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254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254B1
KR102041254B1 KR1020187031782A KR20187031782A KR102041254B1 KR 102041254 B1 KR102041254 B1 KR 102041254B1 KR 1020187031782 A KR1020187031782 A KR 1020187031782A KR 20187031782 A KR20187031782 A KR 20187031782A KR 102041254 B1 KR102041254 B1 KR 102041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car
amount
rotation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2791A (ko
Inventor
리키오 곤도
요시타카 가리야
마사히코 히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2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37Performance analy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권상기의 쉬브의 트랙션 능력 저하의 초기에 있어서도, 쉬브에 대한 메인 로프의 미소한 미끄러짐량을 검출하여 보다 빨리 트랙션 능력 저하를 검지 가능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가 매달리는 메인 로프의 중간부가 감겨지는 쉬브를 가지는 권상기와, 권상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어 수단과, 미리 설정된 판정 실시 조건이 성립되는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주행 구간인 판정 대상 구간을 특정하는 구간 특정 수단과, 쉬브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쉬브 회전 검출 수단과, 엘리베이터 칸이 판정 대상 구간을 주행했을 때의 쉬브 회전 검출 수단이 검출한 쉬브의 회전량에 기초하여 쉬브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한다. 판정 실시 조건은, 엘리베이터 칸측 및 균형추측 중 중량이 큰 쪽의 가속도 벡터의 방향이 상승 방향이 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적재 중량 및 가속도가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용 메인 로프의 미끄러짐량을 검출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을 임의의 층으로부터 다른 임의의 층 사이를 상승 운전했을 경우의 인코더로부터의 상승시 펄스 신호에 기초하여 상승시 주행거리 값을 연산하는 것과 함께, 상승 운전과 동일 층을 하강 운전했을 경우의 인코더로부터의 하강시 펄스 신호에 기초하여 하강시 주행거리 값을 연산하고, 그후, 상승시 주행거리 값과 하강시 주행거리 값의 차분을 메인 로프의 미끄러짐량으로서 측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개 2007-153547호 공보
그렇지만, 특히 권상기의 쉬브의 트랙션(traction) 능력이 저하되기 시작한 초기에 있어서는, 메인 로프의 미끄러짐량은 미소하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 나타내지는 기술에 있어서는, 트랙션 능력 저하의 초기에 있어서, 메인 로프의 미소한 미끄러짐량을 검출하여 보다 빨리 트랙션 능력 저하를 검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권상기의 쉬브의 트랙션 능력 저하의 초기에 있어서도, 쉬브에 대한 메인 로프의 미소한 미끄러짐량을 검출하여 보다 빨리 트랙션 능력 저하를 검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일단에 엘리베이터 칸이 매달리고 타단에 균형추가 매달리는 메인 로프의 중간부가 감겨지는 쉬브를 가지는 권상기와, 상기 권상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어 수단과, 미리 설정된 판정 실시 조건이 성립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주행 구간인 판정 대상 구간을 특정하는 구간 특정 수단과, 상기 쉬브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쉬브 회전 검출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판정 대상 구간을 주행했을 때의 상기 쉬브 회전 검출 수단이 검출한 상기 쉬브의 회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쉬브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정 실시 조건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및 상기 균형추측 중 중량이 큰 쪽의 가속도 벡터의 방향이 상승 방향이 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적재 중량 및 가속도가 되는 것인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권상기의 쉬브의 트랙션 능력 저하의 초기에 있어서도, 쉬브에 대한 메인 로프의 미소한 미끄러짐량을 검출하여 보다 빨리 트랙션 능력 저하를 검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비하는 트랙션 진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비하는 트랙션 진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쉬브의 트랙션 진단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1.
도 1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비하는 트랙션 판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1)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1)은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 칸(1)의 상단에는 메인 로프(3)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메인 로프(3)의 타단은 균형추(2)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균형추(2)는 승강로 내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메인 로프(3)의 중간부는,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설치된 권상기(5)의 쉬브(4)에 감겨져 있다. 또한, 메인 로프(3)의 중간부는,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쉬브(4)에 인접해서 마련된 디플렉션 쉬브에도 감겨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2)는, 메인 로프(3)에 의해서 승강로 내에서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승강하는 두레박 모양으로 매달려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는, 이른바 트랙션 방식의 엘리베이터이다.
권상기(5)는 쉬브(4)를 회전 구동한다. 권상기(5)가 쉬브(4)를 회전시키면, 메인 로프(3)와 쉬브(4)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메인 로프(3)가 이동한다. 메인 로프(3)가 이동하면, 메인 로프(3)에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2)가 승강로 내를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승강한다.
권상기(5)에는, 브레이크(6)가 구비되어 있다. 브레이크(6)는 권상기(5)의 회전 즉 쉬브(4)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는, 조속기(7)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7)는 조속기 로프(8)를 구비하고 있다. 조속기 로프(8)는 승강로의 꼭대기부 부근과 저부 부근에 각각 마련된 조속기 쉬브에 감겨진 엔드리스(endless) 로프이다. 조속기 로프(8)의 일측은, 엘리베이터 칸(1)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에 연동하여 조속기 로프(8)가 순환 이동한다. 그리고, 조속기 로프(8)가 순환 이동하면 조속기 쉬브가 회전한다. 이때의 조속기 쉬브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는,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방향 및 주행 속도에 각각 따른 것으로 된다.
