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311B1 -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311B1
KR102010311B1 KR1020180081099A KR20180081099A KR102010311B1 KR 102010311 B1 KR102010311 B1 KR 102010311B1 KR 1020180081099 A KR1020180081099 A KR 1020180081099A KR 20180081099 A KR20180081099 A KR 20180081099A KR 102010311 B1 KR102010311 B1 KR 102010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eather
agent
natural nubuck
moisture perme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현
오용식
신교천
박민석
신수범
김호수
Original Assignee
조남현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현, 한국신발피혁연구원 filed Critical 조남현
Priority to KR1020180081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9/00Impregnating leather for preserving, waterproofing, making resistant to heat or similar purposes
    • C14C9/04Fixing tanning agents in the lea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1/00Chemical treatment prior to tanning
    • C14C1/08Deliming; Bating; Pickling; Degrea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11/00Surface finishing of leather
    • C14C11/003Surface finishing of leather u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3/00Tanning;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3/02Chemical tanning
    • C14C3/04Mineral tanning
    • C14C3/06Mineral tanning using chrom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3/00Tanning;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3/02Chemical tanning
    • C14C3/28Multi-step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누벅가죽은 은면가죽에 지방분해 효소를 탈지제로 이용한 탈지공정, 방수처리제를 이용한 염색가지공정 및 캡핑처리제를 이용한 캡핑공정을 차례로 수행함으로써 기존 가죽과 동등 이상의 탈지효과를 가지면서도 방수성을 향상시켰으며, 버핑된 가죽원단의 표면을 접착제 및 발수제로 이중 코팅함으로써 외부의 물기는 차단하고 내부의 습기는 외부로 방출하여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NATURAL NUBUCK LEATHER WITH EXCELLECT WATERPROOF PROPERTY AND MOISTURE PERMEABILITY}
본 발명은 은면가죽에 지방분해 효소를 탈지제로 이용한 탈지공정, 방수처리제를 이용한 염색가지공정 및 캡핑처리제를 이용한 캡핑공정을 차례로 수행함으로써 기존 가죽과 동등 이상의 탈지효과를 가지면서도 방수성을 향상시키고, 버핑된 가죽원단의 표면을 접착제 및 발수제로 이중 코팅함으로써 외부의 물기는 차단하고 내부의 습기는 외부로 방출하여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레저(Leisure)란“참가의 주된 목적이 의식주 문제의 해결이 아닌, 노동(구속, 의무) 이외의 자발적인 여가활동”으로 정의되며, 우리나라는 1인당 국민소득이 1만 8천 달러를 넘어서면서 주 5일 근무제(일명 주 40시간제)가 본격 실시되면서 레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등산 및 골프 관련 레저 활동이 활발한데 2007년에는 등산인구 천만명 시대에 돌입하였고, 전체 시장 약 5조원의 약 12%를 등산화가 차지하고 있다. 또한 골프산업 시장 규모는 6억1630만 달러(약 6843억 원)로 세계 3위 시장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골프화는 세계 시장에 약 4.9%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등산 및 골프화 소재로 천연가죽은 강도나 유연성 등 인간의 피부를 보호하는데 매우 뛰어난 강점을 가지고 있다. 처음에는 다소 딱딱한 착용감이 들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자신의 발과 일치하여 매우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며, 이는 가죽의 유연함과 신축성이 자신의 발 형태에 맞추어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천연가죽에 수분이 접촉하게 되면 가죽 형태가 변형되거나 물리적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기존에는 가죽에 물기를 차단하는 기능성을 부여하여 천연가죽을 제조하고 있다.
