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116B1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116B1
KR101931116B1 KR1020170036904A KR20170036904A KR101931116B1 KR 101931116 B1 KR101931116 B1 KR 101931116B1 KR 1020170036904 A KR1020170036904 A KR 1020170036904A KR 20170036904 A KR20170036904 A KR 20170036904A KR 101931116 B1 KR101931116 B1 KR 101931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ulley
fan
engin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246A (ko
Inventor
토시로 나가이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3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2005/025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using two or more air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in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과제] 라디에이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커버의 여과부에 부착된 진애를 날려버려, 엔진의 오버히트를 방지한다.
[해결 수단] 엔진(20)의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30)와, 라디에이터(30)의 외측에 배치되는 여과부를 가진 커버(10a)와, 엔진(20)과 라디에이터(30)의 사이에 배치되는 단일의 팬(40)을 구비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엔진(20)의 동력을 제 1 벨트(51)를 통해서 팬(40)에 전동하여 팬(40)을 정전시키는 제 1 전동 경로(W1)와, 엔진(20)의 동력을 제 2 벨트(52)를 통해서 팬(40)에 전동하여 팬(40)을 역전시키는 제 2 전동 경로(W2)를 설치하고, 제 1 전동 경로(W1)로부터 팬(40)으로 전동하는 상태와, 제 2 전동 경로(W2)로부터 팬(40)으로 전동하는 상태로 스위칭하는 동력 스위칭 기구(60)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 VEHICLE}
본 발명은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콤바인 등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 원동부에 설치된 엔진을 냉각하는 라디에이터에 외기를 흡입하는 냉각용 팬과, 라디에이터의 표면이나 라디에이터의 전방에 배치한 필터에 부착된 짚 부스러기나 진애 등을 날려버리는 배진용 팬을 구비한 것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15-189386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냉각용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 배진용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가 각각 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가 늘어나 버려 비용 상승의 요인으로도 되고 있었다. 또한, 냉각용 팬과 배진용 팬은 축방향으로 병설되기 때문에, 축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넓어져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엔진 냉각 및 짚 부스러기나 진애 등의 제거를 심플한 구성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한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엔진(20)과, 이 엔진(20)의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30)와, 이 라디에이터(30)의 외측에 배치되는 여과부를 갖는 커버(10a)와, 상기 엔진(20)과 라디에이터(30)의 사이에 배치되는 단일의 팬(40)을 구비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엔진(20)의 동력을 제 1 벨트(51)를 통해서 상기 팬(40)에 전동하여 이 팬(40)을 정전시키는 제 1 전동 경로(W1)와, 상기 엔진(20)의 동력을 제 2 벨트(52)를 통해서 상기 팬(40)에 전동하여 이 팬(40)을 역전시키는 제 2 전동 경로(W2)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전동 경로(W1)로부터 상기 팬(40)에 전동하는 상태와, 상기 제 2 전동 경로(W2)로부터 상기 팬(40)에 전동하는 상태로 스위칭하는 동력 스위칭 기구(6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2 전동 경로(W2)에 서로 맞물리는 기어(61)로 구성되는 역전 전동 기구를 설치한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 차량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기어(61)를 수납하는 기어 케이스(62)를 설치하고, 상기 기어(61)의 각각에 부착된 제 1 전동축(71) 및 제 2 전동축(72)을 상기 기어 케이스(62)로부터 기체 우측방을 향해서 돌출시킨 청구항 2에 기재된 작업 차량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1 전동축(71)에 상기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을 입력하는 입력 풀리(82)와 상기 제 1 벨트(51)를 구동하는 정전용 풀리(81)를 부착하고, 상기 제 2 전동축(72)에 상기 제 2 벨트(52)를 구동하는 역전용 풀리(83)를 부착하고, 상기 팬(40)의 회전축(41)에는 상기 제 1 벨트(51)를 통해서 상기 정전용 풀리(81)로부터 연동되는 정전 풀리(85)와, 상기 제 2 벨트(52)를 통해서 상기 역전용 풀리(83)로부터 연동되는 역전 풀리(86)를 부착하여, 상기 제 1 벨트(51)와 상기 제 2 벨트(52)에 동력의 전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력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텐션 기구(90)를 구비한 청구항 3에 기재된 작업 차량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텐션 기구(90)에는 상기 제 1 벨트(51)와 제 2 벨트(52)에 장력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텐션 롤러(91)를 구비하고, 이 텐션 롤러(91)를 상기 제 1 벨트(51) 및 제 2 벨트(52)의 어느 쪽에도 장력이 부여되지 않는 뉴트럴 위치와, 상기 제 1 벨트(51)에만 장력을 부여하는 정전 위치와, 상기 제 2 벨트(52)에만 장력을 부여하는 역전 위치로 이동시키는 텐션 롤러 이동 기구(100)를 구비한 청구항 4에 기재된 작업 차량으로 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동력 스위칭 기구(60)에 의해 제 1 전동 경로(W1)로부터 팬(40)에 전동하는 상태와 제 2 전동 경로(W2)로부터 팬(40)에 전동하는 상태로 스위칭하여, 엔진(20)과 라디에이터(30)의 사이에 배치된 단일의 팬(40)을 정전 및 역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팬(40)을 정전시켜서 라디에이터(30)측으로 송풍하는 한편, 이 팬(40)을 역전시키면, 라디에이터(30)의 외측에 배치되는 커버(10a)의 여과부에 부착된 짚 부스러기나 진애 등을 날려버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심플한 구성이면서 엔진(20)의 오버히트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으로서의 콤바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동상의 콤바인에 있어서의 동력 스위칭 기구의 평면으로 봤을 때에 의한 모식적 설명도이다.
