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968B1 - 커넥터 단자 - Google Patents

커넥터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968B1
KR101780968B1 KR1020150130946A KR20150130946A KR101780968B1 KR 101780968 B1 KR101780968 B1 KR 101780968B1 KR 1020150130946 A KR1020150130946 A KR 1020150130946A KR 20150130946 A KR20150130946 A KR 20150130946A KR 101780968 B1 KR101780968 B1 KR 101780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flat spring
terminal
connecto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4206A (ko
Inventor
타카요시 엔도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4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9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multiple contact poin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제1 커넥터 단자(110, 110x) 및 제1 커넥터 단자에 끼워 맞춤되는 제2 커넥터 단자(210)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210, 110, 110x)가 개시된다. 제1 커넥터 단자는 제2 커넥터 단자의 자유단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 단자(210)의 특정 영역(211)과 접촉하는 플랫 스프링(112, 112x), 및 플랫 스프링(112, 112x)이 그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111b, 111c)을 구비한 단자 몸체(111)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 단자는 제2 커넥터 단자가 제1 커넥터 단자로 끼워 맞춤되는 제1 방향(F1)으로 각각 뻗어 있는 2 이상의 제1 돌출부(214a)을 상기 특정 영역 내에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는 측벽 사이에서 플랫 스프링과 접촉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단자{CONNECTOR TERMINAL}
본 발명은 암 커넥터 단자 및 암 커넥터 단자로 삽입되는 수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수 전기 커넥터의 수 커넥터 단자는 암 전기 커넥터의 암 커넥터 단자 내로 끼워 맞춤되고, 이로 인해 수 커넥터 단자와 암 커넥터 단자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암 커넥터 단자는 바늘 형태인 수 커넥터 단자의 탭 부가 삽입되는 시쓰(sheath) 부를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시쓰부로 삽입될 때, 수 커넥터 단자의 탭 부는 시쓰부 내에 수용된 플랫 스프링(flat spring)과 접촉한다.
탭 부가 시쓰부로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잡아당겨 빼내질 때, 탭 부는 플랫 스프링에 대하여 미끄러진다. 예를 들어, 탭 부는 플랫 스프링의 평평한 접촉면과 함께 자신의 평평한 접촉면에서 미끄러짐 이동을 만들고, 이는 더 많은 마찰력의 발생을 야기한다. 많은 개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에서 더 많은 마찰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탭부는 과도한 힘으로 시쓰부로 삽입되거나 잡아당겨 빼내져야 한다. 결과적으로, 수 전기 커넥터 및 암 전기 커넥터가 서로 끼워 맞춤되거나 잡아당겨 빼내질 때 수반되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탭부 및 플랫 스프링은 그 접촉면을 통해 서로 미끄러지기 때문에, 이들 접촉면은 깎여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7-18803호는
접촉면이 잘 깎여지지 않으면서도 암 수 커넥터 단자 간의 전기적 접촉에 대한 충분한 신뢰성을 유지하는 커넥터를 제안하였다.
도 15는 상기 공개물에 제안된 커넥터(1010)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커넥터(1010)는 수 단자(1022) 및 수 단자(1022)가 삽입되는 암 단자(1014)를 포함한다. 수 단자(1022)는 수 단자(1022)가 암 단자(1014)로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물결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암 단자(1014)는 수 단자(1022)를 향해 힘을 받게 되어 수 단자(1022)와 두 지점에서 접촉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1010)는 암 단자(1014)가 수 단자(1022)를 향해 과도한 힘을 받지 않더라도 암 단자(1014)와 수 단자(1022) 사이에 접촉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15에 도시된 커넥터(1010)에서, 수 단자(1022)가 물결 형태이므로, 수 단자(1022)는 암 단자(1014)와 두 지점에서 접촉한다.
그러나, 수 단자(1022)가 암 단자(1014)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탈되면, 수 단자(1022)의 물결의 돌출된 부분 또한 이탈되어 수 단자(1022)의 오직 하나의 돌출된 부분만이 암 단자(1014)와 접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수 단자(1022)와 암 단자(1014) 간의 접촉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그러므로 수 단자(1022)와 암 단자(1014) 간의 접촉 안정성이 보장될 수 없다.
종래의 커넥터의 앞서 언급한 문제들을 고려하여, 커넥터 단자가 서로 끼워 맞춤되거나 잡아당겨 빼내지는 힘을 줄일 수 있고 커넥터 단자 간의 접촉 신뢰도를 강화할 수 있는 커넥터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서, 제1 커넥터 단자 및 제1 커넥터 단자 내로 끼워 맞춤되는 제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가 제공되는데, 제1 커넥터 단자는 제2 커넥터 단자의 자유단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 단자의 특정 영역과 접촉하는 플랫 스프링; 및 플랫 스프링이 그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단자 몸체를 포함하고, 제2 커넥터 단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제2 커넥터 단자는 제2 커넥터 단자의 서로 마주보는 두 표면 중 하나의 표면상에 특정 영역 내에 2개 이상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2개 이상의 제1 돌출부 각각은 제2 커넥터 단자가 제1 커넥터 단자로 끼워 맞춤 되는 제1 방향으로 뻗어 있고, 제1 돌출부 중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는 측벽 사이에서 플랫 스프링과 접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에서, 제2 커넥터 단자는 각각 제2 커넥터 단자가 제1 커넥터 단자 내로 끼워 맞춤되는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를 특정 영역 내에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커넥터 단자로 제2 커넥터 단자를 삽입하고 제1 커넥터 단자로부터 제2 커넥터 단자를 잡아당겨 빼낼 때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가 플랫 스프링과 접촉 유지되기 때문에, 제1 및 제 커넥터 단자는 제2 커넥터 단자의 특정 영역이 측벽 사이의 시쓰부 내에서 움직이더라도 서로 안정적으로 접촉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자 몸체는 각각 측벽들을 서로 연결하는 천장부 및 바닥부를 포함하고, 제2 커넥터 단자는 천장부와 접촉하고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를 특정 영역 내에 포함하고, 제2 돌출부는 상기 두 표면 중 다른 표면 상에 형성된다.
