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6956B1 - 모 이식기 - Google Patents

모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6956B1
KR100486956B1 KR10-2003-0010646A KR20030010646A KR100486956B1 KR 100486956 B1 KR100486956 B1 KR 100486956B1 KR 20030010646 A KR20030010646 A KR 20030010646A KR 100486956 B1 KR100486956 B1 KR 100486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her
parent
receptor
implant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8472A (ko
Inventor
이시다이사오
키노시타에이이치로
카츠노시로
무라나미마사미
킷떼하지메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8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2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propelled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모 공급작업을 여유있게 행할 수 있는 모 이식기에 있어서, 모 이식체에 대한 모 공급이 적정히 행해질 수 있도록 하고, 정확한 모의 이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모 수용체의 외주에 원통 외주부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 외주부에 바깥쪽으로부터 회동 자재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두개의 모 수용체를 연결하는 연결체를 복수 설치하여, 상기 연결체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모 수용체의 상기 원통 외주부에 회동 자재로 걸어맞추고, 상기 원통 외주부를 회동축으로 하여 옆의 모 수용체가 회동 자재로 연결하는 상태로 해서 상기 복수의 모 수용체를 서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이다.

Description

모 이식기{Transplanter}
본 발명은 논밭용 모 이식기(移植機)의 기술분야에 속한다.
종래, 기체(機體)에 자체주행시키는 주행장치와, 상하로 움직이도록 설치하여 상위에서 위쪽으로부터 모를 받아서 하위에서 받은 모를 논밭으로 방출하는 모 이식체와, 상기 모 이식체에 위쪽으로부터 모를 낙하시켜 공급하는 모 공급장치를 갖추고, 상기 모 공급장치에는 상하로 개구하는 통모양체와 상기 통모양체의 아래쪽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아래덮개를 가지고, 서로 루프형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모 수용체와, 상기 모 수용체를 상기 모 이식체의 위쪽을 통과하는 상태에서 기체를 평면에서 보아 비원형의 루프형상의 궤적으로 원주회동시키는 모 수용체 이동기구와, 상기 모 수용체의 아래덮개를 모 이식체의 위쪽위치에서 개방하는 아래덮개 개방기구를 설치한 모 이식기가 있으나, 상기 복수의 모 수용체는 구동회전하는 무단 체인의 외주에 부착한 구성으로 하거나, 탄성부재에 의한 연결체로 서로 연결한 구성으로 하고 있었다. 당해 종래의 기술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59-78611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 2002-84826호 공보(도 8, 도 9, 도 11, 도 12)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의 기술은 모 수용체를 기체를 평면에서 보아 원형 궤적으로 원주회동시키는 소위 턴테이블이라고 불리우는 주지의 모 공급장치와 비교하면, 기체의 대형화를 가능한 한 회피하면서 모 수용체의 원주회동궤적을 길게 형성할 수 있고, 그만큼 모 수용체를 많이 장비할 수 있으며, 모 수용체로의 모 공급작업을 여유있게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성은 상기와 같이 복수의 모 수용체를 구동회전하는 무단 체인의 외주에 부착한 구성으로 하거나, 탄성부재에 의한 연결체로 서로 연결한 구성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전자의 구성에서는 모 수용체가 체인의 바깥쪽에 한쪽으로 지지되는 상태로 되기 위해서, 모 수용체가 원주회동중에 원주회동 방면을 따라 요동하고, 또한 후자의 구성에서는 모 수용체가 원주회동중에 모 수용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등과의 접촉상태가 변화하여 당해 가이드부재 등으로부터 받은 마찰저항이 변화하여, 탄성부재로 구성한 연결체가 원주회동중에 신축해 버린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모 수용체의 간격이 변화하기 때문에, 모 이식체의 위쪽위치에서 모를 낙하시켜 모 이식체에 모를 공급하는 때에, 모 수용체의 위치가 모 이식체에 대해 어긋나 버려서, 그 결과 모 이식체에 대한 모 공급이 적정하게 행해지지 않고, 적정한 자세로 모의 이식을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모 공급작업을 여유있게 행할 수 있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모 이식기에 있어서, 모 이식체에 대한 모 공급이 적정하게 행해지도록 하여, 정확한 모의 이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청구범위 제 1항에 기재된 발명은, 기체를 자체주행시키는 주행장치와, 상하로 움직이도록 설치해서 상위에서 위쪽으로부터 모를 받아서 하위에서 받은 모를 논밭으로 방출하는 모 이식체와, 상기 모 이식체에 위쪽으로부터 모를 낙하시켜 공급하는 모 공급장치를 갖추고, 상기 모 공급장치에는 상하로 개구하는 통모양체와 상기 통모양체의 아래쪽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아래덮개를 서로 가지고, 서로 루프형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모 수용체와, 상기 모 수용체를 상기 모 이식체의 위쪽을 통과하는 상태에서 기체를 평면에서 보아 비원형의 루프형상의 궤적으로 원주회동시키는 모 수용체 이동기구와, 상기 모 수용체의 아래덮개를 모 이식체의 위쪽위치에서 개방하는 아래덮개 개방기구를 설치한 모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모 수용체의 외주에 원통 외주부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 외주부에 바깥쪽으로부터 회동자재(回動自在)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두개의 모 수용체를 연결하는 연결체를 복수 설치하여, 상기 연결체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모 수용체의 상기 원통 외주부에 회동 자재로 걸어맞추어 상기 원통 외주부를 회동축으로 해서 옆의 모 수용체가 회동 자재로 연결하는 상태로서 상기 복수의 모 수용체를 서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이다.
청구범위 제 2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모 수용체의 통모양체에 아래덮개를 개폐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모 수용체 각각에 상기 연결체를 하나씩 일체적으로 부착하여, 상기 연결체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옆의 모 수용체의 상기 원통 외주부에 회동 자재로 걸어맞추어 모 수용체를 서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기재의 모 이식기이다.
청구범위 제 3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모 이식체는 좌우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모 공급장치는 모 수용체가 기체를 평면에서 보아 좌우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구간을 가지는 궤적으로 원주회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모 수용체가 좌우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구간에서 좌우 병열하는 복수의 모 이식체의 위쪽을 통과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또는 제 2항 기재의 모 이식기이다.
본 발명의 모 이식기는, 주행장치에 의해 기체가 자체주행한다. 주행중 모 이식체는 상하로 움직이고, 위쪽에 위치하는 때에 모 공급장치로부터 낙하공급되는 모를 위쪽으로부터 모를 받고, 아래쪽에 위치하는 때에 받은 모를 논밭으로 방출하여 모를 논밭에 이식한다. 모 공급장치는 상하로 개구하는 통모양체와, 상기 통모양체의 아래쪽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아래덮개를 가진 모 수용체가 복수 갖추어져 서로 루프형상으로 연결하고, 모 수용체 이동기구에 의해 모 이식체의 위쪽을 통과하는 상태에서 기체를 평면에서 보아 비원형의 루프형상의 궤적으로 원주회동한다. 그리고, 아래덮개 개방기구에 의해 모 이식체의 위쪽위치에서 모 수용체의 아래덮개가 개방된다. 따라서, 모 수용체중에 수용된 모는, 모 수용체의 원주회동에 의해 모 이식체의 위쪽위치까지 이송되어 거기에서 낙하하여 모 이식체에 공급된다.
