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690B1 -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690B1
KR101974690B1 KR1020150148460A KR20150148460A KR101974690B1 KR 101974690 B1 KR101974690 B1 KR 101974690B1 KR 1020150148460 A KR1020150148460 A KR 1020150148460A KR 20150148460 A KR20150148460 A KR 20150148460A KR 101974690 B1 KR101974690 B1 KR 101974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frame member
flexible container
uni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9488A (ko
Inventor
노리토모 야마구치
유이치 후쿠이
사토시 니시야
준 미우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9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4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non-rigid containers, e.g. foldable cartridges, ba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987Remanufacturing,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개구를 구비하며 현상제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용기, 및 가요성 용기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이 제공된다. 재생산 방법은 현상제를 프레임 부재 내에 재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REMANUFACTURING METHOD OF DEVELOPER ACCOMMODATING UNIT}
본 발명은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예는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예를 들어, 레이저 빔 프린터 및 발광 다이오드(LED)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및 워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현상 디바이스는 현상제, 및 화상 담지 부재로서 감광체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담지 부재인 현상 롤러를 포함한다. 현상 디바이스는 화상 형성 장치 또는 감광체 드럼을 갖는 감광체 드럼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카트리지(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체 드럼 및 현상 롤러를 일체로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일본 특허 제3320403호는 현상 디바이스를 갖는 카트리지, 더 구체적으로, 현상 롤러 및 현상 블레이드를 제거한 후 깔때기를 사용하여 토너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에 토너를 재충전하는 카트리지의 재생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가요성 용기를 갖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은 개구를 구비하며 현상제를 수납하는 가요성 용기, 가요성 용기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현상제를 프레임 부재에 재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부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이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구동측에서 본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비-구동측에서 본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현상 유닛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깔때기가 삽입된 프레임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a는 현상 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b는 가요성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a는 가압 확대(flaring) 부재 삽입 전의 프레임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8b는 가압 확대 부재 삽입 후의 프레임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a는 제3 실시예에 따르는 프레임 부재 및 개봉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제3 실시예에 따르는 프레임 부재로부터 개봉 부재가 제거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 a 및 도 10b는 현상 유닛 분리 공정 도중 공급 롤러를 프레임 부재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a는 프레임 부재로부터 밀봉 부재 및 개봉 부재를 분리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1b는 프레임 부재의 내부의 가요성 용기로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깔때기가 삽입된 프레임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a는 제4 실시예에 따라서 공급 롤러가 제거된 후의 프레임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3b는 제4 실시예에 따라서 밀봉 부재가 개봉 부재로부터 분리되어 프레임 부재로부터 취출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a는 밀봉 부재가 개봉 부재로부터 분리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4b는 밀봉 부재가 개봉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a는 밀봉 부재가 프레임 부재로부터 분리된 이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5b는 가요성 용기가 프레임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유닛 분리 공정에서 분리된 현상 유닛의 프레임 부재 상에 제1 연통 구멍을 가공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7a 및 도 17b는 현상제가 프레임 부재 내에 재충전되고 가요성 용기가 절첩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8은 제1 연통 구멍을 밀봉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9a는 현상제가 재충전되기 전에 깔때기가 삽입되는 프레임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9b는 현상제가 재충전되기 전에 압인 부재가 삽입되는 프레임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0은 프레임 부재에 제2 연통 구멍을 가공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1은 가요성 용기의 용적을 현상제로 충전되는 가요성 용기의 용적보다 작게 하도록 압인 부재를 사용하여 가요성 용기를 압축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프레임 부재의 단면도.
도 22는 현상제가 재충전될 때의 프레임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3은 제2 연통 구멍을 밀봉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프레임 부재의 단면도.
도 24a, 도 24b, 및 도 24c는 가요성 용기로부터 밀봉 부재가 분리되는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에 설명되는 요소의 치수, 재질, 형상, 및 상대적인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구성 및 기타 다양한 조건에 의존하여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앞선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후속 실시예의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할당되고, 앞선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참조로 통합될 것이다.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현상제 수납 유닛은 적어도 프레임 부재 및 가요성 용기를 포함한다. 현상 디바이스는 적어도 현상제 담지 부재를 포함한다. 추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적어도 화상 담지 부재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현상제 수납 유닛은 현상 디바이스와 동일한 개념을 갖는다. 실시예에서, 현상 유닛은 현상 디바이스로서 단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는 풀 컬러의 화상 형성을 실행하고, 장치 본체(2)를 갖는다. 장치 본체(2)의 내부에는, 4개의 카트리지(P)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하의 화상 형성 장치(1)의 설명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면은 우측이고, 후방면은 좌측이고, 구동측은 후방측이고, 비-구동측은 전방측이다. 장치 본체(2)에 장착되는 카트리지(P)는 다음 4 개의 카트리지: 제1 카트리지(PY), 제2 카트리지(PM), 제3 카트리지(PC), 제4 카트리지(PK)이다. 이들 카트리지(P)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들 카트리지(P)는 토너 색이 상이한 것만 제외하면, 대략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제1 카트리지(PY)는 옐로우 현상제를 수용하고, 제2 카트리지(PM)는 마젠타 현상제를 수용하고, 제3 카트리지(PC)는 시안 현상제를 수용하고, 제4 카트리지(PK)는 블랙 현상제를 수용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기록재(S) 상에 컬러 화상 형성을 실행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카트리지(P)가 장치 본체(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컬러 화상이 기록재(S)에 형성되는 카트리지 유형의 화상 형성 장치이다.
카트리지(P) 내부의 기구는 장치 본체(2)의 구동 출력 유닛(미도시)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수신하여 구동된다. 카트리지(P)의 내부 디바이스는 장치 본체(2)로부터 바이어스 전압(대전 바이어스 전압, 현상 바이어스 전압, 등)이 공급된다.
복수의 카트리지(P)의 위에 노광 디바이스(200)가 배치된다. 노광 디바이스(200)는 레이저 스캐너 유닛이며, 장치 본체(2)의 컨트롤러(5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감광체 드럼(4)을 레이저광(LS)으로 조사한다. 이 레이저광(LS)은 카트리지(P) 내부의 노광 창 부분(10)(도 2 참조)을 통과하고, 감광체 드럼(4)의 표면은 레이저광(LS)에 대해 노광되어 주사된다.
복수의 카트리지(P)의 아래에는 중간 전사 벨트 유닛(11)이 배치된다. 중간 전사 벨트 유닛(11)은 전사 벨트(12), 전사 벨트(12)를 팽팽하게 당기는 구동 롤러(13) 및 텐션 롤러(14, 15)를 포함한다. 전사 벨트(12)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다.
카트리지(P) 내부의 감광체 드럼(4)의 저부면은 전사 벨트(12)의 상부면과 접촉한다. 관련 접촉부가 1차 전사부이다. 전사 벨트(12) 내부에는, 1차 전사 롤러(16)가 각각의 감광체 드럼(4)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전사 벨트(12)을 개재하여 텐션 롤러(14)와 대면하는 위치에는 2차 전사 롤러(17)가 배치된다. 2차 전사 롤러(17)와 전사 벨트(12) 사이의 접촉부가 2차 전사부이다.
