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881B1 - 차음재 - Google Patents

차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881B1
KR102039881B1 KR1020167023484A KR20167023484A KR102039881B1 KR 102039881 B1 KR102039881 B1 KR 102039881B1 KR 1020167023484 A KR1020167023484 A KR 1020167023484A KR 20167023484 A KR20167023484 A KR 20167023484A KR 102039881 B1 KR102039881 B1 KR 102039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sound insulation
sound insulating
olefin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141A (ko
Inventor
후미토 다케우치
유지 이시이
미쓰나오 아리노
료 나카쓰지
기요히데 이노마타
다쓰야 사카이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4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6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9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dithiocarba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9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dithiocarbamates
    • C08K5/40Thiurams, i.e. compounds 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 C08K5/4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with oxygen or nitrogen in the ring
    • C08K5/47Th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2Copolymers with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4Monomers containing five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C08F210/18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with non-conjugated dienes, e.g. EPT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420/00Metallocene catalysts
    • C08F2420/02Cp or analog bridged to a non-Cp X anionic don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08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in combination with an ionising compound other than alumoxane, e.g. (C6F5)4B-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12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in combination with an organoaluminium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4Passive absor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구해진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가 -60℃ 이상 0℃ 미만의 온도 범위에 존재하는 연질재(A)와,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구해진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가 0℃ 이상 60℃ 이하의 온도 범위에 존재하는 수지(B)를, 연질재(A) 100질량부당 수지(B) 1∼50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차음재이다. 본 발명의 차음재는, 복잡한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또한 중량을 늘림이 없이, 우수한 차음 특성을 실현한 재료이다.

Description

차음재{SOUND INSULATOR}
본 발명은 차음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경량이고 차음 특성이 우수한 차음재에 관한 것이다.
건재, 퍼스널 컴퓨터, OA 기기, AV 기기, 휴대 전화 등의 전기·전자 기기, 광학 기기, 정밀 기기, 완구, 가정·사무 전기 제품 등의 부품이나 하우징, 나아가서는 특히 철도 차량,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의 교통 및 이동 산업 분야에서 이용되는 부품 및 성형 재료에는, 내충격성, 내열성, 강도, 치수 안정성 등의 일반적인 재료 특성 외에, 제진성이나 차음성이 요구된다.
종래, 높은 제진성을 발휘하는 재료는 알려져 있지만, 제진성이 높은 재료가 반드시 차음성이 우수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예를 들면, 저주파수 영역으로 대표되는 진동 전달음을 차단할 수는 있어도, 인간의 귀가 민감하게 감지하는 1∼6kHz의 고주파수 영역의 음을 유효하게 차단할 수는 없었다.
예를 들면 풍절음(風切音)의 주파수는 대략 2∼10kHz라고 말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풍절음 외에, 추가로 타이어 패턴 노이즈나 모터 유래의 소음도 포함하여 차음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인간의 귀가 민감하게 감지하는 1∼6kHz의 고주파수 영역의 음을 균형 있게 차음할 수 있는 차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4 및 5는, 동적 점탄성으로 측정되는 tanδ의 온도 영역이 상이한 2종 이상의 고분자 소재를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재를 개시하지만, 차음성에 대해서는 충분한 검증을 하고 있지 않다.
또한 근년, 저환경부하, 저연비, 에너지절약의 관점에서, 철도 차량,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의 교통 및 이동 산업 분야에서 이용되는 부품 및 성형 재료에는, 경량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차음 특성을 향상시키는 수법으로서, 고비중의 금속, 금속 산화물 등의 무기물을 혼합함으로써, 차음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 따른 차음재는 우수한 차음 성능을 갖고 있지만, 비중 4.0 이상의 무기물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필연적으로 무거워져, 경량화라는 요구는 만족되지 않고 있다. 그 밖에, 특허문헌 2 및 3에도, 비중이 큰 필러를 이용하여 차음성을 높인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경량화를 달성하면서 차음 특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거나, 구조에 특징을 가지게 하거나 한 차음재가 검토되어 있지만, 이들 차음재는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수율 저하, 생산 속도의 저하 등, 생산성이 향상되지 않는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즉, 경량화와 차음 특성의 향상을, 복잡한 구조에 의존함이 없이 양립시킬 수 있는 기술 및 재료의 개발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소58-9070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1-14653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1-002866호 공보 WO 2013/191222 일본 특허공개 2012-162668호 공보
본 발명은, 복잡한 구조에 의존함이 없이 경량화와 차음 특성의 향상이 양립된 차음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구해진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를 특정 온도역에 갖는 재료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해, 경량이면서 차음 특성이 우수한 차음재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 차음성에 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구해진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가 0℃ 이상 60℃ 이하의 온도 범위에 존재하는 고분자 재료는 1∼4kHz에서의 차음성이 우수하고,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구해진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가 -60℃ 이상 0℃ 미만의 온도 범위에 존재하는 고분자 재료는 4∼6kHz에서의 차음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들을 최적인 비율로 배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로 가교하는 것에 의해, 1∼6kHz의 영역에 걸쳐 균형 있게 차음하는 것이 가능한 고무 조성물 및 그의 가교체를 얻는 것이 가능해졌다.
즉 본 발명은,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구해진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가 -60℃ 이상 0℃ 미만의 온도 범위에 존재하는 연질재(A)와,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구해진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가 0℃ 이상 60℃ 이하의 온도 범위에 존재하는 수지(B)를, 연질재(A) 100질량부당 수지(B) 1∼50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차음재이다.
상기 차음재에 있어서, 연질재(A)가 에틸렌계 고무, 천연 고무 및 다이엔계 고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음재에 있어서, 연질재(A)가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a)는,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40∼72질량%이고, 또한 비공액 폴리엔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2∼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음재에 있어서, 수지(B)가 방향족계 중합체,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b), 폴리아세트산 바이닐, 폴리에스터, 폴리유레테인,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수지 및 폴리아마이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음재에 있어서, 수지(B)가,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 16∼95몰%, 4-메틸-1-펜텐을 제외한 탄소 원자수 2∼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 5∼84몰% 및 비공액 폴리엔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i) 0∼10몰%(단, 구성 단위(i), (ii) 및 (iii)의 합계를 100몰%로 함)를 갖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b-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음재로서, 연질재(A) 및 수지(B)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가황제를 이용하여 가교해서 얻어지는 차음재를 적합하게 들 수 있다.
상기 차음재는 적어도 그의 일부가 발포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차음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일재, 건축용 시일재, 철도 차량용 시일재, 선박용 시일재 및 항공기용 시일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음재는, 복잡한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또한 중량을 늘림이 없이, 우수한 차음 특성을 실현한 재료이다.
본 발명의 차음재는, 건재(바닥 라이닝, 벽, 천정재 등), 퍼스널 컴퓨터, OA 기기, AV 기기, 휴대 전화 등의 전기 및 전자 기기, 광학 기기, 정밀 기기, 완구, 가정 및 사무 전기 제품 등의 부품이나 하우징에 유효하고, 특히 철도 차량,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의 교통 및 이동 산업 분야에서의 부품, 성형 재료로서의 이용 가치가 극히 크다.
[도 1] 도 1(A)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6의 차음재에 있어서, 주파수 1∼4kHz에서의, 시험편 중량과 평균 투과 손실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6의 차음재에 있어서, 주파수 4∼6kHz에서의, 시험편 중량과 평균 투과 손실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2(A)는, 실시예 11∼16 및 비교예 16∼20의 차음재에 있어서, 주파수 1∼4kHz에서의, 시험편 중량과 평균 투과 손실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실시예 11∼16 및 비교예 16∼20의 차음재에 있어서, 주파수 4∼6kHz에서의, 시험편 중량과 평균 투과 손실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구해진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가 -60℃ 이상 0℃ 미만의 온도 범위에 존재하는 연질재(A)와,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구해진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가 0℃ 이상 60℃ 이하의 온도 범위에 존재하는 수지(B)를, 상기 연질재(A) 100질량부에 대하여 수지(B) 1∼50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차음재이다.
