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300B1 - 게임 내에서의 아이템 패키지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게임 내에서의 아이템 패키지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300B1
KR102622300B1 KR1020180144528A KR20180144528A KR102622300B1 KR 102622300 B1 KR102622300 B1 KR 102622300B1 KR 1020180144528 A KR1020180144528 A KR 1020180144528A KR 20180144528 A KR20180144528 A KR 20180144528A KR 102622300 B1 KR102622300 B1 KR 102622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user
information
communit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601A (ko
Inventor
김주일
정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어사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어사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어사이트
Priority to KR1020180144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3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3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게임 내에서의 아이템 패키지 제공 시스템은, 게임 서버에서 제공하는 게임이 실행되는 유저측의 게임 클라이언트와,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에서 게임을 플레이함으로써 발생되는 게임 로그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로그 분석 서버와, 상기 게임이 실행된 상태에서, 유저가 작성된 게시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유저가 게시글을 작성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인게임 커뮤니티와, 상기 게임별 각각의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각 게임별로 상기 유저가 가입한 유저 정보를 관리하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와,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와 로그 분석 서버에 의하여 수집되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와 게임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내에서 사용되는 아이템이 적어도 2개 이상 패키지로 구성된 아이템 패키지를 분류 및 추천하는 패키지 제안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게임 내에서의 아이템 패키지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item package in game}
본 발명은 게임과 관련된 유저의 커뮤니티 활동 정보와, 게임 내에서의 플레이에 관한 게임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 내에서 유저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아이템을 추출하고, 추출된 아이템과 관련되는 아이템을 더 구성시켜 아이템 패키지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인터넷 인프라의 보급에 힘입어 과거 스탠드 얼론 게임 위주였던 게임 시장은 점차 온라인 게임을 위주로 재편되고 있다.
온라인 게임 시장이 양적으로 성장하면서 그 스펙트럼 또는 조작이 간단한 캐쥬얼 아케이드 게임에서부터 수천수만의 동시접속자가 동일한 온라인 게임의 맵 내에서 자신의 플레이터 캐릭터를 조작하여 협업플레이하여 퀘스트를 수행하고, 몹(MOB : Mobile Object)을 사냥하는 등의 방식에 의해 진행하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에 이르는 다양함을 보이게 되었다.
한편, 그 가운데 온라인 게임의 총아라 할 수 있는 MMO는 과거 스탠드 얼론 형태의 패키지 게임이나 온라인 캐쥬얼 게임에서 나타나지 않는 몇가지의 특징을 갖는다.
그 가운데 한가지는 온라인 게임 아이템이나 게임 머니가 게임의 플레이에 중요한 기능을 하며 때로는 재산적 가치를 인정받아 게이머들간 거래대상이 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때로는 계정의 도용이나 아이템 등의 거래시 불미스러운이 발생하기도 하고, 게이머들로부터 계정 도용 등의 피해신고가 접수되면 온라인 게임 제공사는 온라인 게임 서버가 수시로 생성한 로그 파일을 분석하여 사실관계를 확인하여 피해에 대한 구제책을 마련한다.
또 한가지는 게이머들이 온라인 게임 내에서 조작하는 캐릭터들 사이에 게임에서 다양한 인터랙션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플레이어 캐릭터들 사이의 인터랙션 또한 게임 로그 분석에 의한 분석대상이 될 수 있다. 즉, 로그 분석에 의한 게임 내용의 후발적 해석이 필요하며 또 가능하다는 점에서 과거 패키지 게임이나 대부분 캐쥬얼 게임과 구별된다.
MMO의 온라인 게임 서버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플레이어 캐릭터들의 액션을 저장하는 게임 로그 파일을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게임 로그 파일은 이와 같이 플레이어 캐릭터들의 액션을 기술하는 정보와 액션이 있었던 시점의 시간정보, 플레이어 캐릭터의 좌표정보를 포함하며, 게임 내의 각종 변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인터넷상의 온라인 게임 종류로는 전략시뮬레이션게임, 머드(Multiple User Dialogue; MUD)게임, 머그(Multy User Graphic; MUG)게임, 롤 플레잉 게임(Role Playing Game; RPG) 등이 있다.