중간 전사 벨트 유닛(11) 아래에는 급송 유닛(18)이 배치된다. 급송 유닛(18)은 기록재(S)가 적재되는 트레이(19), 및 급송 롤러(20)를 포함한다. 카트리지(P)의 상부 좌측에는 정착 유닛(21) 및 배출 유닛(22)이 배치된다. 장치 본체(2)의 상부면에 배출 트레이(23)가 형성된다. 기록재(S)는 정착 유닛(21)에 의해 정착되고, 이후 배출 트레이(23) 상에 배출된다.
도 2는 카트리지(P)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카트리지(P)는 감광체 유닛(8) 및 현상 유닛(9)을 포함한다. 감광체 유닛(8)은 "화상 담지 부재"로서 감광체 드럼(4), 대전 롤러(5), 및 클리닝 부재(7)를 포함한다. 대전 롤러(5)는 감광체 드럼(4)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다. 클리닝 부재(7)는 감광체 드럼(4)의 표면에 현상되지만 1차 전사 롤러(16)에 전사되지 않은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이다.
현상 유닛(9)은 "현상제 담지 부재"로서 현상 롤러(6), 공급 롤러(61), 교반 부재(74)를 갖는다. 현상 롤러(6)는 토너를 사용하여 감광체 드럼(4)의 표면 상에 정전 화상을 현상한다. 공급 롤러(61)는 현상 롤러(6)에 현상제를 공급한다. 교반 부재(74)는 현상 유닛(9) 내부의 현상제를 교반한다.
상술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1)의 동작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감광체 드럼(4)의 표면은 대전 롤러(5)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이후 노광 디바이스(200)에 의해 광에 노광되어, 정전 화상이 감광체 드럼(4)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정전 화상이 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 유닛(9)에 의해 현상될 때, 현상제 화상이 형성된다. 감광체 드럼(4)의 표면 상의 현상제 화상은 감광체 드럼(4)의 회전 방향의 정방향(도 1에서 화살표(C)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사 벨트(12) 상에 전사된다.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현상제 화상이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P)의 감광체 드럼(4)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사 벨트(12) 상에 전사되고 서로 중첩된다.
한편, 트레이(19)에 적재되는 기록재(S)는 소정의 제어 타이밍에서 1매씩 분리되어 급송된다. 기록재(S) 각각은 2차 전사 롤러(17)와 전사 벨트(12) 사이의 2차 전사부에 반송된다. 2차 전사부에서, 전사 벨트(12)의 표면 상의 현상제 화상이 기록재(S) 상에 2차 전사된다.
현상 유닛(9)은 개구(251h)(251h1 내지251h5)를 밀봉하고 이동될 때 개구(251h1 내지 251h5)를 노출시키는 밀봉 부재(253), 및 밀봉 부재(253)를 이동시키기 위해 밀봉 부재(253)에 부착되는 개봉 부재(254)를 포함한다. 현상 유닛(9)은 가요성 용기(251)를 프레임 부재(29)에 고정하는 고정부(29b)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3은 구동측에서 본 카트리지(P)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비-구동측에서 본 카트리지(P)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 유닛(8) 및 현상 유닛(9)은 커버(24, 25)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감광체 유닛(8)은 감광체 드럼(4), 대전 롤러(5), 클리닝 부재(7), 클리닝 용기(26), 및 커버(24, 25)를 포함한다. 감광체 드럼(4)은 커버(24, 25)에 의해 클리닝 용기(26)에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감광체 드럼(4)의 길이 방향 일단부 측에는 감광체 드럼(4)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 부재(4a)가 제공된다. 커플링 부재(4a)가 장치 본체(2)의 드럼 구동 출력 유닛과 맞물릴 때, 장치 본체(2)의 구동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이 감광체 드럼(4)에 전달된다. 대전 롤러(5)는 대전 롤러(5)가 감광체 드럼(4)과 접촉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클리닝 용기(26)에 의해 지지된다. 클리닝 부재(7)는 클리닝 부재(7)가 소정의 압력에서 감광체 드럼(4)의 주연면과 접촉하도록 클리닝 용기(26)에 의해 지지된다.
클리닝 부재(7)에 의해 감광체 드럼(4)의 주연면으로부터 제거된 잔류 현상제는 클리닝 용기(26)에 수납된다. 현상 유닛(9)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멍(24a, 25a)이 커버(24, 25)에 형성된다.
도 5는 현상 유닛(9)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가요성 용기(251)는 도 5에 도시된 현상 유닛(9)에 수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유닛(9)은 현상 롤러(6), 현상 블레이드(31), 프레임 부재(29), 베어링(45, 46), 및 커버(32)를 포함한다. 현상 유닛(9)은 프레임 부재(29) 내부에 적어도 가요성 용기(251), 밀봉 부재(253) 및 개봉 부재(254)를 포함하는 유닛을 지칭한다(도 2 참조). 현상 유닛(9)은 현상제(T)를 수납하는 가요성 용기(251) 및 가요성 용기(251)를 수납하는 프레임 부재(29)를 포함한다. 가요성 용기(251)에는 현상제(T)를 배출하는 개구(251h1 내지 251h5)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용기(251)에는 가요성 용기(251)를 프레임 부재(29)에 고정하는 구멍(251a)이 형성되는 피고정 부재(251Z), 현상제를 수납(보관)하는 수납부(251b), 및 현상제를 배출하는 개구(251h)(251h1 내지 251h5)가 구비된다. 카트리지(P)가 신품인 경우, 개구(251h)(251h1 내지 251h5)는 가요성 용기(251)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용착된 밀봉 부재(253)로 덮이기 때문에, 현상제는 가요성 용기(251) 내부에서 밀봉된다.
밀봉 부재(253)는 개봉 부재(254)에 결합된다. 개봉 부재(254)는 장치 본체(2)로부터 구동력을 수신하여 화살표(J)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신품의 카트리지(P)가 사용되는 경우, 카트리지(P)는 장치 본체(2)에 부착된다. 이후, 개봉 부재(254)는 장치 본체(2)로부터 구동력을 수신하여 회전한다.
이때, 밀봉 부재(253)는 가요성 용기(251)로부터 분리되고 개봉 부재(254)에 의해 권취된다. 따라서,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251h1 내지 251h5)가 노출되고, 가요성 용기(251) 내의 현상제가 프레임 부재(29) 내로 배출 가능하게 된다.
현상 롤러(6)의 주연면 상의 현상제 층 두께를 규제하는 현상 블레이드(31)가 프레임 부재(29)에 고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베어링(45, 46)은 프레임 부재(29)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고정된다. 구동측 단부에 기어(70, 69, 및 68)가 배치된다. 공급 롤러(61)의 샤프트는 기어(70) 내에 끼워진다. 현상 롤러(6)의 샤프트는 기어(69) 내에 끼워진다. 교반 부재(74)(도2)의 샤프트는 기어(68) 내에 끼워진다.