우선,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구해진 손실 정접 tanδ에 대하여 설명한다. 재료에 대하여, 분위기 온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해서, 저장 탄성률 G'(Pa), 손실 탄성률 G"(Pa)를 측정하여, G"/ G'로 주어지는 손실 정접 tanδ를 구한다. 온도와 손실 정접 tanδ의 관계를 보면, 손실 정접 tanδ는 일반적으로 특정 온도에서 피크를 갖는다. 그 피크가 나타나는 온도는 일반적으로 유리전이온도(이하, tanδ-Tg라고도 기재함)라고 불린다.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가 나타나는 온도는 실시예에서 기재한 동적 점탄성 측정에 기초하여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음재에 포함되는 연질재(A)는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를 -60℃ 이상 0℃ 미만의 온도 범위에 갖는다. 본 발명의 차음재에 포함되는 수지(B)는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를 0℃ 이상 60℃ 이하의 온도 범위에 갖는다. 본 발명의 차음재는, 이 연질재(A) 및 수지(B)를 연질재(A) 100질량부당 수지(B) 1∼50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한다. 이들 조건을 만족시키는 본 발명의 차음재는 우수한 차음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차음재는, 비중이 큰 필러를 함유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음재는,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거나, 구조에 특징을 가지게 하거나 할 필요가 없으므로, 복잡한 구조로 가공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차음재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에 의해 우수한 차음 특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은, -60℃ 이상 0℃ 미만 및 0℃ 이상 60℃ 이하라는 상이한 온도 범위에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를 갖는 복수의 재료를 소정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에 의해, 인간의 귀가 민감하게 감지하는 1∼6kHz의 고주파수의 전체 영역의 음을 유효하게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차음 특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연질재(A)는,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를 바람직하게는 -55∼-5℃,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0℃의 온도 범위에 갖고, 수지(B)는,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를 바람직하게는 5∼55℃,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의 온도 범위에 갖는다. 또한, 차음 특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차음재는, 연질재(A) 100질량부당 수지(B)를 바람직하게는 5∼45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한다.
연질재(A)는,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를 -60℃ 이상 0℃ 미만의 온도 범위에 갖는 재료이기만 하다면 전술한 대로 우수한 차음 특성이 얻어지므로, 그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연질재(A)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계 고무, 천연 고무 및 다이엔계 고무 등을 포함하는 재료를 들 수 있다. 연질재(A)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이엔계 고무로서는, 예를 들어 아이소프렌 고무(IR), 뷰타다이엔 고무(BR), 스타이렌 뷰타다이엔 고무(SBR), 클로로프렌 고무(CR), 아크릴로나이트릴 뷰타다이엔 고무(NBR) 및 뷰틸 고무(IIR)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계 고무로서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EPM) 및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EPDM)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는,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 뷰텐-1,4-메틸펜텐-1, 헥센-1, 헵텐-1, 옥텐-1, 노넨-1, 데센-1, 운데센-1, 도데센-1, 트라이데센-1, 테트라데센-1, 펜타데센-1, 헥사데센-1, 헵타데센-1, 노나데센-1, 에이코센-1, 9-메틸-데센-1, 11-메틸-도데센-1, 12-에틸-테트라데센-1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α-올레핀에 대해서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α-올레핀과 마찬가지이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비공액 폴리엔으로서는, 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가 5∼20, 바람직하게는 5∼10인 비공액 폴리엔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4-펜타다이엔, 1,4-헥사다이엔, 1,5-헥사다이엔, 1,4-옥타다이엔, 1,5-옥타다이엔, 1,6-옥타다이엔, 1,7-옥타다이엔, 2-메틸-1,5-헥사다이엔, 6-메틸-1,5-헵타다이엔, 7-메틸-1,6-옥타다이엔, 4-에틸리덴-8-메틸-1,7-노나다이엔, 4,8-다이메틸-1,4,8-데카트라이엔,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사이클로헥사다이엔, 다이사이클로옥타다이엔, 메틸렌 노보넨, 5-바이닐 노보넨, 5-에틸리덴-2-노보넨, 5-메틸렌-2-노보넨, 5-바이닐리덴-2-노보넨, 5-아이소프로필리덴-2-노보넨, 6-클로로메틸-5-아이소프로펜일-2-노보넨, 2,3-다이아이소프로필리덴-5-노보넨, 2-에틸리덴-3-아이소프로필리덴-5-노보넨, 2-프로펜일-2,2-노보나다이엔 등을 들 수 있다.
연질재(A)는, 내열 노화성, 내후성, 내오존성의 점에서, 특히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질재(A)에 있어서의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a)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10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100질량%이다.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a)에 있어서, 유연성의 관점에서,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40∼72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2∼66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44∼62질량%이고, 비공액 폴리엔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1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14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7∼12질량%이다.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a)에 있어서는, 전술의 α-올레핀 중 탄소수 3∼10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고, 특히 프로필렌, 1-뷰텐, 1-헥센, 1-옥텐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a)에 있어서는, 전술의 비공액 폴리엔 중 바람직한 비공액 폴리엔으로서는,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5-바이닐리덴-2-노보넨, 5-에틸리덴-2-노보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연질재(A) 중의 결정화 폴리올레핀 함량은 10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B)는,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를 0℃ 이상 60℃ 이하의 온도 범위에 갖는 재료이기만 하다면 전술한 대로 우수한 차음 특성이 얻어지므로, 그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수지(B)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계 중합체,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b), 폴리아세트산 바이닐, 폴리에스터, 폴리유레테인,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수지 및 폴리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수지(B)로서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수지(B)는, 내후성, 내오존성의 점에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스타이렌, 알킬스타이렌 등의 방향족 바이닐 모노머의 중합체 및 방향족 바이닐 모노머와 올레핀계 모노머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b)에 있어서의 α-올레핀은, 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 2∼20의 α-올레핀이며, 4-메틸-1-펜텐을 제외하고, 직쇄상 및 분기상의 α-올레핀, 환상 올레핀,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공액 다이엔, 작용기화 바이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에는, α-올레핀에 비공액 폴리엔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직쇄상 α-올레핀으로서는, 탄소 원자수가 2∼20, 바람직하게는 2∼15,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인 직쇄상 α-올레핀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뷰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에틸렌, 프로필렌, 1-뷰텐, 1-펜텐, 1-헥센, 1-옥텐이다.
분기상의 α-올레핀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5∼20,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의 분기상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3-메틸-1-뷰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4-다이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다이메틸-1-헥센,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올레핀으로서는, 탄소 원자수 3∼20, 바람직하게는 5∼15의 환상 올레핀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사이클로펜텐, 사이클로헥센, 사이클로헵텐, 노보넨, 5-메틸-2-노보넨, 테트라사이클로도데센, 바이닐사이클로헥센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로서는,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o-메틸스타이렌, m-메틸스타이렌, p-메틸스타이렌, o,p-다이메틸스타이렌, o-에틸스타이렌, m-에틸스타이렌, p-에틸스타이렌 등의 모노 또는 폴리알킬스타이렌 등을 들 수 있다.
공액 다이엔으로서는, 탄소 원자수 4∼20, 바람직하게는 4∼10의 공액 다이엔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3-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 클로로프렌, 1,3-펜타다이엔, 2,3-다이메틸뷰타다이엔, 4-메틸-1,3-펜타다이엔, 1,3-헥사다이엔, 1,3-옥타다이엔 등을 들 수 있다.