여기서, 롤 플레잉 게임이란, 머드나 머그 게임의 발전된 형태로서, 게임상의 가상 현실에서, 캐릭터가 성장하면서 보통 캐릭터의 레벨이 존재하며, 캐릭터의 직업 구별이 뚜렷하고, 직업에 따른 능력 차이도 뚜렷한 게임이다.
또한, 아이템으로 캐릭터의 능력치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일정한 스토리를 가지나, 캐릭터의 자유도는 높은 편이고, 캐릭터의 활동에 따라 스토리를 바꿀 수 있어 게임 플레이어인 사용자 스스로가 스토리를 만들어 나간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라는 롤 플레잉 게임이 도입되면서, 기존의 롤 플레잉 게임이 다수의 사용자로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MMORPG 등과 같은 온라인 게임은 인스턴스 던전(dungeon)이라는 게임 공간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인스턴스 던전은 온라인 게임 내에서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인스턴스 던전에는 다양한 종류의 몹 및 동굴이나 건물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지형적 환경을 갖는 맵(map) 등이 존재하며, 게임 사용자들은 자신의 게임 캐릭터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인스턴스 던전에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게임의 내용에 따라 몹을 사냥하는 등의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그리고, 각 게임 캐릭터들은 이러한 활동들을 수행하면서, 아이템 등을 획득하고 자신의 경험치를 키워 능력치 및 레벨(level)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임 내의 각 스테이지나 던전을 클리어하기 위해서는, 갖추어야 할 아이템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해당 아이템을 구입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해당 스테이지 또는 던전을 클리어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아이템이 무엇인지 정확히 몰라서 잘못된 아이템 구매 후 오히려 게임 흥미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게임 제공사에서는 복수의 아이템을 묶어서 할인된 가격으로 패키지 판매하는 경우도 있으나, 유저에게 정확히 필요한 아이템들이 패키지로 구성되지 않아 결국 아이템 패키지의 판매가 저조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게임에 대한 유저의 흥미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유저의 게임 진행상태, 인게임 커뮤니티에서의 유저의 활동정보에 기초하여 유저에게 가장 필요한 아이템들로 구성된 패키지를 추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저의 게임 진행과 관련되는 게임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의 흥미를 더 높이기 위한 아이템 패키지를 추천하고, 유저가 스스로 인게임 커뮤니티에 게시글을 작성하거나 게시된 글을 검색/확인하는 등의 커뮤니티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에게 필요한 아이템 패키지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게임 내에서의 아이템 패키지 제공 시스템은, 게임 서버에서 제공하는 게임이 실행되는 유저측의 게임 클라이언트와,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에서 게임을 플레이함으로써 발생되는 게임 로그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로그 분석 서버와, 상기 게임이 실행된 상태에서, 유저가 작성된 게시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유저가 게시글을 작성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인게임 커뮤니티와, 상기 게임별 각각의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각 게임별로 상기 유저가 가입한 유저 정보를 관리하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와,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와 로그 분석 서버에 의하여 수집되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와 게임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내에서 사용되는 아이템이 적어도 2개 이상 패키지로 구성된 아이템 패키지를 분류 및 추천하는 패키지 제안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서, 유저는 게임 진행이 어려운 경우에 패키지 추천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복수의 아이템으로 구성된 아이템 패키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현재의 게임 상황에 필요한 아이템들로 구성된 패키지이기 때문에 유저의 게임 흥미를 높이거나 지속적으로 이어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게임 내에서의 아이템 패키지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가 인게임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아이템 패키지를 분류 및 추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설명에 사용되는 접미어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게임 내에서의 아이템 패키지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게임 내에서의 아이템 패키지 제공 시스템은, 게임 서버(20)에서 제공/공급하는 게임을 실행하는 유저측의 게임 클라이언트(10)와,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10)에서 게임을 실행 및 플레이함으로써 발생되는 게임 로그 정보를 분석하는 로그 분석 서버(40)와,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10)에서 게임 실행 후 인게임 커뮤니티(31)에 글을 게시하거나 정보를 교환하는 등의 커뮤니티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인게임 커뮤니티(31)를 관리하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를 포함한다.
