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843B1 - 플렉시블 포장봉지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포장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843B1
KR101548843B1 KR1020137022468A KR20137022468A KR101548843B1 KR 101548843 B1 KR101548843 B1 KR 101548843B1 KR 1020137022468 A KR1020137022468 A KR 1020137022468A KR 20137022468 A KR20137022468 A KR 20137022468A KR 101548843 B1 KR101548843 B1 KR 101548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nozzle
backflow
packaging pouch
sea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4252A (ko
Inventor
가츠노리 후타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Publication of KR20130114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4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self-locking integral or attached closure elements, e.g.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65D75/5811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66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피포장물의 토출류의 정류화를 도모하여 주출량을 안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봉지 내 피포장물이 적어진 경우에 있어서도 피포장물을 원활하게 토출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을 보강하여 토출성능 및 봉지 파손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을 구비하는 플렉시블 포장봉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플렉시블 포장봉지는 적층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봉지 본체의 측부 내표면에 외기의 봉지 내로의 침입을 저지하는 외측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기단부를 융착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포장봉지에 있어서, 상기 포장봉지 본체의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기단부와의 융착부 하부를 포함하는 근방의 위치에 대면하는 2매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끼리를 실링하여 형성한 정류·보강용 실링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포장봉지{Flexible packaging bag}
본 발명은 중합된 표리 2매의 평탄한 연질의 플라스틱제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외기의 봉지 내로의 침입을 자동적으로 저지하는 셀프실링 역류 방지 기능이 부착된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액체 주출 노즐)을 포장봉지 본체의 측부에 돌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포장봉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연질의 플라스틱제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셀프실링 역류 방지 기능이 부착된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및 그것을 구비하는 플렉시블 포장봉지로서는 발명자들의 제안에 따른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5-1502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5-59958호 공보
특허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역류 방지 기능이란, 평탄하여 밀착 가능한 표리 2매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을 중합하여 대면시키고 또한 중합되는 그들 적층 플라스틱 필름 상호 간에 형성되는 주출통로에 모세관 작용에 의해 액상물이 상시 개재함으로써 밀착되어 외기의 침입을 저지하는 셀프실링 역류 방지 기능을 말한다.
이들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및 그것을 구비하는 플렉시블 포장봉지는 간장 그 밖의 액체 조미료나 샐러드 오일과 같은 유체물을 액 중 실링 충전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액상의 피포장물만을 내포하여 이루어지는(가스가 없는 상태에서 충전된) 액상물 충전 포장체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이 액상물 충전 포장체는 액상의 피포장물을 주출할 때에 그 피포장물이 전혀 대기에 접촉하는 경우가 없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포장봉지 내에 기밀하게 봉입되어 있는 피포장물은 산화 등의 화학 변화를 일으키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오래 당초 그대로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을 구비한 포장봉지 내에 충전한 액상의 피포장물의 주출은 상기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선단부 근처에 형성되는 개구 예정 부분(절단 유도흠이나 노치의 부가 위치보다 선단측)을 손가락으로 잘라내어 개봉한 후, 당해 포장봉지의 본체 부분을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개구부(주출구)가 아래쪽을 향하는 자세가 되도록 경동(傾動)시켜 피포장물의 수두압에 의해 주출구를 개구시킴으로써 행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포장봉지 본체를 경동시켜서 피포장물을 주출할 때 포장봉지 내에 다량의 피포장물이 존재하면, 그 피포장물의 높은 수두압에 의해 다량의 피포장물이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내에 흘러들어가기 쉬워 토출량이 컨트롤되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액 떨어짐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을 구비한 포장봉지의 경우는, 봉지 본체 부분이 피포장물의 주출 체적분에 상당하여 순차적으로 수축 내지는 찌부러짐 변형되어 가기 때문에, 봉지 내 피포장물이 감소하면 피포장물의 수두압이 역류 방지 노즐의 주출통로 내면끼리의 밀착력에 져 버려서 봉지 본체의 경동만으로는 주출구를 개구할 수 없게 된다. 그 경우 포장봉지 본체의 몸통부를 손가락으로 눌러서 피포장물을 토출시키는데 이 경우도 또한 토출량이나 토출방향의 컨트롤이 어렵고 액 떨어짐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포장봉지의 경우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의 하연부(下緣部), 특히 노즐 장착 기단부측(포장봉지 본체측)에 인접한 장소에 주출량을 제어하기 위한 액 저장부(1b)를 설치하고, 그 부분에서 토출류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키도록 해서 과잉 주출을 방지하여 안정한 정량 토출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도 1(a)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에 흘러들어온 피포장물의 토출류 하단변이 노즐 기단부(1c)의 하단과 액 저장부(1b) 상단의 돌출 부분을 지나 주출구(1a)로 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이러한 포장봉지의 경우는, 봉지 본체 내의 피포장물이 많은 상태에 있어서는 피포장물이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의 주출통로(8) 전체에 흘러들어가 그 유입수의 수압에 의해 주출구(1a)를 크게 개구시켜서 토출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봉지 본체 내의 피포장물이 적어지면 주출구(1a)의 개구 부분(1d)이 좁아져서 피포장물을 토출하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을 갖는 포장봉지의 경우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셀프실링 역류 방지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시키기 위해서 그 노즐로서 얇고 탄성이 약한 적층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바깥둘레 실링 부분은 두껍고 탄성이 강한 적층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봉지 본체에 대해서 그 실링 강도가 약하고 또한 실링 폭도 0.5~3 ㎜로 좁아, 포장봉지에 하중이 가해지거나 하여 노즐에 대량의 피포장물이 흘러들어가면 그 피포장물의 수압에 의한 인장력에 의해 노즐 바깥둘레 실링 부분이 박리되어 봉지가 파손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나, 피포장물의 토출시의 압력이나 토출 후에 있어서 봉지 본체의 수축에 의한 감압 분위기에 노출되었을 때에 탄성의 약함으로 인해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이 기단부로부터 절곡(折曲)되거나 하여 역류 방지 기능이 저하되거나 토출방향을 컨트롤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이 가지고 있는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피포장물의 토출류의 정류화(整流化)를 도모하여 주출량을 안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봉지 내 피포장물이 적어진 경우에 있어서도 피포장물을 원활하게 토출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을 보강하여 토출성능 및 봉지 파손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을 구비하는 플렉시블 포장봉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발명자는 하기의 요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적층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봉지 본체의 측부 내표면에 외기의 봉지 내로의 침입을 저지하는 외측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기단부를 융착(融着) 접합하여 돌출시켜서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포장봉지에 있어서, 상기 포장봉지 본체의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기단부와의 융착부 하부를 포함하는 근방의 위치에 대면하는 2매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끼리를 융착시켜서 형성한 정류·보강용 실링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포장봉지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포장봉지는
