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325B1 -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325B1
KR101930325B1 KR1020170002233A KR20170002233A KR101930325B1 KR 101930325 B1 KR101930325 B1 KR 101930325B1 KR 1020170002233 A KR1020170002233 A KR 1020170002233A KR 20170002233 A KR20170002233 A KR 20170002233A KR 101930325 B1 KR101930325 B1 KR 101930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service
user activity
activity history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1245A (ko
Inventor
김원겸
양창훈
조경환
조현태
유진우
이성재
김길도
채종운
김세형
정수진
박건표
송병용
김영철
배주환
이정섭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2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325B1/ko
Priority to CN201780062556.5A priority patent/CN109843404B/zh
Priority to PCT/KR2017/012861 priority patent/WO2018128261A1/ko
Priority to EP17890291.2A priority patent/EP3508262A4/en
Priority to JP2019518930A priority patent/JP6830528B2/ja
Publication of KR20180081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325B1/ko
Priority to US16/502,606 priority patent/US1100744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6/00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 A61F6/02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for use by males
    • A61F6/04Condoms, sheaths or the like, e.g. combined with devices protecting against contag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1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6/00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 A61F6/02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for use by males
    • A61F6/04Condoms, sheaths or the like, e.g. combined with devices protecting against contagion
    • A61F2006/045Condoms, sheaths or the like, e.g. combined with devices protecting against contagion with closing devices at the open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6/00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 A61F6/02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for use by males
    • A61F6/04Condoms, sheaths or the like, e.g. combined with devices protecting against contagion
    • A61F2006/047Condoms, sheaths or the like, e.g. combined with devices protecting against contagion with hol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6Game information storage, e.g. cartridges, CD ROM's, DVD's, smart cards
    • A63F2300/208Game information storage, e.g. cartridges, CD ROM's, DVD's, smart cards for storing personal settings or data of the play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5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 A63F2300/5546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using player registration data, e.g. identification, account, preferences, game histo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game services offered to the p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전자 기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활동 이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 대해 상기 제1 서비스에서의 계정 정보와 상기 제2 서비스에서의 계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상기 제1 서비스와 상기 제2 서비스 중 다른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USER ACTIVITY INFORMATION}
아래의 설명은 서로 다른 서비스 간에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게임은 네트워크 및 컴퓨터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최근 온라인 문화 산업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분야이다. 온라인 게임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장르의 온라인 게임을 요구하게 되었고, 현재는 매우 다양한 장르의 온라인 게임이 서비스되고 있다. 일례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9774호(공개일 2013년 08월 13일)에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커뮤니티 서비스는 사용자들이 직접 정보를 생산하고 공유하며 이들이 모여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공간을 마련해주는 것으로, 포탈 웹 서비스 제공 업체(예컨대, 네이버, 다음 등)의 카페 등을 통해 사용자 자신이 좋아하는 테마에 맞추어서 게시판이나 채팅방 등을 만들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특정 그룹들 간에 정보 및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
최근에는 온라인 게임에서 게임 사용자에게 각종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고 게임 사용자 간에 정보를 공유하면서 소속감과 유대감을 높이기 위한 커뮤니티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게임사에서 게임과 커뮤니티를 운영할 때 기존에는 게임 사용자 활동과 커뮤니티 사용자 활동이 서로 별개로 관리되면서 상호 간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 게임과 커뮤니티 간에 활동 내역을 공유할 수 없다.