상기 인게임 커뮤니티(31)는 게임 소프트웨어가 실행된 상태에서, 유저가 작성된 게시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유저가 게시글을 작성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는 게임별 각각의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각 게임별로 상기 유저가 가입한 유저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와 로그 분석 서버(40)에 의하여 수집되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와, 게임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10)로 현재 진행중인 게임에서 필요한 아이템과, 그 아이템들로 이루어진 아이템 패키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패키지 제안 서버(50)를 포함한다.
상기 패키지 제안 서버(50)는 게임 클라언트(10)에서 수행되는 게임의 진행 상태 등을 확인하여 유저에게 자동으로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게임 흥미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거나, 유저의 요청이 있을 때에 구매할 수 있는 아이템과 그 아이템들이 복수개 구성되어 한꺼번에 구매할 수 있는 아이템 패키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아이템 패키지라고 함은, 게임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하나로 묶어서 일괄 판매되는 것으로서, 각 아이템을 개별적으로 구매할 때의 가격보다는 더 적은 가격으로 책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게임 내에서 구매가능한 각각의 아이템들에 대해서 구매자의 성향에 따라 분류하고, 또한 각 아이템들을 동일한 성향 또는 유사한 성향으로 패키지화한다.
그리고, 패키지된 아이템들 즉, 아이템 패키지들은 유저의 게임 로그 정보와, 커뮤니티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아이템 패키지를 제안하도록 한다.
상기 패키지 제안 서버(50)가 아이템 패키지를 분류 및 제안하고, 게임 흥미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와, 로그 분석 서버(40)에 의하여 수집/확인되는 정보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패키지 제안 서버(50)가 유저의 게임 진행 정도에 따른 어떤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할지를 결정하도록 참조 정보가 되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에 관하여 설명하여 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가 인게임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에 의하여 유저가 인게임 커뮤니티를 이용할 때와 통합 회원으로서 각 커뮤니티를 관리할 때가 구분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에 의하여 커뮤니티가 관리되는 게임들, 즉, 실시예의 SDK가 적용된 게임들 내에 인게임 커뮤니티(31)가 실행되도록 한다.
유저는 이와 같이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의 접근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제작된 SDK을 이용하는 게임을 가입할 때에는, 자신의 이메일을 이용하여 게임 가입을 완료하고, 해당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저는 해당 게임 내에 제공되는 커뮤니티, 즉, 인게임 커뮤니티에 직접 게시글을 작성하거나 정보 교환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유저는 해당 인게임 커뮤니티에 게시글 작성을 위해 요구되는 가입 및 로그인 절차가 생략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는, 이때 유저의 상태를 "인게임 커뮤니티 회원"으로 판단 또는 관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는 관리 가능한 SDK가 적용된 게임을 실행하기 위하여 가입하는 유저들의 가입 정보, 예를 들면, 아이디 또는 이메일 등을 수집한다. 그리고, 해당 유저는 게임 실행 중에 인게임 커뮤니티를 실행/확인할 수 있으며, 게시글 확인 뿐만 아니라 게시글을 등록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라 유저가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가 제공하는 통합 커뮤니티를 추가로 가입하고, 유저 본인이 실행한 게임과 해당 게임에서 사용한 자신의 계정 정보(아이디, 이메일 등)을 입력하면, 통합 회원으로서 자신이 가입한 게임 리스트와, 각 게임별 계정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각각의 게임, 즉,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에 의하여 게임 내 로그 정보 수집이 가능한 게임들은 유저가 인게임 커뮤니티에 게시글을 등록하는 때에, 유저가 작성한 커뮤니티의 정보와 함께 게임 로그 정보를 동시에 추출하여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로 전달한다.