(1) 상기 정류·보강용 실링부는 포장봉지 본체의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측 세로 실링부와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밑변 바깥둘레 실링부의 노즐 기단 부분의 융착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 대략 세로로 긴 타원형상의 히트 실링부로 이루어지는 것,
(2) 상기 정류·보강용 실링부는 그 상단부가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주출구(注出口)에 이르는 밑변 바깥둘레 실링부 안쪽 가장자리 방향의 대략 연장선상에 설치된 것인 것,
(3) 상기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기단부는 대면하는 고융점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실란트층에 의해 저온 융착되어 주출통로 내표면이 임시 실링되어 있는 것,
(4) 상기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은 그것을 구성하는 2매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내표면에 습윤처리층을 갖는 것,
(5) 상기 습윤처리층은 주출통로가 되는 부분 및 그 주출통로 측가장자리로부터 1~3 ㎜ 외측까지의 범위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
(6) 상기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선단부의 절단 개구에 의해 형성되는 주출구는 두께방향의 개구 직경(d)이 최대 개구 직경(D)의 1/3 이하(d≤1/3D)인 것,
이 보다 바람직한 해결 수단이 된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포장봉지의 경우는, 포장봉지 본체의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기단부와의 융착부 하부를 포함하는 근방의 위치에 대면하는 2매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끼리를 융착하여 형성시킨 정류·보강용 실링부를 설치함으로써 그 정류·보강용 실링부에 의해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에 흘러들어가는 피포장물을 일단 막게 되어, 토출류의 정류화가 도모되어 피포장물의 토출량을 확실하게 컨트롤할 수 있는 동시에 액 떨어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노즐을 구성하는 2매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의 서로 격리하는 방향(표리방향)으로의 개구가 억제되게 되어, 노즐에 대한 인장력(두께방향으로의 인장력)이 작아져서 노즐 바깥둘레 실링부가 박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역류 방지 노즐 선단의 주출구를 항상 크게 개구시킬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피포장물을 원활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정류·보강용 실링부가 포장봉지 본체와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기단부의 융착부 하부를 포함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정류·보강용 실링부에 의해 포장봉지 본체와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기단부의 융착 접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얇고 탄성이 약한 적층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기단부 하부에 있어서의 필름 강도를 포장봉지 본체의 필름 강도와 동일한 정도까지 보강할 수 있기 때문에,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이 기단 위치로부터 절곡되는 경우가 없어 토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습윤처리층을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주출통로의 내면 뿐 아니라 주출통로의 측가장자리로부터 1~3 ㎜ 외측의 부분(노즐 바깥둘레의 실링 부분)에까지 함으로써 주출통로 전체에 습윤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또한 이것에 의하면 주출통로와 노즐 바깥둘레 실링 부분의 경계에 있어서의 필름 상호의 밀착력이 종래보다도 강화되게 되기 때문에, 공기 등의 주출구로부터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봉지 내 피포장물을 오래 당초의 신선한 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설령 주출통로와 노즐 바깥둘레 실링 부분의 경계 부분의 융착이 박리되었다고 하더라도 비습윤처리 부분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어 셀프실링 역류 방지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기단부(입구 부분)의 내표면끼리를 저온 융착처리에 의해 임시 실링함으로써, 핸들링시 등 이 노즐 부분에 예기치 못한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역류 방지 기능 특성이 저해되지 않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을 구비하는 플렉시블 포장봉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봉지 본체 하단에 자립용 바닥부를 설치함으로써 플렉시블 포장봉지를 자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봉지 본체 부분이 자립용 바닥부를 제외한 3방향 실링 봉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봉지 본체 내에 액상 피포장물을 액 중 실링 충전 등을 한 후에도 그 서있는 모습이 하부의 원통형상(충전 공간의 확보)에 대해서 상부에 대해서는 플랫한 편평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역류 방지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플렉시블 포장봉지에 있어서의 피포장물의 주출방향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포장봉지에 있어서의 피포장물의 주출방향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을 구비하는 플렉시블 포장봉지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의 일실시형태이다.
도 4는 종래의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습윤처리 형성 범위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습윤처리 형성 범위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주출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포장봉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외기의 봉지 내로의 침입을 그 자신이 자동적으로 저지하는 셀프실링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은 열가소성의 일축 또는 이축연신 베이스 필름층과 그 중 어느 한쪽 또는 그 양쪽을 사이에 끼우듯이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실란트층으로 이루어지는 2층 또는 3층의 연질 적층 플라스틱 필름(이하, 3층의 예로 기술한다)을 표리가 되도록 포개어 겹쳐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2매가 한쌍인 연질 적층 플라스틱 필름에 있어서의 대면하는 상기 실란트층끼리 또는 반폭으로 되접어 꺾어 이루어지는 1매의 연질 적층 플라스틱 필름의 서로 대향하는 실란트층끼리를 포장봉지의 봉지 본체에 접속되는 기단부 및 액상물의 주출통로가 되는 중앙 부분을 제외한 바깥둘레 부분에 대해서 소정의 폭, 예를 들면 0.5~3.0 ㎜의 폭, 바람직하게는 1.0~2.0 ㎜의 폭에 걸쳐서 히트 실링, 고주파 실링 또는 임펄스 실링 등에 의해 상호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평탄하게 융착시켜서 전체로서 대략 쐐기모양을 나타내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이 갖는 역류 방지 기능이란,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포장봉지로부터 피포장물을 주출할 때에 피포장물과 교체되어 공기 등이 액상 피포장물이 충전된 봉지 본체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외측 역류 방지 기능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5-52596호의 역류 방지 노즐과 같이 피포장물이 봉지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측 역류 방지 기능과는 상이한 것이다.
