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111B1 - 공작기계 - Google Patents

공작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111B1
KR101952111B1 KR1020147020167A KR20147020167A KR101952111B1 KR 101952111 B1 KR101952111 B1 KR 101952111B1 KR 1020147020167 A KR1020147020167 A KR 1020147020167A KR 20147020167 A KR20147020167 A KR 20147020167A KR 101952111 B1 KR101952111 B1 KR 101952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anual
processing chamber
machining
comple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4414A (ko
Inventor
노리유키 아사하라
Original Assignee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 마쉬나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 마쉬나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4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05B19/4063Monitoring general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 B23Q1/0045Control panels or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78Safety devices protecting the operator, e.g. against accident or noise
    • B23Q11/0089Safety devices protecting the operator, e.g. against accident or noise actuating operator protecting means, e.g. closing a cover element, producing an alarm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91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arranged between the working area and the op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4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 B23Q17/2404Arrangements for improving direct observation of the working space, e.g. using mirrors or lam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379Master monitors controllers, updates production progress, allocates resour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4Director, elements to supervisory
    • G05B2219/34384Execute next block after predetermined tim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4Director, elements to supervisory
    • G05B2219/34394Execute a certain number of program blocks and s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1블록 정지 모드 중에 수동 조작부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가공실 내를 주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공 프로그램의 1블록의 실행 완료를 알 수 있는 공작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재료를 가공하는 가공실(160)과 상기 가공실 내의 조명기구(164)와 NC프로그램에 근거하여 가공 작동을 제어하는 NC장치(130)를 구비하고, NC장치(130)가 수동 조작부(111)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 신호에 의해 가공 작동을 실행시키는 수동실행수단(131)과 NC프로그램을 1블록 실행하고 정지하는 1블록 정지 모드를 구비한 공작기계(100)에 있어서, 1블록 정지 모드 중에 수동실행수단(131)에 의해 수동으로 가공 작동을 실행할 때 1블록의 완료를 통지하는 통지수단(140)을 구비하고, 통지수단(140)이 조명기구(164)로 구성된 공작기계(100)이다.

Description

공작기계{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공작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재료를 가공하는 가공실과 상기 가공실 내의 조명기구와 NC프로그램에 근거하여 가공 작동을 제어하는 NC장치를 구비한 공작기계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종래의 공작기계는 1블록 정지 모드를 갖고 있었다.
"1블록 정지 모드"란 NC프로그램을 1블록만 실행하고 공작기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모드를 말한다.
1블록 정지 모드에 의해서 NC프로그램의 동작을 1블록씩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공작기계에는 수동 펄스 핸들 등의 수동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 신호에 의해, 수동으로 NC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공작기계를 작동시키는 수동실행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 2011-175316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공작기계는 1블록 정지 모드 중에 작업자가 수동실행수단에 의해 수동 조작부를 조작하여 NC프로그램을 실행하면, 1블록 실행 완료가 가공실 밖에 구비된 조작 패널의 모니터에 표시되기 때문에, 가공실 내를 주시하고 있는 작업자는 1블록의 실행이 완료된 것을 바로 깨닫지 못하고 불필요하게 수동 조작부를 조작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1블록 정지 모드 중에 수동 조작부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가공실 내를 주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공 프로그램의 1블록 실행 완료를 용이하게 깨달을 수 있는 공작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1에 관련된 발명은, 내부의 재료를 가공하는 가공실과, 상기 가공실 내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실 내의 동작 상태를 감시가능하게 비추는 조명기구와, 상기 가공실의 내부에 수용된 공구와, 상기 공구의 상기 가공실 내에서의 상기 재료에 대한 가공 작동을 NC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제어하는 NC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NC장치가 수동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상기 가공 작동을 실행시키는 수동실행수단과 상기 NC프로그램을 1블록 실행하고 정지하는 1블록 정지 모드를 구비한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1블록 정지 모드 중에 상기 수동실행수단에 의해 수동으로 가공 작동을 실행할 때, 상기 1블록의 완료를 통지하는 통지수단이 상기 가공실 내의 동작 상태를 감시가능하게 비추는 조명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1블록 정지 모드 중에 상기 수동실행수단에 의한 가공 작동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수동 조작부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상기 가공실 내의 동작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발광량으로 상기 가공실 내를 비추고, 상기 NC장치는, 상기 1블록의 완료를 검지하면 상기 조명기구의 발광량을 변화시켜서, 상기 가공실 내를 주시하고 있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가공실 내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중에 상기 1블록의 완료를 알 수 있게 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삭제
본 청구항 3에 관련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공작기계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통지수단이 상기 조명기구의 발광량을 1블록이 끝나기 전과 비교하여 작게 되도록 구성된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4에 관련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공작기계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통지수단이 상기 조명기구를 점멸시키도록 구성된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의해, 가공실 내를 보고 있는 작업자가 가공실의 조명기구에 의한 1블록의 완료 통지를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1블록 정지 모드 중에 수동 조작부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가공실 밖의 조작 패널을 보지 않고, 수동 조작부의 조작 중에 감시 체크해야 할 가공실 내의 동작부의 동작 등, 예를 들면 주축이나 공구대의 동작 등을 보면서 프로그램의 1블록 실행 완료를 가공실 내를 보고 알 수 있다.
