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409B1 - 1회용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1회용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409B1
KR101871409B1 KR1020147027342A KR20147027342A KR101871409B1 KR 101871409 B1 KR101871409 B1 KR 101871409B1 KR 1020147027342 A KR1020147027342 A KR 1020147027342A KR 20147027342 A KR20147027342 A KR 20147027342A KR 101871409 B1 KR101871409 B1 KR 101871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hook element
chassis
tape tab
temporar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0566A (ko
Inventor
?스케 다키노
가츠후미 아오키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140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2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간이한 동작으로 착용 후의 1회용 착용 물품을 고정할 수 있는 테이프 탭을 가지는 1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한다.
1회용 기저귀(1)는 섀시(10)와, 섀시(10)의 피부 대향면에 배치된 흡액 구조체(40)와, 섀시(10)의 비 피부 대향면에 장착된 테이프 탭(70)을 포함한다. 테이프 탭(70)은, 뒤쪽 웨이스트 시트(22)에 장착됨과 함께, 서로 포개지고, 각각 세로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영역에는 제 2 영역에 대향하는 면에 훅 요소(74)가 설치되나, 훅 요소(74)는 제 2 영역에 대해 실질적으로 괘지되지 않는다. 훅 요소가 설치된 파스닝부의 세로방향(Y) 외측에는, 제 1 및 제 2 영역의 일부를 임시 고정하는 제 1 임시 고정부(76)와, 제 1∼제 3 영역의 일부를 임시 고정하는 제 2 임시 고정부(77)가 각각 설치된다.

Description

1회용 착용 물품{DISPOSABLE WORN ARTICLE}
본 발명은 1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후의 1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일방(一方)의 단부(端部)를 내측으로 하여 타방(他方)의 단부를 향해 말아서 뭉치고, 이것을 고정하기 위한 테이프 탭을 가지는 1회용 기저귀, 1회용 토일릿·트레이닝 팬츠, 1회용 실금 팬츠, 1회용 생리용 팬츠, 1회용 흡수 패드 등의 1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착용 후의 1회용 착용 물품을 뭉쳐서 고정하기 위한 테이프 탭을 가지는 1회용 착용 물품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테이프 기재(基材)에 메커니컬 훅이 설치된 테이프 탭을 구비하는 1회용 착용 물품이 개시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0-137008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착용 물품에 의하면, 테이프 기재는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고, 메커니컬 훅이 설치된 메커니컬 훅부와, 메커니컬 훅이 설치되지 않고 부직포가 노출되는 노출부를 가진다. 이와 같은 테이프 탭은, 그 사용 전에 있어서는, 메커니컬 훅이 내측이 되도록, 메커니컬 훅부와 노출부가 대향하여 접히고, 메커니컬 훅이 노출부의 부직포의 섬유에 감기게 함으로써, 이들이 서로 연결되어, 접힌 상태가 유지된다. 착용 후의 1회용 착용 물품을 폐기하는 경우에 있어서, 착용 물품의 일단(一端)이 내측이, 타단(他端)이 외측이 되도록 감아서 뭉치고, 테이프 탭의 메커니컬 훅으로 이것을 고정할 수 있다. 즉, 테이프 탭은, 메커니컬 훅부와 노출부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접힌 상태로부터 신장시켜, 메커니컬 훅을 착용 물품 본체에 연결시킴으로써, 둥글게 뭉친 착용 물품이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 물품 내의 배설물이 외측에 노출되는 일 없이, 또한, 착용 물품을 콤팩트하게 하여 폐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메커니컬 훅은 그 전면(全面)이 노출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메커니컬 훅부를 상방으로 끌어 올리도록 해서 이 연결을 해제하여, 메커니컬 훅부와 노출부를 신전(伸展)시키고, 메커니컬 훅을 착용 물품 본체의 원하는 위치에 연결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이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메커니컬 훅부를 끌어올려 신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착용 후의 1회용 착용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에 불필요함이 생겨, 번거로움을 느낀다.
본 발명은 종래의 착용 물품의 개량으로서, 간이한 동작으로 착용 후의 1회용 착용 물품을 고정할 수 있는 테이프 탭을 가지는 1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세로방향 및 그것에 직교하는 가로방향을 가지고, 피부 대향면 및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비(非) 피부 대향면을 가지는 섀시와, 상기 비 피부 대향면에 장착된 테이프 탭을 포함하는 1회용 착용 물품의 개량에 관계된다.
본 발명은, 상기 1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탭은, 섬유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고, 메커니컬 파스너의 훅 요소가 설치된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섀시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영역과,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절곡부를 따라 접혀 상기 훅 요소를 내측으로 하여 포개지고, 상기 제 1 영역은, 적어도 그 일부에 상기 훅 요소가 설치된 파스닝부와, 상기 파스닝부와 상기 절곡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와, 상기 파스닝부의 상기 중간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부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중간부에는,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을 서로 임시 고정하는 제 1 임시 고정부 및 제 2 임시 고정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훅 요소는, 상기 제 2 영역과는 비 괘지(掛止)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히 그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의하면,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손잡이부와 중간부에 있어서, 임시 고정부에 의해 임시 고정된다. 임시 고정부를 잡아당겨 임시 고정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제 1 영역을 제 2 영역으로부터 신전시킬 수 있으므로, 제 1 영역의 훅 요소를 간이한 동작으로 다른 부분에 괘지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에 관계되는 1회용 착용 물품의 일례로서의 1회용 기저귀의 앞쪽 웨이스트 영역측에서부터 본 사시도.
[도 2] 1회용 기저귀의 뒤쪽 웨이스트 영역측에서부터 본 사시도.
[도 3] 1회용 기저귀의 일부 파단 전개도.
[도 4] 1회용 기저귀의 분해 사시도.
[도 5] 도 3의 V-V선 확대 단면도.