이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은 피포장물의 부하를 받지 않기 때문에 PE20/NY15/PE20와 같은 얇은 3층 구조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이 적합하고, 얇으면 얇을수록 좋으며, 탄성이 약한 필름인 편이 역류 방지작용이 양호하다. 특히 표리 2매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은 플랫성(평탄도)이 높은 것인 편이 높은 역류 방지효과가 얻어져 표리 2매의 플라스틱 필름의 중합시의 극간을 2 ㎛~300 ㎛ 정도로 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또한 실란트 재료로서 PVDC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PE15/PET12/PVDC5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얇고 부드러운 3층 적층 필름에 의해 역류 방지 노즐을 형성한 경우에는 주출구가 작은 힘으로 열리기 쉽고, 주출이 용이하며, 또한 PVDC 자신이 가스 배리어성과 히트 실링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베이스 필름에 가스 배리어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은 그 기단 부분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이 노즐의 외표면에 위치하게 되는 실란트층, 예를 들면 무연신의 각종 PE층, PP층, EVA층, 메탈로센 촉매 폴리에틸렌층 등의 올레핀계 수지층,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층,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층, 이오노머층, PVDC층, EVOH층 등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매개로 연질 적층 플라스틱 필름(주로 2층)으로 이루어지는 포장봉지 본체의 내표면의 실란트층(바람직하게는 동종의 실란트층)에 예를 들면 히트 실링에 의해 융착시킴으로써, 그 포장봉지 본체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간이 신속하게, 게다가 확실하게 융착 접합되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을 구비하는 플렉시블 포장봉지(A)로서 사용된다.
또한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은 도 3에 도 2의 노즐 폭방향의 III-III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호 융착되는 표리의 각각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3, 4)을, 예를 들면 세로방향을 적층 플라스틱 필름의 거의 폭방향을 향해서 배설(配設)한 각각의 베이스 필름층(5, 5')과 이 베이스 필름층(5, 5')의 양면에 적층한 각각의 실란트층(6, 6', 7, 7')의 3층 구조로 한 점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내면측의 실란트층(6, 6')끼리를 기단변을 제외한 주변 부분에서 소정의 폭, 예를 들면 0.5~3 ㎜의 폭, 바람직하게는 1.0~2.0 ㎜의 폭에 걸쳐서 적합하게는 히트 실링에 의해 소요되는 형태(쐐기모양)가 되도록 융착시킴으로써 간이 신속하게, 게다가 항상 확실하게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 있어서의 「거의 폭방향」이란 앞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하게 절단방향, 더 나아가서는 역류 방지 노즐 개구연부의 연재방향을 적층 플라스틱 필름의 폭방향에 대해서 0~15° 범위의 각도로 경사지게 하는 경우가 있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은 그 평탄한 형상에 특징이 있고, 그것의 기단부에서 외면측의 실란트층(7, 7')을 포장봉지 본체(2)의 내표면에 이것도 바람직하게는 히트 실링에 의해 융착시킴으로써 그 포장봉지 본체(2)에 항상 적정하게 또한 확실하게, 게다가 간단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한편 포장봉지 본체의 필름 구성으로서는 그것의 외표면에 위치하는 베이스 필름층 및 내표면에 위치하는 실란트층의 각각을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과 동종의 베이스 필름층 및 실란트층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과 포장봉지 본체의 베이스 필름층과 실란트층 사이에 각각 상이한 중간층을 적절히 개장(介裝)시켜도 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연질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봉지 본체의 내표면을 형성하는 실란트층은 그 역류 방지 노즐 최외층의 실란트층과 동종의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한다. 이것에 의하면 그 역류 방지 노즐과 봉지 본체의 융착 접합강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다.
포장봉지 본체는 예를 들면 2층 또는 3층 구조의 적층 필름 중 일축 또는 이축연신 베이스 필름을 두께가 8~30 ㎛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PET층)이나 나일론 수지 필름층(NY층), 에틸렌비닐알코올(EVOH)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란트층으로서는 10~60 ㎛ 두께의 무연신의 PE층 또는 PP층, EVA층, 이오노머층, EVOH층 등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베이스 필름층으로서의 PET층이나 NY층은 우수한 수증기 불투과성 및 높은 가스 배리어성을 발휘시키는 데 있어 바람직하고, 또한 실란트층으로서의 PE층 및 PP층은 비교적 낮은 온도의 히트 실링성이 우수하여 실링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 있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을 구비한 포장봉지 내에 충전한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은 상기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선단부 근처에 형성되는 개구 예정 부분(절단 유도흠이나 노치의 부가 위치보다 선단측)을 손가락으로 잘라내어 개봉한 후, 당해 포장봉지의 본체 부분을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개구부(주출구)가 아래쪽을 향하는 자세가 되도록 경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 경우 연질의 표·리 한쌍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주출통로는, 액상물이 상시 개재함으로써 생기는 필름-액체-필름 간의 분자간력에 의한 밀착이 액상 피포장물의 수두압의 작용이나 손가락으로 포장봉지의 본체 부분 몸통부를 가압하는 것에 의한 작용에 의해 해방되게 되고, 따라서 표·리 쪽으로 격리되어 커다란 극간을 만들게 되어 그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을 허용하는 태세가 된다.
또한 연질의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봉지 본체 부분은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개구부(주출구)를 통해서 액상 피포장물을 주출할 때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에도 불구하고 그 역류 방지 노즐이 갖는 셀프실링 역류 방지 기능(주출된 액상 피포장물 대신에 공기가 봉지 본체 내에 침입하지 않는 것)에 의해 외기의 흡입(역류)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그 주출 체적분에 상당하는 양만큼 순차적으로 수축 내지는 찌부러짐 변형되게 된다.
