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929B1 - 라이닝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라이닝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929B1
KR102110929B1 KR1020180107523A KR20180107523A KR102110929B1 KR 102110929 B1 KR102110929 B1 KR 102110929B1 KR 1020180107523 A KR1020180107523 A KR 1020180107523A KR 20180107523 A KR20180107523 A KR 20180107523A KR 102110929 B1 KR102110929 B1 KR 102110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force
component system
reg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1150A (ko
Inventor
우베 마샬
미햐엘라 그로베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031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5Pillars;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93Connection or positioning of adjacen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닝부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 그리고 자동차, 특히 승용차에 관한 것이다.
라이닝부(20)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10)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구성 요소 시스템은, 자동차 차체 패널(35)에 대하여 고정될 라이닝부(20), 특히 헤드 라이닝(head lining), 상기 라이닝부(20)를 지지하기 위한 라이닝 지지부(50), 및 상기 라이닝부(20)의 제1 영역(21)에 제1 힘(41)을 가하기 위한 역압 장치(12)를 포함한다. 라이닝 지지부(50)의 하나 이상의 섹션(52)은, 제1 힘(41)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 힘(42)을 제1 영역(21)에 가할 목적으로, 역압 장치(12)에 마주 놓여 있는 제1 영역(21)의 측에 배치된다. 라이닝부(20)의 제2 영역(22)은 제1 영역(21)에 마주 놓여 있는 라이닝 지지부(50)의 측에 배치되고, 이로써 라이닝부의 가시 측(visible side)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라이닝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 및 자동차{COMPONENT SYSTEM FOR FIXING A LINING PARTS AND MOTOR VEHICLE}
본 발명은, 라이닝부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 그리고 자동차, 특히 승용차에 관한 것이다.
깨끗하고 균일한 이음부 형상은 자동차 내부 라이닝의 품질 지표이다. 특히, 눈에 보이는 간극을 최소화하고, 그 외관이 정확하고, 일정하며, 온도 또는 습기와 같은 외부 영향과 무관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요구 조건은, 예를 들어 필러 라이닝(pillar lining)과, 헤드 라이닝(head lining)으로도 지칭되는 루프 라이닝(roof lining) 사이의 전이부에서 중요하다. 관련 라이닝부는 통상적으로 연성 재료로 제조되고, 그에 따라 차체에 대한 외부 힘의 작용하에 소정 한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균일한 이음부 형상을 구현할 수 있거나 관련 부재들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한 가지 가능성은, 예를 들어 폼(foam) 소재의 간격 유지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간격 유지 부재는 예를 들어 차체 패널들과 라이닝부 사이에 배치되고, 라이닝부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정지 요소(stop element)로서 이용된다. 이 경우의 단점은, 한 편으로는 구성 및 제조에서 추가 비용을 야기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조립에서 추가 비용을 야기하는 추가 구성 요소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해결책이, 예컨대 구조상 간격 유지 부재와 눈에 보이는 간극 간에 더 큰 간격이 필요함에 따라 연성 라이닝부의 변형을 야기하는 경우, 또는 간격 유지 부재의 연성 재료 자체가 지나치게 큰 변형을 허용하는 경우에, 간극 치수를 필요한 만큼 최소화하기에 항상 적합한 것은 아니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상기 해결책의 개별 양태들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자동차 차체 패널(30, 31, 32, 33)에 대한 라이닝부(20), 즉 헤드 라이닝의 측방 연결 영역의 일 단면을 보여준다. 이 단면은,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반대인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 C-필러의 세로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자동차의 우측 또는 동승자 측을 보여준다.
자동차 바디 셸(body shell)은 도시된 위치에 내부 측부(30), 후방 내부 측부(31), 후방 연결부(32) 및 외부 측부(33)를 포함한다. 이들은 함께 루프 구조물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좌측에 도시된 외부 영역에서는, 외부 패널(70)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진 밀봉 프로파일(68)이 외부 측부(33)에 연결된다. 상기 밀봉 프로파일은, 접착 비드(72)(adhesive bead)에 의해 외부 측부(33)에 고정된 사이드 윈도우(66)를 지지한다.
외부 측부(33), 후방 연결부(32) 및 내부 측부(30)는 이들의 하부 영역에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공통 단부면에서 끝나며, 이 공통 단부면 아래에는 대략 0.5㎜의 두께를 갖는 간극이 존재한다.
라이닝부(20), 즉 자동차의 헤드 라이닝은 라이닝 지지부(50)에 의해서 지지된다. 헤드 라이닝은, 내측에 놓여 자동차 실내(60)를 위쪽으로 제한하는, 자동차의 루프 라이닝이다. 외부로 사이드 윈도우(66) 쪽을 향하는 단부에서는, 라이닝부(20)의 제1 영역(21)이 라이닝 지지부(50)의 상응하는 섹션(52) 위에 놓이도록, 그리고 라이닝부(20)의 제2 영역(22)이 상기 섹션(52) 아래에 놓이도록, 라이닝부(20)가 라이닝 지지부(50)의 한계부(54) 둘레를 감싸며 구부러진다. 이 경우, 라이닝부(20)의 제1 영역(21)은 차체 패널들(30, 32 및 33)에 의해서 위쪽으로 제한된 간극의 하부 한계를 형성한다.
