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468B1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468B1
KR101965468B1 KR1020147014030A KR20147014030A KR101965468B1 KR 101965468 B1 KR101965468 B1 KR 101965468B1 KR 1020147014030 A KR1020147014030 A KR 1020147014030A KR 20147014030 A KR20147014030 A KR 20147014030A KR 101965468 B1 KR101965468 B1 KR 101965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member
sliding contact
engaging
receiving hole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8577A (ko
Inventor
야스타카 시미즈
유키 히라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40088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4B99/005Turn-button faste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3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 F16B21/075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the socket having resilient parts on its inside and out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0Trim molding fastener
    • Y10T24/309Plastic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017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specific mounting means for attaching to rigid or semirigid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 Y10T24/44026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specific mounting means for attaching to rigid or semirigid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for cooperating with aperture in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272Projection passes through cavity then moves toward noninserted portion of its member to complete interlock [e.g., snap hoo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암부재의 수용 구멍 내에는, 수부재의 축부의 선단에 형성된 제 1 캠부에 대한 제 1 슬라이딩 접촉부와, 수부재의 축부의 중간에 형성된 결합 돌부에 대한 결합 오목부와, 수용 구멍의 구멍 입구에 있어서 수부재의 결합 돌부에 형성된 제 2 캠부에 대한 제 2 슬라이딩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구멍에의 축부의 삽입시에, 제 1 캠부와 제 1 슬라이딩 접촉부의 슬라이딩 접촉과 이에 잇따르는 제 2 캠부와 제 2 슬라이딩 접촉부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결합 오목부에 결합 돌부를 결합 가능하게 하는 수부재의 왕동 회동이 촉진된다. 결합 오목부와 결합 돌부가 결합된 상태로부터 수부재를 복동 회동시켰을 때에 제 2 캠부와 결합 오목부의 내벽과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결합 오목부로부터 결합 돌부를 발출시키는 방향의 탄성 변형이 촉진된다.

Description

클립{CLIP}
본 발명은, 수부재와 이를 받아들이는 암부재로 구성되며, 양자의 조립 결합 상태에서 암부재가 장착되는 한쪽 측 장착 대상에 다른쪽 측 장착 대상을 연결하게 하도록 이용되는 클립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그로밋 본체와 고정 핀으로 이루어지는 그로밋(고정구)에 있어서, 그로밋 본체에의 고정 핀의 삽입 시에 고정 핀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 돌기가 그로밋 본체 내에 형성된 고정용 돌기의 바로 위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에, 고정 핀의 걸림 돌기에 슬라이딩 접촉해서 이 위치까지의 고정 핀의 회전을 촉진하는 모따기부(캠부)를 그로밋 본체의 입구에 형성시킨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그로밋에 있어서는, 어느 방향으로 고정 핀을 그로밋 본체에 삽입해도 양자를 원활하게 결합 가능하게 하는 것이지만, 양자의 분리에 있어서는 이러한 결합을 푸는 크기의 힘으로 그로밋 본체 내로부터 고정 핀을 빼내는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공평4-29124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주된 과제는, 이런 종류의 고정구(클립)에 있어서, 암부재에 어느 방향으로 수부재를 삽입해도 양자를 원활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결합의 해제도 삽입된 수부재의 일 방향으로의 회동 조작에 의해 원활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클립을, 머리부와 축부를 구비한 수부재와,
기부(基部)와 한쪽 측 장착 대상에 형성된 장착 구멍에의 끼움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기부에 구멍 입구를 갖고서 상기 끼움부 내에 이어지는 상기 수부재의 축부의 수용 구멍을 구비한 암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 구멍에 상기 축부를 소정 위치까지 삽입한 조립 결합 상태에서 수부재의 머리부와 암부재의 기부 사이에서 다른쪽 측 장착 대상을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된 클립으로서,
상기 암부재의 수용 구멍 내에는, 상기 수부재의 축부의 선단에 형성된 제 1 캠부에 대한 제 1 슬라이딩 접촉부와,
이 제 1 슬라이딩 접촉부의 옆쪽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의 축부의 중간에 형성된 결합 돌부에 대한 결합 오목부와,
상기 수용 구멍의 구멍 입구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의 결합 돌부에 형성된 제 2 캠부에 대한 제 2 슬라이딩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 구멍에의 축부의 삽입 시에, 상기 제 1 캠부와 제 1 슬라이딩 접촉부의 슬라이딩 접촉과 이에 잇따르는 상기 제 2 캠부와 제 2 슬라이딩 접촉부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상기 결합 오목부에 결합 돌부를 결합 가능하게 하는 상기 수부재의 왕동(往動) 회동이 촉진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결합 오목부와 결합 돌부가 결합된 상태로부터 상기 수부재를 복동(復動) 회동시켰을 때에 상기 제 2 캠부와 결합 오목부의 내벽과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상기 결합 오목부로부터 결합 돌부를 발출시키는 방향의 탄성 변형이 촉진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암부재의 수용 구멍에 수부재의 축부를, 결합 돌부가 결합 오목부에 들어가지 않는 방향, 즉, 결합 돌부가 결합 오목부의 바로 위에 위치하지 않는 방향으로 삽입하려고 했을 때는, 제 1 슬라이딩 접촉부가 제 1 캠부에 접촉하여 이 방향에서의 수용 구멍에의 축부의 진입이 저지되지만, 제 1 캠부의 안내에 의해 상기 결합 돌부가 결합 오목부에 들어가는 위치를 향해 수부재를 왕동 회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접촉부와 제 1 캠부에 의해 수부재가 왕동 회동되어 수용 구멍의 구멍 입구에 결합 돌부의 제 2 캠부가 위치되는 위치까지 수용 구멍 내에 축부가 진입되면, 제 2 캠부에 제 2 슬라이딩 접촉부가 접하여, 이 제 2 캠부의 안내에 의해 상기 결합 돌부가 결합 오목부에 결합 가능하게 되는 위치까지 수부재를 더 왕동 회동시킬 수 있다. 그와 아울러, 이와 같이 수부재와 암부재를 결합·조립한 상태를, 상기 제 2 캠부와 결합 오목부의 입구 부분과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수부재의 복동 회동 조작에 따라, 원활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캠부 및 결합 오목부와 결합 돌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 제 2 캠부에 마주보는 결합 오목부의 내벽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은, 수부재의 축부의 축선을 둘러싸는 방향에서, 이 축선에 점점 접근하는 경향을 가진 경사면으로 구성해 놓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가 된다.