엘리베이터 칸(1)이 정지 가능한 층의 각각에는, 승강장(9)이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9)은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1)에 대해서 타고내리기 위한 장소이다. 권상기(5)의 쉬브(4)에는, 쉬브 회전 검출기(11)가 장착되어 있다. 쉬브 회전 검출기(11)는 예를 들면 인코더로 이루어진다. 이 인코더는, 쉬브(4)의 회전 위상 각도에 따라 예를 들면 펄스 모양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 인코더로부터 출력된 펄스 모양 신호의 펄스 수를 계수함으로써, 쉬브(4)의 회전량을 검출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2)가 구비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2)는 엘리베이터 칸(1)의 승강로 내에 있어서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2)는, 각 층의 도어 존 내에 엘리베이터 칸(1)이 있는 것을 검출한다. 도어 존이란, 엘리베이터 칸(1)이 각 층의 승강장(9)에 착상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의 범위를 의미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2)는 판 검지 장치(12a)와 검지판(12b)을 구비하고 있다. 판 검지 장치(12a)는 엘리베이터 칸(1)에 장착되어 있다. 검지판(12b)은, 엘리베이터 칸(1)이 정지 가능한 층의 각각에 대응하여, 승강로 내의 승강장(9)측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가 도어 존 내에 있을 때에는, 판 검지 장치(12a)의 검지 범위 내에 검지판(12b)이 들어가고,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가 도어 존 밖에 있을 때에는, 판 검지 장치(12a)의 검지 범위 내에 검지판(12b)이 들어가지 않도록, 각 층의 검지판(12b)의 설치 위치가 조절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검지판(12b)은 각 층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2)의 검출 결과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가 도어 존 내인지 여부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가 어느 층의 도어 존 내인지, 혹은,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가 어느 층과 어느 층 사이인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2)는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을 계속한다. 엘리베이터 칸(1)에는, 저울 장치(13)가 장착되어 있다. 저울 장치(13)는 엘리베이터 칸(1)에 적재되어 있는 중량을 검출한다. 즉, 저울 장치(13)는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중량 검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 동작 전반은, 엘리베이터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제어부(21)는 쉬브 회전 검출기(11),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2) 및 저울 장치(13)의 검출 결과 등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을 제어한다.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제어는, 엘리베이터 제어부(21)가 권상기(5) 및 브레이크(6)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즉, 권상기(5)의 동작은, 엘리베이터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제어부(21)는 권상기(5)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1)을 주행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상황에 대해서는, 정보 센터(23)에 있어서, 당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 건물의 원격으로부터 감시가 행해지고 있다. 당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 건물과 정보 센터(23)는, 각종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트랙션 진단부(30)를 구비하고 있다. 트랙션 진단부(30)는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을 진단한다. 트랙션 방식의 엘리베이터는, 쉬브(4)와 메인 로프(3)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쉬브(4)의 회전을 메인 로프(3)의 이동으로 변환하여 엘리베이터 칸(1)을 승강시킨다. 쉬브(4)와 메인 로프(3)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충분하지 않게 되면, 쉬브(4)와 메인 로프(3)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한다. 쉬브(4)와 메인 로프(3)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행하고 있는 상태가, 트랙션 능력이 불충분한 상태이다. 그래서, 트랙션 진단부(30)는, 쉬브(4)와 메인 로프(3)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을 진단한다.
트랙션 진단부(30)의 구성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션 진단부(30)는 구간 특정부(31), 과거 데이터 기억부(32), 판정부(33), 기준치 기억부(34) 및 기준치 보정부(35)를 구비하고 있다.
구간 특정부(31)는, 엘리베이터 칸(1)이 주행할 때마다, 판정부(33)가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의 판정을 행하는 대상이 되는 판정 대상 구간을 특정한다. 판정 대상 구간이란, 미리 설정된 판정 실시 조건이 성립되는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주행 구간이다.
판정 실시 조건은, 엘리베이터 칸(1)측 및 균형추(2)측 중 중량이 큰 쪽의 가속도 벡터의 방향이 상승 방향이 되는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 및 가속도가 되는 것이다. 이 판정 실시 조건에 대해서 구체적인 경우로 구분하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판정 실시 조건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1)측 및 균형추(2)측 중 중량이 큰 쪽」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균형추(2)의 중량은,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이 최대 적재 중량의 50%인 경우의 엘리베이터 칸(1)측의 중량과 같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1)측 및 균형추(2)측 중 중량이 큰 쪽」은 이하의 (1) 및 (2)와 같이 된다.
(1)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이 최대 적재 중량의 50%보다 많으면, 균형추(2)측보다 엘리베이터 칸(1)측 쪽이 무겁다.
(2)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이 최대 적재 중량의 50%보다 적으면, 엘리베이터 칸(1)측보다 균형추(2)측 쪽이 무겁다.
다음으로, 판정 실시 조건에 있어서의 「가속도 벡터의 방향이 상승 방향이 되는」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가속도 벡터의 방향이 상승 방향으로 되기 위해서는, 가속도가 0이 아닌 것이 필요하다.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2)의 가속도가 0이 아닌 경우라고 하는 것은, 엘리베이터 칸(1)이 가속 또는 감속하는 경우이다. 엘리베이터 칸(1)의 가속 및 감속은, 엘리베이터 칸(1)이 상승하는 경우와 하강하는 경우의 각각에 있어서 행해진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방향(상승, 하강)과 가속, 감속의 조합의 각각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2)의 가속도 벡터의 방향을 고려하면 이하의 (A)~(D)와 같이 된다.
(A) 엘리베이터 칸(1)이 상승하는 경우의 가속시에는, 엘리베이터 칸(1)의 가속도 벡터의 방향이 상승 방향이 되고, 균형추(2)의 가속도 벡터의 방향이 하강 방향이 된다.
(B) 엘리베이터 칸(1)이 상승하는 경우의 감속시에는, 엘리베이터 칸(1)의 가속도 벡터의 방향이 하강 방향이 되고, 균형추(2)의 가속도 벡터의 방향이 상승 방향이 된다.
(C)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하는 경우의 가속시에는, 엘리베이터 칸(1)의 가속도 벡터의 방향이 하강 방향이 되고, 균형추(2)의 가속도 벡터의 방향이 상승 방향이 된다.
(D)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하는 경우의 감속시에는, 엘리베이터 칸(1)의 가속도 벡터의 방향이 상승 방향이 되고, 균형추(2)의 가속도 벡터의 방향이 하강 방향이 된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1)의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이 최대 적재 중량의 50%보다 많은 경우, 엘리베이터 칸(1)측 및 균형추(2)측 중 중량이 큰 쪽 즉 엘리베이터 칸(1)의 가속도 벡터의 방향이 상승 방향이 되는 것은, (A) 및 (D)의 경우이다. 즉, 우선,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이 최대 적재 중량의 50%보다 많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1)이 상승할 때에 가속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할 때에 감속함」과 같은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 및 가속도가 되는 경우에, 판정 실시 조건이 성립된다.