즉 포장봉지 내의 액상 피포장물은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개봉하에서 그것을 경동시킴으로써 소요량이 봉지 안으로부터 주출되고, 그리고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개구부로부터의 그 액상 피포장물의 유출은 이 포장봉지를 원래의 기립자세로 복귀시킴으로써 정지한다. 이 유출의 정지에 의해 그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주출통로 내 및 봉지 본체 내의 비액체 부분은 봉지 본체 내에 충전되어 있는 액상물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이들 부분이 항상 액상 피포장물이 개재하여 젖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그 정지와 동시에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의 내면끼리는 상호 강하게 밀착되고, 따라서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선단부에 설치한 상기 개구부 또한 밀착된 그대로가 되기 때문에 외기의 봉지 본체부 내로의 침입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이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을 구성하는 2매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의 내표면(주출통로)에는 봉지 본체 내에 액상물이 남아있는 한 모세관 현상에 의해 항상 액상물이 개재하게 된다. 즉 이 필름끼리가 밀착되는 것에 의한 외측 역류 방지 기능은 플렉시블 포장봉지의 기립 복귀에 의해 그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이 수두압의 작용으로부터 해방되어 제조시의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는 것에 더하여,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내의 액상 피포장물의 일부가 봉지 본체부 내로 환류할 때에 감압에 의해 액상 피포장물에 의해 젖은 표리 한쌍의 필름끼리의 내표면(주출통로)이 상호 서로 흡착하는 것 등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셀프실링). 그리고 이러한 밀착은 포장봉지로부터의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에 수반하여 수축 내지는 찌부러짐 변형된 봉지 본체 부분이 그것에 고유의 탄성 복원력을 토대로 그 내부를 감압 경향으로 작용시킬 때에 보다 확실해진다.
그러나 포장봉지 내에 액상 피포장물이 다량으로 존재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포장봉지를 경동시켜서 피포장물을 주출하고자 하면 약간의 경동에도 불구하고 피포장물의 높은 수두압에 의해 다량의 피포장물이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부분에 흘러들어가 버려, 주출량을 컨트롤할 수 없게 되는 동시에 액 떨어짐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피포장물의 수압에 의해 노즐 바깥둘레 실링부가 박리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봉지 내 피포장물이 적어지면 피포장물의 수두압이 작아지기 때문에 봉지 본체 몸통부를 손가락으로 눌러서 피포장물에 압력을 부여하여 역류 방지 노즐의 주출구를 개구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또한 주출량 뿐 아니라 주출방향을 컨트롤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에 흘러들어간 피포장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a)에 나타내는 노즐 기단부(1c) 하단과 액 저장부(1b) 상단의 돌출 부분을 지나 주출구(1a)로 향하기 때문에, 특히 봉지 내 피포장물이 적어져서 수두압이 낮아지면 주출구(1a)를 크게 개구시키는 것이 어려워져 피포장물을 주출하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봉지 본체(2)의 노즐(1)과의 융착부(노즐 기단부(1c)) 하부 근방의 영역에 포장봉지 본체(2)의 표리 2매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을 예를 들면 세로로 긴 타원형상으로 융착하여 형성한 정류·보강용 실링부(19)를 설치한다. 그리고 이 정류·보강용 실링부(19)에 의해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을 향하는 피포장물인 액체의 토출류를 일단 막아 정류화하고, 그 후 그 정류 후의 액상 피포장물이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 내로 흘러들어가도록 함으로써 피포장물의 주출량이 컨트롤되기 쉬워지는 동시에 액 떨어짐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류·보강용 실링부(19)에 의해 노즐을 구성하는 표리 2매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의 상호 격리하는 방향(피포장물의 유입에 의해 팽창되는 방향)으로의 개구가 억제되게 되기 때문에, 노즐에 대한 인장력이 작아져서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로 피포장물이 대량으로 흘러들어간다고 하더라도 역류 방지 노즐(1)의 바깥둘레 실링부가 박리되어 봉지가 파손될 우려가 없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정류·보강용 실링부(19)를 포장봉지 본체(2)의 노즐측 세로 실링부(2L)와 역류 방지 노즐(1)의 밑변 바깥둘레 실링부(1u)의 노즐 기단 부분의 융착부를 포함하도록 대면하는 적층 플라스틱 필름끼리를 히트 실링하여 융착해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피포장물의 수압이 집중되기 쉬워 융착이 박리되기 쉬운 노즐 기단부 하단 위치의 포장봉지 본체와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접합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나, 얇고 탄성이 약한 적층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기단부 하부의 필름 강도를 포장봉지 본체의 필름 강도와 동일한 정도까지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절곡 등이 억제되어 토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내에 흘러들어온 피포장물은 종래 도 1(a)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기단부(1c) 하단 및 액 저장부(1b) 상단의 돌출 부분을 지나 주출구(1a)로 향하기 때문에 실제 개구 부분(1d)은 주출구(1a)보다도 작아진다. 봉지 내 피포장물이 많은 경우에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내에 다량으로 피포장물이 흘러들어 그 수압에 의해 주출구(1a)를 크게 개구시킬 수 있지만, 봉지 내 피포장물이 적어지게 되면 수두압이 작아지기 때문에 주출구(1a)의 개구 부분(1d)이 좁아져 피포장물을 토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점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서는 피포장물의 토출류 밑변이 도 1(b)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보강용 실링부(19)의 상측 모서리부와 액 저장부(1b) 상단의 돌출 부분을 지나 주출구(1a)로 향하게 되기 때문에, 주출구(1a)의 개구 부분(1d)이 종래보다도 커져서 액상 피포장물을 항상 원활하게 토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정류·보강용 실링부(19)의 크기 등은 포장봉지 본체의 세로 실링부(2L)와 역류 방지 노즐(1)의 밑변 바깥둘레 실링부(1u)의 기단 부분과의 융착부가 포함되는 크기면 되고, 포장봉지의 용적이나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크기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그 위치는 필요로 하는 정류화나 보강의 효과의 관계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정류·보강용 실링부(19)는 그 상단부가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의 토출구(1a)에 이르는 밑변 바깥둘레 실링부(1u) 안쪽 가장자리 방향의 대략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상기 정류화의 효과가 커지는 동시에 노즐의 주출구(1a)를 크게 개구시키는 데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플렉시블 포장봉지에 있어서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역류 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기 위해서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을 구성하는 표리 2매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의 밀착력을 보다 확실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를 위해서는 역류 방지 노즐을 구성하는 적층 플라스틱 필름의 주출통로 내면에 습윤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유효하다.
