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055B1 - 원격 보수 시스템,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원격 보수 시스템,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055B1
KR101886055B1 KR1020170051389A KR20170051389A KR101886055B1 KR 101886055 B1 KR101886055 B1 KR 101886055B1 KR 1020170051389 A KR1020170051389 A KR 1020170051389A KR 20170051389 A KR20170051389 A KR 20170051389A KR 101886055 B1 KR101886055 B1 KR 101886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on
session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280A (ko
Inventor
마사시 니시야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anagement, maintenance, service or repair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79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4Client or server resources management
    • G06F3/1225Software update, e.g. print driver, modules, plug-ins, fo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7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via intern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15Assigning priority to, or interrupting, a particular operation
    • H04N1/00917Resuming after an intentional interruption, e.g. resett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28Initialisation or control of normal start-up or shut-down, i.e. non failure or error re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109Remote control of apparatus, e.g. by a ho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보수 작업을 행하기 위한 보수 작업용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정보처리장치와 접속된 화상형성장치를 접속 절단해서 재기동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유저를 번거롭게 하지 않는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와 접속중에, 화상형성장치가 접속을 절단하고 화상형성장치를 재기동한 후에 재접속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재접속하는 정보처리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기억부에 기억한다. 화상형성장치가 재기동된 후에 기억부에 기억된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처리장치에 재접속된다.

Description

원격 보수 시스템,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REMOTE MAINTENANCE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보수 작업용 데이터를 정보처리장치와 송수신하는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원격 보수 시스템,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음성, 동영상 통신, 및 원격제어를 이용한 원격 보수 서비스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5-208974호 참조). 원격 보수 서비스에서는,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에러 발생시에, 보수를 위한 서비스 인원을 현장에 보내는 일없이, 콜 센터가 유저에게 직접 에러 해결 방법을 전해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에러 해결까지의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있다.
이러한 원격 보수 서비스에서는, 유저는, 전화기나 PC 등의 화상형성장치 이외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화상형성장치의 통신 유닛을 이용해서 콜 센터와의 접속을 실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것을 감안하여, 화상형성장치에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따르는 통신 유닛을 설치하고, 인터넷에 접속된 또 다른 정보단말과, SIP를 이용해서 확립한 세션에 의해,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21709호 참조).
오피스에 도입되어 있는 파이어월(firewall)을 통해서 SIP 세션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SIP 프록시(proxy) 등의 인프라 정비(inftrastructure improvement)가 필요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설비투자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SIP의 도입이 곤란한 오피스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파이어월과의 친화성이 높은 HTTP을 사용하여, 정보단말 사이에서 세션을 확립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다양한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전화 프로토콜: HTTP-based Conference Application Protocol(<특집>고속 네트워크와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 IPSJ(일본 정보처리 학회 논문지) 44(3), 553-560, 2003-03-15 참조).
파이어월에 의해 보호된 정보단말에 대하여, 인터넷측으로부터의 접속은 제한된다. 한편, 파이어월 내에 있는 정보 단말측으로부터 인터넷에의 접속은, 파이어월과의 친화성이 높은 HTTP을 사용하면 허가된다.
따라서, 상기 IPSJ 저널 44(3), 553-560에서는, 파이어월로 서로 분리된 2개의 정보단말이, HTTP 클라이언트로서 접속 가능한 세션 관리 서버에, 각각의 정보단말측으로부터 액세스함으로써 정보단말 간의 세션 확립을 실현하고 있다.
원격 보수 서비스에서는, 보수 내용이나 트러블 내용에 따라, 콜 센터측으로부터의 지시나 조작에 의해, 화상형성장치를 재기동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는 재기동 후에만 유효하게 되는 설정 변경을 했을 경우 등에 재기동하는 데에 필요하다.
선행 기술을 사용해서 원격 보수 서비스를 행했을 경우, 화상형성장치를 재기동하면, 화상형성장치와 세션 관리 서버 간의 세션이 일단 절단되지만, 재기동 후에도, 변경 후의 설정을 확인하고 보수 작업을 계속하도록 원격 보수를 계속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선행 기술에서는, 2개의 정보단말과 세션 관리 서버 간의 세션이 일단 절단된 후에, 다시 세션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정보단말측으로부터 세션 관리 서버에 재접속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원격보수 작업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세션 관리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조작을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에게 다시 실시해 줄 필요가 있다.
가령 유저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벗어나 있을 경우에는, 일반전화 등의 별도의 장치로 유저를 호출하고, 유저를 화상형성장치 앞까지 이동시켜서 재접속 작업을 실시해 주는 것으로, 유저의 시간을 소비시켜 버린다.
