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4909A - 커피쿨러 - Google Patents

커피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4909A
KR20120054909A KR1020100116292A KR20100116292A KR20120054909A KR 20120054909 A KR20120054909 A KR 20120054909A KR 1020100116292 A KR1020100116292 A KR 1020100116292A KR 20100116292 A KR20100116292 A KR 20100116292A KR 20120054909 A KR20120054909 A KR 20120054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ooling unit
coffee beans
insertion hole
fix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래
Original Assignee
조형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래 filed Critical 조형래
Priority to KR1020100116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4909A/ko
Publication of KR20120054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23F5/046Methods of roasting coffee with agitation or transportation of the beans by gases; Fluidised-bed roasting or fluidised-bed cooling afte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A23N12/125Accessories o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제1삽입홀(110)을 갖는 리어하우징(100)과, 상기 리어하우징(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모터(200)와, 상기 회전모터(200)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부(300)와, 상기 구동기어부(300)와 체결되는 고정플레이트(40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와 일정간격을 두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구동기어부(300)의 타측과 면접되어 결합되는 냉각부(500)와, 상기 냉각부(500)를 수용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의 외주연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되는 투명커버(600)와, 상기 리어하우징(100) 및 고정플레이트(400)에 체결되어 상기 냉각부(500)로의 공기유입량을 증대 시키는 흡배기수단(700)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로스팅된 커피콩을 급속 냉각시켜 커피 본연의 맛과 향을 보존할 수 있는 커피쿨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피쿨러{Coffee cooler}
본 발명은 커피쿨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스팅된 커피콩을 급속 냉각시켜 커피 본연의 맛과 향을 보존할 수 있는 커피쿨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의 원료로 되는 커피나무 열매의 종자인 커피 원두를 볶는데 사용되는 커피 로스터는 내부에 히터와 팬이 장착된 본체와, 내부에 커피콩을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포트에 소정량의 커피콩을 담고 팬과 히터를 가동시키면,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에 의해 포트 내부에 담긴 커피콩이 가열되어 볶아진다.
종래의 커피 로스터는, 상기 포트 내부에 담긴 커피콩을 서로 잘 섞어서 커피콩이 타지 않고 균일하게 볶여지도록 형성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커피 로스터는 커피콩을 볶은 후 대류에 의해 자연스럽게 냉각해야 하였으며, 이에 커피콩이 냉각이 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로스팅 직후의 커피콩은 잔열로 인한 지속적인 로스팅이 이루어져 원두 본연의 질을 훼손함과 동시에 맛과 향이 떨어지고 커피콩이 가열됨에 따라 오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산화를 촉진하는 문제점이 대두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량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냉각부를 마련함으로써, 커피콩의 로스팅에 의한 오일발생을 방지하여 커피콩의 산화를 지연하며 잔열로 인한 커피콩의 로스팅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피쿨러는 커피콩의 로스팅 직후 급속 냉각함으로써, 커피콩의 향과 맛을 보존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피쿨러는 정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제1삽입홀(110)을 갖는 리어하우징(100)과, 상기 리어하우징(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모터(200)와, 상기 회전모터(200)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부(300)와, 상기 구동기어부(300)와 체결되는 고정플레이트(40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와 일정간격을 두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구동기어부(300)의 타측과 면접 되어 결합되는 냉각부(500)와, 상기 냉각부(500)를 수용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의 외주연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되는 투명커버(600)와, 상기 리어하우징(100) 및 고정플레이트(400)에 체결되어 상기 냉각부(500)로의 공기유입량을 증대 시키는 흡배기수단(700)으로 구성하여 커피콩을 로스팅한 직후 후 상기 냉각부(500)에 의해 급속 냉각하여 커피콩의 본연의 맛과 향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피쿨러는 커피콩의 로스팅 직후 급속 냉각으로 인하여 커피콩의 손상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하여,
첫째, 커피콩의 잔열로 인한 로스팅을 방지하고,
둘째, 오일발생을 방지하여 산화를 지연하며,
이로 인한 커피콩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커피의 맛과 향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쿨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쿨러의 냉각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쿨러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피쿨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쿨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쿨러의 냉각부의 내측이 들여다 보이게 표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쿨러의 구성을 분해하여 표현한 도면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커피쿨러를 일 실시 예로 나타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쿨러는,
