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919B1 - 적층박리용기 - Google Patents

적층박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919B1
KR101969919B1 KR1020177021914A KR20177021914A KR101969919B1 KR 101969919 B1 KR101969919 B1 KR 101969919B1 KR 1020177021914 A KR1020177021914 A KR 1020177021914A KR 20177021914 A KR20177021914 A KR 20177021914A KR 101969919 B1 KR101969919 B1 KR 101969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tainer
inner bag
outside air
inn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3883A (ko
Inventor
테츠아키 에구치
신스케 타루노
유지 요네오카
요시오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59592A external-priority patent/JP68360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71562A external-priority patent/JP66635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90676A external-priority patent/JP6578727B2/ja
Application filed by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38Integral frangi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49/4278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9/00Kinds or details of pack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79/005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 B65D79/008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the deformable part being located in a rigid or semi-rigid container, e.g. in bottles or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18Ribs
    • B65D2501/0036Hollow circonferential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 B65D77/067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combined with a valve, a tap or a piercer

Abstract

산소 차단성이 향상한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갖추는 동시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상기 외각으로부터 박리하여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로서, 상기 내측주머니를 구성하는 내층은, 용기외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외측층, 접착층, 및 내측층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층은, EVOH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층의 두께가 60~200㎛인 동시에 굴곡 탄성율이 250MPa 이하이며,(상기 내측층의 두께/상기 EVOH층의 두께의 값)이 1.1~5이며, 상기 내층 전체의 두께가 100~250㎛인 적층박리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적층박리용기
본 발명은 적층박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층이 외층으로부터 박리하여 수축함으로써 용기의 내부에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적층박리용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4). 이러한 적층박리용기는, 내층에 의해 구성되는 내측주머니와, 외층에 의해 구성되는 외각을 갖춘다.
일본등록특허 제3650175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4-91537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평 4-267727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3-35557호 공보
(제1관점)
이러한 적층박리용기로서, 내층에 EVOH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층구성의 채용에 의해, EVOH층이 뛰여난 산소 차단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산소 차단성이 뛰어난 적층박리용기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가 검토를 한 바, 용도에 따라서는, 더 높은 산소 차단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제1관점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산소 차단성이 향상한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2관점)
특허문헌 2에서는,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외각과 내측주머니의 사이에 외기가 스무드하게 도입되지 않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구부(口部)에 설치된 외기도입공으로부터 하방으로 중심각 90도로 확대되는 영역에 세로 리브를 설치하고 있다.
특허문헌 2의 기술은 외기도입공이 용기의 입구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용기의 수용부에 외기도입공을 설치하는 타입의 적층박리용기에는 적용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제2관점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용기의 수용부에 외기도입공을 갖는 적층박리용기에서 외각과 내측주머니의 사이에 외기를 스무드하게 도입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3관점)
본 발명자가, 특허문헌 3과 같은 적층박리용기의 외주에 수축 필름을 장착한 바, 내용물의 배출 후에 외각이 스무드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지 않을 경우가 있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의 제3관점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용기본체에 수축 필름을 장착한 경우에도 외각의 복원성이 뛰어난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4관점)
그런데, 적층박리용기의 경우, 내측주머니가 외각으로부터 박리하여 수축함으로써, 예를 들면 액상의 내용물이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내측주머니의 수축 형태에 따라서는 액체 저류소와 같은 부위가 발생하여, 내측주머니 내의 내용물을 모두 다 쓰는 것이 어려운 과제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띠 형상으로 접착하는 접착대(接着帶)를 복수개 설치하는 등의 연구도 검토되고 있지만, 아직 최적화에는 이르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제4관점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내용물을 최후까지 확실하게 다 쓰는 것이 가능한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제1~ 제4관점의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설명한다. 이하에 제시하는 제1~ 제4관점의 해결 수단은, 서로 조합이 가능하다.
(제1관점)
본 발명의 제1관점에 의하면,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갖추는 동시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갖추는 적층박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주머니를 구성하는 내층은, 용기외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외측층, 접착층 및 내측층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층은, EVOH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층의 두께가 60~200㎛인 동시에 굴곡 탄성율이 250MPa이하이며,(상기 내측층의 두께/상기EVOH층의 두께)의 값이 1.1~5이며, 상기 내층전체의 두께가 100~250㎛인 적층박리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자는, 산소 차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의 검토를 실시한 바,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에 포함되는 수분이 내측층 및 접착층을 투과하여 EVOH층에까지 도달함으로써 EVOH층의 산소 차단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알았다.
이러한 지견(知見)에 기초하여, 산소 차단성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처음에는, 종래보다 EVOH층을 두껍게 해 보았다. 그러나, EVOH층은 강성이 높기 때문에, EVOH층을 두껍게 하면 내층의 강성이 커지면서 내측주머니가 수축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생기는 것을 알았다.
다음, 내용물에 포함되는 수분이 EVOH층에 도달하기 어렵도록,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으로 구성되는 내측층을 두껍게 해 보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내층의 강성이 커지면서 내측주머니가 수축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생겼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자는, 내측층의 두께, 내측층의 굴곡 탄성율, 내측층과 EVOH층의 두께의 비교 및 내층 전체의 두께를 모두 특정의 수치범위 내로 했을 경우에는, 내측주머니의 수축성의 악화를 억제하면서 산소 차단성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완성에 이르렀다.
한편, 본원 명세서에서, 각 층의 두께는, 용기본체 중의 두께가 가장 얇은 부위에서의 두께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여러가지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층은, 70~150㎛인 동시에 굴곡 탄성율이 200MPa 이하이며,(상기 내측층의 두께/상기 EVOH층의 두께)의 값이 1.5~4이며, 상기 내층 전체의 두께가 120~200㎛이다.
(제2관점)
본 발명의 제2관점에 의하면,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입구부를 구비하며,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갖추는 동시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상기 외각으로부터 박리하여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각은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주머니의 사이의 중간공간과 상기 용기본체의 외부공간을 연통하는 외기도입공을 상기 수용부에 구비하고, 상기 외기도입공을 사이에 두도록 홈 형상(溝狀) 리브가 설치되는, 적층박리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자는, 용기의 수용부에 외기도입공을 갖는 적층박리용기의 개발을 하고 있을 때에, 내용물의 첫회의 배출 후에 외각 형상이 복원되기 어려울 경우가 있다는 현상을 발견했다. 그리고 그 원인을 상세하게 조사한 바, 내측주머니의 강성이 비교적 클 경우에는 내측주머니가 위축되기 어렵고, 그 결과, 내측주머니가 밸브부재를 외각에 억누르거나, 내측주머니가 밸브부재에 밀착되어 밸브부재의 통기공을 막거나 하여, 외각과 내측주머니의 사이의 공간에 외기가 스무드하게 도입되기 어려워지는 것이 원인인 것을 알았다. 이 지견에 기초하여 내측주머니가 위축되기 쉽도록 하기 위해 검토한 바, 외기도입공을 사이에 두도록 홈 형상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내측주머니가 위축되기 쉽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완성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여러가지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 형상 리브는, 상기 외기도입공을 둘레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 형상 리브는, 상기 입구부를 향해 상기 외기도입공으로부터 둘레방향으로 떨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홈 형상 리브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홈 형상 리브는, 정면도에서의 각도가 30~100도가 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홈 형상 리브는, 정면도에서 그 연장선의 교점과 상기 외기도입공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5~35mm의 위치가 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기도입공과 상기 홈 형상 리브는 거의 동일 평면상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 형상 리브는, 상기 외기도입공을 원호 형상으로 둘러싸도록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 형상 리브는, 상기 홈 형상 리브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간(離間)된 복수의 홈부(溝部)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 형상 리브는, 상기 외기도입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설치된 복수의 호부(弧部)를 갖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기도입공은 상기 수용부에 설치된 밸브부재 설치요부(取付凹部)에 형성되고, 상기 홈 형상 리브는 상기 밸브부재 설치요부를 사이에 두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 형상 리브는 단면이 반원 형상이다.