기어(69)는 기어(68)가 회전할 때 회전하도록 설정된다. 베어링(45)에는 기어(68, 69, 및 70)가 설치된다. 커버(32)는 기어(68, 69, 70)의 외측에 고정된다. 단부 시일(62)이 공급 롤러(61)의 샤프트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공급 롤러(61)와 프레임 부재(29) 사이를 밀봉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2)에는 원통부(32b)가 구비된다. 기어(68)의 구동 전달부(68a)(도 3 참조)는 원통부(32b) 내부의 개구(32d)를 통해 노출된다. 카트리지(P)가 장치 본체(2)에 부착될 때, 기어(68)의 구동 전달부(68a)는 장치 본체 구동 전달 부재(미도시)와 맞물려, 장치 본체(2)에 구비된 구동 모터(미도시)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장치 본체(2)로부터 기어(68)에 입력된 구동력은 기어(69)을 개재하여 현상 롤러(6)에 전달된다.
[감광체 유닛 및 현상 유닛 조립 공정]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유닛(9) 및 감광체 유닛(8)을 조립하는 경우, 커버(32)의 원통부(32b)의 외경부는 일 단부측에서 커버(24)의 구멍(24a)에 끼워진다. 그리고, 베어링(46)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46b)가 타단부측에서 커버(25)의 구멍(25a)에 끼워진다. 따라서, 현상 유닛(9)은 감광체 유닛(8)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된다. 현상 유닛(9)은 커버(24)의 구멍(24a) 및 커버(25)의 구멍(25a)을 연결하는 축선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다. 현상 유닛(9)의 회전 중심은 회전 중심(X)으로 지칭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유닛(9)은 탄성 부재로서 가압 스프링(95)에 의해 가압되고, 현상 롤러(6)는 회전 중심(X) 주위에서 감광체 드럼(4)과 접촉한다. 더 구체적으로, 가압 스프링(95)의 가압력에 의해 현상 유닛(9)은 도 2에 도시된 화살표(G)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화살표(H)에 의해 표시된 방향의 모멘트가 회전 중심(X) 주위에 작용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어(68)는 장치 본체(2)에 구비된 장치 본체 구동 전달 부재(미도시)로부터 화살표(H)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도 2 참조)의 회전 구동력을 수신한다. 기어(68)과 맞물린 기어(69)는 이에 의해 화살표(E)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현상 롤러(6)는 이에 의해 화살표(E)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현상 롤러(6)를 회전시키는데 요구되는 구동력이 기어(68)에 입력됨으로써, 화살표(H)에 의해 표시된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현상 유닛(9)에서 발생한다.
상술한 가압 스프링(95)(도 2 참조)의 가압력 및 장치 본체(2)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현상 유닛(9)은 회전 중심(X) 주위에서 화살표(H)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모멘트를 수신하게 된다. 이후, 현상 롤러(6)는 소정 압력에서 감광체 드럼(4)과 접촉한다. 제1 실시예에서, 감광체 드럼(4)에 대하여 현상 롤러(6)를 가압하기 위해 두 개의 힘, 즉 가압 스프링(95)에 의한 가압력 및 장치 본체(2)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사용되었으나, 관련 목적을 위해 어느 하나의 힘만 사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P)가 장치 본체(2) 내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은 현상 유닛(9) 내부 현상제를 소비하면서 실행된다. 현상 유닛(9) 내부의 현상제를 소비한 후, 현상제를 현상 유닛(9) 내에 재충전하는 카트리지(P)의 재생산 방법이 이하에서 순차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유닛 분리 공정]
카트리지(P)의 감광체 유닛(8) 및 현상 유닛(9)을 분리하는 유닛 분리 공정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4,25)가 클리닝 용기(26)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현상 유닛(9) 및 감광체 유닛(8)이 분리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커버(24, 25) 및 클리닝 용기(26)는 감광체 드럼(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상술된 분리 공정은 감광체 드럼(4)을 감광체 유닛(8)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현상 유닛 분해 공정]
도 5를 참조하여, 현상 유닛(9) 분해 공정이 이후 설명될 것이다. 먼저, 현상 유닛(9)의 구동측 단부에 구비되는 커버(32)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다. 커버(32)가 베어링(45) 및 프레임 부재(29)에 나사(93)로 고정되는 경우, 나사(93)가 제거되고 커버(32)가 현상 유닛(9)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현상 유닛(9)의 구동측에서, 커버(32)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기어(68, 69, 및70)가 현상 유닛(9)으로부터 분리한다. 기어(68)는 커버(32) 및 베어링(45)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고, 기어(69)는 현상 롤러(6)의 샤프트의 단부에 끼워진다. 기어(70)는 공급 롤러(61)의 샤프트에 끼워진다. 따라서, 기어(68, 69, 및 70), 현상 롤러(6), 및 공급 롤러(61)는 현상 유닛(9)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45, 46) 및 현상 롤러(6)가 현상 유닛(9)으로부터 분리된다. 베어링(45)이 프레임 부재(29)에 나사로 고정되는 경우, 나사가 제거되고 베어링(45)이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어링(45) 및 커버(32)는 나사(93)에 의해 프레임 부재(29)에 함께 고정된다. 커버(32)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될 때 나사(93)는 제거되었기 때문에, 베어링(45)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베어링(46)이 프레임 부재(29)에 나사로 고정될 때, 베어링(46)은 나사가 제거된 후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현상 롤러(6)는 베어링(45, 46)에 의해 프레임 부재(29) 상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베어링(45, 46)이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현상 롤러(6)는 프레임 부재(29)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현상 롤러(6)를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베어링(45, 46)의 양쪽을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이 실행되었으나,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베어링(46)만이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 후, 현상 롤러(6)는 현상 롤러(6)를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비-구동측을 향해 인출될 수 있다.
이후, 현상 블레이드(31)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다. 현상 블레이드(31)가 프레임 부재(29)에 나사(91, 92) 등으로 고정되는 경우, 나사(91, 92)가 제거되고, 현상 블레이드(31)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다.
도 24a, 도 24b, 및 도 24c는 가요성 용기(251)로부터 밀봉 부재(253)가 분리되는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가요성 용기(251)가 프레임 부재(29) 내부에 수용(수납)된다. 개봉 부재(254)가 회전할 때, 밀봉 부재(253)가 가요성 용기(251)의 수납부(251b)의 개구(251h1 내지 251h4) 주위의 장착 및 분리 영역(500)으로부터 분리된다. 네 개의 개구(251h)가 도 24a, 도 24b, 및 도 24c에 도시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다섯 개의 개구(251h)가 존재한다.
장착 및 분리 영역(500)은 분리 방향에서 하류 측에 두 개의 상이한 부분: 현상 롤러(6)의 축방향에 평행한 평행부(80b) 및 분리 방향에서 하류측을 향하는 산형부를 갖는 산형부(80c)를 구비한다. 장착 및 분리 영역(500)은 분리 방향의 상류에 현상 롤러(6)의 축방향과 평행한 분리 개시부(80a)를 추가로 포함한다. 밀봉 부재(253)는 화살표(O1)에 의해 표시된 방향 및 화살표(O2)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인출되어 도 24a, 도 24b, 및 도 24c에 도시된 상태로 순서대로 분리된다.
(가요성 용기 압축 공정)
도 6은 깔때기(101)가 삽입되는 프레임 부재(29)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현상제(T)가 재충전되기 전 프레임 부재(29)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a를 참조하여, 프레임 부재(29) 내부의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을 현상제(T)로 충전되는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보다 작게 하도록 가요성 용기(251)를 압축하는 공정이 설명될 것이다. 압축 공정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깔때기(101)의 팁부가 프레임 부재(29)의 노출된 개구(29a) 내에 삽입된다. 이 경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때기(101)의 팁부는 프레임 부재(29) 내부에 도달한다.