리어하우징(100)과, 상기 리어하우징(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모터(200)와, 상기 회전모터(200)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부(300)와, 상기 구동기어부(300)와 체결되는 고정플레이트(40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와 일정간격을 두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구동기어부(300)의 타측과 면접되어 결합되는 냉각부(500)와, 상기 냉각부(500)를 수용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의 외주연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되는 투명커버(600)와, 상기 리어하우징(100) 및 고정플레이트(400)에 체결되는 흡배기수단(7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어하우징(100)은
정면이 개구되어 내측에 공간부(도시생략)를 갖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의 저면부 일측이 관통되어 제1삽입홀(11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모터(200)는,
상기 리어하우징(10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고 상기 리어하우징(100)의 후방부 내측면 중앙에 고정 설치되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어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부(도시생략)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력을 전달하는 역활을 하고 정면 중앙에 소정의 깊이의 끼움부(도시생략)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기어부(3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의 정면 중앙에 기어홈(도시생략)이 형성되고 몸체의 후방 중앙에 끼움돌기(312)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모터(200)의 정면 중앙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끼움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회전모터(2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조인트(310)와,
상기 조인트(310)의 정면 중앙에 형성된 기어홈에 삽입 고정되되, 헤드부(322)와, 상기 헤드부(322)의 정면에 연장되는 목부(324)로 구성된 기어(3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320)는 상기 조인트(310)와 고정되도록 헤드부(322)가 조인트(310)의 기어홈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00)는,
중앙이 통공되며 몸체의 일측에 제2삽입홀(412)이 형성된 원판체(410)와, 상기 원판체(410)의 통공된 중앙에 결합되는 베어링(420)으로 구성되되,
상기 기어(320)의 목부(324)가 삽입되어 회전가능 하도록 상기 베어링(420)의 내주연에 다수의 볼(도시생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420)의 볼은 통상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부(50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상기 구동기어부(300) 기어(320)의 목부(324) 정면과 면접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동기어부(300)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냉각부(500)는 다수의 방열공(512)이 형성된 몸체(510)와, 상기 몸체(510)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형가이드(520)로 구성되고, 상기 기어(320)의 목부(324) 정면에 상기 몸체(510)의 후방부 중앙이 면접되어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부(500)의 몸체(510)의 내측으로 로스팅한 커피콩이 삽입되어 냉각부(500)가 회전함에 따라 다수의 방열공(512)을 통한 대류현상에 의해 커피콩의 냉각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각부(500)의 몸체(510) 설치 각도는 15~20도 정도로 기울여 설치하여 상기 냉각부(500)의 몸체(510)가 회전할 때 내주연에 형성된 나선형가이드(520)로 인하여 커피콩의 낙하를 발생시켜 공기 저항을 높임으로써, 빠른 냉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500)의 몸체(510) 내측에 커피콩과 함께 냉각볼(530)을 삽입하여 회전함으로써, 더욱 빠른 냉각 효과를 가져온다.
여기서, 상기 냉각볼(530)은 세라믹 재질로 형성하여 커피콩과의 마찰에서 커피콩을 손상시키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관은 사용후 세척하여 가정 또는 사무실 또는 커피 전문점의 냉동고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커버(600)는,
전, 후방이 개구된 투명합성수지 재질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부(500)의 몸체(510)에 삽입된 커피콩이 회전함에 따라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조각 및 껍질 등이 상기 방열공(512)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하는 역활을 한다.
이에, 상기 냉각부(500)의 몸체(510)의 외주연을 밀폐하고 후방부는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의 원판체(410) 외주연에 끼움되어 고정된다.
상기 흡배기수단(700)은,
상기 냉각부(500)의 몸체(510) 후방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입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냉각부(500)의 몸체(510)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리어하우징(100)의 제1삽입홀(110)과 고정플레이트(400)의 제2삽입홀(412)에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냉각부(500)의 몸체(510)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공기의 유입량을 증대 시키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덕트(710)와,
상기 흡입덕트(710)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구비된 전원부(도시생략)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되, 상기 흡입덕트(710)를 통한 커피콩의 미세조각 및 껍질 등을 배출하도록 일측에 개구부(722)가 형성된 흡입모터(720)와,
상기 흡입모터(720)의 개구부(722)로 부터 배출되는 커피콩의 미세조각 및 껍질 등이 수직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연결된 배기덕트(730)와,
상기 배기덕트(730)의 하측에 위치하되, 배기덕트(730)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콩의 미세조각 및 껍질 등의 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에 액체가 수용된 워터룸(74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커피필터의 사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사용과정은 당업자에 따라 변형 및 다양한 타 실시 예가 시행될 수 있다.