청구범위 제 1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모 수용체의 외주에 원통 외주부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 외주부에 바깥쪽으로부터 회동 자재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가진 두개의 모 수용체를 연결하는 연결체를 복수 설치하고 있고, 상기 연결체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모 수용체의 상기 원통 외주부에 회동 자재로 걸어맞추어 복수의 모 수용체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 수용체는 모 수용체의 원통 외주부를 회동축으로 하여 옆의 모 수용체가 회동하면서 원주회동하는 것이 되어, 모 수용체의 간격의 변동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청구범위 제 2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또한 모 수용체의 통모양체에 아래덮개를 개폐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모 수용체의 각각에 상기 연결체를 하나씩 일체적으로 부착하여 상기 연결체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옆의 모 수용체의 상기 원통 외주부에 회동 자재로 걸어맞추어 모 수용체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모 수용체는 모 수용체의 원통 외주부를 회동축으로 해서 옆의 모 수용체가 회동하면서 원주회동하고, 게다가 모 수용체가 원주회동할 때 연결체가 원주회동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이동함과 동시에, 연결체를 통모양체에 일체적으로 부착한 모수용체도 아래덮개의 부착부가 원주회동방향에 대해 설정방향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모 수용체의 아래덮개는 모 이식체의 위쪽위치에 있어서, 언제나 같은 방향으로 개방동작하며, 아래덮개 개방기구에 의해 아래덮개의 개방이 정확하게 작동하게 된다.
청구범위 제 3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또한 모 공급장치의 모 수용체가 기체를 평면에서 보아 좌우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구간을 가지는 궤적으로 원주회동하고, 그 좌우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구간에서 좌우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설치한 모 이식체의 각 위쪽을 모 수용체가 통과하여 복수의 모 이식체에 모가 공급되고, 논밭으로 모를 복수조로 동시에 이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모 이식기를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앞 또는 뒤라고 할 때는, 조종핸들(2)을 배치한 측을 뒤로 하고, 그 반대측, 즉 엔진(5)을 배치한 측을 앞이라고 한다. 그리고, 우 또는 좌라는 할 때는, 기체 후부(後部)에 있어서 기체 전부(前部)측을 앞쪽으로 하여 서 있는 작업자로부터 보아 오른손측을 우로 하고, 왼손측을 좌로 한다.
모 이식기는, 주행장치(1)와 조종핸들(2)을 갖춘 기체에, 승강구동하는 링크기구(3)와 연결하여 승강동작하는 개폐가능한 집게모양의 모 이식체(4)를 좌우에 두개 갖춘 구성으로 하고 있다.
주행장치(1)는, 도시예에서는 엔진(5)과, 상기 엔진(5)의 동력이 전달되어 구동회전하는 좌우 한쌍의 뒷바퀴(6)와, 상기 뒷바퀴(6)의 앞쪽에 전동 자재로 지지한 좌우 한쌍의 앞바퀴(7)를 갖추고 있다.
엔진(5)의 후부에는, 미션케이스(8)를 배치하고, 그 미션케이스(8)는 그 좌측부로부터 엔진(5)의 좌측방으로 늘어나는 케이스부분을 가지고, 이것이 엔진(5)의 좌측부와 연결되어 있다. 이 케이스부분에 엔진(5)의 출력축이 들어가서 미션케이스(8)내의 전동기구(주행부측 변속전동부(C1)와 작업부측 변속전동부(C2))에 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미션케이스(8)의 좌우 양측부에 전동케이스(9)를 회동 자재로 부착하고, 이 전동케이스(9)의 회동중심에 미션케이스(8)로부터 좌우 양측방으로 연출(延出)시킨 차바퀴 구동축의 선단이 들어가서, 미션케이스(8)내의 주행부측 변속전동부(C1)를 거쳐 주행용의 동력이 전동케이스(9)내의 전동기구에 전달되고 있다. 그리고, 주행용의 동력은 전동케이스(9)내의 전동기구를 개재하여 기체 뒤쪽측으로 연신되어 그 후단측 측방으로 돌출하는 차바퀴(10)에 전동하고, 뒷바퀴(6)가 구동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동케이스(9)의 미션케이스(8)로의 부착부에는, 위쪽으로 연신되는 암(Arm, 11)을 일체적으로 부착하고 있고, 이것이 미션케이스(8)에 고정된 승강용 유압실린더(12)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상하축심 주위에 회동 자재로 부착한 천칭 (13)의 좌우 양측부와 연결되어 있다. 그 연결부의 우측은 로드(14)로 연결되고, 좌측은 신축 작동가능한 좌우수평 제어용 유압실린더(15)로 연결되어 있다.
승강용 유압실린더(12)가 작동하여 그 피스톤로드가 기체 뒤쪽으로 돌출하면, 좌우의 상기 암(11)은 뒤쪽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전동케이스(9)가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기체가 상승한다. 반대로, 승강용 유압실린더(12)의 피스톤로드가 기체 앞쪽에 모이면, 좌우의 상기 암(11)은 앞쪽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전동케이스(9)가 위쪽으로 회동하여 기체가 하강한다. 이 승강용 유압실린더(12)는, 기체에 대한 논밭이랑의 윗면높이를 검출하는 센서(S)의 검출결과에 근거해 기체를 논밭이랑의 윗면높이에 대해 설정높이가 되게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조종핸들(2) 근방에 배치한 조작구(L)의 인위조작에 의해 기체를 상승 혹은 하강시키도록 작동하는 구성으로도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좌우수평 제어용 유압실린더(15)가 신축작동하면, 상기 천칭(13)이 그 좌우중앙부의 승강용 유압실린더(12)의 피스톤로드 선단과 연결하는 상하축심 주위로 회동하여 좌우의 전동케이스(9)를 서로 다르게 상하로 움직이게 하여 기체를 좌우로 경사시킨다. 이 좌우수평 제어용 유압실린더(15)는, 좌우수평에 대한 기체의 좌우경사를 검출하는 센서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기체를 좌우수평이 되게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앞바퀴(7)는, 엔진(5) 아래쪽의 좌우중앙위치에서 전후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동 자재로 부착한 앞바퀴 지지프레임(16)의 좌우 양측부의 아래쪽으로 연신되는 암부분의 하단부 측방에 고정한 차축(17)에 회전 자재로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 앞바퀴(7)는 기체의 좌우중앙의 전후방향의 축심 주위로 롤링운동 자재로 되어 있다.
상기 조종핸들(2)은 미션케이스(8)에 전단부를 고정한 기체프레임(2b)의 후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기체프레임(2b)은 기체의 좌우중앙으로부터 우측으로 기운 위치에 배치되어 뒤쪽으로 연신되고, 또한 전후 중간부로부터 기울어 후위쪽으로 연신되어 있다. 조종핸들(2)은 기체프레임(2b)의 후단부로부터 좌우로 뒤쪽으로 연신되어 그 각 후단부를 조종핸들(2)의 그립부(2a)로 하고 있다. 조종핸들(2)의 좌우의 그립부(2a)는 작업자가 그 그립부(2a)를 쉽게 손으로 쥘 수 있도록 적의 높이로 설정한다. 또한, 도면예에서는 그립부(2a)를 좌우로 나눈 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조종핸들(2)의 좌우의 후단부를 서로 좌우로 연결하여 그 연결부분을 그립부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주행장치(1)는 4륜구성으로 한 것이나, 좌우 한쌍의 구동바퀴만의 2륜구성이어도 좋으며, 앞바퀴 대신에 논밭이랑의 윗면을 전동하는 진압바퀴로 해도 좋다. 또한, 크롤러식의 주행장치로 해도 좋다.
다음으로, 링크기구(3) 및 모 이식체(4)에 대해 설명한다.