종래 한국등록특허 제10-1199151호에는 천연가죽에 실리콘계, 인산화계 및불소계 중 적어도 하나의 방수가지제를 혼합하여 내습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성 북가죽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방수 가지제 사용으로 동적 방수도에 미치는 영향과 투습성을 부여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최근에는 소비자의 생활수준 향상 및 여가시간의 활용에 따라 천연가죽 소재를 이용한 골프화 및 등산화에 대한 매출이 증가하고 있으나, 대부분 국내 신발업체는 외국에서 수입되는 방수피혁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천연가죽은 투습성 및 방수성을 동시에 만족할만한 기능성이 여전히 부족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시급히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9151호
상기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가죽에 방수성 및 투습성을 부여하기 위해 지방분해 효소를 탈지제로 이용한 탈지공정, 방수처리제를 이용한 염색가지공정 및 캡핑처리제를 이용한 캡핑공정을 수행하는 공정을 포함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은 은면가죽의 수적, 탈모, 및 탈회 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포함하는 원단 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원단을 리파아제, 포스포리파아제 및 에스테라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지방분해 효소로 탈지하는 탈지단계; 상기 탈지된 원단을 탄닝하는 유성단계; 상기 유성처리된 원단을 방수제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방수처리제로 방수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염색가지단계; 상기 염색된 원단을 캡핑처리제로 코팅시키는 캡핑단계; 상기 캡핑된 원단의 표면을 연마하는 버핑단계; 및 상기 버핑된 원단을 도장하는 도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은면가죽은 돈피, 양피, 마피 및 우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가죽의 외자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탈지단계에서 지방분해 효소는 원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성단계는, 상기 탈지된 원단을 크롬계 탄닝제로 탄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1차 유성단계; 상기 1차 유성된 원단을 상기 크롬계 탄닝제로 리탄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2차 유성단계; 상기 2차 유성된 원단을 중화시키는 중화단계; 및 상기 중화된 원단을 리탄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3차 유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처리제는 원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방수제 1~8 중량부 및 분산제 0.1~0.3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수처리제에서 방수제는 탄소수 10~18의 지방족 알코올과 무수인산이 공중합되어 제조된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알킬술폰산염, 알킬인산에스테르염 및 지방족 아민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캡핑단계에서 캡핑처리제는 크롬, 지르코늄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캡핑단계에서 캡핑처리제는 원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1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버핑단계에서는 #300 내지 #350의 샌드 페이퍼로 1차 연마한 후 #550 내지 #650의 샌드 페이퍼로 2차 연마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장단계는, 상기 버핑된 원단을 접착제를 포함하는 제1 코팅액으로 1차 도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코팅액으로 도장된 원단을 발수제를 포함하는 제2 코팅액으로 2차 도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를 포함하는 제1 코팅액은 접착제 9~13 중량%, 물 60~70.9 중량%, 에틸셀룰로오스 20~25 중량% 및 안료 0.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액의 단위면적당 코팅량은 5~23 g/m2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발수제를 포함하는 제2 코팅액은 발수제 5~15 중량% 및 용제 85~9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코팅액의 단위면적당 코팅량은 5~23 g/m2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도장된 천연 누벅가죽은 0.1 내지 10 ㎛의 평균 기공크기를 가지는 다공질 가죽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누벅가죽은 은면가죽에 지방분해 효소를 탈지제로 이용한 탈지공정, 방수처리제를 이용한 염색가지공정 및 캡핑처리제를 이용한 캡핑공정을 차례로 수행함으로써 기존 가죽과 동등 이상의 탈지효과를 가지면서도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버핑된 가죽원단의 표면을 접착제 및 발수제로 이중 코팅함으로써 외부의 물기는 차단하고 내부의 습기는 외부로 방출하여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골프화, 등산화 등의 레저용 신발에 적용할 경우 방수도, 투습도 및 마찰견뢰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여 발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습기는 잘 방출하여 언제나 상쾌함을 유지시키고, 외부로부터의 수분침투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최근 천연가죽 소재를 이용한 골프화 및 등산화와 같은 레저용 신발의 수요 증가에 따라 기존 천연가죽에 투습성 및 방수성의 기능성을 부여한 천연가죽을 제조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본 발명에서는 국내산 가죽 보다 유지분 함량이 적은 외자피를 이용한 은면가죽에 지방분해 효소를 탈지제로 이용한 탈지공정, 방수처리제를 이용한 염색가지공정 및 캡핑처리제를 이용한 캡핑공정을 차례로 수행하여 천연 누벅가죽을 제조함으로써 기존 가죽과 동등 이상의 탈지효과를 가지면서도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버핑된 가죽원단의 표면을 접착제 및 발수제로 이중 코팅함으로써 외부의 물기는 차단하고 내부의 습기는 외부로 방출하는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효과를 부여한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방수도, 투습도 및 마찰견뢰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여 레저용 신발에 본 발명의 천연 누벅가죽을 적용할 경우 발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습기는 잘 방출하여 언제나 상쾌함을 유지시키고, 외부로부터의 수분침투는 방지하여 고부가가치가 기대된다. 