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227B1 -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3227B1 KR101923227B1 KR1020120040976A KR20120040976A KR101923227B1 KR 101923227 B1 KR101923227 B1 KR 101923227B1 KR 1020120040976 A KR1020120040976 A KR 1020120040976A KR 20120040976 A KR20120040976 A KR 20120040976A KR 101923227 B1 KR101923227 B1 KR 1019232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glass
- concave portion
- portable device
- compressive stress
- etch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5/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etch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1/00—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 C03C21/001—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in liquid phase, e.g. molten salts, solutions
- C03C21/002—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in liquid phase, e.g. molten salts, solutions to perform ion-exchange between alkali 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628—Nonplanar uniform thickness materi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628—Nonplanar uniform thickness material
- Y10T428/24736—Ornamental design or indici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휴대 전화 등의 휴대 기기에 이용되는 커버 글래스는, 그 판 두께가 0.3㎜ 내지 1.5㎜의 범위이다. 또한, 휴대 기기의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에 문자 또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거나, 혹은 휴대 기기의 바깥쪽으로부터 접촉하였을 때에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가, 커버 글래스의 대향하는 주 표면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의 표면은 에칭에 의해 처리된 에칭면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전화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형 게임기 등의 휴대 기기의 표시 화면에 이용되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화나 PDA, 휴대형 게임기 등의 휴대 기기에서는, 그 표시 화면에, 투명성이 우수하고 또한 경량인 아크릴 수지판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었지만, 최근, 종래의 아크릴 수지판을 대체하여, 얇아도 높은 강도를 갖고, 종래의 아크릴 수지판과 비교하면 표면 평활성, 보호성(내후성, 방오성), 미관ㆍ고급감 등의 점에서 우위인 글래스 재료로 이루어지는 커버 글래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 커버 글래스에는, 통상적으로, 예를 들면 회사명이나 제품명의 로고, 조작 버튼의 마크 등의 문자나 도형 등의 패턴을 인쇄법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이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7023호 공보(특허 문헌 1)가 있다.
최근, 종래의 인쇄법을 대신하여, 커버 글래스에 문자나 도형 등의 패턴을 직접 새겨 넣음으로써 형성하는 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커버 글래스에 문자나 도형 등의 패턴을 직접 새겨 넣음으로써, 휴대 기기의 표시 화면을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에, 이들 문자, 도형 등의 패턴에 깊이가 있는 입체감을 갖게 할 수 있어, 의장성이 높은 장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휴대형 게임기 등에서는, 유저가 조작 버튼을 손끝의 촉각만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도 요구되도록 되고 있다.
상기 특허 문헌 1에는, 전체 또는 일부가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1 판 형상체와, 이 제1 판 형상체의 한쪽의 면에 형성된 홈과, 그 홈 내에 착색제를 넣어서 착색한 착색부로 구성된 제1 장식부와, 상기 제1 판 형상체의 한쪽의 면측에 접합되고, 전체 또는 일부가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2 판 형상체와, 이 제2 판 형상체의 상기 제1 판 형상체와 반대측의 면에 장식을 실시한 제2 장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장식부와 제2 장식부는, 상기 제1 판 형상체의 다른 쪽의 면측으로부터 보면, 예를 들면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 시인되는 장식품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 장식품을 커버 글래스로서 이용한 시계나, 이 장식품을 휴대 전화, 무선 호출기, 전자 계산기 등의 전자 기기의 액정 표시부의 커버 부재로서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터치 패널 방식의 휴대 기기가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터치 패널 방식에서는, 주로, 표시 화면의 소정 부위(예를 들면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 등)를 압압(押壓)함으로써 휴대 기기의 조작을 행하지만, 빈번하게, 반복해서 압압되기 때문에, 이 터치 패널 기능 대응을 위한 표시 화면의 강도 향상이 요구되고 있고, 그로 인해서는 박형, 경량, 대화면(대면적)이어도 충분한 강도를 갖는 커버 글래스가 요구되고 있다.
커버 글래스는, 그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화학 강화 처리를 행하고 있지만, 커버 글래스의 강도를 저해하는 요인의 하나는 손상이다. 커버 글래스의 표면이나 끝면에 손상이 있으면 그것이 성장하여, 비교적 약한 충격으로도 커버 글래스가 파괴되는 요인이 된다. 예를 들면, 커버 글래스를 화학 강화 처리한 후, 기계 가공에 의해 문자나 도형 등의 패턴을 직접 새겨 넣는 방법을 실시한 경우, 미소한 손상이나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 커버 글래스의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계 가공 시에 커버 글래스의 균열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특히, 커버 글래스의 끝에 문자, 도형 등을 새겨 넣는 경우나, 커버 글래스의 판 두께가 예를 들면 1.5㎜ 이하로 얇은 경우에는, 전술한 문제가 현저하게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1에는, 전체 또는 일부가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1 판 형상체의 한쪽의 면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 내에 착색제를 넣어 착색되어 이루어지는 제1 장식부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만, 특허 문헌 1의 장식품은, 상기 제1 판 형상체와 제2 판 형상체의 접합 구성을 전제로 하고 있고, 제1 판 형상체에 실시된 상기 제1 장식부와 상기 제2 판 형상체에 실시된 제2 장식부의 서로 겹침에 의해 장식성을 담지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장식품의 구성을 예로 들면 휴대 전화의 커버 부재에 적용하였다고 해도, 특히 최근 주류인 터치 패널식의 휴대 기기에 이용되는 커버 글래스에 요구되고 있는 박형, 경량, 대화면(대면적)이어도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고 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은 도저히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첫째로, 휴대 기기의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에 문자 또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 혹은 휴대 기기의 바깥쪽으로부터 접촉하였을 때에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가, 대향하는 주 표면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게다가 충분한 강도를 갖는 커버 글래스를 제공하는 것, 둘째로, 박형, 경량, 대화면(대면적)이어도 충분한 강도를 갖는 커버 글래스를 제공하는 것, 셋째로, 터치 패널식의 휴대 기기에 적절히 커버 글래스를 제공하는 것, 넷째로, 화학 강화 처리를 실시하는 글래스 소재(글래스 기판)를 이용하는 경우에 적절한 커버 글래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섯째로, 야간의 옥외 등 커버 글래스에 조사(입사)되는 광량이 적은 환경에서도 이용자가 커버 글래스(의 오목부 등)를 인식 가능한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의 구성을 갖는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구성 1)
휴대 기기에 이용되는 커버 글래스로서, 휴대 기기의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에 문자 또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 혹은 휴대 기기의 바깥쪽으로부터 접촉하였을 때에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가, 대향하는 주 표면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표면은 에칭에 의해 처리된 에칭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구성 2)
휴대 기기에 이용되는 커버 글래스로서, 그 커버 글래스의 주 표면은, 소정 부위를 압압함으로써 휴대 기기의 조작을 행하는 터치 패널에 상당하는 영역을 갖고, 휴대 기기의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에 문자 또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 혹은 휴대 기기의 바깥쪽으로부터 접촉하였을 때에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가, 대향하는 주 표면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표면은 에칭에 의해 처리된 에칭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구성 3)
상기 오목부의 적어도 1개가 상기 터치 패널에 상당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2에 기재된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구성 4)
상기 커버 글래스는, 화학 강화된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글래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구성 5)
상기 휴대 기기의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에 문자 또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가, 대향하는 주 표면의 양쪽의 표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구성 6)
커버 글래스의 주 표면 평탄부와 오목부의 내표면과의 경계의 엣지부가 둥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구성 7)
커버 글래스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깊이를 뺀 남은 판 두께와, 주 표면 평탄부의 압축 응력값 및 압축 응력층 깊이로부터 산출되는, 압축 응력값×압축 응력층 깊이/(남은 판 두께―압축 응력층 깊이)의 값이,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구성 8)
상기 커버 글래스의 판 두께는, 0.3㎜ 내지 1.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구성 9)
화학 강화된 커버 글래스 주 표면의 압축 응력값이, 3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3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구성 10)
상기 커버 글래스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 방향의 두께를 뺀 남은 판 두께가, 화학 강화에 의한 압축 응력층의 두께의 3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3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구성 11)
