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702B1 - 포장봉지 - Google Patents

포장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702B1
KR101895702B1 KR1020167032480A KR20167032480A KR101895702B1 KR 101895702 B1 KR101895702 B1 KR 101895702B1 KR 1020167032480 A KR1020167032480 A KR 1020167032480A KR 20167032480 A KR20167032480 A KR 20167032480A KR 101895702 B1 KR101895702 B1 KR 101895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pouch
film
liquid
nozzle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8615A (ko
Inventor
가츠노리 후타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Publication of KR20160148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66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65D75/5822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with means for re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실링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원활한 주출과 주출량의 보다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며, 게다가 액 끊김성이 좋고, 액 떨어짐(liquid dripping)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는 포장봉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포장봉지는 베이스 필름층과 실란트층을 구비하는 적층 필름을 실란트층끼리 대향시켜 융착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포장봉지 본체와, 베이스 필름층을 사이에 끼우는 표리에 실란트층을 구비하는 적층 필름을 기단부(base end portion)를 제외한 나머지 둘레 가장자리 부분을 융착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셀프실링 기능을 갖는 필름 형상 주출 노즐로 이루어지며, 그 필름 형상 주출 노즐의 기단부를 상기 포장봉지 본체 꼭대기부에 융착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포장봉지에 있어서, 상기 필름 형상 주출 노즐은 상기 포장봉지 본체의 상단부로부터 측부 방향을 지향하는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되는 노즐 기단부 측에 위치하는 경사부와, 그 경사부의 자유단부(free end portion) 측에 연접된 그 포장봉지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봉지{Packaging bag}
본 발명은 셀프실링 기능을 갖는 필름 형상 주출 노즐을 구비하는 포장봉지에 관한 것이다.
역류 방지 타입의 필름 형상 주출 노즐을 구비하는 포장봉지로서는 특허문헌 1, 2 등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필름 형상 주출 노즐의 특징은 봉지 내 피포장물의 주출 시에 그 주출량의 체적 상당량의 공기(외기)가 포장봉지 내로 대신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점에 있다. 즉, 이 역류 방지 타입의 필름 형상 주출 노즐은 포장봉지 본체 자신의 수축 내지는 찌그러짐 변형에 의해 액상 피포장물(내용물)의 주출 정지와 동시에, 그 액상 피포장물에 의한 습윤 작용에 의해 역류 방지 주출 노즐 내의 주출 통로를 자동적으로 밀폐하여 포장봉지 내로의 외기 침입을 저지하는 역류 방지 기능(셀프실링 기능)을 발휘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 포장봉지에 의하면 봉지 내의 액상 피포장물을 주출함에 있어서는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 전, 주출 중 및 주출 후 모두 포장봉지 본체 내로의 외기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05-15029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 2005-59958호 공보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상기 역류 방지 타입의 필름 형상 주출 노즐을 구비하는 포장봉지의 경우에는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 정지 시에 포장봉지를 경동 자세로부터 기립 자세로 복귀시키는데, 이때 역류 방지 주출 노즐의 주출 통로는 그 내표면끼리 액상 피포장물에 의한 습윤 작용에 의해 상호 밀착하여 자동적으로 밀폐되게 된다.
이때 역류 방지 주출 노즐의 선단 개구 부근에 있는 액상 피포장물은 주출 통로를 통해 포장봉지 본체 내로 역류하는 것과 선단 개구로부터 밖으로 밀어내어지는 것으로 나뉘는데, 선단 개구로부터 밖으로 밀어내어진 액상 피포장물이 충분히 액 끊김(낙하)되지 않고 그 선단 개구에 부착 잔류해 흘러내리거나 그 개구의 하단으로부터 늘어지듯 떨어지거나 하여 포장봉지 및 그 주위를 오손시킬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포장봉지가 갖는 상기 게시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것은 종래의 역류 방지 타입 주출 노즐의 셀프실링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을 정지했을 때 주출 통로의 선단 개구에 있어서의 주출 특성을 저해하지 않고, 즉 원활한 주출과 주출량의 보다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며, 게다가 액 끊김성이 좋고, 액 떨어짐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는 포장봉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의 실현을 위한 연구 중, 가운데 발명자는 베이스 필름층과 실란트층을 구비하는 적층 필름을 실란트층끼리 대향시켜 융착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포장봉지 본체와,
베이스 필름층을 사이에 끼우는 표리에 실란트층을 구비하는 적층 필름을 기단부(base end portion)를 제외한 나머지 둘레 가장자리 부분을 융착 접합하여 상기 포장봉지 본체 내와 연통하는 주출 통로(pouring path)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셀프실링 기능을 갖는 필름 형상 주출 노즐