또한, 이러한 사정이 사용자에게 불편해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재접속 조작이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세션을 확립할 수 없게 되어, 원격보수를 행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보수 작업을 행하기 위한 보수 작업용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정보처리장치와 접속 중에, 접속을 절단해서 화상형성장치를 재기동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유저를 번거롭게 하는 일없이 정보처리장치에 재접속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원격 보수 시스템,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에서는, 통신장치와, 세션 관리 서버와, 상기 세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의 보수를 행하도록 지시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원격 보수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장치의 재기동이 지시된 후에, 상기 세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통신장치에 의해 기억하고, 상기 세션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장치에 의해 수신된 재기동 지시에 따라서 상기 통신장치의 재기동을 실행하고, 상기 통신장치가 재기동된 후에, 상기 세션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통신장치에 의해 기억된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처리장치를 접속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원격 보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서는, 통신장치의 재기동이 지시된 후에, 세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유닛과, 상기 세션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장치에 의해 수신된 재기동 지시에 따라서 상기 통신장치의 재기동을 실행하는 실행 유닛과, 상기 통신장치가 재기동된 후에,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기억 유닛에 의해 기억된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처리장치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도록 상기 세션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접속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장치로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세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의 보수를 행하도록 지시를 출력하는, 통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국면에서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통신장치의 재기동이 지시된 후에, 세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억 유닛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세션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장치에 의해 수신된 재기동 지시에 따라서 상기 통신장치의 재기동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장치가 재기동된 후에,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통신장치에 의해 기억된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처리장치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도록 상기 세션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세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의 보수를 행하도록 지시를 출력하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 국면에서는, 통신장치의 재기동이 지시된 후에, 세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억 유닛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세션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장치에 의해 수신된 재기동 지시에 따라서 상기 통신장치의 재기동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장치가 재기동된 후에,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통신장치에 의해 기억된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처리장치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도록 상기 세션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통신장치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세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의 보수를 행하도록 지시를 출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의 보수 작업을 행하기 위한 보수 작업용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정보처리장치와 접속된 화상형성장치를 접속 절단해서 재기동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화상형성장치가 재접속하는 정보처리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가 기억 유닛에 기억되고, 화상형성장치가 재기동되면, 기억된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처리장치에 화상형성장치가 재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를 번거롭게 하는 일없이 화상형성장치를 정보처리장치에 재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그 외의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원격 보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블럭도다.
도 3a는, 콜 센터 접속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기동시 리다이얼 설정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화상형성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블럭도다.
도 5는, 도 2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콜 센터 단말과의 통신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도 5의 계속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1)를 포함하는 원격 보수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원격 보수 시스템(100)은, 화상형성장치(101), 파이어월(105), 인터넷(106), 세션 관리 서버(104), 및 콜 센터 단말 102,103으로 구성된다.
이들 중, 화상형성장치(101), 및 콜 센터 단말 102, 103은, 각각 HTTP 클라이언트로서의 통신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1), 및 콜 센터 단말 102, 103은, 각각 음성이나 동영상 통신, 및 원격 제어 등을 이용하는 원격보수기능을 갖고, 원격보수시의 통신 상대로서 동작한다.
화상형성장치(101)는, 파이어월(105)을 통해서 인터넷(106)에 접속된 세션 관리 서버(104)에 HTTP을 이용해서 액세스한다.
한층 더, 화상형성장치(101)는, 세션 관리 서버(104)에 대하여 콜 센터 단말의 단말 ID를 지정함으로써, 지정된 콜 센터 단말을 호출하고, 콜 센터 단말과의 세션을 확립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1)는, 세션 관리 서버(104)를 통해서 호출한 콜 센터 단말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한다.
세션 관리 서버(104)는, HTTP 서버로서의 통신기능을 구비한다. 세션 관리 서버(104)는, 화상형성장치(101)와 콜 센터 단말 102,103 사이의 세션 관리를 행한다.
콜 센터 단말 102,103은, 세션 관리 서버(104)와 HTTP을 이용해서 접속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콜 센터 단말 102는, 화상형성장치(101)로부터 액세스를 접속하는 접수 단말로서, 콜 센터의 접수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는 단말이다. 또한, 콜 센터 단말 102는, 화상형성장치(101)와의 사이에 최초로 확립한 세션을, 보수 작업을 행하기 위한 보수 단말로서 콜 센터 단말 103에 디스패치(dispatch)한다.