작용기화 바이닐 화합물로서는, 수산기 함유 올레핀, 할로젠화 올레핀, (메트)아크릴산, 프로피온산, 3-뷰텐산, 4-펜텐산, 5-헥센산, 6-헵텐산, 7-옥텐산, 8-노넨산, 9-데센산, 10-운데센산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 알릴아민, 5-헥센아민, 6-헵텐아민 등의 불포화 아민, (2,7-옥타다이엔일) 석신산 무수물, 펜타프로펜일 석신산 무수물, 상기 불포화 카복실산으로부터 얻어진 무수물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 무수물, 상기 불포화 카복실산으로부터 얻어진 할로젠화물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 할라이드, 4-에폭시-1-뷰텐, 5-에폭시-1-펜텐, 6-에폭시-1-헥센, 7-에폭시-1-헵텐, 8-에폭시-1-옥텐, 9-에폭시-1-노넨, 10-에폭시-1-데센, 11-에폭시-1-운데센 등의 불포화 에폭시 화합물, 바이닐트라이에톡시실레인, 바이닐트라이메톡시실레인,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γ-아미노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실레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산기 함유 올레핀으로서는, 수산기 함유의 올레핀계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말단 수산기화 올레핀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말단 수산기화 올레핀계 화합물로서는, 바이닐 알코올, 알릴 알코올, 수산화-1-뷰텐, 수산화-1-펜텐, 수산화-1-헥센, 수산화-1-옥텐, 수산화-1-데센, 수산화-1-운데센, 수산화-1-도데센, 수산화-1-테트라데센, 수산화-1-헥사데센, 수산화-1-옥타데센, 수산화-1-에이코센 등의 탄소 원자수 2∼20, 바람직하게는 2∼15의 직쇄상의 수산화-α-올레핀; 수산화-3-메틸-1-뷰텐, 수산화-3-메틸-1-펜텐, 수산화-4-메틸-1-펜텐, 수산화-3-에틸-1-펜텐, 수산화-4,4-다이메틸-1-펜텐, 수산화-4-메틸-1-헥센, 수산화-4,4-다이메틸-1-헥센, 수산화-4-에틸-1-헥센, 수산화-3-에틸-1-헥센 등의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5∼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5∼15의 분기상의 수산화-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상기 할로젠화 올레핀으로서는, 염소, 브로민, 아이오딘 등의 주기율표 제17족 원자를 갖는 할로젠화-α-올레핀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할로젠화 바이닐, 할로젠화-1-뷰텐, 할로젠화-1-펜텐, 할로젠화-1-헥센, 할로젠화-1-옥텐, 할로젠화-1-데센, 할로젠화-1-도데센, 할로젠화-1-운데센, 할로젠화-1-테트라데센, 할로젠화-1-헥사데센, 할로젠화-1-옥타데센, 할로젠화-1-에이코센 등의 탄소 원자수가 2∼20, 바람직하게는 2∼15인 직쇄상의 할로젠화-α-올레핀; 할로젠화-3-메틸-1-뷰텐, 할로젠화-4-메틸-1-펜텐, 할로젠화-3-메틸-1-펜텐, 할로젠화-3-에틸-1-펜텐, 할로젠화-4,4-다이메틸-1-펜텐, 할로젠화-4-메틸-1-헥센, 할로젠화-4,4-다이메틸-1-헥센, 할로젠화-4-에틸-1-헥센, 할로젠화-3-에틸-1-헥센 등의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5∼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5∼15의 분기상의 할로젠화-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b)에 있어서의 α-올레핀은 1종류 단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의 조합이어도 된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b)에 있어서의 α-올레핀으로서는, 특히, 에틸렌, 프로필렌, 1-뷰텐, 1-펜텐, 1-헥센, 3-메틸-1-뷰텐, 3-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노보넨, 5-메틸-2-노보넨, 테트라사이클로도데센, 수산화-1-운데센이 적합하다. 또, 유연성, 응력 흡수성, 응력 완화성 등의 점에서, 탄소 원자수가 2∼10인 직쇄상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고, 에틸렌, 프로필렌, 1-뷰텐, 1-펜텐, 1-헥센 및 1-옥텐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높은 응력 흡수성, 폴리올레핀 개질성도 얻어지는 점에서, 에틸렌 및 프로필렌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b)는, 필요에 따라서, 비공액 폴리엔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비공액 폴리엔에 대해서는, 전술의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a)에 있어서의 비공액 폴리엔과 마찬가지이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b)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그 밖의 공중합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b)로서는,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 4-메틸-1-펜텐을 제외한 탄소 원자수 2∼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 및 임의로 비공액 폴리엔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i)의 함유 비율이 이하와 같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b-1)가 바람직하다. 즉,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b-1)에 있어서의 구성 단위(i), 구성 단위(ii) 및 구성 단위(iii)의 함유 비율로서는, 구성 단위(i), (ii) 및 (iii)의 합계를 100몰%로 해서, 구성 단위(i) 16∼95몰%, 구성 단위(ii) 5∼84몰%, 구성 단위(iii) 0∼10몰%이고, 바람직하게는 구성 단위(i) 26∼90몰%, 구성 단위(ii) 10∼74몰%, 구성 단위(iii) 0∼7몰%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구성 단위(i) 61∼85몰%, 구성 단위(ii) 15∼39몰%, 구성 단위(iii) 0∼5몰%이다.
본 발명의 차음재는, 연질재(A) 및 수지(B)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연화재, 보강재, 충전재, 가공 조제, 활성제, 흡습제 등을 함유해도 된다.
연화재는 그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단독으로도 2종 이상 혼합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연화재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파라핀 오일 등의 프로세스 오일(예를 들면 「다이애나 프로세스 오일 PS-430」(상품명: 이데미쓰고산주식회사제) 등), 윤활유, 유동 파라핀, 석유 아스팔트 및 바셀린 등의 석유계 연화재; 콜타르 및 콜타르 피치 등의 콜타르계 연화재; 피마자유, 아마씨유, 유채씨유, 대두유 및 야자유 등의 지방유계 연화재; 밀랍, 카르나우바랍 및 라놀린 등의 납류; 리시놀레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바륨, 스테아르산 칼슘 및 라우르산 아연 등의 지방산 또는 그의 염; 나프텐산, 파인유, 및 로진 또는 그의 유도체; 터펜 수지, 석유 수지, 어택틱 폴리프로필렌 및 쿠마론 인덴 수지 등의 합성 고분자 물질; 다이옥틸 프탈레이트, 다이옥틸 아디페이트 및 다이옥틸 세바케이트 등의 에스터계 연화재; 그 밖에,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액상 폴리뷰타다이엔, 변성 액상 폴리뷰타다이엔, 액상 싸이오콜, 탄화수소계 합성 윤활유, 톨유 및 서브(팩티스)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석유계 연화재가 바람직하고, 특히 프로세스 오일, 그 중에서도 파라핀 오일이 바람직하다.
연화재의 배합량은, 연질재(A)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5∼15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0∼12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00질량부이다.
보강재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시판되고 있는 「아사히 #55G」 및 「아사히 #50HG」(상품명: 아사히카본주식회사제), 「시스트(상품명)」 시리즈: SRF, GPF, FEF, MAF, HAF, ISAF, SAF, FT, MT 등의 카본 블랙(도카이카본주식회사제), 이들 카본 블랙을 실레인 커플링제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실리카, 활성화 탄산 칼슘, 미분 탤크, 미분 규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아사히 #55G」, 「아사히 #50HG」, 「시스트 HAF」의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다.
충전재로서는, 경질 탄산 칼슘, 중질 탄산 칼슘, 탤크, 클레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중질 탄산 칼슘이 바람직하다. 중질 탄산 칼슘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화이톤 SB」(상품명: 시라이시칼슘주식회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보강재 및 충전재의 배합량은 각각, 연질재(A)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30∼30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50∼250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70∼230질량부이다.
가공 조제로서는, 일반적으로 가공 조제로서 고무에 배합되는 것을 널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시놀레산,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라우르산, 스테아르산 바륨,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칼슘 및 에스터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스테아르산이 바람직하다. 가공 조제는, 연질재(A)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1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8.0질량부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질량부 이하의 양으로 적절히 배합된다.