본 발명에서 투습성이라 함은 인체에서 생성되는 땀이나 수증기를 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방수성이라 함은 물이나 빗방울 등 외부로부터의 수분을 막아주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은 원단준비 단계(S1), 탈지 단계(S2), 유성 단계(S3), 염색가지 단계(S4), 캡핑 단계(S5), 버핑 단계(S6) 및 도장 단계(S7)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은면가죽의 수적, 탈모, 및 탈회 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포함하는 원단 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원단을 리파아제, 포스포리파아제 및 에스테라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지방분해 효소로 탈지하는 탈지단계; 상기 탈지된 원단을 탄닝하는 유성단계; 상기 유성처리된 원단을 방수제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방수처리제로 방수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염색가지단계; 상기 염색된 원단을 캡핑처리제로 코팅시키는 캡핑단계; 상기 캡핑된 원단의 표면을 연마하는 버핑단계; 및 상기 버핑된 원단을 도장하는 도장단계;를 포함하는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을 제조하기 위한 각 단계는 도 1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1) 원단준비 단계(S1)
상기 원단준비 단계(S1)는 은면가죽의 수적, 탈모, 및 탈회(deliming) 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포함하는 원단 준비단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가죽이나 기타 큰 동물의 가죽은 두꺼워 두 층 또는 세 층으로 쪼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층에 따른 분류로 원피 중에 털이 붙어 있는 피혁인 은면가죽(그레인)과 상기 은면혁을 쪼개낸 다음 살이 붙어 있는 쪽(Flesh side)의 육면가죽(스프리트, 상혁)으로 나누어진다. 은면가죽은 신장력, 내마모성 등이 뛰어나 주로 의복, 신발재료에 사용될 수 있다. 반면, 육면가죽은 얇고 잘 찢어져서 구두, 핸드백 등의 잡화류에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레저용 가죽의 경우에는 상기 신발과 동등 이상의 물성을 요구하므로 은면가죽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은면가죽은 돈피, 양피, 마피 및 우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가죽의 외자피인 것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은면가죽은 국내산 가죽 보다 외국으로부터 수입하여 들어오는 외자피인 것을 사용하는 좋다. 그 이유는 국내산 가죽 보다 외자피가 상대적으로 유지분 함량이 적어 지방분해 효소를 사용한 탈지효과가 우수하며, 기존 탈지제인 계면활성제에 비해 방수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아 방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수적은 원료피에 부착되어 있는 오물과 혈액 등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염장 처리하였던 소금과 염장피 내 가용성 단백질을 제거하고, 흡수 연화시켜 생피 상태로 환원시키는 작업을 하는 과정이다.
상기 탈모는 나피에 남아있는 털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강알카리성인 석회를 이용하여 원피의 털, 표피층, 섬유간 수용성 단백질, 지방 등을 용출시킨다. 또한 용출된 지방은 알칼리 화합물로 인하여 검화반응을 통해 고체화되고, 상기 탈지제의 사용으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석회 이외에도 아황산나트륨, 탄산나트륨 또는 수산화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탈회(deliming)는 상기 탈모 과정에서 사용된 강알카리성 약품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산, 산성염, 암모늄염 등의 약품을 가하여 중화시킴으로써 강알카리성 약품에 의해 팽윤된 나피를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오게 하는 과정이다. 바람직하게는 탈회제로는 질소계 탈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질소계 탈회제로는 염화암모늄, 황산암모늄 등과 같은 암모늄을 포함할 수 있다.
2) 탈지 단계(S2)
상기 탈지 단계(S2)는 상기 준비된 원단을 리파아제, 포스포리파아제 및 에스테라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지방분해 효소로 탈지하는 탈지단계일 수 있다. 상기 탈지 단계에서 탈지제로 사용되는 지방분해 효소는 기존의 계면활성제에 비해 방수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가죽 내 유지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면서 물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지방분해 효소로는 구체적으로 리파아제, 포스포리파아제 및 에스테라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탈지단계에서 지방분해 효소는 원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방분해 효소의 사용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유지분 제거 효율이 떨어지고, 반대로 5 중량부 초과이면 더 이상의 유지분 제거 효율을 기대할 수 없어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1~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3) 유성 단계(S3)
상기 유성 단계(S3)는 상기 탈지된 원단을 탄닝하는 유성단계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성단계는, 상기 탈지된 원단을 크롬계 탄닝제로 탄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1차 유성단계; 상기 1차 유성된 원단을 상기 크롬계 탄닝제로 리탄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2차 유성단계; 상기 2차 유성된 원단을 중화시키는 중화단계; 및 상기 중화된 원단을 리탄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3차 유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유성단계에서는 불안정한 구조의 콜라겐 단백질을 탄닝 물질인 크롬과 결합시켜 안정한 구조의 단백질로 변화시키는 과정이다. 상기 유성 단계는 크롬이 원단의 표면과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 분포되어 결합되어야 하는데, 표면에는 많은 양의 크롬이 결합되고, 내부에는 적은 양의 크롬이 결합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상기 2차 유성단계는 크롬이 원단의 표면과 내부에 일정한 두께로 결합되도록 이를 조절하기 위해 리탄닝하는 과정이다.