(제3관점)
본 발명의 제3관점에 의하면, 용기본체와, 캡과, 통 형상의 수축 필름을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로서, 상기 용기본체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입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입구부가 외층과 내층을 구비하고,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층에 의해 구성되는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캡은 상기 입구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축 필름은 상기 수용부의 외주에 밀착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외각은 상기 수용부에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주머니의 사이의 중간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하는 외기도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수축 필름은 상기 외기도입공을 가리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외기도입공으로부터 외기를 도입하는 통기공을 갖추는, 적층박리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자는, 수축 필름을 장착했을 경우에 외각의 복원성이 나빠지는 원인에 대해 연구한 바, 특허문헌 1과 같이 용기본체의 수용부에 외기도입공이 설치되어 있는 적층박리용기에서는, 수용부의 외주에 밀착하도록 수축 필름을 장착하면 외기도입공이 막혀버리기 때문에, 외각과 내측주머니의 사이에 외기가 스무드하게 도입되지 않아, 외각의 복원성이 악화되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외기도입공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통기공을 수축 필름에 설치함으로써, 수축 필름을 장착한 경우에도 외각의 복원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의 제3관점의 완성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의 제3관점의 여러가지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기공은, 상기 용기본체에 대한 상기 수축 필름의 둘레방향의 상대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외기도입공에 외기가 도입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기공은, 상기 수축 필름의 둘레방향에 따라 설치된 다수의 세공(細孔)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기공은, 상기 수축 필름의 축방향에 따라 설치된 다수의 세공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기도입공은, 상기 수용부에 설치된 요부(凹部) 내에 설치되며, 상기 수축 필름은, 상기 요부를 가리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축 필름은,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캡의 외주에 밀착하도록 설치된다.
(제4관점)
본 발명의 제4관점에 의하면,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갖추는 동시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주머니의 사이의 중간공간과 용기본체의 외부공간과의 사이의 공기의 출입을 조절하는 밸브부재를 갖추는 적층박리용기로서, 상기 용기본체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입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에는 뚜껑부가 장착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부에는 거의 직선 형상의 핀치 오프(pinch off)가 형성되며, 상기 핀치 오프부의 한 쪽의 단부의 연장선과 교차하는 측벽부 위치에서 측벽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1개의 접착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박리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관점의 적층박리용기에서는, 내측주머니가 핀치 오프부에 의해 바닥부에서 직선 형상으로 지지되는 형태로 되고, 내용물의 배출에 따라, 내측주머니는 핀치 오프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부터 수축된다. 이 때, 접착대가 핀치 오프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 종료 전에는 접착대를 따라 거의 삼각형상의 공간이 잔존하는 형태로 되고, 이것이 유로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최후까지 내용물의 유로가 확보되고, 접착대가 하방으로 위치하도록 적층박리용기를 기울임으로써, 마지막에 남은 내용물이 상기 유로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된다.
본 발명의 제4관점에 의하면, 내측주머니가 랜덤한 수축에 의한 액체 저류 등의 발생 등이 없고, 접착대를 따라 배출 종료 전에 일직선 형상의 미소공간이 유로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내용물을 최후까지 확실하게 다 쓰는 것이 가능한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부는, 힌지부의 위치가 상기 접착대의 형성 위치와는 대략 180° 반대측이 되도록 입구부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1~ 제3관점의 실시 형태의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의 용기본체(3)의 구조를 나타내고,(a)는 정면도,(b)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 중의 A-A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본체(3)에 밸브부재(5)를 장착하는 동시에 바닥 밀봉 돌출부(27)를 절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a) 중의 B-B단면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입구부(9)를 포함하는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의(a)는 밸브부재(5)의 사시도이며,(b)~(c)는 홈 형상 리브(7c1, 7c2)를 설치함으로써 내측주머니(14)에 절곡부(14a)가 형성되어 내측주머니(14)가 밸브부재(5)를 외각(12)으로 억누르는 힘이 약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의 (a) ~(b)는, 종래 기술에서, 내측주머니(14)가 밸브부재(5)를 외각(12)으로 억누르는 것에 의한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의 (a) ~(g)은, 홈 형상 리브의 여러가지 변형예를 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바닥면(29)을 포함하는 영역의 확대도이며,(a)는 바닥 밀봉 돌출부(27)가 절곡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b)는 바닥 밀봉 돌출부(27)가 절곡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내층(13)의 층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의 용기본체(3)의 구조를 나타내고,(a)는 정면도,(b)는(a) 중의 영역A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용기본체(3)에 밸브부재(5)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도 10(b) 중의 B-B단면을 나타내고,(a)는 내측 호부(7i)의 테두리에서 내측주머니(14)에 절곡부(14a)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b)는 외측 호부(7j)의 테두리에서 내측주머니(14)에 절곡부(14a)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의 (a)는, 도 10의 용기본체(3)에 밸브부재(5)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도 10(b) 중의 C-C단면을 나타내고,(b)~(c)는, 요부(7a)의 바닥면과 홈(7b)의 바닥면의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b)는 홈(7b)에 굴곡부(Y)가 없는 상태,(c)는 홈(7b)에 굴곡부가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에서의, 도 10(b) 중의 B-B단면에 대응한 부위의 단면도이다.(a)는 내측주머니(14)의 예비박리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b)는 내측주머니(14)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의(a)는 용기본체(3)에 캡(23)을 장착하기 전의 상태의 정면도이며,(b)는 용기본체(3)에 캡(23)을 장착한 후의 상태의 정면도이며,(c)는(b)의 상태의 용기본체(3)와 캡(23)에 수축 필름(31)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한편,(c)중에서는, 수축 필름(31)으로 가려진 부위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5의(a) ~(c)는, 각각 수축 필름(31)에 통기공으로서 핀홀(pinhole)(32), 둘레방향의 재봉선(33) 및 축방향의 재봉선(34)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한편,(a)~(c)중에서는, 수축 필름(31)으로 가려진 부위를 도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4관점의 실시 형태의 도면)
도 16의 (a) ~(b)는, 본 발명의 제4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의 구조를 나타내고,(a)는 전체도를 나타내고,(b)는 바닥부를 나타낸다.
도 17의 (a) ~(d)는, 도 16의 적층박리용기를 나타내고,(a)는 정면도,(b)는 배면도,(c)는 평면도,(d)는 바닥면도이다.
도 18의(a) ~(c)는, 본 발명의 제4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a)는 사용 전의 상태,(b)는 기울어진 상태,(c)는 스퀴즈(squeeze) 상태,(d)는 외기도입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9의(a) ~(c)는, 본 발명의 제4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의 사용 시에 있어서의 내측주머니의 수축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며,(a)는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b)는 수축 상태를 나타내고,(c)는 사용 종료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중에서 나타낸 각종 특징사항은 서로 조합이 가능하다. 또한, 각 특징에 대해 독립하여 발명이 성립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제3관점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 그 후에 본 발명의 제4관점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제3관점의 실시 형태 중에서 설명한 특징과, 제4관점의 실시 형태 중에서 설명한 특징을 조합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제3관점의 실시 형태)
1. 제1실시 형태
도 1~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는, 용기본체(3)와, 밸브부재(5)를 구비한다. 용기본체(3)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7)와, 수용부(7)로부터 내용물을 배출하는 입구부(9)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3)는, 수용부(7) 및 입구부(9)에서, 외층(11)과 내층(13)을 구비하고 있으며, 외층(11)에 의해 외각(12)이 구성되고, 내층(13)에 의해 내측주머니(14)가 구성된다.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층(13)이 외층(11)으로부터 떨어짐으로써, 내측주머니(14)가 외각(12)으로부터 떨어져 수축한다. 한편, 수용부(7)에 내용물을 수용하기 전에 내층(13)을 외층(11)으로부터 박리하는 예비박리 공정을 실시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예비박리 후에 수용부(7) 내에 에어를 불어넣거나 또는 내용물을 수용함으로써 내층(13)을 외층(11)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층(13)이 외층(11)으로부터 떨어진다. 한편, 예비박리 공정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용물의 배출 시에 내층(13)이 외층(11)으로부터 박리되어 외층(11)으로부터 떨어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부(9)는 수나사부(9d)가 설치되어 있다. 수나사부(9d)에는 암나사를 구비하는 캡이나 펌프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이너링(inner ring)(25)을 가지는 캡(23)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너링(25)의 외경은 입구부(9)의 내경과 거의 같으며, 이너링(25)의 외면이 입구부(9)의 당접면(9a)에 당접함으로써 내용물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구부(9)의 선단에 확경부(擴徑部)(9b)가 설치되어 있으며, 확경부(9b)의 내경은 당접부(9e)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이너링(25)의 외면은 확경부(9b)에는 접촉되지 못하게 되어 있다. 입구부(9)에 확경부(9b)가 없을 경우, 입구부(9)의 내경이 제조 시의 불균일에 의해 조금이라도 작아졌을 경우, 이너링(25)이 외층(11)과 내층(13)에 들어가 버리는 결함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지만, 입구부(9)에 확경부(9b)가 있을 경우, 입구부(9)의 내경이 약간 불균일해도 그러한 결함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입구부(9)는 당접부(9e)보다 수용부(7)에 가까운 위치에 내층(13)이 엇갈리면서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내층 지지부(9c)를 구비한다. 내층 지지부(9c)는 입구부(9)에 잘록부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된다. 입구부(9)에 확경부(9b)를 설치했을 경우이어도 이너링(25)과 내층(13)과의 마찰에 의해 내층(13)이 외층(11)으로부터 박리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경우이어도 내층 지지부(9c)에 의해 내층(13)이 엇갈리면서 떨어지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내측주머니(14)가 외각(12) 내로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수용부(7)는, 입구부(9)측에서 순서대로 어깨부(7d), 소경(小徑) 몸통부(7e) 및 대경(大徑) 몸통부(7g)를 구비한다. 소경 몸통부(7e) 및 대경 몸통부(7g)는 거의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대경 몸통부(7g)는 소경 몸통부(7e)보다 단면적이 크다. 어깨부(7d)는 입구부(9)와 소경 몸통부(7e)를 연결하는 부위이며, 확경부(7f)는 소경 몸통부(7e)와 대경 몸통부(7g)를 연결하는 부위이다.
