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862B1 -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862B1
KR102095862B1 KR1020180145141A KR20180145141A KR102095862B1 KR 102095862 B1 KR102095862 B1 KR 102095862B1 KR 1020180145141 A KR1020180145141 A KR 1020180145141A KR 20180145141 A KR20180145141 A KR 20180145141A KR 102095862 B1 KR102095862 B1 KR 102095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information
user
communit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일
진정헌
이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어사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어사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어사이트
Priority to KR1020180145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862B1/ko
Priority to CN201811484806.7A priority patent/CN111211961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8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by computing conditions of game characters, e.g. stamina, strength, motivation or energ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의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은, 게임 서버에서 제공하는 게임이 실행되는 유저측의 게임 클라이언트와,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에서 게임을 플레이함으로써 발생되는 게임 로그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로그 분석 서버와, 상기 게임이 실행된 상태에서, 유저가 작성된 게시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유저가 게시글을 작성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인게임 커뮤니티와, 상기 게임별 각각의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각 게임별로 상기 유저가 가입한 유저 정보를 관리하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와,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와 로그 분석 서버에 의하여 수집되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와 게임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챗봇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game information}
본 발명은 게임과 관련된 유저의 커뮤니티 활동 정보와, 게임 내에서의 플레이에 관한 게임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에게 게임 관련 정보의 메신져인 챗봇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인터넷 인프라의 보급에 힘입어 과거 스탠드 얼론 게임 위주였던 게임 시장은 점차 온라인 게임을 위주로 재편되고 있다.
온라인 게임 시장이 양적으로 성장하면서 그 스펙트럼 또는 조작이 간단한 캐쥬얼 아케이드 게임에서부터 수천수만의 동시접속자가 동일한 온라인 게임의 맵 내에서 자신의 플레이터 캐릭터를 조작하여 협업플레이하여 퀘스트를 수행하고, 몹(MOB : Mobile Object)을 사냥하는 등의 방식에 의해 진행하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에 이르는 다양함을 보이게 되었다.
한편, 그 가운데 온라인 게임의 총아라 할 수 있는 MMO는 과거 스탠드 얼론 형태의 패키지 게임이나 온라인 캐쥬얼 게임에서 나타나지 않는 몇가지의 특징을 갖는다.
그 가운데 한가지는 온라인 게임 아이템이나 게임 머니가 게임의 플레이에 중요한 기능을 하며 때로는 재산적 가치를 인정받아 게이머들간 거래대상이 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때로는 계정의 도용이나 아이템 등의 거래시 불미스러운이 발생하기도 하고, 게이머들로부터 계정 도용 등의 피해신고가 접수되면 온라인 게임 제공사는 온라인 게임 서버가 수시로 생성한 로그 파일을 분석하여 사실관계를 확인하여 피해에 대한 구제책을 마련한다.
또 한가지는 게이머들이 온라인 게임 내에서 조작하는 캐릭터들 사이에 게임에서 다양한 인터랙션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플레이어 캐릭터들 사이의 인터랙션 또한 게임 로그 분석에 의한 분석대상이 될 수 있다. 즉, 로그 분석에 의한 게임 내용의 후발적 해석이 필요하며 또 가능하다는 점에서 과거 패키지 게임이나 대부분 캐쥬얼 게임과 구별된다.
MMO의 온라인 게임 서버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플레이어 캐릭터들의 액션을 저장하는 게임 로그 파일을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게임 로그 파일은 이와 같이 플레이어 캐릭터들의 액션을 기술하는 정보와 액션이 있었던 시점의 시간정보, 플레이어 캐릭터의 좌표정보를 포함하며, 게임 내의 각종 변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인터넷상의 온라인 게임 종류로는 전략시뮬레이션게임, 머드(Multiple User Dialogue; MUD)게임, 머그(Multy User Graphic; MUG)게임, 롤 플레잉 게임(Role Playing Game; RPG) 등이 있다.