상기 암부재의 수용 구멍 내에, 결합 오목부와 결합 돌부가 결합된 상태로부터 수부재를 복동 회동시켰을 때에 축부의 선단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상기 수용 구멍으로부터 이 축부를 발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3 캠부를 형성시켜 두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해 놓으면, 상기한 바와 같이 수부재와 암부재를 결합·조립한 상태를, 수부재의 복동 회동 조작에 따라, 더 원활하게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수부재의 축부의 축선을 둘러싸는 방향에서 결합 돌부의 옆쪽에 오목한 곳을 형성시켜, 수부재의 소정의 왕동 회동 위치에서 이 오목한 곳에 제 1 슬라이딩 접촉부가 들어가도록 해 둠과 아울러, 결합 오목부와 결합 돌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오목한 곳 내의 한쪽 단차부(段差部)에 제 1 슬라이딩 접촉부가 접촉하여 수부재의 왕동 회동이 저지되도록 해 놓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해 놓으면, 수부재와 암부재를 결합·조립한 상태에서는, 이를 해제하는 복동 방향으로만 수부재의 회동 조작을 허용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구멍을 막힌 구멍 모양으로 구성함과 아울러, 결합 오목부를 암부재의 기부에 형성시켜 두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해 놓으면, 암부재의 내부를 통해서 한쪽 측 장착 대상의 한쪽 측과 다른쪽 측은 연통되는 경우는 없어, 클립을 통해 수밀성 내지는 기밀성이 높게 한쪽 측 장착 대상과 다른쪽 측 장착 대상을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립에 있어서는, 이를 구성하는 암부재에 어느 방향으로 수부재를 삽입해도 양자를 원활히 결합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그 결합의 해제도 삽입된 수부재의 복동 회동 조작에 의해 원활하게 이룰 수 있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립을 구성하는 수부재와 암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도 2는 상기 수부재의 축부를 암부재 내에 삽입시키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도 3은 도 2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 도 4는 도 2 상태로부터 상기 수부재의 축부가 왕동 회동되어 이 축부가 도 2 상태보다 암부재 내에 더 들어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도 5는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 도 6은 도 5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 도 7은 상기 암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8] 도 8은 도 7과 90도 다른 방향에서 상기 암부재를 관찰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0]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1] 도 11은 상기 암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 도 12는 상기 암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3] 도 13은 상기 수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4] 도 14는 도 13과 90도 다른 방향에서 상기 수부재를 관찰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 도 15는 상기 수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6] 도 16은 상기 수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7] 도 17은 도 15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8] 도 18은 도 15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9] 도 19는 도 14에 있어서의 E-E선 단면도이다.
이하, 도 1∼도 19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립은, 수부재(M)와 이를 받아들이는 암부재(F)로 구성되며, 양자의 조립 결합 상태에서 암부재(F)가 장착되는 한쪽 측 장착 대상(P)에 다른쪽 측 장착 대상(P')을 클립을 통해 연결시키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수부재(M)는, 머리부(1)와 축부(2)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암부재(F)는, 기부(3)와 한쪽 측 장착 대상(P)에 형성된 장착 구멍(Pa)에의 끼움부(4)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기부(3)에 구멍 입구(50)를 갖고서 상기 끼움부(4) 내에 이어지는 상기 수부재(M)의 축부(2)의 수용 구멍(5)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 구멍(5)에 상기 축부(2)를 소정 위치까지 삽입한, 수부재(M)와 암부재(F)의 조립 결합 상태에서, 이러한 수부재(M)의 머리부(1)와 암부재(F)의 기부(3) 사이에서 다른쪽 측 장착 대상(P')을 보유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한쪽 측 장착 대상(P) 및 다른쪽 측 장착 대상(P')은 둘 다, 패널로 되어 있다.
