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217B1 - 생두 로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생두 로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217B1
KR101776217B1 KR1020160099579A KR20160099579A KR101776217B1 KR 101776217 B1 KR101776217 B1 KR 101776217B1 KR 1020160099579 A KR1020160099579 A KR 1020160099579A KR 20160099579 A KR20160099579 A KR 20160099579A KR 101776217 B1 KR101776217 B1 KR 101776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kettle
beans
cool air
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욱
박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쿰
Priority to KR1020160099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217B1/ko
Priority to JP2018563811A priority patent/JP6740380B2/ja
Priority to PCT/KR2017/004394 priority patent/WO2018026089A1/ko
Priority to CN201780035262.3A priority patent/CN109310138B/zh
Priority to US16/303,625 priority patent/US11219237B2/en
Priority to EP17837141.5A priority patent/EP34948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08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with stirring, vibrating or gr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6Removing unwant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A23N12/125Accessories o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두 로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생두 로스팅 장치는 생두의 로스팅이 이루어지는 로스팅부가 내부에 형성된 로스팅 케틀, 상기 로스팅 케틀에 형성된 히팅홀에 매립되어 로스팅 케틀과 일체화되며 로스팅시 상기 로스팅 케틀을 가열하는 히팅부재 및 상기 로스팅 케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로스팅시 생두를 교반하는 교반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로스팅 케틀에 형성된 히팅홀에 히팅부재를 매립하여 생두 로스팅시 로스팅 케틀에 열을 제공함으로써, 생두의 로스팅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더욱 효율적인 로스팅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생두 로스팅 장치{Green bean Roasting devices}
본 발명은 생두 로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생두를 로스팅하기 위한 로스팅 케틀에 히팅부재를 매립하여 효율적인 로스팅을 통해 생두의 로스팅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생두 로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두커피는 생두(Green bean)를 로스팅(Roasting) 과정을 통해 볶아낸 것으로 생두(green bean)에 열을 가하여 조직을 최대한 팽창시키게 되면 세포조직이 파괴되면서 생두가 가진 지방분, 수분, 섬유질, 당질, 카페인, 유기산, 탄닌 등을 표출하도록 된 것이다.
다시 말해, 생두 상태에서는 아무 맛이나 향이 없고 딱딱한 씨앗에 불과한 것이어서 음용 가능한 커피를 만들기 위해서는 로스팅 단계를 거쳐야 하고 생두의 수확시기, 수분함량, 조밀도, 종자, 가공방법 등 생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자연환경의 변화, 보관 상태 등에 따라 조건이 달라서 최적 상태의 커피 맛과 향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기술이 요구된다.
최근 원두커피 로스터 과정을 살펴보면, 온도센서와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여 로스팅 운전모드를 세팅하면 자동으로 커피콩을 볶아 주게 된다.
이는, 커피 원두를 볶는 로스팅 과정과, 로스팅된 커피 원두의 껍질을 분리시키는 껍질 분리 과정, 커피 원두를 배출시키는 배출 과정, 배출된 커피 원두를 냉각시키는 냉각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 커피 원두는 볶은 후 보관기간이 오래되면 맛과 향이 현저하게 저하되므로, 최근에는 커피숍 등에서 직접 커피 원두를 볶을 수 있도록 다양한 커피원두 로스팅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상기 로스팅 장치의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8566호 커피 머신의 생원두 로스팅 기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7086호 커피 로스터 및 로스팅 제어방법 등으로 다양하게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원두를 로스팅하기 위한 히팅부재들이 생두를 로스팅하기 위한 케틀과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서, 히팅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또한, 로스팅이 진행되는 도중 원두로부터 분리되는 껍질들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원두의 균일한 볶음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고품질의 커피를 추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856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708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로스팅 케틀에 히팅부재를 매립하여 생두 로스팅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율적인 로스팅이 가능한 생두 로스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두의 로스팅이 이루어지면서 벗겨지는 껍질을 자동 배출함으로써, 생두의 균일한 로스팅이 이루어지도록 한 생두 로스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생두 로스팅 장치는 생두의 로스팅이 이루어지는 로스팅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로스팅부의 중앙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면 및 측면 내측에 로스팅시 생두와 접촉되는 교반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에 로스팅 과정시 생두로부터 벗겨지는 껍질을 배출하는 스킨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로스팅 케틀 및 상기 로스팅 케틀과의 사이에 냉기 순환홀이 형성되도록 로스팅 케틀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되고, 상기 냉기 순환홀과 연통하는 냉기 배출홀이 형성되어 냉기의 순환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로스팅 커버를 포함하는 로스팅 하우징;