이 습윤처리란 적층 플라스틱 필름 상호 간에 작용하는 밀착력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여 전술한 외측 역류 방지 기능(외기의 봉지 내로의 침입 저지)을 유효하게 발휘시키는 처리로, 예를 들면 PE나 PP, EVA, 이오노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플라스틱 필름의 실란트 필름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처리, UV 오존처리, 수지 코팅처리, 금속 증착처리, 무전해 도금처리, 금속 저온 용사처리, 플라즈마 에칭처리, 화염처리 등을 적합한 예로 하는 습윤처리를 행함으로써, 필름 표면의 물리적인 표면 개질과 극성 관능기 생성에 의한 화학적인 표면 개질의 상승 효과에 의해 필름의 습윤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습윤처리층은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을 형성하기 전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에 대해서 그 노즐의 주출통로의 형상에 맞춰서 사전에 형성된다. 그러나 이 습윤처리가 행해진 표리 2매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을 포개어 겹쳐서 역류 방지 노즐을 형성하고자 하면 습윤처리 형성 부분과 주출통로 부분을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불가능하여, 예를 들면 도 4의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출통로(8)와 노즐 바깥둘레 실링부(17)의 경계(주출통로의 측가장자리)에 습윤처리가 행해져 있지 않은 부분(18)(비습윤처리 부분)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 특히 피포장물이 물 등의 습윤성이 낮은 것인 경우에는 피포장물의 분자간력에 수반하는 적층 플라스틱 필름끼리의 밀착 봉지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아, 노즐(1) 선단을 절단하여 개구했을 때에 주출구(1a)로부터 이 주출통로(8)의 비습윤처리 부분(18)을 지나 공기 등이 침입하여 포장봉지 내의 피포장물이 오손(汚損)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처음부터 주출통로(8)와 노즐 바깥둘레 실링부(17)의 경계(주출통로의 측가장자리) 부분은 적층 플라스틱 필름끼리의 분자간력에 의한 밀착력이 약한 부분으로 그의 강화가 필요하였다.
이러한 폐해를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습윤처리를 주출통로의 내표면 전체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5의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일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플라스틱 필름의 주출통로(8)에 상당하는 부분과 그 주출통로(8)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추가로 1~3 ㎜ 외측의 바깥둘레 실링부(17)에까지 습윤처리(11)(그물모양으로 선을 그어 나타낸 범위)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주출통로(8) 전체에 확실하게 습윤처리(11)가 행해지게 되어 종래와 같이 주출통로(8)와 역류 방지 노즐의 바깥둘레 실링부(17) 사이에 비습윤처리 부분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어, 피포장물이 갖는 습윤성 등에 상관없이 공기 등의 포장봉지 내로의 침입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습윤처리(11)가 행해진 주출통로(8)와 노즐 바깥둘레 실링부(17)의 경계 부분은 피포장물을 주출할 때의 압력에 의해 융착이 박리되기 쉽지만, 본 발명에서는 주출통로(8) 측가장자리로부터 추가로 1~3 ㎜ 외측의 바깥둘레 실링부(17)까지 습윤처리(11)가 행해져 있기 때문에, 설령 노즐 바깥둘레 실링부(17)의 주출통로(8)와의 경계 부분이 박리되는 경우가 있더라도 셀프실링 역류 방지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습윤처리(11)의 형성 범위를 주출통로(8) 부분에 더하여 주출통로(8)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추가로 1~3 ㎜ 외측의 부분으로 한정한 것은, 그것이 1 ㎜ 미만인 경우는 상기와 같이 주출통로(8)와 역류 방지 노즐의 바깥둘레 실링 부분(17)의 경계 부분의 융착이 박리되었을 때에 습윤처리(11)가 행해져 있지 않은 부분이 노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고, 한편 노즐 바깥둘레 실링부(17)의 두께는 통상 0.5~3 ㎜ 정도이기 때문에 주출통로(8) 측가장자리로부터 추가로 3 ㎜ 초과까지 습윤처리를 행해 버리면 노즐 바깥둘레 실링부(17)가 박리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에 있어서는 그 개구 선단부, 즉 주출구 가장자리부의 길이는 그 적층 플라스틱 필름의 적층 수에 상관없이 5~100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류 방지 노즐 개구부의 길이가 5 ㎜ 미만인 경우는 봉지 본체부의 용적과의 관련에 있어서 주출량이 지나치게 적은 한편으로, 그것이 100 ㎜를 초과하면 주출방향의 정확한 특정이 어려워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의 개구 예정 위치(주출구)(1a)에 I 노치, V 노치, U 노치, 베이스 노치 및 다이아 커팅 등의 개봉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절단 유도흠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절단 유도흠을 개봉하여 사용상태에 제공한다.
