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296B1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296B1
KR101384296B1 KR1020080028332A KR20080028332A KR101384296B1 KR 101384296 B1 KR101384296 B1 KR 101384296B1 KR 1020080028332 A KR1020080028332 A KR 1020080028332A KR 20080028332 A KR20080028332 A KR 20080028332A KR 101384296 B1 KR101384296 B1 KR 101384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load torque
pulse motor
output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8454A (ko
Inventor
다이스케 카토우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8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6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nd for disposing of the severed thread end ; Catching or wiping devices for the severed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05B29/08Presser feet comprising relatively-movable par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 D05B37/08Cutting devices with rotatable too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1/00Applications of needle-thread guards; Thread-break detecto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32Measur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32Measuring
    • D05D2305/36Quality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실의 굵기에 따라 펄스 모터의 출력 토크를 변화시킬 수 있어, 실 절단 불량을 억제할 수 있는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재봉기(100)는, 실 절단기구(1)와, 펄스 모터(2)와, 펄스 모터에 명령 펄스를 입력하는 펄스 출력수단(41)과, 펄스 모터에 입력되는 명령 펄스를 검출하는 명령 펄스 검출수단(42)과, 펄스 모터로부터의 출력 펄스를 검출하는 출력 펄스 검출수단(3)과, 검출된 명령 펄스와 출력 펄스의 위상차를 산출하여, 그 위상차를 부하 토크로서 산출하는 부하 토크 산출수단(43)과, 펄스 모터에 걸리는 부하 토크의 역치를 기억하는 굵기 판단용 역치 기억수단(44)과, 산출된 부하 토크가 기억된 부하 토크의 역치보다 큰 경우에, 펄스 모터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키는 동시에 출력 토크를 증가시키는 구동 제어수단(45)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바늘에 꿰어진 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기구를 구비하는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봉제 종료 후에 바늘에 꿰어진 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기구를 구비한 재봉기가 제안되어, 실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재봉기에서, 실 절단기구는, 펄스 모터에 연결되어, 펄스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가동 메스가 동작하며, 가동 메스와 고정 메스에 의해 실을 끼워 넣어 절단한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326064호
그런데, 종래에는 실 절단시에 펄스 모터를 일정한 토크로, 그리고 일정한 회전속도로 구동시켰다. 이 때문에, 절단할 실이 굵은 경우에는 펄스 모터의 토크 부족으로 인해 실을 완전히 절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굵은 실을 절단하는 경우도 고려하여 비교적 대형의 펄스 모터를 설치해 둘 필요가 있었다.
또한, 깜빡하고 바늘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실을 절단한 경우, 가동 메스가 바늘에 접촉하여 바늘이 부러지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으나, 종래에는 바 늘의 위치에 관계없이 실 절단기구를 동작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는 실 절단시에 바늘의 위치를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실의 굵기에 따라 펄스 모터의 출력 토크를 변화시킬 수 있어, 실 절단 불량을 억제할 수 있는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늘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실을 절단하더라도 바늘의 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재봉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재봉기로서, 바늘판의 하방에서 바늘에 꿰어진 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기구와, 상기 실 절단기구를 작동시키는 구동원이 되는 펄스 모터와, 상기 펄스 모터를 구동시킴에 있어서 상기 펄스 모터에 명령 펄스를 입력하는 펄스 출력수단과, 상기 펄스 출력수단으로부터 상기 펄스 모터에 입력되는 명령 펄스를 검출하는 명령 펄스 검출수단과, 상기 펄스 모터로부터의 출력 펄스를 검출하는 출력 펄스 검출수단과, 상기 명령 펄스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명령 펄스와 상기 출력 펄스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펄스의 위상차를 산출하여, 그 위상차를 상기 펄스 모터에 걸리는 부하 토크로서 산출하는 부하 토크 산출수단과, 바늘에 꿰어진 실이 기준이 되는 굵기보다 굵은지를 판단할 때, 그 판단의 경계에 있어서의 상기 펄스 모터에 걸리는 부하 토크의 역치(문턱치)를 기억하는 굵기 판단용 역치 기억수단과, 상기 부하 토크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부하 토크가 상기 굵기 판단용 역치 기억수단에 기억된 부하 토크의 역치보다 큰 경우에, 상기 펄스 모터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키는 동시에 출력 토크를 증가시키는 구동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실 절단작업은, 펄스 모터를 구동시켜 실 절단기구를 동작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명령 펄스 검출수단은, 펄스 출력수단으로부터 펄스 모터에 입력되는 명령 펄스를 검출한다. 또한, 출력 펄스 검출수단은, 명령 펄스에 의해 구동되는 펄스 모터의 출력 펄스를 검출한다.
