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176B1 - 원편광판, 원편광 렌즈, 및 원편광 안경 - Google Patents

원편광판, 원편광 렌즈, 및 원편광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176B1
KR101802176B1 KR1020110013658A KR20110013658A KR101802176B1 KR 101802176 B1 KR101802176 B1 KR 101802176B1 KR 1020110013658 A KR1020110013658 A KR 1020110013658A KR 20110013658 A KR20110013658 A KR 20110013658A KR 101802176 B1 KR101802176 B1 KR 101802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sheet
lens
polarizer
circularly pola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7640A (ko
Inventor
노부유키 고부치
키미오 마츠모토
케이시 요시카와
고이치로 오카
Original Assignee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2Polar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6Laminated or compound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yeglas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열접합 기능을 제공한 원편광판, 백업 수지로 보강된 변형되기 어려운 원편광 렌즈, 불특정 다수의 사람에게 사용되어도, 또는, 물건에 부딪치거나, 손가락으로서 눌리거나 하여도, 온도변화나 습도변화에 누출되거나 하여도, 프레임으로부터 렌즈가 탈락하기 어렵고, 또한, 볼품이 좋고 장착감의 좋은 입체영화나 입체 텔레비전이나 입체 게임의 감상용 원편광 안경이 제공된다.
적어도 위상차 기능부분과 직선편광 기능부분과 백업 수지에 열접합하는 열접합 기능부분을 가지는 다층의 원편광판에 있어서, 직선편광 기능부분의 일방측에 위상차 기능부분이, 다른 일방측에 열접합 기능부분이 배치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으로 한다. 상기 동일한 원편광판의 굽힘 가공품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로 한다. 상기 동일한 시계방향 원편광 렌즈와 반시계방향 원편광 렌즈를 페어로 해서, 1개의 프레임에 설치한 원편광 안경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편광판, 원편광 렌즈, 및 원편광 안경{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CIRCULARLY POLARIZING LENS, AND CIRCULARLY POLARIZING GLASSES}
본 발명은 원편광판과, 교정도수가 있고 없음에 관계하지 않는 원편광 렌즈, 입체시(立體視, stereoscopic viewing)용 원편광 1안 렌즈, 및, 입체시용 원편광 고글렌즈와, 입체시용 원편광 2안 안경, 입체시용 원편광 1안 안경, 및 입체시용 원편광 고글에 관한 것이다.
입체시용 원편광 2안 안경, 입체시용 원편광 1안 안경, 및 입체시용 원편광 고글은 특수한 편광필터를 부착한 인터리브(interleave)필터 방식이라고 불리는 입체 디스플레이, 예를 들면, 입체 액정패널이나 텔레비전, 입체 플라스마 패널이나 텔레비전, 입체 유기 EL패널이나 텔레비전의 입체 감상용구로서 사용된다.
또, 이들은 프로젝터 방식의 입체 액정 텔레비전이나, 입체영화의 입체 감상용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입체시 방식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의 방식이 고안되고 있지만, 근접하게 투영되는 2개의 상(a, b)과, 렌즈들(a’, b’)을 구비한 안경이 세트로 조합되는 것이 기본이다.
입체시를 하기 위해서는 a 상은 반드시 a’렌즈(즉, a’측의 눈)로, b 상은 반드시 b’렌즈(즉 b’측의 눈)로 보는 것이 기본이 된다.
2상(a, b)의 투영방법 중 하나인 인터리브필터 방식은 특수한 위상차 필터가 패널에 부착되고, 패널 횡방향(혹은 종방향)으로 하나의 주사라인에 대해서, 교대로 편광특성을 바꾸어서 좌우 상을 분리하는 방식이다(특허문헌 1∼3).
직선편광을 발하는 액정디스플레이에서 예시하자면, 횡방향(또는 종방향)의 시계방향의 원편광이 어떤 주사라인에 적용되고, 다음 라인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이 적용되며, 그 다음 라인에는 시계방향의 원편광이 적용되도록 하여, 시계방향의 원편광 라인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라인이 교대로 형성되는 패널이 제조된다.
구체적으로는, 시계방향의 원편광 라인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라인이 교대로 반복되는 특수한 위상차 필터가 패널에 부착된다.
한편, 입체 감상용구로서의 안경은 시계방향의 원편광이 통과하는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한 쪽에 끼워지고, 반시계방향의 원편광이 통과하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다른 한 쪽에 끼워진다. 즉,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에서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라인에서 형성되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상은 보이지 않지만, 시계방향의 원편광 상은 보인다.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에서는 시계방향의 원편광 라인에서 형성되는 시계방향의 원편광 상은 보이지 않지만,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상은 보인다.
즉, 한쪽의 눈은 시계방향의 원편광 상만을 항상 바라보게 되고, 다른 한쪽의 눈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상만을 항상 바라보게 되어, 입체시할 수 있게 된다.
감상하는 사람의 자세가 변화하여도, 예를 들면, 정좌 상태에서 뒹굴거나, 그 반대로 자세를 바꾸어도, 입체감이 그다지 변화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의 원편광 상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상을 동일 디스플레이 화면에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인터리브필터 방식의 디스플레이와,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를 짝지은 원편광 안경에 의해서, 그러한 요건의 최저한은 만족되는 입체 디스플레이의 하나의 중요한 요건이 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나 유기 EL디스플레이와 같이 직선편광을 발하지 않는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직선편광 시트와, 상기와 같은 시계방향의 원편광 라인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라인이 교대로 반복되는 특수한 위상차 필터를 적층한 특수 필터를 디스플레이면에 부착함으로써, 유사한 원편광 안경으로 입체시가 가능하게 된다.
프로젝터 방식의 입체 액정 텔레비전이나 입체영화도 시계방향의 원편광 상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상이 스크린에 비출 수만 있다면, 유사한 원편광 안경으로 입체시가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인터리브필터 방식의 입체영상에는,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1개씩 끼워진 원편광 안경이 제조되어 왔다(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5720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30490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09968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9-507248호
현재 시판되고 있는 원편광 2안 안경에 사용되는 원편광 렌즈는 대부분의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제의 위상차 시트와 트리아세테이트제의 직선 편광판(편광자의 양면은 트리아세테이트제의 보호시트로 샌드위치 방식으로 적층된 것)이 적층, 부착된 원편광판으로 제조되고 있다.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는 시계방향의 원편광판으로 제조되고,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으로 제조되지만,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원편광판은 위상차 시트와 직선 편광판을 부착하는데 있어서, 편광자의 편광 방향(또는, 편광자를 만들 때의 편광자를 연신하는 방향; 또는, 흡수축 방향이라고도 한다)과 위상차 시트의 위상차 방향(또는, 위상차 시트를 만들 때의 위상차 시트를 연신하는 방향; 또는, 느린 축(slow axis) 방향이라고도 한다)사이에 일정한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상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즉,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또는, 편광자를 만들 때의 연신방향에 대해서, 직각의 방향)이 수평방향(안경의 2개의 렌즈를 연결하는 방향은 수평방향이라 한다)이 되도록 원편광 렌즈가 안경 프레임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위상차 시트의 연신방향이 시계 단침의 10시 반과 4시 반을 연결하는 경사로 해서 부착된 것이 시계방향의 원편광판, 그 결과로서,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되고(위상차 시트는 대물측으로 해서 안경 프레임에 끼워진다), 위상차 시트의 느린 축(slow axis) 방향이 시계 단침의 1시 반과 7시 반을 연결하는 경사로 해서 부착된 것이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 그 결과로서,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된다(위상차 시트는 대물측으로 해서 안경 프레임에 끼워진다).
그런데, 종래의 대부분의 원편광판은 두께가 0.3㎜ 이하이고, 굽휨강성이 낮으며, 접촉하면 흐늘흐늘한 것으로, 그것이 안경 렌즈형상으로 펀칭되고, 2안의 스펙테클형 프레임에 끼워지고 있는 것이 많았다.
또한, 렌즈가 굽힘강성이 낮기 때문에, 비행물체로부터 양 눈을 보호하는 기능이 약하고, 또한, 반복해서 사용되거나, 많은 사람이 사용하면, 렌즈는 물체에 부딪치거나, 손가락으로 눌리거나, 온도변화나 습도변화에 노출되거나 하여, 얼마 안 있어, 원편광 렌즈가 변형되거나, 깨지거나, 금이 가거나, 또는 안경프레임으로부터 탈락하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옆줄로 1개씩 배치된 상태의 입체시용 원편광 1안 렌즈나 원편광 고글렌즈, 및 그것들로부터 만든 입체시용 원편광 1안 안경이나 원편광 고글은 존재하지 않았거나, 존재해도, 굽힘강성이 낮기 때문에 비행물체로부터 양 눈을 보호하는 기능이 약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수단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우선, 적어도 위상차 기능부분, 직선편광 기능부분 및 백업 수지에 열접합하는 열접합 기능부분을 가지는 다층의 원편광판에 있어서, 직선편광 기능부분의 일방측에 위상차 기능부분이 배치되고, 다른 일방측에 열접합 기능부분이 배치되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으로 하는 것에 있다.
또한, 직선편광 기능부분이 직선 편광자이고, 직선 편광자의 양면이 보호시트로 보호되고, 한쪽의 보호시트가 위상차 기능시트 또는 위상차판이고, 다른 한쪽의 보호시트가 열접합 기능을 가지는 열접합 시트인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으로 하는 것에 있다.
또한, 직선편광 기능부분이 직선 편광자이고, 직선 편광자의 양면이 보호시트로 보호되고, 한쪽의 보호시트 상에 위상차 기능시트 또는 위상차판이 배치되고, 다른 한쪽의 보호시트 상에 열접합 기능을 가지는 열접합 시트가 배치되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으로 하는 것에 있다.
또한, 직선편광 기능부분이 직선 편광자이고, 직선 편광자의 양면이 보호시트로 보호되고, 한쪽의 보호시트 상에 위상차 기능시트 또는 위상차판이 배치되고, 다른 한쪽의 보호시트가 열접합 기능을 가지는 열접합 시트인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으로 하는 것에 있다.
또한, 직선편광 기능부분이 직선 편광자이고, 직선 편광자는 양면이 보호시트로 보호되고, 한쪽의 보호시트가 위상차 기능시트 또는 위상차판이고, 다른 한쪽의 보호시트 상에 열접합 기능을 가지는 열접합 시트가 배치되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으로 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의 열접합 기능이 열접합측에 설치된 열접합용 코팅층에 의해 보완되고 있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으로 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의 보호시트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아실셀룰로오스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시트인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으로 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의 위상차 기능시트가 1/4λ 위상차 시트이거나, 1/4λ 위상차 시트와 1/2λ 위상차 시트의 적층구조체인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으로 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의 위상차 시트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및 액정 폴리머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시트인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으로 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의 위상차 시트가 150℃ 이상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수지의 시트인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으로 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의 열접합 시트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시트인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으로 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의 원편광판을 렌즈형상으로 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로 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의 원편광 렌즈가 굽힘 가공품인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로 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의 원편광 렌즈가 흡인식 자유 굽힘가공방법에 의한 굽힘가공 렌즈인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로 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의 열접합 기능부분에, 백업 수지가 사출성형되어 있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로 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의 백업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인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로 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의 시계방향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 또는 상기의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를 옆줄로 각각 1개씩 배치한 상태에서 열접합 기능부분에 백업 수지가 동시에 사출성형되어 있는 입체시용 원편광 1안 렌즈, 또는 입체시용 원편광 1안 고글렌즈로 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의 백업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인 입체시용 원편광 1안 렌즈, 또는 입체시용 원편광 1안 고글렌즈로 하는 것에 있다.
또, 상기의 원편광 렌즈가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로 구분되고,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 1매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 1매가 짝지어지고, 한쪽 눈에 대한 프레임에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이 삽입되고, 다른 쪽 눈에 대한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삽입되는 입체시용 원편광 2안 안경, 또는 입체시용 원편광 2안 고글로 하는 것에 있다.