여기서, 롤 플레잉 게임이란, 머드나 머그 게임의 발전된 형태로서, 게임상의 가상 현실에서, 캐릭터가 성장하면서 보통 캐릭터의 레벨이 존재하며, 캐릭터의 직업 구별이 뚜렷하고, 직업에 따른 능력 차이도 뚜렷한 게임이다.
또한, 아이템으로 캐릭터의 능력치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일정한 스토리를 가지나, 캐릭터의 자유도는 높은 편이고, 캐릭터의 활동에 따라 스토리를 바꿀 수 있어 게임 플레이어인 사용자 스스로가 스토리를 만들어 나간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라는 롤 플레잉 게임이 도입되면서, 기존의 롤 플레잉 게임이 다수의 사용자로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MMORPG 등과 같은 온라인 게임은 인스턴스 던전(dungeon)이라는 게임 공간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인스턴스 던전은 온라인 게임 내에서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인스턴스 던전에는 다양한 종류의 몹 및 동굴이나 건물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지형적 환경을 갖는 맵(map) 등이 존재하며, 게임 사용자들은 자신의 게임 캐릭터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인스턴스 던전에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게임의 내용에 따라 몹을 사냥하는 등의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그리고, 각 게임 캐릭터들은 이러한 활동들을 수행하면서, 아이템 등을 획득하고 자신의 경험치를 키워 능력치 및 레벨(level)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게임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게임 유저들은 게임 내의 던전에 관한 정보를 인터넷상에 수집하거나 별도로 해당 게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야만 했다. 게임을 진행하는 도중에 나의 플레이가 부족한 것은 무엇인지, 던전에 입장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아이템은 무엇인지등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던전이라는 스테이지는 게임 내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며, 이와 같은 던전에 입장하지 못하거나 던전을 클리어하지 못하는 것이 반복되면 흥미를 크게 잃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게임에 대한 유저의 흥미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유저의 게임 진행상태, 인게임 커뮤니티에서의 유저의 활동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던전에 진입하기 전에 진입을 위한 정보와, 던전을 진입한 상태에서 던전 클리어를 위한 정보와, 던전 클리어 실패시에 실패원인을 분석한 결과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게임 유저의 흥미를 유지시키고 나아가 게임 흥미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의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은, 게임 서버에서 제공하는 게임이 실행되는 유저측의 게임 클라이언트와,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에서 게임을 플레이함으로써 발생되는 게임 로그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로그 분석 서버와, 상기 게임이 실행된 상태에서, 유저가 작성된 게시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유저가 게시글을 작성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인게임 커뮤니티와, 상기 게임별 각각의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각 게임별로 상기 유저가 가입한 유저 정보를 관리하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와,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와 로그 분석 서버에 의하여 수집되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와 게임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챗봇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서, 유저는 게임 진행이 어려운 경우에 챗봇에 의해 전달되는 게임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 진행을 원활히 이어갈 수 있으며, 게임을 제공하는 회사의 입장에서는 인게임 커뮤니티와 게임 로그 분석을 이용하여 유저의 게임 진행시 어려움 및 흥미의 정도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가 인게임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챗봇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챗봇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게임 진행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에 자동으로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설명에 사용되는 접미어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은, 게임 서버(20)에서 제공/공급하는 게임을 실행하는 유저측의 게임 클라이언트(10)와,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10)에서 게임을 실행 및 플레이함으로써 발생되는 게임 로그 정보를 분석하는 로그 분석 서버(40)와,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10)에서 게임 실행 후 인게임 커뮤니티(31)에 글을 게시하거나 정보를 교환하는 등의 커뮤니티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인게임 커뮤니티(31)를 관리하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를 포함한다.
상기 인게임 커뮤니티(31)는 게임 소프트웨어가 실행된 상태에서, 유저가 작성된 게시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유저가 게시글을 작성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는 게임별 각각의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각 게임별로 상기 유저가 가입한 유저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와 로그 분석 서버(40)에 의하여 수집되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와, 게임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10)로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챗봇 서버(50)를 포함한다.