서로 다른 서비스 간에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1 서비스의 사용자 활동과 제2 서비스의 사용자 활동을 서로 연결해 줄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의 상호 간에 일 측에서의 사용자 활용을 다른 측에서 즉시 반영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 기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활동 이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 대해 상기 제1 서비스에서의 계정 정보와 상기 제2 서비스에서의 계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상기 제1 서비스와 상기 제2 서비스 중 다른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제2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종속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쓰레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이 사전에 정해진 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바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서비스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활동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서의 계정 정보와 상기 제2 서비스에서의 계정 정보, 사용자 활동 타입과 사용자 활동과 관련된 문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종속되어 구성된 것으로, 상기 게임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게임 서비스 내에서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활동 이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상기 게임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사용자 활동 정보 공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 공유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종속된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용자 활동 이력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제공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 공유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 공유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용자 활동 이력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제공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전자 기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활동 이력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 대해 상기 제1 서비스에서의 계정 정보와 상기 제2 서비스에서의 계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상기 제1 서비스와 상기 제2 서비스 중 다른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제2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서비스의 사용자 활동과 제2 서비스의 사용자 활동을 공유함으로써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 간에 사용자 활동을 연결하기 위한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서비스의 사용자 활동과 제2 서비스의 사용자 활동을 서로 연결해 줌으로써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의 상호 간에 일 측에서의 사용자 활용을 다른 측에서 즉시 반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활동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서비스 간에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서비스 간에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리소스 없이 사용자 활동 정보의 자동 매핑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효율성, 실효성, 비용 절감 등의 측면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들을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6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전자 기기 1(11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 1(110)은 서버(16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 1(110)이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전자 기기 1(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전자 기기 1(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전자 기기 1(110), 그리고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 2(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일례로 검색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전자 기기 1(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 1(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 1(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전자 기기 2(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 1(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 1(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체계와 기계 장치 혹은 컴퓨터망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는 것으로, 더 나아가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기능과 아울러 다른 기능을 포함하거나 연계하기 위해 서로 연관성 있는 다른 프로그램(예컨대, software development kit,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ramework 등)을 이용하여 제작되거나, 혹은 이들 프로그램과 하나로 묶은 패키지 형태로 제작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괄하여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제1 어플리케이션)에 다른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제2 어플리케이션)이 종속되는 것이라 함은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메뉴가 제1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서비스의 사용자 활동과 제2 서비스의 사용자 활동을 서로 연결해주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는 게임, 커뮤니티(예컨대, SNS, 블로그 등), 검색, 이메일, 뉴스, 쇼핑 등과 같이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온라인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게임 서비스를 제1 서비스의 예로 하고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2 서비스의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제1 서비스의 일례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2 서비스의 일례인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네트워크 환경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 기기 1(110)과, 전자 기기 1(110)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버(150), 및 전자 기기 1(110)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 서버(16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게임 어플리케이션은 기본적으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작된 것이며, 특히 어플리케이션의 제작 과정에서 일종의 SDK(software development kit)(30)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제작 툴을 이용하여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커뮤니티 서비스를 호출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일례로, 플러그 SDK(30)가 제공되면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플러그 SDK(30)를 이용하여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을 인-앱(in-app) 형태로 구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인터넷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플러그 SDK(30)를 이용하여 제작된 게임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기기 1(110)에서 실행될 때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특정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종속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기능을 선택할 경우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이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종속되는 것이라 함은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메뉴가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여부에 의해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여부가 종속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 또한 종료될 수 있다. 이때,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게임 어플리케이션과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쓰레드일 수 있다. 또는,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쓰레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주 쓰레드이고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은 주 쓰레드에 종속되는 종 쓰레드일 수 있다.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하여 전자 기기 1(110)과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서버는 게임 서버(160)일 수 있고,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하여 전자 기기 1(110)과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서버는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150)일 수 있다. 