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558B1 -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수용기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558B1
KR101030558B1 KR1020080111665A KR20080111665A KR101030558B1 KR 101030558 B1 KR101030558 B1 KR 101030558B1 KR 1020080111665 A KR1020080111665 A KR 1020080111665A KR 20080111665 A KR20080111665 A KR 20080111665A KR 101030558 B1 KR101030558 B1 KR 101030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hole
sheet member
developer accommodating
communic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060A (ko
Inventor
이사오 이토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1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peelable sealing fil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 장치의 미사용시에서,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가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현상제를 충전한 현상제 수용부의 연통 구멍은, 밀봉 부재로 밀봉된다. 이 밀봉 부재(52)를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을 통하여 외부로 빼냄으로써, 연통 구멍이 연통된다.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의 형상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연통 구멍으로부터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의 밀봉 부재(52)에는, 원호 형상의 경사부(52b, 52b)가 형성된다. 밀봉 부재(52) 자체, 또는 밀봉 부재(52)와 하우징 사이에 침투하는 현상제는, 밀봉 부재(52)의 경사부(52b)를 따라 방출되어, 현상제가 퇴적되는 것을 저감한다.
화상 형성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공급용 연통 구멍, 누출 방지 밀봉재

Description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수용기{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DEVICE, AND DEVELOPER CARTRIDGE}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고, 상(像) 담지체(擔持體) 위의 잠상(潛像)을 가시상화하는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수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사진의 원리를 응용한 기록 장치로서는,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부재를 하나로 통합한 카트리지(소위,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한 기종이 시장에 많이 출회되고 있다.
또한, 기록 장치에 대한 소형화의 요구도 있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도 소형화가 도모되어 왔다. 그 구성 요소의 하나로 현상 장치가 있다. 이 현상 장치에는 미리 현상제가 충전되는 현상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는 연통 구멍을 통하여 외부에 대해서 수송되게 되어 있다.
한편, 미사용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수송할 때,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 제가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연통 구멍을 시트 부재에 의해 밀봉하는 기술이 있다(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 이 시트 부재는, 사용 개시시에서 사용자에 의해 박리되는 것이다(특허문헌 1, 2, 특허문헌 3의 도 16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2와 같이, 시트 부재를 현상제 수용부측에 설치한 것에 있어서는, 어떠한 이유에 의해 상기 시트 부재를 빼내고 있는 도중에서 절단되면, 당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사용 불가능이 되어, 사용자에게 다대한 폐를 끼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발명자는, 그 원인을 탐구한 결과, 이하의 결론에 도달했다. 즉, 상술한 특허문헌에서의 시트 부재는, 되접기부가 현상제 수용부 내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반송시 등에서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의 교반(攪拌)이 발생하면, 시트 부재의 되접기부의 내측에,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현상제가 말려드는 경우가 있다. 그 상태대로, 시트 부재의 빼냄 동작을 개시하면, 말려든 현상제가 되접기부의 내측으로부터 방출되지 않고, 상기 삽입 통과 구멍까지 이동한다. 이 때, 말려들어 방출되지 않은 현상제는, 시트 부재가 삽입 통과 구멍을 통과할 때의 조임에 의한 압축으로 덩어리가 되어 시트 부재의 빼냄에 대한 저항이 된다. 이 상태에서 무리하게 시트 부재를 계속 당기면, 시트 부재가 무리하게 계속 당겨져, 절단에 이른다.
