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765B1 -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 Google Patents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765B1
KR101942765B1 KR1020177006629A KR20177006629A KR101942765B1 KR 101942765 B1 KR101942765 B1 KR 101942765B1 KR 1020177006629 A KR1020177006629 A KR 1020177006629A KR 20177006629 A KR20177006629 A KR 20177006629A KR 101942765 B1 KR101942765 B1 KR 101942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molecular weight
polypropylene
film
polypropyle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2448A (ko
Inventor
마사히로 나카타
카즈오 이케다
타다카즈 이시와타
아키히로 가케히
요시노리 마츠오
유이치 시시도
시게오 무라세
Original Assignee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2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7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14Organic dielectrics
    • H01G4/18Organic dielectrics of synthetic material, e.g. derivatives of cellul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C23C14/20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organic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2Wound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6Capac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4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초기 내전압성이 우수하고, 장기적인 내열성 및 내전압성이 우수하며, 두께가 얇은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금속화된 그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한다. 광각 X선 회절법에 의해 측정한 α정(040)면 반사 피크의 반값폭으로부터 Scherrer의 식에 의해 구한 결정자 사이즈가 122Å 이하이고, 광학적 복굴절 측정에 의해 구한 두께 방향에 대한 복굴절값ΔNyz의 값이 7.0×10-3 이상 10.0×10-3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축 연신하여 얻어지는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다.

Description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FOR CAPACITOR}
본 발명은 박막화해도 높은 절연 파괴 전압을 갖는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하, 고전압이 인가되는 고용량의 콘덴서로서, 박막이어도 장기간 바람직하게 사용 가능한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관한 것이다.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전자 및 전기 기기에 사용되고, 그 내전압성 및 낮은 유전 손실 특성 등의 우수한 전기 특성 및 높은 내습성 때문에, 예를 들면, 고전압 콘덴서, 각종 스위칭 전원, 컨버터 및 인버터 등의 필터용 콘덴서 및 평활용 콘덴서 등의 콘덴서용 유전체 필름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콘덴서의 소형화 및 고용량화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콘덴서의 체적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정전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름의 체적을 작게 하는 것, 즉, 필름을 얇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두께가 보다 얇은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전원 기기용 콘덴서로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인버터 전원 기기용 콘덴서는 소형, 경량 및 고용량으로, -40℃∼90℃라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장기간에 걸친 높은 내전압성(즉, 정전 용량의 유지)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아이소택티시티와 입체 규칙성을 고도의 입체 규칙성을 갖는 특정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아이소택티시티가 높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막이 가능하다는 것을 개시한다. 또한, 특허문헌 1은 적절한 제막 조건을 사용함으로써,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열수축률이 적정화되어, 고온에서의 내절연 파괴 특성이 향상되고, 고온에서 장기적인 열화가 억제된 콘덴서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한다(특허문헌 1 [청구항 1] 및 [0013] 참조).
또한, 특허문헌 2는 필름 표면의 적어도 일방의 면이 배껍질 모양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기층을 갖고, 당해 표면의 10점 평균 조도(Rz)가 0.50∼1.50㎛이며, 표면 광택이 90∼135%인 특정의 표면 특성을 갖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두께가 얇아도 가공 적성이 우수하고, -40℃∼90℃의 온도 범위에서 높은 내전압성을 갖는 것을 개시한다(특허문헌 2 [청구항 1] 및 [0020] 참조).
그러나, 일반적으로 입체 규칙성을 높게 하면, 결정성도 높아져 연신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연신 중에 필름이 파단하기 쉬워져 제조상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1 및 2로는 근래의 콘덴서에 대한 현저하게 엄격한 요구에 불충분하다.
또한, 필름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캐스트 원반 시트의 연신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그러나, 연신성의 향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입체 규칙성 및 결정성이 높아지는 것에 의한 내전압성 향상과 일반적으로 상반된다.
특허문헌 3은 특정의 중량 평균 분자량, 특정의 분자량 분포 및 특정의 입체 규칙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해, β정 분율이 비교적 낮은 특정 범위로 제어된 캐스트 원반 시트를 개시한다. 또한, 특허문헌 3은 이 시트로부터, 가공 적성이 우수하고, 높은 내전압성을 가지며, 필름 두께가 얇은 2축 연신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한다(특허문헌 3 [청구항 1], [0001] 및 [0015] 등 참조). 그러나, 고온하에서의 내전압성에 관한 근래의 엄격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특허문헌 4는 비교적 고결정성을 갖고, 특정의 분자량 성분 및 그에 수반되는 특이한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에 의해, 고도의 입체 규칙성을 가지지 않고 높은 내전압성을 가지며, 얇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4는 고온하에서의 내전압성에 관한 근래의 엄격한 요구에 대해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
특허문헌 5는 특정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 특정의 Mn, 특정의 Mw/Mn 및 특정의 Mz/Mn를 갖고, 또한 특정의 입체 규칙성 지표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원료로 하는 β정 분율이 높은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개시한다. 멜트 플로우 레이트 등을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β정 생성에 관한 효과 및 성형성 등은 개선되었지만, 근래의 고내열성 및 고내전압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특허문헌 6은 1단계의 간편한 제조 방법으로, 넓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제조되는 β정 분율이 높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개시한다. 그러나, 두께가 얇고, 내전압성이 향상되며, 또한 근래의 엄격한 요구를 만족하는 필름을 얻는 것은 특허문헌 6으로도 불충분하다.
콘덴서 산업은 진전이 현저하기 때문에, 콘덴서의 추가적인 소형화, 즉 보다 추가적인 박막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보다 초기 내전압성이 우수하고, 또한 보다 장기간 사용 가능한, 즉, 보다 장기적인 내전압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들을 만족하는 것은 얻어지지 않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19127호(2-5페이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46898호(5-7페이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37988호(2-4페이지) 국제공개공보 WO2009-060944호(3-11페이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75932호(2-4페이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57473호(2-3페이지)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에 걸쳐 내열성 및 내전압성이 우수한(정전 용량의 감소가 적은) 콘덴서를 얻기 위한, 높은 절연 파괴 전압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얇은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그러한 콘덴서용 금속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그러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한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놀랍게도 결정자 사이즈를 특정 사이즈 이하로 제어한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비록 두께가 얇아도 고온하에서 높은 절연 파괴 전압을 나타내기 때문에, 콘덴서로 했을 때의 장기간에 걸친 내열성 및 내전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일 요지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축 연신하여 얻어지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서,
광각 X선 회절법에 의해 측정한 α정(040)면 반사 피크의 반값폭으로부터 Scherrer의 식에 의해 구한 결정자 사이즈가 122Å 이하이고,
광학적 복굴절 측정에 의해 구한 두께 방향에 대한 복굴절값ΔNyz의 값이 7.0×10-3 이상, 10.0×10-3 이하인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당해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있어서, 일 시야당 240㎛×180㎛의 범위 내에서, 광간섭식 비접촉 표면 형상 측정기를 이용하여 표면 형상의 계측을 행했을 때, 높이 0.02㎛ 이상의 돌기부 총체적이 일 시야당 10㎛3 이상, 120㎛3 이하인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 양태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25만 이상 45만 이하;
분자량 분포(Mw/Mn)가 7.0 이상 12.0 이하;
Z평균 분자량/수평균 분자량(Mz/Mn)이 20.0 이상 70.0 이하;
분자량 분포 곡선에 있어서, 대수 분자량 Log(M)=4.5일 때의 미분 분포값에서 Log(M)=6.0일 때의 미분 분포값을 뺀 차가 8.0% 이상 18.0% 이하; 및
메소펜타드 분율([mmmm])이 94.0% 이상 98.0% 미만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A를 포함하는,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양태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Mw가 30만 이상 40만 이하; Mw/Mn이 7.0 이상 9.0 이하; 및 분자량 분포 곡선에 있어서, 대수 분자량 Log(M)=4.5일 때의 미분 분포값에서 Log(M)=6.0일 때의 미분 분포값을 뺀 차가 1.0% 이상 8.0% 미만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B를 추가로 포함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B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전체를 100중량%로 하여 10중량% 이상 45중량% 이하 포함되는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1.0㎛ 이상 6.0㎛ 이하의 두께를 갖는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카르보닐기를 갖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기준(100중량부)으로 하여 필름 중의 함유량이 4000ppm(질량 기준) 이상 6000ppm(질량 기준) 이하인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표면 조도가 중심선 평균 조도(Ra)로 0.03㎛ 이상 0.08㎛ 이하이고, 최대 높이(Rz)로 0.3㎛ 이상 0.8㎛ 이하인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있어서, 장쇄 분기 폴리프로필렌(분기형 폴리프로필렌, 이하 「폴리프로필렌 수지 C라고도 한다」)을 포함하는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요지에 있어서, 상술한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금속 증착을 실시한 콘덴서용 금속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요지에 있어서, 상술한 콘덴서용 금속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콘덴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광각 X선 회절법에 의해 측정한 α정(040)면 반사 피크의 반값폭으로부터 Scherrer의 식에 의해 구한 결정자 사이즈가 122Å 이하이고, 광학적 복굴절 측정에 의해 구한 두께 방향에 대한 복굴절값ΔNyz의 값이 7.0×10-3 이상, 10.0×10-3 이하이므로, 필름 자신이 고온하에서도 높은 절연 파괴 전압을 갖고 있다. 따라서, 고온하, 높은 직류 전압을 장기간 인가했다 하더라도, 정전 용량의 감소가 적고, 또한 장기간 내열성 및 내전압성이 우수한 콘덴서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다 두께가 얇은 콘덴서를 얻을 수 있다.
당해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있어서, 일 시야당 240㎛×180㎛의 범위 내에서, 광간섭식 비접촉 표면 형상 측정기를 이용하여 표면 형상의 계측을 행했을 때, 높이 0.02㎛ 이상의 돌기부 총체적이 일 시야당 10㎛3 이상, 120㎛3 이하인 경우, 장기간에 걸친 내전압성이 보다 향상된 콘덴서를 얻을 수 있다.
