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016B1 - 사용자 반응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반응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016B1
KR102578016B1 KR1020207028375A KR20207028375A KR102578016B1 KR 102578016 B1 KR102578016 B1 KR 102578016B1 KR 1020207028375 A KR1020207028375 A KR 1020207028375A KR 20207028375 A KR20207028375 A KR 20207028375A KR 102578016 B1 KR102578016 B1 KR 102578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roviding
user
user group
subsequent par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0436A (ko
Inventor
장혁재
김동현
윤혜영
안종윤
Original Assignee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10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5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finding other players; for building a team; for providing a buddy li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5Clustering or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4Market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9Incentive being awarded or redeemed in connection with the playing of a video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30/00Voting or e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용자 반응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 상기 컨텐츠의 일부인 제1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요청한 전체 사용자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제1 사용자 그룹이 포함된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한 사용자 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컨텐츠의 후속 내용을 갖는 상기 컨텐츠의 일부인 복수 개의 후속 부분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인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반응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아래의 설명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초고속 통신망 이용자의 급격한 증가는 통신망을 통한 신규 서비스의 개발 및 서비스 아이템의 다양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중 가장 일반적인 서비스가 동영상 제공 서비스라 할 수 있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0-0827198호(등록일 2008년 04월 25일) "동영상 링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링크된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동영상 링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온라인 상에서 컨텐츠를 요청한 여러 사용자의 반응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후속 내용을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 상기 컨텐츠의 일부인 제1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요청한 전체 사용자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제1 사용자 그룹이 포함된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한 사용자 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컨텐츠의 후속 내용을 갖는 상기 컨텐츠의 일부인 복수 개의 후속 부분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인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점과 상기 분기점을 기준으로 분리가능한 복수 개의 부분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각 분기점을 기준으로 이전 부분 컨텐츠의 이전 내용과 연결되고 서로 다른 후속 내용을 갖는 복수의 후속 부분 컨텐츠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사용자를 복수 개의 기준으로 그룹핑한 복수 개의 사용자 그룹을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그룹 목록에서 선택된 상기 제1 사용자 그룹으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그룹 목록은 상기 사용자의 소셜 관계, 프로필 정보, 컨텐츠 선호 정보, 컨텐츠 소비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그룹핑된 사용자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후속 부분 컨텐츠에 대한 선택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선택 기능에 의한 상기 사용자 반응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기능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후속 부분 컨텐츠에 대한 투표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투표 기능에 의한 상기 사용자 반응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투표 기능을 통해 다수결로 결정된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미션이나 퀘스트를 제공하여 상기 미션이나 상기 퀘스트에 의한 상기 사용자 반응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미션이나 상기 퀘스트를 통해 획득한 보상에 따라 결정된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간에 주고 받는 대화 내용에 사전에 정의된 키워드나 액션이 등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반응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나 상기 액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상기 복수의 후속 부분 컨텐츠를 포함하는 후속 부분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후속 부분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후속 부분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후속 부분 컨텐츠 별로 추천 정보와 평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그룹에서 상기 제2 컨텐츠를 소비하는 제2 사용자 그룹이 포함된 제2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컨텐츠에 대해 상기 분기점마다 상기 사용자가 소비한 이전 부분 컨텐츠 및 후속 부분 컨텐츠를 나타내는 컨텐츠 소비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 상기 컨텐츠의 일부인 제1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및 상기 컨텐츠를 요청한 전체 사용자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제1 사용자 그룹이 포함된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한 사용자 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컨텐츠의 후속 내용을 