상기 커버 글래스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 방향의 두께를 뺀 남은 판 두께가, 2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구성 12)
상기 커버 글래스는 외형이 사각 형상이고, 그 주 표면의 면적은,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구성 13)
화학 강화된 커버 글래스 주 표면의 영률(Young's modulus)이, 6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3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구성 14)
화학 강화된 커버 글래스 주 표면의 비커스 경도가, 4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3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구성 15)
상기 커버 글래스의 끝면은, 에칭에 의해 처리된 에칭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구성 16)
상기 커버 글래스의 오목부가 형성된 영역을 둘러싸도록 하여 배치한 외경 40㎜, 내경 30㎜의 링 형상의 스테인레스제 수용 지그 상에 그 커버 글래스를 재치하고, 상방으로부터 오목부 형성 개소를, 1㎜ 두께의 고무 경도 50(JIS K6253 또는 ISO 18517)의 탄성 재료를 선단에 접착한 10㎜ø의 원주 형상의 강철제 플랫 헤드에 의해 200N의 하중으로 2초간 압압하였을 때에 커버 글래스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학 강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구성 17)
상기 커버 글래스의 오목부가 형성된 영역을 둘러싸도록 하여 배치한 외경 40㎜, 내경 30㎜의 링 형상이며 커버 글래스와 접촉하는 면이 평활면인 스테인레스제 수용 지그 상에 그 커버 글래스를 재치하고, 상방으로부터 오목부 형성 개소를, 10㎜ø이고 1㎜ 두께의 고무 경도 50(JIS K6253 또는 ISO 18517)의 탄성 재료를 커버 글래스와 접촉시키고, 상기 탄성 재료에 대하여 균일하게 하중이 가해지도록, 200N의 하중으로 2초간 압압하였을 때에 커버 글래스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학 강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구성 18)
상기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커버 글래스에 조사되는 광량이 적은 환경에서도 이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되는 축광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축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구성 19)
휴대 기기에 이용되는 커버 글래스로서, 대향하는 주 표면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커버 글래스에 조사되는 광량이 적은 환경에서도 이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되는 축광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축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구성 20)
상기 오목부의 표면은 에칭에 의해 처리된 에칭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9에 기재된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기기의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에 문자 또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 혹은 휴대 기기의 바깥쪽으로부터 접촉하였을 때에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가, 대향하는 주 표면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게다가 충분한 강도를 갖는 커버 글래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박형, 경량, 대화면(대면적)이어도 충분한 강도를 갖는 커버 글래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패널식의 휴대 기기에 적절히 커버 글래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 강화 처리를 실시하는 글래스 소재(글래스 기판)를 이용하는 경우에 적절한 커버 글래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야간의 옥외 등 커버 글래스에 조사(입사)되는 광량이 적은 환경에서도 이용자가 커버 글래스(의 오목부 등)를 인식 가능한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 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의 외형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커버 글래스의 주 표면에 문자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를 형성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커버 글래스의 주 표면에 형성되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의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커버 글래스에 에칭법에 의해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대 사이즈의 판 글래스로부터 커버 글래스의 제품 사이즈에의 절단을 에칭법에 의해 행하는 공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강도 시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오목부의 바람직한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다른 강도 시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의 외형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커버 글래스의 주 표면에 문자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를 형성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커버 글래스의 주 표면에 형성되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의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커버 글래스에 에칭법에 의해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대 사이즈의 판 글래스로부터 커버 글래스의 제품 사이즈에의 절단을 에칭법에 의해 행하는 공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강도 시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오목부의 바람직한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다른 강도 시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 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에는, 휴대 기기의 일례로서, 조작을 주로 터치 패널에서 행하는 휴대 전화(100)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휴대 전화(100)는, 케이스부(101)와 표면측의 표시 화면(102)을 구비하고 있고, 이 표시 화면(102)에는 커버 글래스가 삽입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화면을 보호하도록 커버 글래스가 삽입되어 있고, 휴대 전화(100)의 표면에 커버 글래스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 글래스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표시 화면(102)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강도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터치 패널의 경우, 표시 화면(102)의 소정 부위(예를 들면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 등)를 압압함으로써 휴대 전화(100)의 조작을 행하지만, 빈번하게, 반복해서 압압되기 때문에, 이 터치 패널 기능 대응을 위해서는 박형, 경량, 대화면(대면적)이어도 충분한 강도를 갖는 커버 글래스가 요구된다.
도 2a 내지 도 2d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의 외형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도 2a 내지 도 2d는 어느것이나 커버 글래스의 외형 형상이 사각 형상의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2a는 단순 사각형의 커버 글래스(1A), 도 2b, 도 2c는 각각 각 코너가 둥근(R) 사각 형상의 커버 글래스(1B, 1C), 도 2d는 각 코너가 둥근(R) 동시에 일부를 절결한 사각 형상의 커버 글래스(1D)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커버 글래스의 외형 형상은, 그것이 삽입되는 휴대 기기의 형상, 구조 등에 유래하는 것이며, 도 2에 나타내는 예는 그저 일례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커버 글래스에 있어서도, 도 2a 내지 도 2d에 나타내는 예에 한정되는 취지가 아닌 것은 물론이다. 또한, 예를 들면, 리시버 홀 등의 글래스의 표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글래스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에서는, 휴대 기기의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에 문자 또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거나, 혹은 휴대 기기의 바깥쪽으로부터 접촉하였을 때에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가, 대향하는 주 표면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문자 또는 도형은, 예를 들면 회사명이나 제품명의 로고, 조작 버튼의 마크 등의 패턴이다.
도 3은, 커버 글래스의 주 표면에 문자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를 형성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각각 커버 글래스의 주 표면에 형성되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커버 글래스(1)의 이면측(도 3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주 표면에,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에 예를 들면「ABC」의 문자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문자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4a와 같은 사각형이나, 도 4b와 같은 삼각형 등의 도형도 들 수 있다.
종래의 인쇄법을 대신하여, 커버 글래스에 문자나 도형 등의 패턴을 새겨 넣은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휴대 기기의 표시 화면을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에, 이들 문자, 도형 등의 패턴에 깊이가 있는 입체감을 갖게 할 수 있어, 의장성이 높은 장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오목부는, 시각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손끝으로 접촉하였을 때의 촉각만으로, 조작 버튼(조작키)의 종류, 즉, 무슨 조작 버튼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게임기에서는, 유저는 게임 중, 화면만을 보아, 조작 버튼의 쪽은 거의 보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은 휴대 게임기의 조작 버튼에 적용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글래스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표면에 인쇄가 실시되어 있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글래스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커버 글래스에서는, 휴대 기기의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에 문자 또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거나, 혹은 휴대 기기의 바깥쪽으로부터 접촉하였을 때에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2)가, 커버 글래스(1)의 대향하는 표리의 주 표면(11, 12)의 양쪽의 표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물론이지만, 주로 휴대 기기의 바깥쪽으로부터 접촉하였을 때에 인식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 오목부는, 커버 글래스(1)의 대향하는 주 표면(11, 12)의 어느 한쪽의 면, 환언하면, 휴대 기기에 탑재되었을 때의 바깥쪽의 표면에 형성된다.