적어도 1종의 카르보닐기를 갖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기준(100중량부)으로 하여 필름 중의 함유량이 4000ppm(질량 기준) 이상 6000ppm(질량 기준) 이하인 경우,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산화 열화 작용이 억제되어 콘덴서로 했을 때의 장기 내용성이 보다 향상된다.
적어도 한쪽의 표면 조도가 중심선 평균 조도(Ra)로 0.03㎛ 이상 0.08㎛ 이하이고, 최대 높이(Rz)로 0.3㎛ 이상 0.8㎛ 이하인 경우,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소자 권취 가공 적성이 개선되며, 권취했을 때 필름끼리의 사이에 균일한 접촉을 일으키므로, 내전압성(높은 절연 파괴 전압) 및 장기간에 걸친 내전압성이 보다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폴리프로필렌 필름 콘덴서의 사용 가능 온도의 고온화, 정격 전압의 고압화, 장기 수명화(장기 내용화), 소형·고용량화를 효과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축 연신하여 얻어지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서, 하기 2개의 특징을 갖는다:
(1) 광각 X선 회절법에 의해 측정한 α정(040)면 반사 피크의 반값폭으로부터 Scherrer의 식에 의해 구한 결정자 사이즈가 122Å 이하이고; 및
(2) 광학적 복굴절 측정에 의해 구한 두께 방향에 대한 복굴절값ΔNyz의 값이 7.0×10-3 이상, 10.0×10-3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상기 2개의 특징에 더하여, 하기 특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당해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있어서, 일 시야당 240㎛×180㎛의 범위 내에서, 광간섭식 비접촉 표면 형상 측정기를 이용하여 표면 형상의 계측을 행했을 때, 높이 0.02㎛ 이상의 돌기부 총체적이 일 시야당 10㎛3 이상, 120㎛3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결정자 사이즈」란, 광각 X선 회절법(XRD법)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α정(040)면 회절 반사 피크를 사용하고, 후술하는 Scherrer의 식을 이용하여 구해지는 결정자 사이즈를 말한다. 그 결정자 사이즈는 122Å 이하이고, 120Å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정자 사이즈는 100Å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Å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15Å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결정자 사이즈는 110Å 이상 120Å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5Å 이상 120Å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결정자 사이즈가 작을수록 누출 전류가 작아져, 줄 발열에 의한 구조 파괴가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내열성, 내전압성 및 장기간에 걸친 내열성 및 내전압성이 바람직하게 향상된다. 그러나, 기계적 강도 등의 관점 및 고분자 사슬의 라멜라(절첩 결정) 두께를 고려하면, 결정자 사이즈의 하한은 통상, 100Å 전후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결정자 사이즈」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하였다. 우선,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금속화 필름의 광각 X선 회절 측정을 행하고, 얻어진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의 α정(040)면의 회절 반사 피크의 반값폭을 구하였다. 이어서, 하기 수식(1)에 나타내는 Scherrer의 식을 이용하여 결정자 사이즈를 계산하였다.
수식(1): D=K×λ/(β×Cosθ)
[여기서, D는 결정자 사이즈(Å), K는 정수(형상 인자), λ는 사용 X선의 파장(Å), β는 α정(040)면의 회절 반사 피크의 반값폭, θ은 α정(040)면의 회절 브랙각이다]
본 발명에서는 α정(040)면의 회절 반사 피크를 측정하기 위해, 구체적으로는 리가쿠사 제조의 데스크톱 X선 회절 장치 MiniFlex300(상품명)을 사용하였다. 출력 30㎸, 10㎃로 발생시킨 X선을 사용하였다. 수광 모노크로미터로 단색화한 CuKα선(파장 1.5418Å)을 슬릿으로 평행화하여, 측정 필름에 조사하였다. 회절 강도는 신틸레이션 카운터를 사용하고, 고니오미터를 사용해 2θ/θ 연동 주사하여 측정하였다. 장치에 표준으로 부속되어 있는 통합 분말 X선 해석 소프트웨어 PDXL을 이용하고, 얻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α정(040)면의 회절 반사 피크의 반값폭을 구하였다.
상술한 측정에 의해, 얻어진 회절 반사 피크의 θ 및 반값폭을 이용하고, (1)식의 Scherrer의 식을 이용해 결정자 사이즈를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형상 인자 정수 K=0.94를 사용하고, λ=1.5418Å이다.
일반적으로, 결정자 사이즈는 캐스트 원반을 얻을 때의 냉각 조건 및 연신 조건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캐스트 온도가 낮을수록 결정자 사이즈는 작아지는 경향이 있고, 연신 배율이 높을수록 결정자 사이즈는 작아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 방향에 대한 「복굴절값ΔNyz」란, 광학적 복굴절 측정에 의해 구해지는 두께 방향에 대한 복굴절값ΔNyz를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름의 면내 방향의 주축을 x축 및 y축, 또한, 필름의 두께 방향(면내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을 z축으로 하고, 면내 방향 중, 굴절률이 보다 높은 방향의 지상축(遲相軸)을 x축으로 하면, y축 방향의 3차원 굴절률에서 z축 방향의 3차원 굴절률을 뺀 값이 복굴절값ΔNyz가 된다.
필름의 배향 강도의 지표로서, 복굴절값ΔNyz의 값을 사용할 수 있다. 필름의 배향 강도가 강한 경우, 면내 굴절률인 y축 방향의 3차원 굴절률이 높아지고, 두께 방향의 굴절률인 z축 방향의 3차원 굴절률이 낮아지므로, 복굴절값ΔNyz의 값이 커진다.
본 발명의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 방향에 대한 복굴절값ΔNyz의 값은 7.0×10-3 이상 10.0×10-3 이하이다. 7.0×10-3 이상 9.0×10-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5×10-3 이상 9.0×10-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복굴절값ΔNyz의 값이 7.0×10-3보다 낮으면, 필름의 배향이 충분하다고 할 수 없고, 내전압성, 장기간에 걸친 내전압성도 불충분해진다. 한편, 복굴절값ΔNyz의 값이 10.0×10-3보다 높아지는 고배향 필름을 얻는 것은 제막성의 관점에서 곤란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 방향에 대한 「복굴절값ΔNyz」를 측정하기 위해, 구체적으로는 오츠카 전자 주식회사 제조, 위상차 측정 장치 RE-100을 이용하였다. 리타데이션(위상차)의 측정을 경사법을 이용하여 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름의 면내 방향의 주축을 x축 및 y축, 또한, 필름의 두께 방향(면내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을 z축으로 하고, 면내 방향 중, 굴절률이 보다 높은 방향의 지상축을 x축으로 하였다. x축을 경사축으로 하고, 0°∼50°의 범위에서 z축에 대해 경사시켰을 때의 리타데이션값을 구하였다. 얻어진 리타데이션값으로부터, 비특허문헌 「아와야 유타카, 고분자 소재의 편광 현미경 입문, 105∼120페이지, 2001년」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두께 방향(z축 방향)에 대한 y축 방향의 복굴절ΔNyz를 계산하였다. 여기서, 예를 들면, 순차 연신법에 있어서, MD 방향(진행 방향)의 연신 배율보다 TD 방향(폭 방향)의 연신 배율이 높은 경우, TD 방향이 지상축(x축)이 되고, MD 방향이 y축이 된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면 방향에 배향을 부여하면, 두께 방향의 굴절률 Nz가 변화하고, 복굴절ΔNyz가 커져, 내전압성이 향상된다(절연 파괴 전압이 높아진다). 이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폴리프로필렌 분자 사슬이 면 방향으로 배향되면, 두께 방향의 굴절률 Nz는 낮아진다. 필름 두께 방향의 전기 전도성은 분자 사슬간에서의 전달이 되므로 낮아진다. 따라서, 폴리프로필렌 분자 사슬이 면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지 않는(복굴절ΔNyz가 작은) 경우, 전기 전도성은 분자 사슬 내에서의 전달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폴리프로필렌 분자 사슬이 면 방향으로 배향된(복굴절ΔNyz가 큰) 경우와 비교해, 내전압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제막 조건(고연신 배율화 등)을 변경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분자 사슬의 배향을 변경하여 「복굴절값ΔNyz」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복굴절값ΔNyz」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필름 표면의 「높이 0.02㎛ 이상의 돌기부 총체적」이란, 일 시야당 240㎛×180㎛의 범위 내에서, 광간섭식 비접촉 표면 형상 측정기를 이용하여 표면 형상의 계측을 행했을 때 관찰되는 높이가 0.02㎛ 이상인 돌기부의 체적 합계를 말하며, 그 체적의 합계는 일 시야당 10㎛3 이상, 120㎛3 이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그 적어도 한쪽 면의 표면에 있어서, 높이 0.02㎛ 이상의 돌기부 총체적이 일 시야당 10㎛3 이상 120㎛3 이하인 미세하게 조화(粗化)된 표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 시야당 10㎛3 이상 100㎛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일 시야당 10㎛3 이상 80㎛3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일 시야당 10㎛3 이상 50㎛3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돌기부 총체적은 낮은 것이, 장기간에 걸친 내전압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돌기부 총체적이 일 시야당 10㎛3보다 작은 경우, 표면이 지나치게 평활해져 미끄러짐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권취 특성(콘덴서 소자의 권취를 포함한다)이 악화되어, 권취 가공시에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생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콘덴서의 내전압성도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돌기부 총체적이 120㎛3보다 큰 경우, 권취 가공 및 콘덴서 가공시 필름간에 적당한 공극이 발생하여 주름이 생기기 어렵다. 그러나, 필름간의 층간 공극이 커지므로 두께당 중량이 저하되고, 내전압성 및 장기간에 걸친 내전압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필름 표면의 높이 0.02㎛ 이상의 돌기부 총체적이 일 시야당 10㎛3 이상 120㎛3 이하인 경우, 본 발명의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미세하게 조화된 표면을 갖는다. 콘덴서로 가공하는 경우, 소자 권취 가공을 할 때 권취 주름이 발생하지 않고, 최적으로 권취할 수 있다. 그 결과, 필름끼리의 사이에 균일한 접촉을 일으키므로, 내전압성(높은 절연 파괴 전압) 및 장기간에 걸친 내전압성도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 0.02㎛ 이상의 돌기부 총체적」은, 구체적으로는, 광간섭식 비접촉 표면 형상 측정기를 사용하고 3차원 표면 조도 평가법을 이용하여, 표면 형상을 계측함으로써 구하였다. 「3차원 표면 조도 평가법」은 필름 표면의 전체면 높이를 평가하므로, 상술한 필름간의 공극을 3차원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따라서, 측정 대상면의 국소적인 미세 변화나 변이를 파악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표면 조도를 평가할 수 있다. 단순한 돌기의 높이(일반적인 중심선 평균 조도 Ra 등에 의한 2차원의 표면 조도 평가)가 아닌 3차원적인 돌기부의 합계 체적을 사용해 필름간의 공극을 평가하게 되어, 보다 양호한 내전압성 및 장기간에 걸친 내전압성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높이 0.02㎛ 이상의 돌기부 총체적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료카 시스템 제조의 「VertScan2.0(형식: R5500GML)」을 광간섭식 비접촉 표면 형상 측정기로서 사용해 측정하였다. 측정에는 WAVE 모드를 사용하고, 530 white 필터 및 ×20 대물 렌즈를 사용해, 일 시야당 240㎛×180㎛의 계측을 계측 대상의 필름 표면의 임의의 10개 지점에 대해 행하였다. 얻어진 데이터는 메디안 필터에 의한 노이즈 제거 처리를 행한 후, 컷오프값 30㎛에 의한 가우시안 필터 처리를 행하여, 기복 성분을 제거하였다. 이로 인해, 조면화 표면 상태를 적절히 계측할 수 있는 상태로 하였다.
