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200A - 승용형 모종이식기 - Google Patents

승용형 모종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200A
KR20050078200A KR1020050002074A KR20050002074A KR20050078200A KR 20050078200 A KR20050078200 A KR 20050078200A KR 1020050002074 A KR1020050002074 A KR 1020050002074A KR 20050002074 A KR20050002074 A KR 20050002074A KR 20050078200 A KR20050078200 A KR 20050078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seedlings
worker
transplanter
rece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1029B1 (ko
Inventor
아라키마사카츠
키노시타에이이치로
카츠노시로
무라나미마사미
킷데하지메
오오쿠보요시히코
도이히로타카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8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기체(機體)에 설치한 작업자용 좌석에 앉아서 모종공급장치에 모종을 보급하도록 구성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 작업자용 좌석에 앉는 작업자가 모종공급장치에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모종을 보급할 수 있고, 그리고, 기체의 진행방향 전방 및 후방의 양방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안심하고 승차할 수 있고, 또한, 밭에 이식할 수 있었던 모종의 이식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양호한 이식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을 기체평면으로 보아서 상기 모종공급장치(32)의 좌우옆쪽 부근으로 배치하여 작업자가 상기 모종공급장치(32)의 좌우쪽 부근에서 상기 모종공급장치(32)를 향하는 좌우 옆 자세로 착석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용형 모종이식기{Riding type transplant machine}
본 발명은, 작업자가 승차할 수 있는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 특개평5-284820호 공보와 일본 특원2003-325009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를 전진주행 가능하게 하는 주행차체와, 밭에 모종을 이식하는 모종이식체와, 상기 모종이식체에 모종을 공급하는 모종공급장치와, 상기 모종공급장치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앉는 작업자용 좌석을 구비한 승용형 모종이식기가 있다.
상기 일본 특개평5-284820호 공보에 기재된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작업자용 좌석이 기체(機體) 평면으로 보아서 모종공급장치의 전방부근에 배치되어 있어서, 기체가 전진주행하여 모종이식작업할 때에는, 작업자용 좌석에 앉는 작업자는 기체 진행방향에 대하여 후방을 향하여 모종공급장치로 모종보급작업을 하게 된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모종의 보급작업을 하면서 기체후방의 밭에 이식할 수 있었던 모종의 이식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고, 불적정한 이식상태가 되었을 때의 대응을 신속하게할 수 있으며, 양호한 이식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작업자는 뒤로 향하는 자세로 앉아 있기 때문에 기체의 진행방향 전방에 기(氣)를 나누어 줄 수 없다. 그 때문에, 기체가 밭단에 이르러 주행차체측에 탑승하고 있는 조종자가 기체를 정지시키거나 선회시키거나 하는 것을 작업자용 좌석에 앉는 작업자가 알아차리지 않으면, 작업자는 몸이 크게 흔들려서서 불안정한 승차상태가 되므로, 작업자가 안심하게 승차할 수 없다.
한편, 상기 일본 특원2003-325009호 공보에 기재된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 일본 특개평5-284820호 공보에 기재되는 승용형 모종이식기와는 반대로, 작업자용 좌석이 기체를 평면으로 보았을 때 모종공급장치의 후방부근에 배치되어 있어서, 기체가 전진주행하여 모종이식작업할 때에는, 작업자용 좌석에 앉는 작업자는 기체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방을 향하여 모종공급장치에의 모종보급작업을 하게 된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안심하고 승차할 수 있지만, 모종보급작업을 하면서 기체후방의 밭에 이식할 수 있었던 모종의 이식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알맞지 않은 이식상태가 되었을 때의 대응을 신속하게 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작업자가 기체에 설치한 작업자용 좌석에 앉아서 모종공급장치에 모종을 보급하도록 구성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 작업자용 좌석에 앉은 작업자가 모종공급장치에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모종을 보급할 수 있고, 그리고, 기체의 진행방향 전방 및 후방의 양방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안심하게 승차할 수 있고, 동시에, 밭에 이식한 모종의 이식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양호한 이식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한 것이다.
즉,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기체를 전진주행 가능하게 하는 주행차체(1)와, 밭에 모종을 이식하는 모종이식체(25)와, 상기 모종이식체(25)에 모종을 공급하는 모종공급장치(32)와 상기 모종공급장치(32)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앉는 작업자용 좌석70R, 70L을 구비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을 기체의 평면으로보아서 상기 모종공급장치(32)의 좌우옆쪽 부근으로 배치하고 작업자가 상기 모종공급장치(32)의 좌우옆쪽 부근에서 상기 모종공급장치(32)를 향하는 좌우 옆쪽으로 향하는 자세로 착석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모종이식기로 한 것이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상기 모종이식체(25)는, 선단이 아래쪽으로 향한 자세의 주둥이 형상의 모종이식체로서, 상기 모종이식체(25)가 모종을 윗쪽으로부터 받아 넣어서 하강하고 밭에 돌입했을 때 하부를 열어서 모종을 밭에 방출하며 그 후 상승하도록 동작하여 모종을 밭에 이식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모종공급장치는, 모종을 윗쪽으로부터 받아 넣어서 안쪽으로 모종을 수용하는 복수의 모종수용체(29)를 루프상으로 서로 연결하여 구비하고, 상기 모종수용체(29)가 원주회전 이동하여 상기 모종이식체(25)에 윗쪽으로부터 모종을 낙하공급하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모종공급장치(32)의 모종수용체(29)의 원주회전 궤적을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서 기체 전후방향으로 긴 타원상 궤적으로 설정하며,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은,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의 좌우방향 옆쪽 부근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로 한 것이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상기 모종이식체(25)는 복수체 좌우로 나열하여 설치하고, 상기 모종공급장치(32)는, 좌우 2개소에서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서 기체 전후방향으로 긴 타원상 궤적으로 원주회전 이동하도록 좌우로 두개 나열하여 설치하고, 상기 좌우의 모종공급장치(32)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모종이식체(25)의 각각에 모종을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70L은, 상기 좌우의 모종공급장치(32)의 각각 좌우방향 바깥쪽 부근에 위치하도록 하여 좌우로 2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 기재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로 한 것이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상부에 조종석(15)과 조종핸들(16)을 구비한 상기 주행차체(1)의 뒤쪽에 승강링크장치(2)를 개재하여 승강이동 가능하게 모종이식장치(3)를 장착하고, 상기 모종이식장치(3)에, 상기 모종이식체(25)와, 상기 모종공급장치(32)와, 상기 모종이식체(25) 및 모종공급장치(32)를 구동하는 동력을 전동 하는 전동기구를 내부에 장비한 전동케이스(12)를 설치하고, 상기 모종이식체(25)는 상기 전동케이스(12)로부터 뒤쪽으로 신장하는 상하이동기구(26)을 통해서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장착하며, 상기 모종공급장치(32)는, 기체를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전동케이스(12)의 위쪽 부근개소에 설치한 상하방향의 축과 상기 축보다 앞쪽으로 배치한 상하방향의 축과의 주위를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서 기체 전후방향으로 긴 타원상 궤적으로 원주회전 이동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모종수용체(29)의 원주회전궤적의 뒤측 개소에서 모종수용체(29)로부터 모종을 낙하시켜서 상기 모종이식체(25)에 모종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은, 기체를 평면에서 보아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의 좌우방향의 옆쪽 부근에 위치시켜서 상기 주행차체(1)측에 지지시켜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 기재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로 한 것이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상기 주행차체(1)는 좌우 한 쌍의 조타용 전륜(7), 과 좌우 한 쌍의 후륜(9)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은 그 자리면이 기체를 측면으로 보아 상기 후륜(9)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후륜(9)의 좌우방향 안쪽에서 상기 후륜(9)의 상단위치보다 아래쪽으로 상면이 위치하도록 스텝 90R, 90L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 기재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로 한 것이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상기 주행차체(1)는 좌우 한 쌍의 조타용 전륜(7), 7과 좌우 한 쌍의 후륜(9)을 구비하고, 상기 후륜(9)의 좌우방향 안쪽에서 상기 후륜(9)의 상단위치보다 아래쪽에 윗면이 위치하도록 스텝 90R, 90L을 설치하고, 상기 스텝 90R, 90L위로 작업자가 서도록 스텝 90R, 90L의 윗쪽에 공간을 형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 기재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로 한 것이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은,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이며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가까운 쪽의 개소에 있어서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방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모종수용체(29)를 원주회전 이동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기재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로 한 것이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은, 상기 주행차체(1)는 좌우 한 쌍의 조타용 전륜(7)과 좌우 한 쌍의 후륜(9)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은, 기체를 측면으로 보아서 자리면이 상기 후륜(9)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또한,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서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에 있어서의 앞측 개소의 좌우방향 옆쪽 부근에 위치시켜서 배치하고,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서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에 있어서의 뒤측 개소가 상기 후륜(9)보다 기체 후방측으로 돌출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모종공급장치(3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 기재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로 한 것이다.
