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953B1 -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953B1
KR102368953B1 KR1020200019618A KR20200019618A KR102368953B1 KR 102368953 B1 KR102368953 B1 KR 102368953B1 KR 1020200019618 A KR1020200019618 A KR 1020200019618A KR 20200019618 A KR20200019618 A KR 20200019618A KR 102368953 B1 KR102368953 B1 KR 102368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s
virtual reality
reality space
provid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5097A (ko
Inventor
송창은
Original Assignee
페디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디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페디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9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953B1/ko
Publication of KR20210105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가상 현실 공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시스템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접속 가능한 가상 현실 공간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공간 제공부; 및 상기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사용 가능한 객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객체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SPACE}
아래의 실시예들은 가상 현실 공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은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 실제 현실과 유사하지만 실제 현실이 아닌 특정한 환경, 상황이나, 사용자가 상기 환경, 상황에서 실제 현실과 같은 체험을 하도록 지원하는 기술 자체를 의미한다.
최근 가상 현실 기술은,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동일한 가상 현실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가상 현실 공간에서 사용자들간 인터렉션(Interaction)일 제공하는 수준으로 발전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가상 현실 기술은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의 사용자들간 인터렉션을 제공할 뿐, 사용자들이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공유하며 실시간으로 사용 가능한 객체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아래의 실시예들은 기존의 가상 현실 기술이 갖는 단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일 실시예들은 사용자들이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공유하며 실시간으로 사용 가능한 객체를 제공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일 실시예들은 사용자들 각각이 객체의 일부분만을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사용 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객체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데이터만을 제공함으로써,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객체가 표시되는 것에 대한 복잡도 및 처리 용량을 저감하고 절감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시스템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접속 가능한 가상 현실 공간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공간 제공부; 및 상기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사용 가능한 객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객체 제공부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객체의 일부분만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의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객체의 일부분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요청에 대응되는 상기 객체의 일부분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객체의 실물에 대한 3차원 구조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일부분을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객체 중 상기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객체를 사전에 제작하여 저장 및 유지하다가, 상기 객체의 일부분만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객체와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객체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인터렉션(Interaction)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객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변화되는 객체를 저장 및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객체를 실제 현실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의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간 인터렉션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이 사용 가능한 가상 스마트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공간 제공부는, 상기 가상 현실 공간을 포함하는 복수의 가상 현실 공간들의 리스트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가상 현실 공간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은, 실제 현실 공간에서 물리적으로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접속 가능한 가상 현실 공간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사용 가능한 객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과 결합되어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접속 가능한 가상 현실 공간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사용 가능한 객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들은 사용자들이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공유하며 실시간으로 사용 가능한 객체를 제공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들은 사용자들 각각이 객체의 일부분만을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사용 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객체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데이터만을 제공함으로써,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객체가 표시되는 것에 대한 복잡도 및 처리 용량을 저감하고 절감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에서 가상 현실 공간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에서 객체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들 각각의 인터렉션에 따라 변화되는 객체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에서 객체의 일부분만이 제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에서 객체를 실제 현실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에서 객체를 실시간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사용자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태블릿 PC,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사용자 착용 장치(HMD; 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복수의 사용자들의 단말들(110, 120, 130, 140)로 기재한다.
