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033B1 - 분체 도포 시공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분체 도포 시공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033B1
KR101777033B1 KR1020157030221A KR20157030221A KR101777033B1 KR 101777033 B1 KR101777033 B1 KR 101777033B1 KR 1020157030221 A KR1020157030221 A KR 1020157030221A KR 20157030221 A KR20157030221 A KR 20157030221A KR 101777033 B1 KR101777033 B1 KR 101777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queegee
fed
roller
outer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1390A (ko
Inventor
고이치 다니하라
야스히로 사카시타
유지 시바타
히로유키 세키네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1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01M4/0435Rolling or calen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13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opposite sides of the w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9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a doctor blade method, slip-casting or roller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피공급 부재의 표면 상에 공급된 분체를 균일하게 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프레스 롤러(10ㆍ10)와, 프레스 롤러(10ㆍ10)의 외주면 상에 분체(P)를 공급하는 호퍼(20ㆍ20)와, 프레스 롤러(10ㆍ10)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프레스 롤러(10ㆍ10)의 외주면 상에 공급된 분체(P)를 고르게 함으로써 분체(P)의 두께를 조정하는 스퀴지 롤러(30ㆍ30)와, 프레스 롤러(10ㆍ10)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프레스 롤러(10ㆍ10)의 사이에서, 스퀴지 롤러(30ㆍ30)에 의해 고르게 된 분체(P)를 압축하고, 웹(W)의 양면에 압축 분체층(LㆍL)을 형성하는 분체 도포 시공 장치(1)이며, 스퀴지 롤러(30)는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에 대해 평행, 또한,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의 이동 방향에 대해 직교가 되는 축심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분체 도포 시공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POWDER COA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LITHIUM ION BATTERY USING SAME}
본 발명은, 분체 도포 시공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웹을 반송하면서, 당해 웹의 표면 상에 분체를 도포 시공하는 기술이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긴 금속박인 집전체(웹)의 표면 상에, 활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분체)를 도포 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웹의 표면 상에 분체를 공급한 후, 당해 분체를 블레이드 형상의 스퀴지에 의해 고르게 함으로써, 분체의 두께를 균일하게 조정하고 있다(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단락 [0047] 참조).
그러나,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체는 스퀴지에 접촉했을 때, 이동 방향(웹의 반송 방향)과는 역방향의 힘을 받으므로, 스퀴지보다도 웹의 반송 방향에서의 상류측으로 분체가 체류될(브리지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웹의 표면 상에 공급된 분체의 두께가 균일하게 되도록, 분체를 고르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도 5에 있어서의 흰색 화살표는, 웹의 반송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16504호 공보
본 발명은, 피공급 부재의 표면 상에 공급된 분체를 균일하게 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분체 도포 시공 장치는, 연속된 표면을 갖는 피공급 부재를, 당해 표면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피공급 부재의 표면 상에 분체를 공급하는 분체 공급 수단과, 상기 피공급 부재의 표면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분체 공급 수단에 의해 상기 피공급 부재의 표면 상에 공급된 분체를 고르게 함으로써 당해 분체의 두께를 조정하는 스퀴지와, 상기 스퀴지에 의해 고르게 된 분체를 압축하는 프레스 수단을 구비하는 분체 도포 시공 장치이며, 상기 스퀴지는, 상기 피공급 부재의 표면에 대해 평행, 또한, 상기 피공급 부재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가 되는 축심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관한 분체 도포 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는, 당해 스퀴지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피공급 부재의 표면에 대향하는 부분이, 상기 피공급 부재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분체 도포 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는, 당해 스퀴지의 외주면과 상기 피공급 부재의 표면과의 최단 거리가 유지되도록 진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은, 상기의 분체 도포 시공 장치를 사용해서, 활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분체로 이루어지는 압축 분체층을,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집전체 중 적어도 한쪽 표면 상에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공급 부재의 표면 상에 공급된 분체를 균일하게 고르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분체 도포 시공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분체가 스퀴지 롤러에 의해 고르게 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분체가 스퀴지 롤러에 의해 고르게 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종래의 스퀴지에 분체가 체류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분체 도포 시공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인 분체 도포 시공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분체 도포 시공 장치(1)는, 소정의 반송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웹(W)을 반송하면서, 웹(W)의 표면 상에 분체(P)를 도포 시공하는 장치이다. 상세하게는, 분체 도포 시공 장치(1)는,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웹(W)을 반송하면서, 웹(W)의 양면 상에 각각 분체(P)를 연속적으로 공급함과 함께, 당해 분체(P)를 연속적으로 압축함으로써, 웹(W)의 양쪽 면 상에 압축 분체층(LㆍL)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상기 반송 장치는, 롤 형상으로 권회된 웹(W)을 연속적으로 풀어내고, 양쪽 면 상에 압축 분체층(LㆍL)이 형성된 웹(W)을 롤 형상으로 권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웹(W)의 반송 경로 상에는, 웹(W)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가이드 롤러 및 웹(W)의 사행을 수정하는 제어 장치 등이 적절히 설치된다.
