배치되는 업/다운 로드(310); 및
    상기 업/다운 로드(310)의 단부에 마련되는 흡착패드(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
KR1020180174138A 2018-12-31 2018-12-31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 KR102115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138A KR102115868B1 (ko) 2018-12-31 2018-12-31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138A KR102115868B1 (ko) 2018-12-31 2018-12-31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868B1 true KR102115868B1 (ko) 2020-05-27

Family

ID=7091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4138A KR102115868B1 (ko) 2018-12-31 2018-12-31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86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2309A (ja) * 1994-09-30 1996-04-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ホルダ
US20020185019A1 (en) * 2001-06-06 2002-12-12 Etablissements Bourgogne Et Grasset Chip holding arrangement, pad printing system incorporating the arrangement, and method of pad pringting a chip using the arrangement
KR100438095B1 (ko) * 2002-01-18 2004-07-02 주식회사 나코엔터테인먼트 메달가공프린터를 이용한 자판기용 메달 자동이송장치
KR20060068444A (ko) * 2004-12-16 2006-06-21 한국조폐공사 디지털 인쇄를 적용한 색채메달과 이의 제조방법
KR20070013962A (ko) * 2005-07-26 2007-01-31 남명봉 주화/메달 표면상에 칼라문양이나 사진 등을 채색하는 방법
KR20070116372A (ko) * 2006-06-05 2007-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홀더 및 이를 갖는 기판 처리 장치
KR101718492B1 (ko) * 2014-03-10 2017-03-21 주식회사 넥스피안 정밀성과 내열성이 확보되어 있는 글라스용 스크린 인쇄지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2309A (ja) * 1994-09-30 1996-04-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ホルダ
US20020185019A1 (en) * 2001-06-06 2002-12-12 Etablissements Bourgogne Et Grasset Chip holding arrangement, pad printing system incorporating the arrangement, and method of pad pringting a chip using the arrangement
KR100438095B1 (ko) * 2002-01-18 2004-07-02 주식회사 나코엔터테인먼트 메달가공프린터를 이용한 자판기용 메달 자동이송장치
KR20060068444A (ko) * 2004-12-16 2006-06-21 한국조폐공사 디지털 인쇄를 적용한 색채메달과 이의 제조방법
KR20070013962A (ko) * 2005-07-26 2007-01-31 남명봉 주화/메달 표면상에 칼라문양이나 사진 등을 채색하는 방법
KR20070116372A (ko) * 2006-06-05 2007-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홀더 및 이를 갖는 기판 처리 장치
KR101718492B1 (ko) * 2014-03-10 2017-03-21 주식회사 넥스피안 정밀성과 내열성이 확보되어 있는 글라스용 스크린 인쇄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96285A (zh) 一种纽扣用打孔装置
KR102115868B1 (ko) 기념주화 홀더겸용 자동탈락지그
JPH11309997A (ja) 彫刻装置
KR101722312B1 (ko) 마스크팩용 시트 자동분리장치
JP3655398B2 (ja) 部品実装装置
US5997404A (en) Racking system for arranging pool balls
JP5785344B1 (ja) パチスロ台取付装置
KR100967060B1 (ko) 골프티 자동 인쇄장치
JP3525784B2 (ja) Cvtベルトの組立方法および組立装置
US4861085A (en) Pin transfer apparatus
JP3525785B2 (ja) Cvtベルトの組立方法および組立装置
US6291261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flat workpiece, especially a semiconductor wafer
CN111687758B (zh) 用于电子元件的整形治具
KR200489427Y1 (ko) 볼 라인 마킹 장치
JPH07321273A (ja) 半導体リード成形金型
CN218054419U (zh) 一种玻璃丝印用治具
JP4064968B2 (ja) 部品実装装置
JPH01139423A (ja) 部品供給装置
KR200191656Y1 (ko) 반도체 스트립 공급장치
US2436858A (en) Nut-assembling machine
JPS6021019B2 (ja) デイスタツクフイ−ダ−
JPS6039347A (ja) コイル成形装置
US355995A (en) Machine for making egg-carriers
JPH0715828A (ja) ゴム栓挿入装置用供給装置
CN116918053A (zh) 半导体芯片模塑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