또, 상기의 입체시용 원편광 1안 렌즈를 광학부품으로 포함하는 입체시용 원편광 1안 안경으로 하는 것에 있다.
또, 상기의 입체시용 원편광 1안 고글렌즈를 광학부품으로 포함하는 입체시용 원편광 1안 고글로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열접합기능이 없었던 원편광판에 열접합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원편광판의 열접합 기능부분에 백업 수지를 사출성형함으로써, 백업 수지로 보강된 변형되기 어려운 원편광 렌즈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백업 수지로 보강된 원편광 렌즈를 프레임에 삽입함으로써,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사용하여도, 또는, 물건에 부딪치거나, 손가락으로 눌리거나 하여도, 온도변화나 습도변화에 노출되거나 하여도, 프레임으로부터 렌즈가 탈락하기 어렵고, 볼품이 있으며, 착용감이 좋은 입체영화나 입체 텔레비전이나 입체 게임의 감상용 원편광 안경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편광 안경을 나타내는 모식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5에서 얻어진 원편광 플라노렌즈를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6에서 얻어진 원편광 플라노렌즈를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고, 도면에서의 TAC 편광판은 좌측으로부터 TAC시트, 직선 편광자, 및 TAC시트로 이루어진다.
도 4는 실시예 17에서 얻어진 원편광 플라노렌즈를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8에서 얻어진 원편광 플라노렌즈를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9에서 얻어진 원편광 플라노렌즈를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20에서 얻어진 원편광 플라노렌즈를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1에서 얻어진 원편광 플라노렌즈를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39에서 얻어진 원편광 플라노렌즈를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40에서 얻어진 원편광 플라노렌즈를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고, 도면에서의 TAC 편광판은 좌측으로부터 TAC시트, 직선 편광자, 및 TAC시트로 이루어진다.
도 11은 실시예 41에서 얻어진 원편광 플라노렌즈를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42에서 얻어진 원편광 플라노렌즈를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43에서 얻어진 원편광 플라노렌즈를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44에서 얻어진 원편광 플라노렌즈를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1안 고글형의 원편광 안경을 나타내는 모식사시도이고, 도면에서의 이중선은 위상차의 느린 축(slow axis) 방향을 나타내고, 편광판의 흡수축은 수직방향, 투과축 방향은 수평방향이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1안 렌즈형의 원편광 안경을 나타내는 모식사시도이고, 도면에서의 이중선은 위상차의 느린 축 방향을 나타내고, 편광판의 흡수축은 수직방향, 투과축 방향은 수평방향이 된다.
본 발명의 1번째(이하, ‘제1발명’ 이라고 한다)는 원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즉, 제 1 발명은 적어도 위상차 기능부분, 직선편광 기능부분 및 백업 수지에 열접합하는 열접합 기능부분을 가지는 다층의 원편광판에 있어서, 직선편광 기능부분의 일방측에 위상차 기능부분이 배치되고, 다른 일방측에 열접합 기능부분이 배치되는 신규한 원편광판이다.
제1발명은 위상차 기능부분, 직선편광 기능부분 및 백업 수지에 열접합하는 열접합 기능부분에 의해, 이하,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제1에서부터 제5까지의 5가지 케이스를 갖는다.
제1발명의 제1케이스는 직선편광 기능부분이 직선 편광자이고, 직선 편광자의 양면을 보호하는 보호시트의 한쪽의 시트가 위상차 기능시트 또는 위상차판이고, 다른 한쪽의 시트가 열접합 기능을 가지는 열접합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이다.
직선 편광자는, 통상, 두께 0.1㎜ 이하의 균일한 수지시트이다. 극히 일반적으로는 직선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1축연신 시트이다.
높은 직선 편광도를 얻기 위해서는, 2∼5배 정도의 연신배율로 연신하는 시트가 추가로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로 도핑된다.
요오드를 사용하는 요오드 도핑법은 염료를 사용하는 염료 도핑법에 비해서, 직선 편광자에 고유한 착색을 거의 부여하지 않고, 높은 편광도가 얻어지기 쉽다는 특징을 가지는 반면, 승화되기 쉬운 요오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내열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한편, 염료 도핑법은 요오드 도핑법보다 높은 내열성을 가지는 한편으로, 염료 고유의 색상이 직선 편광자에 나타나고, 염료에 의해, 즉 색상에 의해 편광도가 다르다는 문제가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원편광판은 굽힘가공되어 원편광 렌즈를 제조하고, 추가로 사출성형법에 의해, 오목면측이 수지로 백업되는 경우가 있지만, 요오드 도핑법의 편광자는 굽힘가공의 열이나 백업 수지의 사출성형의 열에 의해, 요오드가 승화되어 편광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열안정성이 높은 염료 도핑법의 편광자인 것이 추천된다.
위상차 기능시트는, 통상, 두께 0.2㎜ 이하의 균일한 수지시트이고, 요구되는 위상차의 정도에 따라, 두께가 광학적으로 설정되고, 통상은 1/4λ의 위상차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위상차 기능시트로서, 1/4λ의 위상차 시트와 1/2λ의 위상차 시트를 조합시킨 적층체(혹은, 적층구조)가 사용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즉, 시계방향으로 설계된 원편광판에 1/2λ 위상차 시트를 적층함으로써,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으로 조제될 수 있다. 1/2λ 위상차 시트도 통상, 두께 0.2㎜ 이하의 균일한 수지시트이고, 두께는 광학적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위상차의 정도에 관계없이, 위상차 시트에 사용되는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등의 액정 폴리머, 폴리설폰 수지 등이 일반적이다.
수지에는 자외선흡수제나 산화방지제 등의 안정제가 첨가되는 경우가 많다. 위상차 시트는 통상은 압출성형된 시트를 1축방향 또는 2축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시트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열접합 기능부분에 백업 수지를 사출성형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백업 수지의 사출성형은, 종종 위상차 시트를 열수축시키게 된다. 위상차 시트의 열수축은 당초에는 적정하였던 위상차값에 어떤 변화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결과, 당초 적정하였던 원편광 성능의 손상으로 이어진다. 현상적으로는 1렌즈 내에 있어서, 원편광 성능 불균일이 발생한다. 원편광 성능 불균일이 있는 렌즈가 프레임에 설치되어 입체시용 안경을 제조하면, 입체시 성능이 저하된 원편광 안경이 된다.
그 때문에, 위상차 시트에 사용되는 수지는 내열성이 높고, 유리전이온도(Tg)가 150℃ 이상, 바람직하게는 160℃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위상차판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위상차 시트의 일방측 또는 양측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올레핀 수지와 같은 광학적 이방성이 적은 수지시트가 부착되고, 이에 의해 보강한 것이 알려짐으로써 얻어진 위상차판은 두께 0.1∼0.5㎜ 정도의 적층 시트이다.
열접합 기능을 가지는 열접합 시트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 폴리-4-메틸펜텐-1 수지 등, 열가소성의 투명수지로 제작된다.
그 중에서도, 시트 제조의 용이함으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열접합 시트는, 백업 수지와의 열접합 적합성이 있기 때문에, 열접합 시트와 백업 수지는 화학적으로 동계통의 수지이거나, 열접합 시트와 백업 수지의 어느 한쪽이 열접합성이 높은 폴리우레탄 수지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이것들의 수지에는, 자외선흡수제나 산화방지제 등의 안정제가 첨가되는 경우가 많다. 열접합 시트는 1축이나 2축 연신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연신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굽힘가공이나 백업 사출성형 시에 열수축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원편광 렌즈에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다.
열접합 시트의 바람직한 두께는 0.01∼1㎜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0.02∼0.8㎜ 정도이다. 시트의 두께가 0.01 미만일 때, 원편광판 및 원편광 렌즈가 너무 얇아져서 취급하기 어렵고, 두께가 1㎜를 넘을 때, 위상차 시트와의 두께 밸런스가 손상되어, 원편광판에서 굽힘이 발생되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원편광판은 적어도 직선 편광자와 위상차 시트를 조합시킨 적층체이고, 직선 편광자의 방향(연신방향)과 1/4λ 위상차 시트의 방향(연신방향) 사이의 각도에 의해, 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이 되거나,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이 되거나, 타원편광판이 된다.
또한, 1/2λ 위상차 시트가 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의 위상차 기능측에 적층되어, 연신방향이 1/4λ 위상차 시트를 따를 때,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이 된다.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에 대해서도, 동일하다고 할 수 있고, 1/2λ 위상차 시트를 적층함으로써 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이 조제될 수 있다.
따라서, 직선 편광자와 위상차 시트 사이의 조합 각도는 매우 중요하고, 정확한 원편광 성능이 얻어지고 원편광 성능이 변하지 않도록, 양자의 조합 적층체를 접착제 등에 의해 서로 고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직선 편광자, 위상차 시트 또는 위상차판, 및 열접합 시트를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는 물이나 열, 자외선 등에 대한 장기간의 내구성을 필요로 하고, 기본적으로는, 그것들에 합격하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장기간의 내구성은 자외선흡수제나 산화방지제 등의 안정제의 첨가에 의해 보충되는 경우가 많다.
접착제에 대해서,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티오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왁스 등이 있다. 점착제로서는 아세트산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부착에 있어서, 이런 접착제 또는 점착제는 그라비아 코팅법이나 오프셋 코팅법 등 일반적인 도포방법에 의해, 직선 편광자나 위상차 시트, 열접합 시트에 균일하게 도포된다.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0.1∼100㎛이고, 바람직하게는 0.5∼80㎛이다.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의 두께가 0.1㎛ 미만일 때 접착력이 낮고, 100㎛를 넘을 때 원편광판의 단면으로부터 접착제나 점착제가 배어 나오는 경우가 있다.
제1발명의 제2케이스는, 직선편광 기능부분이 직선 편광자와, 그것을 협지하는 2매의 보호시트로 이루어지는 편광판으로서, 한쪽의 보호시트 상에 위상차 기능을 가지는 위상차 기능시트 또는 위상차판이 배치되고, 다른 한쪽의 보호시트 상에 열접합 기능을 가지는 열접합 시트가 배치되는 원편광판의 경우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직선 편광자는 일반적으로 물리강도가 약하고, 흡습성이 있어서, 이에 따라 취급성이 좋다고는 말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편광자에 보호시트를 부착함으로써 보강된 편광자는 직선 편광판(또는, 편광판)이라고 호칭되고, 편광자의 취급성을 좋게 한 직선 편광판이 유통이나 가공의 기본형태로 채택된다.
직선 편광판의 일반구조는 1매의 편광자의 각각의 면에 보호시트가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보호시트-직선 편광자-보호시트의 순으로 적층된 3층 구성의 적층체이다.
보호시트는 일반적으로는, 압출성형법 또는 캐스트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다. 압출성형법에 의한 보호시트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ㆍ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ㆍ스티렌 수지, 폴리-4-메틸펜텐-1 수지, 가소제를 부가한 아실셀룰로오스 수지와 같은 투명 열가소성수지의 시트가 있다.
보호시트로서는 광학적 이방성이 가능한 한 적고, 제조하기 쉬운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투명 열가소성수지는 압출성형의 편리함이나, 높은 투명성이 얻어지기 쉽다는 점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및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런 수지에는 자외선흡수제나 산화방지제 등의 안정제가 첨가되는 경우가 많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는 비스페놀A 등 방향족 페놀류를 주체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폴리머 알로이가 직선 편광판의 물리강도를 강화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비스페놀 A계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점도평균 분자량이 15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8000 이상의 것이, 원편광 렌즈의 강도와 인성에 있어서 우수하고, 눈을 보호하는 기능이 높으므로, 특히 추천된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지환족 또는 지방족 디카르복시산과, 지환족 또는 지방족 디아민을 축중합한 폴리아미드이고, 경도나, 강도나, 강인성이 있고, 비결정성이고 투명도가 높은 폴리아미드 수지가 바람직하다.