여기서, 복수의 사용자들의 단말들(110, 120, 130, 14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상호 통신하거나,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사용자들의 단말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제1 사용자의 단말(11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의 단말(110)은 서버(15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의 단말(110)이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단말(110)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제1 사용자의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제1 사용자의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사용자의 단말의 예로서 제1 사용자의 단말(110), 그리고 제1 사용자의 단말(110)과 통신하는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단말(110)과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제1 사용자의 단말(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1 사용자의 단말(110)과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의 단말(일례로 제2 사용자의 단말(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사용자의 단말(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일례로 검색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제1 사용자의 단말(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제1 사용자의 단말(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제1 사용자의 단말(110)이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1 사용자의 단말(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제2 사용자의 단말(120)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4) 또한 마찬가지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가 메모리(22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 서버(15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사용자의 단말(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단말(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1 사용자의 단말(110)이 HMD인 경우, 방위 센서,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제1 사용자의 단말(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에서 가상 현실 공간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에서 객체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들 각각의 인터렉션에 따라 변화되는 객체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a 내지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에서 객체의 일부분만이 제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에서 객체를 실제 현실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에서 객체를 실시간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50)에는 컴퓨터로 구현된 가상 현실 공간 제공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서버(150)는 클라이언트(client)인 복수의 사용자들의 단말들(110, 120, 130, 140)을 대상으로 가상 현실 공간을 제공하는 주체로서, 사용자들의 단말들(110, 120, 130, 140) 상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버(150)와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 접속을 통한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가상 현실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복수의 사용자들의 단말들(110, 120, 130, 140)을 대상으로 가상 현실 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가상 현실 공간을 체험할 수 있도록 복수의 사용자들의 단말들(110, 120, 130, 140) 각각으로 가상 현실 공간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며, 즉,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것이다.
서버(150)가 도 4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버(150)의 프로세서(222)는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제공부(310) 및 객체 제공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22)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22)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사용자의 단말(110)에 포함되는 프로세서(212)에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도 4의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410 내지 S420)을 수행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2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서버(15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2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222)의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들이 접속 가능한 가상 현실 공간을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22)의 기능적 표현으로서 공간 제공부(310)가 이용될 수 있다.
이하,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410 내지 S420)은 실제 현실 공간에서 물리적으로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가상 현실 공간에서 시각적으로 구현되는 객체를 공유하며 사용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410 내지 S420)은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사용자들이 실제 현실 공간에서도 인접한 상태로 위치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222)는 단계(S410) 이전에, 서버(150)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이 로딩된 메모리(221)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읽어드릴 수 있다(도면 상 별도의 단계로 도시되지 않음). 이 경우, 상기 읽어드린 명령은 프로세서(222)가 이후 설명될 단계들(S410 내지 S420)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410)에서 공간 제공부(310)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접속 가능한 가상 현실 공간을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가상 현실 공간을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한다는 것은, 가상 현실 공간을 구현하는 데이터를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하여 복수의 사용자들이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을 통해 가상 현실 공간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 공간 제공부(310)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접속 가능한 가상 현실 공간을 사전에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221))에 저장하여 유지하다가, 복수의 사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가상 현실 공간을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공간 제공부(310)는 복수의 가상 현실 공간들을 사전에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221))에 저장하여 유지하다가, 복수의 사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복수의 가상 현실 공간들의 리스트를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한 