청구항 9 기재의 발명은, 상기 주행차체(1)는 좌우 한 쌍의 조타용 전륜(7)과 좌우 한 쌍의 후륜(9)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은, 기체를 측면으로 보아서 자리면이 상기 후륜(9)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또한,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서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의 좌우 방향옆쪽 부근에 위치시켜서 배치하고, 기체를 평면에서보아서 상기 작업자용 좌석70R, 70L과 상기 모종공급장치(32)와의 좌우 사이에 작업자가 전후로 승하차 가능하게 하는 작업자 통과공간을 형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 기재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로 한 것이다.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은, 상기 주행차체(1)는 좌우 한 쌍의 조타용 전륜(7)과 좌우 한 쌍의 후륜(9)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은,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서 상기 후륜(9)의 윗쪽에서 상기 후륜(9)보다 좌우 바깥쪽방향으로 돌출한 작업시 좌석위치와, 상기 작업시 좌석위치보다 기체안쪽으로 수납한 수납시 좌석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 기재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로 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의 하나를 이하의 실시예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1 실시예인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조종자가 탑승하는 승용형의 주행차체(1)의 뒤측에 승강링크장치(2)를 개재하여 승강이동 가능하게 모종이식장치(3)를 장착한 구성의 것이다.
주행차체(1)는, 기체 프레임(4)위에 설치한 엔진과, 기체프레임(4) 앞단에 고착한 밋션케이스(5)와, 상기 밋션케이스(5)의 좌우 양측에 상기 밋션케이스(5)에 고착된 전륜 전동프레임(6)을 통하여 설치한 조타용 전륜(7)과, 기체 프레임(4)의 후단에 장착한 후륜 프레임(8a)의 좌우 양측에 후륜 전동케이스(8)를 개재하여 설치한 후륜(9)을 구비하고 있다.
엔진의 동력은, 주행차륜 7, 9와 모종이식장치(3)와 유압펌프에 전동한다. 우선, 엔진의 출력축의 회전이, 벨트전동장치 등의 전동수단을 통하여 유압펌프의 구동 축으로 전동하고, 계속하여 밋션케이스(5)의 입력축에 전동하고, 밋션케이스(5) 내의 전동기구를 경유하여 좌우의 전륜(7)과 좌우의 후륜(9)에 전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밋션케이스(5)로부터 취출한 동력을, 제1 전동축(10)을 통하여 차체후부측으로 전동하고, 더욱이, 유니버설조인트를 통하여 제2 전동축(11)에 전동 하고, 상기 제2 전동축(11)의 후단부를 모종이식장치(3)의 전동케이스(12)의 입력축(13)과 유니버설조인트를 통하여 연결하고, 모종이식장치(3)에 전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주행차체(1)의 위쪽에는, 조종자가 탑승했을 때의 플로어가 되는 면을 윗면측에 가지는 차체커버(14)를 장착하고, 또한, 엔진의 위쪽을 덮는 커버부 위로 조종석(15)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조종석(15)의 전방에는, 전륜(7)을 상하방향의 축주위에 회전운동조작하는 조종핸들(16)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조종핸들(16)의 주변에는, 기체조종을 위한 각종 조작구가 배치되어 있다.
승강링크장치(2)는, 상링크(17)와 하링크(18)의 각 전단부를, 기체 프레임(4)의 후단부에 고착한 윗쪽으로 연장되는 링크 지지프레임(19)에 상하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각 후단부를 연결링크(20)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한 구성이며, 연결링크(20)의 하부에, 모종이식장치(3)의 전동케이스(12)의 앞 부분에 전방으로 돌출하여 고착한 연결축(21)을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고, 승강링크장치(2)에 모종이식장치(3)를 롤링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하링크(18)의 주행차체(1)측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아암(22)을 고착하고 있어서, 상기 아암(22)의 하단부에, 기체 프레임(4)에 좌우 축심주위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실린더부를 설치한 승강용 유압실린더(23)의 피스톤 선단부를 스프링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승강용 유압실린더(23)가 신축 작동하면, 승강링크장치(2)가 승강이동하고, 모종이식장치(3)가 승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모종이식장치(3)의 승강은,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모종이식장치(3)를 승강시키는 인위 승강조작기구와, 모종이식장치(3)를 밭면에 대하여 설정높이를 유지하도록 승강시키는 자동승강 제어기구에 의하여 동작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인위 승강조작기구는, 조종핸들(16) 혹은 조종석(15) 부근에 배치한 조작구를 조작 함으로써 승강용 유압실린더(23)를 신축 작동시켜, 하강상태에 있는 모종이식장치(3)를 설정높이까지 상승시키거나, 상승상태에 있는 모종이식장치(3)를 상기 모종이식장치(3)가 구비하는 접지부재가 접지하는 상태까지 하강시키거나 할 수가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자동승강 제어기구는, 모종이식장치(3)의 하부에 설치한 접지체(24)가, 모종이식장치(3)의 밭면에 대한 높이를 검출하는 접지센서로서 기능하고, 이 접지체(24)의 모종이식장치(3)에 대한 상하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모종이식장치(3)가 밭면에 대하여 설정높이가 되도록 승강용 유압실린더(23)를 신축 작동시켜서 모종이식장치(3)를 승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모종이식장치(3)에 의한 모종이식 깊이를 설정깊이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모종이식장치(3)는, 선단이 아래쪽을 향하는 주둥이 상의 모종이식체(25)와, 상기 모종이식체(25)의 하단부가 밭면보다 윗쪽이 되는 위치와 밭면보다 아래쪽이 되는 위치에 모종이식체(25)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기구(26)와, 주둥이 상의 모종이식체(25)의 하단부가 닫혀서 윗쪽으로부터 모종을 받아넣어서 안쪽에 모종을 수용 가능하게 하는 닫힘상태와 모종이식체(25)의 하단부가 전후로 열려서 안쪽에 수용한 모종을 아래쪽으로 방출 가능하게 하는 열림상태로 모종이식체(25)를 개폐하는 개폐기구(27)를 구비한 모종이식장치(28)와, 모종을 윗쪽으로부터 받아 넣어서 안쪽에 모종을 수용하는 복수의 모종수용체(29)와, 상기 모종수용체(29)를 모종이식체(25)의 윗쪽을 통과하도록 원주회전 이동시키는 이동기구(30)와, 모종이식체(25)의 윗쪽위치에서 모종수용체(29)의 바닥부를 개방하여 안쪽에 수용한 모종을 낙하시켜서 모종이식체(25)에 모종을 공급하는 개방기구(31)를 구비한 모종공급장치(32)를 구비한다.
모종이식장치(28)는, 모종이식체(25)를 좌우로 설정간격으로 복수체 나열하여 배치한 복수조 심기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예에서는, 모종이식체(25)를 좌우로 설정간격으로 4체(四體) 나열하여 배치한 4줄기 심기의 구성으로 하고 있다.
4체의 모종이식체(25)는, 전동케이스(12)의 좌우 양측부에 설치한 상하이동기구(26)에 2체식 장착하고 있다. 선단이 아래쪽으로 향한 주둥이 상의 모종이식체(25)의 앞쪽 모종이식체 25F의 상부에서 뒤쪽으로 신장하는 좌우의 아암부 25Fa의 후단부를 뒤쪽의 모종이식체 지지축(34)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뒤쪽 모종이식체 25R 상부에서 앞쪽으로 신장하는 좌우의 아암부 25Ra의 앞단부를 앞쪽의 모종이식체 지지축(33)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앞쪽 모종이식체 25F의 아암부 25Fa와 뒤쪽 모종이식체 25R의 아암부 25Ra의 각각 전후 중간부에서는, 한 방향측의 아암부에 설치한 가로방향의 핀 25a를 다른 방면측의 아암부에 설치한 좌우방향의 장공(25b)에 결합되어 있다. 전후의 모종이식체 지지축 33, 34의 좌우 양단부는, 연결부재(35)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의 모종이식체 지지축 33, 34의 좌우 중간부는 각각 모종 가이드 연결부재(36)를 개재하여 모종 가이드(37)에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좌우의 모종 가이드(37)를 그 좌우 사이에 설치한 가로방향의 연결축(38)으로 서로 연결하고, 그 연결축(38)의 좌우 중간부에 연결부재(39)를 설치하고, 그 연결부재(39)에 상하이동기구(26)의 승강링크 40a, 40b의 선단부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뒤쪽 모종이식체 25R의 아암부 25Ra가 앞쪽의 모종이식체 지지축(33) 주위에 윗쪽으로 회전운동하면, 상기 핀(25a)에 의한 연결에 의하여 앞쪽 모종이식체 25F의 아암부 25Fa도 연동하여 윗쪽으로 회전운동하며, 따라서, 앞쪽 모종이식체 25F는, 뒤쪽의 모종이식체 지지축(34) 주위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고, 뒤쪽 모종이식체 25R은, 앞쪽의 모종이식체 지지축(3) 주위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모종이식체(25)의 하부측이 전후로 열려서 아래쪽으로 개방상태가 된다. 또한, 반대 동작에 의하여, 전후로 열린 모종이식체(25)의 하부측은 닫힌다.
