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227B1 -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투영상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투영상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227B1
KR101944227B1 KR1020187004840A KR20187004840A KR101944227B1 KR 101944227 B1 KR101944227 B1 KR 101944227B1 KR 1020187004840 A KR1020187004840 A KR 1020187004840A KR 20187004840 A KR20187004840 A KR 20187004840A KR 101944227 B1 KR101944227 B1 KR 101944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layer
cholesteric liquid
half mirror
projec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324A (ko
Inventor
미츠요시 이치하시
유키 사이키
다카오 다구치
?야 가토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0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 G02B27/14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using partially transparent surfaces without spectral selectiv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027/0192Supplementary details
    • G02B2027/0194Supplementary details with combiner of laminated type, for optical or mechanic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027/0192Supplementary details
    • G02B2027/0196Supplementary details having transparent supporting structure for display mounting, e.g. to a window or a windshiel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reflector
    • G02F2201/343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reflector cholesteric liquid crystal reflector

Abstract

본 발명은, 가시광 투과성을 갖고,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예를 들면, 서로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이 다른 3층 이상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을 포함하며, 투영상 표시측에 가장 가까운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의 투영상 표시측의 면에 있어서,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형성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분자의 다이렉터가 균일한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상기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와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프로젝터의 광원의 발광 파장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의 선택 반사대에 있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 및, 상기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등의 컴바이너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투영상 표시 시스템{HALF MIRROR FOR DISPLAYING PROJECTED IMAG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PROJECTED IMAGE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헤드 업 디스플레이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컴바이너로서 사용할 수 있는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및 상기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를 포함하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에 의하여 투영되는 영상을 표시함과 함께 전방의 풍경을 동시에 보여줄 수 있는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등의 컴바이너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하프 미러로서는, 종래부터, 금속 화합물 피복을 실시한 유리나, 홀로그램 등이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58020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52283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에는, 보다 높은 광투과율과 보다 높은 투사광 반사율이 항상 요구되고 있다. 차재의 헤드 업 디스플레이 등에 있어서는 안전성의 관점에서도 시인성이 더 좋은 투영상을 주위의 상과 함께 부여할 수 있는 하프 미러가 요구된다. 또, 헤드 업 디스플레이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등의 보급을 위하여, 저비용으로의 제조가 가능한 하프 미러도 요구된다. 또한, 종래의 컴바이너에는, 금속 화합물 피복이 마련되어 있는 유리판에서의 반사에 유래하는 이중상이나, 홀로그램 자체의 광학적 특성에 유래하는 영상이 흐려짐 등의 문제가 본질적으로 있으며, 이러한 문제의 개선은 항상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의 요청에 대응하는 신규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예의 검토하여, 종래부터 원편광 선택 반사성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하여 저가로 하프 미러의 제작이 가능함과 함께, 높은 광투과율과 높은 투사광 반사율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이, 추가로 검토를 거듭한바,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하프 미러에 있어서는, 투사광이 편광을 포함하는 경우나 편광 선글라스로 관찰한 경우에 명암이나 색의 불균일(반사율의 편광 의존성)이 발생한다는 새로운 과제를 발견했다. 본 발명자들은 이 새로운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추가로 검토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1]~[18]을 제공하는 것이다.
[1] 가시광 투과성을 갖는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로서,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을 포함하고,
투영상 표시측에 가장 가까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의 투영상 표시측의 면에 있어서,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형성하는 액정 분자의 다이렉터가 균일한,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2]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을 3층 이상 포함하고, 상기 3층 이상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은 서로 다른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나타내는 [1]에 따른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3] 상기 3층 이상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 각각의 양 표면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형성하는 액정 분자의 다이렉터가 균일한 [2]에 따른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4] 상기 3층 이상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이, 먼저 제작된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 표면에 직접, 다른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을 형성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며, 상기 3층 이상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 중 어느 층 사이에도 다른 층을 포함하지 않는 [2] 또는 [3]에 따른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5] 적색광에 대하여 겉보기상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 녹색광에 대하여 겉보기상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 및 청색광에 대하여 겉보기상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을 포함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6] 반사 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방지층이 투영상 표시측의 최표면에 있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7] 기재를 포함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8] 반사 방지층 1,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 기재를 이 순서로 포함하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9] 반사 방지층 1,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 상기 기재, 반사 방지층 2를 이 순서로 포함하는 [8]에 따른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10] 상기 기재가 저복굴절성 기재로서, 상기 기재에 대하여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의 반대측에 반사 방지층을 포함하지 않는 [7] 또는 [8]에 따른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11] 상기 기재가 유리 또는 아크릴 수지인 [10]에 따른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12] 반사 방지층 1, 기재,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13]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컴바이너로서 사용되는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14] 프로젝터와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를 포함하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프로젝터의 광원의 발광 파장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의 선택 반사대에 있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
[15] 프로젝터와 [8]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를 포함하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프로젝터의 광원의 발광 파장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의 선택 반사대에 있으며,
상기 프로젝터, 반사 방지층 1,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이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
[16] 헤드 업 디스플레이로서 사용되는 [14] 또는 [15]에 따른 투영상 표시 시스템.
[17]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을 포함하는, 가시광 투과성을 갖는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의 제조 방법으로서,
(1) 가지지체의 러빙된 표면, 또는 가지지체 상에 마련된 배향층의 표면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2)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켜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배향을 고정하여, 상기 액정 조성물로부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을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가지지체를 박리하는 단계, 및
(4) 상기 박리 후에 얻어지는 박리면이 투영상 표시측이 되도록,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을 기재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18]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 및 투영상 표시측의 최표면에 반사 방지층을 포함하는, 가시광 투과성을 갖는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의 제조 방법으로서,
(1) 가지지체의 러빙된 표면, 또는 가지지체 상에 마련된 배향층의 표면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2)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켜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배향을 고정하여, 상기 액정 조성물로부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을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가지지체를 박리하는 단계, 및
(4) 상기 박리 후에 얻어지는 박리면을 반사 방지층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여, 신규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등의 컴바이너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금속 화합물 피복을 갖는 하프 미러 또는 홀로그램에 의한 하프 미러와 비교하여 저가이며, 높은 광투과율과 높은 투사광 반사율이 얻어진다. 또, 투사광이 편광을 포함하는 경우나 편광 선글라스로 관찰한 경우여도 명암이나 색의 불균일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저복굴절성의 기재와 조합하여 이용하면 이중상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서 행한 반사 불균일 면내 균일성의 평가 시의, 광원, 시료, 및 카메라(관찰 위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사진 1) 및 비교예 1(사진 2)의, 반사광의 면내의 균일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란 그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도(예를 들면 "90°" 등의 각도), 및 그 관계(예를 들면, "수직", "수평" 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허용되는 오차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엄밀한 각도±10° 미만의 범위 내인 것 등을 의미하고, 엄밀한 각도와의 오차는,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원편광에 대하여 "선택적"이라고 할 때는, 우원편광 성분 또는 좌원편광 성분 중 어느 하나의 광량이, 다른 한쪽의 원편광 성분보다 많은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선택적"이라고 할 때, 광의 원편광도는, 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6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0.8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1.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원편광도란, 광의 우원편광 성분의 강도를 IR, 좌원편광 성분의 강도를 IL로 했을 때, |IR-IL|/(IR+IL)로 나타나는 값이다. 광의 원편광 성분의 비를 표시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원편광도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원편광에 대하여 "센스"라고 할 때는, 우원편광이거나, 또는 좌원편광인 것을 의미한다. 원편광의 센스는, 광이 앞쪽을 향하여 다가오는 것을 바라본 경우에 전장 벡터의 선단이 시간의 증가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우원편광이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좌원편광인 것으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나선의 비틀림 방향에 대하여 "센스"라는 용어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에 의한 선택 반사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나선의 비틀림 방향(센스)이 우측인 경우는 우원편광을 반사하고, 좌원편광을 투과하며, 센스가 좌측인 경우에는 좌원편광을 반사하고, 우원편광을 투과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이라고 하는 경우,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가시광(자연광)을 의미한다. 가시광선은 전자파 중, 인간의 눈에 보이는 파장의 광이며, 통상적으로, 380nm~780nm의 파장역의 광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투과율의 산출에 관련하여 필요한 광 강도의 측정은, 예를 들면 통상의 가시 스펙트럼 미터를 이용하고, 레퍼런스를 공기로 하여, 측정한 것이면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순히 "반사광" 또는 "투과광"이라고 할 때는, 산란광 및 회절광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용된다.