제2 커넥터를 제2 커넥터의 특정 영역이 플랫 스프링 뿐만 아니라 천장부와 접촉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제2 커넥터 단자가 제1 커넥터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증가되고, 그에 따라 제2 커넥터 단자를 제1 커넥터 단자 내로 삽입하고 제1 커넥터 단자로부터 제2 커넥터 단자를 잡아당겨 빼낼 때 필요한 힘이 증가된다. 그러나, 제2 커넥터 단자가 제2 커넥터 단자가 천장과 접촉하는 면 상에 특정 영역 내에 제2 돌출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2 커넥터 단자를 제1 커넥터 단자로 삽입하고 제1 커넥터 단자로부터 제2 커넥터 단자를 잡아당겨 빼낼 때 필요한 힘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플랫 스프링은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와 접촉하는 부풀어 오른 부분(expanded portio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랫 스프링이 부풀어 오른 부분을 포함하도록 설계함으로써, 플랫 스프링과 접촉하는 제1 돌출부의 개수는 부풀어 오른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플랫 스프링과 접촉하는 제1 돌출부의 개수보다 적고, 그러므로 제2 커넥터 단자를 제2 커넥터 단자 내로 삽입하고 그로부터 잡아당겨 빼낼 때 필요한 힘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제2 커넥터 단자와 플랫 스프링간의 안정적인 접촉이 유지된다.
플랫 스프링은 아치 형태로 뻗어 있는 중앙 영역을 포함하고, 부풀어 오른 부분은 이러한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커넥터 단자로 삽입할 때, 제2 커넥터 단자는 아치형 중앙 영역 내에 형성된 부풀어 오른 부분과 특정 영역에서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랫 스프링은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와 접촉하는 복수의 부풀어 오른 부분을 포함하고, 부풀어 오른 부분은 플랫 스프링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2 커넥터 단자를 복수의 부풀어 오른 부분을 통해 특정 영역에서 지지함으로써, 제2 커넥터 단자와 플랫 스프링 간의 접촉 안정성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부풀어 오른 부분은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부풀어 오른 부분을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와 접촉하게 설계함으로써, 제2 커넥터 단자와 플랫 스프링 간의 접촉 안정성을 더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제1 돌출부는 제1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아치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제1 돌출부를 아치형 단면을 가지도록 설계함으로써, 플랫 스프링은 제2 커넥터 단자가 제1 커넥터 단자로 삽입될 때 거의 손상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는 프레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단자를 단일 금속 시트로부터 제조함에 있어서, 제1 돌출부는 금속 시트를 프레싱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 가능하다.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 간의 거리는 특정 영역과 측벽 중 하나 간의 거리와 동등하고, 후자의 거리는 특정 영역이 플랫 스프링의 중앙에 위치할 때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 간의 거리는 특정 영역과 측벽 중 하나의 측벽 간의 거리 및 특정 영역과 다른 측벽 간의 거리 모두와 동등하고, 후자의 두 거리는 특정 영역이 플랫 스프링의 중앙에 위치할 때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커넥터 단자는 3개 이상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한 제1 돌출부 간의 거리는 서로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커넥터 단자의 폭 방향으로 양단부에 배치된 각각의 제1 돌출부는 바깥쪽으로 향하는 경사진 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커넥터 단자의 폭 방향으로 양단부에 배치된 각각의 제1 돌출부는 제2 커넥터 단자가 그 폭방향으로 플랫 스프링에 대하여 움직인 때에도 플랫 스프링과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이점들이 아래에 서술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에서, 플랫 스프링은 특정 영역에서 제2 커넥터 단자 상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와 항상 접촉한다. 따라서, 제2 커넥터 단자를 제1 커넥터 단자로 삽입할 때 및 그로부터 제2 커넥터 단자를 잡아 당겨 빼낼 때 필요한 힘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제2 커넥터 단자와 플랫 스프링 간의 안정적인 접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술한 힘의 감소와 함께 제1 및 제2 커넥터 단자 간의 전기적 접촉에 대한 신뢰도를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암 수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암 전기 커넥터의 암 커넥터 단자의 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 전기 커넥터의 수 커넥터 단자의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 전기 커넥터의 수 커넥터 단자의 확대된 투시도이다.
도 5는 수 커넥터 단자가 암 커넥터 단자의 시쓰부로 삽입될 때 수 커넥터 단자가 어느 영역에서 플랫 스프링의 부풀어 오른 부분과 접촉함을 보여주는, 시쓰부의 일부가 절단된 투시도이다.
도 6은 수 커넥터 단자가 암 커넥터 단자의 시쓰부로 더 삽입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시쓰부의 일부가 절단된 투시도이다.
도 7은 수 커넥터 단자의 어느 영역이 플랫 스프링의 중심 상에 위치하는, 암수 커넥터 단자 간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수 커넥터 단자의 어느 영역이 플랫 스프링의 일단부를 향해 그 폭 방향으로 이탈되어 있는, 암수 커넥터 단자 간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수 커넥터 단자의 어느 영역이 플랫 스프링의 타단부를 향해 그 폭방향으로 이탈되어 있는, 암수 커넥터 단자 간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수 커넥터 단자가 암 커넥터 단자의 시쓰부로 삽입될 때 수 커넥터 단자가 어느 영역에서 플랫 스프링의 복수의 부풀어 오른 부분과 접촉함을 보여주는, 시쓰부의 일부가 절단되어 있는 투시도이다.
도 11은 수 커넥터 단자가 암 커넥터 단자의 시쓰부 내로 더 삽입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시쓰부의 일부가 절단되어 있는 투시도이다.
도 12는 수 커넥터 단자의 어느 영역이 플랫 스프링의 중앙에 위치하는, 암 수 커넥터 단자 간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수 커넥터 단자의 어느 영역이 플랫 스프링의 일단부를 향해 그 폭방향으로 이탈되어 있는, 암수 커넥터 단자 간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수 커넥터 단자의 어느 영역이 플랫 스프링의 타단부를 향해 그 폭방향으로 이탈되어 있는, 암수 커넥터 단자 간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커넥터 단자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제1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어 "전방"은 암수 커넥터가 서로 끼워 맞춤되는 측을 의미하고, 단어 "후방"은 그 반대측을 의미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전기 커넥터(C1)의 암 커넥터 단자(110), 및 수 전기 커넥터(C2)의 수 커넥터 단자(210)를 포함한다.
암 전기 커넥터(C1)는 몰딩 주입 공정에 의해 형성된 암 하우징(100) 및 수 전기 커넥터(C2)의 수 커넥터 단자(210)가 삽입되는 암 커넥터 단자(110)를 포함한다.
암 하우징(100)은 하우징 몸체(101) 및 로크 암(lock arm)(102)을 포함한다. 하우징 몸체(101)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수직으로 두 줄로 배열되어 있고 각 줄에 마주보는 관계의 3개의 단자 하우징(101a)을 포함하는 6개의 단자 하우징(101a)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 하우징(101a)은 전방-후방 방향으로 뻗어 있다.