모종이식체(25)의 상하이동기구(26)는, 전동케이스(12)의 좌우 양측부에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승강링크장치(2)의 후단부의 연결축(21)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된 이식부 프레임(12a) 상부에 고착한 전동케이스(12)의 좌우옆쪽으로 돌출시킨 축에 앞 부분을 상하 회전운동 자유롭게 장착하여 후부를 모종이식체(25)에 연결한 위쪽과 아래쪽의 승강링크 40a, 40b와, 전동케이스(12)의 측부로부터 돌출시킨 구동회전하는 구동축(41)과, 상기 구동축(41)의 선단부에 일단측을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한 구동아암(42)과, 상기 구동아암(42)의 회전 외주측 단부와 상기 위쪽의 승강링크 40a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동아암(42a)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위쪽과 아래쪽의 승강링크 40a, 40b의 각 후단부를 상기 모종이식체 지지축 33, 34의 좌우 중간부 부근에 설치한 연결부재(39)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위쪽과 아래쪽의 승강링크 40a, 40b와 전동케이스(12)와 연결부재(39)로 링크기구를 형성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구동축(41)의 회전에 의해 구동아암(42)이 구동회전하면, 상기 승강링크 40a, 40b가 전동케이스(12)의 좌우측부에 설치된 2개의 축을 회전운동중심으로 상하이동하고, 좌우의 모종이식체(25)가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하이동한다. 이 상하이동의 상승위치에서는 모종이식체(25)의 하단부가 밭면보다 윗쪽에 위치하고, 하강위치에서는 모종이식체(25)의 하단부가 밭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모종이식체(25)의 개폐기구(27)는, 뒤쪽 모종이식체(25R)의 상부에서 뒤쪽으로 신장하는 개폐용 아암부(25Rb)의 선단부를 각 모종이식체(25)에 설치하고, 한편, 위쪽의 승강링크 40a의 베이스부를 장착하고 있는 축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작동아암(44)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아암(44)의 선단부를 길이 조절가능한 연결로드(45)로 연결하고, 그리고, 작동아암(44)이, 구동축(41)의 구동회전 중에, 상기 구동축(41)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한 캠(46)의 작용을 받아, 설정한 타이밍으로 모종이식체(25)에 대하여 상승 동작하도록 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축(41)이 구동회전하여 모종이식체(25)가 상하동하면, 작동아암(44)도 모종이식체(25)와 함께 상하 회전운동하고, 그리고, 모종이식체(25)의 하강 하단위치에 도달하면, 캠(46)의 작용위치의 변화에 의해 작동아암(44)이 모종이식체(25)에 대하여 상승 동작하고, 이것에 의해, 뒤쪽 모종이식체 25R이 앞쪽의 모종이식체 지지축 33 주위에 회전운동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고, 또한, 여기에 연동하여 앞쪽 모종이식체 25F가 뒤쪽의 모종이식체 지지축 34 주위에 회전운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고, 모종이식체(25)의 하부측이 전후로 열려서 아래쪽으로 개방상태가 된다. 그리고, 모종이식체(25)가 상승하여 캠(46)의 작용위치의 변화에 의하여 작동아암(44)이 모종이식체(25)에 대하여 원래의 위치에 하강동작하고, 전후로 열린 모종이식체(25)의 하부측이 닫힌다.
모종공급장치(32)는, 상하로 개구하는 통모양체(47)와 상기 통모양체(47)의 아래쪽의 개구부(47a)를 개폐하는 바닥뚜껑(48)을 가지고 서로 루프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모종수용체(29)와, 상기 모종수용체(29)를 상기 모종이식체(25)의 윗쪽부근을 통과하는 상태에서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서 전후로 긴 타원형상의 루프상 궤적으로 원주회전운동시키는 이동기구(30)와, 상기 모종수용체(29)의 바닥뚜껑(48)을 모종이식체(25)의 윗쪽위치에서 개방하는 개방기구(31)를 설치한 구성이다.
모종공급장치(32)는, 상기 모종수용체(29)의 외주에 원통외주부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외주부에 바깥쪽으로부터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하는 결합부(둥근 홀)를 가지고 두개의 모종수용체(29)를 연결하는 연결체(49)를 복수설치하여, 상기 연결체(49의 결합부를 모종수용체(29)의 원통외주부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결합하고 상기 원통외주부를 회전운동 축으로서 이웃의 모종수용체(29)가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하는 상태로서 복수의 모종수용체(29)를 서로 연결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모종수용체(29)와 연결체(49)로 무단 체인과 같이 연결한 구성이다. 이것에 의해, 상기 모종이식기는, 모종수용체(29)는,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부분에서도 원호상으로 이동하는 부분에서도 인접하는 모종수용체(29)와의 간격이 변하지 않으므로, 모종수용체(29)로부터 모종이식체(25)에 모종을 공급하는 개소에서 모종수용체(29)가 모종이식체(25)에 대하여 위치 엇갈림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모종공급이 적정하게 행하여져서 적확한 모종의 이식을 할 수 있다. 모종수용체(45)의 개수와 주회전운동 하는 범위를 설정한 후에, 모종수용체의 위쪽 개구부(43b)를 가능한 한 널리 형성할 수 있고, 기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하면서 모종수용체(45)에의 모종공급작업을 가능한 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모종공급장치(32)의 이동기구(30)는, 오른쪽 및 왼쪽의 모종공급장치 32R, 32L 모두, 각각 무단 체인과 같이 서로 연결하는 모종수용체(29)를 좌우로 설치한 스프로킷(50) 외주의 원호상 노치부에 결합시켜서 감아 걸고, 상기 좌우의 스프로킷(50)을 전동케이스(12) 내로부터 취출한 동력으로 구동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오른쪽 및 왼쪽의 모종공급장치 32R, 32L의 각 모종수용체(29)를 원주회전운동 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스프로킷(50)을 구동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회전운동축(51)은, 전동케이스(12)의 상부에서 지지한 지지프레임(52)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전동케이스(12)의 상부로부터 윗쪽으로 돌출시킨 좌우의 회전축 53a, 53b으로부터 스프로킷과 체인을 개재하여 각 회전운동축(51)에 전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전동케이스(12) 내의 전동기구는, 입력축(13)에 설치한 제1 스프로킷(54)으로부터 기체중앙측에 설치한 제2 스프로킷(55)에 체인 56을 개재하여 전동하고, 제2 스프로킷(55)의 회전축(56)에 설치한 제1 베벨기어(57)로부터 그것에 물리는 제2 베벨기어(58)에 전동하고, 제2 베벨기어(58)의 회전축에 설치한 제3 스프로킷(59)으로부터 상기 구동축(41)에 설치한 제4 스프로킷(60)에 체인(61)을 통하여 전동해서 구동축(4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기구(26) 및 개폐기구(27)가 구동된다. 또한, 제2 베벨기어(58)에는 그 상부측에서 제3 베벨기어(62)가 맞물려 상기 제3 베벨기어(62)에 의해 전동케이스(12)의 상부로부터 윗쪽으로 돌출시킨 회전축(53a)의 한 쪽을 구동 회전한다. 다른 쪽의 회전축(53b)은, 상기 회전축(53b)에 설치한 기어(63)이 한 쪽의 회전축(53a)에 설치한 기어(63)와 맞물려서 역회전으로 회전전동 된다. 이 좌우의 회전축 53a, 53b로부터 좌우 중앙측 주변의 좌우의 회전운동축(51)에, 각각 스프로킷 65a; 65b와 체인 63c를 통해서 전동하고, 더욱이, 여기에서 좌우 바깥쪽주위의 좌우의 회전운동축(51)에, 각각 스프로킷 66a, 66b와 체인 66c를 개재하여 전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모종공급장치(32)의 개방기구(31)는, 모종수용체(29)의 원주회전궤적 아래쪽에서 바닥뚜껑(48)이 아래쪽으로 회전운동하지 않도록 바닥뚜껑(48)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체(67)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67)를 모종이식체(25)의 윗쪽위치에는 설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모종이식체(25)의 윗쪽위치를 모종수용체(29)가 통과할 때, 바닥뚜껑(48)이 지지체(67)에 의한 지지상태가 풀어져서 아래쪽 회전운동 하고 모종수용체(29)를 모종을 아래쪽으로 낙하가능하게 개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모종수용체(29)의 바닥뚜껑(48)이 열리는 타이밍은, 모종이식체(25)가 모종수용체(29)의 바로 아래까지 상승한 때가 되도록 조정해 둔다. 