또한, (2)의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이 최대 적재 중량의 50%보다 적은 경우, 엘리베이터 칸(1)측 및 균형추(2)측 중 중량이 큰 쪽 즉 균형추(2)의 가속도 벡터의 방향이 상승 방향이 되는 것은, (B) 및 (C)의 경우이다. 즉,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이 최대 적재 중량의 50%보다 적고, 한편, 엘리베이터 칸(1)이 상승할 때에 감속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할 때에 가속함」과 같은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 및 가속도가 되는 경우에도, 판정 실시 조건이 성립된다.
구간 특정부(31)는, 우선, 저울 장치(13)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과, 엘리베이터 제어부(21)로부터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정보(특히, 출발층 및 목적층)에 기초하여, 이번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에 있어서, 전술한 판정 실시 조건이 성립되는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위치를 특정한다. 그리고, 구간 특정부(31)는 판정 실시 조건이 성립되는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위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구간을 특정하고, 당해 주행 구간을 판정 대상 구간으로 한다.
또한, 구간 특정부(31)는, 판정 대상 구간의 시점 및 종점의 각각이, 도어 존 내가 되도록 판정 대상 구간을 특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판정 대상 구간의 시점과 종점을 엘리베이터 칸(1)이 통과한 것을,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12)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판정 대상 구간은 판정 실시 조건이 성립되는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위치를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판정 대상 구간 전부에 있어서 판정 실시 조건이 성립될 필요는 없다. 즉, 판정 대상 구간 내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판정 실시 조건이 성립되면 된다. 이때, 판정 대상 구간을 1층분으로 하는, 즉, 어느 층의 도어 존 내를 시점으로 하고, 당해 층의 다음 층의 도어 존 내를 종점으로 함으로써, 판정 대상 구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판정 실시 조건으로서, 엘리베이터 칸(1)측의 중량과 균형추(2)측의 중량의 차가, 보다 커지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의 조건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이 최대 적재 중량의 10%보다 적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이 최대 적재 중량의 90%보다 많은 등의 조건을, 판정 실시 조건에 부가적으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과거 데이터 기억부(32)는 지금까지 구간 특정부(31)가 특정한 판정 대상 구간을 엘리베이터 칸(1)이 주행했을 때의 쉬브 회전 검출기(11)가 검출한 쉬브(4)의 회전량을 기억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과거 데이터 기억부(32)는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일시, 판정 대상 구간의 시점이 되는 층 및 판정 대상 구간의 종점이 되는 층(즉,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구간 및 주행 방향), 및, 쉬브 회전 검출기(11)가 검출한 쉬브(4)의 회전량을 기억한다.
판정부(33)는, 구간 특정부(31)가 특정한 판정 대상 구간을 엘리베이터 칸(1)이 주행했을 때의 쉬브 회전 검출기(11)가 검출한 쉬브(4)의 회전량에 기초하여,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한다. 판정부(33)는,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이용하여, 이 판정을 행한다. 기준치 기억부(34)는 판정부(33)가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의 판정에 이용하는 기준치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이때에 있어서의, 기준치의 설정 방법 및 기준치를 이용한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의 판정 방법에 대해서는, 복수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하에, 기준치의 설정 방법 및 기준치를 이용한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의 판정 방법의 복수의 예에 대해서 순서적으로 설명한다.
처음에 설명하는 제1 예에서는, 기준치 기억부(34)는 판정 대상 구간의 거리마다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판정부(33)는 엘리베이터 칸이 판정 대상 구간을 주행했을 때의 쉬브 회전 검출기(11)가 검출한 쉬브(4)의 회전량과, 기준치 기억부(34)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판정 대상 구간의 거리의 기준치를 비교하여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한다. 그리고, 판정부(33)는, 예를 들면, 쉬브(4)의 회전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이 저하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판정 대상 구간의 시점 및 종점을 도어 존 내로 했을 경우, 판정 대상 구간의 거리는, 2개의 층간의 도어 존 내에서 도어 존 내까지의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거리가 된다. 그래서, 미리 2개의 층간의 도어 존 내에서 도어 존 내까지 엘리베이터 칸(1)을 통상 보다도 느린 속도로 주행시켰을 때의 이동거리를 학습해 둠으로써, 판정 대상 구간의 거리를 자동적으로 설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2개의 층간의 도어 존 내에서 도어 존 내까지의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거리를 정기적으로 학습하여 갱신함으로써, 메인 로프(3)의 지름 감소 및 쉬브(4)의 마모에 의한 쉬브(4)의 회전량의 경년 변화를 보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예에서는, 기준치 기억부(34)는 판정 대상 구간마다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판정부(33)는 엘리베이터 칸이 판정 대상 구간을 주행했을 때의 쉬브 회전 검출기(11)가 검출한 쉬브(4)의 회전량과, 기준치 기억부(34)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판정 대상 구간의 기준치를 비교하여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한다. 그리고, 판정부(33)는, 예를 들면, 쉬브(4)의 회전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이 저하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제3 예에서는, 기준치 기억부(34)는 판정 대상 구간과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방향의 조합마다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판정부(33)는 엘리베이터 칸이 판정 대상 구간을 주행했을 때의 쉬브 회전 검출기(11)가 검출한 쉬브의 회전량과, 기준치 기억부(34)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판정 대상 구간과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방향의 조합에 대해서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쉬브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한다. 그리고, 판정부(33)는, 예를 들면, 쉬브(4)의 회전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이 저하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이들 제1 예에서 제3 예에 있어서, 판정부(33)는, 쉬브(4)의 회전량에 대해서, 과거 데이터 기억부(32)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취득하여 이용하도록 해도 되고, 쉬브 회전 검출기(11)로부터 취득한 것을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들 제1 예에서 제3 예에 있어서는, 판정부(33)는, 쉬브(4)의 회전량과 기준치의 차가, 미리 설정된 허용치 이상인 경우에,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이 저하되어 있다고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이때의 허용치를, 쉬브(4)를 통과할 때의 메인 로프(3)의 신축에 의한 미끄러짐량(크리프량)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쉬브(4)를 통과할 때의 메인 로프(3)의 신축에 의한 미끄러짐량(크리프량) C는, 메인 로프(3)의 로핑 방식에 의해 정해지는 계수 N, 메인 로프(3)의 강성(탄성 계수 K), 엘리베이터 칸(1)측의 메인 로프(3)의 장력 T1, 및, 균형추(2)측의 메인 로프(3)의 장력 T2에 기초하여,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C=(T1-T2)/(N·K) 단, T1>T2 일때