본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공작기계는, 청구항 1에 관련된 공작기계가 이룬 효과에 더하여 통지수단을 조명기구에 의한 가공실 내의 조명 상태를 가변시킴으로써 통지하도록 구성한 것에 의해, 창을 통해서 가공실 내를 주시하고 있는 작업자가 가공실의 조명기구에 의한 가공실 내의 조도의 변화를 알 수 있기 때문에, 1블록 정지 모드 중에 수동 조작부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프로그램의 1블록 실행 완료를 가공실 밖의 조작 패널을 보지 않고 가공실 내를 보고 알 수 있다.
본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의 공작기계는, 청구항 2에 관련된 공작기계가 이룬 효과에 더하여 통지수단이 조명기구의 발광량을 1블록 완료 전과 비교하여 작게 되도록 구성된 것에 의해 1블록의 실행 완료 후에 완료 전과 비교하여 어두워지기 때문에 작업자는 용이하게 1블록의 실행이 완료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의 공작기계는, 청구항 2에 관련된 공작기계가 이룬 효과에 더하여 통지수단이 조명기구를 점멸시키도록 구성된 것에 의해 1블록의 실행 완료 후에 점멸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1블록의 실행이 완료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공작기계의 개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공작기계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공작기계의 동작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재료를 가공하는 가공실과, 상기 가공실 내의 조명기구와, 가공실의 내부에 수용된 공구와, 상기 공구의 가공실 내에서의 재료에 대한 가공 작동을 NC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제어하는 NC장치를 구비하고, NC장치가 수동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가공 작동을 실행시키는 수동실행수단과 NC프로그램을 1블록 실행하고 정지하는 1블록 정지 모드를 구비한 공작기계에 있어서, 1블록 정지 모드 중에 수동실행수단에 의해 수동으로 가공 작동을 실행할 때 1블록의 완료를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하고 통지수단이 조명기구로 구성되어, 1블록 정지 모드 중에 수동 펄스 핸들을 회전 조작하는 작업자가 프로그램의 1블록 실행 완료를 가공실 밖의 조작 패널을 보지 않고 가공실 내를 보고 아는 것이라면 그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무엇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가공실 내를 주시하고 있는 작업자가 가공실의 조명기구에 의한 가공실 내의 조명의 변화를 알 수 있으면 되고, 가공실 내의 조명기구의 조명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무엇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펄스 신호에 의해 수동실행수단에 가공 작동을 실행시키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서의 신호는 수동실행수단으로 가공작동을 실행시키는 신호라면 펄스 신호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공작기계(100)에 대해서 도 1 내지 3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공작기계(100)의 개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공작기계(100)의 개략 블록도이고, 도 3은 공작기계(100)의 동작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공작기계(1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조작하는 조작 패널(110)과 NC장치로 이루어진 제어부(130)와 NC프로그램에 근거한 제어에 의해 재료인 피가공물(Work)이 가공되는 가공실(160)을 구비한다.
조작 패널(110)에는 수동 조작부의 일례인 수동 펄스 핸들(111), 스위치 버튼(112) 및 모니터(113) 등이 구비되어 있다. 가공실(160)은 커버(165), 도어(166), 창(167) 등이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주축(161), 공구(162), 배면 주축(163), 조명기구(164) 등이 수용되어 있다.
수동 펄스 핸들(111)은 모드에 따라 작업자가 수동으로 회전 조작하여 NC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공작기계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스위치 버튼(112)은 복수 구비되어 있고 공작기계(100)를 기동시키거나 공작기계(100)의 운전을 정지하거나 모드를 선택하거나 할 수 있다.