명령 펄스 및 출력 펄스를 검출하면, 부하 토크 산출수단은, 명령 펄스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명령 펄스와 출력 펄스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펄스의 위상차를 산출하여, 그 위상차를 펄스 모터에 걸리는 부하 토크로서 산출한다.
그리고, 구동 제어수단은, 부하 토크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부하 토크가 굵기 판단용 역치 기억수단에 기억된 부하 토크의 역치보다 큰 경우에, 펄스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속시키는 동시에 출력 토크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부하 토크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부하 토크가 굵기 판단용 역치 기억수단에 기억된 부하 토크의 역치보다 큰 경우, 다시 말해, 실이 기준이 되는 굵기보다 굵어서 절단하는데 커다란 부하 토크가 걸린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구동 제어수단에 의해 펄스 모터의 출력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다란 부하 토크가 필요한 경우에만 펄스 모터의 출력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펄스 모터를 대형화할 필요없이 실 절단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재봉기로서, 바늘판의 하방에서 바늘에 꿰어진 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기구와, 상기 실 절단기구를 작동시키는 구동원이 되는 펄스 모터와, 상기 펄스 모터를 구동시킴에 있어서 상기 펄스 모터에 명령 펄스를 입력하는 펄스 출력수단과, 상기 펄스 출력수단으로부터 상기 펄스 모터에 입력되는 명령 펄스를 검출하는 명령 펄스 검출수단과, 상기 펄스 모터로부터의 출력 펄스를 검출하는 출력 펄스 검출수단과, 상기 명령 펄스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명령 펄스와 상기 출력 펄스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펄스의 위상차를 산출하여, 그 위상차를 상기 펄스 모터에 걸리는 부하 토크로서 산출하는 부하 토크 산출수단과, 상기 실 절단기구가 바늘에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그 판단의 경계에 있어서의 상기 펄스 모터에 걸리는 부하 토크의 역치를 기억하는 접촉 판단용 역치 기억수단과, 상기 부하 토크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부하 토크가 상기 접촉 판단용 역치 기억수단에 기억된 부하 토크의 역치보다 큰 경우에, 상기 펄스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구동 정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실 절단작업은, 펄스 모터를 구동시켜 실 절단기구를 동작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명령 펄스 검출수단은, 펄스 출력수단으로부터 펄스 모터에 입력되는 명령 펄스를 검출한다. 또한, 출력 펄스 검출수단은, 명령 펄스에 의해 구동되는 펄스 모터의 출력 펄스를 검출한다.
명령 펄스 및 출력 펄스를 검출하면, 부하 토크 산출수단은, 명령 펄스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명령 펄스와 출력 펄스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펄스의 위상차 를 산출하여, 그 위상차를 펄스 모터에 걸리는 부하 토크로서 산출한다.