높이 0.02㎛ 이상의 돌기부 총체적은 「VertScan2.0」의 해석 소프트웨어 「VS-Viewer」의 플러그인 기능 「베어링」을 사용해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하였다. 즉, 「산측 높이 역치」를 소정 높이(즉, 0.02㎛)로 설정한 후, 「산측 체적」으로서 표시되는 것이 일 시야당의 돌기 총체적이 된다. 이 측정을 10개 지점에 대해 행하고, 그 평균값을 일 시야당의 돌기부 총체적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 0.02㎛ 이상의 돌기부 총체적은 엠보스법 및 에칭법 등 공지의 조면화 방법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불순물의 혼입 등의 필요가 없는 β정을 사용하는 표면 조화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β정의 생성 비율은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분자 구조 등의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캐스트 온도 및 캐스트 스피드 등의 연신 조건에 의해서도 β정의 비율을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종연신 공정의 롤 온도에서는 β정의 융해 비율을 제어할 수 있다. β정 생성 및 융해의 2개 파라미터에 대해 최적인 제조 조건을 선택함으로써, 표면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1.0㎛ 이상 6.0㎛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 4.0㎛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8㎛ 이상 3.5㎛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또한, 1.8㎛ 이상 3.0㎛ 미만의 두께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두께가 극히 얇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는 마이크로 미터(JIS-B7502)를 이용하고, JIS-C233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값을 말한다.
본 발명의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축 연신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1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만을 포함해도 되고, 2종 이상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해도 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5만 이상 45만 이하이며, 25만 이상 4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5만 이상 45만 이하이므로, 수지 유동성이 적당하고, 캐스트 원반 시트의 두께 제어가 용이하며, 얇은 연신 필름을 제작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시트 및 필름의 두께에 편차가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시트가 적당한 연신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A는 7.0 이상 12.0 이하의 분자량 분포(중량 평균 분자량/수평균 분자량(Mw/Mn))을 갖고, 7.5 이상 12.0 이하의 것(Mw/Mn)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7.5 이상 11.0 이하의 것(Mw/Mn)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A는 20.0 이상 70.0 이하의 분자량 분포(Z평균 분자량/수평균 분자량(Mz/Mn))을 갖고, 25.0 이상 60.0 이하의 분자량 분포(Mz/Mn)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25.0 이상 50.0 이하의 분자량 분포(Mz/Mn)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전체를 100중량%로 하면, 폴리프로필렌 수지 A를 50중량% 이상, 90중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5중량% 이상, 85중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0중량% 이상 80중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수평균 분자량(Mn), Z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Mw/Mn 및 Mz/Mn)는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프(GPC)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소 주식회사 제조, 시차 굴절계(RI) 내장형 고온 GPC 측정기의 HLC-8121GPC-HT(상품명)를 사용해 측정할 수 있다. GPC 컬럼으로서 도소 주식회사 제조의 3개의 TSKgel GMHHR-H(20)HT를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컬럼 온도를 140℃로 설정하고, 용리액으로서 트리클로로벤젠을 1.0㎖/10분의 유속으로 흘려, Mw와 Mn의 측정값을 얻었다. 도소 주식회사 제조의 표준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그 분자량 M에 관한 검량선을 작성하고, 측정값을 폴리스티렌값으로 환산하여 Mw, Mn 및 Mz를 얻었다. 또한, 표준 폴리스티렌의 분자량 M의 밑 10의 대수를 대수 분자량(「Log(M)」)이라고 한다.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A는 분자량 미분 분포 곡선에 있어서, 대수 분자량 Log(M)=4.5일 때의 미분 분포값에서 Log(M)=6.0일 때의 미분 분포값을 뺀 차가 Log(M)=6.0일 때의 미분 분포값을 100%(기준)로 하면, 8.0% 이상 18.0% 이하이며, 10.0% 이상 1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이상 1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A가 갖는 Mw의 값(25만∼45만)으로부터, 저분자량측의 분자량 1만 내지 10만의 성분(이하, 「저분자량 성분」이라고도 한다)의 대표적인 분포값으로 하고, 대수 분자량 Log(M)=4.5의 성분을 고분자량측의 분자량 100만 전후의 성분(이하, 「고분자량 성분」이라고도 한다)의 대표적인 분포값으로 하여, Log(M)=6.0 전후의 성분과 비교하면, 저분자량 성분 쪽이 8.0% 이상 18.0% 이하의 비율로 많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즉, 분자량 분포 Mw/Mn이 7.0∼12.0이라 해도, 단순히 분자량 분포폭의 너비를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고, 그 중의 고분자량 성분, 저분자량 성분의 양적인 관계까지는 알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A는 넓은 분자량 분포를 가짐과 동시에, 분자량 1만 내지 10만의 성분을 분자량 100만의 성분과 비교하여, 8.0% 이상 18.0% 이하의 비율로 많이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A는 대수 분자량 Log(M)=4.5일 때의 미분 분포값에서 Log(M)=6.0일 때의 미분 분포값을 뺀 차가 Log(M)=6.0일 때의 미분 분포값을 100%(기준)로 하면 8.0% 이상 18.0% 이하이므로, 저분자량 성분을 고분자량 성분과 비교하면, 8.0% 이상 18.0% 이하의 비율로 많이 포함하게 되므로, 결정자 사이즈가 보다 작아져, 원하는 배향성 및 조화된 표면을 얻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이러한 미분 분포값은 GPC를 사용하고, 다음과 같이 하여 얻을 수 있다. GPC의 시차 굴절(RI) 검출계에 의해 얻어지는 시간에 대한 강도를 나타내는 곡선(일반적으로는 「용출 곡선」이라고도 한다)을 사용한다. 표준 폴리스티렌을 사용해 얻은 검량선을 사용하여, 시간축을 대수 분자량(Log(M))로 변환함으로써, 용출 곡선을 Log(M)에 대한 강도를 나타내는 곡선으로 변환한다. RI 검출 강도는 성분 농도와 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강도를 나타내는 곡선의 전체 면적을 100%로 하면, 대수 분자량 Log(M)에 대한 적분 분포 곡선을 얻을 수 있다. 미분 분포 곡선은 이 적분 분포 곡선을 Log(M)로 미분함으로써 얻는다. 따라서 「미분 분포」란, 농도 분율의 분자량에 대한 미분 분포를 의미한다. 이 곡선으로부터 특정 Log(M)일 때의 미분 분포값을 판독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계를 얻을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A는 메소펜타드 분율([mmmm])이 94.0% 이상 98.0% 미만이고, 95.0% 이상 9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소펜타드 분율[mmmm]이 94.0% 이상 98.0% 미만인 경우, 적당히 높은 입체 규칙성에 의해 수지의 결정성이 적당히 향상되고, 초기 내전압성 및 장기간에 걸친 내전압성이 적당히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캐스트 원반 시트 성형시의 고화(결정화)의 속도가 적당하며, 적당한 연신성을 가질 수 있다.
메소펜타드 분율([mmmm])은 고온 핵자기 공명(NMR) 측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입체 규칙성의 지표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니혼 덴시 주식회사 제조, 고온형 푸리에 변환 핵자기 공명 장치(고온 FT-NMR), JNM-ECP500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관측핵은 13C(125MHz)이고, 측정 온도는 135℃, 용매에는 o-디클로로벤젠(ODCB:ODCB와 중수소화 ODCB의 혼합 용매(혼합비=4/1)를 사용할 수 있다. 고온 NMR에 의한 측정 방법은 예를 들면, 「일본 분석 화학·고분자 분석 연구 간담회 편저, 신판 고분자 분석 핸드북, 기노쿠니야 서점, 1995년, 제610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을 참조하여 행할 수 있다.
