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170B1 -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170B1
KR101873170B1 KR1020170155592A KR20170155592A KR101873170B1 KR 101873170 B1 KR101873170 B1 KR 101873170B1 KR 1020170155592 A KR1020170155592 A KR 1020170155592A KR 20170155592 A KR20170155592 A KR 20170155592A KR 101873170 B1 KR101873170 B1 KR 101873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washing
polished
pollack
gi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곤
Original Assignee
이원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곤 filed Critical 이원곤
Priority to KR1020170155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with addition of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B4/06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23B4/068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with packages or with shaping in the form of blocks or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L3/363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23L3/36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with packages or with shaping in form of blocks or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명태 반건조 코다리제조방법에 있어서, 내장 등 불가식 부위를 제거하는 1차손질단계(10), 흐르는 물에 세척을 하는 1차세척단계(20), 아가미나 비늘을 추가적으로 제거하는 2차손질단계(30), 다시 흐르는 물에 세척을 하는 2차세척단계(40), 모양을 다듬는 선가공단계(50), 손질 및 세척과정에서 명태에 밴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단계(60), 영양분과 쫄깃한 식감 향상을 위한 숙성단계(70), 자연풍과 열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건조단계(80), 건조 후 모양을 다듬고,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후가공단계(90), 포장 및 보관을 하는 제품화단계(100)로 구성되는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른 코다리에 비해 구수한 냄새가 더욱 증가되었고, 수분함량과 건조상태의 큰 차이 없이 식감이 향상되도록 하였으며, 코다리를 섭취함으로써 추가 영양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한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A method manufacturing of semi dried Pollack}
본 발명은 명태를 이용한 반건조 코다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른 제조방법에 의한 코다리 제조방법 보다 더 구수한 냄새를 갖도록 하는 것이며, 다른 공지된 방법들에 비하여 코다리의 식감을 향상시키고 영양을 증가하도록 개발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명태는 가공 과정에 따라 명태, 황태, 동태, 코다리, 북어로 불리는데, 본 발명에서는 명태를 반건조 형태로 한 코다리에 대하여 향과 식감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명태는 대구과에 속하는 한류성 어종으로서, 최근에는 그 양이 줄기는 하였지만, 우리나라나 러시아 및 일본 근해에서 주로 많이 잡히는 수산물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아주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에서는 명태는 제사상이나 잔칫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날에 반드시 상에 올리는 중요한 생선 중의 하나이며, 전통적으로 명태는 한국의 음식 식재료 중에 가장 대중적인 생선 중에 하나로써 국, 구이, 찜 또는 조림 형태로 많은 음식문화가 발달하여 왔다.
명태는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하며, 메티오닌, 리신, 트립토판과 같은 필수아미노산이 많이 들어있어 해장국으로 많이 이용되며, 기름기가 적어 비만환자나 노인들을 식품으로 좋으며, 칼슘, 비타민A 등이 풍부하여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아이들 성장 발육을 촉진하고, 눈의 건강에 도움을 주며, 고단백 저지방 식재료로써 체중감량의 효과도 준다. 또한 명태는 성질이 따듯한 식재료로써 수족냉증이 있는 환자들에게 적극 권해지는 식재료이기도 하다.
명태는 머리, 꼬리, 살, 내장 등 모든 부위가 식재료로 이용되는데, 살과 내장은 국이나 포, 찌개용으로 이용되며, 알과 창자는 각각 명란젓, 창난젓으로도 이용된다.