도 3은 동상의 동력 스위칭 기구의 측면에서 봤을 때에 의한 모식적 설명도이다.
도 4는 동상의 콤바인에 있어서의 원동부 내를 정면에서 봤을 때에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동상의 콤바인에 있어서의 팬과 동력 스위칭 기구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측면에서 봤을 때에 의한 설명도이다.
도 6a는 텐션 기구의 롤러체의 움직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b는 텐션 기구의 롤러체의 움직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팬의 중심축에 대한 정전용 풀리 및 역전용 풀리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동상의 동력 스위칭 기구가 구비하는 기어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기어 케이스의 배면에서 봤을 때에 의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동상의 동력 스위칭 기구가 구비하는 풀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작업 차량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작업 차량의 일례를 콤바인으로 해서 설명하지만,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골자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하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치환 가능하고, 또한 용이한 것,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소위 균등의 범위인 것이 포함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의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콤바인(1)의 통상의 사용 상태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상하 방향을, 각 부위에 있어서의 각각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상하 방향으로 해서 설명한다. 즉, 전후(X축) 방향은 콤바인(1)의 길이 방향, 좌우(Y축) 방향은 폭 방향, 상하(Z축) 방향은 높이 방향이다. 이 중, 전방은 예취 작업시에 있어서의 콤바인(1)의 진행 방향이고, 좌측 방향은 전방을 향해서 왼쪽 방향이며, 하방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이다. 또한, 이들 방향은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편의상 정의한 것이며, 이들 방향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콤바인(1)의 전체 구성>
콤바인(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2)과, 기체 프레임(2)의 하방측에 설치된 주행 장치(3)와, 기체 프레임(2)의 상부 앞측에 설치된 캐빈(6)과, 이 캐빈(6)의 앞측 하방에 부착된 예취 장치(7)와, 기체 프레임(2)의 후방 좌측에 부착된 도시하지 않은 탈곡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캐빈(6)의 후방이며, 탈곡 장치의 우측에는 탈곡 장치에 의해 탈곡·선별된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8)가 설치되어 있고, 저류된 곡립은 배출 오거(9)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곡립 배출 오거(9)는 내부에 설치된 나선축(도 2 참조)을 구동함으로써, 그레인 탱크(8)에 저류된 곡립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캐빈(6)의 하방 우측에는 엔진룸이 설치되고, 동력원으로 되는 엔진(20) 등을 갖는 원동부(10)가 수용된다. 또한, 원동부(10)를 수용하는 엔진룸은 필터부(여과부)를 갖는 커버(10a)로 덮여진다.
엔진룸에 수용된 원동부(10)는 엔진(20)의 냉각수를 냉각하는 후술의 라디에이터(30)(도 2 참조) 및 라디에이터 팬(청구항에 있어서의 「팬」)(40), 또한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을 라디에이터 팬(40)에 2계통으로 스위칭 가능하게 전동하는 동력 스위칭 기구(60)(청구항에 있어서의 「전동 상태 스위칭 기구(60)」)를 구비한다. 이 동력 스위칭 기구(60)는 본 실시형태의 요부를 이루는 것이며, 원동부(10)의 구성과 함께 뒤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주행 장치(3)>
주행 장치(3)는 엔진(20)으로부터 동력이 전동되어서 주회하는 좌우 한쌍의 크롤러(4)를 구비하고, 이러한 크롤러(4)에 의해 콤바인(1)은 포장을 주행할 수 있다.
<캐빈(6)>
기체 프레임(2)의 상부 앞측에 설치된 캐빈(6)은 조종실로서 기능하고, 도시를 생략한 운전석이나 각종 조종용 레버, 계기류 및 조작 패널, 또한 각종 정보를 표시 가능한 모니터 등이 설치된다.
<예취 장치(7)>
예취 장치(7)는 포장의 곡간을 분초하는 분초 레버와, 분초된 곡간을 일으켜 세우는 일으킴 장치와, 일으켜 세워진 곡간의 밑동을 절단하는 예취날을 구비하고 있어, 포장에 입모하는 곡간을 분초 레버에 의해 분초하고, 분초한 곡간을 일으킴 장치로 일으켜 세우고, 일으켜 세운 곡간을 예취날로 예취한다.
<원동부(10)>
도 2는 콤바인(1)에 있어서의 동력 스위칭 기구(60)의 평면으로 봤을 때에 의한 모식적 설명도, 도 3은 동력 스위칭 기구(60)의 측면에서 봤을 때에 의한 모식적 설명도, 도 4는 콤바인(1)에 있어서의 원동부(10) 내를 정면에서 봤을 때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콤바인(1)에 있어서의 라디에이터 팬(40)과 동력 스위칭 기구(60)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측면에서 봤을 때에 의한 설명도이다.
엔진룸에 배치된 원동부(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우측으로 출력축(73)이 향하도록 배치된 엔진(20)과, 엔진(20)의 우측(도 2에서는 좌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한 라디에이터(30)와, 엔진(20)과 라디에이터(30)의 사이에 설치된 단일의 라디에이터 팬(40)을 구비한다.