그리고, 구동 정지수단은, 부하 토크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부하 토크가 접촉 판단용 역치 기억수단에 기억된 부하 토크의 역치보다 큰 경우에, 펄스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부하 토크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부하 토크가 접촉 판단용 역치 기억수단에 기억된 부하 토크의 역치보다 큰 경우, 다시 말해, 실 절단기구가 바늘에 접촉하여 펄스 모터에 커다란 부하 토크가 걸려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구동 정지수단에 의해 펄스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펄스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실 절단기구의 동작도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바늘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실을 절단하더라도 바늘의 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하 토크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부하 토크가 굵기 판단용 역치 기억수단에 기억된 부하 토크의 역치보다 큰 경우, 다시 말해, 실이 기준이 되는 굵기보다 굵어서 절단하는데 커다란 부하 토크가 걸린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구동 제어수단에 의해 펄스 모터의 출력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다란 부하 토크가 필요한 경우에만 펄스 모터의 출력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펄스 모터를 대형화할 필요없이 실 절단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하 토크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부하 토크가 접촉 판단용 역치 기억수단에 기억된 부하 토크의 역치보다 큰 경우, 다시 말해, 실 절단기구가 바늘에 접촉하여 펄스 모터에 커다란 부하 토크가 걸려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구동 정지수단에 의해 펄스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펄스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실 절단기구의 동작도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바늘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실을 절단하더라도 바늘의 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련된 재봉기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재봉기의 구성〉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100)는, 바늘판(8)의 하방에서 바늘(6)에 꿰어진 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기구(1)와, 실 절단기구(1)를 동작시키는 구동원이 되는 펄스 모터(2)와, 펄스 모터(2)로부터의 출력 펄스를 검출하는 출력 펄스 검출수단으로서의 인코더(3)와, 펄스 모터(2)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재봉기(100)의 각 부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1) 실 절단기구
(a) 실 절단기구의 구성
실 절단기구(1)는, 펄스 모터(2)에 연결되어 있다. 실 절단기구(1)는, 펄스 모터(2)에 연결된 실 절단 링크(11), 실 절단 링크(11)에 연결된 실 절단 연결 봉(13), 실 절단 연결봉(13)에 설치된 고정 메스(14; 도 2 및 도 3 참조), 가동 메스(15; 도 2 및 도 3 참조) 등을 구비하고 있다.
실 절단 링크(11)는, 중간에 약간 굴곡된 일방향이 기다란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 절단 링크(11)의 일단부는, 캠(7)에 연결되며, 상기 캠(7)은, 펄스 모터(2)의 출력축(2a)에 축지지되어 있다. 실 절단 링크(11)는, 굴곡부(11b)에 있어서, 도시되지 않은 재봉기 프레임에, 지지 핀(1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실 절단 링크(11)의 타단부(11c)는, 실 절단 연결봉(13)의 일단부와 함께 회동가능한 상태로, 부착판(16)에 대해 나사(17)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실 절단 연결봉(13)은, 상방을 향하도록 소정 부분에서 조금씩 굴곡되어 있는 봉형상의 부재이며, 그 선단부(13a; 도 2 참조)는 바늘판(8)의 하방, 즉 바늘대(5)에 유지된 바늘(6)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13a)에는, 나사(21)를 통해 가동 메스 연결부재(2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가동 메스 연결부재(20) 상에 실 절단 레버(23)가 고정되어 있다. 가동 메스 연결부재(20)와 실 절단 레버(23)에는, 바늘판(8)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 핀(22)이 삽입통과되며, 가동 메스 연결부재(20)와 실 절단 레버(23)는, 연결 핀(22)을 중심으로 함께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 절단 레버(23)의 선단에는 가동 메스 링크(24)의 일단부(24a)가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가동 메스 링크(24)의 타단부(24b)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가동 메스(15)의 중앙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가동 메스(15)의 단부(15a)는, 고정 나사(25)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고정 나사(25)는 바늘판(8)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 메스(15)의 선단에는, 절단 동작시에 윗실 및 밑실을 절단하지 않고 치우는 실 제거부(15b)와, 실 제거부(15b)에 의해 치워진 실을 포착하는 것으로서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는 실 포착부(15c)와, 실을 절단하기 위한 가동날(15d)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메스(15)의 근방에는, 바늘판(8)에 나사고정되어 있는 고정 메스(14)가 설치되어, 고정 메스(14)와 가동 메스(15) 사이에서 윗실 및 밑실을 끼움지지하여 이를 절단한다.