또한, 명태는 가공방법에 따른 황태, 북어, 생태 등으로 활용되어 황태구이, 황태찜, 북어국, 북어무침, 생태찌개, 생태매운탕 등이 있으나, 명태를 반건조하는 코다리 또한 자주 섭취하는 음식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는 명태를 이용한 다양한 음식 중에서도 특히 명태의 반건조 식품인 코다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향상시키고자 제조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반건조 한 코다리를 제조함에 있어, 다른 제조방법에 의한 코다리 제조방법 보다 더 구수한 냄새를 갖도록 하고자 하였으며, 다른 공지된 방법들에 비하여 코다리의 식감을 향상시키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생선을 가공하는 과정에 대한 선행기술로서는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6604호 "명태살 수축 방지를 위한 명태양념조림의 제조방법 및 명태양념조림"에서는 명태살 수축방지를 위해 물에 소금 또는 트레할로스인 수분조정제가 3 내지 10% 함유된 수세처리수에, 손질된 명태를 상기 수세처리수와 상기 손질된 명태가 2: 1의 비율이 되도록 하여 1분간 침지시키는 단계; 와 상기 명태를 자연 탈수한 후 튀기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성으로 하는 선행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1786호 "생선 가공방법" 에서는 생선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생선을 세척한 후 녹차추출액과 매실추출액에 침지하는 것을 특성으로 하는 선행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며,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5440호 "황태포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되는 황태포" 에서는 황태포의 열에 의한 수축방지를 위해, 황태포의 등쪽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폭과 길이 및 간격을 갖도록 칼집을 형성하는 단계와; 칼집이 형성된 황태포를 롤러프레스에 통과시켜 롤프레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이 개시되고 있으며,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5601호 "북어포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되는 북어포" 에서는 북어포의 열에 의한 수축방지를 위해, 북어포의 등쪽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폭과 길이 및 간격을 갖도록 칼집을 형성하는 단계와; 칼집이 형성된 북어포를 롤러프레스에 통과시켜 롤프레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이 개시되고 있으며, 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1175호 "건어물 가공품 제조하는 방법" 에서는 건어물 가공품을 만드는 공정에서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며, 전체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선행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상기 선행들과의 차이점은 명태 코다리의 고소한 향을 증가시키고자 한 것이며, 향상된 식감과 영양을 추가하고자 제조방법을 달리하였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6604호 (2007. 01. 03)
명태살 수축 방지를 위한 명태양념조림의 제조방법 및 명태양념조림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1786호 (2011. 03. 04)
생선 가공방법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5440호 (2011. 08. 02)
황태포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되는 황태포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5601호 (2012. 05. 02)
북어포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되는 북어포
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1175호 (2013. 09. 15)
건어물 가공품 제조하는 방법
명태 코다리는 보통 불가식 부위를 제거하고 세척한 후 반건조 상태로 코다리를 제조하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수분의 함량과 적절한 건조상태가 되지 않으면 너무 무르거나 너무 딱딱한 상태가 되버리는 경우가 있고, 그에 따라 향과 식감차이가 많이 나게 된다.
실제 명태 코다리를 선호하지 않는 이유 중의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가 건조된 상태의 냄새에서 비롯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코다리 회무침, 코다리 찜 등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명태 코다리를 식품으로서 많이 활용하고 있는 차별화된 구수한 향의 증가를 위해 명태 부위 중 특정 부위를 포함시켜 건조한 결과 구수한 향이 증가된다는 것을 이용한 것이며, 수분의 함유상태와 건조정도의 편차에도 불구하고 좀 더 쫄깃한 식감과 추가적인 영양을 제공하고자 일반적인 코다리 제조방법과 달리 숙성과정을 통해 명태 반건조 코다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1차손질단계(10)에서는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부분을 