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740Y1 - 커피메이커의 생두 볶음부 구조 - Google Patents

커피메이커의 생두 볶음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740Y1
KR200223740Y1 KR2020000034886U KR20000034886U KR200223740Y1 KR 200223740 Y1 KR200223740 Y1 KR 200223740Y1 KR 2020000034886 U KR2020000034886 U KR 2020000034886U KR 20000034886 U KR20000034886 U KR 20000034886U KR 200223740 Y1 KR200223740 Y1 KR 2002237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container
water
coffee
green 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우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우림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우림전자
Priority to KR2020000034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7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740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두 볶음기와 분쇄기, 중탕기가 일체로 구성된 커피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솔레노이드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생두를 넣을 수 있는 용기와 뚜껑으로 구성된 생두 볶음부와, 생두 볶음부로 부터 생두를 이송관을 통해 공급받아 내부의 스크류로 분쇄하는 분쇄기와, 생두의 분쇄물과, 물저장통으로 부터 물이송관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혼합하여 하측의 집수컵에 액상의 커피를 공급하는 집수나팔관과, 집수컵과 물저장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구로 구성된 커피메이커에 있어서, 생두 볶음부의 용기의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고, 각각의 통공의 상측에 경사편을 돌설하고, 바닥면의 저면에 가열 히터를 설치하고, 그 하측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을 설치하며, 용기의 내주면에는 생두 찌꺼기 매집구를 설치하여 구성하므로서,
그 구조를 단순화 하면서도 하부에 설치된 히터와 송풍팬에 의해 열효율을 극대화 시키고, 내부의 생두를 골고루 익힐 수 있으며, 생두를 볶는도중 발생하는 껍질등의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피메이커의 생두 볶음부 구조{A structure of coffee-bean roasting portrain of coffee-makers}
본 고안은 생두 볶음기와 분쇄기, 중탕기가 일체로 구성된 커피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두 볶음부를 일체형 금속제 용기로 형성하고 그 저면에 히터와 송풍팬을 설치하며, 일측에 솔레노이드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를 형성하므로서, 구조를 단순화 하며, 열효율을 극대화하고, 생두를 골고루 볶을 수 있어 보다 맛 좋을 커피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한 커피메이커의 생두 볶음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볶음기와 분쇄기, 중탕기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커피메이커는 볶음기 용기내부의 상측에 히터가 설치되어 있고, 하측에는 교반날개가 설치되어 교반기로 내부의 생두를 교박하면서 상부의 히터로 생두를 익힌 후 이를 분쇄기로 이송하여 내부의 스크류로 입자상으로 분쇄하고, 이를 집수 나팔관에 매집하여 이에 물저장통으로부터 공급되어 가열구를 거쳐 가열된 물이 공급되어, 액상의 커피가 집수컵에 저장되도록 구성되어 잇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커피메이커는 생두 볶음기의 구성이 용기내부의 상부 히터와 하부 교반기로 구성되어 있어 그 구성이 복잡하고, 상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생두를 익혀야 하므로 열에너지의 손실이 크고,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원두를 볶게 되므로 내부의 원두가 골고루 익지 않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볶음부의 용기 일측에 솔레노이드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구를 설치하고, 저면에 다수의 통공을 설치하여 그 하측에 히터와 송풍팬을 설치하며, 내부 측멱에 찌꺼기 매집구를 설치하므로서, 그 구조를 단순화 하면서도 하부에 설치된 히터와 송풍팬에 의해 열효율을 극대화 시키고, 내부의 생두를 골고루 익힐 수 있으며, 생두를 볶는도중 발생하는 껍질등의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게 한 커피메이커의 생두 볶음부 구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 생두 볶음부가 설치된 커피메이커의 전체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생두 볶음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2 : 뚜껑
3 : 배출구 4 : 개폐구