상기 로스팅 케틀에 형성된 히팅홀에 매립되어 로스팅 케틀과 일체화되며, 로스팅시 상기 로스팅 케틀을 가열하는 히팅부재;
상기 로스팅 커버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냉기 순환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 프레임에 결합되어 로스팅 하우징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제공하는 냉각부;
상기 로스팅 케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로스팅시 생두를 교반하는 교반장치; 및
상기 로스팅 케틀의 바닥면 일측을 개폐 가능하도록 로스팅 케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패널, 상기 배출패널의 하면에 상단이 결합고정되어 배출패널의 회동 작동을 안내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의 하단이 결합고정되며 이를 승, 하강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 로스팅 케틀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패널 측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 및 로스팅 커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패널의 작동에 따라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가 투입되고 상기 원두를 원두 보관부 측으로 이송하는 이송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를 배출하는 원두 배출장치;
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면의 하부에 구성되며, 원두 배출장치의 스프링 부재의 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로스팅 커버는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로스팅시 발생하는 연기를 제연시키는 제연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 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로스팅부의 중앙에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에 결합되며, 생두를 교반시키는 교반 블레이드와, 상기 로스팅 케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교반축을 회전시키는 교반모터 및 상기 교반모터와 교반축의 회전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패널은 하부면에 상기 작동부재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후방측으로 상기 배출패널과 로스팅 하우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심축이 삽입되는 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로스팅 케틀에 형성된 히팅홀에 히팅부재를 매립하여 생두 로스팅시 로스팅 케틀에 열을 제공함으로써, 생두의 로스팅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더욱 효율적인 로스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생두의 로스팅이 이루어지면서 벗겨지는 껍질을 자동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생두와 껍질을 분리한 상태에서 로스팅이 이루어짐에 따라 생두의 균일한 로스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피머신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생두 로스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생두 로스팅 장치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생두 로스팅 장치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생두 로스팅 장치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생두 로스팅 장치의 원두 배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생두 로스팅 장치의 원두 배출장치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생두 로스팅 장치가 포함된 커피머신(100)은 생두를 로스팅 및 분쇄하고, 분쇄된 원두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로서, 제연부(110), 로스팅 장치(200), 원두 보관부(120), 원두 분쇄부(130), 공급패널(140), 커피 추출부(150) 및 머신 구동부(180)를 포함한다.
삭제
제연부(110)는 로스팅 장치(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로스팅시 발생하는 연기를 제연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니크롬선으로 이루어진 제연수단이 2열 이상 배열되게 구성된다.
원두 보관부(120)는 로스팅 장치(200)와 연결되며,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가 보관되는 구성요소로서, 로스팅된 원두가 저장되는 원두 보관통(122)과, 원두 보관통(122)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부 프레임(102) 상에 결합되어 원두 보관통(122)에 저장된 원두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냉각쿨러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커피머신(100)은 원두 보관부(120)의 하부에 구성되며, 커피 추출을 위해 원두를 분쇄할 수 있도록 분쇄 구동부(132)가 장착된 원두 분쇄부(130)가 구성되며, 원두 분쇄부(130)의 하부에는 분쇄된 원두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원두와 물을 각각 공급하는 공급패널(140)과, 이 공급패널(140)과 연결되어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물 저장탱크(160)가 구성된다.
아울러, 공급패널(140)의 하부에는 공급패널(140)을 통해 공급된 원두와 물로부터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추출부(150)와,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는 커피 저장용기(170)가 구성된다.