제외한 내장 등 불가식 부위를 제거하고, 1차세척단계(20)에서는 흐르는 물에 세척을 하고, 2차손질단계(30)에서는 아가미나 비늘을 추가적으로 제거한 다음, 2차세척단계(40)에서는 다시 흐르는 물에 세척을 하고, 선가공단계(50)에서는 모양을 다듬는 단계이고, 탈수단계(60)에서는 손질 및 세척과정에서 명태에 밴 수분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건조과정과는 다르며, 숙성단계(70)에서는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인 영양분과 쫄깃한 식감 향상을 위한 숙성단계를 거치며, 건조단계(80)에서는 자연풍과 열을 이용하여 건조하고, 후가공단계(90)에서는 건조 후 모양을 다듬고,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제품화단계(100)에서는 포장 및 보관을 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의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에 의하면 반건조된 코다리가 1)다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다리에 비해 구수한 냄새가 더욱 증가되었고, 2)수분함량과 건조상태의 편차에도 불구하고 큰 차이 없이 쫄깃한 식감이 향상되도록 하였으며, 3)코다리를 섭취함으로써 추가 영양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 중 실시예 1에 의한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중 실시예 2에 의한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은 크게 내장 등 불가식 부위를 제거하는 1차손질단계(10), 흐르는 물에 세척을 하는 1차세척단계(20), 아가미나 비늘을 추가적으로 제거하는 2차손질단계(30), 다시 흐르는 물에 세척을 하는 2차세척단계(40), 모양을 다듬는 선가공단계(50), 손질 및 세척과정에서 명태에 밴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단계(60), 영양분과 쫄깃한 식감 향상을 위한 숙성단계(70), 자연풍과 열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건조단계(80), 건조 후 모양을 다듬고,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후가공단계(90), 포장 및 보관을 하는 제품화단계(100)로 크게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1차손질단계 ; 10>
제1단계인 1차손질단계(10) 에서는 먼저 해동이 된 명태를 준비 및 세척한 후, 불가식 부위인 내장과 아가미와 비늘을 제거한다.
다만,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인 건조 후 구수한 냄새가 증가된 반건조 코다리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명태 등줄기 부위의 핏줄을 제거하지 않고 남겨둔다.
기존의 제조방법에 의한 코다리는 적절한 수분의 함량과 적절한 건조상태가 되지 않으면 너무 무르거나 너무 딱딱한 상태가 되버리는 경우가 있고, 그에 따라 향과 식감차이가 많이 나게 된다.
실제 명태 코다리를 선호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가 건조된 상태 이후의 냄새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코다리 회무침, 코다리 찜 등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명태 코다리를 식품으로서 많이 활용하고자 차별화된 구수한 향의 증가를 위해 명태 부위 중 특정 부위를 포함시켜 건조한 결과 구수한 향이 특별히 증가된다는 것을 이용한 것이며, 수분의 함유상태와 건조정도의 편차에도 불구하고 구수한 향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보통의 코다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명태의 등줄기 부위의 핏줄을 깨끗하게 제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시각적으로도 보기가 좋지 않고, 건조 후 그냥 섭취하게 되면 질긴 부위로 남기 때문에, 미리 건조과정 전 손질과정에서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명태 반건조 코다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명태의 등줄기 부위의 핏줄을 함께 건조하게 되면 명태 자체의 고소한 향과 맛이 증가함을 알게 되었고, 이를 이용하고자 손질단계에서는 남겨두고 건조단계 이후에서 제거하도록 한다.
내장과 아가미와 비늘 부위는 반건조 후 냄새와 맛 그리고 섭취불가능한 부위이므로 제거하게 되지만, 명태의 등줄기 부위의 핏줄을 그대로 두고 건조시에는 구수한 명태 향이 더욱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1차세척단계 ; 20>
제2단계인 1차세척단계(20) 에서는 상기 1차손질단계(10)에서 손질된 명태를 흐르는 물에 세척한다.
명태 코다리를 이용한 코다리 찜 또는 코다리 회무침 등을 거부하는 큰 이유중의 하나가 특유의 냄새 때문이기 때문에 내장 부위 등을 말끔하게 세척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2차손질단계 ; 30>
제3단계인 2차손질단계(30) 에서는 1차손질단계(10)에서 손질 후 1차세척단계(20)에서 세척을 한 후 추가적으로 남아있을 수 있는 아가미 부위나 비늘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이 단계는 1차손질단계(10)에 추가된 단계이므로, 선택적인 단계일 수 있으나, 명태에서 내장이나 아가미 등을 말끔하게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 단계이다.
<2차세척단계 ; 40>
제4단계인 2차세척단계(40) 에서는 2차손질단계(30)에서 추가 손질된 명태를 흐르는 물에 추가로 세척한다.