활성제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단독으로도 2종 이상 혼합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다이-n-뷰틸아민, 다이사이클로헥실아민, 모노에탄올아민, 「액팅 B」(상품명: 요시토미제약주식회사제), 「액팅 SL」(상품명: 요시토미제약주식회사제) 등의 아민류; 다이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예를 들면 「PEG#4000」(라이온주식회사제)), 레시틴, 트라이알릴 트라이멜리테이트, 지방족 및 방향족 카복실산의 아연 화합물(예를 들면 「Struktol activator 73」, 「Struktol IB531」 및 「Struktol FA541」(상품명: Schill & Seilacher사제)) 등의 활성제; 「ZEONET ZP」(상품명: 닛폰제온주식회사제) 등의 과산화아연 조제물; 옥타데실트라이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합성 하이드로탈사이트, 특수 4급 암모늄 화합물(예를 들면 「아쿼드 2HF」(상품명: 라이온·아크조주식회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폴리에틸렌 글리콜(예를 들면 「PEG#4000」(라이온주식회사제)), 「아쿼드 2HF」가 바람직하다. 활성제의 배합량은, 연질재(A)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2∼1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3∼5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5∼4질량부이다.
흡습제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단독으로도 2종 이상 혼합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흡습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산화칼슘, 실리카 겔, 황산 나트륨, 몰레큘러 시브, 제올라이트, 화이트 카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산화칼슘이 바람직하다. 흡습제의 배합량은, 연질재(A)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5∼15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0∼12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1.0∼10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차음재는 상기 성분을 혼련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음재는 형상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차음재는 캘린더 롤법이나 T 다이 압출법 등의 시트 성형법으로 시트상으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차음재는 시트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차음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진 시트를, 소정 형상의 성형체로 하는 금형을 이용하여 압축 성형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형상의 차음재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음재는,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등 가교 가능한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들 성분이 가교되어 있어도 된다. 가교하는 경우에는, 가교 가능한 상기 성분에 가황제를 가하고 혼련한다. 즉, 본 발명의 차음재는, 연질재(A) 및 수지(B)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가황제를 이용하여 가교해서 얻을 수도 있다.
가황제(가교제)로서는, 황계 화합물, 유기 과산화물, 페놀 수지, 옥심 화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황계 화합물로서는, 황, 염화황, 이염화황, 모폴린 다이설파이드, 알킬페놀 다이설파이드, 테트라메틸티우람 다이설파이드, 다이싸이오카밤산 셀레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황계 화합물로서는, 황, 테트라메틸티우람 다이설파이드가 바람직하다. 황계 화합물은, 연질재(A)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3∼1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5∼5.0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7∼4.0질량부 배합한다.
상기 유기 과산화물로서는, 다이큐밀 퍼옥사이드, 2,5-다이메틸-2,5-다이(t-뷰틸퍼옥시)헥세인, 2,5-다이메틸-2,5-다이(벤조일퍼옥시)헥세인, 2,5-다이에틸-2,5-다이(t-뷰틸퍼옥시)헥신-3, 다이-t-뷰틸 퍼옥사이드, 다이-t-뷰틸퍼옥시-3,3,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세인, t-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 다이큐밀 퍼옥사이드, 다이-t-뷰틸 퍼옥사이드, 다이-t-뷰틸퍼옥시-3,3,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세인이 바람직하다. 유기 과산화물의 배합량은, 연질재(A) 100g에 대하여, 통상 0.001∼0.05몰, 바람직하게는 0.002∼0.02몰, 더 바람직하게는 0.005∼0.015몰이다.
가황제로서 황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황 촉진제의 병용이 바람직하다. 가황 촉진제로서는, N-사이클로헥실-2-벤조싸이아졸 설펜아마이드, N-옥시다이에틸렌-2-벤조싸이아졸 설펜아마이드, N,N'-다이아이소프로필-2-벤조싸이아졸 설펜아마이드, 2-머캅토벤조싸이아졸(예를 들면 「산셀러 M」(상품명: 산신화학공업주식회사제) 등), 2-(4-모폴리노다이싸이오)벤조싸이아졸(예를 들면 「녹셀러 MDB-P」(상품명: 산신화학공업주식회사제) 등), 2-(2,4-다이나이트로페닐)머캅토벤조싸이아졸, 2-(2,6-다이에틸-4-모폴리노싸이오)벤조싸이아졸, 다이벤조싸이아질 다이설파이드 등의 싸이아졸계; 다이페닐구아니딘, 트라이페닐구아니딘, 다이오쏘톨릴구아니딘 등의 구아니딘계; 아세트알데하이드-아닐린 축합물, 뷰틸알데하이드-아닐린 축합물, 알데하이드 아민계; 2-머캅토이미다졸린 등의 이미다졸린계; 다이에틸싸이오유레아, 다이뷰틸싸이오유레아 등의 싸이오유레아계; 테트라메틸티우람 모노설파이드, 테트라메틸티우람 다이설파이드 등의 티우람계; 다이메틸다이싸이오카밤산 아연, 다이에틸다이싸이오카밤산 아연, 다이뷰틸다이싸이오카밤산 아연(예를 들면 「산셀러 PZ」(상품명: 산신화학공업주식회사제), 「산셀러 BZ」(상품명: 산신화학공업주식회사제) 등), 다이에틸다이싸이오카밤산 텔루륨 등의 다이싸이오산염계; 에틸렌싸이오요소(예를 들면 「산셀러 BUR」(상품명: 산신화학공업주식회사제), 「산셀러 22-C」(상품명: 산신화학공업주식회사제) 등), N,N'-다이에틸싸이오요소 등의 싸이오유레아계; 다이뷰틸잔토겐산 아연 등의 잔테이트계; 그 밖에 아연화(亞鉛華)(예를 들면 「META-Z102」(상품명: 이노우에석회공업주식회사제) 등의 산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황 촉진제의 배합량은, 연질재(A)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1∼2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2∼15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5∼10질량부이다.
가황을 행하는 경우, 추가로 가황 조제를 이용할 수 있다. 가황 조제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단독으로도 2종 이상 혼합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가황 조제의 구체적 예로서는, 산화마그네슘, 아연화(예를 들면 「META-Z102」(상품명: 이노우에석회공업주식회사제) 등의 산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그의 배합량은, 통상, 연질재(A) 100질량부에 대하여, 1∼20질량부이다. 가황 조제로서는, p-퀴논 다이옥심 등의 퀴논 다이옥심계; 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다이알릴 프탈레이트, 트라이알릴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등의 알릴계; 그 밖에 말레이미드계; 다이바이닐벤젠 등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음재는 전체 또는 일부가 발포체여도 된다. 상기 발포체는 가황 발포체여도 된다. 본 발명의 차음재는, 적어도 그의 일부를 발포체로 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자동차의 스펀지상 시일 제품, 특히 웨더 스트립으로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음재를 발포체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성분에 발포제를 가하여 발포시킨다. 발포제로서는, 중탄산 나트륨, 탄산 나트륨 등의 무기계 발포제; N,N'-다이나이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N,N'-다이나이트로소테레프탈아마이드 등의 나이트로소 화합물;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 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 벤젠설폰일하이드라자이드, 4,4'-옥시비스(벤젠설폰일하이드라자이드) 등의 하이드라자이드 화합물; 칼슘 아자이드, 4,4'-다이페닐다이설폰일 아자이드 등의 아자이드 화합물 등의 유기 발포제를 들 수 있다.
발포제의 배합량은, 연질재(A)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3∼3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4∼20질량부이다. 발포제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되고 있는, 비니포르 AC#3M(상품명: 에이와화성공업주식회사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약호 ADCA)), 비니포르 AC#3C-K2(상품명: 에이와화성공업주식회사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약호 ADCA)), 셀마이크 C-2(상품명: 산쿄화성주식회사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약호 ADCA)), 네오셀본 N#1000M(상품명: 에이와화성공업주식회사 4,4'-옥시비스(벤젠설폰일하이드라자이드)(약호 OBSH))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발포제와 함께 발포 조제를 사용해도 된다. 발포 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살리실산, 프탈산, 스테아르산, 옥살산, 시트르산 등의 유기산 및 그의 염, 요소 및 그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발포 조제의 배합량은, 연질재(A)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1∼5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3∼4질량부이다. 발포 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되고 있는, 셀페이스트 K5(상품명: 에이와화성공업주식회사 요소), FE-507(상품명: 에이와화성공업주식회사 중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음재가 가황 발포체인 경우, 상기 성분, 가황제 및 발포제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가황 발포시킨다. 가황 발포의 일례로서는, 상기 조성물을, 튜브상 다이에 장착한 압출기를 이용해서 압출하여, 튜브상으로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얻어진 성형체를 성형과 동시에 가황조 내에 도입하고, 예를 들어 230℃에서 5분간 가열함으로써, 가교 및 발포를 행하여, 튜브상 발포체(스펀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음재는, 전술한 대로, 복잡한 형상으로 함이 없이, 경량이면서 우수한 차음 특성을 실현한 재료이므로,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차음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일재, 건축용 시일재, 철도 차량용 시일재, 선박용 시일재 및 항공기용 시일재 등은 우수한 차음 제품이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표 중의 성분에 관한 수치는 질량부를 나타낸다.