(b) 실 절단기구의 동작
다음으로, 실 절단기구(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실 절단기구(1)는, 봉제가 종료되면, 노루발을 올리기 전에, 펄스 모터(2)를 구동시킴으로써 펄스 모터(2)의 출력축(2a)은, 축 주위로 회전된다. 출력축(2a)이 회전하면, 출력축(2a)에 설치된 캠(7)도 출력축(2a)과 함께 회전된다. 캠(7)이 회전하면, 캠(7)에 연결된 실 절단 링크(11)는, 지지 핀(12)을 중심으로 도 1의 지면(紙面)을 향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하단부는 전방(메스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실 절단 연결봉(13)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나사(21)를 통해 가동 메스 연결부재(20)가 눌려짐으로써, 연결 나사(22)를 중심으로 가동 메스 연결부재(20) 및 실 절단 레버(23)가 회전한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 절단 레버(23)의 동작에 의해, 그 선단에 접속된 가동 메스 링크(24)가 후방으로 눌려지고, 가동 메스(15)는 고정 나사(25) 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동작에 따라, 실 제거부(15b)에 의해 윗실 및 밑실이 판별되어, 절단되어야 할 윗실 및 밑실만이 실 포착부(15c)와 고정날(14a)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실 절단 링크(11)가 지지 핀(12)을 중심으로 도 1의 지면을 향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하단부가 후방으로 되돌아가면, 실 절단기구(1)를 구성하는 각 부재가 반대로 동작한다. 즉, 가동 메스(15)는, 도 3(b)의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회전동작하며, 이때 실 포착부(15c)에 의해 윗실 및 밑실을 포착하면서 회동함으로써, 고정날(14a)에 윗실 및 밑실이 가까워져 가서,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날(15d)과 고정날(14a)이 합치하여, 실이 절단된다. 가동 메스부재(15)는 그대로 역전(逆轉)을 계속하여, 도 3(a)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2) 펄스 모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펄스 모터(2)는, 제어장치(4)에 의해 구동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실 절단기구(1)의 동작은, 상기 제어장치(4)에 의해, 펄스 모터(2)의 회전방향과 동작 중의 펄스 수를 카운트하면서 캠(7)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펄스 모터(2)로부터 출력되는 토크는, 공지의 PWM제어에 의해 제어되고 있으며, 명령 펄스의 펄스 폭을 넓힘으로써, 펄스 모터(2)로부터 출력되는 토크를 크게 할 수 있다. 즉, 명령 펄스의 펄스 폭을 변경함으로써, 출력되는 토크를 조절할 수 있다.
(3) 인코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코더(3)는, 펄스 모터(2)의 출력축(2a)에 설치되어, 펄스 모터(2)의 출력축(2a)의 구동 출력의 펄스를 검출한다.
(4) 제어장치
(a) 제어장치의 구성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장치(4)는, 펄스 모터(2)를 구동시킴에 있어서 해당 펄스 모터(2)에 명령 펄스를 입력하는 펄스 출력부(41)를 구비하고 있다. 즉, 펄스 출력부(41)는, 펄스출력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제어장치(4)는, 펄스 출력부(41)로부터 펄스 모터(2)에 입력되는 명령 펄스를 검출하는 명령 펄스 검출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즉, 명령 펄스 검출부(42)는, 명령 펄스 검출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제어장치(4)는, 명령 펄스 검출부(42)에 의해 검출된 명령 펄스와 인코더(3)에 의해 검출된 펄스의 위상차를 산출하고, 그 위상차를 펄스 모터(2)에 걸리는 부하 토크로서 산출하는 부하 토크 산출부(43)를 구비하고 있다. 즉, 부하 토크 산출부(43)는, 부하 토크 산출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제어장치(4)는, 바늘(6)에 꿰어진 실이 기준이 되는 굵기보다 굵은지를 판단할 때 그 판단의 경계에 있어서의 펄스 모터(2)에 걸리는 부하 토크의 역치 데이터(44a)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있다. 즉, 기억부(44)는, 굵기 판단용 역치 기억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44)에는, 실 절단기구(1)의 고정 메스(14) 또는 가동 메스(15)가 바늘(6)에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그 판단의 경계에 있어서의 펄스 모터(2)에 걸리는 부하 토크의 역치 데이터(44b)가 기억되어 있다. 즉, 기억부(44)는, 접촉 판단용 역치 기억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여기서, 부하 토크의 역치 데이터(44a, 44b)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 경험상 측정한 값을 이용하면 되는데, 역치 데이터(44a)는 실의 굵기를 판단할 때 이용되는 것이고, 역치 데이터(44b)는 실 절단기구(1)가 바늘(6)에 접촉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때 이용되는 것이므로, 더 커다란 부하 토크가 걸리는 역치 데이터(44b) 쪽이 부하 토크의 역치는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부하 토크의 역치 데이터(44a)에 기초한 부하 토크값을 T1, 부하 토크의 역치 데이터(44b)에 기초한 부하 토크값을 T2로 한다.