로 이루어지며, 그 필름 형상 주출 노즐의 기단부를 상기 포장봉지 본체 꼭대기부에 융착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포장봉지에 있어서,
상기 필름 형상 주출 노즐은
상기 포장봉지 본체의 상단부로부터 측부 방향을 지향하는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되는 노즐 기단부 측에 위치하는 경사부와, 그 경사부의 자유단부(free end portion) 측에 연접된 그 포장봉지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가 유효한 것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포장봉지에 대해서는 또한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해결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1) 상기 경사부는 주출 통로의 폭방향 중심선과 상기 포장봉지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가 이루는 각도(θ)가 25~70°의 기울기를 갖는 것,
(2) 상기 수평부는 경사부 반대쪽 선단부 근방에 주출용 개구를 위한 노치 또는 인열 유도흠(tear-guiding scar)이 설치되어 있는 것,
(3) 상기 수평부의 경사부 반대쪽 선단부 근방을 인열하여 형성되는 개봉 가장자리의 형상이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인 것,
(4) 상기 개봉 가장자리가 액상 피포장물의 토출방향에 대해 양단부가 오목 형상이고 중앙부가 볼록 형상인 것,
(5) 상기 필름 형상 주출 노즐은 상기 수평부의 경사부 반대쪽 선단부를 인열하여 개봉한 개구 폭과 상기 주출 통로의 노즐 기단부에 있어서의 통로 폭의 비가 1:1~1:10의 범위 내인 것,
(6) 상기 필름 형상 주출 노즐은 상기 경사부와 상기 수평부의 경계부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에 유입된 액상 피포장물의 흐름이 미가압 시에 일시적으로 정체되는 누출 방지용 굴곡부를 갖는 것,
(7) 상기 필름 형상 주출 노즐은 상기 수평부 또는 경사부 중 어느 하나의 위치 또는 그들의 경계에 있어서 상기 주출 통로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상기 표리의 적층 필름이 지그재그형으로 구부러진 하나 이상의 요철조(concave-convex form)로 이루어지는 누출 방지 주름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포장봉지는 셀프실링 기능을 갖는 역류 방지 타입 필름 형상 주출 노즐(이하, 간단히 「주출 노즐」이라고도 한다.)을 포장봉지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측부 방향을 지향하는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시켜 설치함으로써 개구단(opened end)에 있어서의 액 끊김성(liquid draining property)이 양호하다.
즉, 종래의 포장봉지는 주출 노즐이 봉지 본체의 측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약간의 경동(tilting)으로도 액상 피포장물이 주출되어 어떻게 해도 액 끊김이 나빠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포장봉지의 경우 종래의 포장봉지보다도 크게 경동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주출 노즐 선단 개구로부터 주출된 액상 피포장물의 그 개구를 따른 방향으로의 힘(타고 떨어지는 힘)이 작아진다. 게다가 주출 통로 내에 있는 미주출 액상 피포장물의 포장 내로의 흡입력(부압) 쪽이 보다 커진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포장봉지의 경우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 중 및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을 정지하기 위해 포장봉지를 기립 복귀시켰을 때의 액 끊김성이 좋아지는 동시에 주출 노즐 선단의 개구부에 액상 피포장물이 부착 잔류할 우려도 없어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액 떨어짐(liquid dripping)의 발생, 포장봉지 및 그 주위의 오손 우려를 유효하게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출 노즐에 인열 개구부를 포함하는 수평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포장봉지 본체 내의 액상 피포장물의 충전 공간으로부터 역류 방지 주출 노즐에 흘러들어간 액상 피포장물이 그 수평부에 있어서 정류화(rectifying)되고 층류가 되어 인열 개구부로 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액상 피포장물이 예측하지 못한 방향으로 비산되는 경우가 없으며, 게다가 포장봉지의 경동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액상 피포장물의 토출량을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봉지에 있어서 주출 노즐의 상향 경사각도를, 포장봉지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되는 경사부 주출 통로의 폭방향 중심선과 상기 포장봉지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가 이루는 각도(θ)가 25~70°가 되도록 한 경우에는, 포장봉지의 경동각도에 관계없이 액상 피포장물의 액 끊김성이 향상되어 액 떨어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액상 피포장물을 필요한 위치에 높은 주출 정확도로 주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평부의 경사부 반대쪽 선단부의 예를 들면, 노치나 인열 유도흠을 따른 인열에 의해 형성되는 개봉 가장자리의 형상을 주출 노즐의 상향 경사각도나 액상 피포장물의 종류, 용도 등에 맞추어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으로 하고 있다(또한, 개구 가장자리가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액상 피포장물의 토출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만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포장봉지 내 액상 피포장물의 잔량이 적어져 토출의 기세가 감소되었을 때에도 액상 피포장물은 곡선 형상의 개구 가장자리를 타고 떨어진 후 그 돌출 선단의 좁은 범위(1점)로부터 적하되게 되기 때문에 액 끊김은 더욱 좋아지고, 액상 피포장물이 선단 개구에 부착 잔류하는 경우가 없어 액 떨어짐의 발생, 포장봉지 및 그 주위의 오손 우려를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 선단의 개봉 가장자리 형상을 토출방향에 