[도 6] (a) 1회용 기저귀를 둥글게 뭉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 둥글게 뭉친 1회용 기저귀를 테이프 탭으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a)∼(d) 테이프 탭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1회용 기저귀(1)는,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 및 그 반대측인 비 피부 대향면을 가지고, 섀시(10)와, 섀시(10)의 피부 대향면에 배치된 흡액 구조체(40)와, 섀시(10)의 비 피부 대향면에 장착된 테이프 탭(70)을 포함한다. 섀시(10)는 앞쪽 웨이스트 영역(11)과, 뒤쪽 웨이스트 영역(12)과,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 사이에 위치하는 크러치(crotch) 영역(13)과, 가로방향(X)으로 연장되는 전후 단부(14, 15) 및 세로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부(16)를 가진다. 테이프 탭(70)은, 뒤쪽 웨이스트 영역(12)의 비 피부 대향면에 있어서 세로방향(Y)으로 연장된다. 양측 가장자리부(16)에는, 세로방향(Y)으로 단속적(斷續的)으로 연장되는 손으로 찢을 수 있는 심(seam)(17)이 형성되고, 심(17)으로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연결됨으로써, 전후 단부(14, 15)에 의해 웨이스트 개구가 형성되고, 크러치 영역(13)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부(16)에 의해 레그 개구가 형성된다. 기저귀(1)를 착용자로부터 떼어낼 때, 심(17) 근방의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을 착용자 또는 간병인이 양손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잡아당겨, 그러한 웨이스트 영역을 분리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기저귀(1)는, 가로방향(X)에 있어서의 치수를 이등분한 가상 세로 중심선(2-2), 세로방향(Y)에 있어서의 치수를 이등분한 가상 가로 중심선(3-3)을 가지고, 가상 세로 중심선(2-2)에 관하여 대칭으로 된다. 이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각 탄성체는, 그 수축력에 저항하여 신장시킨 상태로 나타내어진다.
섀시(10)는, 비 피부 대향면에 위치함과 함께,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을 획정(劃定)하는 비 신축성의 전후 웨이스트 시트(21, 22)와, 이러한 전후 웨이스트 시트(21, 22)를 연결함과 함께 크러치 영역(13)을 획정하는 비 신축성의 크러치 시트(23)와, 앞쪽 웨이스트 영역(11)에 배치된 신축성의 제 1 탄성 시트(31)와, 뒤쪽 웨이스트 영역(12)에 배치된 신축성의 제 2 탄성 시트(32)를 포함한다. 전후 웨이스트 시트(21, 22) 및 크러치 시트(23)의 내측에는 흡액 구조체(40)가 배치된다.
전후 웨이스트 시트(21, 22) 및 크러치 시트(23)로는, 예를 들면, 질량이 약 10∼40g/㎡, 바람직하게는 약 13∼20g/㎡, 섬유 밀도가 약 0.03∼0.10g/㎤, 바람직하게는 약 0.04∼0.09g/㎤인 열융착성의 스판본드 섬유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탄성 시트(31, 32)는, 직사각형을 가지고, 제 1 및 제 2 웨이스트 영역(11, 12)의 양측 가장자리부(16) 사이에 있어서 가로방향(X)으로 연장된다. 제 1 및 제 2 탄성 시트(31, 32)는, 예를 들면, 질량이 약 20∼50g/㎡, 바람직하게는 약 30∼40g/㎡, 섬유 밀도가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5∼0.035g/㎤의 범위인 열융착성의 엘라스토머 섬유로 이루어지는 신축성 섬유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머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머 이외의 열가소성 폴리머, 예를 들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염화비닐계 엘라스토머, 아미드계 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스티렌 등의 폴리올레핀류의 폴리머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포함하는 혼합 섬유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탄성 시트(31, 32)는 적어도 가로방향(X)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하다.
제 1 탄성 시트(31)는, 흡액 구조체(40)의 바닥면에 있어서, 전단부(前端部)(40a)에 겹쳐지고, 가로방향(X)으로 신장 상태에서 수축 가능하게 장착된다. 앞쪽 웨이스트 시트(21)는, 가로방향(X)으로 연장되는 접는 금(24)을 따라 가상 가로 중심선(3-3)을 향해 접혀, 흡액 구조체(40)의 전단부(40a)를 덮고, 또한, 제 1 탄성 시트(31)에 겹쳐진다. 접는 금(24)이 기저귀(1)의 전단부(14)를 형성한다.
앞쪽 웨이스트 시트(21)에는, 접는 금(24)을 따라, 스트랜드 형상 또는 스트링 형상의 복수개의 탄성체(61)가, 가로방향(X)으로 신장 상태에서 수축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 1 탄성 시트(31) 및 탄성체(61)에 의해, 앞쪽 웨이스트 영역(11)이 가로방향(X)으로 탄성화되고, 착용자에게 밀착 가능하게 된다. 특히, 제 1 탄성 시트(31)가 착용자의 복부에 대한 밀착성에 기여하고, 탄성체(61)가 기저귀(1)의 착용자 웨이스트에의 고정과 웨이스트 개구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 방지에 기여하고 있다.
제 2 탄성 시트(32)는, 흡액 구조체(40)의 흡수면에 있어서, 후단부(後端部)(40b)를 덮도록 겹쳐지고, 가로방향(X)으로 신장 상태에서 수축 가능하게 장착된다. 뒤쪽 웨이스트 시트(22)는, 가로방향(X)으로 연장되는 접는 금(26)을 따라 세로방향(Y) 내측으로 접혀, 제 2 탄성 시트(32)에 겹쳐진다. 접는 금(26)이 기저귀(1)의 후단부(15)를 형성한다.
뒤쪽 웨이스트 시트(22)에는, 접는 금(26)을 따라, 스트랜드 형상 또는 스트링 형상의 복수개의 탄성체(62)가, 가로방향(X)으로 신장 상태에서 수축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 2 탄성 시트(32) 및 탄성체(62)에 의해, 뒤쪽 웨이스트 영역(12)이 가로방향(X)으로 탄성화되고, 착용자에게 밀착 가능하게 된다. 특히, 제 2 탄성 시트(32)가 착용자의 복부에 대한 밀착성에 기여하고, 탄성체(62)가 기저귀(1)의 착용자 웨이스트에의 고정과 웨이스트 개구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 방지에 기여한다.
전후 웨이스트 시트(21, 22)의 레그 개구를 형성하는 영역에는, 시트 형상의 탄성체(63, 64)가 각각 한 쌍,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장착된다. 탄성체(63, 64)는 질량이 약 20∼50g/㎡, 바람직하게는 약 30∼40g/㎡, 섬유 밀도가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5∼0.035g/㎤의 범위인 열융착성의 엘라스토머 섬유로 이루어지는 신축성 섬유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머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머 이외의 열가소성 폴리머, 예를 들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염화비닐계 엘라스토머, 아미드계 엘라스토머나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폴리스티렌 등의 폴리올레핀계의 폴리머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포함하는 혼합 섬유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신축성 섬유 부직포를 연신 처리함으로써, 신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신 처리로는, 공지의 연신 처리법, 예를 들면, 신축성 섬유 부직포를 한 쌍의 기어 사이에 통과시킴으로써, 더 연신되는 부분과 연신되지 않는 부분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전후 웨이스트 시트(21, 22)의 내측에는 방누(防漏) 시트(51, 52)가 각각 적층된다. 방누 시트(51, 52)로서, 예를 들면, 통기성이며 불투액성의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방누 시트(51, 52)의 내측에는, 전후 웨이스트 시트(21, 22)를 세로방향(Y)으로 연결하는 방누 시트(53)가 더 적층된다. 방누 시트(53)로서, 통기성이며 불투액성의 플라스틱 필름 또는 이 필름과 섬유 부직포의 라미네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방누 시트(51, 52, 53)는 흡액 구조체(40)에 겹치도록 배치된다.