또한, 광의 각 파장의 편광 상태는, 원편광판을 장착한 분광 방사 휘도계 또는 스펙트럼 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원편광판을 통하여 측정한 광의 강도가 IR, 좌원편광판을 통하여 측정한 광의 강도가 IL에 상당한다. 또, 백열전구, 수은등, 형광등, LED 등의 통상 광원은, 대략 자연광을 발하고 있지만, 이들에 장착된 필터 등의 측정 대상물 등의 편광을 만들어 내는 특성은, 예를 들면, AXOMETRICS사제의 편광 위상차 해석 장치 AxoScan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 조도계나 광 스펙트럼 미터에 측정 대상물을 장착해도 측정할 수 있다. 우원편광 투과판을 붙여, 우원편광량을 측정, 좌원편광 투과판을 붙여, 좌원편광량을 측정함으로써, 비율을 측정할 수 있다.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의 광학적 성질)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란, 프로젝터 등으로부터 투영된 화상을 시인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동일한 면측으로부터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를 관찰했을 때에, 반대면측에 있는 정보 또는 풍경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광학 부재를 의미한다. 즉,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외계광과 영상광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광로 컴바이너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적어도 투영되어 있는 광에 대하여, 하프 미러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가시광역 전역의 광에 대하여 하프 미러로서 기능하고 있는 것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또,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모든 입사각의 광에 대하여 상기의 광로 컴바이너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되지만, 적어도 일부의 입사각의 광에 대하여 상기의 기능을 갖고 있으면 되며, 예를 들면,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의 법선 방향을 0도로 했을 때에 5도 이내, 10도 이내, 15도 이내, 20도 이내, 30도 이내, 40도 이내 등의 특정 입사각의 범위에서만 갖고 있어도 된다.
한편,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반대면측에 있는 정보 또는 풍경의 관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가시광 투과성을 갖는다. 가시광 투과성을 갖는다는 것은, 가시광의 파장역의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의 광투과율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가시광 영역 이외의 자외광 또는 적외광에 대한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의 광학 특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투과해도 되고 반사해도 되며 흡수하고 있어도 된다.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의 열화 방지를 위하여, 차열, 또는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의 사용자의 눈 보호 등의 목적을 위하여, 자외광 반사층 또는 적외광 반사층을 갖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의 구성)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을 적어도 1층 포함하고, 투영상 표시측에 가장 가까운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의 투영상 표시측의 면에 있어서,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형성하는 액정 분자의 다이렉터가 균일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을 콜레스테릭 액정층 또는 액정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콜레스테릭 액정층 외에 후술하는 반사 방지층, 배향층, 지지체, 접착층, 기재 등의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한편, 광을 반사 또는 흡수하는 광차단층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위 풍경의 시인이나 하프 미러의 반대측의 정보의 시인을 위한 높은 투명성(6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의 광투과성)을 얻기 위해서이다.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박막의 필름 형상, 시트 형상, 또는 판 형상 등이면 된다.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곡면을 갖고 있지 않은 평면 형상이어도 되지만, 곡면을 갖고 있어도 되고, 전체적으로 오목형 또는 볼록형의 형상을 가지며, 투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다른 부재에 접착하여, 상기의 형상이 되는 것이어도 되고, 접착 전은, 박막의 필름으로서 롤 형상 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 콜레스테릭 액정층)
콜레스테릭 액정층은 선택 반사대(선택 반사 파장역)에 있어서, 우원편광 또는 좌원편광 중 어느 한쪽의 센스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반사시키고, 다른 한쪽의 센스의 원편광을 투과시키는 원편광 선택 반사층으로서 기능한다. 즉, 반사되는 원편광의 센스는, 투과되는 원편광의 센스가 우측이면 좌측이고, 투과되는 원편광의 센스가 좌측이면 우측이다.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상기의 기능에 의하여 투사광 중 선택 반사를 나타내는 파장에 있어서, 어느 한쪽의 센스의 원편광을 반사시켜, 투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원편광 선택 반사성을 나타내는 필름으로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필름은 종래부터 많이 알려져 있으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콜레스테릭 액정층)에 대해서는, 이들의 종래 기술을 참조할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층은, 콜레스테릭 액정상으로 되어 있는 액정 화합물의 배향이 유지되어 있는 층이면 되고, 전형적으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콜레스테릭 액정상의 배향 상태로 한 후에, 자외선 조사, 가열 등에 의하여 중합, 경화하며, 유동성이 없는 층을 형성하고, 동시에, 또 외장(外場)이나 외력에 의하여 배향 형태에 변화를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로 변화한 층이면 된다. 또한, 콜레스테릭 액정층에 있어서는, 콜레스테릭 액정상의 광학적 성질이 층 중에 있어서 유지되어 있으면 충분하며, 층 중의 액정 화합물은 더 이상 액정성을 나타내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경화 반응에 의하여 고분자량화하여, 이미 액정성을 잃어도 된다.
콜레스테릭 액정층은, 콜레스테릭 액정의 나선 구조에 유래한 원편광 반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 원편광 반사를 선택 반사라고 한다.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 λ는, 콜레스테릭상에 있어서의 나선 구조의 피치장 P(=나선의 주기)에 의존하여,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평균 굴절률 n과 λ=n×P의 관계에 따른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갖는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 λ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측정한 원편광 반사 스펙트럼의 반사 피크의 중심 위치에 있는 파장을 의미한다. 상기 식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나선 구조의 피치장을 조절함으로써,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n값과 P값을 조절하여, 예를 들면, 청색광에 대하여 우원편광 또는 좌원편광 중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반사시키기 위하여, 중심 파장 λ를 조절하고, 겉보기상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이 450nm~495nm의 파장역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겉보기상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이란 실용 시(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로서의 사용 시)의 관찰 방향으로부터 측정한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원편광 반사 스펙트럼의 반사 피크의 중심 위치에 있는 파장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콜레스테릭 액정층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광이 입사하는 경우는,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은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광을 입사하여 측정했을 때의 중심 파장으로부터 단파장측으로 시프트한다.
콜레스테릭 액정상의 피치장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함께 이용하는 카이랄제의 종류, 또는 그 첨가 농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들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피치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나선 센스나 피치의 측정법에 대해서는 "액정 화학 실험 입문" 일본 액정 학회 편 시그마 슛판 2007년 출판, 46페이지, 및 "액정 편람" 액정 편람 편집 위원회 마루젠 196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각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서는, 나선 센스가 우측 또는 좌측 중 어느 하나인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이용된다.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반사 원편광의 센스는 나선 센스와 일치한다.