한쪽 측 장착 대상(P)에는 사각형 장착 구멍(Pa)이 관통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암부재(F)의 끼움부(4)는, 이 장착 구멍(Pa)에의 끼움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斷面)을 이 장착 구멍(Pa)의 구멍 가장자리 형상에 거의 따른 형상으로 하고, 또, 이 장착 구멍(Pa)에 간극 적게 수용되는 굵기로 되어 있다. 한편, 암부재(F)의 기부(3)는, 이러한 장착 구멍(Pa)에 들어가지 않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기부(3)는, 원판 모양을 이루는 자리부(座部)(30)를 갖는다. 이 자리부(30)의 일면 측 중앙에는 원통 모양의 돌출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끼움부(4)는 이러한 자리부(30)의 다른면 측에 일체로 연접되어 있다. 끼움부(4)는, 원통 모양을 이루는 중심부(40)를 갖는다.
이러한 돌출부(31)의 내측 공간은 중심부(40)의 내측 공간에 연통되어 있으며, 이들 공간에 의해 상기 수용 구멍(5)이 구성되어 있다. 돌출부(31)의 돌출단(突出端)에서 수용 구멍(5)은 바깥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한편, 중심부(40)의 단말에서 수용 구멍(5)은 폐색되어 있어, 수용 구멍(5)은 기부(3)에 구멍 입구(50)를 가진 막힌 구멍 모양을 이루고 있다.
끼움부(4)에 있어서의 상기 중심부(40)를 사이에 둔 양측에는 각각, 외곽부(外郭部)(41)가 형성되어 있다. 외곽부(41)는, 판의 한 변을 자리부(30)의 다른면에 일체로 연접시킨 중앙판부(41a)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외곽부(41, 41)의 중앙판부(41a)는 평행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이 한 쌍의 외곽부(41, 41)의 중앙판부(41a)의 외면 사이 거리는 상기 장착 구멍(Pa)의 마주보는 변 사이 거리와 거의 일치해 있다. 이러한 중앙판부(41a)의 자리부(30)로부터의 돌출 치수는 중심부(40)의 돌출 치수보다 약간 크며, 또한, 이러한 중앙판부(41a)의 폭은 중심부(40)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중앙판부(41a)의 좌우에는 각각 중앙판부(41a)와의 사이에 끼움부(4)의 전 길이에 걸쳐 거의 직각인 코너(41c)를 형성하여 중심부(40)의 외면에 이어지는 측판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외곽부(41, 41)에 의해 구성되는 4개의 코너(41c...41c)를 가상의 직선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사각형과 상기 장착 구멍(Pa)의 구멍 가장자리 형상이 거의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중심부(40)와 외곽부(41)의 중앙판부(41a) 사이에는, 끼움부(4)의 단말에서 바깥쪽으로 개방된 공간(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곽부(41)의 중앙판부(41a)에는, 끼움부(4)의 근본에서부터 단말을 향해 이어지는 한 쌍의 종분할 홈(41d, 41d)과, 끼움부(4)의 기부(3)와 자리부(30) 사이에서 이 한 쌍의 종분할 홈(41d, 41d)의 홈 끝 사이에 걸치는 횡분할 홈(41e)에 의해, 끼움부(4)의 단말 측을 대강 중심으로 한 탄성 변형을 생기게 하도록 구성된 탄성 결합편(43)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결합편(43)의 외측에는 이 탄성 결합편(43)의 자유단(43c) 측으로 향함에 따라 이 탄성 결합편(43)의 두께를 점증시키는 경사면(43b)에 의해 융기부(43a)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외곽부(41, 41)의 탄성 결합편(43)에 있어서의 융기부(43a)의 꼭대기부(頂部) 사이 거리는, 상기 장착 구멍(Pa)의 마주보는 변 사이 거리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러한 장착 구멍(Pa)에 끼움부(4)를 삽입하면, 이 장착 구멍(Pa)의 구멍 가장자리부(緣部)에 상기 융기부(43a)의 경사면(43b)이 슬라이딩 접촉해서 상기 공간 내에 탄성 결합편(43)이 휘어 들어가, 이러한 삽입이 허용된다. 탄성 결합편(43)의 자유단(43c)이 장착 구멍(Pa)의 삽입처 측 구멍 가장자리를 넘어가는 위치까지 상기 삽입이 이루어지면, 탄성 결합편(43)은 휘어 돌아와, 자유단(43c)은 이러한 구멍 가장자리부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한쪽 측 장착 대상(P)의 장착 구멍(Pa)에 암부재(F)의 끼움부(4)를 삽입하면 원터치로 이 한쪽 측 장착 대상(P)에 암부재(F)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도면 속 부호 6으로 나타내는 것은, 이러한 장착 상태에서, 기부(3)를 구성하는 자리부(30)의 다른면과 한쪽 측 장착 대상(P) 사이를 밀봉하도록 끼움부(4)의 근본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탄성 씰재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31)에는, 그 직경 방향 양측에, 후술하는 수부재(M)의 결합 돌부에 대한 결합 오목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러한 결합 오목부(32)는 돌출부(31)의 측부(側部)를 관통하는 사각형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 오목부(32)는 돌출부(31)의 돌출 방향에 따른 한 쌍의 변과 이에 직교하는 한 쌍의 변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돌출부(31)의 돌출단에 있어서, 결합 오목부(32)의 바로 위쪽 위치에는 각각,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33)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33)의 바깥쪽 끝에는 돌출부(31)의 외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자리부(30)의 일면으로부터 세워지는 입상부(立上部)(34)의 상단이 일체로 연접되어 있다.