라이닝 지지부(50) 및 이와 더불어 라이닝부(20)를 내부 측부(30)에 대하여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내부 측부(30)와 라이닝 지지부(50) 사이에는 폼(foam)으로 제조된 간격 유지 부재(64)가 배치된다.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32 내지 36㎜의 높이, 25㎜의 폭 및 35㎜의 깊이를 갖는다. 양측에서 라이닝부(20)의 정해진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차량의 각각의 측에 하나 이상의 간격 유지 부재가 사용되어야만 함을 알 수 있다.
도 2에는, 필러 라이닝(62), 본 실시예에서는 C-필러의 라이닝으로 이어지는 라이닝부(20)의 전이부에서의, 전술한 구조로부터 도출되는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사이드 윈도우를 통해, 전술한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우측 또는 운전자측을 바라보고 관찰했을 때, 외부로부터 라이닝부(20)의 구부러진 영역이 보인다. 위로는 라이닝부(20)의 제1 영역(21)이 있고, 그 아래에는 라이닝부의 제2 영역(22)이 있다. 위에 놓여 있는 제1 영역(21)과 자동차 바디 셸, 즉 외부 측부(33) 사이에서 전술한 간극을 확인할 수 있다.
우측에서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라이닝 지지부 둘레를 감싸며 구부러진 라이닝부(20)가 필러 라이닝(62) 내부로 삽입되어 있거나 상기 필러 라이닝에 의해 보유됨을 알 수 있다. 필러 라이닝(62)과 라이닝부(20) 사이에는, 규정에 맞지 않게 후크 형상으로 걸린 로킹 러그(locking lug)로 인해 유발되는 틈새가 보인다. 이는, 라이닝부(20), 즉 헤드 라이닝이 연성 간격 유지 부재(도 1 참조)에 의해서 원하는 위치에 충분히 단단하게 고정되지 않거나, 튀어오름 현상으로부터 충분히 안전하게 보호되지 않음으로써, 지나치게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라이닝부(20)와 필러 라이닝(62) 사이에 상기 도시된 틈새가 발생하고, 로킹 연결은 형성될 수 없다.
균일한 이음부 형상을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한 가지 가능성은 관련 라이닝부의 보강이며, 이 경우 상기 보강에 수반되는 경직에 의해서 라이닝부의 가동성이 줄어든다. 이는 공간 수요 및 개별 부재들의 중량 측면에서 불리하다.
관련 부재들 사이에 또는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파이핑 프로파일들 사이에 밀봉 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는 제조 시 명백한 추가 간접비 및 높은 추가 비용을 초래한다.
DE 10 2006 053 990 A1호는, 차량의 A-필러에 내부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기술한다. A-필러 커버의 내측으로부터 루프 라이닝의 내측까지 공간이 연장되며, 이 공간 내에 에어백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 내에는, 에어백이 펴지는 방향과 거의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는 로킹 러그가 배치되어 있다. 로킹 러그는, A-필러 커버와 루프 라이닝의 연결부 옆에 있고, A-필러 커버의 내측에서 섀시 패널의 도어 개구를 따라 연장된다. 로킹 러그는, 도어 개구의 에지부로부터 차량 공간의 내측까지 이르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반대 방향으로 정렬된 대응하는 로킹부는 A-필러 커버의 도어 개구 측에서 단부 에지부의 후면에 있다. 커버 지지부가, A-필러 커버와 루프 라이닝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DE 11 2011 100 680 B4호는, 필러 라이닝 및 루프 라이닝에 의해 덮여 있고 차체의 세로 방향을 따라 정렬된 헤드 에어백 메인 바디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에어백 장치를 개시한다. 헤드 에어백 메인 바디는 또한, 객실 내에서 아래쪽으로 펴질 수 있도록, 전방 또는 후방 필러부 및 차체의 루프측 레일 부재 내에서는 접혀 있다. 더 나아가, 헤드 에어백 장치는, 필러 라이닝을 필러부에 고정하는 고정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하고 지속적이며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라이닝부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구성 요소 시스템 및 이러한 구성 요소 시스템을 갖춘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항에 따른, 라이닝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 및 청구항 9에 따른 자동차에 의해 해결된다. 구성 요소 시스템의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 2항 내지 8항에 명시되어 있고, 자동차의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 10항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은, 라이닝부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이다. 이 구성 요소 시스템은, 자동차 차체 패널에 대하여 고정될 라이닝부, 특히 헤드 라이닝과, 상기 라이닝부를 지지하기 위한 라이닝 지지부, 그리고 상기 라이닝부의 제1 영역에 제1 힘을 가하기 위한 역압 장치를 포함한다. 라이닝 지지부의 하나 이상의 섹션은, 제1 힘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 힘을 라이닝부의 제1 영역에 가할 목적으로, 역압 장치에 마주 놓여 있는 라이닝부의 제1 영역의 측에 배치된다. 라이닝부의 제2 영역은 라이닝부의 제1 영역에 마주 놓여 있는 라이닝 지지부의 측에 배치되고, 이로써 라이닝부의 가시 측(visible side)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라이닝부는 헤드 라이닝이라고도 지칭되는 자동차의 내부 루프 라이닝이다. 라이닝부는 통상적으로 예컨대 폼과 같은 연성 재료로 제조된다. 이 경우, 제2 영역은 특히 구성 요소 시스템을 구비한 자동차의 차량 실내로부터 밖으로 보일 수 있다. 라이닝 지지부는, 라이닝부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임의 형상의 구성 요소이다. 특히, 라이닝 지지부는, 한 편으로는 라이닝부와 연결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차체와 연결된다. 라이닝 지지부는 예를 들어 필러 라이닝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라이닝 지지부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역압 장치, 라이닝부 및/또는 라이닝 지지부는, 역압 장치와 라이닝부 간에 강제 결합 방식 및/또는 형상 결합 방식의 연결을 구현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공간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라이닝부의 하나 이상의 영역은, 이 영역이 제1 힘의 작용 방향에 반하여 변위되는 상황으로부터 보호된다. 본 발명의 범주에서 고정은 특히 하나 이상의 자유도의 제한을 의미한다.