그리고, 판정부(33)에서의 판정에 이용하는 허용치를, 쉬브(4)를 통과할 때의 메인 로프(3)의 신축에 의한 미끄러짐량(크리프량) C 이상으로 함으로써, 크리프에 의한 쉬브(4)의 회전량의 변화를 고려에 넣어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즉,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이 저하되지 않고, 크리프에 의한 쉬브(4)의 회전량의 변화만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 잘못해서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이 저하되어 있다고 판정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메인 로프(3)의 강성(탄성 계수 K)의 경년 변화를 가미하여, 탄성 계수 K에 대해서 상정되는 값 중 최소치를 채용함으로써, 크리프량 C의 최대치를 고려한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의 판정을 행할 수 있어,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의 오판정을 더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전술한 크리프량 C의 식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1)측의 메인 로프(3)의 장력 T1이 클수록, 즉,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이 많을수록, 크리프량 C는 커진다. 그래서, 판정부(33)에서의 판정에 이용하는 허용치를,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이 변화했을 때의 쉬브(4)를 통과할 때의 메인 로프(3)의 신축에 의한 미끄러짐량의 최대치 이상으로 설정해도 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이 변화했을 때의 쉬브(4)를 통과할 때의 메인 로프(3)의 신축에 의한 미끄러짐량의 최대치란,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이 최대 적재 중량일 때의 크리프량이다. 따라서, 바꿔말하면, 판정부(33)에서의 판정에 이용하는 허용치를,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이 최대 적재 중량일 때의 크리프량 이상으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크리프량 C의 최대치를 고려한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의 판정을 행할 수 있어,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의 오판정을 더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통상, 크리프량은 메인 로프(3)의 이송량에 대해서 0.05~0.15%정도이기 때문에, 허용치를 메인 로프(3)의 이송량의 0.2%정도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쉬브(4)를 통과할 때의 메인 로프(3)의 신축에 의한 미끄러짐(크리프)은, 메인 로프(3)가 쉬브(4)로부터 송출되는 측에서만 발생한다. 즉, 쉬브(4)의 회전량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량에 크리프가 영향을 주는 것은,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이며, 엘리베이터 칸(1)이 상승 방향으로 주행할 때에는 크리프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
기준치 보정부(35)는, 기준치 기억부(34)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치를, 메인 로프(3)의 지름 감소 및 쉬브(4)의 마모에 의한 쉬브(4)의 회전량의 경년 변화에 따라 보정한다. 그리고, 판정부(33)는, 기준치 보정부(35)에 의해 보정된 기준치를 이용하여,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의 판정을 행한다.
또한, 전술한 기준치 설정 방법의 제1 예의 경우, 기준치 보정부(35)는, 기준치를 직접적으로 보정하는 것이 아니라, 2개의 층간의 도어 존 내에서 도어 존 내까지의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거리를 보정하도록 해도 된다. 메인 로프(3)의 지름 감소 및 쉬브(4)의 마모에 의해 쉬브(4)의 회전량이 경년 변화했을 경우, 쉬브(4)의 회전량을 기준으로 하면, 같은 쉬브(4)의 회전량이라도,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거리가 변화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쉬브(4)의 회전량을 기준으로 한 2개의 층간의 도어 존 내에서 도어 존 내까지의 엘리베이터 칸(1)의 외관상의 이동거리 쪽을 보정함으로써, 기준치를 직접적으로 보정했을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층간의 도어 존 내에서 도어 존 내까지의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거리를 정기적으로 학습하여 갱신하는 경우에는, 메인 로프(3)의 지름 감소 및 쉬브(4)의 마모에 의한 쉬브(4)의 회전량의 경년 변화를 자동적으로 고려에 넣고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이 경우에는, 기준치 보정부(35)를 마련할 필요는 없다.
알림부(36)는, 판정부(33)에 의해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이 저하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그 취지를, 당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 건물 내의 관리실, 또는, 외부의 정보 센터(23) 등에 알린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이 저하했을 경우에, 보수가 필요한 취지를 통지하여 적절한 대응을 촉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부(21)는, 트랙션 진단부(30)의 판정부(33)에 의해,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이 저하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 칸(1)의 운전을 정지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이 개시되면, 우선, 스텝 S1에 있어서, 트랙션 진단부(30)의 구간 특정부(31)는, 엘리베이터 칸(1)의 당해 주행의 주행 구간에 대해서, 가속 또는 감속을 포함하는 구간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가속 또는 감속을 포함하는 구간이 아닌 경우에는, 일련의 동작 플로우는 종료된다. 한편, 스텝 S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구간이 가속 또는 감속을 포함하는 구간인 경우에는, 스텝 S2로 진행된다.
스텝 S2에 있어서는, 구간 특정부(31)는, 저울 장치(13)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측의 중량과 균형추(2)측의 중량이 언밸런스한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1)측의 중량과 균형추(2)측의 중량이 언밸런스한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이 아닌 경우에는, 일련의 동작 플로우는 종료된다. 한편, 스텝 S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측의 중량과 균형추(2)측의 중량이 언밸런스한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인 경우에는, 스텝 S3로 진행된다.
스텝 S3에 있어서는, 구간 특정부(31)는, 엘리베이터 칸(1)의 가감속의 방향이, 엘리베이터 칸(1)측의 메인 로프(3)에 걸리는 장력과, 균형추(2)측의 메인 로프(3)에 걸리는 장력의 비가 높아지는 방향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이것은, 엘리베이터 칸(1)측 및 균형추(2)측 중 중량이 큰 쪽의 가속도 벡터의 방향이 상승 방향이 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1)측 및 균형추(2)측 중 중량이 큰 쪽의 가속도 벡터의 방향이 상승 방향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일련의 동작 플로우는 종료된다. 한편, 스텝 S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측 및 균형추(2)측 중 중량이 큰 쪽의 가속도 벡터의 방향이 상승 방향이 되는 경우에는, 구간 특정부(31)는 엘리베이터 칸(1)의 당해 주행의 주행 구간을 판정 대상 구간으로 특정하고, 스텝 S4로 진행된다.