측정 모드는 싱글 펄스 프로톤 브로드밴드 디커플링, 펄스 폭은 9.1μsec(45°펄스), 펄스 간격 5.5sec, 적산 횟수 4500회, 시프트 기준은 CH3(mmmm)=21.7ppm으로 할 수 있다.
입체 규칙성도를 나타내는 펜타드 분율은 동방향 배열의 격자 「메소(m)」와 이방향 배열의 격자 「라세모(r)」의 5격자(펜타드) 조합(mmmm 및 mrrm 등)에서 유래하는 각 시그널의 강도 적분값에 기초하여 백분율로 계산된다. mmmm 및 mrrm 등에서 유래하는 각 시그널은 예를 들면, 「T. Hayashi et al., Polymer, 29권, 138페이지(1988)」등을 참조하여 귀속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A 외에 폴리프로필렌 수지 B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B는 Mw가 30만 이상 40만 이하; Mw/Mn이 7.0 이상 9.0 이하; 및 분자량 분포 곡선에 있어서, 대수 분자량 Log(M)=4.5일 때의 미분 분포값에서 Log(M)=6.0일 때의 미분 분포값을 뺀 차가 1.0% 이상 8.0% 미만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B의 Mw는 30만 이상 40만 이하이며, 33만 이상 38만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B의 Mw/Mn는 7.0 이상 9.0 이하이며, 7.5 이상 8.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B는 분자량 미분 분포 곡선에 있어서, 대수 분자량 Log(Mw)=4.5일 때의 미분 분포값에서 Log(Mw)=6일 때의 미분 분포값을 뺀 차가 Log(Mw)=6일 때의 미분 분포값을 100%(기준)로 하면, 1.0% 이상 8.0% 미만이며, 3.0% 이상 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 7.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B는 20.0 이상 70.0 이하의 분자량 분포(Z평균 분자량/수평균 분자량(Mz/Mn))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25.0 이상 60.0 이하의 분자량 분포(Mz/Mn)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0 이상 50.0 이하의 분자량 분포(Mz/Mn)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B는 메소펜타드 분율([mmmm])이 94.0% 이상 98.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95.0% 이상 97.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전체를 100중량%로 하면, 폴리프로필렌 수지 B를 10중량% 이상 50중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중량% 이상 45중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중량% 이상 40중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 A 및 B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합계를 기준(100중량%)으로 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A를 50∼90중량%와, 폴리프로필렌 수지 B를 50∼1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A를 55∼85중량%와, 폴리프로필렌 수지 B를 45∼15중량%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A를 60∼80중량%와, 폴리프로필렌 수지 B를 40∼20중량%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 A 및 B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 A와 B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Mw/Mn와 미분 분포값의 차가 상이한, 즉, 분자량 분포의 구성에 상위가 있음으로써, 혼합해 성형하여 얻어진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고분자량 성분과 저분자량 성분의 양적인 관계가 미묘하게 상이하기 때문에, 일종의 미세 혼합(상분리) 상태를 취해, 결정 사이즈가 미세화되기 쉬워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나아가서는, 동일한 연신 배율이어도 고배향화되기 쉬운 경향이 있고, 표면도 미세한 조화를 얻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 A와 폴리프로필렌 수지 B를 양쪽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나, 이러한 이유에 의해, 본 발명은 전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A 및 B의 양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결정자 사이즈, 복굴절ΔNyz 및 표면의 돌기 체적을 용이하게 만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표면 평활화나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장쇄 분기 폴리프로필렌(분기형 폴리프로필렌, 이하 「폴리프로필렌 수지 C라고도 한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C란, 일반적으로 「장쇄 분기 폴리프로필렌」이라고 불리고 있는 폴리프로필렌으로서, 장쇄의 분기를 갖고,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C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Basell사 제조의 Profax PF-814, PF-611, PF-633 및 Borealis사 제조의 Daploy HMS-PP(WB130HMS, WB135HMS, 및 WB140HMS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C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로는, 230℃에 있어서 제막성의 관점에서 1g/10분 이상, 20g/10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g/10분 이상, 10g/10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분기쇄상 분자인 경우, 용융 장력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C의 용융 장력은 1cN 이상, 50c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cN 이상, 40cN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C를 5.0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0.5중량% 이상 5.0중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중량% 이상 4.0중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5중량% 이상 2.5중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C를 포함함으로써, 얻어지는 필름 표면이 적당히 평활화되며, 또한, 필름의 융점이 수℃ 향상될 수 있으므로, 내열성도 향상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 A∼C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합계를 기준(100중량%)으로 하여, 55∼90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A, 10∼45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B, 5중량%까지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C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5∼89.5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A, 10∼44.5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B, 0.5∼5.0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C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0∼84.0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A, 15∼39.0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B, 1.0∼4.0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C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60∼78.5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A, 20∼38.5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B, 1.5∼2.5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C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A∼C 이외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이하, 「다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라고도 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란,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여겨지는 수지로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그러한 다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추가로 폴리프로필렌 수지 이외의 다른 수지(이하, 「다른 수지」라고도 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수지」란, 일반적으로 수지로 여겨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이외의 수지로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수지에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1-부텐), 폴리이소부텐, 폴리(1-헵텐), 폴리(1-메틸헵텐) 등의 폴리프로필렌 이외의 다른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등의 α-올레핀끼리의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공중합체 등의 비닐 단량체-디엔 단량체 랜덤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등의 비닐 단량체-디엔 단량체-비닐 단량체 랜덤 공중합체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그러한 다른 수지를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다른 수지를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하 포함해도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하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폴리프로필렌 수지 A, 폴리프로필렌 수지 B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C를 포함한다)는 일반적으로 공지의 중합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제조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한 중합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기상 중합법, 괴상 중합법 및 슬러리 중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중합은 1개의 중합 반응기를 이용하는 단일단(1단) 중합이어도 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중합 반응기를 이용한 다단 중합이어도 된다. 또한, 반응기 내에 수소 또는 코모노머를 분자량 조정제로서 첨가하여 행해도 된다.
촉매는 일반적으로 공지의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촉매는 조촉매 성분이나 도너를 포함할 수 있다. 촉매나 중합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분자량, 분자량 분포 및 입체 규칙성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미분 분포값의 차」는, 예를 들면, 중합 조건을 조절해 분자량 분포를 조정함으로써, 분해제를 사용함으로써, 고분자량 성분을 선택적으로 분해 처리함으로써, 상이한 분자량의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원하는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
중합 조건에 따라 분자량 분포의 구성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중합 촉매의 조정이나 다단 중합 반응 등을 사용함으로써, 분자량 분포나 분자량의 구성을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단 중합 반응에 의해 얻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촉매의 존재하, 고분자량 중합 반응기와 저분자량 또는 중분자량 반응기의 복수의 반응기에 의해 고온에서 중합한다. 생성 수지의 고분자량 성분 및 저분자량 성분은 반응기에 있어서의 순서를 불문하고 조정된다. 우선, 제1 중합 공정에 있어서, 프로필렌 및 촉매가 제1 중합 반응기에 공급된다. 이들 성분과 함께, 분자량 조정제로서의 수소를 요구되는 폴리머의 분자량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양으로 혼합한다. 반응 온도는, 예를 들면 슬러리 중합의 경우 70∼100℃ 정도, 체류 시간은 20분∼100분 정도이다. 복수의 반응기는, 예를 들면 직렬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경우 제1 공정의 중합 생성물은 추가된 프로필렌, 촉매, 분자량 조정제와 함께 연속적으로 다음 반응기에 보내지고, 이어서 제1 중합 공정보다 저분자량 혹은 고분자량으로 분자량을 조정한 제2 중합이 행해진다. 제1 및 제2 반응기의 수량(생산량)을 조정함으로써, 고분자량 성분 및 저분자량 성분의 조성(구성)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용되는 촉매로는 일반적인 지글러·나타 촉매가 바람직하다. 또한, 조촉매 성분이나 도너를 포함해도 상관없다. 촉매나 중합 조건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분자량 분포를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과산화 분해에 의해 폴리프로필렌 원료 수지의 분자량 분포 구성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과산화수소나 유기화 산화물 등의 분해제에 따른 과산화 처리에 의한 방법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붕괴형 폴리머에 과산화물을 첨가하면 폴리머로부터의 수소 제거 반응이 일어나고, 발생된 폴리머 라디칼은 일부 재결합되어 가교 반응도 일으키지만, 대부분의 라디칼은 2차 분해(β개열)를 일으켜, 보다 분자량이 작은 2개의 폴리머로 나누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고분자량 성분에서 높은 확률로 분해가 진행되고, 이에 따라 저분자량 성분이 증대되어 분자량 분포 구성을 조정할 수 있다. 저분자량 성분을 적당히 함유하고 있는 수지를 과산화 분해에 의해 얻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중합하여 얻은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중합 분체 혹은 펠렛과, 유기 과산화물로서 예를 들면, 1,3-비스-(tert-부틸퍼옥사이드이소프로필)-벤젠 등을 0.001질량%∼0.5질량% 정도를, 목표로 하는 고분자량 성분 및 저분자량 성분의 조성(구성)을 고려하면서 조정 첨가하고, 용융 혼련 기기로 180℃∼300℃ 정도의 용융 혼련을 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블렌드(수지 혼합)에 의해 저분자량 성분의 함유량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상이한 분자량의 수지를, 적어도 2종류 이상의 수지를 드라이 혹은 용융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주요 수지에 그보다 평균 분자량이 높거나 혹은 낮은 첨가 수지를 1∼40질량% 정도 혼합하는 2종의 폴리프로필렌 혼합계가 저분자량 성분량의 조정을 행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이 혼합 조정의 경우, 평균 분자량의 기준으로서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주요 수지와 첨가 수지의 MFR 차는 1∼30g/10분 정도로 해두는 것이 조정시의 편리성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폴리프로필렌 원료 수지(주요 폴리프로필렌 수지 A 및 첨가 폴리프로필렌 수지 B 등)를 혼합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중합 분체 혹은 펠렛을 믹서 등을 이용하여 드라이 블렌드하는 방법이나, 주요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와 첨가 폴리프로필렌 수지 B 등의 중합 분체 혹은 펠렛을 혼련기에 공급하고, 용융 혼련하여 블렌드 수지를 얻는 방법 등이 있지만,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다.