결국, 휴대 기기의 바깥쪽의 커버 글래스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는 시각 또는 촉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커버 글래스의 상기와 반대측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는 시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글래스의 구성에서 특히 특징적인 점은, 상기 오목부(2)의 표면(2a)이 에칭에 의해 처리된 에칭면인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오목부(2)의 표면(2a)을 에칭면으로 하기 위해서는, 커버 글래스(1)의 주 표면(11, 12)에 에칭 처리(에칭법)에 의해 상기 오목부(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의 검토에 따르면, 커버 글래스(1)의 주 표면(11, 12)에 에칭 처리(에칭법)에 의해 상기 오목부(2)를 형성하고, 형성된 오목부(2)의 표면(2a)이 에칭면인 경우, 에칭 처리(에칭 가공) 시에 미소한 손상이나 크랙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 글래스의 강도를 손상시키지 않고, 예를 들면 화학 강화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커버 글래스의 높은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밝혀냈다. 특히, 커버 글래스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그 오목부를 압압하는 경우,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커버 글래스의 왜곡은 커지고, 그 결과, 오목부의 표면(2a)에 작용하는 응력이 증가되므로, 오목부의 표면(2a)의 미소한 손상이나 크랙 등의 영향을 받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커버 글래스의 주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경우, 오목부의 표면(2a)은 에칭 처리에 의해 형성된 에칭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커버 글래스(1)의 주 표면(11, 12)이 터치 패널에 상당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오목부(2)의 적어도 1개가 상기 터치 패널에 상당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형태에 있어서 특히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기기의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에 문자 또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거나, 혹은 휴대 기기의 바깥쪽으로부터 접촉하였을 때에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가, 대향하는 주 표면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게다가 충분한 강도를 갖는 커버 글래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2)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목부(2)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글래스(1)를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커버 글래스(1)의 주 표면 평탄부와 오목부(2)의 내표면(벽면)(2a)과의 경계의 엣지부(2b)가 둥근(R)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기기의 경우, 터치 패널 영역 내의 각 조작 버튼은, 유저가 터치하는 손끝보다도 조금 작게 하는 경우가 많고, 손끝이 오목부의 내표면(2a)뿐만 아니라 상기 엣지부(2b)도 압압하여 부하가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엣지부(2b)가 둥근 형상인 것에 의해, 엣지부(2b)에도 반복해서 압압에 의한 부하가 걸린 경우의 응력 집중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오목부(2)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엣지부(2b)가 둥근 형상이므로, 손끝으로 오목부(2)를 반복해서 압압해도 손끝이 아프지 않게 된다고 하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커버 글래스(1)를 단면에서 보았을 때, 오목부(2)의 저면부와 벽면인 내표면(2a)과의 경계에 대해서도 둥근 형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저면부 전체가 둥근 형상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커버 글래스(1)를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오목부 자체 및 오목부와 상기 주 표면 평탄부와의 경계에 예리한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휴대 기기(100)의 유저가 오목부를 압압한 경우에 응력 집중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커버 글래스(1)가 파손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박형, 경량, 대화면(대면적)이어도 충분한 강도를 갖는 커버 글래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커버 글래스의 전체 판 두께는, 예를 들면 0.3㎜ 내지 1.5㎜의 박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커버 글래스의 외형 형상이 예를 들면 사각 형상이고, 그 주 표면을 예를 들면 30㎠ 이상의 대면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표시 화면의 높은 강도가 요구되는 터치 패널식의 휴대 기기에 적절히 커버 글래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오목부를 에칭으로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커버 글래스에 에칭법으로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커버 글래스(1)의 표리의 양쪽 주 표면에 각각 레지스트(감광성 유기 재료, 특히 감광성 수지 재료)층(3)을 도포 형성하고(도 6a 참조), 소정의 노광, 현상을 행하여, 대향하는 주 표면의 양쪽의 표면에 각각 오목부의 패턴(3a)을 갖는 레지스트 패턴(즉 오목부를 형성하는 영역의 레지스트층이 제거되어 있음)을 형성한다(도 6b 참조).
그리고, 이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서, 글래스 소재를 용해 가능한 에칭액(예를 들면 불산을 함유하는 산성 용액 등)을 이용하여 웨트 에칭함으로써, 예를 들면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에 문자 또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2)를 커버 글래스(1)의 표리 양쪽 주 표면의 각각에 형성한다(도 6c 참조). 상기 불산을 함유하는 산성 용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불산 수용액, 불산과 염산의 혼합 용액, 불산과 황산의 혼합 용액, 불화 암모늄 함유 수용액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웨트 에칭은 등방성의 에칭(에칭이 수직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진행함)이므로, 오목부(2)의 바닥의 모서리부는 둥근 형상으로 마무리된다. 이 때문에, 응력 분산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웨트 에칭에 의해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남은 레지스트 패턴을 박리하고, 세정한다(도 6d 참조).
이렇게 하여, 전술한 도 5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커버 글래스가 완성된다. 또한, 여기서는, 커버 글래스의 양쪽 주 표면에 각각 오목부를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커버 글래스의 어느 한쪽의 주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경우는, 그 오목부를 형성하는 주 표면측의 레지스트층에만 상기 오목부의 패턴을 형성하면 된다.
또한, 전술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커버 글래스(1)의 주 표면 평탄부와 오목부(2)의 내표면(2a)과의 경계의 엣지부(2b)가 둥근 형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적절하다.
즉, 커버 글래스(1)의 주 표면에, 이 주 표면측이 가장 중합도가 작아지도록 두께 방향으로 중합도 구배를 갖는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이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서 상기의 웨트 에칭을 행한다. 이와 같이, 레지스트의 글래스 주 표면측이 가장 중합도가 작아지도록 두께 방향으로 중합도 구배를 갖게 함으로써, 레지스트 패턴 형성 시에 글래스(주 표면)와 레지스트 사이의 밀착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레지스트의 글래스 주 표면측이 가장 중합도가 작아지도록 두께 방향으로 중합도 구배를 갖게 하여, 글래스와 레지스트 사이의 밀착력을 약하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레지스트 두께, 노광량, 포스트 베이크 조건 등을 컨트롤한다. 이들 조건의 컨트롤은, 사용하는 레지스트의 종류나 노광광의 에너지에 의해 적절히 변경하여 행한다. 이와 같이 글래스와 레지스트 사이의 밀착력을 컨트롤함으로써, 레지스트와 글래스(주 표면) 사이의 계면에 에칭액이 스며들기 쉬워져, 결과적으로, 상기 엣지부(2b)가 둥근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커버 글래스의 두께(판 두께)는, 최근 휴대 기기의 박형화ㆍ경량화의 마켓 니즈에 응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0.3㎜ 내지 1.5㎜ 정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7㎜ 정도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는, 커버 글래스를 구성하는 글래스는, 아몰퍼스의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글래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글래스로 이루어지는 글래스 기판은, 화학 강화 후의 강도가 높아 양호하다. 이와 같은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글래스로서는, SiO2가 58 내지 75 중량%, Al2O3이 0 내지 20 중량%, Li2O가 0 내지 10 중량%, Na2O가 4 내지 20 중량%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글래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버 글래스에 있어서는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커버 글래스에 대하여 화학 강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 강화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글래스 전이점의 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 영역, 예를 들면 섭씨 300도 이상 500도 이하의 온도에서, 이온 교환을 행하는 저온형 이온 교환법 등이 바람직하다. 화학 강화 처리란, 용융시킨 화학 강화염과 글래스 기판을 접촉시킴으로써, 화학 강화염 중 상대적으로 큰 원자 반경의 알칼리 금속 원소와, 글래스 기판 중 상대적으로 작은 원자 반경의 알칼리 금속 원소를 이온 교환하고, 글래스 기판의 표층에 그 이온 반경이 큰 알칼리 금속 원소를 침투시켜, 글래스 기판의 표면에 압축 응력을 발생시키는 처리이다. 화학 강화염으로서는, 질산 칼륨이나 질산 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질산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화학 강화 처리된 커버 글래스는 강도가 향상되고 내충격성이 우수하므로, 충격, 압압이 가해져 높은 강도가 필요한 휴대 기기에 이용되는 커버 글래스에는 적절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커버 글래스의 주 표면에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화학 강화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높은 강도를 담보할 수 있으므로, 화학 강화 처리는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오목부 형성 전에 화학 강화 처리를 행해도 되고, 오목부 형성 후에 화학 강화 처리를 행해도 된다.
