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981B1 -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 - Google Patents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981B1
KR101921981B1 KR1020160176783A KR20160176783A KR101921981B1 KR 101921981 B1 KR101921981 B1 KR 101921981B1 KR 1020160176783 A KR1020160176783 A KR 1020160176783A KR 20160176783 A KR20160176783 A KR 20160176783A KR 101921981 B1 KR101921981 B1 KR 101921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cathode active
functional group
positive electrode
thiol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483A (ko
Inventor
노형주
전석용
최문호
윤진경
김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프로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US15/513,795 priority Critical patent/US10230107B2/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프로비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프로비엠
Priority to HUE16882033A priority patent/HUE054655T2/hu
Priority to PCT/KR2016/015193 priority patent/WO2017116081A1/ko
Priority to JP2017511952A priority patent/JP6951028B2/ja
Priority to PL16882033T priority patent/PL3399579T3/pl
Priority to CN201680003104.5A priority patent/CN107148690B/zh
Priority to EP16882033.0A priority patent/EP3399579B1/en
Publication of KR20170080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40Nickelates
    • C01G53/42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 C01G53/44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 C01G53/50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of the type [MnO2]n-, e.g. Li(NixMn1-x)O2, Li(MyNixMn1-x-y)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33Polyamines derived from (poly)oxazolines, (poly)oxazines or having pendant acyl grou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수세되고, 표면에 잔류 황을 포함하며, 잔류 리튬이 감소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 {PREPARATION METHOD OF CATHODE ACTIVE MATERIAL, AND CATHODE ACTIVE MATERIAL MADE BY THE SAME}
본 발명은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수세되고, 표면에 잔류 황을 포함하며, 잔류 리튬이 감소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에 관한 것이다.
전지는 양극과 음극에 전기 화학 반응이 가능한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전지 중 대표적인 예로는 양극 및 음극에서 리튬 이온이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될 때의 화학전위(chemical potential)의 변화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리튬 이차 전지가 있다.
상기 리튬 이차 전지는 리튬 이온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물질을 양극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하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유기 전해액 또는 폴리머 전해액을 충전시켜 제조한다.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 복합금속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리튬 복합 산화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전이 금속 전구체를 제조하고, 상기 전이 금속 전구체와 리튬 화합물을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리튬 복합 산화물의 예로 LiCoO2, LiMn2O4, LiNiO2, LiMnO2 등의 복합금속 산화물들이 연구되고 있다.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 중에 LiCoO2은 수명 특성 및 충방전 효율이 우수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고, 원료로서 사용되는 코발트의 자원적 한계로 인해 고가이므로 가격 경쟁력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LiMnO2, LiMn2O4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은 열적 안전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용량이 작고, 고온 특성이 열악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LiNiO2계 양극 활물질은 높은 방전용량의 전지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Li과 전이금속 간의 양이온 혼합(cation mixing) 문제로 인해 합성이 매우 어려우며, 그에 따라 출력(rate) 특성에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Ni 함량이 65% 이상인 니켈 리치 시스템(Ni rich system)은 저온 반응이기에 오히려 양극활물질 표면에 LiOH, Li2CO3형태로 존재하는 잔류 리튬량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잔류 리튬 즉, 미반응 LiOH 및 Li2CO3는 전지 내에서 전해액 등과 반응하여 가스 발생 및 스웰링(swelling) 현상을 유발함으로써, 고온 안전성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또한, 미반응 LiOH는 극판 제조 전 슬러리 믹싱시 점도가 높아 겔화를 야기시키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잔류 리튬이 감소된 새로운 구조의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 화학식 1 내지 2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양극활물질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화학식 1> Lix1Ni1-y1M1y1O2-αXα
<화학식 2> Lix1Ni1-y2-z2Coy2M2z2O2-αXα
(상기 화학식 1 및 2 에서, 0.9≤x1≤1.3, 0≤y1≤0.4, 0≤y2≤0.4, 0≤z2≤0.4, 0≤y2+z2≤0.4, 0≤α≤2이고,
M1 및 M2 는 Al, Ni, Mn, Cr, Fe, Mg, Sr, V, Zn, W, Zr, B, Ba, Sc, Cu, Ti, Co 및 희토류 원소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이며,
X 는 O, F, S 및 P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이다.)