하우징 몸체(101)에는, 그 천장에, 하우징 몸체(101)의 후방을 통해 단자 하우징(101a)으로 삽입된 암 커넥터 단자(110)와 맞물리게 되는 랜스(101b)를 포함하는 스토퍼(101c)가 형성되어 있어, 암 커넥터 단자(110)가 하우징 몸체(101)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커넥터 단자(110)는 암 전기 커넥터(C1)의 암 하우징(100)으로 끼워 맞춤될 암 단자 몸체인 시쓰부(111), 플랫 스프링(112)이 시쓰부(111)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로 시쓰부(111) 내에 하우징된 플랫 스프링(112) 및 압축된 상태로 그 내부의 케이블(도시되지 않은)을 고정시키기 위한 시쓰부(111)의 후방에 위치하는 번들 부(113)를 포함한다.
시쓰부(111), 플랫 스프링(112), 및 번들 부(113)는 전기 도전성 금속 시트를 구부림으로써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암 커넥터 단자(110)에서, 플랫 스프링(112) 및 시쓰부(111)는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된다.
시쓰부(111)는 바닥부(111a), 플랫 스프링(112)이 그 사이에 배치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111b 및 111c), 및 천장부(111d)를 포함한다. 시쓰부(111)는 금속 시트를 펀칭(punch)하고 측벽(111b 및 111c) 및 천장부(111d)를 구부려 개구(111e)를 형성함으로써 속이 빈 직방형 단면을 가지도록 제조된다.
바닥부(111a) 및 천장부(111d)는 측벽(111b 및 111c)을 서로 연결하여, 플랫 스프링(112)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그 위치로 이후에 설명할 수 커넥터 단자(210)의 탭 부가 플랫 스프링(112)과 접촉하기 위해 삽입된다.
안정판(111f)은 암 커넥터 단자(110)가 암 하우징(100)으로 거꾸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더 나아가 암 커넥터 단자(110)가 암 하우징(100)으로 삽입된 후 암 커넥터 단자(110)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측벽(111b) 상에 서서 그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 있다.
각각의 측벽(111b 및 111c)에는 플랫 스프링(112)의 각각의 귀 부분(112b)이 끼워 맞춤되는 절단부(111g)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측벽(111b 및 111c)에는 수 커넥터 단자(210)가 시쓰부(111)로 삽입된 때 수 커넥터 단자(210)의 추후 설명될 탭 부가 플랫 스프링(112)의 폭 내에 위치함을 보장하기 위해 돌출부(111h)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돌출부(111h)는 각각의 측벽(111b 및 111c)의 외측면에 오목부(111j)를 형성함으로써 시쓰부(111) 안쪽으로 돌출한다.
도 2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스프링(112)은 탄성 접촉 피스로 이루어져 있고, 수 커넥터 단자(210)의 탭 부가 시쓰부(111)로 삽입되는 방향(F1), 즉, 플랫 스프링(112) 및 시쓰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112m)을 가진다. 중앙 영역(112m)은 아치형으로, 즉, 천장부(111d)를 향해 뻗도록 설계된다. 플랫 스프링(112)은 시쓰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바닥부(111a)를 따라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스프링(112)은 아치형 활(bow) 형상의 아치인 스프링 몸체(112a), 스프링 몸체(112a)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112m)의 마주보는 측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은 2개의 귀 부분(112b), 및 그 안에 귀 부분(112b)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 영역(112m) 내에 위치하고 수 커넥터 단자(210)와 접촉하는 접촉부로서 역할 하는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을 포함한다.
플랫 스프링(112)은 플랫 스프링(112)의 전방 단부(112d) 및 후방 단부(112e)에서 시쓰부(111)의 바닥부(111a) 상에서 지지된다. 중앙 영역(112m) 내에 위치하는 귀 부분(112b)은 측벽(111b 및 111c)에 형성된 절단부(111g) 내로 끼워 맞춤되어, 플랫 스프링(112)이 천장부(111d)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전방 단부(112d) 및 후방 단부(112e)가 자유단이라 하더라도, 플랫 스프링(112)은 아치형 플랫 스프링으로서 역할 할 수 있다.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은 플랫 스프링(112)이 수 커넥터 단자(210)와 접촉하는 면 반대쪽 면에서 플랫 스프링 몸체(112a)를 엠보싱(embossing) 함으로써 부풀어 오른 아치 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이 플랫 스프링(112)의 폭 방향(F3)으로 중앙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은 시쓰부(111)의 바닥부(111a) 또는 천장부(111d)의 폭의 중앙에 위치한다.
천장부(111d)에서 보았을 때,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은 자신의 양 단부(전방 및 후방 단부)에서 방향(F1)으로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의 전방 및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된 중앙 영역(112m)은 아치형의 전방 및 후방 단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선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은 방향(F1)에 수직인 방향(즉, 플랫 스프링(112)의 폭 방향(F3)보다 방향(F1)과 평행한 방향(즉, 플랫 스프링(112)의 길이 방향)으로 더 길다.
뿐만 아니라,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의 전방 및 후방 단부는 그것의 아치의 둘레로부터 중앙을 향해 위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은 중앙에 플랫 스프링(112)의 폭 방향(F3)을 따라 아치형 단면을 가진다.
암 커넥터 단자(110)의 제조에 있어서, 단일 금속 시트가 2차원 형상 또는 암 커넥터 단자(110)의 전개도(development)로 펀칭된다. 그 다음, 절단부(111g)가 시쓰부(111)의 전개된 부분 내에 형성된다. 그 다음, 플랫 스프링(112)이 바닥부(111a) 상에 놓여진다.
그 다음, 플랫 스프링(112)의 귀 부분(112b)이 절단부(111g) 내로 끼워 맞춤되도록 측벽(111b 및 111c)이 바닥부(111a) 상에 세워진다.
그 다음, 측벽(111c)은 바닥부(111a) 위로 구부러져 천장부(111d)가 형성되고, 랜스(101b)가 맞물려질 오목부가 형성될 영역을 제외하고 천장부(111d)를 향해 부분적으로 더 구부려진다.
이로써, 암 커넥터 단자(110)가 완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전기 커넥터(C2)는 몰딩 주입 공정에 의해 제조된 수 하우징(200) 및 암 커넥터 단자(110)로 삽입될 수 커넥터 단자(210)를 포함한다.
수 하우징(200)은 직육면체 형태이고, 수 커넥터 단자(210)가 돌출되어 있고 암 하우징(100)이 끼워 맞춤되는 공간(201)을 포함한다.