갖는 상기 컨텐츠의 일부인 복수 개의 후속 부분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인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그룹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 그룹이 포함된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후속 부분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경로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반응을 기반으로 해당 컨텐츠의 후속 내용을 결정하여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반응을 기반으로 해당 컨텐츠의 후속 내용을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서비스 품질, 재미 요소, 편의성, 비용 절감 등의 측면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들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1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서버(160) 역시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2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150)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서비스(일례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를 제1 서비스로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60)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배포하는 서비스를 제2 서비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전자 기기(110), 그리고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상술한 전자 기기(110) 또는 서버(150)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기기(110)와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211, 221)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전자 기기(110)나 서버(1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전자 기기(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110)와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 기기(110) 및/또는 서버(150)가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전자 기기(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15)는 전자 기기(11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5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4)는 서버(150)와 연결되거나 서버(150)가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전자 기기(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1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1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반응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150)는 클라이언트(client)인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을 대상으로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이때,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영상,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생산된 내용물을 포괄하여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영화나 웹툰, 라이브 퀴즈쇼, 게임, 전자책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특히, 컨텐츠 제공 서비스는 이전 내용과 연결되는 후속 내용이 여러 개의 다른 내용으로 분기되는 형태로 제작된 컨텐츠를 대상으로 한다. 다시 말해, 각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점을 포함할 수 있고 각 분기점을 기준으로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후속 부분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는 각 분기점을 기준으로 이전 부분 컨텐츠의 이전 내용과 연결되고 서로 다른 후속 내용을 갖는 복수의 후속 부분 컨텐츠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50)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서 도 4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서버(150)의 프로세서(222)는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부(310), 인터페이스 제공부(320), 및 반응 인식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22)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22)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도 4의 컨텐츠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410 내지 S460)을 수행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2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서버(15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2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222)의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가 전자 기기(110, 120, 130, 140)의 요청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상술한 명령에 따라 서버(15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22)의 기능적 표현으로서 컨텐츠 제공부(310)가 이용될 수 있다.
단계(S410)에서 프로세서(222)는 서버(150)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이 로딩된 메모리(221)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읽어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읽어들인 명령은 프로세서(222)가 이후 설명될 단계들(S420 내지 S460)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420)에서 컨텐츠 제공부(310)는 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의 전자 기기(110)로 컨텐츠의 일부인 제1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 제공부(310)는 컨텐츠를 요청한 전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해당 컨텐츠를 정해진 시간에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일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컨텐츠 제공부(310)는 이전 내용과 연결되는 후속 내용이 여러 개의 다른 내용으로 분기되는 형태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이때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점을 포함하고 분기점마다 해당 컨텐츠의 일부로서 이전 내용과 연결되는 후속 내용을 갖는 복수 개의 후속 부분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430)에서 인터페이스 제공부(320)는 컨텐츠를 요청한 전체 사용자가 다양한 기준으로 그룹핑된 사용자 그룹 중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사용자 그룹이 포함된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그룹은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의 일례로, 소셜 관계(예컨대, 친구 등), 프로필 정보(예컨대, 연령, 성별, 위치 등), 컨텐츠 선호 정보, 컨텐츠 분기 히스토리 등을 기초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는 서버(150) 또는 서버(150)와 연동 가능한 다른 서버(160) 상에 저장된 정보일 수 있고, 또한 서버(15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소비 이력이나 패턴 등을 분석함으로써 획득 가능한 정보일 수 있다. 