웹(W)은 긴 박판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웹(W)은,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집전체이다.
분체(P)는 분말 상태의 물질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분체(P)는 활물질을 포함하는 입자군이다.
압축 분체층(L)은 분체(P)를 압축함으로써 형성되는 층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체 도포 시공 장치(1)는 프레스 롤러(10ㆍ10)와, 호퍼(20ㆍ20)와, 스퀴지 롤러(30ㆍ30)를 구비하고, 한쪽 프레스 롤러(10), 호퍼(20) 및 스퀴지 롤러(30)[도 1에 있어서 웹(W)보다도 우측에 위치하는 프레스 롤러(10), 호퍼(20) 및 스퀴지 롤러(30)]와, 다른 쪽 프레스 롤러(10), 호퍼(20) 및 스퀴지 롤러(30)[도 1에 있어서 웹(W)보다도 좌측에 위치하는 프레스 롤러(10), 호퍼(20) 및 스퀴지 롤러(30)]가 선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은, 연직 방향으로 일치하고, 도 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은 수평 방향으로 일치한다.
또한, 한쪽 프레스 롤러(10), 호퍼(20) 및 스퀴지 롤러(30)와, 다른 쪽 프레스 롤러(10), 호퍼(20) 및 스퀴지 롤러(30)는,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특별히 설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한쪽 프레스 롤러(10), 호퍼(20) 및 스퀴지 롤러(30)만에 대해 설명한다.
프레스 롤러(10ㆍ10)는, 각각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들의 축심이 서로 평행해지도록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프레스 롤러(10ㆍ10)는, 연직 방향 하향으로 반송되는 웹(W)을 사이에 두도록,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프레스 롤러(10ㆍ10)는, 한쪽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이, 웹(W)의 한쪽 표면에 대향함과 함께, 다른 쪽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이, 웹(W)의 다른 쪽 표면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프레스 롤러(10ㆍ10)는, 소정의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도 1에 있어서의 프레스 롤러(10ㆍ10) 상의 화살표 참조].
호퍼(20)는, 본 발명에 관한 분체 공급 수단의 일 실시 형태이다. 호퍼(20)는, 그 내부에 분체(P)를 저류함과 함께, 분체(P)를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 상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호퍼(20)는 프레스 롤러(10ㆍ10)의 외주면끼리가 가장 근접하는 위치(이하, 「프레스 위치」라고 기재함)보다도 분체(P)의 이동 방향에서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그로 인해, 호퍼(20)로부터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 상에 공급된 분체(P)는, 프레스 롤러(10)의 회전에 수반하여 프레스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스퀴지 롤러(30)는 호퍼(20)로부터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 상에 공급된 분체(P)를 고르게 하는 스퀴지이다. 스퀴지 롤러(30)는, 프레스 롤러(10)보다도 작은 외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축심이 프레스 롤러(10)의 축심과 평행해지도록, 프레스 롤러(10)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즉, 스퀴지 롤러(30)는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에 대해 평행, 또한,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 이동 방향[프레스 롤러(10)의 회전 방향]에 대해 직교가 되는 축심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퀴지 롤러(30)는 프레스 롤러(10)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호퍼(20)보다도 분체(P)의 이동 방향에서의 하류측이며, 프레스 위치보다도 분체(P)의 이동 방향에서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스퀴지 롤러(30ㆍ30)는, 각각 근방에 위치하는 프레스 롤러(1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의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도 1에 있어서의 스퀴지 롤러(30ㆍ30) 상의 화살표 참조]. 상세하게는, 한쪽 스퀴지 롤러(30)는, 한쪽 프레스 롤러(1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다른 쪽 스퀴지 롤러(30)는, 다른 쪽 프레스 롤러(1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바꾸어 말하면, 스퀴지 롤러(30)는, 그 외주면에 있어서의,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부분이, 당해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 이동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체(P)가 스퀴지 롤러(30)를 통과할 때, 분체(P)의 폭(도 2에 있어서의 상하 치수)이 일정해지도록, 폭 조정판(31ㆍ31)이 설치되어 있다.