커버 글래스의 강도 확보의 관점에서는, 오목부 형성 후에 화학 강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화학 강화된 글래스 기판의 내부에는, 표면 압축 응력층에 대응한 내부 인장 응력층이 존재한다. 이 내부 인장 응력은 글래스 기판에 외력 등이 작용한 경우 글래스 기판을 파괴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오목부 형성은 화학 강화 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 형성은 기계 가공보다도 에칭 처리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기계 가공에서는 오목부에 미소한 손상이나 크랙 등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이들이 성장하여 상기 내부 인장 응력층에 도달해 글래스 기판을 파괴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기계 가공에 비해 미소한 손상이나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운 에칭 처리에 의한 오목부 형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커버 글래스는, 커버 글래스의 주 표면에 예를 들면 문자 또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 기능에 대응 가능한 강도를 담보하는 관점에서, 화학 강화된 커버 글래스 주 표면의 압축 응력값이, 3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00 내지 8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화학 강화된 커버 글래스 주 표면의 내부 인장 응력값이,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압축 응력값×압축 응력층 깊이/(남은 판 두께―압축 응력층 깊이)의 값은,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남은 막 두께는 커버 글래스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깊이(깊이 방향의 두께)를 뺀 남은 판 두께, 압축 응력값과 압축 응력층 깊이는, 커버 글래스의 주 표면의 오목부가 아닌 평탄 부분의 값이다. 또한, 압축 응력값×압축 응력층 깊이/(남은 판 두께―압축 응력층 깊이)의 값은, 커버 글래스의 주 표면 중 오목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부 인장 응력에 상당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화학 강화된 커버 글래스 주 표면의 영률이, 6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5 내지 1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화학 강화된 커버 글래스 주 표면의 비커스 경도[HV]가, 4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00 내지 8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영률은, JIS R1602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비커스 경도는, JIS Z2244에 준거하고, 측정 하중은 300g, 가압 시간은 15sec의 조건 하에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커버 글래스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깊이 방향의 두께)를 뺀 남은 판 두께가, 화학 강화에 의한 압축 응력층의 두께의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 응력층의 두께의 3배를 하회하면, 커버 글래스에 요구되는 강도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이 오목부의 깊이는, Z축(깊이 방향) 측정기(예를 들면 닛소 정밀 광학(주)(Nisshooptical Co., Ltd.)제의 비접촉 Z축 측정기「마이크론 깊이 높이 측정기:KY-90-HL-TV」, 또는 (주)니콘(Nikon)제의 측정 현미경「MM-400」등)를 이용하여 측정 가능하다. 또한, 주 표면 평탄부의 압축 응력값, 압축 응력층의 깊이(두께) 및 주 표면 평탄부의 내부 인장 응력값은, 응력계(예를 들면, (유)오리하라(Orihara) 제작소제의 정밀 왜계「BSP-3」)에 의한 바비네법(Babinet method)에 의해 측정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커버 글래스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깊이 방향의 두께)를 뺀 남은 판 두께가, 2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남은 판 두께가 200㎛ 미만이면, 커버 글래스에 요구되는 강도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커버 글래스의 양쪽 주 표면에 각각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판 두께로부터 각각의 주 표면의 가장 큰 깊이의 합을 뺀 나머지가, 2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쪽 혹은 양쪽의 주 표면에 깊이가 다른 복수의 오목부가 있는 경우, 판 두께로부터 각각의 주 표면의 가장 큰 깊이를 뺀 나머지가, 2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 글래스의 오목부의 크기(폭)는 손가락으로 커버 글래스를 접촉하였을 때에 손가락과 오목부의 바닥이 접촉하지 않는 크기(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목부의 깊이를 뺀 남은 판 두께가 동일하지만, 전체 판 두께가 다른 커버 글래스끼리의 기계적 강도(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시예에서의 강도 시험법에 의한 강도)를 비교한 경우, 전체 판 두께가 큰 것일수록 강도가 큰 경향이 있다. 또한, 전체 판 두께와 남은 판 두께의 비율이 동일한 커버 글래스끼리를 비교한 경우, 전체 판 두께가 큰 것일수록 강도가 큰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는, 통상적으로, 시트 형상으로 성형된 대형판 글래스를 소정의 크기(제품 사이즈)로 절단(소편화)하여 제작된다. 다운 드로우법이나 플로트법 등으로 제조된 시트 형상 글래스 소재(대형판 글래스)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할 때에 있어서도 에칭법을 적용하는 것이 본 발명에는 적절하다. 절단면은 커버 글래스의 끝면이 되므로, 대형판 글래스를 에칭법에 의해 절단하고, 절단된 커버 글래스의 끝면이 에칭면인 것에 의해, 예를 들면 기계 가공에 의한 절단법과 비교하면, 커버 글래스 끝면에서의 미소한 손상이나 크랙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이들 손상이나 크랙 등에 기인하는 커버 글래스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대 사이즈의 판 글래스로부터 커버 글래스의 제품 사이즈에의 절단을 에칭법에 의해 행하는 경우,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이 하여 행할 수 있다(도 7a 내지 도 7c 참조).
상기 대 사이즈의 판 글래스의 표리 양면에 각각 레지스트(감광성 유기 재료)층을 도포 형성하고, 소정의 노광, 현상을 행하여, 커팅 라인의 패턴을 갖는 레지스트 패턴(커팅 라인 상에는 레지스트가 존재하지 않는 패턴)이며, 판 글래스의 표리면에 있어서 상기 커팅 라인의 패턴이 대칭이 되도록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도 7a 참조).
그리고, 이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서, 글래스 소재를 용해 가능한 에칭액(예를 들면 불산을 함유하는 산성 용액 등)을 이용하여 웨트 에칭함으로써, 커팅 라인 상에서 판 글래스의 표리로부터 관통시켜 절단부를 형성하고, 소정의 크기의 커버 글래스로 절단한다(도 7b 참조). 상기 불산을 함유하는 산성 용액으로서는, 전술한 오목부를 형성할 때의 에칭에 의해 이용되는 것과 마찬가지인 것을 들 수 있다. 남은 레지스트 패턴을 박리하고, 세정한다(도 7c 참조).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커버 글래스(1)의 끝면은 에칭면이다.
또한, 상기의 절단은 기계 가공에 의해 행해도 된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 글래스 끝면에서의 미소한 손상이나 크랙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커버 글래스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에칭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박형, 경량, 대화면(대면적)이어도 충분한 강도를 갖는, 특히 높은 강도가 요구되는 터치 패널식의 휴대 기기에 바람직하게 커버 글래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야간의 옥외 등 외광이 조사되지 않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휴대 기기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편리하고, 또한 그 점이 최근 요구되고 있다.