공가가 화살표(M)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깔때기(101) 내에 주입될 때, 주입된 공기는 화살표(A)(A1 내지 A3)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프레임 부재(29) 내부로 진행한다. 그리고, 주입된 공기의 압력은 가요성 용기(251)를 화살표(B)(B1 내지 B3)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압축하여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임 부재(29) 내에 공기를 주입하는 것은 프레임 부재(29) 내부 그리고 가요성 용기(251) 외측에 제공되는 재충전 공간(255)을 확대한다. 이후, 이 공간은 재충전 공간(255)로 지칭될 것이다.
상술한 절차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현상 유닛(9)의 재생산 방법은 압축 공정을 구비한다. 압축 공정에서,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은 재충전 공간(255)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감소된다. 압축 공정에서, 가요성 용기(251)는 가압 부재로 가요성 용기(251)를 가압함으로써 절첩된다. 따라서, 현상 유닛(9)의 재생산 방법은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을 현상제(T)로 충전되는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보다 작게 하도록 프레임 부재(29) 내부의 가요성 용기(251)를 압축하는 압축 공정을 포함한다. 압축 공정은 재충전 공간(255)을 확대한다.
(현상제 재충전 공정)
도 7b는 현상제 충전 후 프레임 부재(29)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b를 참조하여, 프레임 부재(29) 내에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재충전 공정이 이후 설명될 것이다. 현상제 재충전 공정에서, 현상제(T)는 도 7b에 도시된 화살표(M)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깔때기(101) 내에 주입된다. 주입된 현상제(T)는 깔때기(101)의 팁부로부터 프레임 부재(29) 내에 떨어지고, 현상제(T)는 프레임 부재(29)와 가요성 용기(251)의 사이의 재충전 공간(255)에 재충전(또는 축적)된다(재충전 공정). 이 방식으로, 프레임 부재(29) 내에 현상제(T)가 재충전된다. 깔때기(101) 대신 오거(auger)를 구비한 정량 공급 디바이스를 사용하면, 현상제(T)를 프레임 부재(29) 내에 효율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깔때기(101)가 프레임 부재(29)의 개구(29a) 내에 삽입되고, 가요성 용기(251)가 압축되고 현상제(T)가 재충전되지만, 본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상술된 압축 공정 및 재충전 공정은 구멍이 프레임 부재(29)에 형성되고 깔때기(101)의 팁부가 프레임 부재(29) 내에 삽입된 이후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요성 용기(251)를 효율적으로 압축하도록 압축 공정에서 가요성 용기(251)가 공기를 사용하여 압축되었으나, 본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현상제 재충전 공정에서, 가요성 용기(251)는 깔때기(101)로부터 주입되는 현상제(T)를 사용하여 압축될 수 있고, 현상제(T)는 프레임 부재(29) 내에 충전될 수 있다.
[현상 유닛 조립 공정]
상술된 바와 같이, 현상제가 프레임 부재(29) 내에 재충전되고 이후 카트리지(P)가 재조립된다. 카트리지(P)는 상술된 분리 공정을 역순으로 실행함으로써 재조립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현상 유닛(9)의 재조립 방법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먼저, 공급 롤러(61)가 프레임 부재(29) 내에 끼워진다. 공급 롤러(61)의 샤프트와 프레임 부재(29) 사이의 간극이 단부 시일(62)에 의해 밀봉된다. 현상 블레이드(31)는 나사(91, 92)에 의해 프레임 부재(29)에 고정한다. 이후, 현상 롤러(6)가 프레임 부재(29)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베어링(45, 46)이 프레임 부재(29)에 부착된다.
이후, 기어(68)가 베어링(45) 내에 끼워지고, 기어(69)가 현상 롤러(6)의 단부에 끼워지고, 기어(70)가 공급 롤러(61)의 단부에 끼워진다. 이후, 커버(32)는 기어(68, 69)을 덮도록 나사(93)에 의해 프레임 부재(29) 또는 베어링(45)의 길이 방향 외측에 고정된다. 상술된 절차의 완료시, 현상 유닛(9)의 조립 공정이 완료된다.
[유닛 결합 공정]
도 3을 참조하여, 감광체 유닛(8) 및 현상 유닛(9)을 결합하는 유닛 결합 공정이 이후 설명될 것이다. 이 공정에서, 클리닝 용기(26), 감광체 드럼(4) 및 현상 유닛(9)이 커버(24, 25) 사이에 동시에 개재된다. 현상 유닛(9)을 감광체 유닛(8)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보유 지지하기 위해, 커버(32)의 원통부(32b)의 외경부가 커버(24)의 구멍(24a)에 끼워진다. 베어링(46)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46b)가 커버(25)의 구멍(25a)에 끼워진다.
상술된 절차의 완료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P)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술된 공정을 거친 카트리지(P)는 가요성 용기(251)가 제거된 점을 제외하면 도 2에 도시된 카트리지(P)와 동일한 점에 유의한다.. 상술된 카트리지(P)의 재생산 방법에 의해 카트리지(P)의 단순한 재생산 방법을 달성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는 카트리지 분해 공정, 가요성 용기 압축 공정, 현상제 재충전 공정, 및 카트리지 조립 공정 중에서 가요성 압축 공정이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가요성 용기 압축 공정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압축 공정)
도 8a는 가압 확대 부재(256) 삽입 전 프레임 부재(29)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b는 가압 확대 부재(256)의 삽입 후 프레임 부재(29)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을 현상제(T)로 충전되는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보다 작게 하도록 프레임 부재(29) 내부의 가요성 용기(251)를 압축하는 압축 공정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확대 부재(256)는 팽창 가능하고 절첩 가능하다. 가압 확대 부재(256)는 절첩될 때, 프레임 부재(29)의 개구(29a)와 같은 작은 개구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된 가압 확대 부재(256)가 프레임 부재(29) 내에 삽입될 때, 가압 확대 부재(256)는 프레임 부재(29) 내부에, 도 8b에 도시된 화살표(C1 내지 C4)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팽창된다. 이 경우, 가요성 용기(251)는 가압 확대 부재(256)로부터 힘을 받아 압축된다. 따라서, 가압 확대 부재(256)는 프레임 부재(29) 내부의 가요성 용기(251)를 압축한다. 압축 공정에서, 가압 확대 부재(256)는 가요성 용기(251)의 위치에 삽입되고 가요성 용기(251)를 가압하면서 팽창하고, 이에 의해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프레임 부재(29)와 가요성 용기(251) 사이의 재충전 공간(255)이 팽창된다.