소경 몸통부(7e)에는, 경사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밸브부재 설치요부(7a)가 설치되어 있으며, 요부(7a)에 외기도입공(15)이 설치되어 있다. 외기도입공(15)은 외각(12)에만 설치된 관통공이며, 외각(12)과 내측주머니(14)의 사이의 중간공간(21)과, 용기본체(3)의 외부공간(S)을 연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기도입공(15)에는 중간공간(21)과 외부공간(S)와의 사이의 공기의 출입을 조절하는 밸브부재(5)가 장착되어 있다. 요부(7a)는 수용부(7)를 수축 필름으로 가릴 때에 밸브부재(5)와 수축 필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요부(7a)가 수축 필름으로 밀폐되어 버리지 않도록 요부(7a)로부터 입구부(9)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 유통홈(7b)이 설치된다.
또한, 소경 몸통부(7e)에는, 외기도입공(15)을 사이에 두도록 제1 및 제2 홈 형상 리브(7c1, 7c2)가 설치되어 있다. 홈 형상 리브(7c1, 7c2)는, 외기도입공(15)(보다 구체적으로는 요부(7a))을 둘레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홈 형상 리브(7c1, 7c2)는, 입구부(9)를 향해 외기도입공(15)으로부터 둘레방향으로 떨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홈 형상 리브(7c1, 7c2)는 거의 V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홈 형상 리브(7c1, 7c2)에는, 외기도입공(15)보다 입구부(9)로부터 떨어진 위치부터 어깨부(7d)까지 도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홈 형상 리브(7c1, 7c2)는, 외기도입공(15)의 하방의 중심각 90도로 넓어지는 영역d의 범위 밖에 설치되어 있다. 홈 형상 리브(7c1, 7c2)는, 정면도에서의 각도a가 30~100도(바람직하게는 45~80도)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홈 형상 리브(7c1, 7c2)는, 정면도에서, 그 연장선의 교점Q와 외기도입공(15)의 중심의 사이의 거리b가 5~35mm(바람직하게는 10~25mm)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교점Q로부터 어깨부(7d)까지의 정면도에서의 거리c가 20~60mm(바람직하게는 30~45mm)으로 되어 있다. b/c는 0.2~0.8(바람직하게는 0.3~0.6)으로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면도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부(9)의 테두리에 의해 형성되는 면α에 수직하는 동시에 입구부(9)의 중심축C와 외기도입공(15)의 중심을 통과하는 면β에 수직한 면을, 외기도입공(15)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도입공(15)과 홈 형상 리브(7c1, 7c2)는,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설치되어 있다. 홈 형상 리브(7c1, 7c2)를 설치하는 것의 기술적 의의 및 본 실시 형태에서 홈 형상 리브(7c1, 7c2)를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한 이유는 후술한다.
도 4~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5)는, 외기도입공(15) 내에 배치되는 축부(5a)와, 축부(5a)의 중간공간(21) 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축부(5a)보다 단면적이 큰 뚜껑부(5c)와, 축부(5a)의 외부공간(S) 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밸브부재(5)가 중간공간(21)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계지부(5b)를 구비한다. 밸브부재(5)는, 뚜껑부(5c)가 외기도입공(15)을 확대시키면서, 뚜껑부(5c)에 중간공간(21) 내로 삽입함으로써 용기본체(3)에 장착할 수 있다. 때문에, 뚜껑부(5c)의 선단은, 앞이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밸브부재(5)는, 용기본체(3)의 외측으로부터 뚜껑부(5c)를 중간공간(21) 내에 밀어넣는 것만으로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뛰어나다.
뚜껑부(5c)는, 외각(12)을 압축했을 때에 외기도입공(15)을 실질적으로 폐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축부(5a)에 근접함에 따라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계지부(5b)는, 외각(12)이 압축된 후에 복원할 때에 중간공간(21)에 공기의 도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외각(12)을 압축하면, 중간공간(21) 내의 압력이 외압보다 높아져, 중간공간(21) 내의 공기가 외기도입공(15)으로부터 외부로 누출된다. 이 압력차이와 공기의 흐름에 의해 뚜껑부(5c)가 외기도입공(15)을 향해 이동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5c)가 외기도입공(15)을 폐쇄한다. 뚜껑부(5c)는 축부(5a)에 근접함에 따라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뚜껑부(5c)가 용이하게 외기도입공(15)에 끼워져 외기도입공(15)을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외각(12)을 더욱 압축하면, 중간공간(21) 내의 압력이 높아지고 그 결과, 내측주머니(14)가 압축되어 내측주머니(14) 내의 내용물이 토출된다. 또한, 외각(12)에의 압축력을 해제하면, 외각(12)이 자신의 탄성에 의해 복원하려고 한다. 이 경우,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부(5c)가 외기도입공(15)으로부터 떨어져 외기도입공(15)의 폐쇄가 해제되어 중간공간(21) 내에 외기가 도입된다. 또한, 계지부(5b)가 외기도입공(15)을 막지 않도록, 계지부(5b)에는 유통로(5d)가 설치되어 있어, 계지부(4b)가 외각(12)에 당접한 상태에서도, 유통로(5d) 및 외기도입공(15)을 통해 외기가 중간공간(21) 내에 도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5(b)~(c) 및 도 6(a)~(b)을 이용하여, 홈 형상 리브(7c1, 7c2)를 설치하는 것의 기술적 의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6(a)~(b)을 이용하여 종래의 적층박리용기에서의 과제를 설명한다.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처음 배출될 때에는, 내측주머니(14)는 내용물에 의해 팽창되어, 내측주머니(14)가 밸브부재(5)의 뚜껑부(5c)에 접촉한 상태가 되고 있다. 그리고, 외각(12)및 내측주머니(14)를 압축함으로써 내측주머니(14) 내의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압축력을 해제하면, 외각(12)이 자신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에 복원하려고 하여 뚜껑부(5c)에서 벗어나려고 한다. 또한, 내측주머니(14)도 자신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에 복원하려고 하기 때문에, 뚜껑부(5c)를 외각(12)으로 억누르는 방향의 힘F가 내측주머니(14)에 의해 뚜껑부(5c)에 가해진다. 내측주머니(14)의 강성이 충분히 작을 경우에는, 외각(12)과 뚜껑부(5c)의 사이에 용이하게 틈이 형성되어, 외각(12)이 신속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다. 한편, 내측주머니(14)의 강성이 커짐에 따라 힘F가 커지고, 뚜껑부(5c)가 외각(12)에 강하게 억눌러진다. 이 상태에서는, 외각(12)과 뚜껑부(5c)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기 어렵고, 외각(12)의 복원성이 나빠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5(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도입공(15)을 사이에 두도록 홈 형상 리브(7c1, 7c2)를 설치하고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형상 리브(7c1, 7c2)의 테두리에는 절곡부(14a)가 형성되어, 내측주머니(14)는, 절곡부(14a)에서 절곡되어 용기 내측을 향해 변형하고, 내측주머니(14)가 용기 외측으로 팽창되는 방향의 힘이 저감된다. 