4) 염색가지 단계(S4)
상기 염색가지 단계(S4)는 상기 유성처리된 원단을 방수제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방수처리제(Open Waterproof)로 방수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염색가지단계일 수 있다. 상기 염색가지 단계에서는 상기 유성처리된 원단을 50 내지 60 ℃의 온도가 유지되는 염색 드럼에 침지시켜 염색한 후 염색된 가죽에 방수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방수처리제로 방수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지는 가죽의 섬유 또는 섬유 속 사이사이에 유지분을 넣어 섬유사이에 윤활제로 작용하여 유연성과 탄력성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은면가죽을 지방분해 효소로 탈지한 후 가지제로 방수제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방수처리제를 사용함으로써 적정 함량의 유지분이 함유된 가죽의 섬유 사이사이에 방수처리제가 침투하여 방수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염색된 원단에 방수성 뿐만 아니라 유연성 및 탄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방수처리제는 원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방수제 1~8 중량부 및 분산제 0.1~0.3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수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방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8 중량부 초과이면 방수처리제가 가죽 표면에 결합되어 촉감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더 이상의 방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산제는 상기 방수제를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가죽의 부위별 방수성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방수처리제에 분산제를 포함하지 않고 방수제만 단독 함유할 경우 가죽원단에 방수처리제가 고르게 침투되지 않고 특정부위만 방수처리 되어 전체적으로 가죽의 방수성이 좋지 않아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방수처리제에서 방수제는 탄소수 10~18의 지방족 알코올과 무수인산이 공중합되어 제조된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지방족 알코올은 라우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및 오레익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수제는 인산에스테르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알킬술폰산염, 알킬인산에스테르염 및 지방족 아민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색가지 단계에서 방수처리는 1 단계 및 2 단계에 걸쳐 방수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성처리된 원단에 방수처리제를 일괄 투입 시 소수성인 방수처리제가 가죽 내부로 침투되지 않고 가죽 표면과 반응하여 오히려 방수성을 저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죽원단에 고르게 방수처리제를 침투시키기 위해서는 두 단계에 걸쳐서 수행하는 것이 좋다.
5) 캡핑 단계(S5)
상기 캡핑 단계(S5)는 상기 염색된 원단을 캡핑처리제로 코팅시키는 캡핑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캡핑 단계는 상기 염색된 원단 표면을 캡핑처리제로 가교시키면 가죽과의 가교반응에 의해 방수처리제를 섬유 사이에 고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캡핑처리제는 크롬, 지르코늄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캡핑단계에서 캡핑처리제는 원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1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핑처리제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방수 효과가 미미하고, 10 중량부 초과이면 더 이상의 향상된 방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3~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캡핑처리제는 금속화합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금속화합물의 경우 가죽과의 가교반응으로 방수처리제가 섬유 사이에 고착되어 방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핑처리제는 크롬, 지르코늄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6) 버핑 단계(S6)
상기 버핑 단계(S6)는 상기 캡핑된 원단의 표면을 연마하는 버핑단계일 수 있다. 상기 버핑 단계는 가죽원단(Crust) 표면의 흠집자국을 엄폐 및 은폐시키고 가죽의 표면을 최대한 고르게 평활성을 부여하기 위해 가죽원단의 표면을 샌드페이퍼(Sand paper)로 연마하는 공정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샌드페이퍼가 장착된 버핑 장치를 이용하여 롤(Roll)의 회전운동으로 원단 표면을 연마하여 표면의 흠(Defect)을 제거하고 원피의 결점을 감추어 표면이 부드러운 기모 형태의 누벅가죽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샌드페이퍼는 No. #80 ~ 2,000 (80, 120, 180, 220, 240 320, 400, 600, 1,000, 1,200, 1,500, 2000)으로 숫자가 낮아질수록 입자가 굵고, 작업 시 표면이 거칠어지며, 번호가 높을수록 표면이 곱고 미세한 형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버핑단계에서는 #300 내지 #350의 샌드페이퍼로 1차 연마한 후 #550 내지 #650의 샌드페이퍼로 2차 연마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1차 연마 시 #300 보다 낮은 번호의 샌드페이퍼를 사용할 경우 가죽 표면이 거칠어질 수 있고, 반대로 #350 보다 높은 번호의 샌드페이퍼를 사용하게 되면 연마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2차 연마 시 #650 보다 높은 번호의 샌드페이퍼는 더 이상 방수 증진 효과가 미미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연마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7) 도장 단계(S7)