또는, 시트 부재와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 현상제가 끼어들어간 경우에도, 동일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07-16844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2001-125357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평09-26743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 부재를 빼내어 삽입 통과 구멍을 삽입 통과시킬 때에, 당해 시트 부재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수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정전 잠상(靜電 潛像)이 형성되는 상(像) 담지체(擔持體)를 향하여 개구하는 개구부,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 및 이 현상제 수용부에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되는 현상제를 담지하여 상기 상 담지체와 대향하는 현상 영역까지 반송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 구멍을 밀봉하는 시트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시트 부재를 꺼낼 때에 당해 시트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개구 형상은, 그 단부(端部)가 다른 부분보다도 상기 연통 구멍으로부터 이간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상 담지체와, 상기 상 담지체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가시상화하는 현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현상 장치는, 상기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상 담지체를 향하여 개구하는 개구부, 상기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 및 이 현상제 수용부에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되는 현상제를 담지하여 상기 상 담 지체와 대향하는 현상 영역까지 반송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 구멍을 밀봉하는 시트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시트 부재를 꺼낼 때에 당해 시트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개구 형상은, 그 단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상기 연통 구멍으로부터 이간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상 장치와, 상 담지체를 대전(帶電)시키는 대전 수단과, 상기 대전 수단에 의해 대전된 상기 상 담지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수단과, 상기 정전 잠상을 상기 현상 장치에 의해 가시상화한 토너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과, 상기 상 담지체의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을 가지며, 상기 현상 장치는, 상기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상 담지체를 향하여 개구하는 개구부, 상기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 및 이 현상제 수용부에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되는 현상제를 담지하여 상기 상 담지체와 대향하는 현상 영역까지 반송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 구멍을 밀봉하는 시트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시트 부재를 꺼낼 때에 당해 시트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개구 형상은, 그 단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상기 연통 구멍으로부터 이간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 및 이 현상제 수용부에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연 통 구멍을 밀봉하는 시트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시트 부재를 꺼낼 때에 당해 시트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을 구비한 현상제 수용기에 있어서,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개구부는, 그 단부가 개구부의 다른 부분보다도 상기 연통 구멍으로부터 이간되는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개구부는, 대략 「へ」자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삽입 통과 구멍 근방에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가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현상제 방지 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은,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상기 개구부측에 연통시키는 구멍, 또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다른 현상제 수용기와 연통하기 위한 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미사용시에서, 상기 시트 부재는 접혀져, 접히는 부분이 되접기부가 되고, 상기 되접기부를 기준으로 상기 시트 부재의 한쪽을 왕로(往路)로 하고, 다른 쪽을 복로(復路)로 하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되접기부가 상기 삽입 통과 구멍으로부터 가장 이간되고, 상기 왕로가 상기 연통 구멍에 접착되고, 상기 복로의 선단이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1, 6, 11, 16의 기재의 발명은, 삽입 통과 구멍의 개구부를, 그 단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연통 구멍으로부터 이간되는 형상으로 했기 때문에, 삽입 통과 구멍을 통과할 때의 시트 부재의 단면 형상이, 그 단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연통 구멍으로부터 이간되는 형상이 되어, 시트 부재에는 단부를 향해서 경사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시트 부재 자체, 또는 시트 부재와 하우징 사이에 침투되는 현상제는, 시트 부재의 경사부를 따라 방출되어, 삽입 통과 구멍 근방에 현상제가 퇴적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연통 구멍으로부터 삽입 통과 구멍의 사이에 위치하는 시트 부재의 단면 형상은, 평면으로부터 삽입 통과 구멍의 형상으로 변형되는, 즉 경사부를 갖는 형상으로 점차 변형된다. 시트 부재의 단면 형상이 평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현상제가 시트 부재에 끼였다고 해도, 시트 부재를 빼냄에 따라 끼어들어간 현상제도 시트 부재와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현상제는, 점차 형성되는 경사부의 경사를 따라 방출된다.
청구항 2, 7, 12, 17의 기재의 발명은, 삽입 통과 구멍의 개구부를, 대략 「へ」자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연통 구멍을 통과하기 전의 시트 부재의 형상도, 대략 「へ」자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대략 「へ」자 형상의 경우에는, 절곡부(折曲部)가 연통 구멍측으로 향하도록 형성하고, 원호 형상의 경우에는, 산부(山部)가 연통 구멍측으로 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삽입 통과 구멍의 형상은, 그 단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연통 구멍으로부터 이간되는 형상이 되어, 경사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시트 부재 자체, 또는 시트 부재와 하우징의 사이에 침투되는 현 상제는, 시트 부재의 경사부를 따라 방출됨으로써, 현상제가 끼어들어가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를 꺼낼 때, 현상제가 시트 부재에 끼여 있었다고 해도, 삽입 통과 구멍에 근접함에 따라서 시트 부재의 경사부가 점차 급해지기 때문에, 끼인 현상제를 경사부를 따라 방출할 수 있다.
청구항 3, 8, 13, 18의 기재의 발명은, 삽입 통과 구멍 근방에,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가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현상제 방지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시트 부재를 삽입 통과 구멍에 가압하기 때문에, 연통 구멍을 통과할 때의 시트 부재의 단면 형상을, 단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연통 구멍으로부터 이간되는 형상으로서 경사부를 형성한다.
청구항 4, 9, 14, 19의 기재의 발명은,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이,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상기 개구부측에 연통시키는 구멍, 또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다른 현상제 수용기와 연통하기 위한 구멍이 되기 때문에, 이 2개의 삽입 통과 구멍에 대해서 상기 발명이 적용 가능해진다.