믹서나 혼련기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고, 또한, 혼련기도 1축 스크류 타입, 2축 스크류 타입, 혹은 그 이상의 다축 스크류 타입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2축 이상의 스크류 타입인 경우, 동방향 회전, 이방향 회전의 어느 혼련 타입이어도 상관없다.
용융 혼련에 의한 블렌드의 경우는 양호한 혼련만 얻을 수 있으면 혼련 온도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200℃ 내지 300℃의 범위이며, 230℃ 내지 270℃가 바람직하다. 지나치게 높은 혼련 온도는 수지의 열화를 초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수지의 혼련 혼합시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 혼련기에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를 퍼지해도 상관없다.
용융 혼련된 수지는 일반적으로 공지의 조립기를 이용하여 적당한 크기로 펠렛화함으로써, 혼합 폴리프로필렌 원료 수지 펠렛을 얻을 수 있다.
본 양태의 폴리프로필렌 원료 수지 내에 포함되는 중합 촉매 잔류물 등에서 기인하는 총회분은 전기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능한 한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총회분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기준(100중량부)으로 하여 5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pp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pp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결정자 사이즈를 미세화함과 함께 고배향화를 진행시킴으로써, 고전압을 부하했을 때의 누출 전류를 억제하고 줄 발열을 억제함으로써 구조 파괴가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내전압성(높은 절연 파괴 전압), 장기간 고전압을 부하했을 때의 내용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돌기 체적을 본 발명 범위의 미세하게 조화된 표면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도, 필름끼리도 균일 접촉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내전압성, 장기간 고전압을 부하했을 때의 내용성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추가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란,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사용되는 첨가제로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첨가제에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염소 흡수제나 자외선 흡수제 등의 필요한 안정제, 활제, 가소제, 난연화제, 대전 방지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그러한 첨가제를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란, 일반적으로 산화 방지제로 불리며 폴리프로필렌에 사용되고,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산화 방지제는 일반적으로 2종류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하나의 목적은 압출기 내에서의 열열화 및 산화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고, 다른 목적은 콘덴서 필름으로서의 장기 사용에 있어서의 열화 억제 및 콘덴서 성능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다. 압출기 내에서의 열열화 및 산화 열화를 억제하는 산화 방지제를 「1차제」라고도 하고, 콘덴서 성능 향상에 기여하는 산화 방지제를 「2차제」라고도 한다.
이들 2종류의 목적으로 2종류의 산화 방지제를 사용해도 되고, 2종류의 목적으로 1종류의 산화 방지제를 사용해도 된다.
2종류의 산화 방지제를 사용하는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기준(100중량부)으로 하여, 1차제로서 예를 들면, 2,6-디-tert-부틸-파라-크레졸(일반 명칭: BHT)을 1000ppm∼4000ppm 정도 포함할 수 있다. 이 목적으로 하는 산화 방지제는 압출기 내에서의 성형 공정에서 대부분이 소비되어, 제막 성형 후의 필름 중에는 거의 잔존하지 않는다(일반적으로는 잔존량 100ppm보다 적다).
2차제로서 카르보닐기를 갖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보닐기를 갖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란, 통상 카르보닐기를 갖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 여겨지며,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카르보닐기를 갖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ert-부틸-5-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상품명: 이르가녹스 245), 1,6-헥산디올-비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상품명: 이르가녹스 259),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상품명: 이르가녹스 1010), 2,2-티오-디에틸렌비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상품명: 이르가녹스 1035),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상품명: 이르가녹스 1076), N,N'-헥사메틸렌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미드)(상품명: 이르가녹스 1098) 등을 들 수 있지만, 고분자량이고, 폴리프로필렌과의 상용성이 풍부하며, 저휘발성이면서 내열성이 우수한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기준(100중량부)으로 하여, 카르보닐기를 갖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5000ppm(질량 기준) 이상 7000ppm(질량 기준) 이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500ppm(질량 기준) 이상 7000ppm(질량 기준) 이하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압출기 내에서 카르보닐기를 갖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도 적잖이 소비되기 때문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1차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카르보닐기를 갖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보다 많이 사용할 수 있다. 압출기 내에서 카르보닐기를 갖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의 소비량이 증가하므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기준(100중량부)으로 하여, 카르보닐기를 갖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6000ppm(질량 기준) 이상 8000ppm(질량 기준) 이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장기 사용시에 있어서의 시간과 함께 진행되는 열화를 억제할 목적으로, 카르보닐기를 갖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2차제)를 1종류 이상 함유하고, 필름 중의 함유량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기준(100중량부)으로 하여 4000ppm(질량 기준) 이상 6000ppm(질량 기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4500ppm(질량 기준) 이상 6000ppm(질량 기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중의 함유량은 4000ppm(질량 기준) 이상 6000ppm(질량 기준) 이하인 것이 적절한 효과 발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과 분자 레벨로 상용성이 양호한 카르보닐기를 갖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최적인 특정 범위의 양을 함유시킨 콘덴서 필름은 상술한 내부 구조(결정자 사이즈, 배향성(복굴절), 표면 조화성(돌기 체적)에 의해 얻어지는 높은 내전압 성능을 유지한 채로, 110℃ 이상이라고 하는 매우 고온의 수명(라이프) 촉진 시험에 있어서도, 100시간을 초과하는 장기간에 걸쳐 정전 용량을 저하시키지 않으며(열화가 진행되지 않으며), 장기 내용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성형 공정 중(특히, 압출기 내)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열열화(산화 열화)나 전단 열화를 적잖이 받는다. 이러한 열화의 진행 정도, 즉 분자량 분포나 입체 규칙성의 변화는 압출기 내의 질소 퍼지(산화 억제), 압출기 내의 스크류 형상(전단력) 캐스트시의 T다이 내부 형상(전단력), 산화 방지제의 첨가량(산화 억제), 캐스트시의 권취 속도(신장력) 등에 의해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염소 흡수제」란, 일반적으로 염소 흡수제로 불리며 폴리프로필렌에 사용되고,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염소 흡수제로서,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 비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연신 전의 캐스트 원반 시트」는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 펠렛, 드라이 혼합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펠렛(및/또는 중합 분체), 또는 미리 용융 혼련하여 제조한 혼합 폴리프로필렌 수지 펠렛류를 압출기에 공급하고, 가열 용융하여 여과 필터를 통과시킨 후, 170℃∼320℃, 바람직하게는 200℃∼300℃로 가열 용융하여 T다이로부터 용융 압출하고, 80℃∼140℃로 유지된 적어도 1개 이상의 금속 드럼에서 냉각, 고화시킴으로써, 미연신의 캐스트 원반 시트를 성형할 수 있다.
미연신의 캐스트 원반 시트를 성형할 때, 금속 드럼군의 온도를 80℃∼140℃, 바람직하게는 90℃∼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05℃로 유지함으로써, 얻어지는 캐스트 원반 시트의 β정 분율은 X선법으로 1% 이상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상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 20% 이하 정도가 된다. 여기서, 이 값은 β정 핵제를 포함하지 않을 때의 값이다.
상술한 β정 분율의 범위에서는 콘덴서 특성과 소자 권취 가공성의 양 물성을 만족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β정 분율은 X선 회절 강도 측정에 의해 얻어지고, 「A. Turner-Jones et al., Makromol. Chem., 75권, 134페이지(1964)」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산출할 수 있으며, K값으로 불린다. 즉, α정 유래의 3개의 회절 피크 높이의 합과 β정 유래의 1개의 회절 피크의 비에 의해 β정의 비율이 표현된다.
상기 캐스트 원반 시트의 두께는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0.05mm∼2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1mm∼1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캐스트 원반 시트에 연신 처리를 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연신은 세로 및 가로 2축으로 배향시키는 2축 연신이 바람직하고, 연신 방법으로는 순차 2축 연신 방법이 바람직하다. 순차 2축 연신 방법으로는, 우선 캐스트 원반 시트를 100∼160℃의 온도로 유지하며, 속도차를 갖는 롤 사이에 통과시켜 진행 방향으로 3∼7배로 연신하고, 즉시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이 종연신 공정의 온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β정은 융해되어 α정으로 전이하고, 요철이 표면화된다. 계속해서, 당해 연신 필름을 텐터로 유도하여 160℃ 이상의 온도에서 폭 방향으로 3∼11배로 연신한 후, 완화, 열고정을 실시하고 권취한다.
권취된 필름은 20∼45℃ 정도의 분위기 중에서 에이징 처리가 실시된 후, 원하는 제품 폭으로 재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신 공정에 의해 기계적 강도, 강성이 우수한 필름이 되고, 또한, 표면의 요철도 보다 명확화되어 미세하게 조면화된 연신 필름이 된다.
본 발명의 필름 표면에는 권취 적성을 향상시키면서, 콘덴서 특성도 양호하게 하는 적당한 표면 조도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적어도 한쪽 표면에 있어서, 그 표면 조도가 중심선 평균 조도(Ra)로 0.03㎛ 이상 0.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최대 높이(Rz, 구 JIS 정의에서의 Rmax)로 0.3㎛ 이상 0.8㎛ 이하로 미세 조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Ra 및 Rz가 상술한 바람직한 범위에 있는 경우, 표면은 미세하게 조화된 표면이 될 수 있고, 콘덴서 가공시에 소자 권취 가공에 있어서, 권취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워, 바람직하게 권취할 수 있다. 또한, 필름끼리의 사이도 균일한 접촉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내전압성 및 장기간에 걸친 내전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Ra」 및 「Rz」(구 JIS 정의의 Rmax)란, 예를 들면, JIS-B0601:2001 등에 정해져 있는 방법에 따라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촉침식 표면 조도계(예를 들면, 다이아몬드침 등에 의한 촉침식 표면 조도계)를 이용해 측정된 값을 말한다. 「Ra」 및 「Rz」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쿄 정밀사 제조, 3차원 표면 조도계 서프컴 1400D-3DF-12형을 이용해 JIS-B0601:2001에 정해져 있는 방법에 준거하여 Ra 및 Rz(구 JIS 정의의 Rmax)를 구할 수 있다.