즉, 게임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서버(160)에 의해 관리되고,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은 커뮤니티 서버(15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게임 서버(160)는 전자 기기 1(110)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기기 1(110)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가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임을 하는 중 특정 기능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경우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커뮤니티 서비스를 위한 API(31)를 호출하게 되는데 이때 전자 기기 1(110)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API(31) 호출에 따라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종속된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고, 커뮤니티 서버(150)는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기기 1(110)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기기 1(110)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이탈하지 않고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게임 서버(160)와 커뮤니티 서버(150)는 각각 게임 어플리케이션과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즉, 게임 서버(160)와 커뮤니티 서버(150)는 각각 게임 어플리케이션과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이 전자 기기 1(110)에 의해 구동된 결과를 저장하고 전자 기기 1(110)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게임 서버(160)는 전자 기기 1(110)에서 구동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해당 게임 내에서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의 게임 ID, 게임 진행 정도, 게임 머니 또는 게임 아이템 정보 등과 관련된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전자 기기 1(110)과 송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뮤니티 서버(150)는 전자 기기 1(110)에서 구동되는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해당 커뮤니티 내에서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의 커뮤니티 ID, 커뮤니티 내에 등록된 문서에 대한 정보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자 기기 1(110)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커뮤니티 서버(150)는 게임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활동과 커뮤니티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활동을 서로 연결해주는 API를 제공하는 것으로, 게임 어플리케이션에서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커뮤니티 서버(150)와 게임 서버(160) 상호 간에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의 커뮤니티 ID(커뮤니티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계정 정보)와 게임 ID(게임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계정 정보), 그리고 커뮤니티 ID와 게임 ID 간에 발생하는 정보를 자동 매핑하여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 1(110)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전자 기기 1(110)의 표시부(400) 상에 게임 화면(410)이 표시되고 게임 화면(410)의 소정 위치에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커뮤니티 인터페이스(401)가 표시될 수 있다.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가 게임 화면(410)에서 커뮤니티 인터페이스(401)를 선택하는 경우 전자 기기 1(110)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인-앱 형태로 구성된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 1(110)에서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400) 상에 커뮤니티 화면(510)이 표시되는데, 이때 커뮤니티 화면(510)은 게임 화면(4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차지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임을 하던 중 커뮤니티 인터페이스(401)를 선택할 수 있고, 이 경우 전자 기기 1(110)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인-입으로 구성된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서 게임 화면(410) 상에 커뮤니티 화면(51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순서도이다.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601)는 게임 어플리케이션(602)을 통해 게임을 하던 중 게임 내에서 제공하는 특정 기능을 이용하여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때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어플리케이션(602)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인터넷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사용자(601)는 게임 내에서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커뮤니티 서버(150)에 접속할 수 있고, 이때 커뮤니티 회원 가입, 커뮤니티에 등록된 게시글 읽기, 커뮤니티에 게시글 등록, 커뮤니티에 등록된 게시글에 댓글 쓰기, 커뮤니티에 등록된 투표에 참여하기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할 수 있다(S1).
게임 어플리케이션(602)은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의 플러그 SDK(30)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게임 내에서 실행된 커뮤니티에서의 사용자 활동을 커뮤니티 서버(150)로 전달할 수 있다(S2).
커뮤니티 서버(150)는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의 플러그 SDK(30)를 포함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602)에 의해 사용자(601)의 커뮤니티 ID와 게임 ID, 그리고 커뮤니티 ID와 게임 ID 간에 발생하는 정보를 자동 매핑할 수 있다. 이에, 커뮤니티 서버(15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602)으로부터 게임 내에서 실행된 커뮤니티에서의 사용자 활동을 수신하여 커뮤니티 ID와 게임 ID 간의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커뮤니티 서버(15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602)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활동이 사전에 정해진 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사용자 활동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활동에 대한 결과를 게임 어플리케이션(602)으로 전달할 수 있다(S3).
전자 기기 1(110)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602)은 커뮤니티 서버(150)로부터 수신된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결과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게임 내에서 사용자(601)에게 제공할 수 있다(S4).
다른 예로, 커뮤니티 서버(15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602)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활동이 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사용자 활동인 경우 해당 활동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게임 어플리케이션(602)으로 바로 전달하여 게임 내에서 사용자(601)에게 즉시 제공할 수 있다(S5).
커뮤니티 서버(150)가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정보를 게임 어플리케이션(602)으로 바로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임 서버(160)와의 연동이 가능한 경우 게임 서버(160)를 거쳐 게임 어플리케이션(602)으로 전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6은 게임 내에서 발생된 커뮤니티에서의 사용자 활동이 커뮤니티로 전달하고 커뮤니티에서 사용자 활동에 상응하는 결과나 이벤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반대의 케이스로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활동과 커뮤니티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활동을 연결할 수 있고, 일례로 게임 서비스와 커뮤니티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에서 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사용자의 활동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활동 내역을 다른 하나의 서비스로 발송하여 사용자의 활동 내역을 수신한 서비스 측에서 수신 즉시 설정 조건에 맞춰 사용자의 활동에 대응되는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안에 인-앱 형태로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여 게임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활동과 커뮤니티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활동을 공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임 어플리케이션과 개별 어플리케이션으로 제작된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이나 웹/모바일 사이트 접속을 통한 커뮤니티 서비스 플랫폼에서의 사용자 활동을 연결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50)의 프로세서(222)는 구성요소들로서 수신부(710), 저장부(720), 및 제공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도 8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810 내지 S830)을 수행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2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운영체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22)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2)가 상술한 제어 명령에 따라 사용자 활동 이력을 수신하는 기능적 표현으로서 수신부(710)가 사용될 수 있다.