흡액 구조체(40)는, 가로방향(X)으로 연장되는 전후 단부(40a, 40b)와, 세로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측부(40c)에 의하여 획정된 세로로 긴 사각형 형상이다. 흡액 구조체(40)는, 크러치 영역(13)에서부터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으로 연장되고, 전단부(40a)가 앞쪽 웨이스트 영역(11)에 위치되며, 후단부(40b)가 뒤쪽 웨이스트 영역(12)에 위치된다.
흡액 구조체(40)는, 플러프 펄프와 초(超) 흡수성 폴리머 입자 등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흡액성 코어를 액확산성 시트(도시 생략)로 덮음으로써 형성된 흡수체(41)와, 흡수체(41)의 흡수면을 덮는 신체측 라이너(42)와, 흡수체(41)의 바닥면으로부터 양측부를 덮어, 흡수면으로 절곡되는 피복 시트(43)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테이프 탭(70)은 뒤쪽 웨이스트 시트(22)에 장착된다. 테이프 탭(70)은, 서로 적층되고, 각각 세로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 1 영역(71), 제 2 영역(72) 및 제 3 영역(73)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영역(71)의 내측에 제 2 영역(72)이 위치하고, 제 1 영역(71)과 제 2 영역(72)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절곡부(84)가 형성되며, 이 절곡부(84)를 따라 제 1 및 제 2 영역(71, 72)이 서로 접혀 적층된다. 제 2 영역(72)의 내측에 제 3 영역(73)이 위치하고, 이들 영역이 서로 접합된다. 그 결과, 제 1, 제 2 및 제 3 영역(71, 72, 73)의 적층 상태의 단면(斷面)은 Z형으로 형성된다.
제 1 영역(71)과 제 2 영역(72)은 섬유 부직포인 제 1 띠부재(80)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띠부재(80)는, 세로방향(Y)에 있어서 절곡부(84)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1 영역(71)측의 제 1 단부(80A)와 동방향에 위치하고, 제 1 단부(80A)와 인접하는 제 2 영역(72)측의 제 2 단부(80B)를 가진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단부(80A, 80B)는, 섀시(10)의 후단부(15)측을 향해, 절곡부(84)와 후단부(15)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영역(71)은, 제 1 단부(80A)인 손잡이부(81)와, 손잡이부(81)에 인접함과 함께 메커니컬 파스너의 훅 요소(74)가 설치된 파스닝부(82)와, 파스닝부(82)와 절곡부(84)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83)를 포함한다. 훅 요소(74)는 제 2 영역(72)에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다. 제 2 영역(72)은, 제 2 단부(80B) 근방에 있어서, 제 3 영역(73)에서부터 세로방향(Y)으로 연장 돌출하고, 뒤쪽 웨이스트 시트(22)에 접합 영역(85)에 의해 고정된다.
제 3 영역(73)은, 섬유 부직포인 제 2 띠부재(90)에 의해 형성되고, 뒤쪽 웨이스트 시트(22)에 접합되는 고정 영역(91)과, 제 1 및 제 2 단부(80A, 80B)에 인접하여 제 1 영역(71)측으로 되접어 꺾여서 제 2 영역(72)에 연결되는 제 1 단부(90A)와, 절곡부(84)측에 위치하는 제 2 단부(90B)와, 고정 영역(91)과 제 1 단부(90A)를 서로 연결하는 절곡부(92)를 가진다. 제 1 단부(90A) 및 고정 영역(91)은 절곡부(92)를 따라 절곡되어, 서로 포개진다. 이와 같이 절곡했을 때, 제 1 및 제 2 단부(90A, 90B)는, 적어도, 절곡부(92)보다 크러치 영역(13)측에 위치한다. 고정 영역(91)은, 제 1 띠부재(80)의 절곡부(84) 근방까지 연장됨과 함께, 접합 영역(85)을 개재하여 뒤쪽 웨이스트 시트(22)에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제 1 및 제 2 띠부재의 인장 강도의 측정 방법>
제 1 띠부재(80)의 인장 강도는 제 2 띠부재(90)의 그것보다 높게 된다. 인장 강도는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제 오토그래프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샘플로서, 테이프 탭(70)의 제 1 및 제 2 띠부재(80, 90)를 각각 컷트하고, 그 컷트 폭(㎜)을 측정한다. 샘플의 일방의 옆쪽 가장자리를 일방의 척에 협지하고, 타방의 옆쪽 가장자리를 타방의 척에 협지하여, 인장 속도 100mm/min, 필 각도 180°로 이들 척을 이간시켜, 샘플이 파단되었을 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샘플의 폭(㎜)으로부터, 폭 10mm당의 인장 강도(N/10mm 폭)를 산출하여, 제 1 띠부재(80)와 제 2 띠부재(90)의 인장 강도를 비교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테이프 탭(70)에 있어서, 훅 요소(74)의 세로방향(Y) 외측에는, 도트 형상의 제 1 및 제 2 임시 고정부(76, 77)가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임시 고정부(76, 77)는 테이프 탭(70)의 폭방향, 즉, 가로방향(X)으로 나란히 복수 설치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임시 고정부(76)는, 제 1 영역(71)의 손잡이부(81) 및 제 2 영역(72)의 제 1 단부(80B)를 서로 임시 고정함과 함께, 이러한 제 1 임시 고정부(76)는 각 영역의 두께방향에 있어서 일치한다. 제 2 임시 고정부(77)는, 제 1 영역(71)의 중간부(83), 제 2 영역(72), 및 제 3 영역(73)의 고정 영역(91)을 서로 임시 고정함과 함께, 이러한 제 2 임시 고정부(77)는 각 영역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일치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임시 고정부(76, 77)는 핀 엠보스(또는 핀 데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한 보스(핀)로 제 1 영역(71)에서부터 제 2 영역(72)을 향해 가압함으로써, 각 영역에 있어서의 열용착성 섬유를 열용착시킨다.