대해 양단부가 오목 형상이고, 중앙부가 볼록 형상인 파형으로 한 경우에는, 그 개봉 가장자리 중앙부가 개봉 가장자리 양단부에 위치하는 둘레 가장자리 실링부에 의한 구속으로부터 해방되어 유연성이 향상되고, 주출 노즐의 주출 통로 내표면끼리의 밀착 또는 박리가 신속하고 확실해져 액상 피포장물의 액 끊김이 대폭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출 노즐의 선단부를 인열하여 개봉한 개구 폭과 주출 통로의 노즐 기단부에 있어서의 통로 폭의 비를 1:1~1:10의 범위 내로 한 경우에 셀프실링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이 원활하고 액상 피포장물이 비산되는 경우가 없으며, 액 떨어짐의 발생도 유효하게 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출 노즐의 상기 경사부와 상기 수평부의 경계부 또는 그 근방 위치에 접은 자국을 내어 상기 경사부에 유입된 액상 피포장물의 흐름을 미가압 시에 일시적으로 정체시키는 누출 방지용 굴곡부를 설치함으로써, 주출 노즐 선단부의 인열 개봉 후에 있어서 포장봉지가 예측 불가하게 쓰러지거나 해도 액상 피포장물의 다량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봉지의 경우 주출 노즐을 구성하는 표리 적층 필름 상의 바람직하게는 노즐 기단부 근방으로 주출 통로를 횡단하여 연장되며, 또한 그 표리 적층 필름이 지그재그형으로 구부러진 하나 이상의 요철조로 이루어지는 누출 방지 주름을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요철조에 의한 탄성복원력의 향상에 의해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을 정지하여 포장봉지를 기립 복귀시켰을 때 표리 적층 필름끼리의 상호 밀착이 신속하고 확실해져 셀프실링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상기 요철조에 의해 주출 노즐을 폐지(closing)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주출 노즐의 개봉 후에 포장봉지가 예측 불가하게 쓰러지거나 해도 그 요철조가 덮개 역할을 하여 액상 피포장물의 누출을 저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봉지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포장봉지(a)와 본 발명의 포장봉지(b)의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 개시 시에 있어서의 경동 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낸 간략선도이다.
도 3의 (a)는 주출 노즐의 상향 경사각도(θ)를 설명하는 간략선도이며, (b) 및 (c)는 주출 노즐 선단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 형상을 나타내는 부분 간략선도이다.
도 4의 (a)는 주출 노즐에 요철조를 설치한 경우를 예시하는 부분 간략선도이며, (b)는 A-A부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포장봉지를 외용기 내에 수납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b)는 외용기를 경동시켜 액상 피포장물을 주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나타내는 바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포장봉지(1)는 포장봉지 본체(2)와 그 포장봉지 본체(2)와 연통하여 셀프실링 기능을 갖는 역류 방지 타입의 필름 형상 주출 노즐(3)로 이루어지며, 주출 노즐(3) 기단부의 최외층인 실란트층을 포장봉지 본체(2) 상단부 내표면의 실란트층에 포장봉지 본체(2)의 측부를 향해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시킨 자세로, 예를 들면 융착 접합함으로써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이 주출 노즐(3)은
a.열가소성의 연신 베이스 필름층, 예를 들면 5~40 ㎛의 두께인 1축 또는 2축 연신 PET층 또는 NY층과,
b.상기 연신 베이스 필름층을 사이에 끼우고 적층한 실란트층, 예를 들면 5~80 ㎛의 두께인 무연신 PE층 또는 PP층의
많게는 3층 구조를 갖는, 표·리 측으로 1쌍으로 하는 박육 적층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주출 노즐(3)은 윤곽 형상이 모두 동일한 표·리 2장의 박육 적층 필름 또는 중앙부 등에서 표리로 되접어 이루어지는 1장의 박육 적층 필름을 한쪽 실란트층의 상호 대향 자세로 기단변을 제외한 주변 부분을 예를 들면 히트 실링에 의해 서로 융착 접합시키는 등, 중앙부분에 주출 통로(4)를 구획 형성함으로써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하는 주출 노즐(3)은 선단부분(5)을 예를 들면 V자 형상의 노치부(6)의 위치에서 인열 제거 등에 의해 잘라 내어 주출 통로(4)에 선단 개구(7)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포장봉지(1)에 있어서는 봉지 내의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주출 노즐(3)의 선단부분(5)을 인열 제거하여 주출 노즐(3)의 주출 통로(4)에 선단 개구(7)를 형성한다. 이 상태로 포장봉지(1)를 경동시키고, 액상 피포장물을 수두압(hydraulic head pressure) 등에 의해 주출 통로(4)의 내표면끼리를 크게 격리시켜 선단 개구(7)를 개방시킴으로써 액상 피포장물의 필요에 따른 주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포장봉지 본체(2)가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 체적에 따라 수축 내지는 찌그러짐 변형됨으로써 포장봉지(1) 내에 외기의 혼입 없이 그 주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을 정지할 때는 포장봉지(1)를 기립 복귀시키고 그 기립 복귀와 동시에 주출 통로(4)가 액상 피포장물의 수두압 등으로부터 개방되는 동시에, 액상 피포장물이 포장봉지 본체(2) 내로 되돌아 흐름에 따른 부압의 발생하에서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는 것에 더하여, 그 액상 피포장물의 박막의 개재에 의해 젖은 내표면끼리를 포장봉지 본체(2) 내의 감압 분위기의 어시스트하에서 부압 흡착시켜 주출 통로(4)를 자동적으로 밀폐 실링시킴으로써, 포장봉지(1) 내로의 외기의 침입을 저지하는 셀프실링 기능을 주출 노즐(3)에 자동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포장봉지(1)의 경우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 전은 물론, 주출 중 및 주출 후 모두 외기와의 접촉으로부터 충분히 보호되게 되어 봉지 내의 액상 피포장물의 산화, 오손 등이 유효하게 방지되게 된다.