스텝 S4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1)이, 층간, 즉, 스텝 S3에서 구간 특정부(31)가 특정한 판정 대상 구간의 주행을 종료했는지 여부를 트랙션 진단부(30)는 확인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1)이 판정 대상 구간의 주행을 종료할 때까지 대기하고, 엘리베이터 칸(1)이 판정 대상 구간의 주행을 종료하면, 스텝 S5로 진행된다.
스텝 S5에 있어서는, 트랙션 진단부(30)의 과거 데이터 기억부(32)에, 엘리베이터 칸(1)이, 층간 즉 판정 대상 구간을 주행했을 때에, 쉬브 회전 검출기(11)가 검출한 쉬브(4)의 회전량의 정보를 보존한다.
이어지는 스텝 S6에 있어서, 트랙션 진단부(30)의 판정부(33)는, 스텝 S5에서 보존한 쉬브(4)의 회전량과, 기준치 기억부(34)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치를 비교하여,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이 저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주로 크리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허용치를 고려해도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준치 보정부(35)에 의해 보정된 기준치 또는 허용치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이 저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일련의 동작 플로우는 종료된다. 한편, 스텝 S6에 있어서,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이 저하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 S7로 진행된다.
스텝 S7에 있어서는, 알림부(36)는, 트랙션 진단부(30)에 의해 쉬브(4)의 트랙션 능력 저하가 검지된 취지를, 정보 센터(23) 등에 알린다. 이어지는 스텝 S8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부(21)는, 트랙션 진단부(30)에 의해 쉬브(4)의 트랙션 능력 저하가 검지된 엘리베이터 칸(1)의 운전을 정지한다. 그리고, 스텝 S8이 완료되면, 일련의 동작 플로우는 종료하게 된다.
또한, 도 1에서는, 로핑 방식을 1:1 로핑으로 했을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로핑 방식은 1:1 로핑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트랙션 방식이면, 2:1 로핑 등, 다른 로핑 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는 트랙션 진단부(30)를, 당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 건물, 특히 당해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반 등에 마련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했다. 그렇지만, 트랙션 진단부(30)의 설치 장소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트랙션 진단부(30)를, 정보 센터(23)에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쉬브(4)에 대한 메인 로프(3)의 미끄러짐량이 커지는 판정 실시 조건이 성립되는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위치를 포함하는 판정 대상 구간을 특정하고, 이 판정 대상 구간에 있어서의 쉬브(4)의 회전량에 기초하여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을 진단한다. 즉, 의도적으로 쉬브(4)에 대한 메인 로프(3)의 미끄러짐량이 커지기 쉬운 주행 조건하에서의 쉬브(4)의 회전량에 기초하여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을 진단한다. 이 때문에,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이 저하되기 시작한 초기에 있어서의 쉬브(4)에 대한 메인 로프(3)의 미끄러짐량을, 보다 큰 것으로 할 수 있어, 트랙션 능력 저하의 초기에 있어서도, 보다 빨리 트랙션 능력 저하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1)을 왕복시키는 일 없이 1회의 편도 주행만으로도 트랙션 능력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진단 대상이 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1)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을 때의 주행에 의해서도 트랙션 능력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랙션 능력 진단을 위해서 서비스 제공을 정지할 필요가 없다.
실시 형태 2.
도 5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것으로, 도 5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비하는 트랙션 진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쉬브의 트랙션 진단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실시 형태 1은, 검출된 쉬브의 회전량과 미리 설정된 기준치의 비교에 의해 쉬브의 트랙션 능력의 진단을 행하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2는, 이번에 검출된 쉬브의 회전량과 과거에 검출된 쉬브의 회전량의 비교에 의해 쉬브의 트랙션 능력의 진단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이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서, 실시 형태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트랙션 진단부(30)는, 구간 특정부(31), 과거 데이터 기억부(32), 판정부(33) 및 알림부(36)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들 중, 구간 특정부(31) 및 알림부(36)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과거 데이터 기억부(32)에는,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마다,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구간, 주행 방향 및 쉬브 회전 검출기(11)가 검출한 쉬브(4)의 회전량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판정부(33)는 엘리베이터 칸(1)이 판정 대상 구간을 주행했을 때의 쉬브 회전 검출기(11)가 검출한 쉬브(4)의 회전량과, 과거 데이터 기억부(32)에 기억되어 있는 쉬브(4)의 회전량을 비교하여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한다. 이때, 비교에 이용하는 과거 데이터 기억부(32)에 기억되어 있는 쉬브(4)의 회전량에 대해서, 예를 들면 다음 2종류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우선, 첫번째 방법은, 이번과 같은 주행 구간에서, 또한, 이번과 같은 주행 방향인 과거의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시에 쉬브 회전 검출기(11)가 검출한 쉬브(4)의 회전량을, 비교에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판정부(33)는, 우선, 이번과 같은 주행 구간에서, 또한, 이번과 같은 주행 방향인 과거의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시에 쉬브 회전 검출기(11)가 검출한 쉬브(4)의 회전량을, 과거 데이터 기억부(32)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이번에 주행했을 때의 쉬브 회전 검출기(11)가 검출한 쉬브(4)의 회전량과, 과거 데이터 기억부(32)로부터 취득한 쉬브(4)의 회전량을 비교한다.