링크기구(3)는, 미션케이스(8)내의 작업부측 변속전동부(C2)를 거친 모이식 작업부 구동용의 동력을 받아 전동하는 전동기구를 내장하는 이식 전동케이스(18)에 장착되어 있다. 도면예와 같이 이식 전동케이스(18)는, 그 앞부분이 미션케이스(8)의 뒷부분에 연결되고, 거기로부터 후경사 위쪽으로 연신되는 제 1 케이스부(18a)와, 이 제 1 케이스부(18a)의 상부 좌측부에 고정되어 거기로부터 뒤쪽으로 연신되는 제 2 케이스부(18b)를 가지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들 제 1 케이스부(18a), 제 2 케이스부(18b)내에 링크기구(3)를 승강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기구를 내장하고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부(18a)내에 내장한 전동기구에는, 링크기구(3) 및 모이식체(4)를 그 승강이동 최하위의 위치에서 또는 그 근방위치에서 설정시간 정지시키는 간헐구동기구(K)와, 링크기구(3) 및 모 이식체(4)의 승강이동을 정지시키는 클러치기구를 갖춘다. 간헐구동기구(K)에 의해 정지하는 시간은, 상기 간헐구동기구(K)의 전동 위쪽에 설치한 모간격(株間)변경용 변속부(C3)에 의해 조절되고, 이 조절에 의해 모 이식체(4)에 의한 모 이식간격이 변경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기구(3)는 좌우의 모 이식체(4)의 앞쪽의 개폐지점이 되는 축(19)의 좌우 2개소에서 회동 자재로 연결하는 제 1 승강 암(20)과, 모 이식체(4)의 뒤쪽의 개폐지점이 되는 축(21)의 좌측부에 회동 자재로 연결하는 제 2 승강 암(22)을 갖춘다. 그리고, 제 1 승강 암(20)의 하단부는, 제 2 케이스부(18b)의 하부로부터 우측으로 연신되는 부착축으로 요동 자재로 부착한 제 1 요동 암(23)의 선단부와 회동 자재로 연결하고, 제 2 상승 암(22)의 하단부는 제 2 케이스부(18b)의 후부측 하부로부터 우측으로 연신되는 부착축에 요동 자재로 부착한 제 2 요동 암(24)의 선단부와 회동 자재로 연결된다. 또한, 제 1 승강 암(20)의 중간부는, 제 2 케이스부(18b)가 우측부로부터 돌출하여 구동회전하는 제 1 구동축(25)에 고정되어 구동회전하는 제 1 구동 암(26)의 선단부와 회동 자재로 연결되고, 제 2 승강 암(22)의 중간부는, 제 2 케이스부(18c)의 후부측 우측부로부터 돌출하여 구동회전하는 제 2 구동축(27)에 고정되어 구동회전하는 제 2 구동암(28)의 선단부와 회동 자재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구동 암(26)과 제 2 구동암(28)이 이식 전동케이스(18)내의 전동기구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구동회전하면, 제 1 승강 암(20)과 제 2 승강 암(22)이 요동하면서 승강이동하고, 그 결과 좌우의 모 이식체(4)의 하단부가 측면에서 보아 상하로 긴 폐루프궤적(T)으로 승강이동한다. 또한, 제 1 구동 암 (26)과 제 2 구동 암(28)은 모두 좌측방향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좌우의 모 이식체(4)의 하단부가 좌측방향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폐루프궤적(T)에서 승강회동한다. 따라서, 작업주행하면서 좌우의 모 이식체(4)가 상기 회전방향으로 상기 궤적(T)을 그리듯이 승강회동하면, 궤적(T)의 하단부에서 모 이식체(4)의 하단부가 논밭이랑(U)의 토양중에 꽂혔을 때, 모 이식체(4)가 논밭이랑(U)에 대해 전후로 크게 어긋나게 되어, 전후로 크게 심은 흔적을 남기지 않고 정확한 자세로 모를 이식할 수 있다. 또한, 집게모양의 모 이식체(4)는 그 승강이동 최하위까지 하강하면, 전후로 열려 모 이식체(4)내의 모를 논밭이랑(U)의 토양에 방출한다.
좌우의 모 이식체(4)는, 각각 아래쪽을 향해서 늘어나는 집게모양으로 형성한 것으로, 전후로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집게모양부분의 앞쪽부분인 앞쪽 집게부(4F)는, 그 상부측이 뒤쪽으로 암모양으로 늘어나서 그 선단부가 모 이식체(4)의 뒤쪽의 개폐지점이 되는 축(21)으로 회동 자재로 연결하고, 집게모양부분의 뒷부분인 뒤쪽 집게부(4B)는, 그 상부측이 앞쪽으로 암모양으로 늘어나서 그 선단부가 모 이식체(4)의 앞쪽의 개폐지점이 되는 축(19)으로 회동 자재로 연결된다. 그리고, 앞쪽 집게부(4F) 상부의 뒤쪽으로 늘어나는 암(Arm)모양부분과 뒤쪽 집게부(4B) 상부의 앞쪽으로 늘어나는 암모양부는, 각각 앞쪽의 축(19)과 뒤쪽의 축(21)과의 전후 중앙위치에 설치한 긴 구멍에 횡축방향의 축부를 가지는 너트를 끼워서 연결하고, 앞쪽 집게부(4F)와 뒤쪽 집게부(4B)의 한쪽측은 다른 측의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여, 양자가 전후로 개폐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앞쪽 집게부(4F)와 뒤쪽 집게부(4B)는, 스프링으로 모 이식체(4)를 닫는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승강 암(20)과 제 1 요동 암(23)이 서로 연결되는 축부분에, 좌우의 모 이식체(4)를 개폐동작시키기 위한 개폐 암(31)을 회동 자재로 연결하고, 그 개폐 암(31)의 선단부와 그 좌우의 앞쪽 집게부(4F)의 각 상부로부터 위쪽으로 늘어나는 각 암부분을 서로 좌우로 연결하는 연결축을 연결로드(32)로 연결하고 있다. 개폐 암(31)의 중간부에는, 모 이식체(4)의 승강이동 최하위까지 하강한 때에, 제 1 승강 암(20)을 회동 자재로 연결하고 있는 제 1 구동 암(26)의 선단부에 고정의 축으로 고정한 캠(34)과 상기 캠(34)에 개폐 암(31)을 압접시키는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전후 요동하여 개폐 암(31)이 전후로 회동하고, 개폐 암(31)이 뒤쪽으로 회동하면 좌우의 앞쪽 집게부(4F)를 뒤쪽의 회동지점인 축(21) 주위로 상방회동하고, 이것과 함께 뒤쪽 집게부(4B)를 앞쪽의 회동지점인 축(19) 주위로 상방회동하여, 모 이식체(4)가 열린다. 그리고, 모 이식체(4)가 상승도중에 캠(34)의 열기작용으로 인해 개방되어 모 이식체(4)가 닫힌다. 또한, 상기의 캠(34), 개폐 암(31), 연결로드(32) 등은, 모 이식체(4)의 개페기구를 구성하나, 공지의 다른 개폐기구를 채용해도 좋다.
모 이식체(4)의 상부에는, 모 이식체(4)내로 모를 안내하는 통모양의 안내체(35)를 부착하고 있다. 이 안내체(35)는, 모 이식체(4)의 개폐지점이 되는 축(19, 21)보다 위쪽으로 돌출시켜 설치하고 있고, 위쪽으로부터 투입된 모를 모 이식체(4)내의 하단부로 모를 안내한다.
상기 모 이식체(4)가 이식한 모에 대해 복토진압하기 위한 접지 전동바퀴(36)를, 좌우의 모 이식체(4)의 모 이식 개소의 각 뒤쪽 좌우 양측 근방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상기 접지 전동바퀴(36)는, 기체프레임(2b)의 중도부에 앞부분이 좌우축 주위로 회동 자재로 부착된 지지프레임(37)의 후부측에 각각 횡축 주위로 회전 자재로 부착되어 있다. 지지프레임(37)의 좌우 내측 두개의 프레임의 뒷부분과 좌우 바깥쪽 두개의 프레임의 뒷부분은 각각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8)를 가지고, 상기 연결부(38)와, 기체 후부측에 설치한 지지부재(39)에 하강 하한위치를 설정하여 상하이동 자재로 부착한 후부 지지로드(40)의 하단부를 횡축 주위에 부착하여 지지하고 있다. 이 후부 지지로드(40)에는, 접지 전동바퀴(36)에 설정한 진압력을 주도록 웨이트(41)를 장착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모 이식기는, 모 이식체(4)의 위쪽으로부터 모를 낙하시켜 공급하는 모 공급장치(42)를 갖춘다.