이러한 셀프실링 기능을 갖는 역류 방지 타입의 주출 노즐(3)을 구비하는 포장봉지(1)에 있어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주출 노즐(3)이 포장봉지 본체(2)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측부를 향하는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시킨 자세로 설치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로써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출 노즐(3)의 선단 개구(7)의 위치는 종래의 주출 노즐(3)이 포장봉지 본체(2)의 측부에 돌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포장봉지(1')의 선단 개구(7) 위치보다도 높아져 액상 피포장물을 주출하기 위해서는 포장봉지(1)를 종래보다도 크게 경동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도 2는 종래의 포장봉지(1')(도 2(a))와 본 발명의 포장봉지(1)(도 2(b))의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 개시 시에 있어서의 경동 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의 포장봉지(1)의 경우 사이드 가장자리 상부에 주출 노즐(3)을 장착한 타입인 종래의 포장봉지(1')에 비해서 기울기를 크게 하지 않으면 주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봉지(1)는 선단 개구(7) 단면을 따른 방향, 즉, 액상 피포장물이 선단 개구(7)의 하단을 따라 타고 떨어지는 방향의 힘이 작아져 주출된 액상 피포장물은 선단 개구(7)를 타고 떨어지지 않고 그대로 중력에 의해 노즐의 선단 개구(7) 단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적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장봉지(1)의 경우에는 액 끊김성이 좋고, 액상 피포장물이 선단 개구(7)에 부착 잔류하는 경우나 액 떨어짐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봉지(1)에 의하면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을 정지시킬 때에 있어서도 액상 피포장물을 주출하기 위해서 경동시키는 각도(개시각도)와 주출을 정지시킬 때의 경동각도(종료각도)는 대략 동등하기 때문에, 포장봉지(1)를 기립 복귀시켰을 때에 선단 개구(7) 부근으로부터 밖으로 밀어내어진 액상 피포장물은 그 선단 개구(7)를 타고 떨어지지 않고 그대로 선단 개구(7) 단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적하하는 동시에, 액상 피포장물이 선단 개구(7)에 부착 잔류하는 경우도 없어 액 떨어짐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주출 노즐(3)은 주출 통로(4) 경사부(4a)의 연장 부분(주출 노즐(3)의 자유단부 측)에 포장봉지 본체(2)의 상단 가장자리(2a)와 평행한 수평부(4b)를 갖는다. 이러한 수평부(4b)를 설치하면 포장봉지(1)의 경동에 의해 주출 통로(4)의 노즐 기단부(3a) 측 경사부(4a)에 흘러들어간 액상 피포장물은 그 경사부(4a)보다도 폭이 좁고 평행한 수평부(4b)로 진입함으로써 정류화되고 층류가 되어 선단 개구(7)로 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액상 피포장물이 예측하지 못한 방향으로 비산되는 경우가 없고, 또한 액 끊김성도 우수하며, 특히 포장봉지의 경동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액상 피포장물의 토출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액상 피포장물의 토출류는 수평부(4b) 부분이 길수록 정류화되어 액상 피포장물을 목적으로 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주출 노즐(3)은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부(4a)와 그 경사부(4a)의 자유단부로부터 대략 90°절곡하여 이루어지는 수평부(4b)로 이루어지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경사부(4a)와 수평부(4b)의 경계부 또는 그 근방 위치에 접은 자국을 내어 주출 통로(4)를 가로지르듯이 누출 방지용 굴곡부(1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누출 방지용 굴곡부(14)에 의하면 경사부(4a)에 유입된 액상 피포장물의 토출 압력이 작은 경우에는 주출 통로(4)를 폐색하여 액상 피포장물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정체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포장봉지(1)가 예측 불가하게 쓰러지거나 해도 액상 피포장물이 다량으로 누출될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이 작용 효과는 포장봉지(1)를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플라스틱제, 종이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용기 내에 수납 유지시킨 경우에 한층 유효하게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폐색된 주출 통로(4)는 포장봉지(1)의 경동각도를 크게 하는 외에, 포장봉지 본체(2) 몸통부(액상 피포장물의 충전 공간)를 손가락으로 눌러 주출 통로(4) 내에 흘러들어가는 액상 피포장물의 토출 압력을 크게 함으로써 개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포장봉지(1)의 경동각도와 손가락으로 포장봉지 본체(2)를 누르는 힘을 조정함으로써 액상 피포장물 토출량의 미묘한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주출 노즐(3)의 상기 상향 경사각도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출 통로(4) 경사부(4a)의 폭방향 중심선(α)과 포장봉지 본체(2) 상단 가장자리(2a)가 이루는 각도(θ)가 25~70°, 바람직하게는 40~6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범위로 함으로써 액 끊김성 및 토출 방향성 등의 상기 효과를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경사각도(θ)가 25°미만인 경우는, 주출 노즐(3)의 선단 개구(7)와 포장봉지 본체(2)의 상단 가장자리(2a)가 지나치게 가까워 주출된 액상 피포장물이 포장봉지 본체(2)에 부착되거나 액상 피포장물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토출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한편 경사각도(θ)가 70°를 초과하는 경우는, 액상 피포장물을 주출할 때에 포장봉지(1)를 크게 