바디 셸이라고도 지칭되는 자동차 차체 패널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루프 구조물 또는 사이드 레일의 일 부분인 패널일 수 있다.
특히, 제1 및/또는 제2 힘은 영구적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이다. 제1 힘은, 자동차 차체 패널에 대하여 정해진 위치에 라이닝부를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라이닝 지지부의 하나 이상의 섹션이 라이닝부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라이닝 지지부의 섹션으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제1 영역의 측에는 역압 장치가 있다. 라이닝 지지부의 섹션은, 제1 힘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 힘을 라이닝부의 제1 영역에 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라이닝부의 제1 영역이 라이닝 지지부의 섹션과 역압 장치 사이에 클램핑 고정된다. 라이닝 지지부의 섹션은 라이닝 지지부의 단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닝부가 상기 단부 둘레을 감싸며 안내될 수 있다.
특히, 라이닝 지지부 및 이 라이닝 지지부에 배치된 라이닝부가 예컨대 필러 커버와 같은 외부 장치에 의해 역압 장치에 대하여 자신의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역압 장치는 제1 힘을 라이닝부에 가하거나 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외부 장치가 제3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제3 힘의 결과로 이 제3 힘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1 힘이 구현된다. 그에 따라, 역압 장치는, 라이닝부 또는 라이닝 지지부에 가해진 제3 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카운터 베어링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역압 장치에 의해서 라이닝부에 작용하는 제1 힘은 제3 힘에 대한 반응으로서 나타난다.
역압 장치는, 자동차 차체 패널의 일 부분일 수 있거나 자동차 차체 패널과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역압 장치는 강성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1 힘은, 라이닝 지지부에 의해서 가해진 제2 힘의 결과로 구현된 저항력일 수 있으며, 이 저항력은 제2 힘과 동일한 크기를 갖고, 제2 힘의 반대 방향을 향한다.
전술한 해결책은, 간단하고 지속적이며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라이닝부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역압 장치에 의해 라이닝부의 변위가 불가능하며, 이로 인해 간극의 형성이 효과적으로 저지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양측에서 작용하는 제1 힘 제2 힘에 의해서 라이닝부가 라이닝 지지부에 간단하고도 비용 효율적으로 고정된다는 장점을 제공해준다. 예컨대 간격 유지 부재와 같은 추가 구성 요소가 불필요하다.
구성 요소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는, 라이닝부가 라이닝 지지부의 한계부 둘레에 U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특히, 라이닝부는 라이닝 지지부의 한계부 둘레를 감싸도록 안내되거나 구부러진다. 이 경우, 라이닝 지지부의 상이한 측들에 있는 라이닝부의 2개의 제1 및 제2 영역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닝 지지부의 한계부는, 하나 이상의 공간 방향을 따라 라이닝 지지부를 제한한다. 통상적으로, 한계부는 라이닝 지지부의 일 단부를 의미하지만, 이 한계부는 또한 라이닝 지지부 내에 있는 개구로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특히 간단한 조립이라는 장점을 유도하는데, 그 이유는 분할부, 예를 들어 폼 커버가 간단한 방식으로 라이닝 지지부의 한계부 둘레를 감싸며 구부러지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성 요소 시스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구성 요소 시스템이 자동차 차체 패널을 포함하며, 이 자동차 차체 패널에 대하여 라이닝부가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자동차 차체 패널의 하나 이상의 섹션이 역압 장치를 형성한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간극이 최소화되어야 하는 자동차 차체 패널 자체가 역압 장치로서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여하히 존재하고 플랜지라고도 지칭되는 바디 셸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요소가, 제1 힘의 작용하에 분할부와 접촉할 목적으로, 지금까지 공지된 해결책들에 비해 길어진다. 이 경우, 라이닝부와 접촉하는 영역 또는 자동차 차체 패널의 연장된 영역은 라이닝 지지부의 방향을 향한다.
