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263B1 -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263B1
KR101880263B1 KR1020170027408A KR20170027408A KR101880263B1 KR 101880263 B1 KR101880263 B1 KR 101880263B1 KR 1020170027408 A KR1020170027408 A KR 1020170027408A KR 20170027408 A KR20170027408 A KR 20170027408A KR 101880263 B1 KR101880263 B1 KR 101880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er
steamed
steam
kelp
gulb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미자
Original Assignee
(주)남도애꽃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남도애꽃 filed Critical (주)남도애꽃
Priority to KR1020170027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B4/06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23B4/068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with packages or with shaping in the form of blocks or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선별공정, 불림공정, 세척공정, 찜공정, 건조공정, 손질공정, 포장공정, 저장공정을 포함함으로써 굴비의 형태가 흐트러짐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맛과 조직감이 우수하고 생선비린내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아울러 개인의 건강과 위생적인 식품으로 굴비에 대한 냄새와 요리과정 등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장기간 보관, 유통이 가능하여 가정에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찜 보리 굴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은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75일~110일 건조처리된 굴비를 사이즈와 건조상태를 고려하여 선별하는 선별공정; 상기 선별공정을 거쳐 선별된 굴비를 물, 설탕, 소금, 소주를 섞은 수용액 내에서 40~50분에 걸쳐 불리는 불림공정; 상기 불림공정을 통해 불림 처리된 굴비를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공정; 상기 세척공정을 통해 세척된 굴비를 내장 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찜기에 정렬하고, 정렬된 굴비에 맛술을 스프레이로 고르게 뿌려주며, 겉보리가 굴비의 상, 하부에 접촉되도록 하고, 연잎 뒷면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굴비의 위를 덮은 후 연잎에 다수의 공기구멍을 천공시켜 찜기에 찌는 찜공정; 상기 찜공정을 통해 쪄진 굴비를 철망 위에 찜기 채 올려놓은 후, 연잎을 제거하여 일정시간 건조한 후, 철망 위에 찜기를 뒤집어서 굴비의 내장 쪽이 위로 향하게 하여 찜공정에서 발생된 생선기름을 제거하는 건조공정; 상기 건조과정을 거친 굴비의 등 지느러미와 꼬리 부분을 다듬는 손질공정; 상기 손질공정을 통해 손질된 굴비를 머리 부분이 일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하여 찜팩 용기에 한 마리씩 넣어 포장하는 포장공정; 및 상기 포장공정을 통해 포장된 굴비를 냉동창고에 저장하는 저장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Process for steamed and dried yellow corvina with barley using lotus leaf}
본 발명은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별공정, 불림공정, 세척공정, 찜공정, 건조공정, 손질공정, 포장공정, 저장공정을 포함함으로써 굴비의 형태가 흐트러짐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맛과 조직감이 우수하고 생선비린내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아울러 개인의 건강과 위생적인 식품으로 굴비에 대한 냄새와 요리과정 등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장기간 보관, 유통이 가능하여 가정에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찜 보리 굴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굴비는 민어과에 속하는 조기를 말린 것을 굴비라 하여 고급 반찬으로 구이, 찜, 조림, 매운탕 등으로 이용된다.
주로 우리나라 서 남해, 중국 보하만에서 동남 중국해 일대와 대만 근해에 분포되어 있으며, 고온 다습한 시기에 대량 어획되어 그 보관법으로 염건품의 가공법이 발달하였다.
굴비는 흰 살 생선으로 지방이 적어 체중감량 식단에 단백질 공급식품으로 활용하면 좋고,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하여 몸이 쇠약할 때나 피로회복, 원기회복에 도움을 주며, 풍부한 비타민A는 야맹증 예방에 좋은 것이다.
또한, 생선은 DHA, EPA등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고, 미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물질의 작용도 뛰어나 건강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더욱이, 에스키모인이 심근경색과 혈전증 등 성인병의 발생 비율이 낮은 점과, 일본인들이 심장질환이나 뇌혈관질환의 발병률이 낮은 점은, 생선의 충분한 섭취에 의한 결과라는 연구가 있듯이, 생선의 다량섭취는 해가 될 것은 없으리라 본다.