경동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포장봉지(1) 내의 액상 피포장물이 주출 노즐(3)의 주출 통로(4)에 한번에 흘러들어가 토출량을 조정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액상 피포장물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토출시키지 못해 비산되거나 하여 주위를 오손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주출 노즐(3)은 선단 개구(7)의 개구 폭(a)과 주출 통로(4)의 노즐 기단부(3a)에 있어서 통로 폭(b)의 비(a:b)를 바람직하게는 1:1~1:10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1:1~1:6의 범위 내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셀프실링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는 동시에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이 원활하고, 액상 피포장물이 비산되는 경우가 없으며, 게다가 액 떨어짐의 발생도 유효하게 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주출 노즐(3)은 상기한 바와 같은 노치부(6) 외에 인열 유도흠을 따라 인열하여 개봉되어 선단 개구(7)가 형성된다. 또한 노치부(6) 또는 인열 유도흠을 따른 인열에 의해 형성되는 개봉 가장자리의 형상은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으로 한다. 그 개봉 가장자리 형상이 직선 형상인 경우에는 포장봉지(1)의 기립 자세에서 포장봉지 본체(2)의 상단 가장자리(2a)에 대해 수직이어도 되고, 하단이 주출 노즐(3)의 선단부분(5) 측 또는 기단부(3a) 측에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들은 주출 노즐(3)의 상향 경사각도나 피포장물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한다.
또한 주출 노즐(3) 선단의 개봉 가장자리 형상이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상 피포장물의 토출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만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봉지 내 피포장물의 잔량이 감소하여 토출류가 약해졌을 때에도 액상 피포장물이 곡선 형상의 개봉 가장자리를 타고 흐른 후 돌출 선단 위치의 1점으로부터 적하되게 되기 때문에 액 끊김성이 향상되어 액 떨어짐 등의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 가장자리 형상을 양단부(7a)를 토출방향을 향해 오목 형상, 중앙부(7b)를 볼록 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개봉 가장자리 중앙부(7b)가 개봉 가장자리 양단부(7a)에 위치하는 주출 노즐(3)의 둘레 가장자리 실링부에 의한 구속으로부터 해방되어 유연해져, 선단 개구(7)의 개폐가 신속하고 확실해져 액 끊김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포장봉지(1)의 경우에는 액상 피포장물을 예를 들면 액중 실링 충전에 의한 배기하, 또는 질소나 탄산가스 등을 미소 기포(직경 1 ㎛~150,000 ㎛ 정도)로 액상 피포장물 중에 확산시킨 상태로 충전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장봉지(1) 내에 질소나 탄산가스 등의 가스를 충전한 경우에는 그 가스에 의해 포장봉지 본체(2) 내표면끼리의 밀착력이 완화되는 동시에 그 가스의 점유 공간 내로 액상 피포장물의 유입이 유도(치환)됨으로써, 액상 피포장물을 원활히 주출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액상 피포장물의 봉지 내 잔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포장봉지 본체(2)에 액상 피포장물과 함께 봉입하는 가스로서는 액상 피포장물의 종류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액상 피포장물이 공기에 의해 산화나 오손되기 쉬운 것인 경우(예를 들면 간장과 같은 조미액, 유류, 화장품, 의약품 등)에는 질소나 탄산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상 피포장물이 일정량의 활성 가스와 접촉함으로써도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 것인 경우(예를 들면 각종 주류 등)에는 산소나 희석 공기 등의 활성 가스를 사용해도 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주출 노즐(3)이 셀프실링 기능을 갖기 때문에 주출 노즐(3)에 의해 포장봉지 본체(2) 내로의 외기의 침입이 저지되어 포장봉지 본체(2) 내에서의 호기성 균의 증식을 유효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봉지 본체(2) 내의 용존산소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보툴리누스균이나 웰치균과 같은 혐기성 균이 증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경우 액상 피포장물과 함께 정균효과를 갖는 예를 들면 탄산가스나 탄산가스와 질소가스 등의 혼합가스를 봉입함으로써 액상 피포장물의 pH가 내려가 혐기성 균의 증식을 유효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출 노즐(3)을 구성하는 적층 필름(8a, 8b) 상의, 바람직하게는 노즐 기단부(3a) 근방 위치에 주출 노즐(3)의 주출 통로(4)를 횡단하여 연장되며, 또한 도 4(a)의 A-A부에 있어서의 단면도(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필름(8a, 8b)이 지그재그형으로 구부러진 하나 이상의 요철조(9, 10)로 이루어지는 누출 방지 주름(1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누출 방지 주름(11)을 채용하면 적층 필름(8a, 8b)의 원래 형상으로의 탄성복원력이 높아져, 주출 노즐(3)의 선단부분(5)을 개봉한 후에 있어서 포장봉지(1)가 잘못해서 쓰러지는 경우가 있어도 누출 방지 주름(11)의 존재에 의해 액상 피포장물이 선단 개구(7)로부터 누출될 우려가 없어진다. 더 나아가서는, 그 누출 방지 주름(11)에 의해 주출 통로(4) 내표면끼리의 밀착이 신속하고 확실해지기 때문에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을 정지하고 포장봉지(1)를 기립 복귀시켰을 때의 셀프실링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포장봉지 본체(2) 내에 액상 피포장물과 함께 가스를 봉입한 경우에는 그 가스가 주출 노즐(3)의 주출 통로(4)에 진입하거나 하여 주출 통로(4) 내면끼리의 밀착이 저해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누출 방지 주름(11)의 형성이 효과적이게 된다.
