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988B1 - 파종기 - Google Patents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988B1
KR101944988B1 KR1020120026465A KR20120026465A KR101944988B1 KR 101944988 B1 KR101944988 B1 KR 101944988B1 KR 1020120026465 A KR1020120026465 A KR 1020120026465A KR 20120026465 A KR20120026465 A KR 20120026465A KR 101944988 B1 KR101944988 B1 KR 101944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arm
wheel
frame
s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3657A (ko
Inventor
사다유키 타카야마
테루아키 아리요시
유스케 이마가와
Original Assignee
아그리테크노 야자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그리테크노 야자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그리테크노 야자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3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파종 장치를 구비한 기체 프레임의 앞뒤에 전륜과 후륜을 배치하고, 전륜측에, 전륜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와,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탑재해, 전방 무게중심·전륜 구동 타입으로 구성하고, 후륜 근방의 기체 프레임으로부터 정면에서 보았을 때 도어 형태의 핸들 아암을 연장한 파장기에서는, 핸들 아암을 쥐고 단차를 넘는 등을 행하기에는 큰 인력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 아암(34)은 기체 프레임(2·3)으로부터 대략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세로 아암부(106·106)와, 그 상단간을 연결하면서 쥐고 전후로 밀고 당기는 조작이 이루어지는 파지 아암부(35a)를 구비하고, 대략 수평인 보조 핸들(25)을 세로 아암부(106·106)에 마련함과 함께, 보조 핸들(25)의 파지부(25b)를 파지 아암부(35a)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파지부(25b)를 쥐고 행하는, 구동 롤러(5)를 받침점으로 한 진압 롤러(6)의 상승과 기체의 선회를 용이하게 했다.

Description

파종기{Seeding Machine}
본 발명은 파종 장치를 구비한 기체 프레임의 앞뒤에 전륜과 후륜을 배치하고, 상기 전륜측에, 전륜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와,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탑재해, 전방 무게중심·전륜 구동 타입으로 구성함과 함께, 상기 후륜 근방의 기체 프레임으로부터 정면에서 보았을 때 도어 형태의 핸들 아암을 연장한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들 아암의 파지 보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륜과 후륜을 지지한 기체 프레임에 파종 장치를 구비한 파종기에서는, 상기 기체 프레임의 후부로부터 연장된 핸들 아암을 인력으로 전방으로 밀어 조작함으로써 주행하면서 파종 작업을 행하도록 한다. 그러나, 파종 면적이 넓은 경우나 많은 조(條)수를 파종하는 경우에, 이와 같이 인력만으로 주행하기에는 많은 노력을 필요로 했다.
따라서, 주행을 위한 보조 동력으로서 주행용 전동 모터를 탑재하고, 전동 모터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전륜과 후륜의 적어도 한쪽에 전달해 구동시키는 기술(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이 공지되어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핸들 아암을 쥐고 밀어 움직이는데 필요한 힘이 작아도 되고, 인력만으로 주행하는 것에 비해 노력을 큰 폭으로 경감할 수 있다.
단, 이 기술에서는 전동 모터 외에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도 파종기에 탑재할 필요가 있고, 이들 전동 모터·배터리 모두 무겁기 때문에, 파종기의 중량 증가를 피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파종기의 보관 장소와 논밭 사이의 이동이나 서로 떨어진 논밭 사이의 이동 등 논밭 이외의 장소를 이동할 때, 이동 도중의 단차를 넘기가 힘들었다. 또한,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후륜에 전달해 후륜 구동으로 하면, 후륜의 전방에 배치된 작조날 등의 이랑을 만드는 기구가 그 선단의 각도에 따라서는 후방의 후륜으로부터 가해지는 미는 동력에 의해 땅 속에 묻혀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전동 모터와 배터리 모두를 전륜측에 집중 배치시켜 기체의 무게중심 위치를 앞 부분에 위치시키는(이하, '전방 무게중심'이라고 한다) 것과 함께,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전륜에 전달해 전륜 구동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핸들 아암을 파지해 후륜을 띄운 상태에서 큰 하중이 가해진 전륜을 회전 구동시키면서 단차에 맞대면, 그 단차의 표면을 따라 전륜을 구동 전진시킬 수 있어 파종기가 단차를 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앞쪽 상방으로의 견인력을 전방의 전륜으로부터 이랑을 만드는 기구에 부여해, 그 기구가 땅 속에 묻히지 않도록 하는 대응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방 무게중심·전륜 구동 타입의 파종기에 의하면, 논밭 이외에서의 단차를 넘을 때는 물론, 논밭 내에서의 방향 전환시에도 무거운 전륜측을 받침점으로 해 후륜을 상승시키고, 계속해서 기체를 전방으로 기울인 상태로 용이하게 선회시킬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7-312678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핸들 아암은 파종 작업에서 전방으로 미는 조작에 적합한 구조로서, 일반적으로, 뒤로 비스듬히 상방 또는 대략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핸들 아암을 쥐고 단차를 넘는 작업이나 방향 전환 작업을 행하는 데는 큰 인력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단차를 넘거나 방향 전환 중의 작업 부하가 증가해, 작업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파종 장치의 배출부를 후륜의 회전 동력에 의해 구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파종 작업 직후의 방향 전환 중에 후륜을 논밭면에서 확실하게 띄우지 않으면, 후륜이 논밭면에 실수로 접촉해 회전함으로써 배출부가 구동되어 종자가 쓸데없이 배출되어 종자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청구항 1에 있어서는, 파종 장치를 구비한 기체 프레임의 앞뒤에 전륜과 후륜을 배치하고, 상기 전륜측에 전륜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탑재해, 전방 무게중심·전륜 구동 타입으로 구성함과 함께, 상기 후륜 근방의 기체 프레임으로부터 정면에서 보았을 때 도어 형태의 핸들 아암을 연장한 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핸들 아암은, 상기 기체 프레임으로부터 대략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세로 아암부와, 상기 세로 아암부의 상단간을 연결하면서 쥐고 전후로 밀고 당기는 조작이 이루어지는 파지 아암부를 구비하고, 대략 수평인 보조 핸들을 상기 세로 아암부에 마련함과 함께, 상기 보조 핸들의 파지부를 상기 파지 아암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파지부를 쥐고 행하는, 상기 전륜을 받침점으로 한 후륜의 상승과 기체의 선회를 용이하게 한다.