제어장치(4)는, 부하 토크 산출부(43)에 의해 산출된 부하 토크가 기억부(44)에 기억된 부하 토크값(T1)보다 클 경우에, 펄스 모터(2)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키는 동시에 출력 토크를 증가시키는 구동 제어부(45)를 구비하고 있다. 즉, 구동 제어부(45)는, 구동 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제어장치(4)는, 부하 토크 산출부(43)에 의해 산출된 부하 토크가 기억부(44)에 기억된 부하 토크값(T2)보다 클 경우에, 펄스 모터(2)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구동 정지부(46)를 구비하고 있다. 즉, 구동 정지부(46)는, 구동 정지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각 부는, 공지의 CPU가 각 부의 기능을 갖는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에 의한 것뿐만 아니라, 회로 등의 하드웨어에 의한 것이어도 좋다.
(b) 실 절단시의 제어장치의 처리
다음으로, 실을 절단할 때의 제어장치(4)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을 절단할 때에는, 제어장치(4)의 펄스 출력부(41)는, 펄스 모터(2)에 대해 펄스 모터(2)를 구동시키기 위한 명령 펄스를 송신한다(단계 S1). 또한, 펄스 모터(2)의 구동시에는, 펄스 모터(2)에 대한 부하 경감, 작업의 효율화를 고려하여, 펄스 모터(2)를 고속이면서 출력 토크가 비교적 작아지도록 구동시킨다.
이어서, 제어장치(4)의 부하 토크 산출부(43)는, 제어장치(4)의 명령 펄스 검출부(42)에 의해 검출된 펄스 출력부(41)로부터 펄스 모터(2)로 송신되는 명령 펄스와, 인코더(3)에 의해 검출된 펄스 모터(2)로부터 출력축(2a)으로 출력되는 출력 펄스와의 위상차를 산출하고, 그 위상차를 펄스 모터(2)에 걸리는 부하 토크로서 산출한다(단계 S2).
그리고, 제어장치(4)는, 산출된 부하 토크가, 기억부(44)에 기억된 부하 토크의 역치 데이터(44a)에 기초한 부하 토크값(T1)보다 큰 값(산출된 부하 토크의 값이 부하 토크값(T1)과 동일한 경우도 포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 여기서, 제어장치(4)의 구동제어부(45)는, 산출된 부하 토크의 값이 부하 토크값(T1)보다 크다고 판단되면(단계 S3: YES), 펄스 출력부(41)에서 펄스 모터(2)로 송신되는 명령 펄스를 변경하여 펄스 모터(2)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키는 동시에 펄스 모터(2)로부터의 출력 토크를 증가시킨다(단계 S4).
한편, 구동제어부(45)는, 산출된 부하 토크의 값이 부하 토크값(T1)보다 작 다고 판단되면(단계 S3: NO), 제어장치(4)에 의해 실 절단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5), 제어장치(4)에서 실 절단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5: YES)에는 본 처리를 종료시키고, 제어장치(4)에서 실 절단이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5: NO)에는 단계 S2로 되돌아간다.