모니터(113)는 현재의 설정이나 NC프로그램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주축(161)이나 배면 주축(163)은 피가공물을 끼우고 회전 및 이동에 의해 피가공물을 회전 및 이동시킬 수 있다.
공구(162)는 피가공물에 대해 절삭 가공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주축(161), 배면 주축(163), 공구(162)는 NC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제어부(130)에 의해 이동이나 회전 등이 제어되고 피가공물을 가공한다.
조명기구(164)는 가공실(160) 내에서 피가공물, 공구(162), 주축(161) 및 배면 주축(163) 등을 비출 수 있도록 가공실(160) 내에 구비되어 있다.
커버(165)는 가공실(160)을 덮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어(166)는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도록 커버(165)에 구비되어 있다.
창(167)은 도어(166)에 구비되고, 작업자가 조작 패널(110)을 조작하면서 가공실(160) 내의 피가공물, 공구(162), 주축(161) 및 배면 주축(163) 등을 볼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도시하지 않은 CPU 및 RAM을 구비하고, 수동 펄스 핸들(111)의 조작에 의해 NC프로그램을 수동으로 실행하는 수동실행수단(131)과 NC프로그램을 자동 실행하는 자동실행수단(132)을 구비하고, 수동실행수단(131)에 의한 수동실행모드와 자동실행수단(132)에 의한 자동실행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수동실행모드와 자동실행모드는 조작 패널(110)에 의해 선택하고 전환할 수 있다.
수동 펄스 핸들(111)은 수동 펄스 발생기(120)를 통해서 제어부(130)와 접속된다. 수동 펄스 발생부(120)는 수동 펄스 핸들(111)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펄스 신호를 발생한다.
수동 펄스 발생부(120)에 의해 발생된 펄스 신호는 수동 실행 수단(131)으로 출력된다.
제어부(130)는 수동실행모드가 선택된 경우 수동실행수단(131)이 수동 펄스 발생기(120)로부터 입력된 펄스 신호에 따라서 NC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가공실(160)에서의 재료의 가공 작동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어부(130)는 자동실행모드가 선택된 경우 자동실행수단(132)이 자동적으로 NC프로그램을 순차 실행하고 자동으로 가공실(160)에서의 재료의 가공 작동을 실행시킨다.
제어부(130)는, NC프로그램을 1블록 실행하고 정지하는 1블록 정지 모드와 NC프로그램의 전 블록을 연속하여 실행하는 통상 모드를 구비한다. 1블록 정지 모드와 통상 모드는 조작 패널(110)에 의해 선택하고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NC프로그램의 1블록 실행 완료를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1블록 정지 모드의 상태에서는, NC프로그램이 블록 완료 위치에 달한 시점에서 가공 작동을 자동 정지하고, 정지 후에는 조작 패널(110)의 스위치 버튼(112)의 조작으로 다음 1블록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작업자는 제어부(130)를 1블록 정지 모드로 하는 것에 의해 NC프로그램을 1블록씩 디버그하고, 주축(161), 배면 주축(163), 공구(1662)의 동작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작기계(100)는 1블록 정지 모드에 있어서 1블록의 완료를 통지하는 통지수단(140)을 구비한다.
통지수단(140)은 제어부(130)와 조명기구(164)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130)는 1블록의 완료를 검지하고 가공실(160)의 조명기구(164)의 발광량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창(167)을 통해서 가공실(160) 내를 주시하고 있는 작업자가 가공실(160)의 조명기구(164)에 의한 가공실(160) 내의 조도의 변화를 알게 되고 NC프로그램의 1블록의 실행 완료를 알 수 있다.
이하, 통지수단(140)의 동작에 대해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11에서는 제어부(130)가 현재 선택된 모드가 1블록 정지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1블록 정지 모드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12로 진행하고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종료한다.
스텝 S12에서는 제어부(130)가 NC프로그램의 실행이 1블록 완료됐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1블록의 완료를 검지한 경우에는 스텝 S13으로 진행하고,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1블록의 완료를 검지할 때까지 스텝 S12를 반복한다.
스텝 S13에서는 제어부(130)가 조명기구(164)의 점등 제어 등에 의해 조명기구(164)의 발광량을 변화시킨다.