이러한 포장봉지(1)는 그 자체는 자립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 시에는 종이제나 플라스틱제, 도기제 등의 외용기 내에 수납하여 자립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용기로서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포장봉지(1)에 액상 피포장물을 충전 포장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와 대략 동형의 하부가 통형상이고 상부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용기(12)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 외용기(12)는 내포하는 포장봉지(1)의 주출 노즐(3)에 상당하는 위치에 인열 유도흠(13)을 가져 그 인열 유도흠(13)을 따라 인열 개봉함으로써 안쪽에 위치하는 주출 노즐(3)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용기(12)를 주출 노즐(3)의 선단 개구(7)가 아래를 향하도록 경동시킴으로써 필요한 주출을 행할 수 있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주출 노즐이 포장봉지 본체의 상단부로부터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본 발명예의 포장봉지와 주출 노즐이 포장봉지 본체의 측부로부터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비교예의 포장봉지를 사용하여, 각각의 포장봉지에 대해 포장봉지 내의 액상 피포장물의 잔량을 변화시켰을 때의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 개시각도(포장봉지 바닥부의 경사각도)와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 후 액 떨어짐의 발생 유무를 확인하였다. 포장봉지로서는 용량 500 ㎖의 봉지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113796963-pct00001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예에서는 비교예보다도 액상 피포장물을 토출하기 위해 포장봉지를 크게 경동시킬 필요가 있어, 액상 피포장물은 주출 노즐의 개구 단면을 타고 떨어지지 않고 그대로 적하되었다. 또한 본 발명예에서는 액상 피포장물의 봉지 내 잔량에 관계없이 액상 피포장물이 주출 노즐의 개구 단면에 부착 잔류하는 경우가 없어 액 끊김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포장봉지  2 포장봉지 본체  2a 상단 가장자리  3 주출 노즐  3a 노즐 기단부  4 주출 통로  4a 경사부  4b 수평부  5 선단부분  6 노치부  7 선단 개구  7a 개봉 가장자리 중앙부  7b 개봉 가장자리 양단부  8a, 8b 적층 필름  9 요조(concave form)  10 철조(convex form)  11 누출 방지 주름  12 외용기  13 인열 유도흠  14 누출 방지용 굴곡부

Claims (8)

  1. 베이스 필름층과 실란트층을 구비하는 적층 필름이 실란트층끼리의 대향 자세로 융착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포장봉지 본체와,
    베이스 필름층을 사이에 끼우는 표리에 실란트층을 구비하는 적층 필름이 기단부(base end portion)를 제외한 나머지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서 융착 접합되어 상기 포장봉지 본체 내와 연통하는 주출 통로(pouring path)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셀프실링 기능을 갖는 필름 형상 주출 노즐
    로 이루어지며, 그 필름 형상 주출 노즐이 그의 기단부에서 상기 포장봉지 본체 꼭대기부에 융착 접합되어, 그 포장봉지 본체의 상단부로부터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는 포장봉지에 있어서,
    상기 필름 형상 주출 노즐의 주출 통로는,
    상기 포장봉지 본체의 상단부로부터 측부 방향을 지향하는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되는 필름 형상 주출 노즐의 기단부 측에 위치하는 경사부와, 그 경사부의 자유단부(free end portion) 측에 연접된, 상변 및 하변이 모두 그 포장봉지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경사부보다도 폭이 좁은 수평부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주출 통로의 폭방향 중심선과 상기 포장봉지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가 이루는 각도(θ)가 25~70°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경사부 반대쪽 선단부 근방에 주출용 개구를 위한 노치 또는 인열 유도흠(tear-guiding scar)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의 경사부 반대쪽 선단부 근방을 인열하여 형성되는 개봉 가장자리의 형상이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가장자리가 액상 피포장물의 토출방향에 대해 양단부가 오목 형상이고 중앙부가 볼록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형상 주출 노즐은 상기 수평부의 경사부 반대쪽 선단부를 인열하여 개봉한 개구 폭과 상기 주출 통로의 노즐 기단부에 있어서의 통로 폭의 비가 1:1~1:10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형상 주출 노즐은 상기 경사부와 상기 수평부의 경계부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에 유입된 액상 피포장물의 흐름이 미가압 시에 일시적으로 정체되는 누출 방지용 굴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형상 주출 노즐은 상기 수평부 또는 경사부 중 어느 하나의 위치 또는 그들의 경계에 있어서 상기 주출 통로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상기 표리의 적층 필름이 지그재그형으로 구부러진 하나 이상의 요철조(concave-convex form)로 이루어지는 누출 방지 주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KR1020167032480A 2014-07-08 2015-06-03 포장봉지 KR1018957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40352 2014-07-08