(배합 재료)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이용한 배합 재료는 하기와 같다.
A) 연질재
A-1) EPDM(상품명: 미쓰이 EPT 1045(미쓰이화학(주)제), 에틸렌 함유량: 58wt%,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함유량: 5.0wt%, 무니 점도[ML1+4(100℃)]: 38)
A-2) EPDM(상품명: 미쓰이 EPT 8030M(미쓰이화학(주)제), EPDM,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함유량: 47질량%, 5-에틸리덴-2-노보넨(ENB)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함유량: 9.5질량%, 무니 점도[ML1+4(100℃)]: 32)
A-3) 하기 중합예 1에 의해 얻어진 EPDM
[중합예 1]
교반 날개를 구비한 용적 300L의 중합기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5-에틸리덴-2-노보넨(ENB) 및 5-바이닐-2-노보넨(VNB)으로 이루어지는 사원 공중합 반응을 80℃에서 행했다. 중합 용매로서 헥세인(최종 농도: 90.8중량%)을 이용하여, 에틸렌 농도를 3.1중량%, 프로필렌 농도를 4.6중량%, ENB 농도를 1.4중량% 및 VNB 농도를 0.11중량%로 해서, 이들을 연속 공급했다. 중합 압력을 0.8MPa로 유지하면서, 주촉매로서 메탈로센계 촉매인 [N-(1,1-다이메틸에틸)-1,1-다이메틸-1-[(1,2,3,3A,8A-η)-1,5,6,7-테트라하이드로-2-메틸-S-인다센-1-일]실레인아미네이트(2-)-κN][(1,2,3,4-η)-1,3-펜타다이엔]-타이타늄을, 그의 농도가 0.0013mmol/L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공급했다. 또한, 공촉매로서 (C6H5)3CB(C6F5)4를, 그의 농도가 0.0066mmol/L가 되도록,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서 트라이아이소뷰틸알루미늄(TIBA)을, 그의 농도가 0.0154mmol/L가 되도록, 각각 연속적으로 공급했다. 한편, 상기 메탈로센계 촉매는 국제공개 제98/49212호 팸플릿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준하여 합성해서 얻었다.
이와 같이 해서, 에틸렌, 프로필렌, ENB 및 VNB로부터 합성된 공중합체 고무를 10.8중량% 포함하는 중합 반응액이 얻어졌다. 중합기 하부로부터 뽑아낸 중합 반응액 중에 소량의 메탄올을 첨가하여 중합 반응을 정지시키고, 스팀 스트리핑 처리로 공중합체 고무를 용매로부터 분리한 후, 80℃에서 하루 동안 감압 건조하여, 에틸렌·프로필렌·비공액 다이엔 랜덤 공중합체를 얻었다. 이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함유량은 46질량%, 5-에틸리덴-2-노보넨(ENB) 및 5-바이닐-2-노보넨(VNB)으로부터 유도되는 합계의 구조 단위 함유량은 11.6질량%이고, 이 공중합체의 무니 점도[ML1 +4(160℃)]는 74였다.
A-4) 뷰틸 고무(IIR)(상품명: JSR Butyl 268(JSR사(주)제), 불포화도(몰%): 1.5%, 무니 점도[ML1+8(125℃)]: 51)
A-5) 스타이렌 뷰타다이엔 고무(SBR)(상품명: SBR 1502(닛폰제온(주)제), 결합 스타이렌량: 23.5%, 무니 점도[ML1+4(100℃)]: 52)
A-6) 아크릴로나이트릴 뷰타다이엔 고무(NBR)(상품명: Nipol 1042(닛폰제온(주)제), 결합 아크릴로나이트릴량: 33.5%, 무니 점도[ML1+4(100℃)]: 77.5)
B) 수지
B-1) 하기 중합예 2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
[중합예 2]
충분히 질소 치환한 용량 1.5리터의 교반 날개 부착 SUS제 오토클레이브에, 23℃에서 노말 헥세인 300ml(건조 질소 분위기, 활성 알루미나 상에서 건조한 것), 4-메틸-1-펜텐 450ml를 넣었다. 이 오토클레이브에, 트라이아이소뷰틸알루미늄(TIBAL)의 1.0mmol/ml 톨루엔 용액을 0.75ml 넣고, 교반기를 돌렸다.
다음으로, 오토클레이브를 내온 60℃까지 가열하고, 전체압이 0.40MPa(게이지압)이 되도록 프로필렌으로 가압했다. 계속해서, 미리 조제해 둔, 메틸알루미녹세인을 Al 환산으로 1mmol, 다이페닐메틸렌(1-에틸-3-t-뷰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2,7-다이-t-뷰틸-플루오렌일)지르코늄 다이클로라이드를 0.01mmol 포함하는 톨루엔 용액 0.34ml를 질소로 오토클레이브에 압입하여, 중합을 개시했다. 중합 반응 중, 오토클레이브 내온이 60℃가 되도록 온도 조정했다. 중합 개시 60분 후, 오토클레이브에 메탄올 5ml를 질소로 압입하여 중합을 정지하고, 오토클레이브를 대기압까지 탈압했다. 반응 용액을 교반하면서, 반응 용액에 아세톤을 부어, 폴리머를 석출시켰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얻어진, 용매를 포함하는 폴리머괴(塊)를 100℃, 감압하에서 12시간 건조했다. 얻어진 중합체는 36.9g이고, 중합체 중의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함량은 72mol%,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 함량은 28mol%였다.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337,000, tanδ-Tg는 28℃, tanδ 최대치는 2.4였다.
B-2) 수소 첨가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공중합체(상품명: 하이브라 5127(구라레이(주)제), tanδ-Tg: 18℃, tanδ 최대치: 0.8)
B-3) 수소 첨가 스타이렌계 열가소 엘라스토머(상품명: S.O.E. L605(아사히화성(주)제), tanδ-Tg: 16℃, tanδ 최대치: 1.5)
C) 가황 조제
C-1) 산화아연 2종(미쓰이금속광업(주)제)
C-2) 활성 아연화(상품명: META-Z102(이노우에석회공업(주)제))
D) 가공 조제
스테아르산(상품명: 분말 스테아르산 사쿠라(니치유(주)제))
E) 보강재
카본 블랙(상품명: 아사히 #55G(아사히카본(주)제))
F) 충전재
탄산 칼슘(상품명: 화이톤 SB(시라이시칼슘(주)제))
G) 활성제
폴리에틸렌 글리콜(상품명: PEG#4000(라이온(주)제))
H) 연화재
파라핀 오일(상품명: 다이애나 프로세스 오일 PS-430(이데미쓰고산(주)제))
I) 가황제
황(상품명: 알파그랜 S-50EN(도우치(주)제))
J) 가황 촉진제
J-1) 티우람계 가황 촉진제: 테트라메틸티우람 다이설파이드(상품명: 산셀러 TT(산신화학공업(주)제))
J-2) 싸이아졸계 가황 촉진제: 2-머캅토벤조싸이아졸(상품명: 산셀러 M(산신화학공업(주)제))
J-3) 설펜아마이드계 가황 촉진제: N-(tert-뷰틸)-2-벤조싸이아졸 설펜아마이드(상품명: 산셀러 NS-G(산신화학공업(주)제))
J-4) 싸이아졸계 가황 촉진제: 다이벤조싸이아질 다이설파이드(상품명: 산셀러 DM(산신화학공업(주)제))
J-5) 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계 가황 촉진제: 다이뷰틸다이싸이오카밤산 아연(상품명: 산셀러 BZ(산신화학공업(주)제))
J-6) 싸이오유레아계 가황 촉진제: 2-이미다졸린-2-싸이올(상품명: 산셀러 22-C(산신화학공업(주)제))
J-7) 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계 가황 촉진제: 다이에틸다이싸이오카밤산 텔루륨(상품명: 산셀러 TE-G(산신화학공업(주)제))
K) 발포제
4,4'-옥시비스(벤젠설폰일하이드라자이드)(OBSH)(상품명: 네오셀본 N#1000M(에이와화성공업(주)제))
L) 흡습제
산화칼슘(상품명: VESTA-18(이노우에석회공업(주)제))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각 물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 또는 평가했다.