이 단계 또한, 앞선 2차손질단계(30)가 추가된 경우에 의미가 있다.
<선가공단계 ; 50>
제5단계인 선가공단계(50)는 세척 및 손질된 명태를 3~5Cm 크기로 자르고, 보기 좋은 형태를 유지하도록 모양을 다듬는 단계이다.
명태 반건조 코다리는 코다리 찜과 코다리 회무침으로 주로 이용되는데, 코다리 찜의 경우 한 입의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르고, 코다리 회무침으로 이용하더라도 작은 크기로 추가적으로 자르기 용이하도록 함이다.
또한, 명태 반건조 코다리 형태를 유지하도록 모양을 다듬기 위해서는 코다리를 가볍게 두드려 준다.
또한, 시각적으로도 보기좋게 하고, 이후 숙성단계에서 숙성의 효율성을 위하고, 실제 섭취시 섭취를 용이하도록 칼집을 낸다.
칼집의 길이는 1~4Cm로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칼집간의 폭은 다양하게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2Cm로 할 수 있다.
칼집의 깊이는 0.5~1C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집이 너무 깊으면 건조과정에서 틈이 커지게 되므로 섭취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탈수단계 ; 60>
제6단계인 탈수단계(60)는 선가공단계(50) 후 손질 및 세척과정에서 명태에 밴 수분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건조단계(80)와는 전혀 다른 단계이다.
즉, 이후 단계인 숙성단계(70)에서 숙성의 효율성을 위해 미리 명태 개체 내의 수분을 제거한다.
자연건조 방식으로 매달은 상태에서 20~25℃에서 10~15시간 정도 탈수과정을 거친다.
<숙성단계 ; 70>
일반적으로 명태 반건조 코다리는 숙성과정 없이 단순 건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달리, 본 제조방법은 기본숙성액으로 맛을 조미하거나, 건조의 정도에 따라 식감의 영향을 덜 받도록 하여 식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료를 추가하거나, 한약재를 추가하여 단순한 명태 코다리에 추가적 영양소를 함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숙성과정을 추가하였다.
제7단계인 숙성단계(70)는 기본숙성액으로서, 명태 코다리 1Kg당 소금 10~15g과 함께 물을 부어 숙성시킨다.
또한, 명태 조직에 식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콜라젠을 추가할 수 있다.
콜라젠은 피부, 혈관, 뼈, 치아, 근육 등 모든 결합조직의 주된 단백질로서 세포간 메트릭스로서 존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명태의 조직내부에 콜라젠이 투입되면, 식감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콜라젠을 녹이기 위해서 미리 물을 30~40℃로 온도로 중탕시킨 물 100g 에 콜라젠 분말 5~10g을 넣으면 물에 녹아 콜라젠 액이 된다.
상기에서 미리 준비한 콜라젠 액은 명태 코다리 1Kg당 콜라젠액 100g을 추가하여 물을 부어 숙성시킨다.
또한, 이 숙성단계에서 한약재를 추가하여 향도 중화시키고 영양분도 증가시키기 위해 인삼가루 또는 인삼액을 추가하여 숙성시킨다.
명태 코다리 1Kg당 인삼액 30~40g을 함께 추가하여 숙성시킨다.
이외에도 다양한 영양분을 추가하고자 다양한 한약재농축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명태 코다리 1Kg당 숙성액으로 숙성하는 과정은 20~25℃의 실온에서 1~2일간 숙성시킨다.
상기 숙성단계(70)를 통해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인 인삼의 영양분을 추가로 보충할 수 있게 되고, 콜라젠에 의해 명태 조직의 쫄깃한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건조단계 ; 80>
제8단계인 건조단계(80)는 상기 숙성단계(70)에서 숙성시킨 명태 코다리를 건조하는 단계이다.
건조방법으로는 자연건조방법, 열풍건조방법, 냉풍건조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숙성된 명태를 15~25℃에서 자연건조방법에 의한 바람을 통해 3~4일 건조하였다.