단계(S810)에서 수신부(710)는 전자 기기 1(110)에서 실행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이 종속적으로 구성됨-을 통해 게임과 커뮤니티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활동 이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가 게임 도중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기능을 통해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게임 안에서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수신부(710)는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이 종속되어 구성된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기기 1(110)로부터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가 게임 도중 이용한 커뮤니티에서의 활동 이력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71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기기 1(110)로부터 커뮤니티에서의 사용자 활동 이력은 물론, 게임에서의 사용자 활동 이력을 수신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단계(S820)에서 저장부(720)는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가 보유한 게임 ID와 커뮤니티 ID, 그리고 사용자 활동 이력을 자동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720)는 전자 기기 1(110)에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해당 사용자가 게임 서비스에서 보유한 계정인 게임 ID와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보유한 계정인 커뮤니티 ID를 연계하고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기기 1(1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활동 이력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를 참조하면 저장부(720)는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게임 ID와 커뮤니티 ID를 연계하여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매핑 테이블(910)과, 사용자 활동 이력을 저장하기 위한 이력 테이블(9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력 테이블(920)에는 사용자 활동 각각에 대하여 부여된 일련 번호와, 해당 사용자의 게임 ID와 커뮤니티 ID, 사용자 활동의 타입, 사용자 활동과 관련된 문서에 대한 정보(예컨대, 문서 ID 등), 사용자 활동이 발생된 시간 정보(등록 일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저장부(720)는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에 대해 게임 ID와 커뮤니티 ID, 그리고 사용자 활동 이력을 자동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도 8에서, 단계(S830)에서 제공부(730)는 게임과 커뮤니티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해 해당 활동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게임과 커뮤니티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게임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공부(73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게임 서비스와 커뮤니티 서비스의 상호 간에 사용자 활동 이력을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해 제공 가능한 이벤트의 예시들은 다음과 같다.
제공부(730)는 게임 서비스와 커뮤니티 서비스의 상호 간에 사용자 접속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게임 어플리케이션(602)은 커뮤니티와 게임 간에 사용자 접속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커뮤니티에 접속하여 커뮤니티 등록된 게시글을 읽고 있을 때 해당 게시글의 작성자인 사용자 B가 게임을 하고 있다면: 사용자 A가 이용 중인 커뮤니티 화면에는 사용자 B에 대한 상태 정보에 '게임 중(game on)'이라는 상태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 B가 이용 중인 게임 화면에는 사용자 A에 대한 상태 정보에 '커뮤니티 중(community on)'이라는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제공부(730)는 게임 서비스와 커뮤니티 서비스의 상호 간에 사용자 활동 이력에 따른 즉각적인 콜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게임 내에서 커뮤니티에 접속하여 액션 C(예컨대, 회원 가입, 게시물 읽기, 게시물 쓰기, 댓글 읽기, 댓글 쓰기, 투표하기, 좋아요 같은 피드백 입력하기 등)를 이행했을 때 액션 C가 게임으로 바로 전달되고 게임에서는 액션 C에 대한 보상(예컨대, 아이템 보상, 레벨 업, 포인트 증대 등)을 사용자 A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A가 게임 내에서 커뮤니티에 접속하여 액션 C을 이행했을 때 액션 C에 따른 보상을 게임에 반영하여 게임에서 해당 보상을 사용자 A에게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다른 예로, 사용자 A가 게임 내에서 커뮤니티에 접속하여 사용자 B에게 메시지를 보낸 경우 사용자 B는 게임 내에서 사용자 A가 보낸 메시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 A는 사용자 B가 메시지를 읽었음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역으로, 사용자 A가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커뮤니티에 가입한 경우 커뮤니티 가입에 따른 보상(예컨대, 포인트 보상 등)을 게임이 아닌 커뮤니티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게임에서의 사용자 활동(예컨대, 결제, 아이템 사용 등)을 커뮤니티로 전달하여 커뮤니티 내 이벤트로 반영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A의 활동으로 게임에서 매출이 발생한 경우 커뮤니티 내에서 사용자 A에 대해 보다 집중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게임 서비스와 커뮤니티 서비스 상호 간에 사용자 활동 이력을 공유함으로써 커뮤니티에서의 사용자 활동에 대해 게임 및/또는 커뮤니티에서 사용자 활동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게임에서의 사용자 활동에 대해 게임 및/또는 커뮤니티에서 사용자 활동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서비스의 사용자 활동과 제2 서비스의 사용자 활동을 공유함으로써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 간에 사용자 활동을 연결하기 위한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서비스의 사용자 활동과 제2 서비스의 사용자 활동을 서로 연결해 줌으로써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의 상호 간에 일 측에서의 사용자 활용을 다른 측에서 즉시 반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 기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활동 이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 대해 상기 제1 서비스에서의 계정 정보와 상기 제2 서비스에서의 계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상기 제1 서비스와 상기 제2 서비스 중 다른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서비스에서 발생되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을 