상기 수용 구멍(5)의 구멍 입구(50)는, 돌출부(31)의 내면에 따른 소경부(小徑部)(51)와, 돌출부(31)의 외면을 포함하는 가상 원(도시는 생략한다.)의 원호에 따른 대경부(大徑部)(52)를 갖고 있다. 대경부(52)는 상기 플랜지(33)의 형성 개소(箇所)에 있어서 결합 오목부(32)의 바로 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대경부(52)와 소경부(51) 사이에는, 후술하는 제 2 슬라이딩 접촉부(Cf2)로서 기능하는 코너(5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부재(M)의 축부(2)는, 도시된 예에서는, 그 선단(20)에서 개방된 원통 모양을 이루고 있다. 또한, 그 선단(20)과 상기 머리부(1) 사이의 축부(2)의 중간에, 상기 결합 오목부(32)에 대한 결합 돌부(21)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결합 돌부(21)는 축부(2)의 직경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축부(2)의 축선을 따라 이어지는 한 쌍의 종분할 홈(22, 22)과, 이 한 쌍의 종분할 홈(22, 22)에 있어서의 머리부(1) 측에 위치되는 홈 끝 사이에 걸치는 횡분할 홈(23)에 의해, 축부(2)의 중간에 축부(2)의 선단(20) 측을 대강 중심으로 한 탄성 변형을 생기게 하도록 구성된 탄성편(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탄성편(24)의 외측에 이 탄성편(24)의 자유단(24a) 측으로 향함에 따라 이 탄성편(24)의 두께를 점증시키는 경사면(21a)을 형성시킴으로써 결합 돌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2)의 선단(20)으로부터 탄성편(24)의 자유단(24a)까지의 거리는, 막힌 구멍 모양을 이루는 수용 구멍(5)의 구멍 바닥(54)에서부터 결합 오목부(32)에 있어서의 이 수용 구멍(5)의 구멍 입구(50) 측에 위치되는 내벽까지의 거리와 거의 일치해 있다. 또한, 한 쌍의 결합 돌부(21, 21)의 꼭대기부 사이 거리는, 수용 구멍(5)에 있어서의 대경부(52)가 따르는 상기 가상 원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암부재(F)의 수용 구멍(5)에 수부재(M)의 축부(2)를, 결합 돌부(21)가 결합 오목부(32)에 들어가도록 한 방향으로 삽입하면, 수용 구멍(5)에 있어서의 상기 대경부(52)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결합 돌부(21)의 상기 경사면(21a)이 슬라이딩 접촉해서 축부(2)의 내부로 상기 탄성편(24)이 휘어 들어가, 이러한 삽입이 허용된다. 탄성편(24)의 자유단(24a)이 결합 오목부(32)에 있어서의 수용 구멍(5)의 구멍 입구(50) 측에 위치되는 내벽 아래에 위치되는 위치까지 상기 삽입이 이루어지면, 탄성편(24)은 휘어 돌아와, 결합 오목부(32)에 결합 돌부(21)가 들어간다. 이에 의해, 암부재(F)의 수용 구멍(5)에 수부재(M)의 축부(2)를 삽입하면 원터치로 수부재(M)와 암부재(F)를 결합·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수부재(M)의 머리부(1)는, 다른쪽 측 장착 대상(P')에 형성한 관통 구멍(P'a)을 통해 빠지지 않는 길이를 가진 대략 사각형 판 모양을 이루고 있다. 축부(2)는 이 머리부(1)의 일면 측에서 그 길이 방향 중간 정도 위치에, 축부(2)의 선단(20)과 반대인 단부를 일체로 연접시키고 있다. 머리부(1)의 다른면 측에 있어서 그 길이 방향 중간 정도 위치에는 드라이버의 선단(20)이 들어가는 오목한 곳(10)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 측 장착 대상(P)에 암부재(F)를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한 상태에서, 다른쪽 측 장착 대상(P')의 관통 구멍(P'a)에 통과되어 돌출되는 수부재(M)의 축부(2)를 이러한 암부재(F)의 수용 구멍(5)에 삽입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수부재(M)와 암부재(F)를 결합시킴으로써, 수부재(M)의 머리부(1)와 암부재(F)의 기부(3), 즉, 수부재(M)의 머리부(1)와 한쪽 측 장착 대상(P) 사이에서 다른쪽 측 장착 대상(P')은 보유지지된다. (도 5, 도 6)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용 구멍(5)은 막힌 구멍 모양을 이루고 있음과 아울러, 결합 오목부(32)는 암부재(F)의 기부(3)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암부재(F)의 내부를 통해 한쪽 측 장착 대상(P)의 한쪽 측과 다른쪽 측은 연동되는 경우는 없어, 클립을 통해 수밀성 내지는 기밀성 높게 한쪽 측 장착 대상(P)과 다른쪽 측 장착 대상(P')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암부재(F)의 수용 구멍(5) 내에는, 상기 수부재(M)의 축부(2)의 선단(20)에 형성된 제 1 캠부(C1)에 대한 제 1 슬라이딩 접촉부(Cf1)와, 상기 수용 구멍(5)의 구멍 입구(50)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M)의 결합 돌부(21)에 형성된 제 2 캠부(C2)에 대한 제 2 슬라이딩 접촉부(Cf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 구멍(5)에의 축부(2)의 삽입 시에, 상기 제 1 캠부(C1)와 제 1 슬라이딩 접촉부(Cf1)의 슬라이딩 접촉과 이에 잇따르는 상기 제 2 캠부(C2)와 제 2 슬라이딩 접촉부(Cf2)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상기 결합 오목부(32)에 결합 돌부(21)를 결합 가능하게 하는 상기 수부재(M)의 왕동 회동이 촉진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 1 슬라이딩 접촉부(Cf1)는, 수용 구멍(5)의 소경부(51)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 1 슬라이딩 접촉부(Cf1)는, 수용 구멍(5)의 구멍 축을 둘러싸는 방향에서, 상기 결합 오목부(32)의 옆쪽에 마련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 1 슬라이딩 접촉부(Cf1)는, 결합 오목부(32)의 옆쪽에서, 수용 구멍(5)의 직경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 제 1 슬라이딩 접촉부(Cf1)는, 수용 구멍(5)의 구멍 바닥(54)에서부터 수용 구멍(5)의 구멍 입구(50)보다 약간 내측에 위치되는 개소까지에 걸쳐, 이 수용 구멍(5)의 구멍 축을 따라서 뻗어 있는 리브 모양체(55)의 상기 구멍 입구(50) 측에 위치되는 단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 개소의 제 1 슬라이딩 접촉부(Cf1)의 한쪽은, 한 쌍의 결합 오목부(32)의 중앙과 수용 구멍(5)의 구멍 축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 1 직선(L1)에 이러한 구멍 축에 있어서 직교하는 가상의 제 2 직선(L2)을 사이에 둔 한쪽의 결합 오목부(32) 측에 위치되며, 2 개소의 제 1 슬라이딩 접촉부(Cf1)의 다른쪽은 이러한 제 2 직선(L2)을 사이에 둔 다른쪽의 결합 오목부(32) 측에 위치되어 있다. (도 11)