라디에이터 팬(40)은 엔진(20)을 구동원으로 해서 회전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은 엔진(20)의 출력축(73)과 라디에이터 팬(40)의 회전축(41)은 직접적으로는 연결되어 있지 않고, 벨트 구동에 의해 연동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 팬(40)의 회전축(41)은 엔진(20)의 출력축(73)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원동부(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을 라디에이터 팬(40)에 전동하는 경로로서 라디에이터 팬(40)을 정전(예를 들면, 시계 방향)시키는 제 1 벨트(51)를 포함하는 제 1 전동 경로(W1)와, 라디에이터 팬(40)을 역전(예를 들면, 반시계 방향)시키는 제 2 벨트(52)를 포함하는 제 2 전동 경로(W2)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동 경로(W1)와 제 2 전동 경로(W2)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동력 스위칭 기구(60)를 구비하고 있다.
(동력 전동 경로)
여기에서, 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콤바인(1)에 있어서의 엔진(20)으로부터 라디에이터 팬(40)으로 동력을 전동하는 제 1 전동 경로(W1)와 제 2 전동 경로(W2)를 포함하는 동력 전동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리는 한쌍의 기어(61, 61)(청구항에 있어서의 「역전 전동 기구」)가 수납된 기어 케이스(62)를 구비한다. 여기에서는, 기어(61, 61)를 평기어로 하고 있다.
기어 케이스(62)는 엔진(20)의 하부 후방(도 4 참조)에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기어 케이스(62)에는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 1 전동축(71)(청구항에 있어서의 「제 1 전동축」) 및 제 2 전동축(72)(청구항에 있어서의 「제 2 전동축」)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전동축(71)은 한쌍의 기어(61, 61)의 한쪽과 접속하고, 제 2 전동축(72)은 다른쪽의 기어(61)와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동축(71)은 기어 케이스(62)를 관통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2 전동축(72)은 기어 케이스(62)의 우측(도 2에서는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전동축(71)의 기어 케이스(62)로부터 기체 우측방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내측으로부터 입력 풀리(82)와 정전용 풀리(81)가 병설되어 있다. 한편, 엔진(20)의 출력축(73)에는 출력 풀리(84)가 부착되어 있고, 이 출력 풀리(84)와 입력 풀리(82)의 사이에 전동 벨트(50)가 장설(張設)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부호 500으로 나타내는 것은 전동 벨트(50)에 접촉하는 텐션 롤러를 나타낸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동축(71)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 2 전동축(72)의 선단에는 역전용 풀리(83)가 부착된다.
라디에이터 팬(40)의 회전축(41)에는 그 선단부(엔진(20)측의 단부)에 정전 풀리(85)가 부착됨과 아울러, 이 정전 풀리(85)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역전 풀리(86)를 라디에이터 팬(40) 근처에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기어 케이스(62)의 제 1 전동축(71)에 부착된 정전용 풀리(81)와 라디에이터 팬(40)의 회전축(41)에 부착된 정전 풀리(85)의 사이에 제 1 벨트(51)가 장설되는 한편, 기어 케이스(62)의 제 2 전동축(72)에 부착된 역전용 풀리(83)와 라디에이터 팬(40)의 회전축(41)에 부착된 역전 풀리(86)의 사이에 제 2 벨트(52)가 장설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동축(71)의 선단에 정전용 풀리(81)가 부착되고, 이 정전용 풀리(81)보다 기어 케이스(62)측에 입력 풀리(82)가 부착된다. 그리고, 엔진(20)의 출력축(73)에 설치한 출력 풀리(84)와 라디에이터 팬(40)의 회전축(41)에 설치한 정전 풀리(85)의 간격이, Y축 방향에서 정전용 풀리(81)와 입력 풀리(82)의 간격과 같아지도록 구성되어 전동 벨트(50)와 제 1 벨트(51)를 갖는 제 1 전동 경로(W1)(청구항에 있어서의 「제 1 전동 경로(W1)」)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전동축(72)에 부착된 역전용 풀리(83)는 제 1 전동축(71)의 선단에 부착된 정전용 풀리(81)보다 라디에이터 팬(40)측에 치우쳐서 배치된다.
그리고, 역전용 풀리(83)와 정전용 풀리(81)의 간격이, Y축 방향에서 라디에이터 팬(40)의 회전축(41)에 설치한 역전 풀리(86)와 정전 풀리(85)의 간격과 동일해지도록 구성되어, 전동 벨트(50)와 제 1 벨트(51)와 제 2 벨트(52)를 갖는 제 2 전동 경로(W2)(청구항에 있어서의 「제 2 전동 경로(W2)」) 가 형성된다.
이렇게 해서, 제 1 전동 경로(W1)와 제 2 전동 경로(W2)를 갖는 원동부(10)에 있어서는, 기체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전동 벨트(50), 제 1 벨트(51), 제 2 벨트(52)가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전동 경로(W1)와 제 2 전동 경로(W2)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동력 스위칭 기구(60)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엔진(20)과 라디에이터(30)까지의 한정된 공간에 효율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콤팩트하게 구성되는 동력 스위칭 기구(60)로 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콤바인(1)이 한정된 넓이의 엔진룸에 효율적으로 원동부(10) 전체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엔진(20)과 라디에이터(30)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는 종래의 위치 관계로부터 특별히 변경할 필요도 없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전동 경로(W1)는 엔진(20)의 출력축(73), 출력 풀리(84)와, 기어 케이스(62)의 제 1 전동축(71), 입력 풀리(82) 및 정전용 풀리(81)와, 라디에이터 팬(40)의 회전축(41), 정전 풀리(85)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전동 경로(W1)에 의해 라디에이터 팬(40)에 전동되는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축(73)(출력 풀리(84))→제 1 전동축(71)(입력 풀리(82) 및 정전용 풀리(81))→회전축(41)(정전 풀리(85))로 전동되어 라디에이터 팬(40)이 정전하게 된다.