청구항 5, 10, 15, 20의 기재의 발명은, 미사용시에서, 시트 부재는 접혀져, 접히는 부분이 되접기부가 되고, 상기 되접기부를 기준으로 상기 시트 부재의 한쪽을 왕로로 하고, 다른 쪽을 복로로 하고, 시트 부재는, 되접기부가 삽입 통과 구멍으로부터 가장 이간되고, 왕로가 연통 구멍에 접착되고, 복로의 선단이 삽입 통과 구멍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우징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복로의 선단을 일방향으로 꺼냄으로써 삽입 통과 구멍으로부터 박리하여 삽입 통과 구멍을 삽입 통과시킨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현상 장치가 탑재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소위 탠덤형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이며, 장치 하우징(2) 내에 4개의 색(본 실시예에서는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화상 형성 유닛(11)(구체적으로는 11Y, 11M, 11C, 11B)을 종방향으로 배열하고, 그 하방에는 공급용의 용지(P)가 수용되는 급지 카셋(61)을 설치하는 동시에, 각 화상 형성 유닛(11)에 대응한 개소에는 급지 카셋(61)으로부터의 용지(P)의 반송로가 되는 용지 반송로(62)를 수직 방향으로 배치한 것이다.
화상 형성 유닛(11)은, 용지 반송로(62)의 상류측으로부터 차례로, 옐로용, 마젠타용, 시안용, 블랙용의 토너상을 형성하는 것이며, 각종 프로세스 유닛을 일체로 구성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2)와,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2)에 대해서 화상 형성용의 주사 광을 조사하는 노광 장치(21)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2)는, 감광체 드럼(13)과, 이 감광체 드럼(13)을 미리 대전시키는 대전 롤(14)과, 대전된 감광체 드럼(13) 위에 상기 노광 장치(21)에서 노광 형성된 정전 잠상을 대응하는 색 토너(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마이너스 극성)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30)와, 감광체 드럼(13) 위의 폐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15)를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한 것이다.
한편, 노광 장치(21)는, 케이스 내에 도시하지 않은 반도체 레이저, 폴리곤 미러, 결상 렌즈 및 미러가 저장되고, 반도체 레이저로부터의 광을 폴리곤 미러로 편향 주사하고, 결상 렌즈, 미러를 통하여 감광체 드럼(13) 위의 노광 포인트에 광상을 유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각 화상 형성 유닛(11)의 감광체 드럼(13)에 대응한 개소에는 용지 반송로(62)를 따라 순환 이동하는 반송 벨트(63)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 벨트(63)는, 용지(P)를 정전 흡착할 수 있는 벨트 소재(고무 또는 수지)로 구성되어, 한 쌍의 텐션 롤(64, 65)에 가설(架設)되어 있다.
반송 벨트(63)의 입구 부위(텐션 롤(64) 대향 부위)에는 용지 흡착 롤(66)이 배열 설치되어 있고, 이 용지 흡착 롤(66)에 고전압인 흡착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반송 벨트(63)에 용지(P)가 흡착된다. 또한, 각 화상 형성 유닛(11)의 감광체 드럼(13)에 대응한 반송 벨트(63)의 이면측에는 전사 롤(67)이 각각 배열 설치되어 있고, 이 전사 롤(67)에 의해 감광체 드럼(13)과 반송 벨트(63) 위의 용지(P)를 밀착시키고 있다. 그리고, 전사 롤(67)과 감광체 드럼(13)의 사이에는 전사 바이어스 전원에 의한 소정의 전사 바이어스가 적절히 인가된다.
또한, 급지 카셋(61)의 근방에는, 용지(P)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송출하는 픽업 롤(71)이 설치되어 있고, 반송 롤(72) 및 레지스트레이션 롤(73)을 통해서 전사 위치에 이송된다.
최하류 화상 형성 유닛(11B)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용지 반송로(62)에는 정착 장치(74)가 설치되는 동시에, 이 정착 장치(74)의 하류측에는 용지 배출용의 복수 개의 배출 롤(76)이 설치되어 있고, 장치 하우징(2)의 상부에 형성된 수용 트레이(77)에 배출 용지가 수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이하의 프로세스에 의해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각 화상 형성 유닛(11)(11Y, 11M, 11C, 11B)에서는, 감광체 드럼(13)이 대전 롤(14)에 의해 대전되고, 노광 장치(21)에 의해 감광체 드럼(13) 위에 잠상이 형성된 후에, 현상 장치(30)에 의해 가시상(토너상)이 형성된다.
한편, 급지 카셋(61)으로부터의 용지(P)는, 픽업 롤(71)로 소정의 타이밍에서 배출되어, 반송 롤(72) 및 레지스트레이션 롤(73)을 통해서 반송 벨트(63)의 흡착 위치로 이송되고, 반송 벨트(63)에 흡착된 상태로 전사 위치에 이송된다.
각 화상 형성 유닛(11)에서의 감광체 드럼(13) 위의 토너상은, 전사 롤(67)에 의해 용지(P)에 순차적으로 전사되고, 정착 장치(74)에 의해 용지(P) 위의 각 색 성분 미정착 토너상이 정착된 후, 정착 완료된 용지(P)는 수용 트레이(77)에 배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요>
프로세스 카트리지(12)는, 감광체 드럼(13), 대전 롤(14), 현상 장치(30), 클리닝 장치(15) 등을 구비하고 있다.