가압 확대 부재(256)는 두께 200㎛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되는 가요성 시트이다. 가압 확대 부재(256)의 재료는 다른 가요성 재료일 수 있다. 가압 확대 부재(256)는 내부에 삽입된 이후 프레임 부재(29) 내부에 남아 있을 수 있고, 또는 나중에 프레임 부재(29)의 외측으로 개구(29a)를 통해 취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확대 부재(256)가 프레임 부재(29)의 개구(29a)를 통해 삽입되고, 가요성 용기(251)가 압축되고, 현상제(T)가 재충전되지만, 본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재충전 공정은 구멍이 프레임 부재(29)에 형성되고 가압 확대 부재(256)가 프레임 부재(29) 내에 삽입된 후 실행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9a는 제3 실시예에 따르는 프레임 부재(29) 및 개봉 부재(254)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b는 제3 실시예에 따라서 프레임 부재(29)로부터 개봉 부재(254)가 제거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개봉 기어(67)는 프레임 부재(29)의 구동측 상의 외측으로부터 개봉 부재(254)의 구멍(254b) 내에 끼워진다. 비-구동측에서, 개봉 부재(254)의 샤프트(254a)가 프레임 부재(29) 내부에 형성된 구멍(29c) 내에 끼워진다. 개봉 부재(254)는 장치 본체(2)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신하여 도 2에 도시된 화살표(J)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개봉 부재(254)를 제거하기 전에, 사용자는 감광체 유닛(8) 및 현상 유닛(9)의 분리 공정을 완료할 필요가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현상 유닛(9)의 분리 공정에서 공급 롤러(61)를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롤러(61)의 샤프트가 프레임 부재(29)의 구멍(29c) 내에 끼워지고 공급 롤러(61)의 샤프트와 프레임 부재(29) 사이의 간극이 단부 시일(62)에 의해 밀봉되는 경우, 단부 시일(62)가 취출된 후 공급 롤러(61)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다.
사용자는 구동측 및 비-구동측에서 각각의 단부 시일(62) 모두의 제거 공정을 실행할 수 있으나, 본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구동측 상의 단부 시일(62)에 대해서만 제거 공정을 실행한 후, 공급 롤러(61)는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되도록 비-구동측을 향해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공급 롤러(61)가 프레임 부재(29) 내에 끼워지지만, 공급 롤러(61)는 공급 롤러(61)의 고정 부재(63)를 통해 프레임 부재(29)에 고정될 수 있다(도 10b 참조). 이 경우, 공급 롤러(61)의 고정 부재(63)는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공급 롤러(61)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다.
사용자는 비-구동측 및 구동측 양쪽에서 공급 롤러(61)의 고정 부재(63)를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을 실행할 수 있으나, 사용자는 비-구동측 및 구동측의 어느 한 쪽에만 제거 공정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롤러(61)의 고정 부재(63)의 제거 공정이 비-구동측에서만 실행될 때, 공급 롤러(61)는 공급 롤러(61)를 비-구동측을 향해 인출함으로써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밀봉 부재 및 개봉 부재 분리 공정]
도 11a는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밀봉 부재(253) 및 개봉 부재(254)를 분리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b는 프레임 부재(29) 내부의 가요성 용기(251) 내에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밀봉 부재(253) 및 개봉 부재(254)는 서로 맞물리기 때문에, 이들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재생산 방법은 밀봉 부재(253) 및 개봉 부재(254)을 현상 유닛(9)으로부터 분리하는 밀봉 부재(253) 및 개봉 부재(254)의 분리 공정을 포함한다. 먼저, 프레임 부재(29)의 구동측의 면의 외측으로부터 개봉 부재(254)의 구멍(254b) 내에 끼워진 개봉 기어(67)(도 9a 참조)가 제거된다.
비-구동측에서, 개봉 부재(254)의 샤프트(254a)는 프레임 부재(29) 내부에 형성된 구멍(29c) 내에 끼워진다. 구동측의 개봉 기어(67)가 개봉 부재(254)로부터 취출된 상태에서, 샤프트(254a)는 구멍(29c)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 부재(254)가 개구(29a)를 통해 화살표(I)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봉 부재(254)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일단 제거된 개봉 기어(67)는 프레임 부재(29)에 재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개봉 기어(67)가 프레임 부재(29)에 재부착되지만, 개봉 기어(67)가 삽입되었던 프레임 부재(29) 상의 구멍은 밀봉 부재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상술된 분리 공정에서, 밀봉 부재(253) 및 개봉 부재(254)는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다.
[가요성 용기 압축 공정]
도 12는 깔때기(101)가 삽입되는 프레임 부재(29)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을 현상제(T)로 충전되는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보다 작게 하도록 프레임 부재(29) 내부의 가요성 용기(251)를 압축하는 압축 공정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공정에서는 깔때기(101)의 팁부가 프레임 부재(29)의 노출된 개구(29a)에 삽입된다. 이 경우, 깔때기(101)의 팁부는 프레임 부재(29)의 내부에 도달한다. 공기가 화살표(M)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깔때기(101) 내에 주입될 때, 주입된 공기는 프레임 부재(29) 내부로 화살표(A)(A1 내지 A3)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후, 주입된 공기의 압력은 가요성 용기(251)를 화살표(B)(B1 내지 B3)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압축하여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임 부재(29) 내에 공기를 주입하는 것은 가요성 용기(251)를 압축하여 프레임 부재(29) 내에 공간을 형성한다. 이후, 이 공간은 재충전 공간(255)으로 지칭된다.
이 압축 공정에서, 가요성 용기(251)는 공기를 프레임 부재(29) 내에 주입함으로써 압축되었으나, 가압 확대 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직접 가요성 용기(251)를 가압 확대하여 가요성 용기(251)를 압축할 수도 있다.
[현상제 재충전 공정]
도 11b는 현상제를 프레임 부재(29) 내에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b를 참조하여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공정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현상제 재충전 공정에서, 깔때기(101)는 화살표(M)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현상제(T)를 주입한다. 주입된 현상제(T)는 깔때기(101)의 팁부로부터 프레임 부재(29) 내에 떨어지고, 프레임 부재(29) 내부의 재충전 공간(255)에 축적된다. 이 방식으로, 현상제(T)가 프레임 부재(29) 내에 충전된다.
상술된 방법에 따르면, 개봉 부재(254)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현상제(T)의 주입이 개봉 부재(254)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현상제(T)의 주입이 밀봉 부재(253)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현상제(T)가 효율적으로 주입될 수 있다. 깔때기(101) 대신 오거를 갖는 정량 공급 디바이스를 사용하면, 현상제(T)를 프레임 부재(29) 내에 효율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요성 용기(251)를 효율적으로 압축하기 위해서 공기가 압축 공정에 사용되지만, 본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현상제 재충전 공정에서, 깔때기(101)로부터 주입되는 현상제(T)가 가요성 용기(251)를 압축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현상제(T)는 프레임 부재(29) 내로 충전될 수 있다.
[현상 유닛 조립 방법] 및 [유닛 결합 공정]
이어서, 현상 유닛(9)의 재조립 공정, 및 감광체 유닛(8)과 현상 유닛(9)의 유닛 결합 공정이 실행된다. 상술된 절차의 완료시, 카트리지(P)의 조립 공정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료된다. 상술된 카트리지(P)의 재생산 방법에 의해 카트리지(P)의 단순한 재생산 방법을 달성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3a는 제4 실시예에 따라서 공급 롤러(61)가 제거된 후 프레임 부재(29)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b는 제4 실시예에 따라서 밀봉 부재(253)를 개봉 부재(254)로부터 분리하고 밀봉 부재(253)를 프레임 부재(29)로부터 취출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밀봉 부재(253)는 개봉 부재(254)와 예를 들어 열 용착, 초음파 용착, 또는 접착을 통해 맞물린다.