또한, 제 2 전동 경로(W2)는 엔진(20)의 출력축(73), 출력 풀리(84)와, 기어 케이스(62)의 제 1 전동축(71), 입력 풀리(82), 한쌍의 기어(61, 61), 제 2 전동축(72), 역전용 풀리(83)와, 라디에이터 팬(40)의 회전축(41), 역전 풀리(86)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제 2 전동 경로(W2)에 의해 라디에이터 팬(40)에 전동되는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축(73)(출력 풀리(84))→제 1 전동축(71)(입력 풀리(82))→한쪽 기어(61)→다른쪽 기어(61)→제 2 전동축(72)(역전용 풀리(83))→회전축(41)(역전 풀리(86))의 경로를 지나서 전동되어 라디에이터 팬(40)이 역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서는 단일의 라디에이터 팬(40)을 정전 또는 역전시킴으로써, 엔진(20)의 냉각 및 라디에이터(30)의 표면이나 엔진룸을 덮는 커버(10a)(도 1)의 필터부에 부착된 짚 부스러기나 진애 등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의한 라디에이터 팬(4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 팬(40)을 둘러싸는 슈라우드(42)에 팬 지지 부재(400)를 통해서 부착된다.
즉, 팬 지지 부재(40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 팬(40)의 축부(43)가 부착되는 플레이트(410)와, 이 플레이트(410)가 연결 지지됨과 아울러 라디에이터 팬(40)의 슈라우드(42)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프레임(421, 42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부호 44는 베어링을 나타내고, 이 베어링(44)을 통해서 라디에이터 팬(40)의 축부(43)가 플레이트(410)에 지지된다.
한쌍의 프레임(421, 422)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편평 ㄷ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단부를 슈라우드(42)에 연결하고 있다. 이때, 양 프레임(421, 422)은 제 1 벨트(51) 및 제 2 벨트(52)의 장설 방향을 따라, 양 벨트를 사이에 두도록 하방을 향해서 점차 확개된 八자상의 형태로 가설되어 있다.
플레이트(410)는 사방으로 연신하는 부착부(411a, 411b, 412a, 412b)를 갖고, 각각의 선단부를 프레임(421, 422)에 연결하고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부(411a, 411b, 412a, 412b)는 八자상으로 배치된 한쌍의 프레임(421, 422)에 대응하도록 높이 방향에서 상위에 위치하는 부착부(411a, 412a)보다 하위에 위치하는 부착부(411b, 412b)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라디에이터 팬(40)을 상술한 구성의 팬 지지 부재(400)를 통해서 슈라우드(42)에 부착했기 때문에, 제 1 벨트(51) 및 제 2 벨트(52)의 부착이나 분리 등의 벨트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동력 스위칭 기구(60)>
이어서, 동력 스위칭 기구(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력 스위칭 기구(60)는 제 1 전동 경로(W1)와 제 2 전동 경로(W2)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제 1 벨트(51)와 제 2 벨트(52) 중 어느 하나에 라디에이터 팬(40)을 확실하게 회전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텐션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텐션 기구(90)를 구비한다.
텐션 기구(9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벨트(51)와 제 2 벨트(52)의 사이에 설치되는 롤러체(청구항의 「텐션 롤러」)(91)를 구비한다. 제 1 벨트(51)와 제 2 벨트(5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전용 풀리(81) 및 정전 풀리(85)와, 역전용 풀리(83)와 역전 풀리(86)의 기체 폭 방향의 거리만큼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롤러체(91)에 대해서는 적어도 제 1 벨트(51)의 폭과 제 2 벨트(52)의 폭과 양 벨트(51, 52)간의 간격을 서로 더한 폭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롤러체(91)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가동 기구(청구항의 「텐션 롤러 이동 기구」)(100)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롤러 가동 기구(100)>
롤러 가동 기구(100)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에 롤러체(91)가 부착되고, 지지축(101)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한 레버체(102)와, 이 레버체(102)를 지지축(101) 주위로 요동시키는 회동체(103)와, 이 회동체(103)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로서의 모터(104)를 구비하고 있다.