특히, 고투명성의 필요성으로부터, 비결정성 나일론 또는 투명 나일론이라고 불리고 있는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대표 예시로서, EMS CHMEMIE사의 “GRILAMID” TR-55, “GRILAMID” TR-90, HULS사의 TROGAMID” CX-7323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나일론은 일반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보다는 광학적 이방성이 적은 특징이 있다. 또한 솔벤트 크랙 내성(solvent crack resistance) 등 내용제성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보다 높은 경향이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테레프탈산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시산나 디카르복시산류를 주성분으로 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경도, 강도, 강인성, 및 투명성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우레탄 수지로서, 방향족 디소시아네이트나 지환족 디소시아네이트를 디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 한 폴리우레탄 수지 가운데, 경도, 강도나, 강인성을 갖고, 결정화의 일어나기 어려우며, 투명성의 높은 폴리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예시로서, BASF사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ELASTOLLAN” ET590, “ELASTOLLAN” ET595, “ELASTOLLAN” ET598이나, 그 회사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을 들 수 있다.
폴리아크릴 수지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나 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수지를 경도, 강도나, 투명성으로부터 들 수 있다.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는 대개 복굴절이 낮은 특징이 있으며, 광학이방성이 작은 시트가 얻어지기 쉽다. 또한, 수지는 내열성이 높고, 고커브(high curve)의 원편광 렌즈로 제조될 때, 위상차 성능에서 변화가 발생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대표적인 사이클로올레핀 수지(및, 사이클로올레핀 공중합수지)로서 니혼제온사의 “ZEONEX”나 “ZEONOR”, JSR사의 “ARTON”, 히타치가세이사의 “OPTOREZ”, 미츠이화학사의 “APEL”, 세키스이화학사의 “ESSINA”을 들 수 있다.
압출성형법에 의한 보호시트에 대해서, 캐스트 성형법에 의한 보호시트는 광학이방성이 작으므로, 직선 편광판의 보호시트로서는 바람직한 특성을 구비하고 있다.
대표적인 캐스트 성형법 시트의 제법으로서, 아실셀룰로오스 시트가 예시로 들어진다. 캐스트 성형법에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프로필셀룰로오스, 및 디프로필셀룰로오스와 같은 아실셀룰로오스류는, 예를 들면 아세톤이나 염화메틸렌에 용해되어 용액으로 제조된다. 이어서, 그 용액은 벨트 또는 평판 상으로 캐스팅되어, 가열 또는 감압처리에 의해 탈용매되어 시트로 된다.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도 용액캐스트법에 의해 시트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예를 들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주체로 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류를 유리판들 사이에 봉입하고, 소위 판간(板間) 중합법으로 캐스트 성형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아크릴 수지시트도 있다.
이외에, 판간 중합법 시트에는 폴리우레탄 수지시트가 있다. 판간 중합법에 의한 폴리우레탄 수지시트는 톨릴렌디소시아네이트(TDI), 메타크실렌디소시아네이트(MDI), 및 디페닐메탄-4,4'-디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나, 헥사메틸렌디소시아네이트, 및 이소포론디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와, 에틸렌글리콜, 및 1,3-프로판글리콜 등의 지방족 글리콜류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계 글리콜류, 카프로락톤계, 아디페이트계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글리콜류 등의 폴리올류를 혼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캐스트 성형법에 의한 보호시트로서는 이미 시트의 공업 생산기술이 확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시트의 공업 생산기술이 확립되어 있는 수지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의 아실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 및 폴리아크릴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런 수지에는 자외선흡수제나 산화방지제 등의 안정제가 첨가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 특히 바람직한 직선 편광판은, 위상차 시트, 또는 위상차판의 부착 측의 보호시트가 광학적으로 균일한 시트인 경우이다.
즉, 편광판의 2매의 보호시트 중, 적어도 1매가 캐스트 성형된 아실셀룰로오스 시트, 특히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시트, 사이클로올레핀 수지시트, 폴리메타크릴 수지 시트, 및 폴리우레탄 수지시트와 같은 광학적으로 균일성이 높은 시트인 경우이다. 위상차 시트, 또는 위상차판은 광학적으로 균일성이 높은 보호시트 상에 부착된다.
보호시트의 바람직한 두께는 압출성형법이나 캐스트 성형법 등의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계없이 0.01∼1.0㎜ 정도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02∼0.8㎜ 정도이다. 두께가 0.01㎜ 미만일 때 편광자의 보호작용이 약해진다. 한편, 두께가 1.0㎜를 넘을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편광판의 굽힘가공이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다.
편광자를 샌드위치로하는 2매의 보호시트는 수지의 종류나 시트 성형법, 연신배율, 시트 두께 등이 일치할 필요 없지만, 편광판의 조제 편리함, 굽힘의 없음, 취급하기 쉬움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같은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와 보호시트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사용해서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광학이방성이 거의 없는 캐스트 성형법에 의한 보호시트는 그다지 문제가 안되지만, 압출성형법에 의한 보호시트로서, 혹시 그것이 연신 시트인 경우에는, 접착에 있어서의 보호시트와 편광자의 방향성이 문제가 된다. 즉, 편광자의 연신방향과 보호시트의 연신방향을 거의 완전하게 일치시키지 않으면, 편광도의 저하, 편광도의 국소변화, 색변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축연신의 보호시트인 경우에는, 연신배율이 큰 쪽이 연신방향과 편광자의 연신방향을 거의 완전하게 일치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편광자와 보호시트를 부착하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는 물, 열, 빛 등에 대한 장기간의 내구성이 필요하고, 기본적으로는 제1발명의 제1케이스에서 사용된 접착제와 점착제라면 문제없다.
접착제에 대해서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티오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아크릴수지, 왁스 등이 있다. 점착제로서는 아세트산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부착에 있어서, 이런 접착제 또는 점착제는 그라비아 코팅법이나 오프셋 코팅법 등의 일반적인 도포방법에 의해, 보호시트 또는 편광자에 균일하게 도포된다.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0.1∼100㎛이고, 바람직하게는 0.5∼80㎛이다.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의 두께가 0.1㎛ 미만일 때 접합력이 낮고, 100㎛를 넘을 때 편광판의 단면으로부터 접착제나 점착제가 배어 나오는 경우가 있다.
편광판의 바람직한 두께는 0.1∼2㎜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2∼1.6㎜이다.
0.1㎜ 미만일 때 편광판은 만들기 어렵고, 2㎜를 넘을 때편광판의 굽힘가공 시에, 편광자에 크랙이 들어가거나, 보호시트에 주름이 잡혀서, 편광판은 렌즈상으로 잘 구부러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대표적인 편광판으로서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편광판을 들 수 있다. TAC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직선 편광자를 캐스트 성형법으로 조제한 2매의 TAC시트로 고정되도록 한다. 특히, 백업 수지와의 충분한 열접합성을 갖지 않은 TAC 편광판은 제1발명의 제2케이스에서 유용하다.
이외에, 직선 편광자를 캐스트 성형한 사이클로올레핀 수지시트, 폴리메타크릴 수지 시트, 및 폴리우레탄 수지시트와 같은 광학적인 균일성이 높은 시트로 고정된 직선 편광판이 추천된다.
이외에, 2매의 보호시트 중, 적어도 1매가 캐스트 성형된 아실셀룰로오스 시트, 특히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시트, 사이클로올레핀 수지시트, 폴리메타크릴 수지 시트, 및 폴리우레탄 수지시트와 같은 광학적인 균일성이 높은 시트이고, 다른 일방측이 압출성형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ㆍ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ㆍ스티렌 수지, 폴리-4-메틸펜텐-1 수지, 및 가소제를 부가한 아실셀룰로오스 수지와 같은 투명 열가소성수지의 시트인 경우가 추천된다.
제1발명의 제2케이스에 있어서, 직선 편광판의 일방측에 부착되는 위상차 기능시트 또는 위상차판은 제1발명의 제1케이스에서 기술한 위상차 기능시트 및 위상차판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직선 편광판의 광학적인 균일성이 높은 보호시트측에 위상차 기능시트 또는 위상차판이 부착된다.
다른 일방측(위상차 기능시트가 부착되지 않은 면)에 부착되는 열접합 시트는 백업 수지와의 열접합성에 의해 선택되어야 하며, 제1발명의 제1케이스에서 기술한 열접합 시트의 원칙이 그대로 적용된다.
즉, 열접합 시트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ㆍ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ㆍ스티렌 수지, 및 폴리-4-메틸펜텐-1 수지 등, 열가소성의 투명수지로부터 제조되는 시트이다.
그 중에서도, 시트제조의 용이함으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열접합 시트는 백업 수지와의 열접합 적합성이 있기 때문에, 열접합 시트와 백업 수지는 화학적으로 동계통의 수지이거나, 열접합 시트와 백업 수지의 어느 한쪽이 열접합성이 높은 폴리우레탄 수지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이런 수지에는, 자외선흡수제나 산화방지제 등의 안정제가 첨가되는 경우가 많다.
열접합 시트는 1축이나 2축연신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연신되지 않으므로, 굽힘가공이나 백업 사출성형 시에 열수축이 일어나지 않고, 원편광 렌즈에서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다.
열접합 시트의 바람직한 두께는, 0.01∼1㎜ 정도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02∼0.8㎜ 정도이다. 시트의 두께가 0.01㎜ 미만일 때 원편광판 및 원편광 렌즈가 너무 얇아져서 취급하기 어렵고, 두께가 1㎜를 넘을 때 위상차 시트와의 두께 밸런스가 손상되어, 원편광판에 뒤틀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편광판에 위상차 기능시트, 또는 위상차판과 열접합 시트를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접착제나 점착제는 제1발명의 제1케이스에서 기술한 접착제나 점착제와 동일할 수 있다.
편광판으로서 TAC 편광판이 사용되는 경우, 백업 수지로서 높은 인장강도, 높은 굽힘강성, 강인성 및 높은 강도를 가지기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백업하는 수지와 TAC제 보호시트 사이의 열접합성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TAC제 보호시트 상에 백업 수지와 열접합이 가능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열접합성 시트를 부착하는 것이 추천된다.
TAC 편광판 이외의 직선 편광판, 예를 들면 캐스트 성형한 사이클로올레핀 수지시트, 폴리메타크릴 수지 시트나, 폴리우레탄 수지시트를 보호시트로 사용하는 직선 편광판의 경우도 동일하다.
이외에, 2매의 보호시트 중, 적어도 1매가 캐스트 성형된 아실셀룰로오스 시트, 특히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시트, 사이클로올레핀 수지시트, 폴리메타크릴 수지 시트, 및 폴리우레탄 수지시트와 같은 광학적인 균일성이 높은 시트이고, 다른 일방측이 압출성형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ㆍ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ㆍ스티렌 수지, 폴리-4-메틸펜텐-1 수지, 및 가소제를 부가한 아실셀룰로오스 수지와 같은 투명 열가소성수지시트인 직선 편광판의 경우에도, 백업 수지와의 열접합성을 높이기 위해서, 열접합 기능측이 되는 압출성형된 투명 열가소성수지시트 상에, 추가로 열접합 시트가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제1발명의 제3케이스는 직선 편광자의 한쪽의 보호시트 상에 위상차 기능을 가지는 위상차 기능시트 또는 위상차판이 배치되고, 다른 한쪽의 보호시트가 열접합 기능을 가지는 열접합 시트인 원편광판인 경우이다.
제3케이스에서 기본적으로는 제2케이스와 동일한 편광판이 사용된다. 위상차 기능시트 및 위상차판도 제1케이스 또는 제2케이스와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편광판에 위상차 기능시트 또는 위상차판을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접착제나 점착제는 제1발명의 제1케이스나 제2케이스에서 기술한 접착제나 점착제와 동일할 수 있다.
제3케이스는 열접합측의 보호시트가 백업 수지와 화학적인 친밀감이 있고, 열접합이 잘되는 경우이다. 이런 케이스의 보호시트와 백업 수지는 제2케이스에서 기술한 열접합 시트와 백업 수지에 따라 선택되어야 한다.