상기 챗봇 서버(50)는 게임 클라언트(10)에서 수행되는 게임의 진행 상태 등을 확인하여 유저에게 자동으로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게임 흥미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거나, 유저의 요청이 있을 때에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챗봇 서버(50)가 유저의 게임 진행을 돕고, 게임 흥미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와, 로그 분석 서버(40)에 의하여 수집/확인되는 정보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챗봇 서버(50)가 유저의 게임 진행 정도에 따른 어떤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할지를 결정하도록 참조 정보가 되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에 관하여 설명하여 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가 인게임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에 의하여 유저가 인게임 커뮤니티를 이용할 때와 통합 회원으로서 각 커뮤니티를 관리할 때가 구분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에 의하여 커뮤니티가 관리되는 게임들, 즉, 실시예의 SDK가 적용된 게임들 내에 인게임 커뮤니티(31)가 실행되도록 한다.
유저는 이와 같이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의 접근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제작된 SDK을 이용하는 게임을 가입할 때에는, 자신의 이메일을 이용하여 게임 가입을 완료하고, 해당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저는 해당 게임 내에 제공되는 커뮤니티, 즉, 인게임 커뮤니티에 직접 게시글을 작성하거나 정보 교환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유저는 해당 인게임 커뮤니티에 게시글 작성을 위해 요구되는 가입 및 로그인 절차가 생략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는, 이때 유저의 상태를 "인게임 커뮤니티 회원"으로 판단 또는 관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는 관리 가능한 SDK가 적용된 게임을 실행하기 위하여 가입하는 유저들의 가입 정보, 예를 들면, 아이디 또는 이메일 등을 수집한다. 그리고, 해당 유저는 게임 실행 중에 인게임 커뮤니티를 실행/확인할 수 있으며, 게시글 확인 뿐만 아니라 게시글을 등록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라 유저가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가 제공하는 통합 커뮤니티를 추가로 가입하고, 유저 본인이 실행한 게임과 해당 게임에서 사용한 자신의 계정 정보(아이디, 이메일 등)을 입력하면, 통합 회원으로서 자신이 가입한 게임 리스트와, 각 게임별 계정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각각의 게임, 즉,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에 의하여 게임 내 로그 정보 수집이 가능한 게임들은 유저가 인게임 커뮤니티에 게시글을 등록하는 때에, 유저가 작성한 커뮤니티의 정보와 함께 게임 로그 정보를 동시에 추출하여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로 전달한다.
그리고, 각 유저가 인게임 커뮤니티에 게시된 글을 게시하는 행위, 게시된 글을 열람하는 행위, 게시된 글중 특정 글을 서치하는 행위 등이 유저별 커뮤니티 활동 정보로 수집된다.
즉,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는 인게임 커뮤니티와 관련하여 커뮤니티 내 게시글 관련 데이터로서 인기글, 급상승글, 조회수, 팔로워, 키워드 등을 통한 게임 내 이슈 사항을 수집한다.
그리고,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는 인게임 커뮤니티와 관련하여 게임별 유저의 커뮤니티 활동 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는 인게임 내 이슈사항을 수집하기 위하여 자주 찾는 질문 또는 답변 데이터의 빈도수를 체크한다.
요약하면,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는 인게임 커뮤니티에 유저가 글을 작성하거나 검색하는 등의 활동으로부터, 가입된 게임별 급상승 게시물 정보, 사용자 레벨별 등록 게시물 정보, 자주 찾는 질문/답변 게시물 정보, 인기 게시물 정보, 게임내 플레이한 성공/실패 게시물 정보, 소셜 팔로워/팔로잉 정보, 검색 키워드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에 의하여 수집되는 이러한 정보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커뮤니티 활동 정보가 생성되는 과정과,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에 의해 수집되는 것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여 본다.