1블록 정지 모드는 수동실행모드 및 자동실행모드 양쪽의 상태에서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수동실행모드 상태에서 1블록 정지 모드가 설정된 경우, 작업자가 창(167)으로부터 가공실(160) 내를 보고 주축(161)이나 공구(162) 등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수동 펄스 핸들(111)을 조작하는 경우 작업자의 시선은 가공실(160) 내를 향하고 있다.
따라서, 창(167)을 통해서 가공실(160) 내를 보고 있는 작업자가 가공실(160)의 조명기구(164)에 의한 가공실(160) 내의 조도의 변화를 알아차리고 1블록의 실행이 완료된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때의 조명기구(164)의 발광량의 변화는 예를 들면 조명기구(164)의 발광량을 1블록이 완료하기 전과 비교하여 작게 한다.
이로써, 가공실(160) 내가 1블록의 실행 완료 후에 완료 전과 비교하여 어두워지기 때문에, 작업자는 가공실(160) 내의 조도의 변화를 쉽게 알아차린다.
또한, 조명기구(164)를 점멸시켜도 된다.
이로써, 1블록 실행 완료 전의 점등 상태가 완료 후에는 점멸 상태로 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가공실(160) 내의 조도의 변화를 쉽게 알아차린다.
작업자는 1블록의 실행이 완료된 것을 알면, 조작 패널(110)의 스위치 버튼(112)을 조작하여 가공실(160) 내의 조명기구(164)의 발광량을 1블록의 실행 완료 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NC프로그램의 다음 1블록 분의 동작을 확인하고 싶을 경우, 조작 패널(110)의 스위치 버튼(112)을 조작함과 동시에 수동 펄스 핸들(111)을 조작하여 다음 1블록의 실행을 개시한다.
즉, 스텝 S11~S13을 반복한다.
이렇게 얻어진 1실시예인 공작기계(100)는, 재료를 가공하는 가공실(160)과, 상기 가공실(160) 내의 조명기구(164)와, 가공실(160)의 내부에 수용된 공구(162)와, 상기 공구(162)의 가공실(160) 내에서의 재료에 대한 가공 작동을 NC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제어하는 NC장치인 제어부(13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130)가 수동 조작부의 일례인 수동 펄스 핸들(111)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 신호에 의해 가공 작동을 실행시키는 수동실행수단(131)과 NC프로그램을 1블록 실행하고 정지하는 1블록 정지 모드를 구비하고, 공작기계(100)에 있어서 1블록 정지 모드 중에 수동실행수단(131)에 의해 수동으로 가공 작동을 실행할 때 1블록의 완료를 통지하는 통지수단(140)을 구비하고 통지수단(140)은 조명기구(164)로 구성된다.
또한, 통지수단(140)을 조명기구(164)에 의한 가공실(160) 내의 조명 상태를 가변시킴으로써 통지하도록 구성한 것에 의해, 1블록 정지 모드 중에 수동 펄스 핸들(111)을 회전 조작하는 작업자가 가공실(160) 밖의 조작 패널(110)을 보지 않고, 수동 펄스 핸들(111)의 조작 중에 감시 체크해야 할 가공실(160) 내의 동작부의 동작 등, 예를 들면 공구(162)나 공구(162)를 지지하는 공구대, 주축(161), 배면 주축(163) 등의 동작, 가공실(160) 내의 피가공물의 상태 등을 보면서 프로그램의 1블록 실행 완료를 가공실(160) 내를 보고 알 수 있다.
또한, 통지수단(140)이 조명기구(164)의 발광량을 1블록이 완료하기 전과 비교하여 작게 되도록 구성된 것에 의해 작업자는 용이하게 1블록의 실행이 완료된 것을 알 수 있다.
또는, 통지수단(140)이 조명기구(164)를 점멸시키도록 구성된 것에 의해 작업자는 용이하게 1블록의 실행이 완료된 것을 알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매우 크다.