이처럼 생선은 식단이나, 식품학적으로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서, 생선을 대부분이 소금으로 간을 하여, 찌거나 구워서 먹었다. 굴비의 경우 주거환경이 예전과 달라 생선 특유의 암모니아 냄새나 비린내로 생선을 즐겨먹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으며, 생선의 식품학적 효과 외에 기능성 측면에서 떨어지고, 늘어나는 육류의 소비량에 비하여 점차 굴비 소비량이 줄어드는 실정으로, 비린내를 최소화하며, 몸에 이롭고 편리하게 섭취 할 수 있는 생선 요리로서의 접근 방식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통상의 굴비는 조기를 소금에 절였다가 깨끗이 세척하여 볏짚이나 끈을 사용하여 10∼20마리씩 엮어서 두릅을 만들고 통풍이 잘 되는 그늘진 곳에서 높은 걸대에 걸어서 해풍에 자연 건조시켜서 제조하여 왔다.
이러한 종래의 굴비는 아무리 건조과정이 위생적으로 잘 시켰다 할지라도 생선의 심한 비린내로 인하여 소비자의 외면을 받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굴비는 오랜 기간 보관이 가능하나, 단지 소금에 절여서 건조시키고, 이취감이 심하고, 비위생적으로 관리 보관,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굴비의 형태가 흐트러짐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맛과 조직감이 우수하고 생선비린내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아울러 개인의 건강과 위생적인 식품으로 굴비에 대한 냄새와 요리과정 등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장기간 보관, 유통이 가능하여 가정에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찜 보리 굴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265297호 2000.06.13.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94667호 2011.08.24.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34742호 2015.12.02.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88584호 2016.01.20.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별공정, 불림공정, 세척공정, 찜공정, 건조공정, 손질공정, 포장공정, 저장공정을 포함함으로써 굴비의 형태가 흐트러짐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맛과 조직감이 우수하고 생선비린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굴비의 형태가 흐트러짐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맛과 조직감이 우수하고 생선비린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건강과 위생적인 식품으로 굴비에 대한 냄새와 요리과정 등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장기간 보관, 유통이 가능하여 가정에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찜 보리 굴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은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75일~110일 건조처리된 굴비를 사이즈와 건조상태를 고려하여 선별하는 선별공정; 상기 선별공정을 거쳐 선별된 굴비를 물, 설탕, 소금, 소주를 섞은 수용액 내에서 40~50분에 걸쳐 불리는 불림공정; 상기 불림공정을 통해 불림 처리된 굴비를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공정; 상기 세척공정을 통해 세척된 굴비를 내장 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찜기에 정렬하고, 정렬된 굴비에 맛술을 스프레이로 고르게 뿌려주며, 겉보리가 굴비의 상, 하부에 접촉되도록 하고, 연잎 뒷면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굴비의 위를 덮은 후 연잎에 다수의 공기구멍을 천공시켜 찜기에 찌는 찜공정; 상기 찜공정을 통해 쪄진 굴비를 철망 위에 찜기 채 올려놓은 후, 연잎을 제거하여 일정시간 건조한 후, 철망 위에 찜기를 뒤집어서 굴비의 내장 쪽이 위로 향하게 하여 찜공정에서 발생된 생선기름을 제거하는 건조공정; 상기 건조과정을 거친 굴비의 등 지느러미와 꼬리 부분을 다듬는 손질공정; 상기 손질공정을 통해 손질된 굴비를 머리 부분이 일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하여 찜팩 용기에 한 마리씩 넣어 포장하는 포장공정; 및 상기 포장공정을 통해 포장된 굴비를 냉동창고에 저장하는 저장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찜공정은 겉보리가 굴비의 상, 하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세척공정을 통해 내장 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찜기에 정렬하기 이전에 찜기 바닥에 겉보리를 깔아준 후, 정렬된 굴비에 맛술을 스프레이로 고르게 뿌려준 후의 굴비 상부로부터 겉보리를 뿌려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찜공정은 연잎에 다수의 공기구멍을 천공시켜 찜기에 찌되, 찜기의 단수가 4단이 되도록 하여 3분을 찐 후에, 상부의 2단과 하부의 2단을 각기 상하로 교차하여 추가로 3분을 찌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찜공정은 상기 세척공정을 통해 세척된 굴비를 찌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세척공정을 통해 세척된 굴비를 내장 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찜기에 정렬한 후에 다시마 추출혼합액을 굴비의 외부에 접촉되도록 뿌려주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찜공정에서의 다시마 추출혼합액은 다시마를 길이방향에 대하여 2~3cm길이가 되는 일정크기로 잘라 24시간 이상 불린 후, 상부에 위치하는 물은 버리고 하단부분에 위치하는 점액질을 포함하는 다시마 물을 채에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며, 불순물이 제거된 상기 다시마 물에 맛술과 겉보리를 8:1:1의 비율로 혼합하여 36시간에 걸쳐 냉장숙성시킨 후에, 채에 걸러 겉보리를 제거한 후 45~55도의 온도에서 10~15분 동안 가열하여 자연냉각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 다시마 점액질을 포함하는 추출혼합액으로 제공되는 것이 양호하다.