필름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엠보스법, 에칭법 등, 공지의 각종 조면화 방법을 채용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불순물의 혼입 등의 필요가 없는 β정을 사용한 조면화법이 바람직하다. β정의 생성 비율은 일반적으로는 캐스트 온도 및 캐스트 스피드를 변경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종연신 공정의 롤 온도로 β정의 융해/전이 비율을 제어할 수 있고, 이들 β정 생성과 그 융해/전이의 2개 파라미터에 대해 최적인 제조 조건을 선택함으로써, 미세한 조표면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금속 증착 가공 공정 등의 후속 공정에 있어서, 접착 특성을 높일 목적으로, 연신 및 열고정 공정 종료 후에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코로나 방전 처리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해 행할 수 있다. 분위기 가스로서 공기, 탄산 가스, 질소 가스 및 이들의 혼합 가스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콘덴서로서 가공하기 위해 전극을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콘덴서를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 콘덴서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전극으로서, 예를 들면, 금속박, 적어도 한쪽 면을 금속화한 종이 및 플라스틱 필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콘덴서는 소형 및 경량화가 한층 요구되므로, 본 발명의 필름의 한쪽 면 혹은 양면을 직접 금속화하여 전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금속은 예를 들면, 아연, 납, 은, 크롬, 알루미늄, 구리 및 니켈 등의 금속 단체, 이들 복수종의 혼합물 및 이들의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환경, 경제성 및 콘덴서 성능 등을 고려하면, 아연 및 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표면을 직접 금속화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진공 증착법 및 스퍼터링법을 예시할 수 있고,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콘덴서를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생산성 및 경제성 등의 관점에서 진공 증착법이 바람직하다. 진공 증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도가니법식이나 와이어 방식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콘덴서를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최적인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증착에 의해 금속화할 때의 마진 패턴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콘덴서의 보안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그물 패턴 내지는 T마진 패턴 등의, 이른바 특수 마진을 포함하는 패턴을 본 발명의 필름의 한쪽 면 위에 실시한 경우, 보안성이 높아져 콘덴서의 파괴, 쇼트의 방지 등의 점에서도 효과적이며 바람직하다.
마진을 형성하는 방법은 테이프법, 오일법 등 일반적으로 공지의 방법을 전혀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초기 내전압성이 높고, 장기적인 내전압성이 우수하다. 또한, 표면이 미세하게 조면화되어 있으므로, 소자 권취 적성이 우수하다. 또한, 매우 얇게 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정전 용량을 발현하기 쉽다. 따라서, 소형이며, 또한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의 고용량 콘덴서에 매우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예 중의 부 및 %는 각각 「질량부」 및 「질량%」를 나타낸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하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A1∼수지 A'4는 프라임 폴리머 주식회사 제조이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B1은 대한 유화사 제조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A1 및 A2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A에 해당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B1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B에 해당한다.
또한, 장쇄 분기 폴리프로필렌(폴리프로필렌 수지 C)으로서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가 2.4g/10분이고, 용융 장력이 32cN인 보레알리스사 제조 장쇄 분기 폴리머 WB135HMS(이하, 「폴리프로필렌 수지 C1」이라고 한다)를 사용하였다.
표 1에 이들 폴리프로필렌 수지 A1∼A'4 및 B1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분자량 분포(Mw/Mn), 분자량 분포(Mz/Mn), 미분 분포값 차 및 메소펜타드 분율([mmmm])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이들 값은 원료 수지 펠렛 형태에서의 값이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A1∼A'4 및 B1 모두 산화 방지제(1차제)로서 2,6-디-t-부틸-p-크레졸(일반 명칭: BHT)을 2000ppm, 카르보닐기를 갖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2차제)로서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상품명: 이르가녹스 1010)를 5000∼6500ppm 함유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분자량 분포(Mw/Mn), 분자량 분포(Mz/Mn) 및 미분 분포값의 측정〉
GPC(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고, 이하의 조건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분자량(Mw), 분자량 분포(Mw/Mn), 분포 곡선의 미분 분포값을 측정하였다.
도소 주식회사 제조, 시차 굴절계(RI) 내장 고온 GPC 장치인 HLC-8121GPC-HT형을 사용하였다. 컬럼으로서, 도소 주식회사 제조의 TSKgel GMHHR-H(20)HT를 3개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140℃의 컬럼 온도에서, 용리액으로서 트리클로로벤젠을 1.0㎖/min의 유속으로 흘려 측정하였다. 검량선을 도소 주식회사 제조의 표준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제작하고, 측정된 분자량 값을 폴리스티렌 값으로 환산하여, Z평균 분자량(Mz),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평균 분자량(Mn)을 얻었다. 이 Mz와 Mn의 값을 이용하여 분자량 분포(Mz/Mn)를, 또한, Mw와 Mn의 값을 이용하여 분자량 분포(Mw/Mn)를 얻었다.
미분 분포값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얻었다. 우선, RI 검출계를 이용하여 검출되는 강도 분포의 시간 곡선(용출 곡선)을 상기 표준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제작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표준 폴리스티렌의 분자량 M(Log(M))에 대한 분포 곡선으로 변환하였다. 다음으로, 분포 곡선의 전체 면적을 100%로 한 경우의 Log(M)에 대한 적분 분포 곡선을 얻은 후, 이 적분 분포 곡선을 Log(M)로 미분함으로써 Log(M)에 대한 미분 분포 곡선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미분 분포 곡선으로부터 Log(M)=4.5 및 Log(M)=6.0일 때의 미분 분포값을 판독하였다. 여기서, 미분 분포 곡선을 얻을 때까지의 일련의 조작은 사용한 GPC 측정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해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행하였다.
〈메소펜타드 분율([mmmm])의 측정〉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용매에 용해하고, 고온형 푸리에 변환 핵자기 공명 장치(고온 FT-NMR)를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메소펜타드 분율([mmmm])을 구하였다.
측정기: 니혼 덴시 주식회사 제조, 고온 FT-NMR JNM-ECP500
관측핵: 13C(125MHz)
측정 온도: 135℃
용매: 오르토-디클로로벤젠[ODCB: ODCB와 중수소화 ODCB의 혼합 용매(4/1)]
측정 모드: 싱글 펄스 프로톤 브로드밴드 디커플링
펄스 폭: 9.1μsec(45°펄스)
펄스 간격: 5.5sec
적산 횟수: 4500회
시프트 기준: CH3(mmmm)=21.7ppm
5격자(펜타드) 조합(mmmm이나 mrrm 등)에서 유래하는 각 시그널의 강도 적분값으로부터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mmmm이나 mrrm 등에서 유래하는 각 시그널의 귀속에 관해, 예를 들면 「T. Hayashi et al., Polymer, 29권, 138페이지(1988)」 등의 스펙트럼의 기재를 참고로 하였다.
Figure 112017023620948-pct00001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여 실시예 1∼6 및 비교예 1∼4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조하고, 그 물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
수지 A1(산화 방지제로서 이르가녹스 1010을 5000ppm 첨가)과 수지 B1(산화 방지제로서 이르가녹스 1010을 5000ppm 첨가)을 A1/B1=65/35(질량비)로 연속적으로 계량하여 혼합한 드라이 블렌드체를 압출기에 공급하였다. 드라이 블렌드체를 250℃의 온도에서 용융한 후, T다이를 사용하여 압출하고, 표면 온도를 92℃로 유지한 금속 드럼에 권취하고 고화시켜, 두께 약 125㎛의 캐스트 원반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 캐스트 원반 시트를 140℃의 온도에서 진행 방향으로 5배 연신하고, 즉시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텐터로 165℃의 온도에서 가로 방향으로 10배 연신하여, 두께 2.5㎛의 매우 얇은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수지의 배합과 얻어진 필름의 물성값을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2]
수지 A1과 수지 B1을 A1/B1=75/25(질량비)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5㎛의 매우 얇은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수지의 배합과 얻어진 필름의 물성값을 표 2에 정리한다.
[실시예 3]
수지 A1과 수지 B1을 A1/B1=85/15(질량비)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5㎛의 매우 얇은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수지의 배합과 얻어진 필름의 물성값을 표 2에 정리한다.
[실시예 4]
수지 A1과 수지 B1를 A1/B1=50/50(질량비)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5㎛의 매우 얇은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수지의 배합과 얻어진 필름의 물성값을 표 2에 정리한다.
[실시예 5]
수지 A1과 수지 B1 외에, 추가로 수지 C1(산화 방지제로서 이르가녹스 1010을 5000ppm 첨가)을 A1/B1/C1=64/34/2(질량비)로 연속적으로 계량 혼합한 드라이 블렌드체를 압출기에 공급하고, 캐스트 금속 드럼의 표면 온도를 99℃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5㎛의 매우 얇은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수지의 배합과 얻어진 필름의 물성값을 표 2에 정리한다.
[실시예 6]
수지 A1을 대신하여 수지 A2(산화 방지제로서 이르가녹스 1010을 5000ppm 첨가)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두께 2.5㎛의 매우 얇은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수지의 배합과 얻어진 필름의 물성값을 표 2에 정리한다.
[비교예 1]
수지 A1을 단독으로 사용하고, 캐스트 금속 드럼의 표면 온도를 100℃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5㎛의 매우 얇은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수지의 배합과 얻어진 필름의 물성값을 표 2에 정리한다.
