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604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604B1
KR101945604B1 KR1020167014783A KR20167014783A KR101945604B1 KR 101945604 B1 KR101945604 B1 KR 101945604B1 KR 1020167014783 A KR1020167014783 A KR 1020167014783A KR 20167014783 A KR20167014783 A KR 20167014783A KR 101945604 B1 KR101945604 B1 KR 101945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gas purifying
purifying device
inclined surface
thre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2978A (ko
Inventor
류우스케 나카시마
마사후미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71300A external-priority patent/JP61699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71301A external-priority patent/JP6133768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2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52Anti-dus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082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tailpipe, e.g. with means for mixing air with exhaust for exhaust cooling, dilution or evac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2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heat or sound protection, e.g. using a shield or specially shaped outer surface of exhaust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표면온도의 과잉의 고온화를 억제함과 아울러, 진애 등의 축적을 저감시킴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메인터넌스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 곡립 저류부측에 근접하는 탈곡부의 타측 가장자리 상부는 곡립 저류부측으로 하향 경사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사면부로 하고, 탈곡부와 곡립 저류부 사이에 있어서 경사면부 상에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했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 상세하게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장착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콤바인의 일형태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즉, 특허문헌 1에는 기체의 전방에 예취부를 부착하고, 기체에 탈곡부와 운전부와 곡립 저류부를 설치하고, 예취부에 의해 예취한 곡간의 곡립을 탈곡부에서 탈곡하고, 탈곡부에서 탈곡된 곡립을 곡립 저류부에 저류하도록 한 콤바인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부의 하방에 형성된 엔진룸내에는 디젤엔진을 탑재하고, 디젤엔진의 상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인 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이하, 디젤 배기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인 Diesel Particulate Filter를 약기한 「DPF」라고도 한다.)를 적재해서 디젤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DPF내에 통과시킴으로써 배기가스를 정화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DPF는 디젤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중의 흑연을 주체로 하는 입자상 물질(이하, 「PM」이라고도 한다.) 등을 포집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 2011-231618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콤바인에서는 분위기 온도가 높은 엔진룸내에 탑재한 디젤엔진의 상면에 DPF를 적재하고 있기 때문에, DPF의 표면온도도 고온으로 되어 있다. 또한, 디젤엔진의 상면에 적재되어 있는 DPF에는 예취부로부터 탈곡부에 반송되는 곡간으로부터 비산되는 진애 등이 축적되기 쉬운 데다가, DPF의 표면온도가 고온화되어 있기 때문에, DPF의 메인터넌스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표면온도의 과잉의 고온화를 억제함과 아울러, 진애 등의 축적을 저감시킴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메인터넌스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기체의 전방에 예취부를 부착하고, 기체의 일측방에 탈곡부를 배치하는 한편, 기체의 타측방에 곡립 저류부를 배치해서 탈곡부와 곡립 저류부를 좌우에 인접시켜서 배치하고, 기체의 전방부에는 디젤엔진을 배치하고, 디젤엔진의 배기구부에 배기관을 접속함과 아울러, 배기관의 중도부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한 콤바인으로서, 곡립 저류부측에 근접하는 탈곡부의 타측 가장자리 상부는 곡립 저류부측으로 하향 경사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사면부로 하고, 탈곡부와 곡립 저류부 사이에 있어서 경사면부 상에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서는 곡립 저류부측에 근접하는 탈곡부의 타측 가장자리 상부를 곡립 저류부측으로 하향 경사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사면부로 하고 있기 때문에, 경사면부 상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으로의 통기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통기성이 양호한 경사면부 상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기체의 전방부에 배치한 디젤엔진으로부터 적당하게 이격시킬 수도 있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표면온도의 과잉의 고온화를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메인터넌스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경사면부 상에 낙하한 진애 등은 탈곡부와 곡립 저류부 사이에 미끌어 떨어지게 할 수 있으므로, 경사면부 상에 배치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주위에 있어서의 진애 등의 축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경사면부 상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체의 컴팩트화를 꾀할 수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디젤엔진으로부터 이격시켜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엔진룸의 소형화도 꾀할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으로서, 탈곡부의 경사면부에는 스테이를 통해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지지시킴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와 경사면부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서는 예취부에서 예취된 곡간이 탈곡부에 반입될 때에 생기는 진애 등이 경사면부측으로 비산해서 낙하했다고 해도 진애 등은 경사면부 위를 미끌어 떨어진다. 이 때, 배기가스 정화 장치와 경사면부 사이에는 일정 간격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는 경사면부 위를 미끌어 떨어지는 진애 등에 지장이 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주위에 진애 등이 체류·축적되는 일이 없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발명으로서, 기체의 전방부에 배치한 디젤엔진의 배기구부에는 상류측 배기관을 통해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전방부를 접속함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후방부에 하류측 배기관의 기단부를 접속하고, 하류측 배기관은 경사면부의 상방에 있어서 후방을 향해서 연신시키고, 그 선단부를 후방을 향해서 개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서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후방부에 기단부를 접속한 하류측 배기관을 경사면부의 상방에 있어서 후방을 향해서 연신시키고, 그 선단부를 후방을 향해서 개구시키고 있기 때문에, 경사면부 상에 하류측 배기관 자체를 컴팩트하고 또한 단폭화해서 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배기가스가 배기되는 하류측 배기관의 선단부를 운전부에 착좌하고 있는 운전자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어 운전 