제1발명의 제4케이스는 직선 편광자의 한쪽의 보호시트가 위상차 기능을 가지는 위상차 기능시트 또는 위상차판이고, 다른 한쪽의 보호시트 상에 열접합 기능을 가지는 열접합 시트가 부착되는 원편광판인 경우이다.
제4케이스에서 기본적으로는 제1케이스와 동일한 직선 편광판이 사용된다. 위상차 기능시트 및 위상차판도 제1케이스 또는 제2케이스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제4케이스는 열접합 측의 보호시트가 백업 수지와 화학적인 친밀감이 좋지않고, 백업 수지와 열접합하기 어려운 경우이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 부착되는 열접합 시트와 백업 수지는 제2케이스에서 기술한 열접합 시트와 백업 수지에 따라 선택되어야 한다.
열접합 시트를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접착제나 점착제는 제1발명의 제1케이스나 제2케이스에서 기술한 접착제나 점착제와 동일할 수 있다.
제1발명의 제5케이스는 열접합 기능이 열접합측에 설치된 열접합용 코팅층에 의해 보완되어 있는 원편광판인 경우이다.
즉, 열접합 기능부분과 백업 수지 사이의 열접합성이 열접합용 코팅층에 의해 보완된다.
또한, 제1발명의 제1 내지 제4케이스를 구체적으로 기술하고자, 이런 케이스들은 제1 내지 제4케이스의 열접합 시트에 열접합용 코팅층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런 열접합용 코팅층에 사용되는 수지로는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티오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및 합성고무 등을 들 수 있고, 저점도품은 그대로 사용되거나, 고점도품 또는 고체는 용제에 용해하거나, 에멀션으로 제제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열접합용 코팅층은 그라비아 코팅법이나 오프셋 코팅법 등의 일반적인 도포방법에 의해, 열접합 시트에 균일하게 도포된다.
열접합용 코팅층의 두께는, 통상 0.1∼500㎛이고, 바람직하게는 0.5∼400㎛이다. 열접합용 코팅층의 두께가 0.1㎛ 미만일 때 접착력이 낮고, 500㎛를 넘을 때 백업 수지를 사출성형하였을 때, 원편광 렌즈의 단면으로부터 열접합용 코팅층이 배어 나오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2번째(이하, ‘제2발명’ 이라고 한다)는 제1발명의 케이스 1 내지 케이스 5에서 개시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편광판은 통상, 편광자나 보호시트, 위상차 기능시트등의 평면 시트가 적층되 평면적층체 시트로 하여 제작된다.
이런 평면적층체 시트를 본 발명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로 구비하기 위해서는, 시트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을 펀칭하거나, 절단하거나, 연마하는 등의 방법으로 원형상, 타원형상, 장타원형상, 엽전상, 4각형상, 5각형상 등의 다각형상, 모서리를 둥글게 한 다각형상, 가지형상, 드롭 형상 등의 렌즈형상으로 형상화된다. 조제된 렌즈는 평면형상의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이다.
본 발명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는 굽힘가공되어 안경으로 제조될 때, 랩(wrap)이나 레이크(rake)가 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굽힘가공의 형상에는 구면형상, 타원구면형상, 및 토릭(toric)형상 등이 있다.
굽힘가공법으로서는,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방법이 있다. 굽힘가공되기 전에 원편광판은 굽힘 가공장치에 쉽게 장착되도록 하는 형상이나 크기로 절단되는 것이 통상 수행되고 있다.
원편광판의 굽힘가공방법의 하나로서 블로우성형법이 있다. 이런 방법은 직경이 렌즈와 거의 동등한 오목부가 형성된 굽힘장치를 사용한다. 원편광판의 위상차 기능측을 상향으로 갖는 오목부 상에 원편광판이 놓여지고, 오목부의 외주와 동등한 형상의 링 형상 고정기구가 그 위에서 눌러진다. 원편광판은 링 형상 고정기구에 의해, 굽힘장치에 고정된다.
상부로부터 전열 히터나 적외선 히터가 조사되고, 원편광판을 가열, 연화하여, 굽혀지기 쉽게 한다.
원편광판이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오목부 내부에 압공(壓空)이 도입되고, 내부로부터 가압된다. 그 결과, 원편광판이 상향으로 부풀어 올라, 렌즈형상으로 변형된다.
판이 원하는 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시점에서, 히터가열이 정지되는 동시에 내부가압이 정지된다. 링 형상 고정기구의 푸싱(pushing)이 늦춰지고, 굽힘가공된 원편광판이 굽힘장치로부터 꺼내어진다. 필요에 따라, 원편광판의 불필요부분이 절단되면, 위상차 기능측이 볼록면에 배치되고, 열접합 기능측이 오목면에 배치된 원편광 렌즈가 얻어진다.
원편광판이 굽힘가공되는 다른 방법으로서 진공 성형법이 있다. 이런 방법은 원편광판의 고정방법이나 가열방법이 블로우성형법과 거의 동일한 형식이지만, 위상차 기능부분을 하향으로 해서 원편광판이 굽힘장치 위에 놓여지는 것이 다르다.
원편광판이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오목 부분이 내부로부터 감압된다. 그 결과, 원편광판이 하향으로 움출어 들어, 렌즈형상으로 변형된다.
판이 원하는 형상으로 움출어든 시점에서, 히터가열이 정지되는 동시에 감압이 정지된다. 링 형상 고정기구의 푸싱이 늦춰지고, 굽힘가공된 원편광판이 굽힘장치로부터 꺼내어진다. 필요에 따라, 원편광판의 불필요부분이 절단되면, 위상차 기능측이 볼록면이 되고, 열접합 기능측이 오목면이 되는 원편광 렌즈가 얻어진다.
원편광판이 굽힘가공되는 다른 방법으로서 압공진공성형법이 있다. 이런 방법은 기술사상적으로는 블로우성형법과 진공성형을 합체시킨 것이다.
링 형상 고정기구에서 고정된 원편광판의 상부에는 가압실(또는 감압실)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감압실(또는 가압실)이 설치되며, 가압과 감압을 동시에 실시함으로서, 가압측의 부풀음 변형과 감압측의 움츨어듬 변형의 가산에 의해, 변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원편광판은 위상차 기능측이 볼록면에 오도록 장치 상에 놓여진다.
블로우성형법이나 진공 성형이나 압공진공성형법은 두께 0.2㎜ 정도 이하의 원편광판의 굽힘가공에는 유효하지만, 그것보다 두께가 큰 원편광판에 대해서는 굽힘가공한 부분에 두께 불균일이 발생하거나, 주름이 생기거나, 균열이 발생하기가 쉬워진다.
이러한 두께 불균일이나 주름이나 균열은 위상차 시트나 직선 편광자의 국부적인 신장으로 유도되어, 충분한 원편광 성능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그래서, 굽힘가공된 부분에 두께 불균일이 발생하거나, 주름이 생기거나,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원편광판의 굽힘가공방법이 중요해지고, 원편광판을 굽힘가공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H01-22538호에 기재된 방법이 있다(본 발명에서는, 이 방법을 흡인식 자유 굽힘가공방법이라고 칭한다).
흡인식 자유 굽힘가공방법은 블로우성형법이나 진공성형이나 압공진공성형법에서 사용되는 링 형상 고정기구를 사용하지 않지만, 형식적으로는 진공 성형법에 가깝다.
즉, 원편광판이 굽힘형상에 거의 동등한 곡률형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금형 위에, 원편광판을 고정판없이 놓아둔다. 분위기 온도와 금형온도는 굽힘가공온도로 설정되고, 금형의 바닥으로부터 감압될 때, 원편광판이 금형과 동일한 형상이 될 때까지 금형으로 들어간다.
분위기온도와 금형온도가 일정 온도까지 내려가고, 원편광 렌즈는 금형에서 꺼내어진다.
흡인식 자유 굽힘가공방법은 두께 0.2㎜ 정도 이하의 원편광판의 굽힘가공에는 주름이 생기거나, 양호한 품질의 원편광 렌즈가 얻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지만, 0.2㎜보다 두꺼운 원편광판에 대해서는, 판이 비교적 부드럽게 굽힘가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제2발명의 원편광 렌즈를 얻는데 있어서, 특히 추천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발명에 의해서 제작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는 렌즈표면에서 하드코팅 가공될 수 있다. 하드코팅으로서는 실란계, 에폭시계 등의 열경화형 하드코팅과, 아크릴계, 에폭시계 등의 활성광선 경화형 하드코팅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3번째 (이하, ‘제3발명’ 이라고 한다)은, 제2발명에서 개시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의 열접합 기능부분에 백업 수지가 사출성형된 원편광 렌즈에 관한 것이다.
백업 수지의 사출성형법은 제2발명에서 얻은 원편광 렌즈가 사출성형기의 금형에 삽입되고, 백업 수지가 열접합 기능측(종종 오목면측이 된다)에 사출성형되는, 소위 인서트 사출성형법이다.
생산성이나 성형의 정밀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기본적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H11-24525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인서트 사출성형법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방법은 백업측을 향해 열접합된 면으로 원편광 렌즈를 금형에 배치하고, 백업 수지층이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방법이다. 그 중에서도, 사출압축성형법은 금형 안에 수지를 저압으로 사출한 후, 금형을 고압으로 닫아, 수지에 압축력을 부가하는 방법을 취하기 때문에, 성형품에 성형변형이나 수지금형의 국소적 배향에 기인하는 광학이방성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 수지에 대해서 균일하게 가해진 금형압축력을 제어함으로써, 수지가 일정 비부피로 냉각될 수 있으므로, 치수정밀도가 높은 성형품이 얻어진다.
이외에, 제3발명은 제2발명에서 제조된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를 옆줄로 배치하고(이 경우의 옆줄 배치상태는 양쪽렌즈가 약간 포개져 배치된 상태, 또는 단부가 접촉해서 배치된 상태, 또는 단부가 간격을 두어서 배치된 상태를 포함한다), 열접합 기능부분에서 백업 수지를 동시에 사출성형하며,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를 옆줄로 배치함으로써 제작한 입체시용 원편광 1안 렌즈, 또는 프레임과 렌즈가 일체화된 입체시용 원편광 1안 렌즈, 또는 프레임과 렌즈가 일체화된 입체시용 원편광 1안 고글렌즈를 포함한다.
어떤 경우에, 제2발명의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를 옆줄로 배치된 상태에서 삽입가능한 1안용 렌즈 금형이 사용된다.
제2발명의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는 동시에 백업 성형되는 동시에, 양쪽 렌즈는 백업 수지로 연결되어 입체시용 원편광 1안 렌즈를 얻는다.
또한, 프레임이 백업 수지로 동시에 양쪽렌즈의 주변에서 성형될 때, 프레임과 렌즈가 일체화된 입체시용 원편광 1안 렌즈가 얻어진다. 또한, 프레임이 백업 수지로 동시에 양쪽렌즈의 주변에서 성형될 때, 프레임과 렌즈가 일체화된 입체시용 원편광 1안 고글렌즈가 얻어진다.
백업 사출성형하는데 있어서, 삽입된 제2발명의 원편광 렌즈를 금형에 고정하기 위해서, 제2발명의 원편광 렌즈의 흡인고정이 금형에 설치된 흡인공을 통해서 금형측에서 종종 수행된다.
제2발명의 원편광 렌즈의 굽힘 형상은 금형의 형상에 거의 동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발명의 원편광 렌즈가 평면형상일 때, 평면형상을 갖는 금형이 사용되고, 제2발명의 원편광 렌즈가 구면일 때, 그것에 거의 동등한 구면을 갖는 금형이 사용된다.
제2발명의 원편광 렌즈가 평면형상인 경우에는, 금형에서의 흡인고정에 의해서, 렌즈는 금형의 형상(예를 들면, 구면형상이나 타원구면형상이나 토릭형상)을 따라 구부려서, 그 형상으로 백업되어, 구면형상이나 타원구면형상이나 토릭형상의 원편광 렌즈로 제조될 수도 있지만, 사전에 굽힘가공된 제2발명의 원편광 렌즈는 그것에 거의 동등한 구면형상이나 타원구면형상이나 토릭형상의 금형에 놓여져 백업 사출성형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백업후의 렌즈의 마감이 좋지 않은 경향이 있다.