즉, 기체를 자체주행시키는 주행장치(1)와, 상하로 움직이도록 설치하여 상위에서 위쪽으로부터 모를 받아, 하위에서 받은 모를 논밭으로 방출하는 모 이식체(4)와, 상기 모 이식체(4)에 위쪽으로부터 모를 낙하시켜 공급하는 모 공급장치(42)를 갖추고, 상기 모 공급장치(42)에는 상하로 개폐하는 통모양체(43)와 상기 통모양체(43)의 아래쪽의 개구부(43a)를 개구하는 아래덮개(44)를 가지고, 서로 루프형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모 수용체(45)와, 상기 모 수용체(45)를 상기 모 이식체(4)의 위쪽을 통과하는 상태로 기체를 평면에서 보아 비원형의 루프형상의 궤적으로 원주회동시키는 모 수용체 이동기구(46)와, 상기 모 수용체(45)의 아래덮개(44)를 모 이식체(4)의 위쪽위치에서 개방하는 아래덮개 개방기구(47)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모 이식기는,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주행장치(1)에 의해 기체가 자체주행한다. 주행중, 모 이식체(4)는 상하로 움직이고, 상위에 위치하는 때에 모 공급장치(42)로부터 낙하 공급된 모를 위쪽으로부터 모를 받고, 하위에 위치하는 때에 받은 모를 논밭으로 방출하여 모를 논밭에 이식한다. 모 공급장치(42)는, 상하로 개구하는 통모양체(43)와 상기 통모양체(43)의 아래쪽의 개구부(43a)를 개폐하는 아래덮개(44)를 가진 모 수용체(45)가 복수 갖추어져 서로 루프형상으로 연결하고, 모 수용체 이동기구(46)에 의해 모 이식체(4)의 위쪽을 통과하는 형태로 기체를 평면에서 보아 비원형의 루프형상의 궤적으로 원주회동한다. 그리고, 아래덮개 개방기구(47)에 의해 모 이식체(4)의 위쪽위치에서 모 수용체(45)의 아래덮개(44)가 개방된다. 따라서, 모 수용체(45)중에 수용된 모는, 모 수용체(45)의 원주회동에 의해 모 이식체(4)의 위쪽위치까지 이송되고, 거기에서 낙하하여 모 이식체(4)에 공급된다. 따라서, 모 이식기는 모 공급작업을 여유있게 행할 수 있고,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모 공급장치(42)는, 상기 모 수용체(45)의 외주에 원통 외주부(43c)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 외주부(43c)에 바깥쪽으로부터 회동 자재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48)를 가지고, 두개의 모 수용체(45)를 연결하는 연결체(49)를 복수 설치하며, 상기 연결체(49)의 상기 걸어맞춤부(48)를 모 수용체(45)의 상기 원통 외주부(43c)에 회동 자재로 걸어맞추어 상기 원통 외주부(43C)를 회동축으로 해서 옆의 모 수용체(45)가 회동 자재로 연결되는 상태로서 상기 복수의 모 수용체(45)를 서로 연결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이 모 이식기는 모 수용체(45)의 원통 외주부(43c)를 회동축으로 해서 옆의 모 수용체(45)가 회동하면서 원주회동하는 것이 되고, 모 수용체(45)의 간격의 변동이 생기기 어려운 것이 되며, 따라서 모 이식체(4)에 대한 모 공급이 적정하게 행해져서 정확한 모의 이식이 가능하고, 또한 모 수용체(45)의 개수와 원주회동하는 범위를 설정한 후에, 모 수용체의 위쪽 개구부(43b)를 가능한 한 넓게 형성할 수 있고, 기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하면서 모 수용체(45)로의 모 공급작업을 가능한 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것처럼, 모 수용체(45')의 원통 외주부(43')의 바깥쪽에 설치한 회동축심부(B)에서 서로 회동 자재로 연결되는 대조예의 구성과 비교해도, 상기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분명하다. 본예에서는, 이동작용체의 주위를 돌 때의 인접하는 모 수용체(45)와의 간격(Wc)은,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때의 인접하는 모수용체(45)와의 간격(Ws)과 같은 간격이 된다. 한편, 대조예에서는 이동작용체의 주위를 돌 때의 인접하는 모 수용체(45')와의 간격(Wc')이 직선적으로 이동할 때의 인접하는 모 수용체(45')와의 간격(Ws')보다도 좁아진다. 그 때문에, 대조예에서는 이동작용체의 주위를 돌 때의 인접하는 모 수용체(45')와의 간격(Wc')을 기준으로 하여 모 수용체(45')의 위쪽 개구부(43b')의 지름을 설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본예와 비교하면, 모 수용체의 개수와 원주회동하는 범위를 설정한 다음에, 모 수용체의 위쪽 개구부가 좁은 것이 되어 버리는 것이다.
또한, 모 공급장치(42)는 상기 모 수용체(45)의 통모양체(43)에 아래덮개(44)를 개폐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모 수용체(45)의 각각에 상기 연결체(49)를 하나씩 일체적으로 부착하여, 상기 연결체(49)의 상기 걸어맞춤부(48)를 옆의 모 수용체(45)의 상기 원통 외주부(43c)에 회동 자재로 걸어맞추어 모 수용체(45)를 서로 연결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이 모 이식기는 모 수용체(45)는 모 수용체(45)의 원통 원주부(43c)를 회동축으로 해서 옆의 모 수용체(45)가 회동하면서 원주회동하고, 게다가 모 수용체(45)가 원주회동할 때, 연결체(49)가 원주회동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이동함과 동시에, 연결체(49)를 통모양체(43)에 일체적으로 부착한 모 수용체(45)도, 아래덮개(44)의 부착부(50)가 원주회동방향에 대해 설정방향으로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하는 것이 된다. 그러나, 모 수용체(45)의 아래덮개(44)는 모 이식체(4)의 위쪽위치에 있어서 언제나 같은 방향으로 개방동작하는 것이 되고, 아래덮개 개방기구(47)에 의한 아래덮개(44)의 개방이 정확하게 작동하도록 되며, 모 이식체(4)에 대한 모 공급이 한층 적정하게 행해져서 정확한 모의 이식을 할 수 있는 것이 된다.