또한, 커피머신(100)의 일면으로 커피의 로스팅, 분쇄, 추출 및 저장 등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머신 구동부(180)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 머신 구동부(180)는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커넥터(182)와,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구동 스위치(184) 및 생두의 로스팅 시간, 로스팅 온도, 원두의 분쇄 정도, 추출할 커피의 양, 커피의 농도 등을 제어하는 추출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다른 로스팅 장치(200)는 커피머신의 상부 프레임(102)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제연부(110)가 개방된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측으로 공급된 생두를 로스팅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로스팅 장치(200)는 제연부(110)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생두의 로스팅이 이루어지는 로스팅부(212)를 형성하는 로스팅 케틀(220)과, 로스팅 케틀(220)의 내부에 구성되어 로스팅부(212)에 수용된 생두를 교반시키는 교반장치(240)와, 로스팅이 완료된 로스팅 케틀(220)을 냉각시키는 냉각부(250)와,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를 배출하여 원두 보관부(120) 측으로 이송하는 원두 배출장치(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로스팅 케틀(220)은 상부 프레임(102)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제연부(110)와 연결되게 구성되어 로스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생두의 투입이 이루어지고, 교반장치(240)의 구동에 의해 생두가 교반되어 로스팅 과정이 진행되면서 생두의 껍질을 별도로 분리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로스팅부(212)가 형성된다.
로스팅 케틀(220)은 외주면에 냉각부(250)로부터 제공되는 냉기를 순환시켜 온도를 냉각시키는 로스팅 커버(230)가 감싸도록 구성된다. 로스팅 하우징(210)은 로스팅 케틀(220)과 로스팅 커버(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로스팅부(212)에는 교반장치(240)에 의해 교반되는 생두가 접촉하면서 균일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교반돌기(222)가 구성된다.
교반돌기(222)는 로스팅부(212)의 내주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측부 교반돌기(222a)와, 로스팅부(212)의 바닥면에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바닥 교반돌기(222b)로 구성된다.
이러한 교반돌기(222)는 로스팅부(212)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되, 방사형으로 복수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외면에 다수개의 요홈부를 형성하여 이 요홈부에 접촉이 이루어지는 생두의 껍질이 로스팅시 보다 원활하게 벗겨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로스팅부(212)의 일면에는 로스팅 과정시 생두로부터 벗겨지는 껍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로스팅시 발생하는 열기에 의해 껍질이 타면서 발생하는 연기 등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스킨 배출공(226)이 형성된다.
스킨 배출공(226)은 생두의 껍질만이 저장되고, 저장된 껍질을 커피머신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분리되는 스킨 배출구(280)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스킨 배출공(226)은 생두의 크기보다 작은 넓이로 구성되어 생두, 또는 로스팅된 원두가 스킨 배출공(226)을 통과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스킨 배출구(280)는 스킨 배출공(226)의 하부에 위치하며, 커피머신의 본체로부터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껍질의 완전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로스팅부(212)의 바닥면은 교반장치(240)가 장착된 중앙측에서 스킨 배출공(226)이 형성된 외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게 구성된 경사부(225)를 형성하여 생두의 로스팅이 이루어지면서 벗겨지는 껍질들이 경사부(225)의 경사각을 따라 스킨 배출공(226)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로스팅부(212)의 하부면에는 히팅부재(270)가 매립되는 히팅홀(224)이 형성되어 로스팅 케틀(220)과 히팅부재(270)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로스팅 하우징(210)은 로스팅 케틀(220)에 히팅부재(270)가 매립됨에 따라 바닥면의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여 원두 전체면이 골고루 로스팅이 이루어짐은 물론, 단시간에 로스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생두의 로스팅 효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로스팅 하우징(210)의 바닥면의 일면에는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를 배출하여 원두 보관부(120) 측으로 이송하는 원두 배출장치(260)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바닥면의 하부에는 후술할 원두 배출장치(260)의 스프링 부재(269)의 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판(228)이 더 구성됨은 물론이다.
로스팅 커버(230)는 로스팅 하우징(210)과 상단부가 스크류 등을 통해 결합되고, 교반장치(240)의 교반모터(248)가 장착되는 교반 지지부(238)가 구성되어 교반장치(240)의 작동을 지지하는 한편, 일측으로 냉각부(250)가 장착되며, 이 냉각부(250)로부터 제공되는 냉기의 순환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냉기 순환홀(214) 및 냉기 배출홀(232)이 형성된다.