수 커넥터 단자(210)는 암 커넥터 단자(110)와 일치하도록 이러한 공간(201) 내에 각 줄에 3개의 열을 포함하는 수직의 2줄로 수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커넥터 단자(210)는 바늘 형상의 탭부(211), 수 커넥터 단자(210)가 수 하우징(200)으로 삽입될 때 통과하는 삽입부(212), 및 인쇄 배선판(도시되지 않은)의 금속 패드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외부 리드(lead) 부(213)를 포함한다.
탭부(211)는 암 전기 커넥터(C1)의 암 커넥터 단자(110) 내로 삽입되어, 암 커넥터 단자(110)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탭부(211)는 수 커넥터 단자(210)가 암 커넥터 단자(110)의 플랫 스프링(112)과 접촉하는 제1 접촉면(211a) 및 시쓰부(111)의 천장부(111d)과 접촉하는, 제1 접촉면(211a)의 반대편의 제2 접촉면(211b)을 가진다. 각각의 제1 및 제2 접촉면(211a 및 211b)에는 복수의 제1 돌출부(214a) 및 제2 돌출부(214b)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각각 수 커넥터 단자(210)가 암 커넥터 단자(110) 내로 삽입되는 방향(F1)으로 뻗어 있다.
각각의 제1 및 제2 접촉면(211a 및 211b)은 탭부(211)의 말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드(tapered) 부(211c)로부터 외부 리드부(213)를 향해 선형으로 뻗어 있다. 각각의 제1 및 제2 돌출부(214a 및 214b)는 방향(F1)에 수직인 두께 방향(F2)으로 아치형 단면을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및 제2 돌출부(214a 및 214b)는 반구형 단면을 가진다. 제1 및 제2 돌출부(214a 및 214b)는 폭 방향(F3)으로 인접한 돌출부로부터 동등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제1 실시예의 탭부(211)는 각각의 제1 및 제2 접촉면(211a 및 211b)에서 6개의 제1 및 제2 돌출부(214a 및 214b)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삽입부(212)는 수 커넥터 단자(210)의 폭 방향(F3)으로 바깥쪽으로 점진적으로 돌출한 인게이지먼트 부(212a), 및 수 하우징(200) 내로 수 커넥터 단자(210)를 삽입하기 위해 수 커넥터 단자(210)가 눌러지는 위치인 숄더 부(212b)를 포함한다. 삽입부(212)는 수 하우징(200) 내로 삽입되고 수 하우징(200)과 맞물려진다.
외부 리드부(213)는 수 하우징(200)의 후방 단부 밖으로 뻗어 있다. 외부 리드부(213)는 그 자유단에서 연결부(213a)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외부 리드부(213)가 인쇄 배선판의 신호 단자로서 역할하는 금속 패드와 함께 납땜된다.
수 커넥터 단자(210)는 제1 및 제2 돌출부(214a 및 214b)가 탭부(211)의 제1 및 제2 접촉면(211a 및 211b)을 프레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단일 금속 시트를 수 커넥터 단자(210)의 형상으로 펀칭하고, 외부 리드부(213)를 구부려 연결부(213a)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제1 및 제2 돌출부(214a 및 214b)가 탭부(211)의 제1 및 제2 접촉면(211a 및 211b)을 프로셍함으로써 이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돌출부(214a 및 214b)는 단일 금속 시트를 수 커넥터 단자(210)로 절단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보다 더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돌출부(214a 및 214b)는 탭부(211)의 제1 및 제2 접촉면(211a 및 211b)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탭부(211) 및 제1 및 제2 돌출부(214a 및 214b)는 드로우잉 공정(drawing process) 또는 압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삽입부(212) 및 외부 리드부(213)를 형성하기 위해 프레싱 단계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고, 이는 수 커넥터 단자(210)를 제조하는 공정을 불가피하게 복잡하게 만든다. 따라서, 프레싱 공정에 의해 제1 및 제2 돌출부(214a 및 214b)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부(211)가 플랫 스프링(112)과 접촉하는 제1 접촉면(211a) 상에 형성된 제1 돌출부(214a) 사이에 반대 단부에 위치하는 제1 돌출부(214a)는 모서리 가공(chamfered) 된다, 즉, 아치형 표면에서 이어지는 경사면(214A)을 가진다.
금속 시트가 제2 접촉면(211b)으로부터 제1 접촉면(211a)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단되면, 제1 접촉면(211a) 상에 형성된 제1 돌출부(214a) 사이에 반대 단부에 위치하는 제1 돌출부(214a)의 외측면 상에 블러(burr)가 발생된다. 경사면(214A)은 이러한 블러를 눌러 붕괴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상술된 구조를 가진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는 아래에 언급된 방법으로 사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커넥터 단자(210)는 암 커넥터 단자(110)의 전방에 위치하게 옮겨진 후, 암 전기 커넥터(C1)의 암 하우징(100)은 수 전기 커넥터(C2)의 수 하우징(200) 내에 형성된 공간(201)으로 삽입된다.
시쓰부(111)의 측벽(111b 및 111c)에는 돌출부(111h)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따라서, 수 커넥터 단자(210)의 탭부(211)가 암 커넥터 단자(110)의 시쓰부(111) 내로 삽입될 때 탭부(211)가 시쓰부(111)의 세로선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탭부(211)의 세로선을 따라 시쓰부(111) 내로 삽입되도록 시도된다면, 시쓰부(111) 내로 삽입되는 탭부(211)의 자세는 탭부(211)가 플랫 스프링(112)의 폭 내에 배치되도록 수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커넥터 단자(210)가 암 커넥터 단자(110)에 대하여 전진하고 그에 따라 탭부(211)가 시쓰부(111) 내로 삽입될 때, 수 커넥터 단자(210)의 탭부(211)는 플랫 스프링(112)과 그것의 말단부에 위치하는 테이퍼드 부(211c)에서 먼저 접촉한다.
수 커넥터 단자(210)가 더 전진한 때, 플랫 스프링(112)이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이 중앙 영역(112m)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탭부(211)는 플랫 스프링(112)에 대한 접촉면으로 역할하는 부풀어 오른 부분(112c)과 접촉하게 될 수 있다.
탭부(211)가 부풀어 오른 부분(112c)과 접촉한 후, 플랫 스프링(112)의 스프링 몸체(112a)는 시쓰부(111) 내로 삽입되는 탭부(211)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으로 인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부(211)는 제1 접촉면(211a)에서 부풀어 오른 부분(112c) 상에서 미끄러지고, 탭부(211)가 시쓰부(111) 내로 깊숙이 삽입되는 동안 제2 접촉면(211b)에서 시쓰부(111)의 천장부(111d) 상에서 더 미끄러진다.