때문에, 내측주머니(14)가 뚜껑부(5c)를 외각(12)으로 억누르는 방향의 힘F가 도 6에 나타내는 종래 기술보다 작아져, 내용물의 첫회의 배출 후에, 외각(12)과 뚜껑부(5c)의 사이에 용이하게 틈이 형성되어, 외각(12)이 신속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서, 홈 형상 리브(7c1, 7c2)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내측주머니(14)가 용기 내측을 향해 변형되기 쉬운 형태를 연구하기 위해, 외기도입공(15)에 막대기를 삽입하여 내측주머니(14)를 용기 내측으로 밀어넣어 보았다. 그러면, 입구부(9)를 향해 외기도입공(15)으로부터 둘레방향으로 떨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거의 V자 형상의 접은 자국이 할 수 생기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이 접은 자국이 생기는 위치에 홈 형상 리브(7c1, 7c2)를 설치해놓음으로써, 내측주머니(14)를 보다 스무드하게 위축시킬수 있다는 발상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위치에 홈 형상 리브(7c1, 7c2)를 설치했다. 실제로, 이 위치에 홈 형상 리브(7c1, 7c2)를 갖추는 360mL용기의 실시예 샘플과 홈 형상 리브를 갖추지 않은 360mL용기의 비교예 샘플을 다수 작성하여, 만충전(滿充塡)의 상태로부터 내용물을 20mL 처음 배출시킨 후에 외각(12)의 형상이 복원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 바, 모든 실시예 샘플에서는, 7초 이내에 외각 형상이 복원한 것에 비하여, 비교예 샘플에서는, 반 이상의 샘플에서, 60초 경과 후에도 외각 형상이 복원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홈 형상 리브(7c1, 7c2)를 설치함으로써 외각(12)의 복원성이 대폭으로 향상하는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도 1에 나타내는 형상 이외의 형상의 홈 형상 리브를 설치한 경우에도, 내측주머니(14)에 절곡부(14a)가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작용에 의해 힘F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홈 형상 리브의 형상의 여러가지 변형예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a)에서는, 홈 형상 리브(7c1, 7c2)가 거의 평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b)에서는, 홈 형상 리브(7c1, 7c2)는, 입구부(9)를 향해 외기도입공(15)에 둘레방향으로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7(c)에서는, 홈 형상 리브(7c1, 7c2)가 비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7(d)에서는, 홈 형상 리브(7c1, 7c2)가 홈 형상 리브(7c3)로 연결되어 있다. 도 7(e)에서는, 외기도입공(15)을 상하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홈 형상 리브(7c1, 7c2)가 설치되어 있다. 도 7(f)에서는, 외기도입공(15)을 둘러싸도록 타원형의 홈 형상 리브(7c)가 설치되어 있다. 도 7(g)에서는, 요부(7a)가 설치되지 않은 용기의 수용부에 형성된 외기도입공(15)을 사이에 두도록 홈 형상 리브(7c1, 7c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홈 형상 리브의 단면 형상은 반원에 한정되지 않고, 절곡부(14a)가 형성되는 형상이면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한편, 홈 형상 리브는, 홈 형상 리브가 외기도입공(15)에 가장 근접하는 점과 외기도입공(15)의 테두리의 사이의 거리가 3~30mm(바람직하게는 5~20mm)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 내의 경우에, 힘F의 저감 효과가 특히 크기 때문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중심축C로부터 대경 몸통부(7g)에서의 용기 내면까지의 거리L2가, 용기 중심축C로부터 소경 몸통부(7e)에서의 용기 내면까지의 거리L1의 1.5배(바람직하게는 1.6, 1.7, 1.8, 1.9 또는 2.0) 이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며, L2/L1가 클수록 외기도입공(15)이 형성되는 부위인 소경 몸통부(7e)에서의 블로우비가 작아지면서 두께가 두꺼워져, 내측주머니(14)의 강성이 높아져, 내측주머니(14)가 밸브부재(5)를 외각(12)으로 억누르는 힘이 강해진다. 따라서, L2/L1가 1.5 이상인 적층박리용기에서 홈 형상 리브를 설치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특히 크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기도입공(15)의 테두리와 밸브부재(5) 사이의 틈을 밸브부재(5)의 이동에 의해 개폐함으로써, 밸브부재(5)가 외기도입공(15)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밸브부재 자체에 관통공과 개폐가능한 밸브을 설치하고, 이 밸브의 활동에 의해 관통공을 개폐함으로써 외기도입공(15)을 개폐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밸브부재를 이용할 경우에는, 내측주머니(14)가 밸브부재에 밀착하여 밸브부재의 통기공을 막음으로써 외기의 도입을 방해할 수 있을 경우가 있는 문제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 문제는,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외기도입공(15)을 사이에 두도록 홈 형상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해결이 가능하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7)의 바닥면(29)에는, 중앙오목영역(29a)과, 그 주위에 설치되는 주변영역(29b)이 설치되며, 중앙오목영역(29a)에는, 바닥면(29)으로부터 돌출하는 바닥 밀봉 돌출부(27)가 설치된다. 도8(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밀봉 돌출부(27)는, 외층(11)과 내층(13)을 갖추는 원통 형상의 적층 파리손을 이용한 블로우 성형에서의, 적층 파리손의 밀봉부이다. 바닥 밀봉 돌출부(27)는, 바닥면(29)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베이스부(27d)와, 박육부(27a)와, 박육부(27a)보다 두께가 큰 후육부(27b)를 구비한다.
블로우 성형 직후, 바닥 밀봉 돌출부(27)는 도 8(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주변 영역(29b)에 의해 규정되는 면 P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서 있는 상태이지만, 이 상태에서는 용기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용착부(27c)의 내층(13)끼리 분리되기 쉽고 내충격성이 불충분하다.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블로우 성형 후에 바닥 밀봉 돌출부(27)에 열풍을 부는 것에 의해 박육부(27a)를 연화시켜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육부(27a)에서 바닥 밀봉 돌출부(27)를 절곡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순히 바닥 밀봉 돌출부(27)를 절곡하는 단순한 공정에 의해 바닥 밀봉 돌출부(27)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 밀봉 돌출부(27)는 절곡된 상태에서 주변영역(29b)에 의해 규정되는 면 P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적층박리용기(1)를 세웠을 경우, 바닥 밀봉 돌출부(27)가 면 P로부터 밀려 나오면서 적층박리용기(1)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베이스부(27d)는 박육부(27a)보다 바닥면(29) 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박육부(27a)보다 두꺼운 부분이며, 베이스부(27d)는 없어도 되지만 베이스부(27d) 위에 박육부(27a)를 설치함으로써, 바닥 밀봉 돌출부(27)의 내충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29)의 오목영역은 바닥 밀봉 돌출부(27)의 길이 방향에서 바닥면(29) 전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중앙오목영역(29a)과 주변오목영역(29c)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바닥 밀봉 돌출부(27)를 절곡하기 쉽게 되어 있다.
다음, 용기본체(3)의 층구성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기본체(3)는, 외층(11)과 내층(13)을 구비한다.