각각의 게임, 즉,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에 의하여 게임 내 로그 정보 수집이 가능한 게임들은 유저가 인게임 커뮤니티에 게시글을 등록하는 때에, 유저가 작성한 게시글은 커뮤니티 활동 정보가 되고, 상기 인게임 커뮤니티(31)는 상기 커뮤니티 활동 정보를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로 유저의 커뮤니티 활동 정보가 수집되는 때에, 상기 로그 분석 서버(40)는 해당 게임과 관련된 게임 로그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게임 로그 정보는 게임과 해당 유저 사이에서 발생된 데이터로서, 유저의 계정정보, 유저의 결제정보, 게임 내에서 유저 또는 캐릭터가 수행한 각각의 행위들 모두가 되고, 캐릭터, 아이템, 각 스테이지 진행상태, 게임 실행 횟수 등의 해당 게임의 실행 및 게임 진행에 대한 유저의 행동과, 게임 내에서 유저의 아바타가 되는 캐릭터의 행동들에 대한 정보 및 아이템 정보가 된다.
또한, 인게임 커뮤니티(31)에서의 유저 활동은 위의 게임 로그 정보와 연계하여 관리되며, 이러한 정보들은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인게임 커뮤니티(31)에서의 유저 활동으로는, 유저간 커뮤니케이션 관련 정보(횟수, 내용 등), 텍스트, 스크린샷 및 비디오 게시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유저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신이 이메일 계정 등을 이용해서 게임을 실행하고, 해당 게임 내에서 제공하는 커뮤니티를 별도의 가입 절차없이 활동할 수 있다. 만약, 유저가 게임의 실행과 관련되는 오류나 문제점을 지적하는 게시글을 등록하거나 유저들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한 경우 등 유저가 인게임 커뮤니티에 게시물을 등록하게 되면, 실행 중인 게임 소프트웨어로 로그 스냅샷을 요청하는 메세지가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유저가 등록하는 게시글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게임 커뮤니티 프로그램(31)은 게시글 등록시에 게임 소프트웨어로 로그 스냅샷을 전달할 것을 요청한다. 인게임 커뮤니티 및 게임 그 자체에 대한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이 이러한 요청과 요청에 대한 콜백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인게임 커뮤니티 소프트웨어(31)에서 유저의 게시글 등록이 감지되면,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와 로그 분석 서버(40)로 게시글 작성 이벤트를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는 해당 게시글에 관련된 정보(글 검색, 글 작성 등)를 수집하고, 상기 로그 분석 서버(40)는 해당 게임의 진행과 관련된 게임 로그 정보를 게임 서버(20) 또는 게임 클라이언트(10)로부터 수집한다.
인게임 커뮤니티(31)에서는 유저의 게시글을 작성하는 행위와, 이미 게시된 글을 검색하는 행위를 이벤트로 정의하고, 이러한 이벤트 발생시에는 해당 커뮤니티 활동 정보와, 해당 게임 자체에 관련된 게임 로그 정보를 각각 수집하게 된다.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에 의하여 수집되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는 상기 챗봇 서버(50)로 전달되고, 상기 로그 분석 서버(40)에 의해 수집된 게임 로그 정보 역시 상기 챗봇 서버(5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챗봇 서버(50)는 유저가 인게임 커뮤니티에서 특정 검색어로 게시글을 검색하거나, 게임 진행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질문 글을 게시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때에, 게임 진행 상태가 구체적으로 어떠하였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로그 분석 서버(40)에 의하여 수집되어 상기 챗봇 서버(50)로 전달되는 게임 로그 정보에 관하여 설명하여 본다.