청구항 2에 있어서는, 상기 세로 아암부에 핸들 고정구를 마련하고, 상기 핸들 고정구에 상기 보조 핸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점축과, 상기 보조 핸들을 수납 상태 또는 전개 상태로 지지하는 스토퍼를 근접시켜 마련함으로써, 상기 보조 핸들을 접어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청구항 1에 의해, 전방 무게중심·전륜 구동 타입의 파종기에 있어서, 파지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파지 상태에서 들어올리는 조작도 용이한 보조 핸들을 사용함으로써, 전륜측을 받침점으로 후륜을 상승시키고, 계속해서 기체를 전방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자유롭게 선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후륜의 상승 조작과 기체의 선회 조작이 작은 인력으로 해결되어, 전륜 구동시의 단차를 넘는 작업이나 방향 전환 작업의 작업 부하가 감소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파종 장치의 배출축을 후륜의 회전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경우라도, 파종 작업 직후의 방향 전환 작업 중에 후륜을 논밭면에서 확실하게 띄워 둘 수 있어, 후륜이 논밭면에 실수로 접촉해 회전함으로써 배출축이 구동되어 종자가 쓸데없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해, 종자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의해, 파종기의 격납시에는 보조 핸들을 수납해 격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어 수납하는데 필요한 구조를 작게 할 수 있어, 상기 핸들 고정구의 컴팩트화와 부품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보조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보조 핸들을 사용한 방향 전환 작업의 설명도로서, (a)는 보조 핸들을 들어올림으로써 파종기가 앞으로 기운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b)는 보조 핸들의 수평 이동에 의한 파종기의 180도 선회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c)는 보조 핸들의 하강에 의한 파종기의 수평 복귀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깊이 조절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깊이 조절구를 사용한 파종 깊이 조절 작업의 설명도로서, (a)는 후프레임의 전반부를 대략 수평으로 유지시킨 파종기의 파종 깊이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b)는 후프레임의 전반부를 앞쪽으로 기울인 파종기의 파종 깊이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작조날을 고정한 배출 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8은 파종 장치 탈착 구조를 사용해 파종 장치를 장착하고 동력을 접속하는 제1 조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작조날을 고정한 배출 베이스에 파종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형태의 파종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도 1의 화살표 F로 가리키는 방향을 파종기(1)의 전진 방향으로 하고, 이하에 기술하는 각 부재의 위치나 방향 등은 이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의 파종기(1)에 대해, 그 전체 구성을 도 1, 도 2에 의해 설명한다.
파종기(1)에는 좌우 한 쌍의 기체 프레임(2·3)이 배치된다. 이 중 왼쪽의 기체 프레임(2)에서는 전프레임(2a)과 후프레임(2b)이 연결축(4L)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오른쪽의 기체 프레임(3)에서도 전프레임(3a)과 후프레임(3b)이 연결축(4R)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이 중 좌우의 전프레임(2a·3a)의 앞 부분 사이에 구동 롤러(5)의 롤러축(7)이 지지되는 한편, 좌우의 후프레임(2b·3b)의 뒷부분 사이에 진압 롤러(6)의 롤러축(8)이 지지된다.
또한, 좌우의 후프레임(2b·3b)의 전반부 사이에는, 앞뒤로 지지 바(11·12)가 가로로 걸쳐지고, 그 지지 바(11·12)에 의해 배출 베이스(13)의 전후단이 지지된다. 배출 베이스(13)의 상면에는 하부에 배출부(14a)를 갖는 파종 장치(14)가 탑재되는 한편, 배출 베이스(13)의 하면에는 후방에 복토판(16)을 지지한 작조날(15)이 고정된다. 이들 파종 장치(14), 배출 베이스(13), 작조날(15), 및 복토판(16) 등에 의해 각 조별로 파종 유니트(17)가 구성된다. 파종 유니트(17)는,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4개 나란히 마련되고, 이 4개의 파종 유니트(17)에 의해 파종부(9)가 형성된다.
그리고, 파종부(9)의 후방이고 상기 후프레임(2b·3b)의 뒷부분 사이에는 조작부(10)가 배치된다. 조작부(10)는, 상하의 아암 부재(35·36)로 이루어지면서 대략 연직 상방으로 세워진 정면에서 보았을 때 도어 형태의 핸들 아암(34)과, 본 발명에 따른 보조 핸들(25)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파종부(9)의 전방이면서 전프레임(2a·3a)과 후프레임(2b·3b)의 사이에는 깊이 조절구(26)가 배치된다. 깊이 조절구(26)는 전후 중간에서 상하로 굴곡 가능한 상기 기체 프레임(2·3)과 함께 파종 깊이 조절 기구(64)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후프레임(2b·3b)의 앞 부분 사이면서 상기 지지 바(11·12)의 사이에는, 입력축(23)이 회동 가능하게 가로로 걸쳐진다. 입력축(23)은 후술하는 파종 장치 탈착 구조(27) 내의 전달 경로를 통해 상기 파종 장치(14)의 배출축(24)에 연결된다. 그리고, 입력축(23)의 우단은 동력 전달 경로(18)를 통해 상기 진압 롤러(6)의 롤러축(8)에 연결된다.
여기에서, 동력 전달 경로(18)에서는 우측 후프레임(3b)의 전후 중앙부 외면에 전동 케이스(19)가 고정되고, 전동 케이스(19) 내의 앞 부분에 상기 입력축(23)의 우단이 관통되고, 그 우단에 스프로킷(21)이 바깥에서 끼워져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전동 케이스(19) 내의 후부에도 상기 롤러축(8)의 우단이 관통되고, 그 우단에 스프로킷(20)이 바깥에서 끼워져 고정된다. 스프로킷(20)과 스프로킷(21)의 사이에 체인(22)이 감겨 있다.
이에 따라, 파종기(1)가 진행하면 진압 롤러(6)가 회전하고, 진압 롤러(6)의 회전 동력이 롤러축(8), 스프로킷(20), 체인(22), 스프로킷(21)으로부터 입력축(23)에 전달됨으로써 파종 장치(14)의 배출축(24)이 구동되어, 논밭에 종자가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전프레임(2a·3a)의 앞 부분이면서 상기 롤러축(7)의 지지부 근방으로부터는, 좌우 한 쌍의 지지 프레임(28L·28R)이 세로로 마련된다. 지지 프레임(28L·28R)의 상단부 사이에는 배터리대(29)가 가로로 마련되고, 배터리대(29) 위에 배터리(30)가 탑재된다.
배터리(30)는 신호선(31)을 통해 상기 상부 아암 부재(35)의 파지 아암부(35a)의 좌우 대략 중앙에 마련한 모터 스위치(33)에 접속됨과 동시에, 신호선(32)을 통해 상기 구동 롤러(5) 내에 장착된 주행 모터(37)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핸들 아암(34)의 파지 아암부(35a)를 잡으면서 모터 스위치(33)를 조작하면, 모터 스위치(33)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배터리(30)로부터 주행 모터(37)에 전력이 공급되고 전륜인 구동 롤러(5)가 모터 구동되어 파종기(1)가 주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주행 모터(37)와 배터리(30) 모두 구동 롤러(5)측에 집중 배치된 전방 무게중심·전륜 구동 타입의 파종기(1)가 구성된다.