제 1 띠부재(80)는, 예를 들면, 질량이 약 40∼100g/㎡, 바람직하게는 약 60∼80g/㎡, 제 2 띠부재(90)는, 예를 들면, 질량이 약 20∼60g/㎡, 바람직하게는 약 30∼50g/㎡인 스판본드 섬유 부직포를 각각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섬유 부직포는, 제 1 및 제 2 임시 고정부(76, 77)에 의한 열용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적어도 그 일부에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한다. 열용착성 섬유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등의 폴리올레핀계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합성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 영역(71)에 위치하는 훅 요소(74)는, 제 2 영역(72)에 대향하나, 제 2 영역(72)을 형성하는 제 1 띠부재(80)는 섬유 교락 및/또는 용착 밀도가, 예를 들면, 유연한 섬유 부직포인 전후 웨이스트 시트(21, 22)에 비해 높아, 훅 요소(74)가 걸리는 루프가 형성되기 어려우므로, 훅 요소(74)의 훅이 제 1 띠부재(80)의 섬유에 걸리기 어렵다. 즉, 훅 요소(74)는 제 2 영역(72)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괘지 기능을 가지지 않는다. 여기에서, 훅 요소(74)가 제 2 영역(72)에 실질적으로 괘지되지 않는다란, 이들 사이의 박리 강도의 평균값이 약 0∼0.4N, 바람직하게는 약 0.05∼0.2N이다. 여기에서 박리 강도의 평균은 0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어, 즉, 훅 요소(74)가 제 2 영역(72)과의 사이에서 전혀 괘지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평균 박리 강도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훅 요소의 평균 박리 강도의 측정 방법>
평균 박리 강도는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제 오토그래프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기저귀(1)로부터 잘라낸 테이프 탭(70)을 샘플로 이용하여, 한 쌍의 척의 일방에서 제 1 영역(71)의 제 1 단부(80A)를 적지(摘持)시키고, 타방에서 제 2 영역(72)의 제 2 단부(80B)를 적지시켜, 인장속도 100mm/min, 필 각도 180°로 이들 척을 이간시켜,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영역(71)과 제 2 영역(72) 사이의 제 1 임시 고정부(76)의 임시 고정을 해제하고, 훅 요소(74)가 제 2 영역(72)으로부터 이간되기 직전의 부위까지 척을 이동시켜 측정을 개시하고, 그 상태로부터 훅 요소(74)가 제 2 영역(72)으로부터 모두 이간되는 부위에서 측정을 종료하였다. 이 측정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의 평균을 이 실시형태의 평균 박리 강도로 하였다.
테이프 탭(70)을 섀시(10)에 장착하는 공정(도시 생략)이나 이것이 장착되어 반송되는 공정에 있어서, 제 1 영역(71), 제 2 영역(72) 및 제 3 영역(73)이 서로 괘지되어 있지 않으면, 제 1 영역(71) 및 제 2 영역(72)이 제 3 영역(73)으로부터 말려 올라가, 제조 장치 등에 걸릴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영역(71), 제 2 영역(72)의 일부를 제 1 임시 고정부(76)에 의해, 제 1 영역(71), 제 2 영역(72) 및 제 3 영역(73)의 일부를 제 2 임시 고정부(77)에 의해, 각각 확실하게 괘지가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기저귀(1)에 있어서, 고의로 테이프 탭(70)의 제 1 및 제 2 임시 고정부(76, 77)를 해제하여 제 1 영역(71) 및 제 2 영역(72)을 박리시키지 않는 한, 테이프 탭(70)은 제 1 영역(71), 제 2 영역(72) 및 제 3 영역(73)이 서로 임시 고정된 포개진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기저귀(1)의 착용 중에, 제 1 및 제 2 임시 고정부(76, 77)가 멋대로 풀어져서, 제 1 영역(71) 및 제 2 영역(72)이 전개되어, 훅 요소(74)가 의류 등에 걸리는 일은 없다. 제 2 임시 고정부(77)에 있어서의 제 2 및 제 3 영역(72, 73) 사이의 박리 강도는, 제 1 임시 고정부(76)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영역(71, 72) 사이의 박리 강도보다 낮게 된다. 제 2 임시 고정부(77)에 있어서의 제 2 및 제 3 영역(72, 73) 사이의 박리 강도를 낮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제 3 영역(73)을 구성하는 제 2 띠부재(90)의 질량을, 제 2 영역(72)을 구성하는 제 1 띠부재(80)의 그것보다 작게 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임시 고정부의 박리 강도의 측정 방법>
박리 강도는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제 오토그래프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기저귀(1)로부터 잘라낸 테이프 탭(70)을 샘플로 이용하여, 한 쌍의 척의 일방에서 제 1 영역(71)의 제 1 단부(80A)를 적지시키고, 타방에서 제 2 영역(72)의 제 2 단부(80B)를 적지시켜, 인장 속도 100mm/min, 필 각도 180°로 이들 척을 이간시켜,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제 1 임시 고정부(76)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훅 요소(74)와 제 2 영역(72)의 괘지, 및, 제 2 임시 고정부(77)에 있어서의 제 1∼제 3 영역(71∼73)의 괘지를 해제하여,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마찬가지로, 제 2 임시 고정부(77)에 있어서의 제 2 및 제 3 영역(72, 73) 사이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제 1 임시 고정부(76)에 있어서의 제 1 영역(71)과 제 2 영역(72)의 괘지, 훅 요소(74)와 제 2 영역(72)의 괘지, 및, 제 2 임시 고정부(77)에 있어서의 제 1 영역(71)과 제 2 영역(72)의 괘지를 해제하여, 박리 강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착용 후의 기저귀(1)를 폐기할 때에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러치 영역(13)을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을 향해 둥글게 뭉칠 수 있다. 이때, 테이프 탭(70)은 고의로 박리시키지 않는 한 접힌 그대로의 상태에 있다. 그리고,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탭(70)에 의해 그 둥글게 뭉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 1 및 제 2 임시 고정부(76, 77)의 임시 고정이 해제되고, 제 1 영역(71) 및 제 2 영역(72)이 제 3 영역(73)으로부터 박리되어, 이들이 전개되고, 훅 요소(74)가 둥글게 뭉쳐진 기저귀(1)의 뒤쪽 웨이스트 시트(22) 또는 크러치 시트(23)에 괘지된다. 훅 요소(74)는, 기저귀(1)의 비 피부 대향면에 대향하고, 뒤쪽 웨이스트 시트(22)에 걸려, 이들에 괘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저귀(1)의 둥글게 뭉쳐진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테이프 탭(70)은, 손잡이부(81)를 집어 가볍게 들어올림으로써 전개할 수 있다. 손잡이부(81)에 있어서, 제 1 단부(80A)로부터 내측으로 이간된 위치에 제 1 임시 고정부(7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단부(80A)는 제 2 영역(72)으로부터 이간되어 있어, 이것을 집기 쉽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81)를 집으면,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임시 고정부(76)의 임시 고정이 해제되고, 제 1 영역(71)의 손잡이부(81)와 파스닝부(82)가 제 2 영역(72)으로부터 박리된다. 파스닝부(82)에는 훅 요소(74)가 설치되어 있으나, 훅 요소(74)가 대향하는 제 2 영역(72)에 실질적으로 괘지되지 않기 때문에, 제 1 임시 고정부(76)가 해제되면, 파스닝부(82)도 제 2 영역(72)으로부터 박리된다.