이 비교에 있어서, 판정부(33)는, 예를 들면, 이번의 쉬브(4)의 회전량과, 과거 데이터 기억부(32)로부터 취득한 쉬브(4)의 회전량의 차가, 미리 설정된 허용치 이상이었을 경우에,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이 저하되었다고 판정한다. 또한, 이번과 같은 주행 구간에서, 또한, 이번과는 반대의 주행 방향인 과거 데이터가 복수 있는 경우, 이들 복수의 과거 데이터의 쉬브(4)의 회전량의 평균치를 비교 대상으로서 이용해도 되고, 이들 복수의 과거 데이터 중 최신의 과거 데이터의 쉬브(4)의 회전량을 비교 대상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두번째 방법은, 이번과 같은 주행 구간에서, 또한, 이번과는 반대의 주행 방향인 과거의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시에 쉬브 회전 검출기(11)가 검출한 쉬브(4)의 회전량을, 비교에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판정부(33)는, 우선, 이번과 같은 주행 구간에서, 또한, 이번과는 반대의 주행 방향인 과거의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시에 쉬브 회전 검출기(11)가 검출한 쉬브(4)의 회전량을, 과거 데이터 기억부(32)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이번에 주행했을 때의 쉬브 회전 검출기(11)가 검출한 쉬브(4)의 회전량과, 과거 데이터 기억부(32)로부터 취득한 쉬브(4)의 회전량을 비교한다. 이 비교에 있어서, 판정부(33)는, 예를 들면, 이번의 쉬브(4)의 회전량과, 과거 데이터 기억부(32)로부터 취득한 쉬브(4)의 회전량의 차가, 미리 설정된 허용치 이상이었을 경우에,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이 저하되었다고 판정한다.
또한, 이번과 같은 주행 구간에서, 또한, 이번과는 반대의 주행 방향인 과거 데이터가 복수 있는 경우, 이들 복수의 과거 데이터의 쉬브(4)의 회전량의 평균치를 비교 대상으로서 이용해도 되고, 이들 복수의 과거 데이터 중 최신의 과거 데이터의 쉬브(4)의 회전량을 비교 대상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또한, 이번과 같은 주행 구간에서, 또한, 이번과는 반대의 주행 방향인 복수의 과거 데이터의 쉬브(4)의 회전량의 평균치를 비교 대상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이번의 쉬브(4)의 회전량을 그대로 이용하여 비교를 행하는 것이 아니라, 이번과 같은 주행 구간에서, 또한, 이번과 같은 주행 방향일 때의 쉬브(4)의 회전량에 대해서도 평균치를 이용하여 비교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즉, 이번과 같은 주행 구간에서, 또한, 이번과 같은 주행 방향인 과거 데이터의 쉬브(4)의 회전량과 이번의 쉬브(4)의 회전량의 평균치와, 이번과 같은 주행 구간에서, 또한, 이번과는 반대의 주행 방향인 복수의 과거 데이터의 쉬브(4)의 회전량의 평균치를 비교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의 쉬브(4)의 트랙션 진단 방법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면서, 더 설명한다. 도 6 중의 「동작」란에 기재된 「기동 DN 방향」은, 그 층을 출발층으로 하여 1층까지 하강 방향으로 주행한 경우, 「정지 UP 방향」은, 그 층을 정지층으로 하여 1층으로부터 상승 방향으로 주행한 경우를 각각 의미하고 있다. 또한, 「타입」란의 「펄스」는, 쉬브 회전 검출기(11)로부터 출력된 펄스 수를 의미하고 있고, 즉, 쉬브 회전 검출기(11)가 검출한 쉬브(4)의 회전량에 상당한다. 「타입」란의 「일자」는, 그 쉬브(4)의 회전량이 검출된 일자이다.
우선, 트랙션 진단부(30)는, 엘리베이터 칸(1)이 주행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예를 들면 적재 중량이 0인(엘리베이터 칸(1)이 비어 있음) 경우에, 쉬브 회전 검출기(11)가 검출한 쉬브(4)의 회전량을 과거 데이터 기억부(32)에 기억시킨다. 이때, 쉬브(4)의 회전량은,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1)의 기동층(출발층), 정지층(목적층) 및 주행 방향마다 분류되고, 검출시의 일자와 함께, 과거 데이터 기억부(32)에 기억된다.
또한, 특히 엘리베이터 칸(1)이 비어 있는 경우의 데이터를 트랙션 능력의 진단에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1) 내에 이용자가 없기 때문에, 승차감 등을 배려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큰 가속도로 주행시켜서, 쉬브(4)에 대한 메인 로프(3)의 미끄러짐량을 보다 커지기 쉽게 할 수 있다.
과거 데이터 기억부(32)에 기억되어 있는 쉬브(4)의 회전량의 데이터가 갱신되면, 판정부(33)는, 각각의 주행 구간마다, 상승 주행시의 쉬브(4)의 회전량의 평균치와 하강 주행시의 쉬브(4)의 회전량의 평균치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판정부(33)는 상승 주행시의 쉬브(4)의 회전량의 평균치와 하강 주행시의 쉬브(4)의 회전량의 평균치의 차분을 산출한다. 그리고, 판정부(33)는, 상승 주행시의 쉬브(4)의 회전량의 평균치와 하강 주행시의 쉬브(4)의 회전량의 평균치의 차분이, 미리 설정된 허용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승 주행시의 쉬브(4)의 회전량의 평균치와 하강 주행시의 쉬브(4)의 회전량의 평균치의 차분이 허용치 이상인 경우에는, 판정부(33)는,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이 저하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3F」의 「기동 DN 방향」의 「과거 2」의 데이터와 같이, 어떤 원인에 의해 공백이 되는 데이터가 있었을 경우, 당해 공백 데이터는, 평균치의 산출 대상으로부터 제외된다. 또한, 일정기간 이상 오래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평균치의 산출 대상으로부터 제외된다. 「4F」의 「정지 UP 방향」의 「과거 1」 및 「과거 2」의 데이터와 같이, 일정기간 이상 오래된 데이터에 대해서도, 평균치의 산출 대상으로부터 제외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하여 동일 구간의 상승 주행시의 쉬브(4)의 회전량의 평균치와 하강 주행시의 쉬브(4)의 회전량의 평균치의 차분에 기초하여 쉬브(4)의 트랙션 능력 진단을 행하는 경우의, 트랙션 진단부(30)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서,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이 개시되면, 우선, 스텝 S11에 있어서, 트랙션 진단부(30)는, 저울 장치(13)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이 0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일련의 동작 플로우는 종료하게 된다.
한편, 스텝 S11에서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중량이 0인 경우에는, 스텝 S12로 진행된다. 스텝 S12에 있어서는, 과거 데이터 기억부(32)는,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방향, 기동층 및 정지층, 2점간 즉 기동층으로부터 정지층까지 주행시에 쉬브 회전 검출기(11)가 검출한 쉬브(4)의 회전량, 및, 당해 정보를 보존한 일시를 기억한다.