한편, 콜 센터 단말 103은, 화상형성장치(101)에 대해서 보수 작업을 행하기 위한 보수 단말로서, 콜 센터의 보수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는 단말이다. 콜 센터 단말 103은, 콜 센터 단말 102로부터 디스패치된 화상형성장치(101)와의 세션에서, 음성이나 동영상 통신, 및 원격 제어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1)의 원격보수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1)와 세션 관리 서버(104)와의 접속에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지만, 파이어월과의 친화성이 높은 다른 통신 프로토콜도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는, 콜 센터 단말 102, 103과 세션 관리 서버(104)와의 접속에는, HTTP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지만, 다른 통신 프로토콜도 사용될 수 있다.
한층 더,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1)와 콜 센터 단말 102,103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은, 세션 관리 서버(104)를 통해서 행해지지만,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콜 센터 단말에 직접 접속한 통신로를 별도로 확립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1)는, 정보처리장치(콜 센터 단말 102, 103)에 액세스하여, 화상형성장치(101)에 대하여 보수 작업을 행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보수 작업용 데이터를 정보처리장치와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수 작업용 데이터로서 상기 음성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및 원격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화상형성장치(101)의 하드웨어 구성의 블럭도다.
도 2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101)는, 콘트롤러 유닛(220), 스캐너(215), 프린터(216), 오퍼레이션 패널(212), 화상입력장치(213), 및 음성입출력장치(214)로 구성된다.
또한, 콘트롤러 유닛(220)은, 스캐너 인터페이스(201), CPU(202), ROM(203), RAM(204), HDD(205), 프린터 인터페이스(207), 패널 조작 인터페이스(208),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209), 음성 입출력 인터페이스(21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1)로 구성되고, 그들은 시스템 버스(206)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CPU(202)는, ROM(203) 또는 HDD(205)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시스템 버스(206)에 접속되는 각종의 디바이스와의 액세스를 총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1)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해서 후술하는 통신 처리는, HDD(205)에 기억된 프로그램이 CPU(202)에 의해 RAM(204)에 로딩되어서 실행되는 처리다.
RAM(204)은, 주로 CPU(202)의 주메모리 및 워크 에어리어(work area)로서 기능하고,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증설 포트에 옵션 RAM을 접속해서 메모리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HDD(205)는, 부트 프로그램(boot program),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폰트 데이터, 유저 파일, 및 편집 파일 등을 기억한다. 또한, HDD(205) 이외에 SD 카드나, 플래시 메모리 등을 외부기억장치로서 이용해도 된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스캐너 인터페이스(201)는, 스캐너(215)로부터의 화상 입력을 제어한다. 프린터 인터페이스(207)는, 프린터(216)에의 화상 출력을 제어한다. 패널 조작 인터페이스(208)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고, 정보를 표시하는 오퍼레이션 패널(212)의 표시 제어, 및 오퍼레이션 패널(212)에서 설정되는 각종 설정 정보의 입력을 제어한다.
화상입력 인터페이스(209)는, 카메라 등의 화상입력장치(213)로부터의 화상 입력을 제어한다. 음성 입출력 인터페이스(210)는, 헤드셋의 음성 입출력장치(214)와의 음성 입출력을 제어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1)는, 네트워크 케이블을 통해서 외부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상술한 화상형성장치(101)는, 도 2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101)의 전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어 있는 통상 모드와, 일부 유닛의 블록(217)에만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절약 모드라고 하는 2개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가능하다.
도 3a는, 콜 센터 접속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기동시 리다이얼 설정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은, HDD(205)에 기억되어 있다.
도 3a에 있어서, 콜 센터 접속 정보는, 세션 관리 서버 URL, 및 첫회 접속 목적지 단말 ID로 구성된다. 세션 관리 서버 URL은, 세션 관리 서버(104)의 URL을 나타낸다. 첫회 접속 목적지 단말 ID는, 콜 센터 단말 중, 첫 번째로 접속하는 콜 센터 단말의 단말 ID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에서는, 콜 센터 단말 102의 단말 ID를 나타낸다.
도 3b에 있어서, 기동시 리다이얼 설정 정보는, 기동시 리다이얼 모드, 리다이얼 목적지 단말 ID, 리다이얼 모드 유효 기한, 및 리다이얼 모드 잔여 실행 회수로 구성된다.
기동시 리다이얼 모드는, 화상형성장치(101)의 기동시 세션 제어부(302)가, 자동적으로 리다이얼 목적지 단말 ID에 의해 표시되는 리다이얼 목적지 단말과의 세션을 확립할 것인지 아닌지를 나타낸다. 기동시 리다이얼 모드가 온인 경우에는, 세션을 확립하고, 기동시 리다이얼 모드가 오프인 경우에는 세션을 확립하지 않는다.