본 발명의 시스템을 설명하는데 있어 게임 로그 정보는 유저가 게임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나타내며, 게임 설치 정보, 게임 가입 날짜 및 접속 정보, 계정 및 개릭터 레벨 정보, 유저 보유 재화 정보, 플레이 컨텐츠별 성공/실패 정보, 보유 게임 아이템 등급 정보, 아이템 강화 성공/실패 정보, 소셜 가입 및 활동 정보, 게임내 활동 관련 모든 로그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게임 내의 각 스테이지에 대한 상황 설정, 각 스테이지를 클리어(clear)하기 위해 필요한 점수나 레벨 등, 각 스테이지를 보다 쉽게 클리어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 상기 아이템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캐쉬 등 게임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각 아이템, 캐릭터 및 스테이지 설정이 게임 로그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외에, 게임 로그 정보로는 게임 내에서 유저가 플레이한 것들로서, 캐릭터, 아이템, 각 스테이지 진행상태, 게임 실행 횟수 등의 해당 게임의 실행 및 게임 진행에 대한 유저의 행동과, 게임 내에서 유저의 아바타가 되는 캐릭터의 행동들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후술하는 예에서도 설명되지만, 게임 내의 캐릭터에 활동과 관련되는 아이템 정보로는 장비 정보, 스킬 정보, 속성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장비 정보는 게임 내 해당 레벨에서 착용가능한 장비 아이템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분류된 장비들에 따라 일반, 영웅, 신화 등의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장비의 착용 레벨과, 등급을 이용하여 해당 캐릭터의 능력치를 파악 및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장비 정보를 이용하여 챗봇 서버(50)가 유저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킬 정보는 게임 내 캐릭터의 직업 레벨별 스킬 분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유저 캐릭터의 현재 레벨에 부여된 스킬 포인트를 나타낸다. 각 레벨별로 각각의 캐릭터들이 습득가능한 스킬들이 분류되어 있으며, 스킬 포인트의 사용여부를 통하여 캐릭터의 스킬업이 파악될 수 있다.
상기 속성 정보는 각 캐릭터의 종족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전체 레벨별로 속성 강화 수치가 리스트화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레벨 속성 강화 수치 포인트의 사용여부를 파악하는 것에 의해, 속성 정보를 추출해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게임 서버(20)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을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10)에서 유저가 플레이는 경우, 본 발명의 챗봇 서버(50)는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와 로그 분석 서버(40)에 의해 수집되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와 게임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10)에서 플레이되는 게임과 관련되는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챗봇 서버(50)는 유저가 던전에 진입하기 전, 던전에 진입한 상태, 던전 클리어를 실패한 경우로 나뉘어 게임 상에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정확히는, 유저 캐릭터)가 던전에 진입하기 전의 상태인 때에, 상기 챗봇 서버(50)는 게임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던전에 진입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던전에 진입/입장하기 위한 조건(레벨 제한, 전투력 제한, 파티수 등의 정보)에 이르지 못한 경우에 진입할 수 있는 조건에 관한 정보(게임 관련 정보)를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10)로 자동 전달하여 유저가 게임 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던전에 진입할 수 있는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상기 챗봇 서버(50)는 던전 클리어를 위해서 필요한 전투 패턴이나 이전의 성공한 유저의 글 링크 등의 관련 커뮤니티 활동 정보를 제공한다. 추가로, 상기 챗봇 서버(50)에 의하여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유저의 커뮤니티 활동 정보에 대한 평가치가 기준 평가치 이상이 되는 때에 한하도록 제한을 걸 수도 있다.
한편, 던전에 진입하여 플레이를 진행하는 도중에는, 상기 챗봇 서버(50)는 유저의 요청(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해줄 것을 요청)이 있는 때에 한하여 게임 관련 정보를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유저측)으로 전달한다. 왜냐하면, 던전의 진행중에는 유저마다의 패턴과 상황이 상이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던전 진행중에 유저에게 갖아 필요한 정보를 추출해내는 것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던전을 클리어하거나 클리어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챗봇 서버(50)는 클리어(성공)와 실패 각각에 대해서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던전 클리어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챗봇 서버(50)는 그 원인을 분석하여 실패시 구간별 전투 패턴에 대한 원인 분석정보, 예를 들면, 1구간은 광역딜 구간에 극딜, 2구간은 보스몹 전투 패턴 학습 필요 등을 제공한다.