또한, 상기 구성에 대신하여, 모종이식체가 모종수용체의 바로 아래까지 상승했을 때에, 모종이식체에 설치한 개방 작동부재가, 모종이식체의 윗쪽에 위치하는 모종수용체의 바닥뚜껑이 열리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규제해제 동작시키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본 예의 모종공급장치(32)는, 기체(機體) 오른쪽의 두개의 모종이식체(25)에 대하여 모종을 공급하는 오른쪽 모종공급장치 32R과, 기체 좌측의 두개의 모종이식체(25)에 대하여 모종을 공급하는 좌측 모종공급장치 32L은, 모두, 두개의 모종이식체(25)에 대하여 모종수용체(29)가 일회전으로 원주회전이동하고 모종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두개의 모종이식체(25)에 대하여 모종수용체(29)가 일회전으로 원주회전이동하고 모종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는, 한 방향측의 모종이식체(25)에 낙하공급하는 모종수용체(29)와 다른 방면측의 모종이식체(29)에 낙하공급하는 모종수용체(29)가 교대가 되도록 연결하고, 또한, 한 쪽의 모종이식체(25)에 낙하공급하는 모종수용체(29)가 한 쪽의 모종이식체(25)의 윗쪽을 통과할 때, 다른 쪽의 모종이식체(25)에 낙하공급하는 모종수용체(29)가 다른 쪽의 모종이식체(25)의 윗쪽을 통과하도록 설정하고, 또한, 적어도, 모종수용체(29)의 원주회전 이동방향 아래쪽의 모종이식체(25)에 낙하공급하는 모종수용체(29)가, 모종수용체(29)의 원주회전 이동방향 위쪽의 모종이식체(25)의 윗쪽을 통과할 때는, 그 모종수용체(29)에 대해서는 개방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개방규제수단을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한 후에, 다시, 모종이식체(25)의 상하이동이 1주기 동작하는 사이에 모종수용체(29)가 2개분 원주회전 이동하도록 구성하면, 모종수용체(29)가 두개의 모종이식체 25, 254의 윗쪽을 직렬적으로 통과하면서 두개의 모종이식체(25)에 대하여 모종공급 누설이 생기는 일이 없이 동시에 모종을 공급할 수 있고, 또한, 두개의 모종이식체(25)의 윗쪽을 통과한 후에 모종이 공급되지 않은 모종수용체(29)가 생기지 않도록 남기는 일이 없이 두개의 모종이식체(25)에 대하여 모종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 되고, 모종공급작업이 여유를 가지고 행할 수 있으며, 또한, 두개의 모종이식체(25)에 대하여 확실하게 모종을 공급할 수 있다. 또, 상기 개방규제수단은, 예컨대, 모종수용체의 원주회전 이동방향 아래쪽의 모종이식체에 낙하공급하는 모종수용체의 뚜껑에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돌기가, 모종수용체의 원주회전 이동방향 위쪽의 모종이식체의 윗쪽을 통과할 때에,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예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이하 (1)∼ (10)에 기재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고 있다.
(1) 본 예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기체를 전진주행 가능하게 하는 주행차체(1)과, 밭에 모종을 이식하는 모종이식체(25)와, 상기 모종이식체(25)에 모종을 공급하는 모종공급장치(32)와, 상기 모종공급장치(32)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앉는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을 구비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을 기체를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모종공급장치(32)의 좌우쪽 부근에 배치하고 작업자가 상기 모종공급장치(32)의 좌우쪽 부근에서 상기 모종공급장치(32)를 향하는 좌우 옆 자세에서 착석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주행차체(1)가 기체를 전진주행시켜서, 모종이식체(25)가 모종공급장치(32)로부터 공급된 모종을 밭에 이식한다. 작업자는, 승차하고, 모종공급장치(32)의 좌우쪽 부근에서 모종공급장치(32)를 향하는 좌우 옆 자세로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착석하고, 모종공급장치(32)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모종공급장치(32)의 좌우쪽 부근에서 모종공급장치(32)를 향하는 좌우 옆 자세로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착석하고, 모종공급장치(32)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고, 따라서, 작업자가 모종공급장치(32)에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모종을 보급할 수 있고, 그리고, 기체의 진행방향 전방 및 후방의 양방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작업자가 안심하고 승차할 수 있으며, 또한, 밭에 이식할 수 있었던 모종의 이식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불적정한 이식상태가 되었을 때의 대응을 신속하게 할 수 있어서 양호한 이식작업을 행할 수 있다.
2) 본 예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1)의 구성으로 한 후에, 또다시, 상기 모종이식체(25)는, 선단이 아래쪽으로 향한 자세의 주둥이 모양의 모종이식체로서, 상기 모종이식체(25)가 모종을 윗쪽으로부터 받아 넣어서 하강하여 밭에 돌입했을 때 하부를 열어서 모종을 밭에 방출하 그 후 상승하도록 동작해서 모종을 밭에 이식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모종공급장치(32)는, 모종을 윗쪽으로부터 받아 넣어서 안쪽으로 모종을 수용하는 복수의 모종수용체(29)를 루프상으로 서로 연결해서 구비하고, 상기 모종수용체(29)가 원주회전 이동하고 상기 모종이식체(25)에 윗쪽에서 모종을 낙하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모종공급장치(32)의 모종수용체(29)의 원주회전 궤적을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기체전후 방향으로 긴 타원상 궤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은,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형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의 좌우 방향쪽 부근에 배치한 것이다.
상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1)의 구성으로 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의 상기 작용을 하는 동시에, 이하의 작용을 한다. 즉, 모종이식체(25)는, 선단이 아래쪽으로 향한 자세의 주둥이 형상으로, 모종을 윗쪽으로부터 받아 넣어서 하강하고 밭에 돌입한 때에 하부를 열어서 모종을 밭에 취출하고 그 후 상승하도록 동작하여 모종을 밭에 이식한다. 또한, 모종공급장치(32)는 모종을 윗쪽으로부터 받아 넣어서 안쪽으로 모종을 수용하는 복수의 모종수용체(29)가,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기체 전후방향으로 긴 타원상 궤적으로 원주회전 이동하고, 모종이식체(25)에 윗쪽으로부터 모종을 낙하공급한다. 작업자는,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서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의 좌우방향쪽 부근에 배치된 작업자용 좌석 70R,70L에 착석하여 비게 된 된 모종수용체(29)에 모종을 보급한다.
상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1)의 구성으로 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의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을 모종공급장치(32)의 좌우쪽에 배치하면서도, 모종공급장치(32)를 좌우로 폭 좁게 형성할 수 있어서 기체를 컴팩트에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는,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의 좌우 방향쪽 부근에 배치된 작업자용 좌석70R, 70L에 착석하여 비게 된 모종수용체(29)에 모종을 보급하게 되므로, 많은 모종수용체(29)에 모종을 용이하게 보급할 수 있고, 한층더,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모종을 보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3) 본 예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2)의 구성으로 한 후에, 다시, 상기 모종이식체(25)는 복수체 좌우로 열거하여 설치, 상기 모종공급장치(32)는, 좌우 2개소에서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기체 전후방향으로 긴 타원상 궤적으로 원주회전 이동하도록 좌우로 2개 나열하여 설치하고, 상기 좌우의 모종공급장치(32)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모종이식체(25)의 각각에 모종을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은, 상기 좌우의 모종공급장치(32)의 각각 좌우방향 바깥쪽 부근에 위치하도록 하여 좌우로 2개 설치한 것이다.