컨텐츠 선호 정보는 사용자가 주로 소비하는 컨텐츠의 취향이나 장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컨텐츠 분기 히스토리는 각 컨텐츠의 플로우 히스토리로 사용자가 소비한 부분 컨텐츠로 이루어진 컨텐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은 제1 사용자 그룹이 참여하는 채팅방으로, 제1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간의 대화 기능은 물론이고,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혹은 제1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코멘트 등을 공유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440)에서 반응 인식부(330)는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사용자 그룹이 포함된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제1 컨텐츠의 후속 내용으로 컨텐츠의 일부인 복수 개의 후속 부분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인 제2 컨텐츠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반응을 인식할 수 있다. 반응 인식부(330)는 컨텐츠의 분기점에 도달하면, 예를 들어 제1 컨텐츠의 전송이 완료된 시점에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선택, 투표, 미션(mission)이나 퀘스트(quest) 등과 같이 제2 컨텐츠를 결정하는 사용자 반응을 인식하기 위한 인터랙션 요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반응 인식부(330)는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후속 부분 컨텐츠에 대한 선택 기능을 제공하여 제2 컨텐츠에 대한 직접적인 선택을 사용자 반응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반응 인식부(330)는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후속 부분 컨텐츠에 대한 투표 기능을 제공하여 전체 사용자 또는 제1 사용자 그룹에서 다수결로 결정된 투표 결과를 사용자 반응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반응 인식부(330)는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미션이나 퀘스트를 제공하여 이를 통해 획득한 보상을 사용자 반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별로 컨텐츠 소비 실적, 서비스 전반의 참여도나 신뢰도 등을 바탕으로 한 등급이 부여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그룹에서 등급을 기준으로 특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후속 부분 컨텐츠에 대한 선택 권한이나 투표 권한을 제공하거나 또는 미션이나 퀘스트를 통해 획득한 보상에 대해 등급 별로 가중치를 차등 적용할 수 있다. 인터랙션 요소를 이용하는 것 이외에도, 반응 인식부(330)는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사용자 간에 주고 받는 대화 도중에 후속 부분 컨텐츠 별로 사전에 정의된 키워드나 액션 등이 등장하면 이를 컨텐츠 분기와 동시에 제2 컨텐츠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반응으로 인식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단계(S450)에서 컨텐츠 제공부(310)는 제1 컨텐츠에서 분기된 복수 개의 후속 부분 컨텐츠 중 사용자 반응에 대응되는 제2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 제공부(310)는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선택된 제2 컨텐츠를 전자 기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컨텐츠 제공부(310)는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사용자 그룹에 의한 투표를 통해 다수결로 결정된 제2 컨텐츠를 전자 기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그룹에 한정하지 않고 컨텐츠를 요청한 전체 사용자에 의한 투표 결과로 결정된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컨텐츠 제공부(310)는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사용자 그룹에서 미션이나 퀘스트를 통해 획득한 보상에 따른 제2 컨텐츠를 전자 기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그룹에서 미션이나 퀘스트로 획득한 총점이 목표치에 도달하면 컨텐츠 A를 제공하고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하면 컨텐츠 B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컨텐츠 제공부(310)는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간에 주고 받는 대화 내용에 사전에 정의된 키워드나 액션이 등장하면 해당 키워드나 액션에 대응되는 제2 컨텐츠를 전자 기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제공부(310)는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나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사용자 그룹의 반응을 기반으로 제2 컨텐츠를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단계(S460)에서 인터페이스 제공부(320)는 제1 사용자 그룹에서 동일한 분기 경로의 제2 컨텐츠를 소비하는 제2 사용자 그룹이 포함된 제2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 공간은 제2 사용자 그룹이 참여하는 채팅방으로, 제2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간의 대화 기능은 물론이고, 제2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혹은 제2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코멘트 등을 공유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인터페이스 공간은 제1 인터페이스 공간과 별도의 공간으로 새로 생성된 채팅방일 수 있고, 또는 제1 인터페이스 공간에서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와 다른 내용의 후속 부분 컨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를 제외하고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와 같은 내용의 후속 부분 컨텐츠를 소비하는 제2 사용자 그룹을 유지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제공부(320)는 컨텐츠에 대해 해당 컨텐츠의 각 분기점마다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가 어떤 후속 부분 컨텐츠, 즉 제2 컨텐츠를 소비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컨텐츠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제공부(320)는 컨텐츠의 전체 분기 경로에서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가 소비한 후속 부분 컨텐츠와 소비하지 않은 후속 부분 컨텐츠를 구분하여 보여줄 수 있다.