환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의 발명으로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는 탈곡부의 상면보다 고위치에 위치하는 곡립 저류부의 상면보다 하방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서는 곡립 저류부에 반출 오거의 기단부를 선회 가능하게 접속해서 곡립 저류부내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을 반출 오거에 의해 반출하도록 한 경우에는 반출 오거를 곡립 저류부의 상방에 있어서 선회 동작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횡와(橫臥)상으로 수납시킴으로써 반출 오거가 곡립 저류부의 상면보다 하방위치에 배치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와 간섭하는 것을 간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횡와상으로 수납시킨 반출 오거에 시트 커버를 씌웠을 때에도, 시트 커버가 고온화된 배기가스 정화 장치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기체의 전방에 예취부를 부착하고, 기체의 일측방에 탈곡부를 배치하는 한편, 기체의 타측방에 곡립 저류부를 배치해서 탈곡부와 곡립 저류부를 좌우에 인접시켜서 배치하고, 기체의 전방부에는 디젤엔진을 배치하고, 디젤엔진의 배기구부에 배기관을 접속함과 아울러, 배기관의 중도부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한 콤바인으로서, 곡립 저류부측에 근접하는 탈곡부의 타측 가장자리 상부는 곡립 저류부측으로 하향 경사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사면부로 하고, 경사면부의 바로 상방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서는 곡립 저류부측에 근접하는 탈곡부의 타측 가장자리 상부를 곡립 저류부측으로 하향 경사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사면부로 하고, 경사면부의 바로 상방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주위의 전후 방향으로의 통기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상방을 향해서 좌우폭이 점차 확폭되어 통기성이 양호한 점차 확폭 공간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기체의 전방부에 배치한 디젤엔진으로부터 적당하게 이격시킬 수도 있어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표면온도의 고온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디젤엔진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엔진룸의 소형화도 꾀할 수 있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으로서, 곡립 저류부는 후방부측을 피봇팅함과 아울러, 전방부측을 외측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하고, 곡립 저류부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상방을 향해서 가동측 록킹체를 돌출시키는 한편, 탈곡부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상방을 향해서 고정측 록킹체를 돌출해서 고정측 록킹체에 가동측 록킹체를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상방에 있어서 록킹·이탈 가능하게 록킹하고, 고정측 록킹체에 예취부나 탈곡부 등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측으로 비산해 오는 진애 등을 차폐하는 차폐체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서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상방에 있어서, 고정측 록킹체에 가동측 록킹체를 록킹·이탈 가능하게 록킹하고 있기 때문에, 양 록킹체를 록킹·이탈시킬 때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가 지장이 되지 않아 양 록킹체의 록킹·이탈 조작을 견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탈곡부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상방을 향해서 돌출시킨 고정측 록킹체에 차폐체를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차폐체 부착부재를 별개로 설치하지 않고, 고정측 록킹체에 차폐체를 견실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이 때, 차폐체는 예취부나 탈곡부 등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측으로 비산해 오는 진애 등을 차폐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진애 등이 체류·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으로서, 차폐체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측방위치이며, 또한, 탈곡부의 경사면부의 상방위치에 배치해서 그 하단 가장자리부와 경사면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에서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측방위치이며, 또한, 탈곡부의 경사면부의 상방위치에 차폐체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예취부나 탈곡부 등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측으로 비산해 오는 진애 등을 차폐체에 의해 차폐할 수 있다. 이 때, 차폐체의 하단 가장자리부와 경사면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탈곡부의 경사면부 상에 낙하한 진애 등의 미끄러 떨어짐에 차폐체가 지장이 되지 ?는다. 그 때문에 경사면부 상에 진애 등이 체류·축적되는 일이 없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으로서, 차폐체의 측면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부착한 센서의 와이어 하니스의 중도부를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에서는 차폐체의 측면, 즉,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대면하는 측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부착한 센서의 와이어 하니스의 중도부를 지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 하니스를 정연하게 배선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비산해 오는 진애 등이 와이어 하니스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표면온도의 고온화를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진애 등의 축적을 저감시킬 수 있어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메인터넌스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로서의 콤바인의 좌측면도.
도 2는 본 실시형태로서의 콤바인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실시형태로서의 콤바인의 평면도.
도 4는 본 실시형태로서의 콤바인의 정면도.
도 5는 디젤엔진에 접속한 흡·배기 배관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6은 디젤엔진에 접속한 흡·배기 배관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탈곡부와 곡립 저류부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I-I선 단면 설명도.
도 9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3은 차폐체의 우측면 설명도.
도 14는 고정측 연결체와 가동측 연결체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고정측 연결체와 가동측 연결체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콤바인은 기체의 전방에 예취부를 부착하고, 기체의 일측방에 탈곡부를 배치하는 한편, 기체의 타측방에 곡립 저류부를 배치해서 탈곡부와 곡립 저류부를 좌우에 인접시켜서 배치하고, 기체의 전방부에는 디젤엔진을 배치하고, 디젤엔진의 배기구부에 배기관을 접속함과 아울러, 배기관의 중도부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한 것으로서, 곡립 저류부측에 근접하는 탈곡부의 타측 가장자리 상부는 곡립 저류부측으로 하향 경사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사면부로 하고, 탈곡부와 곡립 저류부 사이에 있어서 경사면부 상에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탈곡부의 경사면부에는 스테이를 통해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지지시킴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와 경사면부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고 있다.
또한 기체의 전방부에 배치한 디젤엔진의 배기구부에는 상류측 배기관을 통해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전방부를 접속함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후방부에는 하류측 배기관의 기단부를 접속하고, 하류측 배기관은 경사면부의 상방에 있어서 후방을 향해서 연신시키고, 그 선단부를 후방을 향해서 개구시키고 있다.