회동체(103)는 그 중심이 모터(104)의 출력축(도시하지 않음)에 연동 연결된 기어 등을 수납한 케이싱(106)의 출력축(103a)에 연결되어 있고, 양단측에는 각각 암체(105)의 기단을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암체(105, 105)의 선단에는 각각 레버체(102)에 선단을 연결한 스프링(107)의 기단이 연결되어 있다. 2개의 스프링(107, 107)의 선단은 서로가 지지축(101)을 사이에 두는 위치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터(104)를 정전 또는 역전시키면 한쪽의 스프링(107)이 인장되고 다른쪽의 스프링(107)이 느슨해지기 때문에, 레버체(102)는 지지축(101)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레버체(102)가 지축(101)을 중심으로 요동하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체(102)의 선단에 부착된 롤러체(91)가 제 1 벨트(51) 또는 제 2 벨트(52) 중 어느하나를 밀어넣어, 라디에이터 팬(40)을 회전시키는 만큼의 힘을 발생시키는 텐션을 선택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도 6a, 6b는 텐션 기구(90)의 롤러체(91)의 움직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시하는 것은 생략했지만, 롤러체(91)는 그 외면에 제 1 벨트(51) 및 제 2 벨트(52)에 대응하는 홈부 등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체(91)를 사용해서 제 1 벨트(51)에 텐션을 가할 경우, 즉 라디에이터 팬(40)을 정전시키는 경우에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체(91)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레버체(102)를 요동시킨다. 한편. 제 2 벨트(52)에 텐션을 가할 경우, 즉 라디에이터 팬(40)을 역전시키는 경우에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체(91)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레버체(102)를 요동시킨다.
이와 같이, 롤러체(91)는 롤러 가동 기구(100)에 의해 제 1 벨트(51) 및 제 2 벨트(52)의 어느 쪽에도 텐션이 부여되지 않는 뉴트럴 위치(도 6a의 (a), 도 6b의 (a))와, 제 1 벨트(51)에만 접촉하는 정전 위치(도 6a의 (c))와, 제 2 벨트(52)에만 접촉하는 역전 위치(도 6b의 (c))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 1 전동 경로(W1)와 제 2 전동 경로(W2)의 선택적인 스위칭을, 단일의 롤러체(91)를 구비하는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구성 가능한 롤러 가동 기구(100)에 의해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롤러체(91)를 요동시킬 때에는, 모터(104)의 회전 속도를 적당하게 감속시키면 좋다. 즉, 롤러체(91)의 이동도 모터(104)를 고속 회전시키는 것보다 느려지기 때문에, 제 1 벨트(51) 또는 제 2 벨트(52) 중 한쪽이 느슨해지기 시작하면 다른쪽의 텐션이 증가해 간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정전하고 있는 라디에이터 팬(40)이 감속해 가고, 나아가서는 서서히 역전 방향으로 증속해 가기 때문에 벨트(51(52))의 슬립음도 가급적으로 억제되어 정음성(靜音性)이 향상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6b에 나타내는 상태로, 또는 그 반대의 상태가 되도록 롤러체(91)를 동작시킬 경우, 롤러체(91)가 벨트(51, 52)로부터 이간해 갈 때에는 벨트(51, 52)로부터의 반발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모터(104)의 구동력을 어시스트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구성의 롤러 가동 기구(100)이면, 상대적으로 소형의 모터(104)로 해도 제 1 전동 경로(W1)와 제 2 전동 경로(W2)의 스위칭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기타)
그런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전용 풀리(81)와 역전용 풀리(83)는 라디에이터 팬(40)의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 원호(C)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정전용 풀리(81)와 역전용 풀리(83)를 라디에이터 팬(40)의 회전축(41)으로부터 동 거리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다. 도 7은 라디에이터 팬(40)의 회전축(41)에 대한 정전용 풀리(81) 및 역전용 풀리(83)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와 같이, 정전용 풀리(81)와 역전용 풀리(83)를 라디에이터 팬(40)의 회전축(41)으로부터 모두 반지름(R)의 가상 원호(C) 상에 배치함으로써, 제 1 벨트(51)와 제 2 벨트(52)에 있어서의 텐션의 느슨함 상태나 인장 상태는 언밸런스해질 일이 없다. 따라서,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을 라디에이터 팬(40)에 전동하는 제 1 전동 경로(W1)와 제 2 전동 경로(W2)(도 2 참조)를, 하나의 롤러체(91)에 의해 확실하게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제 1 벨트(51)와 제 2 벨트(52)의 공유화가 가능해져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이나 도 5에서 나타낸 라디에이터 팬(40)의 날개수는 7매였던 것에 대해,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8매로 하고 있다. 즉, 라디에이터 팬(40)의 날개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크기는 송풍 능력 등을 감안해서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동축(71)의 일단측, 즉 기어 케이스(62)로부터 기체 우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정전용 풀리(81) 및 입력 풀리(82)가 부착되는 한편, 타단측, 즉 기어 케이스(62)로부터 기체 좌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에는 그레인 탱크(8)(도 1 참조)의 배출 나선축(850)을 구동하기 위한 나선축 구동 풀리(87)가 부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선축 구동 풀리(87)로부터 배출 나선축(850)까지의 동력 전동 경로는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즉, 기어 케이스(62)와 배출 나선축(850)의 사이에 베벨 기어 세트(801)를 수납한 제 1 기어 박스(800)를 설치하고, 베벨 기어 세트(801)의 한쪽에 연결한 축(802)에 전동 풀리(88)를 부착하고, 이 전동 풀리(88)와 나선축 구동 풀리(87)의 사이에 제 3 벨트(53)를 장설한다. 또한, 전동 풀리(88)와 나선축 구동 풀리(87)의 사이는 제 3 벨트(53)의 텐션을 온오프하는 클러치(840)가 설치된다.