뒤,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에서 발생되는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가상 현실 공간을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공간 제공부(310)는 미리 생성된 복수의 가상 현실 공간들을 복수의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체험하도록 대여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제공부(310)는 도 5와 같이 사전에 생성된 가상 현실 공간들(510, 520, 530)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선택에 따라 제1 가상 현실 공간(510)을 제1 사용자의 단말(110)로 제공하고, 제2 가상 현실 공간(520)을 및 제2 사용자의 단말(120), 제3 사용자의 단말(130) 및 제4 사용자의 단말(14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상 현실 공간(520)이 제4 사용자의 단말(140)로 제공되는 것은, 가상 현실 공간들(510, 520, 530)의 리스트에서 제4 사용자의 선택이 아닌, 제2 가상 현실 공간(520)을 선택한 제2 사용자 또는 제3 사용자의 초대에 제4 사용자가 응답함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그 후, 단계(S420)에서 객체 제공부(320)는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복수의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사용 가능한 객체를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를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한다는 것은, 객체를 구현하는 데이터를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하여, 단계(S410)에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된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복수의 사용자들이 객체를 공유하며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제3 사용자 및 제4 사용자가 동일한 가상 현실 공간(610)에 접속한 경우, 객체 제공부(320)는 도 6a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가상 현실 공간(610)에서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제3 사용자 및 제4 사용자가 공유하며 사용 가능한 객체(620)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객체 제공부(320)는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인터렉션(객체에 대한 인터렉션)에 따라 변화되는 객체를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제3 사용자 및 제4 사용자가 동일한 가상 현실 공간(610)에 접속하여 제1 사용자가 객체(620)에 대해 인터렉션을 하는 경우, 객체 제공부(320)는 도 6b와 같이 제1 사용자에 의해 변화되는 객체(620)를 실시간으로 제1 사용자의 단말(110)은 물론, 제2 사용자의 단말(120), 제3 사용자의 단말(130) 및 제4 사용자의 단말(140) 각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객체 제공부(320)는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인터렉션 모두가 반영되어 변화되는 객체를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620)의 변화는 객체(620)의 위치의 변화, 형태의 변화 및 구조의 변화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구조의 변화는 객체(620)에 세부적인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변화된 객체는 객체 제공부(32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221))에 저장 및 유지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요청에 따라 다음 번에 그대로 호출되어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계(S420)에서 객체 제공부(320)는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의 복수의 사용자들간 인터렉션을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더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사용자들간 인터렉션은 사용자들간의 행동, 대화 등을 의미한다.
또한, 단계(S420)에서 제공된 객체가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의 문서 및 영상 등의 파일 형태일 경우, 객체 제공부(320)는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파일 형태의 객체를 시청하기 위한 가상 스마트 기기를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단계(S420)에서 객체 제공부(320)는 객체의 전체 부분을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하는 것이 아닌, 객체의 일부분만을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에서 가상 현실 공간(610) 내의 객체(620)가 표시되는 것에 대한 복잡도 및 처리 용량을 저감 및 절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객체 제공부(320)는 객체의 전체 부분을 사전에 제작하여 데이터베이스(또는 메모리(221))에 저장 및 유지해둠으로써, 객체의 일부분만을 선택적으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전에 제작되는 객체는, 복수의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객체와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가상 현실 공간 제공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객체 제공부(320)는 객체를 사전에 제작해두는 것이 아닌, 객체의 실물을 실제 현실 공간에 제조하여 객체의 실물에 대한 3차원 구조의 좌표 정보만을 구축해둠으로써, 3차원 구조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을 객체를 생성하여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9를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여기서, 객체의 일부분을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한다는 것은, 객체의 전제 부분을 구현하는 데이터가 아닌, 객체의 일부분을 구현하는 데이터만을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하여,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된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이 객체의 일부분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객체 제공부는(320),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의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의 일부분만을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객체 제공부(320)는 도 7a와 같이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가 동일한 가상 현실 공간(710)에 접속하는 경우,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 각각의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의 위치를 파악한 뒤,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720)의 일부분(721, 722)만을 제공할 수 있다. 객체(720)의 제1 면에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위치한다면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각각에게는 객체(720)의 제1 면에 대응되는 일부분(721)만이 제공되고, 객체(720)의 제2 면에 제3 사용자가 위치한다면 제3 사용자에게는 객체(720)의 제2 면에 대응되는 일부분(722)만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각각에게 객체(720)의 제1 면에 대응되는 일부분(721)만이 제공되는 것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각각의 단말(110, 120)로 객체(720)의 전체 부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제공되는 가운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각각의 시야에 객체(720)의 일부분(721)만이 보이는 것이 아닌,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각각의 단말(110, 120)로 객체(720)의 일부분(721)에 대응되는 데이터만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각각의 단말(110, 120)로 객체(720)의 전체 부분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음).