여기에서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는 탈곡부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곡립 저류부의 상면보다 하방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콤바인은 기체의 전방에 예취부를 부착하고, 기체의 일측방에 탈곡부를 배치하는 한편, 기체의 타측방에 곡립 저류부를 배치해서 탈곡부와 곡립 저류부를 좌우에 인접시켜서 배치하고, 기체의 전방부에는 디젤엔진을 배치하고, 디젤엔진의 배기구부에 배기관을 접속함과 아울러, 배기관의 중도부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한 것으로서, 곡립 저류부측에 근접하는 탈곡부의 타측 가장자리 상부는 곡립 저류부측으로 하향 경사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사면부로 하고, 경사면부의 바로 상방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곡립 저류부는 후방부측을 피봇팅함과 아울러, 전방부측을 외측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고, 곡립 저류부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상방을 향해서 가동측 록킹체를 돌출시키는 한편, 탈곡부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상방을 향해서 고정측 록킹체를 돌출시켜서 고정측 록킹체에 가동측 록킹체를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상방에 있어서 록킹·이탈 가능하게 록킹하고, 고정측 록킹체에 예취부나 탈곡부 등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측으로 비산해 오는 진애 등을 차폐하는 차폐체를 부착하고 있다.
또한, 차폐체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측방위치이며, 또한, 탈곡부의 경사면부의 상방위치에 배치해서 그 하단 가장자리부와 경사면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있다.
또한, 차폐체의 측면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부착한 센서의 와이어 하니스의 중도부를 지지시키고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1은 본 실시예로서의 콤바인이다. 우선, 콤바인(1)의 전체구성에 대해서, 도 1∼도 4를 참조하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그 후에, 본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서 도 7∼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콤바인(1)의 전체구성의 개략 설명]
콤바인(1)은 도 1∼도 4에 나타내듯이, 전후 방향으로 주행가능하게 한 주행기체(3)를 구비하고 있고, 주행기체(3)는 좌우 한쌍의 크롤러식의 주행부(2)를 갖고 있다. 주행기체(3)의 전방에는 곡간을 예취하는 4조 예취용의 예취부(4)를 승강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주행기체(3)에는 그 전진 방향을 향해서 좌측의 상부에 예취부(4)에 의해 예취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부(5)를 설치하고 있다. 주행기체(3)의 좌측 하부에는 탈곡부(5)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선별하는 선별부(6)를 설치하고 있다. 좌측 상하부에 설치한 탈곡부(5) 및 선별부(6)의 후방에는 배고를 처리하는 배고 처리부(7)를 설치하고 있다.
주행기체(3)에는 그 전진 방향을 향해서 우측의 전방부에 캐빈내에서 각 부를 조작하도록 한 운전부(8)를 설치하고 있다. 주행기체(3)의 우측 후방부에는 선별부(6)에 의해 선별된 곡립(청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부(9)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곡립 저류부(9)는 주행기체(3)에 후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피봇팅되어 있다. 곡립 저류부(9)는 그 전방부측을 수평면 상에서 우측 외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곡립 저류부(9)를 자세 변경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곡립 저류부(9)는 전방으로 지향시킨 사용 자세(수확 작업 자세)와, 우측 전방으로 지향시킨 불사용 자세(수확 비작업 자세) 사이에서 수평으로 회동시켜서 자세 변경 가능하게 하고 있다.
주행기체(3)의 우측 후단부에는 곡립 저류부(9)에 저류된 곡립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부(10)를 설치하고 있다. 반출부(10)는 기체 프레임(15)으로부터 세워져서 곡립 저류부(9)의 후단부와 연통 연설한 세로 오거(11)와, 세로 오거(11)의 상단부에 기단부를 선회 가능하게 접속함과 아울러, 전방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가로 오거(12)를 구비하고 있다. 세로 오거(11)에는 곡립 저류부(9)의 후단부를 피봇팅·연결해서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세로 오거(11)의 축선을 중심으로 곡립 저류부(9)를 수평으로 회동가능하게 하고 있다.
운전부(8)에는 그 후반부의 바로 하방에 도 1∼도 4에 나타내듯이, 엔진룸(20)을 형성하고 있다. 엔진룸(20)은 주행기체(3)의 중앙 부근 위치까지(탈곡부(5)의 우측 전방부 근방 위치까지) 돌출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엔진룸(20)내에는 각 부의 구동부를 구동하는 디젤엔진(21)을 탑재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디젤엔진(21)의 흡기구부(34)에는 외기를 정화한 후에 흡기하기 위한 흡기 배관부(23)의 기단부를 접속하고 있다. 한편, 디젤엔진(21)의 배기구부(43)에는 배기관으로서의 배기 배관부(24)의 기단부를 접속하고 있다.
흡기 배관부(23)는 곡립 저류부(9)의 바로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기 배관부(23)는 프리 클리너(30)와 상류측 흡기관(31)과 에어 클리너(32)와 하류측 흡기관(33)을 구비하고, 이들을 순차 직렬적으로 연통 연결하고 있다. 하류측 흡기관(33)은 디젤엔진(21)에 설치한 흡기구부(34)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흡기 배관부(23)에서는 프리 클리너(30)로부터 상류측 흡기관(31)을 통해서 에어 클리너(32)에 외기를 받아 들여서 에어 클리너(32)로 외기를 정화한 후에, 하류측 흡기관(33)을 통해서 흡기구부(34)로부터 디젤엔진(21)에 정화한 외기가 흡인되도록 하고 있다.