도 7의 (b)에 있어서, 손잡이부(81)를 둥글게 뭉친 기저귀(1)의 후단부(15)측을 넘어 크러치 영역(13)측으로 잡아당기도록, 즉 화살표(Z)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임시 고정부(77)의 일부가 해제되고, 제 1 및 제 2 영역(71, 72)이 제 3 영역(73)으로부터 박리된다. 훅 요소(74)는, 실질적으로 제 2 영역(72)에 괘지되지 않고, 또한 제 2 영역(72)도 제 3 영역(73)에 임시 고정부 이외의 부분에서 괘지되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 1 및 제 2 영역(71, 72)이 제 3 영역(73)으로부터 박리된다. 또한, 제 2 임시 고정부(77)의 제 2 및 제 3 영역(72, 73) 사이의 박리 강도는 제 1 임시 고정부(76)의 그것보다 낮게 되기 때문에, 한층 더 제 2 영역(72)이 제 3 영역(73)으로부터 박리되기 쉽다.
도 7의 (c)로부터, 손잡이부(81)를 더 잡아당기면, 도 7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부(83)에 있어서, 제 1 영역(71) 및 제 2 영역(72)의 제 2 임시 고정부(77)가 해제되고, 이들 제 1 및 제 2 영역(71, 72)이 박리된다. 이 제 2 임시 고정부(77)가 해제됨으로써, 제 1 영역(71), 제 2 영역(72) 및 제 3 영역(73)이 대략 일직선이 되도록 전개된다. 이와 같이 전개되었을 때, 훅 요소(74)는, 둥글게 뭉친 기저귀(1)의 비 피부 대향면을 향해, 이것을 용이하게 뒤쪽 웨이스트 시트(22)에 괘지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테이프 탭(70)에 의하면, 손잡이부(81)를 후단부(15)측으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접힌 상태로부터 전개할 수 있고, 훅 요소(74)를 기저귀(1)의 비 피부 대향면의 원하는 위치에 괘지할 수 있다. 즉, 제 1 영역(71)을 제 2 영역(72)으로부터 박리시키기 위한 특별한 동작을 하지 않아도 일조작으로 테이프 탭(70)을 전개하여 기저귀(1)의 비 피부 대향면에 괘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일련의 움직임에 번거로움이 없고, 용이하게 기저귀(1)를 둥글게 뭉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훅 요소(74)는, 대향하는 제 2 영역(72)의 섬유에 실질적으로 걸려 있지 않으므로, 제 1 및 제 2 임시 고정부(76, 77)의 임시 고정이 해제되면, 제 1 및 제 2 영역(71, 72)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을 박리하기 위하여, 제 1 영역(71)을 크게 상방으로 끌어올릴 필요가 없다. 또한, 제 1 및 제 2 임시 고정부(76, 77)가 훅 요소(74)의 세로방향(Y) 외측에 배치되어, 훅 요소(74)와는 겹치지 않도록 되기 때문에, 임시 고정부의 형성에 의해 훅 요소(74)가 제 2 영역(72)에 걸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임시 고정부(76, 77)는, 반드시 훅 요소(74)에 겹치지 않는 것을 필수 요건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이들이 서로 겹치는 구성이어도 된다. 단, 그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임시 고정부(76, 77)의 형성에 의해, 훅 요소(74)가 제 2 영역(72)에 괘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띠부재(90)는, 제 1 단부(90A)와 고정 영역(91)을 가지고, 제 1 단부(90A)의 상면이 제 2 영역(72)을 구성하는 제 1 띠부재(80)에 접합되며, 고정 영역(91)의 하면이 뒤쪽 웨이스트 시트(22)에 접합된다. 이와 같이 각각 접합하고, 또한, 제 2 영역(72)의 제 2 단부(80B)를 뒤쪽 웨이스트 시트(22)에 영구적으로 접합함으로써, 제 2 영역(72)이 잡아당겨졌을 때의 박리력을 분산할 수 있다. 즉 도 7의 (c)를 참조하면, 손잡이부(81)를 잡아당겨 일조작으로 테이프 탭(70)을 전개했을 때, 뒤쪽 웨이스트 시트(22)에 접합된 제 2 단부(80B)에는 비교적 큰 박리력이 작용하나, 제 2 영역(72), 제 2 단부(80B) 및 뒤쪽 웨이스트 시트(22)에 연속하여 제 2 띠부재(90)가 접착되어 있으므로, 제 2 단부(80B)가 뒤쪽 웨이스트 시트(22)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81)를 잡아당겼을 때에는, 제 1 띠부재(80)에 큰 박리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것이 파단되기 쉬워지나, 제 2 띠부재(90)보다 제 1 띠부재(80)에 인장 강도가 높은 섬유 부직포를 이용함으로써 이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인장 강도가 높은 섬유 부직포는 낮은 것에 비하여 강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나, 제 1 띠부재(80)에만 인장 강도가 높은 섬유 부직포를 이용함으로써, 제 2 띠부재(90)에는 강성이 낮은 것을 이용할 수 있어, 테이프 탭(70)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시 도 7의 (c) 및 (d)를 참조하면, 제 2 임시 고정부(77)에 의해 임시 고정된 제 1 영역(71), 제 2 영역(72) 및 제 3 영역(73)에 있어서, 먼저 제 2 영역(72) 및 제 3 영역(73)이 이간되고, 나중에 제 1 영역(71) 및 제 2 영역(72)이 이간되나, 이것이 반대로 되어도 된다. 즉, 먼저 제 1 영역(71) 및 제 2 영역(72)이 이간되고, 그 후 제 2 영역(72) 및 제 3 영역(73)이 이간되어도 된다. 또한, 이들이 동시에 이간되어도 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섀시의 비 피부 대향면에 위치하는 뒤쪽 웨이스트 시트(22)를 훅 요소(74)가 괘지 가능한 섬유 부직포로 하고 있으므로, 뒤쪽 웨이스트 시트(22)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훅 요소(74)를 괘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저귀(1)가 오줌 등을 대량으로 흡수하여 흡수체(41)가 팽창한 경우라도 확실하게 기저귀(1)를 둥글게 뭉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피복 시트(43)가 크러치 영역(13)에 있어서의 비 피부 대향면을 형성하고 있다. 