상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2)의 구성으로 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의 상기작용을 하는 동시에, 이하의 작용을 한다. 즉, 좌우의 모종공급장치(32)에 의해 좌우로 복수개 설치한 모종이식체(25)의 각각에 모종이 공급되어서 상기 복수의 모종이식체(25)에서 복수줄기 심기를 행할 수 있다. 작업자는, 좌우의 모종공급장치(32)의 각각 좌우방향 바깥쪽 부근에 설치한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앉아서 좌우의 모종공급장치(32)에 모종을 보급한다.
상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2)의 구성으로 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의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좌우의 모종공급장치(32)에 의하여 좌우로 복수 설치한 모종이식체(25)의 각각에 모종이 공급되어서 상기 복수의 모종이식체(25)로 복수개의 줄기심기를 행할 수 있고, 더욱이, 좌우의 모종공급장치(32)의 각각 좌우방향 바깥쪽 부근에 설치한 작업자용 좌석70R, 70L에 작업자가 앉아서, 좌우의 모종공급장치(32)에 모종을 보급할 수 있으므로, 능률좋게 모종 이식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가 모종공급장치의 좌우방향쪽에 설치한 작업자용 좌석에 앉는 구성으로 하면서도, 좌우 양쪽에 작업자가 앉도록 작업자용 좌석을 좌우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작업자의 체중에 의한 기체의 좌우 중량밸런스의 악화도 작게할 수 있다.
(4) 본 예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2)의 구성으로 한 후에, 더욱, 상부에 조종석(15)과 조종핸들(16)을 구비한 상기 주행차체(1)의 뒤쪽에 승강링크장치(2)을 개재하여 승강이동 가능하게 모종이식장치(3)를 장착하고, 상기 모종이식장치(3)에, 상기 모종이식체(25)와, 상기 모종공급장치(32)와, 상기 모종이식체(25) 및 모종공급장치(32)를 구동하는 동력을 전동하는 전동기구를 내부에 장비한 전동케이스(12)를 설치하고, 상기 모종이식체(25)는 상기 전동케이스(12)로부터 뒤쪽으로 신장하는 상하이동기구(26)를 통하여 승강이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모종공급장치(32)는, 기체를 측면으로 보아 상기 전동케이스(12)의 위쪽 부근개소에 설치한 상하방향의 축과 상기 축에서 앞쪽으로 배치한 상하방향의 축주위를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기체 전후방향으로 긴 타원상 궤적으로 원주회전 이동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모종수용체(29)의 원주회전 궤적의 뒤쪽 개소에서 모종수용체(29)로부터 모종을 낙하시켜서 상기 모종이식체(25)에 모종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작업자용 좌석70R, 70L은,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의 좌우방향쪽 부근에 위치시켜서 상기 주행차체(1)측에 지지시켜서 배치한 것이다.
상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2)의 구성으로 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의 상기 작용을 하는 동시에, 이하의 작용을 한다. 우선, 주행차체(1)는, 승차한 조종자가 조종석(15)에 앉아 조종핸들(16)을 조작하여 조종된다. 그리고, 그 주행차체(1)의 뒤쪽에, 모종이식체(25)와 모종공급장치(32)와 전동케이스(12)를 설치한 모종이식장치(3)가 승강링크장치(2)를 개재하여 장착되고, 그 승강링크장치(2)에 의하여 모종이식장치(3)가 승강한다. 또한, 모종이식체(25)는, 전동케이스(12)로부터 뒤측에 신장하는 상하이동기구(26)을 통해서 장착되어서 승강운동을 한다.모종공급장치(32) 및 모종수용체(29)는, 기체를 측면에서 보아 전동케이스(12)의 위쪽 부근개소에 설치된 상하방향의 축과 상기 축에서 앞쪽으로 배치한 상하방향의 축의 주위를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기체 전후방향으로 긴 타원상 궤적으로 원주회전 이동한다. 그리고, 모종수용체(29)의 원주회전 궤적의 뒤쪽 개소에서 모종수용체(29)로부터 모종을 낙하시켜서 모종이식체(25)에 모종을 공급한다. 작업자용 좌석70R, 70L은, 주행차체(1)측에 지지되고,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의 좌우방향쪽 부근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작업자가 앉아서 모종공급장치(32)의 모종수용체(29)에 모종을 보급한다.
상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 (2)의 구성으로 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의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모종공급장치(32)가 기체후방으로 크게 돌출하는 일이 없이 기체를 더욱 콤팩트에 구성할 수 있고, 더욱이, 모종공급장치(32)가 전동케이스(12)의 위쪽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되고, 그 전방으로 돌출한 모종공급장치(32)의 아래쪽으로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앉는 작업자의 승차공간이 넓어지고, 콤팩트한 기체구성으로 하면서도 작업자의 승차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양호하게 되며, 한층더,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모종을 보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모종공급장치(32)는, 주행차체(1)로부터 전후로 크게 떨어져서 배치되는 것은 아니고 주행차체(1)측에 배치할 수 있고, 더욱이, 주행차체(1)측으로 지지하고 있으므로, 기체의 전후 중량밸런스가 양호해진다.
또한, 모종공급장치(32)가 주행차체(1)의 후부 윗쪽으로 겹치도록 전동케이스(12)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한 구성으로 하면, 기체의 전후길이를 짧게 구성할 수 있어서 기체를 한층더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5) 본 예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4)의 구성으로 한 후에, 더욱, 상기 주행차체(1)은 좌우 한 쌍의 조타용 전륜(7)과 좌우 한 쌍의 후륜(9)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은 그 자리면이 기체를 측면으로 보아 상기 후륜(9), 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후륜(9)의 좌우 방향 안쪽에서 상기 후륜(9)의 상단위치보다 아래쪽으로 윗면이 위치하도록 스텝 90R, 90L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4 기재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로 한 것이다.
상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4)의 구성으로 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의 상기 작용을 하는 동시에, 이하의 작용을 한다. 즉, 작업자는, 후륜(9)의 좌우방향안쪽에서 후륜(9)의 상단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윗면이 위치하도록 설치한 스텝90R, 90L에 발을 얹은 상태에서, 자리면이 기체를 측면에서보아 주행차체(1)의 후륜(9)의 윗쪽에 위치하는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앉아서 모종공급장치(32)에의 모종보급작업을 한다.
상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4)의 구성으로 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의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작업자는, 후륜(9)의 좌우 방향안쪽에서 후륜(9)의 상단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상면이 위치하도록 설치한 스텝90R, 90L에 발을 얻은 상태에서, 자리면이 기체를 측면에서 보아 주행차체(1)의 후륜(9)의 윗쪽에 위치하는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앉아서 모종공급장치(32)에의 모종보급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체중에 의한 기체의 전후 중량밸런스의 악화를 적게 하고, 동시에, 편한자세로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앉아서 모종공급장치(32)에의 모종보급작업을 행할 수 있고, 모종보급작업을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텝 90R, 90L의 기체 안쪽부분이 주행차체(1)의 위쪽을 덮는 차체커버(14)의 아래쪽으로 들어간 상태가 되도록 스텝 90R, 90L을 설치함으로써 스텝90R, 90L의 스텝면을 확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콤팩트한 기체구성으로 하면서도 작업자의 승차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양호하게 되고, 일층 용이하게 능률좋게 모종을 보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6) 본 예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4)의 구성이라고 한 후에, 더욱, 상기 주행차체(1)은 좌우 한 쌍의 조타용 전륜(7)과 좌우 한 쌍의 후륜(9)을 구비하고, 상기 후륜(9) 좌우 방향안쪽에서 상기 후륜(9)의 상단위치보다 아래쪽으로 상면이 위치하는 것 같이 스텝90R, 90L을 설치하고, 상기 스텝90R, 90L위로 작업자가 세우는 것 같이 스텝90R, 90L의 윗쪽에 공간을 형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4기재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로 한 것이다.
상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4)의 구성으로 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의 상기 작용을 하는 동시에, 이하의 작용을 한다. 즉, 작업자는, 후륜(9)의 좌우방향 안쪽에서 후륜(9)의 상단위치보다 아래쪽으로 상면이 위치하도록 설치한 스텝 90R, 90L에 서서 모종공급장치(32)에의 모종보급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4)의 구성으로 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작업자는, 작업자는, 후륜(9)의 좌우방향 안쪽에서 후륜(9)의 상단위치에서 아래쪽으로 상면이 위치하도록 설치한 스텝 90R, 90L에 서서 모종공급장치(32)에의 모종보급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모종공급장치(32)에의 모종보급작업을 할 때의 자세의 자유도가 확대하고, 더욱이, 기체의 낮은 위치에 서므로, 기체가 좌우로 경사하도록 하는 움직임이 있어도 안정되게 서있을 수 있으므로, 모종보급작업이 한층더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스텝 90R, 90L을, 좌우의 후륜(9)을 장착하고 있는 좌우의 후륜 전동케이스(8)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후륜프레임(8a)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스텝90R, 90L을 낮은 위치에 설치하는 동시에, 그 설치구성도 간이한 것이 된다.