리다이얼 모드 유효기한은, 세션 제어부(302)가 자동적으로 리다이얼 목적지 단말 ID에 의해 표시되는 리다이얼 목적지 단말과의 세션을 확립할 수 있는 기한을 나타낸다.
따라서, 기동시 리다이얼 모드가 온이며, 또 재기동한 일시가 이 기한 내이면, 자동적으로 세션이 확립되게 된다.
리다이얼 모드의 잔여 실행 회수는, 자동적으로 세션의 확립을 실행할 수 있는 나머지의 회수를 나타낸다. 이 리다이얼 모드의 잔여 실행 회수는, 자동적으로 세션이 확립될 때마다, 1만큼 감산된다.
이 리다이얼 모드의 잔여 실행 회수가 0인 경우에는, 기동시 리다이얼 모드가 온이어도, 자동적으로 세션이 확립되는 일은 없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화상형성장치(101)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블럭도다.
도 4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101)는, UI(User Interface)부(301), 세션 제어부(302), 데이터 송수신부(303), 및 전원제어부(304)로 구성된다. 이들 각부는, HDD(205)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CPU(202)에 의해 RAM(204)에 로딩되고, 로딩된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UI부(301)는, 패널 조작 인터페이스(208)를 통해서 오퍼레이션 패널(212)에서의 표시, 및 오퍼레이션 패널(212)에서 설정되는 각종 설정 정보의 입력을 제어한다.
세션 제어부(302)는, HDD(205)에 기억되어 있는 도 3a에 나타낸 콜 센터 접속 정보의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1)를 통하여 세션 관리 서버(104)에 액세스한다.
데이터 송수신부(303)는, 세션 제어부(302)가 확립한 세션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1)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원격 제어 데이터, 및 리다이얼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303)는, 필요에 따라 음성 입출력 인터페이스(210),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209), 및 패널 조작 인터페이스(208) 등을 제어한다. 전원 제어부(304)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전원 스위치를 오프로 해서 셧 다운(shut down)이 지시되었을 때에 행해진 제어와, 전력 공급처의 제어 등, 전원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도 5는, 도 2의 CPU(202)에 의해 실행되는 콜 센터 단말 102, 103과 통신하는 통신 처리의 플로차트이며, 도 6은 도 5의 계속이다.
도 5에 있어서, 세션 제어부(302)는, 유저에 의해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콜 센터 호출 버튼이 눌러진 것에 의해, UI부(301)로부터 콜 센터 호출 지시를 접수한다 (스텝 S501).
다음에, 세션 제어부(302)는, HDD(205)로부터, 도 3a에 나타낸 콜 센터 접속 정보의 세션 관리 서버 URL을 판독하고, 세션 관리 서버(104)에 HTTP을 이용해서 액세스한다(스텝 S502).
그리고, 세션 제어부(302)는, HDD(205)로부터, 콜 센터 접속 정보의 첫회 접속 목적지 단말 ID를 판독하고, 판독한 ID를 세션 관리 서버(104)에 송신하여, 콜 센터 단말 102과의 세션을 확립한다(스텝 S503).
데이터 송수신부(303)는, 보수 작업을 위한 음성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및 원격 제어 데이터를, 스텝 S503에서 확립한 세션을 사용하여 콜 센터 단말 102과 송수신 한다(스텝 S504).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1)의 유저와, 콜 센터 단말 102의 접수 오퍼레이터 사이에서, 음성, 동영상 통신에 의한 대화가 개시된다. 그 후에, 접수 오퍼레이터는, 유저로부터의 트러블 내용을 알아내어, 적절한 보수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는 콜 센터 단말 103에 그 내용을 디스패치(dispatch)한다.
세션 관리 서버(104)는, 화상형성장치(101)와 콜 센터 단말 102과의 사이의 세션을, 화상형성장치(101)와 콜 센터 단말 103과의 사이의 세션에 디스패치한다.
이에 따라, 스텝 S504에서의 데이터 송수신부(303)에 의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상대가, 콜 센터 단말 103으로 변경되고, 화상형성장치(101)의 유저와, 콜 센터 단말 103의 보수 오퍼레이터와의 사이에서, 음성, 동영상 통신에 의한 대화가 개시된다.