따라서, 가령 기체 전방에 단차가 있어도,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 아암(34)을 파지해 후륜을 띄운 상태에서, 큰 하중이 가해진 무거운 구동 롤러(5)를 회전 구동시키면서 단차에 맞대면, 그 단차의 표면을 따라 구동 롤러(5)를 구동 전진시킬 수 있어,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또한 특별한 조작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파종기(1)가 단차를 용이하게 넘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롤러(5)의 전방이면서 좌우의 전프레임(2a·3a) 사이에는 흙을 긁어내기 위한 전방 스크래퍼(38)가 구동 롤러(5)의 앞 부분 외주면을 향해 돌출됨과 함께, 구동 롤러(5)의 상방에는 배터리대(29)의 하면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어 형태의 운반용 손잡이(51)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진압 롤러(6)의 후방이면서 후프레임(2b·3b)의 사이에도, 흙을 긁어내기 위한 후방 스크래퍼(39)가 진압 롤러(6)의 후부 외주면을 향해 돌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조작부(10)와 이에 의한 방향 전환 작업에 대해, 도 1 내지 도 4에 의해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10)에서 상기 핸들 아암(3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아암 부재(35)와 하부 아암 부재(36)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중 하부 아암 부재(36)에서는, 상기 롤러축(8)보다 후방의 후프레임(2b·3b)으로부터 대략 연직 상방에 좌우의 하부 세로 아암부(36b·36b)가 전후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하부 세로 아암부(36b·36b)의 상단 사이가 가로 아암부(36a)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하부 세로 아암부(36b·36b)의 상하 중간부로부터는 좌우 한 쌍의 스테이(41·41)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스테이(41·41)의 전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구멍이 개구되어, 이 나사구멍과 동축상으로 너트(42a·42a)가 외측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롤러축(8)보다 전방의 후프레임(2b·3b)으로부터는, 각각 좌우 한 쌍의 돌출부(2b1·3b1)가 상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부(2b1·3b1)의 상단에 핸들 경사 조절 프레임(40·40)의 하단이 전후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핸들 경사 조절 프레임(40·40)의 상단에는 장공(40a·40a)이 마련되고, 이 장공(40a·40a)을 통과해서 볼트(42b·42b)가 내측으로부터 상기 너트(42a)에 조여진다.
이에 따라, 상기 볼트(42b·42b)를 느슨하게 해 장공(40a·40a)을 따라 슬라이딩시켜 하부 세로 아암부(36b·36b)를 전후 방향으로 기울인 후, 다시 볼트(42b·42b)를 조임으로써 핸들 아암(34)을 소정의 전후 경사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 아암 부재(35)에서는, 파이프 형상으로 상단이 개구한 상기 하부 세로 아암부(36b·36b) 내에 상부 아암 부재(35)를 구성하는 상부 세로 아암부(35b·35b)가 위에서부터 안쪽에 삽입되고, 상부 세로 아암부(35b·35b)의 상단 사이는 상기 파지 아암부(35a)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하부 아암 부재(36)의 하부 세로 아암부(36b·36b)의 상단 앞 부분에는 볼트(43·43)가 전방에서부터 삽입되고, 볼트(43·43)의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볼트(43·43)의 후단을 상부 아암 부재(35)의 상부 세로 아암부(35b·35b)의 전면에 가압함으로써 상부 세로 아암부(35b)가 하부 세로 아암부(36b)에 연결되어 일체가 되어, 세로 아암부(106)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볼트(43)를 느슨하게 해 상부 세로 아암부(35b)를 하부 세로 아암부(36b)를 따라 슬라이딩시켜 승강시킨 후, 다시 볼트(43)를 조임으로써 세로 아암부(106)를 신축시켜, 핸들 아암(34)의 높이를 소정의 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핸들 아암(34)의 전후 경사각과 높이를 무단계로 변경해, 파종 작업 중에 파지 아암부(35a)를 쥐고 핸들 아암(34)을 인력으로 전방으로 밀어 조작하는데 적합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는 조작이 작은 인력으로 해결되어 파종 작업의 작업 부하가 감소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1,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조절 구조를 갖는 핸들 아암(34)에는 좌우 한 쌍의 보조 핸들(25·25)을 각각 접어 수납 가능한 좌우 한 쌍의 핸들 고정구(44·44)가 마련된다.
상기 핸들 고정구(44)는 상부 아암 부재(35)의 상부 세로 아암부(35b)의 상하 중간부에 외부에서 끼워지는 통체(44a)와, 통체(44a)의 좌우 양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측판(44b·44c)과, 측판(44b·44c)의 후부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천장판(44d)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통체(44a)의 앞 부분에는, 볼트(52)가 전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이 볼트(52)의 삽입 진행에 수반하여 볼트(52)의 후단을 상기 상부 세로 아암부(35b)의 전면에 가압함으로써, 핸들 고정구(44)가 상부 세로 아암부(35b)에 대해 체결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볼트(52)를 느슨하게 해 통체(44a)를 상부 세로 아암부(35b)를 따라 슬라이딩시켜 핸들 고정구(44)를 승강시킨 다음, 다시 볼트(52)를 조임으로써, 핸들 고정구(44)를 소정의 높이로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왼쪽의 측판(44b)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중앙 상부와 뒤쪽 하부에 각각 삽입공(44e·44f)이 천공되고, 마찬가지로 오른쪽의 측판(44c)에도,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중앙 상부와 뒤쪽 하부에 각각 삽입공(44g·44h)이 천공된다. 그리고, 이 중 좌우의 삽입공(44e·44g)을 통과하여 받침점축(45)이 걸쳐지고, 좌우의 삽입공(44f·44h)을 통과하여 회전 규제축(46)이 걸쳐진다.