다른 예를 들면, 객체 제공부(320)는,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요청에 대응되는 객체의 일부분을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객체 제공부(320)는 도 7b와 같이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동일한 가상 현실 공간(710)에 접속한 가운데 제1 사용자로부터 객체(720)의 제1 단면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고 제2 사용자로부터 객체(720)의 제2 단면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면, 제1 사용자에게 객체(720)의 제1 단면에 대응하는 일부분(723)을 제공하고, 제2 사용자에게 객체(720)의 제2 단면에 대응하는 일부분(724)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사용자에게 객체(720)의 제1 단면에 대응되는 일부분(723)만이 제공되는 것은, 제1 사용자의 단말(110)로 객체(720)의 전체 부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제공되는 가운데 제1 사용자의 시야에 객체(720)의 일부분(723)만이 보이는 것이 아닌, 제1 사용자의 단말(110)로 객체(720)의 일부분(723)에 대응되는 데이터만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제1 사용자의 단말(110)로 객체(720)의 전체 부분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음).
따라서,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에서 가상 현실 공간(710) 내의 객체(720)가 표시되는 것에 대한 복잡도 및 처리 용량이 저감 및 절감될 수 있다.
이 때, 객체 제공부(320)는,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요청에 응답하여, 이미 제공된 객체 중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더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객체 제공부(320)는 전술된 것처럼 제공된 객체를 실제 현실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가 동일한 가상 현실 공간(810)에 접속한 가운데 가상 현실 공간(810)에 문서 및 영상의 객체(820)가 제공된 경우, 객체 제공부(320)는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 각각이 문서 및 영상의 객체(820)를 가상 현실 공간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한 뒤, 실제 현실 공간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실제 현실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 각각의 단말(110, 120, 13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직관적으로 필요한 자료만을 선택하여 실제 현실 공간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효과 및 불필요한 자료를 다운로드 하지 않는 효과가 도모될 수 있다.
도 9a 내지 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에서 객체를 실시간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9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제공부(320)는, 객체를 사전에 제작해두어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하는 것이 아닌, 객체의 실물을 실제 현실 공간에 제조하여 객체의 실물에 대한 3차원 구조의 좌표 정보만을 구축해둠으로써, 객체의 실물에 대한 3차원 구조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을 가상의 객체를 생성하여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제공부(320)는 도 9a와 같이 실제 현실 공간(910)에 객체의 실물(920)(이하, 실물 객체)을 제조하여 Big data 및 AI 기술을 기반으로 실물 객체(920)의 3차원 구조의 좌표 정보를 구축해둔 뒤,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으로 가상의 객체(930)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실물 객체(920)의 3차원 구조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객체(930)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 상 가상 현실 공간(94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객체 제공부(320)는, 실물 객체(920)의 3차원 구조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의 객체(930)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도 9b와 같이 가상 현실 공간(940) 내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가상의 객체(930)의 일부분(931)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례로, 객체 제공부(320)는 가상 현실 공간(940) 내 사용자의 위치가 가상의 객체(930)의 제1 면에 대응되는 위치인 경우, 실물 객체(920)의 3차원 구조의 좌표 정보 중 제1 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포함되는 좌표 정보를 취합하여 제1 면에 대응되는 가상의 객체(930)의 일부분(931)만을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접속 가능한 가상 현실 공간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공간 제공부; 및
    상기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사용 가능한 객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객체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객체의 전체 부분을 사전에 제작하여 저장 및 유지하다가, 상기 객체의 일부분만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의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요청에 대응되는 상기 객체의 일부분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객체를 가상 현실 공간이 아닌 실제 현실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의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객체의 일부분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객체 중 상기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객체와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객체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인터렉션(Interaction)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객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변화되는 객체를 저장 및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시스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의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간 인터렉션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제공부는,
    상기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이 사용 가능한 가상 스마트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제공부는,
    상기 가상 현실 공간을 포함하는 복수의 가상 현실 공간들의 리스트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가상 현실 공간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은,
    실제 현실 공간에서 물리적으로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시스템.