상기 다른 하나의 서비스에서 공유하여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다른 하나의 서비스 내의 이벤트로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제2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종속되어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쓰레드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이 사전에 정해진 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바로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서비스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활동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서의 계정 정보와 상기 제2 서비스에서의 계정 정보, 사용자 활동 타입과 사용자 활동과 관련된 문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종속되어 구성된 것으로, 상기 게임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게임 서비스 내에서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활동 이력을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상기 게임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사용자 활동 정보 공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 공유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종속된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용자 활동 이력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제공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상기 제1 서비스 내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2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서비스에서 발생되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을 상기 제1 서비스에서 공유하여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제1 서비스 내의 이벤트로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 공유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 공유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용자 활동 이력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제공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5.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전자 기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활동 이력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 대해 상기 제1 서비스에서의 계정 정보와 상기 제2 서비스에서의 계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상기 제1 서비스와 상기 제2 서비스 중 다른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서비스에서 발생되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을 상기 다른 하나의 서비스에서 공유하여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다른 하나의 서비스 내의 이벤트로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제2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종속되어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이 사전에 정해진 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바로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종속되어 구성된 것으로, 상기 게임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게임 서비스 내에서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활동 이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상기 게임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활동 이력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70002233A 2017-01-06 2017-01-06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930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233A KR101930325B1 (ko) 2017-01-06 2017-01-06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201780062556.5A CN109843404B (zh) 2017-01-06 2017-11-14 共享用户活动信息的方法及系统
PCT/KR2017/012861 WO2018128261A1 (ko) 2017-01-06 2017-11-14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17890291.2A EP3508262A4 (en) 2017-01-06 2017-11-14 METHOD AND SYSTEM FOR THE JOINT USE OF USER ACTIVITY INFORMATION
JP2019518930A JP6830528B2 (ja) 2017-01-06 2017-11-14 ユーザ活動情報を共有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6/502,606 US11007442B2 (en) 2017-01-06 2019-07-03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user activity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233A KR101930325B1 (ko) 2017-01-06 2017-01-06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245A KR20180081245A (ko) 2018-07-16
KR101930325B1 true KR101930325B1 (ko) 2018-12-19

Family

ID=6279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233A KR101930325B1 (ko) 2017-01-06 2017-01-06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07442B2 (ko)
EP (1) EP3508262A4 (ko)
JP (1) JP6830528B2 (ko)
KR (1) KR101930325B1 (ko)
CN (1) CN109843404B (ko)
WO (1) WO2018128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4025B2 (en) * 2016-05-23 2018-10-16 Oath Inc. Virtual chat rooms
KR102622300B1 (ko) * 2018-11-21 2024-01-15 주식회사 코어사이트 게임 내에서의 아이템 패키지 제공 시스템
KR102095862B1 (ko) * 2018-11-22 2020-04-01 주식회사 코어사이트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
US11252031B2 (en) 2019-11-20 2022-02-15 T-Mobile Usa, Inc. Coordinated management of IoT device power consumption and network congestion