상기 양극활물질을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수세하는 제 2 단계; 및
건조시키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을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수세하는 제 2 단계는
반응기 내에 증류수 및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투입하여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제 2-1 단계;
반응기 내부 온도를 5 내지 50 ℃ 온도를 유지하는 제 2-2 단계; 및
반응기에 양극활물질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제 2-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2-Thiazoline-2-Thiol, 5-Amino-1,3,4-Thiadiazole-2-Thiol, 1,3,4-thiadiazole-2,5-Dithiol, 2,5-dimethylfuran-3-Thiol, (1,2,4)Thiadiazole-3,5-Dithiol, 1-Phenyl-1H-Tetrazole-5-Thiol, 4-Methyl-4H-1,2,4-Triazole-3-Thiol, 5-Methyl-1,3,4-Thiadizole-2-Thiol dithioglycol, s-triazine-2,4,6-trithiol, 7-methyl-2,6,8-trimercaptopurine 및 4,5-diamino-2,6-dimercaptopyrimidi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내에 증류수 및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투입하여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제 2-1 단계에서는 증류수 100 중량부당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0.01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을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수세하는 제 2 단계는
상기 양극활물질을 필터 부재에 도포하는 제 2-4 단계; 및
상기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필터 부재에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용액을 투과시켜서 수세하는 제 2-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을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수세하는 제 2 단계는
반응기 내에 증류수 및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투입하여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제 2-1 단계;
반응기 내부 온도를 5 내지 50 ℃ 온도를 유지하는 제 2-2 단계;
반응기에 양극활물질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제 2-3 단계;
상기 2-3 단계에서 제조된 수세된 양극활물질을 필터 부재에 도포하는 제 2-4-1 단계; 및
상기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필터 부재에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용액을 투과시켜서 수세하는 제 2-5-1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을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수세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이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반응기에 넣고 양극활물질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방식 외에 양극활물질을 필터 형식으로 제조후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압력을 가하는 등의 방식으로 투과시키는 필터프레스 방식으로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을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수세하는 제 2 단계는
상기 양극활물질을 필터 부재에 도포하는 제 2-4 단계;
상기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필터 부재에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용액을 투과시켜서 수세하는 제 2-5 단계
반응기 내에 증류수 및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투입하여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제 2-6 단계;
반응기 내부 온도를 5 내지 50 ℃ 온도를 유지하는 제 2-7 단계; 및
상기 2-5 단계에서 수세된 양극활물질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교반하는 제 2-8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을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수세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양극활물질을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에 투입하여 교반하여 1차 수세한 후, 상기 수세된 양극활물질을 필터부재에 도포하여 필터프레스 방식으로 투과시켜 2차 수세하거나, 양극활물질을 필터부재에 도포하여 필터프레스 방식으로 투과시켜 1차 수세 후, 수세된 양극활물질을 반응기 내에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과 동시에 투입후 2차 수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시 수세를 복수회 더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시키는 제 3 단계에서는 상기 양극활물질을 50 내지 400 ℃ 온도에서 1시간 내지 20 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은 양극활물질의 입자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상기 Ni, Co, M1 및 M2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농도가 입자의 중심에서 외곽부 방향으로 농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나타내는 농도구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의 상기 농도구배부의 면적은 입자 전체 면적 대비 80 % 이상의 면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의 농도구배부의 면적은 입자 전체 면적 대비 10 % 이상 50% 이하의 면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은 입자 크기가 균일하거나, 입자 크기가 상이한 입자를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수세된 양극활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의 잔류리튬의 함량이LiOH는 0.3 중량% 이하, Li2CO3는 0.5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은 잔류 황의 함량이 500 내지 5000 pp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은 티올 작용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용액으로 수세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은 잔류 황을 포함하고, 미반응 잔류 리튬이 크게 감소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양극활물질로 제조된 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4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양극활물질로 제조된 전지의 수명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 제조
티올계 물질로 1,3,4-Thiadiazole-2,5-dithiol을 DIW에 용해하여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 제조
티올계 물질로 2-Thiazoline-2-Thiol 을 DIW에 용해하여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 제조
티올계 물질로 2,5-dimethylfuran-3-Thiolg을 DIW에 용해하여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10> 양극활물질 제조
하기의 표 1과 같이 양극활물질을 제조 하였다.