또한, 트러블의 내용 및 상황에 따라, 콜 센터 단말 103으로부터의 보수 오퍼레이터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1)의 원격 제어가 행해진다. 한층 더, 트러블의 내용 및 상황에 따라 기기 구성의 변경과 설정 변경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1)의 재기동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재기동 후에도, 트러블 해결 처리를 계속하는 경우에는, 보수 오퍼레이터는, 콜 센터 단말 103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1)에 기동시 리다이얼 설정을 송신한다. 스텝 S505에서, 데이터 송수신부(303)는, 콜 센터 단말 103으로부터 기동시 리다이얼 설정 정보의 일부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505). 기동시 리다이얼 설정 정보의 일부는, 리다이얼 목적지 단말 ID, 및 리다이얼 모드 유효기한에 의해 형성된다.
스텝 S505에서, 기동시 리다이얼 설정 정보의 일부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505에서 NO), CPU(202)는 후술하는 스텝 S507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505에서, 기동시 리다이얼 설정 정보의 일부를 수신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505에서 YES), 데이터 송수신부(303)는, 수신한 기동시 리다이얼 설정 정보를 HDD(205)에 기억한다(스텝 S506).
여기에서는, 수신한 리다이얼 목적지 단말 ID, 및 리다이얼 모드 유효기한뿐만 아니라, 미리 정해져 있는 기동시 리다이얼 모드 및 리다이얼 모드의 잔여 실행 회수도 기억된다. 이 스텝 S506은, 정보처리장치와 접속 중에, 화상 형성장치가 접속을 절단하고, 화상형성장치를 재기동한 후에 재접속하게 되었을 경우에, 재접속하는 정보처리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리다이얼 목적지 단말 ID)를 기억부(HDD(205))에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유닛의 동작에 대응한다.
다음에, 전원 제어부(304)는, 재기동 지시를 접수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507).
이 재기동 지시는, 콜 센터 단말 103의 보수 오퍼레이터가 화상형성장치(101)를 원격 제어하면서 원격 보수 작업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콜 센터 단말 103에 의해 제공된다. 이 경우, 데이터 송수신부(303)가, 콜 센터 단말 103으로부터, 재기동 지시를 수신하고, 수신한 재기동 지시를 전원제어부(304)에 통지한다.
한편, 유저가 화상형성장치(101)를 조작하면서 보수 작업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유저가 화상형성장치(101)의 전원 스위치를 오프함으로써, 재기동이 지시된다. 이 경우에는, 전원 제어부(304)가, 전원 스위치의 오프를 검출한다.
스텝 S507에서, 재기동 지시를 접수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507에서 NO), CPU(202)는 원격 보수 작업에 의해 트러블을 해결함으로써 원격 보수 작업이 종료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519).
스텝 S519에서는, 원격 보수 작업이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519에서 NO), CPU(202)는 스텝 S504로 되돌아오고, 원격 보수 작업이 종료했을 경우에는(스텝 S519에서 YES), CPU(202)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507에서, 재기동 지시를 접수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507에서 YES), CPU(202)는 도 6의 스텝 S508로 진행되고, 전원 제어부(304)는, 재기동 지시자를 특정하고, 특정된 지시자를 HDD(205)에 기억한다. 이 재기동 지시자는, 콜 센터가 화상형성장치(101)를 원격 제어하면서 원격 보수 작업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콜 센터 단말 103이 되고, 유저가 화상형성장치(101)를 조작하면서 보수 작업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유저의 유저명이 된다. 이렇게, 재기동은, 화상형성장치(101)의 보수 작업을 행하는 유저로부터의 지시 혹은 정보처리장치의 지시에 따라 행해진다.
다음에, 세션 제어부(302)는, 화상형성장치(101)와 세션 관리 서버(104) 및 콜 센터 단말 103과의 접속을 절단한다(스텝 S509). 그리고, 전원 제어부(304)는, 화상형성장치(101)를 재기동한다(스텝 S510). 이 스텝 S510은, 화상형성장치를 재기동하도록 구성된 재기동 유닛의 동작에 대응한다.
화상형성장치(101)의 재기동 후에, 세션 제어부(302)는, 도 3b에 나타낸 기동시 리다이얼 설정 정보의 기동시 리다이얼 모드를 판독하고, 기동시 리다이얼 모드가 온인지 아닌지 판정한다(스텝 S511).
스텝 S511에서, 기동시 리다이얼 모드가 오프라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511에서 NO), CPU(202)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511에서는, 기동시 리다이얼 모드가 온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511에서 YES), 세션 제어부(302)는 리다이얼 모드 유효기한을 판독하고, 현재의 일시가 유효기한 전인지 아닌지 판정한다(스텝 S512).