<후가공단계 ; 90>
제9단계인 후가공단계(90)는 건조 후 전체적인 모양을 다듬고, 건조과정에서 발생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즉, 건조 후 거칠어진 부분이나 변형된 부분에 대해 후가공하는 단계이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본 발명의 특유한 목적인 구수한 냄새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1차손질단계(10)에서 명태 등줄기의 핏줄을 제거하지 않고, 1차세척단계(20), 2차손질단계(30), 2차세척단계(40), 선가공단계(50), 탈수단계(60), 건조단계(80)를 통해 건조시키는 바, 실제 제품화를 위해서는 시각적으로나 실제 섭취시 질긴 부분이 되는 핏줄 부위의 제거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제품화단계 ; 100>
제10단계인 제품화단계(100)는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서 포장한 후 4~5℃에서 냉장 보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설명을 하지만,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숙성단계(70)없이 바로 건조단계(80)를 실시한 실시예
실시예 1은 1차손질단계(10)에서 해동이 된 명태를 준비 및 세척한 후, 명태 등줄기 부위의 핏줄은 제거하지 않고 불가식 부위인 내장과 아가미와 비늘을 제거하고, 1차세척단계(20)에서 손질된 명태를 흐르는 물에 세척한다. 2차손질단계(30)에서 추가적으로 남아있을 수 있는 아가미 부위나 비늘을 제거한다. 2차세척단계(40)에서 추가로 손질된 명태를 흐르는 물에 추가로 세척한다.
선가공단계(50)에서 손질된 명태를 3~5Cm 크기로 자르고, 길이는 1~4Cm, 폭 1~2Cm, 깊이는 0.5~1Cm 의 칼집을 내고, 탈수단계(60)에서 수분을 제거한 후 건조단계(80)에서 숙성된 명태를 15~25℃에서 3~4일 건조한다.
후가공단계(90)에서 건조 후 전체적인 모양을 다듬고, 구수한 냄새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1차손질단계(10)에서 제거되지 않은 명태 등줄기의 핏줄을 건조단계(80)이후, 실제 제품화를 위해서는 시각적으로나 실제 섭취시 질긴 부분이 되는 핏줄 부위제거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제품화단계(100)에서 포장한 후 4~5℃에서 냉장 보관한다.
<실시예 2> 숙성단계(70)에서 기본숙성액만을 사용한 실시예
실시예 2는 1차손질단계(10)에서 해동이 된 명태를 준비 및 세척한 후, 명태 등줄기 부위의 핏줄은 제거하지 않고 불가식 부위인 내장과 아가미와 비늘을 제거하고, 1차세척단계(20)에서 손질된 명태를 흐르는 물에 세척한다. 2차손질단계(30)에서 추가적으로 남아있을 수 있는 아가미 부위나 비늘을 제거한다. 2차세척단계(40)에서 추가로 손질된 명태를 흐르는 물에 추가로 세척한다.
선가공단계(50)에서 손질된 명태를 3~5Cm 크기로 자르고, 길이는 1~4Cm, 폭 1~2Cm, 깊이는 0.5~1Cm 의 칼집을 내고, 탈수단계(60)에서 수분을 제거한 후 숙성단계(70)에서 기본숙성액으로서, 명태 코다리 1Kg당 소금 10~15g을 물에 넣어 20~25℃의 실온에서 1~2일간 숙성시킨다.
건조단계(80)에서 숙성된 명태를 15~25℃에서 3~4일 건조한다.
후가공단계(90)에서 건조 후 전체적인 모양을 다듬고, 구수한 냄새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1차손질단계(10)에서 제거되지 않은 명태 등줄기의 핏줄을 건조단계(80)이후, 실제 제품화를 위해서는 시각적으로나 실제 섭취시 질긴 부분이 되는 핏줄 부위제거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제품화단계(100)에서 포장한 후 4~5℃에서 냉장 보관한다.