원편광 선택 반사를 나타내는 선택 반사대의 반값폭 Δλ(nm)는, Δλ가 액정 화합물의 복굴절 Δn과 상기 피치장 P에 의존하여, Δλ=Δn×P의 관계에 따른다. 이로 인하여, 선택 반사대의 폭의 제어는, Δn을 조정하여 행할 수 있다. Δn의 조정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나 그 혼합 비율을 조정하거나, 배향 고정 시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이 동일한 1종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형성을 위하여, 주기 P가 동일하고, 동일한 나선 센스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복수 적층해도 된다. 주기 P가 동일하고, 동일한 나선 센스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적층함에 따라서는, 특정 파장으로 원편광 선택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선택 반사대의 폭은, 예를 들면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통상 1종의 재료에서는 15nm~100nm 정도이다. 선택 반사대의 폭을 넓히기 위해서는, 주기 P를 변경한 반사광의 중심 파장이 상이한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2종 이상 적층하면 된다. 이때, 동일한 나선 센스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1개의 콜레스테릭 액정층 내에 있어서, 주기 P를 막두께 방향에 대하여 완만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선택 반사대의 폭을 넓힐 수도 있다. 선택 반사대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nm, 10nm, 50nm, 100nm, 150nm, 또는 200nm 등의 파장폭이어도 된다. 폭은, 100nm 폭 정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에 대하여 각각 겉보기상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풀 컬러의 투영상의 표시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가, 750~620nm, 630~500nm, 530~420nm의 각각의 범위로서, 서로 다른(예를 들면 50nm 이상 다름)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3개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콜레스테릭 액정층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광이 입사하는 사용 양태를 고려하면,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법선 방향으로부터 측정했을 때의 중심 파장으로서, 490nm~570nm의 범위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 580nm~680nm 범위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 및 700nm~830nm 범위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성질은 3종 이상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기 P가 상이하며, 따라서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이 상이한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3종 이상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적색광에 대하여 우원편광 또는 좌원편광 중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750~620nm에 겉보기상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층), 녹색광에 대하여 우원편광 또는 좌원편광 중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630~500nm에 겉보기상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층), 청색광에 대하여 우원편광 또는 좌원편광 중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530~420nm에 겉보기상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투영에 이용되는 광원의 발광 파장역, 및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의 사용 양태에 따라 조정함으로써 광 이용이 효율 좋게 선명한 투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각각 투영에 이용되는 광원의 발광 파장역 등에 따라 각각 조정함으로써, 광 이용이 효율 좋게 선명한 컬러 투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의 사용 양태로서는, 특히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표면으로의 투사광의 입사각,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표면의 투영상 관찰 방향 등을 들 수 있다.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이 상이한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나선 센스는 모두 동일해도 되고, 상이한 것이 포함되어 있어도 되지만,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나선 센스는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적층 시에는, 별도로 제작한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적층해도 되며, 후술하는 방법으로 형성된 앞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표면에 직접, 중합성 액정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을 도포하고, 배향 및 고정의 공정을 반복해도 되지만, 후자가 바람직하다. 먼저 형성된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표면에 직접 다음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형성함으로써, 먼저 형성된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공기 계면측의 액정 분자의 배향 방위와, 그 위에 형성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하측의 액정 분자의 배향 방위가 일치하여,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적층체의 편광 특성이 양호해지기 때문이다. 또, 통상 0.5~10㎛의 막두께로 마련되는 접착층을 이용하면, 접착층의 두께 편차에 유래하는 간섭 불균일이 관측되는 경우가 있어, 접착층을 이용하지 않고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의 제작 방법)
이하,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제작 재료 및 제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재료로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카이랄제(광학 활성 화합물)를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계면활성제나 중합 개시제 등과 더 혼합하여 용제 등에 용해한 상기 액정 조성물을, 지지체, 배향막, 하층이 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 등에 도포하고, 콜레스테릭 배향 숙성 후, 고정화하여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형성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봉상 액정 화합물이어도 되고, 원반상 액정 화합물이어도 되지만, 봉상 액정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형성하는 봉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예로서는, 봉상 네마틱 액정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봉상 네마틱 액정 화합물로서는, 아조메타인류, 아족시류, 사이아노바이페닐류, 사이아노페닐에스터류, 벤조산 에스터류, 사이클로헥세인카복실산 페닐에스터류, 사이아노페닐사이클로헥세인류, 사이아노 치환 페닐피리미딘류, 알콕시 치환 페닐피리미딘류, 페닐다이옥세인류, 톨란류 및 알켄일사이클로헥실벤조나이트릴류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저분자 액정 화합물뿐만 아니라, 고분자 액정 화합물도 이용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중합성기를 액정 화합물에 도입함으로써 얻어진다. 중합성기의 예에는, 불포화 중합성기, 에폭시기, 및 아지리딘일기가 포함되며, 불포화 중합성기가 바람직하고, 에틸렌성 불포화 중합성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성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액정 화합물의 분자 중에 도입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갖는 중합성기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1~6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3개이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예는, Makromol. Chem., 190권, 2255페이지(1989년), Advanced Materials 5권, 107페이지(1993년), 미국 특허공보 제4683327호, 동 5622648호, 동 5770107호, 국제공개공보 WO95/22586호, 동 95/24455호, 동 97/0060130호, 동 98/23580호, 동 98/5290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272551호, 동 6-16616호, 동 7-110469호, 동 11-80081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28973호 등에 기재된 화합물이 포함된다. 2종류 이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병용해도 된다. 2종류 이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병용하면, 배향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 액정 조성물 중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첨가량은, 액정 조성물의 고형분 질량(용매를 제외한 질량)에 대하여, 80~99.9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85~99.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99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카이랄제(광학 활성 화합물)
카이랄제는 콜레스테릭 액정상의 나선 구조를 야기하는 기능을 갖는다. 카이랄 화합물은, 화합물에 의하여 야기되는 나선 센스 또는 나선 피치가 상이하기 때문에, 목적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카이랄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의 화합물(예를 들면, 액정 디바이스 핸드북, 제3장 4-3항, TN, STN용 카이랄제, 199페이지, 일본 학술 진흥회 제142 위원회 편, 1989에 기재), 아이소소바이드, 아이소만나이드 유도체를 이용할 수 있다.
카이랄제는, 일반적으로 부제(不齊) 탄소 원자를 포함하지만, 부제 탄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축성 부제 화합물 혹은 면성 부제 화합물도 카이랄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축성 부제 화합물 또는 면성 부제 화합물의 예에는, 바이나프틸, 헬리센, 파라사이클로페인 및 이들의 유도체가 포함된다. 카이랄제는, 중합성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카이랄제와 액정 화합물이 모두 중합성기를 갖는 경우는, 중합성 카이랄제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에 의하여,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와, 카이랄제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머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양태에서는, 중합성 카이랄제가 갖는 중합성기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갖는 중합성기와 동종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카이랄제의 중합성기도, 불포화 중합성기, 에폭시기 또는 아지리딘일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불포화 중합성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에틸렌성 불포화 중합성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카이랄제는, 액정 화합물이어도 된다.
카이랄제가 광이성화기를 갖는 경우에는, 도포, 배향 후에 활성 광선 등의 포토마스크 조사에 의하여, 발광 파장에 대응한 원하는 반사 파장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광이성화기로서는, 포토크로믹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의 이성화 부위, 아조, 아족시, 신남오일기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화합물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8047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8085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7966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7966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7967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7968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796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3857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3866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1318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13292호에 기재된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액정 조성물에 있어서의, 카이랄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량의 0.01몰%~200몰%가 바람직하고, 1몰%~30몰%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
액정 조성물은,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중합 반응을 진행시키는 양태에서는, 사용하는 중합 개시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중합 반응을 개시 가능한 광중합 개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의 예에는, α-카보닐 화합물(미국 특허공보 제2367661호, 동 2367670호의 각 명세서 기재), 아실로인에터(미국 특허공보 제2448828호 기재), α-탄화 수소 치환 방향족 아실로인 화합물(미국 특허공보 제2722512호 기재), 다핵 퀴논 화합물(미국 특허공보 제3046127호, 동 2951758호의 각 명세서 기재), 트라이아릴이미다졸 다이머와 p-아미노페닐케톤의 조합(미국 특허공보 제315549367호 기재), 아크리딘 및 페나진 화합물(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105667호, 미국 특허공보 제4239850호 기재) 및 옥사다이아졸 화합물(미국 특허공보 제4212970호 기재) 등을 들 수 있다.
액정 조성물 중의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함유량에 대하여 0.1~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질량%~5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가교제
액정 조성물은, 경화 후의 막강도 향상,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임의로 가교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가교제로서는, 자외선, 열, 습기 등으로 경화시키는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등의 에폭시 화합물;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뷰탄올-트리스[3-(1-아지리딘일)프로피오네이트], 4,4-비스(에틸렌이미노카보닐아미노)다이페닐메테인 등의 아지리딘 화합물;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뷰렛형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옥사졸린기를 측쇄에 갖는 폴리옥사졸린 화합물; 바이닐트라이메톡시실레인,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등의 알콕시실레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가교제의 반응성에 따라 공지의 촉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막강도 및 내구성 향상에 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가교제의 함유량은, 3질량%~20질량%가 바람직하고, 5질량%~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함유량이, 3질량% 미만이면, 가교 밀도 향상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20질량%를 넘으면,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배향 제어제
액정 조성물 중에는, 안정적으로 또는 신속히 플레이너 배향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하기 위하여 기여하는 배향 제어제를 첨가해도 된다. 배향 제어제의 예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72185호의 단락 〔0018〕~〔0043〕 등에 기재된 불소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03237호의 단락 〔0031〕~〔0034〕 등에 기재된 식 (I)~(IV)로 나타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배향 제어제로서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액정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배향 제어제의 첨가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1질량%~10질량%가 바람직하고, 0.01질량%~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0.02질량%~1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 외의 첨가제
그 외에, 액정 조성물은, 도막의 표면 장력을 조정하여 막두께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계면활성제, 및 중합성 모노머 등의 다양한 첨가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 액정 조성물 중에는, 필요에 따라서, 중합 금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색재, 금속 산화물 미립자 등을, 광학적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더 첨가할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중합 개시제, 필요에 따라서 더 첨가되는 카이랄제, 계면활성제 등을 용매에 용해시킨 액정 조성물을, 지지체, 배향층, 또는 먼저 제작된 콜레스테릭 액정층 등의 위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도막을 얻어, 이 도막에 활성 광선을 조사하고 콜레스테릭 액정성 조성물을 중합하여, 콜레스테릭 규칙성이 고정화된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막은,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제조 공정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액정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유기 용매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케톤류, 알킬할라이드류, 아마이드류, 설폭사이드류, 헤테로환 화합물, 탄화 수소류, 에스터류, 에터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환경에 대한 부하를 고려한 경우에는 케톤류가 특히 바람직하다.
액정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와이어 바 코팅법, 커텐 코팅법, 압출 코팅법, 다이렉트 그라비어 코팅법, 리버스 그라비어 코팅법, 다이 코팅법, 스핀 코팅법, 딥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슬라이드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별도 지지체 상에 도설(塗設)한 액정 조성물을 전사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 도포한 액정 조성물을 가열함으로써, 액정 분자를 배향시킨다. 가열 온도는, 2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배향 처리에 의하여,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필름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나선축을 갖도록 비틀림 배향하고 있는 광학 박막이 얻어진다.