상기 도장 단계(S7)는 상기 버핑된 원단을 도장하는 도장단계일 수 있다. 상기 버핑단계를 통해 가죽 표면이 연마된 누벅가죽은 마찰견뢰도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버핑된 원단을 도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장단계는 상기 버핑된 원단의 경우 표피가 젖은 상태에서는 수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수증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없어 발수성 및 투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착제와 발수제를 차례로 코팅시키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장단계는, 상기 버핑된 원단을 접착제를 포함하는 제1 코팅액으로 1차 도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코팅액으로 도장된 원단을 발수제를 포함하는 제2 코팅액으로 2차 도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1차 및 2차 도장은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제1 코팅액 및 제2 코팅액을 미세한 분말로 분사하여 코팅하는 스프레이 코팅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버핑된 원단을 접착제를 포함하는 제1 코팅액으로 1차 도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버핑된 원단을 접착제 및 안료를 포함하는 제1 코팅액으로 1차 도장함으로써 마찰견뢰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가죽의 색상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코팅액은 접착제 9~13 중량%, 물 60~70.9 중량%,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EC) 20~25 중량% 및 안료 0.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접착제로는 내수성 및 내용제성이 우수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예로 KDIC사의 DPU-BH01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접착제의 함량이 9 중량% 미만이면 마찰견뢰도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13 중량% 초과이면 더 이상의 향상된 마찰견뢰도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가죽이 딱딱해지기 때문에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코팅액은 원단의 단위면적당 코팅량은 5~23 g/m2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액의 코팅량이 5 g/m2 미만이면 마찰견뢰도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반대로 23 g/m2를 초과하여 과량 도장되면 가죽 표면이 딱딱해질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액으로 도장된 원단을 발수제를 포함하는 제2 코팅액으로 2차 도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코팅액으로 도장된 원단에 수증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발수제를 포함하는 제2 코팅액으로 도장하여 투습성 및 발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2 코팅액은 발수제 5~15 중량% 및 용제 85~9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수제로는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불소화합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불소화합물은 가죽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지 않게 하여 가죽 표면이 젖지 않은 상태로 만들어 우수한 투습성 및 방수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 예로 3M사의 PM 480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수제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투습성 및 방수성 효과가 미미하고, 15 중량% 초과이면 더 이상의 향상된 투습성 및 발수성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로는 부틸 아세테이트(Butyl Acetate, BA)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코팅액의 단위면적당 코팅량은 5~23 g/m2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코팅액의 코팅량이 5 g/m2 미만이면 투습성 및 방수성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반대로 23 g/m2를 초과하여 과량 도장되면 더 이상의 향상된 투습성 및 발수성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제조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도장단계를 거친 원단은 70~80 ℃의 온도에서 2~5 분 동안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도장된 천연 누벅가죽은 0.1 내지 10 ㎛의 평균 기공크기를 가지는 다공질 가죽인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방울이나 빗방울은 직경이 100~3000 ㎛ 사이의 입자크기를 가지고 있는데 안개가 100 ㎛, 이슬비는 500 ㎛, 보통 비는 2000 ㎛, 폭풍의 경우에는 3000 ㎛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반면에 인체의 땀으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 입자의 직경은 약 0.004 ㎛ 정도의 아주 작은 입자상태이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천연 누벅가죽은 이들의 중간 크기인 0.1 내지 10 ㎛의 미세기공을 가진 다공질 가죽인 것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천연 누벅가죽은 수많은 미세한 기공을 가져 인체의 땀으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빠져 나갈 수 있지만 물방울이나 빗방울은 내부로 통과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원피로 미국산 우피인 외자피의 은면가죽을 준비하였다. 그 다음 상기 은면가죽을 하기 표 1,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캡핑된 가죽원단 (Crust)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은면가죽은 100 g을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Figure 112018068804717-pat00001
Figure 112018068804717-pat00002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원피를 외자피 대신 국내산 우피를 사용하여 가죽원단(Crust)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탈지단계에서 지방분해 효소 대신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가죽원단(Crust)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염색가지단계에서 방수처리제로 분산제는 전혀 사용하지 않고 방수제만을 사용하여 가죽원단(Crust)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캡핑공정을 실시하지 않고 가죽원단(Crust)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가죽원단의 부위별 유지분 함량, 액중 열수축온도 및 방수도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가죽원단의 부위별 유지분 함량, 액중 열수축온도 및 방수도를 하기와 같은 시험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상기 유지분 함량은 중화단계를 통해 제조된 청혁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방법]
(1) 유지분 함량
유지분 함량은 KS M 6882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를 사용하여 속슬레(Soxhlet) 추출기를 통해 유지분 함량을 평가하였다.
(2) 액중열수축온도
액중 열수축온도는 KS M 6882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시험편은 등선에 45도의 방향으로50mm x 2mm의 크기로 떼내어 물속에 24시간 정치한 뒤에 가열, 수축, 온도 측정 장치에 매달고 수온을 3~5℃/min의 속도로 높여 시험편이 수축 개시할 때의 온도로 평가하였다. 여기서, 액중 열수축온도라 함은 피혁의 수축 정도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가교화 정도를 의미한다.