<실시예 3> 숙성단계(70)에서 기본숙성액과 콜라젠을 추가한 실시예
실시예 3은 1차손질단계(10)에서 해동이 된 명태를 준비 및 세척한 후, 명태 등줄기 부위의 핏줄은 제거하지 않고 불가식 부위인 내장과 아가미와 비늘을 제거하고, 1차세척단계(20)에서 손질된 명태를 흐르는 물에 세척한다. 2차손질단계(30)에서 추가적으로 남아있을 수 있는 아가미 부위나 비늘을 제거한다. 2차세척단계(40)에서 추가로 손질된 명태를 흐르는 물에 추가로 세척한다.
선가공단계(50)에서 손질된 명태를 3~5Cm 크기로 자르고, 길이는 1~4Cm, 폭 1~2Cm, 깊이는 0.5~1Cm 의 칼집을 내고, 탈수단계(60)에서 수분을 제거한 후 숙성단계(70)에서 기본숙성액으로서, 명태 코다리 1Kg당 소금 10~15g과 물 100g 에 콜라젠 분말 5~10g을 넣어 녹인 콜라젠액 100g을 함께 물에 넣어 20~25℃의 실온에서 1~2일간 숙성시킨다.
건조단계(80)에서 숙성된 명태를 15~25℃에서 3~4일 건조한다.
후가공단계(90)에서 건조 후 전체적인 모양을 다듬고, 구수한 냄새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1차손질단계(10)에서 제거되지 않은 명태 등줄기의 핏줄을 건조단계(80)이후, 실제 제품화를 위해서는 시각적으로나 실제 섭취시 질긴 부분이 되는 핏줄 부위제거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제품화단계(100)에서 포장한 후 4~5℃에서 냉장 보관한다.
<실시예 4> 숙성단계(70)에서 기본숙성액과 콜라젠과 약재를 추가한 실시예
실시예 4는 1차손질단계(10)에서 해동이 된 명태를 준비 및 세척한 후, 명태 등줄기 부위의 핏줄은 제거하지 않고 불가식 부위인 내장과 아가미와 비늘을 제거하고, 1차세척단계(20)에서 손질된 명태를 흐르는 물에 세척한다. 2차손질단계(30)에서 추가적으로 남아있을 수 있는 아가미 부위나 비늘을 제거한다. 2차세척단계(40)에서 추가로 손질된 명태를 흐르는 물에 추가로 세척한다.
선가공단계(50)에서 손질된 명태를 3~5Cm 크기로 자르고, 길이는 1~4Cm, 폭 1~2Cm, 깊이는 0.5~1Cm 의 칼집을 내고, 탈수단계(60)에서 수분을 제거한 후 숙성단계(70)에서 기본숙성액으로서, 명태 코다리 1Kg당 소금 10~15g과 물 100g 에 콜라젠 분말 5~10g을 넣어 녹인 콜라젠액 100g과 인삼액 30~40g을 함께 물에 넣어 20~25℃의 실온에서 1~2일간 숙성시킨다.
건조단계(80)에서 숙성된 명태를 15~25℃에서 3~4일 건조한다.
후가공단계(90)에서 건조 후 전체적인 모양을 다듬고, 구수한 냄새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1차손질단계(10)에서 제거되지 않은 명태 등줄기의 핏줄을 건조단계(80)이후, 실제 제품화를 위해서는 시각적으로나 실제 섭취시 질긴 부분이 되는 핏줄 부위제거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제품화단계(100)에서 포장한 후 4~5℃에서 냉장 보관한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 1, 2, 3 및 4와 보통의 코다리를 이용하여 코다리찜을 만든 경우 비교예
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다리를 이용한 코다리찜과 일반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다리를 이용한 코다리찜을 이용하여 식당 및 수요자에게 선호도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목적인 구수한 향의 증가를 확인하기 위한 향의 차이와 건조의 편차에도 불구하고 쫄깃한 식감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전체적인 맛의 선호도를 확인하였다.
실시예별 차이점은 표 1과 같으며, 응답자들에게 중복 응답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그에 대한 결과는 표 2과 같다.