a) 동적 점탄성 측정
점탄성 측정 장치 ARES(TA Instruments JAPAN Inc.사제)를 이용하여, 하기 측정 조건에서 각 재료의 점도의 온도 의존성을 측정했다. 당해 측정으로 얻어진, 저장 탄성률(G')과 손실 탄성률(G")의 비(G"/G': 손실 정접)를 tanδ로 했다. tanδ를 온도에 대하여 플롯하면, 위로 볼록한 곡선 즉 피크가 얻어지고, 그 피크의 정점의 온도를 유리전이온도, 즉 tanδ-Tg로 해서, 그 온도에서의 극대치를 측정했다. tanδ당 2개의 피크가 관측된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피크로서 쌍방의 tanδ-Tg 및 극대치를 기록했다.
(측정 조건)
Frequency: 1.0Hz
Temperature: -70∼80℃
Ramp Rate: 4.0℃/분
Strain: 0.5%
b) 차음 특성 시험
프레스 시트 및 튜브상 스펀지 성형품으로부터 시험편을 타발(打拔)하고, 내경 29mmφ의 4206-T형 음향관(Bruel&Kjaer제) 및 측정용 소프트(PULSE Material Testing Type 7758, Bruel&Kjaer제)를 이용해서 수직 입사 투과 손실을 측정하여, 1∼4kHz 및 4∼6kHz에서의 평균 투과 손실을 구했다.
c) 비중, 시험편 중량
차음 특성 시험에 사용한 시험편에 대하여, 25℃ 분위기하에서 자동 비중계(도요정기제작소제: M-1형)를 이용해서 질량 측정, 및 공기 중과 순수(純水) 중의 질량의 차로부터 비중 측정을 행했다.
[실시예 1]
MIXTRON BB MIXER((주)고베제강소사제, BB-4형, 용적 2.95L, 로터 4WH)를 이용하여, 연질재 A-1(EPDM) 100질량부, 수지 B-1 40질량부, 가황 조제 C-1(산화아연) 5질량부, 가공 조제(스테아르산) 1질량부를 혼련했다. 혼련은, 로터 회전수 50rpm, 플로팅 웨이트 압력 3kg/cm2, 혼련 시간 5분간으로 행하고, 혼련 배출 온도는 148℃였다.
이어서, 상기 혼련 후의 배합물이 온도 40℃ 이하가 된 것을 확인한 후, 상기 배합물에 가황 촉진제 J-1(테트라메틸티우람 다이설파이드) 1질량부, 가황 촉진제 J-2(2-머캅토벤조싸이아졸) 0.5질량부, 가황제(황) 1.5질량부를 첨가하고, 8인치 2본 롤 혼련기를 이용하여 혼련했다. 혼련 조건으로서는, 롤 온도를 전롤/후롤: 50℃/50℃, 전롤의 회전수를 12.5rpm, 후롤의 회전수를 10.4rpm으로 했다. 혼련물을 시트상으로 분출한 후, 가열 프레스를 이용하여 160℃에서 20분간 가열 가황함으로써, 두께 2mm의 가황 시트(프레스 시트)를 얻었다. 이 가황 시트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및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6]
비교예 1∼6에 대하여, 배합 조성을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의 배합 조성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가황 시트(프레스 시트)를 제작하여, 상기 측정 및 평가를 행했다. 단, 비교예 2에서는, 수지(B) 대신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상품명: 타프머 DF605(미쓰이화학(주)제), tanδ-Tg: -46℃, tanδ 최대치: 0.5)를 이용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 비교예 1∼6의 차음 특성에 대하여, 시험편 질량과 평균 투과 손실의 관계 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 도 1(A)는 1∼4kHz, 도 1(B)는 4∼6kHz에 대한 결과이다.
Figure 112016083118013-pct00001
표 1 및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간의 귀에 감도 좋게 음이 들리는 1∼4kHz 및 4∼6kHz라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비교예 1∼6에서는, 측정에 이용한 시험편의 질량이 늘어날 때마다 투과 손실이 향상되고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시험편의 질량이 비교예 1∼6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가벼운 경우이더라도, 차음 특성이 비교예 1∼6보다 높다는 것이 확인된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차음재는, 종래의 차음재의 차음 특성을 유지하면서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것, 또는 종래의 차음재의 경량성을 유지한 채로 차음 특성의 향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8인치 2본 롤 혼련기를 이용하여, 전롤 온도/후롤 온도: 70℃/70℃, 전롤의 회전수 12.5rpm, 후롤의 회전수 10.4rpm이라는 혼련 조건에서, 연질재 A-4(뷰틸 고무) 100질량부, 수지 B-1 40질량부, 가황 조제 C-1(산화아연) 3질량부, 가공 조제(스테아르산) 1질량부를 균일해질 때까지 혼련한 후, 가황 촉진제 J-1(테트라메틸티우람 다이설파이드) 1질량부, 가황제(황) 1.75질량부를 첨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더 혼련했다. 그 후, 혼련물을 시트상으로 분출하고, 가열 프레스를 이용하여 160℃에서 30분간 가열 가황함으로써, 두께 2mm의 가황 시트(프레스 시트)를 얻었다. 이 가황 시트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및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7, 8]
비교예 7, 8에 대하여, 배합 조성을 표 2에 나타내는 대로의 배합 조성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에서 가황 시트(프레스 시트)를 제작하여, 상기 측정 및 평가를 행했다. 단, 비교예 8에서는, 수지(B) 대신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상품명: 타프머 DF605(미쓰이화학(주)제), tanδ-Tg: -46℃, tanδ 최대치: 0.5)를 이용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83118013-pct00002
차음 특성 시험의 결과로부터, 표 2에 나타내는 대로, 1∼4kHz 및 4∼6kHz의 영역 모두, 실시예 2는, 시험편의 질량이 비교예 7, 8보다 가벼움에도 불구하고, 차음 특성이 비교예 7, 8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8인치 2본 롤 혼련기를 이용하여, 전롤 온도/후롤 온도: 70℃/70℃, 전롤의 회전수 12.5rpm, 후롤의 회전수 10.4rpm이라는 혼련 조건에서, 연질재 A-5(스타이렌 뷰타다이엔 고무) 100질량부, 수지 B-1 40질량부, 가황 조제 C-1(산화아연) 3질량부, 가공 조제(스테아르산) 1질량부를 균일해질 때까지 혼련한 후, 가황 촉진제 J-3(N-(tert-뷰틸)-2-벤조싸이아졸 설펜아마이드) 1질량부, 가황제(황) 1.75질량부를 첨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더 혼련했다. 그 후, 혼련물을 시트상으로 분출하고, 가열 프레스를 이용하여 160℃에서 30분간 가열 가황함으로써, 두께 2mm의 가황 시트(프레스 시트)를 얻었다. 이 가황 시트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및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9, 10]
비교예 9, 10에 대하여, 배합 조성을 표 3에 나타내는 대로의 배합 조성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에서 가황 시트(프레스 시트)를 제작하여, 상기 측정 및 평가를 행했다. 단, 비교예 10에서는, 수지(B) 대신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상품명: 타프머 DF605(미쓰이화학(주)제), tanδ-Tg: -46℃, tanδ 최대치: 0.5)를 이용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83118013-pct00003