배기 배관부(24)는 상류측 배기관(40)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와 하류측 배기관(42)을 구비하고, 이들을 순차 직렬적으로 연통 연결하고 있다. 상류측 배기관(40)은 디젤엔진(21)에 설치한 배기구부(43)에 접속하고 있다. 상류측 배기관(40)의 중도부에는 진동 흡수용의 벨로즈부(48)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류측 배기관(40)은 디젤엔진(21)의 배기구부(43)와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하면 전방부를 최단 거리에서 접속하고, 전후 좌우 상하 중 어느 방향으로부터의 진동도 중도부에 설치한 벨로즈부(48)에 의해 흡수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류측 배기관(40)은 점대칭으로 형성하고, 디젤엔진(21)의 배기구부(43)와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하면 전방부에 양단부를 대체해서 접속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콤바인(1)에 있어서, 본 실시예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설치 구조에 특징을 갖고 있다. 다음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설치 구조에 대해서 도 7∼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설치 구조의 설명]
곡립 저류부(9)측에 근접하는 탈곡부(5)의 타측 가장자리 상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 가장자리 상부)는 전반부를 곡립 저류부(9)측에 하향 경사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사면부(50)로 하고 있다. 경사면부(50)의 상방에 있어서의 탈곡부(5)와 곡립 저류부(9) 사이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41)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공간(51)을 형성하고 있다. 설치 공간(51)은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하고, 설치 공간(51)내에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41)를 수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41)는 경사면부(50)의 바로 상방에 일정한 간격(D1)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즉, 배기가스 정화 장치(41)는 탈곡부(5)의 경사면부(50)에 전방부 스테이(52) 및 후방부 스테이(53)를 통해 가로로 걸쳐진 형상으로 지지시키고 있다. 그리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와 경사면부(50)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D1)을 유지시키고 있다. 여기에서, 곡립 저류부(9)의 천정면부(57)는 탈곡부(5)의 천정면부(56)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41)는 탈곡부(5)의 천정면부(56)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곡립 저류부(9)의 천정면부(57)의 상면보다 하방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주행기체(3)의 전방부에 배치한 디젤엔진(21)의 배기구부에는 배기 배관부(24)의 상류측을 형성하는 상류측 배기관(40)(도 5 및 도 6 참조)을 통해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둘레벽(41a)의 전방하부에 설치한 유입측 접속부(54)를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후단벽(41c)에 설치한 유출측 연통부(55)에는 배기 배관부(24)의 하류측을 형성하는 하류측 배기관(42)의 기단부를 비접촉 상태로 연통시키고 있다. 하류측 배기관(42)은 경사면부(50)를 따르게 해서 후방을 향해서 연신시키고, 그 선단부(42a)를 후방을 향해서 개구시키고 있다.
곡립 저류부(9)는 주행기체(3)에 후단부를 피봇팅함과 아울러, 전방부측을 외측방(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하고 있다. 곡립 저류부(9)의 앞벽(97)의 상부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상방을 향해서 가동측 록킹체(60)를 돌출설치하고 있다. 한편, 탈곡부(5)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상방을 향해서 고정측 록킹체(61)를 돌출설치하고 있다. 고정측 록킹체(61)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상방에 있어서 가동측 록킹체(60)를 록킹·이탈 가능하게 록킹하고 있다. 고정측 록킹체(61)에는 예취부(4)나 탈곡부(5) 등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측으로 비산해 오는 진애 등을 차폐하는 차폐체(70)와 보조 차폐체(74)를 부착하고 있다. 차폐체(70)는 고정측 록킹체(61)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연신시켜서 부착하고 있다. 한편, 보조 차폐체(74)는 고정측 록킹체(61)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돌출시켜서 부착하고 있다.
차폐체(70)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좌측방위치이며, 또한, 탈곡부(5)의 경사면부(50)의 상방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차폐체(70)의 하단 가장자리부와 경사면부(50)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D2)을 유지시키고 있다. 차폐체(70)의 내측면에는 도 13에 나타내듯이 지지체(71)를 통해 와이어 하니스(73)의 중도부를 지지시키고 있다. 그리고, 와이어 하니스(73)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에 부착한 온도센서 등(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통전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설치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가 생긴다. 즉, 곡립 저류부(9)측에 근접하는 탈곡부(5)의 타측 가장자리 상부는 곡립 저류부(9)측으로 하향 경사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사면부(50)로 되어 있으므로, 경사면부(50) 상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으로의 통기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환언하면, 상방을 향해서 좌우폭이 점차 확폭되고, 통기성이 양호한 경사면부(50) 상의 점차 확폭 공간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41)를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주행기체(3)의 전방부에 배치한 디젤엔진(21)으로부터 적당하게 이격시킬 수도 있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표면온도의 과잉의 고온화를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메인터넌스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경사면부(50) 상에 낙하한 진애 등은 탈곡부(5)와 곡립 저류부(9) 사이에 미끌어 떨어지게 할 수 있으므로, 경사면부(50) 상에 배치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주위에 있어서의 진애 등의 축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41)는 경사면부(50) 상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주행기체(3)의 컴팩트화를 꾀할 수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41)는 디젤엔진(21)으로부터 이격시켜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엔진룸(20)의 소형화도 꾀할 수 있다.