차이점 1 차이점 2
보통 코다리 손질단계(10)에서 등줄기 부위 핏줄 제거 숙성단계(70) 없음
실시예 1 손질단계(10)에서 등줄기 부위 핏줄 포함 숙성단계(70) 없음
실시예 2 손질단계(10)에서 등줄기 부위 핏줄 포함 숙성단계(70)에서 기본숙성
실시예 3 손질단계(10)에서 등줄기 부위 핏줄 포함 숙성단계(70)에서 기본숙성 + 콜라젠 추가
실시예 4 손질단계(10)에서 등줄기 부위 핏줄 포함 숙성단계(70)에서 기본숙성 + 콜라젠 + 인삼액 추가
구수한 냄새 식감 맛의 선호도
보통 코다리 0 0 3
실시예 1 33 5 12
실시예 2 35 36 29
실시예 3 33 49 54
실시예 4 46 50 45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과 같이 구수한 냄새는 본 제조방법에 의한 손질단계(10)에서의 등줄기 부위 필줄을 제거하지 않은 손질방법에 의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가 훨씬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두 번째 목적과 같이 쫄깃한 식감의 면에서는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 와 같이 숙성단계(70)를 통하여 숙성 후 건조한 것이 훨씬 좋은 결과를 보였다.
우리나라에서 많이 선호되고 있는 식품 중의 하나임에도 코다리 특유의 향으로 인해 선호도가 떨어질 수 있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차별화된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이며, 상기에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그 우수성이 입증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차별화되고 선호도가 높은 코다리를 제공하여 수요를 증대시켜 명태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통해 명태 농가 및 가공식품업계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산업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다.
10 : 1차손질단계 20 : 1차세척단계
30 : 2차손질단계 40 : 2차세척단계
50 : 선가공단계 60 : 탈수단계
70 : 숙성단계 80 : 건조단계
90 : 후가공단계 100 : 제품화단계

Claims (5)

  1. 명태를 준비 및 세척한 후, 명태 등줄기 부위의 핏줄은 제거하지 않고 불가식 부위인 내장과 아가미와 비늘을 제거하는 1차손질단계(10);
    손질된 명태를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1차세척단계(20);
    추가적으로 남아있는 아가미 부위나 비늘을 제거하는 2차손질단계(30);
    추가로 손질된 명태를 흐르는 물에 추가로 세척하는 2차세척단계(40);
    손질 및 세척된 명태를 3~5Cm 크기로 자르고, 길이 1~4Cm, 폭 1~2Cm, 깊이 0.5~1Cm 로 칼집을 내는 선가공단계(50);
    20~25℃에서 10~15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단계(60);
    탈수된 명태를 15~25℃에서 3~4일 건조하는 건조단계(80);
    건조 후 전체적인 모양을 다듬는 후가공단계(90);
    포장 후 4~5℃에서 냉장 보관하는 제품화단계(1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
  2. 명태를 준비 및 세척한 후, 명태 등줄기 부위의 핏줄은 제거하지 않고 불가식 부위인 내장과 아가미와 비늘을 제거하는 1차손질단계 (10);
    손질된 명태를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1차세척단계(20);
    추가적으로 남아있는 아가미 부위나 비늘을 제거하는 2차손질단계(30);
    추가로 손질된 명태를 흐르는 물에 추가로 세척하는 2차세척단계 (40);
    손질 및 세척된 명태를 3~5Cm 크기로 자르고, 길이 1~4Cm, 폭 1~2Cm, 깊이 0.5~1Cm 로 칼집을 내는 선가공단계(50);
    20~25℃에서 10~15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단계(60);
    명태 코다리 1Kg기준 소금 10~15g을 물에 넣어 20~25℃의 실온에서 1~2일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70);
    숙성된 명태를 15~25℃에서 3~4일 건조하는 건조단계(80);
    건조 후 전체적인 모양을 다듬는 후가공단계(90);
    포장 후 4~5℃에서 냉장 보관하는 제품화단계(1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숙성단계(70)는 명태 코다리 1Kg기준 소금 10~15g과 물 100g에 콜라젠 분말 5~10g을 넣어 녹인 콜라젠액 100g을 물에 넣어 20~25℃의 실온에서 1~2일간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