US11074799B1 (en) * 2020-01-24 2021-07-27 T-Mobile Usa, Inc. Modular track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350B1 (ko) * 2015-06-15 2016-06-09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인게임 메신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8704A1 (en) * 2000-09-05 2002-03-07 Bloomfield Mark E. Information gathering and personalization techniques
JP2002132678A (ja) * 2000-10-26 2002-05-10 Saigon:Kk イベント発生処理システム、イベント発生処理方法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143558A (ja) * 2000-11-08 2002-05-21 Isao:Kk アミューズメント提供システム、アミューズメント情報処理装置、アミューズメント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8683386B2 (en) * 2006-10-03 2014-03-25 Brian Mark Shuster Virtual environment for computer game
KR20090075123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온라인게임 내 커뮤니티 지원시스템및 그 방법
US8082245B2 (en) * 2008-09-11 2011-12-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within a virtual world
US8961321B2 (en) * 2009-02-13 2015-02-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ement of gaming data
CN101877032A (zh) * 2009-12-25 2010-11-03 北京畅游天下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更新方法、装置及系统
CN102035856A (zh) * 2010-12-31 2011-04-27 深圳瑞高信息技术有限公司 游戏社区的管理方法、游戏客户终端及其系统
KR101149017B1 (ko) * 2011-03-09 2012-05-24 주식회사 몬스터게임즈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게임 시스템
US9626689B1 (en) * 2011-06-30 2017-04-18 Zynga Inc. Incentivizing location-based actions by groups
KR20130089774A (ko) 2011-12-30 2013-08-13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이동단말기를 이용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5260765B1 (ja) * 2012-03-30 2013-08-14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管理装置、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111643A1 (en) * 2012-05-23 2015-04-23 King.Com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gameplay
JP5427919B2 (ja) * 2012-05-31 2014-02-26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コメント表示が可能なゲームシステム並びにその表示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128638B2 (ja) * 2013-01-25 2017-05-17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サービスシステム、ゲーム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81918B1 (ko) * 2013-05-01 2016-01-04 주식회사 조이맥스 온라인 게임에서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5164951A1 (en) * 2014-05-01 2015-11-05 Abbas Mohamad Methods and systems relating to personalized evolving avatars
CN104408052B (zh) * 2014-10-28 2018-01-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论坛显示控制的方法及装置
US10116587B2 (en) * 2016-05-19 2018-10-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lectronic distribution of applications having multiple service leve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350B1 (ko) * 2015-06-15 2016-06-09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인게임 메신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08262A1 (en) 2019-07-10
WO2018128261A1 (ko) 2018-07-12
JP6830528B2 (ja) 2021-02-17
KR20180081245A (ko) 2018-07-16
CN109843404A (zh) 2019-06-04
US20190321733A1 (en) 2019-10-24
CN109843404B (zh) 2022-09-23
EP3508262A4 (en) 2019-08-21
JP2019536506A (ja) 2019-12-19
US11007442B2 (en)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325B1 (ko)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994296B1 (ko) 메신저를 이용한 결재 방법 및 시스템
JP7016205B2 (ja) メッセージ基盤の通知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7046498B (zh) 扩展通信会话中的消息功能的方法及系统
KR102385081B1 (ko) 메신저 내 플랫폼에 추가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대화방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7120790B2 (ja) メッセージと対応するタスクを生成、処理、管理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
KR102590492B1 (ko) 영상 채팅에 이용 가능한 평판 뱃지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31478A (ko) 위치를 기반으로 대화방의 가입을 제어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120288A (ko) 하나의 대화방에서 다수의 그룹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7252748B2 (ja) 情報推薦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20200144721A (ko) 조건에 따라 대화방을 자동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66251A (ko) 대화방 임베디드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78016B1 (ko) 사용자 반응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123560A (ko) 리마인더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68953B1 (ko)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05017A (ko) 관심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22602A (ko) 이미지 검색 및 전달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210009301A (ko) 사용 정도에 기초하여 대화방을 처리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7241938B2 (ja) メッセージ基盤の通知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102525B1 (ko) 게임서버 독립형 게임 아이템 거래소 구조 및 작동 방법
KR101810321B1 (ko) 소셜 기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36520A (ko) 키워드 답변봇을 이용하여 대화방 운영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8977A (ko) 대화방에서 컨텐츠 생성자를 픽할 수 있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