<현상 장치의 개요>
도 2 내지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30)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는 현상 장치(30)의 사시도, 도 3은 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 중의 화살 표 IV-IV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현상 장치(30)의 횡방향을 X축, 길이 방향을 Y축으로 한다.
현상 장치(30)는, 현상제 수용부(35), 현상부(36)로 분리된 방과 개구부(31A)를 갖는 하우징(31)과, 상기 현상제 수용부(35)에 배치된 교반 오거(auger; 41), 공급 오거(42)와, 상기 현상부(36)에 배치된 마그네틱 롤(43), 트리머(trimmer) 부재(44), 패들(45)을 구비하고 있다.
마그네틱 롤(43)의 일부는 하우징(31)의 개구부(31A)로부터 노출되어 감광체 드럼(13)에 근접 배치된다. 트리머 부재(44)는, 마그네틱 롤(43)의 표면에 담지(擔持)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한다. 패들(45)은, 현상 종료 후에 마그네틱 롤(43)로부터 릴리스(release)된 현상제를 공급 오거(42)측으로 되돌린다. 그리고, 교반 오거(41), 공급 오거(42), 및 패들(45)에는, 동일 구동원의 회전이 기어를 통하여 전달되어, 각 부위가 회전 구동된다.
하우징(31)은, 하측 하우징(32), 상측 하우징(33), 좌우의 사이드 커버(34, 34)로 구성된다. 각 부위(32∼34)를 조립하여 형성되는 하우징(31) 내는, 구획용 프레임(46)에 의해, 현상제 수용부(35)와 현상부(36)로 분리된다. 이 현상제 수용부(35) 내에는, 현상제(G)가 충전된다.
하우징(31)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부(35)와 현상부(36)의 경계선이 되는 부위에 홈이 형성된다. 이 홈은, 하측 하우징(32)에 형성되는 하부 홈(37), 상측 하우징(33)에 형성되는 상부 홈(38)이 되고, 사이드 커버(34)에 형성되는 홈은 도시를 생략한다. 이 홈에는, 미사용시에 밀봉 부재(48)가 접착된 구획용 프레임(46)이 끼워 넣어진다.
한편, 상측 하우징(33)의 길이 방향 한 쪽에는, 후술하는 현상제 수급부(50)가 형성된다.
여기서, 구획용 프레임(46)과 밀봉 부재(48)에 대해서,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구획용 프레임(46)과 밀봉 부재(48)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획용 프레임(46)은, 현상제 수용부(35)와 현상부(36)를 연통되는 공급용 연통 구멍(47)을 갖는다. 밀봉 부재(48)는, 이 공급용 연통 구멍(47)을 밀봉하도록, 구획용 프레임(46)의 한 측면에, 그 외주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밀봉 부재(48)의 길이는, 구획용 프레임(46)의 길이(Y축) 방향으로 왕복하여 접착되기 때문에, 2배 이상의 길이가 된다. 밀봉 부재(48)는, 도 5의 앞쪽이 되접기부(48A)가 되고, 기점(基点)으로부터 되접기부(48A)까지가 왕로가 되어 구획용 프레임(46)에 접착되고, 되접기부(48A)로부터 자유단까지가 복로가 되어, 이 자유단이, 상측 하우징(33)과 하측 하우징(32) 사이에 형성된 밀봉 삽입 통과 구멍(도시 생략) 및 사이드 커버(34)의 밀봉 통로(도시 생략)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구획용 프레임(46)으로부터 밀봉 부재(48)를 박리하는 경우에는, 사이드 커버(34)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자유단을 화살표 A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왕로의 밀봉 부재(48)가 구획용 프레임(46)으로부터 앞쪽으로부터 차례로 벗겨지고, 되접기부(48A)가 안쪽으로 순차 이동하고, 왕로가 구획용 프레임(46)으로부터 벗겨짐으로써, 완전히 밀봉 부재(48)가 박리되고, 공급용 연통 구멍(47)이 개구하 여, 현상제 수용부(35)와 현상부(36)를 연통시킨다.
다음에, 현상제 수급부(50)에 대해서, 도 4 및 도 6,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4 중의 화살표 VI-VI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7은 도 6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이 현상제 수급부(50)는, 상측 하우징(33) 위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X축 방향)에 뚫어 설치된 긴 규제 구멍(50B)을 갖는 외형부(50A)와, 이 외형부(50A) 내를 슬라이딩하여 돌기(50D)가 볼록 설치된 덮개부(50C)와, 이 덮개부(50C)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50E)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33) 중 현상제 수급부(50)가 형성되는 위치에는, 보급용 연통 구멍(51)이 뚫어 설치된다.