그리고 또한, 이 모 이식기는, 상기 모 이식체(4)는 좌우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모 공급장치(42)는 모 수용체(45)가 기체를 평면에서 보아 좌우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구간(SS)을 가지는 궤적으로 원주회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모 수용체(45)가 좌우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구간(SS)에서 좌우로 병렬하는 복수의 모 이식체(4)의 위쪽을 통과하도록 배치한 구성으로 하고, 논밭에 모를 복수조 동시에 이식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모 이식체(4)에 대해 모를 공급하는 모 공급장치(42)를 간략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모 수용체(45)에 대해 모를 공급하기 쉽게 하기 위해 모 수용체(45)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도록 모 수용체 이동기구(46)를 구동해도, 좌우방향으로 복수 병렬하는 모 이식체(4)의 각각에 대해 각각 동일한 낙하궤적으로 모를 모 수용체(45)로부터 낙하공급할 수 있고, 복수의 모 이식체(4)에 대한 모의 공급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으며, 복수조 동시의 모 이식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런데, 본예와 같이 모 이식체(4)를 좌우로 두개 나란히 설치해서 동시에 2조이식이 가능하게 구성한 경우는, 우측의 모 이식체(4)에 낙하공급하는 모 수용체(45)와, 좌측의 모 이식체(4)에 낙하공급하는 모 수용체(45)가 상호가 되도록 연결하고, 또한 우측의 모 이식체(4)에 낙하공급하는 모 수용체(45)가 우측의 모 이식체(4)의 위쪽에 위치하는 때, 좌측의 모 이식체(4)에 낙하공급하는 모 수용체(45)가 딱맞게 좌측의 모 이식체(4)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며, 또한 모 이식체(4)의 이식 승강동작이 일동작하는 사이에 모 수용체(45)가 2개분 원주회동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해, 모 수용체(45)가 좌우의 모 이식체(4)의 위쪽을 좌우방향으로 직렬적으로 통과하면서 좌우 양방의 모 이식체(4)에 대해 모 공급누수가 생기는 일 없이 동시에 모를 공급할 수 있고, 또한 좌우의 모 이식체(4)의 위쪽을 통과한 후에 모가 공급되지 않은 모 수용체(45)가 생기지 않도록 남기는 일 없이 좌우 양쪽의 모 이식체(4)에 대해 모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 되고, 모 공급작업을 여유있게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좌우로 늘어선 두개의 모 이식체(4)에 대해 확실하게 모를 공급할 수 있어 2조이식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에, 모 공급장치(42)의 모 수용체 이동기구(46)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즉, 루프형상으로 연결한 모 수용체(45)를 감아서 거는 이동작용체(51)를 기체의 좌우에 설치하고, 상기 이동작용체(51)를 구동회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루프형상으로 연결한 모 수용체(45)를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좌우로 긴 장원궤적을 그리게 해서 원주회동이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동작용체(51)의 외주에는, 그 외주에 감아서 걸린 모 수용체(45)의 원통 외주부(52)에 걸어맞춰지는 요부(凹部)를 모 수용체(45)의 연결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복수형성하여, 모 수용체(45)를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고 있다. 이동작용체(51)의 구동구성은, 모 이식체(4)를 간헐구동하는 상기 간헐구동기구(K)의 전동 위쪽에서 상기 모간격변경용 변속부(C3)의 전동 아래쪽의 전동경로로부터 동력을 받아 이동작용체(51)를 연속 회전구동하고, 모 수용체(45)를 연속적으로 원주회동이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식 전동케이스(18)의 제 1 케이스부(18a)의 좌측부로부터 연속회전하는 회전축(53a)을 돌출시키고, 상기 회전축(53a)에 자재로 이은 부분을 개재하여 전동축(53b)을 연결하고, 상기 전동축(53b)에 기체 좌측에 설치한 전동케이스(54)로 전동하고, 상기 전동케이스(54)로부터 위쪽으로 돌출시킨 회전축(55)에 일체 회전하도록 부착한 좌측의 이동작용체(51)를 구동회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회전축(55)에는 스프로켓(56)도 일체 회전하도록 부착하고, 상기 스프로켓(56)과, 좌측의 이동작용체(51)의 회전축(57)에 일체 회전하도록 부착한 스프로켓(58)에 전동체인(59)을 감아서 걸어서, 좌우의 이동작용체(51)의 양쪽을 구동회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한쪽의 이동작용체를 구동회전하는 구성의 경우, 구동회전하는 이동작용체에 거두어져 가는 쪽의 모 수용체의 예는 긴장한 연결상태가 되나, 구동회전하는 이동작용체로부터 풀려나가는 쪽의 모 수용체의 예는 이완한 연결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구동회전하는 이동작용체로부터 모 수용체가 풀려나가는 개소에서, 이동작용체가 모 수용체에 걸어맞춰지는 부위로부터 모 수용체가 벗어나는 경우가 있고, 또한 구동회전하는 이동작용체로부터 모 수용체가 풀려나간 후의 모 수용체의 예가 흐트러지고, 모 수용체의 예의 아래쪽을 지지하는 부재 등과의 마찰이 커져서 돌연 걸리게 되어, 모 수용체의 이동이 원활히 행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생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좌우의 이동작용체(51)의 양쪽을 구동회전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이동작용체(51)로부터 모 수용체(45)가 벗어나거나, 모 수용체(45)의 예가 흐트러지거나 하는 경우가 생기기 어려워져서 모 수용체(45)가 원활히 이동하는 것이 되고, 이에 의해 모 이식체(4)로의 모의 공급이 양호하게 행해져서 모 이식작업을 양호하게 계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동케이스(54)내의 전동기구는, 상기 전동케이스(54)의 앞쪽으로 돌출하는 입력축(60)이, 그 전단부가 상기 전동축(53)의 후단부와 자재로 이은 부분을 개재하여 연속해서 전동회전하고, 전동케이스(54)내에서 입력축(60)의 후단부에 형성된 베벨기어(61)가 상기 이동작용체(61)의 회전축(55)과 일체 회전하도록 부착한 베벨기어(62)와 맞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축(53)을 개재하여 전동되어 온 회전동력은, 이 전동케이스(54)내에서 상하방향의 상기 회전축(55) 주위의 회전으로 변환되어 상기 이동작용체(51)를 전동회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예에서는 모 공급장치(42)의 뒤쪽으로 이동해 온 모 수용체(45)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이 되도록 모 수용체(45)의 원주회동 이동방향(D)을 설정하고 있어서, 조종핸들(2)의 좌측방향에서 모 공급장치(42)의 뒤쪽위치에 서서 모 수용체(45)에 오른손으로 공급하는 모 공급작업형태로 작업자가 모를 공급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
본예에서는 기체의 좌우 한쪽에 복수의 모 이식체(4)를 좌우로 나란히 설치하고, 그 좌우반대측에 모 공급장치(42)의 이동작용체(51)를 구동회전하는 동력을 입력하여 좌우 한쪽이 이동작용체(51)의 회전축(55)으로 전동하는 상기 전동요소(60, 61, 62)를 갖춘 상기 회전축(55)을 위쪽으로 돌출시켜 구동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전동케이스(54)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만약 상기 전동케이스(54)를 모 이식체(4)를 배치한 측에 설치한 경우에는, 모 이식체(4)와 모 수용체(45)와의 사이에 상기 전동케이스(54)가 끼어들어가서, 모 공급장치(42)가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버리게 되거나, 또한 그것을 회피하기 위해 바깥쪽방향으로 모 공급장치(42)가 돌출한 것으로 되어 버린다. 그러나, 본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좌우로 나누어 구성했기 때문에, 기체의 좌우 중량균형이 양호해지고, 모 공급장치(42)의 좌우폭을 과대하게 넓게 구성하지 않고 필요충분한 폭을 가지면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모 공급장치(42)로부터 모 이식체(4)로의 모의 낙하거리를 가능한 한 짧아지도록 모 공급장치(42)를 낮게 배치할 수 있어서, 모 이식체(4)로의 모의 낙하공급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으며, 또한 모 공급장치(42)로의 모의 공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높이로 설정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기체의 좌우 중량균형이 양호해짐과 동시에, 기체의 구성을 가능한 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게다가 모 이식체(4)로의 모의 낙하공급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으며, 또한 모 공급장치(42)로의 모 공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높이로 설정하기 쉬운 구성의 것이 된다.
모 공급장치(42)를 구동하는 동력은, 상기와 같이 모 이식체(4)를 간헐구동하는 상기 간헐구동기구(K)의 전동 위쪽에서, 상기 모간격변경용 변속부(C3)의 전동 아래쪽의 전동경로로부터 공급된다. 이에 의해 모 이식체(4)는 간헐적으로 구동하고, 모 공급장치(42)는 연속적으로 구동하는 구성으로 한 모 이식장치에 있어서, 모 이식체(4)가 승강궤적(T)의 상위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정지하는 시간을 변경하여 모 이식간격을 변경가능하게 하도록 모간격변경용 변속부(C3)를 간헐구동기구(K)의 전동 위쪽에 설치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모 공급장치(42)를 구동하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간헐구동하는 모 이식체(4)의 간헐 정지시간을 변경하여 모 이식간격을 변경해도, 그것에 대응하여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모 공급장치(42)의 동작속도도 변경되기 때문에, 모 공급장치(42)로부터 모 이식체(4)로의 모 공급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고, 작물 등의 종류에 따라 적의 모 이식간격을 변경조절해도 양호하게 모 이식작업을 행할 수 가 있다.