플랫 스프링(112)이 자신의 최초 자세로 탄성 복원할 때 발생되는 힘이 탭부(211)의 제1 접촉면(211a)에 작용한다 하더라도, 제1 돌출부(214a)가 제1 접촉면(211a) 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탭부(211)는 제1 접촉면(211a)이 평평한 면인 경우에 제1 접촉면(211a)이 플랫 스프링(112)과 접촉하게 될 면적보다 적은 면적으로 플랫 스프링(112)과 접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돌출부(214a)는 탭부(211)를 시쓰부(111)로 삽입하고 그로부터 잡아당겨 빼낼 때 필요한 힘을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돌출부(214a)가 아치형 단면을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제1 돌출부(214a)는 탭부(211)가 암 커넥터 단자(110)로 삽입될 때 플랫 스프링(112)을 손상시키지 않을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스프링(112)이 탭부(211)와 접촉하기 위한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1 돌출부(214a)는 부풀어 오른 부분(112c)과 접촉한다.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은 폭 방향(F3)으로 배열된 모든 제1 돌출부(214a)와 접촉하지 않진 않지만, 6개의 제1 돌출부(214a) 중에서 2개의 제1 돌출부(214a)와 접촉한다. 그러므로, 탭부(211)가 부풀어 오른 부분(112c)과 접촉할 때, 탭부(211)는 플랫 스프링(112)이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을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된 경우에 탭부(211)가 플랫 스프링(112)과 접촉할 때 접촉하는 제1 돌출부(214a)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제1 돌출부(214a)를 통해 부풀어 오른 부분(112c)과 접촉할 수 있다. 그러므로, 탭부(211)를 플랫 스프링(112)과의 안정적인 접촉을 유지하는 것, 및 탭부(211)가 시쓰부(111) 내로 삽입되고 그로부터 잡아당겨 빼내질 때 필요한 힘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은 플랫 스프링(112)의 폭 방향(F3)보다 방향(F1)으로 더 길게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탭부(211)는 탭부(211)의 제1 접촉면(211a)을 탭부(211)가 부풀어 오른 부분(112c)과 접촉하는 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만들지 않고도, 2개의 제1 돌출부(214a)을 통해 플랫 스프링(112)과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탭부(211)는 제2 접촉면(112b)에서 시쓰부(111)의 천장부(111d)와 추가적으로 접촉한다. 그러므로, 탭부(211)가 플랫 스프링(112) 뿐만 아니라 천장부(111d)와도 접촉하기 때문에, 탭부(211)는 증가된 접촉 면적으로 암 커넥터 단자(110)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214b)는 탭부(211)의 제2 접촉면(211b) 상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탭부(211)는 제2 접촉면(211b)이 평평한 면이였을 경우에 탭부(211)가 천장부(111d)과 접촉하는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시쓰부(111)의 천장부(111d)와 접촉할 수 있다.
그러므로, 탭부(211)가 플랫 스프링(112) 뿐만 아니라 천장부(111d)와도 접촉하기 때문에, 플랫 스프링(112) 및 시쓰부(111)와 탭부(211)의 접촉에 대한 신뢰성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제2 접촉면(211b) 상에 형성된 제2 돌출부(214b)가 탭부(211)와 천장부(111d) 간에 발생되는 마찰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탭부(211)가 시쓰부(111) 내로 삽입되고 그로부터 잡아당겨 빼내질 때 필요한 힘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모두 도 7에 도시된 암 커넥터 단자(110)와 수 커넥터 단자(210) 간의 위치 관계에서, 수 커넥터 단자(210)의 탭부(211)는 폭방향(F3)에서 암 커넥터 단자(110)의 플랫 스프링(112)의 중앙에 위치한다. 탭부(211)가 플랫 스프링(112)의 중앙에 위치하기 때문에,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은 탭부(211)의 중앙에 배치된 2개의 제1 돌출부(214a)와 접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커넥터 단자(110)의 시쓰부(111)는 랜스(101b)와 맞물린, 암 하우징(100)의 단자 공간(101a) 내에 하우징된다. 따라서, 암 커넥터 단자(110)는, 예컨대, 번들 부(113) 내에 고정된 케이블이 잡아 당겨질 때 단자 공간(101a)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암 하우징(100)의 암 커넥터 단자(110)와 수 하우징(200)의 수 커넥터 단자(210) 간의 위치 관계는 그들의 허용오차로 인해 이탈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부(211)와 시쓰부(111) 간의 위치 관계가 제1 및 제2 접촉면(211a 및 211b)에 수직으로 뻗은 탭부(211)의 두께 방향(F2)으로 시프트된다 하더라도, 탭부(211)는 플랫 스프링(112)과 천장부(111d) 사이에 끼여 있고, 그러므로 제1 돌출부(214a)는 플랫 스프링(112)과 접촉이 유지된다.
탭부(211)가 제1 및 제2 접촉면(211a 및 211b)과 평행하게 그리고 방향(F1)에 수직으로 뻗은 플랫 스프링(112)의 폭방향(F3)으로 시쓰부(111) 내의 한 측으로 이동될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부(211)가 플랫 스프링(112)의 중심에 비해 좌측으로 이동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제1 실시예에서, 인접한 제1 및 제2 돌출부(214a 및 214b) 사이의 거리(L0)는 탭부(211)가 플랫 스프링(112)의 중앙에 위치하는 위치와, 탭부(211)가 좌측벽(111b)과 접촉하는 위치 간의 탭부(211)의 이탈이 허용되는 거리로서 정의되는 거리(L1)와 거의 동등하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대안으로서, 거리(L1)는 탭부(211)가 도 7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된 때 탭부(211)의 좌측과 좌측벽(111b) 간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탭부(211)는 탭부(211)가 시쓰부(111)의 좌측벽(111b)과 접촉할 때 제1 돌출부(214a) 중 시쓰부(111)의 우측벽(111c)에 가깝게 위치하는 2 이상의 제21 돌출부(214a)가 부풀어 오른 부분(112c)과 접촉하게 하는 그러한 폭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탭부(211)의 폭은 탭부(211)가 시쓰부(111) 내로 삽입되고 시쓰부(111)로부터 잡아당겨 빼내지는 방향(F1)(도 3 참조)에 수직으로 뻗어 있는 제1 접촉면(211a)에 의해 형성된 평면을 따라 측정되는 거리를 의미한다.
2개의 제1 돌출부(214a)가 플랫 스프링(112)의 부풀어 오른 부분(112c)과 접촉 유지되기 때문에, 탭부(211)는 플랫 스프링(112)과 안정적인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탭부(211)가 도 8에 도시된 경우와 달리, 폭방향(F3)으로 시쓰부(111) 내의 다른 측으로 이동된다고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부(211)가 플랫 스프링(112)의 중앙에 비해 우측으로 이동된 것으로 가정한다.