다음에, 현상제 수급부(50) 및 밀봉 부재(52)의 관계를 설명한다. 밀봉 부재(52)는, 보급용 연통 구멍(51)을 밀봉하도록, 상측 하우징(33)의 내측면에, 그 외주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밀봉 부재(52)는, 도 6의 좌측이 되접기부(52A)가 되고, 기점으로부터 되접기부(52A)까지가 왕로(52B)가 되어 보급용 연통 구멍(51)의 주위 부위에 접착되고, 되접기부(52A)로부터 자유단(52D)까지가 복로(52C)가 되고, 이 자유단이, 상측 하우징(33)과 하측 하우징(32)의 사이에 형성된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과 사이드 커버(34)에 형성된 밀봉 통로(도시 생략)를 통하여 외부에 인출된다.
<실시예의 특징>
본 실시예에 의한 현상 장치(30)의 특징은, 도 6∼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33)과 하측 하우징(32) 사이에 형성되는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의 형상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것에 있다. 이에 따라,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은, 그 단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보급용 연통 구멍(51)으로부터 이간되게 된다. 이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33)에 형성되는 오목 형상의 구멍 단면(53A)과, 하측 하우징(32)에 형성되는 볼록 형상의 구멍 단면(53B)으로 이루어지고, 구멍 단면(53A, 53B)을 맞춤으로써, 원호 형상의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을 형성한다.
또한, 하측 하우징(32)에 형성한 구멍 단면(53B)의 단부는, 각도 α로써 C면 컷트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각도 α는, 10°<α<70°(바람직하게는, 30°<α<60°)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구멍 단면(53B)에 설치되는 밀폐 밀봉재(54)를 강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 중 하측 하우징(32)에 의해 형성되는 면에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밀폐 밀봉재(54)가 설치되고, 상측 하우징(31)에 의해 형성되는 면에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누출 방지 밀봉재(55)가 설치된다.
하측 하우징(32)의 구멍 단면(53B)을 포함하는 면에 밀폐 밀봉재(54)를 접착한 다음, 구멍 단면(53A, 53B) 사이에 밀봉 부재(52)가 끼워지도록, 상측 하우징(33)과 하측 하우징(32)을 맞춘다. 이에 따라, 밀봉 부재(52)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에서, 단면이 원호 형상이 된다.
다음에,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에 삽입 통과되는 밀봉 부재(52)의 형상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밀봉 부재(52)를 위에서 본 상면도, 도 10은 도 9 중의 화살표 a-a, b-b, c-c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는, 밀봉 부재(52)의 형상을 강조하기 위해서, 원호의 반경을 작게 하여 묘사하고 있다.
밀봉 부재(52)는, 보급용 연통 구멍(51)의 부위가 그 주위에 고착되기 때문에 거의 평탄이 되고,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에 삽입 통과되는 부위가 원호 형상이 된다. 즉, 밀봉 부재(52)의 복로(52C) 중, 되접기부(52A)로부터 왕로(52B)와 겹치는 위치(보급용 연통 구멍(51))에서는, 거의 평탄한 형상이 되고(도 10의 (a) 참조),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을 향함에 따라, 이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의 형상에 근접해 간다. 이 때문에, 밀봉 부재(52)는, a위치로부터 c위치까지의 사이에, 폭방향(X축 방향)의 중심선(52a)이 형성되고, 이 중심선(52a)으로부터 폭방향(X축 방향)의 단부를 향해서 경사부(52b, 52b)가 형성된다. 그리고, 경사부(52b)의 경사는, 도 10의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에 근접함에 따라,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의 경사에 근접해 가서, 경사가 급해진다.
<실시예의 효과>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현상 장치(30)에서는,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의 형상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현상제 수급부(50)측의 보급용 연통 구멍(51)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52)의 형상을, 보급용 연통 구멍(51)으로부터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에 걸쳐서 점차 원호 형상이 되도록 변형시킨다. 이에 따라, 밀봉 부재(52)의 되접기부(52A) 내측, 또는 밀봉 부 재(52)와 상측 하우징(33) 사이에 침투하는 현상제(G)는, 밀봉 부재(52)에 형성되는 경사부(52b)를 따라 방출되어,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 근방에 현상제(G)가 퇴적되는 것을 확실히 저감할 수 있어, 퇴적된 현상제가 밀봉 부재(52) 빼냄의 저항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밀봉 부재(52)가 박리 중에 절단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밀봉 부재(52)의 경사부(52b)는, 그 경사가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을 향해서 점차 형성되도록 되기 때문에, 밀봉 부재(52)의 단면 형상이 평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퇴적된 현상제(G)가 있었다고 해도, 밀봉 부재(52)를 빼냄에 따라 끼인 현상제(G)도 시트 부재와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현상제(G)는, 점차 형성되는 경사부(52b)의 경사를 따라 방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의 형상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다는 간단한 변경만으로, 밀봉 부재(52) 부근에 현상제(G)가 퇴적되는 것을 저감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등이 밀봉 부재(53)의 자유단(52D)을 잡아당겨서 빼낼 때에, 현상제(G)의 퇴적에 의한 저항을 저감하여, 밀봉 부재(52)가 절단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현상 장치(30)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통상 현상 장치(30)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축·Y축을 수평으로 하여 사용 또는 반송하는 것이 기본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밀봉 부재(52)가 형성되는 경사부(52b)에서는, 절곡선(52a)으로부터 단부를 향해서 중력이 작용하게 된다. 중력과 밀봉 부재(52)의 형성(경사부(52b))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밀봉 부재(52) 근방에 현상제(G)가 퇴적되는 것을 저감한다. 이와 같이, 밀봉 삽 입 통과 구멍(53)에 의해 형성되는 밀봉 부재(52)의 형상이, 단부가 다른 부분에 비교하여 중력적으로 낮은 위치가 되는 경우에는, 특히 유효해진다.