또한 이 도 2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의 경우는, 그 하연부의 개구 예정 위치(1a)보다 기단부(1c) 측에 조금 근접한 위치에 액 떨어짐 방지용의 첨탑형상의 돌기(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16)에 의해 설령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의 주출구(1a)로부터 액 떨어짐이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액 떨어짐은 포장봉지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는 변부분에 도달하기 전에 그 돌기(16) 부분을 타고 떨어지게 되어 봉지 본체 부분(2)이나 이것을 포위하는 외용기 내 등이 오염되는 경우가 없고 액 떨어짐이 의도하지 않은 개소로 타고 떨어질 우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의 적어도 개구부(1a)(주출구)의 외표면, 즉 개구 예정부(1a)를 포함하는 그 근방의 외표면 및 상기 액 떨어짐 방지용 돌기(16)에 발수성(撥水性) 물질·발유성(撥油性) 물질의 도포층(1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에 대해서 이러한 처리를 행한 경우에는, 포장봉지를 기립 자세로 복귀시켜서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을 정지할 때의 소위 액 끊어짐성이 높아져 액상 피포장물의 예측하지 못한 타고 떨어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수 물질로서는 실리콘 오일이나 불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또는 아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발수 코팅제를 사용하고, 발유 물질로서는 실리콘 수지나 테플론 수지, 실리콘 변성 아크릴 수지 등의 발유 코팅제를 사용하며, 이들에 우레탄계, 아크릴계, 에스테르계, 니트로셀룰로오스계, 아미드계, 염화비닐계, 고무계, 스티렌계, 올레핀계, 염산비닐계, 셀룰로오스계, 페놀계 등의 수지를 바인더로서 첨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에 있어서는 노즐 선단 주출구의 개구 직경이 좁을수록 외기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지만 지나치게 좁으면 오히려 피포장물이 토출되기 어려워지게 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주출구(1a)의 개구 직경(d)을 도 6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개구 직경(D)의 1/3 이하(d≤1/3D)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노즐 주출구(1a)의 개구 직경(d)은 노즐(1)의 형상이나 그것을 구성하는 적층 플라스틱 필름 재질의 선택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의 포장봉지 본체(2)의 역류 방지 노즐(1)과의 융착부(노즐 기단부(1c)) 하부에 설치되는 정류·보강용 실링부(19)의 위치나 형상의 선택에 의해서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포장봉지에 있어서는 그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외표면측의 실란트층을 저융점의 것으로 하고, 그것의 기단부를 포장봉지 본체의 측부, 대부분은 상단 부분의 측부로부터의 돌출 자세로 봉지 본체 내표면의 실란트층과 융착 접합시키는 한편 이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내표면측의 실란트층을 고융점의 것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의 기단 부분(1c)의 내표면끼리를 그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을 봉지 본체(2) 내표면으로 융착 접합함에 있어서 본래의 절반 이하의 히트 실링 강도로 접착하여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가융착(假融着)된 상태로 한 임시 실링부(1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저온 가융착에 의한 임시 실링부(12)는 완전한 융착 접합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서 히트 실링 수단의 가열온도, 가압력 및 가압시간의 하나 이상을 저감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임시 실링부의 형성 위치는 도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의 포장봉지 본체(2)로의 융착 접합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하는 것은 물론, 그 대응 위치보다도 포장봉지 본체(2)의 내측에 약간 치우친 위치, 또는 반대로 그 대응 위치보다 포장봉지 본체(2)의 외측에 약간 치우친 위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들 중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에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이 그것 본래의 기능, 즉 셀프실링 역류 방지 기능을 발휘하기에 충분한 길이(5~80 ㎜ 정도)의 주출통로(8)를 임시 실링부(12)의 외측에 잔존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임시 실링부의 형성에 있어서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에 고융점 실란트층 및 저융점 실란트층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거나, 이들 실란트층을 모두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의해 형성하는 것 또는 고융점 실란트층을 중밀도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의해 형성하고 저융점 실란트층을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 재질이 되는 폴리에틸렌의 융점 고저의 선택은 예를 들면 실란트층의 적층시에 있어서의 압출 라미네이트 조건 등을 상호 변화시킴으로써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임시 실링부를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포장봉지 본체로의 융착 접합 위치 또는 그 근방에서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기단 부분에 설치하는 것은 포장봉지에 충전 포장한 액상 피포장물의 그 임시 실링부로부터 역류 방지 노즐 선단측으로의 유입이 확실하게 저지되게 되어, 피포장물이 설령 50~100℃로 가열된 것이더라도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피포장물 주출통로의 대부분이 그 주출통로를 팽창시키는 방향의 영구 변형으로부터 충분히 보호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면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임시 실링부로부터 선단측의 부분은 항상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고, 포장봉지로부터의 피포장물의 주출시에 있어서의 그 봉지 본체 내로의 외기의 침입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피포장물의 주출 정지시의 셀프실링 역류 방지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임시 실링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포장봉지에 있어서는 봉지 내 피포장물이 상온 가까이까지 냉각된 후의 그 피포장물의 포장봉지로부터의 주출에 있어서, 포장봉지에 예를 들면 그것의 두께방향으로 하중을 작용시켜서 임시 실링부의 개봉을 초래하는 동시에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선단 부분을 파단 또는 절단 제거하여 주출 개구를 형성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포장봉지를 경동시켜 주출 개구가 아래쪽을 향하는 주출 자세로 한다.
또한 여기서 포장봉지의 임시 실링부를 제외한 다른 융착 접합부는 예를 들면 임시 실링부의 2배 이상의 강도로 히트 실링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그 임시 실링부를 개봉하는 데에 필요한 하중이 작용해도 예측하지 못한 봉지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가열된 피포장물에 의한 팽만 변형을 받지 않은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부분은 봉지 내의 피포장물의 주출에 수반하는 포장봉지 본체 내로의 외기의 침입을 포장봉지 본체의 찌부러짐 변형하에서의 주출 개구의 필요에 대해 충분한 개방하에서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장봉지의 기립 자세로의 복귀에 기인하는 주출의 정지시에 피포장물에 젖은 그 주출 노즐 부분의 원래 형상으로의 복귀에 의한 셀프실링 역류 방지 기능에 의해 포장봉지 본체 내로의 외기의 침입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고융점 실란트층 및 저융점 실란트층의 각각을 모두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의해 형성한 경우, 또는 고융점 실란트층을 중밀도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의해 형성하고 저융점 실란트층을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의해 형성한 경우 중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기대한 대로의 실링 강도를 갖는 임시 실링 및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에 소요되는 융착 접합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시 실링부의 히트 실링 강도는 0.3~3(N/15 ㎜), 특히 0.7~1(N/15 ㎜)의 범위로 하는 것이 임시 실링부의 예측하지 못한 개봉을 방지하는 한편 다른 융착 접합부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아, 그 임시 실링부를 작위적으로 개봉하는 데 있어 바람직하다.