외층(11)은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 등으로 구성된다. 외층(11)은, 복수층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리프로층의 양측에 폴리프로필렌층을 설치한 구성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리프로층이란, 용기의 형성 시에 나온 버(burr)를 재활용하여 사용한 층을 말한다. 또한, 외층(11)은, 복원성이 높아지도록, 내층(13)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층(11)은, 프로필렌과 다른 모노머와의 사이의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층을 갖춘다. 외층(11)은, 랜덤 공중합체층의 단층이어도 되고, 복수층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리프로층의 양측에 랜덤 공중합체층을 설치한 구성이어도 된다. 외층(11)을 특정 구성의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함으로써, 외각(12)의 형상 복원성·투명성·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랜덤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이외의 모노머의 함유량이 50mol%보다 작으며, 5~ 35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5, 10, 15, 20, 25, 30mol%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프로필렌과 공중합되는 모노머로서, 폴리프로필렌의 호모 폴리머에 비하여 랜덤 공중합체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면 되고, 에틸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일 경우, 에틸렌의 함유량은 5~30mol%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5, 10, 15, 20, 25, 30mol%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랜덤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50만이 바람직하고, 10~30만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중량평균분자량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10, 15, 20, 25, 30, 35, 40, 45, 50만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또한, 랜덤 공중합체의 인장탄성율은 400~1600MPa이 바람직하고, 1000~ 1600MPa가 바람직하다. 인장탄성율이 이러한 범위의 경우에, 형상복원성이 특히 양호하기 때문이다. 인장탄성율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Mpa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한편, 용기가 과도하게 단단하면 용기의 사용감이 나빠지기 때문에 랜덤 공중합체에 예를 들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유연재료를 혼합하여 외층(11)을 구성해도 된다. 다만,랜덤 공중합체에 혼합하는 재료는 랜덤 공중합체의 유효한 특성을 크게 방해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50중량% 미만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랜덤 공중합체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85:1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내층(1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외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외측층(13a), 접착층(13c) 및 내측층(13b)을 구비한다. 외측층(13a)은, 내층(13) 중에서, 접착층(13c)보다 용기 외면측의 층이며, 단층이어도 되고 다층이어도 된다. 내측층(13b)은, 내층(13) 중에서, 접착층(13c)보다 용기 내면측의 층이며, 단층이어도 되고 다층이어도 된다. 접착층(13c)은, 외측층(13a)과 내측층(13b)을 접착하는 층이며, 단층이어도 되고 다층이어도 된다. 접착층(13c)은 생략할 수도 있다.
외측층(13a)은, EVOH층을 포함하고, EVOH층의 단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EVOH층을 설치함으로써 가스 차단성 및 외층(11)으로부터의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EVOH층은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며, 에틸렌과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물의 가수분해에 의해 얻을 수 있다. EVOH수지의 에틸렌 함유량은 예를 들면, 25 내지 50mol%이며, 산소 차단성의 관점으로부터 32mol% 이하가 바람직하다. 에틸렌 함유량의 하한은 특히 규정되지 않지만, 에틸렌 함유량이 적을수록 EVOH층의 유연성이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25mol%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EVOH층은 산소흡수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흡수제를 EVOH층에 함유시킴으로써, EVOH층의 산소 차단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EVOH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50㎛이며, 20~40㎛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0, 25, 30, 35, 40, 45, 5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EVOH층이 지나치게 얇은 경우에는, 산소 차단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EVOH층이 지나치게 두꺼울 경우에는 내층(13)의 강성이 지나치게 커져 내측주머니(14)가 위축되기 어려워진다.
EVOH수지의 융점은, 외층(11)을 구성하는 수지(예: 랜덤 공중합체)의 융점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외기도입공(15)은, 가열식의 천공(穿孔)장치를 이용하여 외층(11)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EVOH수지의 융점을 외층(11)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보다 높게 함으로써, 외층(11)에 외기도입공(15)을 형성할 시에, 구멍이 내층(13)에까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관점에서,(EVOH의 융점)-(외층(11)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의 차는 큰 것이 좋고,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융점의 차이는, 예를 들면 5~50℃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5, 10, 15, 20, 25, 30, 35, 40, 45, 5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접착층(13c)은, 외측층(13a)과 내측층(13b)을 접착하는 기능을 갖는 층이며, 예를 들면 상술한 폴리올레핀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한 산변성 폴리올레핀(예:무수 말레산변성 폴리에틸렌)을 첨가한 것이나,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이다. 접착층(13c)의 일예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산변성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이다. 접착층(13c)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50㎛이며, 20~40㎛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0, 25, 30, 35, 40, 45, 5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접착층(13c)이 너무 얇은 경우에는, 외측층(13a)과 내측층(13b)의 접착이 불충분해지기 쉽고, 접착층(13c)이 지나치게 두꺼울 경우에는 내층(13)의 강성이 너무 커져 내측주머니(14)가 위축되기 어려워진다.
내측층(13b)은,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 등의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고,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층(13b)의 두께는, 60~200㎛가 바람직하고, 70~150㎛가 더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60, 65,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115, 120, 125, 130, 135, 140, 145, 150, 155, 160, 165, 170, 175, 180, 185, 190, 195, 20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내측층(13b)이 너무 얇은 경우에는, EVOH층의 열화(劣化)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고, 내측층(13b)이 너무 두꺼울 경우에는 내층(13)의 강성이 너무 커져 내측주머니(14)가 위축되기 어려워진다. 내측층(13b)의 굴곡 탄성율은 250MPa 이하이며, 240, 230, 220, 210, 200, 190, 180, 170, 160, 150 또는 140MPa 이하가 바람직하다. 내측층(13b)의 굴곡 탄성율이 너무 클 경우에는 내층(13)의 강성이 너무 커져 내측주머니(14)가 위축되기 어려워진다. 내측층(13b)을 구성하는 수지의 인장탄성율은, 50~300MPa이 바람직하고, 70~200MPa이 더 바람직하다. 인장탄성율이 이러한 범위의 경우에, 내측층(13b)이 특히 유연하기 때문이다. 인장탄성율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50, 100, 150, 200, 250, 300Mpa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내측층(13b)의 두께/EVOH층의 두께)의 값은, 1.1~5이 바람직하고, 1.5~4가 더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1, 1.5, 2, 2.5, 3, 3.5, 4, 4.5, 5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이 값이 이 수치 범위내일 경우에는, 산소 차단성 및 내층의 수축성이 모두 양호해진다.
내층(13)전체의 두께는, 100~250㎛가 바람직하고, 120~200㎛가 더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 210, 220, 230, 240, 25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내층(13)전체의 두께가 너무 얇은 경우에는, 산소 차단성 또는 EVOH층의 열화 억제가 불충분하게 되고, 내층(13) 전체의 두께가 너무 두꺼울 경우에는 내층(13)의 강성이 너무 커져 내측주머니(14)가 위축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내층(13)전체의 인장탄성율은, 750MPa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내층(13)의 강성이 작고, 내측주머니(14)가 위축되기 쉽다. 내층(13) 전체의 인장탄성율은, 725MPa 이하가 바람직하고, 700MPa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다음, 도 14~도 15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블로우 성형 등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의 용기본체(3)를 제조하고, 외각(12)에 외기도입공(15)을 형성한다. 다음, 외기도입공(15)에 밸브부재(5)를 장착한다. 다음,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캡(23)을 제조한다. 다음, 용기본체(3)의 내측주머니(14) 내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 도 14(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3)을 입구부(9)에 장착한다.
다음,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3)및 캡(23)에 통 형상의 수축 필름(31)을 씌우고, 수축 필름(31)을 가열함으로써 수축 필름(31)을 수축시켜 수축 필름(31)을 용기본체(3) 및 캡(23)에 밀착시킨다. 적층박리용기(1)는 내측주머니(14) 내로의 외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캡(23)을 떼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상정되고 있지만, 적층박리용기(1)에 익숙하지 않은 소비자가 캡(23)을 떼려고 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본체(3)와 캡(23)에 모두 밀착하도록 수축 필름(31)을 장착함으로써 캡(23)을 떼기 어렵게 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용기본체(3)로부터 캡(23)에 이르는 영역이 수축 필름(31)으로 가려지게 되기 때문에, 외기도입공(15)에 외기가 충분히 도입되지 않게 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축 필름(31)에 통기공을 설치하여 외기도입공(15)에 외기가 도입되기 쉽도록 하고 있다. 통기공은, 외기도입공(15)으로의 외기의 도입이 가능한 구성이면, 형상·배치·사이즈·개수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한가지 예로서, 통기공은,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홀(32)로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는, 통기공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 형상의 수축 필름(31)의 둘레방향에 따라 설치된 다수의 세공(소위 재봉선(perforations))(3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용기본체(3)에 대한 수축 필름(31)의 둘레방향의 상대 위치에 상관없이 외기도입공(15)에 외기가 도입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통기공은,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 필름(31)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된 다수의 세공(소위 재봉선)(34)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재봉선(34)을 따라 수축 필름(31)을 절개하고, 통 형상의 수축 필름(31)을 시트 형상으로 함으로써, 용기본체(3)로부터 수축 필름(31)을 용이하게 떼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수축 필름(31)에는, 재봉선(33)과 재봉선(34)을 모두 설치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는, 이하의 양태에서도 실시가 가능하다.