종래, 표시 장치의 커버 글래스의 이면(표시 장치 삽입측의 면)에, 표시 장치의 표시면을 둘러싸는 틀 등을 도료로 인쇄하여 실시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140193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123735호 공보 등). 이 도료에 포함되는 안료로서, 예를 들면 인광성 황화 아연(ZnS:Cu)을 첨가한 축광 도료를 이용함으로써, 어두운 환경에서도 표시 장치가 광을 발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그 존재를 시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축광 도료는, 막 두께가 두꺼울수록 고휘도로 되고, 또한 장시간 발광한다고 하는 성질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축광 안료와 미디엄(수지 성분)을 중량비로 1:1 정도로 혼합하여 조제한 축광 도료이고, 어두운 환경에서도 시인 가능한 휘도를 얻기 위해서는, 건조 후의 막 두께는 적어도 50㎛ 이상 필요하다. 더욱 휘도를 높여, 또한 장시간(예를 들면 1시간 이상)의 발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100㎛ 이상의 막 두께가 필요하다. 이 막 두께는, 일반적으로 커버 글래스의 가식(인쇄)(decoration(printing))에 이용되는 인쇄층의 도포막 두께(20㎛ 이하 정도)에 비교해 매우 두껍기 때문에, 이와 같은 도장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의 박막화를 충분히 도모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1에는, 투명한 판 형상체의 한쪽의 면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 내에 착색제를 넣어서 착색된 장식부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 착색제는 축광 재료의 특성은 없으므로, 상기 장식부의 구성을 구비한 휴대 기기를 어두운 환경에서는 인식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는, 이용자에게 문자 또는 도형을 인식시키는 오목부(즉 휴대 기기의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에 문자 또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 혹은 휴대 기기의 바깥쪽으로부터 접촉하였을 때에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커버 글래스에 조사(입사)되는 광량이 적은 환경에서도 이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되는 축광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축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에 따르면, 이용자에게 문자 또는 도형을 인식시키는 오목부가 상기 축광부를 구비함으로써, 야간의 옥외 등 커버 글래스에 조사(입사)되는 광량이 적은 어두운 환경에서도 이용자가 커버 글래스의 오목부를 인식할 수 있어, 휴대 기기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글래스를 홈을 파서 형성한 오목부에 상기 축광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고휘도와 장시간 발광이 가능한 두께를 갖고 상기 축광부를 형성해도, 커버 글래스의 박막화를 충분히 실현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에 따르면, 고휘도로 장시간 발광 가능한 축광부를 구비하고, 야간의 옥외 등 어두운 환경에서도 이용자가 휴대 기기를 인식할 수 있어 양호한 조작을 할 수 있고, 또한 커버 글래스의 박막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는, 대향하는 주 표면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커버 글래스에 조사(입사)되는 광량이 적은 환경에서도 이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되는 축광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축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경우의 오목부는, 이용자에게 문자 또는 도형을 인식시키는 것을 특별히 목적으로 하지 않는, 예를 들면 이용자가 휴대 기기의 외주를 인식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커버 글래스의 외주 영역에 형성되는 오목부이다. 이와 같은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에 있어서도, 고휘도로 장시간 발광 가능한 축광부를 구비하고, 이용자가 야간의 옥외 등 어두운 환경에서도 휴대 기기의 외주 등을 인식할 수 있어 양호한 조작을 할 수 있고, 또한 커버 글래스의 박막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오목부는, 전술한 에칭법 혹은 기계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에칭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를 에칭법에 의해 형성하고, 형성된 오목부의 표면이 에칭에 의해 처리된 에칭면인 것에 의해, 예를 들면 기계 가공과 비교하면, 미소한 손상이나 크랙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이들 손상이나 크랙 등에 기인하는 커버 글래스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축광 안료(축광 가능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황화 아연계 축광성 재료(ZnS:Cu, 녹색 발광) 등이 일반적이지만, 이 밖에도, CaAl2O4, SrAl2O4, 또는 BaAl2O4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모결정으로 하고, 이것에 부활제(activating agent)로서 유로퓸(europum) 등, 또한 공부활제(co-activating agent)로서 세륨,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사마륨, 테르븀, 디스프로슘, 홀뮴, 에르븀, 툴륨, 이테르븀, 루테튬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를 첨가한 축광성 재료 등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축광부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도료(잉크)는, 상기 축광 안료와 클리어 수지 성분의 혼합물에 적절히 필요한 첨가제를 첨가하고, 용제로 점도를 조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축광부의 인쇄 후, 상기 도료의 수지 성분을 고려한 건조 조건에서 열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광부에 의한 휘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 예를 들면 백색의 기초 인쇄를 하고 나서 상기 축광부를 형성해도 된다.
상기 축광부의 도포막 두께(건조 후의 막 두께)는, 고휘도가 얻어지도록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휘도를 높여, 장시간(예를 들면 1시간 이상) 발광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용자에게 문자 또는 도형을 인식시키는 오목부의 깊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의 깊이를 뺀 남은 판 두께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지만, 이 오목부에 상기 축광부를 형성하는 경우, 커버 글래스의 박막화의 관점에서, 축광부의 도포막 두께도 고려하여 오목부의 깊이를 결정해도 된다. 또한, 특히 이용자에게 문자 또는 도형을 인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예를 들면 이용자가 휴대 기기의 외주를 인식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커버 글래스의 외주 영역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상기 축광부를 형성하는 경우에서도, 오목부의 깊이는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축광부는, 커버 글래스에 형성한 예를 들면 복수의 오목부 전체에 형성해도, 혹은 복수의 오목부 중의 일부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축광부는, 개개의 오목부의 표면의 전체면을 거의 덮도록 형성해도, 혹은 개개의 오목부의 표면의 일부분에 형성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의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에 따르면, 야간의 옥외 등 어두운 환경에서도 이용자가 커버 글래스의 오목부 등을 인식할 수 있어, 휴대 기기를 양호하게 조작할 수 있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문자 또는 도형에 상당하는 오목부가 어두운 곳에서 발광하기 때문에,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구체적 실시예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하의 (1) 판 글래스 절단 가공 공정, (2) 오목부 형성 공정, (3) 화학 강화 공정을 거쳐서 본 실시예의 커버 글래스를 제조하였다.
(1) 판 글래스 절단 가공 공정
우선, 다운 드로우법이나 플로트법으로 제조된 알루미노 실리게이트 글래스로 이루어지는 두께 0.5㎜의 판 글래스를 절단하여 소정의 크기(10㎝×5㎝)의 커버 글래스를 제작하였다. 이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글래스로서는, SiO2:58 내지 75 중량%, Al2O3:5 내지 23 중량%, Li2O:3 내지 10 중량%, Na2O:4 내지 13 중량%를 함유하는 화학 강화용 글래스를 사용하였다.
이 판 글래스의 절단은 에칭에 의해 행하였다. 즉, 상기 판 글래스의 양면에 각각 에칭 내성을 갖는 레지스트(감광성 유기 재료)를 도포하고, 소정의 노광, 현상을 행하여, 커팅 라인의 패턴을 갖는 레지스트 패턴(커팅 라인 상에는 레지스트가 존재하지 않는 패턴)이며, 판 글래스의 표리면에 대칭의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서, 글래스 소재를 용해 가능한 에칭액(예를 들면 불산을 함유하는 산성 용액 등)을 이용하여 웨트 에칭함으로써, 커팅 라인 상에서 판 글래스의 표리로부터 관통시켜, 소정의 크기의 소편으로 절단하였다. 남은 레지스트 패턴을 박리하고, 세정하였다.
(2) 오목부 형성 공정
다음으로, 상기에서 얻어진 커버 글래스의 양면에 각각 상기와 같은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소정의 노광, 현상을 행하여, 대향하는 표리 주 표면의 양쪽의 표면에 각각 오목부의 패턴을 갖는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서, 글래스 소재를 용해 가능한 에칭액(예를 들면 불산을 함유하는 산성 용액 등)을 이용하여 웨트 에칭함으로써, 단면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에(평면에서 보아),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십자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를 커버 글래스의 표리 양쪽 주 표면의 각각에 형성하였다. 그리고, 남은 레지스트 패턴을 박리하고, 세정하였다.
또한, 상기 표리의 오목부의 깊이(깊이 방향의 두께)의 합계가, 250㎛가 되도록 에칭 시간을 조절하였다. 따라서, 커버 글래스의 표리 양쪽 주 표면의 오목부의 깊이 방향의 두께를 뺀 남은 판 두께는, 250㎛이다.
(3) 화학 강화 공정
다음으로, 상기의 오목부 형성을 끝낸 커버 글래스에 화학 강화를 실시하였다. 화학 강화는 질산 칼륨과 질산 나트륨이 혼합된 화학 강화액을 준비하고, 이 화학 강화 용액을 380℃로 가열하고, 상기 커버 글래스를 약 4시간 침지하여 화학 강화 처리를 행하였다. 화학 강화를 끝낸 커버 글래스를 황산, 중성 세제, 순수, 순수, IPA, IPA(증기 건조)의 각 세정조에 순차적으로 침지하여, 초음파 세정하고, 건조시켰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의 커버 글래스를 완성하였다.