배향시킨 액정 화합물은, 더 중합시키면 된다. 중합은, 열중합, 광조사에 의한 광중합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광중합이 바람직하다. 광조사는, 자외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사 에너지는, 20mJ/cm2~50J/cm2가 바람직하고, 100mJ/cm2~1,500mJ/cm2가 보다 바람직하다. 광중합 반응을 촉진하기 위하여, 가열 조건하 또는 질소 분위기하에서 광조사를 실시해도 된다. 조사 자외선 파장은 350nm~430nm가 바람직하다. 중합 반응률은 안정성의 관점에서, 높은 쪽이 바람직하며 70% 이상이 바람직하고, 8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반응률은, 중합성의 관능기의 소비 비율을, IR 흡수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층 표면에 있어서의 액정 분자의 다이렉터에 대하여)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에 있어서는, 투영상 표시측에 가장 가까운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의 투영상 표시측의 면에 있어서,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형성하는 액정 분자의 다이렉터가 균일하다. 액정 분자의 다이렉터가 균일하다는 것은,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형성하는 분자의 배향 방향이 40° 이내, 바람직하게는 15° 이내로 조정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층 표면에 있어서의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은 선택 반사대 이외의 파장의 직선 편광에 대한 반사율의 극댓값을 나타내는 편광 방위를 측정하는 방법, 혹은 액정층 표면에 이색성 염료를 혼합한 액정 조성물을 도포하고, 그 편광 흡수 최댓값의 방위를 측정하는 것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배향층의 러빙 표면, 또는 지지체의 러빙 표면에 액정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된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이용하여, 배향층 또는 지지체측의 표면에서 투영상을 표시시켰을 때에, 그 반대측에서 표시시켰을 때와 비교하여, 반사율의 편광 의존성이 현저하게 개선되고, 또한, 그 개선은 투사광이 편광인 경우에 현저한 것을 우연히 발견했다. 반사율의 편광 의존성이 개선된 것은, 액정 조성물 중의 액정 분자의 다이렉터가 러빙 표면에서는 균일한 것에 의하여,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최표면의 액정 분자의 다이렉터 방향의 편차가 불균일해져 가시화되어 있는 것이 개선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었다. 편광 상태에 의존하지 않는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최표면에서의 반사광과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부터의 원편광 선택 반사광의 간섭이 불균일의 원인의 하나이며, 이 간섭의 정도가 액정 분자의 다이렉터 방향의 편차에 의하여 변화되고, 그것이 불균일해져 관측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액정 분자의 다이렉터가 균일한 표면을 투영상 표시측의 면으로 함으로써, 상기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층에 있어서는 양 표면에 있어서 액정 분자 다이렉터가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포함되는 하프 미러에 있어서는, 각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양 표면에 있어서, 액정 분자 다이렉터가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액정층의 막두께를 엄밀히 균일하게 하는 방법, 구체적으로는 건조 조건의 최적화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40nm 이하의 두께 편차 이내로 하는 것이나, 액정 조성물을 도포하여, 용매 건조 후에 러빙 등의 배향 처리를 실시한 베이스를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액정 조성물 도포막에 래미네이팅하고, 배향 숙성한 후에 중합 고정하는 등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실현 가능하다.
(지지체)
지지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형성을 위하여 이용되는 지지체는, 콜레스테릭 액정층 형성 후에 박리되는 가지지체여도 된다. 지지체가 가지지체인 경우는,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를 구성하는 층이 되지는 않기 때문에, 투명성이나 굴절성 등의 광학 특성에 관한 제한은 특별히 없다. 지지체(가지지체)로서는, 플라스틱 필름 외에, 유리 등을 이용해도 된다. 플라스틱 필름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유레테인, 폴리아마이드, 폴리올레핀, 셀룰로스 유도체,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지지체의 막두께로서는, 5㎛~1000㎛ 정도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10μm~2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90㎛이다.
(배향막)
배향막은, 유기 화합물, 폴리머(폴리이미드, 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에스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폴리에터이미드, 폴리아마이드, 변성 폴리아마이드 등의 수지)의 러빙 처리, 무기 화합물의 사방 증착, 마이크로 그루브를 갖는 층의 형성, 또는 랭뮤어 블로젯법(LB막)에 의한 유기 화합물(예를 들면, ω-트라이코세인산, 다이옥타데실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산 메틸)의 누적과 같은 수단으로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전장의 부여, 자장의 부여 또는 광조사에 의하여, 배향 기능이 발생하는 배향막도 알려져 있다.
특히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배향막은 러빙 처리를 행한 후에, 러빙 처리면에 액정층 형성을 위한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러빙 처리는, 폴리머층의 표면을, 종이, 천으로 일정 방향으로, 수회 문지름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배향막을 마련하지 않고 지지체 표면, 또는 지지체를 러빙 처리한 표면에, 액정 조성물을 도포해도 된다.
지지체가 가지지체인 경우는, 배향막은 가지지체와 함께 박리되어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를 구성하는 층은 되지 않아도 된다.
배향층의 두께는 0.01~5㎛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2㎛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가지지체 및 배향막의 박리)
지지체 표면 또는 배향막 표면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러빙 처리된 표면에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형성하고, 그 후, 가지지체 및/또는 배향막을 박리함으로써, 액정 분자의 다이렉터가 균일한 표면을 투영상 표시측으로 하는 구성을 다양하게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박리면을 반사 방지층에 접착하여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를 구성할 수 있다. 또, 가지지체와는 반대측의 면에서 기재 등에 접착 후, 가지지체 및 필요에 따라 배향막을 박리하여, 투영상 표시측으로 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반사 방지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은, 최표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의 사용 시에 관찰측(투영상 표시측)이 되는 방향의 최표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명암이나 색의 불균일이 저감되기 때문이다.
또, 반사 방지층은 가시광에 대하여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에 의하여 불균일이 저감되는 이유는,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의 관찰측 최표면에 반사 방지층을 마련함으로써, 최표면의 반사광이 억제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이용한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에 있어서는, 최표면에서의 반사광과, 콜레스테릭 액정층에서의 선택 반사광의 간섭에 의하여 콜레스테릭 액정층에서의 선택 반사가 강해지거나 약해지거나 하는 것에 의한 불균일이 관측되고 있는 경우가 있다고 생각된다.
반사 방지층은, 실용상 충분한 내구성, 내열성을 갖고, 예를 들면 60도 입사에서의 반사율을 5% 이하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미세한 표면 요철을 형성한 막 외에, 고굴절률막과 저굴절률막을 조합한 2층막의 구성, 중굴절률막, 고굴절률막, 및 저굴절률막을 순차 적층한 3층막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구성예로서는, 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고굴절률층/저굴절률층의 2층의 것이나, 굴절률이 상이한 3층을, 중굴절률층(하층보다도 굴절률이 높고, 고굴절률층보다도 굴절률이 낮은 층)/고굴절률층/저굴절률층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것 등이 있고, 더 많은 반사 방지층을 적층하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내구성, 광학 특성, 비용이나 생산성 등에서, 하드 코트층 상에, 중굴절률층/고굴절률층/저굴절률층의 순서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2250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1040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30090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4390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11706호 등에 기재된 구성을 들 수 있다. 또, 막두께 변동에 대한 로버스트성이 우수한 3층 구성의 반사 방지 필름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62187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3층 구성의 반사 방지 필름은,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설치한 경우, 반사율의 평균값을 0.5% 이하로 할 수 있으며, 글레어를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고, 입체감이 우수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각 층에 다른 기능을 부여시켜도 되고, 예를 들면, 방오성의 저굴절률층, 대전 방지성의 고굴절률층, 대전 방지성의 하드 코트층, 방현성의 하드 코트층으로 한 것(예,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0660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4390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64113호 등) 등을 들 수 있다.
반사 방지층을 구성하는 무기 재료로서는, SiO2, SiO, ZrO2, TiO2, TiO, Ti2O3, Ti2O5, Al2O3, Ta2O5, CeO2, MgO, Y2O3, SnO2, MgF2, WO3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SiO2, ZrO2, TiO2 및 Ta2O5는, 저온에서 진공 증착이 가능하고, 플라스틱 기판의 표면에도 막을 형성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무기 재료로 형성되는 다층막으로서는, 기판측으로부터 ZrO2층과 SiO2층의 합계 광학적 막두께가 λ/4, ZrO2층의 광학적 막두께가 λ/4, 최표층의 SiO2층의 광학적 막두께가 λ/4의, 고굴절률 재료층과 저굴절률 재료층을 교대로 성막하는 적층 구조가 예시된다. 여기에서, λ는 설계 파장이며, 통상 520nm가 이용된다. 최표층은, 굴절률이 낮고, 또한 반사 방지층에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SiO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재료로 반사 방지층을 형성하는 경우, 성막 방법은 예를 들면 진공 증착법, 이온플레이팅법, 스퍼터링법, CVD법, 포화 용액 중에서의 화학 반응에 의하여 석출시키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저굴절률층에 이용하는 유기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FFP(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ETFE(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98974호에 기재된 함불소 경화성 수지와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는 조성물이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1715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02406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92831호에 기재된 중공 실리카 미립자 함유 저굴절률 코팅 조성물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성막 방법은, 진공 증착법 외에, 스핀 코트법, 딥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등의 양산성이 우수한 도장 방법으로 성막할 수 있다.