또한, 모 공급장치(42)로의 전동을 절단하는 클러치수단(CL1)을, 모 공급장치(42)를 구동하는 동력을 상기 간헐구동기구(K)의 전동위쪽에서, 상기 모간격변경용 변속부(C3)의 전동 아래쪽으로부터 이동작용체(51)를 회전구동하는 회전축(55)으로의 전동경로를 설치하고, 한편, 모 이식체(4)로의 전동을 계속하여 절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수단(CL2)을 상기 간헐구동기구(K)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모 공급장치(42)측의 클러치수단(CL1)과 모 이식체(4)측의 클러치수단(CL2)은, 조정핸들(2)측에 설치한 하나의 인위조작구(예를 들면, 조작레버 등)에 의해 동시에 절단하여 조작 및 들어가기 조작이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간헐구동기구(K)에는, 모 이식체(4)를 한사이클 이식동작시켜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일회전 정지기구와 이 일회전 정지기구에 의한 모 이식체(4)를 한사이클 이식동작의 개시조작을 행하는 일회전 개시기구를 갖추고, 그 일회전 개시기구의 작동타이밍이 상기 모간격변경용 변속부(C3)에 의해 조절되는 구성이 된다. 따라서, 상기 일회전 개시기구의 작용부와 일회전 정지기구의 비작용부와의 위치관계를 작용시켜 맞지 않는 위치로 변경조작하는 것만으로, 모 이식체(4)를 설정위치에서 계속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간헐구동기구(K)를 이용하여 상기 클러치수단(CL2)를 구성하면, 모 이식체(4)를 설정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고, 또한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모 공급장치(42)는 연속적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상기 클러치수단(CL1)은 간헐구동기구(K)의 전동 위쪽에 설치하는 것이 되어, 모 이식체(4)측의 상기 클러치(CL2)를 상기와 같이 간헐구동기구(K)를 이용하면 당해 클러치(CL2)와 공용할 수 없다. 그러나, 모 공급장치(42)측의 클러치수단(CL1)과 모 이식체(4)측의 클러치수단(CL2)을 하나의 인위조작구에 의해 동시에 절단조작 및 들어가기 조작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 이식체(4)측의 상기 클러치(CL2)를 상기와 같이 간헐구동기구(K)를 이용하는 이점을 살리면서,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모 공급장치(42)의 정지 및 구동재개를, 모 이식체(4)의 정지 및 구동재개의 타이밍에 맞춰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 공급장치(42)측의 클러치수단(CL1)은, 전동부하가 설정치 이상이 되면, 자동적으로 동력을 절단하는 기구를 갖추고 있다. 또한, 모 이식체(4)측과 모 공급장치(42)측에 동력이 분지하기 전의 작업부측 전동경로에도, 전동부하가 설정치 이상이 되면 자동적으로 동력을 절단하는 기구를 가지는 클러치수단(CL3)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수단(CL3)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동력을 절단하는 전동부하의 설정치는, 상기 모 공급장치(42)측의 클러치수단(CL1)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동력을 절단하는 전동부하의 설정치보다도 높은 값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모 공급장치(42)로의 모 공급작업중에 작업자 등이 실수해서 접촉하여 모 수용부(45)의 원주회동이동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것과 같은 과부하상태가 모 공급장치(42)의 구동계에 생겨도, 상기 클러치수단(CL1)이 작동하여 모 공급장치(42)의 구동계의 파손을 적의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 모 공급장치(42)로의 전동을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모 이식체(4)측과 모 공급장치(42)측에 동력을 분지하기 전의 작업부측 전동경로에 설치한 상기 클러치수단(CL3)에 의해 작동시키도록 하면, 논밭에 모를 이식하기 위해 토양중에 돌입하기 위해 전동부하가 모 공급장치(42)의 구동계보다도 큰 것이 되는 모 이식체(4)의 구동을 정확하게 계속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모 이식체(4)와 모 공급장치(42)의 구동을 정확하게 계속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모 이식체(4)에 대해 생긴 과부하와 모 공급장치(42)에 대해 생긴 과부하를 각각 상기 클러치수단(CL1, CL3)으로 정확하게 해방시킬 수 있고, 모 이식체(4)와 모 공급장치(42)의 양 구동계를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모 공급장치(42)의 지지구성은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차바퀴(6,7) 사이에 엔진(5)과 미션케이스(8)를 배치한 기체 앞쪽으로부터 기체 아래쪽을 뒤쪽을 향해 늘려서, 뒤쪽을 뒤가 올라간 상태로 형성한 기체프레임(2b)을 설치하여 상기 기체프레임(2b)의 후단부에 조종핸들(2)을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기체 앞쪽으로부터 기체 위쪽을 뒤쪽을 향해 늘어나는 제 1 지지프레임(63)을 설치하여 상기 제 1 지지프레임(63)의 뒤쪽을 상기 기체프레임(2b)과 연결하고, 상기 지지프레임(63)으로부터 좌우 양바깥쪽으로 늘어나는 제 2 지지프레임(64)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지지프레임(64)의 좌우 양측부에서 루프형상으로 연결한 모 수용체(45)를 기체를 평면에서 보아 좌우로 긴 장원궤적을 그리게 하여 원주회동이동시키는 좌우의 이동작용체(51)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했다. 따라서, 제 1 지지프레임(63)이 조종핸들(2)을 장착하는 기체프레임(2b)과 함께 기체의 중앙부로 모이게 배치됨과 동시에 기체프레임(2b)과 연결되어 기체의 좌우균형이 양호하고, 또한 강경한 프레임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되며,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한 제 1 지지프레임(63)으로부터 좌우 바깥쪽으로 제 2 지지프레임(64)을 늘려서, 그 좌우 양측에서 모 수용체(45)를 원주회동이동시키는 좌우의 이동작용체(51)의 회전축을 지지하기 때문에, 모 공급장치(42)의 지지구조가 간결하고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이 되며, 기체의 컴팩트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지프레임(64)을, 제 1 지지프레임과 연결하는 측의 기부측 프레임부(64a)와, 이동작용체(51)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측의 지지부측 프레임부(64b)로 분할구성하고, 기부측 프레임부(64a)에 대해 지지부측 프레임부(64b)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조절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좌우의 이동작용체(51)의 외주로 감아서 걸려진 루프형상으로 연결된 모 수용체(45)의 긴장상태를 적의조절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조립이나 유지보수(Maintenance)가 용이해진다.
모 공급장치(42)에는 모 수용체(45)를, 그 원주회동이동 궤적에 따른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체(65)를 모 수용체(45)의 원주회동이동 궤적의 안쪽과 바깥쪽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모 수용체(45)에는 원주회동이동 궤적의 안쪽과 바깥쪽에 돌출하는 돌출부(66)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체(65)가 상기 돌출부(66)의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모 수용체(45)를 원주회동이동 궤적의 내외로부터 끼워넣어지도록 배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모 수용체(45)의 원주회동이동이 정확하고 원활히 행해지고, 모 수용체(45)가 좌우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구간(SS)에서 모 이식체(4)의 위쪽을 통과하도록 배치한 구성에 있어서, 원주회동이동중에 모 수용체(45)가 전후로 요동하고, 모 이식체(4)의 위쪽을 통과할 때에 모 수용체(45)가 전후로 어긋나서 모 이식체(4)에 대한 모 공급이 정확하게 행해지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모 수용체(45)에 형성한 돌출부(66)의 위쪽에 상기 가이드체(65)가 위치하기 때문에, 원주회동이동중에 모 수용체(45)의 부상(浮上)도 방지되며, 모 수용체(45)의 원주회동이 정확하게 행해지게 된다. 모 수용체(45)의 원주이동 궤적의 아래쪽에는, 모 수용체(45)의 원주회동이동중에, 또한 모 이식체(45)의 위쪽위치 이외에서, 모 수용체(45)를 아래쪽 회동에 의해 개방동작하는 아래덮개(44)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하여 지지하는 지지체(67)를 원주회동이동 궤적을 따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체(65)와 상기 돌출부(66)의 상기 구성은 모 수용체(45)의 바닥부에 설치한 아래덮개(44)가 원주회동이동중에 열려서 모 수용체(45) 안에 수용된 모가 아래덮개(44)가 열려서 생긴 틈새로부터 빠져 나와 모를 손상시키는 것도 방지하는 것이 된다. 또한, 본예에서는 모 수용체(45)의 각각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연결체(39)에 상기 돌출부(66)를 형성했기 때문에, 구성의 간략화가 도모되고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66)와 상기 가이드체(65)는, 제 1 지지프레임(63)에 부착한 부착부재(68)에 부착되어 지지하고 있다.