백업하는 수지는, 제2발명의 원편광 렌즈와 열접합하는 것이 요구되므로, 열접합 시트에 사용한 수지와 백업 수지는 화학적으로 동계통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백업수지로서, 보호시트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일 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바람직하고, 보호시트가 폴리아미드 수지일 때는 폴리아미드 수지가 바람직하며, 보호시트가 폴리에스테르 수지일 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바람직하고, 보호시트가 폴리아크릴 수지일 때는 폴리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며, 보호시트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일 때는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고, 보호시트가 폴리우레탄 수지일 때는 폴리우레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백업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인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제의 열접합 시트와 열접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백업 수지가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경우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제의 열접합 시트와 열접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백업 수지가 폴리우레탄 수지인 경우에는, 폴리우레탄 수지에 한정하지 않고, 많은 화학구조의 열접합 시트와 열접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열접합 기능이 제1발명의 제4케이스에서 개시한 바와 같은 열접합용 코팅층에 의해 보완되어 있는 경우에는, 백업 수지의 화학종이 한정되지 않거나, 일부를 제외하고 한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수지를 백업함으로써 증대된 두께를 갖는 원편광 렌즈가 렌즈 전역에 걸쳐서 동일 두께인 경우에는, 이는 교정도수가 들어가지 않은 렌즈, 소위 플라노렌즈(planolens)이다. 플라노렌즈는 렌즈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렌즈단부의 시선에 마이너스 면(minus side)의 굴절력이 붙게 되고, 변형된 시각이 발생되기 쉽다. 그 대응책으로서, 구면 렌즈나 토릭렌즈의 프론트 커브(front curve)와 백 커브(back curve)의 중심을 어긋나게 하거나, 곡률반경을 변경하는 광학설계에 의해, 두께가 렌즈 단면을 향해 서서히 두께를 감소되고, 플러스 면(plus side)의 굴절력을 붙이고, 마이너스 면의 굴절력이 상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노렌즈의 경우에는, 백업 수지를 성형한 후의 렌즈의 중심두께는, 0.7∼3㎜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0.8∼2.8㎜인 것이 추천된다. 두께가 0.7㎜ 미만일 때, 인서트 사출성형이 어렵고, 내충격 강도에 대한 보강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또한, 3㎜를 넘을 때, 렌즈가 무거워지고, 안경으로 제조되었을 경우, 렌즈 단부가 두꺼워져서, 볼품이 없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2발명에 따라 제작된 원편광 렌즈의 프론트 커브 곡률과, 백업후의 원편광 렌즈의 백 커브 곡률을 변화시킴으로써, 플러스 면이나 마이너스 면의 도수를 갖는 원편광교정 렌즈가 제조될 수 있다.
또, 소위 세미피니쉬 렌즈(semifinish lens)('세미렌즈(semilens)' 라고 약칭되는 경우가 있다)가 제조될 있고, 백업 수지부분의 마이너스 면, 또는 플러스 면의 연마에 의해, 원편광 교정 렌즈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발명에 따라 제작된 원편광 렌즈, 및 입체시용 원편광 1안 렌즈, 및 입체시용 원편광 1안 안경형 렌즈에서 렌즈표면는 하드코팅 가공될 수 있다. 하드코팅으로서는 실란계, 에폭시계 등의 열경화형 하드코팅과, 아크릴계, 에폭시계 등의 활성광선경화형 하드코팅이 일반적이다.
하드코팅은 통상 0.5∼15㎛ 정도의 막두께로 부여되지만, 밀착성이나 내충격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아크릴레이트계나 우레탄계 등의 프라이머 코팅층이 렌즈표면에 형성되고, 하드코팅층이 프라이머 코팅층 상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발명의 원편광 렌즈, 및 입체시용 원편광 1안 렌즈, 및 입체시용 원편광 1안 고글렌즈는 반사 방지가공이나 김서림 방지가공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4번째 (이하, ‘제4발명’ 이라고 한다)는 본 발명의 제2발명, 및 제3발명에서 개시된 원편광 렌즈의 위상차 기능부분(종종 볼록면측이 된다)이 대물측으로서 프레임에 삽입되고, 열접합 기능부분 또는 백업 수지측(종종 오목면측이 된다)이 접안측으로서 프레임에 삽입되는 삽입한 입체시용 원편광 2안 안경, 또는 입체시용 원편광 2안 고글에 관한 것이다.
원편광 렌즈가 끼워지는 2안의 안경 프레임, 또는 2안의 고글 프레임의 형상이나 타입은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지만, 렌즈가 확실히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에서의 배치는 한쪽 눈에 대한 프레임에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삽입되고, 다른 쪽 눈에 대한 프레임에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삽입되는 것이 철칙으로 한다.
여기서, 직선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이 수평방향 (2개의 렌즈를 연결하는 방향을 안경의 수평방향이라고 한다)이 되도록 원편광 렌즈가 안경 프레임에 삽입되면, 정면방향(또는 위상차 기능부분측)에서 보아, 위상차 시트의 느린 축 방향이 시계단침의 10시 반과 4시 반을 연결하는 경사인 경우가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되고, 위상차 시트의 느린 축 방향이 시계단침의 1시 반과 7시 반을 연결하는 경사인 경우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된다.
이 외에, 제4발명은 제3발명에서 제작된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옆줄로 해서 배치된 입체시용 원편광 1안 렌즈가 광학부품으로서 끼워진 입체시용 원편광 1안 안경이나, 프레임과 렌즈가 일체화된 입체시용 원편광 1안 글래스형 렌즈가 광학부품으로서 끼워진 입체시용 원편광 1안 글래스를 포함한다.
이외에, 제4발명은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옆줄로 해서 배치된 입체시용 원편광 1안 고글렌즈가 광학부품으로 사용되고, 벨트 등이 그것에 장착된 입체시용 원편광 1안 고글을 포함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직선 편광자로서, 폴리비닐알코올의 시트가 1축방향으로 4배 연신되고, 두께 약 30㎛의 시트로 얻어지며, 추가로 2색 염료로 염색되어 편광도 98%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직선 편광자를 조제하였다.
열접합 시트로서, 점도 평균 분자량이 약 25000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데이진카세이사, Panlight L-1250Z)가 압출성형되었고, 두께 0.3㎜ 정도의 투명시트를 조제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된 열접합 시트의 일방측에는 우레탄계 접착제가 두께 25㎛ 정도로 도포되었고, 앞에서 조제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직선 편광자가 중접되고, 부착되었다.
이어서, 직선 편광자의 다른 쪽 일방측에는 우레탄계 접착제가 두께 25㎛ 정도로 도포되었고, 폴리사이클로올레핀계의 1/4λ 위상차 시트(두께 46㎛, 주식회사 메칸이미징사(MeCan Imaging Co.))가 중첩되고 부착되었다.
중첩시에, 직선 편광자의 연신방향과 위상차 시트의 연신방향 사이의 각도는 45도로 설정되어 시계방향의 원편광이 얻어졌고, 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이 조제되었다.
동일한 방법으로, 직선 편광자의 연신방향과 위상차 시트의 연신방향 사이의 각도는 45도로 설정되어 반시계방향의 원편광이 얻어졌고,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이 조제되었다.
얻어진 시계방향 원편광판과 반시계방향 원편광판은, 두께가 0.43㎜ 정도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위상차 시트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편광판(두께 약 0.23㎜, 편광도 99.5%, 스미토모화학사의 접착제의 부착에 의해 2색성 염료로 도핑된 두께 약 30㎛의 폴리비닐알코올제 직선 편광자의 양측을, 캐스트 성형으로 조제된 두께 약 100㎛의 TAC제의 보호시트로 고정함으로써 얻어진 편광판)의 일방측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되었다.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만든 열접합 시트는 TAC 편광판의 다른 일방측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되었다.
얻어진 시계방향 원편광판과 반시계방향 원편광판은 모두 두께가 0.55㎜ 정도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된 TAC 편광판의 일방측에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위상차 시트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되었다.
열접합 시트로서, 투명 나일론(“TROGAMID” CX-7323, HULS사)가 압출성형되었고, 두께 0.3㎜ 정도의 투명시트를 조제하였다.
TAC 편광판의 다른 일방측에는 상기 투명 나일론제의 열접합 시트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되었다.
얻어진 시계방향 원편광판과 반시계방향 원편광판은 모두 두께가 0.55㎜ 정도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직선 편광자에는 캐스트 성형으로 조제된 두께 약 100㎛의 TAC제의 보호시트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되었다. 추가로, 직선 편광자의 다른 일방측에는, 열접합성이 있는 보호시트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시트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되었다. 얻어진 적층체는 편광도 98%, 두께 약 0.48㎜의 직선 편광판이었다.
얻어진 직선 편광판의 TAC제 보호시트 상에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위상차 시트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되었다.
얻어진 시계방향 원편광판과 반시계방향 원편광판은 모두 일방측이 위상차 시트이었고, 다른 일방측이 열접합성이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시트이었으며, 두께가 약 55㎜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 조제된 직선 편광판의 TAC제의 보호시트 상에는 (주식회사메칸이미징사의 폴리사이클로올레핀계 수지로 된 두께 약 46㎛의 1/4λ 위상차 시트의 양측에 TAC제의 보호시트를 부착함으로써 얻어진) 두께 약 0.3㎜의 위상차판이 중첩되었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되었다.
얻어진 시계방향 원편광판과 반시계방향 원편광판은 모두 일방측이 위상차판이었고, 다른 일방측이 열접합성이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시트이었으며, 두께가 0.8㎜ 정도이었다.
실시예 6
보호시트로서, 판간 중합에 의해 조제된 두께 약 200㎛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시트에는 아크릴계 접착제가 두께 약 25㎛로 도포되었고, 이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직선 편광자의 일방측에 부착되었다.
이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직선 편광자의 다른 일방측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판간 중합에 의해 조제된 두께 약 200㎛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시트가 부착되었다.
얻어진 것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직선 편광자의 양측에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시트가 부착된 두께 약 0.48㎜의 폴리아크릴 편광판이었다.
동일한 편광판의 일방측에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위상차 시트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되었고,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원편자판의 두께는 약 0.55㎜이었다.
동일한 원편광판의 열접합 기능측(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측)에는 가교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소시아네이트우레탄프리폴리머. 쿄에이샤화학사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 UA-306H)의 이소프로필알코올 용액이 도포되었다.
도포 후, 이는 열풍 오븐에 놓여져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제거하고, 가교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가교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층은 자외선으로 조사되어 열접합용 코팅층을 조제하였다. 열접합용 코팅층의 두께는 35㎛이ㅇ었다.
실시예 7
원편광판으로서, 폴라테크노사의 시계방향 원편광판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모두, 두께가 약 0.3㎜이었고, 동일한 원편광판은 폴리카보네이트제 1/4λ 위상차 시트/TAC제 보호시트/요오드로 도핑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직선 편광자/TAC제 보호시트를 차례로 적층함으로 얻어졌다)이 사용되었다.
열접합 시트로서, 실시예 6에서 사용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시트가 사용되었다. 아크릴계 접착제를 두께 약 25㎛로 도포한 동일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시트는 상기의 원편광판의 TAC제 보호시트의 측에 부착되었다.
얻어진 시계방향 원편광판과 반시계방향 원편광판은 모두 두께가 0.53㎜ 정도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조제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의 각각은 직경 90㎜의 원형으로 펀칭되었다.
원형으로 펀칭된 원편광판은, 70℃의 열풍건조기에 5시간 동안 놓여져 건조 처리되었다. 이어서, 볼록면이 위상차 기능측이 되고, 오목면이 열접합 기능측이 되도록, 판이 곡률반경 87㎜의 금형을 구비한 흡인식 자유 굽힘가공장치에 놓여졌다. 흡인식 자유 굽힘가공장치는 미리 금형온도를 125℃로 설정해 두었다.