스텝 S512에서, 현재의 일시가 유효기한을 지났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512에서 NO), CPU(202)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재접속가능한 기한이 미리 정해져 있다.
한편, 스텝 S512에서, 현재의 일시가 유효기한 전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512에서 YES), 세션 제어부(302)는 리다이얼 모드의 잔여 실행 회수를 판독하고, 그 리다이얼 모드의 잔여 실행 회수의 값이 1이상인지 아닌지 판정한다(스텝 S513).
스텝 S513에서, 그 값이 1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513에서 NO), CPU(202)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재접속가능한 회수가 미리 정해져 있다.
한편, 스텝 S513에서, 그 값이 1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513에서 YES), 세션 제어부(302)는, 스텝 S508에서 HDD(205)에 기억한 재기동 지시자를 판독한다.
그리고, 세션 제어부(302)는 재기동 지시자가 콜 센터 단말인지 아닌지 판정한다(스텝 S514). 스텝 S514에서, 재기동 지시자가 콜 센터 단말이 아니라 유저라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514에서 NO), 세션 제어부(302)는, 유저로부터 로그인을 접수하고(스텝 S515), 후술하는 스텝 S516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514에서, 재기동 지시자가 콜 센터 단말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514에서 YES), 세션 제어부(302)는, HDD(205)로부터, 도 3a에 나타낸 콜 센터 접속 정보의 세션 관리 서버 URL을 판독하고, 세션 관리 서버(104)에 HTTP을 이용해서 접속한다(스텝 S516). 이 스텝 S516은, 화상형성장치가 재기동된 후에(스텝 S510) 특정 정보(리다이얼 목적지 단말 ID)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처리장치에 재접속하도록 구성된 재접속 유닛의 동작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1)가 유저로부터 수신한 재기동 지시에 따라 재기동되는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101)가 재기동해서 유저가 화상형성장치(101)에 로그 인한 후에 특정 정보(리다이얼 목적지 단말 ID)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처리장치에 재접속한다. 또한,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재기동 지시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1)가 재기동되는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101)가 재기동하는 즉시 특정 정보(리다이얼 목적지 단말 ID)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처리장치에 재접속한다.
그리고, 세션 제어부(302)는, HDD(205)로부터, 기동시 리다이얼 설정 정보의 리다이얼 목적지 단말 ID를 판독하고, 판독한 ID를 세션 관리 서버(104)에 송신하고, 콜 센터 단말 102과의 세션을 확립한다(스텝 S517).
그리고, 세션 제어부(302)는, HDD(205)로부터 리다이얼 모드의 잔여 실행 회수를 판독하고, 그 판독한 값으로부터 1을 뺀 값을 리다이얼 모드의 잔여 실행 회수로서 HDD(205)에 기억한다(스텝 S518).
그 후에, CPU(202)는 상기 스텝 S504으로 돌아가고, 데이터 송수신부(303)는, 보수 작업을 위해 음성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원격 제어 데이터를, 스텝 S517에서 확립한 세션에서 송수신한다.
이 처리에 의해, 재기동 후에도, 화상형성장치(101)와 콜 센터 단말 103과의 사이에서 세션이 확립되어, 보수 오퍼레이터는, 트러블을 해결하는 처리를 계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콜 센터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원격 보수 중에, 화상형성장치의 재기동이 필요하게 된 경우에도, 유저를 번거롭게 하는 일없이 화상형성장치와 콜 센터 간의 세션을 재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101)에서의 보수 작업을 행하기 위한 보수 작업용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정보처리장치와 접속 중에, 화상형성장치(101)가 접속을 절단해서 재기동이 필요하게 되었을 경우, 재접속하는 정보처리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리다이얼 목적지 단말 ID)를 기억부에 기억하고(스텝 S506), 화상형성장치(101)가 재기동된 후에, 화상형성장치(101)가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처리장치에 재접속한다(스텝 S517). 그것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1)는 유저를 번거롭게 하는 일없이 정보처리장치에 재접속 가능해 진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회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독립된 컴퓨터 또는 독립된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ray Disc(BD)TM 등),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는 2013년 8월 14일에 제출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168571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100:원격 보수 시스템 101:화상형성장치 102,103:콜 센터 단말 104:세션 관리 서버 105:파이어월 106:인터넷 201:스캐너 인터페이스 202: CPU 203:ROM 204: RAM 205: HDD 207:프린터 인터페이스 208:패널 조작 인터페이스 209:화상 입력 인터페이스 210:음성 입출력 인터페이스 21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12:오퍼레이션 패널 213: 화상입력장치 214: 음성입출력장치 215:스캐너 216:프린터 220:콘트롤러 유닛 301:UI부 302:세션 제어부 303:데이터 송수신부 304:전원제어부

Claims (12)

  1. 통신장치와,
    세션 관리 서버와,
    상기 세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의 보수를 행하도록 지시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원격 보수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장치의 재기동이 지시된 후에, 상기 세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통신장치에 의해 기억하고,
    상기 세션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장치에 의해 수신된 재기동 지시에 따라서 상기 통신장치의 재기동을 실행하고,
    상기 통신장치가 재기동된 후에, 상기 세션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통신장치에 의해 기억된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처리장치를 접속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원격 보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HTTP를 사용하는 파이어월을 통해 상기 정보 처리장치와 통신하는, 원격 보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장치의 재기동이 상기 세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정보 처리장치에 의해 지시된 경우에, 상기 통신장치가 재기동된 후 상기 세션 관리 서버에 대한 접속이 실행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원격 보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관리 서버는, 상기 기억된 정보의 유효 기한이 지났을 경우에,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통신장치의 재기동에 따라서 상기 통신장치에 의해 기억된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처리장치에 접속하지 않는, 원격 보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프린터 유닛을 가지는 화상 형성장치인, 원격 보수 시스템.