  16.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들이 접속 가능한 가상 현실 공간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사용 가능한 객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 가능한 객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의 전체 부분을 사전에 제작하여 저장 및 유지하다가, 상기 객체의 일부분만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의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요청에 대응되는 상기 객체의 일부분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객체를 가상 현실 공간이 아닌 실제 현실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
  17. 컴퓨터 시스템과 결합되어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접속 가능한 가상 현실 공간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사용 가능한 객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 가능한 객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의 전체 부분을 사전에 제작하여 저장 및 유지하다가, 상기 객체의 일부분만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의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요청에 대응되는 상기 객체의 일부분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객체를 가상 현실 공간이 아닌 실제 현실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19618A 2020-02-18 2020-02-18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368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618A KR102368953B1 (ko) 2020-02-18 2020-02-18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618A KR102368953B1 (ko) 2020-02-18 2020-02-18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097A KR20210105097A (ko) 2021-08-26
KR102368953B1 true KR102368953B1 (ko) 2022-03-03

Family

ID=77465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618A KR102368953B1 (ko) 2020-02-18 2020-02-18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9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950A1 (ko) * 2022-11-11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상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9379A (ja) * 2005-02-16 2006-08-31 Nec Corp 多者間通信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端末及びそれらに用いる多者間通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101764063B1 (ko) * 2016-07-27 2017-08-03 네이버 주식회사 Vr 컨텐츠의 분석 및 프리-렌더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19046821A1 (en) * 2017-09-01 2019-03-07 Magic Leap, Inc. GENERATING A NEW FRAME USING REBUILDED CONTENT AND UNRESTITUDED CONTENT FROM A PREVIOUS PERSPECTIVE
KR101990428B1 (ko) * 2018-06-12 2019-06-19 한길씨앤씨 주식회사 다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실시간 동기화가 가능한 vr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시스템의 실시간 동기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9379A (ja) * 2005-02-16 2006-08-31 Nec Corp 多者間通信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端末及びそれらに用いる多者間通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101764063B1 (ko) * 2016-07-27 2017-08-03 네이버 주식회사 Vr 컨텐츠의 분석 및 프리-렌더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19046821A1 (en) * 2017-09-01 2019-03-07 Magic Leap, Inc. GENERATING A NEW FRAME USING REBUILDED CONTENT AND UNRESTITUDED CONTENT FROM A PREVIOUS PERSPECTIVE
KR101990428B1 (ko) * 2018-06-12 2019-06-19 한길씨앤씨 주식회사 다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실시간 동기화가 가능한 vr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시스템의 실시간 동기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950A1 (ko) * 2022-11-11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상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097A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675B1 (ko) 항공뷰를 통한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385081B1 (ko) 메신저 내 플랫폼에 추가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대화방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32007B1 (ko) 공간 메시징과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99202B1 (ko) 최적 촬영 위치 추천 방법 및 시스템
KR102632639B1 (ko) 이미지 기반 컨텐츠의 개인화 추천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N109843404B (zh) 共享用户活动信息的方法及系统
KR20210004973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근처 지인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25175B1 (ko) 영상 통화를 이용한 길안내 방법 및 시스템
KR102368953B1 (ko) 가상 현실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572231B1 (en) Component grouping for application development
KR20210126919A (ko) 아바타 아이템을 추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88592B1 (ko) 스팟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309243B1 (ko) Pip 모드에서 대화방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62379B1 (ko) 결제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로컬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21012697A (ja) ユーザの位置情報とイベント会場別のイベント情報を利用してユーザの関心事を分析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に記録さ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10126903A (ko) 실시간 3차원 모델 구축 방법 및 시스템
KR102316189B1 (ko) 지도 상에 동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122602A (ko) 이미지 검색 및 전달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20240144547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virtual space and method thereof
KR102243138B1 (ko) 환경 정보 취득을 이용한 혼합 현실 기기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KR102276816B1 (ko) 공간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7212215B2 (ja) 映像処理システム及び映像処理方法
KR102023180B1 (ko) 지오펜싱 기반 공간 점유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66597A (ko) 게임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68779A (ko) 도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