모 공급장치(42)의 모 수용체(45)의 원주회동이동 궤적의 안쪽부위는, 위쪽을 커버체(69)로 둘러싸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모 공급장치(42)의 뒤쪽에서 모 수용체(45)에 모를 공급할 때에, 이 커버체(69) 위에 모를 일시적으로 놓고, 게다가 이 커버체(69) 위에 높은 모는 모 수용체(45)에 모 공급하는 작업자로부터 꺼내는 것도 용이하여, 따라서 모 공급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예의 커버체(69)는 모 수용체(45)의 원주회동이동 궤적의 안쪽 거의 전역을 둘러싸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체(69) 위에 놓인 모가 낙하하는 것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커버체(69)의 윗면이 평탄한 면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체(69) 위에 놓인 모가 꺼내기 어려운 개소로 이동하는 것이 생기기 어려워지고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커버체(69)의 윗면을 껄끄러움이 있는 면으로 형성해 놓으면, 모가 미끄러지기 어렵고, 상기의 효과가 한층 현저해진다.
이하, 모 공급장치(42)의 모 수용체(45)의 아래덮개(44)를 모 이식체(4)의 위쪽위치에서 개방하는 아래덮개 개방기구(47)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와 같이, 모 수용체(45)의 원주회동이동 궤적의 아래쪽에는 모 수용체(45)의 원주회동이동중에, 또한 모 이식체(4)의 위쪽위치 이외에서, 모 수용체(45)를 아래쪽회동에 의해 개방동작하는 아래덮개(44)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하여 지지하는 지지체(67)를 원주회동이동 궤적을 따라 설치하고 있다. 이 지지체(67)는 모 이식체(4)의 위쪽위치에서는 아래덮개(44)가 아래쪽회동하여 개방동작 가능하게 되도록 아래덮개(44)의 아래쪽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변위시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아래덮개(44)를 아래쪽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는 부착부(50)를 모 수용체(45)의 원주회동이동방향(D)의 위쪽이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지지체(67)는 좌우의 모 이식체(4)의 각각에 대응하여 모를 공급하는 모 수용체(45)를 설정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본예와 같이 모 이식체(4)를 좌우로 2개 나란히 설치하여 동시에 2조이식이 가능하게 구성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우측의 모 이식체(4)에 낙하공급하는 모 수용체(45)와, 좌측의 모 이식체(4)에 낙하공급하는 모 수용체(45)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우측의 모 이식체(4)에 낙하공급하도록 설정한 모 수용체(45)가 우측의 모 이식체(4)의 위쪽을 통과하는 때에만 그 수용체(45)의 아래덮개(44)가 개방되도록 하고, 또한 좌측의 모 이식체(4)가 낙하공급하도록 설정한 모 수용체(45)가 우측의 모 이식체(4)의 위쪽을 통과하는 때에만 그 모 수용체(45)의 아래덮개(44)가 개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아래덮개(44)에 모 수용체(45)의 원주회동이동 궤적에 대해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4a)를 설치한 것과,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4b)를 가지는 것을 설치하고, 바깥쪽 돌출부(44a)를 설치한 아래덮개(44)와 안쪽 돌출부(44b)를 설치한 아래덮개(44)를 서로 연결하는 모 수용체(45)에 대해 교대로 설치한다. 그리고, 먼저 모 이식체(4)의 위쪽을 통과하게 되는 우측(원주회동이동방향(D)의 위쪽)의 모 이식체(4)에 낙하공급하도록 설정한 모 수용체(45)가 우측의 모 이식체(4)의 위쪽을 통과할 때, 상기 지지체(67)는 상기 돌출부 44a 또는 44b를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나고, 또한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44b 또는 44a를 지지하는 위치로 변위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나중에 모 이식체(4)의 위쪽을 통과하게 되는 좌측(원주회동이동방향(D)의 아래쪽)의 모 이식체(4)에 낙하공급하도록 설정한 모 수용체(45)가 좌측의 모 이식체(4)의 위쪽을 통과할 때, 상기 지지체(67)는 상기 돌출부 44b 또는 44a를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나고, 또한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44a 또는 44b 를 지지하는 위치가 되는 개소로 변위하도록 설치한다. 이에 의해, 우측의 모 이식체(4)에 낙하공급하도록 설정한 모 수용체(45)가 우측의 모 이식체(4)의 위쪽을 통과할 때는, 그 모 수용체(45)의 아래덮개(44)가 개방가능해지고, 또한 좌측의 모 이식체(4)에 낙하공급하도록 설정한 모 수용체(45)가 우측의 모 이식체(4)의 위쪽을 통과할 때는, 그 모 수용체(45)의 아래덮개(44)는 닫힌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좌측의 모 이식체(4)에 낙하공급하도록 설정한 모 수용체(45)가 좌측의 모 이식체(4)의 위쪽을 통과할 때는, 그 모 수용체(45)의 아래덮개(44)가 개방가능해지고, 또한 우측의 모 이식체(4)에 낙하공급하도록 설정한 모 수용체(45)가 좌측의 모 이식체(4)의 위쪽을 통과할 때는, 그 모 수용체(45)의 아래덮개(44)는 닫힌 상태로 지지된다. 따라서, 이 구성을 채용하면, 좌우의 모 이식체(4)의 위쪽위치로 이동한 모 수용체(45)의 아래덮개(44)는 모를 공급해야 할 모 이식체(4)에 대응하여 지지체(67)에 의한 지지상태가 해제되어 개방동작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좌우의 모 이식체(4)에 대해 정확하게 모를 낙하공급할 수 있고, 양호하게 모 이식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예에서는 모 수용체(45)가 모 이식체(4)의 위쪽위치에 이동해도 모 이식체(4)가 모 수용체(4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개소까지 상승할 때까지 아래덮개(44)를 닫은 상태에서 지지하고, 또한 모 이식체(4)가 모 수용체(4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개소까지 상승하면, 상기 아래덮개(44)의 지지상태를 해제하여 아래덮개(44)를 개방동작시키는 가동지지체(70)를 설치하고 있다. 이 가동지지체(70)는 아래덮개(44)를 닫은 상태로 지지하는 아래덮개 지지위치와 아래덮개(44)를 개방가능하게 하는 아래덮개 비지지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모 이식체(4)와 함께 상승이동하는 상승부재(71)와 맞닿음으로써 가동지지체(70)가 아래덮개위치로부터 아래덮개 비지지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승강부재(71, 71)가 맞닿지 않는 때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에 의해 아래덮개 지지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모 이식체(4)가 간헐구동기구(KK)에 의해 간헐적으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 모 수용체(45)가 연속적으로 원주회동이동하는 구성에 있어서도, 모 이식체(4)가 모 수용체(4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개소까지 상승하고 나서 아래덮개(44)가 개방동작함으로써 모 수용체(45)로부터 모 이식체(4)로의 모의 낙하공급이 양호하게 행해진다.
그런데, 본예에서는 모 이식체(4)를 좌우로 2개 나란히 설치하고, 동시에 2조이식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나, 이 구성에서 1조심기를 행하는 때에는, 이식을 행하지 않는 모 이식체(4)에 모를 공급하도록 설정하고 있는 모 수용체(45)의 위쪽 개구부(45b)를 닫는 덮개(도시 생략)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이식을 행하는 좌우 한쪽의 모 이식체(4)에 모를 공급하도록 설정하고 있는 모 수용체(45)에만 모를 공급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2조심기와 1조심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모 이식체(4)의 하부를 그 상부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와 같이 하여 1조심기를 행하는 경우에, 이식을 행하지 않는 모 이식체(4)의 하부를 떼어내면, 이식을 행하지 않는 모 이식체(4)가 포장면에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없어지고, 한층 양호한 1조심기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모 이식기는 모 공급장치(42)에 공급하는 모를 예비적으로 놓아두기 위한 묘대(80)를 기체 상부에서 모 공급장치(42)의 앞쪽위치에 부착하고 있다. 작업자는 이 묘대(80)로부터 모를 모으고 빼서 모 공급장치(42)에 보급해 간다.