원편광판은 흡인식 자유 굽힘가공장치에 놓여진 동시에, 감압 하에서 금형측으로부터 흡인되었다. 그 상태에서, 판이 130℃의 열풍오븐에 놓이고, 0.05MPa의 조건 하에서 흡인되었다. 약 10분 후에, 판은 열풍 오븐에서 꺼내어지고, 감압하에서 흡인이 정지되었다.
굽힘가공된 렌즈는 금형에서 꺼내어지고, 플랜지형상의 주연부가 절단되었다. 얻어진 렌즈는 볼록면이 위상차 기능측이 되고, 오목면이 열접합 기능측이 되는 곡률반경이 약 87㎜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였다.
실시예 9
실시예 2에서 조제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의 각각은 직경 90㎜의 원형으로 펀칭되었다.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볼록면이 위상차 기능측이 되고, 오목면이 열접합 기능측이 되는 곡률반경이 약 87㎜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조제되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3에서 조제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의 각각은 직경 90㎜의 원형으로 펀칭되었다.
금형온도가 100℃이었고, 열풍 오븐 온도가 115℃이었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굽힘가공되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4에서 조제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의 각각은 직경 90㎜의 원형으로 펀칭되었다.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볼록면이 위상차 기능측이 되고, 오목면이 열접합 기능측이 되는 곡률반경이 약 87㎜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조제되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5에서 조제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의 각각은 직경 90㎜의 원형으로 펀칭되었다.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볼록면이 위상차 기능측이 되고, 오목면이 열접합 기능측이 되는 곡률반경이 약 87㎜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조제되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6에서 조제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의 각각은 직경 90㎜의 원형으로 펀칭되었다.
금형온도가 90℃이었고, 열풍 오븐 온도가 95℃ 이었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굽힘가공되어 볼록면이 위상차 기능측이 되고, 오목면이 열접합 기능측이 되는 곡률반경이 약 87㎜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7에서 조제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의 각각은 직경 90㎜의 원형으로 펀칭되었다.
금형온도가 90℃이었고, 열풍 오븐 온도가 95℃이었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굽힘가공되어, 볼록면이 위상차 기능측이 되고, 오목면이 열접합 기능측이 되는 곡률반경이 약 87㎜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15
사출성형기의 성형실에는 인서트 성형용의 6C(커브), 즉, 곡률반경 87㎜의 금형이 장착되었다.
성형실이 개방되고, 실시예 8에서 조제한 원편광 렌즈는 볼록면측을 선두로 해서 볼록면측의 금형에 삽입되고, 볼록면측의 금형에 형성된 세공을 통해서 감압 하에 흡인되며, 원편광 렌즈가 볼록면측의 금형에 고정되었다.
성형실이 폐쇄되고, 원편광 렌즈의 오목면측(열접합 기능측)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점도평균 분자량 25000, 데이진카세이사, Panlight L-1250Z)가 사출성형되며, 직경이 86㎜이고, 중심두께가 2㎜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플라노렌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9에서 조제된 원편광 렌즈의 열접합측에서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사출성형되고, 직경이 86㎜이고, 중심두께가 2㎜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플라노렌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0에서 조제된 원편광 렌즈의 열접합측에서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 나일론(“TROGAMID” CX-7323, HULS사)이 사출성형되고, 직경이 86㎜이고, 중심두께가 2㎜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플라노렌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11에서 조제된 원편광 렌즈의 열접합측에서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사출성형되고, 직경이 86㎜이고, 중심두께가 10㎜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세미렌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2에서 조제한 원편광 렌즈의 열접합측에서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사출성형되고, 직경이 86㎜이고, 중심두께가 2㎜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플라노렌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13에서 조제된 원편광 렌즈의 열접합측에서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수지(BASF사, ELASTOLLAN ET595)가 사출성형되고, 직경이 86㎜이고, 중심두께가 2㎜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플라노렌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실시예 14에서 조제된 원편광 렌즈의 열접합측에서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스미토모화학사, SUMIPEX MGSS)가 사출성형되고, 직경이 86㎜이고, 중심두께가 2㎜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플라노렌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8 내지 14에서 조제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에 대해서, 각각의 실시예 별로, 안경 프레임 형상에 맞도록 주연부가 렌즈 절단기로 연마되었다.
각각의 실시예 별로,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짝 지어진다. 짝어진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는 볼록면을 대물측에 있고, 오목면을 접안측에 있도록 하여 안경 프레임에 설치된다.
완성된 안경은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1안씩 끼워진 원편광 안경이다.
조제 후에 원편광 안경을 눈 상에 착용하고, 인터리브필터 방식의 입체 텔레비전을 시청할 때, 입체시는 어떤 안경에 대해서도 양호하다.
실시예 23
직선 편광자로서, 폴리비닐알코올의 시트는 1축 방향으로 4배 연신되고, 두께 약 30㎛의 시트를 얻었으며, 추가로 2색 염료로 염색되었으며, 편광도 98%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직선 편광자를 얻었다.
열접합 시트로서, 점도평균 분자량이 약 25000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데이진카세이사, Panlight L-1250Z)가 압출성형되고, 두께 0.3㎜ 정도의 투명시트를 조제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제조된 열접합 시트의 일방측에는 우레탄계 접착제가 두께 25㎛ 정도로 도포되었고, 앞에서 조제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직선 편광자가 중첩되고 부착되었다.
이어서, 직선 편광자의 다른 일방측에는 우레탄계 접착제가 두께 25㎛ 정도로 도포되었고, 폴리카보네이트계의 1/4λ 위상차 시트(두께 60㎛, GS-120 데이진카세이사)가 중첩되고 부착되었다.
중첩 시에, 직선 편광자의 연신방향과 위상차 시트의 연신방향 사이의 각도는 45도로 설정되어 시계방향의 원편광이 얻어지고, 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을 조제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직선 편광자의 연신방향과 위상차 시트의 연신방향 사이의 각도는 45도로 설정되어 반시계방향의 원편광이 얻어지고,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시계방향 원편광판도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도 두께가 0.43㎜ 정도이었다.
실시예 24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편광판(두께 약 0.23㎜, 편광도 99.5%, 스미토모화학사의 접착제의 부착에 의해 2색성 염료로 도핑된 두께 약 30㎛의 폴리비닐알코올제 직선 편광자의 양측을, 캐스트 성형으로 조제된 두께 약 100㎛의 TAC제의 보호시트로 고정함으로써 얻어진 편광판)의 일방측에는 우레탄계 접착제가 두께 25㎛ 정도로 도포되었고, 폴리아미드제(유리전이온도는 거의 165℃)의 1/4λ 위상차 시트(두께 70㎛)가 부착되었다.
TAC 편광판의 다른 일방측에는 실시예 23에서 사용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제조된 열접합 시트가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되었다.
얻어진 시계방향 원편광판과 반시계방향 원편광판은 모두 두께가 0.63㎜ 정도이었다.
실시예 25
실시예 24에서 사용된 TAC 편광판의 일방측에는 실시예 23에서 사용한 위상차 시트가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되었다.
열접합 시트로서, 투명 나일론(“TROGAMID” CX-7323, HULS사)이 압출성형되고, 두께 0.3㎜ 정도의 투명시트를 조제하였다.
TAC 편광판의 다른 일방측에는 상기 투명 나일론제의 열접합 시트가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되었다. 얻어진 시계방향 원편광판과 반시계방향 원편광판은 모두 두께가 0.6㎜ 정도이었다.
실시예 26
실시예 23에서 사용된 직선 편광자에는 캐스트 성형에 의해 조제된 두께 약 100㎛의 TAC제의 보호시트가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되었다. 추가로, 직선 편광자의 다른 일방측에는 열접합성이 있는 보호시트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시트가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되었다. 얻어진 적층체는 편광도가 98%이었고, 두께가 약 0.48㎜인 직선 편광판이다.
얻어진 직선 편광판의 TAC제 보호시트 상에는 실시예 23에서 사용된 위상차 시트가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되었다.
얻어진 시계방향 원편광판과 반시계방향 원편광판은 모두 일방측이 위상차 시트였고, 다른 일방측이 열접합성이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시트였으며, 두께가 약 0.58㎜이었다.
실시예 27
실시예 26에서 사용된 직선 편광판의 TAC제의 보호시트 상에는 두께 약 0.3㎜의 위상차판(주식회사 메칸이미징사의 폴리사이클로올레핀계 수지로 된 두께 약 46㎛의 1/4λ 위상차 시트의 양측에 TAC제의 보호시트를 부착함으로써 얻어짐)이 중첩되고,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되었다.
얻어진 시계방향 원편광판과 반시계방향 원편광판은 모두 일방측이 위상차판이었고, 다른 일방측이 열접합성이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시트이었으며, 두께가 0.8㎜ 정도이었다.
실시예 28
보호시트로서, 판간 중합에 의해 조제된 두께 약 200㎛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시트에 아크릴계 접착제가 두께가 약 25㎛로 도포되었고, 실시예 23에서 사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직선 편광자의 일방측에 부착되었다.
이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직선 편광자의 다른 일방측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판간 중합에 의해 조제된 두께가 약 200㎛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시트가 부착되었다.
얻어진 것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직선 편광자의 양측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시트가 부착된 두께가 약 0.48㎜인 폴리아크릴 편광판이다.
동일한 편광판의 일방측에는 실시예 23에서 사용된 위상차 시트가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되었고,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원편자판의 두께는 약 0.55㎜이었다.
동일한 원편광판의 열접합 기능측(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측)에는 가교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소시아네이트우레탄프리폴리머. 쿄에이샤화학사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 UA-306H)의 이소프로필알코올 용액이 도포되었다.
도포 후, 이는 열풍 오븐에 놓여지고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제거하고, 가교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가교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층은 자외선으로 조사되어 열접합용 코팅층을 조제하였다. 열접합용 코팅층의 두께는 35㎛이었다.
실시예 29
원편광판으로서, 폴라테크노사제의 시계방향 원편광판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모두 두께가 약 0.3㎜, 동일한 원편광판은 폴리카보네이트제 1/4λ 위상차 시트/TAC제 보호시트/요오드로 도핑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직선 편광자/TAC제 보호시트가 차례로 적층 및 부착에 의해 얻어짐)이 사용되었다.
열접합 시트로서, 실시예 28에서 사용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시트가 사용되었다. 동일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시트에 아크릴계 접착제가 두께가 약 25㎛로 도포되었고 상기의 원편광판의 TAC제 보호시트의 측에 부착되었다.
수득된 시계방향 원편광판과 반시계방향 원편광판은 모두 두께가 0.53㎜ 정도이었다.
실시예 30
실시예 29에서 사용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폴라테크노사)의 각각은 직사각형으로 펀칭되고, 70㎜×80㎜의 펀칭시트를 제조하였다. 어떤 펀칭된 시트도 직선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또는, 연신방향)이 70㎜ 변과 평행하게 되고 투과축 방향(또는, 연신방향에 대해서 직각의 방향)이 80㎜ 변과 평행하게 되도록 하였다.
시계방향의 원편광펀칭 시트 1매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펀칭 시트 1매가 직선 편광자 기능측을 아래로 해서 짝 지어지고, 양쪽시트의 70㎜ 변이 접촉되며, 접촉 부분의 위상차 기능측은 폭이 5㎜인 염화비닐 점착테이프(닛토덴코사)로 고정되었다.
그 결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이 좌우로 배치된 70㎜×160㎜의 펀칭시트 접합체가 완성된다. 이 펀칭시트 접합체의 직선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은 160㎜ 변과 평행이 되도록 통일되어 있다.
이어서, 이런 펀칭시트 접합체의 직선 편광자 기능측에는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가 0.3㎜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만든 열접합 시트가 부착되었다.
이어서, 위상차 기능측에 부착되어 있던 고정용 염화비닐 점착테이프가 박리, 제거되었다.