제조예 4 CSG131- 전체 입자의 평균 조성이 Ni:Co:Mn = 8:1:1이며, 입자 내 농도 구배를 가지고, 입자의 평균 크기가 균일한 양극활 물질
제조예 5 CSG131- 전체 입자의 평균 조성이 Ni:Co:Mn = 8:1:1이며, 입자 내 농도 구배를 가지고, 입자의 크기가 불균일한 양극활 물질
제조예 6 CSG131- 전체 입자의 평균 조성이 Ni:Co:Mn = 8:1:1이며, 입자 내 농도 구배를 가지고, 입자의 평균 크기가 균일한 양극활 물질 1몰당 0.25몰의 Ti코팅
제조예 7 CSG131- 전체 입자의 평균 조성이 Ni:Co:Mn = 8:1:1이며, 입자 내 농도 구배를 가지고, 입자의 평균 크기가 균일한 양극활 물질 1몰당 0.05몰의 Zr코팅
제조예 8 NCA
제조예 9 전체 입자의 평균 니켈 함량이 88%이며, 입자 내 농도 구배를 갖는 양극 활물질
제조예 10 니켈 함량이 88%인 NCM
<실시예 1> 활물질 수세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을 반응기에 넣고, 반응기 내부 온도를 5 내지 50 ℃ 로 유지시킨 후, 상기 제조예4에서 제조된 농도 구배가 있으며 전체 입자의 평균 조성이 Ni:Co:Mn = 8:1:1 이고, 입자 크기가 동일한 양극활물질을 넣어 슬러리를 만들고, 혼합 슬러리를 1800 rpm으로 5분간 교반하여 수세하였다.
이와 같이 수세된 양극활물질 슬러리를 필터 프레스로 필터링하고 130℃, 진공에서 12시간 열처리 건조시켜서 실시예 1의 수세된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활물질 수세
제조예 4에서 제조된 농도구배가 있고, 전체 입자의 평균 조성이 Ni:Co:Mn = 8:1:1이고 입자 크기가 동일한 양극활물질을 필터 부재에 도포한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의 온도를 50℃로 유지하면서 상기 양극활물질 100 중량부당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 200 중량부를 필터프레스로 투과시켜서 상기 양극활물질을 수세하였다.
수세된 양극활물질 슬러리를 130℃, 진공에서 12시간 열처리하여 실시예 2의 수세된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활물질 수세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을 반응기에 넣고, 반응기 내부 온도를 5 내지 50 ℃ 로 유지시킨 후,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된 농도구배가 있고, 전체 입자의 평균 조성이 Ni:Co:Mn = 8:1:1 이고 입자 크기가 동일한 양극활물질을 넣어 슬러리를 만들고, 혼합 슬러리를 1800 rpm으로 5분간 교반하여 수세하였다.
이후, 상기 수세된 양극활물질을 필터 부재에 도포한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의 온도를 50℃로 유지하면서 상기 양극활물질 100 중량부당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 200 중량부를 필터프레스로 투과시켜서 상기 양극활물질을 수세하였다.