본건 발명은, 기체를 자체주행시키는 주행장치와, 상하로 움직이도록 설치하여 상위에서 위쪽으로부터 모를 받아 하위에서 받은 모를 포장으로 방출하는 모 이식체와, 상기 모 이식체에 위쪽으로부터 모를 낙하시켜 공급하는 모 공급장치를 갖추고, 상기 모 공급장치에는 상하로 개구하는 통모양체와 상기 통모양체의 아래쪽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아래덮개를 가지고, 서로 루프형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모 수용체와, 상기 모 수용체를 상기 모 이식체의 위쪽을 통과하는 상태에서 기체를 평면에서 보아 비원형의 루프형상의 궤적으로 원주회동시키는 모 수용체 이동기구와, 상기 모 수용체의 아래덮개를 모 이식체의 위쪽위치에서 개방하는 아래덮개 개방기구를 설치한 모 이식기로 했기 때문에, 모 공급작업을 여유있게 행할 수 있고,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범위 제 1항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모 수용체의 외주에 원통 외주부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 외주부에 바깥쪽으로부터 회동 자재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두개의 모 수용체를 연결하는 연결체를 복수 설치하여, 상기 연결체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모 수용체의 상기 원통 외주부에 회동 자재로 걸어맞추어 상기 원통 외주부를 회동축으로서 옆의 모 수용체가 회동 자재로 연결하는 상태로서, 상기 복수의 모 수용체를 서로 연결한 구성이기 때문에, 모 수용체의 간격의 변동이 생기기 어려운 것이 되고, 따라서, 모 이식체에 대한 모 공급이 적정하게 행해져서 정확한 모의 이식이 가능하고, 또한 모 수용체의 개수와 원주회동하는 범위를 설정한 다음, 모 수용체의 위쪽 개구부를 가능한 한 넓게 형성할 수 있으며, 기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하면서 모 수용체로의 모 공급작업을 가능한 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범위 제 2항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모 수용체의 통모양체에 아래덮개를 개폐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모 수용체의 각각에 상기 연결체를 하나씩 일체적으로 부착하여, 상기 연결체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옆의 모 수용체의 상기 원통 외주부에 회동 자재로 걸어맞추어 모 수용체를 서로 연결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 1항 기재의 발명이 나타내는 상기의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모 수용체의 아래덮개가 모 이식체의 위쪽위치에 있어서 언제나 같은 방향으로 개방동작하는 것이 되어, 아래덮개 개방기구에 의한 아래덮개의 개방이 정확하게 작동하게 되고, 모 이식체에 대한 모 공급이 한층 적정하게 행해져서 정확한 모의 이식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범위 제 3항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모 이식체는 좌우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모 공급장치는 모 수용체가 기체를 평면에서 보아 좌우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구간을 가지는 궤적으로 원주회동하는 구성으로 하며, 또한 모 수용체가 좌우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구간에서 좌우로 병렬하는 복수의 모 이식체의 위쪽을 통과하도록 배치한 구성이기 때문에, 복수의 모 이식체에 대해 모를 공급하는 모 공급장치를 간략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모 수용체에 대해 모를 공급하기 쉽게 하기 위해, 모 수용체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도록 모 수용체 이동기구를 구동해도, 좌우방향으로 복수 병렬하는 모 이식체의 각각에 대해 각각 동일한 낙하궤적으로 모를 모 수용체로부터 낙하공급할 수 있으며, 복수의 모 이식체에 대한 모의 공급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고, 복수조 동시의 모 이식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모 이식기의 측면도.
도 2는, 모 이식기의 평면도.
도 3은, 모 이식기의 전동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모 수용체의 연결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모 공급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모 공급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측면도.
도 7은, 모 공급장치로부터 모 이식체로의 모 공급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모 공급장치로부터 모 이식체로의 모 공급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예와 대조예의 모 수용체 연결상태를 각각 나나태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행장치
4: 모 이식체
42: 모 공급장치
43: 통모양체
43a: 통모양체의 아래쪽 개구부
44: 아래덮개
46: 모 수용체 이동기구
47: 아래덮개기구

Claims (3)

  1. 기체(機體)를 자체주행시키는 주행장치와, 상하로 움직이도록 설치해서 상위에서 위쪽으로부터 모를 받아서 하위에서 받은 모를 논밭으로 방출하는 모 이식체와, 상기 모 이식체에 위쪽으로부터 모를 낙하시켜서 공급하는 모 공급장치를 갖추고, 상기 모 공급장치에는 상하로 개구하는 통모양체와 상기 통모양체의 아래쪽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아래덮개를 가지고, 서로 루프형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모 수용체와, 상기 모 수용체를 상기 모 이식체의 위쪽을 통과하는 상태에서 기체를 평면에서 보아 비원형의 루프형상의 궤적으로 원주회동시키는 모 수용체 이동기구와, 상기 모 수용체의 아래덮개를 모 이식체의 위쪽위치에서 개방하는 아래덮개 개방기구를 설치한 모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모 수용체의 외주에 원통 외주부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 외주부에 바깥쪽으로부터 회동자재(回動自在)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두개의 모 수용체를 연결하는 연결체를 복수 설치하여, 상기 연결체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모 수용체의 상기 원통 외주부에 회동 자재로 걸어맞추어 상기 원통 외주부를 회동축으로 해서 옆의 모 수용체가 회동 자재로 연결하는 상태로서 상기 복수의 모 수용체를 서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 수용체의 통모양체에 아래덮개를 개폐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모 수용체 각각에 상기 연결체를 하나씩 일체적으로 부착하여, 상기 연결체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옆의 모 수용체의 상기 원통 외주부에 회동 자재로 걸어맞추어 모 수용체를 서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 이식체는 좌우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모 공급장치는 모 수용체가 기체를 평면에서 보아 좌우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구간을 가지는 궤적으로 원주회동하는 구성으로 하며, 또한 모 수용체가 좌우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구간에서 좌우 병렬하는 복수의 모 이식체의 위쪽을 통과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이식기.
KR10-2003-0010646A 2002-09-30 2003-02-20 모 이식기 KR100486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84841 2002-09-30
JP2002284841A JP3873860B2 (ja) 2002-09-30 2002-09-30 苗移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472A KR20040028472A (ko) 2004-04-03
KR100486956B1 true KR100486956B1 (ko) 2005-05-03

Family

ID=32278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646A KR100486956B1 (ko) 2002-09-30 2003-02-20 모 이식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873860B2 (ko)
KR (1) KR1004869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782B1 (ko) * 2010-06-15 2011-02-07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 알루미늄 플러스몰딩 및 시공방법
CN114128460A (zh) * 2021-11-04 2022-03-04 湖南省裕登农业科技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水稻种植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472A (ko) 2004-04-03
JP2004113207A (ja) 2004-04-15
JP3873860B2 (ja)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3037B2 (ja) 野菜苗移植機
JP4631314B2 (ja) 苗移植機
JP5315926B2 (ja) 播種兼用苗植付機
KR100486956B1 (ko) 모 이식기
JP4033227B2 (ja) 苗移植機
CN107535148B (zh) 移植机和作业机械
JP4200299B2 (ja) 苗移植機
JP2005021061A (ja) 乗用型苗移植機
JP2004261089A (ja) 乗用型苗植機
JP4032904B2 (ja) 苗移植機
JP4483507B2 (ja) 苗移植機
JP3997352B2 (ja) 苗移植機
JP5831664B2 (ja) 播種機
JP4032905B2 (ja) 苗移植機
JP3945359B2 (ja) 苗移植機
JP5776732B2 (ja) 播種機
JP5790849B2 (ja) 播種機
JP2006204211A (ja) 苗植え機
KR20050078200A (ko) 승용형 모종이식기
JP2006254718A (ja) 野菜移植機
JP3873998B2 (ja) 苗移植機
JP3873997B2 (ja) 苗供給装置
JP4200298B2 (ja) 苗移植機
JP2004113207A5 (ko)
JP2009201378A (ja) 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