폭 조정판(31ㆍ31)은, 분체(P)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고, 프레스 롤러(10) 및 스퀴지 롤러(30)의 축심 방향을 따라서 분체(P)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폭 조정판(31ㆍ31)은 프레스 롤러(10) 및 스퀴지 롤러(30)와 접촉하지 않는 형상을 갖는다. 폭 조정판(31ㆍ31)은, 예를 들어 호퍼(20)(도 1 참조)에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분체 도포 시공 장치(1)에 있어서는, 한쪽 호퍼(20)로부터 한쪽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 상에 공급된 분체(P)가, 한쪽 프레스 롤러(10)의 회전에 수반하여 프레스 위치까지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에, 한쪽 스퀴지 롤러(30)에 의해 고르게 됨과 함께, 다른 쪽 호퍼(20)로부터 다른 쪽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 상에 공급된 분체(P)가, 다른 쪽 프레스 롤러(10)의 회전에 수반하여 프레스 위치까지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에, 다른 쪽 스퀴지 롤러(30)에 의해 고르게 된다. 그리고, 프레스 위치에 있어서, 한쪽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 상에 공급된 분체(P) 및 다른 쪽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 상에 공급된 분체(P)는, 각각 웹(W)의 한쪽 및 다른 쪽 표면 상에서 가압된다. 이렇게 해서, 웹(W)의 양쪽 면 상에 압축 분체층(LㆍL)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웹(W)은 프레스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에, 분체(P)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웹(W)의 양면 상에 도포된다.
상기 접착제를 웹(W)의 양면 상에 도포하는 수단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그라비아 코터를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접착제는, 도전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스퀴지 롤러(3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퀴지 롤러(30)는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 상에 공급된 분체(P)를 고르게 함으로써, 당해 분체(P)의 두께(도 3에 있어서의 상하 치수)를 일정하게 조정한다. 즉, 스퀴지 롤러(30)와 프레스 롤러(10)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당해 간극을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 상에 공급된 분체(P)가 통과함으로써, 당해 분체(P)의 두께가 스퀴지 롤러(30)의 외주면과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 사이의 최단 거리 d가 되는 것이다.
또한, 스퀴지 롤러(30)는 거리 d를 변경할 수 있도록, 프레스 롤러(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퀴지 롤러(3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분체(P)가 스퀴지 롤러(30)와 프레스 롤러(10)와의 간극을 향할 때, 스퀴지 롤러(30)의 외주면에 접촉한 분체(P)에는 스퀴지 롤러(30)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한 반력이 작용한다. 즉, 스퀴지 롤러(30)와 프레스 롤러(10) 사이에 위치하는 분체(P)에는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을 향한 힘이 작용한다.
또한, 분체(P)가 스퀴지 롤러(30)와 프레스 롤러(10)와의 간극을 향할 때, 스퀴지 롤러(30)의 외주면과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과의 이루는 각도가 서서히 작아진다. 그로 인해, 스퀴지 롤러(30)의 외주면에 접촉한 분체(P)에 작용하는 반력의 방향이 서서히 변화된다.
이들에 의해, 분체(P)가 스퀴지 롤러(30)의 외주면 상에서 체류되는 것을 억제하고, 분체(P)를 양호하게 스퀴지 롤러(30)와 프레스 롤러(10)와의 간극을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퀴지 롤러(30)를 통과한 분체(P)의 두께가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나아가서는 압축 분체층(L)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스퀴지 롤러(30)는 프레스 롤러(1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스퀴지 롤러(30)는 분체(P)의 이동 방향과는 역방향의 힘이 분체(P)에 작용하도록 회전 구동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분체(P)가 스퀴지 롤러(30)의 외주면 상에서 체류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스퀴지 롤러(30)의 회전 속도는, 프레스 롤러(10)의 회전 속도 50%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퀴지 롤러(30)를 회전 구동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퀴지 롤러(30)는 진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퀴지 롤러(30)를 진동시킴으로써, 분체(P)가 스퀴지 롤러(30)의 외주면 상에서 체류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스퀴지 롤러(30)를 진동시키는 방향은, 스퀴지 롤러(30)의 외주면과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 사이의 최단 거리 d가 유지되는 방향으로 설정한다. 상세하게는, 스퀴지 롤러(30)의 축심이 프레스 롤러(10)의 축심에 대해 근접 및 이격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퀴지 롤러(30)를 진동시킨다. 스퀴지 롤러(30)를 진동시키는 방향은, 직선 형상인지, 곡선 형상[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에 따른 원호 형상]인지를 불문한다. 예를 들어, 스퀴지 롤러(30)의 축심 방향 또는 분체 (P)의 이동 방향으로 스퀴지 롤러(30)를 진동시키면 된다.