차음 특성 시험의 결과로부터, 표 3에 나타내는 대로, 1∼4kHz 및 4∼6kHz의 영역 모두, 실시예 3은, 시험편의 질량이 비교예 9, 10보다 가벼움에도 불구하고, 차음 특성이 비교예 9, 10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8인치 2본 롤 혼련기를 이용하여, 전롤 온도/후롤 온도: 70℃/70℃, 전롤의 회전수 12.5rpm, 후롤의 회전수 10.4rpm이라는 혼련 조건에서, 연질재 A-6(아크릴로나이트릴 뷰타다이엔 고무) 100질량부, 수지 B-1 40질량부, 가황 조제 C-1(산화아연) 3질량부, 가공 조제(스테아르산) 1질량부를 균일해질 때까지 혼련한 후, 가황 촉진제 J-3(N-(tert-뷰틸)-2-벤조싸이아졸 설펜아마이드) 0.7질량부, 가황제(황) 1.55질량부를 첨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더 혼련했다. 그 후, 혼련물을 시트상으로 분출하고, 가열 프레스를 이용하여 160℃에서 30분간 가열 가황함으로써, 두께 2mm의 가황 시트(프레스 시트)를 얻었다. 이 가황 시트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및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11, 12]
비교예 11, 12에 대하여, 배합 조성을 표 4에 나타내는 대로의 배합 조성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조건에서 가황 시트(프레스 시트)를 제작하여, 상기 측정 및 평가를 행했다. 단, 비교예 12에서는, 수지(B) 대신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상품명: 타프머 DF605(미쓰이화학(주)제), tanδ-Tg: -46℃, tanδ 최대치: 0.5)를 이용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83118013-pct00004
차음 특성 시험의 결과로부터, 표 4에 나타내는 대로, 1∼4kHz 및 4∼6kHz의 영역 모두, 실시예 4는, 시험편의 질량이 비교예 11, 12보다 가벼움에도 불구하고, 차음 특성이 비교예 11, 12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MIXTRON BB MIXER((주)고베제강소사제, BB-4형, 용적 2.95L, 로터 4WH)를 이용하여, 연질재 A-3(EPDM) 100질량부, 수지 B-1 40질량부, 가황 조제 C-2(활성 아연화) 8질량부, 가공 조제(스테아르산) 2질량부, 보강재(카본 블랙) 88질량부, 충전재(탄산 칼슘) 50질량부, 활성제(폴리에틸렌 글리콜) 1질량부, 연화재(파라핀 오일) 71질량부를 혼련했다. 혼련은, 로터 회전수 50rpm, 플로팅 웨이트 압력 3kg/cm2, 혼련 시간 5분간으로 행하고, 혼련 배출 온도는 152℃였다.
상기 혼련 후의 배합물이 온도 40℃ 이하가 된 것을 확인한 후, 상기 배합물에 가황 촉진제 J-4(다이벤조싸이아질 다이설파이드) 1.5질량부, 가황 촉진제 J-5(다이뷰틸다이싸이오카밤산 아연) 2질량부, 가황 촉진제 J-6(2-이미다졸린-2-싸이올) 1질량부, 가황 촉진제 J-7(다이에틸다이싸이오카밤산 텔루륨) 0.1질량부, 가황제(황) 1.5질량부를 첨가하고, 14인치 2본 롤 혼련기를 이용하여 혼련했다. 혼련 조건으로서는, 롤 온도를 전롤/후롤: 60℃/55℃, 전롤의 회전수를 13rpm, 후롤의 회전수를 11.5rpm으로 했다. 혼련물을 시트상으로 분출한 후, 가열 프레스를 이용하여 180℃에서 10분간 가열 가황함으로써, 두께 2mm의 가황 시트(프레스 시트)를 얻었다. 이 가황 시트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및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6∼10]
실시예 6∼10에 대하여, 배합 조성을 표 5에 나타내는 대로의 배합 조성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조건에서 가황 시트(프레스 시트)를 제작하여, 상기 측정 및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13∼15]
비교예 13∼15에 대하여, 배합 조성을 표 5에 나타내는 대로의 배합 조성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조건에서 가황 시트(프레스 시트)를 제작하여, 상기 측정 및 평가를 행했다. 단, 비교예 14에서는, 수지(B) 대신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타프머 DF605(미쓰이화학(주)제), tanδ-Tg: -46℃, tanδ 최대치: 0.5)를 이용하고, 비교예 15에서는, 수지(B) 대신에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상품명: 노티오 SN0285(미쓰이화학(주)제), tanδ-Tg: -10℃, tanδ 최대치: 1.2)를 이용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83118013-pct00005
차음 특성 시험의 결과로부터, 표 5에 나타내는 대로, 1∼4kHz 및 4∼6kHz의 영역 모두, 실시예 5∼10은, 시험편의 질량이 비교예 13∼15보다 가벼운 경우이더라도, 차음 특성이 비교예 13∼15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1]
MIXTRON BB MIXER((주)고베제강소사제, BB-4형, 용적 2.95L, 로터 4WH)를 이용하여, 연질재 A-3(EPDM) 100질량부, 수지 B-1 40질량부, 가황 조제 C-2(활성 아연화) 8질량부, 가공 조제(스테아르산) 2질량부, 보강재(카본 블랙) 88질량부, 충전재(탄산 칼슘) 50질량부, 활성제(폴리에틸렌 글리콜) 1질량부, 연화재(파라핀 오일) 71질량부, 흡습제(산화칼슘) 5질량부를 혼련했다. 혼련은, 로터 회전수 50rpm, 플로팅 웨이트 압력 3kg/cm2, 혼련 시간 5분간으로 행하고, 혼련 배출 온도는 152℃였다.
상기 혼련 후의 배합물이 온도 40℃ 이하가 된 것을 확인한 후, 상기 배합물에, 발포제(4,4'-옥시비스(벤젠설폰일하이드라자이드)) 2.6질량부, 가황 촉진제 J-4(다이벤조싸이아질 다이설파이드) 1.5질량부, 가황 촉진제 J-5(다이뷰틸다이싸이오카밤산 아연) 2질량부, 가황 촉진제 J-6(2-이미다졸린-2-싸이올) 1질량부, 가황 촉진제 J-7(다이에틸다이싸이오카밤산 텔루륨) 0.1질량부, 가황제(황) 1.5질량부를 첨가하고, 14인치 2본 롤 혼련기를 이용하여 혼련했다. 혼련 조건으로서는, 롤 온도를 전롤/후롤: 60℃/55℃, 전롤의 회전수를 13rpm, 후롤의 회전수를 11.5rpm으로 하고, 혼련물을 리본상으로 분출했다.
다음으로, 얻어진 리본상의 조성물을, 튜브상 다이(내경 12mm, 두께 1.5mm)를 장착한 60mmφ 압출기를 이용해서, 다이 온도 80℃, 실린더 온도 60℃의 조건에서 압출하여, 튜브상으로 성형했다. 이 성형체를 성형과 동시에 230℃, 1kHz의 마이크로파 가황조, 계속해서 250℃로 설정한 직선식 열풍 가황 장치(HAV)에 도입하고, 5분간 가열함으로써 가교 및 발포를 행하여, 튜브상 스펀지 성형체를 얻었다. 이 스펀지 성형체를 잘라내어 시험편을 타발하고, 이 시험편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 및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실시예 12∼16]
실시예 12∼16에 대하여, 배합 조성 및 가황 조건을, 표 6에 나타내는 대로의 배합 조성 및 가황 조건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조건에서 튜브상 스펀지 성형체를 제작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이 시험편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 및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비교예 16∼20]
비교예 16∼20에 대하여, 배합 조성 및 가황 조건을, 표 6에 나타내는 대로의 배합 조성 및 가황 조건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조건에서 튜브상 스펀지 성형체를 제작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이 시험편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 및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1∼16, 비교예 16∼20의 차음 특성에 대하여, 시험편 질량과 평균 투과 손실의 관계 결과를 도 2에 나타냈다. 도 2(A)는 1∼4kHz, 도 2(B)는 4∼6kHz에 대한 결과이다.