여기서, 냉기 순환홀(214)은 로스팅 케틀(220)의 외주면과 로스팅 커버(230)의 내주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냉각부(250)에서 제공하는 냉기가 상기 로스팅 케틀(220)의 외주면을 순환하면서 상기 냉기 순환홀(214)과 연통하는 냉기 배출홀(232)을 통해 외부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로스팅 커버(230)는 하부 일측으로 냉각부(250)가 결합되어 냉기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냉각 프레임(236)이 구성되고, 상부 일측으로는 제연부(11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연부(110)의 개폐 작동에 의해 생두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폐 프레임(234)이 더 구성된다.
교반장치(240)는 로스팅 케틀(210)의 내부에 장착되어 로스팅부(212)로 투입된 생두의 균일한 로스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생두를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교반장치(240)는 로스팅부(212)의 중앙에 구성되며, 교반모터(248)의 구동에 따라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교반축(242)과, 교반축(242)에 결합되며, 생두를 교반시키는 교반 블레이드(244)와, 로스팅 케틀(220)의 하부에 배치되고, 로스팅 커버(230)에 장착되어 교반축(242)을 회전시키는 교반모터(248) 및 교반모터(248)와 교반축(242)의 회전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수단(246)으로 이루어진다.
원두 배출장치(260)는 로스팅 하우징(210)의 바닥면 일측부에 구성되어 로스팅이 이루어질 때에는 상기 바닥면의 개방된 일측부를 폐쇄하고, 로스팅이 완료되면, 바닥면의 일측부를 개방하여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를 원두 보관부(120) 측으로 이송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원두 배출장치(260)는 로스팅 하우징(210)의 바닥면 일측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홀에 장착되어 상기 홀을 개폐시키는 배출패널(262)과, 배출패널(262)의 하면에 상단이 결합고정되며, 외부 동력에 의해 배출패널(262)의 회동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부재(264)와, 작동부재(264)의 하단이 결합고정되며, 상기 작동부재(264)의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밸브(268) 및 작동부재(264)의 작동시 배출패널(262)이 회동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심축(263)과, 로스팅 커버(230)의 하부에 설치되어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가 투입되고, 이 원두를 원두 보관부(120) 측으로 이송하는 이송 프레임(2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배출패널(262)은 하부면에 작동부재(264)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262a)가 형성되고, 이 고정부(262a)의 후방측으로 배출패널(262)이 로스팅 하우징(21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심축(263)이 삽입되는 힌지부(262b)가 형성된다.
여기서, 중심축(263)은 로스팅 케틀(220)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힌지부(262b)는 배출패널(262)의 양측부에 구성되어 중심축(263)의 외주면을 따라 회동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배출패널(262)은 로스팅 케틀(220)에 결합되어 작동부재(264)의 작동시 중심축(263)을 중심으로 회동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바닥면의 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원두를 이송 프레임(265) 측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두 배출장치(260)는 배출패널(262)을 원위치로 복원시켜, 상기 로스팅 하우징(210)의 바닥부에 형성된 소정의 홀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한편, 로스팅이 이루어질 때, 배출패널(262)이 회동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두의 이탈이 이루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스프링 부재(269)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로스팅 케틀(220)에 히팅부재(270)를 매립하여 원두 로스팅시 로스팅 케틀(220)의 하부로부터 균일한 열기를 제공함으로써, 원두의 로스팅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고 더욱 효율적인 로스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원두의 로스팅이 이루어지면서 벗겨지는 껍질을 자동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원두와 껍질을 분리한 상태에서 로스팅이 이루어짐에 따라 생두의 균일한 로스팅이 가능하여 커피의 맛과 향의 풍미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연부 120: 원두 보관부
130: 원두 분쇄부 140: 공급패널
150: 커피 추출부 160: 물 저장탱크
170: 커피 저장용기 180: 머신 구동부
200: 로스팅 장치 210: 로스팅 하우징
220: 로스팅 케틀 230: 로스팅 커버
240: 교반장치 250: 냉각부