한편, 상기 선별공정에서 선별된 굴비는 30cm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굴비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공정은 상기 포장공정을 통해 포장된 굴비를 냉동창고에 저장하되, 영하 18도 이하의 온도로 냉동창고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아울러, 상기 건조공정은 상기 찜공정을 통해 쪄진 굴비를 철망 위에 찜기 채 올려놓은 후, 연잎을 제거하여 일정시간 건조하되, 5분에 걸쳐 1차적으로 건조한 후에 철망 위에 찜기를 뒤집어서 굴비의 내장 쪽이 위로 향하게 하여 찜공정에서 발생된 생선기름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별공정, 불림공정, 세척공정, 찜공정, 건조공정, 손질공정, 포장공정, 저장공정을 포함함으로써 굴비의 형태가 흐트러짐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맛과 조직감이 우수하고 생선비린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둘째, 굴비의 형태가 흐트러짐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맛과 조직감이 우수하고 생선비린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건강과 위생적인 식품으로 굴비에 대한 냄새와 요리과정 등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장기간 보관, 유통이 가능하여 가정에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찜 보리 굴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은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를 제조하는 것으로, 크게 분류하면 선별공정(S110), 불림공정(S120), 세척공정(S130), 찜공정(S140), 건조공정(S150), 손질공정(S160), 포장공정(S170) 및 저장공정(S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선별공정(S110)은 75일~110일 건조처리된 굴비를 사이즈와 건조상태를 고려하여 선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별공정(S110)에서 선별된 굴비는 30cm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굴비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불림공정(S120)은 상기 선별공정(S110)을 거쳐 선별된 굴비를 물, 설탕, 소금, 소주를 섞은 수용액 내에서 40~50분에 걸쳐 불리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세척공정(S130)은 상기 불림공정(S120)을 통해 불림 처리된 굴비를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찜공정(S140)은 상기 세척공정(S130)을 통해 세척된 굴비를 내장 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찜기에 정렬하고, 정렬된 굴비에 맛술을 스프레이로 고르게 뿌려주며, 겉보리가 굴비의 상, 하부에 접촉되도록 하고, 연잎 뒷면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굴비의 위를 덮은 후 연잎에 다수의 공기구멍을 천공시켜 찜기에 찌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찜공정(S140) 이후에 진행되는 상기 건조공정(S150)은 상기 찜공정(S140)을 통해 쪄진 굴비를 철망 위에 찜기 채 올려놓은 후, 연잎을 제거하여 일정시간 건조한 후, 철망 위에 찜기를 뒤집어서 굴비의 내장 쪽이 위로 향하게 하여 찜공정에서 발생된 생선기름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건조공정(S150)은 상기 찜공정(S140)을 통해 쪄진 굴비를 철망 위에 찜기 채 올려놓은 후, 연잎을 제거하여 일정시간 건조하되, 특히 5분에 걸쳐 1차적으로 건조한 후에 철망 위에 찜기를 뒤집어서 굴비의 내장 쪽이 위로 향하게 하여 찜공정에서 발생된 생선기름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질공정(S160)은 상기 건조과정(S150)을 거친 굴비의 등 지느러미와 꼬리 부분을 다듬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포장공정(S170)은 상기 손질공정(S160)을 통해 손질된 굴비를 머리 부분이 일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하여 찜팩 용기에 한 마리씩 넣어 포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의 마지막 공정인 상기 저장공정(S180)은 상기 포장공정(S170)을 통해 포장된 굴비를 냉동창고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저장공정(S180)은 상기 포장공정(S170)을 통해 포장된 굴비를 냉동창고에 저장하되, 영하 18도 이하의 온도로 냉동창고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에서, 특히 상기 찜공정(S140)은 겉보리가 굴비의 상, 하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찜공정(S140)은 상기 세척공정(S130)을 통해 내장 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찜기에 정렬하기 이전에 찜기 바닥에 겉보리를 깔아준 후, 정렬된 굴비에 맛술을 스프레이로 고르게 뿌려준 후의 굴비 상부로부터 겉보리를 뿌려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찜공정(S140)은 