또한, 상기 받침점축(45)은 안쪽 끝에는 직경이 큰 헤드부(45a)가 형성되고, 바깥쪽 끝에는 분할 핀(47)이 끼워져, 분할 핀(47)과 헤드부(45a)에 의해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 규제축(46)도 안쪽 끝에는 직경이 큰 헤드부(46a)가 형성되고, 바깥쪽 끝에는 분할 핀(48)이 끼워져, 분할 핀(48)과 헤드부(46a)에 의해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중의 받침점축(45)을 상기 보조 핸들(25)을 구성하는 파이프 형상 본체부(25a)의 전단부의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보조 핸들(25)이 받침점축(45)에 의해 전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보조 핸들(25)을 위치(49)까지 수직으로 내려 상기 핸들 아암(34)의 상부 세로 아암부(35b)에 근접 배치한 다음, 보조 핸들(25)의 후방에 상기 회전 규제축(46)을 걸쳐둘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종기(1)를 격납할 때 보조 핸들(25)이 방해가 되는 경우에는, 그 보조 핸들(25)을 상기 통체(44a)의 후부와 회전 규제축(46)의 앞 부분 사이의 공간에 접어 넣어 수납해, 보조 핸들(25)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단차를 넘는 작업이나 방향을 전환하는 작업의 직전, 혹은 파종 작업중 핸들 아암(34)을 미는 조작이 상기 보조 핸들(25)에 의해 간섭받을 우려가 작은 경우는, 상기 분할 핀(48)을 뺀 다음 헤드부(46a)를 잡고 회전 규제축(46)을 분리하고, 파지부(25b)를 잡은 채로 받침점축(45)을 중심으로 해 보조 핸들(25)을 위치 49로부터 위치 50까지 후방으로 끌어올린 후, 다시 회전 규제축(46)을 걸치고 분할 핀(48)으로 빠짐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보조 핸들(25)을 회전 규제축(46)의 상부와 천장판(44d) 하부 사이의 공간에 수납해, 보조 핸들(25)을 핸들 아암(34)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전개해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핸들(25)은 핸들 고정구(44)를 개재하여 상부 세로 아암부(35b)의 상하 중간부에 배치됨과 함께, 상부 세로 아암부(35b)의 상단 사이에 상기 파지 아암부(35a)가 마련되므로, 보조 핸들(25)이 파지 아암부(35a)보다 상방에서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보조 핸들(25)의 파지부(25b)가 파지 아암부(35a)의 높이(107)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쉽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설치 구조를 갖는 보조 핸들(25)을 사용한 작업 순서에 대해, 방향 전환 작업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25b)를 잡고 보조 핸들(25)을 상기 위치(50)로부터 위치(53)까지 들어올림으로써, 구동 롤러(5)를 받침점으로 진압 롤러(6)를 상승시켜 파종기(1)을 수평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기울인다. 이 때, 핸들 아암(34)이 대략 연직 상방으로 세워져 있는데 대해, 보조 핸들(25)은 대략 수평으로 전개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파지부(25b)를 잡기 쉽다. 게다가, 파지부(25b)는 밀고 당기는 조작시에 잡는 상기 파지 아암부(35a)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방에서 보조 핸들(25)을 쥔 후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일련의 조작이 용이해진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진압 롤러(6)를 논밭으로부터 띄운 상태에서, 구동 롤러(5)를 받침점으로 하여 보조 핸들(25)을 상기 위치(53)에서 위치(54)까지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파종기(1)를 180° 각도 선회시킨다. 이때도 보조 핸들(25)의 파지부(25b)를 잡기 쉽고, 게다가 보조 핸들(25)을 들어올리는 조작이 쉬워진다.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80° 각도 선회한 파종기(1)는 보조 핸들(25)을 상기 위치(54)에서 위치(55)까지 내림으로써, 구동 롤러(5)를 받침점으로 진압 롤러(6)를 하강시켜 파종기(1)가 수평으로 복귀하여 방향 전환 작업이 완료한다.
즉, 파종 장치(14)를 구비한 기체 프레임(2·3)의 전후에 전륜인 구동 롤러(5)와 후륜인 진압 롤러(6)를 배치하고, 상기 구동 롤러(5)측에 구동 롤러(5)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인 주행 모터(37)와, 주행 모터(37)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30)를 탑재해, 전방 무게중심·전륜 구동 타입으로 구성함과 함께, 상기 진압 롤러(6) 근방의 기체 프레임(2·3)으로부터 정면에서 보았을 때 도어 형태의 핸들 아암(34)을 연장한 파종기(1)에 있어서, 상기 핸들 아암(34)은 기체 프레임(2·3)으로부터 대략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세로 아암부(106·106)와, 세로 아암부(106·106)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면서 잡고 전후로 밀고 당기는 조작이 이루어지는 파지 아암부(35a)를 구비하고, 대략 수평인 보조 핸들(25)을 상기 세로 아암부(106·106)에 마련함과 함께, 보조 핸들(25)의 파지부(25b)를 상기 파지 아암부(35a)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파지부(25b)를 잡고 행하는, 상기 구동 롤러(5)를 받침점으로 한 진압 롤러(6)의 상승과 기체의 선회를 용이하게 하였으므로, 전방 무게중심·전륜 구동 타입의 파종기(1)에서 파지가 쉬울 뿐만 아니라 파지 상태에서 들어올리는 조작도 용이한 보조 핸들(25)을 사용함으로써, 구동 롤러(5)측을 받침점으로 진압 롤러(6)를 상승시키고, 계속해서 기체를 전방으로 기울인 상태로 자유롭게 선회시킬 수 있어, 진압 롤러(6)의 상승 조작과 기체의 선회 조작이 작은 인력으로 해결되어, 전륜 구동시의 단차를 넘는 작업이나 방향 전환 작업의 작업 부하가 감소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파종 장치(14)의 배출축(24)을 진압 롤러(6)의 회전 동력에 의해 구동하고 있는 경우라도, 파종 작업 직후의 방향 전환 작업중에 진압 롤러(6)를 논밭면에서 확실하게 띄울 수 있어, 진압 롤러(6)가 논밭면에 실수로 접촉해 회전함으로써 배출축(24)이 구동되어 종자(93)가 쓸데없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해, 종자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로 아암부(106·106)에 핸들 고정구(44)를 마련하고, 핸들 고정구(44)에 상기 보조 핸들(2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점축(45)과, 보조 핸들(25)을 수납 상태 또는 전개 상태로 지지하는 스토퍼인 회전 규제축(46)을 근접해 마련함으로써, 상기 보조 핸들(25)을 접어 수납 가능하게 하므로, 파종기(1)의 격납시에 보조 핸들(25)을 수납해 격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어 수납하는데 필요한 구조를 작게 할 수 있어, 상기 핸들 고정구(44)의 컴팩트화와 부품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파종 깊이 조절 기구(64)에 대해, 도 1, 도 2, 도 5, 도 6에 의해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종 깊이 조절 기구(6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굴곡 가능한 상기 기체 프레임(2·3)과 깊이 조절구(26)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좌우의 전프레임(2a·3a)의 후부에서, 상기 롤러축(7)과 연결축(4L·4R)의 사이에는 좌우의 절곡부(2a1·3a1)가 상방으로 볼록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고, 절곡부(2a1·3a1) 사이에 전받침축(62)이 걸쳐지는 한편, 상기 좌우의 후프레임(2b·3b)의 전단 부문에는 후받침축(63)이 걸쳐진다. 