단계 S4에서, 구동제어부(45)가 펄스 모터(2)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키는 동시에 출력 토크를 증가시킨 후, 부하 토크 산출부(43)는, 명령 펄스 검출부(42)에 의해 검출된 펄스 출력부(41)에서 펄스 모터(2)로 송신되는 명령 펄스와, 인코더(3)에 의해 검출된 펄스 모터(2)에서 출력축(2a)으로 출력되는 출력 펄스와의 위상차를 산출하고, 그 위상차를 펄스 모터(2)에 걸리는 부하 토크로서 산출한다(단계 S6).
그리고, 제어장치(4)는, 산출된 부하 토크가, 기억부(44)에 기억된 부하 토크의 역치 데이터(44b)에 기초한 부하 토크값(T2)보다 큰 값(산출된 부하 토크의 값이 부하 토크값(T2)과 동일한 경우도 포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 여기서, 구동 정지부(46)는, 산출된 부하 토크의 값이 부하 토크값(T2)보다 크다고 판단되면(단계 S7: YES), 펄스 출력부(41)로부터 펄스 모터(2)로의 명령 펄스의 송신을 차단하여 펄스 모터(2)의 구동을 정지시키고(단계 S8), 재봉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 패널 등에 에러 표시를 한다(단계 S9).
한편, 제어장치(4)에서, 산출된 부하 토크의 값이 부하 토크값(T2)보다 작다고 판단되면(단계 S7: NO), 구동제어부(45)는, 펄스 출력부(41)에서 펄스 모터(2)로 송신되는 명령 펄스를 변경하여 펄스 모터(2)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키는 동시에 펄스 모터(2)로부터의 출력 토크를 증가시킨다(단계 S10).
이어서, 제어장치(4)에서, 실 절단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11), 제어장치(4)가 실 절단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11: YES)에는 본 처리를 종료시키고, 제어장치(4)가 실 절단이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11: NO)에는 단계 S6으로 되돌아간다.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이와 같이 재봉기(100)에 의하면, 실 절단 작업은, 펄스 모터(2)를 구동시켜 실 절단기구(1)를 동작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명령 펄스 검출부(42)는, 펄스 출력부(41)에서 펄스 모터(2)로 입력되는 명령 펄스를 검출한다. 또한, 인코더(3)는, 명령 펄스에 의해 구동되는 펄스 모터(2)의 출력 펄스를 검출한다.
명령 펄스 및 출력 펄스를 검출하면, 부하 토크 산출부(43)는, 명령 펄스 검출부(42)에 의해 검출된 명령 펄스와 인코더(3)에 의해 검출된 펄스의 위상차를 산출하고, 그 위상차를 펄스 모터에 걸리는 부하 토크로서 산출한다.
그리고, 구동제어부(45)는, 부하 토크 산출부(43)에 의해 산출된 부하 토크가 기억부(44a)에 기억된 부하 토크의 역치 데이터(44a)보다 큰 경우에, 펄스 모터(2)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키는 동시에 출력 토크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부하 토크 산출부(43)에 의해 산출된 부하 토크가 기억부(44)에 기억된 부하 토크의 역치 데이터(44a)보다 큰 경우, 다시말해, 실이 기준이 되는 굵기보다 굵어서 절단하는데 커다란 부하 토크가 걸린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구동제어부(45)에 의해 펄스 모터(2)의 출력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다란 부하 토크가 필요한 경우에만 펄스 모터(2)의 출력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펄스 모터(2)를 대형화하지 않고도 실 절단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동정지부(46)는, 부하 토크 산출부(43)에 의해 산출된 부하 토크가 기억부(44)에 기억된 부하 토크의 역치 데이터(44b)보다 큰 경우에, 펄스 모터(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부하 토크 산출부(43)에 의해 산출된 부하 토크가 기억부(44)에 기억된 부하 토크의 역치 데이터(44b)보다 큰 경우, 다시 말해, 실 절단기구(1)가 바늘(6)에 접촉하여 펄스 모터(2)에 커다란 부하 토크가 걸려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구동 정지부(46)에 의해 펄스 모터(2)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펄스 모터(2)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실 절단기구(1)의 동작도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바늘(6)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실을 절단하더라도 바늘의 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기타)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장치(4)가 구동제어부(45)와 구동정지부(46)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구동제어부(45)는, 역치를 하나만 정하였기 때문에, 실의 굵기가 가는지 굵은지 만을 판단하였으나, 복수의 역치를 설정함으로써, 펄스 모터(2)의 구동 제어를 실의 굵기에 따라 보다 세분화해도 된다.