이어지는 스텝 S13에 있어서, 판정부(33)는, 과거 데이터 기억부(32)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쉬브(4)의 트랙션 능력 판정에 이용하는 데이터(판정 데이터)를 갱신한다. 이 판정 데이터의 포맷은,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이다. 그리고, 스텝 S14로 진행되어, 판정부(33)는, 스텝 S13에서 갱신한 판정 데이터에 대해서, 각각의 주행 구간마다, 상승 주행시의 쉬브(4)의 회전량의 평균치와 하강 주행시의 쉬브(4)의 회전량의 평균치를 산출한다.
스텝 S14 다음은 스텝 S15로 진행된다. 스텝 S15에 있어서는, 판정부(33)는, 스텝 S14에서 산출한 평균치를 이용하여, 상승 주행시의 쉬브(4)의 회전량의 평균치와 하강 주행시의 쉬브(4)의 회전량의 평균치의 차분을 산출한다. 이어지는 스텝 S16에서, 판정부(33)는, 스텝 S15에서 산출한 평균치의 차분이, 미리 설정된 허용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평균치의 차분이 미리 설정된 허용치 이상이 아닌 경우는, 일련의 동작 플로우는 종료하게 된다. 한편, 스텝 S16에서, 평균치의 차분이 미리 설정된 허용치 이상인 경우는, 스텝 S17로 진행된다.
스텝 S17에 있어서는, 알림부(36)는, 트랙션 진단부(30)에 의해 쉬브(4)의 트랙션 능력 저하가 검지된 취지를, 정보 센터(23) 등에 알린다. 이어지는 스텝 S18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부(21)는, 트랙션 진단부(30)에 의해 쉬브(4)의 트랙션 능력 저하가 검지된 엘리베이터 칸(1)의 운전을 정지한다. 그리고, 스텝 S18이 완료되면, 일련의 동작 플로우는 종료하게 된다.
또한, 다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여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의도적으로 쉬브(4)에 대한 메인 로프(3)의 미끄러짐량이 커지기 쉬운 주행 조건하에서의 쉬브(4)의 회전량에 기초하여 쉬브(4)의 트랙션 능력을 진단함으로써, 트랙션 능력 저하의 초기에 있어서도, 보다 빨리 트랙션 능력 저하를 검지할 수 있다.
게다가, 트랙션 능력의 판정에 있어서, 쉬브(4)의 회전량을 기준치와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에 보존한 쉬브(4)의 회전량의 데이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기준치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기준치를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메인 로프(3)의 지름 감소 및 쉬브(4)의 마모에 의한 쉬브(4)의 회전량의 경년 변화를 고려하여 기준치를 보정할 필요도 없고, 쉬브(4)의 회전량의 경년 변화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가 매달리는 메인 로프의 중간부가 권상기의 쉬브에 감겨지는 트랙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엘리베이터 칸
2 균형추
3 메인 로프
4 쉬브
5 권상기
6 브레이크
7 조속기
8 조속기 로프
9 승강장
11 쉬브 회전 검출기
12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
12a 판 검지 장치
12b 검지판
13 저울 장치
21 엘리베이터 제어부
23 정보 센터
30 트랙션 진단부
31 구간 특정부
32 과거 데이터 기억부
33 판정부
34 기준치 기억부
35 기준치 보정부
36 알림부

Claims (12)

  1. 일단에 엘리베이터 칸이 매달리고 타단에 균형추가 매달리는 메인 로프의 중간부가 감겨지는 쉬브를 가지는 권상기와,
    상기 권상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어 수단과,
    미리 설정된 판정 실시 조건이 성립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주행 구간인 판정 대상 구간을 특정하는 구간 특정 수단과,
    상기 쉬브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쉬브 회전 검출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판정 대상 구간을 주행했을 때의 상기 쉬브 회전 검출 수단이 검출한 상기 쉬브의 회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쉬브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정 실시 조건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및 상기 균형추측 중 중량이 큰 쪽의 가속도 벡터의 방향이 상승 방향이 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적재 중량 및 가속도가 되는 것인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정 대상 구간의 거리마다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미리 기억하는 기준치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판정 대상 구간을 주행했을 때의 상기 쉬브 회전 검출 수단이 검출한 상기 쉬브의 회전량과 상기 기준치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판정 대상 구간의 거리의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쉬브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정 대상 구간마다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미리 기억하는 기준치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판정 대상 구간을 주행했을 때의 상기 쉬브 회전 검출 수단이 검출한 상기 쉬브의 회전량과 상기 기준치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판정 대상 구간의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쉬브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정 대상 구간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방향의 조합마다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미리 기억하는 기준치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판정 대상 구간을 주행했을 때의 상기 쉬브 회전 검출 수단이 검출한 상기 쉬브의 회전량과, 상기 기준치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판정 대상 구간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방향의 조합에 대해서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쉬브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마다,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구간, 주행 방향 및 상기 쉬브 회전 검출 수단이 검출한 상기 쉬브의 회전량을 기억하는 과거 데이터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판정 대상 구간을 주행했을 때의 상기 쉬브 회전 검출 수단이 검출한 상기 쉬브의 회전량과, 상기 과거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이번과 같은 주행 구간 및 주행 방향의 상기 쉬브의 회전량을 비교하여 상기 쉬브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마다,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구간, 주행 방향 및 상기 쉬브 회전 검출 수단이 검출한 상기 쉬브의 회전량을 기억하는 과거 데이터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판정 대상 구간을 주행했을 때의 상기 쉬브 회전 검출 수단이 검출한 상기 쉬브의 회전량과, 상기 과거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이번과 같은 주행 구간 및 이번과는 반대의 주행 방향의 상기 쉬브의 회전량을 비교하여 상기 쉬브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치를, 상기 메인 로프의 지름 감소 및 상기 쉬브의 마모에 의한 상기 쉬브의 회전량의 변화에 따라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판정 대상 구간을 주행했을 때의 상기 쉬브 회전 검출 수단이 검출한 상기 쉬브의 회전량과 상기 기준치의 차가, 미리 설정된 허용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쉬브의 트랙션 능력이 저하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허용치는, 상기 쉬브를 통과할 때의 상기 메인 로프의 신축에 의한 미끄러짐량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쉬브를 통과할 때의 상기 메인 로프의 신축에 의한 미끄러짐량은, 상기 메인 로프의 로핑 방식, 상기 메인 로프의 강성,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의 상기 메인 로프의 장력, 및, 상기 균형추측의 상기 메인 로프의 장력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쉬브를 통과할 때의 상기 메인 로프의 신축에 의한 미끄러짐량은, 상기 메인 로프의 강성의 경년 변화를 가미하여 산출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허용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적재 중량이 변화했을 때의 상기 쉬브를 통과할 때의 상기 메인 로프의 신축에 의한 미끄러짐량의 최대치 이상으로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87031782A 2016-05-23 2016-05-23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41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65156 WO2017203561A1 (ja) 2016-05-23 2016-05-23 エレベータ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791A KR20180132791A (ko) 2018-12-12