인접한 제1 및 제2 돌출부(214a 및 214b) 간의 거리(L0)는 탭부(211)가 플랫 스프링(112)의 중앙에 위치하는 위치와 탭부(211)가 우측벽(111c)과 접촉하는 위치 사이에서 탭부(211)가 이탈될 수 있는 허용된 거리로 정의된 거리(L2)와 거의 동등하게 되도록 설계된다. 대안으로서, 거리(L2)는 탭부(211)가 도 7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된 때 탭부(211)의 우측과 우측벽(111c) 사이의 거리로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돌출부(214a) 중 탭부(211)가 우측벽(111c)과 접촉한 때 시쓰부(111)의 좌측벽(111d)에 가깝게 위치하는 2 이상의 제1 돌출부(214a)는 부풀어 오른 부분(112c)과 접촉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탭부(211)가 플랫 스프링(112)의 폭방향으로 시쓰부(111)의 측벽(111b 및 111c)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하더라도, 2개의 제1 돌출부(214a)는 플랫 스프링(112)과 접촉이 유지되고, 이는 탭부(211)가 플랫 스프링(112)과 안정적인 접촉이 유지됨을 보장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는 암수 커넥터 단자(110 및 210)를 서로 끼워 맞추고 서로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줄일 수 있고, 그 사이의 접촉에 대한 신뢰도를 강화할 수 있다.
제1 접촉면(211a) 상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제1 돌출부(214a)의 바깥면에 생성된 블러를 붕괴시켜 경사면(214A)을 형성함으로써, 탭부(211)가 플랫 스프링(112)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때,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이 블러에 의해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그로 인해 탭부(211)가 간섭없이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블러를 붕괴시켜 경사면(214A)을 형성함으로써,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이 블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그 위에 블러가 생성되어 있는 제1 돌출부(214a)는 탭부(211)가 플랫 스프링(112)의 폭방향으로 시쓰부(111) 내에서 이동하는 범위를 제외하고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그러므로, 제1 돌출부(214a) 상에 블러가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다 하더라도, 제1 접촉면(211a) 상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제1 돌출부(214a)가 부풀어 오른 부분(112c)과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이 블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가 도 10 내지 1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5 내지 9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부품 또는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부품 또는 엘리먼트는 동일한 부재번호가 부여되었고, 아래에 명시적으로 서술되지 않는다면, 제1 실시예의 대응 부품 또는 엘리먼트와 동등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도 10에 도시된 암 커넥터 단자(110x)는 그 위에 복수의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이 형성되어 있는 플랫 스프링(112x)을 포함한다.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은 플랫 스프링(112x)의 폭방향(F3)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는 2개의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을 포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수 커넥터 단자(210)가 암 커넥터 단자(110)로 삽입될 때,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수 커넥터 단자(210)는 탭부(211)의 테이퍼드 부(211c)에서 플랫 스프링(112x)의 2개의 부풀어 오른 부분(112c)과 먼저 접촉한다.
탭부(211)가 부풀어 오른 부분(112c)과 접촉한 후, 플랫 스프링(112x)의 스프링 몸체(112a)는 시쓰부(111) 내로 삽입되는 탭부(211)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탭부(211)는 제1 접촉면(211a)에서 부풀어 오른 부분(112c) 상에서 미끄러지고, 탭부(211)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쓰부(111) 내로 깊숙이 삽입되는 동안 제2 접촉면(211b)에서 시쓰부(111)의 천장부(111d) 상으로 더 미끄러진다.
플랫 스프링(112x)에 복수의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랫 스프링(112x)이 탭부(211)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은 제1 실시예의 접촉 면적보다 더 크다. 그러나, 그 사이에 갭을 가지고 플랫 스프링(112x) 상에 형성된 2개의 부풀어 오른 부분(112c) 각각이 제1 돌출부(214a) 중 2개의 제1 돌출부(214a)를 지지하기 때문에, 탭부(211)를 플랫 스프링(112x)과 안정적으로 접촉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에서, 도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제1 및 제2 돌출부(214a 및 214b) 간의 거리(L0)는 탭부(211)가 플랫 스프링(112x)의 중앙에 위치하는 위치와 탭부(211)가 좌우 측벽(111b 및 111c)과 접촉하는 위치 사이에서 탭부(211)의 이탈이 허용된 거리로 각각 정의되는 거리(L1 및 L2)와 거의 동등하도록 설계된다. 대안으로서, 거리(L1)는 탭부(211)가 도 12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된 때 탭부(211)의 좌측과 좌측벽(111b)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고, 거리(L2)는 탭부(211)가 도 12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된 때 탭부(211)의 우측과 우측벽(111c)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두 부풀어 오른 부분(112c) 사이의 거리(L3)는 L0×2, 즉, 거리(L0)의 두배와 거의 동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탭부(211)가 플랫 스프링(112x)의 폭방향(F3)으로 시쓰부(111) 내에서 이동한다 하더라도, 6개의 제1 돌출부(214a) 중 좌우 측벽(111b 또는 111c)에 더 가깝게 배치된 2개의 제1 돌출부(214a)는 대응하는 부풀어 오른 부분(112c)과 접촉하고, 탭부(211)는 각각 좌우 측벽(111b 또는 111c)과 접촉한다.
그러므로, 2개의 제1 돌출부(214a)가 시쓰부(111)의 좌우 측벽(111b 및 111c) 사이에서 플랫 스프링(112x)과 접촉 유지되기 때문에, 탭부(211)는 플랫 스프링(112x)과 안정적인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이 2개의 제1 돌출부(214a)와 접촉하기 때문에, 탭부(211)는 부풀어 오른 부분(112c)과 더 안정적인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플랫 스프링(112x)은 두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을 포함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탭부(211)가 폭방향(F3)으로 움직이더라도 두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은 모두 제1 돌출부(214a)와 접촉한다. 제1 돌출부(214a) 중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214a)가 적어도 하나의 부풀어 오른 부분(112c)과 접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예컨대, 탭부(211)가 좌측벽(111b)으로 이동한 때, 제1 돌출부(214a)는 좌측벽(111b)과 더 가깝게 배치된 하나의 부풀어 오른 부분(112c)과 접촉할 수 있고, 이 제1 돌출부(214a)는 우측벽(111c)과 더 가깝게 배치된 다른 부풀어 오른 부분(112c)과 접촉하지 않고, 또한 그 역도 가능하다.