JP2014140352 2014-07-08
JP2014173704 2014-08-28
JPJP-P-2014-173704 2014-08-28
PCT/JP2015/065996 WO2016006369A1 (ja) 2014-07-08 2015-06-03 包装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615A KR20160148615A (ko) 2016-12-26
KR101895702B1 true KR101895702B1 (ko) 2018-09-05

Family

ID=5506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480A KR101895702B1 (ko) 2014-07-08 2015-06-03 포장봉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40616B2 (ko)
EP (1) EP3168171A4 (ko)
JP (1) JP5975452B2 (ko)
KR (1) KR101895702B1 (ko)
CN (1) CN106536373B (ko)
TW (1) TWI564221B (ko)
WO (1) WO20160063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8212B1 (ja) * 2016-10-24 2017-09-20 株式会社悠心 漏れ止め機能に優れる注出ノズル
JP7019993B2 (ja) * 2017-08-21 2022-02-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詰替え用パウチ
NL2021221B1 (en) * 2018-07-02 2020-01-07 Alro B V Assembly and method for preserving and dispensing a consumable food substance
GB2579391A (en) * 2018-11-29 2020-06-24 Real Drinks Company Ltd A pouch for containing a bever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5029A (ja) 2003-06-27 2005-01-20 Yushin Giken Kk 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2005059958A (ja) * 2003-07-31 2005-03-10 Yushin Giken Kk 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ならびに包装袋の使用方法
JP2011046394A (ja) * 2009-08-26 2011-03-10 Yushin:Kk 液状物注出用フィルム状逆止弁部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包装袋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8238U (ko) * 1985-12-24 1987-07-10
JPS62108238A (ja) 1986-02-03 1987-05-19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露光制御装置
WO1988002339A1 (en) * 1986-10-01 1988-04-07 James Patrick Hawkins Self-sealable liquid dispensing container
US5251982A (en) * 1988-07-08 1993-10-12 Ab Tetra Pak Discharging device for a packaging container
US4988016A (en) * 1989-01-30 1991-01-29 James P. Hawkins Self-sealing container
US5005734A (en) * 1989-03-23 1991-04-09 Colgate-Palmolive Company Flexible pouch with reinforcement to facillitate pouring
US4974732A (en) * 1990-02-02 1990-12-04 S. C. Johnson & Son, Inc. Sealed pouch having tear-open spout
JPH08230906A (ja) 1995-02-27 1996-09-10 Kamaya Kagaku Kogyo Co Ltd 押し出し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0806C (zh) 1996-12-16 2001-09-12 岸本产业株式会社 具有排出口的合成树脂薄膜袋
JPH1129174A (ja) * 1997-07-09 1999-02-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袋
JPH11321923A (ja) * 1998-05-14 1999-11-24 Lion Corp パウチ入り液剤製品
JP2000043902A (ja) * 1998-07-27 2000-02-15 Lion Corp 液体収容パウチ
JP4667598B2 (ja) 2000-11-22 2011-04-13 カウパック株式会社 流体包装袋
JP4866502B2 (ja) * 2000-12-27 2012-02-01 カウパック株式会社 流体包装袋
CN2534112Y (zh) 2002-01-30 2003-02-05 惠州兆婷化妆品有限公司 一种液体包装袋
US6732889B2 (en) * 2002-02-06 2004-05-11 Ishai Oren Pouring spout for liquid containers, and liquid containers constructed therewith
JP4202733B2 (ja) * 2002-11-29 2008-12-24 二瀬 克規 注出ノズルを有する包装袋の製造方法
KR101110521B1 (ko) 2004-07-30 2012-01-31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액체 주출 노즐, 그것을 사용한 포장봉지
JP4910528B2 (ja) * 2006-07-14 2012-04-04 凸版印刷株式会社 軟質包装袋
JP5540232B2 (ja) 2009-05-08 2014-07-02 株式会社悠心 液状物充填包装構造体
JP5588698B2 (ja) 2010-03-03 2014-09-10 藤森工業株式会社 注出口を有する袋体