기저귀(1)를 둥글게 뭉쳐 테이프 탭(70)으로 고정하고자 한 경우, 훅 요소(74)가 크러치 영역(13)에 대향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피복 시트(43)는, 플라스틱 필름과 섬유 부직포의 라미네이트를 이용하고, 비 피부 대향면에 섬유 부직포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섬유 부직포는, 훅 요소(74)가 섬유에 걸리기 쉽도록, 예를 들면, 질량이 약 10∼40g/㎡, 바람직하게는 약 13∼20g/㎡, 섬유 밀도가 약 0.03∼0.10g/㎤, 바람직하게는 약 0.04∼0.09g/㎤인 열융착성의 스판본드 섬유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훅 요소(74)가 뒤쪽 웨이스트 시트(22) 및 방누 시트(53) 모두에 괘지 가능하게 함으로써, 훅 요소(74)를 괘지할 수 있는 영역이 넓어져, 기저귀(1)의 둥글게 뭉친 상태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영역(72)의 제 2 단부(80B)를 뒤쪽 웨이스트 시트(22)에 접합하는 접합 영역과, 제 3 영역(73)의 고정 영역(91)을 뒤쪽 웨이스트 시트(22)에 접합하는 접합 영역이 연속되어 있으나, 이것이 불연속인 것, 즉 세로방향(Y)으로 이간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영역(71), 제 2 영역(72) 및 제 3 영역(73)을 포함하는 테이프 탭(7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 1 영역(71) 및 제 2 영역(72)만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제 2 영역(72)의 대략 전면을 직접 뒤쪽 웨이스트 시트(22)에 접합 영역을 개재하여 접합할 수 있다. 단, 제 1∼제 3 영역을 가지는 Z형의 접어 겹침으로 함으로써, 이것을 전개했을 때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고, 훅 요소(74)를 섀시의 비 피부 대향면에 괘지하기 쉽게 할 수 있어, 기저귀(1)를 둥글게 뭉친 상태를 고정하기 쉽다. 또한, 제 1 영역(71) 및 제 2 영역(72)을 한 조각의 제 1 띠부재(80)에 의해 형성하고, 제 3 영역(73)을 별도의 제 2 띠부재(90)에 의해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러한 제 1 영역(71), 제 2 영역(72) 및 제 3 영역(73)을 동일한 섬유 부직포에 의해 구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한 조각의 섬유 부직포가 셋으로 접어지는 것에 의해 각 영역이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훅 요소(74)는 파스닝부(82)의 대략 전역에 배치되나, 파스닝부(82)의 일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손잡이부(81) 및 중간부(83)에 연장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즉, 파스닝부(82)는, 제 1 및 제 2 임시 고정부(76, 77)가 설치된 손잡이부(81) 및 중간부(83)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면 되고, 적어도 그 일부에 훅 요소(74)가 배치되는 것이다.
제 1 및 제 2 임시 고정부(76, 77)는 가로방향(X)으로 이간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으나, 각각 하나씩이어도 된다. 또한, 세로방향(Y)으로 이간하여 복수 설치되어도 된다. 어느 쪽이든, 제 1 및 제 2 영역(71, 72)을 부분적으로 임시 고정하는 것이면 되고, 이 임시 고정을 해제하고자 했을 때에는 용이하게 해제하여 제 1 및 제 2 영역(71, 72)을 박리할 수 있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임시 고정부(76, 77)는, 히트 시일 또는 소닉 시일 등에 의해 섬유 부직포를 가열, 가압함으로써 형성되나, 접착제 등의 다른 접착 수단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단, 히트 시일 또는 소닉 시일에 의하면, 한 번의 가압 처리에 의해 제 1∼제 3 영역의 두께 방향에 일치하는 임시 고정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접착제 등을 이용한 처리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임시 고정부(76)는 제 1 단부(80A)로부터 약 5∼30mm, 바람직하게는 약 10∼30mm 이간된다. 제 1 단부(80A)를 집을 때에 집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제 1 임시 고정부(76, 77)는 테이프 탭(70)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테이프 탭(70) 및 섀시(10)에 형성되는 임시 고정부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저귀(1)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임시 고정부(76, 77)로 임시 고정된 테이프 탭(70)을 웨이스트 시트(22)에 적층하여, 임시 고정부를 더 형성하는 것이다.
제 1 띠부재(80)의 제 1 단부(80A)와 제 2 단부(80B)는 대략 일치하여 겹치도록 되어 있으나, 어느 일방이 세로방향(Y) 외측으로 연장 돌출하여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제 1 단부(80A)의 위치를 확인하기 쉬워, 집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81)에는, 다른 영역과 다른 색채를 입히거나 모양을 부여함으로써, 손잡이부(81)를 시인하기 쉽게 한 시인부를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부(81)를 시인하기 쉽게 함으로써, 확실하게 손잡이부(81)를 집을 수 있고, 이것을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테이프 탭(70)을 전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손잡이부(81)에 부여되는 모양으로는, 예를 들면, 전개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 2 띠부재(90)의 제 1 단부(90A)와 제 2 단부(90B)는 세로방향(Y)에 있어서 어긋나도록 겹쳐져 있으나, 이들이 대략 일치하도록 겹쳐져도 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테이프 탭(70)은 뒤쪽 웨이스트 영역(12)의 가상 세로 중심선(2-2)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앞쪽 웨이스트 영역(11) 또는 뒤쪽 웨이스트 영역(12)의 양측 가장자리부(16) 근방에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테이프 탭(70)은 가로방향(X)으로 연장되도록 해도 된다. 양측 가장자리부(16) 근방에 가로방향(X)으로 연장되는 테이프 탭(70)이 설치된 경우에는, 이러한 테이프 탭(70)을 착용 물품의 폐기시에 전개하여 이용할 수도 있고, 착용 중에 웨이스트의 사이즈 조정을 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 기재한 이 발명에 관한 개시는, 적어도 하기 사항으로 정리할 수 있다.