상기 실시예는, 힘을 가하기 위해 추가 구성 요소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 간극의 매우 간단한 최소화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을 유도한다.
복수의 자동차 차체 패널이 서로 고정될 수 있고, 특히 적어도 섹션별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하나 이상의 자동차 차체 패널의 하나 이상의 섹션이 역압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자동차 차체 패널은, 특히 구성 요소 시스템이 자동차 내에 규정에 따라 배치된 경우에 자동차 실내 쪽을 향하는 자동차 차체 패널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강성을 높이기 위해 공지된 방식으로 서로 고정되어 있고, 특히 섹션별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루프 구조물을 형성하는 자동차 차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역압 장치로서 이용된다. 통상적으로, 관련 자동차 차체 패널은 역압 장치로서 기능을 하는 자신의 섹션 내에서도 다른 자동차 차체 패널들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힘의 작용 방향도 상기 다른 자동차 차체 패널들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압착 면은, 자동차 차체 패널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섹션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자동차 차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라이닝부와 강제 결합 방식 및/또는 형상 결합 방식의 연결을 구현하도록 라이닝부의 U자 형상 섹션의 영역과 접촉한다.
상기 실시예는, 매우 안정적인 역압 장치가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장점을 유도한다.
구성 요소 시스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라이닝부가 제1 힘의 작용 영역 내에서 이 작용 영역에 이웃하는 라이닝부의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는다. 특히, 이와 같은 더 얇은 두께는, 제1 힘을 가함으로써 야기되는 변형으로 인해 구현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라이닝부는 연성 폼 재료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성 폼 재료부는 제1 힘의 작용 영역 내에서, 즉, 라이닝 지지부와 역압 장치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라이닝부는,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힘의 작용에 의해, 작용 영역에 이웃하는 영역에서의 두께를 기준으로 적어도 50%만큼 감소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힘의 작용 영역 및 이 작용 영역에 이웃하는 영역은 특히 라이닝부의 제1 영역에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간극 최소화 외에 라이닝 지지부에서 라이닝부의 고정 배치도 보장된다는 장점이 달성된다. 역압 장치와 라이닝부 간에 형상 결합도 구현된다.
구성 요소 시스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역압 장치와 라이닝 지지부가 제1 힘의 작용 영역에서 서로에 대해 1㎜ 미만, 특히 0.5㎜ 미만의 간격(A)을 두고 배치된다.
밀착 배치로 인해, 역압 장치와 라이닝 지지부 사이에 있는 라이닝부, 특히 이 라이닝부의 제1 영역은 라이닝 지지부와 역압 장치 사이에서 압축되고, 이로 인해 단단히 고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더 나아가, 눈에 보이는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 점이 보장된다. 또 다른 한 가지 장점은,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 제1 힘의 작용 방향을 따르는 라이닝부의 상대 변위가 최소화된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역압 장치가 제1 힘을 가하기 위한 압착 면을 구비한다. 압착 면은 5㎜ 내지 30㎜, 특히 10㎜ 내지 20㎜의 길이(L)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압착 면은 0.8㎜ 내지 2.2㎜, 특히 1.2㎜ 내지 1.8㎜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압착 면은 1㎜ 내지 10㎜, 특히 2㎜ 내지 7㎜의 돌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역압 장치는 압착 면의 폭에 상응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패널 부재의 돌출 영역으로서 구현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 높이는 2.5 내지 5㎜이다.
상기 실시예는, 최소한의 추가 재료를 사용해서 구성 요소의 기하 구조를 아주 약간만 변형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이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유도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구성 요소 시스템이 라이닝부 및/또는 라이닝 지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 경우, 고정 장치는 특히 제1 힘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3 힘을 라이닝부 또는 라이닝 지지부에 가하도록 설계 및 배치된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라이닝 지지부는 이 라이닝 지지부에 배치된 라이닝부와 함께 고정 장치에 의해서 자신의 위치에 고정된다. 이 경우, 역압 장치는, 라이닝 지지부 및 라이닝부가 특히 라이닝부의 국부적인 변형하에 가압되는 일종의 카운터 베어링으로서 이용된다. 이때, 라이닝부에 작용하는 제1 힘은 고정 장치에 의해서 가해진 제3 힘으로 인해 구현되는 힘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장점은, 라이닝 지지부 및 라이닝부로 이루어진 유닛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차량 내에 단단히 고정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자동차, 특히 승용차이다. 자동차는, 라이닝부를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 시스템을 구비한다.
라이닝부는, 예를 들어 자동차 루프의 하나 이상의 차체 패널에 대하여, 예컨대 C-필러와 D-필러 사이에 포지셔닝되는, 자동차의 헤드 라이닝일 수 있다.