그리고, 각 유저가 인게임 커뮤니티에 게시된 글을 게시하는 행위, 게시된 글을 열람하는 행위, 게시된 글중 특정 글을 서치하는 행위 등이 유저별 커뮤니티 활동 정보로 수집된다.
즉,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는 인게임 커뮤니티와 관련하여 커뮤니티 내 게시글 관련 데이터로서 인기글, 급상승글, 조회수, 팔로워, 키워드 등을 통한 게임 내 이슈 사항을 수집한다.
그리고,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는 인게임 커뮤니티와 관련하여 게임별 유저의 커뮤니티 활동 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는 인게임 내 이슈사항을 수집하기 위하여 자주 찾는 질문 또는 답변 데이터의 빈도수를 체크한다.
요약하면,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는 인게임 커뮤니티에 유저가 글을 작성하거나 검색하는 등의 활동으로부터, 가입된 게임별 급상승 게시물 정보, 사용자 레벨별 등록 게시물 정보, 자주 찾는 질문/답변 게시물 정보, 인기 게시물 정보, 게임내 플레이한 성공/실패 게시물 정보, 소셜 팔로워/팔로잉 정보, 검색 키워드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에 의하여 수집되는 이러한 정보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커뮤니티 활동 정보가 생성되는 과정과,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에 의해 수집되는 것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여 본다.
각각의 게임, 즉,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에 의하여 게임 내 로그 정보 수집이 가능한 게임들은 유저가 인게임 커뮤니티에 게시글을 등록하는 때에, 유저가 작성한 게시글은 커뮤니티 활동 정보가 되고, 상기 인게임 커뮤니티(31)는 상기 커뮤니티 활동 정보를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로 유저의 커뮤니티 활동 정보가 수집되는 때에, 상기 로그 분석 서버(40)는 해당 게임과 관련된 게임 로그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게임 로그 정보는 게임과 해당 유저 사이에서 발생된 데이터로서, 유저의 계정정보, 유저의 결제정보, 게임 내에서 유저 또는 캐릭터가 수행한 각각의 행위들 모두가 되고, 캐릭터, 아이템, 각 스테이지 진행상태, 게임 실행 횟수 등의 해당 게임의 실행 및 게임 진행에 대한 유저의 행동과, 게임 내에서 유저의 아바타가 되는 캐릭터의 행동들에 대한 정보 및 아이템 정보가 된다.
또한, 인게임 커뮤니티(31)에서의 유저 활동은 위의 게임 로그 정보와 연계하여 관리되며, 이러한 정보들은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인게임 커뮤니티(31)에서의 유저 활동으로는, 유저간 커뮤니케이션 관련 정보(횟수, 내용 등), 텍스트, 스크린샷 및 비디오 게시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유저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신이 이메일 계정 등을 이용해서 게임을 실행하고, 해당 게임 내에서 제공하는 커뮤니티를 별도의 가입 절차없이 활동할 수 있다. 만약, 유저가 게임의 실행과 관련되는 오류나 문제점을 지적하는 게시글을 등록하거나 유저들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한 경우 등 유저가 인게임 커뮤니티에 게시물을 등록하게 되면, 실행 중인 게임 소프트웨어로 로그 스냅샷을 요청하는 메세지가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유저가 등록하는 게시글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게임 커뮤니티 프로그램(31)은 게시글 등록시에 게임 소프트웨어로 로그 스냅샷을 전달할 것을 요청한다. 인게임 커뮤니티 및 게임 그 자체에 대한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이 이러한 요청과 요청에 대한 콜백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인게임 커뮤니티 소프트웨어(31)에서 유저의 게시글 등록이 감지되면,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와 로그 분석 서버(40)로 게시글 작성 이벤트를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는 해당 게시글에 관련된 정보(글 검색, 글 작성 등)를 수집하고, 상기 로그 분석 서버(40)는 해당 게임의 진행과 관련된 게임 로그 정보를 게임 서버(20) 또는 게임 클라이언트(10)로부터 수집한다.