1회용 착용 물품(1)은, 세로방향(Y) 및 그것에 직교하는 가로방향(X)을 가지고, 피부 대향면 및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비 피부 대향면을 가지는 섀시(10)와, 상기 비 피부 대향면에 장착된 테이프 탭(70)을 포함한다.
이 발명은, 상기 1회용 착용 물품(1)에 있어서, 이하의 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프 탭(70)은, 섬유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고, 메커니컬 파스너의 훅 요소(74)가 설치된 제 1 영역(71)과, 상기 제 1 영역(71)과 상기 섀시(10)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영역(72)과,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71, 72) 사이에 위치하는 절곡부(8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영역(71)과 상기 제 2 영역(72)은, 상기 절곡부(84)를 따라 접혀 상기 훅 요소(74)를 내측으로 하여 포개진다.
상기 제 1 영역(71)은, 적어도 그 일부에 상기 훅 요소(74)가 설치된 파스닝부(82)와, 상기 파스닝부(82)와 상기 절곡부(84)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83)와, 상기 파스닝부(82)의 상기 중간부(83)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부(81)를 가진다. 상기 중간부(83) 및 상기 손잡이부(81)에는, 상기 제 1 영역(71) 및 상기 제 2 영역(72)을 서로 임시 고정하는 제 1 임시 고정부(76) 및 제 2 임시 고정부(77)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훅 요소는 상기 제 2 영역과는 비 괘지 상태에 있다.
상기의 발명은 적어도 하기의 실시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1) 상기 제 1 임시 고정부(76) 및 상기 제 2 임시 고정부(77)는 상기 훅 요소(74)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2) 상기 제 1 임시 고정부(76) 및 상기 제 2 임시 고정부(77)는 가열, 가압에 의해 설치된다.
(3) 상기 테이프 탭(70)은, 상기 제 2 영역(72)과 상기 섀시(10) 사이에 적층되는 제 3 영역(7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영역(73)의 일방의 단부가 상기 제 2 영역(72)에 인접하며, 상기 제 3 영역(73)의 타방의 단부가 상기 섀시(10)에 접합된다.
(4) 상기 제 1 임시 고정부(76) 및 상기 제 2 임시 고정부(77)의 적어도 어느 것은, 상기 제 1 영역(71), 상기 제 2 영역(72) 및 상기 제 3 영역(73)의 두께방향에 일치하여, 이들 영역을 서로 임시 고정할 수 있다.
(5) 상기 테이프 탭(70)은,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71, 72)을 형성하는 섬유 부직포인 제 1 띠부재(80)와, 상기 제 3 영역(73)을 형성하는 섬유 부직포인 제 2 띠부재(90)를 가지고, 상기 제 1 띠부재(80)의 인장 강도가 상기 제 2 띠부재(90)의 그것보다 높게 된다.
(6) 상기 제 2 띠부재(90)는, 상기 제 1 띠부재(80)에 접합되는 제 1 단부(90A)와, 상기 섀시(10)에 접합되는 고정 영역(91)과, 상기 제 1 단부(90A) 및 상기 고정 영역(91) 사이에 위치하는 절곡부(92)를 가지고, 상기 절곡부(92)를 개재하여 접힌다.
(7) 상기 테이프 탭(70)은 상기 훅 요소(74)와 상기 제 2 영역(72)의 평균 박리 강도가 0∼0.4N으로 된다.
(8) 상기 섀시(10)는 그 비 피부 대향면이 섬유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섬유 부직포는 상기 훅 요소(74)를 괘지 가능하다.
(9) 상기 테이프 탭(70)은 상기 손잡이부(81)에 시인 가능한 시인부가 설치된다.
기저귀(1)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외에, 이 종류의 분야에 있어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각종 공지의 재료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저귀(1)는, 앞쪽 웨이스트 영역(11)과 뒤쪽 웨이스트 영역(12)과 크러치 영역(13)이 일련으로 형성된 양태여도 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용어 「제 1」 및 「제 2」는 동칭(同稱)의 요소, 위치 등을 단순히 구별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1 : 기저귀(1회용 착용 물품)
10 : 섀시
11 : 앞쪽 웨이스트 영역(제 1 또는 제 2 웨이스트 영역)
12 : 뒤쪽 웨이스트 영역(제 1 또는 제 2 웨이스트 영역)
13 : 크러치 영역
70 : 테이프 탭
71 : 제 1 영역
72 : 제 2 영역
73 : 제 3 영역
74 : 훅 요소
76 : 제 1 임시 고정부
77 : 제 2 임시 고정부
80 : 제 1 띠부재
80B : 제 2 단부(단부)
81 : 손잡이부
82 : 파스닝부
83 : 중간부
84 : 절곡부
90 : 제 2 띠부재
90A : 제 1 단부
91 : 고정 영역
92 : 절곡부
X : 가로방향
Y : 세로방향

Claims (10)

  1. 세로방향 및 그것에 직교하는 가로방향을 가지고, 피부 대향면 및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비 피부 대향면을 가지는 섀시와, 상기 비 피부 대향면에 장착된 테이프 탭을 포함하는 1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탭은, 섬유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고, 메커니컬 파스너의 훅 요소가 설치된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섀시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영역과,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절곡부를 따라 접혀 상기 훅 요소를 내측으로 하여 적층되고,
    상기 제 1 영역은, 적어도 그 일부에 상기 훅 요소가 설치된 파스닝부와, 상기 파스닝부와 상기 절곡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와, 상기 파스닝부의 상기 중간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부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중간부에는,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을 서로 임시 고정하는 제 1 임시 고정부 및 제 2 임시 고정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훅 요소는, 상기 제 2 영역에 걸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회용 착용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시 고정부 및 상기 제 2 임시 고정부는, 상기 훅 요소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1회용 착용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탭은, 상기 제 2 영역과 상기 섀시 사이에 적층되는 제 3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영역의 일방의 단부가 상기 제 2 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제 3 영역의 타방의 단부가 상기 섀시에 접합되는 1회용 착용 물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시 고정부 및 상기 제 2 임시 고정부의 적어도 어느 것은, 상기 제 1 영역, 상기 제 2 영역 및 상기 제 3 영역의 두께 방향에 일치하여, 이들 영역을 서로 임시 고정하는 1회용 착용 물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탭은,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을 형성하는 한 조각의 섬유 부직포인 제 1 띠부재와, 상기 제 3 영역을 형성하는 한 조각의 섬유 부직포인 제 2 띠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 1 띠부재의 인장 강도가 상기 제 2 띠부재의 그것보다 높게 되는 1회용 착용 물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띠부재는, 상기 제 1 띠부재에 접합되는 제 1 단부와, 상기 섀시에 접합되는 고정 영역과, 상기 제 1 단부 및 상기 고정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절곡부를 가지고, 상기 절곡부를 개재하여 접히는 1회용 착용 물품.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탭은 상기 훅 요소와 상기 제 2 영역의 평균 박리 강도가 0∼0.4N으로 되는 1회용 착용 물품.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상기 비 피부 대향면이 상기 섬유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섬유 부직포는 상기 훅 요소가 연결 가능한 1회용 착용 물품.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탭은 상기 손잡이부에 시인 가능한 시인부가 형성되는 1회용 착용 물품.