한편, 제 1 캠부(C1)는, 수부재(M)의 축부(2)의 선단(20)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 돌부(21, 21)의 바로 아래가 되는 개소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수부재(M)의 축부(2)의 선단(20)의 이러한 개소는 각각, 상기 탄성편(24)을 좌우로 양분하는 축부(2)의 축선에 따른 가상의 직선(L3) 상에 꼭대기부(20a)를 가지며 이 꼭대기부(20a)의 좌우를 각각 경사지게 한 산 모양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3)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는, 이 경사 개소의 한쪽이 상기 제 1 캠부(C1)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부재(M)의 축부(2)에 있어서의 한 쌍의 제 1 캠부(C1, C1) 사이에 위치되는 개소의 외면, 즉, 수부재(M)의 축부(2)의 축선을 둘러싸는 방향에서 결합 돌부(21)의 옆쪽이 되는 개소의 외면에는, 축부(2)의 선단(20)에서 바깥쪽으로 개방되어 머리부(1) 측에 이어지는 폭 넓은 홈 모양을 이루는 오목한 곳(25)이 형성되어 있다.
암부재(F)의 수용 구멍(5)에 형성된 한 쌍의 제 1 슬라이딩 접촉부(Cf1, Cf1) 사이의 거리는, 수부재(M)의 축부(2)의 제 1 캠부(C1)의 형성 개소에서의 외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한편, 암부재(F)의 수용 구멍(5)에 형성된 한 쌍의 제 1 슬라이딩 접촉부(Cf1, Cf1) 사이의 거리와, 수부재(M)의 축부(2)의 오목한 곳(25)의 형성 개소에서의 외경(2 개소의 오목한 곳(25, 25)의 홈 바닥 사이의 거리)은 거의 같게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오목한 곳(25)의 홈 폭은 제 1 슬라이딩 접촉부(Cf1)의 폭보다 넓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암부재(F)의 수용 구멍(5)에 수부재(M)의 축부(2)를, 결합 돌부(21)가 결합 오목부(32)에 들어가지 않는 방향, 즉, 결합 돌부(21)가 결합 오목부(32)의 바로 위에 위치하지 않는 방향에서 삽입되려고 했을 때는, 2 개소의 제 1 슬라이딩 접촉부(Cf1, Cf1)가 각각 대응하는 제 1 캠부(C1)에 접촉하여 이 방향에서의 수용 구멍(5)에의 축부(2)의 진입이 저지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진 제 1 캠부(C1)의 안내에 의해 상기 결합 돌부(21)가 결합 오목부(32)에 들어가는 위치를 향해 수부재(M)를 왕동 회동(이 회동 방향을 도 2에서 화살표(s)로 나타낸다.)시킬 수 있다. 그와 아울러, 상기 오목한 곳(25)에 제 1 슬라이딩 접촉부(Cf1)가 들어가는 위치까지 이러한 왕동 회동이 이루어지면, 수부재(M)의 축부(2)의 수용 구멍(5)에의 진입이 허용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수부재(M)의 축부(2)의 결합 돌부(21)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편(24)을 좌우로 양분하는 축부(2)의 축선에 따른 가상의 직선(L3)을 사이에 둔 한쪽 측의 측부가, 이 가상의 직선(L3)에 접근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사면(21b)으로 되어 있으며, 이 결합 돌부(21)의 경사면(21b)이 상기 제 2 캠부(C2)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2 개소의 결합 돌부(21) 중, 도 13에 있어서의 정면 측에 위치되는 결합 돌부(21)에서는 상기 가상의 직선을 사이에 둔 우측에 제 2 캠부(C2)가 형성되고, 그 배면 측에 위치되는 결합 돌부(21)에서는 상기 가상의 직선을 사이에 둔 좌측에 제 2 캠부(C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딩 접촉부(Cf1)와 제 1 캠부(C1)에 의해 수부재(M)가 왕동 회동되어 수용 구멍(5)의 구멍 입구(50)에 결합 돌부(21)의 제 2 캠부(C2)가 위치되는 위치까지 수용 구멍(5) 내에 축부(2)가 진입되면, 2 개소의 제 2 캠부(C2)에 각각 대응하는 제 2 슬라이딩 접촉부(Cf2)가 접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진 이 제 2 캠부(C2)의 안내에 의해 상기 결합 돌부(21)가 결합 오목부(32)에 들어가는 위치까지 수부재(M)를 더 왕동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결합 오목부(32)와 결합 돌부(21)가 결합된 상태로부터 상기 수부재(M)를 복동 회동시켰을 때에 상기 제 2 캠부(C2)와 결합 오목부(32)의 내벽과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상기 결합 오목부(32)로부터 결합 돌부(21)를 발출시키는 방향의 탄성 변형이 촉진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립에 있어서는, 수부재(M)와 암부재(F)를 결합·조립한 상태를, 수부재(M)의 복동 회동 조작에 의해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 2 캠부(C2)가, 수부재(M)의 축부(2)의 축선을 둘러싸는 방향에서, 상기 복동처로 향함에 따라, 이 축선에 점점 접근하는 경향을 가진 상기 경사면(21b)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이 수부재(M)를 복동 회동하면 이 제 2 캠부(C2)가 결합 오목부(32)의 내벽에 접하여 축부(2)의 내측으로 탄성편(24)이 휘어 들어가 결합 오목부(32)로부터 결합 돌부(21)가 발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는 별개로, 제 2 캠부(C2) 및 결합 오목부(32)와 결합 돌부(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 제 2 캠부(C2)에 마주보는 결합 오목부(32)의 내벽의 양쪽, 또는, 이 내벽 