인게임 커뮤니티(31)에서는 유저의 게시글을 작성하는 행위와, 이미 게시된 글을 검색하는 행위를 이벤트로 정의하고, 이러한 이벤트 발생시에는 해당 커뮤니티 활동 정보와, 해당 게임 자체에 관련된 게임 로그 정보를 각각 수집하게 된다.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에 의하여 수집되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는 상기 패키지 제안 서버(50)로 전달되고, 상기 로그 분석 서버(40)에 의해 수집된 게임 로그 정보 역시 상기 패키지 제안 서버(5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패키지 제안 서버(50)는 유저가 인게임 커뮤니티에서 특정 검색어로 게시글을 검색하거나, 게임 진행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질문 글을 게시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때에, 게임 진행 상태가 구체적으로 어떠하였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로그 분석 서버(40)에 의하여 수집되어 상기 패키지 제안 서버(50)로 전달되는 게임 로그 정보에 관하여 설명하여 본다.
본 발명의 시스템을 설명하는데 있어 게임 로그 정보는 유저가 게임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나타내며, 게임 설치 정보, 게임 가입 날짜 및 접속 정보, 계정 및 개릭터 레벨 정보, 유저 보유 재화 정보, 플레이 컨텐츠별 성공/실패 정보, 보유 게임 아이템 등급 정보, 아이템 강화 성공/실패 정보, 소셜 가입 및 활동 정보, 게임내 활동 관련 모든 로그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게임 내의 각 스테이지에 대한 상황 설정, 각 스테이지를 클리어(clear)하기 위해 필요한 점수나 레벨 등, 각 스테이지를 보다 쉽게 클리어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 상기 아이템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캐쉬 등 게임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각 아이템, 캐릭터 및 스테이지 설정이 게임 로그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외에, 게임 로그 정보로는 게임 내에서 유저가 플레이한 것들로서, 캐릭터, 아이템, 각 스테이지 진행상태, 게임 실행 횟수 등의 해당 게임의 실행 및 게임 진행에 대한 유저의 행동과, 게임 내에서 유저의 아바타가 되는 캐릭터의 행동들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후술하는 예에서도 설명되지만, 게임 내의 캐릭터에 활동과 관련되는 아이템 정보로는 장비 정보, 스킬 정보, 속성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장비 정보는 게임 내 해당 레벨에서 착용가능한 장비 아이템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분류된 장비들에 따라 일반, 영웅, 신화 등의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장비의 착용 레벨과, 등급을 이용하여 해당 캐릭터의 능력치를 파악 및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장비 정보를 이용하여 패키지 제안 서버(50)가 유저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킬 정보는 게임 내 캐릭터의 직업 레벨별 스킬 분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유저 캐릭터의 현재 레벨에 부여된 스킬 포인트를 나타낸다. 각 레벨별로 각각의 캐릭터들이 습득가능한 스킬들이 분류되어 있으며, 스킬 포인트의 사용여부를 통하여 캐릭터의 스킬업이 파악될 수 있다.
상기 속성 정보는 각 캐릭터의 종족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전체 레벨별로 속성 강화 수치가 리스트화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레벨 속성 강화 수치 포인트의 사용여부를 파악하는 것에 의해, 속성 정보를 추출해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게임 서버(20)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을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10)에서 유저가 플레이는 경우, 본 발명의 패키지 제안 서버(50)는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와 로그 분석 서버(40)에 의해 수집되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와 게임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10)에서 플레이되는 게임과 관련하여 유저에게 필요한 아이템의 패키지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안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제안 서버에서 아이템 패키지를 제안하는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상기 패키지 제안 서버(50)는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10)에서 실행되는 게임 내에서 사용되는 아이템들을 분류한다(S11).