[비교예 2]
수지 A'3(산화 방지제로서 이르가녹스 1010을 5000ppm 첨가)을 단독으로 사용하고, 캐스트 금속 드럼의 표면 온도를 92℃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5㎛의 매우 얇은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수지의 배합과 얻어진 필름의 물성값을 표 2에 정리한다.
[비교예 3]
수지 A'3과 수지 A'4(산화 방지제로서 이르가녹스 1010을 5000ppm 첨가)를 A'3/A'4=80/20(질량비)으로 연속적으로 계량 혼합한 드라이 블렌드체로 하고, 캐스트 금속 드럼의 표면 온도를 95℃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5㎛의 매우 얇은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원료 수지의 배합과 얻어진 필름의 물성값을 표 2에 정리한다.
[비교예 4]
수지 A1과 수지 B1을 A1/B1=25/75(질량비)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5㎛의 매우 얇은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수지의 배합과 얻어진 필름의 물성값을 표 2에 정리한다.
[특성값의 측정 방법 등]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특성값의 측정 방법 등은 이하와 같다.
〈결정자 사이즈의 측정〉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결정자 사이즈의 평가는 XRD(광각 X선 회절) 장치를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측정하였다.
측정기: 리가쿠사 제조의 데스크톱 X선 회절 장치 「MiniFlex300」
X선 발생 출력: 30㎸, 10mA
조사 X선: 모노크로미터 단색화 CuKα선(파장 1.5418Å)
검출기: 신틸레이션 카운터
고니오미터 주사: 2θ/θ 연동 주사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해석 컴퓨터를 이용하여 장치 표준 부속의 통합 분말 X선 해석 소프트웨어 PDXL을 이용해, α정(040)면의 회절 반사 피크의 반값폭을 산출하였다.
얻어진 α정(040)면의 회절 반사 피크의 반값폭으로부터 하기 (1)식의 Scherrer의 식을 이용하여, 결정자 사이즈를 구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형상 인자 정수 K는 0.94를 사용하였다.
수식(1): D=K×λ/(β×Cosθ)
[여기서, D는 결정자 사이즈(Å), K는 정수(형상 인자), λ는 사용 X선 파장(Å), β는 구한 반값폭, θ은 회절 브랙각이다]
〈복굴절의 측정〉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복굴절값ΔNyz는 하기와 같이, 경사법에 의한 리타데이션(위상차)의 측정값으로부터 산출하였다.
측정기: 오츠카 전자사 제조 리타데이션 측정 장치 RE-100
광원: 파장 550㎚의 LED 광원
측정 방법: 다음과 같은 경사법에 의해, 리타데이션값의 각도 의존성을 측정하였다. 필름의 면내 방향의 주축을 x축 및 y축, 또한, 필름의 두께 방향(면내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을 z축으로 하고, 면내 방향 중, 굴절률이 보다 높은 방향의 지상축을 x축으로 했을 때, x축을 경사축으로 하여 0°∼50°의 범위에서 z축에 대해 경사시켰을 때의 리타데이션값을 구하였다.
얻어진 리타데이션값으로부터, 비특허문헌 「아와야 유타카, 고분자 소재의 편광 현미경 입문, 105∼120페이지, 2001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두께 방향(z축 방향)에 대한 y축 방향의 복굴절ΔNyz를 산출하였다.
여기서, 예를 들면, 순차 연신법에 있어서, MD 방향(진행 방향)의 연신 배율보다 TD 방향(폭 방향)의 연신 배율이 높은 경우, TD 방향이 지상축(x축)이 되고, MD 방향이 y축이 된다.
〈돌기부 총체적(미세 조화 표면)의 측정〉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돌기부 총체적의 측정은 광간섭식 비접촉 표면 형상 측정기로서, (주)료카 시스템 제조의 「VertScan2.0(형식: R5500GML)」를 이용하고, WAVE 모드에 의해 530 white 필터 및 ×20 대물 렌즈를 사용해, 필름 표면의 임의의 10개 지점에 대해 일 시야당 240㎛×180㎛의 넓이로 행하였다. 얻어진 데이터에 대해, 메디안 필터에 의한 노이즈 제거 처리를 행한 후, 컷오프값 30㎛에 의한 가우시안 필터 처리를 행하여 기복 성분을 제거하였다. 이로 인해, 조면화 표면 상태를 적절히 계측할 수 있는 상태로 하였다.
돌기부 총체적에 대해, 「VertScan2.0」의 해석 소프트웨어 「VS-Viewer」의 플러그인 기능 「베어링」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구하였다. 즉, 「산측 높이 역치」를 소정 높이(즉, 0.02㎛)로 설정한 후, 「산측 체적」으로서 표시되는 것이 일 시야당의 돌기부 총체적이 되었다. 이 측정을 10개 지점에 대해 행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여 일 시야당의 돌기부 총체적으로서 산출하였다.
〈필름의 두께〉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는 마이크로 미터(JIS-B7502)를 이용하고, JIS-C2330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중의 산화 방지제 함유량의 측정〉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재단하고, 용매를 첨가하여 초음파 추출로 필름 중에 잔존하고 있는 산화 방지제를 추출하였다.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자외선 검출기를 이용해, 얻어진 추출액을 분석하여 카르보닐기를 갖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2차제)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크로마토그래프의 피크 강도에 기초해, 미리 정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2차제의 함유량을 계산하였다.
〈표면 조도의 측정〉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중심선 평균 조도(Ra) 및 Rz(구 JIS 정의의 Rmax)는 도쿄 정밀사 제조, 3차원 표면 조도계 서프컴 1400D-3DF-12형을 이용해 JIS-B0601에 정해져 있는 방법에 준거하여 접촉법으로 측정하였다. 측정은 3회 행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Ra 및 Rz는 접촉법을 이용하여 측정했지만, 그 값의 신뢰성은 필요에 따라 비접촉법값에 의해 확인하였다.
〈콘덴서 소자의 제작〉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T마진 증착 패턴을 증착 저항 12Ω/□로 알루미늄 증착을 실시하여, 금속화 필름을 얻었다. 소폭으로 슬릿한 후에, 2장의 금속화 필름을 서로 맞대게 하고, 주식회사 가이도 제작소 제조 자동 권취기 3KAW-N2형을 이용하여, 권취 장력 200g으로 1360턴 권회를 행하였다.
소자 권취를 한 소자는 프레스하면서 120℃에서 4시간 열처리를 실시한 후, 소자 단면에 아연 금속을 용사하여 편평형 콘덴서를 얻었다. 완성된 콘덴서의 정전 용량은 100㎌(±5㎌)였다.
〈절연 파괴 전압〉
JIS C2330(2001) 7.4.11.2 B법(평판 전극법)에 따라, 직류(dc) 전원을 사용해, 100℃에서 절연 파괴 전압값을 측정하였다. 44회 측정한 평균 절연 파괴 전압값(kV)의 상위 6회 및 하위 6회의 값을 제외한 32회의 평균값을 절연 파괴 전압(kV)으로 하였다.
〈콘덴서 소자의 고온·단시간 내전압 시험(초기 내전압성)〉
우선, 미리 소자를 105℃에서 예열한 후, 시험 전의 초기 정전 용량을 히오키 전기 주식회사 제조 LCR 하이테스터 3522-50으로 평가하였다. 이어서, 105℃의 고온조 내에서 콘덴서 소자에 직류 1150V의 전압을 1분간 부하하였다. 그 후의 소자 용량을 LCR 테스터로 측정하여, 전압 부하 전후의 용량 변화율을 산출하였다. 이어서, 소자를 재차 고온조 내로 되돌리고 2번째의 전압 부하를 행하여, 2번째의 용량 변화(누적)를 구한 후 이것을 4회 반복하였다. 4번째의 용량 변화율을 구하여 소자 3개의 평균값을 평가에 채용하였다. 용량 변화율은 4번째에서 ±1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콘덴서 소자의 수명(라이프) 촉진 시험(장기간에 걸친 내전압성)〉
미리 소자를 110℃에서 예열한 후, 시험 전의 초기 정전 용량을 히오키 전기 주식회사 제조 LCR 하이테스터 3522-50으로 평가하였다. 이어서, 110℃의 고온조 내에서 콘덴서 소자에 직류 800V의 전압을 100시간 계속하여 부하하였다. 100시간 경과 후의 소자 용량을 LCR 테스터로 측정하여, 전압 부하 전후의 용량 변화율을 산출하였다. 100시간 경과 후의 용량 변화율을 소자 3개의 평균값에 의해 평가하였다. 100시간 경과 후의 용량 변화율은 1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콘덴서용 필름으로서의 종합 평가〉
정전 용량 향상에 필요한 6㎛ 이하의 필름에 의한 콘덴서 소자 제작의 성공 여부, 필름을 콘덴서 소자로 했을 때의 고온에서의 내전압성, 또한 고온 장기 내용 특성 등, 콘덴서용 필름으로서의 적합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종래 기술에 기초하는 필름보다 향상된 것을 「A」, 종래와 동일한 정도의 것을 「B」, 종래보다 떨어지는 것을 「C」로 하였다.
Figure 112017023620948-pct00002
실시예 1∼6으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결정자 사이즈 및 복굴절이라는 2개의 성질에 대해, 소정 범위의 값을 갖고, 매우 두께가 얇으며, 고온하에 있어서의 필름의 절연 파괴 전압이 높기 때문에, 이 필름으로 제조되는 콘덴서 소자는 내전압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콘덴서용 필름으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 1∼3, 5 및 6으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결정자 사이즈, 복굴절 및 돌기 체적이라는 3개의 성질에 대해, 소정 범위의 값을 갖고, 매우 두께가 얇으며, 고온하에 있어서의 필름의 절연 파괴 전압이 높기 때문에, 이 필름으로 제조되는 콘덴서 소자는 초기 내전압성 및 장기간에 걸친 내전압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콘덴서용 필름으로서 매우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장쇄 분기 폴리프로필렌(폴리프로필렌 수지 C)을 포함하는 경우, 표면 조도가 보다 작아지므로, 장기간에 걸친 내전압성이 향상되었다(실시예 5 및 6).