그리고, 후받침축(63)의 좌우 대략 중앙부와 상기 전받침축(62)의 좌우 대략 중앙부의 사이에 깊이 조절구(26)가 마련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깊이 조절구(26)는 전반부에 천공된 횡공(57a)에 상기 전받침축(62)이 삽입되는 블록 형상의 제1 연결 부재(57)와, 하단부에 천공된 횡공(58a)에 상기 후받침축(63)이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제2 연결 부재(58)와, 제2 연결 부재(58)와 상기 제1 연결 부재(57) 사이에 마련된 조절 핸들(56)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 핸들(56)의 축부(56b)는 상기 제1 연결 부재(57)의 후반부에 천공된 종공(57b)을 상방으로부터 관통해, 축부(56b)의 상하 대략 중앙이 승강 불가능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종공(57b) 내에 지지된다. 또한, 축부(56b)의 하단은, 상기 제2 연결 부재(58)의 상면에 고정된 너트(59)로부터 같은 제2 연결 부재(58)의 상반부의 통 안에 마련된 세로 나사구멍(58b)에 걸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조절 핸들(56)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L자 형상의 핸들부(56a)를 파지하고 회전시켜, 상기 축부(56b)의 선단을 너트(59)로부터 세로 나사구멍(58b)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삽입 진행시켜 제1 연결 부재(57)와 제2 연결 부재(58)의 간격(65)을 신축함으로써, 상기 연결축(4L·4R)을 중심으로 하여 받침축(62·63)을 상하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연결 부재(57)의 후면에는 볼트(61)에 의해 스케일(60)이 체결되어, 스케일(60)의 하반부에 세겨진 눈금(60a)으로부터 상기 제2 연결 부재(58)의 상부에 마련한 기준선(58c)의 위치를 읽어냄으로써, 파종 깊이의 기준이 되게 한다. 한편, 상기 조절 핸들(56)의 축부(56b)에서 제1 연결 부재(57)보다 상방의 부위에는, 스프링 핀(105)이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어, 회전한 스프링 핀(105)이 스케일(60) 상반부의 판스프링부(60b)에 맞닿음으로써, 조절 핸들(56)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축(62·63)은 상기 연결축(4L·4R)으로부터 충분히 이간해 배치되어 아암의 길이를 길게 해, 상기 연결축(4L·4R)을 받침점으로 한 모멘텀을 크게 할 수 있어, 핸들부(56a)의 회전에 필요한 인력이 작아도 되어, 파종 깊이 조절 작업의 작업 부하가 감소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이와 같은 신축 구조를 갖는 깊이 조절구(26)를 갖는 파종 깊이 조절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깊이 조절구(26)의 조절 핸들(56)을 회전하여 연결 부재(57·58) 사이를 간격(65)으로 설정한 상태에서는, 연결축(4L)을 중심으로 한 전프레임(2a·3a)과 후프레임(2b·3b)이 이루는 각도(이하, '굴곡각'이라고 한다)가 각도(67)가 된다. 이 때, 후프레임(2b·3b)의 전반부는 대략 수평으로 유지되고, 이 수평 자세에 있는 모든 파종 유니트(17)에서, 파종 깊이에 상당하는, 논밭면(110)으로부터 작조날(15)의 하단 위치인 위치(71)까지의 깊이는, 깊이(69)로 설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연결축(4L·4R)을 중심으로 하여 그 연결축(4L·4R)으로부터 받침축(62·63)까지를 반경으로 한 경우의 중심각을 굴곡각이라고 하지만, 전프레임과 후프레임의 굴곡의 정도를 나타내는 각도라면 되고, 그 정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절 핸들(56)을 더욱 회전하여 연결 부재(57·58) 사이를 상기 간격(65)에서 간격(66)까지 신장시키면, 굴곡각은 상기 각도(67)에서 각도(68)까지 확대해 후프레임(2b·3b)의 전반부가 앞쪽 하방으로 기울어진다. 이에 따라, 모든 파종 유니트(17)에서 작조날(15)도 앞쪽 하방으로 기울어져, 그 하단 위치가 상기 위치(71)에서 위치(72)로 변경되어, 파종 깊이는 상기 깊이(69)에서 깊이(70)까지 깊어진다. 이에 따라, 전체 파종 유니트(17)의 파종 깊이 조절 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작업에 수반되는 기체의 진동, 논밭의 상황 변화, 재배 조건 등에 부합하여 파종 깊이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파종 깊이 조절 기구(64)를 사용함으로써, 모든 파종 유니트(17)에서의 파종 깊이를 일괄적으로 적정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기체 프레임(2·3)의 앞뒤에 전륜인 구동 롤러(5)와 후륜인 진압 롤러(6)를 배치하고, 구동 롤러(5)와 진압 롤러(6)의 사이에 파종 장치(14)와 이랑을 만드는 기구인 작조날(15)을 구비하는 파종 유니트(17)를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마련해 복수 조에 일괄적으로 파종을 행하는 파종기(1)에 있어서, 상기 기체 프레임(2·3)의 적어도 일부인 전프레임(2a·3a)에 대해 모든 파종 유니트(17)를 동시에 기울일 수 있는 파종 깊이 조절 기구(64)를 마련했으므로, 모든 파종 유니트(17)에 구비한 작조날(15)도 동시에 기울어져 파종 깊이인 깊이(69)·(70)를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파종기(1)의 조의 수가 많아져도, 파종 깊이 조절 작업에 수고나 시간이 걸리지 않아 파종 작업의 작업성이 악화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체 프레임(2·3)은, 상기 구동 롤러(5)를 지지하는 전프레임(2a·3a)과 상기 진압 롤러(6)를 지지하는 후프레임(2b·3b)으로 전후 2분할되고, 후프레임(2b·3b)과 전프레임(2a·3a)은 연결축(4L·4R)을 중심으로 해 상하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상기 전프레임(2a·3a) 또는 후프레임(2b·3b)의 한쪽에만 모든 파종 유니트(17)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전프레임(2a·3a)과 후프레임(2b·3b)이 이루는 굴곡각인 각도(67)·(68)를 변경해 모든 파종 유니트(17)가 동시에 기울어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각 작조날(15)은 복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파종 깊이 조절 기구를 통하지 않고, 기체 프레임(2·3)에 대해 직접적으로, 혹은 단일 부재인 배출 베이스(13)를 통해, 강고하게 연결될 수 있어, 설령 토양이나 작조날(15)의 상태 등이 나빠 토양으로부터 받는 저항의 증대·불균일화 등이 일어나도, 작조날(15)이 이동하거나 진동하지 않아 파종 깊이 정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프레임(2a·3a)과 후프레임(2b·3b) 중 한쪽 프레임의 단부와 다른 쪽 프레임의 중간부 사이에 상기 연결축(4L·4R)을 개설함과 함께, 이 연결축(4L·4R)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서 전프레임(2a·3a)과 후프레임(2b·3b) 사이의 간격을 변경 가능한 깊이 조절구(26)를 마련하였으므로, 한쪽 프레임의 중간부와 다른 쪽 프레임의 단부 사이에 깊이 조절구(26)를 마련하기만 하면 되는 간단한 구성으로 굴곡각인 각도(67)·(68)를 변경할 수 있어, 부품 비용의 삭감과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받침점인 연결축(4L·4R)으로부터 이간해 깊이 조절구(26)를 구비함으로써, 아암의 길이를 길게 해 모멘텀을 크게 할 수 있어, 작은 조작력으로 깊이 조절구를 신축시켜 파종 깊이 조절 작업의 작업 부하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파종 장치 탈착 구조(27)에 대해, 도 1, 도 7 내지 도 9에 의해 설명한다.
상기 파종 장치 탈착 구조(27)란, 상기 작조날(15)을 고정한 배출 베이스(13)에 대해, 파종 장치(14)의 배출부(14a)의 장착과 동력 접속 또는 분리와 동력 절단을, 모두 하나의 조작으로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우선, 이 파종 장치 탈착 구조(27)를 구성하는 각 장치·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종 장치(14)는 상하가 개구한 종자 케이스(73)의 하부 개구에 뒤쪽 비스듬히 아래에서부터 배출 롤(74)을 삽입하고, 그 위로부터 하부 배출 케이스(91)를 덮어 구성된다.