베벨 기어 세트(801)의 다른쪽에는 바이브로 샤프트(810)의 기단을 연결하고, 이 바이브로 샤프트(810)의 선단을 제 2 기어 박스(820)를 통해서 배출 나선축(850)의 기단과 연동 연결하고 있다. 또한, 제 2 기어 박스(820)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복수의 평기어가 맞물리는 전동 기어군(821)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바이브로 샤프트(810)에는 그레인 탱크(8)의 저부를 두드리는 캠체(8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서는 라디에이터 팬(40)의 정전·역전에 추가해서, 곡립 배출 오거(9)의 배출 나선축(850)의 구동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전동축(71)의 타단측에는 나선축 구동 풀리(87)와 인접하도록, 에어콘용의 컴프레서(200)를 구동하기 위한 에어콘 구동용 풀리(89)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에어콘 구동용 풀리(89)와 컴프레서(200)에 연동 연결되는 에어콘 수동 풀리(210)의 사이에 제 4 벨트(54)를 장설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나선축 구동 풀리(87)와 에어콘 구동용 풀리(89)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2련 풀리에 의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도 9 참조).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서는 기어 케이스(62)를 설치한 심플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비용 상승을 억제하면서도, 라디에이터 팬(40)의 정전·역전이나 곡립 배출 오거(9)의 배출 나선축(850)의 구동에 추가해서, 또한 에어콘용의 컴프레서(200)의 구동도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동력 스위칭 기구(60)가 구비하는 기어 케이스(62)의 구성에 대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을 추가한다. 도 8은 기어 케이스(62)의 측면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기어 케이스(62)의 배면에서 봤을 때에 의한 설명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 케이스(62)는 기체측에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621)가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이 베이스부로부터 대략 45°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연신하는 타원상의 케이스 본체(622)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622)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단척으로 한 제 1 전동축(71)을 수용하는 제 1축 수용부(623)를 케이스 하부에 팽출 형성함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장척으로 한 제 2 전동축(72)을 수용하는 제 2축 수용부(624)를 케이스 상부에 팽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622)에 있어서의 나선축 구동 풀리(87)와 에어콘 구동용 풀리(89)가 근접하는 측에, 서로 맞물리는 평기어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기어(61, 61)를 수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기어 케이스(62)를 동력 스위칭 기구(60)에 채용함으로써 제 1 전동 경로(W1)와 제 2 전동 경로(W2)의 스위칭이 용이해지고, 라디에이터 팬(40)의 정전 또는 역전을 선택적으로 행하면서 배출 나선축(850)의 구동이나 에어콘의 구동까지 간단한 구성으로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로부터 이하의 콤바인(1)을 실현할 수 있다.
(1) 구동원으로 되는 엔진(20)과, 엔진(20)의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30)와, 엔진(20)과 라디에이터(30)의 사이에 설치된 단일의 라디에이터 팬(40)과,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을 라디에이터 팬(40)에 전동하는 경로를, 상기 라디에이터 팬(40)을 정전시키는 제 1 벨트(51)를 포함하는 제 1 전동 경로(W1)와 라디에이터 팬(40)을 역전시키는 제 2 벨트(52)를 포함하는 제 2 전동 경로(W2)로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동력 스위칭 기구(60)를 구비하는 콤바인(1).
(2) 상기 (1)의 구성에 있어서, 동력 스위칭 기구(60)는 서로 맞물리는 한쌍의 기어(61, 61)가 수납된 기어 케이스(62)와, 기어 케이스(62)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한쌍의 기어(61, 61)의 한쪽과 접속하는 제 1 전동축(71) 및 한쌍의 기어(61, 61)의 다른쪽과 접속하는 제 2 전동축(72)과, 제 1 전동축(71)에 각각 부착된 정전용 풀리(81) 및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풀리(82)와, 제 2 전동축(72)에 부착된 역전용 풀리(83)와, 엔진(20)의 출력축(73)에 부착되어 전동 벨트(50)를 통해서 입력 풀리(82)에 연동하는 출력 풀리(84)와, 라디에이터 팬(40)에 설치되어 제 1 벨트(51)를 통해서 정전용 풀리(81)에 연동하는 정전 풀리(85)와, 라디에이터 팬(40)에 설치되어 제 2 벨트(52)를 통해서 역전용 풀리(83)에 연동하는 역전 풀리(86)와, 제 1 벨트(51)와 제 2 벨트(52) 중 어느 하나에 라디에이터 팬(40)을 회전시키는 동력이 전동되는 장력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텐션 기구(90)를 구비하는 콤바인(1).
(3) 상기 (2)의 구성에 있어서, 텐션 기구(90)는 제 1 벨트(51)와 제 2 벨트(52)의 사이에 설치되고, 제 1 벨트(51)와 제 2 벨트(52) 중 어느 하나에 라디에이터 팬(40)을 회전시키는 동력이 전동되는 장력을 부여하는 롤러체(91)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콤바인(1).
(4) 상기 (3)의 구성에 있어서, 롤러체(91)를 제 1 벨트(51) 및 제 2 벨트(52) 중 어느 쪽에도 장력이 부여되지 않는 뉴트럴 위치와, 제 1 벨트(51)에만 장력을 부여하는 정전 위치와, 제 2 벨트(52)에만 장력을 부여하는 역전 위치로 이동시키는 롤러 가동 기구(100)를 구비하는 콤바인(1).
(5) 상기 (4)의 구성에 있어서, 롤러 가동 기구(100)는 일단에 롤러체(91)가 부착되고, 지지축(101)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한 레버체(102)와, 상기 레버체(102)를 지지축(101) 둘레로 요동시키는 회동체(103)와, 회동체(103)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로서의 모터(104)를 구비하는 콤바인(1).