사용자 반응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컨텐츠(500)는 이전 내용과 연결되는 후속 내용이 여러 개의 다른 내용으로 분기되는 형태로, 컨텐츠(500)의 일부인 제1 컨텐츠(510)와 제1 컨텐츠(510)에서 분기되어 각기 다른 내용(A, B, C)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후속 부분 컨텐츠(520)를 포함할 수 있다. 분기점이 하나인 컨텐츠(500)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둘 이상의 분기점을 포함하고 각 분기점마다 복수 개의 후속 부분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후속 부분 컨텐츠(520)는 선택이나 투표 과정 등에서 사용자에게 직접 공개되는 컨텐츠(A, B, C) 이외에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개되지 않은 히든 경로로 사전에 정해진 미션이나 퀘스트, 키워드 등의 사용자 반응이 따라 제공 가능한 히든 컨텐츠(6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그룹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제공부(320)는 사용자 그룹 선택 화면(700)을 통해 컨텐츠를 요청한 전체 사용자를 다양한 기준으로 그룹핑한 사용자 그룹 목록(710)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그룹은 소셜 관계, 프로필 정보, 컨텐츠 선호 정보, 컨텐츠 분기 히스토리 등을 기초로 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 그룹 목록(710)은 컨텐츠를 요청한 전체 사용자, 친구 관계가 설정된 사용자들로 이루어진 친구 그룹, 유사 연령의 사용자들로 이루어진 연령 그룹, 컨텐츠에 대한 취향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사용자들로 이루어진 취향 그룹, 이전까지 소비한 부분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경로가 동일한 사용자들로 이루어진 컨텐츠 경로 그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 그룹이 포함된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인터페이스 제공부(320)는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가 도 7의 사용자 그룹 선택 화면(700)의 사용자 그룹 목록(710)에서 특정 그룹, 예컨대 취향 그룹을 선택하는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컨텐츠가 제공되는 컨텐츠 화면(800) 상에 제1 컨텐츠에 대한 정보나 사용자 코멘트를 공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공간으로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와 취향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사용자들이 포함된 그룹 채팅방(81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후속 부분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반응 인식부(330)는 컨텐츠의 분기점에 도달하면(예를 들어, 제1 컨텐츠의 전송이 완료되면) 그룹 채팅방(810)을 통해 해당 분기점에서 선택가능한 후속 부분 컨텐츠로 이루어진 컨텐츠 목록(920)을 제공할 수 있고,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목록(920)에서 하나의 후속 부분 컨텐츠인 제2 컨텐츠가 선택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반응 인식부(330)는 컨텐츠 목록(920)에 포함된 후속 부분 컨텐츠 별로 추천 정보(1021)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정보(1021)는 컨텐츠를 요청한 전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비중, 친구 관계에 있는 사용자들에 의해 선택된 비중, 취향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사용자들에 의해 선택된 비중 등을 포함하거나, 혹은 상기한 비중들을 기반으로 한 랭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는 후속 부분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추천 정보(1021)를 고려하여 제2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반응 인식부(330)는 컨텐츠 목록(920)에 포함된 후속 부분 컨텐츠 별로 평점 정보(1121)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를 소비한 사용자들은 분기 경로에 따라 자신이 소비한 개별 컨텐츠 별 또는 개별 컨텐츠에 포함되는 부분 컨텐츠 별로 평점을 매길 수 있고, 반응 인식부(330)는 컨텐츠 목록(920)의 후속 부분 컨텐츠 별로 사용자들에 의한 평점 정보(1121)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는 후속 부분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평점 정보(1121)를 고려하여 제2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부여한 컨텐츠 별 평점은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취향 등 컨텐츠 선호 정보를 분석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개별로 제2 컨텐츠를 직접 선택하는 방식 이외에도 투표로 제2 컨텐츠를 결정하는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투표 가능한 컨텐츠 목록(920)를 제공할 때 추천 정보(1021) 및/또는 평점 정보(1121)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경로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제공부(320)는 컨텐츠 경로 화면(1200)을 통해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가 컨텐츠의 각 분기점마다 어떤 부분 컨텐츠를 소비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컨텐츠 소비 경로(1230)를 보여줄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320)는 분기점에 도달할 때마다 지금까지 소비한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경로(123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의 모든 분기 경로 중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경로(1230)를 나머지 분기 경로와 구분하여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가 제1 컨텐츠에 이어 컨텐츠 B를 소비하였으나 컨텐츠 A, C를 소비하지 않은 경우, 제1 컨텐츠 및 컨텐츠 B를 컨텐츠 A, C와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전 내용과 연결되는 후속 내용이 여러 개의 다른 내용으로 분기되는 형태의 컨텐츠에 대하여 온라인 상에서 여러 사용자의 반응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후속 내용을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 상기 컨텐츠의 일부인 제1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요청한 전체 사용자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제1 사용자 그룹이 포함된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컨텐츠의 후속 내용을 갖는 상기 컨텐츠의 일부인 복수 개의 후속 부분 컨텐츠를 포함하는 후속 부분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한 상기 제1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후속 부분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인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점과 상기 분기점을 기준으로 분리가능한 복수 개의 부분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각 