(3) 방수도
방수도는 ASTM D2099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시험편을 동적방수도 시험기(WATER PROOFING TESTER)의 V 형태의 홈에 넣고 왕복운동을 시켰을 때 하단부의 물이 새어나오면서 쇠구슬에 묻으면 감지되는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Figure 112018068804717-pat00003
상기 표 3의 결과에 의하면, 외자피 대신 한피를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탈지공정을 거쳐도 부위별 유지분 함량이 높았으며, 액중열수축온도는 떨어지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국내산 우피가 미국산 우피 보다 유지분 함량이 높아 방수도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상기 비교예 2의 경우, 기존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탈지시키는 경우 유지분 함량은 우수하였으나, 계면활성제 성분이 방수성을 저해하여 방수도 수치가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비교예 3의 경우, 방수처리제로 분산제를 포함하지 않으면 방수가지제의 소수성으로 인하여 가죽에 분산 침투가 어려운 이유로 인하여 상기 실시예 1에 비해 방수도가 낮은 수치를 보여 레저용 가죽 물성을 만족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비교예 4의 경우, 버핑된 가죽원단에 캡핑공정을 실시하지 않으면 가죽원단의 섬유 속 사이사이에 방수처리제가 고착되지 않아 상기 실시예 1과 동등 수준의 방수성 효과를 만족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상기 실시예 1의 경우 특히 기존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유지분 함량 및 액중열수축온도가 동등 수준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방수도 평가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의 청혁이 상기 비교예 1에 비해 3배 이상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외에도 비교예 3 및 4와 비교하여도 유지분 함량 및 방수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효과는 실시예 1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탈지제로 지방분해 효소를 사용할 때 탈지 효과는 기존과 동등한 수준을 나타내면서도 방수성을 저해하지 않아 우수한 방수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5 내지 7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캡핑된 가죽원단의 청혁의 표면을 하기 표 4와 같은 크기의 샌드페이퍼로 1차 및 2차 연마를 실시하여 버핑된 가죽원단인 누벅가죽을 제조하였다. 이때, 1차 연마의 샌드페이퍼 크기를 하기 표 4와 같이 각각 다르게 하였다.
실험예 2: 샌드페이퍼의 크기에 따른 물성평가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5 내 7에서 제조된 버핑된 가죽원단을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수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촉감 및 원피 결점 커버링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방법]
(1) 촉감
촉감은 5인 이상의 피혁 10년 이상의 전문 패널 테스트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기모 형성을 통해 신발 갑피로 사용 가능한 촉감에 대한 척도를 ○(양호), △(중간), X(거칠음)으로 나누어서 평가하였다.
(2) 원피 결점 커버링(Covering)
원피 결점 커버링은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피혁표면 연마를 통한 윈피 결점 커버링에 대한 척도를 ○(양호), △(중간), X(불량)으로 나누어서 평가하였다.
Figure 112018068804717-pat00004
상기 표 4의 결과에 의하면, 상기 비교예 5의 경우 캡핑된 가죽원단을 입자가 굵고, 표면이 거칠은 #220인 샌드페이퍼로 1차 연마하게 되면 촉감이 상대적으로 거칠고 은면의 손상으로 인해 방수도가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비교예 6 및 7의 경우 각각 입자가 작고, 표면이 상대적으로 덜 거칠은 #600, #1000인 샌드페이퍼로 1차 연마하게 되면 촉감은 양호하나 원피결점 커버링이 불량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방수도에서도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만족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반해, 상기 실시예 2의 경우, 적정 크기의 #320인 샌드페이퍼로 1차 연마하게 되면 기모 형성이 적당하고, 2차 연마를 연달아 수행함으로써 촉감 및 원피결정 커버링이 모두 양호하였다. 또한 은면의 연마를 통해 섬유 조직을 결속시켜 방수도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8 내지 13
접착제 조성물 및 발수제 조성물은 각각 하기 표 5의 구성성분 및 혼합비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버핑된 가죽원단을 1제 코팅액으로 스프레이 코팅법에 의해 1차 도장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제1 코팅액으로 도장된 가죽원단을 제2 코팅액으로 스프레이 코팅법에 의해 2차 도장하였다. 이때, 상기 제1 코팅액과 제2 코팅액은 각각 버핑된 가죽원단의 평당(1m * 1m) 10~20 g/m2을 도장하였다.
Figure 112018068804717-pat00005
실험예 3: 샌드페이퍼의 크기에 따른 물성평가
상기 실시예 3 및 비교예 8 내 13에서 제조된 가죽원단을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수도를 측정하였다. 이 외에도 마찰견뢰도, 유연성 및 투습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의 표 6에 나타내었다.
[평가방법]
(1) 마찰견뢰도
마찰견뢰도는 KS M ISO 20433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건식 및 습식으로 구분되며, 평가결과는 피혁 표면을 하중 900g, 10회 왕복으로 면포(건조, 습식)에 이염되는 정도를 그레이 스케일로 평가하였다.
(2) 유연성
유연성은 KS M ISO 17235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ST 300/A를 이용하여 유연성(mm)을 측정하였다.
(3) 투습도
투습도는 KS M 6886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30±1℃의 온도에서 가죽을 경계면으로 하여 한쪽의 공기를 60±5%의 상대습도, 반대 쪽의 공기를 건조 상태로 유지하였을 때, 1시간에 이 경계면을 통과하는 수증기의 무게(mg)를 24시간 동안 가죽의 면적(m2)당 통과하는 양으로 평가하였다.