KR102041254B1 true KR102041254B1 (ko) 2019-11-07

Family

ID=6041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782A KR102041254B1 (ko) 2016-05-23 2016-05-23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92231B2 (ko)
JP (1) JP6569807B2 (ko)
KR (1) KR102041254B1 (ko)
CN (1) CN109153537B (ko)
DE (1) DE112016006890B4 (ko)
WO (1) WO2017203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34931B (zh) * 2020-06-26 2023-06-16 三菱电机楼宇解决方案株式会社 电梯系统以及检查终端
CN117279854A (zh) * 2021-04-01 2023-12-22 通力股份公司 用于估计电梯系统中的绳索滑动的方法和系统
WO2023066692A1 (en) * 2021-10-19 2023-04-27 Inventio Ag Elevator system with increased landing accuracy
CN114563599B (zh) * 2022-02-23 2024-03-19 广东敏卓机电股份有限公司 牵引器全自动检测设备及检测方法
WO2023170796A1 (ja) * 2022-03-08 2023-09-14 三菱電機株式会社 診断装置、診断システム、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保守管理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9869A (ja) 2008-10-06 2010-04-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ロープ滑り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JP2013023367A (ja) 2011-07-25 2013-02-0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13227115A (ja) 2012-04-25 2013-11-07 Hitachi Ltd エレベータ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681A (ja) 1989-06-02 1991-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主索滑り検出装置
JPH0616362A (ja) 1992-07-01 1994-01-25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主索の滑り量測定装置
KR0186121B1 (ko) * 1995-11-23 1999-04-1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진동보상을 위한 속도 제어장치
EP1086921B1 (en) * 1999-03-17 2006-01-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afety device of elevator
WO2005115902A1 (ja) * 2004-05-28 2005-12-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滑り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WO2006022015A1 (ja) * 2004-08-27 2006-03-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CN1953923B (zh) * 2005-05-11 2011-05-1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JP4836564B2 (ja) 2005-12-06 2011-12-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用主ロープの滑り量検出方法及び滑り量検出装置
US8297413B2 (en) * 2007-06-21 2012-10-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afety device for elevator and rope slip detection method using drive sheave acceleration
EP2213606B1 (en) 2008-02-08 2018-04-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device
FI121663B (fi) 2009-10-09 2011-02-28 Kone Corp Mittausjärjestely, valvontajärjestely sekä hissijärjestelmä
EP2864232A4 (en) * 2012-06-20 2016-03-02 Otis Elevator Co ACTIVE DAMPING OF VERTICAL VIBRATIONS OF AN LIFT CABIN
JP2014043291A (ja) * 2012-08-24 2014-03-13 Hitachi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6026054B2 (ja) * 2014-04-30 2016-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点検方法
CN106573755B (zh) * 2014-09-09 2019-03-0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6152965B2 (ja) * 2015-05-28 2017-06-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エレベータ用遠隔地状態判定装置
DE112017004032T5 (de) * 2016-08-09 2019-05-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
WO2018150786A1 (ja) * 2017-02-17 2018-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9573774B (zh) * 2018-05-17 2020-07-28 浙江威特电梯有限公司 一种客用安全缓冲电梯
JP6716751B1 (ja) * 2019-05-15 2020-07-0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ロープ検査システム
EP3819245A1 (en) * 2019-11-08 2021-05-12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JP6958975B2 (ja) * 2019-11-12 2021-11-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ロープ検査システム
WO2021116527A1 (en) * 2019-12-10 2021-06-17 Kone Corporation Monitoring of elevator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9869A (ja) 2008-10-06 2010-04-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ロープ滑り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JP2013023367A (ja) 2011-07-25 2013-02-0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13227115A (ja) 2012-04-25 2013-11-07 Hitachi Ltd 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92231B2 (en) 2022-11-08
CN109153537B (zh) 2021-03-12
DE112016006890B4 (de) 2022-01-13
WO2017203561A1 (ja) 2017-11-30
CN109153537A (zh) 2019-01-04
KR20180132791A (ko) 2018-12-12
JPWO2017203561A1 (ja) 2019-01-17
JP6569807B2 (ja) 2019-09-04
US20190135582A1 (en) 2019-05-09
DE112016006890T5 (de)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25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38627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050362B2 (ja) エレベータ
JP2002068626A (ja) エレベータの診断方法
JP6152965B2 (ja) エレベータ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エレベータ用遠隔地状態判定装置
KR101412226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CN112384462B (zh) 电梯诊断系统
US20200180910A1 (en) Method and an elevator system for defining an elongation of an elevator car suspension means
JP5326474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滑り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JP6218706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2012056689A (ja) エレベータ
KR20170107029A (ko)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
JP2008156127A (ja) エレベータ
JP6419638B2 (ja) 両かごエレベーター
JP2010180026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6975108B2 (ja) エレベーター診断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診断方法
JP6741366B2 (ja) 健全性診断装置
JP6812506B2 (ja) 昇降機監視方法、及び昇降機監視装置
CN112154115B (zh) 电梯装置和紧急停止检查装置的试验方法
CN110770154B (zh) 电梯装置
JP7261190B2 (ja) エレベーター診断装置、エレベーターの荷重検出装置の診断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WO2019058510A1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およびかご位置検出方法
CN115465750B (zh) 电梯控制装置及电梯控制方法
EP43138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rope slip in an elevator system
JP2023147308A (ja) エレベータの停電時運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