  4.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숙성단계(70)에서 명태 코다리 1Kg기준 인삼액 30~40g을 추가로 넣어 20~25℃의 실온에서 1~2일간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가공단계(90)에서 구수한 냄새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1차손질단계(10)에서 제거되지 않은 명태 등줄기의 핏줄을 건조단계(80)이후, 시각적으로나 좋지 않거나 섭취시 질긴 부분이 되는 핏줄 부위를 제거하는 것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
KR1020170155592A 2017-11-21 2017-11-21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 KR101873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592A KR101873170B1 (ko) 2017-11-21 2017-11-21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592A KR101873170B1 (ko) 2017-11-21 2017-11-21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170B1 true KR101873170B1 (ko) 2018-07-02

Family

ID=6291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592A KR101873170B1 (ko) 2017-11-21 2017-11-21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1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145B1 (ko) 2018-11-06 2020-01-08 이시은 코다리 조림용 분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다리 조림의 제조 방법
KR20200031368A (ko) * 2018-09-14 2020-03-24 최정호 냉동명태의 해동방법
KR20230001191A (ko) 2021-06-28 2023-01-04 황영욱 반건조 명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364B1 (ko) * 2017-04-18 2017-08-29 하경원 명태 회무침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364B1 (ko) * 2017-04-18 2017-08-29 하경원 명태 회무침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cafe.daum.net/urinaramanse/d9uV/14(2016.05.06.)*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368A (ko) * 2018-09-14 2020-03-24 최정호 냉동명태의 해동방법
KR102137434B1 (ko) 2018-09-14 2020-07-24 최정호 냉동명태의 해동방법
KR102051145B1 (ko) 2018-11-06 2020-01-08 이시은 코다리 조림용 분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다리 조림의 제조 방법
KR20230001191A (ko) 2021-06-28 2023-01-04 황영욱 반건조 명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45220B (zh) 一种多味烤鳗片的加工工艺
KR101119227B1 (ko) 친환경 육우를 이용한 육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13866B1 (ko) 명태강정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73170B1 (ko) 명태 반건조 코다리 제조방법
CN105105213A (zh) 即食香辣鱼及制备方法
CN103549512A (zh) 一种即食虾仁及其加工方法
CN107006786A (zh) 一种即食五香牛肉干的制备方法
CN105124648A (zh) 一种即食烟熏鲟鱼片及其加工方法
KR102431054B1 (ko) 라면용 해산물 조미료 제조방법
KR101747744B1 (ko) 명태강정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461910A (zh) 一种猪皮营养条
KR101841877B1 (ko) 명태코다리무침 제조방법
KR102371642B1 (ko) 전복육포 제조방법 및 그 소스 조성물
CN105725243A (zh) 一种蟹黄汤包的制作方法
KR102033691B1 (ko) 감잎 및 고추장을 이용한 고추장굴비의 제조 방법
CN108902788B (zh) 一种三明治鱼糕制备方法
KR101772364B1 (ko) 명태 회무침 제조방법
KR102222052B1 (ko) 간장전복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수득 되는 간장전복
CN107048241A (zh) 即食风味鱿鱼条及其制备方法
KR20190022077A (ko) 생약추출물을 첨가한 어포, 육포를 이용한 다식 제조방법
CN107410944A (zh) 一种乌龙茶风味的草鱼干及其制备方法
CN106072009A (zh) 一种风味鲳鱼及其制备方法
KR101465700B1 (ko) 키토올리고당 및 키토산을 이용한 고등어, 삼치 또는 오징어의 비열처리 가공 방법
CN111743092A (zh) 一种卤猪蹄调味料及基于其的卤猪蹄制作方法
CN103892249A (zh) 一种具有健体美容的芦荟酱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