260: 원두 배출장치 270: 히팅부재
280: 스킨 배출구

Claims (8)

  1. 삭제
  2. 생두의 로스팅이 이루어지는 로스팅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로스팅부의 중앙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면 및 측면 내측에 로스팅시 생두와 접촉되는 교반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에 로스팅 과정시 생두로부터 벗겨지는 껍질을 배출하는 스킨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로스팅 케틀 및 상기 로스팅 케틀과의 사이에 냉기 순환홀이 형성되도록 로스팅 케틀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되고, 상기 냉기 순환홀과 연통하는 냉기 배출홀이 형성되어 냉기의 순환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로스팅 커버를 포함하는 로스팅 하우징;
    상기 로스팅 케틀에 형성된 히팅홀에 매립되어 로스팅 케틀과 일체화되며, 로스팅시 상기 로스팅 케틀을 가열하는 히팅부재;
    상기 로스팅 커버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냉기 순환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 프레임에 결합되어 로스팅 하우징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제공하는 냉각부;
    상기 로스팅 케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로스팅시 생두를 교반하는 교반장치; 및
    상기 로스팅 케틀의 바닥면 일측을 개폐 가능하도록 로스팅 케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패널, 상기 배출패널의 하면에 상단이 결합고정되어 배출패널의 회동 작동을 안내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의 하단이 결합고정되며 이를 승, 하강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 로스팅 케틀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패널 측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 및 로스팅 커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패널의 작동에 따라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가 투입되고 상기 원두를 원두 보관부 측으로 이송하는 이송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를 배출하는 원두 배출장치;
    를 포함하는 생두 로스팅 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 케틀은 바닥면의 하부에 구성되며, 원두 배출장치의 스프링 부재의 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두 로스팅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 커버는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로스팅시 발생하는 연기를 제연시키는 제연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 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두 로스팅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반장치는 로스팅부의 중앙에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교반축;
    상기 교반축에 결합되며, 생두를 교반시키는 교반 블레이드;
    상기 로스팅 케틀의 하부에 배치되어 교반축을 회전시키는 교반모터; 및
    상기 교반모터와 교반축의 회전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수단;
    을 포함하는 생두 로스팅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출패널은 하부면에 작동부재의 상단이 결합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후방측으로 배출패널과 로스팅 케틀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심축이 삽입되는 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두 로스팅 장치.
  8. 삭제
KR1020160099579A 2016-08-04 2016-08-04 생두 로스팅 장치 KR101776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579A KR101776217B1 (ko) 2016-08-04 2016-08-04 생두 로스팅 장치
JP2018563811A JP6740380B2 (ja) 2016-08-04 2017-04-26 生豆焙煎装置
PCT/KR2017/004394 WO2018026089A1 (ko) 2016-08-04 2017-04-26 생두 로스팅 장치
CN201780035262.3A CN109310138B (zh) 2016-08-04 2017-04-26 生豆烘焙装置
US16/303,625 US11219237B2 (en) 2016-08-04 2017-04-26 Apparatus for roasting green bean
EP17837141.5A EP3494802B1 (en) 2016-08-04 2017-04-26 Apparatus for roasting green be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579A KR101776217B1 (ko) 2016-08-04 2016-08-04 생두 로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217B1 true KR101776217B1 (ko) 2017-09-06

Family