도 1은 재봉기에 있어서의 실 절단기구 주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 절단기구에 있어서의 고정 메스 및 가동 메스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 절단기구에 있어서의 고정 메스 및 가동 메스의 실 절단시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재봉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제어장치의 실 절단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실 절단기구 2 : 펄스 모터
3 : 인코더(출력 펄스 검출수단) 4 : 제어장치
6 : 바늘 8 : 바늘판
41 : 펄스 출력부(펄스 출력수단)
42 : 명령 펄스 검출부(명령 펄스 검출수단)
43 : 부하 토크 산출부(부하 토크 산출수단)
44 : 기억부(굵기 판단용 역치 기억수단, 접촉 판단용 역치 기억수단)
45 : 구동 제어부(구동 제어수단)
46 : 구동 정지부(구동 정지수단)

Claims (2)

  1. 바늘판의 하방에서 바늘에 꿰어진 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기구와,
    상기 실 절단기구를 작동시키는 구동원이 되는 펄스 모터와,
    상기 펄스 모터를 구동시킴에 있어서 상기 펄스 모터에 명령 펄스를 입력하는 펄스 출력수단과,
    상기 펄스 출력수단으로부터 상기 펄스 모터에 입력되는 명령 펄스를 검출하는 명령 펄스 검출수단과,
    상기 펄스 모터로부터의 출력 펄스를 검출하는 출력 펄스 검출수단과,
    상기 명령 펄스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명령 펄스와 상기 출력 펄스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펄스의 위상차를 산출하여, 그 위상차를 상기 펄스 모터에 걸리는 부하 토크로서 산출하는 부하 토크 산출수단과,
    바늘에 꿰어진 실이 기준이 되는 굵기보다 굵은지 여부를 판단할 때, 그 판단의 경계에 있어서의 상기 펄스 모터에 걸리는 부하 토크의 역치를 기억하는 굵기 판단용 역치 기억수단과,
    상기 부하 토크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부하 토크가 상기 굵기 판단용 역치 기억수단에 기억된 부하 토크의 역치보다 큰 경우에, 상기 펄스 모터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키는 동시에 출력 토크를 증가시키는 구동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2. 바늘판의 하방에서 바늘에 꿰어진 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기구와,
    상기 실 절단기구를 작동시키는 구동원이 되는 펄스 모터와,
    상기 펄스 모터를 구동시킴에 있어서 상기 펄스 모터에 명령 펄스를 입력하는 펄스 출력수단과,
    상기 펄스 출력수단으로부터 상기 펄스 모터에 입력되는 명령 펄스를 검출하는 명령 펄스 검출수단과,
    상기 펄스 모터로부터의 출력 펄스를 검출하는 출력 펄스 검출수단과,
    상기 명령 펄스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명령 펄스와 상기 출력 펄스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펄스의 위상차를 산출하여, 그 위상차를 상기 펄스 모터에 걸리는 부하 토크로서 산출하는 부하 토크 산출수단과,
    상기 실 절단기구가 바늘에 접촉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때, 그 판단의 경계에 있어서의 상기 펄스 모터에 걸리는 부하 토크의 역치를 기억하는 접촉 판단용 역치 기억수단과,
    상기 부하 토크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부하 토크가 상기 접촉 판단용 역치 기억수단에 기억된 부하 토크의 역치보다 큰 경우에, 상기 펄스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구동 정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KR1020080028332A 2007-03-28 2008-03-27 재봉기 KR1013842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84882A JP2008237706A (ja) 2007-03-28 2007-03-28 ミシン
JPJP-P-2007-00084882 2007-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454A KR20080088454A (ko) 2008-10-02
KR101384296B1 true KR101384296B1 (ko) 2014-04-10

Family

ID=3990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332A KR101384296B1 (ko) 2007-03-28 2008-03-27 재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237706A (ko)
KR (1) KR101384296B1 (ko)