(6) 상기 (2)~(5)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정전용 풀리(81)와 역전용 풀리(83)는 라디에이터 팬(40)의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 원호(C) 상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한 콤바인(1).
(7) 상기 (2)~(6)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제 1 전동축(71)의 선단에 정전용 풀리(81)가 부착되고, 상기 정전용 풀리(81)보다 기어 케이스(62)측에 입력 풀리(82)가 부착되는 콤바인(1).
(8) 상기 (7)의 구성에 있어서, 제 2 전동축(72)에 부착된 역전용 풀리(83)는 제 1 전동축(71)의 선단에 부착된 정전용 풀리(81)보다 라디에이터 팬(40)측에 치우쳐서 배치되어, 기체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전동 벨트(50), 제 1 벨트(51), 제 2 벨트(52)가 설치되는 콤바인(1).
(9) 상기 (2)~(8)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제 1 전동축(71)의 일단측에 정전용 풀리(81) 및 입력 풀리(82)가 부착되는 한편, 상기 제 1 전동축(71)의 타단측에는 그레인 탱크(8)의 배출 나선축(850)을 구동하기 위한 나선축 구동 풀리(87)가 부착되는 콤바인(1).
(10) 상기 (2)~(9)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라디에이터 팬(40)을 지지하는 팬 지지 부재(400)를 구비하고, 팬 지지 부재(400)는 라디에이터 팬(40)의 축부(43)가 부착되는 플레이트(410)와, 상기 플레이트(410)를 지지함과 아울러 라디에이터 팬(40)의 슈라우드(42)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프레임(421, 422)을 구비하고, 라디에이터 팬(40)의 회전 축심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한쌍의 프레임(421, 422)은 제 1 벨트(51) 및 제 2 벨트(52)의 장설 방향을 따라 양 벨트(51, 52)를 사이에 두도록 가설되는 콤바인(1).
<변형예>
상술해 온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동 경로(W1)나 제 2 전동 경로(W2)를 구성하기 위한 풀리에 대해서는, 각각 독립된 풀리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 케이스(62)에 설치한 제 1 전동축(71)에 병설한 정전용 풀리(81) 및 입력 풀리(82) 대신에, 2련 풀리(860)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0은 동력 스위칭 기구(60)가 구비하는 풀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설명도이다.
또한, 라디에이터 팬(40)의 회전축(41)에 설치한 정전 풀리(85)와 역전 풀리(86) 대신에, 이것도 2련 풀리(87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련 풀리(860, 870)를 사용함으로써 부품수를 삭감하고,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정전 풀리(85)와 역전 풀리(86)를 동일 직경으로 했지만, 반드시 동일 직경으로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술해 온 실시형태에서는 기어 케이스(62) 내에 수납된 한쌍의 기어(61, 61)는 평기어로 했지만, 다른 종류의 기어를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전동축(71)과 제 2 전동축(72)의 연장 방향이 평행이 아닌 경우에는 베벨 기어 등을 사용해도 좋다.
새로운 효과나 변형예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보다 광범위한 형태는 이상과 같이 나타내거나 또한 기술한 특정의 상세, 및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첨부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총괄적인 발명의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0a : 커버 20 : 엔진
30 : 라디에이터 40 : 라디에이터 팬(팬)
41 : 회전축 51 : 제 1 벨트
52 : 제 2 벨트
60 : 동력 스위칭 기구(전동 상태 스위칭 기구)
61 : 기어 62 : 기어 케이스
71 : 제 1 전동축(제 1 전동축)
72 : 제 2 전동축(제 2 전동축)
81 : 정전용 풀리 82 : 입력 풀리
83 : 역전용 풀리 85 : 정전 풀리
86 : 역전 풀리 90 : 텐션 기구
91 : 롤러체(텐션 롤러) 100 : 롤러 가동 기구(텐션 롤러 이동 기구)
W1 : 제 1 전동 경로(제 1 전동 경로)
W2 : 제 2 전동 경로(제 2 전동 경로)

Claims (5)

  1. 엔진(20)과, 이 엔진(20)의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30)와, 이 라디에이터(30)의 외측에 배치되는 여과부를 가진 커버(10a)와, 상기 엔진(20)과 라디에이터(30)의 사이에 배치되는 단일의 팬(40)을 구비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엔진(20)의 동력을 제 1 벨트(51)를 통해서 상기 팬(40)에 전동하여 이 팬(40)을 정전시키는 제 1 전동 경로(W1)와, 상기 엔진(20)의 동력을 제 2 벨트(52)를 통해서 상기 팬(40)에 전동하여 이 팬(40)을 역전시키는 제 2 전동 경로(W2)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전동 경로(W1)로부터 상기 팬(40)으로 전동하는 상태와, 상기 제 2 전동 경로(W2)로부터 상기 팬(40)으로 전동하는 상태로 스위칭하는 동력 스위칭 기구(60)를 설치하고,
    상기 동력 스위칭 기구(60)는
    서로 맞물리는 한쌍의 기어(61, 61)가 수납된 기어 케이스(62)와,
    기어 케이스(62)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한쌍의 기어(61, 61)의 한쪽과 접속하는 제 1 전동축(71) 및 한쌍의 기어(61, 61)의 다른쪽과 접속하는 제 2 전동축(72)과,
    제 1 전동축(71)에 각각 부착된 정전용 풀리(81) 및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풀리(82)와,
    제 2 전동축(72)에 부착된 역전용 풀리(83)와,
    엔진(20)의 출력축(73)에 부착되어 전동 벨트(50)를 통해서 입력 풀리(82)에 연동하는 출력 풀리(84)와,
    라디에이터 팬(40)에 설치되어 제 1 벨트(51)를 통해서 정전용 풀리(81)에 연동하는 정전 풀리(85)와,
    라디에이터 팬(40)에 설치되어 제 2 벨트(52)를 통해서 역전용 풀리(83)에 연동하는 역전 풀리(86)와,
    제 1 벨트(51)와 제 2 벨트(52) 중 어느 하나에 라디에이터 팬(40)을 회전시키는 동력이 전동되는 장력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텐션 기구(90)를 구비한 작업 차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기구(90)에는 상기 제 1 벨트(51)와 제 2 벨트(52)에 장력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텐션 롤러(91)를 구비하고, 이 텐션 롤러(91)를 상기 제 1 벨트(51) 및 제 2 벨트(52)의 어느 쪽에도 장력이 부여되지 않는 뉴트럴 위치와, 상기 제 1 벨트(51)에만 장력을 부여하는 정전 위치와, 상기 제 2 벨트(52)에만 장력을 부여하는 역전 위치로 이동시키는 텐션 롤러 이동 기구(100)를 구비한 작업 차량.