측만을, 이러한 경사면으로 구성시켜 두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암부재(F)의 수용 구멍(5) 내에, 결합 오목부(32)와 결합 돌부(21)가 결합된 상태로부터 수부재(M)를 복동 회동시켰을 때에 축부(2)의 선단(20)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상기 수용 구멍(5)으로부터 이 축부(2)를 발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3 캠부(C3)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 3 캠부(C3)는, 암부재(F)의 수용 구멍(5) 내에 수부재(M)의 축부(2)를 완전히 삽입한 결합 상태에서, 축부(2)의 한 쌍의 제 1 캠부(C1, C1) 사이가 되는 개소에 수용 구멍(5)의 구멍 바닥(54) 측으로부터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제 3 캠부(C3)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접촉부(Cf1)를 구성하는 리브 모양체(55)의 선단(20)과 거의 같은 면을 이루어 이에 이어지는 내면(56a)과, 수용 구멍(5)의 구멍 입구(50)로 향해진 상부 단차면(56b)과, 리브 모양체(55)와의 연접 측과 반대 측에 있는 옆쪽 단차면(56c)을 구비하며, 수용 구멍(5)의 구멍 바닥(54) 측의 내벽에 형성된 팽출부(膨出部)(56)의, 이러한 옆쪽 단차면(56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옆쪽 단차면(56c)은 팽출부(56)의 수용 구멍(5)의 구멍 축을 둘러싸는 방향의 치수를 상부 단차면(56b)으로 향함에 따라 작아지게 하는 방면의 경사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결합 상태로부터 수부재(M)를 상기 복동 회동시키면, 제 1 캠부(C1)가 제 3 캠부(C3)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수용 구멍(5)으로부터 축부(2)를 발출시키는 방향으로 수부재(M)가 들어 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부재(M)와 암부재(F)를 결합·조립한 상태를, 수부재(M)의 복동 회동 조작에 의해, 더 원활히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부재(M)의 소정의 왕동 회동 위치에서 상기 축의 오목한 곳(25)에 제 1 슬라이딩 접촉부(Cf1)가 들어가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결합 오목부(32)와 결합 돌부(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오목한 곳(25) 내의 한쪽 단차부(25a)에 제 1 슬라이딩 접촉부(Cf1)가 접촉하여 수부재(M)의 왕동 회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5)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부재(M)와 암부재(F)를 결합·조립한 상태에서는, 이를 해제하는 복동 방향으로만 수부재(M)의 회동 조작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립에 있어서의 탄성 변형 특성을 구비해야 할 개소에의 이러한 특성의 부여는, 이를 구성하는 수부재(M) 및 암부재(F)를,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2011년 11월 1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1-247263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Claims (9)

  1. 머리부와 축부를 구비한 수부재와,
    기부(基部)와 한쪽 측 장착 대상에 형성된 장착 구멍에의 끼움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기부에 구멍 입구를 갖고서 상기 끼움부 내에 이어지는 상기 수부재의 축부의 수용 구멍을 구비한 암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 구멍에 상기 축부를 소정 위치까지 삽입한 조립 결합 상태에서 수부재의 머리부와 암부재의 기부 사이에서 다른쪽 측 장착 대상을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된 클립으로서,
    상기 암부재의 수용 구멍 내에는, 상기 수부재의 축부의 선단에 형성된 제 1 캠부에 대한 제 1 슬라이딩 접촉부와,
    이 제 1 슬라이딩 접촉부의 옆쪽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의 축부의 중간에 형성된 결합 돌부에 대한 결합 오목부와,
    상기 수용 구멍의 구멍 입구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의 결합 돌부에 형성된 제 2 캠부에 대한 제 2 슬라이딩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 구멍에의 축부의 삽입 시에, 상기 제 1 캠부와 제 1 슬라이딩 접촉부의 슬라이딩 접촉과 이에 잇따르는 상기 제 2 캠부와 제 2 슬라이딩 접촉부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상기 결합 오목부에 결합 돌부를 결합 가능하게 하는 상기 수부재의 왕동(往動) 회동이 촉진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결합 오목부와 결합 돌부가 결합된 상태로부터 상기 수부재를 복동(復動) 회동시켰을 때에 상기 제 2 캠부와 결합 오목부의 내벽과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상기 결합 오목부로부터 결합 돌부를 발출시키는 방향의 탄성 변형이 촉진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암부재의 수용 구멍 내에, 결합 오목부와 결합 돌부가 결합된 상태로부터 수부재를 복동 회동시켰을 때에 축부의 선단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상기 수용 구멍으로부터 이 축부를 발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3 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오목부에 상기 결합 돌부의 제 2 캠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 제 2 캠부와 마주보는 결합 오목부의 내벽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은, 수부재의 축부의 축선을 둘러싸는 방향에서, 이 축선에 점점 접근하는 경향을 가진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부재의 축부의 축선을 둘러싸는 방향에서 결합 돌부의 옆쪽에는 오목한 곳이 형성되어 있어, 수부재의 소정의 왕동 회동 위치에서 이 오목한 곳에 제 1 슬라이딩 접촉부가 들어가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결합 오목부와 결합 돌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오목한 곳 내의 한쪽 단차부(段差部)에 제 1 슬라이딩 접촉부가 접촉하여 수부재의 왕동 회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5. 제 3 항에 있어서,