총 4개의 제1 돌출부(214a)가 2개의 부풀어 오른 부분(112c)과 접촉하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2개의 제1 돌출부(214a)가 시쓰부(111) 내에서 2개의 부풀어 오른 부분(112c) 각각과 접촉하기 때문에, 탭부(211)와 플랫 스프링(112x) 간의 접촉에 대한 신뢰도를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에서, 플랫 스프링(112x)은 2개의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을 포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플랫 스프링(112x)은 시쓰부(111) 내로 탭부(211)를 삽입하고 시쓰부(111)에서 탭부(211)를 잡아당겨 빼내기 위해 필요한 힘의 크기 및 부풀어 오른 부분(112c)과 탭부(211)의 접촉 신뢰도를 고려하여, 스프링 몸체(112a)에 3개 이상의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각각의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은 폭 방향, 즉, 방향(F1)에 수직인 방향보다 세로 방향, 즉 방향(F1)과 평행한 방향으로 더 길게 설계되어 있다. 대안으로서, 각각의 부풀어 오른 부분(112c)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플랫 스프링(112 또는 112x)의 폭방향(F3) 길이와 동일한 세로 방향의 길이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수 커넥터 단자(210)의 탭부(211)는 바닥부(111a), 한 쌍의 측벽(111b 및 111c) 및 천장부(111d)를 포함하는 암 커넥터 몸체인 시쓰부(111)로 삽입된다.
암 커넥터 몸체가 한 쌍의 측벽(111b 및 111c)에 의해서면 형성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는 자동차 산업, 전기/전자 장치 산업, 및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서로 와이어를 연결하는 커넥터와 같은 다른 기계 산업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에 적합하다.

Claims (10)

  1. 제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1 커넥터 단자 내로 끼워 맞춤되는 제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로서,
    상기 제1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2 커넥터 단자의 자유단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커넥터 단자의 특정 영역과 접촉하는 플랫 스프링; 및
    상기 플랫 스프링이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단자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단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2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2 커넥터 단자의 서로 마주보는 두 표면 중 하나의 표면상에 상기 특정 영역 내에 3개 이상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3개 이상의 제1 돌출부 각각은 상기 제2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1 커넥터 단자로 끼워 맞춤 되는 제1 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3개 이상의 제1 돌출부 중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는 상기 측벽 사이에서 상기 플랫 스프링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1 커넥터 단자 내로 끼워 맞춤되는 제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몸체는 서로 측벽을 연결하는 천장부 및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단자는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상기 천장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두 표면 중 다른 표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1 커넥터 단자 내로 끼워 맞춤되는 제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스프링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와 접촉하는 부풀어 오른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1 커넥터 단자 내로 끼워 맞춤되는 제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스프링은 아치 형상으로 뻗은 중앙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부풀어 오른 부분은 상기 중앙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1 커넥터 단자 내로 끼워 맞춤되는 제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스프링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와 접촉하는 복수의 부풀어 오른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부풀어 오른 부분은 상기 플랫 스프링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1 커넥터 단자 내로 끼워 맞춤되는 제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 간의 거리는 상기 특정 영역과 상기 측벽 중 하나 사이의 거리와 동등하고, 상기 특정 영역과 상기 측벽 중 하나 사이의 거리는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플랫 스프링의 중앙에 배치된 때 측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1 커넥터 단자 내로 끼워 맞춤되는 제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 간의 거리는 상기 특정 영역과 상기 측벽 중 하나의 측벽 간의 거리, 및 상기 특정 영역과 상기 측벽 중 다른 측벽 간의 거리와 모두 동등하고, 상기 특정 영역과 상기 측벽 중 하나의 측벽 간의 거리, 및 상기 특정 영역과 상기 측벽 중 다른 측벽 간의 거리는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플랫 스프링의 중앙에 배치된 때 측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1 커넥터 단자 내로 끼워 맞춤되는 제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기 제1 돌출부 간의 거리는 서로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1 커넥터 단자 내로 끼워 맞춤되는 제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단자의 폭 방향으로 양 단부에 배치된 각각의 제1 돌출부들은 바깥쪽을 향하여 경사진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1 커넥터 단자 내로 끼워 맞춤되는 제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단자의 폭 방향으로 양 단부에 배치된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커넥터 단자가 그 폭 방향으로 상기 플랫 스프링에 대하여 이동하더라도 상기 플랫 스프링과 접촉하지 않게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1 커넥터 단자 내로 끼워 맞춤되는 제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
KR1020150130946A 2014-09-19 2015-09-16 커넥터 단자 KR101780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91627 2014-09-19
JP2014191627A JP5831611B1 (ja) 2014-09-19 2014-09-19 コネクタ端子の接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206A KR20160034206A (ko) 2016-03-29
KR101780968B1 true KR101780968B1 (ko) 2017-09-25

Family

ID=5478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946A KR101780968B1 (ko) 2014-09-19 2015-09-16 커넥터 단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66957B2 (ko)
JP (1) JP5831611B1 (ko)
KR (1) KR101780968B1 (ko)
CN (1) CN105449408B (ko)
DE (1) DE102015217777B4 (ko)
FR (1) FR30262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37722S (ko) * 2015-02-23 2015-11-16
JP6607393B2 (ja) * 2016-02-11 2019-11-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
JP6780138B2 (ja) * 2017-03-01 2020-11-0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電気端子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6960748B2 (ja) * 2017-03-07 2021-11-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1599728S (ko) 2017-07-07 2018-03-19
JP7054432B2 (ja) * 2017-07-12 2022-04-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雄端子金具及び雌端子金具
CN108666790B (zh) * 2018-05-30 2024-04-30 惠州领越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弧形冲压大电流端子
CN112350092B (zh) * 2019-08-08 2023-07-18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连接器及端子
JP2022062780A (ja) * 2020-10-09 2022-04-21 I-Pex株式会社 端子
JP2023161127A (ja) 2022-04-25 2023-11-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接続構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1769A (ja) * 2005-11-22 2007-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および端子金具の製造方法
JP2009252526A (ja) * 2008-04-07 2009-10-29 Jst Mfg Co Ltd 雄端子及びこれを有するコネクタ
JP2015149189A (ja) 2014-02-06 2015-08-2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1287A (en) * 1957-01-18 1960-01-12 Burndy Corp Snap fit interlocking connector
NL127974C (ko) * 1963-02-04