·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축 필름(31)은, 용기본체(3)의 일부와 캡(23)의 일부를 가리도록 설치하고 있지만, 용기본체(3)및/ 또는 캡(23)의 전체를 가리도록 설치해도 된다. 또한, 캡(23)을 가리지 않고, 용기본체(3)의 수용부(7)만을 가리도록 설치해도 된다.
·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외기도입공(15)에 밸브부재(5)를 장착하고 있지만, 밸브부재(5)는 필수가 아니고, 밸브부재(5)가 없을 경우에는, 내용물의 배출 시에 외기도입공(15) 또는 수축 필름(31)의 통기공을 손가락으로 막음으로써 중간공간(21) 내의 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부재 설치요부(7a) 내에 외기도입공(15)을 설치하고 있지만, 밸브부재 설치요부(7a)는 필수가 아니고 오목하게 되지 않은 영역에 외기도입공(15)을 설치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밸브부재(5)전체가 이동함으로써 외기도입공(15)이 개폐될 경우가 밸브부재(5)와 수축 필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밸브부재 설치요부(7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밸브부재(5)를 장착하지 않을 경우나 밸브 기능을 내장한 밸브부재(5)를 이용할 경우에는 밸브부재 설치요부(7a)가 없어도 기능적인 지장은 없다.
2. 제2실시 형태
도 10~도 1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실시 형태에 유사하며, 홈 형상 리브(7c)의 형상이 다른 점이 주요한 차이점이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형상 리브(7c)는, 외기도입공(15)을 호 형상으로(바람직하게는 원호 형상으로)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홈 형상 리브(7c)는, 내측 호부(7i) 및 외측 호부(7j)를 구비한다. 호부(7i, 7j)는, 외기도입공(15)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즉, 외기도입공(15)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방향)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내측 호부(7i)는, 외측 호부(7j)보다 외기도입공(15)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호부(7i, 7j)는, 거의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 호부(7i, 7j)를 통과하는 원의 중심은, 외기도입공의 중심과 거의 일치하다. 도 11(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부(7i, 7j)의 각각의 테두리에 있어서 내측주머니(14)에 절곡부(14a)를 형성할 수 있으며, 호부(7i, 7j)를 설치함으로써, 내측주머니(14)가 용기 외측을 향해 팽창되는 방향의 힘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호부(7i, 7j)를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개소에서 절곡부(14a)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되며, 각 절곡부(14a)에서 내측주머니(14)가 팽창하는 방향의 힘이 저감된다. 한편, 홈 형상 리브(7c)는, 적어도 1개의 호부를 구비하면 되고, 호부(7i, 7j)의 한 쪽은 생략 가능하다.
호부(7i, 7j)는, 각각, 입구부(9)의 중심과 외기도입공(15)의 중심을 통과하는 면(도 10(b)의 C-C단면) β에 대하여 면대칭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호부(7i), 7j)는, 각각, 면β의 좌우의 각각에, 호부(7i, 7j)의 둘레방향으로 이간된 복수의 홈부(7i1~7i3),(7j1~7j3)를 구비한다. 호부(7i, 7j)는, 면β의 좌우의 각각, 1개 홈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되지만, 호부(7i, 7j)를 각각 복수의 홈부(7i1~7i3),(7j1~7j3)로 구성함으로써, 내측주머니(14)의 절곡부(14a)가 안정적으로 형성되는 이점이 있다.
도 11(a)~(b)는, 용기본체(3)의 성형 후에, 수용부(7)에 내용물을 수용하기 전에 내측주머니(14)를 외각(12)으로부터 박리하는 예비박리를 실시하고, 그 후, 수용부(7) 내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a)는, 내측 호부(7i)에서 절곡부(14a)가 형성되도록 예비박리 및 내용부의 충전을 실시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b)는, 외측 호부(7j)에서 절곡부(14a)가 형성되도록 예비박리 및 내용부의 충전을 실시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a)~(b)에서, 내측주머니(14)는 밸브부재(5)에 비접촉 상태에 있다. 때문에, 내측주머니(14)가 밸브부재(5)를 외각(12)에 억눌러 외기도입공(15)을 폐쇄시키지 않고, 내용물의 배출 후에 외기도입공(15)을 통해 외기가 신속하게 중간공간(21) 내에 도입되어 외각(12)이 원래의 형상으로 스무드하게 복원한다. 한편, 내측주머니(14)가 밸브부재(5)에 접촉한 상태가 되도록 예비박리 및 내용부의 충전을 실시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내측주머니(14)가 용기 외측을 향해 팽창하는 방향의 힘이 저감되기 때문에, 외각(12)의 복원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수용부(7)에는 경사진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밸브부재 설치요부(7a)가 설치되어 있고, 요부(7a)에 외기도입공(15)이 설치되어 있다. 요부(7a)가 수축 필름으로 밀폐되지 않도록 요부(7a)로부터 입구부(9)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유통 홈(7b)이 설치되어 있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부(7a)의 바닥면과 홈(7b)의 바닥면의 사이의 각도θ가 150도 미만(바람직하게는 145도 미만)일 경우에는 요부(7a)의 바닥면과 홈(7b)의 바닥면의 사이의 연결부X에서 내측주머니(14)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홈(7b)에서 내측주머니(14)가 외각(12)으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7b)의 바닥면을 굴곡부(Y)로 굴곡시킨 제1 및 제2부분(7b1, 7b2)으로 구성함으로써 요부(7a)의 바닥면과 홈(7b)의 바닥면의 사이의 각도θ가 150도 이상(바람직하게는 155도 이상)이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1 및 제2부분(7b1, 7b2)의 사이의 각도γ도 150도 이상(바람직하게는 155도 이상)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X 및 굴곡부(Y)에서 내측주머니(14)에 절곡부가 형성되지 않아, 홈(7b)에서 내측주머니(14)가 신속하게 외각(12)로부터 떨어지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3. 제3실시 형태
도 1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3실시 형태에 유사하며, 내측주머니(14)의 예비박리의 방법이 다른 점이 주요한 차이점이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실시 형태에서는, 도 11(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호부(7j)에 있어서는 내측주머니(14)가 외각(12)으로부터 박리되지 않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호부(7i)와 외측 호부(7j)의 양쪽에서 내측주머니(14)가 외각(12)으로부터 박리되도록 예비박리를 실시한다. 이 예비박리는, 예를 들면 외기도입공(15)으로부터 막대기를 삽입하여 막대기로 내측주머니(14)를 미는 것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도 13(a)은, 예비박리 후의 상태이며, 호부(7i, 7j)에서, 외각(12)의 내면에 철부(凸部)(7ia, 7ja)가 설치되며, 내측주머니(14)의 외면에 요부(7ib, 7jb)가 설치되어 있다. 철부(7ia)와 요부(7ib)는 상보(相補) 형상이며, 철부(7ja)와 요부(7jb)는 상보 형상이지만, 내측주머니(14)를 외각(12)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내측주머니(14)에 접힌 자리가 생기기 때문에, 내측주머니(14) 내에 내용물이 충전되어 내측주머니(14)가 외각(12)에 억눌러진 경우에도, 철부(7ia, 7ja)와 요부(7ib, 7jb)의 위치가 엇갈려, 철부(7ia, 7ja)와 요부(7ib, 7jb)가 감합(嵌合)하지 않는다. 때문에, 내측주머니(14)가 외각(12)으로부터 벗어난 상태가 유지되어, 내측주머니(14)가 밸브부재(5)를 용기 외측으로 억누르는 힘이 작용하지 않거나 또는 이 힘이 저감된다.
(본 발명의 제4관점의 실시 형태)
4. 제4실시 형태
도 16~도 19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용기본체(3)의 바닥부(29)에는, 거의 직선 형상의 핀치 오프부(바닥 밀봉 돌출부27)가 형성되어, 상기 핀치 오프부의 한 쪽의 단부의 연장선과 교차하는 측벽부 위치에서, 측벽의 높이 방향에 줄지는 1개의 접착대(101)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주요한 차이점이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용기본체(3)는, 제1~ 제3실시 형태와 형상이 다르며, 수용부(7)는, 수용부(7)의 길이 방향을 향해 단면 형상이 거의 일정한 몸통부(19)와, 몸통부(19)와 입구부(9)의 사이를 연결하는 어깨부(17)를 구비한다. 적층 파리손의 밀봉부는, 수용부(7)의 바닥면(29)에 일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결과, 내층(13)(내측주머니(14))은, 바닥면(29)에서, 일직선 형상으로 고정된다. 이 점이, 접착대(101)와 더불어, 내용물을 최후까지 다 쓰는데 중요하게 된다.