예취부(4)에서 예취된 곡간이 탈곡부(5)에 반입될 때에 생기는 진애 등은 경사면부(50)측으로 비산해서 낙하했다고 해도 경사면부(50) 위를 미끌어 떨어진다. 이 때,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와 경사면부(50)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D1)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41)는 경사면부(50)위를 미끌어 떨어지는 진애 등에 지장이 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주위에는 진애 등이 체류·축적되는 일이 없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후방부에 기단부를 접속한 하류측 배기관(42)은 경사면부(50)의 상방에 있어서 후방을 향해서 연신시키고, 그 선단부(42a)를 후방을 향해서 개구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하류측 배기관(42)은 그 자체를 경사면부(50)의 상방에 있어서 컴팩트하고 또한 단폭화해서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가스가 배기되는 하류측 배기관(42)의 선단부(42a)는 운전부(8)에 착좌하고 있는 운전자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어 운전 환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곡립 저류부(9)와 연통 연설한 세로 오거(11)의 상단부에 반출 오거로서의 가로 오거(12)의 기단부를 선회 가능하게 접속해서 곡립 저류부(9)내에 저류하고 있는 곡립을 이들 오거(11,12)에 의해 반출하도록 한 경우에는 가로 오거(12)를 곡립 저류부(9)의 상방에 있어서 선회 동작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횡와상태로 수납시킴으로써 가로 오거(12)가 곡립 저류부(9)의 천정면부(57)의 상면보다 하방위치에 배치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와 간섭하는 것을 간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횡와상으로 수납시킨 가로 오거(12)에 시트 커버를 씌웠을 때에도 시트 커버가 고온화된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가동측 록킹체(60)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상방에 있어서 고정측 록킹체(61)에 록킹·이탈 가능하게 록킹되어 있다. 그 때문에 양 록킹체(60,61)를 록킹·이탈시킬 때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41)가 지장이 되지 않고, 양 록킹체(60,61)의 록킹·이탈 조작을 견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차폐체(70)는 탈곡부(5)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상방을 향해서 돌출한 고정측 록킹체(61)에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차폐체 부착부재를 별개로 설치하지 않고, 고정측 록킹체(61)에 차폐체(70)를 견실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이 때, 차폐체(70)는 예취부(4)나 탈곡부(5) 등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측으로 비산해 오는 진애 등을 차폐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에 진애 등이 체류·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폐체(70)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좌측방위치이며, 또한, 탈곡부(5)의 경사면부(50)의 상방위치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예취부(4)나 탈곡부(5) 등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측으로 비산해 오는 진애 등을 차폐체(70)에 의해 차폐할 수 있다. 이 때, 차폐체(70)의 하단 가장자리부와 경사면부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D2)을 유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탈곡부(5)의 경사면부(50) 상에 낙하한 진애 등의 미끌어 떨어짐에 차폐체(70)가 지장이 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경사면부(50) 상에 진애 등이 체류·축적되는 일이 없다.
차폐체(70)의 측면에는 즉,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에 대면하는 우측면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에 부착한 온도센서 등의 와이어 하니스(73)의 중도부를 지지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와이어 하니스(73)를 정연하게 배선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비산해 오는 진애 등이 와이어 하니스(73)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설치 구조의 구체적인 설명]
다음에 상기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설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탈곡부(5)는 급실(90)을 내장하는 메인 탈곡 케이스(91)와, 2번 환원실(92)을 내장하는 서브 탈곡 케이스(93)를 갖고 있다. 메인 탈곡 케이스(91)는 사각형 상자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한편, 서브 탈곡 케이스(93)는 메인 탈곡 케이스(91)의 우측부를 좌측방으로 돌출시켜서 사각형 상자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서브 탈곡 케이스(93)는 천정면부를 우측 하방으로 하향 경사상으로 형성한 경사면부(50)로 하고 있다. 서브 탈곡 케이스(93)의 전후폭은 메인 탈곡 케이스(91)의 전후폭의 약 4분의 3의 폭으로 형성하고 있다.
서브 탈곡 케이스(93)의 우측벽(94)과, 좌우 방향으로 대면하는 곡립 저류부(9)의 좌측벽(95)의 전방상부에는 전방과 좌측방이 개구되는 오목부(96)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오목부(96)의 상하폭 및 전후폭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상하폭 및 전후폭보다 광폭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설치 공간(51)은 탈곡부(5)와 곡립 저류부(9)의 양 상부 사이에 형성한 공간을 그 좌측방에 형성된 경사면부(50)의 상방의 공간과, 그 우측방에 형성된 오목부(96)의 공간에 좌우 방향으로 연속시켜서 주위에 돌출시켜서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형성한 설치 공간(51)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41)를 수용가능한 점차 확폭 공간, 즉, 상방을 향해서 좌우폭이 점차 확폭되는 공간으로 하고 있다. 탈곡부(5)와 곡립 저류부(9)의 하부 사이에 형성한 공간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후술의 2번 환원통(132)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탈곡부(5)와 곡립 저류부(9)의 중도부 사이에 형성한 공간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후술의 양곡통(136)을 설치하고 있다. 설치 공간(51)내에 설치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41)는 2번 환원통(132)의 바로 상방위치이며, 또한, 양곡통(136)의 바로 전방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41)는 탈곡부(5)와 곡립 저류부(9)의 전방상부 사이에 형성한 설치 공간(51)내에 컴팩트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설치 공간(51)의 일부를 형성하는 탈곡부(5)의 경사면부(50)에 견실하게 지지된다.
탈곡부(5)의 경사면부(50)에는 그 전단부에 전방부 스테이(52)를 돌출설치함과 아울러, 경사면부(50)의 중도부에 후방부 스테이(53)를 돌출설치해서 양 스테이(52,53) 사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41)를 가로로 걸침으로써 경사면부(50)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41)를 일정한 간격(D1)을 두고 견실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전방부 스테이(52)는 경사면부(50)의 상면에 면접촉시켜서 고정한 고정편(52a)과, 고정편(52a)으로부터 우측 상방을 향해서 상승형상으로 연이어 설치한 상승편(52b)으로 형성하고, 상승편(52b)의 상단부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전단벽(41b)을 부착하고 있다.
후방부 스테이(53)는 경사면부(50)의 상면에 면접촉시켜서 고정한 고정편(53a)과, 고정편(53a)으로부터 우측 상방을 향해서 상승형상으로 연이어 설치한 상승편(53b)과, 이들의 고정편(53a) 및 상승편(53b)으로부터 우측방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후단 가장자리부를 상방으로 돌출시킨 배기관 기부 지지편(53c)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승편(53b)의 상단부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후단 가장자리분에 설치한 플랜지부(41d)를 부착함과 아울러, 배기관 기부 지지편(53c)에는 기부측 지지 보조편(80)을 통해 하류측 배기관(42)의 기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시키고 있다. 81은 하류측 배기관(42)의 중도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해서 서브 탈곡 케이스(93)의 후벽 상부에 돌출설치한 배기관 중도부 지지편이며, 82는 중도부측 지지 보조편이다.