JP5573245B2 (ja) * 2010-03-08 2014-08-20 凸版印刷株式会社 詰替え容器
JP2011207484A (ja) 2010-03-29 2011-10-20 Meiwa Pax Co Ltd 包装用袋
JP5633201B2 (ja) * 2010-06-11 2014-12-03 凸版印刷株式会社 詰替え容器
JP5544455B2 (ja) * 2010-10-12 2014-07-09 大成ラミック株式会社 包装袋およびそれ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包装袋に対する被包装物の充填包装方法
JP2012176782A (ja) * 2011-02-28 2012-09-13 Fuji Seal International Inc パウチ容器
US8381948B1 (en) * 2011-09-06 2013-02-26 Bo Xin Jian Automatic liquid stop bag with bent portion
JP6108517B2 (ja) 2012-07-03 2017-04-05 株式会社悠心 包装袋
MY177322A (en) * 2012-10-03 2020-09-11 Toppan Printing Co Ltd Refillable container
JP2015117063A (ja) * 2013-12-20 2015-06-25 花王株式会社 易開封性包装袋
JP5945855B2 (ja) * 2014-06-04 2016-07-05 株式会社悠心 包装袋
JP5822155B1 (ja) * 2015-01-22 2015-11-24 株式会社悠心 ガス及び液状物の充填包装方法
JP2016193754A (ja) * 2015-04-01 2016-11-17 株式会社悠心 撥水もしくは撥油処理を施した帯電防止フィルムからなるフィルム状注出ノズルおよびそのフィルム状注出ノズルの融着構造
JP2016204050A (ja) * 2015-04-27 2016-12-08 株式会社悠心 液状物充填包装体の収納用容器
JP6399495B2 (ja) * 2015-08-21 2018-10-03 株式会社悠心 液状物充填包装体用保持容器
JP6241799B2 (ja) * 2015-09-11 2017-12-06 株式会社悠心 逆止タイプ注出ノズル
JP6384962B2 (ja) * 2015-12-01 2018-09-05 株式会社悠心 液状物包装用複合型容器および該複合型容器における包装体の収納保持方法
JP6065991B1 (ja) * 2016-01-04 2017-01-25 株式会社悠心 包装用積層フィルムからなる逆止注出ノズルおよび包装用積層フィルムに引裂き誘導疵を形成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5029A (ja) 2003-06-27 2005-01-20 Yushin Giken Kk 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2005059958A (ja) * 2003-07-31 2005-03-10 Yushin Giken Kk 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ならびに包装袋の使用方法
JP2011046394A (ja) * 2009-08-26 2011-03-10 Yushin:Kk 液状物注出用フィルム状逆止弁部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包装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68171A4 (en) 2018-03-07
TW201615509A (zh) 2016-05-01
US20170043927A1 (en) 2017-02-16
CN106536373B (zh) 2019-02-15
TWI564221B (zh) 2017-01-01
KR20160148615A (ko) 2016-12-26
EP3168171A1 (en) 2017-05-17
US10040616B2 (en) 2018-08-07
JP5975452B2 (ja) 2016-08-23
CN106536373A (zh) 2017-03-22
WO2016006369A1 (ja) 2016-01-14
JPWO2016006369A1 (ja)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4015B2 (en) Flexible package bag provided with one-way functioning nozzle and packaging structure for liquid material
KR101895702B1 (ko) 포장봉지
JP4996815B2 (ja) 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ならびに包装袋の使用方法
KR101612200B1 (ko) 포장봉지, 그것을 사용한 포장체 및 그 포장봉지의 제조방법
CN111204518B (zh) 包装阀封闭系统及其方法
KR101965042B1 (ko) 포장봉지
RU2498934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и выдачи композиций, имеющий выливной канал с когезивным закрывающим клапаном и запирающим пузырьком (варианты)
AU2015301560A1 (en) Barrier spout for a flexible bag and a flexible bag having a barrier spout
JP2011148538A (ja) フィルム状逆止ノズルおよびフレキシブル包装袋
KR101548843B1 (ko) 플렉시블 포장봉지
WO2010150911A1 (ja) フラットフィルム弁付き自立型液体包装袋
JP5459639B2 (ja) 引裂き開封性に優れるフィルム状逆止ノズルおよびその引裂き誘導線形成方法
JP5344761B2 (ja) 飲料水用ダブルパック包装袋および飲料水・抽出素材共充填型包装構造体
JP5483191B2 (ja) 注出キャップ
JP5712270B2 (ja) 液体流出防止機能付バッグ
JP6384962B2 (ja) 液状物包装用複合型容器および該複合型容器における包装体の収納保持方法
JP6250326B2 (ja) パウチ容器
JP4139638B2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5326083B2 (ja) 液状物充填包装構造体
WO2011071173A1 (ja) 飲料水用ダブルパック包装袋および飲料水・抽出素材共充填型包装構造体
TWI600589B (zh) Gas and liquid filled packing method
JP3037964U (ja) 流動性物質包装体用包装袋
JP6341604B2 (ja) 包装体
JP2019131202A (ja) 注出ノズル
JP2017222395A (ja) 加圧吐出型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