Figure 112018068804717-pat00006
상기 표 6의 결과에 의하면, 버핑된 가죽원단에 제1 코팅액 중 접착제를 소량 함유한 비교예 8의 경우 마찰견뢰도가 상기 실시예 3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하되었으며, 방수도 및 투습도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접착제 조성물 중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을 과량 함유한 비교예 9 및 10은 더 이상의 마찰견뢰도 증진 효과는 기대할 수 없으며, 딱딱해지는 현상이 발생해 유연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방수도 및 투습도에서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제2 코팅액 중 발수제를 소량 함유한 비교예 11의 경우 발수제 대비 용제 비율이 늘어남에 따라 방수 피막을 파괴하여 투습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2 코팅액 중 발수제를 과량 함유한 비교예 12 및 13의 경우 방수도 및 투습도가 더 이상 증가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상기 실시예 3에서는 접착제 및 방수제를 적정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최적의 마찰견뢰도 및 유연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방수도 및 투습도 효과가 고르게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가죽원단의 물성 및 환경유해성 평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가죽원단의 물성 및 환경유해성을 하기 표 7과 같은 시험방법으로 측정한 후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68804717-pat00007
상기 표 7의 결과에 의하면, 외자피의 은면가죽을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누벅가죽은 유해물질에 안전한 동시에 레저용으로 적합한 인장강도, 연신율, 인열강도 등의 물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6)

  1. 은면가죽의 수적, 탈모, 및 탈회 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포함하는 원단 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원단을 리파아제, 포스포리파아제 및 에스테라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지방분해 효소로 탈지하는 탈지단계;
    상기 탈지된 원단을 탄닝하는 유성단계;
    상기 유성처리된 원단을 방수제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방수처리제로 방수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염색가지단계;
    상기 염색된 원단을 캡핑처리제로 코팅시키는 캡핑단계;
    상기 캡핑된 원단의 표면을 연마하는 버핑단계; 및
    상기 버핑된 원단을 도장하는 도장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도장단계는,
    접착제 9~13 중량%, 물 60~70.9 중량%, 에틸 셀룰로오스 20~25 중량% 및 안료 0.1~5 중량%를 포함하는 제1 코팅액으로 상기 버핑된 원단을 1차 도장하는 단계; 및
    발수제 10~15 중량% 및 용제 85~90 중량%를 포함하는 제2 코팅액으로 상기 1차 도장된 원단을 2차 도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는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이고,
    상기 발수제는 에틸아세테이트 및 불소 화합물의 혼합물인 것인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면가죽은 돈피, 양피, 마피 및 우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가죽의 외자피인 것인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지단계에서 지방분해 효소는 원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인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단계는,
    상기 탈지된 원단을 크롬계 탄닝제로 탄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1차 유성단계;
    상기 1차 유성된 원단을 상기 크롬계 탄닝제로 리탄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2차 유성단계;
    상기 2차 유성된 원단을 중화시키는 중화단계; 및
    상기 중화된 원단을 리탄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3차 유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처리제는 원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방수제 1~8 중량부 및 분산제 0.1~0.3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인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처리제에서 방수제는 탄소수 10~18의 지방족 알코올과 무수인산이 공중합되어 제조된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인 것인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알킬술폰산염, 알킬인산에스테르염 및 지방족 아민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단계에서 캡핑처리제는 크롬, 지르코늄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단계에서 캡핑처리제는 원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10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인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핑단계에서는 #300 내지 #350의 샌드페이퍼로 1차 연마한 후 #550 내지 #650의 샌드페이퍼로 2차 연마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인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액의 단위면적당 코팅량은 5~23 g/m2인 것인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액의 단위면적당 코팅량은 5~23 g/m2인 것인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된 천연 누벅가죽은 0.1 내지 10 ㎛의 평균 기공크기를 가지는 다공질 가죽인 것인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KR1020180081099A 2018-07-12 2018-07-12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KR102010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099A KR102010311B1 (ko) 2018-07-12 2018-07-12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099A KR102010311B1 (ko) 2018-07-12 2018-07-12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311B1 true KR102010311B1 (ko) 2019-08-13