고정측 록킹체(61)는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판형상의 전면부(61a) 및 후면부(61b)와, 이들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걸쳐서 설치한 판형상의 천정면부(61c)로부터 측단면 문형으로 형성하고, 서브 탈곡 케이스(93)의 전단 상부로부터 우측 상방을 향해서 캔틸레버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고정측 록킹체(61)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전방부의 바로 상방을 향해서 돌출설치되고, 선단부를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전방부의 바로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전방부의 바로 상방을 피복하고 있다. 그리고, 전면부(61a) 및 후면부(61b)의 선단부 사이에는 고정핀 횡가편(83,83)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고정핀(84)을 가설(架設)하고 있다.
가동측 록킹체(60)는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긴 오각형 판형상으로 형성하고, 곡립 저류부(9)의 앞벽(97)의 상부면에 기단부(60a)의 후면을 겹친 상태로 부착하고, 곡립 저류부(9)로부터 선단부(60b)를 좌측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좌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선단부(60b)의 좌측단에는 상하에 쌍둥이형상의 결합 오목부(60c)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곡립 저류부(9)를 전방으로 지향시킨 사용 자세(수확 작업 자세)로 한 경우에는 가동측 록킹체(60)의 결합 오목부(60c)가 고정측 록킹체(61)의 고정핀(84)에 측방으로부터 결합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가동측 록킹체(60)의 선단부(60b)의 전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피봇핀(85)을 통해 판형상의 결합 연결편(86)의 기단부를 피봇팅해서 기단부를 중심으로 해서 결합 연결편(86)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하고 있다. 결합 연결편(86)의 선단부에는 상방향과 전후 방향이 개구되는 훅부(86a)를 형성해서 고정핀(84)에 훅부(86a)를 하방으로부터 결합·해제 가능하게 하고 있다. 결합 연결편(86)과 가동측 록킹체(60) 사이에는 스프링 록킹편(87a,87b)을 통해 인장 스프링(87)을 개재하고 있다. 그리고, 훅부(86a)는 인장 스프링(87)에 의해 피봇핀(85)을 중심으로 고정핀(84)에 하방으로부터 결합되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정면으로 볼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바이어싱되고 있다. 즉, 고정핀(84)에 훅부(86a)를 하방으로부터 결합시킴으로써 고정측 록킹체(61)에 가동측 록킹체(60)를 연결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훅부(86a)의 상단면에는 가이드용 경사면(86b)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가동측 록킹체(60)를 가이드용 경사면(86b)을 따라 가동측 록킹체(60)의 결합 오목부(60c)에 고정핀(84)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압압시키면, 인장 스프링(87)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피봇핀(85)을 중심으로 훅부(86a)가 고정핀(84)으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정면으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결합 오목부(60c)에 고정핀(84)이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결합 연결편(86)의 하부에는 연결편(88)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한편, 곡립 저류부(9)의 앞벽(97)의 하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피봇축(89a)을 통해 조작 레버(89)의 상단부를 부착하고 있다. 피봇축(89a)을 중심으로 회동 조작 가능하게 한 조작 레버(89)의 중도부에는 연결편(88)의 기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89)를 인장 스프링(87)의 회동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면으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연결편(88)을 통해 결합 연결편(86)이 피봇핀(85)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고정핀(84)으로부터 훅부(86a)가 결합 해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고정핀(84)으로부터 훅부(86a)가 결합 해제된 상태로 함으로써 곡립 저류부(9)를 전외방으로 지향시킨 불사용 자세(수확 비작업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차폐체(70)는 전후 방향으로 가로로 긴 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한 측방 차폐편(70a)과, 측방 차폐편(70a)의 상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우측 상방으로 연장시켜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띠형상으로 형성한 상방 차폐편(70b)과, 상방 차폐편(70b) 및 측방 차폐편(70a)의 후단 가장자리부에 연이어 설치해서 세로로 긴 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한 후방 차폐편(70c)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방 차폐편(70b)의 경사각도는 고정측 록킹체(61)의 천정면부(61c)의 경사각도와 동일하게 하고, 상방 차폐편(70b)의 전단 가장자리부(70d)를 천정면부(61c)의 상면측에 연이어 설치하고, 천정면부(61c)의 상면에 연설부의 하면을 겹쳐서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측 록킹체(61)의 후면부(61b)에는 측방 차폐편(70a)의 전단 가장자리부를 접촉시키고 있다. 후방 차폐편(70c)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후단벽(41c)의 좌측부를 후방으로부터 피복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71은 고정측 록킹체(61)의 후면부(61b)의 중도부와, 경사면부(50)의 중도부 사이에 가설한 지지체이다. 지지체(71)는 후면부(61b)에 전단부를 연결한 막대형상의 전후 방향 연신편(71a)과, 전후 방향 연신편(71a)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신하는 하방 연신편(71b)과, 하방 연신편(71b)의 하단부에 상면을 부착해서 경사면부(50)에 하단면을 연결한 연결편(71c)으로 형성하고 있다. 72는 차폐체(70)에 지지체(71)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브래킷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차폐체(70)는 지지체(71)와 고정측 록킹체(61)에 의해 경사면부(50)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폭만큼 이격한 상태로 지지되고, 고정측 록킹체(61)와 일체로 되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의 좌측부를 진애 등으로부터 차폐하고 있다. 차폐체(70)의 내면측에는 즉, 배기가스 정화 장치(41)측의 면에는 지지체(71)를 통해 와이어 하니스(73)의 중도부를 지지시켜서 와이어 하니스(73)의 중도부를 차폐체(70)에 의해 피복·보호하고 있다.