이 중, 상기 종자 케이스(73)는 상면이 덮개(92)로 덮이고 종자를 저장하는 호퍼부(73a)와, 호퍼부(73a)보다 하방에 있는 상부 배출 케이스부(73b)로 이루어지고, 이 상부 배출 케이스부(73b)와 상기 하부 배출 케이스(91)로부터 종자(93)를 소정량씩 배출하기 위한 상기 배출부(14a)가 형성된다. 그리고, 배출부(14a)의 앞쪽 하단부에는 좌우 한 쌍의 제1 걸림 돌기부(14b·14b)가 좌우 바깥쪽에 돌출됨과 함께, 배출부(14a)의 뒤쪽 하단부에는 제2 걸림 돌기부(14c)가 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배출 롤(74)에는 좌우 방향으로 축공(74b)이 천공되고, 이 축공(74b)은 상기 종자 케이스(73)의 하부에 천공된 통공(73c)과 대략 동일 축심상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축(24)이 통공(73c) 내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축공(74b) 내에 회동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배출축(24)의 일단은 상기 종자 케이스(73)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그 단부에는 종동 기어(75)가 밖에서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배출 롤(74)의 외주면에는 오목부(74a)가 둘레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오목부(74a) 내에 상기 종자(93)가 들어간다.
이에 따라, 배출 롤(74)이 화살표 94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종자(93)는 상기 호퍼부(73a)로부터 오목부(74a) 내로 굴러 들어가, 오목부(74a) 내에 보관된 상태로 반송된다. 그리고, 도중에 도시하지 않은 브러쉬에 의해, 오목부(74a)로부터 흘러넘친 종자(93) 등이 제거된 다음, 이 종자(93)는 상기 오목부(74a) 내에 보관된 상태로 소정의 낙하 위치에 반송되어, 상기 하부 배출 케이스(91)의 하부에 개구한 배출구(91a)로부터 상기 배출 베이스(13) 내에 낙하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 베이스(13)는 후방으로 열린 평면에서 보았을 때 U자 형상의 노치(76a)를 후부에 갖는 바닥판(76)과, 바닥판(76)의 좌우 테두리로부터 세운 좌우 한 쌍의 측판(77·78)과, 좌측판(77)의 왼쪽 외측면에 복수의 볼트(88)에 의해 체결 고정된 기어 케이스(79)를 갖는다.
이 중, 상기 측판(77·78)의 앞 부분에는, 좌우 방향으로 축심을 갖는 파이프 형상의 장착 보스부(87)가 고정되고, 장착 보스부(87)를 노브 나사(86)에 의해 전방 지지 바(11)에 고정함으로써 측판(77·78)의 앞 부분이 전방 지지 바(11)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측판(77·78)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열린 오목부(77a·78a)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77a·78a)가 상기 후방 지지 바(12)에 결합 고정되어, 측판(77·78)의 후부가 후방 지지 바(12)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배출 베이스(13)가 전후의 지지 바(11·12)를 통해 상기 후프레임(2b·3b)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측판(77·78)에서 전반부의 내측면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아래로 볼록한 형상의 측방 협지판(83·83)이 접합 고정됨과 함께, 측판(77·78)에서 후반부의 내측면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후방으로 열린 U자 형상의 고정부(81a)를 개재하여 상방 협지판(81)이 접합 고정된다.
상기 바닥판(76)의 전후 대략 중앙에는 직사각형상의 연통공(76b)이 개구되고, 연통공(76b)보다 전방의 바닥판(76)의 상면(76c)과 상기 측방 협지판(83·83) 앞쪽 하부의 외주 경사면(83a·83a) 사이에 전방 협지 공간(89)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76)의 후단부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후방으로 열린 Y자 형상의 하방 협지판(80)의 후단이 고정되고, 하방 협지판(80)의 앞 부분은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위를 향해 연장된 다음, 상기 상방 협지판(81)에서 고정부(81a)보다 전방에 있는 상수평부(81b)의 바로 아래에 도달하면, 다시 수평으로 되돌려져 하수평부(80a)가 된다. 그리고, 하수평부(80a)와 상수평부(81b) 사이에 후방 협지 공간(90)이 마련된다.
상기 기어 케이스(79)는 상기 좌측판(77)의 좌측면으로부터 왼쪽으로 돌출함과 함께, 기어 케이스(79)는 그 후단부를 제외하고 상부가 개구되고 있어, 상기 파종 장치(14)의 좌방에 마련한 상기 종동 기어(75)가 상방으로부터 상부 개구(79a)를 지나 기어 케이스(79) 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기어 케이스(79)에서 상부가 개구된 후단부에는, 그 내부 공간에 구동 기어(82)가 수납되고, 구동 기어(82)는 상기 기어 케이스(79) 내에서 상기 종동 기어(75)와 치합 가능한 위치에서 상기 입력축(23)에 밖에서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작조날(15)은 앞 부분을 폐색한 정면에서 보았을 때 V자 형상의 이랑 형성부(15a)와, 이랑 형성부(15a)로부터 두 갈래로 후방으로 벌어진 좌우 한 쌍의 측판부(15b·15c)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파종 이랑을 V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그 파종 이랑의 바닥 폭을 배출 롤(74)의 길이와 같은 정도로 하여 이랑의 경사를 급하게 하여, 종자(93)가 파종 이랑 내를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또한, 상기 작조날(15)의 상면은 상기 배출 베이스(13)의 바닥판(76)의 하면에 고정되고, 바닥판(76)의 연통공(76b)의 바로 아래에 상기 좌우의 측판부(15b·15c) 사이의 공간이 배치되어, 상기 파종 장치(14)로부터 배출된 종자(93)가 연통공(76b)으로부터 파종 이랑 내에 그대로 낙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측판부(15b·15c)의 후부에는 지지 핀(85)이 가로로 걸쳐지고, 지지 핀(85)에는 복토 아암(95)의 전단이 전후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토 아암(95)의 후단에 상기 복토판(16)이 전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측판부(15b·15c)와 복토 아암(95) 사이에는 바이어스 스프링(84)이 마련되어, 이 바이어스 스프링(84)의 탄성력에 의해 복토 아암(95)에 지지된 복토판(16)을 하방으로 상시 바이어스 상태로 하여 복토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계속해서,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배출 베이스(13)에 파종 장치(14)를 탈착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종 장치(14)를 화살표 96의 방향으로 이동해, 좌우의 제1 걸림 돌기부(14b·14b)를 상기 배출 베이스(13)의 좌우의 측판(77·78) 사이에서 측방 협지판(83·83)보다 전방의 공간에 삽입한다.