외층(11)(외각(12))과 내층(13)(내측주머니(14))은, 서로 박리가능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층(11)(외각(12))으로부터 내층(13)(내측주머니14)이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의 경우,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에 접착대(101)가 1개만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분에서는 외층(11)(외각(12))으로부터 내층(13)(내측주머니(14))이 박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착대(101)는, 외층(11)(외각(12))과 내층(13)(내측주머니(14))을 접착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며, 예를 들면, 접착성 폴리올레핀이나 각종 접착제 등에 의해 형성된다.
혹은, 열용착 등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접착대(101)의 너비는 임의이지만, 통상은 몇 mm 정도로 설정된다.
접착대(101)의 형성 위치는, 바닥면에서의 핀치 오프부의 한 쪽의 단부의 연장선과 측벽이 교차하는 위치이며, 상기 연장선을 측벽에 따라 세우도록 접착대(101)가 바닥면에서 입구부까지 대략 전체 높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의 사용 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도 18(a)~(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충전된 적층박리용기(1)를 기울게 한 상태에서 외각(12)의 측면을 쥐고 압축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키지만, 이 때, 상기 접착대(101)가 하방으로 위치하도록 적층박리용기(1)를 기울인다. 따라서, 캡(23)은, 힌지부(h)의 위치가 상기 접착대(101)의 형성 위치와는 대략 180° 반대측으로 되도록 입구부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16~도 17에 나타내는 적층박리용기(1)와는 다르고, 외기도입공(15)이나 밸브부재(5)는, 용기본체의 둘레방향에서, 접착대(101)와 180° 반대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16~도 17의 실시 형태에서는, 90도 회전한 위치(직각방향의 위치)]. 외각(12)이 복원할 때에, 외기는 외기도입공(15)으로부터 도입되지만, 외기도입공(15)이나 밸브부재(5)를 도 18에 나타내는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핀치부에 있어서 고정되어 있는 내측주머니(14)의 양측 공간에 도입된 공기가 배분되고, 내측주머니(14)를 스무드하게 수축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한 위치이다. 외기도입공(15)을 입구부(9)에 설치할 경우에도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사용 시작 시는,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주머니(14)와 외각(12)의 사이에 실질적으로 틈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외각(12)에 가한 압축력은 그대로 내측주머니(14)의 압축력으로 되고, 내측주머니(14)가 압축되어 내용물이 배출된다.
캡(23)은, 도시하지 않은 체크밸브를 내장하고 있으며, 내측주머니(14) 내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는 있지만, 내측주머니(14) 내에 외기를 받아들일 수는 없다. 때문에, 내용물의 배출 후에 외각(12)에 가해진 압축력을 제외하면, 외각(12)이 자신의 북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하지만, 내측주머니(14)는 위축된 채로 외각(12)만이 팽창하게 된다. 그리고, 도 18(d)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주머니(14)와 외각(12)의 사이의 중간공간(21) 내가 감압상태로 되고, 외각(12)에 형성된 외기도입공(15)을 통해 중간공간(21) 내에 외기가 도입된다.
중간공간(21)이 감압상태로 되어 있을 경우, 뚜껑부(5c)는, 외기도입공(15)에 억눌러지기 때문에, 외기의 도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계지부(5b)가 외각(12)에 접촉한 상태에서도 계지부(5b)가 외기의 도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계지부(5b)에는 돌기(突起)나 홈 등의 기도 확보 수단이 설치된다.
내용물이 적어지면, 통상은 나머지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것이 어려워지지만, 본 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에서는, 바닥면의 핀치부에서 내측주머니(14)가 직선 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과, 접착대(101)에 의해 내측주머니(14)가 측벽에 직선 형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대(101)에 따라 거의 삼각형상의 공간(102)이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을 다 쓰기 직전의 상태에서도, 적층박리용기(1)의 하방 위치에는, 상기 공간(102)이 나머지의 내용물의 유로(流路)로서 확보되는 형태로 되어, 내용물은 최후까지 상기 유로를 통해 신속하고 스무드하게 외부에 배출된다. 그 결과, 내용물을 최후까지 다 쓸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비교예는, 주로 제1관점의 발명에 관련된다.
(비교예1)
외층이 폴리프로필렌층(두께500㎛) 으로 이루어지고, 내층이 용기외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EVOH층(두께 30㎛, 일본 합성화학공업제: 소아르놀(Soarnol) SF7503B), 접착층(두께 30㎛, 미쓰비시 화학제:모딕(MODIC) L522),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층(두께 40㎛, 굴곡 탄성율 340MPa, 아사히화성(旭化成) 케미컬사제:SUN TECHF2206)으로 이루어지고, 내용량이 200mL인 적층박리용기를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했다. 한편, 각 층의 두께는, 적층박리용기 중의, 가장 두께가 얇은 개소에서 측정했다.
(비교예2)
EVOH층의 두께를 60㎛로 한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박리용기를 제조했다.
(비교예3)
저밀도 폴리에틸렌층의 두께를 80㎛로 한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박리용기를 제조했다.
(실시예1)
저밀도 폴리에틸렌층의 두께를 80㎛로 하는 동시에 굴곡 탄성율이 130MPa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일본 폴리에틸렌 주식회사 노바 테크LD YF30)을 사용한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박리용기를 제조했다.
비교예 1~3과 실시예 1의 적층박리용기에 대해, 배출성 시험 및 산소 차단성 시험을 실시한 바, 이하의 결과가 얻어졌다. 배출시험에서는, 내용물의 배출 성능이 실시예 1과 같은 정도의 것을 ○, 실시예 1보다 낮은 것을 X로 했다. 산소 차단성 시험에서는, 산소 차단성이 실시예 1과 같은 정도의 물건을 ○, 실시예 1보다 낮은 것을 X로 했다.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적층박리용기는, 배출 시험 및 산소 차단성이 모두 뛰어난 것을 알았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토출성 시험 X X
산소 차단성 시험 X
1:적층박리용기, 3:용기본체, 5:밸브부재, 7:수용부, 9:입구부, 11:외층, 12:외각, 13:내층, 14:내측주머니, 15:외기도입공, 23:캡, 27:바닥 밀봉 돌출부, 31:수축 필름, 32:핀홀, 33:둘레방향의 재봉선, 34:축방향의 재봉선, 101:접착대, 102:공간

Claims (22)

  1.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갖추는 동시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로서,
    상기 내측주머니를 구성하는 내층은, 용기외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외측층, 접착층 및 내측층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층은, EVOH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층의 두께가 60~200㎛인 동시에 굴곡 탄성율이 250MPa이하이며,
    (상기 내측층의 두께/상기EVOH층의 두께)의 값이 1.1~5이며,
    상기 내층 전체의 두께가 100~250㎛인 적층박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박리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층은, 70~150㎛인 동시에 굴곡 탄성율이 200MPa이하이며,
    (상기 내측층의 두께/상기EVOH층의 두께의 값)이 1.5~4이며,
    상기 내층전체의 두께가 120~200㎛인 적층박리용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77021914A 2015-01-23 2016-01-22 적층박리용기 KR101969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11190 2015-01-23
JPJP-P-2015-011190 2015-01-23
JP2015059592A JP6836049B2 (ja) 2015-03-23 2015-03-23 積層剥離容器
JPJP-P-2015-059592 2015-03-23
JP2015071562A JP6663554B2 (ja) 2015-03-31 2015-03-31 積層剥離容器
JPJP-P-2015-071562 2015-03-31
JP2015090676A JP6578727B2 (ja) 2015-04-27 2015-04-27 積層剥離容器
JPJP-P-2015-090676 2015-04-27
PCT/JP2016/051806 WO2016117668A1 (ja) 2015-01-23 2016-01-22 積層剥離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883A KR20170103883A (ko) 2017-09-13
KR101969919B1 true KR101969919B1 (ko) 2019-04-17

Family

ID=5641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914A KR101969919B1 (ko) 2015-01-23 2016-01-22 적층박리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02218B2 (ko)
EP (1) EP3248895B1 (ko)
KR (1) KR101969919B1 (ko)
CN (2) CN107207115B (ko)
ES (1) ES2732942T3 (ko)
WO (1) WO20161176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04090B (zh) * 2015-12-03 2020-09-11 日商京洛股份有限公司 積層剝離容器
JP6912697B2 (ja) 2016-10-14 2021-08-0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EP3597562B1 (en) * 2017-03-15 2021-10-13 Kyoraku Co., Ltd. Delamination container
JP6834842B2 (ja) * 2017-08-10 2021-02-24 オムロン株式会社 設定支援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設定支援プログラム
US11472591B2 (en) * 2017-12-28 2022-10-18 Yoshino Kogyosho Co., Ltd. Synthetic resin container