저굴절률층은, 굴절률이 1.30~1.51인 것이 바람직하다. 1.30~1.46인 것이 바람직하고, 1.32~1.38이 더 바람직하다.
중굴절률층, 고굴절률층에 이용하는 유기 재료로서는, 방향환을 포함하는 전리 방사선 경화성 화합물, 불소 이외의 할로젠화 원소(예를 들면, Br, I, Cl 등)를 포함하는 전리 방사선 경화성 화합물, S, N, P 등의 원자를 포함하는 전리 방사선 경화성 화합물 등의 가교 또는 중합 반응으로 얻어지는 바인더, 및 그에 첨가하는 T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 입자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62187호의 단락 번호 [0074]~[0094]에 기재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은, 1.65~2.20인 것이 바람직하고, 1.70~1.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굴절률층의 굴절률은, 저굴절률층의 굴절률과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의 사이의 값이 되도록 조정된다. 중굴절률층의 굴절률은, 1.55~1.65인 것이 바람직하고, 1.58~1.63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의 막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1~10㎛, 1~5μm, 2~4㎛ 정도면 된다.
(기재)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재란,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형상의 유지를 위하여 마련되는 층을 의미하며,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형성 시에 이용되는 지지체와 동일해도 되고, 지지체와는 별도로 마련되는 것이어도 된다.
기재는 가시광 영역에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기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되며, 예를 들면, 차량의 프론트 유리 등의 다른 물품의 적어도 일부로서, 투명판 형상인 것에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가 첩부되어, 물품의 적어도 일부가 기재로서 기능하고 있어도 된다.
기재로서는, 상기의 지지체의 예로 든 것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 기재의 막두께로서는, 상기의 지지체와 동일한 막두께여도 되지만, 1000㎛보다 커도 되고, 10mm 이상이어도 된다. 또, 200mm 이하, 100mm 이하, 80mm 이하, 60mm 이하, 50mm 이하, 40mm 이하, 30mm 이하, 20mm 이하 등이면 된다.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에 있어서는, 기재의 편면에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마련되어 있으면 되고, 다른 한쪽 면에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마련된 기재의 면과 반대측 기재의 면 또는 그 면에 마련된 다른 층의 공기면에서의 계면 반사에 의하여,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마련된 면에서의 투영상의 시인에 있어서, 이중상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대측 기재의 면에, 반사 방지층을 마련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와 같이 반대측 기재의 면에 마련되는 반사 방지층을 반사 방지층 2라고 하고,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관찰측 면에 마련되는 반사 방지층을 반사 방지층 1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기재로서 저복굴절성의 기재를 이용하는 경우는, 반사 방지층 2가 없는 경우여도 이중상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이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반사층으로서 이용하여 얻어진 예상 외의 효과이며, 무기 화합물에 의한 반사층이나 홀로그램에서는 얻을 수 없는 효과이다.
가시광 영역에서 투명하고 저복굴절성의 기재의 예로서는, 무기 유리나 고분자 수지를 들 수 있다. 저복굴절성의 고분자 수지로서는, 복굴절이 상 형성의 장애나 신호 노이즈의 베이스가 되는 광디스크 기판, 픽업 렌즈, 카메라나 현미경이나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 액정 디스플레이용 기판, 프리즘, 광 인터커넥션 부품, 광파이버, 액정 표시용 도광판, 레이저빔 프린터나 프로젝터나 팩시밀리용 렌즈, 프레넬 렌즈, 콘택트 렌즈, 편광판 보호막,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등에 이용되고 있는 저복굴절률 유기 소재를 마찬가지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분자 수지 소재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 수지(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에스터류 등), 폴리카보네이트, 사이클로펜타다이엔계 폴리올레핀이나 노보넨계 폴리올레핀 등의 환상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류, 폴리스타이렌 등의 방향족 바이닐폴리머류, 폴리아릴레이트, 셀룰로스아실레이트를 들 수 있다.
(접착층)
접착층은 접착제로 형성되는 것이면 된다.
접착제로서는 경화 방식의 관점에서 핫멜트 타입, 열경화 타입, 광경화 타입, 반응 경화 타입, 경화가 불필요한 감압 접착 타입이 있으며, 각각 소재로서 아크릴레이트계, 유레테인계, 유레테인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계,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폴리올레핀계, 변성 올레핀계, 폴리프로필렌계, 에틸렌바이닐알코올계, 염화 바이닐계, 클로로프렌 고무계, 사이아노아크릴레이트계,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스타이렌계, 폴리바이닐뷰티랄계 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작업성, 생산성의 관점에서, 경화 방식으로서 광경화 타입이 바람직하고, 광학적인 투명성, 내열성의 관점에서, 소재는 아크릴레이트계, 유레테인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의 막두께는 0.5~10㎛, 바람직하게는 1~5㎛이면 된다.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의 색 불균일 등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균일한 막두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도)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각종 프로젝터와 조합하여, 투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투영상 표시 시스템은, 예를 들면, 투영상 표시 장치이면 되고,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및 프로젝터가 일체로 된 것이어도 되며,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및 프로젝터의 조합으로서 사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영상이란, 주위 풍경이 아닌, 사용하는 프로젝터로부터의 광의 투사에 근거하는 영상을 의미한다. 투영상은 단일색의 영상이어도 되고, 다색 또는 풀 컬러의 영상이어도 된다. 투영상은 하프 미러에 있어서의 반사광에 의한 것이면 된다. 투영상은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표면에서 표시되며, 이와 같이 시인되는 것이어도 되고, 관찰자로부터 보아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의 앞서 떠올라 보이는 허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와 조합하여 이용되는 프로젝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화상을 투사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젝터의 예로서는, 액정 프로젝터,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를 이용한 DLP(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터, GLV(Grating Light Valve) 프로젝터,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프로젝터, CRT 프로젝터 등을 들 수 있다. DLP 프로젝터 및 GLV(Grating Light Valve) 프로젝터는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를 이용한 것이어도 된다.
프로젝터의 광원으로서는 레이저 광원, LED, 방전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의 용도의 구체예로서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컴바이너나 투영 장치에 사용되는 반사 미러, 시스루 디스플레이용 반사 스크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반사 미러나 다이크로익 미러 등, 각종 프로젝터에 의한 허상 형성을 위한 평면경, 요면경, 볼록경 등을 들 수 있다.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컴바이너로서의 용도에 관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79930호, 국제공개공보 WO2005/124431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특히, 발광 파장이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연속적이지 않은 레이저나 LED, OLED 등을 광원에 이용한 프로젝터와 조합하여 이용할 때에 유용하다. 각 발광 파장에 맞추어,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LCD(액정 표시 장치)나 OLED 등 표시광이 편광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의 투영에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에 있어서는, 투사광이 편광을 포함하는 경우나, 편광 기능을 갖는 필름 등을 통한 관찰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원편광 반사율의 편광 의존성에 근거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시약, 물질량과 그 비율, 조작 등은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러빙 처리를 실시한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제 PET의 러빙 처리면에, 표 1에 나타내는 도포액 A-2를 건조 후의 건막의 두께가 3.5㎛가 되도록 실온에서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했다. 도포층을 실온에서 30초간 건조시킨 후, 85℃의 분위기에서 2분간 가열하고, 그 후 70℃에서 퓨전제 D 밸브(램프 90mW/cm)로 출력 60%로 6~12초간 UV 조사하여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이 530nm인 콜레스테릭 액정층 1을 얻었다.
다음으로 두께 60㎛의 TAC 필름에, DIC 가부시키가이샤제 UV 경화형 접착제 Exp. U12034-6을, 건조 후의 건막의 두께가 5㎛가 되도록 실온에서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했다. 이 도포면과 상기에서 제작한 콜레스테릭층 1의 액정층측의 면을 기포가 들어가지 않게 첩합하고, 그 후 30℃에서 퓨전제 D 밸브(램프 90mW/cm)로 출력 60%로 6~12초간 UV 조사하고, PET를 박리하여 실시예 1의 하프 미러 1을 형성했다.