[콤바인(1)의 구성부의 구체적인 설명]
주행부(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트랙 프레임(100)에 구동 스프로킷(101)과, 텐션 롤러(102)와, 복수의 트랙 롤러(103)와, 이들 둘레에 권회한 크롤러(104)를 설치하고 있다. 구동 스프로킷(101)은 디젤엔진(21)의 동력을 받아서 회전 구동한다. 텐션 롤러(102)는 크롤러(104)의 텐션을 유지한다. 복수의 트랙 롤러(103)는 크롤러(104)의 접지측을 접지 상태로 유지한다. 크롤러(104)는 그 전방측이 구동 스프로킷(101)에 의해 지지되고, 그 후방측이 텐션 롤러(102)에 의해 지지되고, 그 접지측이 트랙 롤러(10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예취부(4)는 도 1∼도 4에 나타내듯이 주행기체(3)에 설치한 예취 회동 지점축(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예취 프레임(110)을 연결하고 있다. 예취부(4)는 포장의 미예취 곡간의 밑둥을 절단하는 바리캉식의 예취날 장치(111)와, 포장의 미예취 곡간을 일으켜 세우는 4조분의 곡간 일으켜세움 장치(112)와, 예취날 장치(111)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간을 반송하는 곡간 반송 장치(113)와, 포장의 미예취 곡간을 분초하는 4조분의 분초체(114)를 구비하고 있다. 예취날 장치(111)는 예취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곡간 일으켜세움 장치(112)는 예취 프레임(110)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곡간 반송 장치(113)는 곡간 일으켜세움 장치(112)와, 탈곡부(5)에 설치한 피드 체인(121)의 전단부(이송 시단측)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분초체(114)는 곡간 일으켜세움 장치(112)의 전방하부로 돌출되어 있다. 예취부(4)는 디젤엔진(21)에 의해 주행부(2)와 함께 구동되어서 포장내를 이동하면서 포장의 미예취 곡간을 연속적으로 예취하도록 하고 있다.
탈곡부(5)는 도 1∼도 4에 나타내듯이 급실(90)의 좌측벽에 피드 체인(121)을 설치하고, 급실(90)내에 곡간 탈곡용의 급동(122)을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축선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곡간이 피드 체인(121)에 의해 밑둥부를 협지함과 아울러, 이삭끝부가 회동하는 급동(122)의 하측 둘레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반송됨으로써 급동(122)에 의해 이삭끝부의 곡립이 탈곡된다.
선별부(6)는 도 1∼도 4에 나타내듯이 급동(122)에 의해 탈곡되어서 하방으로 낙하하는 곡립을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반(125)과, 요동 선별반(125)에 선별풍을 공급하는 풍구(126) 및 보조 풍구(127)와, 1번 곡립을 회수하는 1번 홈통(128)과, 1번 홈통(128)내에 배치한 1번 컨베이어(129)와, 2번 곡립을 회수하는 2번 홈통(130)과, 2번 홈통(130)내에 배치한 2번 컨베이어(131)와, 1번 홈통(128)의 우측 단부와 곡립 저류부(9)의 좌측 상부 사이에 개재한 양곡통(136)과, 2번 홈통(130)의 우측 단부와 서브 탈곡 케이스(93)의 우측부 사이에 개재된 2번 환원통(132)과, 급동(122)의 후방부로부터 인출되는 탈곡 배출물을 재처리하는 처리동(133)과, 요동 선별반(125)의 후방부의 배고를 기외로 배출하는 배진팬(134)을 구비하고 있다. 2번 환원통(132)은 도 7에 나타내듯이 서브 탈곡 케이스(93)에 2번 환원통 전단부(137)를 연통 연설하고 있다.
요동 선별반(125)은 급동(122)에 의해 탈곡되어서 하방으로 낙하한 곡립을 요동 선별(비중 선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요동 선별반(125)으로부터 낙하한 곡립(1번 선별물)은 그 곡립중의 분진이 풍구(126) 및 보조 풍구(127)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제거되어 1번 홈통(128)에 낙하한다. 1번 홈통(128) 중 탈곡부(5)에 있어서의 곡립 저류부(9) 부근의 일측벽(실시형태에서는 우측벽)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종단부(우측 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신되는 양곡통(136)의 하단부가 연통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1번 홈통(128)으로부터 인출된 곡립은 양곡통(136)내의 양곡 컨베이어(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해 곡립 저류부(9)에 반입되어 곡립 저류부(9)에 저류된다.
요동 선별반(125)은 요동 선별(비중 선별)에 의해 지경 부착 곡립 등의 2번 곡립(곡립과 짚부스러기 등이 혼재한 재선별용의 환원 재처리물)을 2번 홈통(130)에 낙하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2번 홈통(130)에 의해 인출된 2번 곡립은 2번 환원통(132)에 의해 2번 환원통 전단부(137)로부터 요동 선별반(125)의 상면측으로 되돌려져서 재선별된다. 또한 급동(122)으로부터의 탈립물중의 짚부스러기 및 분진 등은 풍구(126) 및 보조 풍구(127)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주행기체(3)의 후방부로부터 포장을 향해서 배출된다.
배고 처리부(7)는 도 1에 나타내듯이 피드 체인(121)의 후단측(이송 종단측)에 배고 체인(135)이 배치되어 있다. 피드 체인(121)의 후단측으로부터 배고 체인(135)으로 인계된 배고(곡립이 탈립된 벼)는 긴 상태로 주행기체(3)의 후방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탈곡부(5)의 후방측에 설치한 배고 커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로 적당한 길이로 짧게 절단된 뒤, 주행기체(3)의 후방 하방으로 배출된다.