  6. 통신장치의 재기동이 지시된 후에, 세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유닛과,
    상기 세션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장치에 의해 수신된 재기동 지시에 따라서 상기 통신장치의 재기동을 실행하는 실행 유닛과,
    상기 통신장치가 재기동된 후에,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기억 유닛에 의해 기억된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처리장치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도록 상기 세션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접속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장치로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세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의 보수를 행하도록 지시를 출력하는, 통신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HTTP를 사용하는 파이어월을 통해 상기 정보 처리장치와 통신하는, 통신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유닛은, 상기 통신장치의 재기동이 상기 세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정보 처리장치에 의해 지시된 경우에, 상기 통신장치가 재기동된 후 상기 세션 관리 서버에 대한 접속이 실행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통신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기억된 정보의 유효 기한이 지났을 경우에, 상기 통신장치의 재기동에 따라서 상기 통신장치에 의해 기억된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처리장치에 상기 세션 관리 서버에 의해 접속되지 않는, 통신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프린터 유닛을 더 포함하는, 통신장치.
  11.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통신장치의 재기동이 지시된 후에, 세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억 유닛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세션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장치에 의해 수신된 재기동 지시에 따라서 상기 통신장치의 재기동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장치가 재기동된 후에,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통신장치에 의해 기억된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처리장치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도록 상기 세션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세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의 보수를 행하도록 지시를 출력하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12. 통신장치의 재기동이 지시된 후에, 세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억 유닛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세션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장치에 의해 수신된 재기동 지시에 따라서 상기 통신장치의 재기동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장치가 재기동된 후에,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통신장치에 의해 기억된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처리장치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도록 상기 세션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통신장치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세션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의 보수를 행하도록 지시를 출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70051389A 2013-08-14 2017-04-21 원격 보수 시스템,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1886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68571 2013-08-14
JP2013168571A JP6406801B2 (ja) 2013-08-14 2013-08-14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607A Division KR101731235B1 (ko) 2013-08-14 2014-08-07 보수 작업용 데이터를 정보처리장치와 송수신하는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280A KR20170048280A (ko) 2017-05-08
KR101886055B1 true KR101886055B1 (ko) 2018-08-07

Family

ID=513577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607A KR101731235B1 (ko) 2013-08-14 2014-08-07 보수 작업용 데이터를 정보처리장치와 송수신하는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20170051389A KR101886055B1 (ko) 2013-08-14 2017-04-21 원격 보수 시스템,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607A KR101731235B1 (ko) 2013-08-14 2014-08-07 보수 작업용 데이터를 정보처리장치와 송수신하는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89816B2 (ko)
EP (1) EP2854079A1 (ko)
JP (1) JP6406801B2 (ko)
KR (2) KR101731235B1 (ko)
CN (1) CN1043785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4821B2 (ja) * 2013-12-20 2017-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59180B2 (ja) * 2014-02-10 2019-0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障害予測システム、障害予測装置、ジョブ実行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319214B2 (ja) * 2015-07-13 2018-05-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遠隔保守システムおよび遠隔保守方法
JP2017199088A (ja) 2016-04-25 2017-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中継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7227989A (ja) 2016-06-20 2017-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04779B2 (ja) 2017-05-10 2021-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遠隔保守システム、遠隔保守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785097A4 (en) * 2018-04-23 2021-12-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SPONSIVE PRINTING DEVICE
JP7137128B2 (ja) * 2018-08-31 2022-09-1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リモート接続制御プログラム
CN111191552A (zh) * 2019-12-23 2020-05-22 合肥美的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视觉终端的图像识别方法以及视觉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6533A (ja) 2001-06-19 2003-03-14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管理方法および管理システム