    수부재의 축부의 축선을 둘러싸는 방향에서 결합 돌부의 옆쪽에는 오목한 곳이 형성되어 있어, 수부재의 소정의 왕동 회동 위치에서 이 오목한 곳에 제 1 슬라이딩 접촉부가 들어가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결합 오목부와 결합 돌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오목한 곳 내의 한쪽 단차부(段差部)에 제 1 슬라이딩 접촉부가 접촉하여 수부재의 왕동 회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용 구멍은 막힌 구멍 모양을 이루고 있음과 아울러, 결합 오목부는 암부재의 기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7. 제 3 항에 있어서,
    수용 구멍은 막힌 구멍 모양을 이루고 있음과 아울러, 결합 오목부는 암부재의 기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8. 제 4 항에 있어서,
    수용 구멍은 막힌 구멍 모양을 이루고 있음과 아울러, 결합 오목부는 암부재의 기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9. 제 5 항에 있어서,
    수용 구멍은 막힌 구멍 모양을 이루고 있음과 아울러, 결합 오목부는 암부재의 기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KR1020147014030A 2011-11-11 2012-11-07 클립 KR101965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47263A JP5771126B2 (ja) 2011-11-11 2011-11-11 クリップ
JPJP-P-2011-247263 2011-11-11
PCT/JP2012/078890 WO2013069705A1 (ja) 2011-11-11 2012-11-07 クリ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577A KR20140088577A (ko) 2014-07-10
KR101965468B1 true KR101965468B1 (ko) 2019-04-03

Family

ID=4829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030A KR101965468B1 (ko) 2011-11-11 2012-11-07 클립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55362B2 (ko)
EP (1) EP2778443B1 (ko)
JP (1) JP5771126B2 (ko)
KR (1) KR101965468B1 (ko)
CN (1) CN103917789B (ko)
MX (1) MX343335B (ko)
WO (1) WO20130697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07696A1 (en) * 2013-03-13 2016-01-14 George Ann NEBLETT Twist Locking Apparatus
FR3007087B1 (fr) * 2013-06-14 2015-11-27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Clip de fixation et assemblage ayant un clip de fixation
JP6116396B2 (ja) * 2013-06-19 2017-04-19 株式会社ニフコ 取付具
US9474338B2 (en) * 2013-10-11 2016-10-25 Aplix Fastener
US10188179B2 (en) * 2013-10-11 2019-01-29 Aplix Fastener
JP2015110999A (ja) * 2013-11-06 2015-06-18 大和化成工業株式会社 クリップ
CN104720246B (zh) * 2015-04-17 2017-01-25 陈怡如 一种夹式防水袋
CN104847766A (zh) * 2015-05-15 2015-08-19 宿迁市保祥重工有限公司 一种快速自锁机械连接件
US20180142715A1 (en) * 2015-06-01 2018-05-24 A. Raymond Et Cie. Scs Device For Retaining A Component
CN105299012A (zh) * 2015-11-04 2016-02-03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卡扣合件
US10018000B2 (en) * 2016-02-25 2018-07-10 Michael Brent Ford Latch assembly for a pump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06428894B (zh) * 2016-11-21 2018-09-28 重庆优优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包装制品的连接扣
US10837207B2 (en) 2017-11-28 2020-11-17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Control center door latch
CN111098826A (zh) * 2018-10-26 2020-05-05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一种汽车部件的固定装置及包含其的汽车
IT201800010499A1 (it) * 2018-11-22 2020-05-22 Lpm Group Soc A Responsabilita Limitata Perno di fissaggio e sede di bloccaggio
US11585365B2 (en) * 2019-06-24 2023-02-21 Illinois Tool Works Inc. Trim clip with four point retention
CN111577743B (zh) * 2020-04-22 2021-09-14 凯迈(洛阳)测控有限公司 一种快速限位机构
US20220213911A1 (en) * 2021-01-06 2022-07-07 M. Randall Pasternak Turnbuckle for display cards, signs and the lik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4364A (en) 1975-04-17 1976-06-22 Hartwell Corporation Initially single piece rotatable fastener