또한,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에는, 밀폐 밀봉재(54)와 누출 방지 밀봉재(55)가 설치되고, 밀봉 부재(52)가 가압되도록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현상제 수용부(35) 내에 충전된 현상제(G)가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변형예]
<변형예 1>
상기 실시예에서는, 보급용 연통 구멍(51)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52)의 형상을 변형시키기 위해서, 이 밀봉 부재(52)가 삽입 통과되는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의 형상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공급용 연통 구멍(47)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48)가 삽입 통과하는 밀봉 삽입 통과 구멍의 형상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변형예 2>
상기 실시예에서는,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 상측 하우징(33)과 하측 하우징(32)의 구멍 단면(53A, 53B)을 형성하도록 했지만, 상측 하우징(33)과 하측 하우징(32) 중, 어느 한쪽에만 구멍 단면을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하우징(32)에만 구멍 단면(53B)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도, 상측 하우징(33)에 설치된 누출 방지 밀봉재(55)에 의해 밀봉 부재(52)가 구멍 단면(53B)에 가압되기 때문에, 밀봉 부재(52)의 형상은, 원호 형상으로 변형된다.
<변형예 3>
또한,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의 형상은 원호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대략 「へ」자 형상의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이라도 좋다. 이 경우, 도 12∼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밀봉 부재(52)의 형상이 변형된다.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33)에 형성되는 오목 형상의 구멍 단면(53A´)과, 하측 하우징(32)에 형성되는 볼록 형상의 구멍 단면(53B´)으로 이루어지고, 구멍 단면(53A´, 53B´)을 맞춤으로써, 대략 「へ」자 형상의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을 형성한다.
하측 하우징(32)의 구멍 단면(53B´)을 포함하는 면에 밀폐 밀봉재(54)를 접착한 다음, 구멍 단면(53A´, 53B´) 사이에 밀봉 부재(52)가 끼워지도록, 상측 하우징(33)과 하측 하우징(32)을 맞춘다. 이에 따라, 밀봉 부재(52)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에서, 단면이 대략 「へ」자 형상이 된다.
다음에, 대략 「へ」자 형상의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에 의해 형성되는 밀봉 부재(52)의 형상에 관하여,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변형예 3에 의한 밀봉 부재(52)를 위에서 본 상면도, 도 15는 도 14 중의 화살표 a-a, b-b, c-c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밀봉 부재(52)는, 보급용 연통 구멍(51)의 부위가 그 주위에 고착되기 때문에 거의 평탄이 되고,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에 삽입 통과되는 부위가 단면 원호 형상이 된다. 즉, 밀봉 부재(52)의 복로(52C) 중, 되접기부(52A)로부터 왕로와 겹 치는 위치(보급용 연통 구멍(51))에서는, 거의 평탄한 형상이 되고(도 15의 (a) 참조),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을 향함에 따라, 이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의 형상에 근접해 간다. 이 때문에, 밀봉 부재(52)는, a위치로부터 c위치까지의 사이에, 폭방향(X축 방향)의 중심에 절곡선(52a´)이 형성되고, 이 절곡선(52a´)으로부터 폭방향(X축 방향)의 단부를 향해서 경사부(52b´, 52b´)가 형성된다. 그리고, 경사부(52b´)의 경사는, 도 15의 (b), 1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에 근접함에 따라서,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의 경사에 근접해 가서, 경사가 급해진다.
이와 같이, 대략 「へ」자 형상의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에 의해 변형되는 밀봉 부재(52)라도,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밀봉 삽입 통과 구멍(53)의 형상은, 대략 「へ」자 형상, 원호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밀봉 삽입 통과 구멍이, 그 단부가 삽입 통과 구멍의 다른 부분보다도 연통 구멍으로부터 이간되는 형상이 되면 좋고, 요컨대, 밀봉 부재(52)에 경사부(52b)가 형성되면 좋다.