스퀴지 롤러(30)의 진동은 스퀴지 롤러(30)를 통과한 분체(P)의 두께가 불균일하게 되지 않는 정도(예를 들어, 주파수:700㎐, 진폭:5㎛)로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분체 도포 시공 장치(1)는 웹(W)의 양쪽 면 상에 압축 분체층(LㆍL)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웹(W) 중 적어도 한쪽 표면에 압축 분체층(L)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즉, 분체 도포 시공 장치(1)를, 웹(W)의 한쪽 표면에만 압축 분체층(L)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한쪽 호퍼(20) 및 스퀴지 롤러(30) 또는 다른 쪽 호퍼(20) 및 스퀴지 롤러(30)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레스 롤러(10)는, 본 발명에 관한 피공급 부재로서 기능하고, 프레스 롤러(10)의 외주면은, 본 발명에 관한 피공급 부재의 연속된 표면에 상당한다. 한 쌍의 프레스 롤러(10ㆍ10)는, 본 발명에 관한 프레스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프레스 롤러(10ㆍ10)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상기 구동 장치는, 본 발명에 관한 구동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웹(W)을 본 발명에 관한 피공급 부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웹(W)을 반송시키기 위한 상기 반송 장치가, 본 발명에 관한 구동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 형태인, 전극의 제조 공정 S1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조 공정 S1은, 분체 제작 공정 S10과, 분체 도포 시공 공정 S20을 포함한다.
분체 제작 공정 S10은, 활물질을 포함하는 입자군인 분체(P)를 제작하는 공정이다.
분체 제작 공정 S10에 있어서는, 먼저, 활물질 및 결착제에 적당한 첨가물(예를 들어, 도전재)을 추가한 것을 용매에 분산시켜 페이스트를 제작한다. 그리고, 스프레이 드라이, 냉동 건조 또는 유동층 조립 등에 의해, 상기 페이스트를 건조시켜, 분체(P)를 제작한다. 이때, 분체(P)에 대해, 적절히, 분급을 행해도 좋다.
분체 도포 시공 공정 S20은, 분체 도포 시공 장치(1)를 사용해서, 활물질을 포함하는 분체(P)를 집전체인 웹(W)의 표면 상에 도포 시공하는 공정이다.
분체 도포 시공 공정 S20에 있어서는, 분체 도포 시공 장치(1)를 사용해서, 웹(W)의 양면 상에서 각각 분체(P)를 압축함으로써, 웹(W)의 양쪽 면 상에 압축 분체층(LㆍL)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제조 공정 S1에 있어서, 분체 제작 공정 S10 및 분체 도포 시공 공정 S20을 순서대로 거침으로써, 집전체인 웹(W)의 양쪽 면 상에 활물질을 포함하는 압축 분체층(LㆍL)이 형성된 전극이 제작된다.