(7) 본 예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 (4)의 구성으로 한 후에, 더욱,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이며 상기 작업자용 좌석70R, 70L에 가깝은 측의 개소에 있어서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방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모종수용체(29)를 원주회전이동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4)의 구성으로 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의 상기 작용을 하는 동시에, 이하의 작용을 한다. 즉,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작업자가 앉아서 모종보급작업을 할 때, 바로 앞쪽의 기체 전방쪽으로 이동하는 모종수용체(29)에 대하여 모종의 보급을 행하여 간다. 모종이 보급된 모종수용체(29)는 앞쪽에 배치한 축 주위를 돌아서 기체전방측으로 이동하고, 그리고, 모종수용체(29)의 원주회전 궤적의 뒤쪽 개소에서 모종수용체(29)로부터 모종이 낙하하여 모종이식체(25)에 모종이 공급된다.
상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4)의 구성으로 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의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작업자용 좌석70R, 70L에 작업자가 앉아서 모종보급작업을 할 때, 바로 앞쪽의 기체전방측으로 이동하는 모종수용체(29)에 대하여 모종의 보급을 행하고, 그리고, 모종수용체(29)의 원주회전 궤적의 뒤쪽 개소에서 모종수용체(29)로부터 모종이식체(25)에 모종이 낙하 공급되므로, 모종수용체(29)에의 모종보급 작업중에, 보급해야 할 모종을 새로운 예비모종재치부 등으로부터 가지고 들어 가는 등의 작업이 들어가서 모종보급 작업이 일시적으로 중단해버리는 상태가 되어도, 빈 모종수용체(29)가 모종이식체(25)에 모종을 낙하공급하는 개소까지 바로 이동하는 일은 없이 모종보급 지연에 의한 이식모종의 빠진 포기가 발생하는 일이 생기기 어렵고, 따라서, 모종보급작업에 여유가 생겨서 작업자의 작업성이 양호한 것으로 된다.
(8) 본 예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 (4)의 구성으로 한 후에, 다시, 상기 주행차체(1)는 좌우 한 쌍의 조타용 전륜(7)과 좌우 한 쌍의 후륜(9)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은, 기체를 측면으로 보아 자리면이 상기 후륜(9)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또한,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에 있어서의 앞쪽 개소의 좌우방향쪽 부근에 위치시켜서 배치하고,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에 있어서의 뒤쪽 개소가 상기 후륜(9) 보다 기체 후방측으로 돌출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모종공급장치(32)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 (4)의 구성으로 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의 상기 작용을 하는 동시에, 이하의 작용을 한다. 즉, 작업자는, 기체를 측면으로보아 자리면이 후륜(9)의 윗쪽으로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또한,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에 있어서의 앞쪽 개소의 좌우방향쪽 부근에 위치시켜서 배치한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앉아서 모종수용체(29)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차륜이 묘를 타서 넘도록 하여 주행하는 주행차체(1)의 후륜(9)의 후방에 서서,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후륜(9)에서 기체후방측으로 돌출한 상태의 모종수용체(29)의 직선상 이동개소에 있어서의 뒤쪽 개소에 있어서 모종수용체(29)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4)의 구성으로 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의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작업자는,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앉아서 모종수용체(29)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차륜이 묘를 타서 넘도록 하여 주행하는 주행차체(1)의 후륜(9)의 후방에 서도 모종수용체(29)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모종보급작업의 자유도가 확대하고, 모종보급작업이 한층더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앉아서 모종수용체(29)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할 경우에, 주행차체(1)에 한층 가까운 위치에서 착석할 수 있으므로, 기체의 전후 중량밸런스도 한층더 양호해진다.
(9) 본 예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4)의 구성으로 한 후에, 더욱이, 상기 주행차체(1)는 좌우 한 쌍의 조타용 전륜(7)과 좌우 한 쌍의 후륜(9)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은, 기체를 측면으로보아 자리면이 상기 후륜(9)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또한,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의 좌우방향쪽 부근에 위치시켜서 배치하고, 기체를 평면으로보아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과 상기 모종공급장치(32)의 좌우사이에 작업자가 전후로 승하차 가능하게 하는 작업자 통과공간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승용형 모종 이식기는, 상기(4)의 구성으로 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의 상기 작용을 하는 동시에, 이하의 작용을 한다. 즉, 작업자는, 기체를 측면에서 보아 자리면이 후륜(9)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또한,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모종수용체(29)가 기체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의 좌우방향쪽 부근에 위치시켜서 배치한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앉아서 모종공급장치(32)에 모종보급작업을 한다. 또한,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승하차할 경우는,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과 상기 모종공급장치(32)와의 좌우간에 형성한 전후방향의 작업자 통과공간을 통과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다.
상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 (4)의 구성으로 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의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작업자는, 기체측면으로 보아 자리면이 후륜(9)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또한,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의 좌우 방향쪽 부근에 위치시켜서 배치한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앉아서 모종공급장치(32)에 모종보급작업을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용 좌석7OR, 70L에 작업자가 앉았을 때의 작업자의 체중에 의한 기체의 전후중량 밸런스의 악화도 적어진다. 더욱이, 작업자용 좌석70R, 70L에 승하차하는 경우에는,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작업자용 좌석 70R, 70L과 모종공급장치(32)의 좌우사이에 형성한 전후방향의 작업자 통과공간을 통과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다.
(10) 본 예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 (4)의 구성으로 한 후에, 다시, 상기 주행차체(1)는 좌우 한 쌍의 조타용 전륜(7)과 좌우 한 쌍의 후륜(9)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은,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상기 후륜(9)의 윗쪽에서 상기 후륜(9)에서 좌우 바깥쪽으로 돌출한 작업시 좌석위치와, 상기 작업시 좌석위치에서 기체 안쪽으로 수납한 수납시 좌석위치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상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 (4)의 구성으로 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의 상기 작용을 하는 동시에, 이하의 작용을 한다. 즉,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은, 작업자가 그 좌석에 앉아서 모종을 보급할 때에는, 기체를 평면으로보아 상기 후륜(9)의 윗쪽에서 상기 후륜(9)에서 좌우 바깥쪽으로 돌출한 작업시 좌석위치로 이동하고, 비작업시에는, 작업시 좌석위치보다 기체안쪽에 수납한 수납시 좌석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상기 (4)의 구성으로 한 승용형 모종이식기에 있어서의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작업자가 그 좌석에 앉아서 모종을 보급할 때에는,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을, 기체를 평면으로보아 상기 후륜(9)의 윗쪽에서 상기 후륜(9)에서 좌우 바깥쪽으로 돌출한 작업시 좌석위치에 위치시켜 둠으로써 작업시에는 충분한 작업공간에서 편한자세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승하차할 경우에, 작업자용 좌70R, 70L과 모종공급장치(32)의 좌우 사이를 작업자가 전후방향으로 통과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다. 또한, 비작업시에는, 작업시 좌석위치에서 기체안쪽에 수납한 수납시 좌석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기체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기체의 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격납도 효율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좌우의 모종공급장치(32)에 보급하는 모종을 예비적으로 놓아두기 위한 모종대(90)를 주행차체(1)의 앞 부분 좌우 양측부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종대(90)는, 기체를 평면으로보아 주행차체(1)의 앞 부분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비작업시 위치와, 주행차체(1)의 조종석(15)과 좌우 각각의 작업자용 좌석 70R, 70L과의 사이에 접근한 작업시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모종이식작업시에는, 상기 작업시 위치에 모종대(90)를 이동하고,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앉는 작업자가 모종보급작업 중에, 소지한 모종이 없어져도, 즉시 모종대(90)로부터 모종을 집어서 모종보급작업을 할 수 있다. 비작업 시에는, 모종대(90)를 상기 비작업시 위치에 이동하여 두면, 조종자가 주행차체(1)의 조종석(15)에 승하차할 때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본 예의 승용형 모종이식기는, 기체 오른쪽의 2개의 모종이식체(25)에 대하여 기체 오른쪽에서 모종수용체(29)가 원주회전이동하는 오른쪽 모종공급장치(32R)에 의하여 모종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기체 좌측 2개의 모종이식체(25) 에 대하여 기체 좌측에서 모종수용체(29)가 원주회전이동하는 좌측 모종공급장치(32L)에 의하여 모종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하나의 모종이식체마다에 하나의 원주회전 궤적으로 원주회전 이동하는 모종공급장치를 설치하면, 본 예와 같이 4줄기심기의 경우에는, 모종수용체가 원주회전하는 모종공급장치를 4개 설치하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모종수용체의 원주회전부가 지나치게 많아서, 주행차체에 탑승한 작업자가 그들 모두에 대하여 신속하고 또한 적확하게 모종을 계속해서 보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고, 작업능률을 향상할 수 없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기체 오른쪽의 복수개의 모종이식체(25)에 대하여 기체 오른쪽에서 모종수용체(29)가 하나의 원주회전 궤적으로 원주회전 이동하는 오른쪽 모종공급장치(32R)에 의해 모종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여 기체 좌측의 복수의 모종이식체(25)에 대하여 기체좌측에서 모종수용체(29)가 하나의 원주회전궤적으로 원주회전 이동하는 좌측 모종공급장치(32L)에 의하여 모종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주행차체(1)의 후부의 좌우 양측에 작업자가 탑승하면, 각각의 작업자가, 모종수용체(29)가 하나의 원주회전궤적으로 원주회전 이동하는 모종공급장치의 하나에 대하여만 모종을 보급하는 것 만으로 좋은 것이므로, 신속한 동시에 적확하게 모종을 계속해서 보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작업능률이 향상한다.