연잎에 다수의 공기구멍을 천공시켜 찜기에 찌되, 찜기의 단수가 4단이 되도록 하여 3분을 찐 후에, 상부의 2단과 하부의 2단을 각기 상하로 교차하여 추가로 3분을 찌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찜공정(S140)은 상기 세척공정(S130)을 통해 세척된 굴비를 찌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세척공정(S130)을 통해 세척된 굴비를 내장 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찜기에 정렬한 후에 다시마 추출혼합액을 굴비의 외부에 접촉되도록 뿌려주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찜공정(S140)에서의 다시마 추출혼합액은 다시마를 길이방향에 대하여 2~3cm길이가 되는 일정크기로 잘라 24시간 이상 불린 후, 상부에 위치하는 물은 버리고 하단부분에 위치하는 점액질을 포함하는 다시마 물을 채에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며, 불순물이 제거된 상기 다시마 물에 맛술과 겉보리를 8:1:1의 부피비율로 혼합하여 36시간에 걸쳐 냉장숙성시킨 후에, 채에 걸러 겉보리 및 불순물을 제거한 후 45~55도의 온도에서 10~15분 동안 가열하여 자연냉각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 다시마 점액질을 포함하는 추출혼합액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특히, 상부에 위치하는 물은 버리고 하단부분에 위치하는 점액질을 포함하는 다시마 물을 채에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의, 상부에 위치하는 물은 버리는 과정은 상부에 위치하는 물을 전체 물에 대하여 50% 버리는 과정으로 진행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와 같은 찜공정(S140)에 적용되는 다시마 추출혼합액을 굴비의 외부에 접촉되도록 뿌려주는 과정에서, 다시마를 일정크기로 자르는 과정은 잘라진 길이방향 단면 부분에서 점액질이 많이 나오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한 다시마 추출혼합액을 굴비의 외부에 접촉되도록 뿌려주는 과정에서, 45~55도의 온도에서 10~15분 동안 가열하는 이유는, 45도 이하로 가열할 경우에는 다시마의 점액질의 점성이 낮으며, 55도 이상으로 가열할 경우에는 다시마의 점액질의 점성이 너무 높아지는 문제에 따른 것이다.
이때, 가열시간도 10~15분 동안 가열하는 이유는 10분 이하이면 다시마의 점액질의 점성이 낮으며, 15분 이상이면 다시마의 점액질의 점성이 너무 높아지는 문제에 따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공되는 다시마 추출혼합액에 내포된 다시마의 점액질은 굴비의 살에 대하여 식감을 쫄깃쫄깃하게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생선살의 부서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공되는 다시마 추출혼합액에 내포된 겉보리는 구수한 맛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맛술은 비린내 제거와 연육작용 등의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찜공정(S140)에 적용되는 다시마 추출혼합액을 굴비의 외부에 접촉되도록 뿌려주는 과정은 상기 건조공정(S15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시마 추출혼합액을 굴비의 외부에 접촉되도록 뿌려주는 과정이 상기 건조공정(S150)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찜공정(S140)을 통해 쪄진 굴비를 철망 위에 찜기 채 올려놓은 후, 연잎을 제거하여 일정시간 건조하되, 5분에 걸쳐 1차적으로 건조한 후에 철망 위에 찜기를 뒤집어서 굴비의 내장 쪽이 위로 향하게 하여 찜공정에서 발생된 생선기름을 제거하는 과정 이후에, 추가로 다시마 추출혼합액을 굴비의 외부에 접촉되도록 뿌려주는 과정과 재차 건조시키는 과정이 추가적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다시마 추출혼합액을 굴비의 외부에 접촉되도록 뿌려주는 과정이 추가로 건조공정(S150)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굴비의 외형에 대하여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식감이 더욱 쫄깃쫄깃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선별공정, 불림공정, 세척공정, 찜공정, 건조공정, 손질공정, 포장공정, 저장공정을 포함함으로써 굴비의 형태가 흐트러짐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맛과 조직감이 우수하고 생선비린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더욱이, 굴비의 형태가 흐트러짐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맛과 조직감이 우수하고 생선비린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건강과 위생적인 식품으로 굴비에 대한 냄새와 요리과정 등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장기간 보관, 유통이 가능하여 가정에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찜 보리 굴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8)

  1.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75일~110일 건조처리된 굴비를 사이즈와 건조상태를 고려하여 선별하는 선별공정(S110);