분체 도포 시공 장치(1)를 사용해서 제작된 전극은, 압축 분체층(LㆍL)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조 공정 S1에 의하면, 양호한 품질(출력 등)을 갖는 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웹의 표면 상에 분체를 도포 시공하기 위한 분체 도포 시공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1 : 분체 도포 시공 장치
10 : 프레스 롤러(피공급 부재, 프레스 수단)
20 : 호퍼(분체 공급 수단)
30 : 스퀴지 롤러(스퀴지)
P : 분체
L : 압축 분체층

Claims (4)

  1. 연속된 표면을 갖는 피공급 부재를, 당해 표면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피공급 부재의 표면 상에 분체를 공급하는 분체 공급 수단과,
    상기 피공급 부재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분체 공급 수단에 의해 상기 피공급 부재의 표면 상에 공급된 분체를 고르게 함으로써 당해 분체의 두께를 조정하는 스퀴지와,
    상기 스퀴지에 의해 고르게 된 분체를 압축하는 프레스 수단을 구비하는 분체 도포 시공 장치이며,
    상기 스퀴지는, 상기 피공급 부재의 표면에 대해 평행, 또한, 상기 피공급 부재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가 되는 축심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퀴지는,
    상기 피공급부재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당해 스퀴지의 외주면과 상기 피공급 부재의 표면과의 최단 거리가 유지되도록, 당해 피공급부재의 외주면에 따른 원호 형상으로 진동하고,
    상기 피공급부재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당해 스퀴지의 외주면과 상기 피공급 부재의 표면과의 최단 거리가 유지되도록, 당해 피공급부재의 표면에 대하여 평행, 또한, 상기 스퀴지의 축심 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진동하고,
    상기 스퀴지의 외주면은 상기 분체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도포 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는, 당해 스퀴지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피공급 부재의 표면에 대향하는 부분이, 상기 피공급 부재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도포 시공 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분체 도포 시공 장치를 사용해서, 활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분체로 이루어지는 압축 분체층을,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집전체 중 적어도 한쪽 표면 상에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KR1020157030221A 2013-03-29 2014-02-14 분체 도포 시공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KR101777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74192A JP6231292B2 (ja) 2013-03-29 2013-03-29 粉体塗工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極の製造方法
JPJP-P-2013-074192 2013-03-29
PCT/JP2014/053429 WO2014156357A1 (ja) 2013-03-29 2014-02-14 粉体塗工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390A KR20150131390A (ko) 2015-11-24
KR101777033B1 true KR101777033B1 (ko) 2017-09-08

Family

ID=5162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221A KR101777033B1 (ko) 2013-03-29 2014-02-14 분체 도포 시공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84179B2 (ko)
JP (1) JP6231292B2 (ko)
KR (1) KR101777033B1 (ko)
CN (1) CN105050729B (ko)
WO (1) WO2014156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1819B2 (ja) * 2014-11-26 2018-03-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WO2016111137A1 (ja) * 2015-01-05 2016-07-1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JP2017094552A (ja) * 2015-11-20 2017-06-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成膜装置
JP2017094551A (ja) * 2015-11-20 2017-06-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成膜装置
EP3661661A2 (en) * 2017-08-01 2020-06-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pparatus, method of making a powder-rubbed substrate, and powder-rubbed substrate
WO2019057283A1 (en) 2017-09-21 2019-03-28 Hp Indigo B.V. APPLYING A FORCE TO A PRINT AGENT
DE102017218158A1 (de) 2017-10-11 2019-04-1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ode und galvanisches Element umfassend eine Elektrode
CN107738924B (zh) * 2017-10-18 2024-04-26 深圳市信宇人科技股份有限公司 回转式干粉定量给料装置
DE102018211189A1 (de) 2018-07-06 2020-01-0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Elektrodenmaterialbandes
DE102019113189A1 (de) * 2019-05-17 2020-11-19 Ejot Gmbh & Co. Kg Verfahren zum Beschichten von Teilen
WO2020262649A1 (ja) 2019-06-28 2020-12-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極用成形体の製造方法
CN110369213A (zh) * 2019-07-08 2019-10-25 福莱特玻璃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滚涂机构装置
JP7242869B2 (ja) 2019-08-19 2023-03-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極用成形体の製造方法
EP3982438A4 (en) 2019-08-19 2022-09-14 FUJIFILM Corporat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MOLDING
JP2021178271A (ja) 2020-05-11 2021-1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粉体塗工装置、エネルギーデバイスの製造方法、電池用正極、及び電池用負極
CN112873944A (zh) * 2021-01-13 2021-06-01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极片成型设备及成型方法
CN112873945A (zh) * 2021-01-13 2021-06-01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极片成型设备及成型方法
CN113102160B (zh) * 2021-04-26 2024-01-16 般若涅利(北京)装备技术有限公司 高粘度电池浆料振动打散进料装置、涂布装置及涂布方法