상기 구성으로 한 모종이식장치(3)에는, 모종이식체 25가 이식한 모종에 대하여 복토(覆土) 진압하기 위한 접지전동륜(80)을 각 모종이식체 26의 모종이식 개소의 각 후방 좌우양측 부근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모종이식장치(3)의 자동승강제어기구에 있어서, 모종이식장치(3)의 밭면에 대한 높이를 검출하는 접지센서로서 기능하는 접지체(24)를, 각 모종이식체 26의 모종이식개소보다 앞쪽에서 접지하는 좌우 가로로 긴 롤러로 구성하면, 각 모종이식체 26의 모종이식개소를 정지(整地)하는 것으로도 되고, 따라서, 이 정지면을 기준으로 모종이식장치(3)이 설정 높이가 되도록 자동승강되어서 각 모종이식체 26의 이식깊이의 변동이 적어지고, 양호한 이식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한 것으므로, 작업자가, 모종공급장치(32)의 좌우쪽 부근으로 모종공급장치(32)를 향하는 좌우 옆 자세로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착석하고, 모종공급장치(32)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자가 모종공급장치(32)에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모종을 보급할 수 있고, 그리고, 기체의 진행방향 전방 및 후방의 양방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안심하고 승차할 수 있고, 또한, 밭에 이식할 수 있었던 모종의 이식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불적정한 이식상태가 되었을 때의 대응을 신속하게 할 수 있어서 양호한 이식작업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한 것으므로,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이 발휘하는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을 모종공급장치(32)의 좌우쪽에게 배치하면서도, 모종공급장치(32)를 좌우로 폭 좁게 형성할 수 있어서 기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는,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의 좌우방향쪽 부근에 배치된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착석해서 빈 모종수용체(29)에 모종을 보급하게 되므로, 많은 모종수용체(29)에 모종을 용이하게 보급할 수 있어, 한층더,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모종을 보급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한 것으므로,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이 발휘하는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좌우의 모종공급장치(32)에 의하여 좌우로 복수개 설치한 모종이식체(25)의 각각에 모종이 공급되고 상기 복수개의 모종이식체(25)에서 복수줄기심기를 행할 수 있고, 더욱이, 좌우의 모종공급장치(32), 32의 각각 좌우 방향바깥쪽 부근에 설치한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작업자가 앉아, 좌우의 모종공급장치(32)에 모종을 보급할 수 있으므로, 능률적으로 모이식 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가 모종공급장치의 좌우 방향쪽에 설치한 작업자용 좌석에 앉는 구성으로 하면서도, 좌우 양쪽에 작업자가 앉도록 작업자용 좌석을 좌우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작업자의 체중에 의한 기체의 좌우 중량밸런스의 악화 도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한 것으므로,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이 발휘하는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모종공급장치(32)가 기체후방으로 크게 돌출하는 것 같은 일이 없게 기체를 더욱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더욱이, 모종공급장치(32)가 전동케이스(12)의 위쪽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되고, 그 전방에 돌출된 모종공급장치(32)의 아래쪽으로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앉는 작업자의 승차공간이 넓어지고, 콤팩트한 기체 구성으로 하면서도 작업자의 승차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양호하게 되며, 한층더,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모종을 보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모종공급장치(32)는 주행차체(1)로부터 전후로 크게 떨어져 배치되는 것은 아니고 주행차체(1)측에 배치할 수 있으며, 더욱이, 주행차체(1)측에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기체의 전후 중량밸런스가 양호하게 된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한 것으므로,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이 발휘하는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작업자는, 후륜(9)의 좌우방향 안쪽으로 후륜(9)의 상단위치보다 아래쪽으로 상면이 위치하도록 설치한 스텝 90R, 90L에발을 실은 상태에서, 자리면이 기체를 측면으로 보아 주행차체(1)의 후륜(9)의 윗쪽에 위치하는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앉아서 모종공급장치(32)에의 모종보급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체중에 의한 기체의 전후 중량밸런스의 악화를 적게 하고, 또한, 편한자세로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앉아서 모종공급장치(32)에의 모종보급작업을 행할 수 있어, 모종보급작업을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한 것으므로,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이 발휘하는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작업자는, 후륜(9)의 좌우방향 안쪽으로 후륜(9)의 상단위치보다 아래쪽으로 상면이 위치하도록 설치한 스텝 90R, 90L에 서서 모종공급장치(32)에의 모종보급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모종공급장치(32)에의 모종보급작업을 할 때의 자세의 자유도가 확대하고, 더욱이, 기체의 낮은 위치에 세우므로, 기체가 좌우로 경사하는 움직임에 있어서도 안정하게 서있을 수 있으므로’모종보급작업을 한층더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한 것으므로,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이 발휘하는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작업자가 앉아서 모종보급작업을 할 때, 앞쪽의 기체 전방쪽에 이동하는 모종수용체(29)에 대하여 모종의 보급을 행할 수 있고, 그리고, 모종수용체(29)의 원주회전궤적의 뒤쪽 개소에서 모종수용체(29)로부터 모종이식체(25)에 모종이 낙하공급되므로, 모종수용체(29)에의 모종보급작업중에, 보급해야 할 모종을 새롭게 예비모종재치부 등으로부터 가지고 들어가는 등의 작업이 들어가서 모종보급작업이 일시적으로 중단해버리는 상태가 되어도, 빈 모종수용체(29)가 모종이식체(25)에 모종을 낙하공급하는 개소까지 곧 이동하는 일은 없어서 모종보급지연에 의한 이식모종의 포기빠짐이 발생하는 것이 생기기 어렵고, 따라서, 모종보급작업에 여유가 생겨서 작업자의 작업성이 양호한 것이 된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한 것으므로,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이 발휘하는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작업자는,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앉아서 모종수용체(29)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차륜이 묘를 타서 넘도록 해서 주행하는 주행차체(1)의 후륜(9)의 후방에 서도 모종수용체(29)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모종보급작업의 자유도가 확대하고, 모종보급작업이 한층더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앉아서 모종수용체(29)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할 경우에, 주행차체(1)에 한층더 가까운 위치에서 착석할 수 있으므로, 기체의 전후 중량밸런스도 한층더 양호해진다.