그 결과, 시계방향 원편광판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이 중심선을 경계로 좌우로 배치되어, 직선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이 160㎜ 변과 평행하게 되는 치수가 70㎜×160㎜이고, 두께가 약 0.62mm 정도인 원편광 1안 렌즈용, 또는 원편광 1안 고글렌즈용의 원편광 1안용 시트가 완성되었다.
실시예 31
실시예 23에서 조제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의 각각은 직경 90㎜의 원형으로 펀칭되었다.
원형으로 펀칭된 원편광판은 70℃의 열풍건조기에 5시간 동안 놓여져 건조 처리되었다. 이어서, 볼록면이 위상차 기능측이 되고, 오목면이 열접합 기능측이 되도록, 이는 곡률반경 87㎜의 금형을 구비한 흡인식 자유 굽힘가공장치에 놓여졌다. 흡인식 자유 굽힘가공장치는 미리 금형온도를 125℃로 설정해 두었다.
원편광판은 흡인식 자유 굽힘가공장치에 놓여지는 동시에, 금형측으로부터 감압 하에서 흡인된다. 그 상태에서, 판이 130℃의 열풍 오븐에 놓여지고, 0.05MPa의 조건 하에서 흡인된다. 약 10분 후에, 판이 열풍 오븐에서 꺼내어지고, 감압 하에 흡인이 정지된다.
굽힘가공된 렌즈가 금형으로부터 꺼내어지고, 플랜지형상의 주연부가 절단되었다. 얻어진 렌즈는 볼록면이 위상차 기능측이 되고, 오목면이 열접합 기능측이 되는 곡률반경이 약 87㎜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이었다.
실시예 32
실시예 24에서 조제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의 각각은 직경 90㎜의 원형으로 펀칭되었다.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볼록면이 위상차 기능측이 되고, 오목면이 열접합 기능측이 되는 곡률반경이 약 87㎜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조제되었다.
실시예 33
실시예 25에서 조제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의 각각은 직경 90㎜의 원형으로 펀칭되었다.
금형온도가 100℃였고, 열풍 오븐 온도가 115℃였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굽힘가공되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34
실시예 26에서 조제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의 각각은 직경 90㎜의 원형으로 펀칭되었다.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볼록면이 위상차 기능측이 되고, 오목면이 열접합 기능측이 되는 곡률반경이 약 87㎜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조제되었다.
실시예 35
실시예 27에서 조제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의 각각은 직경 90㎜의 원형으로 펀칭되었다.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볼록면이 위상차 기능측이 되고, 오목면이 열접합 기능측이 되는 곡률반경이 약 87㎜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조제되었다.
실시예 36
실시예 28에서 조제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의 각각은 직경 90㎜의 원형 모양으로 엔드밀 가공되었다.
금형온도가 90℃이었고, 열풍 오븐 온도가 95℃이었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굽힘가공되어, 볼록면이 위상차 기능측이 되고, 오목면이 열접합 기능측(열접합 코팅)이 되는 곡률반경이 약 87㎜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조제되었다.
실시예 37
실시예 29에서 조제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의 각각이 엔드밀 가공되고, 일방측이 위상차판측이 되고, 다른 쪽 편면이 열접합 기능측(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시트)이 되는 직경 85㎜의 플랫 원형 렌즈가 조제되었다. 이런 렌즈는 굽힘가공되지 않는다.
실시예 38
실시예 30에서 조제된 원편광 1안용 시트를 원편광 1안 렌즈로 조제하기 위해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이 중앙의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배치되는 시트는 좌우 대칭형상을 갖는 장타원형으로 펀칭되었다.
펀칭된 시트는 곡률반경이 260㎜이 되는 1안용 금형을 구비한 흡인식 자유 굽힘가공장치에 놓여지고, 실시예 31과 동일한 조건으로, 굽힘가공되었다.
얻어진 굽힘가공 렌즈는 볼록면이 위상차 기능측이 되고, 오목면이 열접합 기능측이 되는 곡률반경이 약 260㎜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이 좌우로 병렬 일체화된 원편광 1안 렌즈였다.
실시예 39
사출성형기에는 인서트 성형용의 6C(커브), 즉, 곡률반경 87㎜의 금형이 장착되었다.
금형이 개방되고, 실시예 31에서 조제된 원편광 렌즈는 볼록면측(위상차판측)을 선두로 해서 오목면측의 캐비티측 금형에 삽입되고, 오목면측의 금형에 형성된 세공을 통해서 감압하에서 흡인되며, 원편광 렌즈가 오목면측의 금형에 고정되었다.
금형이 폐쇄되고,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점도평균 분자량 25000, 데이진카세이사, Panlight L-1250Z)가 원편광 렌즈의 오목면측(열접합 기능측)에서 사출성형되고, 직경이 86㎜이고, 중심두께가 2㎜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플라노렌즈가 제조하되었다.
실시예 40
실시예 32에서 조제된 원편광 렌즈의 열접합측에는, 실시예 39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사출성형되고, 직경이 86㎜이고, 중심두께가 2㎜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플라노렌즈가 제조되었다.
실시예 41
실시예 33에서 조제된 원편광 렌즈의 열접합측에는 실시예 39와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 나일론(“TROGAMID” CX-7323, HULS사)가 사출성형되고, 직경이 86㎜이고, 중심두께가 2㎜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플라노렌즈가 제조되었다.
실시예 42
실시예 34에서 조제된 원편광 렌즈의 열접합측에는, 실시예 39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사출성형되고, 직경이 86㎜이고, 중심두께가 10㎜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세미렌즈가 제조되었다.
실시예 43
실시예 35에서 조제된 원편광 렌즈의 열접합측에는, 실시예 39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사출성형되고, 직경이 86㎜이고, 중심두께가 2㎜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플라노렌즈가 제조되었다.
실시예 44
실시예 36에서 조제된 원편광 렌즈의 열접합측에는, 실시예 39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수지(BASF사, ELASTOLLAN ET595)가 사출성형되고, 직경이 86㎜이고, 중심두께가 2㎜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플라노렌즈가 제조되었다.
실시예 45
사출성형기에는 인서트 성형용 플랫금형이 장착되었다. 실시예 37에서 조제된 플랫 원형 렌즈의 열접합측에는, 실시예 39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스미토모화학사, SUMIPEXM GSS)가 사출성형되고, 외형이 85㎜이고, 중심두께가 2㎜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플랫 렌즈가 제조되었다.
실시예 46
사출성형기에는 프레임과 렌즈가 일체화된 1안 안경용 렌즈 제조용 인서트 성형용 금형이 장착되었다. 동일한 금형은 곡률반경 약 260㎜(2C)로 설계되어 있다.
실시예 38에서 조제된 원편광 1안 렌즈의 열접합 기능측에는, 실시예 39와 동일한 조건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사출성형되고, 중심두께가 2㎜인 원편광 1안 안경형 렌즈가 제조되었다.
실시예 47
실시예 39 내지 45의 원편광 렌즈는 하드코팅 처리되었다.
실시예 31 내지 37의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 및 실시예 39 내지 45의 하드코팅 가공 후의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에 대해서, 각각의 실시예 별로 안경 프레임 형상에 맞도록 주연부가 렌즈 절단기로 연마되었다.
각각의 실시예 별로,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짝지어진다. 짝지어진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는 볼록면(위상차 기능측)이 대물측이고, 오목면(열접합 기능측)이 접안측이도록 안경 프레임에 설치된다.
완성된 안경은 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와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1안씩 설치된 원편광 2안 안경이다.
상기의 각 원편광 2안 안경을 눈 상에 착용하고, 원편광방식의 입체 텔레비전을 시청할 때, 입체시는 어떤 안경에 대해서 양호하다.
또한, 실시예 39∼45에서 조제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 렌즈가 설치된 원편광 2안 안경은, 광학성능이 좋고, 각 렌즈가 수지로 백업되어 렌즈 자체에 강성이 있기 때문에, 안경이 비틀어져도, 렌즈는 안경 프레임으로부터 탈락하는 경우가 없었다.
특히, 실시예 40에서 조제된 원편광 렌즈가 설치된 원편광 2안 안경은, 원편광 불균일이 적고, 원편광방식의 입체 텔레비전을 시청할 때, 특히 양호한 입체시가 가능하다.
실시예 48
실시예 46에서 조제된 원편광 1안 글래스형 렌즈가 하드코팅 처리된 후, 서스펜션(suspension) 부품이 장착되어 원편광 1안 글래스를 완성하였다.
조제된 원편광 1안 안경을 눈 상에 착용하고, 원편광방식의 입체영화를 시청할 때, 입체시는 어떤 안경에 대하여 양호하다.
또한, 동일한 원편광 1안 안경은 광학성능이 좋고, 렌즈가 수지로 백업되어 렌즈 자체에 강성이 있기 때문에, 안경이 비틀어져도, 안경이 변형되기 어려웠다.
1;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
2;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
3; 위상차 시트의 느린 축(slow axis) 방향
4; 위상차 시트
5; 직선 편광자
6; 사출성형 수지(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 접착 적층판
8; 열접합 시트(폴리카보네이트 수지)
9; TAC 편광판
10; 사출성형 수지(폴리아미드 수지)
11; 열접합 시트(폴리아미드 수지)
12; TAC시트
13; PMMA시트
14; 사출성형 수지(폴리우레탄 수지)
15; 열접합 코팅
16; 사출성형 수지(PMMA수지)
17; 열접합 시트(PMMA수지)

Claims (21)

  1. 적어도 위상차 기능부분, 직선편광 기능부분, 및 백업 수지에 열접합하는 열접합 기능부분을 가지는 다층의 원편광판에 있어서,
    직선편광 기능부분의 일방측에 위상차 기능부분이 배치되고, 다른 일방측에 열접합 기능부분이 배치되며,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이 옆줄로 각각 1개씩 배치된 상태에서 열접합 기능 부분에 백업 수지가 동시에 사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
  2. 적어도 위상차 기능부분, 직선편광 기능부분, 및 백업 수지에 열접합하는 열접합 시트를 가지는 다층의 원편광판에 있어서,
    직선편광 기능부분이 직선 편광자이고, 직선 편광자의 양면이 보호시트로 보호되고, 한쪽의 보호시트가 위상차 기능시트 또는 위상차판이고, 다른 한쪽의 보호시트가 열접합 기능을 가지는 열접합 시트이며,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이 옆줄로 각각 1개씩 배치된 상태에서 열접합 시트에 백업 수지가 동시에 사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
  3. 적어도 위상차 기능부분, 직선편광 기능부분, 및 백업 수지에 열접합하는 열접합 시트를 가지는 다층의 원편광판에 있어서,
    직선편광 기능부분이 직선 편광자이고, 직선 편광자의 양면이 보호시트로 보호되고, 한쪽의 보호시트 상에 위상차 기능시트 또는 위상차판이 배치되고, 다른 한쪽의 보호시트 상에 열접합 기능을 가지는 열접합 시트가 배치되며,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이 옆줄로 각각 1개씩 배치된 상태에서 열접합 시트에 백업 수지가 동시에 사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
  4. 적어도 위상차 기능부분, 직선편광 기능부분, 및 백업 수지에 열접합하는 열접합 시트를 가지는 다층의 원편광판에 있어서,
    직선편광 기능부분이 직선 편광자이고, 직선 편광자의 양면이 보호시트로 보호되고, 한쪽의 보호시트 상에 위상차 기능시트 또는 위상차판이 배치되고, 다른 한쪽의 보호시트가 열접합 기능을 가지는 열접합 시트이며,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이 옆줄로 각각 1개씩 배치된 상태에서 열접합 시트에 백업 수지가 동시에 사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
  5. 적어도 위상차 기능부분, 직선편광 기능부분, 및 백업 수지에 열접합하는 열접합 시트를 가지는 다층의 원편광판에 있어서,
    직선편광 기능부분이 직선 편광자이고, 직선 편광자의 양면이 보호시트로 보호되고, 한쪽의 보호시트가 위상차 기능시트 또는 위상차판이고, 다른 한쪽의 보호시트 상에 열접합 기능을 가지는 열접합 시트가 배치되고,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원편광판이 옆줄로 각각 1개씩 배치된 상태에서 열접합 시트에 백업 수지가 동시에 사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접합 기능이 열접합측에 설치된 열접합용 코팅층에 의해 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
  7.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호시트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아실셀룰로오스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
  8.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상차 기능시트가 1/4λ 위상차 시트이거나, 1/4λ 위상차 시트와 1/2λ 위상차 시트의 적층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
  9. 제 8 항에 있어서, 위상차 시트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및 액정 폴리머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
  10. 제 9 항에 있어서, 위상차 시트가 150℃ 이상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수지의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
  11.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접합 시트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
  12. 제 1 항에 기재된 원편광판을 렌즈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 렌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원편광 렌즈가 굽힘 가공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 렌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원편광 렌즈가 흡인식 자유 굽힘가공방법에 의한 굽힘가공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 렌즈.