이 완성된 커버 글래스의 압축 응력값, 내부 인장 응력값, 영률, 및 비커스 경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따랐다. 오목부의 깊이 측정은, 닛소 정밀 광학(주)「마이크론 깊이 높이 측정기:KY-90-HL-TV」를 사용하였다. 또한, 주 표면 평탄부의 압축 응력값, 압축 응력층의 깊이(두께) 및 주 표면 평탄부의 내부 인장 응력값의 측정은, (유)오리하라(Orihara) 제작소제의 정밀 왜계「BSP-3」을 사용하였다. 또한, 영률의 측정은 초음파 공업(주)제의 음속 측정 장치「UVM-2」를 사용하였다. 또한 비커스 경도의 측정은 (주)아카시(Akashi) 제작소제의 미소 경도계「MVK-E」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 커버 글래스의 정압 강도에 대해서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 8a에 도시하는 외경 40㎜, 내경 30㎜의 링 형상의 스테인레스제 수용 지그(21) 상에, 커버 글래스의 오목부가 형성된 영역을 링 형상의 수용 지그(21)가 아래로부터 둘러싸도록 하여 측정 대상의 커버 글래스(1)를 재치하고, 그 상방으로부터, 커버 글래스(1)의 오목부 형성 개소를 10㎜ø의 강철제 플랫 헤드(22)에 의해 200N의 하중으로 2초간 압압한다(도 8b 참조). 또한, 상기 플랫 헤드(22)의 선단에는 1㎜ 두께의 실리콘 고무(23)(고무의 경도는(50)(JIS K6253 또는 ISO 18517))가 접착되어 있다.
그 결과, 커버 글래스의(30) 샘플 중 파손이 제로인 경우를「○」, 30 샘플 중 파손이 1 내지 2 샘플인 경우를「△」, 30 샘플 중 파손이 3 샘플 이상인 경우를「×」로 하였다.
이상의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여 이하의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2 내지 12)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판 두께, 오목부의 깊이(합계), 남은 판 두께가 각각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값이 되도록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각각의 커버 글래스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실시예 2 내지 12의 커버 글래스에 대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인 방법으로 압축 응력값, 내부 인장 응력값, 영률, 비커스 경도, 강도를 각각 측정하고,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여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13)
실시예 13은, 오목부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레지스트 패턴 형성 조건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커버 글래스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3은 커버 글래스(1)의 주 표면에, 이 주 표면측이 가장 중합도가 작아지도록 두께 방향으로 중합도 구배를 갖는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이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서 웨트 에칭을 행하였다. 그 결과, 오목부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의 엣지부가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었다. 레지스트 패턴 형성 시에 글래스(주 표면)와 레지스트 사이의 밀착력이 약해져 엣지부가 둥글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오목부의 형상은, 오목부 형성 개소를 절단하고, 오목부의 단면 형상을 현미경 관찰에 의해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13과 상기 실시예 1의 커버 글래스에 대한 볼을 낙하시킴으로써 평가하는 강도 시험을 행하였다. 이 경우의 강도 시험 방법은, 도 10a,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30)에 설치한 샘플 1(커버 글래스)의 상방으로부터 볼(31)을 낙하시키는 낙하 시험이다(도 10a 참조). 또한, 샘플의 커버 글래스는 홀더(30)의 관통부에 설치되어 있고, 커버 글래스 가장자리부의 폭 2㎜를 홀더로 유지하고 있다(도 10b 참조). 볼의 낙하 위치는 커버 글래스의 오목부 형성 개소이다. 여기서 볼은 중량 32g, 직경 20㎜의 볼이고, 재질은 SUS304이다. 또한 홀더의 재질은 SUS304이다.
강도는 볼의 낙하 개시 부분과 커버 글래스의 거리(이하 높이)를 바꿔서(도 10a 참조), 파괴 발생 유무로 평가하였다. 각 높이로 커버 글래스 10매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실시예 13의 커버 글래스는 높이 800㎜에서는 파괴가 없고, 높이 900㎜에서 1매 파괴되었다. 한편, 실시예 1의 커버 글래스는 높이 700㎜에서는 파괴가 없고, 높이 800㎜에서 2매 파괴되었다. 이 점으로부터, 실시예 13의 커버 글래스는 실시예 1의 커버 글래스에 비해 강도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의 커버 글래스는 도 5와 같이 오목부의 엣지부는 둥글지 않지만, 실시예 13의 커버 글래스는 도 9와 같이 오목부의 엣지부가 둥글기 때문에, 볼 낙하 시에 발생하는 응력 집중이 완화되므로 강도가 양호하다고 생각된다.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의 (2) 오목부 형성 공정에 있어서, 커버 글래스의 표리 양쪽 주 표면의 오목부를 샌드 블러스트로 기계 가공하여 형성하였다. 커버 글래스의 판 두께, 오목부의 깊이(합계), 커버 글래스의 표리 양쪽 주 표면의 오목부의 깊이 방향의 두께를 뺀 남은 판 두께는, 실시예 1과 동일해지도록 가공하였다.
이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커버 글래스(비교예 1)를 제작하였다.
또한, 비교예 1에 있어서의 판 두께, 오목부의 깊이(합계), 남은 판 두께가 각각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값이 되도록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2, 3의 커버 글래스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비교예 1 내지 3의 커버 글래스에 대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인 방법으로 압축 응력값, 내부 인장 응력값, 영률, 비커스 경도, 강도를 각각 측정하고,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상기 표 1 중,「판 두께비」는, 남은 판 두께/압축 응력층 깊이의 비이다. 또한, 주 표면 평탄부의 압축 응력값 및 압축 응력층의 깊이는 전술한 바비네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오목부는 주 표면 평탄부의 압축 응력값(측정값) 및 압축 응력층 깊이(측정값)를 주 표면 평탄부와 오목부에서 동일하게 추정하였다. 또한, 주 표면 평탄부의 내부 인장 응력은, 압축 응력값×압축 응력층 깊이/(판 두께―압축 응력층 깊이)의 식에 의해 구한 계산값이다. 또한, 오목부는 압축 응력값×압축 응력층 깊이/(남은 판 두께―압축 응력층 깊이)의 값이다. 여기서, 압축 응력값×압축 응력층 깊이/(남은 판 두께―압축 응력층 깊이)는, 커버 글래스의 주 표면 중 오목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부 인장 응력에 상당하다고 생각된다.
즉,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오목부를 에칭법에 의해 형성한 본 실시예의 커버 글래스는, 박형, 경량, 대면적이고, 또한 문자 또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충분한 강도를 갖고, 특히 표시 화면의 강도 향상이 요구되고 있는 터치 패널식의 휴대 기기의 커버 글래스에 적절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4, 6과 그 밖의 실시예의 비교로부터, 압축 응력값×압축 응력층 깊이/(남은 판 두께―압축 응력층 깊이)의 값이 150㎫ 이하인 것이 강도의 관점에서는 보다 바람직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3의 커버 글래스는, 실시예 1의 커버 글래스와 비교해 볼 낙하 시험법에 의한 강도의 평가 결과는 양호하였다. 즉, 강도의 관점에서는, 오목부의 엣지부는 둥근 형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전체의 판 두께에 대한 남은 판 두께의 비율(남은 판 두께÷전체 판 두께)을 45% 이하로 하는 경우에는, 주 표면 평탄부의 내부 인장 응력은, 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7㎫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한층 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 표면 평탄부의 내부 인장 응력은,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압축 응력값은, 550㎫ 이상, 6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한층 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축 응력값을 550㎫ 이상으로 하고, 주 표면 평탄부의 내부 인장 응력을 100㎫ 이하로 함으로써 특히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A) 판 두께가 1500㎛ 이하인 커버 글래스의 경우, (B) 전체의 판 두께에 대한 남은 판 두께의 비율(남은 판 두께÷전체 판 두께)을 80% 이하로 하는 경우, (C) 커버 글래스의 주 표면의 면적을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0㎠로 하는 경우 중 어느 것에서도, 특히 유효하다.