Figure 112016083118013-pct00006
표 6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간의 귀에 감도 좋게 음이 들리는 1∼4kHz 및 4∼6kHz라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비교예 16∼20에서는, 측정에 이용한 시험편의 중량이 늘어날 때마다 투과 손실이 향상되고 있다. 실시예 11∼16에서는, 시험편의 질량이 동등한 비교예와 비교하여 차음 특성이 높다는 것이 확인된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차음재는, 종래의 차음재의 차음 특성을 유지하면서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것, 또는 종래의 차음재의 경량성을 유지한 채로 차음 특성의 향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4)

  1.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구해진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가 -60℃ 이상 0℃ 미만의 온도 범위에 존재하는 연질재(A)와,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구해진 손실 정접 tanδ의 피크가 10℃ 이상 28℃ 이하의 온도 범위에 존재하는 수지(B)를, 연질재(A) 100질량부당 수지(B) 1∼50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하고,
    상기 수지(B)가,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 61∼85몰%, 4-메틸-1-펜텐을 제외한 탄소 원자수 2∼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 15∼39몰% 및 비공액 폴리엔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i) 0∼5몰%(단, 구성 단위(i), (ii) 및 (iii)의 합계를 100몰%로 함)를 갖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b-1)를 포함하는 차음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연질재(A)가 에틸렌계 고무, 천연 고무 및 다이엔계 고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차음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연질재(A)가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a)를 포함하는 차음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a)는,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40∼72질량%이고, 또한 비공액 폴리엔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2∼15질량%인 차음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연질재(A) 및 수지(B)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가황제를 이용하여 가교해서 얻어지는 차음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재는 적어도 그의 일부가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재.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음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일재.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음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시일재.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음재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용 시일재.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음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시일재.
  14.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음재를 포함하는 항공기용 시일재.
KR1020167023484A 2014-03-27 2015-03-18 차음재 KR102039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66497 2014-03-27
JPJP-P-2014-066497 2014-03-27
PCT/JP2015/058049 WO2015146743A1 (ja) 2014-03-27 2015-03-18 遮音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141A KR20160114141A (ko) 2016-10-04
KR102039881B1 true KR102039881B1 (ko) 2019-11-04

Family

ID=5419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484A KR102039881B1 (ko) 2014-03-27 2015-03-18 차음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148427A1 (ko)
EP (1) EP3125233B1 (ko)
JP (1) JP6560191B2 (ko)
KR (1) KR102039881B1 (ko)
CN (1) CN106030695B (ko)
TW (1) TWI647266B (ko)
WO (1) WO2015146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16657A1 (en) * 2017-08-29 2020-07-09 Techno-Umg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ulded article with reduced rattling noise
JP2019147910A (ja) * 2018-02-28 2019-09-05 豊田合成株式会社 発泡ゴム成形体
CN108529976B (zh) * 2018-05-15 2021-08-03 长兴欧立亚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隔音砂浆
JP2022515311A (ja) * 2018-11-07 2022-02-18 住友化学株式会社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非共役ポリエン共重合体ゴム、及びゴム組成物
CN109940947A (zh) * 2019-03-11 2019-06-28 江苏惠沣环保科技有限公司 用于汽车隔音垫的耐-50℃低温热熔胶膜及制备方法
KR102168869B1 (ko) * 2019-09-09 2020-10-2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용 실란트 조성물
CN113480201B (zh) * 2021-08-24 2022-10-14 揭阳市东信智能门窗科技有限公司 抗噪音中空玻璃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466A (ja) * 1999-11-11 2001-05-25 Tokai Rubber Ind Ltd 非拘束型制振材
WO2011055803A1 (ja) * 2009-11-06 2011-05-12 三井化学株式会社 4-メチル-1-ペンテ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該共重合体を含む組成物および4-メチル-1-ペンテン共重合体組成物
WO2013042657A1 (ja) * 2011-09-21 2013-03-28 日東電工株式会社 吸音材およびシール材
JP2013079364A (ja) * 2011-09-21 2013-05-02 Nitto Denko Corp エチレン・プロピレン・ジエンゴム発泡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シール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0700A (ja) 1981-11-25 1983-05-30 横浜ゴム株式会社 遮音材
JPH11314296A (ja) * 1998-05-06 1999-11-16 Toyobo Co Ltd 積層体、それを用いた吸遮音材および制振材
JP2001002866A (ja) 1999-06-18 2001-01-09 Mitsui Chemicals Inc 遮音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及び加硫発泡成形体
JP2001146534A (ja) 1999-09-08 2001-05-29 Mitsui Chemicals Inc 軟質樹脂組成物
JP2003079364A (ja) * 2001-09-10 2003-03-18 Eiichi Tamiya 新規多環式芳香族炭化水素分解菌、それを含有する新規多環式芳香族炭化水素分解剤
ES2349939T3 (es) * 2005-06-10 2011-01-13 PIRELLI & C. S.P.A. Procedimiento para fabricar un suelo de soporte de carga aislante acústico y material aislante acústico.
JP5330691B2 (ja) * 2005-12-09 2013-10-30 三井化学株式会社 振動制御用材料
CN103025322B (zh) * 2010-07-12 2014-07-23 东洋纺株式会社 水性膏体制剂用贴附支撑体
JP5872792B2 (ja) * 2010-09-15 2016-03-01 三井化学株式会社 防振材および防振部材
JP2012162668A (ja) 2011-02-08 2012-08-30 Daicel Corp 防振性組成物及び架橋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WO2013191222A1 (ja) 2012-06-20 2016-05-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衝撃吸収材及びシール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466A (ja) * 1999-11-11 2001-05-25 Tokai Rubber Ind Ltd 非拘束型制振材
WO2011055803A1 (ja) * 2009-11-06 2011-05-12 三井化学株式会社 4-メチル-1-ペンテ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該共重合体を含む組成物および4-メチル-1-ペンテン共重合体組成物
US20120220728A1 (en) * 2009-11-06 2012-08-30 Mitsui Chemicals ,Inc. 4-METHYL-1-PENTENE/a-OLEFIN CO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POLYMER AND 4-METHYL-1-PENTENE COPOLYMER COMPOSITION
WO2013042657A1 (ja) * 2011-09-21 2013-03-28 日東電工株式会社 吸音材およびシール材
JP2013079364A (ja) * 2011-09-21 2013-05-02 Nitto Denko Corp エチレン・プロピレン・ジエンゴム発泡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シール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30695B (zh) 2019-11-01
EP3125233A4 (en) 2017-10-25
KR20160114141A (ko) 2016-10-04
TWI647266B (zh) 2019-01-11
WO2015146743A1 (ja) 2015-10-01
US20170148427A1 (en) 2017-05-25
TW201600548A (zh) 2016-01-01
JP6560191B2 (ja) 2019-08-14
EP3125233A1 (en) 2017-02-01
JPWO2015146743A1 (ja) 2017-04-13
CN106030695A (zh) 2016-10-12
EP3125233B1 (en)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881B1 (ko) 차음재
KR100807766B1 (ko) 고무조성물 및 그 용도
JP5357643B2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6496806B2 (ja) 架橋体および制振材
KR20140054324A (ko) 에틸렌계 공중합체, 당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에틸렌계 공중합체 또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 및 필름 또는 시트
AU755105B2 (en) Rubber composition for tire tread and pneumatic tire
JP5680678B2 (ja) 発泡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形成剤、ゴム組成物、架橋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ゴム成形品
US11312114B2 (en) Laminate including ethylene/α-olefin/non-conjugated polyene copolymer composition, and ethylene/α-olefin/non-conjugated polyene copolymer composition
JP6466181B2 (ja) 架橋発泡体
JPH03146531A (ja) 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335847A (ja) 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およびスポンジの製造方法
JP5357846B2 (ja) 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およびゴム成形体
JP2929640B2 (ja) スポンジ用ゴム及び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
JP2019167403A (ja)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ビニルノルボルネン共重合体
JP3472949B2 (ja) 加硫可能なゴム組成物
JP2000256495A (ja) 加硫ゴム発泡成形体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の加硫ゴム発泡成形体
JP2019108420A (ja)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非共役ポリエン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