즉 그것이 0.3(N/15 ㎜) 미만인 경우는 가열상태의 액상 피포장물의 봉지 내 용량 등과의 관련하에서 임시 실링부에 의도하지 않은 개봉이 일어날 우려가 있는 한편, 3(N/15 ㎜)을 초과하면 임시 실링부를 개봉하기에 필요한 하중이 다른 융착 접합부 등에도 예측하지 못한 영향(봉지 파손이나 개봉)을 미칠 우려가 있다.
그런데 임시 실링부의 개봉을 위한 하중은 50~350(N), 특히 100~200(N)의 범위로 하는 것이 실링부를 포함하는 다른 개소의 봉지 파손 등을 초래하지 않고 수송이나 작업중에 잘못해서 개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즉 개봉하중이 50(N) 미만인 경우는 피포장물을 충전 포장한 포장봉지의 포개어 쌓음으로써 하단측의 포장봉지에서 임시 실링부가 개봉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350(N)을 초과하는 경우나 히트 실링 강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는 임시 실링부를 개봉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하중에 의해 다른 융착 접합부가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포장봉지에 있어서는 포장봉지 본체의 하단에 자립용 바닥부를 설치하여 자립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포장봉지 본체 부분은 자립용 바닥부를 제외한 3방향 실링 봉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유는 포장봉지 본체 부분의 좌우 측가장자리에 세로 실링을 행함으로써 포장봉지 본체 내에 액상 피포장물을 액 중 실링 충전 등에 의해 가스가 없는 상태에서 충전한 후에도 그 서있는 모습을 상부에 대해서는 플랫한 편평형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즉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을 구성하는 표리 2매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의 플랫성(평탄도)이 높아져 이것이 상기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역류 방지 기능을 보증하고 액상 피포장물을 주출한 후의 역류 방지 기능을 확실하게 유지시키는 데 있어 유효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 자립용 바닥부를 갖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포장봉지(A)는 도 7의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봉지 본체(2) 하단부(바닥부)에 선저형(船底形) 바닥부(9)를 가진 자립형 스탠딩 파우치로, 바닥부(9)를 제외한 3방향을 히트 실링 등에 의해 융착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자립봉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봉지 본체(2) 내에 액상 피포장물을 가스리스 충전한 후에도 좌우 측가장자리에 행한 세로 실링에 의해 서있는 모습이 상부는 플랫한 편평형상이고 하부가 통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1)을 구성하는 표리 2매의 연질 적층 플라스틱 필름(3, 4)은 플랫성(평탄도)이 높아 셀프실링 역류 방지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선저형 바닥부(9)의 양 모서리부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두 모따기하여 바닥부(9)가 아래를 향한 볼록함이 완만한 만곡형상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바닥부(9)의 양 모서리부가 바닥면에 접지하여 닿는 경우가 없고 자립형 스탠딩 파우치(S)의 하단 전체가 바닥면에 닿게 되어 자립 안정된 서있는 모습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자립형 스탠딩 파우치의 선저형 바닥부(9)의 양 모서리부는 곡률 반경(R)이 8 ㎜ 이상이 되도록 모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20 ㎜의 범위로 한다. 그리고 특히 상기 곡률 반경(R)은 스탠딩 파우치(S)의 바닥부를 향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곡률 반경(R)을 8 ㎜ 이상으로 한 것은 8 ㎜ 미만인 경우에는 선저형 바닥부의 양 모서리부가 바닥면에 닿아서 스탠딩 파우치의 중앙부가 떠올라 버리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기술은 일반적인 액상물 충전 포장체, 특히 액체 주출구를 구비하는 리필용 포장봉지로서 이용 가능하다.
A 플렉시블 포장봉지
S 스탠딩 파우치
1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1a 개구 예정 위치(주출구)
1b 액 저장부
1c 기단부
1u 밑변 바깥둘레 실링부
2 포장봉지 본체
2L 노즐측 세로 실링부
3, 4 적층 플라스틱 필름
5, 5' 베이스 필름층
6, 6' 내측 실란트층
7, 7' 외측 실란트층
8 주출통로
9 바닥부
10 발수(撥水)·발유(撥油) 도포층
11 습윤처리층
12 가융착부(假融着部)
16 액 떨어짐 방지용 돌기
17 노즐 바깥둘레 실링부
18 비습윤처리 형성 부분
19 정류(整流)·보강용 실링부

Claims (7)

  1. 적층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봉지 본체의 측부 내표면에 외기의 봉지 내로의 침입을 저지하는 외측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을 그 기단부의 융착(融着)에 의해 접합하여 돌출 설치시켜서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포장봉지에 있어서,
    상기 포장봉지 본체의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기단부와의 융착부 하부를 포함하는 그 근방의 위치에 대면하는 2매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끼리를 실링하여 형성한 정류(整流)·보강용 실링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정류·보강용 실링부는 그 상단부가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주출구(注出口)에 이르는 밑변 바깥둘레 실링부 안쪽 가장자리 방향의 대략 연장선상에 설치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포장봉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보강용 실링부는 포장봉지 본체의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측 세로 실링부와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밑변 바깥둘레 실링부의 노즐 기단 부분의 융착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 대략 세로로 긴 타원형상의 히트 실링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포장봉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의 기단부는 대면하는 고융점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실란트층에 의해 저온 융착되어 주출통로 내표면이 임시 실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포장봉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은 그것을 구성하는 2매의 적층 플라스틱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내표면에 습윤처리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포장봉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처리층은 주출통로가 되는 부분 및 그 주출통로 측가장자리로부터 1~3 ㎜ 외측까지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포장봉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상 역류 방지 노즐 선단 위치의 절단 개구에 의해 형성되는 주출구는 두께방향의 개구 직경(d)이 최대 개구 직경(D)의 1/3 이하(d≤1/3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포장봉지.