먼저, 냉각부(500)의 다수의 방열공(512)이 형성된 몸체(510)의 내측에 로스팅된 직후의 커피콩을 삽입한 후 세라믹 재질의 냉각볼(530)을 삽입한다.
그런 다음, 리어하우징(100)의 내측에 위치한 회전모터(200)에 전력을 공급하여 구동함으로써, 상기 회전모터(200)의 정면에 위치한 조인트(310)와 기어(320)로 구성된 구동기어(32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320)의 기어(320)의 목부(324)에 면접되어 결합되는 냉각부(500)의 몸체(510) 또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몸체(510)의 회전에 따라 몸체(510) 내주연에 형성된 나선형가이드(520)를 따라 커피콩이 일정거리 상향하게 되되, 15~20도로 설치된 상기 냉각부(500)의 몸체(510)의 각도에 의해 다시 커피콩이 낙하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커피콩을 대기에 의해 냉각하게 됨은 물론 상기 냉각볼(530)의 냉기에 의해 급속하게 냉각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냉각부(500)의 몸체(510)에 회전에 따라, 상기 커피콩의 껍질 및 미세조각 파편 등이 상기 몸체(510)에 형성된 방열공(512)을 통해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상기 몸체(510)의 외주연에 설치된 투명커버(600)가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리어하우징(100)의 제1삽입홀(110)과 고정플레이트(400)의 제2삽입홀(412)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냉각부(500)의 몸체(510) 후방에 위치한 흡입덕트(710)가 흡입모터(720)의 동력에 의해 상기 냉각부(500)의 몸체(510)의 후방에 형성된 방열공(512)을 통해 커피콩의 껍질 및 미세조각들을 흡입하여 상기 흡입모터(720)의 개구부(722)로 커피콩의 껍질 및 미세조각들을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모터(720) 및 흡입덕트(710)가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냉각부(500)의 몸체(510) 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증대시켜 대기의 공기와 커피콩의 마찰이 높아져 더욱 빠른 냉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흡입모터(720)의 개구부(722)에 설치된 배기덕트(730)가 상기 커피콩의 껍질 및 미세조각들을 수직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배기덕트(730)를 통해 배출된 커피콩 불순물들 상기 배기덕트(730)의 하측에 위치한 워터룸(740) 내부의 물에 의해 날림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로스팅된 커피콩의 급속 냉각으로 인하여 커피콩의 잔열로 인한 지속적인 로스팅이 방지됨과 더불어 오일발생을 방지하여 커피콩의 산화작용을 방지할 수 있어 커피의 맛과 향을 극대화 시키게 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리어하우징 110 : 제1삽입홀 200 : 회전모터 300 : 구동기어부 312 : 끼움돌기 322 : 헤드부 324 : 목부 400 : 고정플레이트 412 : 제2삽입홀
410 : 원판체 420 : 베어링 500 : 냉각부 510 : 몸체 520 : 나선형가이드 530 : 냉각볼
600 : 투명커버 700 : 흡배기수단 710 : 흡입덕트 720 : 흡입모터 722 : 개구부 730 : 배기덕트
740 : 워터룸

Claims (6)

  1. 정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제1삽입홀(110)을 갖는 리어하우징(100)과;
    상기 리어하우징(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모터(200)와;
    상기 회전모터(200)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부(300)와;
    상기 구동기어부(300)와 체결되는 고정플레이트(40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와 일정간격을 두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구동기어부(300)의 타측과 면접되어 결합되는 냉각부(500)와;
    상기 냉각부(500)를 수용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의 외주연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되는 투명커버(600)와;
    상기 리어하우징(100)의 제1삽입홀(110) 및 고정플레이트(400)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냉각부(500)로의 공기유입량을 증대 시키는 흡배기수단(7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쿨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부(300)는,
    원통 형상의 조인트(310)와;
    상기 조인트(310)의 정면 중앙에 삽입되는 기어(3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쿨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400)는,
    중공되어 일측에 제2삽입홀(412)을 갖는 원판체(410)와;
    상기 원판체(410)의 중앙에 결합되는 베어링(4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쿨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500)는,
    다수의 방열공(512)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몸체(510)와;
    상기 몸체(510)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가이드(5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쿨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500)의 내측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냉각볼(5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쿨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수단(700)은,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의 원판체(410)에 형성된 제2삽입홀(412)에 체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덕트(710)와;
    상기 흡입덕트(710)에 결합되며 일측에 개구부(722)가 형성된 흡입모터(720)와;
    상기 흡입모터(720)의 개구부(722)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배기덕트(730)와;
    상기 배기덕트(730)의 하측에 설치되는 워터룸(7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쿨러.