자동차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동차가 차량 필러, 특히 C-필러를 커버하기 위한 필러 라이닝을 구비한다. 이 경우, 필러 라이닝은 라이닝부 및/또는 라이닝 지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형성한다. 고정 장치는, 특히 제1 힘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3 힘을 라이닝부 또는 라이닝 지지부에 가하도록 설계 및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라이닝 지지부의 일 부분이 자동차 차체와 필러 라이닝 사이에 배치되고, 필러 라이닝에 의해서 자동차 차체에 대하여 자신의 위치에 고정된다. 이 경우, 필러 라이닝은 제3 힘을 라이닝 지지부 또는 라이닝부에 가하고, 그 결과 라이닝부의 제1 영역이 제1 힘의 작용하에 역압 장치와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C-필러의 영역에 있는 바디 셸에 대한 자동차 헤드 라이닝의 측방 연결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연결 영역을 외부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 요소 시스템을 구비한 C-필러의 영역에 있는 바디 셸에 대한 자동차 헤드 라이닝의 측방 연결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연결 영역을 외부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 요소 시스템의 역압 장치의 상세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대해서는 이미 선행 기술 설명부에서 기술하였다.
도 3은, 자동차 차체 패널(35), 즉, 내부 측부(30)에 대한 라이닝부(20), 즉 헤드 라이닝의 측방 연결 영역을 절단한 단면을 보여준다. 이 단면은, 도 1과 유사하게,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반대인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 C-필러의 세로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고, 자동차의 우측 또는 동승자 측을 보여준다.
자동차 바디 셸은 도시된 위치에서 내부 측부(30) 옆에 후방 내부 측부(31), 후방 연결부(32) 및 외부 측부(33)를 포함한다. 이들은 함께 루프 구조물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좌측에 도시된 외부 영역에서는, 외부 패널(70)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진 밀봉 프로파일(68)이 외부 측부(33)에 연결된다. 상기 밀봉 프로파일은, 접착 비드(72)에 의해 외부 측부(33)에 고정된 사이드 윈도우(66)를 지지한다.
외부 측부(33), 후방 연결부(32) 및 내부 측부(30)는 이들의 하부 영역에서 섹션별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영역 내에서 서로 고정되어 있다. 외부 측부(33)와 연결부(32)는 공통 단부면에서 끝나는 한편, 그 옆에 배치된 내부 측부(30)는 더 아래로 라이닝부(20)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내부 측부(30)는, 구성 요소 시스템(10)이 자동차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정에 따라 배치된 경우에 자동차 실내(60) 쪽을 향하는 자동차 차체 패널(35)이다.
내부 측부(30)의 하부 섹션, 즉, 자동차 차체 패널(35)은, 그 아래에 놓여 있는 라이닝부(20)의 제1 영역(21)에 제1 힘(41)을 가하기 위한 압착 면(14)을 갖는 역압 장치(12)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역압 장치는 라이닝부(20) 및 라이닝 지지부(50)와 함께, 상기 라이닝부(20)를 자동차 차체 패널(35)에 대하여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 요소 시스템(10)을 형성한다. 내부 측부(30)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후방 연결부(32) 및/또는 외부 측부(33)도 상응하게 연장될 수 있고, 역압 장치(12)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과 유사하게, 라이닝부(20), 즉, 자동차 실내(60)를 위쪽으로 제한하는 자동차 헤드 라이닝은 본 실시예에서도 라이닝 지지부(50)에 의해서 지지된다. 라이닝부는 좌측에 도시된 라이닝 지지부(50)의 한계부(54) 둘레에 U자 형상으로 배치되는데, 말하자면 상기 한계부 둘레를 감싸며 구부러진다. 라이닝부(20)의 제1 영역(21)은 라이닝 지지부(50)의 상응하는 섹션(52) 위에 놓이고, 라이닝부(20)의 제1 영역(22)은 제1 영역(21)에 마주 놓여 있는 라이닝 지지부(50)의 측에, 즉, 섹션(52) 아래에 배치된다.
라이닝 지지부(50)의 섹션(52)은, 제1 힘(41)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 힘(42)을 라이닝부(20)의 제1 영역(21)에 가할 목적으로, 역압 장치(12)에 마주 놓여 있는 라이닝부(20)의 제1 영역(21)의 측에 배치된다. 이로써, 라이닝부(20)는 2개 측으로부터 압축 또는 클램핑 고정되며, 다시 말해 라이닝 지지부(50)에 의해서 그리고 역압 장치(12)에 의해서 압축 또는 클램핑 고정된다.
제2 힘(42)도 라이닝부(20)에 작용하는, 제1 힘(41)의 작용 영역(24) 내에서는 라이닝부(20)가 상기 작용 영역(24)에 이웃하는 영역(26)에서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제1 힘(41) 및 제2 힘(42)을 가함으로써 야기되는 라이닝부(20), 즉, 폼 재료부의 변형의 결과이다. 따라서, 라이닝부(20)가 제1 힘에 의해서 한 편으로는 라이닝 지지부(50)에 압착되고, 이로써 상기 라이닝 지지부에 고정되며, 다른 한 편으로는 라이닝 지지부(50) 및 라이닝부(20)의 위쪽으로의 변위가 역압 장치(12)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방지됨을 알 수 있다.