던전 클리어시에는, 다음 단계의 게임 스토리에 관한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하거나, 다음 던전에 진입하기 위한 조건에 대한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챗봇 동작 흐름도이다.
유저가 게임 흥미도를 잃는 경우가 많은 초보 유저인 경우를 예로 들며, 본 실시예에 따라 로그 분석 서버(40)에 의하여 사용자 레벨이 15레벨, 게임 내 유저 보유 재화가 15,000, 유저 캐릭터가 처음으로 강화 아이템을 획득한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이다(S11).
그리고, 이때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에 의하여 수집되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로, 해당 유저가 인게임 커뮤니티 내에서 '초보 가이드' 관련 게시물을 조회하거나, '아이템 합성' 관련 게시물을 조회하는 활동 정보가 수집된 경우이다(S12).
이때, 챗봇 서버(50)는 해당 유저를 적극 정보제공 대상자로 분류하고, 게임 내에서 자동으로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비슷한 레벨에서 등급 높은 아이템을 파밍할 수 있는 지역 안내에 대한 정보와 함께 캐릭터 성장과 관련되는 인기글을 자동 안내한다(S13).
도 4는 본 발명의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챗봇 동작 흐름도이다.
실시예에 따라 로그 분석 서버(40)에 의하여 사용자 레벨이 50레벨, 게임 내 유저 보유 재화가 20만 이상이 되는 255,000, 아이템 정보 중 장비 정보가 높은 레벨의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이다(S21).
그리고, 이때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에 의하여 수집되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로, 해당 유저가 인게임 커뮤니티 내에서 '던전', '아이템 드랍' 관련 게시물을 조회하고, 높은 커뮤니티 활동 정보가 수집된 경우이다(S22).
이 경우, 상기 챗봇 서버(50)는 해당 유저에게 던전을 클리어할 수 있는 정보인 게임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할지, 아니면, 유저의 요청(질문 게시물을 작성하거나 챗봇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 등)이 있을 때에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할지를 판단한다(S23). 만약, 수집된 커뮤니티 활동 정보에 대한 평가치가 기준 평가치 보다 큰 경우에는, 던전 클리어를 위하여 필요한 게임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고, 기준 평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유저의 요청(챗봇 요청)이 있을 때에 던전 클리어를 위해 필요한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그 다음, 상기 챗봇 서버(50)는 도전 중인 던전을 클리어(성공)시킬 수 있는 관련 게시물을 유저에게 제공하거나, 동일한 던전에 도전중인 유저들이 대화할 수 있는 파티 매칭을 유도할 수 있다(S24).
게임 내의 '던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 아이템보다 등급이 높은 고급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는 장소를 나타내며, 레벨별/직업별 상위 아이템을 얻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거쳐가야할 게임내 스테이지이다. 난이도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아이템이 결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로그 분석 서버(40)에 의하여 사용자 레벨이 최고 레벨, 높은 아이템(아이템 정보 지수가 높은 경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이다.
그리고, 이때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에 의하여 수집되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로, 해당 유저가 인게임 커뮤니티 내에서 '무기', '무기 스텟' 관련 게시물을 조회하고, 높은 커뮤니티 활동 정보가 수집된 경우이다.
이 경우에도, 챗봇 서버(50)에 의하여 게임 관련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할지, 아니면, 게임 관련 정보를 소극적으로 유저의 요청이 있을 때에 제공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챗봇 서버(50)는 게임 내 전체 무기 드랍 및 등급 정보글을 안내하거나, 유저가 보유한 무기보다 등급이 높은 무기 파밍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위 랭킹 유저의 보유 무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게임 진행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에 자동으로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게임 종류에 따라 고급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 장소 또는 레벨별/직업별 상위 아이템 수급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스테이지에 해당하는 '던전'이 존재한다. 그리고, 유저들은 게임 내의 이러한 던전에 입장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던전을 클리어(통과)하기 위한 게임 플레이를 진행한다.