100 공작기계
110 조작 패널
111 수동 펄스 핸들
112 스위치 버튼
113 모니터
120 수동 펄스 발생기
130 제어부(NC장치)
131 수동실행수단
132 자동실행수단
140 통지수단
160 가공실
161 주축
162 공구
163 배면 주축
164 조명기구
165 커버
166 도어
167 창

Claims (4)

  1. 내부의 재료를 가공하는 가공실과, 상기 가공실 내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실 내의 동작 상태를 감시가능하게 비추는 조명기구와, 상기 가공실의 내부에 수용된 공구와, 상기 공구의 상기 가공실 내에서의 상기 재료에 대한 가공 작동을 NC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제어하는 NC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NC장치가 수동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상기 가공 작동을 실행시키는 수동실행수단과 상기 NC프로그램을 1블록 실행하고 정지하는 1블록 정지 모드를 구비한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1블록 정지 모드 중에 상기 수동실행수단에 의해 수동으로 가공 작동을 실행할 때 상기 1블록의 완료를 통지하는 통지수단이, 상기 가공실 내의 동작 상태를 감시가능하게 비추는 조명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1블록 정지 모드 중에 상기 수동실행수단에 의한 가공 작동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수동 조작부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상기 가공실 내의 동작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발광량으로 상기 가공실 내를 비추고,
    상기 NC장치는, 상기 1블록의 완료를 검지하면 상기 조명기구의 발광량을 변화시켜서, 상기 가공실 내를 주시하고 있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가공실 내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중에 상기 1블록의 완료를 알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이 상기 조명기구의 발광량을 1블록이 끝나기 전과 비교하여 작게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이 상기 조명기구를 점멸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KR1020147020167A 2012-02-15 2013-02-05 공작기계 KR101952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30619A JP5918562B2 (ja) 2012-02-15 2012-02-15 工作機械
JPJP-P-2012-030619 2012-02-15
PCT/JP2013/052559 WO2013121925A1 (ja) 2012-02-15 2013-02-05 工作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414A KR20140124414A (ko) 2014-10-24
KR101952111B1 true KR101952111B1 (ko) 2019-02-27

Family

ID=4898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167A KR101952111B1 (ko) 2012-02-15 2013-02-05 공작기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50019002A1 (ko)
EP (1) EP2816429B1 (ko)
JP (1) JP5918562B2 (ko)
KR (1) KR101952111B1 (ko)
CN (1) CN104081300B (ko)
ES (1) ES2614874T3 (ko)
TW (1) TWI559109B (ko)
WO (1) WO20131219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8562B2 (ja) 2012-02-15 2016-05-18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工作機械
JP5895633B2 (ja) * 2012-03-16 2016-03-30 村田機械株式会社 工作機械および生産システム
US10456880B2 (en) * 2013-10-28 2019-10-29 Fuji Corporation Processing machine and processing machine line
CN105033743A (zh) * 2015-08-26 2015-11-11 常熟建华模具科技股份有限公司 机床的照明装置
DE202015105216U1 (de) * 2015-10-02 2017-01-09 Hema Maschinen- Und Apparateschutz Gmbh Längenvariable Schutzabdeckung für Arbeitsräume von Werkzeugmaschinen
JP6411992B2 (ja) 2015-12-25 2018-10-2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ハンドル操作に応じてnc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機能において、プログラム実行状態を確認する手段を備えた数値制御装置
AU2017213819B2 (en) * 2016-02-03 2019-12-0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 reciprocating saw
JP6800521B2 (ja) * 2016-09-13 2020-12-16 株式会社ディスコ 切削装置
EP3654122A4 (en) 2017-09-12 2021-04-14 Citizen Watch Co., Ltd. MACHINE TOOL
CN107877252A (zh) * 2017-11-28 2018-04-06 宁夏共享机床辅机有限公司 一种用于机床防护罩的探测保护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4155A1 (en) * 2002-12-23 2006-03-16 Bujeau Robert F Oven for cooking food
US20080025015A1 (en) * 2005-02-22 2008-01-31 Deckel Maho Pfronten Gmbh Machine tool comprising a protective cabinet and an illumin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6976A (en) * 1972-09-11 1983-08-02 Hyatt Gilbert P System for interfacing a computer to a machine