    상기 선별공정(S110)을 거쳐 선별된 굴비를 물, 설탕, 소금, 소주를 섞은 수용액 내에서 40~50분에 걸쳐 불리는 불림공정(S120);
    상기 불림공정(S120)을 통해 불림 처리된 굴비를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공정(S130);
    상기 세척공정(S130)을 통해 세척된 굴비를 내장 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찜기에 정렬하고, 정렬된 굴비에 맛술을 스프레이로 고르게 뿌려주며, 겉보리가 굴비의 상, 하부에 접촉되도록 하고, 연잎 뒷면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굴비의 위를 덮은 후 연잎에 다수의 공기구멍을 천공시켜 찜기에 찌는 찜공정(S140);
    상기 찜공정(S140)을 통해 쪄진 굴비를 철망 위에 찜기 채 올려놓은 후, 연잎을 제거하여 일정시간 건조한 후, 철망 위에 찜기를 뒤집어서 굴비의 내장 쪽이 위로 향하게 하여 찜공정에서 발생된 생선기름을 제거하는 건조공정(S150);
    상기 건조공정(S150)을 거친 굴비의 등 지느러미와 꼬리 부분을 다듬는 손질공정(S160);
    상기 손질공정(S160)을 통해 손질된 굴비를 머리 부분이 일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하여 찜팩 용기에 한 마리씩 넣어 포장하는 포장공정(S170); 및
    상기 포장공정(S170)을 통해 포장된 굴비를 냉동창고에 저장하는 저장공정(S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찜공정(S140)은 겉보리가 굴비의 상, 하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세척공정(S130)을 통해 내장 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찜기에 정렬하기 이전에 찜기 바닥에 겉보리를 깔아준 후, 정렬된 굴비에 맛술을 스프레이로 고르게 뿌려준 후의 굴비 상부로부터 겉보리를 뿌려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찜공정(S140)은 연잎에 다수의 공기구멍을 천공시켜 찜기에 찌되,
    찜기의 단수가 4단이 되도록 하여 3분을 찐 후에, 상부의 2단과 하부의 2단을 각기 상하로 교차하여 추가로 3분을 찌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찜공정(S140)은 상기 세척공정(S130)을 통해 세척된 굴비를 찌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세척공정(S130)을 통해 세척된 굴비를 내장 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찜기에 정렬한 후에 다시마 추출혼합액을 굴비의 외부에 접촉되도록 뿌려주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찜공정(S140)에서의 다시마 추출혼합액은,
    다시마를 길이방향에 대하여 2~3cm길이가 되는 일정크기로 잘라 24시간 이상 불린 후,
    상부에 위치하는 물은 버리고 하단부분에 위치하는 점액질을 포함하는 다시마 물을 채에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며,
    불순물이 제거된 상기 다시마 물에 맛술과 겉보리를 8:1:1의 부피비율로 혼합하여 36시간에 걸쳐 냉장숙성시킨 후에,
    채에 걸러 겉보리 및 불순물을 제거한 후 45~55도의 온도에서 10~15분 동안 가열하여 자연냉각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 다시마 점액질을 포함하는 추출혼합액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공정(S110)에서 선별된 굴비는 30cm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굴비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정(S180)은 상기 포장공정(S170)을 통해 포장된 굴비를 냉동창고에 저장하되,
    영하 18도 이하의 온도로 냉동창고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정(S150)은 상기 찜공정(S140)을 통해 쪄진 굴비를 철망 위에 찜기 채 올려놓은 후, 연잎을 제거하여 일정시간 건조하되,
    5분에 걸쳐 1차적으로 건조한 후에 철망 위에 찜기를 뒤집어서 굴비의 내장 쪽이 위로 향하게 하여 찜공정에서 발생된 생선기름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
KR1020170027408A 2017-03-03 2017-03-03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 KR101880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408A KR101880263B1 (ko) 2017-03-03 2017-03-03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408A KR101880263B1 (ko) 2017-03-03 2017-03-03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263B1 true KR101880263B1 (ko) 2018-08-17

Family

ID=6340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408A KR101880263B1 (ko) 2017-03-03 2017-03-03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2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406B1 (ko) * 2020-09-15 2021-01-27 토우유통 주식회사 녹차를 함유한 보리굴비의 제조 방법