또한, 변형예 2와 같이, 상측 하우징(33)과 하측 하우징(32) 중, 어느 한쪽에만 구멍 단면을 형성해도 좋다.
<변형예 4>
상기 실시예에서는, 현상 장치(30)에서의 밀봉 부재의 형상을 변형하는 것으로서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토너 카트리지 등과 같이, 현상제 수용부를 구비하여, 현상 수용부 내에서 연통 구멍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가 채 용되고 있는 현상제 수용기에 적용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실시예에 의한 현상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의한 현상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 중의 화살표 IV-IV 방향에서 본 부분 단면도.
도 5는 구획용 프레임과 밀봉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 중의 화살표 VI-VI 방향에서 본 부분 단면도.
도 7은 시트 삽입 통과 구멍을 형성하기 전의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시트 삽입 통과 구멍에 시트 부재를 삽입 통과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실시예에 의한 밀봉 부재의 평면도.
도 10은 도 9 중의 화살표 a-a, b-b, c-c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1은 변형예 2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변형예 3에 의한 시트 삽입 통과 구멍을 형성하기 전의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변형예 3에 의한 시트 삽입 통과 구멍에 시트 부재를 삽입 통과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변형예 3에 의한 밀봉 부재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 중의 화살표 a-a, b-b, c-c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 형성 장치
11(11Y, 11M, 11C, 11B) : 화상 형성 유닛
12 :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 감광체 드럼
14 : 대전 롤 21 : 노광 장치
30 : 현상 장치 31 : 하우징
31A : 개구부 32 : 하측 하우징
33 : 상측 하우징 34 : 사이드 커버
35 : 현상제 수용부 36 : 현상부
43 : 마그네틱 롤 44 : 트리머 부재
45 : 패들 46 : 구획용 프레임
47 : 공급용 연통 구멍 48 : 밀봉 부재
50 : 현상제 수급부 51 : 보급용 연통 구멍
52 : 밀봉 부재 52a : 중심선
52a´: 절곡선 52b, 52b´: 경사부
53 : 밀봉 삽입 통과 구멍 53A, 53B : 구멍 단면
54 : 밀폐 밀봉재 55 : 누출 방지 밀봉재
G : 현상제

Claims (20)

  1. 정전 잠상(靜電 潛像)이 형성되는 상(像) 담지체(擔持體)를 향하여 개구하는 개구부,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 및 이 현상제 수용부에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되는 현상제를 담지하여 상기 상 담지체와 대향하는 현상 영역까지 반송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 구멍을 밀봉하는 시트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시트 부재를 꺼낼 때에 당해 시트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개구 형상은, 그 단부(端部)가 다른 부분보다도 상기 연통 구멍으로부터 이간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개구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가 상기 삽입 통과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누 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현상제 방지 부재를 갖는 현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구멍은,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상기 개구부측에 연통시키는 구멍,또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다른 현상제 수용기와 연통하기 위한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사용시에서, 상기 시트 부재는 접혀져, 접히는 부분이 되접기부가 되고, 상기 되접기부를 기준으로 상기 시트 부재의 한쪽을 왕로(往路)로 하고, 다른 쪽을 복로(復路)로 하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되접기부가 상기 삽입 통과 구멍으로부터 가장 이간되고, 상기 왕로가 상기 연통 구멍에 접착되고, 상기 복로의 선단이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6.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상 담지체와,
    상기 상 담지체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가시상화하는 현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현상 장치는,
    상기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상 담지체를 향하여 개구하는 개구부, 상기 현상 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 및 이 현상제 수용부에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되는 현상제를 담지하여 상기 상 담지체와 대향하는 현상 영역까지 반송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 구멍을 밀봉하는 시트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시트 부재를 꺼낼 때에 당해 시트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개구 형상은, 그 단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상기 연통 구멍으로부터 이간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개구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가 상기 삽입 통과 구멍으로부터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현상제 방지 부재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구멍은,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상기 개구부측에 연통시키는 구멍,또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다른 현상제 수용기와 연통하기 위한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사용시에서, 상기 시트 부재는 접혀져, 접히는 부분이 되접기부가 되고, 상기 되접기부를 기준으로 상기 시트 부재의 한쪽을 왕로로 하고, 다른 쪽을 복로로 하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되접기부가 상기 삽입 통과 구멍으로부터 가장 이간되고, 상기 왕로가 상기 연통 구멍에 접착되고, 상기 복로의 선단이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현상 장치와,
    상 담지체를 대전(帶電)시키는 대전 수단과,
    상기 대전 수단에 의해 대전된 상기 상 담지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수단과,
    상기 정전 잠상을 상기 현상 장치에 의해 가시상화한 토너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과,
    상기 상 담지체의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을 가지며,
    상기 현상 장치는,
    상기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상 담지체를 향하여 개구하는 개구부,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 및 이 현상제 수용부에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되는 현상제를 담지하여 상기 상 담지체와 대향하는 현상 영역까지 반송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 구멍을 밀봉하는 시트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시트 부재를 꺼낼 때에 당해 시트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개구 형상은, 그 단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상기 연통 구멍으로부터 이간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개구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가 상기 삽입 통과 구멍으로부터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현상제 방지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구멍은,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상기 개구부측에 연통시키는 구멍,또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다른 현상제 수용기와 연통하기 