KR1020170036904A 2016-05-25 2017-03-23 작업 차량 KR101931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04664A JP6142946B1 (ja) 2016-05-25 2016-05-25 作業車両
JPJP-P-2016-104664 2016-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246A KR20170133246A (ko) 2017-12-05
KR101931116B1 true KR101931116B1 (ko) 2018-12-20

Family

ID=59012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904A KR101931116B1 (ko) 2016-05-25 2017-03-23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42946B1 (ko)
KR (1) KR101931116B1 (ko)
CN (1) CN206551861U (ko)
TW (1) TWI6234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8999B (zh) * 2018-05-25 2019-11-26 宁波高锋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新能源汽车的防垢散热器
CN111791690B (zh) * 2020-06-29 2022-05-06 浙江安格鲁传动系统有限公司 一种客车用散热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0709A (ja) * 2010-09-29 2012-04-12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JP2015208269A (ja) 2014-04-25 2015-11-24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原動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59431U (ko) * 1977-05-19 1978-12-14
US4634403A (en) * 1985-11-18 1987-01-06 Tennant Company Belt drive
JP2535949Y2 (ja) * 1991-02-06 1997-05-14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冷却装置
JPH07119464A (ja) * 1993-10-25 1995-05-09 Kubota Corp エンジン冷却装置
CN102398510B (zh) * 2010-09-09 2015-04-15 井关农机株式会社 作业车辆的原动部结构
KR101310698B1 (ko) * 2010-12-17 2013-09-25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의 원동부 구조
CN202937341U (zh) * 2011-12-27 2013-05-15 井关农机株式会社 作业车辆的原动部结构
JP5953934B2 (ja) * 2012-05-18 2016-07-2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TWI569715B (zh) * 2013-08-26 2017-02-11 井關農機股份有限公司 作業車輛的原動部構造
JP6150169B2 (ja) * 2013-09-25 2017-06-21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CN103548433B (zh) * 2013-10-16 2017-01-18 宁波大叶园林设备有限公司 带有刃护盘用导轮配窜垡型犁消中漏耕的宽幅卧式微耕机
KR20150137955A (ko) * 2014-05-29 2015-12-09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0709A (ja) * 2010-09-29 2012-04-12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JP2015208269A (ja) 2014-04-25 2015-11-24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原動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42946B1 (ja) 2017-06-07
CN206551861U (zh) 2017-10-13
KR20170133246A (ko) 2017-12-05
TW201741160A (zh) 2017-12-01
TWI623448B (zh) 2018-05-11
JP2017210109A (ja)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9323B2 (ja) クローラ型走行装置
KR101931116B1 (ko) 작업 차량
JP5418792B2 (ja) コンバイン
JP2018202939A (ja) 作業車両の原動部
JP2017057809A (ja) 作業車のエンジン冷却装置
JP5472648B2 (ja) 作業車輌
JP2018140694A (ja) 作業車両
KR101598012B1 (ko) 작업 차량의 원동부
JP5707979B2 (ja)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JP2019078358A (ja) 正逆転ファンの伝動部構造
JP2012115175A (ja) コンバイン
JP2021151191A (ja) 作業車
JP2005297157A (ja) 傾斜円テーブル装置
JP2017227285A (ja) 作業車両の原動部構造
JP6500862B2 (ja) 作業車両の原動部構造
JP6565976B2 (ja)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JP6399052B2 (ja) 作業車両の原動部構造
JP2012111452A (ja) 作業車両の原動部構造
JP6107438B2 (ja) 電動車両用駆動ユニット
JP4148954B2 (ja) エンジン冷却装置
JP5242533B2 (ja) 変速操作機構
JP2006082645A (ja) コンスタントメッシュ式の伝動切換装置
JP2013230722A (ja) 作業車両の原動部構造
JP2010233550A (ja) 芝刈機
JP2014166800A (ja) 作業車両及びこの作業車両としての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