수세된 양극활물질 슬러리를 130℃, 진공에서 12시간 열처리하여 실시예 3의 수세된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활물질 수세
제조예 5에서 제조된 농도구배가 있고, 전체 입자의 평균 조성이 Ni:Co:Mn = 8:1:1 이고 입자 크기가 불균일한 양극활물질을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수세하여 실시예 4의 양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활물질 수세
제조예 5에서 제조된 농도구배가 있고, 전체 입자의 평균 조성이 Ni:Co:Mn = 8:1:1 이고 입자 크기가 불균일한 양극활물질을 상기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수세하여 실시예 5의 양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활물질 수세
제조예 6에서 제조된 Ti가 코팅된 양극활물질을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세하여 실시예 6의 양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활물질 수세
제조예 7에서 제조된 Zr이 코팅된 양극활물질을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세하여 실시예 7의 양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활물질 수세
티올 함유 화합물 포함 수용액의 티올 함유 화합물의 투입량을 DIW 100 중량부당 0.3 중량부의 비율로 조절하여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된 농도구배가 있고, 전체 입자의 평균 조성이 Ni:Co:Mn = 8:1:1 인 양극활물질을 상기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수세하여 실시예 8의 양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활물질 수세
티올 함유 화합물 포함 수용액의 티올 함유 화합물의 투입량을 실시예 8 대비 1.7 배로 조절하여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된 농도구배가 있고, 전체 입자의 평균 조성이 Ni:Co:Mn = 8:1:1 인 양극활물질을 상기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수세하여 실시예 9의 양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활물질 수세
티올 함유 화합물 포함 수용액의 티올 함유 화합물의 투입량을 실시예 8 대비 1.7 배로 조절하여 상기 제조예 8에서 제조된 양극활물질 NCA를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수세하여 실시예 10의 양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활물질 수세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된 양극활물질을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세하여 실시예 11의 양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활물질 수세
상기 제조예 9에서 제조된 양극활물질을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을 이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하게 수세하여 실시예 12의 양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활물질 수세
상기 제조예 10에서 제조된 양극활물질을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을 이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하게 수세하여 실시예 13의 양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활물질 수세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된 양극활물질을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을 이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하게 수세하여 실시예 14의 양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활물질 수세
삭제
삭제
상기 제조예 10에서 제조된 양극활물질을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을 이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하게 수세하여 실시예 15의 양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조예 4에서 제조된 양극활물질을 수세하지않고 비교예 1의 양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제조예 5에서 제조된 양극활물질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세하되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대신 DIW를 사용하여 비교예 2의 양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티올 함유 화합물 포함 수용액의 티올 함유 화합물의 투입량을 실시예 8 대비 2.3배로 조절하여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된 농도구배가 있고, 전체 입자의 평균 조성이 Ni:Co:Mn = 8:1:1인 양극활물질을 상기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수세하여 비교예 3의 양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제조예 8에서 제조된 양극활물질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세하되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대신 DIW를 사용하여 비교예 4의 양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제조예 9에서 제조된 양극활물질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세하되 티올 작용기 함유 수세 용액대신 DIW를 사용하여 비교예 5의 양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미반응 리튬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양극 활물질 5g을 DIW 100ml에 넣고 15분간 교반 한 뒤 Filtering 하여 용액을 50ml 취한 후 여기에 0.1M HCl을 가하여 pH 변화에 따른 HCl 소모량을 측정하였다.