예를 들어, 성장형 아이템, 전투형 아이템, 컨텐츠형 아이템, 결제형 아이템으로 각각의 아이템들을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성장형 아이템과 컨텐츠형 아이템은 게임의 종류에 따라 동일한 패키지로 구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류된 아이템들에 대해서는 크게 성장 패키지, 전투 관련 패키지 및 치장 패키지로 분류할 수 있다.
게임 내에서 사용되는 아이템의 종류 및 그에 대한 분류와, 패키지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여 본다.
성장 패키지는, 미션 시간단축에 필요한 아이템, 기능성 아이템, 편의를 위한 아이템, 부스팅 관련 아이템과, 재화 관련 아이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션 시간단축에 필요한 아이템은 일반적으로 스테이지 관련 게임인 경우에 정해진 시간 내에 클리어하여야 하는데, 시간단축 아이템은 이러한 미션을 완료함으로써 다음 스테이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유료 구매형 아이템이다.
기능성 아이템은 무료 아이템의 기능성 아이템과는 구별되는 아이템으로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해당 아이템이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그것보다 빠르게 캐릭터 강화를 하고 싶거나 퍼즐 게임의 경우 빨리 스테이지를 클리어하고 싶을 때에 사용하는 아이템이다.
편의를 위한 아이템은 캐릭터를 육성하거나 게임을 플레이하는데 다양한 편의를 생성/제공하는 아이템이다.
부스팅 관련 아이템은 RPG 게임의 경우에는 경험치를 10 내지 20% 많이 획득할 수 있는 아이템이고, 퍼즐 게임의 경우에는 시간을 경과하게 되는 것을 방지/억제하는 아이템이다.
재화 관련 아이템은 기존 게임 내에서도 구매가 가능한 것들 중에서 인기상품들을 골라 현금으로 살 수 있는 아이템이다.
한편, 전투관련 패키지는, 상기의 기능성 아이템, 승패관련 아이템, 명예관련 아이템과, 상기의 재화관련 아이템들로 구성될 수 있다.
기능성 아이템과 재화관련 아이템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승패관련 아이템은 해당 아이템을 사용하는 때에 이기는 확률을 높이거나 100% 이기는 것을 보장하는 아이템이다.
그리고, 명예관련 아이템은 개인 명예 포인트 또는 혈맹의 명예 포인트가 올라 버프를 얻을 수 있는 아이템이다.
마지막으로, 치장 패키지는 캐릭터의 외적인 모습을 변화/변신과 같은 치장을 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구성되며, 기능보다는 캐릭터 외형에 관련되는 아이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아이템은 부가적인 기능이 있지만 기능성 아이템보다는 미약하다.
이와 같이, 상기 패키지 제안 서버(50)는 게임 내의 아이템에 대한 분류와, 분류된 아이템들을 패키지화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 다음, 상기 패키지 제안 서버(50)는 로그 분석 서버(40)에 의해 분석된 게임 로그 정보를 확인한다(S12).
게임 로그 정보를 통하여, 유저가 게임을 하는 도중 어떤 스테이지, 어떤 던전, 어떤 행위에서 허들(장애)을 느끼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특히, 유저의 게임 로그 정보를 확인한 다음, 유사한 허들을 경험한 유저가 어떤 아이템을 취득한 다음 해결하였는지를 참조하여, 그에 대응되는 아이템 패키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키지 제안 서버(50)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에 의해 수집되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를 확인한다(S13).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게임 커뮤니티에서 유저가 작성한 게시글이나, 검색/확인한 게시글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고, 게임 진행에 허등이 되는 사항을 추출한다.
상기 게임 로그 정보와, 커뮤니티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 패키지를 추천한다(S14).