개봉 부재(254)가 수동으로 회전되어 밀봉 부재(253)의 자유 단부(253a)가 개구(29a)에 위치된다. 개봉 부재(254)와 맞물린 맞물림부(253b)를 제외한 밀봉 부재(253)의 부분은 커터를 사용하여 길이방향으로 절단된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부재(253)는 개구(29a)를 통해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다. 상술된 공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재생산 방법은 밀봉 부재(253)의 일부를 현상 유닛(9)으로부터 분리하는 밀봉 부재(253)의 분리 공정을 포함한다. 분리 공정에서, 밀봉 부재(253)는 개봉 부재(254)와 맞물린 "맞물림부 이외의 부분"(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분리 절취선(253c)을 포함함)에서 절단되어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개봉 부재(254)와 맞물린 맞물림부(253b)를 제외한 밀봉 부재(253)가 절단된다. 그러나, 맞물림부(253b) 및 개봉 부재(254)가 용이하게 분리되는 용착 또는 접착의 경우, 밀봉 부재(253)는 맞물림부(253b)를 포함하여 분리될 수 있다. 즉, 분리 공정에서, 개봉 부재(254)와 맞물린 맞물림부(253b)가 맞물림 해제되고, 이에 의해 밀봉 부재(253)가 현상 유닛(9)의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다.
도 14a는 밀봉 부재(253)가 개봉 부재(254)로부터 분리되기 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b는 밀봉 부재(253)가 개봉 부재(254)로부터 분리되는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부재(253)를 개봉 부재(254)로부터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절취선(253c)이 밀봉 부재(253)에 형성되어, 밀봉 부재(253)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가요성 용기의 분리 공정]
도 15a는 밀봉 부재(253)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 이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가요성 용기(251)가 프레임 부재(29)의 고정부(29b)에 의해 프레임 부재(29)에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부(29b)가 먼저 제거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29b)의 고정 방법으로서, 프레임 부재(29)의 보스가 가요성 용기(251)의 구멍을 통해 투입되고, 이후 초음파 스웨이징을 통해 보스가 뭉개진다.
도 15b는 가요성 용기(251)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보스가 절단되면, 가요성 용기(251)는 프레임 부재(29)로부터 취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29b)가 제거되고 이후 가요성 용기(251)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취출되지만, 가요성 용기(251)는 고정부(29b)를 제외한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프레임 부재(29)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요성 용기(251)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제거된 후, 가요성 용기(251)가 개구(29a)를 통해 인출되어 분리된다. 상술된 방법에 따르면, 현상제 재충전 공정에서, 현상제(T)는 개구(29a)가 밀봉 부재(253)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서 프레임 부재(29) 내에 효율적으로 주입된다.
제4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253)만이 개봉 부재(254)로부터 분리되고 가요성 용기(251)가 이에 의해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되지만, 본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제3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4 실시예에 따르는 방법에서, 밀봉 부재(253)는 개봉 부재(254)와 함께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가요성 용기(251)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253)는 개봉 부재(254)와 함께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되지만, 본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제4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3 실시예에 따르는 방법에서, 밀봉 부재(253)만이 개봉 부재(254)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가요성 용기(251)는 이에 의해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5 실시예]
제5 실시예에서, 현상 유닛(9)의 재생산 방법은 프레임 부재(29) 내에 현상제(T)를 재충전하는 제1 연통 구멍(109)을 가공하는 연통 구멍 가공 공정, 및 제1 연통 구멍(109)을 밀봉하여 프레임 부재(29)에 충전된 현상제(T)를 밀봉하는 연통 구멍 밀봉 공정을 포함한다. 재생산 방법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연통부 가공 공정]
도 16은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유닛 분리 공정에 의해 분리된 현상 유닛(9)에 대하여, 프레임 부재(29)에 제1 연통 구멍(109)을 가공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먼저, 고정부(29b)를 갖는 면이 중력 방향에서 하향으로 배향되도록 현상 유닛(9)을 보유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술된 배향에서 프레임 부재(29)의 수직 상부면에 제1 연통 구멍(109)이 가공된다. 현상제 재충전 공정(후술됨)에서 현상제 재충전 디바이스가 프레임 부재(29)의 외측으로부터 제1 연통 구멍(109)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제1 연통 구멍(109)은 현상제 재충전 디바이스의 팁부보다 클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1 연통 구멍(109)는 현상제 재충전 디바이스의 팁부보다 크다면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현상제 재충전 공정]
도 17a 및 도 17b는 현상제가 프레임 부재(29) 내에 직접 재충전되고 가요성 용기(251)가 절첩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현상제 재충전 공정에서,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T)는 깔때기(101)를 사용하여 화살표(M)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주입된다. 주입된 현상제(T)는 깔때기(101)의 팁부로부터 프레임 부재(29) 내에 떨어지고, 프레임 부재(29) 내부의 재충전 공간(255)에 축적된다. 이 경우, 현상제(T)에 인가되는 중력에 의해 가요성 용기(251)는 도 17a에 도시된 화살표(A)(A1 내지 A3)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힘을 받고, 이에 의해 압축된다. 이후,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T)가 가요성 용기(251) 내에 충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깔때기(101)가 현상제(T)를 재충전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현상제(T)를 재충전하는데 사용되는 디바이스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깔때기(101) 대신 오거를 갖는 정량 공급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오거를 구비한 정량 공급 디바이스를 사용하면, 현상제(T)를 프레임 부재(29) 내에 효율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연통부 밀봉 공정]
도 18은 제1 연통 구멍(109)을 밀봉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공정은 연통부를 밀봉하기 위해 재밀봉 부재(103)를 양면 테이프(104)를 사용하여 제1 연통 구멍(109)에 부착하여 제1 연통 구멍(109)을 밀봉하고, 이에 의해 프레임 부재(29)로부터 현상제(T)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실행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T)를 재충전할 때와 유사한 배향으로, 즉 제1 연통 구멍(109)이 수직으로 상향으로 배향되도록 현상 유닛(9)이 보유 지지되는 상태에서 재밀봉 부재(103)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제1 연통 구멍(109)을 덮도록 재밀봉 부재(103)가 프레임 부재(29)에 부착된다.
재밀봉 부재(103)는 프레임 부재(29)로부터 현상제(T)의 누설을 방해하도록 제1 연통 구멍(109)을 덮는 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재밀봉 부재(103)는 양면 테이프 대신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재밀봉 부재(103)는 양면 테이프(104)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되는 부재일 필요는 없고, 캡과 같이 제1 연통 구멍(109) 내에 끼워지는 부재일 수 있다. 상술된 공정에서, 현상제(T)로 재충전되는 현상 유닛(9)은이 재생산된다.
[유닛 결합 공정]
이어서, 사용자는 감광체 유닛(8) 및 현상 유닛(9)을 결합하는 유닛 결합 공정을 실행한다.
[제6 실시예]
[압축 공정]
도 19a는 현상제가 재충전되기 전, 깔때기(101)가 삽입되는 프레임 부재(29)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a를 참조하여,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을 현상제(T)로 충전되는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보다 작게 하도록 프레임 부재(29) 내부의 가요성 용기(251)를 압축하는 압축 공정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압축 공정에서,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때기(101)의 팁부가 제1 연통 구멍(109)에 삽입된다. 이 경우, 깔때기(101)의 팁부는 프레임 부재(29)의 내부에 도달한다. 압축된 공기가 깔때기(101) 내에 화살표(M)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주입될 때, 주입된 공기는 프레임 부재(29) 내부로 화살표(J)(J1 내지 J3)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주입된 공기 압력은 가요성 용기(251)를 화살표(K)(K1 내지 K3)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압축하여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을 감소시킨다.