한편, 박형, 경량, 대면적이고, 또한 문자 또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를 기계 가공에 의해 형성한 비교예의 커버 글래스에서는, 화학 강화해도 강도가 불충분하고, 특히 표시 화면의 강도 향상이 요구되고 있는 터치 패널식의 휴대 기기의 커버 글래스에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실시예 14)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커버 글래스의 오목부에 상기 축광부를 형성하였다. 이 축광부의 형성은,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축광 안료인 인광성 황화 아연(ZnS:Cu)과 폴리우레탄계 또는 아크릴계의 클리어 수지를 중량비로 1:1로 혼합하고, 용매로 점도를 적당하게 조정한 도료를 사용하고, 또한 메쉬가 #150의 스크린판을 이용하였다. 인쇄 후, 100℃에서 가열 건조를 행하였다. 건조 후의 축광부의 두께는 100㎛이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축광부를 형성한 본 실시예의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를 삽입한 휴대 전화기를 야간의 옥외에서 사용한 바, 커버 글래스에 형성한 오목부를 충분히 시인할 수 있는 높은 휘도가 얻어지고, 게다가 연속해서 1시간 이상 발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 형태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범위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추가 가능한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추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로부터 명백하다.
Claims (19)
- 휴대 기기에 이용되는 커버 글래스로서,
휴대 기기의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에 문자 또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 혹은 휴대 기기의 바깥쪽으로부터 접촉하였을 때에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가, 대향하는 주 표면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표면은 에칭에 의해 처리된 에칭면이며,
상기 오목부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주 표면 평탄부와 오목부의 내표면과의 경계의 엣지부가 둥근 형상이며,
커버 글래스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깊이를 뺀 남은 판 두께와, 주 표면 평탄부의 압축 응력값 및 압축 응력층 깊이로부터 산출되는, 압축 응력값×압축 응력층 깊이/(남은 판 두께-압축 응력층 깊이)의 값이,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래스의 오목부가 형성된 영역을 둘러싸도록 하여 배치한 외경 40㎜, 내경 30㎜의 링 형상의 스테인리스제 수용 지그(receiving jig) 상에 상기 커버 글래스를 재치하고, 상방으로부터 오목부 형성 개소를, 1㎜ 두께의 고무 경도 50(JIS K6253 또는 ISO 18517)의 탄성 재료를 선단에 접착한 10㎜ø의 원주 형상의 강철제 플랫 헤드에 의해 200N의 하중으로 2초간 압압(押壓)하였을 때에 커버 글래스의 30 샘플 중 파손이 2개 이내에 있도록 화학 강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래스는, 화학 강화된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글래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의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에 문자 또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가, 대향하는 주 표면의 양쪽의 표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래스의 끝면은, 에칭에 의해 처리된 에칭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커버 글래스에 조사되는 광량이 적은 환경에서도 이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되는 축광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축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 - 휴대 기기에 이용되는 커버 글래스로서,
상기 커버 글래스의 주 표면은, 소정 부위를 압압함으로써 휴대 기기의 조작을 행하는 터치 패널에 상당하는 영역을 갖고,
휴대 기기의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에 문자 또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 혹은 휴대 기기의 바깥쪽으로부터 접촉하였을 때에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가, 대향하는 주 표면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표면은 에칭에 의해 처리된 에칭면이며,
상기 오목부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주 표면 평탄부와 오목부의 내표면과의 경계의 엣지부가 둥근 형상이며,
커버 글래스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깊이를 뺀 남은 판 두께와, 주 표면 평탄부의 압축 응력값 및 압축 응력층 깊이로부터 산출되는, 압축 응력값×압축 응력층 깊이/(남은 판 두께-압축 응력층 깊이)의 값이,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래스의 오목부가 형성된 영역을 둘러싸도록 하여 배치한 외경 40㎜, 내경 30㎜의 링 형상의 스테인리스제 수용 지그 상에 상기 커버 글래스를 재치하고, 상방으로부터 오목부 형성 개소를, 1㎜ 두께의 고무 경도 50(JIS K6253 또는 ISO 18517)의 탄성 재료를 선단에 접착한 10㎜ø의 원주 형상의 강철제 플랫 헤드에 의해 200N의 하중으로 2초간 압압하였을 때에 커버 글래스의 30 샘플 중 파손이 2개 이내에 있도록 화학 강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래스는, 화학 강화된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글래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터치 패널에 상당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의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에 문자 또는 도형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오목부가, 대향하는 주 표면의 양쪽의 표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 - 삭제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래스의 끝면은, 에칭에 의해 처리된 에칭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커버 글래스에 조사되는 광량이 적은 환경에서도 이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되는 축광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축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 - 휴대 기기에 이용되는 커버 글래스로서,
대향하는 주 표면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커버 글래스에 조사되는 광량이 적은 환경에서도 이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되는 축광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축광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의 표면은 에칭에 의해 처리된 에칭면이며,
상기 오목부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주 표면 평탄부와 오목부의 내표면과의 경계의 엣지부가 둥근 형상이며,
커버 글래스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깊이를 뺀 남은 판 두께와, 주 표면 평탄부의 압축 응력값 및 압축 응력층 깊이로부터 산출되는, 압축 응력값×압축 응력층 깊이/(남은 판 두께-압축 응력층 깊이)의 값이,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094522 | 2011-04-20 | ||
JP2011094522 | 2011-04-20 | ||
JP2011191281 | 2011-09-02 | ||
JPJP-P-2011-191281 | 2011-09-02 | ||
JP2011287763A JP5881414B2 (ja) | 2011-04-20 | 2011-12-28 | 携帯機器用カバーガラス |
JPJP-P-2011-287763 | 2011-12-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0049A KR20120120049A (ko) | 2012-11-01 |
KR101923227B1 true KR101923227B1 (ko) | 2018-11-28 |
Family
ID=46025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0976A KR101923227B1 (ko) | 2011-04-20 | 2012-04-19 |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040147B2 (ko) |
EP (1) | EP2522640B1 (ko) |
JP (1) | JP5881414B2 (ko) |
KR (1) | KR101923227B1 (ko) |
CN (1) | CN102745904B (ko) |
TW (1) | TWI54745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51514A1 (ja) * | 2011-10-04 | 2013-04-11 | 旭硝子株式会社 | カバーガラス |
US20130136909A1 (en) | 2011-11-30 | 2013-05-30 | John Christopher Mauro | Colored alkali aluminosilicate glass articles |
US9512029B2 (en) | 2012-05-31 | 2016-12-06 | Corning Incorporated | Cover glass article |
TWI461379B (zh) * | 2012-12-20 | 2014-11-21 | Omi Optronics Corp Ltd | 玻璃加工方法 |
CN103037048A (zh) * | 2012-12-29 | 2013-04-10 | 苏州市智诚光学科技有限公司 | 一种触感式手机盖板玻璃 |
US9890074B2 (en) | 2013-02-21 | 2018-02-13 | Htc Corporation | Electronic device, glass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cover |
KR101336936B1 (ko) * | 2013-03-05 | 2013-12-03 | 크루셜텍 (주) | 커버글라스의 제조 방법 |
US20140272217A1 (en) * | 2013-03-18 | 2014-09-18 | Apple Inc. | Methods and structures for thermal management in an electronic device |
CN103123564B (zh) * | 2013-03-22 | 2015-12-09 | 汕头超声显示器技术有限公司 | 一种电容触摸屏及其制造方法 |
WO2014197244A1 (en) * | 2013-06-07 | 2014-12-11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Techniques for forming recess in substrate and articles including recesses |
SG11201510027RA (en) | 2013-06-07 | 2016-01-28 | 3M Innovative Properties Co | Method of forming a recess in a substrate, abrasive wheel, and cover |
JP6153620B2 (ja) * | 2013-09-24 | 2017-06-28 | Hoya株式会社 | 電子機器用カバー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5674895B1 (ja) | 2013-10-29 | 2015-02-25 | 京セラ株式会社 | 電子機器 |
KR20150112093A (ko) * | 2014-03-26 | 2015-10-0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CN107074639A (zh) * | 2014-10-17 | 2017-08-18 | 旭硝子株式会社 | 盖构件 |