이와 같이, 아이템 패키지를 추천함으로써, 유저들은 스테이지, 미션 허들 또는 전투에 대한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갈 수 있으며, 게임 제공사는 최적의 아이템 패키지를 통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2)

  1. 게임 서버에서 제공하는 게임이 실행되는 유저측의 게임 클라이언트와,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에서 게임을 플레이함으로써 발생되는 게임 로그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로그 분석 서버와,
    상기 게임이 실행된 상태에서, 유저가 작성된 게시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유저가 게시글을 작성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인게임 커뮤니티와,
    상기 게임별 각각의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각 게임별로 상기 유저가 가입한 유저 정보를 관리하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와,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와 로그 분석 서버에 의하여 수집되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와 게임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내에서 사용되는 아이템이 적어도 2개 이상 패키지로 구성된 아이템 패키지를 분류 및 추천하는 패키지 제안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패키지 제안 서버는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에서 플레이되는 게임 내의 아이템들을 성장 패키지, 전투관련 패키지 및 치장 패키지로 분류하고,
    상기 패키지 제안 서버는 상기 게임 로그 정보 및 커뮤니티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적합한 패키지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게임 로그 정보는 게임과 해당 유저 사이에서 발생된 데이터로서, 유저의 계정정보, 유저의 결제정보, 게임 내에서 유저 또는 캐릭터가 수행한 각각의 행위들 모두가 되고, 캐릭터, 아이템, 각 스테이지 진행상태 및 게임 실행 횟수를 포함하는 해당 게임의 실행 및 게임 진행에 대한 유저의 행동과, 게임 내에서 유저의 아바타가 되는 캐릭터의 행동들에 대한 정보 및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내에서의 아이템 패키지 제공 시스템.
  2. 삭제
KR1020180144528A 2018-11-21 2018-11-21 게임 내에서의 아이템 패키지 제공 시스템 KR102622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528A KR102622300B1 (ko) 2018-11-21 2018-11-21 게임 내에서의 아이템 패키지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528A KR102622300B1 (ko) 2018-11-21 2018-11-21 게임 내에서의 아이템 패키지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601A KR20200059601A (ko) 2020-05-29
KR102622300B1 true KR102622300B1 (ko) 2024-01-15

Family

ID=7091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528A KR102622300B1 (ko) 2018-11-21 2018-11-21 게임 내에서의 아이템 패키지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30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540B1 (ko) * 2016-10-31 2018-07-25 넷마블 주식회사 게임유저에 실시간 개인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30325B1 (ko) * 2017-01-06 2018-12-19 네이버 주식회사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고객 온라인 구매후기를 활용한 추천시스템 개발 및 적용, 조승연 외 3명,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7권 제3호(2015.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601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mari et al. Why do people buy virtual goods: A meta-analysis
Mora-Cantallops et al. MOBA games: A literature review
US202300307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quest from a probability item bundle in an online game
Drachen et al. Game analytics–the basics
Tondello et al. A framework and taxonomy of videogame playing preferences
Hou et al. ‘Migrating to a new virtual world’: Exploring MMORPG switching through human migration theory
Nasirzadeh et al. Investigating the effect of gamification elements on bank customers to personalize gamified systems
Hamari Gamification-motivations & effects
WO2007095239A2 (en) Aptitude and interest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Syahrivar et al. Pay to play in freemium mobile games: a compensatory mechanism
Sharma et al. Competitors' envy, gamers' pride: An exploration of gamers' divergent behavior
Ferro An analysis of players’ personality type and preferences for game elements and mechanics
Drachen et al. Going out of business: auction house behavior in the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game glitch
Zarsky Information privacy in virtual worlds: identifying unique concerns beyond the online and offline worlds
Eppmann et al. WTG (Way to go)! How to take gamification research in marketing to the next level
KR102095862B1 (ko)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
Weber Too legit to rage quit: Do social ties impact staying power in esports?
KR20170099750A (ko) 게임 평가 장치 및 방법
KR102622300B1 (ko) 게임 내에서의 아이템 패키지 제공 시스템
Debeauvais Challenge and retention in games
Lee et al. Video game information needs and game organization: differences by sex and age
Thawonmas et al. Analysis of revisitations in online games
Yao et al. Cloud Gaming Virtual Community: A Case Study in China
Park et al. The interplay between real money trade and narrative structure in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s
Liblik et al. The Business of Micro Transactions: What is the players' motivation for purchasing virtual i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