별도 동일하게 형성된 하프 미러 1을 준비하여, PET 베이스를 박리한 측의 액정 표면에 이색성 색소를 혼합한 게스트 호스트용 실온 액정 조성물을 두께 5㎛로 코트하고, 3분간 실온에서 정치한 후에, 직선 편광판을 이용하여, 색소의 흡수 방향을 조사한바, 평방 10cm의 면적의 범위 내에 있어서 러빙 방향을 중심으로 ±5도의 범위 내에 있는 점에서, 액정층의 PET측 박리 계면, 즉 하프 미러 1의 최표면에서의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이 이 각도 범위 내에서 균일하게 조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러빙 처리를 실시한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제 PET의 러빙 처리면에, 표 1에 나타내는 도포액 A-3을 건조 후의 건막의 두께가 4㎛가 되도록 실온에서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했다. 도포층을 실온에서 30초간 건조시킨 후, 85℃의 분위기에서 2분간 가열하고, 그 후 70℃에서 퓨전제 D 밸브(램프 90mW/cm)로 출력 60%로 6~12초간 UV 조사하여 액정층을 얻었다. 이 액정층 상에 표 1에 나타내는 도포액 A-2를 건조 후의 건막의 두께가 3.5㎛가 되도록 실온에서 도포하고, 그 후 상기와 동일하게 건조, 가열, UV 조사를 행하여, 2층째의 액정층을 형성했다. 또한 2층째의 액정층 상에 표 1에 나타내는 도포액 A-1을 건조 후의 건막의 두께가 3㎛가 되도록 실온에서 도포하고, 그 후 상기와 동일하게 건조, 가열, UV 조사를 행하고, 3층째의 액정층을 형성하여, 640nm, 530nm, 450nm에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층 2를 얻었다.
이 콜레스테릭 액정층 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TAC를 첩합하고 PET 베이스를 박리하여 실시예 2의 하프 미러 2를 얻었다.
별도 동일하게 형성한 하프 미러 2를 준비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색성 색소가 들어간 액정을 도포하여 색소의 흡수 방향을 조사한바, 평방 10cm의 면적의 범위 내에 있어서, 러빙 방향을 중심으로 ±5도의 범위 내에 있는 점에서, 액정층의 PET측 박리 계면, 즉 하프 미러 2의 최표면에서의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이 이 각도 범위 내에서 균일하게 조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반사 방지층으로서 베이스의 40㎛ 두께의 TAC 필름 상에 굴절률 1.52이며 두께 3.0㎛의 하드 코트층, 그 위에 굴절률 1.594이며 두께 0.06㎛의 중간 굴절률층, 또 그 위에 굴절률 1.708이며 두께 0.13㎛의 고굴절률층, 또한 그 위에 굴절률 1.343이며 두께 0.095㎛의 저굴절률층이 형성된, 530nm에 있어서의 표면 반사율이 0.4%인 반사 방지층 부착 필름 1을 준비했다. 다음으로 편광판을 직교시켜 그 사이에 설치한 상태에서, 위상차의 크기나 지상축 방향의 불균일성에 의한 색 불균일을 시인할 수 있고 면내에 500nm 이상의 위상차가 있는 두께 5mm의 폴리카보네이트제의 투명 기재 표면에, DIC 가부시키가이샤제 UV 경화형 접착제 Exp. U12034-6을, 건조 후의 건막의 두께가 5㎛가 되도록, 실온에서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했다. 이 도포면과 상기의 반사 방지층 부착 필름 1의 TAC의 면을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첩합하고, 그 후 30℃에서 퓨전제 D 밸브(램프 90mW/cm)로 출력 60%로 6~12초간 UV 조사하여 반사 방지층 부착 기재를 형성했다. 계속해서 폴리카보네이트의 투명 기재의 다른 한쪽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실시예 2에서 작성한 하프 미러 2의 TAC면측을 첩합한 후 동일한 순서로 접착하여 실시예 3의 하프 미러 3을 얻었다.
[실시예 4]
편광판을 직교시켜 그 사이에 설치한 상태에서, 면내에 색 불균일을 시인할 수 없는 평방 10cm의 면내에서 최대 7nm의 위상차의 두께 5mm의 아크릴 수지제의 투명 기재(미쓰비시 레이욘사제 "아크릴라이트 L") 표면에, 실시예 2에서 제작한 하프 미러 2의 TAC면측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고 첩합하여, 실시예 4의 하프 미러 4를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아크릴 수지제의 투명 기재 표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것에 실시예 3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반사 방지층 부착 필름 1의 TAC면측을 첩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접착했다. 또한 이 기재의 다른 한쪽의 면에, 실시예 1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것에 실시예 2에서 제작한 하프 미러 2의 액정층측을 첩합하여, 동일한 순서로 접착하여 실시예 5의 하프 미러 5를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2에서 제작한 하프 미러 2의 액정층의 표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실시예 3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반사 방지층 부착 필름 1의 TAC면측을 첩합하여, 실시예 6의 하프 미러 6을 얻었다.
[실시예 7]
실시예 3에서 제작한 하프 미러 3의 액정층의 표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실시예 3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반사 방지층 부착 필름 1의 TAC면측을 첩합하여, 실시예 7의 하프 미러 7을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4에서 제작한 하프 미러 4의 액정층의 표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실시예 3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반사 방지층 부착 필름 1의 TAC면측을 첩합하여, 실시예 8의 하프 미러 8을 얻었다.
[실시예 9]
실시예 3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폴리카보네이트제의 투명 기재 표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것에 실시예 3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반사 방지층 부착 필름 1의 TAC면측을 첩합하여, 동일한 순서로 접착했다. 또한 이 기재의 다른 한쪽의 면에, 실시예 1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것에 실시예 2에서 제작한 하프 미러 2의 액정면측을 첩합하여, 동일한 순서로 접착하여 실시예 9의 하프 미러 9를 얻었다.
[비교예 1]
러빙 처리를 실시한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제 PET의 러빙 처리면에, 표 1에 나타내는 도포액 A-2를 건조 후의 건막의 두께가 3.5㎛가 되도록 실온에서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했다. 도포층을 실온에서 30초간 건조시킨 후, 85℃의 분위기에서 2분간 가열하고, 그 후 70℃에서 퓨전제 D 밸브(램프 90mW/cm)로 출력 60%로 6~12초간 UV 조사하여 반사의 중심 파장이 530nm인 비교예 1의 하프 미러를 얻었다.
[비교예 2]
러빙 처리를 실시한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제 PET의 러빙 처리면에, 표 1에 나타내는 도포액 A-1을 건조 후의 건막의 두께가 3㎛가 되도록 실온에서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했다. 도포층을 실온에서 30초간 건조시킨 후, 85℃의 분위기에서 2분간 가열하고, 그 후 70℃에서 퓨전제 D 밸브(램프 90mW/cm)로 출력 60%로 6~12초간 UV 조사하여 액정층을 얻었다. 이 액정층 상에 표 1에 나타내는 도포액 A-2를 건조 후의 건막의 두께가 3.5㎛가 되도록 실온에서 도포하고, 그 후 상기와 동일하게 건조, 가열, UV 조사를 행하여, 2층째의 액정층을 형성했다. 또한 2층째의 액정층 상에 표 1에 나타내는 도포액 A-3을 건조 후의 건막의 두께가 4㎛가 되도록 실온에서 도포하고, 그 후 상기와 동일하게 건조, 가열, UV 조사를 행하여, 3층째의 액정층을 형성하며, 450nm, 530nm, 640nm에 반사 피크 파장을 갖는 비교예 2의 하프 미러를 얻었다.
[비교예 3]
실시예 3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폴리카보네이트제의 투명 기재 표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비교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제작한 콜레스테릭 액정층 2의 PET 베이스를 박리하여 액정층의 PET 박리측을 동일하게 하여 첩합했다. 계속해서 폴리카보네이트의 투명 기재의 다른 한쪽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실시예 3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반사 방지층 부착 필름 1의 TAC면측을 첩합하여, 동일한 순서로 접착하여 비교예 3의 하프 미러를 형성했다.
[비교예 4]
실시예 4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아크릴 수지제의 투명 기재 표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비교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제작한 하프 미러의 PET 베이스를 박리하며 액정층의 PET 박리측을 동일하게 하고 첩합하여 비교예 4의 하프 미러를 얻었다.
[비교예 5]
실시예 4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아크릴 수지제의 투명 기재 표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비교예 2에서 제작한 하프 미러의 액정측을 동일하게 하고 첩합하여, PET 베이스를 박리하여 비교예 5의 하프 미러를 얻었다.
[비교예 6]
실시예 3에 이용한 것과 동등한 폴리카보네이트제 기재의 편측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하프 미러를 형성했다. 또한, 기재의 그것과는 반대측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것에 실시예 3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반사 방지층 부착 필름 1의 TAC면측을 첩합하여, 동일한 순서로 접착하여 비교예 6의 하프 미러를 형성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하프 미러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2에 있어서는, 제작한 하프 미러의 층 구성이 좌측을 투영상 표시측(투사광 입사측)으로 하여 나타나 있으며, 러빙면이 있는 경우는, 그 러빙면의 위치도 층 구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좌측을 투영상 표시측으로 하여 동일하게 나타나 있다. 또, "R반사 Ch"는 640nm에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층, "G반사 Ch"는 530nm에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층, "B반사 Ch"는 450nm에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나타낸다.