CN113304962B (zh) * 2021-05-11 2022-04-22 贵州华清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泡沫铝吸音板制造设备及其制造工艺
CN113289837A (zh) * 2021-05-27 2021-08-24 燕山大学 一种振动辅助下粉体涂层滚压成形装置及方法
WO2024106127A1 (ja) * 2022-11-17 2024-05-2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圧延粒子層の製造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圧延粒子層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5117A (ja) * 1999-06-30 2001-01-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二次電池の芯材、負極板及び芯材、負極板の製造方法
JP2005144414A (ja) * 2003-11-20 2005-06-09 Toppan Printing Co Ltd 塗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1569Y2 (ko) * 1977-02-22 1980-12-01
JPS5713464A (en) * 1980-06-16 1982-01-23 Ibm Device for supplying fluidized substance
DE3540388A1 (de) * 1985-11-14 1987-05-21 Santrade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faserbahnverstaerkten kunststofflaminaten
JPH0538861Y2 (ko) * 1987-12-21 1993-09-30
JPH05139543A (ja) 1991-11-14 1993-06-08 Yoshinori Kamihoriuchi 定量輸送装置
JPH06134374A (ja) * 1992-10-30 1994-05-17 Ebaa Kooto Kk 紙等の被加工材の塗工方法とその装置
JPH11135116A (ja) * 1997-10-27 1999-05-21 Fuji Elelctrochem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その負極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並びにその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の製造方法
US20040101619A1 (en) * 2000-03-30 2004-05-27 Carlo Camorani Object decoration
JP3665258B2 (ja) * 2000-07-13 2005-06-29 古河電池株式会社 鉛蓄電池用活物質ペースト充填装置
CA2376895A1 (en) 2001-03-15 2002-09-15 Wilson Greatbatch Ltd. Process for fabricating continuously coated electrodes on a porous current collector and cell designs incorporating said electrodes
US6790561B2 (en) 2001-03-15 2004-09-14 Wilson Greatbatch Ltd. Process for fabricating continuously coated electrodes on a porous current collector and cell designs incorporating said electrodes
JP3755104B2 (ja) 2001-11-21 2006-03-15 株式会社粉研パウテックス 粉粒体連続定量供給装置
JP2005211762A (ja) * 2004-01-28 2005-08-11 Toray Ind Inc 塗布装置、塗布方法および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US20090224198A1 (en) 2005-05-26 2009-09-10 Hidekazu Mori Electrode material for electrochemical element and composite particle
JP4876478B2 (ja) * 2005-05-27 2012-02-1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電極用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8284806A (ja) 2007-05-18 2008-11-27 Fujikura Ltd スクリーン印刷用スキージ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2009212113A (ja) * 2008-02-29 2009-09-17 Nippon Zeon Co Ltd 電気化学素子電極用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1216504A (ja) 2008-08-13 2011-10-27 Nippon Zeon Co Ltd 電気化学素子用電極の製造方法
DE102009009650B4 (de) * 2009-02-19 2013-10-10 Atotech Deutschland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Kunststoffschicht sowie deren Verwendung
JP4911184B2 (ja) * 2009-03-12 2012-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粉体塗布装置および粉体塗布方法
KR101309343B1 (ko) * 2010-09-24 2013-09-1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양면 도포 시공 장치 및 양면 도포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5117A (ja) * 1999-06-30 2001-01-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二次電池の芯材、負極板及び芯材、負極板の製造方法
JP2005144414A (ja) * 2003-11-20 2005-06-09 Toppan Printing Co Ltd 塗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84179B2 (en) 2018-09-25
CN105050729B (zh) 2017-09-29
JP2014198293A (ja) 2014-10-23
JP6231292B2 (ja) 2017-11-15
WO2014156357A1 (ja) 2014-10-02
KR20150131390A (ko) 2015-11-24
US20160043382A1 (en) 2016-02-11
CN105050729A (zh)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033B1 (ko) 분체 도포 시공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CN106471665B (zh) 制造锂离子二次电池电极板片的方法
WO2005080008A1 (ja) 膜電極接合体を構成する基材へ触媒層を形成する方法と装置
US20150238994A1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coating film product
KR20170017744A (ko) 전극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US20230405627A1 (en) Squeegee and powder coating apparatus
CN110756404A (zh) 一种基材上制作涂覆层的装置及方法
JP2010214296A (ja) 粉体塗布装置
JP2013048995A (ja) 塗布装置、塗布膜形成システム、塗布方法および塗布膜形成方法
JP2019029308A (ja) 電極の製造方法
JP2016019931A (ja) 両面塗布装置
JP2018026295A (ja) 電極板製造装置
JP5915171B2 (ja) ウエブ塗工装置
JP2015230825A (ja) プレス装置
JP2017012031A (ja) サンド海苔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20150049575A (ko) 전극 시트 프레싱 장치
JP6098308B2 (ja) 電極の製造方法
JP2017213583A (ja) ロールプレス機
CN112844965A (zh) 一种锂电池极片双面涂布装置
US20190084232A1 (en) Application unit
WO2024048026A1 (ja) 粉体量調整ユニット及び粉体塗工装置
JP2012254422A (ja) 塗工装置
JP2024061450A (ja) 粉体量調整ユニット及び粉体塗工装置
JP2024061451A (ja) 粉体量調整ユニット及び粉体塗工装置
JP2014154259A (ja) 電極の製造装置、及び電極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