분기점을 기준으로 이전 부분 컨텐츠의 이전 내용과 연결되고 서로 다른 후속 내용을 갖는 복수의 후속 부분 컨텐츠 중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사용자를 복수 개의 기준으로 그룹핑한 복수 개의 사용자 그룹을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그룹 목록에서 선택된 상기 제1 사용자 그룹으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그룹 목록은 상기 사용자의 소셜 관계, 프로필 정보, 컨텐츠 선호 정보, 컨텐츠 소비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그룹핑된 사용자 그룹을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부분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후속 부분 컨텐츠에 대한 선택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선택 기능에 의한 상기 제1 사용자 그룹 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반응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기능을 통해 선택된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부분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후속 부분 컨텐츠에 대한 투표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투표 기능에 의한 상기 제1 사용자 그룹 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반응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투표 기능을 통해 다수결로 결정된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부분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미션이나 퀘스트를 제공하여 상기 미션이나 상기 퀘스트에 의한 상기 제1 사용자 그룹 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반응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미션이나 상기 퀘스트를 통해 획득한 보상에 따라 결정된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부분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간에 주고 받는 대화 내용에 사전에 정의된 키워드나 액션이 등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반응으로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나 상기 액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부분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후속 부분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후속 부분 컨텐츠 별로 추천 정보와 평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그룹에서 상기 제2 컨텐츠를 소비하는 제2 사용자 그룹이 포함된 제2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컨텐츠에 대해 상기 분기점마다 상기 사용자가 소비한 이전 부분 컨텐츠 및 후속 부분 컨텐츠를 나타내는 컨텐츠 소비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3. 컴퓨터로 구현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 상기 컨텐츠의 일부인 제1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한 전체 사용자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제1 사용자 그룹이 포함된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컨텐츠의 후속 내용을 갖는 상기 컨텐츠의 일부인 복수 개의 후속 부분 컨텐츠를 포함하는 후속 부분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한 상기 제1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반응을 인식하는 반응 인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후속 부분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인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점과 상기 분기점을 기준으로 분리가능한 복수 개의 부분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각 분기점을 기준으로 이전 부분 컨텐츠의 이전 내용과 연결되고 서로 다른 후속 내용을 갖는 복수의 후속 부분 컨텐츠 중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전체 사용자를 복수 개의 기준으로 그룹핑한 복수 개의 사용자 그룹을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그룹 목록에서 선택된 상기 제1 사용자 그룹으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인식부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후속 부분 컨텐츠에 대한 선택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선택 기능에 의한 상기 제1 사용자 그룹 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반응을 인식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선택 기능을 통해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인식부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후속 부분 컨텐츠에 대한 투표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투표 기능에 의한 상기 제1 사용자 그룹 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반응을 인식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투표 기능을 통해 다수결로 결정된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인식부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미션이나 퀘스트를 제공하여 상기 미션이나 상기 퀘스트에 의한 상기 제1 사용자 그룹 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반응을 인식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미션이나 상기 퀘스트를 통해 획득한 보상에 따라 결정된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인식부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간에 주고 받는 대화 내용에 사전에 정의된 키워드나 액션이 등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반응으로 인식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키워드나 상기 액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에 대해 상기 분기점마다 상기 사용자가 소비한 이전 부분 컨텐츠 및 후속 부분 컨텐츠를 나타내는 컨텐츠 소비 경로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207028375A 2018-06-18 2018-06-18 사용자 반응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78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6835 WO2019245062A1 (ko) 2018-06-18 2018-06-18 사용자 반응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436A KR20210010436A (ko) 2021-01-27
KR102578016B1 true KR102578016B1 (ko) 2023-09-13

Family

ID=6898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375A KR102578016B1 (ko) 2018-06-18 2018-06-18 사용자 반응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093971A1 (ko)