역압 장치(12)와 라이닝 지지부(50)는 제1 힘(41) 및 제2 힘의 작용 영역(24)에서 서로에 대해 0.5㎜ 미만의 간격(A)을 두고 배치된다. 그에 따라, 라이닝부는 상기 영역에서 전술한 두께까지 압축된다.
도 4에는, 도 2와 유사하게, 필러 라이닝(62), 본 실시예에서는 C-필러의 라이닝으로 넘어가는 라이닝부(20)의 전이부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로부터 도출되는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사이드 윈도우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 요소 시스템(10)을 구비한 자동차의 우측 또는 운전자측을 바라보고 관찰했을 때, 외부로부터 라이닝부(20)의 구부러진 영역이 보인다. 위쪽에는 라이닝부(20)의 제1 영역(21)이 있고, 그 아래에는 라이닝부의 제2 영역(22)이 있다.
위에 놓인 라이닝부(20)의 제1 영역(21)과 자동차 바디 셸, 즉, 외부 측부(33) 사이에서는 간극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간극 내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 차체 패널(35), 즉, 내부 측부(30)의 일 섹션에 의해 구현된 역압 장치(12)의 일 부분을 볼 수 있다.
우측에서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라이닝 지지부 둘레를 감싸며 구부러진 라이닝부(20)가 필러 라이닝(62) 내부로 삽입되어 있거나 상기 필러 라이닝에 의해 지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필러 라이닝(62)이 라이닝부(20) 또는 라이닝 지지부(5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로서의 기능을 한다. 상기 필러 라이닝은, 제1 힘(41)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3 힘(43)을 라이닝부(20) 또는 라이닝 지지부(50)에 가하도록 설계 및 배치되고, 이로써 라이닝부(20) 또는 라이닝 지지부(50)를 바람직한 위치에서 지지한다.
역압 장치(12)는, 라이닝 지지부(50) 및 라이닝부(20)를 상향 변위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로서 이용된다. 이로써,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 로킹 러그가 본 실시예에서 규정에 따라 후크 방식으로 걸릴 수 있음으로써, 도 2에 도시된 틈새가 본 실시예에서는 더 이상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5는, 자동차 차체 패널(35), 즉, 내부 측부(30)의 일 섹션으로서 형성된 역압 장치(12)를 보여준다. 이 역압 장치는 제1 힘(41)을 가하도록 설계되어, 실질적으로 평평한 압착 면(14)을 가지며, 이 압착 면은 15㎜의 길이(L) 및 3.6㎜의 높이(H)를 갖는다. 이로써, 1.5㎜의 두께를 갖는 시트로 제조된 내부 측부(30)의 국부적 연장부가 형성된다.
10: 구성 요소 시스템
12: 역압 장치
14: 압착 면
20: 라이닝부
21: 제1 영역
22: 제2 영역
24: 제1 힘의 작용 영역
26: 이웃는 영역
30: 내부 측부
31: 후방 내부 측부
32: 후방 연결부
33: 외부 측부
35: 자동차 차체 패널
41: 제1 힘
42: 제2 힘
43: 제3 힘
50: 라이닝 지지부
52: 라이닝 지지부의 섹션
54: 라이닝 지지부의 한계부
60: 실내
62: 필러 라이닝
64: 간격 유지 부재
66: 사이드 윈도우
68: 밀봉 프로파일
70: 외부 패널
72: 접착 비드
A: 간격
L: 압착 면의 길이
H: 역압 장치의 높이

Claims (10)

  1. 자동차 차체 패널(35)에 대하여 고정될 라이닝부(20), 상기 라이닝부(20)를 지지하기 위한 라이닝 지지부(50), 및 상기 라이닝부(20)의 제1 영역(21)에 제1 힘(41)을 가하기 위한 역압 장치(12)를 포함하는, 정해진 위치에 라이닝부(2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10)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 지지부(50)의 하나 이상의 섹션(52)은, 제1 힘(41)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 힘(42)을 라이닝부(20)의 제1 영역(21)에 가할 목적으로, 상기 역압 장치(12)에 마주 놓여 있는 라이닝부(20)의 제1 영역(21)의 측에 배치되고, 라이닝부(20)의 제2 영역(22)은 상기 라이닝부(20)의 제1 영역(21)에 마주 놓여 있는 라이닝 지지부(50)의 측에 배치되며, 이로써 라이닝부(20)의 가시 측(visible side)을 형성하고,
    구성 요소 시스템(10)이 자동차 차체 패널(35)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차 차체 패널(35)의 하나 이상의 섹션이 역압 장치(1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10).