표 중의 자연광 투과율은 가시 자외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380nm에서 780nm의 파장 영역에서의 자연광에 대한 평균 투과율을 나타낸다. 투사광 반사율은, 가시 자외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실시예 1과 비교예 1은 530nm의 파장의 자연광에 대한 정반사율이며, 그 이외는 450nm, 530nm, 640nm의 파장의 자연광에 대한 정반사율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반사 불균일 면내 균일성의 평가는, 이하와 같이 하여 행했다. 검은 받침(검은 벨벳) 상에 하프 미러(시료)의 투사광 측면을 위로 하여 수평으로 설치했다. 도 1과 같이 발광면에 직선 편광판을 붙인 백색의 샤카스텐의 광을 시료의 상면으로부터 조사하여, 시료의 반사광의 면내의 균일성을 육안으로 평가했다. 실시예 1(사진 1) 및 비교예 1(사진 2)에 대해서는, 사진에 의한 비교도 도 2에 게재했다.
A 불균일은 시인할 수 없음
B 불균일은 인정되지만 시인하기 어려움
C 불균일이 인정됨
D 불균일이 현저하게 인정됨
이중상의 평가는 하프 미러의 투영광 측면측에 녹색의 레이저 포인터 광을 입사하여, 육안으로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A 이중상의 시인이 어려움
B 이중상이 현저하게 인정됨
[표 1]
Figure 112018017191350-pat00001
[화학식 1]
Figure 112018017191350-pat00002
[표 2]
Figure 112018017191350-pat00003

Claims (21)

  1. 가시광 투과성을 갖는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와, 프로젝터를 갖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가,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 측에 가장 가까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에 있어서, 분자의 배향 방향이 보다 균일한 면이 상기 프로젝터 측의 면이고,
    프로젝터 측에 가장 가까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의 상기 프로젝터 측의 면에 있어서,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형성하는 모든 분자들의 배향 방향의 편차가 40°이내인, 투영상 표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을 3층 이상 포함하고, 상기 3층 이상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은 서로 다른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나타내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3층 이상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 각각의 양 표면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형성하는 모든 분자들의 배향 방향의 편차가 40°이내인, 투영상 표시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3층 이상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이, 먼저 제작된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 표면에 직접, 다른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을 형성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며, 상기 3층 이상의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 중 어느 층 사이에도 다른 층을 포함하지 않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적색광에 대하여 겉보기상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 녹색광에 대하여 겉보기상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 및 청색광에 대하여 겉보기상의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을 포함하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반사 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방지층이 상기 프로젝터 측의 최표면에 있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기재를 포함하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반사 방지층 1,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 기재를 이 순서로 포함하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반사 방지층 1,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 상기 기재, 반사 방지층 2를 이 순서로 포함하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상기 기재에 대하여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의 반대측에 반사 방지층을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기재는 상기 반사 방지층을 포함하지 않아도 이중상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복굴절성이 낮은, 투영상 표시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유리 또는 아크릴 수지인, 투영상 표시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반사 방지층 1, 기재,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컴바이너로서 사용되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의 광원의 발광 파장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의 선택 반사대에 있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
  15.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의 광원의 발광 파장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의 선택 반사대에 있으며,
    상기 프로젝터, 반사 방지층 1,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이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헤드 업 디스플레이로서 사용되는 투영상 표시 시스템.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측에 가장 가까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층의 상기 프로젝터 측의 면에 있어서,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형성하는 모든 분자들의 배향 방향의 편차가 15°이내인, 투영상 표시 시스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87004840A 2013-10-03 2014-10-02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투영상 표시 시스템 KR101944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07939 2013-10-03
JPJP-P-2013-207939 2013-10-03
PCT/JP2014/076402 WO2015050203A1 (ja) 2013-10-03 2014-10-02 投映像表示用ハーフミラ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投映像表示システ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602A Division KR20160052634A (ko) 2013-10-03 2014-10-02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투영상 표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324A KR20180020324A (ko) 2018-02-27
KR101944227B1 true KR101944227B1 (ko) 2019-01-30

Family

ID=527787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602A KR20160052634A (ko) 2013-10-03 2014-10-02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투영상 표시 시스템
KR1020187004840A KR101944227B1 (ko) 2013-10-03 2014-10-02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투영상 표시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602A KR20160052634A (ko) 2013-10-03 2014-10-02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투영상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216414A1 (ko)
EP (1) EP3054326A4 (ko)
JP (2) JP6301350B2 (ko)
KR (2) KR20160052634A (ko)
CN (1) CN105593713B (ko)
WO (1) WO20150502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74368B2 (ja) * 2015-09-30 2019-09-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車両用の画像表示機能付きミラー
JP2017187685A (ja) * 2016-04-07 2017-10-12 日本化薬株式会社 曲面形状の光反射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当該光反射フィルムを用いた光制御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機能性ガラスおよ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CN111066313B (zh) * 2017-09-06 2022-03-25 富士胶片株式会社 摄像装置
CN111051961B (zh) * 2017-09-07 2021-12-24 富士胶片株式会社 投影图像显示用半反射镜膜、投影图像显示用夹层玻璃及图像显示系统
JP7110575B2 (ja) * 2017-10-04 2022-08-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車両
JP7176177B2 (ja) * 2017-10-04 2022-11-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車両
KR102198214B1 (ko) * 2017-11-03 2021-0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배향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및 액정표시소자
CN108873534A (zh) * 2018-07-10 2018-11-23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透蓝光反射红绿光的功能薄膜及其制备方法
KR20200042582A (ko) * 2018-10-15 2020-04-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9828401A (zh) * 2019-03-28 2019-05-31 杭州光粒科技有限公司 基于超支化单体的快速响应聚合物稳定胆甾相液晶光阀及其制备方法
DE102020128073B4 (de) * 2019-10-30 2024-03-2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Anzeige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0618A1 (en) * 2000-12-20 2003-05-15 Keiji Kashima Circularly-polarized-light extraction optical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ptical element
US20050122583A1 (en) * 2003-09-08 2005-06-09 Dai Nippon Printing Co., Ltd.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2006284635A (ja) * 2005-03-31 2006-10-19 Nidec Sankyo Corp 光学ブロック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7670A (en) 1941-12-31 1945-01-23 Du Pont Cementing process
US2367661A (en) 1941-12-31 1945-01-23 Du Pont Process of photopolymerization
US2448828A (en) 1946-09-04 1948-09-07 Du Pont Photopolymerization
US2722512A (en) 1952-10-23 1955-11-01 Du Pont Photopolymerization process
BE567377A (ko) 1957-05-17
US3046127A (en) 1957-10-07 1962-07-24 Du Pont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s, elements and processes
US3549367A (en) 1968-05-24 1970-12-22 Du Pont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s containing triarylimidazolyl dimers and p-aminophenyl ketones
US4212970A (en) 1977-11-28 1980-07-15 Fuji Photo Film Co., Ltd. 2-Halomethyl-5-vinyl-1,3,4-oxadiazole compounds
JPS5928328B2 (ja) 1977-11-29 1984-07-1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光重合性組成物
DE3337024A1 (de) 1983-10-12 1985-04-25 Hoechst Ag, 6230 Frankfurt Lichtempfindliche, trichlormethylgruppen aufweisende verbindung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s lichtempfindliches gemisch
US4683327A (en) 1985-06-24 1987-07-28 Celanese Corporation Anisotropic heat-curable acrylic terminated monomers
JPH01272551A (ja) 1988-04-22 1989-10-31 Dainippon Printing Co Ltd 重合性2官能アクリレートモノマー
US5050966A (en) * 1988-07-06 1991-09-24 Kaiser Aerospace & Electronics Corporation Optical combiner collimating apparatus
US4900133A (en) * 1988-10-27 1990-02-13 Kaiser Electronics Heads-up display combiner utilizing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element
JP2989688B2 (ja) 1991-06-26 1999-12-13 コニカ株式会社 トナーおよび現像剤ならびに画像形成方法
JPH05107660A (ja) * 1991-10-18 1993-04-30 Fujitsu General Ltd 投射型液晶プロジエクシヨンシステム
JP3228348B2 (ja) 1992-07-03 2001-11-12 キヤノン株式会社 高分子液晶化合物、液晶組成物および液晶素子
JP3513888B2 (ja) 1993-08-16 2004-03-31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DE69422256D1 (de) 1993-10-15 2000-01-27 Merck Patent Gmbh Reaktive Flüssigkristallverbindungen
DE4405316A1 (de) 1994-02-19 1995-08-24 Basf Ag Neue polymerisierbare flüssigkristalline Verbindungen
DE4408170A1 (de) 1994-03-11 1995-09-14 Basf Ag Neue polymerisierbare flüssigkristalline Verbindungen