만약, 이와 같이 게임 내에서의 중요한 스테이지에 입장하기 어려워하거나, 클리어하지 못하는 것이 반복되면 게임 흥미가 크게 떨어질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유저별 상황에 대응하여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진행 중인 게임 내에서 기준 레벨(20레벨)을 달성한 경우(S31), 실시예의 챗봇 서버(50)는 유저에게 현재 레벨에서 접근 가능한 던전 정보를 제공한다(S32).
그리고, 유저 캐릭터의 아이템 정보, 즉, 장비 정보, 스킬 정보 및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챗봇 서버(50)는 해당 던전에 입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단(S33).
그리고, 입장이 가능한 경우(S34), 해당 유저(캐릭터)의 던전 입장과 던전에서의 게임 플레이를 진행하고(S35), 해당 던전 클리어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상기 챗봇 서버(50)는 해당 던전을 클리어(성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한다(S37). 이때, 제공되는 정보는 상기 로그 분석 서버(40) 및 커뮤니티 관리 서버(30)에 의해 수집되는 게임 로그 정보와 커뮤니티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유저(캐릭터)의 부족한 사항에 관하여 제공한다.
만약, S33단계에서 던전 입장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해당 던전 이전 단계의 던전을 성공하지 못한 경우이기 때문에(S38), 이전 단계의 던전을 클리어할 수 있도록 던전에 대한 정보와 던전 클리어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S39).

Claims (5)

  1. 게임 서버에서 제공하는 게임이 실행되는 유저측의 게임 클라이언트와,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에서 게임을 플레이함으로써 발생되는 게임 로그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로그 분석 서버와,
    상기 게임이 실행된 상태에서, 유저가 작성된 게시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유저가 게시글을 작성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인게임 커뮤니티와,
    상기 게임별 각각의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각 게임별로 상기 유저가 가입한 유저 정보를 관리하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와,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와 로그 분석 서버에 의하여 수집되는 커뮤니티 활동 정보와 게임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챗봇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는 상기 유저가 상기 인게임 커뮤니티의 실행시에 상기 게임 내에서 별도의 가입 절차를 진행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는 상기 인게임 커뮤니티를 이용하여 상기 유저가 게시물을 등록하거나 이미 게시된 게시물을 검색 및 확인하는 활동을 커뮤니티 활동 정보로 수집 및 관리하고,
    상기 챗봇 서버는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에 의해 수집되는 유저별 커뮤니티 활동 정보에 따라 진행 중인 게임에 관한 게임 관련 정보를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전달하고
    상기 로그 분석 서버는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에서 플레이되는 게임에 관하여 아이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아이템 정보는, 게임 내 해당 레벨에서 착용가능한 장비 아이템의 종류를 나타내는 장비 정보와, 게임 내 캐릭터의 직업 레벨별 스킬 분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는 스킬 정보와, 게임 내 각 캐릭터의 종족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챗봇 서버는 상기 로그 분석 서버에 의해 전달되는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전달할 게임 관련 정보의 내용을 결정하고,
    상기 챗봇 서버는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에 의해 전달되는 각 유저별 커뮤니티 활동 정보에 대하여 평가치를 부여하고, 상기 평가치가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게임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전달하고, 상기 평가치가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유저의 요청이 있는 때에 한하여 상기 게임 관련 정보를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챗봇 서버는 상기 게임 내의 스테이지인 던전에 유저가 입장하였는지 여부, 던전에 입장된 상태인지 여부, 던전을 클리어 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게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45141A 2018-11-22 2018-11-22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95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141A KR102095862B1 (ko) 2018-11-22 2018-11-22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
CN201811484806.7A CN111211961A (zh) 2018-11-22 2018-12-06 游戏信息提供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141A KR102095862B1 (ko) 2018-11-22 2018-11-22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862B1 true KR102095862B1 (ko) 2020-04-01

Family