  2. 제1항에 있어서, 라이닝부(20)가 라이닝 지지부(50)의 한계부(54) 둘레에 U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10).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자동차 차체 패널(30, 31, 32, 33, 35)가 서로 고정되고, 적어도 섹션별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하나 이상의 자동차 차체 패널(30, 31, 32, 33, 35)의 하나 이상의 섹션, 적어도, 구성 요소 시스템(10)이 자동차 내에 규정에 따라 배치된 경우에 자동차 실내(60) 쪽을 향하는, 자동차 차체 패널(30; 35)의 하나 이상의 섹션이 역압 장치(1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10).
  5. 제1항에 있어서, 라이닝부(20)가 제1 힘(41)의 작용 영역(24) 내에서는 상기 작용 영역(24)에 이웃하는, 라이닝부(20)의 하나 이상의 영역(26)에서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가지며, 이처럼 더 얇은 두께는 제1 힘(41)을 가함으로써 야기되는 변형으로 인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10).
  6. 제1항에 있어서, 역압 장치(12)와 라이닝 지지부(50)는 제1 힘(41)의 작용 영역(24)에서 서로에 대해 1㎜ 미만의 간격(A)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10).
  7. 제1항에 있어서, 역압 장치(12)는 제1 힘(41)을 가하기 위한 압착 면(14)을 가지며, 상기 압착 면(14)은 5㎜ 내지 30㎜의 길이(L)와, 0.8㎜ 내지 2.2㎜의 폭, 및/또는 2㎜ 내지 7㎜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10).
  8. 제1항에 있어서, 구성 요소 시스템(10)이 또한 라이닝부(20) 및/또는 라이닝 지지부(5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장치는 제1 힘(41)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3 힘(43)을 라이닝부(20) 또는 라이닝 지지부(50)에 가하도록 설계 및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10).
  9. 자동차에 있어서,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라이닝부(20)를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 시스템(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0. 제9항에 있어서, 차량 필러를 커버하기 위한 필러 라이닝(62)을 구비하며, 상기 필러 라이닝은 라이닝부(20) 및/또는 라이닝 지지부(5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 장치는 제1 힘(41)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3 힘(43)을 라이닝부(20) 또는 라이닝 지지부(50)에 가하도록 설계 및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180107523A 2017-09-15 2018-09-10 라이닝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 및 자동차 KR102110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16430.1 2017-09-15
DE102017216430.1A DE102017216430A1 (de) 2017-09-15 2017-09-15 Bauteilsystem zur Fixierung eines Verkleidungsteils und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150A KR20190031150A (ko) 2019-03-25
KR102110929B1 true KR102110929B1 (ko) 2020-05-14

Family

ID=6344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523A KR102110929B1 (ko) 2017-09-15 2018-09-10 라이닝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40056B2 (ko)
EP (1) EP3456591B1 (ko)
KR (1) KR102110929B1 (ko)
CN (1) CN109501692B (ko)
DE (1) DE1020172164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6430A1 (de) * 2017-09-15 2019-03-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uteilsystem zur Fixierung eines Verkleidungsteils und Kraftfahrzeug
US11318894B2 (en) * 2019-03-25 2022-05-03 Flarespace Al, Llc Vehicle retrofit providing extended interior widt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603A (ja) * 2001-06-13 2002-12-24 Toyota Motor Corp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05014633A (ja) * 2003-06-23 2005-01-20 Toyoda Gosei Co Ltd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16013765A (ja) * 2014-07-02 2016-01-2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内装材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203067U1 (de) 1982-08-12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Kraftfahrzeug mit einer Dachverkleidung
JP3223794B2 (ja) * 1996-04-10 2001-10-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衝撃エネルギ吸収材の支持構造
DE69729178T3 (de) * 1996-11-07 2009-09-2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Toyota-shi Anordnung und konstruktion einer kraftfahrzeug/insassenschutzvorrichtung
DE19735068C2 (de) * 1997-08-13 2002-11-21 Porsche Ag Energieabsorbierende Verkleidung für eine Aufbausäule eines Kraftfahrzeuges
ATE420808T1 (de) * 2002-04-05 2009-01-15 Antolin Grupo Ing Sa Autodachmodul
US20040256843A1 (en) * 2003-06-23 2004-12-23 Toyoda Gosei Co., Ltd. Head-protecting airbag device
DE20313770U1 (de) * 2003-09-04 2005-01-13 Lear Corporation, Southfield Innenverkleidungsteil
DE102004026544A1 (de) 2004-05-27 2005-12-22 Johnson Controls Interiors Gmbh & Co. Kg Säulenverkleidung,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 Verkleidung,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r Reduzierung der beim Auslösen eines Dachairbags auf eine Säulenverkleidung wirkenden Kraft
DE102004028513A1 (de) 2004-06-11 2005-12-29 Volkswagen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WO2006028206A1 (ja) * 2004-09-09 2006-03-16 Ts Tech Co., Ltd. 表装材にダブルステッチを施してなる車両用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720449B2 (ja) 2005-11-14 2011-07-13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ロントピラー周辺の内装材の取付け構造