그러나, 비교예 1∼4에서는 결정자 사이즈 및 복굴절이라는 2개의 성질에 대해, 소정 범위의 값을 갖지 않으며, 내전압성 및 장기간에 걸친 내전압성이 떨어졌다.
본 발명의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초기 내전압성 및 고온하에 있어서의 장기 내전압성(장기 내용성)이 우수하므로, 이 필름을 사용하여 콘덴서를 제조함으로써,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내열성이 요구되는 소형이며 또한 대용량형 콘덴서에 바람직하게 이용 가능하다.

Claims (9)

  1.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축 연신하여 얻어지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서,
    광각 X선 회절법에 의해 측정한 α정(040)면 반사 피크의 반값폭으로부터 Scherrer의 식에 의해 구한 결정자 사이즈가 122Å 이하이고,
    광학적 복굴절 측정에 의해 구한 두께 방향에 대한 복굴절값ΔNyz의 값이 7.0×10-3 이상, 10.0×10-3 이하이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있어서, 일 시야당 240㎛×180㎛의 범위 내에서, 광간섭식 비접촉 표면 형상 측정기를 이용하여 표면 형상의 계측을 행했을 때, 높이 0.02㎛ 이상의 돌기부 총체적이 일 시야당 10㎛3 이상, 120㎛3 이하인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25만 이상 45만 이하;
    분자량 분포(Mw/Mn)가 7.0 이상 12.0 이하;
    Z평균 분자량/수평균 분자량(Mz/Mn)이 20.0 이상 70.0 이하;
    분자량 분포 곡선에 있어서, 대수 분자량 Log(M)=4.5일 때의 미분 분포값에서 Log(M)=6.0일 때의 미분 분포값을 뺀 차가 8.0% 이상 18.0% 이하; 및
    메소펜타드 분율([mmmm])이 94.0% 이상 98.0% 미만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A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Mw가 30만 이상 40만 이하; Mw/Mn이 7.0 이상 9.0 이하; 및 분자량 분포 곡선에 있어서, 대수 분자량 Log(M)=4.5일 때의 미분 분포값에서 Log(M)=6.0일 때의 미분 분포값을 뺀 차가 1.0% 이상 8.0% 미만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B를 추가로 포함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B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전체를 100중량%로 하여 10중량% 이상 45중량% 이하 포함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카르보닐기를 갖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기준(100중량부)으로 하여 필름 중의 함유량이 4000ppm(질량 기준) 이상 6000ppm(질량 기준)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필름.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표면 조도가 중심선 평균 조도(Ra)로 0.03㎛ 이상 0.08㎛ 이하이고, 최대 높이(Rz)로 0.3㎛ 이상 0.8㎛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필름.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1.0㎛ 이상 6.0㎛ 이하의 두께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의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금속 증착을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용 금속화 폴리프로필렌 필름.
  9. 제 8 항의 콘덴서용 금속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콘덴서.
KR1020177006629A 2014-09-30 2014-09-30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KR101942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76067 WO2016051496A1 (ja) 2014-09-30 2014-09-30 コンデンサー用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448A KR20170062448A (ko) 2017-06-07
KR101942765B1 true KR101942765B1 (ko) 2019-01-28

Family

ID=55629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629A KR101942765B1 (ko) 2014-09-30 2014-09-30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31380B2 (ko)
EP (1) EP3202825B1 (ko)
KR (1) KR101942765B1 (ko)
CN (1) CN106795300B (ko)
ES (1) ES2727399T3 (ko)
WO (1) WO20160514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852B1 (ko) 2022-01-13 2023-05-11 박한용 용존 산소량 증대에 의한 악취 저감 돈 분뇨처리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4470B1 (ja) * 2016-09-23 2018-04-0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コンデンサ用金属化フィルム、及び、コンデンサ
WO2018181271A1 (ja) * 2017-03-30 2018-10-04 東レ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膜積層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EP3608353B1 (en) * 2017-04-03 2024-02-21 Oji Holdings Corporation Polypropylene film, polypropylene film with integrated metal layer, and film capacitor
WO2018186424A1 (ja) * 2017-04-03 2018-10-1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層一体型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6466015B1 (ja) * 2017-08-02 2019-02-06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層一体型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
KR102362917B1 (ko) * 2017-08-02 2022-02-14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프로필렌 필름, 금속층 일체형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필름 콘덴서
US11492475B2 (en) * 2017-12-26 2022-11-08 Oji Holdings Corporation Polypropylene film, metal layer-integrated polypropylene film, film capacitor and film roll
CN116218079A (zh) * 2017-12-26 2023-06-06 王子控股株式会社 聚丙烯薄膜、金属层一体型聚丙烯薄膜、薄膜电容器和薄膜卷
JP7261389B2 (ja) * 2018-03-07 2023-04-20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化フィルム、フィルムコンデンサ、及び、フィルムロール
US11961683B2 (en) * 2018-08-29 2024-04-16 Oji Holdings Corporation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metallized film, metallized film roll and film capacitor
JP7311605B2 (ja) * 2018-12-20 2023-07-19 ボレアリス エージー 破壊強度が改善された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CN113905884A (zh) * 2019-06-05 2022-01-07 王子控股株式会社 聚丙烯膜卷和金属化聚丙烯膜卷
EP3795331A1 (de) * 2019-09-20 2021-03-24 Technische Universität Dortmund Methode zur erzeugung von orientierten polyolefinen für die anwendung in elektrischen netzbetriebsmitteln
CN110565067A (zh) * 2019-09-25 2019-12-13 郑州华晶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化金刚石纳米复镀薄膜及其制备方法
KR20220076457A (ko) * 2019-10-10 2022-06-08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폴리올레핀 필름
CN111086181A (zh) * 2019-12-28 2020-05-01 北京星和众工设备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锂电池隔膜的制备方法
WO2022220248A1 (ja) * 2021-04-12 2022-10-20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金属化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WO2024058078A1 (ja) * 2022-09-16 2024-03-2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化フィルム、及び、コンデンサ
CN116752089A (zh) * 2023-06-14 2023-09-15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兼具高储能密度和低传导损耗的聚合物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7884A (ja) 2006-01-31 2007-08-16 Nichicon Corp 金属化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2010254868A (ja) 2009-04-28 2010-11-11 Oji Paper Co Ltd コンデンサー用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その金属蒸着フィルム
JP2011148896A (ja) 2010-01-21 2011-08-04 Oji Paper Co Ltd コンデンサー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その製法及び金属化フィルム
WO2013105552A1 (ja) * 2012-01-11 2013-07-1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コンデンサー用2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1908A (ja) * 1983-05-17 1984-11-30 株式会社東芝 油入フイルムコンデンサ
JPH0370114A (ja) * 1989-08-09 1991-03-26 Toray Ind Inc 粗面化蒸着フィルム及び巻込み型コンデンサ
JPH06342738A (ja) * 1993-06-01 1994-12-13 Toray Ind Inc コンデンサー用金属化フィルム
JP3752747B2 (ja) 1996-10-17 2006-03-08 東レ株式会社 コンデンサー
JP4145639B2 (ja) 2002-11-27 2008-09-03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ポリプロピレン樹脂、該樹脂から得られるシートおよびフィルム
JP4784279B2 (ja) 2005-11-17 2011-10-05 王子製紙株式会社 コンデンサーフィルム
JP4940986B2 (ja) 2006-02-17 2012-05-30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5159215B2 (ja) 2007-08-31 2013-03-06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樹脂からなるキャパシタフィルム用原反シート、キャパシタフィルム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101848961B (zh) 2007-11-07 2014-01-08 王子制纸株式会社 电容器用双轴拉伸聚丙烯薄膜及使用其获得的蒸镀薄膜和电容器
JP6217542B2 (ja) * 2014-03-31 2017-10-2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コンデンサ用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6260472B2 (ja) * 2014-06-30 2018-01-1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コンデンサ用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7884A (ja) 2006-01-31 2007-08-16 Nichicon Corp 金属化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2010254868A (ja) 2009-04-28 2010-11-11 Oji Paper Co Ltd コンデンサー用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その金属蒸着フィルム
JP2011148896A (ja) 2010-01-21 2011-08-04 Oji Paper Co Ltd コンデンサー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その製法及び金属化フィルム
WO2013105552A1 (ja) * 2012-01-11 2013-07-1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コンデンサー用2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852B1 (ko) 2022-01-13 2023-05-11 박한용 용존 산소량 증대에 의한 악취 저감 돈 분뇨처리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02825A4 (en) 2018-02-28
ES2727399T3 (es) 2019-10-16
CN106795300A (zh) 2017-05-31
WO2016051496A1 (ja) 2016-04-07
KR20170062448A (ko) 2017-06-07
US10431380B2 (en) 2019-10-01
US20170229243A1 (en) 2017-08-10
EP3202825A1 (en) 2017-08-09
EP3202825B1 (en) 2019-03-27
CN106795300B (zh)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765B1 (ko)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JP5929838B2 (ja) コンデンサー用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CN109320835B (zh) 电容器用双轴拉伸聚丙烯薄膜
US10910164B2 (en)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for capacitors, metallized film, and capacitor
KR102184883B1 (ko)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콘덴서용 금속화 필름 및 콘덴서
EP3564009B1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metallized film, and capacitor
JP6766805B2 (ja) コンデンサ用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KR20230119251A (ko) 폴리프로필렌 필름, 금속층 일체형 폴리프로필렌 필름,필름 콘덴서 및 필름 롤
KR102563543B1 (ko) 폴리프로필렌 필름, 금속층 일체형 폴리프로필렌 필름, 필름 콘덴서 및 필름 롤
JP5929685B2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JP6137513B2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