  7. 삭제
KR1020137022468A 2011-02-14 2012-02-10 플렉시블 포장봉지 KR101548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28070 2011-02-14
JPJP-P-2011-028070 2011-02-14
PCT/JP2012/053040 WO2012111538A1 (ja) 2011-02-14 2012-02-10 フレキシブル包装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252A KR20130114252A (ko) 2013-10-16
KR101548843B1 true KR101548843B1 (ko) 2015-08-31

Family

ID=4667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468A KR101548843B1 (ko) 2011-02-14 2012-02-10 플렉시블 포장봉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321559B2 (ko)
EP (1) EP2676896B1 (ko)
JP (2) JP5665033B2 (ko)
KR (1) KR101548843B1 (ko)
CN (1) CN103370261B (ko)
BR (1) BR112013020171A2 (ko)
ES (1) ES2613712T3 (ko)
HK (1) HK1188767A1 (ko)
TW (1) TWI464093B (ko)
WO (1) WO20121115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254B1 (ko) 2015-01-22 2018-04-09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가스 및 액상물의 충전 포장방법
TWI600589B (zh) * 2015-01-28 2017-10-01 Yushin Co Ltd Gas and liquid filled packing method
JP6586798B2 (ja) * 2015-07-06 2019-10-09 凸版印刷株式会社 収納容器
US10155615B2 (en) 2016-09-26 2018-12-1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eal bar and process for using same
US10173821B2 (en) 2016-09-26 2019-01-0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fitment for flexible container
CN110049927A (zh) * 2016-10-14 2019-07-23 纳幕尔杜邦公司 流体用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0614A (ja) 2009-05-08 2010-11-18 Yushin:Kk 液状物充填包装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4121A (en) * 1963-08-01 1965-05-18 Ivers Lee Co Package with self sealing closure
GB2200049B (en) * 1987-01-21 1990-08-29 Metal Box Plc Baby feeding packs
US5018646A (en) * 1988-11-23 1991-05-28 S. C. Johnson & Son, Inc. Squeezable fluid container
US4974732A (en) * 1990-02-02 1990-12-04 S. C. Johnson & Son, Inc. Sealed pouch having tear-open spout
US5195658A (en) * 1991-03-12 1993-03-23 Toyo Bussan Kabushiki Kaisha Disposable container
US5378065A (en) 1993-12-30 1995-01-03 Tobolka; Stefan Container
WO1996011854A1 (en) 1994-10-12 1996-04-25 Plum Kemi Produktion A/S A bag or pouch for containing a fluid
AU7228296A (en) * 1995-10-11 1997-04-30 Nakamura Seitai Co., Ltd. Bag
US5761884A (en) 1995-11-29 1998-06-09 Arkmount Systems Inc. Method of making a filled container
US6655837B2 (en) * 1998-05-29 2003-12-02 Toyo Seikan Kaisha, Ltd. Pouch having a branched chamber
US6732889B2 (en) * 2002-02-06 2004-05-11 Ishai Oren Pouring spout for liquid containers, and liquid containers constructed therewith
JP4392198B2 (ja) 2003-06-27 2009-12-24 二瀬 克規 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4996815B2 (ja) 2003-07-31 2012-08-08 二瀬 克規 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ならびに包装袋の使用方法
JP2005052596A (ja) 2003-08-01 2005-03-03 Yamashiro Sangyo:Kk 自封式逆止弁を備える袋体
EP2354028B1 (en) * 2004-07-30 2013-08-28 Yushin Co., Ltd. Liquid spouting nozzle with a packaging bag
JP4545187B2 (ja) * 2007-11-30 2010-09-15 株式会社悠心 飲食品包装袋用の液体注出ノズルの製造方法
JP4490493B2 (ja) * 2008-07-11 2010-06-23 株式会社悠心 逆止機能ノズルを備えるフレキシブル包装袋
JP2010095272A (ja) * 2008-10-15 2010-04-30 Yushin:Kk 逆止機能ノズルを備えるフレキシブル包装袋および液状物充填包装構造体
US9309035B2 (en) 2009-06-25 2016-04-12 Yushin Co., Ltd. Self-standing liquid package bag with a flat film valve
JP5470554B2 (ja) * 2009-08-03 2014-04-16 株式会社悠心 液状物注出用フィルム状逆止弁およびフレキシブル包装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0614A (ja) 2009-05-08 2010-11-18 Yushin:Kk 液状物充填包装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252A (ko) 2013-10-16
JPWO2012111538A1 (ja) 2014-07-07
JP2015006928A (ja) 2015-01-15
BR112013020171A2 (pt) 2016-11-08
CN103370261A (zh) 2013-10-23
CN103370261B (zh) 2015-03-04
TWI464093B (zh) 2014-12-11
WO2012111538A1 (ja) 2012-08-23
JP5732700B2 (ja) 2015-06-10
ES2613712T3 (es) 2017-05-25
HK1188767A1 (en) 2014-05-16
EP2676896B1 (en) 2016-11-23
JP5665033B2 (ja) 2015-02-04
TW201242852A (en) 2012-11-01
EP2676896A4 (en) 2015-09-02
US20130315508A1 (en) 2013-11-28
US9321559B2 (en) 2016-04-26
EP2676896A1 (en) 2013-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8766B1 (en) Flexible packaging bag having a non-return function nozzle, and liquid-substance filling/packaging structure
KR101548843B1 (ko) 플렉시블 포장봉지
JP5540232B2 (ja) 液状物充填包装構造体
TWI373439B (ko)
JP2011148538A (ja) フィルム状逆止ノズルおよびフレキシブル包装袋
KR101375043B1 (ko) 플랫 필름 밸브가 딸린 자립형 액체 포장봉지
KR101895702B1 (ko) 포장봉지
US11655089B2 (en) Spout-equipped packaging 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spout-equipped packaging bag that contains contents
JP5470554B2 (ja) 液状物注出用フィルム状逆止弁およびフレキシブル包装袋
JP5445747B2 (ja) フラットフィルム弁付き自立型液体包装袋
JP5326083B2 (ja) 液状物充填包装構造体
JP5445752B2 (ja) 液状物注出用フィルム状逆止弁部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包装袋
WO2012067129A1 (ja) 包装袋および液状被包装物の注入包装方法
JP5392769B2 (ja) フィルム状逆止注出ノズル
JP2010030689A (ja) 逆止機能ノズルを備えるフレキシブル包装袋
JP5360573B2 (ja) 液状物注出用フィルム状逆止ノズル部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包装袋
JP4613551B2 (ja) 口栓付きパウ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