US20070278809A1 (en) * 2006-06-04 2007-12-06 Lear Corporation Living Hinge Belt Line Vacuum Form Edge Wrap
US7815217B2 (en) * 2006-09-26 2010-10-19 Mazda Motor Corporation Interior structure of vehicle equipped with curtain airbag
DE102006055507A1 (de) 2006-11-24 2008-06-05 Dr.Ing.H.C. F. Porsche Ag Kraftfahrzeug mit einem kopfschützenden Seitenairbag
US7854101B2 (en) * 2007-04-16 2010-12-21 Honda Motor Co., Ltd System for attaching components to a vehicle
US20080265629A1 (en) * 2007-04-24 2008-10-30 Lear Corporation Headliner having a module
US8641136B2 (en) * 2007-08-10 2014-02-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y Vehicle panel
DE102008032660A1 (de) 2008-07-10 2010-01-14 Volkswagen Ag Vorrichtung zum Herstellen gleichmäßiger Übergangsbereiche
US8033569B2 (en) 2008-08-08 2011-10-11 Mazda Motor Corporation Interior structure of vehicle equipped with curtain airbag
DE102008047461A1 (de) * 2008-09-17 2010-04-15 Dr.Ing.H.C.F.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bindungseinrichtung zum Verbinden von Verkleidungselementen
JP5168090B2 (ja) * 2008-11-05 2013-03-21 豊田合成株式会社 ガーニッシュ
WO2010090637A1 (en) * 2009-02-04 2010-08-12 Ts Tech Co., Ltd. Vehicle door lining
DE102009011017A1 (de) * 2009-02-28 2009-10-29 Daimler Ag Verkleidung zum Verdecken einer Verstell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JP5395504B2 (ja) * 2009-04-28 2014-01-2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内装基材の連結構造
JP5544190B2 (ja) 2010-02-25 2014-07-09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6086295B2 (ja) * 2012-10-23 2017-03-01 スズキ株式会社 サイドシルスカッフのオープニングトリム挟持構造
US8899671B2 (en) * 2013-03-14 2014-12-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eadliner attachment system
JP5971526B2 (ja) * 2013-04-11 2016-08-1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トリムの係止構造
US8876152B1 (en) * 2013-05-20 2014-11-04 Nissan North America, Inc. Inflatable restraint deployment ramp
JP6131233B2 (ja) * 2014-10-24 2017-05-17 豊田鉄工株式会社 重ね合わせ複合内装部品
DE102015203035A1 (de) * 2015-02-19 2016-08-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Innenverkleid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216526A1 (de) * 2015-08-28 2017-03-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Rahmen für eine Fahrzeuginnenverkleidung
US9505856B1 (en) 2016-01-13 2016-11-29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Methods for making fluorided chromium (VI) catalysts, and polymerization processes using the same
DE102017216430A1 (de) * 2017-09-15 2019-03-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uteilsystem zur Fixierung eines Verkleidungsteils und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603A (ja) * 2001-06-13 2002-12-24 Toyota Motor Corp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05014633A (ja) * 2003-06-23 2005-01-20 Toyoda Gosei Co Ltd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16013765A (ja) * 2014-07-02 2016-01-2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内装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56591B1 (de) 2020-06-10
US20190084500A1 (en) 2019-03-21
US10640056B2 (en) 2020-05-05
DE102017216430A1 (de) 2019-03-21
KR20190031150A (ko) 2019-03-25
CN109501692B (zh) 2022-07-08
EP3456591A1 (de) 2019-03-20
CN109501692A (zh) 2019-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3025B1 (en) Arranging structure of vehicle interior components
KR102110929B1 (ko) 라이닝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 및 자동차
EP3042831A1 (en) Vehicle body structure
US9573559B2 (en)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EP2468580B1 (en) Interior material mounting structure
CN111267962B (zh) 前支柱构造
JP5019978B2 (ja) 自動車用グラスラン
JP2007314067A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の上部合わせ構造
KR102067746B1 (ko) 측부 충격의 경우에 중앙 필러 구조물의 변형을 안내할 수 있는 추가 보강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CN112208312B (zh) 后部车门构造
JPH11180236A (ja) 自動車の車体上部におけるエネルギ吸収材の取付構造
US11904791B1 (en) Fabric molded roof rail airbag shell
CN111194280A (zh) 车门装饰件的设计可断性
JP5552133B2 (ja) 自動車用カバー部材
KR0120431Y1 (ko) 자동차 사이드실과 센타플로워 리어 크로스 멤버의 결합구조
JP6941635B2 (ja) 車両前部構造
US20230060693A1 (en) Vehicle front pillar
KR0128313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멤버 보강구조
KR0120537Y1 (ko) 자동차 사이드실과 크로스 멤버의 결합구조
KR0120428Y1 (ko) 자동차 사이드실과 크로스 멤버의 결합구조
JP5378916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配設構造
KR0135440B1 (ko) 자동차용 센터 필러 어셈블리
JP2024041346A (ja) 車両側部構造
KR0118765Y1 (ko) 자동차용 도어샤시
KR200252717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