제6 실시예에서, 공기를 사용한 압축이 압축 공정으로서 실행되지만, 압축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용기(251)는 가요성 용기(251)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압인 부재(105)를 사용하여 압축될 수 있다. 압인 부재(105)가 사용될 때, 가요성 용기(251)는 화살표(L)(L1 내지 L2)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프레임 부재(29)를 따라 절첩될 수 있다.
상술된 압축 공정을 연통부 가공 공정 이후 그리고 현상제 재충전 공정 이전에 실행하는 것은 가요성 용기(251)가 높은 탄성을 갖는 경우에도 현상제의 더 안정된 재충전 공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을 작게 하는 것은 보다 많은 양의 현상제(T)를 재충전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제7 실시예에서, 제5실시예에 포함된 유닛 분리 공정이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연통부 가공 공정 및 후속 공정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7 실시예에서, 현상 유닛(9)의 재생산 방법은 현상제(T)를 프레임 부재(29)에 재충전하는 제2 연통 구멍(110)을 가공하는 연통 구멍 가공 공정, 및 프레임 부재(29)에 충전된 현상제(T)를 밀봉하기 위해 제2 연통 구멍(110)을 밀봉하는 연통 구멍 밀봉 공정을 포함한다. 재생산 방법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연통부 가공 공정]
도 20은 프레임 부재(29)에 제2 연통 구멍(110)을 가공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먼저, 카트리지(P)를 화상 형성 장치(1)에 설치할 때와 유사한 배향으로 보유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된 배향에서 프레임 부재(29)의 수직 상부면에 제2 연통 구멍(110)이 가공된다. 현상제 재충전 디바이스는 현상제 재충전 공정(후술됨)에서 제2 연통 구멍(110)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2 연통 구멍(110)은 현상제 재충전 디바이스의 팁부보다 클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2 연통 구멍(110)은 현상제 재충전 디바이스의 팁부보다 크다면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압축 공정]
도 21은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을 현상제(T)로 충전되는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보다 작게 하기 위해 압인 부재(105)를 사용하여 가요성 용기(251)를 압축하는 압축 공정을 도시하는 프레임 부재(29)의 단면도이다. 가요성 용기(251)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압인 부재(105)가 가요성 용기(251)를 압축하기 위해 사용된다. 압인 부재(105)는 중력 방향에서 하향으로 제2 연통 구멍(110)을 통해 프레임 부재(29) 내에 삽입되고, 이후 힘이 화살표(N)(N1 내지 N2)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가요성 용기(251)에 인가된다. 가요성 용기(251)는 이에 의해 절첩되고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이 감소된다. 가요성 용기(251)의 압축은 이러한 방식으로 재충전 공간(255)을 형성한다.
[현상제 재충전 공정]
도 22는 현상제가 재충전될 때 프레임 부재(29)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현상제(T) 재충전 방법은 깔때기(101)가 사용되는 제5 실시예에 따르는 방법과 유사하다. 현상제 재충전 공정에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T)는 깔때기(101)를 사용하여 중력 방향에서 하향으로 프레임 부재(29) 내에 주입된다. 주입된 현상제(T)는 깔때기(101)의 팁부로부터 프레임 부재(29) 내에 떨어지고, 프레임 부재(29) 내부의 재충전 공간(255)에 축적된다. 제5 실시예와 유사하게, 현상제(T) 재충전에 사용되는 디바이스는 깔때기(101)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깔때기(101) 대신 오거를 구비한 정량 공급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연통부 밀봉 공정]
도 23은 제2 연통 구멍(110)을 밀봉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프레임 부재(29)의 단면도이다. 제5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 공정은 제2 연통 구멍(110)을 밀봉하기 위해 양면 테이프(104)를 사용하여 재밀봉 부재(103)를 제2 연통 구멍(110)에 부착하고, 이에 의해 프레임 부재(29)로부터의 현상제(T)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공정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T)를 충전할 때와 유사한 배향, 즉 제2 연통 구멍(110)이 수직 상향으로 배향되도록 카트리지(P)가 보유 지지되는 상태에서 재밀봉 부재(103)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재밀봉 부재(103)는 제2 연통 구멍(110)을 덮도록 프레임 부재(29)에 부착된다.
재밀봉 부재(103)는 프레임 부재(29)로부터의 현상제(T)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제2 연통 구멍(110)을 덮는 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재밀봉 부재(103)는 양면 테이프 대신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재밀봉 부재(103)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되는 부재일 필요는 없고, 캡과 같이 제2 연통 구멍(110) 내에 끼워지는 부재일 수 있다. 상술된 공정에 의해 유닛 분리 공정 및 유닛 결합 공정을 요구하지 않고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P)의 단순한 제조 방법의 달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7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현상 유닛(9)의 재생산 방법은 종래 기술에 비해 단순화된다. 제1 내지 제7 실시예에 따르는 구성 또는 공정은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7 실시예에서, 현상 유닛(9) 및 감광체 유닛(8)을 포함하는 카트리지(P)에 대해 설명이 제공되었으나, 구성은 카트리지(P)가 현상 유닛(9)을 포함하는 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내지 제7 실시예는 또한 이들이 현상 유닛(9)을 포함하는 한 현상 디바이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용기를 포함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후속하는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그러한 변형 및 균등한 구조와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에 따라야 한다.

Claims (16)

  1.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으로서, 상기 현상제 수납 유닛은 프레임 부재와, 현상제를 수납하고 상기 현상제를 상기 프레임 부재에 토출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는 가요성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가요성 용기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이며,
    상기 프레임 부재의 외부로부터 상기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충전된 현상제가 상기 가요성 용기에 접촉하도록, 상기 프레임 부재와 압축된 상기 가요성 용기 사이에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재충전 단계를 포함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 유닛은 상기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담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은 상기 현상제 수납 유닛으로부터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를 제거하는 제거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 유닛은, 상기 개구를 밀봉하며 이동시 상기 개구를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시트 부재, 및 상기 시트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시트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개구를 개봉하도록 구성된 회전가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은 상기 현상제 수납 유닛으로부터 상기 회전가능 부재를 제거하는 제거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 유닛은, 시트 부재, 및 상기 시트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시트 부재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회전가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은 상기 시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프레임 부재로부터 제거하는 제거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단계에서,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회전가능 부재와 맞물린 맞물림부 이외의 부분에서 절단됨으로써 상기 프레임 부재로부터 제거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단계에서,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회전가능 부재와 맞물린 맞물림부가 맞물림 해제되어 상기 프레임 부재로부터 제거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충전 단계에서, 구멍이 상기 프레임 부재 상에 형성되고, 상기 현상제가 상기 구멍을 통해 충전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 내에 상기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연통 구멍을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용기의 압축은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가요성 용기 사이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가요성 용기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용기의 압축은 상기 가요성 용기의 위치에 가압 확대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가요성 용기를 누르면서 상기 가압 확대 부재를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가요성 용기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11.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되는 정전 화상을 현상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담지 부재, 및 제1항에 따른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에 의해 재생산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을 포함하는 현상 디바이스.