US3422395A (en) * 1966-10-17 1969-01-14 Ark Les Switch Corp Embossed male tab for use with quick connect terminals
GB1171678A (en) * 1967-06-06 1969-11-26 Amp Inc Electrical connector tab receptacle
US3644872A (en) * 1970-10-22 1972-02-22 Gen Motors Corp Hermaphroditic terminal
US4778231A (en) * 1984-09-28 1988-10-18 North American Specialties Corp. Electrical connector
JPS62135374U (ko) * 1986-02-19 1987-08-26
US4691981A (en) * 1986-03-24 1987-09-08 Amp Incorporated Tab-form terminal
DE3804977A1 (de) 1988-02-18 1989-08-31 Daut & Rietz Trw Flachkontaktfeder fuer stecker von elektrischen steckverbindern
JPH0745912Y2 (ja) * 1990-08-07 1995-10-1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GB9027858D0 (en) * 1990-12-21 1991-02-13 Amp Holland Stamped and formed electrical tab
US5281178A (en) * 1992-10-26 1994-01-25 Yazaki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feature for increased contact area
JPH0734563U (ja) * 1993-12-08 1995-06-23 住友電装株式会社 雄型端子金具
WO1995019650A1 (en) * 1994-01-12 1995-07-20 Berg Technology, Inc. Improved contact elemen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H07296873A (ja) * 1994-04-21 1995-11-10 Amp Japan Ltd 雌型コンタクト
JP2734994B2 (ja) * 1994-07-20 1998-04-02 住友電装株式会社 雄型端子金具
DE69425829T2 (de) * 1994-11-17 2001-04-26 Molex Inc Selbstverriegelnde Kontaktstruktur
EP0907988B1 (de) * 1996-06-17 2000-04-19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ional Steckverbinderhülse
US5775963A (en) * 1997-01-29 1998-07-07 Wirthco Engineering, Inc. Male-type electrical terminal
US6254702B1 (en) * 1997-02-18 2001-07-03 Dowa Mining Co., Ltd. Copper base alloys and terminals using the same
JPH11307159A (ja) * 1998-04-16 1999-11-05 Kansei Corp 電気接続端子
US6056604A (en) * 1998-07-29 2000-05-02 Framatome Connectors Interlock, Inc. Electrical receptacle terminal with a contact spring biased against a side of the receptacle without spreading a seam in the side of the receptacle
US6331742B1 (en) * 1998-12-31 2001-12-18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 motor connector module
JP3729327B2 (ja) * 2000-08-28 2005-12-21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JP4132618B2 (ja) * 2000-09-08 2008-08-1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のタブ
EP1207588B1 (de) * 2000-11-20 2011-05-04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Verbinder für flexible Flachkabel oder flexible Leiterplatten
JP2002184479A (ja) * 2000-12-18 2002-06-28 Jst Mfg Co Ltd 雌圧着端子
US20030060090A1 (en) * 2001-09-21 2003-03-27 Allgood Christopher L. High current automotive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JP4003577B2 (ja) * 2002-08-07 2007-11-07 住友電装株式会社 雄端子金具
JP2004152594A (ja) * 2002-10-30 2004-05-27 Molex Inc 電気端子
JP2005183160A (ja) * 2003-12-19 2005-07-07 Jst Mfg Co Ltd 雌コンタクト
JP2006172877A (ja) 2004-12-15 2006-06-29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EP1720219A1 (de) * 2005-05-03 2006-11-08 Delphi Technologies, Inc. Elektrisches Anschlusselement
JP2007018803A (ja) 2005-07-06 2007-01-25 Tokai Rika Co Ltd コネクタ構造
JP4607749B2 (ja) * 2005-12-06 2011-0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雌型コネクタ端子及び雌型コネクタ
US7556541B2 (en) * 2006-10-06 2009-07-07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terminal with high conductivity core
WO2010014394A1 (en) * 2008-07-28 2010-02-04 Illinois Tool Works Inc. Tab-form terminal with reduced material and manufacturing cost
EP2211425A1 (en) * 2009-01-23 2010-07-28 MTA S.p.A. Female electrical terminal
KR101598633B1 (ko) * 2009-11-11 2016-02-29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용 단자
JP5375564B2 (ja) * 2009-12-02 2013-12-25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US8419486B2 (en) * 2010-12-17 2013-04-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ceptacle terminal with a contact spring
JP6031318B2 (ja) * 2011-10-14 2016-11-24 Dowaメタルテック株式会社 嵌合型接続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IN2014DN06890A (ko) * 2012-01-20 2015-05-15 Yazaki Corp
JP5829937B2 (ja) * 2012-02-15 2015-12-09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接続構造
WO2013137415A1 (ja) * 2012-03-16 2013-09-19 日本発條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2206731A1 (de) * 2012-04-24 2013-10-24 Tyco Electronics Amp Gmbh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 Solarmodul
EP2690716B1 (de) * 2012-07-24 2018-05-02 Delphi Technologies, Inc. Elektrisches Anschlusselement
JP5505471B2 (ja) * 2012-07-27 2014-05-28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
JP5522217B2 (ja) * 2012-08-21 2014-06-1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148444B2 (ja) * 2012-09-06 2017-06-1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1769A (ja) * 2005-11-22 2007-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および端子金具の製造方法
JP2009252526A (ja) * 2008-04-07 2009-10-29 Jst Mfg Co Ltd 雄端子及びこれを有するコネクタ
JP2015149189A (ja) 2014-02-06 2015-08-2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31611B1 (ja) 2015-12-09
US20160087353A1 (en) 2016-03-24
KR20160034206A (ko) 2016-03-29
DE102015217777B4 (de) 2023-10-05
FR3026236B1 (fr) 2019-07-05
JP2016062836A (ja) 2016-04-25
DE102015217777A1 (de) 2016-03-24
CN105449408B (zh) 2018-08-28
US9666957B2 (en) 2017-05-30
FR3026236A1 (fr) 2016-03-25
CN105449408A (zh)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968B1 (ko) 커넥터 단자
EP2950397B1 (en) Connector
JP6446109B1 (ja) コネクタ
US9318836B2 (en) Electric connector
US896121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d component,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US6908326B2 (en) Floating connector
KR101464021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EP2806502A1 (en) Connector
US9252517B2 (en) Connector
EP3687004A1 (en) Connector device equipped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EP3940890B1 (en) Floating connector
CN106972301B (zh) 用于电力连接器的具有顺应销的电力端子
KR20190026564A (ko) 커넥터
JP2024052802A (ja) 可動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の製造方法
US6629864B2 (en) Electrical contact for plug-in connector
JP2009048922A (ja) ジャック用コネクタ
EP4224637A1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US1168897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at-type condu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659785B2 (en) Connector
CN113937529A (zh) 一种浮动式板对板连接器及其母座
JP6933975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7516618B2 (ja) コネクタ
JP7289907B2 (ja) コネクタ
JP2022023654A (ja) コネクタ
JP2023092966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