JP6910735B2 (ja) * 2017-12-28 2021-07-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プリフォーム、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JP7345959B2 (ja) * 2018-01-26 2023-09-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JP7365758B2 (ja) * 2018-01-30 2023-10-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EP3650126A3 (en) * 2018-07-04 2020-08-05 Exojet Technologies Srl Multiflui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U2019383439A1 (en) * 2018-10-30 2021-07-01 Exojet Technologies Srl Multiflui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JP7369547B2 (ja) 2019-06-06 2023-10-26 メビウス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二重構造容器
FR3097841B1 (fr) * 2019-06-28 2022-06-03 Shiseido Int France Réservoir de produit fluide
CN110979969A (zh) * 2019-12-16 2020-04-10 成都悍力鼎科技有限公司 一种水容器及饮水装置
TWI753765B (zh) * 2021-02-02 2022-01-21 塞席爾商日勤包裝科技股份有限公司 積層剝離容器
DE102021121806A1 (de) * 2021-08-23 2023-02-23 Gaplast Gmbh Behälter bestehend aus einem steifen Außenbehälter und einem verformbaren Innenbeute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rartigen Behälter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031A (ja) * 2001-12-21 2003-07-09 Kao Corp 積層剥離容器
JP2004196357A (ja) * 2002-12-18 2004-07-15 Kao Corp スクイズ容器
JP2004231280A (ja) * 2003-01-31 2004-08-19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容器
JP2006182389A (ja) * 2004-12-27 2006-07-13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ブロー成形容器。
US20060226171A1 (en) * 2005-04-06 2006-10-12 Sternberg Harry W Bag type squeeze bottle
JP2013133118A (ja) * 2011-12-26 2013-07-08 Yoshino Kogyosho Co Ltd デラミボトル及び該ボトルの外気導入孔形成方法
JP2014019492A (ja) * 2012-07-23 2014-02-03 Fuji Seal International Inc ラベル付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2365A (en) * 1969-04-21 1971-07-13 Gilbert Schwartzman Pump-type dispensing apparatus
US3768682A (en) * 1971-11-05 1973-10-30 R Miolla Anti-cholic feeding device
US4089443A (en) * 1976-12-06 1978-05-16 Zrinyi Nicolaus H Aerosol, spray-dispensing apparatus
JPS6312427A (ja) 1986-06-25 1988-01-19 東洋製罐株式会社 プラスチツク製押出し多層容器
JPH0613099Y2 (ja) 1988-02-18 1994-04-06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絞り出し容器
US5381927A (en) * 1990-12-17 1995-01-17 The Coca-Cola Company Method of dispensing from a liquid container system
US5344045A (en) 1990-12-17 1994-09-06 The Coca-Cola Company Liquid container system
US5242085A (en) 1990-12-17 1993-09-07 The Coca-Cola Company Liquid container system
US5301838A (en) * 1991-01-23 1994-04-12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Multilayer bottle with separable inner layer and method for forming same
JPH04267727A (ja) 1991-02-05 1992-09-24 Keisuke Ito 多層成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557246Y2 (ja) 1991-03-29 1997-12-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ボトル
JP3650175B2 (ja) 1995-09-13 2005-05-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プラスチックボトル
DE69630822T2 (de) 1995-03-10 2004-09-23 Yoshino Kogyosho Co., Lt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Delaminieren eines aus laminiertem Material bestehenden Behälters
JP3688373B2 (ja) * 1995-12-22 2005-08-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押出注出可能とした積層剥離容器
JP3303234B2 (ja) * 1997-09-17 2002-07-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ブロー成形壜体の内容器リーク検査方法
AU3477799A (en) 1998-04-07 1999-11-08 Envirofoam Technologies, Inc. Automatic foam solution regulation for compressed-air-foam-systems
US6670007B1 (en) 1999-04-07 2003-12-30 Owens-Brockway Plastic Products Inc. Multilayer container
US20070292646A1 (en) 1999-04-07 2007-12-20 Graham Packaging Company L.P. Multilayer container
US20040076782A1 (en) 1999-04-07 2004-04-22 Safian John W. Multilayer container
JP2003012012A (ja) * 2001-06-29 2003-01-15 Yoshino Kogyosho Co Ltd デラミボトル
DE60237979D1 (de) * 2001-08-31 2010-11-25 Yoshino Kogyosho Co Ltd Ausgussbehälter
JP5299687B2 (ja) 2009-05-28 2013-09-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ポンプ付き薄肉ボトル
JP6336702B2 (ja) 2011-08-05 2018-06-06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吐出容器
JP6054706B2 (ja) 2012-10-31 2016-12-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AU2013340152B2 (en) 2012-10-31 2016-02-25 Yoshino Kogyosho Co., Ltd. Double container
JP6249742B2 (ja) * 2013-03-29 2017-12-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ボトル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031A (ja) * 2001-12-21 2003-07-09 Kao Corp 積層剥離容器
JP2004196357A (ja) * 2002-12-18 2004-07-15 Kao Corp スクイズ容器
JP2004231280A (ja) * 2003-01-31 2004-08-19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容器
JP2006182389A (ja) * 2004-12-27 2006-07-13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ブロー成形容器。
US20060226171A1 (en) * 2005-04-06 2006-10-12 Sternberg Harry W Bag type squeeze bottle
JP2013133118A (ja) * 2011-12-26 2013-07-08 Yoshino Kogyosho Co Ltd デラミボトル及び該ボトルの外気導入孔形成方法
JP2014019492A (ja) * 2012-07-23 2014-02-03 Fuji Seal International Inc ラベル付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883A (ko) 2017-09-13
CN107207115A (zh) 2017-09-26
CN110116843B (zh) 2020-12-04
EP3248895B1 (en) 2019-04-03
CN107207115B (zh) 2019-06-11
WO2016117668A1 (ja) 2016-07-28
CN110116843A (zh) 2019-08-13
EP3248895A4 (en) 2018-03-14
EP3248895A1 (en) 2017-11-29
ES2732942T3 (es) 2019-11-26
US10202218B2 (en) 2019-02-12
US20180016050A1 (en)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919B1 (ko) 적층박리용기
EP2308766B1 (en) Flexible packaging bag having a non-return function nozzle, and liquid-substance filling/packaging structure
KR101884721B1 (ko) 적층박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995407B1 (ko) 적층박리용기 및 적층박리용기로의 캡의 장착 방법
KR20160091396A (ko) 적층박리용기
KR20150048750A (ko) 펑크 수리제의 보존 용기
KR20160091395A (ko) 적층박리용기, 그 핀홀의 체크 방법 및 그 가공 방법
KR20180089396A (ko) 적층박리용기
KR20180129940A (ko) 적층박리용기
TW201012709A (en) Flexible packaging bag having a non-returning function nozzle, and liquid-substance filling/packaging structure
KR101548843B1 (ko) 플렉시블 포장봉지
JP2012525304A (ja) ポケットバイアルパッケージ及び吐出装置
EP3640153B1 (en) Packaging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5101396A (ja) 積層剥離容器
JP6836049B2 (ja) 積層剥離容器
KR20160090888A (ko) 적층박리용기
US11655089B2 (en) Spout-equipped packaging 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spout-equipped packaging bag that contains contents
EP3050815B1 (en) Layer separating container
JP4712795B2 (ja) 封着袋立ての底部と蓋部を有する筒状袋
JP6663554B2 (ja) 積層剥離容器
JP6666544B2 (ja) 積層剥離容器
JP6451075B2 (ja) 積層剥離容器
US20210053737A1 (en) Self-standing packing bag with spout
JP2018030621A (ja) 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