그리고, 제1 걸림 돌기부(14b·14b)를 그대로 화살표 97의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배출부(14a)측의 제1 걸림 돌기부(14b·14b)를 각각 배출 베이스(13)측의 전방 협지 공간(89·89) 내에 삽입시키고, 배출부(14a)측의 제2 걸림 돌기부(14c)도 배출 베이스(13) 내의 후방 협지 공간(90) 내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종 장치(14)의 배출부(14a)가 그 전후에서 배출 베이스(13)에 지지 고정된다. 이 때, 제2 걸림 돌기부(14c)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멍이 상하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고, 그 구멍에 상기 하방 협지판(80)의 하수평부(80a)의 상면에 마련한 도시하지 않은 볼록부가 하방 협지판(80)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파종 장치(14)의 분리 작업을 행할 때에는, 하방 협지판(80)을 압하함으로써 볼록부를 구멍에서 쉽게 탈착시킬 수 있다.
동시에, 배출부(14a)측의 종동 기어(75)는 상기 기어 케이스(79) 내에 삽입되어, 그 기어 케이스(79) 내에서 상기 구동 기어(82)에 치합한다.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내는 상기 동력 전달 경로(18)를 통해 입력축(23)에 전달되어 온 진압 롤러(6)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소경의 구동 기어(82)와 대경의 종동 기어(75)로 이루어지는 전달 경로를 통해 상기 배출축(24)에 전달된다.
이 때, 배출부(14a)의 하면은 배출 베이스(13)의 바닥판(76) 상에 올려진 상태이고, 배출부(14a)의 상기 배출구(91a)는 바닥판(76)에 개구한 연통공(76b)의 바로 위에 대향하여 근접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배출구(91a)로부터 파종 이랑까지의 낙하 거리를 작조날(15)의 높이만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91a)로부터 연통공(76b)까지의 공간의 주위는, 도 7에 나타내는 배출 베이스(13)의 좌우 한 쌍의 측판(77·78)에 의해 덮여 있다. 이에 따라, 종자가 배출구(91a)로부터 연통공(76b) 내를 통과하는 사이에 외부로부터 불어오는 측면 바람이나 흙 등에 의해 영향받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배출 베이스(13)에 배출부(14a)를 장착하는 것과 동력 전달 경로(18)에 배출부(14a)의 동력을 접속하는 것을 동시에 행하는 제1 조작이 가능해진다. 상기 배출 베이스(13)로부터의 배출부(14a)의 분리와 동력 전달 경로(18)로부터의 배출부(14a)의 동력 절단을 동시에 행하는 제2 조작은, 전술한 순서를 반대로 행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걸림 돌기부(14c)를 하방에서부터 가압하는 하방 협지판(80)은 판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제2 걸림 돌기부(14c)가 후방 협지 공간(90)에 삽입되어 하방 협지판(80)의 하수평부(80a)의 높이가 위치 98에서 위치 99까지 하강하면, 그 하강에 의해 하방 협지판(80)에는 상방으로의 바이어스력이 생기고, 그 바이어스력에 의해 상기 제2 걸림 돌기부(14c)를 상시 바이어스 상태로 협지할 수 있어, 제2 걸림 돌기부(14c)의 협지 효과를 높인다.
즉, 상기 파종 장치(14)와, 그 파종 장치(14)의 배출부(14a)를 상기 기체 프레임(2·3)에 장착하는 배출 베이스(13)의 사이에, 상기 배출 베이스(13)에 배출부(14a)를 장착하는 것과 동력 전달 경로(18)에 배출부(14a)의 동력을 접속하는 것을 동시에 행하는 제1 조작, 또는 상기 배출 베이스(13)로부터의 배출부(14a)의 분리와 동력 전달 경로(18)로부터의 배출부(14a)의 동력 절단을 동시에 행하는 제2 조작을 실시하는 파종 장치 탈착 구조(27)를 마련하므로, 이 파종 장치 탈착 구조(27)에 의해 파종기(1)에 구비한 모든 파종 장치(14)를 단시간에 탈착할 수 있어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한편, 파종 장치 탈착 구조(27)에 의해 1조용의 파종기에서도, 파종 장치(14)를 신속히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종 장치 탈착 구조(27)에서, 상기 배출부(14a)측에 상기 파종 장치(14)를 구동하는 배출축(24)에 결합하는 종동 기어(75)와, 복수의 걸림부인 제1 걸림 돌기부(14b·14b), 제2 걸림 돌기부(14c)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 베이스(13)측에 장착 상태에서 상기 종동 기어(75)와 치합하는 구동 기어(82)와, 상기 제1 걸림 돌기부(14b·14b), 제2 걸림 돌기부(14c)를 협지하는 협지체인 측방 협지판(83·83), 하방 협지판(80), 상방 협지판(81)을 구비하므로, 파종 장치 탈착 구조(27)를 간단한 구성으로 마련할 수 있어, 부품 비용의 삭감과 조립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베이스(13)에는, 이 배출 베이스(13)의 하면에 고정한 이랑을 만드는 기구인 작조날(15)과 연통하는 연통공(76b)을 개구하고, 연통공(76b)의 바로 위쪽에 가이드 부재를 개재하지 않고 상기 배출부(14a)의 배출구(91a)를 근접 배치하므로, 배출구(91a)로부터 작조날(15)에 의해 형성된 파종 이랑까지의 낙하 거리를 최소한으로 단축할 수 있어, 파종 이랑 내에서의 종자(93)의 움직임을 줄여 파종 정확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배출 베이스(13)에는, 상기 배출부(14a)의 배출구(91a)로부터 배출 베이스(13)의 연통공(76b)에 걸쳐 측면 커버인 측판(77·78)을 마련하므로, 상기 배출구(91a)로부터 연통공(76b)까지 낙하중의 종자(93)가 외부로부터 불어오는 측면 바람이나 흙 등에 의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소정량의 종자(93)를 파종 이랑 내에 확실하게 도입해 파종 정확도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이랑을 만드는 기구인 상기 작조날(15)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V자 형상으로 구성하므로, 파종 이랑을 V자 형상으로 형성해 파종 이랑 바닥부의 폭을 좁게 형성할 수 있어, 그 파종 이랑 내에서의 종자(93)의 좌우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확실하게 방지해 파종 정확도가 더욱 향상된다.
다음으로, 상기 파종기(1)와 다른 형태의 파종기(1A)에 대해, 도 10, 도 11에 의해 설명한다. 한편, 상기 파종기(1)와 동일한 부품·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파종기(1A)는, 상기 파종기(1)와 같이 주행 모터(37)를 구동 롤러(5) 내에 장착하는 내장 모터식에서, 주행 모터(37A)를 배터리대(29) 위에 배터리(30)와 함께 탑재하는 외부 모터식으로 변경한 것이다.