KR1020100116292A 2010-11-22 2010-11-22 커피쿨러 KR20120054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292A KR20120054909A (ko) 2010-11-22 2010-11-22 커피쿨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292A KR20120054909A (ko) 2010-11-22 2010-11-22 커피쿨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909A true KR20120054909A (ko) 2012-05-31

Family

ID=4627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292A KR20120054909A (ko) 2010-11-22 2010-11-22 커피쿨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490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866A (ko) * 2014-11-26 2016-06-03 주식회사 룩스소프트 로스터기
CN107890125A (zh) * 2017-12-13 2018-04-10 当涂县黄池蔬菜产销专业合作社 一种蔬菜自动脱水装置
CN108142964A (zh) * 2017-12-20 2018-06-12 成都恒力达科技有限公司 基于太阳能和风能的无花果快速上下料烘干设备
KR102006870B1 (ko) * 2018-08-10 2019-08-02 주식회사 쟈뎅 커피 원두 로스팅기의 냉각장치
KR20200095784A (ko) * 2019-02-01 2020-08-11 강두석 볶음곡물 냉각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866A (ko) * 2014-11-26 2016-06-03 주식회사 룩스소프트 로스터기
WO2016085263A3 (ko) * 2014-11-26 2017-05-18 주식회사 룩스소프트 로스터기
CN107890125A (zh) * 2017-12-13 2018-04-10 当涂县黄池蔬菜产销专业合作社 一种蔬菜自动脱水装置
CN108142964A (zh) * 2017-12-20 2018-06-12 成都恒力达科技有限公司 基于太阳能和风能的无花果快速上下料烘干设备
KR102006870B1 (ko) * 2018-08-10 2019-08-02 주식회사 쟈뎅 커피 원두 로스팅기의 냉각장치
KR20200095784A (ko) * 2019-02-01 2020-08-11 강두석 볶음곡물 냉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4909A (ko) 커피쿨러
JP4643678B2 (ja) コーヒーロースター
US5269072A (en) Coffee roaster
KR101641575B1 (ko) 로스팅 커피 원두 냉각장치
KR100264356B1 (ko) 원두커피 볶음기
US11382349B2 (en) Coffee bean roaster
KR20130040079A (ko) 커피 원두의 로스팅 장치
WO2016098542A1 (ja) 飲料製造装置
CN105249505B (zh) 一种微型炒豆机及利用该炒豆机炒豆的工艺方法
CN108903679B (zh) 一种具有循环加热风道结构的烤箱
TWM530043U (zh) 烘豆機
KR20140005352U (ko) 커피 로스팅 장치
KR20120018857A (ko) 무쇠솥 타입의 직화형 커피 로스터
KR101817078B1 (ko) 건조 기능을 구비한 음료 제조기
KR101770896B1 (ko) 열풍 교반식 수직형 로스팅 룸 구조
KR970002157B1 (ko) 커피 생원두 볶음기
KR100983433B1 (ko) 푸드쿨러를 가지는 조리냄비
KR101776217B1 (ko) 생두 로스팅 장치
KR101363013B1 (ko) 열풍식 커피생두 샘플 로스팅 장치
CN209749770U (zh) 一种干果制备装置
KR200225910Y1 (ko)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
KR200223740Y1 (ko) 커피메이커의 생두 볶음부 구조
CN211406341U (zh) 一种空气炸微波炉
CN213369842U (zh) 气旋匀豆/出豆冷却盘
JP3119995U (ja) コーヒー豆焙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