CN (1) CN1012753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7065B2 (ja) * 2009-04-06 2014-04-02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5555482B2 (ja) * 2009-12-01 2014-07-23 Juki株式会社 玉縁縫いミシン
JP2012105896A (ja) * 2010-11-19 2012-06-07 Juki Corp ミシン
JP2016067696A (ja) * 2014-09-30 2016-05-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CN104358042B (zh) * 2014-12-12 2016-08-24 浙江中捷缝纫科技有限公司 一种花样缝纫机的剪线机构
JP2018029681A (ja) * 2016-08-23 2018-03-01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2018187056A (ja) * 2017-05-02 2018-11-29 Juki株式会社 ミシ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4277A (en) 1974-05-15 1977-03-29 Hitachi, Ltd. Control apparatus for sewing machine with automatic needle stopping means
US4287843A (en) 1979-02-09 1981-09-08 Janome Sewing Machine Co., Ltd. Electric sewing machine with a speed control system
US4315472A (en) 1979-03-26 1982-02-16 Janome Sewing Machine Co. Ltd. Electronic sew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0400C1 (de) * 1999-05-04 2000-05-18 Duerkopp Adler Ag Nähmaschine mit einer Überlastkupplung
JP3906085B2 (ja) * 2002-01-28 2007-04-18 Juki株式会社 ミシン及び自動縫いミシン
JP2004321771A (ja) * 2003-04-08 2004-11-18 Brother Ind Ltd ミシン及びパルスモータ制御プログラム
JP2005328973A (ja) * 2004-05-19 2005-12-02 Brother Ind Ltd ミシンモータ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102399A (ja) * 2004-10-08 2006-04-20 Juki Corp ミシ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4277A (en) 1974-05-15 1977-03-29 Hitachi, Ltd. Control apparatus for sewing machine with automatic needle stopping means
US4287843A (en) 1979-02-09 1981-09-08 Janome Sewing Machine Co., Ltd. Electric sewing machine with a speed control system
US4315472A (en) 1979-03-26 1982-02-16 Janome Sewing Machine Co. Ltd. Electronic sew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75342A (zh) 2008-10-01
KR20080088454A (ko) 2008-10-02
JP2008237706A (ja) 2008-10-09
CN101275342B (zh)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296B1 (ko) 재봉기
JP2009201930A (ja) 自動糸切りミシンの制御装置
JP4722510B2 (ja) ミシン
JP4526956B2 (ja) ミシン
KR20090064311A (ko)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
JP2009172001A (ja) ミシン
JP2008295946A (ja) ミシン
KR20090102674A (ko) 단춧구멍박기 재봉기의 천 절단장치
JP5384956B2 (ja) ミシン
WO2005068703A1 (ja) ミシン及びその縫製枠の退避制御方法
JP2009207665A (ja) ミシン
JP5318357B2 (ja) 電動式ミシン
EP3006615B1 (en) Sewing machine
JPH06254279A (ja) ミシン
JP2001252487A (ja) 糸切れ発生時の刺繍枠移送機能を有する刺繍機及び刺繍枠移送方法
US5085160A (en) Thread cutting device for use in a sewing machine
JPH07144083A (ja) ミシンの糸払い装置
JP4642545B2 (ja) 糸切り装置
JP4689312B2 (ja) ミシン
JP4509805B2 (ja) 2本針ミシン
JPH11333177A (ja) ミシンの制御装置
JPH1119364A (ja) 水平釜ミシン
JP2793471B2 (ja) ミシンの糸切制御装置
JP2007181609A (ja) ミシン
JP4598315B2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