HCl 소모량에 의하여 Q1, Q2 를 결정하고, 아래 계산식에 따라 잔류 리튬인 미반응 LiOH 및 Li2CO3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M1 = 23.94 (LiOH Molecular weight)
M2 = 73.89 (LiCO Molecular weight)
SPL Size = (Sample weight * Solution Weight) / Water Weight
LiOH(wt%) = [(Q1-Q2)*C*M1*100]/(SPL Size*1000)
LiCO(wt%) = [2*Q2*C*M2/2*100]/(SPL Size*1000)

R. Li (ppm)
LiOH Li2CO3 Total
비교예 1. 4,536 4,531 9,067
비교예 2. 1,180 1,447 2,627
비교예 3. 1,165 1,962 3,126
비교예 4. 781 3,184 3,965
비교예 5. 1,367 1,769 3,136
실시예 1. 1,284 1,714 2,998
실시예 2. 1,342 1,995 3,337
실시예 3. 1,241 1,735 2,976
실시예 4. 1,410 1,499 2,909
실시예 5. 1,912 1,810 3,723
실시예 6. 2,166 1,372 3,538
실시예 7. 1,984 1,628 3,612
실시예 8. 1,750 1,465 3,216
실시예 9. 1,634 1,523 3,156
실시예 10. 196 3,008 3,204
실시예 11. 1,838 1,617 3,455
실시예 12. 1,689 1,598 3,287
실시예 13. 1,538 1,725 3,263
실시예 14. 1,732 1,626 3,358
실시예 15. 1,468 1,518 2,986
상기 표 2 의 결과를 살펴보면 수세하지 않은 비교예 1과 대비하여 티올 작용기 함유 화합물로 수세한 경우 잔류 리튬의 양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실험예 2> 황 잔량 측정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활물질의 황 잔량을 ICP 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3 에 나타내었다.
수세 후 sulfur 잔량 (ppm)
비교예 1. -
비교예 2. 491
비교예 3. 2,218
비교예 4. -
비교예 5. 326
실시예 1. 1,841
실시예 2. 1,561
실시예 3. 1,607
실시예 4. 827
실시예 5. 1,832
실시예 6. 1,609
실시예 7. 1,605
실시예 8. 1,051
실시예 9. 1,583
실시예 10. -
실시예 11. 1,786
실시예 12. 1,109
실시예 13. 1,325
실시예 14. 1,617
실시예 15. 1,287
상기 표 3의 결과를 살펴보면 수세시 사용되는 티올 함유 화합물 수용액의 티올 함량이 높을수록 잔류 황의 함량이 높게 측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1> 반전지 제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양극 활물질 94 중량%, 도전재(super-P) 3 중량%, Binder(PVDF) 3 중량% 의 비율로 각각 4.7g : 0.15g : 0.15g 을 혼합하고, 교반기로 1900rpm/10min 혼합 후 Al 포일에 Micro film-applicator로 도포하고, 135 ℃ Dry-oven 에서 4시간 건조하여 양극판을 제조하고, 음극판으로 리튬 금속 포일을 사용하고, 분리막으로 W-Scope-20um 폴리프로필렌, 전해액으로 1.15M LiPF in EC/EMC/DMC/FB=3/3/3/1 을 사용하여 코인셀(coin cell) 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3> 전지 특성 평가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활물질을 포함하는 반전지에 대해 충방전 특성 및 수명 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4 및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1st Discharge capacity (mAh/g) 1st efficiency
(%)
Cycle life
(%)
비교예 1. 194.5 87.7 -
비교예 2. 201.3 89.4 91.9
비교예 3. 193.8 90.0 98.1
비교예 4. 208.1 90.6 81.3
비교예 5. 207.6 88.9 81.8
실시예 1. 203.7 91.1 97.3
실시예 2. 204.4 91.3 95.3
실시예 3. 206.3 92.3 97.3
실시예 4. 203.5 90.8 93.1
실시예 5. 204 92.4 98.5
실시예 6. 205.2 93.2 97.4
실시예 7. 199.7 92.1 95.3
실시예 8. 199 90.5 94.5
실시예 9. 196.8 90.6 97
실시예 10. 207.8 89.7 94
실시예 11. 205.7 91.9 97.7
실시예 12. 217.6 92.3 95.9
실시예 13. 217.8 91.9 91.5
실시예 14. 206.3 92.0 96.5
실시예 15. 218.2 92.1 90.6
도 1은 제조예 5에서 제조한 CSG131 - 입자의 크기가 불균일한 양극활 물질에 대하여 수세방법에 따라 방전 용량 및 충반전 효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DIW로만 수세를 진행한 비교예 2에 비하여 thiol계 고분자 물질이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을 사용하여 수세한 실시예 4 및 실시예 5의 방전 용량 및 충방전 효율이 더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2는 제조예 4에서 제조한 CSG131- 입자의 평균 크기가 균일한 양극활 물질에 대하여 수세용액의 농도에 따라 방전 용량 및 충방전 효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thiol계 고분자 물질이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을 이용하여 수세를 하면 방전 용량 및 충방전 효율이 우수해지지만 비교예 3과 같이 과량으로 첨가되면 오히려 방전 용량 및 충발전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3은 수세를 진행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thiol계 고분자 물질로 2,5-dimethylfuran-3-Thiol를 사용한 실시예 14의 방전 용량 및 충방전 효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수세하였을 경우 방전 용량 및 충방전 효율이 더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4는 DIW로만 수세를 한 비교예 2의 양극활물질 및 수세를 두 번 진행한 실시예 5의 양극활물질에 대한 수명 성능을 비교한 결과로 실시예 5의 양극활물질의 수명이 더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5는 Ni의 함량이 88%인 CSG131-입자의 크기가 불균일한 양극활 물질을 DIW로만 수세한 비교예 5 및 Ni의 함량이 88%인 NCM 양극활물질을 2-Thiazoline-2-Thiol로 수세한 실시예 13, Ni의 함량이 88%인 NCM 양극활물질을 2,5-dimethylfuran-3-Thiol를 이용하여 수세한 실시예15의 수명 성능을 비교한 결과로 thiol계 고분자 물질을 용해하여 수세한 실시예 13 및 15가 비교예 5와 대비하여 수명 성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Claims (14)