KR20210024724A (ko) * 2019-08-26 2021-03-08 (주)남도애꽃 보리굴비용 염지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정간편식 보리굴비의 제조방법
KR102352317B1 (ko) * 2021-06-21 2022-01-18 정해란 박하를 이용한 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굴비
KR20220122310A (ko) 2021-02-26 2022-09-02 김태진 레인보우 당근 및 녹차를 이용한 찜 보리굴비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5297B1 (ko) 1998-04-30 2000-09-15 최종환 찜굴비의 제조방법
KR100807298B1 (ko) * 2007-03-08 2008-02-28 박상규 자반생선의 제조방법
KR20110094667A (ko) 2010-02-17 2011-08-24 조윤민 보리굴비포 제조방법
KR20140026581A (ko) * 2014-01-16 2014-03-05 박승재 엿기름을 이용한 고품질 굴비의 제조방법
KR20140038917A (ko) * 2013-11-18 2014-03-31 이지원 연잎을 이용한 연잎말이 염장생선 제조방법
KR20150134742A (ko) 2014-05-23 2015-12-02 서형철 천연 다시마, 클로렐라를 이용한 굴비의 제조방법.(굴비제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5297B1 (ko) 1998-04-30 2000-09-15 최종환 찜굴비의 제조방법
KR100807298B1 (ko) * 2007-03-08 2008-02-28 박상규 자반생선의 제조방법
KR20110094667A (ko) 2010-02-17 2011-08-24 조윤민 보리굴비포 제조방법
KR20140038917A (ko) * 2013-11-18 2014-03-31 이지원 연잎을 이용한 연잎말이 염장생선 제조방법
KR101588584B1 (ko) 2013-11-18 2016-01-27 이지원 연잎을 이용한 연잎말이 염장생선 제조방법
KR20140026581A (ko) * 2014-01-16 2014-03-05 박승재 엿기름을 이용한 고품질 굴비의 제조방법
KR20150134742A (ko) 2014-05-23 2015-12-02 서형철 천연 다시마, 클로렐라를 이용한 굴비의 제조방법.(굴비제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blog.naver.com/mazinga02/220931064183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724A (ko) * 2019-08-26 2021-03-08 (주)남도애꽃 보리굴비용 염지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정간편식 보리굴비의 제조방법
KR102229899B1 (ko) 2019-08-26 2021-03-19 (주)남도애꽃 보리굴비용 염지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정간편식 보리굴비의 제조방법
KR102208406B1 (ko) * 2020-09-15 2021-01-27 토우유통 주식회사 녹차를 함유한 보리굴비의 제조 방법
KR20220122310A (ko) 2021-02-26 2022-09-02 김태진 레인보우 당근 및 녹차를 이용한 찜 보리굴비의 제조방법
KR102352317B1 (ko) * 2021-06-21 2022-01-18 정해란 박하를 이용한 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굴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263B1 (ko) 연잎을 이용한 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
CN101023797B (zh) 海鲜血肠及其加工方法
KR101513866B1 (ko) 명태강정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829020A (zh) 一种炒米糖的制备方法
CN102326771A (zh) 一种蚕豆辣酱的制作方法
CN103584237A (zh) 甜粘青玉米浆面食品
KR101747744B1 (ko) 명태강정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56003B1 (ko) 흰쌀보리를 이용하여 발효한 생선의 반건조 제조방법
KR101873170B1 (ko)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
KR20150134742A (ko) 천연 다시마, 클로렐라를 이용한 굴비의 제조방법.(굴비제품)
KR101540867B1 (ko) 단호박 및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백김치 조성물
JP6208087B2 (ja) 生鮮魚介類燻製の製造方法
CN108902788B (zh) 一种三明治鱼糕制备方法
CN102948825B (zh) 一种即食干扇贝的加工方法
CN109549131A (zh) 一种火焙鱼的加工制作方法
KR101209547B1 (ko) 연잎 육수의 제조방법 및 이 연잎 육수를 이용한 전어 요리의 제조방법
KR101466871B1 (ko) 모시 육수의 제조방법법
KR100694793B1 (ko) 절임생선의 제조방법
KR102249938B1 (ko) 신규한 보리굴비 제조방법
KR101880265B1 (ko) 더덕 장아찌를 이용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
CN104305058A (zh) 一种咖喱竹笋脆片的加工方法
KR100897493B1 (ko) 복분자추출액이 가미된 함초 고추장 굴비장아찌 및 그의제조방법
CN109259069A (zh) 黄河草鱼泡饭
KR101580138B1 (ko) 블록형태의 해태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2342532A (zh) 无水烧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