청구항 9 기재의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한 것으므로,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이 발휘하는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작업자는, 기체를 측면으로 보아 자리면이 후륜(9)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또한,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모종수용체(29)가 기체를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의 좌우방측쪽 부근에 위치시켜서 배치한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앉아서 모종공급장치(32)에의 모종보급작업을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용 좌석70R, 70L에 작업자가 앉았을 때의 작업자의 체중에 의한 기체의 전후 중량밸런스의 악화도 적어진다. 더욱이,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승하차할 경우에는,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작업자용 좌석 70R, 70L과 모종공급장치(32)의 좌우사이에 형성한 전후방향의 작업자 통과공간을 통과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다.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한 것으므로,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이 발휘하는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작업자가 그 좌석에 앉아서 모종을 보급할 때에는,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을,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상기 후륜(9)의 윗쪽에서 상기 후륜(9)에서 좌우 바깥쪽으로 돌출한 작업시 좌석위치에 위치시켜 둠으로써 작업시에는 충분한 작업공간에서 편한자세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승하차할 경우에, 작업자용 좌석 70R, 70L과 모종공급장치(32)의 좌우사이를 작업자가 전후방향으로 통과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다. 또한, 비작업시에는, 작업시 좌석위치보다 기체안쪽에 수납한 수납시 좌석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기체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어 기체의 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격납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은 승용형 모종이식기의 측면도
도 2는 승용형 모종이식기의 평면도
도 3은 모종이식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모종이식장치의 전동기구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1 ... 주행차체
2 ... 승강링크장치
3 ... 모종이식장치

Claims (10)

  1. 기체(機體)를 전진주행 가능하게 하는 주행차체(1)와, 밭에 모종을 이식하는 모종이식체(25)와, 상기 모종이식체(25)에 모종을 공급하는 모종공급장치(32)와, 상기 모종공급장치(32)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앉는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을 구비한 승용형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을 기체 평면으로 보아서 상기 모종공급장치(32)의 좌우쪽 방향 부근에 배치하여 작업자가 상기 모종공급장치(32)의 좌우쪽 방향 부근에서 상기 모종공급장치(32)를 향하는 좌우횡 자세로 착석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모종이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이식체(25)는, 선단이 아래쪽으로 향한 자세의 주둥이 형상의 모종이식체로서, 상기 모종이식체(25)가 모종을 윗쪽으로부터 받아 넣어서 하강하여 밭에 돌입했을 때 하부를 열어서 모종을 밭에 방출하고 그 후 상승하도록 동작하여 모종을 밭에 이식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모종공급장치(32)는, 모종을 윗쪽으로부터 받아 넣어서 안쪽으로 모종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모종수용체(29)를 루프상으로 서로 연결하여 구비하고, 상기 모종수용체(29)가 원주회전 이동하여 상기 모종이식체(25)에 윗쪽으로부터 모종을 낙하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모종공급장치(32)의 모종수용체(29)의 원주회전 궤적을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 기체 전후방향으로 긴 타원상 궤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은,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서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의 좌우방향쪽 부근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모종이식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이식체(25)는 복수체 좌우로 나열하여 설치하고, 상기 모종공급장치(32)는, 좌우 2개소에서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서 기체 전후 방향으로 긴 타원상 궤적으로 원주회전 이동하도록 좌우로 두개 나열하여 설치하고, 상기 좌우의 모종공급장치(32)에 의해 상기 복수의 모종이식체(25)의 각각에 모종을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은, 상기 좌우의 모종공급장치(32) 각각 좌우방향 바깥쪽방향 부근에 위치하도록 하여 좌우로 2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모종이식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부에 조종석(15)과 조종핸들(16)을 구비한 상기 주행차체(1)의 뒤쪽에 승강링크장치(2)를 개재하여 승강이동 가능하게 모종이식장치(3)를 장착하고, 상기 모종이식장치(3)에, 상기 모종이식체(25)와, 상기 모종공급장치(32)와, 상기 모종이식체(25) 및 모종공급장치(32)를 구동하는 동력을 전동하는 전동기구를 내부에 장비한 전동케이스(12)를 설치하고, 상기 모종이식체(25)는 상기 전동케이스(12)로부터 뒤쪽으로 신장하는 상하이동기구(26)를 개재하여 승강이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모종공급장치(32)는, 기체를 옆쪽에서 보아 상기 전동케이스(12)의 위쪽 부근개소에 설치한 상하방향의 축과 상기 축보다 앞쪽에 배치한 상하방향의 축의 주위를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서 기체 전후방향으로 긴 타원상 궤적으로 원주회전 이동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모종수용체(29)의 원주회전 궤적의 뒤쪽개소에서 모종수용체(29)로부터 모종을 낙하시켜서 상기 모종이식체(25)에 모종을 공급하는 구성으로하고,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은,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서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의 좌우방향 옆방향 부근에 위치시켜서 상기 주행차체(1)측에 지지시켜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모종이식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차체(1)는 좌우 한 쌍의 조타용 전륜(7)과 좌우 한 쌍의 후륜(9)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은 그 자리면이 기체를 측면으로보아 상기 후륜(9)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후륜(9)의 좌우방향 안쪽에서 상기 후륜(9)의 상단위치보다 아래쪽으로 상면이 위치하도록 스텝 9OR, 90L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모종이식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차체(1)는 좌우 한 쌍의 조타용 전륜(7)과 좌우 한 쌍의 후륜(9)을 구비하고, 상기 후륜(9)의 좌우방향 안쪽에서 상기 후륜(9)의 상단위치보다 아래쪽으로 상면이 위치하도록 스텝 90R, 90L을 설치하고, 상기 스텝 90R, 90L위로 작업자가 서도록 스텝 90R, 90L의 위쪽으로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모종이식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이며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에 가까운 쪽의 개소에 있어서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전방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모종수용체(29)를 원주회전 이동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모종이식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차체(1)는 좌우 한 쌍의 조타용 전륜(7)과 좌우 한 쌍의 후륜(9)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은, 기체를 측면에서 보아서 자리면이 상기 후륜(9)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동시에, 기체를 평면에서 보아서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에 있어서의 앞쪽 개소의 좌우방향 옆방향 부근에 위치시켜서 배치하고,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서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에 있어서의 뒤쪽 개소가 상기 후륜(9)보다 기체후방쪽으로 돌출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모종공급장치(3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모종이식기.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차체(1)은 좌우 한 쌍의 조타용 전륜과 좌우 한 쌍의 후륜(9)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OL은, 기체를 측면으로 보아서 자리면이 상기 후륜(9)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또한,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서 상기 모종수용체(29)가 기체 전후방향 직선상으로 이동하는 개소의 좌우방향 옆쪽 부근에 위치시켜서 배치하고,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서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과 상기 모종공급장치(32)의 좌우 사이에 작업자가 전후로 승차 가능하게 하는 작업자 통과 공간을 형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모종이식기.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차체(1)는 좌우 한 쌍의 조타용 전륜(7)과 좌우 한 쌍의 후륜(9)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자용 좌석 70R, 70L은, 기체를 평면으로 보아서 상기 후륜(9)의 윗쪽에서 상기 후륜(9)보다 좌우 바깥쪽방향으로 돌출한 작업시 좌석위치와, 상기 작업시 좌석위치보다 기체안쪽으로 수납한 수납시 좌석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모종이식기.
KR1020050002074A 2004-01-30 2005-01-10 승용형 모종이식기 KR100651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24862 2004-01-30
JP2004024862A JP4466095B2 (ja) 2004-01-30 2004-01-30 乗用型苗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200A true KR20050078200A (ko) 2005-08-04
KR100651029B1 KR100651029B1 (ko) 2006-11-29

Family

ID=3490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074A KR100651029B1 (ko) 2004-01-30 2005-01-10 승용형 모종이식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466095B2 (ko)
KR (1) KR100651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2093B2 (ja) * 2016-06-28 2020-03-25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及び作業機
CN107535148B (zh) * 2016-06-28 2022-04-08 株式会社久保田 移植机和作业机械
JP7224758B2 (ja) * 2017-11-30 2023-02-20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8609U (ko) * 1980-07-24 1982-02-15
JPH05284820A (ja) * 1992-04-08 1993-11-0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牽引式移植機
JPH05328808A (ja) * 1992-06-02 1993-12-14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JPH09289806A (ja) * 1996-04-25 1997-11-11 Sasaki Corp:Kk 農用植付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11026A (ja) 2005-08-11
KR100651029B1 (ko) 2006-11-29
JP4466095B2 (ja)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670B1 (ko) 묘식기
JP2006304630A (ja) 苗移植機
KR20050078200A (ko) 승용형 모종이식기
JP2011160814A (ja) 苗移植機
JP6222442B2 (ja) 移植機
KR100723977B1 (ko) 모종이식기
JP4631314B2 (ja) 苗移植機
JP4573037B2 (ja) 野菜苗移植機
JP2006067861A (ja) 苗植機
JP2004261089A (ja) 乗用型苗植機
JP5034415B2 (ja) 苗植機
JP3515915B2 (ja) 移植機
CN107535148B (zh) 移植机和作业机械
JP4697396B2 (ja) 苗植え機
JP4355856B2 (ja) 苗植機
JP2011036266A (ja) 苗移植機
KR100486956B1 (ko) 모 이식기
JP2013048570A (ja) 移植機
JP2007312674A (ja) 苗植機
JP2007295816A (ja) 苗植機
JP3678001B2 (ja) 苗移植機
JP2004261088A (ja) 乗用型苗植機
JP5228455B2 (ja) 芋類の植付機
JP5679379B1 (ja) 移植機
JP3860891B2 (ja) 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