  1. 아래 화학식 1 내지 2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양극활물질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화학식 1> Lix1Ni1-y1M1y1O2-αXα
    <화학식 2> Lix1Ni1-y2-z2Coy2M2z2O2-αXα
    (상기 화학식 1 및 2 에서, 0.9≤x1≤1.3, 0≤y1≤0.4, 0≤y2≤0.4, 0≤z2≤0.4, 0≤y2+z2≤0.4, 0≤α≤2이고,
    M1 및 M2 는 Al, Ni, Mn, Cr, Fe, Mg, Sr, V, Zn, W, Zr, B, Ba, Sc, Cu, Ti, Co 및 희토류 원소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이며,
    X 는 O, F, S 및 P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이다.)
    상기 양극활물질을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수세하는 제 2 단계; 및
    건조시키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시키는 제 3 단계에서는 상기 양극활물질을 50 내지 400 ℃ 온도에서 1시간 내지 20 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인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을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수세하는 제 2 단계는
    반응기 내에 증류수 및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투입하여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제 2-1 단계;
    반응기 내부 온도를 5 내지 50 ℃ 온도로 유지하는 제 2-2 단계; 및
    반응기에 양극활물질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제 2-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2-Thiazoline-2-Thiol, 5-Amino-1,3,4-Thiadiazole-2-Thiol, 1,3,4-thiadiazole-2,5-Dithiol, 2,5-dimethylfuran-3-Thiol, (1,2,4)Thiadiazole-3,5-Dithiol, 1-Phenyl-1H-Tetrazole-5-Thiol, 4-Methyl-4H-1,2,4-Triazole-3-Thiol, 5-Methyl-1,3,4-Thiadizole-2-Thiol dithioglycol, s-triazine-2,4,6-trithiol, 7-methyl-2,6,8-trimercaptopurine 및 4,5-diamino-2,6-dimercaptopyrimidi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인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내에 증류수 및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투입하여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제 2-1 단계에서는
    증류수 100 중량부당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0.01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인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을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수세하는 제 2 단계는
    상기 양극활물질을 필터 부재에 도포하는 제 2-4 단계; 및
    상기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필터 부재에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용액을 투과시켜서 수세하는 제 2-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을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수세하는 제 2 단계는
    반응기 내에 증류수 및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투입하여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제 2-1 단계;
    반응기 내부 온도를 5 내지 50 ℃ 온도로 유지하는 제 2-2 단계;
    반응기에 양극활물질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제 2-3 단계;
    상기 2-3 단계에서 제조된 수세된 양극활물질을 필터 부재에 도포하는 제 2-4-1 단계; 및
    상기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필터 부재에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용액을 투과시켜서 수세하는 제 2-5-1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을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수세하는 제 2 단계는
    상기 양극활물질을 필터 부재에 도포하는 제 2-4 단계;
    상기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필터 부재에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용액을 투과시켜서 수세하는 제 2-5 단계
    반응기 내에 증류수 및 상기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투입하여 티올 작용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제 2-6 단계;
    반응기 내부 온도를 5 내지 50 ℃ 온도로 유지하는 제 2-7 단계; 및