US10043903B2 (en) | 2015-12-21 | 2018-08-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miconductor devices with source/drain stress liner |
KR101749598B1 (ko) | 2016-04-19 | 2017-06-22 | (주)유티아이 | 노출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노출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 |
KR102403009B1 (ko) | 2017-04-28 | 2022-05-3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를 이용한 지문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
CN111065612A (zh) * | 2017-09-11 | 2020-04-24 | Agc株式会社 | 罩部件以及便携信息终端 |
KR102454963B1 (ko) * | 2018-01-22 | 2022-10-1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190108311A (ko) * | 2018-03-14 | 2019-09-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곡면 글래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20220115676A (ko) * | 2021-02-09 | 2022-08-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윈도우 제조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의 제조방법 |
CN114791327B (zh) * | 2022-04-08 | 2024-09-03 | 彩虹集团(邵阳)特种玻璃有限公司 | 一种微晶玻璃应力测试工艺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66864A (ja) * | 2001-08-24 | 2003-03-05 | Sharp Corp | 埋め込み構造を有する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
JP2004091291A (ja) * | 2002-09-03 | 2004-03-25 | Seiko Epson Corp | ガラス板、電気光学パネル用のガラス基板、電気光学パネル、ガラス板の製造方法、電気光学パネル用の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電気光学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
JP2006027023A (ja) * | 2004-07-14 | 2006-02-02 | Seiko Epson Corp | 装飾品、時計、電子機器および装飾品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543031A (en) * | 1940-08-05 | 1942-02-06 | Grahame George Dawson | Improvements in and connected with illuminated gun sights and like sighting devices |
JPS5833174B2 (ja) * | 1972-12-29 | 1983-07-1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トケイヨウカバ−ガラス |
JPS6025137A (ja) * | 1983-07-21 | 1985-02-07 | Tadashi Sekiguchi | 表示装置 |
US4622272A (en) * | 1984-07-31 | 1986-11-11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Luminescent screen for pictur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device |
FR2593804A1 (fr) * | 1986-02-02 | 1987-08-07 | Fanni Jacques | Procede de gravure sur verre utilisant des pochoirs predecoupes autocollants. application a la gravure des numeros d'immatriculation des vehicules |
JPH08246719A (ja) * | 1995-03-13 | 1996-09-24 | Kuriki Seisakusho:Kk | 扉の取手 |
JPH1039050A (ja) * | 1996-07-25 | 1998-02-13 | Seiko Epson Corp | 時計用外装部品 |
JP2002167943A (ja) * | 2000-12-01 | 2002-06-11 | Kazuo Saito | 災害対策用蓄光壁床材 |
TW544701B (en) * | 2001-01-29 | 2003-08-01 | Technology Trade & Transfer | Flat discharge display device |
JP2004133035A (ja) * | 2002-10-08 | 2004-04-30 | Nippon Sheet Glass Co Ltd | ガラス板のアライメントマーク形成法、及び該形成法により形成されたアライメントマーク |
CN1181985C (zh) * | 2003-03-10 | 2004-12-29 | 上海恒昊玻璃技术有限公司 | 用透光立体图案玻璃镀镜的生产方法 |
TW200510259A (en) * | 2003-08-04 | 2005-03-16 | Nippon Electric Glass Co | Cover glass for solid imaging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JP2005119940A (ja) * | 2003-09-26 | 2005-05-12 | Nippon Sheet Glass Co Ltd | エッチング加工物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形構造体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
JP2005123735A (ja) | 2003-10-14 | 2005-05-12 | Mitsubishi Electric Corp | 携帯用機器 |
CN1280221C (zh) * | 2004-04-09 | 2006-10-18 | 信利半导体有限公司 | 有机电致发光显示器及其玻璃后盖的制作方法 |
CN2780509Y (zh) * | 2004-12-09 | 2006-05-17 | 杨毅男 | 环保蓄能自发光的艺术玻璃 |
JP4924393B2 (ja) | 2007-12-05 | 2012-04-25 | ソニー株式会社 | ディスプレイ装置 |
JP2009167086A (ja) * | 2007-12-18 | 2009-07-30 | Hoya Corp | 携帯端末用カバー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携帯端末装置 |
WO2009099614A1 (en) * | 2008-02-08 | 2009-08-13 | Corning Incorporated | Damage resistant, chemically-toughened protective cover glass |
JP5489051B2 (ja) * | 2008-08-18 | 2014-05-14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タッチパネル用ガラスの製造方法 |
JP2010195600A (ja) * | 2009-02-23 | 2010-09-09 | Nishiyama Stainless Chemical Kk | 電子装置用ガラス基板及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
KR100937262B1 (ko) * | 2009-08-31 | 2010-01-18 | 이기송 | 터치패널용 강화유리 제조방법 |
-
2011
- 2011-12-28 JP JP2011287763A patent/JP588141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04-16 EP EP12164221.9A patent/EP2522640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2-04-19 KR KR1020120040976A patent/KR10192322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4-19 US US13/451,017 patent/US904014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4-19 TW TW101114011A patent/TWI54745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04-20 CN CN201210118917.2A patent/CN10274590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66864A (ja) * | 2001-08-24 | 2003-03-05 | Sharp Corp | 埋め込み構造を有する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
JP2004091291A (ja) * | 2002-09-03 | 2004-03-25 | Seiko Epson Corp | ガラス板、電気光学パネル用のガラス基板、電気光学パネル、ガラス板の製造方法、電気光学パネル用の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電気光学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
JP2006027023A (ja) * | 2004-07-14 | 2006-02-02 | Seiko Epson Corp | 装飾品、時計、電子機器および装飾品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881414B2 (ja) | 2016-03-09 |
KR20120120049A (ko) | 2012-11-01 |
CN102745904B (zh) | 2016-04-20 |
US20120270016A1 (en) | 2012-10-25 |
EP2522640A2 (en) | 2012-11-14 |
EP2522640A3 (en) | 2013-11-20 |
TWI547456B (zh) | 2016-09-01 |
CN102745904A (zh) | 2012-10-24 |
JP2013063889A (ja) | 2013-04-11 |
TW201247582A (en) | 2012-12-01 |
EP2522640B1 (en) | 2018-08-15 |
US9040147B2 (en) | 2015-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3227B1 (ko) | 휴대 기기용 커버 글래스 | |
US20200199020A1 (en) | Cover member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 |
JP6583007B2 (ja) | カバー部材、これを有する携帯情報端末及び表示装置、並びに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 | |
WO2013027651A1 (ja) | 強化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強化ガラス基板 | |
TWI795350B (zh) | 可折疊電子裝置組件及用於其之蓋板元件 | |
US20200262746A1 (en) | Protective cover, its use and method of making a protective cover | |
CN208962599U (zh) | 附带印刷层的板及使用了该板的显示装置、以及附带功能层的车载显示装置用玻璃 | |
TWI806336B (zh) | 具有超深壓縮深度之強化玻璃 | |
US20140370244A1 (en) | Cover glas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 |
JP6197317B2 (ja) | 表示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 |
JP2017001940A (ja) | ガラ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カバー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携帯情報端末、並びに表示装置 | |
JP6610321B2 (ja) | 表示装置 | |
KR20160042141A (ko) |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패브릭 운반 케이스의 마킹 | |
CN104098269A (zh) | 化学性预加应力的高刮划容忍度玻璃元件及其制造方法 | |
CN104854054A (zh) | 化学强化玻璃板 | |
JP2013137383A (ja) | 携帯機器用カバー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 |
EP3838860B1 (en) | Glass artic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JP2014084234A (ja) | 電子機器用カバーガラスのガラ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 |
JP6801762B2 (ja) | 表示装置 | |
JP5926736B2 (ja) | 携帯機器用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 | |
JP2020028973A (ja) | 印刷層付き板、カバー部材および表示装置 | |
CN105492221B (zh) | 电子设备用罩玻璃及其制造方法 | |
KR20120134635A (ko) | 액정 표시창 보호필름 어셈블리 | |
JP2018016513A (ja) | ガラス部材およびガラス部材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