JP2010093585A (ja) 2008-10-08 2010-04-22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接続制御プログラム及び方法、ネットワーク接続プログラム及び方法、認証装置
JP2011091773A (ja) 2009-10-26 2011-05-06 Canon Inc 管理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3093651A (ja) 2011-10-24 2013-05-16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3005A (en) * 1990-01-31 1994-04-12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proved maintenance control
JP3791089B2 (ja) 1997-01-27 2006-06-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対応型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印刷システム
US20040260704A1 (en) * 2003-06-23 2004-12-23 Moore Keith E. User-requested remote assistance for printing devices
JP4698169B2 (ja) * 2003-07-24 2011-06-08 株式会社リコー ユーザ認証方法、画像形成装置
JP2005208974A (ja) 2004-01-23 2005-08-04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のヘルプシステム
JP4259416B2 (ja) * 2004-07-30 2009-04-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バイス管理システム
US7236835B2 (en) * 2005-05-24 2007-06-26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Remote maintenance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enter device
JP2007019810A (ja) * 2005-07-07 2007-01-25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2007036624A (ja) * 2005-07-26 2007-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管理装置、機器、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4712639B2 (ja) * 2005-09-13 2011-06-29 株式会社リコー ネットワーク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印刷データ生成装置、ネットワーク印刷方法、印刷方法、印刷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21709A (ja) 2006-02-20 2007-08-30 Ricoh Co Ltd ネットワーク画像入出力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621559B2 (en) * 2006-06-19 2017-04-11 Bomgar Corporation Network apparatus for secure remote access and control
US7533178B2 (en) * 2006-10-31 2009-05-12 Cisco Technology, Inc. Resuming a computing session when rebooting a computing device
US20090089457A1 (en) 2007-09-28 2009-04-02 Konica Minolta Systems Laboratory, Inc. Reconnecting a host computer with a networked printer having a dynamic network address
US9532001B2 (en) * 2008-07-10 2016-12-27 Avaya In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oviding selectable video using scalable video coding
JP4770898B2 (ja) * 2008-09-18 2011-09-1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5381765B2 (ja) * 2010-02-08 2014-01-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リンタ
JP5786535B2 (ja) * 2011-08-08 2015-09-30 株式会社リコー 機器、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019755B2 (ja) * 2012-05-29 2016-11-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印刷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6533A (ja) 2001-06-19 2003-03-14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管理方法および管理システム
JP2010093585A (ja) 2008-10-08 2010-04-22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接続制御プログラム及び方法、ネットワーク接続プログラム及び方法、認証装置
JP2011091773A (ja) 2009-10-26 2011-05-06 Canon Inc 管理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3093651A (ja) 2011-10-24 2013-05-16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37259A (ja) 2015-02-23
KR101731235B1 (ko) 2017-04-28
JP6406801B2 (ja) 2018-10-17
CN104378527A (zh) 2015-02-25
US20150049363A1 (en) 2015-02-19
KR20170048280A (ko) 2017-05-08
KR20150020070A (ko) 2015-02-25
US9389816B2 (en) 2016-07-12
EP2854079A1 (en) 2015-04-01
CN104378527B (zh)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055B1 (ko) 원격 보수 시스템,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1861079B1 (ko) 보수 작업용 데이터를 정보처리장치와 송수신하는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JP4552075B2 (ja) 画像共有システム
EP3070935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output of content data, and carrier means
EP2784979B1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puter program, and method
EP3217596B1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JP6204821B2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72684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3175717A1 (ja) テレビ会議システム
JP618424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032172A (ja) セッション制御代行システムと通信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セッション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JP2019201322A (ja) 遠隔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9033539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06623B2 (ja) プレゼンス送信方法、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6970870B2 (ja) 情報通信機器及び情報通信方法
JP2023154923A (ja) 処理装置、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029777A (ja) 通信システム
JP2008271128A (ja)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通信管理サーバ及び通信方法
JP2010010743A (ja) 音声通話システム、呼制御装置、音声通話方法および音声通話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