    상기 2-5 단계에서 수세된 양극활물질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교반하는 제 2-8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은 양극활물질의 입자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상기 Ni, Co, M1 및 M2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농도가 농도 구배를 나타내는 농도구배부를 포함하는 것인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구배부의 면적은 입자 전체 면적 대비 80 % 이상의 면적을 나타내는 것인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구배부의 면적은 입자 전체 면적 대비 10 % 내지 50% 이하의 면적을 나타내는 것인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7항,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의 잔류리튬의 함량이 LiOH는 0.3 중량% 이하, Li2CO3는 0.5 중량% 이하인 것인 양극활물질.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은 황의 함량이 500 내지 5000 ppm 인 것인 양극활물질.
KR1020160176783A 2015-12-31 2016-12-22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 KR101921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13,795 US10230107B2 (en) 2015-12-31 2016-12-16 Method of manufacturing cathode active material and cathode active material manufactured by the same
HUE16882033A HUE054655T2 (hu) 2015-12-31 2016-12-23 Eljárás pozitív elektród aktív anyag elõállítására
PCT/KR2016/015193 WO2017116081A1 (ko) 2015-12-31 2016-12-23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
JP2017511952A JP6951028B2 (ja) 2015-12-31 2016-12-23 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って製造された正極活物質
PL16882033T PL3399579T3 (pl) 2015-12-31 2016-12-23 Sposób wytwarzania materiału aktywnego elektrody dodatniej
CN201680003104.5A CN107148690B (zh) 2015-12-31 2016-12-23 正极活性物质的制备方法及其根据此方法制备的正极活性物质
EP16882033.0A EP3399579B1 (en) 2015-12-31 2016-12-23 Method for prepar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675 2015-12-31
KR20150190675 2015-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483A KR20170080483A (ko) 2017-07-10
KR101921981B1 true KR101921981B1 (ko) 2019-02-20

Family

ID=5935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783A KR101921981B1 (ko) 2015-12-31 2016-12-22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30107B2 (ko)
EP (1) EP3399579B1 (ko)
JP (1) JP6951028B2 (ko)
KR (1) KR101921981B1 (ko)
CN (1) CN107148690B (ko)
HU (1) HUE054655T2 (ko)
PL (1) PL3399579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954A (ko) 2021-02-16 2022-08-23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700A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에코프로비엠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191806B1 (ko) * 2019-10-10 2020-12-1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909254B (zh) * 2018-11-06 2023-06-30 Sk新能源株式会社 用于锂二次电池的正极活性材料及其制造方法
KR20210030044A (ko) 2019-09-09 2021-03-17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759388B (zh) * 2019-10-10 2022-01-04 江苏理工学院 一种有机分子修饰的富锂材料及其制备方法
CN117043116A (zh) * 2021-03-25 2023-11-10 株式会社Lg化学 制备正极活性材料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0013A (ja) * 2008-02-25 2009-09-03 Furukawa Battery Co Ltd:The リチウム二次電池,その正極活物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2093798A2 (ko) * 2011-01-05 2012-07-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자 전체 농도 구배 리튬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2014049258A (ja) * 2012-08-30 2014-03-17 Denso Corp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746B1 (ko) * 2001-01-23 2005-01-0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양극 활성 물질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
JP2005219978A (ja) * 2004-02-06 2005-08-18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リチウムニッケル複合酸化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6139940A (ja) * 2004-11-10 2006-06-01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非水系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85856B2 (ja) * 2005-07-07 2012-11-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5128779B2 (ja) * 2006-03-06 2013-01-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5164369B2 (ja) * 2006-12-08 2013-03-21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