Family

ID=6762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099A KR102010311B1 (ko) 2018-07-12 2018-07-12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3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924B1 (ko) * 2019-10-23 2020-09-03 박성규 옻칠한 가죽원단을 성형하는 제조방법
CN111764182A (zh) * 2020-07-08 2020-10-13 清远市齐力合成革有限公司 一种防水磨砂水性聚氨酯合成革
KR102266252B1 (ko) * 2019-12-26 2021-06-17 한국신발피혁연구원 내수축성 및 내마모성이 향상된 친환경 돈피가죽의 제조방법
KR102490689B1 (ko) * 2021-09-15 2023-01-20 (주)제이에스산업 세탁성 및 이지 클리닝 특성이 우수한 천연가죽 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가죽 소재
KR102494810B1 (ko) 2021-11-29 2023-02-06 이상윤 방수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가지는 스프레이용 친환경 천연가죽 방수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739A (ko) * 1993-03-22 1994-10-19 김성구 방수 가죽의 제조방법
JPH073300A (ja) * 1993-06-17 1995-01-06 Aroota:Kk 皮革の防水方法
KR20020018809A (ko) * 2000-09-04 2002-03-09 최낙영 양면 가죽과 양면 가죽 제조 방법
KR20020030982A (ko) * 2000-10-20 2002-04-26 박정수 방수성, 투습성 및 항균성을 가지는 피혁 및 그 제조방법
KR100833277B1 (ko) * 2007-07-05 2008-05-28 주식회사 해성아이다 크롬을 사용하지 않는 천연 피혁 가공 방법 및 탄닝 조성물
KR101199151B1 (ko) 2011-08-10 2012-11-12 김원주 기능성 생피 북가죽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739A (ko) * 1993-03-22 1994-10-19 김성구 방수 가죽의 제조방법
JPH073300A (ja) * 1993-06-17 1995-01-06 Aroota:Kk 皮革の防水方法
KR20020018809A (ko) * 2000-09-04 2002-03-09 최낙영 양면 가죽과 양면 가죽 제조 방법
KR20020030982A (ko) * 2000-10-20 2002-04-26 박정수 방수성, 투습성 및 항균성을 가지는 피혁 및 그 제조방법
KR100833277B1 (ko) * 2007-07-05 2008-05-28 주식회사 해성아이다 크롬을 사용하지 않는 천연 피혁 가공 방법 및 탄닝 조성물
KR101199151B1 (ko) 2011-08-10 2012-11-12 김원주 기능성 생피 북가죽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924B1 (ko) * 2019-10-23 2020-09-03 박성규 옻칠한 가죽원단을 성형하는 제조방법
KR102266252B1 (ko) * 2019-12-26 2021-06-17 한국신발피혁연구원 내수축성 및 내마모성이 향상된 친환경 돈피가죽의 제조방법
CN111764182A (zh) * 2020-07-08 2020-10-13 清远市齐力合成革有限公司 一种防水磨砂水性聚氨酯合成革
KR102490689B1 (ko) * 2021-09-15 2023-01-20 (주)제이에스산업 세탁성 및 이지 클리닝 특성이 우수한 천연가죽 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가죽 소재
KR102494810B1 (ko) 2021-11-29 2023-02-06 이상윤 방수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가지는 스프레이용 친환경 천연가죽 방수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311B1 (ko)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천연 누벅가죽의 제조방법
KR101048797B1 (ko) 천연 피혁 가공 방법
KR100833277B1 (ko) 크롬을 사용하지 않는 천연 피혁 가공 방법 및 탄닝 조성물
WO2011061945A1 (ja) 自動車シート用床革下地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前記自動車シート用床革下地を用いた自動車シート用皮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104095A1 (ja) 繊維処理剤、当該繊維処理剤で処理した繊維、繊維布帛、積層体および繊維処理方法
CN102168153A (zh) 一种防海水鞋面皮革的加工方法
JP5460151B2 (ja) 難燃性皮革
JANKAUSKAITĖ et al. Comparable evaluation of leather waterproofing behaviour upon hide quality. II. Influence of finishing on leather properties
US2763577A (en) Process for impregnating leather and product
JP5460028B2 (ja) インパネ用皮革
JP4926138B2 (ja) 自動車シーツ用スプリットレザ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638696B (zh) 用于车辆座椅的二层皮及其制造方法
JP2020125387A (ja) 本革製品
KR101003347B1 (ko) 전투화용 위장무늬 가죽원단의 제조방법
JP3030863B2 (ja) 皮革改質剤、皮革の改質方法および改質なめし皮革
KR20010046156A (ko) 버니시드피혁 가공방법
JP2015196830A (ja) 貫通孔を有する本革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本革製品
US4259854A (en) Method of obtaining natural leather with hair for warm unlined shoes
JP2013023646A (ja) 光輝性天然皮革
UA100959C2 (uk) Спосіб обробки напівфабрикату, виготовленого зі шкіри або аналогічного матеріалу, і виріб з нього
JP6145325B2 (ja) 貫通孔を有する本革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本革製品
JP5469545B2 (ja) 耐オレイン酸性に優れた天然皮革製品
KR101883189B1 (ko) 백화현상이 방지된 천연가죽의 제조방법
KR102485971B1 (ko) 자가복원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천연가죽 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가죽 소재
JP2014181253A (ja) 本革製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