ID=59925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579A KR101776217B1 (ko) 2016-08-04 2016-08-04 생두 로스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19237B2 (ko)
EP (1) EP3494802B1 (ko)
JP (1) JP6740380B2 (ko)
KR (1) KR101776217B1 (ko)
CN (1) CN109310138B (ko)
WO (1) WO20180260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910467U (zh) * 2020-02-24 2020-11-13 金文� 一种咖啡豆的烘焙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737A (ja) 2005-01-31 2006-08-10 Meiko Sangyo Kk コーヒー焙煎粉砕装置
KR101351533B1 (ko) * 2013-08-16 2014-01-15 윤상욱 곡물 볶음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546C (de) * 1923-05-15 1925-04-20 Georg Glockemeier Roestvorrichtung
US2185878A (en) * 1936-05-26 1940-01-02 Coffee Electrost Corp Method of roasting coffee and apparatus therefor
US2109597A (en) * 1936-08-08 1938-03-01 Richeson Company Inc Coffee roasting machine
FR2350796A2 (fr) * 1976-05-10 1977-12-09 Chailloux Pierre Appareil menager pour la torrefaction et le broyage du cafe
JPH06292632A (ja) * 1993-04-09 1994-10-21 Ueda Chikako コーヒーメーカ
JPH1175797A (ja) * 1997-09-08 1999-03-23 Yodogawa Eng Kk コーヒー豆焙煎装置
JP2001327274A (ja) * 2000-05-23 2001-11-27 Dainichi Co Ltd コーヒー豆焙煎器
KR200426653Y1 (ko) * 2006-06-28 2006-09-18 권인칠 곡물 볶음기
KR100918037B1 (ko) * 2007-10-31 2009-09-18 엔아이티 주식회사 커피 로스터
KR101217086B1 (ko) * 2011-02-23 2012-12-31 주식회사 스트롱홀드테크놀로지 커피 로스터 및 로스팅 제어방법
KR101290752B1 (ko) * 2011-03-17 2013-07-29 (주) 씨엠테크 커피 원두 배전장치
KR101248566B1 (ko) 2011-04-19 2013-03-28 주식회사 나본 커피 머신의 생원두 로스팅 기구
KR101294264B1 (ko) * 2011-06-01 2013-08-07 주식회사 나본 커피 머신에 장착되는 커피 원두 로스팅용 케틀
KR101310811B1 (ko) * 2011-12-13 2013-09-25 정순철 로스터
KR101457054B1 (ko) * 2012-12-24 2014-10-31 이근활 커피 로스터
KR20130089223A (ko) * 2013-07-22 2013-08-09 김형수 볶음기
CN105764357B (zh) * 2014-04-24 2020-10-23 皇家飞利浦有限公司 识别咖啡豆的初始烘烤程度
KR101641575B1 (ko) 2014-11-03 2016-07-29 정정모 로스팅 커피 원두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737A (ja) 2005-01-31 2006-08-10 Meiko Sangyo Kk コーヒー焙煎粉砕装置
KR101351533B1 (ko) * 2013-08-16 2014-01-15 윤상욱 곡물 볶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40380B2 (ja) 2020-08-12
CN109310138A (zh) 2019-02-05
EP3494802A4 (en) 2020-03-04
EP3494802A1 (en) 2019-06-12
US11219237B2 (en) 2022-01-11
CN109310138B (zh) 2021-12-28
EP3494802B1 (en) 2021-09-01
US20200305493A1 (en) 2020-10-01
WO2018026089A1 (ko) 2018-02-08
JP2019520813A (ja)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575B1 (ko) 로스팅 커피 원두 냉각장치
US4484064A (en) Coffee roaster
KR100679674B1 (ko) 곡물볶음장치
US10448663B2 (en) Coffee roaster
JP4643678B2 (ja) コーヒーロースター
KR101796486B1 (ko) 커피 머신
KR101701463B1 (ko) 음식물찌꺼기 살균건조처리장치
KR101776217B1 (ko) 생두 로스팅 장치
KR20120054909A (ko) 커피쿨러
KR20110124049A (ko) 곡물 볶음기
KR101826483B1 (ko) 곡물 볶음장치
KR20010088457A (ko) 곡물볶음장치
KR101854990B1 (ko) 커피 로스팅 냉각장치 및 냉각장치가 구비된 커피 로스팅 시스템
JP2799874B2 (ja) コーヒメーカの焙煎装置
KR200225910Y1 (ko)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
KR102007932B1 (ko)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
KR200249737Y1 (ko) 커피생콩 볶음장치
KR20160003168U (ko) 누드 군밤 제조장치
JP3016031B2 (ja) コーヒ豆の焙煎装置
KR102174365B1 (ko) 곡물볶음장치
KR200256455Y1 (ko) 커피 추출장치
KR20010025521A (ko)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KR20240051506A (ko) 쿨링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KR102592400B1 (ko)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KR970002796B1 (ko) 전자동 커피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