CN101399332A (zh) * 2007-09-29 2009-04-01 深圳市比克电池有限公司 一种提高锂离子电池正极浆料附着力的方法
JP2010126422A (ja) * 2008-11-28 2010-06-10 Panasonic Corp リチウム含有複合酸化物の製造方法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
EP2698351B1 (en) * 2011-04-14 2017-12-27 Toda Kogyo Corp. Li-Ni COMPOSITE OXIDE PARTICLE POWDER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N103715423A (zh) * 2014-01-06 2014-04-09 深圳市贝特瑞新能源材料股份有限公司 锂镍钴铝氧化物复合正极材料、其制备方法和锂离子电池
JP6390229B2 (ja) * 2014-07-14 2018-09-19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被覆リチウム−ニッケル複合酸化物粒子及び被覆リチウム−ニッケル複合酸化物粒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0013A (ja) * 2008-02-25 2009-09-03 Furukawa Battery Co Ltd:The リチウム二次電池,その正極活物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2093798A2 (ko) * 2011-01-05 2012-07-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자 전체 농도 구배 리튬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2014049258A (ja) * 2012-08-30 2014-03-17 Denso Corp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954A (ko) 2021-02-16 2022-08-23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54655T2 (hu) 2021-09-28
EP3399579B1 (en) 2021-04-07
JP6951028B2 (ja) 2021-10-20
JP2019503551A (ja) 2019-02-07
CN107148690A (zh) 2017-09-08
US20180040892A1 (en) 2018-02-08
EP3399579A1 (en) 2018-11-07
KR20170080483A (ko) 2017-07-10
EP3399579A4 (en) 2019-05-15
US10230107B2 (en) 2019-03-12
PL3399579T3 (pl) 2021-10-25
CN107148690B (zh)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981B1 (ko)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
US11108043B2 (en) Method for producing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1045416B1 (ko) 리튬티탄산화물 분말,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전극,및 이차전지
US11121368B2 (en)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positive electrode composite material past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1919516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458676B1 (ko)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KR101875868B1 (ko) 리튬 이차전지용 리튬복합 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22352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501823B1 (ko) 리튬이차전지용 양극복합소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제조방법 및 상기 전극의 충방전 방법
KR20140119621A (ko) 리튬 과량 양극활물질 제조용 전구체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과량 양극활물질
KR101874340B1 (ko) 리튬 이차전지용 리튬복합 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34853B1 (ko) 리튬 이차전지용 리튬복합 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30067781A1 (en) Lithium metal complex oxid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190226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리튬 이차전지
KR20150065979A (ko) 표면 코팅된 리튬 과량 양극활물질용 전구체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표면 코팅된 리튬 과량 양극활물질용 전구체, 및 리튬 과량 양극활물질
KR101912202B1 (ko) 리튬 이차전지용 리튬복합 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361405A (zh) 正极活性材料及包括其的锂二次电池
JP2009259853A (ja) 正極活物質及び非水電解質電池
KR102275898B1 (ko) 리튬복합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122344A (zh) 正极活性材料及包括其的锂二次电池
KR101934848B1 (ko) 리튬 이차전지용 리튬복합 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42714A (ko) 카르복실산을 이용하여 탄소 코팅층을 형성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양극활물질 및 상기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US11508960B2 (en) Lithium metal complex oxid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arthikeyan et al. Adipic Acid Assisted Sol-Gel Synthesis of Li 1+ x (Mn 0.4 Ni 0.4 Fe 0.2) 1-x O 2 (0< x< 0.3) as Cath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Chen Development of Stable Anode and Cathode Materials for Rechargeable Batte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