JP (1) JP2021535455A (ko)
KR (1) KR102578016B1 (ko)
CN (1) CN112313690A (ko)
WO (1) WO20192450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5784A1 (ja) * 2018-11-06 2020-05-14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WO2023182063A1 (ja) * 2022-03-22 2023-09-28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コンテンツ資産管理装置、コンテンツ資産管理方法、コンテンツ資産管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17789D0 (en) * 1995-08-31 1995-11-01 Philips Electronics Uk Ltd Interactive entertainment content control
GB9517788D0 (en) * 1995-08-31 1995-11-01 Philips Electronics Uk Ltd Interactive entertainment apparatus
US6947966B1 (en) * 2000-10-13 2005-09-20 Road Runner Holdco Llc System and method for influencing dynamic community shared elements of audio, video, and text programming via a polling system
JPWO2003027860A1 (ja) * 2001-09-19 2005-01-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アド 時間軸上で変化するコンテンツを配信する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ログ収集サーバ、コンテンツ中継サーバ、ユーザ端末、コンテンツ視聴状態把握方法、レコメンデーション方法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JP2004013426A (ja) * 2002-06-05 2004-01-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マルチメディア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マルチメディア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US20060248086A1 (en) * 2005-05-02 2006-11-02 Microsoft Organization Story generation model
JP2009055989A (ja) * 2007-08-30 2009-03-19 Aruze Corp 遊技機
KR20100002061A (ko) * 2008-06-27 201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기록한 저장매체,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저작/재생 장치 및 그 저작/재생 방법
KR101292725B1 (ko) * 2008-12-18 2013-08-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를 매개로 한 채팅 시스템, 서버, 단말기 및 방법
US8863165B2 (en) * 2010-11-01 2014-10-14 Gracenote, Inc.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additional content at a media system
KR20130053218A (ko) * 2011-11-15 2013-05-23 이남진 인터렉티브 영상컨텐츠 제공방법
KR20140043033A (ko) * 2012-09-28 2014-04-08 (주)원더피플 채팅정보수집방법 및 시스템
CN107005747B (zh) * 2014-07-31 2020-03-06 普达普有限公司 经由用户可选择的叙事呈现递送媒体内容的方法、设备和制品
US10944707B2 (en) * 2014-09-26 2021-03-09 Line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video contents in social platform and file distribution system
KR101633506B1 (ko) * 2015-01-15 2016-06-24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소셜 그룹 커뮤니티 기능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93971A1 (en) 2021-04-01
CN112313690A (zh) 2021-02-02
JP2021535455A (ja) 2021-12-16
KR20210010436A (ko) 2021-01-27
WO2019245062A1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005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keyword search using messaging service
KR102590492B1 (ko) 영상 채팅에 이용 가능한 평판 뱃지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7073136A (ja) 通信セッションでメッセージの機能を拡張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210390152A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multiple models of federated learning using personalization
US11785178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communication using video call bot
KR101930325B1 (ko)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1478A (ko) 위치를 기반으로 대화방의 가입을 제어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20220058693A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chatroom embedded content
KR20210125781A (ko) 이미지 기반 컨텐츠의 개인화 추천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78016B1 (ko) 사용자 반응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084176A (ko) 정보 추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전자 기기
US20230362125A1 (en) Method, computer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to display content of interest
KR20210126919A (ko) 아바타 아이템을 추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201501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content using chatbot
US201503751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ultiple accounts
US11771999B2 (en) Personalized game notifications
KR102244130B1 (ko) 영화 검색에서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418469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fiction in messenger
KR102243964B1 (ko) 영상 채팅 중 호감을 표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120481A (ko) 진행중인 대전에 참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75320B1 (ko)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20220066597A (ko) 게임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65694A (ko) 사용자 프로필 정보 기반 커뮤니티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23001052A (ja) 友達推薦方法、コンピュータ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00138977A (ko) 대화방에서 컨텐츠 생성자를 픽할 수 있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