JPS5518383A (en) * 1978-07-28 1980-02-08 Toyoda Mach Works Ltd Numerical controller for controlling grinding
JPS59149516A (ja) * 1983-01-29 1984-08-27 Toshiba Corp 調理器
JP3044821U (ja) * 1997-05-29 1998-01-16 株式会社渡辺製作所 工作機械等の汎用表示盤
US6112133A (en) * 1998-02-27 2000-08-29 Imcs, Inc. Visual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NC program for machining parts with planar and curvilinear surfaces
JP2000094266A (ja) * 1998-09-22 2000-04-04 Hitachi Seiki Co Ltd 加工領域内照明灯の自動消灯機能を備えた工作機械の制御装置
JP2002236506A (ja) * 2001-02-09 2002-08-23 Toyoda Mach Works Ltd 工作機械の制御システム
JP2003145389A (ja) * 2001-11-09 2003-05-20 Tokyo Seimitsu Co Ltd 切削装置
JP2005001033A (ja) * 2003-06-10 2005-01-06 Fanuc Ltd 加工モニタ
JP2005147465A (ja) * 2003-11-13 2005-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4535998B2 (ja) 2005-12-13 2010-09-01 株式会社森精機製作所 操作器
JP4890995B2 (ja) * 2006-08-09 2012-03-07 中村留精密工業株式会社 旋盤の機内照明装置
US7949422B1 (en) * 2007-06-22 2011-05-24 Vermont Machine Tool Corporation Machine tool control system
US8688258B2 (en) * 2008-09-11 2014-04-0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ethod of controlling a machine tool
US20100085730A1 (en) * 2008-10-07 2010-04-08 Avex-Sg Technology Inc. Illuminating Device For Tools
JP2010164250A (ja) * 2009-01-16 2010-07-29 Sharp Corp 冷蔵庫
JP5590287B2 (ja) 2009-09-08 2014-09-17 Toto株式会社 洗い場床
JP2011158214A (ja) * 2010-02-03 2011-08-18 Panasonic Corp 調理器
JP5357082B2 (ja) 2010-02-23 2013-12-04 スター精密株式会社 工作機械の制御装置および運転制御方法
JP2012003537A (ja) * 2010-06-17 2012-01-05 Toshiba Mach Co Ltd 加工機の運転状態表示方法
JP5918562B2 (ja) 2012-02-15 2016-05-18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工作機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4155A1 (en) * 2002-12-23 2006-03-16 Bujeau Robert F Oven for cooking food
US20080025015A1 (en) * 2005-02-22 2008-01-31 Deckel Maho Pfronten Gmbh Machine tool comprising a protective cabinet and an illumin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16429A1 (en) 2014-12-24
CN104081300A (zh) 2014-10-01
JP5918562B2 (ja) 2016-05-18
EP2816429B1 (en) 2016-11-23
ES2614874T3 (es) 2017-06-02
US10481582B2 (en) 2019-11-19
EP2816429A4 (en) 2015-10-14
US20150019002A1 (en) 2015-01-15
WO2013121925A1 (ja) 2013-08-22
JP2013168008A (ja) 2013-08-29
KR20140124414A (ko) 2014-10-24
US20170364055A1 (en) 2017-12-21
CN104081300B (zh) 2016-08-24
TWI559109B (zh) 2016-11-21
TW201333652A (zh) 201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111B1 (ko) 공작기계
JP2013168008A5 (ko)
KR101686518B1 (ko) 공작 기계의 제어 장치 및 운전 제어 방법
CN105437229B (zh) 机器人控制装置
US8568066B2 (en) Core hole drilling machine
US20100180740A1 (en) Machine tool having a safety unit and a calibration unit for calibrating the safety unit
US20140365177A1 (en) Tool abnormality determination system
EP3489422A3 (en) Controlling earthmoving machine
US11034012B2 (en) Hand-held power tool in which the direction of rotation can be set
US20180169816A1 (en) Machine tool
JP5895633B2 (ja) 工作機械および生産システム
KR101384296B1 (ko) 재봉기
JP5858134B2 (ja) 工作機械
JP2011520629A (ja) 工作機械、特に手持ち式の工作機械のための作業方法
US9933773B2 (en) Monitoring device for programmable controller
JP2002137148A (ja) ツール状況検出器及びこれを用いたatc自動復帰システム及び表示システム
CN105511406B (zh) 眼镜脚加工机器用电控方法及其装置
JP4614352B2 (ja) ブローチ加工装置及びブローチ加工方法
KR20060117547A (ko) 프레스 기계의 슬라이드 제어장치
JPWO2019186620A1 (ja) 異常予兆検出装置および工作機械
EP3974102A1 (en) Machine tool, machine tool control method, and machine tool control program
TWI748501B (zh) 教導機器人的安全系統及方法
CN115839829A (zh) 一种刀具寿命检测系统及检测方法
JP2013015984A (ja) 操作装置
JPH08141841A (ja)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用タッピング装置のタップ折損検出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