  15. 삭제
  16. 제 12 항에 있어서, 백업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 렌즈.
  17. 제 1 항에 기재된 원편광판을 포함하는 입체시용 원편광 1안 렌즈.
  18. 제 17 항에 있어서, 백업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사이클로올레핀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시용 원편광 1안 렌즈.
  19. 삭제
  20. 제 17 항에 기재된 입체시용 원편광 1안 렌즈를 광학부품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시용 원편광 1안 안경.
  21. 삭제
KR1020110013658A 2010-02-23 2011-02-16 원편광판, 원편광 렌즈, 및 원편광 안경 KR101802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36899 2010-02-23
JPJP-P-2010-036899 2010-02-23
JPJP-P-2010-175134 2010-08-04
JP2010175134A JP5871455B2 (ja) 2010-02-23 2010-08-04 円偏光板および円偏光レンズ、および円偏光眼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640A KR20110097640A (ko) 2011-08-31
KR101802176B1 true KR101802176B1 (ko) 2017-11-28

Family

ID=4412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658A KR101802176B1 (ko) 2010-02-23 2011-02-16 원편광판, 원편광 렌즈, 및 원편광 안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205627A1 (ko)
EP (1) EP2362249A3 (ko)
JP (1) JP5871455B2 (ko)
KR (1) KR101802176B1 (ko)
CN (2) CN1021628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0944B2 (ja) * 2010-02-26 2014-07-16 山本光学株式会社 1眼タイプ偏光眼鏡
US8770749B2 (en) 2010-04-15 2014-07-08 Oakley, Inc. Eyewear with chroma enhancement
JP2012098515A (ja) * 2010-11-02 2012-05-24 Eishin:Kk 立体画像鑑賞用眼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81966B2 (ja) * 2011-04-01 2016-03-09 山本光学株式会社 レンズおよび眼鏡
JP2012220853A (ja) * 2011-04-12 2012-11-12 Keiwa Inc メガネ用位相差フィルム、3dメガネ用光学シート及び3dメガネ
JP2013061600A (ja) * 2011-09-15 2013-04-04 Keiwa Inc 3dメガネ用光学シート及び3dメガネ
TWI570472B (zh) * 2011-10-03 2017-02-11 三菱瓦斯化學股份有限公司 芳香族聚碳酸酯製偏光透鏡
EP3447563A1 (en) 2011-10-20 2019-02-27 Oakley, Inc. Eyewear with chroma enhancement
JP2013210476A (ja) * 2012-03-30 2013-10-10 Sumitomo Bakelite Co Ltd 偏光板成形体の製造方法、偏光板成形体、防眩製品および防護製品
WO2013169987A1 (en) 2012-05-10 2013-11-14 Oakley, Inc. Eyewear with laminated functional layers
TW201407224A (zh) * 2012-08-03 2014-02-16 Johnson Co Ltd Y 具矯正視力的遮陽與立體兩用鏡片及眼鏡
US9575335B1 (en) 2014-01-10 2017-02-21 Oakley, Inc. Eyewear with chroma enhancement for specific activities
US10871661B2 (en) 2014-05-23 2020-12-22 Oakley, Inc. Eyewear and lenses with multiple molded lens components
EP3218763A4 (en) 2014-11-13 2018-06-13 Oakley, Inc. Variable light attenuation eyewear with color enhancement
CN104459866A (zh) * 2014-12-30 2015-03-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圆偏振片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
JPWO2016157331A1 (ja) * 2015-03-27 2018-01-18 株式会社有沢製作所 メガネ用部材およびメガネ
WO2017010218A1 (ja) * 2015-07-16 2017-01-19 東海精密工業株式会社 偏光性成形体
EP3133385A1 (en) * 2015-08-17 2017-02-22 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 An arrangement and a system comprising chiral objects
US10078164B2 (en) 2015-09-03 2018-09-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system
WO2017047510A1 (ja) * 2015-09-16 2017-03-23 シャープ株式会社 異形状偏光板の製造方法
JP6742188B2 (ja) * 2016-08-02 2020-08-1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打ち抜き方法、および該方法に用いられる打ち抜き装置
WO2018199616A1 (ko) * 2017-04-25 2018-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디바이스
US11112622B2 (en) 2018-02-01 2021-09-07 Luxottica S.R.L. Eyewear and lenses with multiple molded lens components
KR102183673B1 (ko) * 2018-05-17 2020-1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US20210149099A1 (en) * 2018-05-18 2021-05-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haped optical film
JP7403211B2 (ja) * 2018-05-22 2023-12-22 住友化学株式会社 屈曲可能な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886761B2 (ja) * 2020-01-27 2021-06-16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フロン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7511125B2 (ja) * 2020-07-20 2024-07-05 Agc株式会社 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035801A (ja) * 2020-08-21 2022-03-04 日東電工株式会社 意匠性フィルムおよび意匠性成形体
JP2023173793A (ja) * 2022-05-26 2023-12-07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中間体の製造方法および位相差層付偏光板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9199A (ja) * 2000-12-20 2002-07-05 Yamamoto Kogaku Co Ltd 偏光性成形体および同品の製造方法
JP2008026652A (ja) * 2006-07-21 2008-02-07 O K Kogaku:Kk サングラス用偏光レンズ
JP2009505160A (ja) * 2005-08-19 2009-02-05 カラーリン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立体視アイウェア
US20090097117A1 (en) * 2007-10-11 2009-04-16 Real D Curved optical filters
JP2009139964A (ja) * 2009-01-14 2009-06-25 Maguteiku:Kk 偏光複合シートとその応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5323A (en) 1987-12-28 1988-11-15 Eastman Kodak Company Exposure control
JP2934776B2 (ja) 1990-04-20 1999-08-16 イハラケミカル工業株式会社 ピバリン酸ハロメチルエステル類の製造法
US5113285A (en) * 1990-09-28 1992-05-12 Honeywell Inc. Full color three-dimensional flat panel display
JP3315048B2 (ja) * 1996-01-23 2002-08-19 シャープ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
JP3924938B2 (ja) * 1998-05-21 2007-06-06 住友化学株式会社 円偏光板
JP2000321426A (ja) * 1999-05-12 2000-11-24 Nitto Denko Corp 広視野角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TW534869B (en) * 2000-06-09 2003-06-01 Mitsubishi Gas Chemical Co Synthetic resin laminate having both polarization characteristic and photochromism characteristic, and molded article obtained therefrom
KR20020001594A (ko) * 2000-06-26 2002-01-09 가마이 고로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JP4455743B2 (ja) * 2000-09-12 2010-04-21 山本光学株式会社 偏光レンズの製造方法
JP4612166B2 (ja) * 2000-09-28 2011-01-12 山本光学株式会社 光学物品の連続製造方法
JP2003167121A (ja) * 2001-11-30 2003-06-13 Fuji Photo Film Co Ltd ポリカーボネート系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50018095A1 (en) * 2002-01-30 2005-01-27 Han-Sik Kim Glasses and classes lenses for stereoscopic image and system using the same
JP2003332068A (ja) * 2002-05-15 2003-11-21 Nitto Denko Corp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154653B2 (ja) * 2002-09-06 2008-09-24 ソニー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
JP4109129B2 (ja) * 2003-01-24 2008-07-02 川本光学工業株式会社 サングラス用レンズの製造方法
JP4166768B2 (ja) * 2005-03-25 2008-10-15 オプティカル ベンチャ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サングラス用レンズおよびその製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US7407280B2 (en) * 2005-05-27 2008-08-05 Optical Ventures, Inc. Lens for sunglasses,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production apparatus therefor
CA2614996A1 (en) 2005-07-11 2007-01-18 Neurok Optics Llc Two-panel liquid crystal system with circular polarization and polarizer glasses suitable for three dimensional imaging
US7347545B1 (en) * 2006-10-05 2008-03-25 Oakley, Inc. Sports-specific shield
US20080239485A1 (en) 2007-03-30 2008-10-02 Arisawa Mfg.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reoscopic displaying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shift plate, and the phase shift plate thereby
US20080304151A1 (en) 2007-06-08 2008-12-11 Arisawa Mfg. Co., Ltd. Stereoscopic image display
JP4482588B2 (ja) 2007-08-09 2010-06-16 株式会社有沢製作所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203300B1 (en) * 2007-09-24 2015-08-19 Qspex Technologie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d ophthalmic lenses
NZ587240A (en) * 2008-01-07 2012-02-24 Microvision Optical Inc Curved lenses configured to decode three-dimensional content
US7820081B2 (en) * 2008-05-14 2010-10-26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for post-injection lamination to add a functional film to an optical lens
JP2010256548A (ja) * 2009-04-23 2010-11-11 Toshiba Corp 眼鏡
JP2012032527A (ja) * 2010-07-29 2012-02-16 Fujifilm Corp 偏光眼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9199A (ja) * 2000-12-20 2002-07-05 Yamamoto Kogaku Co Ltd 偏光性成形体および同品の製造方法
JP2009505160A (ja) * 2005-08-19 2009-02-05 カラーリン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立体視アイウェア
JP2008026652A (ja) * 2006-07-21 2008-02-07 O K Kogaku:Kk サングラス用偏光レンズ
US20090097117A1 (en) * 2007-10-11 2009-04-16 Real D Curved optical filters
JP2009139964A (ja) * 2009-01-14 2009-06-25 Maguteiku:Kk 偏光複合シートとその応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640A (ko) 2011-08-31
CN107102393A (zh) 2017-08-29
EP2362249A3 (en) 2013-03-20
EP2362249A2 (en) 2011-08-31
JP2011197629A (ja) 2011-10-06
US20110205627A1 (en) 2011-08-25
CN102162873A (zh) 2011-08-24
JP5871455B2 (ja) 201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176B1 (ko) 원편광판, 원편광 렌즈, 및 원편광 안경
JP5995407B2 (ja) 色ムラを改善した偏光光学物品
KR100766743B1 (ko) 편광렌즈, 편광광학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EP2765449B1 (en) Polarized mirrored glasses lens
JP5881966B2 (ja) レンズおよび眼鏡
JP5550944B2 (ja) 1眼タイプ偏光眼鏡
JP4840894B2 (ja) 偏光性成形体および同品の製造方法
JP5552235B2 (ja) 偏光膜を備えた偏光光学素子およびそのような素子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6050569B2 (ja) 3d鑑賞用の円偏光レンズ、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グラス
US8337012B2 (en) Curved lenses configured to decode three-dimensional content on television and computer screens
JP2011180266A (ja) 偏光積層体および偏光レンズ、および偏光眼鏡
US20090305049A1 (en) Polarizing lamin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5684461B2 (ja) 偏光光学物品を製造する方法
JP2012098515A (ja) 立体画像鑑賞用眼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93649A (ja) 偏光レンズ
JP5065511B2 (ja) 偏光性成形体および同品の製造方法
JP2016053724A (ja) 円偏光板および円偏光レンズ、および円偏光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