위한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사용시에서, 상기 시트 부재는 접혀져, 접히는 부분이 되접기부가 되고, 상기 되접기부를 기준으로 상기 시트 부재의 한쪽을 왕로로 하고, 다른 쪽을 복로로 하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되접기부가 상기 삽입 통과 구멍으로부터 가장 이간되고, 상기 왕로가 상기 연통 구멍에 접착되고, 상기 복로의 선단이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 및 이 현상제 수용부에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 구멍을 밀봉하는 시트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시트 부재를 꺼낼 때에 당해 시트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을 구비한 현상제 수용기에 있어서,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개구부는, 그 단부가 개구부의 다른 부분보다도 상기 연통 구멍으로부터 이간되는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개구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가 상기 삽입 통과 구멍으로부터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현상제 방지 부재를 갖는 현상제 수용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구멍은,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상기 개구부측에 연통시키는 구멍,또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다른 현상제 수용기와 연통하기 위한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기.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사용시에서, 상기 시트 부재는 접혀져, 접히는 부분이 되접기부가 되고, 상기 되접기부를 기준으로 상기 시트 부재의 한쪽을 왕로로 하고, 다른 쪽을 복로로 하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되접기부가 상기 삽입 통과 구멍으로부터 가장 이간되고, 상기 왕로가 상기 연통 구멍에 접착되고, 상기 복로의 선단이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기.
KR1020080111665A 2008-03-21 2008-11-11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수용기 KR101030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73805A JP4569651B2 (ja) 2008-03-21 2008-03-21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容器
JPJP-P-2008-073805 2008-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060A KR20090101060A (ko) 2009-09-24
KR101030558B1 true KR101030558B1 (ko) 2011-04-21

Family

ID=41089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665A KR101030558B1 (ko) 2008-03-21 2008-11-11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수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31180B2 (ko)
JP (1) JP4569651B2 (ko)
KR (1) KR101030558B1 (ko)
CN (1) CN1015397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43667B (zh) * 2016-07-22 2023-10-20 纳思达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盒以及处理盒的包装盒
JP7003757B2 (ja) * 2018-03-16 2022-01-2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8444A (ja) * 1993-12-16 1995-07-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926743A (ja) * 1995-07-11 1997-01-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1249399A (ja) 1998-02-27 1999-09-17 Nec Niigata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1125357A (ja) 1999-10-25 2001-05-11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5102B2 (ja) 1997-08-21 2004-08-18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ル部材及び収納容器並びに該シール部材を有する容器
JP3839986B2 (ja) * 1999-02-2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2060955B1 (en) * 2007-11-07 2014-04-30 Ricoh Company, Ltd.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eveloper container with sealing mechanism providing enhanced usability
JP4609548B2 (ja) * 2008-08-20 2011-01-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8444A (ja) * 1993-12-16 1995-07-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926743A (ja) * 1995-07-11 1997-01-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1249399A (ja) 1998-02-27 1999-09-17 Nec Niigata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1125357A (ja) 1999-10-25 2001-05-11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38600A1 (en) 2009-09-24
JP4569651B2 (ja) 2010-10-27
US8131180B2 (en) 2012-03-06
JP2009229711A (ja) 2009-10-08
CN101539742A (zh) 2009-09-23
KR20090101060A (ko) 2009-09-24
CN101539742B (zh)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7626B2 (ja) 現像剤容器、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容器の製造方法
KR100840598B1 (ko) 토너 수용기 및 토너 충전 방법
US8320792B2 (en)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1650607B1 (en) Developer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seal members
JP2007093951A (ja) 現像剤収容ケースとそれを有す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と画像形成装置
JP6663587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785086B2 (en) Developer container,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974690B1 (ko)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KR100574760B1 (ko) 토너 수납 용기로부터 효과적으로 토너를 보급할 수 있는토너 보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5234144A (ja) 現像装置および印刷装置
JP2009145674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1221569B2 (en) Development cartridge having sealing member
KR101030558B1 (ko)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수용기
US8027613B2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968268B2 (ja) 粉体収容器、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32760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25345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4596056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容器
US8526846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025267B2 (en) Cleaner assembly for removing waste toner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202113534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84401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7775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1053528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装置の組立方法
JP4706802B2 (ja) 現像剤収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