상기 배터리대(29) 상에는, 왼쪽에서부터 차례로 배터리(30)와 주행 모터(37A)가 탑재된다. 그리고, 주행 모터(37A)로부터의 출력축(100)은 오른쪽으로 돌출되고, 그 출력축(100)의 우단은 오른쪽 기체 프레임(3)의 전프레임(3a)에 마련된 전동 케이스(101) 내의 상부를 관통해, 그 우단에 스프로킷(102)이 바깥에서 끼워져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전동 케이스(101) 내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 롤러(5A)의 롤러축(7A)의 우단이 관통되고, 그 우단에 스프로킷(103)이 바깥에서 끼워져 고정된다. 스프로킷(103)과 스프로킷(102) 사이에 체인(104)이 감겨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30)는 신호선(31)을 통해 상기 모터 스위치(33)에 접속됨과 함께, 신호선(32)을 통해 상기 배터리대(29) 위의 주행 모터(37A)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핸들 아암(34)의 파지 아암부(35a)를 잡으면서 상기 모터 스위치(33)를 조작하면, 모터 스위치(33)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배터리(30)로부터 주행 모터(37A)로 전력이 공급되고, 주행 모터(37A)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출력축(100), 스프로킷(102), 체인(104), 스프로킷(103)으로부터 롤러축(7A)에 전달되어 구동 롤러(5A)가 모터 구동되어, 파종기(1A)가 주행하게 된다.
이 경우도, 상기 주행 모터(37A)와 배터리(30)가 구동 롤러(5A)측에 집중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파종기(1)와 마찬가지로, 전방 무게중심·전륜 구동 타입의 파종기(1A)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외부 모터식의 파종기(1A)는, 본 실시예와 같이, 구동 롤러(5A)측에 주행 모터(37A)를 탑재 가능한 충분한 설치 공간이 있는 경우에 적절한 것이며, 구동 롤러(5A)측 구조의 간소화나 주행 모터(37A)의 유지보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종 장치를 구비한 기체 프레임의 앞뒤에 전륜과 후륜을 배치하고, 상기 전륜측에, 전륜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와,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탑재해, 전방 무게중심·전륜 구동 타입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후륜 근방의 기체 프레임으로부터 정면에서 보았을 때 도어 형태의 핸들 아암을 연장한 모든 파종기에 적용할 수 있다.
1 파종기
2·3 기체 프레임
5 구동 롤러(전륜)
6 진압 롤러(후륜)
14 파종 장치
25 보조 핸들
25b 파지부
30 배터리
34 핸들 아암
35a 파지 아암부
37 주행 모터(전동 모터)
44 핸들 고정구
45 받침점축
46 회전 규제축(스토퍼)
106 세로 아암부

Claims (2)

  1. 파종 장치를 구비한 기체 프레임의 앞뒤에 전륜과 후륜을 배치하고,
    상기 전륜은 파종기의 주행 구동륜으로서, 상기 전륜 부분에 전륜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 및 상기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탑재하고,
    상기 후륜은 파종 장치의 구동륜으로서, 상기 후륜이 주행과 함께 종동 회전되는 회전 동력에 의해 상기 파종 장치의 배출축을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기체 프레임은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전프레임과 후륜을 지지하는 후프레임으로 전후 2분할되고,
    상기 전프레임과 후프레임은 연결축에 의해 연결되어, 그 연결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굴곡 가능하게 하고,
    상기 후프레임상에 상기 파종 장치와 작조날을 지지하고,
    상기 전프레임과 후프레임이 이루는 각도인 굴곡각을 변경해, 상기 파종 장치와 작조날을 기울일 수 있는 깊이 조절구를 마련하고,
    상기 후륜 근방의 후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핸들 아암을 세로로 마련하고,
    상기 세로로 마련된 핸들 아암의 상단에서부터 후방으로 보조 핸들을 돌출시켜 마련하고,
    상기 보조 핸들을 잡고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전륜을 받침점으로 하는 후륜의 상승과 기체의 선회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아암에 핸들 고정구를 마련하고, 상기 핸들 고정구에, 상기 보조 핸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점축과 상기 보조 핸들을 수납 상태 또는 전개 상태로 지지하는 스토퍼를 근접해 마련함으로써, 상기 보조 핸들을 접어 수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KR1020120026465A 2011-04-05 2012-03-15 파종기 KR101944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84021A JP5938795B2 (ja) 2011-04-05 2011-04-05 播種機
JPJP-P-2011-084021 2011-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657A KR20120113657A (ko) 2012-10-15
KR101944988B1 true KR101944988B1 (ko) 2019-02-01

Family

ID=4726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465A KR101944988B1 (ko) 2011-04-05 2012-03-15 파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938795B2 (ko)
KR (1) KR1019449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564Y1 (ko) * 2012-11-30 2014-07-09 양중화 파종기 설치용 링크대
CN103975673B (zh) * 2014-04-01 2016-08-17 山东省农业科学院生物技术研究中心 麦田套种播种机
KR102246540B1 (ko) 2018-11-06 2021-05-03 토농 주식회사 잔디 씨앗 파종기
CN111643693B (zh) * 2020-06-18 2023-11-07 福建辉伦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便携消毒盒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608A (ja) * 2000-10-03 2002-04-16 Iseki & Co Ltd 散布機
JP2007312678A (ja) * 2006-05-25 2007-12-06 Agritecno Yazaki Co Ltd 播種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312A (ja) * 1991-08-19 1993-03-02 Taki Noukougu Kk 多条播種機
JPH09107731A (ja) * 1995-10-19 1997-04-28 Minoru Sangyo Kk 播種機
JP2002000013A (ja) * 2000-06-21 2002-01-08 Yazaki Corp 播種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608A (ja) * 2000-10-03 2002-04-16 Iseki & Co Ltd 散布機
JP2007312678A (ja) * 2006-05-25 2007-12-06 Agritecno Yazaki Co Ltd 播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38795B2 (ja) 2016-06-22
KR20120113657A (ko) 2012-10-15
JP2012217358A (ja)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988B1 (ko) 파종기
JP3843823B2 (ja) 粉粒体吐出機
JP4697401B2 (ja) 野菜移植機
JP2008054581A (ja) 苗植機
JP4089308B2 (ja) 施肥田植機
JP5652677B2 (ja) 移植機
JP5306248B2 (ja) 管理機
JP6797047B2 (ja) 水田作業車
JP6449720B2 (ja) 灌水装置及び移植機
JP6556499B2 (ja) 施肥装置及び移植機
JP4089350B2 (ja) 施肥装置
JP3783620B2 (ja) 粉粒体吐出機
JP5070786B2 (ja) 苗植機
JP3792150B2 (ja) 鱗茎作物調製機
JP2003325013A (ja) 施肥装置
JP5585567B2 (ja) 苗植機
KR100486956B1 (ko) 모 이식기
JP4032904B2 (ja) 苗移植機
JP3968488B2 (ja) 苗移植機
JP2011152091A (ja) 苗移植機
JP2011030432A (ja) 施肥装置付き多条苗移植機
JP4359668B2 (ja) 野菜移植機及び移植方法
JPH09294424A (ja) 施肥装置付き田植機
JP3938819B2 (ja) 野菜移植機
JP3239273B2 (ja) 歩行型野菜移植機の操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