DE19530034A1 (de) 1995-08-16 1997-02-20 Kostal Leopold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zwischen einem Deckel und einem Sockel
JP2006090439A (ja) 2004-09-24 2006-04-06 Nifco Inc パネル穴への取り付け体、および、クランプ具
JP2010007687A (ja) 2008-06-24 2010-01-14 Nifco Inc 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124Y2 (ko) * 1987-10-16 1992-07-15
JPH0247414U (ko) * 1988-09-29 1990-03-30
JPH0429124A (ja) 1990-05-24 1992-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オートズーム装置
JPH0429124U (ko) 1990-06-29 1992-03-09
JP2578069Y2 (ja) * 1991-03-11 1998-08-06 株式会社 ニフコ グロメット
JP2586907Y2 (ja) * 1992-11-19 1998-12-14 株式会社ニフコ 結合クリップ
JP2606933Y2 (ja) * 1993-07-23 2001-02-19 株式会社ニフコ 結合クリップ
JP3251775B2 (ja) * 1994-06-15 2002-01-28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JP3297972B2 (ja) * 1995-04-17 2002-07-0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固定クリップ
JP4105832B2 (ja) * 1999-09-02 2008-06-2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クリップ
US6514023B2 (en) * 2001-05-24 2003-02-04 Illinois Tool Works Inc. Removable and reusable fastener
JP4067341B2 (ja) * 2002-06-12 2008-03-2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2ピースクリップ
JP2004116722A (ja) * 2002-09-27 2004-04-15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クリップ
JP4213550B2 (ja) * 2003-09-24 2009-01-2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クリップ
JP4472456B2 (ja) * 2004-08-05 2010-06-02 株式会社ニフコ 留め具
US8347465B2 (en) * 2006-02-17 2013-01-08 Piolax Inc. Clip
FR2913469B1 (fr) * 2007-03-06 2010-12-17 Raymond A & Cie Dispositif d'assemblage de deux plaques
US20080298925A1 (en) * 2007-05-30 2008-12-04 Piolax Inc. Two-piece clip
JP5027919B2 (ja) * 2008-03-25 2012-09-1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4364A (en) 1975-04-17 1976-06-22 Hartwell Corporation Initially single piece rotatable fastener
DE19530034A1 (de) 1995-08-16 1997-02-20 Kostal Leopold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zwischen einem Deckel und einem Sockel
JP2006090439A (ja) 2004-09-24 2006-04-06 Nifco Inc パネル穴への取り付け体、および、クランプ具
JP2010007687A (ja) 2008-06-24 2010-01-14 Nifco Inc 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73466A1 (en) 2015-06-25
WO2013069705A1 (ja) 2013-05-16
EP2778443A4 (en) 2015-07-15
MX343335B (es) 2016-11-01
EP2778443B1 (en) 2017-04-26
CN103917789A (zh) 2014-07-09
EP2778443A1 (en) 2014-09-17
MX2014005695A (es) 2014-08-22
JP5771126B2 (ja) 2015-08-26
KR20140088577A (ko) 2014-07-10
US9155362B2 (en) 2015-10-13
JP2013104457A (ja) 2013-05-30
CN103917789B (zh)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468B1 (ko) 클립
JP4770691B2 (ja) ケースの嵌合構造
JP5019401B2 (ja) 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
JP2004156722A (ja) 本留め用の雄パーツを有する連結具
WO2014203906A1 (ja) 取付具
US20100232903A1 (en) Clip
CN103953150B (zh) 组合装饰型材
JP5435203B2 (ja) 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
JP2009173086A (ja) 樹脂製パネル
JP2003235971A (ja) チューブ開閉クランプ
JP2018105092A (ja) 引手及び引手取付け構造
KR20160003369U (ko) 힌지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용기
JP3208366B2 (ja) 開口部装置
JP2018100584A (ja) 小口キャップ及び格子ユニット
JP3243144U (ja) ワイパーユニットおよびそのコネクタ
CN105811144A (zh) 一种具有二次锁结构的连接器
AU2018203356A1 (en) Angle connector for supporting profiles
TWI805481B (zh) 繩尾扣具及其公扣
JP3213176U (ja) 建築用化粧材のジョイントピン
JP4649139B2 (ja) 止め具
TW202410825A (zh) 繩尾扣具及其公扣
ES2232235A1 (es) Herraje de enclavamiento de hoja dotado para su fijacion de medios de apoyo interior y exterior desplazados y hoja equipada de tal herraje.
KR200288108Y1 (ko) 책상의 지지각 삽착구
JP4283722B2 (ja) 止め具
JP3984963B2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