  12. 화상 담지 부재,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되는 정전 화상을 현상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담지 부재, 및 제1항에 따른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에 의해 재생산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화상 담지 부재,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되는 정전 화상을 현상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담지 부재, 및 제1항에 따른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에 의해 재생산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50148460A 2014-10-27 2015-10-26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KR101974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18518A JP6418896B2 (ja) 2014-10-27 2014-10-27 現像剤収納ユニットの再生産方法
JPJP-P-2014-218518 2014-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488A KR20160049488A (ko) 2016-05-09
KR101974690B1 true KR101974690B1 (ko) 2019-05-02

Family

ID=5436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460A KR101974690B1 (ko) 2014-10-27 2015-10-26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575434B2 (ko)
EP (1) EP3026499B1 (ko)
JP (1) JP6418896B2 (ko)
KR (1) KR101974690B1 (ko)
CN (1) CN105549360B (ko)
PH (1) PH120150003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199A1 (ja) * 2015-06-16 2016-12-22 三菱化学株式会社 トナー補給方法、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US10303087B2 (en) 2016-05-10 2019-05-28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Remanufactured toner cartridge and method
WO2017201174A1 (en) 2016-05-18 2017-11-23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Method of remanufacturing a toner cartridge
US9946199B1 (en) 2016-09-23 2018-04-17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System and method of filling a toner container
US10162288B2 (en) * 2016-09-23 2018-12-25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System and method of remanufacturing a toner container
JP2024115469A (ja) * 2023-02-14 2024-08-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使用済み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832A (ja) * 2000-06-15 2002-01-09 Ricoh Co Ltd 粉体収納容器、該容器の組み立て方法、該容器への粉体充填方法、画像形成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容器の分解方法
JP2002006721A (ja) * 2000-06-23 2002-01-1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2003057933A (ja) * 2001-08-09 2003-02-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及びキャップ部材取付構造
JP2014032426A (ja) * 2011-07-14 2014-02-20 Canon Inc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9682A (en) * 1968-08-30 1971-08-17 Eastman Kodak Co Loading mechanism
JPS6471281A (en) 1987-09-11 1989-03-16 Hitachi Ltd Signal discriminator
JP3397484B2 (ja) * 1994-12-16 2003-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剤容器及び現像剤補給容器
JPH09106156A (ja) * 1995-10-09 1997-04-22 Canon Inc 現像剤容器、袋状シート及び現像剤充填装置
US5594535A (en) * 1995-11-07 1997-01-14 Hewlett-Packard Company Refillable toner cartridge
JPH09251241A (ja) * 1996-03-15 1997-09-22 Canon Inc トナー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トナーホッパー及び画像形成装置
JP3658077B2 (ja) * 1996-03-15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143050A (ja) 1996-09-12 1998-05-2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剤容器、残余現像剤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現像剤再充填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に用いられる支持枠体及び支持枠体の組立て方法
JP3037194B2 (ja) 1997-04-25 2000-04-24 新潟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へのトナーの供給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157681B2 (ja) 2000-02-14 2008-10-0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納容器
JP4167807B2 (ja) 2000-03-10 2008-10-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収納容器
JP3320403B2 (ja) 2000-06-28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754910B2 (ja) 2001-10-31 2006-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948606B2 (ja) 2002-01-10 2007-07-2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容器、トナー補給装置及び方法
US7542703B2 (en) 2002-05-20 2009-06-02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replenishing a toner or a carrier of a two-ingredient type 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eveloping device
CN101158834B (zh) 2002-09-20 2010-07-21 株式会社理光 成像装置,墨粉供给部件,调色剂容器,墨粉容器及回收方法
US6980755B2 (en) 2002-09-30 2005-12-27 Canon Kabushiki Kaisha Recycling method for developer supplying unit including the step of driving a feeding member in a direction to feed developer from a developer supply port to a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JP2005352159A (ja) * 2004-06-10 2005-12-22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
JP2006267679A (ja) 2005-03-24 2006-10-05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DE602006020532D1 (de) 2005-11-09 2011-04-21 Ricoh Co Ltd Auffüllbehälter für Zwei-Komponenten-Entwickler und Füllmethode
US8205539B2 (en) 2006-09-01 2012-06-26 Clark Equipment Company Two bolt adjustable centering system
JP2008122825A (ja) 2006-11-15 2008-05-29 Seiko Epson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8179383A (ja) 2007-01-23 2008-08-07 Ricoh Co Ltd 粉体充填方法、粉体収納容器、現像剤補給装置、現像剤補給方法、画像形成装置、並びに粉体充填済み粉体収納容器の製造方法。
KR101079576B1 (ko) * 2007-02-13 2011-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US20090016777A1 (en) 2007-07-13 2009-01-15 Satoru Miyamoto Developer container filled with developer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developer container filled with developer
JP5401829B2 (ja) 2008-05-22 2014-01-29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10281868A (ja) * 2009-06-02 2010-12-16 Ricoh Co Ltd トナー容器の再生方法
JP5839826B2 (ja) * 2011-04-22 2016-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の再生産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911275B2 (ja) 2011-11-29 2016-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4026224A (ja) * 2012-07-30 2014-02-06 Ricoh Co Ltd トナー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充填方法
JP6053400B2 (ja) * 2012-09-04 201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980061B2 (ja) 2012-09-11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377714B2 (en) 2012-12-14 2016-06-2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accommodating unit with frames for accommodating a developer accommodating member
JP6381222B2 (ja) 2014-02-18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832A (ja) * 2000-06-15 2002-01-09 Ricoh Co Ltd 粉体収納容器、該容器の組み立て方法、該容器への粉体充填方法、画像形成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容器の分解方法
JP2002006721A (ja) * 2000-06-23 2002-01-1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2003057933A (ja) * 2001-08-09 2003-02-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及びキャップ部材取付構造
JP2014032426A (ja) * 2011-07-14 2014-02-20 Canon Inc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5000354A1 (en) 2017-05-03
JP6418896B2 (ja) 2018-11-07
KR20160049488A (ko) 2016-05-09
US9575434B2 (en) 2017-02-21
PH12015000354B1 (en) 2017-05-03
CN105549360A (zh) 2016-05-04
US20170123372A1 (en) 2017-05-04
EP3026499A1 (en) 2016-06-01
JP2016085371A (ja) 2016-05-19
US20160116861A1 (en) 2016-04-28
EP3026499B1 (en) 2022-07-20
US9891583B2 (en) 2018-02-13
CN105549360B (zh) 201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690B1 (ko)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US10067444B2 (en) Remanufacturing method of developer accommodating unit
US9116466B2 (en)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678458B2 (en) Remanufacturing method of developer accommodating unit
JP2004264821A (ja) 現像剤カートリッジ容器、現像剤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現像剤カートリッジ容器のリサイクル方法およ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のリサイクル方法、
US9239544B2 (en) Development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2016058A (ja) 像担持体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030558B1 (ko)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수용기
JP2024081984A (ja) 現像剤収納ユニットの再生産方法、現像装置の再生産方法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AU2011202847A1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device, and developer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