  10. 삭제
KR1020147027342A 2012-03-30 2013-03-27 1회용 착용 물품 KR101871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81724 2012-03-30
JP2012081724A JP5882105B2 (ja) 2012-03-30 2012-03-30 使い捨て着用物品
PCT/JP2013/059136 WO2013146946A1 (ja) 2012-03-30 2013-03-27 使い捨て着用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566A KR20140140566A (ko) 2014-12-09
KR101871409B1 true KR101871409B1 (ko) 2018-06-26

Family

ID=4926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342A KR101871409B1 (ko) 2012-03-30 2013-03-27 1회용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59366B2 (ko)
EP (1) EP2805700B1 (ko)
JP (1) JP5882105B2 (ko)
KR (1) KR101871409B1 (ko)
CN (1) CN104244882B (ko)
AU (1) AU2013241269B2 (ko)
WO (1) WO20131469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3061B2 (ja) * 2014-01-16 2017-09-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JP6198610B2 (ja) * 2014-01-16 2017-09-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JP6188590B2 (ja) * 2014-01-16 2017-08-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JP6278710B2 (ja) * 2014-01-16 2018-0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JP6373242B2 (ja) * 2015-11-10 2018-08-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6352378B2 (ja) * 2016-12-22 2018-07-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7212458B2 (ja) * 2017-08-08 2023-01-2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RU2735805C1 (ru) * 2017-11-27 2020-11-09 Эссити Хайджин Энд Хелт Актиеболаг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типа трусов с лентой для утилизации
JP7106211B2 (ja) * 2018-04-24 2022-07-26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7007989B2 (ja) * 2018-05-28 2022-01-2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CN112512477B (zh) * 2018-08-10 2022-08-26 宝洁公司 具有改善的废弃处理带的可穿着制品
CN112469376B (zh) * 2018-08-10 2022-09-16 宝洁公司 具有一体化废弃处理带的可穿着制品
WO2020062132A1 (en) * 2018-09-29 2020-04-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disposal wrapping means
JP2020174961A (ja) * 2019-04-19 2020-10-2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衛生材及びワインディングテープ
CN116133627A (zh) * 2020-08-06 2023-05-16 花王株式会社 短裤型一次性尿布
JP7064035B2 (ja) * 2020-08-06 2022-05-09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818A (ja) 1999-10-21 2001-04-24 Oji Paper Co Ltd 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JP2001178777A (ja) 1999-12-27 2001-07-03 Daio Paper Corp パンツ型使い捨て紙おむつ
JP3316197B2 (ja) 1999-09-06 2002-08-19 花王株式会社 伸長テープ
JP4235479B2 (ja) 2003-03-31 2009-03-11 大王製紙株式会社 後処理テープを備えた使い捨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718A (ja) 1992-08-26 1994-03-18 Clarion Co Ltd 指向性アンテナ駆動制御装置
JPH0677718U (ja) * 1993-04-22 1994-11-01 株式会社資生堂 ブリーフ型の使捨ておむつ
JP3544735B2 (ja) * 1995-03-07 2004-07-21 日東電工株式会社 Z型粘着テープ
JP3423155B2 (ja) * 1996-08-30 2003-07-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物品
JPH10137008A (ja) * 1996-11-15 1998-05-26 Kao Corp メカニカルフックを備えたテープ
WO2000027328A1 (en) 1998-11-10 2000-05-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ull-on garment having improved disposal device
JP4336541B2 (ja) * 2002-08-30 2009-09-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4336540B2 (ja) * 2002-08-30 2009-09-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US7771405B2 (en) * 2005-06-01 2010-08-10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disposal fastening means
DE602005016026D1 (ko) * 2005-06-01 2009-09-24 Sca Hygiene Prod Ab
JP4920944B2 (ja) * 2005-10-12 2012-04-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ES2562065T3 (es) * 2007-06-15 2016-03-02 Avery Dennison Corporation Dispositivo de sujeció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6197B2 (ja) 1999-09-06 2002-08-19 花王株式会社 伸長テープ
JP2001112818A (ja) 1999-10-21 2001-04-24 Oji Paper Co Ltd 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JP2001178777A (ja) 1999-12-27 2001-07-03 Daio Paper Corp パンツ型使い捨て紙おむつ
JP4235479B2 (ja) 2003-03-31 2009-03-11 大王製紙株式会社 後処理テープを備えた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44882A (zh) 2014-12-24
JP5882105B2 (ja) 2016-03-09
AU2013241269B2 (en) 2016-11-10
EP2805700A4 (en) 2015-08-26
AU2013241269A1 (en) 2014-09-25
US20150080829A1 (en) 2015-03-19
KR20140140566A (ko) 2014-12-09
US9259366B2 (en) 2016-02-16
WO2013146946A1 (ja) 2013-10-03
CN104244882B (zh) 2016-10-12
EP2805700A1 (en) 2014-11-26
EP2805700B1 (en) 2016-07-13
JP2013208358A (ja)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409B1 (ko) 1회용 착용 물품
JP4083082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364035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3648117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KR100884838B1 (ko) 일회용 기저귀
JP6316375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2003153955A (ja) 開放型の使い捨ておむつ
WO2014034459A1 (ja) プルオン着用物品
KR101251677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4745628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WO2006041138A1 (ja) 使い捨ての着用物品
JP4190276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1236668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TWI679007B (zh) 寵物用吸收性物品
JP4528753B2 (ja) 紙おむつ
TWI801593B (zh) 吸收性物品的包裝體
JP448242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02325797A (ja) 開放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2012245216A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057412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118085B2 (ja)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JP2016123614A (ja) 使い捨ての着用物品
JP4190491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2016123639A (ja) 使い捨ての着用物品およびその包装体
JP2016193048A (ja) 使い捨ての着用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