1: 콤바인
5: 탈곡부
9: 곡립 저류부
21: 디젤엔진
24: 배기 배관부
41: 배기가스 정화 장치
42: 하류측 배기관
60: 가동측 록킹체
61: 고정측 록킹체
70: 차폐체
50: 경사면부
51: 설치 공간

Claims (8)

  1. 기체의 전방에 예취부를 부착하고, 기체의 일측방에 탈곡부를 배치하는 한편, 기체의 타측방에 곡립 저류부를 배치해서 탈곡부와 곡립 저류부를 좌우에 인접시켜서 배치하고, 기체의 전방부에는 디젤엔진을 배치하고, 디젤엔진의 배기구부에 배기관을 접속함과 아울러, 배기관의 중도부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한 콤바인으로서,
    곡립 저류부측에 근접하는 탈곡부의 타측 가장자리 상부는 곡립 저류부측으로 하향 경사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사면부로 하고,
    곡립 저류부의 좌우 일측의 측벽의 전방상부에, 상하폭과 전후폭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상하폭과 전후폭보다 광폭이고 전방과 좌우 일측방이 개구되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탈곡부와 곡립 저류부 사이에 있어서 경사면부의 상방의 공간과, 그 측방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의 공간에 좌우 방향으로 연속시켜서 주위로 팽출시켜 설치 공간을 형성하고, 그 설치 공간에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탈곡부의 경사면부에는 스테이를 통해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지지시킴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와 경사면부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체의 전방부에 배치한 디젤엔진의 배기구부에는 상류측 배기관을 통해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전방부를 접속함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후방부에는 하류측 배기관의 기단부를 접속하고,
    하류측 배기관은 경사면부의 상방에 있어서 후방을 향해서 연신시키고, 그 선단부를 후방을 향해서 개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는 탈곡부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곡립 저류부의 상면보다 하방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기체의 전방에 예취부를 부착하고, 기체의 일측방에 탈곡부를 배치하는 한편, 기체의 타측방에 곡립 저류부를 배치해서 탈곡부와 곡립 저류부를 좌우에 인접시켜서 배치하고, 기체의 전방부에는 디젤엔진을 배치하고, 디젤엔진의 배기구부에 배기관을 접속함과 아울러, 배기관의 중도부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한 콤바인으로서,
    곡립 저류부측에 근접하는 탈곡부의 타측 가장자리 상부는 곡립 저류부측으로 하향 경사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사면부로 하고,
    경사면부의 바로 상방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하고,
    곡립 저류부는 후방부측을 피봇팅함과 아울러, 전방부측을 외측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하고,
    곡립 저류부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상방을 향해서 가동측 록킹체를 돌출시키는 한편, 탈곡부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상방을 향해서 고정측 록킹체를 돌출시키고,
    고정측 록킹체에 가동측 록킹체를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상방에 있어서 록킹·이탈 가능하게 록킹하고,
    고정측 록킹체에 예취부나 탈곡부 등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측으로 비산해 오는 진애 등을 차폐하는 차폐체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차폐체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측방위치이며, 또한, 탈곡부의 경사면부의 상방위치에 배치해서 그 하단 가장자리부와 경사면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8. 제 7 항에 있어서,
    차폐체의 측면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부착한 센서의 와이어 하니스의 중도부를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67014783A 2013-12-27 2014-12-18 콤바인 KR101945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71300 2013-12-27
JP2013271300A JP6169968B2 (ja) 2013-12-27 2013-12-27 コンバイン
JPJP-P-2013-271301 2013-12-27
JP2013271301A JP6133768B2 (ja) 2013-12-27 2013-12-27 コンバイン
PCT/JP2014/083511 WO2015098677A1 (ja) 2013-12-27 2014-12-18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978A KR20160102978A (ko) 2016-08-31
KR101945604B1 true KR101945604B1 (ko) 2019-02-07

Family

ID=53478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783A KR101945604B1 (ko) 2013-12-27 2014-12-18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45604B1 (ko)
CN (1) CN105848466B (ko)
WO (1) WO20150986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7138B (zh) * 2018-06-19 2022-08-23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半喂入联合收割机、收割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4308A (ja) * 2006-03-16 2007-09-27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0022244A (ja) * 2008-07-17 2010-02-04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1147397A (ja) * 2010-01-22 2011-08-04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5140536B2 (ja) 2008-09-29 2013-02-06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0281B2 (ja) * 2009-07-02 2014-01-15 ヤンマー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装置
JP5534143B2 (ja) * 2009-07-28 2014-06-2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1231618A (ja) 2010-04-23 2011-11-17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11229433A (ja) * 2010-04-26 2011-11-17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11244782A (ja) * 2010-05-31 2011-12-08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TWI454615B (zh) * 2011-07-27 2014-10-01 Iseki Agricult Mach Combine
KR101512682B1 (ko) * 2012-03-29 2015-04-16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JP5973287B2 (ja) * 2012-08-24 2016-08-23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4308A (ja) * 2006-03-16 2007-09-27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0022244A (ja) * 2008-07-17 2010-02-04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5140536B2 (ja) 2008-09-29 2013-02-06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1147397A (ja) * 2010-01-22 2011-08-04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48466B (zh) 2018-11-13
CN105848466A (zh) 2016-08-10
WO2015098677A1 (ja) 2015-07-02
KR20160102978A (ko)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3768B2 (ja) コンバイン
JP6506799B2 (ja) コンバイン
JP5908222B2 (ja) 収穫機
CN106465604B (zh) 联合收割机
JP6489638B2 (ja) コンバイン
KR102326721B1 (ko) 콤바인
JP6785622B2 (ja) 収穫機
KR101961602B1 (ko) 콤바인
CN108289412B (zh) 联合收割机
JP2017112992A (ja) 収穫機
KR101945604B1 (ko) 콤바인
KR20150035389A (ko) 콤바인
WO2017110530A1 (ja) 収穫機
JP7055167B2 (ja) コンバイン
JP2014042476A (ja) コンバイン
JP6169968B2 (ja) コンバイン
CN104519732A (zh) 作业机搭载用发动机装置
JP6245759B2 (ja) コンバイン
JP2018102153A (ja) コンバイン
JP6979925B2 (ja) 収穫機
JP6960887B2 (ja) コンバイン
JP6237872B1 (ja) コンバイン
JP7197454B2 (ja) コンバイン
JP6983720B2 (ja) 収穫機
JP7274967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