JPH08110401A (ja) 1994-10-07 1996-04-30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透明高屈折率皮膜及び透明積層体
JPH08122504A (ja) 1994-10-24 1996-05-17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DE19532408A1 (de) 1995-09-01 1997-03-06 Basf Ag Polymerisierbare flüssigkristalline Verbindungen
GB2306470B (en) 1995-10-05 1999-11-03 Merck Patent Gmbh Reactive liquid crystalline compound
JPH09258020A (ja) 1996-03-26 1997-10-03 Nippon Sheet Glass Co Ltd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および装置
DE19649056A1 (de) 1996-11-27 1998-05-28 Basf Ag Polymerisierbare Oligomesogene
JPH10300902A (ja) 1997-01-20 1998-11-13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06603A (ja) 1997-01-20 1998-08-07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EP0983225B1 (en) 1997-05-22 2003-12-17 Rolic AG New polymerisable liquid crystalline compounds
JPH10325940A (ja) * 1997-05-26 1998-12-08 Seiko Epson Corp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H1152283A (ja) 1997-07-29 1999-02-26 Asahi Glass Co Ltd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用コンバイナーおよ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3963035B2 (ja) 1997-09-05 2007-08-22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液晶性(メタ)アクリレート化合物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異方体
JP3591699B2 (ja) * 1997-10-09 2004-11-2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素子、光学素子、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H11249062A (ja) * 1998-03-04 1999-09-17 Asahi Glass Co Ltd 情報表示装置
US6437194B2 (en) * 1998-03-23 2002-08-20 Mitsui Chemicals, Inc. Process for preparing an alkylcyclohexanol alkylene oxide adduct
JPH11271529A (ja) * 1998-03-24 1999-10-08 Nippon Mitsubishi Oil Corp 光選択透過性素子
JP2000111706A (ja) 1998-09-30 2000-04-21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防止膜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4309072B2 (ja) 2000-03-13 2009-08-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重合性液晶化合物および光学異方性素子
JP4287598B2 (ja) 2000-06-27 2009-07-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反応型カイ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カラーフィルタ、光学フィルム、記録媒体、及び液晶の捻れ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
JP4287599B2 (ja) 2000-06-27 2009-07-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反応型光学活性化合物、光反応型カイ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カラーフィルタ、光学フィルム、記録媒体、及び液晶の捻れ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
JP2002040212A (ja) * 2000-07-25 2002-02-06 Toppan Printing Co Ltd 半透過反射膜の作製方法
JP2002169026A (ja) * 2000-09-25 2002-06-14 Fuji Photo Film Co Ltd コリメータ及び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
JP2002179670A (ja) 2000-12-14 2002-06-26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活性化合物、光反応型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の螺旋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液晶の螺旋構造を固定化する方法、液晶カラーフィルタ、光学フィル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2179669A (ja) 2000-12-14 2002-06-26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活性化合物、光反応型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の捻れ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液晶の螺旋構造を固定化する方法、液晶カラーフィルタ、光学フィルム及び記録媒体
JP2002179681A (ja) 2000-12-15 2002-06-26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活性化合物、光反応型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カラーフィルタ、光学フィルム及び記録媒体、並びに液晶の螺旋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液晶の螺旋構造を固定化する方法
JP2002179682A (ja) 2000-12-15 2002-06-26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活性化合物、光反応型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カラーフィルタ、光学フィルム及び記録媒体、並びに液晶の螺旋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液晶の螺旋構造を固定化する方法
JP2002179668A (ja) 2000-12-15 2002-06-26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活性化合物、液晶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カラーフィルター、光学フイルム及び記録媒体
JP3745221B2 (ja) * 2000-12-20 2006-02-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円偏光抽出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偏光光源装置、液晶表示装置
JP4918743B2 (ja) 2001-02-16 2012-04-18 凸版印刷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
JP2002243906A (ja) 2001-02-21 2002-08-28 Toppan Printing Co Ltd 反射防止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024012B2 (ja) 2001-05-15 2007-12-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活性ポリエステル、光反応型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カラーフィルタ、光学フィルム及び記録媒体、並びに液晶の螺旋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液晶の螺旋構造を固定化する方法
JP2002338575A (ja) 2001-05-16 2002-11-27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活性イソソルビド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光反応型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カラーフィルタ、光学フィルム及び記録媒体、並びに液晶の螺旋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液晶の螺旋構造を固定化する方法
JP2003202406A (ja) 2001-10-25 2003-07-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3292831A (ja) 2002-04-02 2003-10-15 Toppan Printing Co Ltd 低屈折率コーティング剤及び反射防止フィルム
JP4105890B2 (ja) 2002-04-19 2008-06-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活性ポリエステル/アミド、光反応型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カラーフィルター、光学フィルム及び記録媒体、並びに液晶の螺旋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液晶の螺旋構造を固定化する方法
JP2003313189A (ja) 2002-04-22 2003-11-06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活性イソソルビド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光反応型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カラーフィルター、光学フィルム及び記録媒体、並びに液晶の螺旋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液晶の螺旋構造を固定化する方法
US6952312B2 (en) * 2002-12-31 2005-10-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ead-up display with polarized light source and wide-angle p-polarization reflective polarizer
ITMI20031454A1 (it) * 2003-07-16 2005-01-17 Univer Spa Dispositivo di aggancio compatto per pezzi da lavorare
JP2005292423A (ja) * 2004-03-31 2005-10-20 Dainippon Printing Co Ltd 偏光選択反射シート並びにそれを備えた投影スクリーン及び投影システム
US7903048B2 (en) 2004-06-18 2011-03-08 Pioneer Corporatio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navigation apparatus
KR101214934B1 (ko) * 2005-01-27 2012-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렌즈, 이를 갖는 광학 모듈, 이를 갖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20060087863A1 (en) * 2004-10-11 2006-04-27 Jin-Sung Choi Optical lens system,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JP2007272185A (ja) 2006-03-10 2007-10-18 Fujifilm Corp 組成物、位相差板、液晶表示装置、平均チルト角調整剤、平均チルト角の調整方法
JP2007264113A (ja) 2006-03-27 2007-10-11 Fujifilm Corp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990665B2 (ja) 2006-04-05 2012-08-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5271575B2 (ja) 2007-03-20 2013-08-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318132B2 (ja) * 2011-03-01 2013-10-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赤外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51672B2 (ja) 2011-03-25 2014-03-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反射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975889B1 (ja) 2012-02-07 2012-07-1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制御方法、及び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0618A1 (en) * 2000-12-20 2003-05-15 Keiji Kashima Circularly-polarized-light extraction optical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ptical element
US20050122583A1 (en) * 2003-09-08 2005-06-09 Dai Nippon Printing Co., Ltd.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2006284635A (ja) * 2005-03-31 2006-10-19 Nidec Sankyo Corp 光学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01350B2 (ja) 2018-03-28
JP2018120228A (ja) 2018-08-02
CN105593713B (zh) 2018-07-31
WO2015050203A1 (ja) 2015-04-09
US20160216414A1 (en) 2016-07-28
EP3054326A4 (en) 2016-09-21
KR20180020324A (ko) 2018-02-27
KR20160052634A (ko) 2016-05-12
EP3054326A1 (en) 2016-08-10
JPWO2015050203A1 (ja) 2017-03-09
CN105593713A (zh)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227B1 (ko) 투영상 표시용 하프 미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투영상 표시 시스템
JP6336572B2 (ja) 反射部材、投映スクリーン、コンバイナ、および、遮熱部材
JP6114728B2 (ja) 投映像表示用部材および投映像表示システム
JP6513784B2 (ja) コンバイナおよ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6580143B2 (ja) 投映システムおよび投映システムの中間像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2018151636A (ja) 投映像表示用ハーフミラーおよび投映像表示システム
JP6602727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WO2016052367A1 (ja) 投映像表示用部材および投映像表示システム
US10908491B2 (en) Optical film
WO2015025909A1 (ja) 円偏光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応用
WO2014181799A1 (ja) 円偏光分離フィルム、円偏光分離フィルムの製造方法、赤外線センサー、ならびに光を利用した検知システムおよび検知方法
JP6194256B2 (ja) 投映システム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JP6286440B2 (ja) 投映像表示用ハーフミラーおよび投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5025956A (ja) 円偏光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応用
JP2018081296A (ja) ウインドシールドガラス、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ハーフミラーフィルム
JP6193471B2 (ja) 投映像表示用部材および投映像表示用部材を含む投映システム
JP6676154B2 (ja) 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WO2022176758A1 (ja) 虚像表示装置
JP2021056321A (ja) プロジェクター用反射部材およ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用プロジェク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