ID=7027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141A KR102095862B1 (ko) 2018-11-22 2018-11-22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5862B1 (ko)
CN (1) CN1112119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5546A (zh) * 2020-12-22 2021-04-20 北京像素软件科技股份有限公司 游戏辅助维护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5334022B (zh) * 2021-05-11 2023-08-15 中国移动通信集团上海有限公司 5g消息系统中打卡榜实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965A (ko) * 2012-01-18 2013-08-13 (주)네오위즈게임즈 게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게임 서버,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20140112372A (ko) * 2012-11-27 2014-09-23 게파케 게엠베하 개선된 엔터테인먼트 액션 및 성취도 로깅
KR20180081245A (ko) * 2017-01-06 2018-07-16 네이버 주식회사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86169A (ko) * 2016-10-31 2018-07-30 넷마블 주식회사 게임유저에 실시간 개인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2493A (ko) * 2005-11-17 2007-05-22 (주)윌비솔루션 게이머의 플레이 패턴 분석을 통한 게임 가이드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US8312108B2 (en) * 2007-05-22 2012-11-13 Yahoo! Inc. Hot within my communities
CN102201026A (zh) * 2010-03-23 2011-09-28 上海美你德软件有限公司 在虚拟环境中为玩家进行信息推荐的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965A (ko) * 2012-01-18 2013-08-13 (주)네오위즈게임즈 게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게임 서버,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20140112372A (ko) * 2012-11-27 2014-09-23 게파케 게엠베하 개선된 엔터테인먼트 액션 및 성취도 로깅
KR20180086169A (ko) * 2016-10-31 2018-07-30 넷마블 주식회사 게임유저에 실시간 개인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81245A (ko) * 2017-01-06 2018-07-16 네이버 주식회사 사용자 활동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11961A (zh)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rachen et al. Game analytics–the basics
JP6759096B2 (ja) ファンタジー・スポーツおよびその他のゲームにおいてユーザの間の直接の挑戦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
Baldwin et al. A framework of dynamic difficulty adjustment in competitive multiplayer video games
JP5608928B1 (ja) ゲームサーバ、ゲーム制御方法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Pirker et al. Analyzing player networks in Destiny
KR20060122236A (ko) 온라인 게임에서 퀘스트 대리 수행 방법 및 시스템
JP5732686B1 (ja) ゲームサーバ、ゲーム制御方法、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2095862B1 (ko)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
JP5303064B1 (ja) ゲームサーバ、ゲーム提供方法、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
Rezvani et al. Gamers' Behaviour and Communication Analysis in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Games: A Survey
Ruggles et al. Online community building techniques used by video game developers
KR101962269B1 (ko) 게임 평가 장치 및 방법
Weber Too legit to rage quit: Do social ties impact staying power in esports?
KR101183749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예상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서버
KR101652259B1 (ko) 온라인 게임의 액티비티 로그 가공 시스템 및 그 방법
Thawonmas et al. Analysis of revisitations in online games
Debeauvais Challenge and retention in games
KR20110081399A (ko) 온라인 게임 내 사제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622300B1 (ko) 게임 내에서의 아이템 패키지 제공 시스템
JP5564712B1 (ja) ゲームサーバ、ゲーム提供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ゲームシステム
Park et al. The interplay between real money trade and narrative structure in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s
KR100814243B1 (ko)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서비스 시스템, 이것의 게임 서비스방법 및 그 기록매체
Bogojevic et al. The architecture of massive multiplayer online games
KR102379040B1 (ko) 최적 대전 상대 탐색 방법 및 장치
US101955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gaming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