5 : 솔레노이드 6 : 이송관
7 : 모터 8 : 송풍팬
9 : 히터 10 : 통공
11 : 필터 12 : 경사편
13 : 분쇄기 14 : 스크류
15 : 집수 나팔관 16 : 집수컵
17 : 가열구 18 : 물 이송관
19 : 물저장통 20 : 찌꺼기 매집구
21 : 생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 생두 볶음부가 설치된 커피메이커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생두 볶음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일측에 솔레노이드(5)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3)가 형성되고, 내부에 생두를 넣을 수 있는 용기(1)와 뚜껑(2)으로 구성된 생두 볶음부와,
생두 볶음부로 부터 생두를 이송관(6)을 통해 공급받아 내부의 스크류(14)로 분쇄하는 분쇄기(13)와,
생두의 분쇄물과, 물저장통(19)으로 부터 물이송관(18)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혼합하여 하측의 집수컵(16)에 액상의 커피를 공급하는 집수나팔관(15)과,
집수컵(16)과 물저장통(19)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구(17)로 구성된 커피메이커에 있어서,
생두 볶음부의 용기(1)의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10)을 형성하고, 각각의 통공(10)의 상측에 경사편(12)을 돌설하고, 바닥면의 저면에 가열 히터(9)를 설치하고, 그 하측에 모터(7)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8)을 설치하며, 용기(1)의 내주면에는 생두 찌꺼기 매집구(20)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4는 개폐구, 11은 필터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본다.
본 고안 커피메이커를 이용하여 커피를 마시고저 할 때에는 우선 생두 볶음부의 용기(1) 뚜껑(2)을 열고 용기(1) 내부에 생두(21)를 넣고 전원을 가해 용기(1) 바닥면에 설치된 히터(9)와 송풍팬(8)을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히터(9)와 송풍팬(8)을 작동시키게 되면 도 2의 도시와 같이 용기(1)가 히터(9)에 의해 가열되면서 내부의 생두(21)가 가열됨과 동시에 송풍팬(8)에 의해 발생된 바람이 용기(1) 바닥면의 통공(10)을 통해 용기(1) 내부로 유입되면서 내부의 생두(21)를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다수의 통공(10)에 각각 돌설된 경사상의 경사편(12)으로 인해 송풍팬(8)에 의해 생성된 바람이 통공(10)을 통과하면서 경사 방향으로 진행방향이 바뀌게 되므로, 내부의 생두(21)가 수직으로 승하강하지 않고 상승회전하게 되므로 용기(1) 내부의 생두(21)가 골고루 익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상승회전하면서 익혀지는 생두(21)의 껍질이나 각종 이물질은 용기(1) 내측 회주면에 설치된 찌꺼기 매집구(20)에 걸러지게 되어 매집되므로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것이다.
또한, 생두(21)를 볶는중 발생하는 냄새나 연기등은 용기(1) 측벽에 설치된 필터(11)에 의해 제거 되므로 사용중 냄새나 연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일정한 시간동안 생두가 익혀지게 되면 히터(9)의 작동이 멈추게 되어 송풍팬(8)만이 작동하게 되어 용기(1) 내부의 가열된 생두(21)를 냉각시키는 것이다.
생두(21)가 냉각되면 용기(1) 일측에 설치된 솔레노이드(5)가 작동하여 개폐구(4)를 작동시켜 용기(1)의 배출구(3)를 개방시키므로서, 익혀진 생두(21)를 이송관(6)을 통해 분쇄기(13)로 이송시켜 분쇄기(13)내의 스크류(14)에 의해 생두(21)를 분쇄시키는 것이다.
분쇄기(13)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은 다시 하측에 설치된 집수 나팔관(15)으로 이송되고, 물저장통(19)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물이송관(18)을 통해 가열구(17)를 거치면서 가열되어 분쇄물이 저장된 집수 나팔관(15)에 공급되므로서, 분쇄물과 물이 혼합된 커피액체가 집수 나팔관(15)의 하측에 설치된 집수컵(16)에 저장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1)의 하측에 히터(9)와 송풍팬(8)을 설치하고, 바람의 진행 방향을 경사상으로 바꾸어 주는 통공을 용기(1)의 바닥면에 형성하므로서, 열효율을 극대화하고 내부의 생두(21)를 골고루 볶을 수 있으며, 용기(1)의 내주면에 형성된 찌꺼기 매집구(20)에 의해 생두(21)를 볶는 중 발생하는 껍질과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볶음부의 용기 일측에 솔레노이드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구를 설치하고, 저면에 다수의 통공을 설치하여 그 하측에 히터와 송풍팬을 설치하며, 내부 측멱에 찌꺼기 매집구를 설치하므로서, 그 구조를 단순화 하면서도 하부에 설치된 히터와 송풍팬에 의해 열효율을 극대화 시키고, 내부의 생두를 골고루 익힐 수 있으며, 생두를 볶는도중 발생하는 껍질등의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게한 것이다.

Claims (1)

  1. 일측에 솔레노이드(5)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3)가 형성되고, 내부에 생두를 넣을 수 있는 용기(1)와 뚜껑(2)으로 구성된 생두 볶음부와,
    생두 볶음부로 부터 생두를 이송관(6)을 통해 공급받아 내부의 스크류(14)로 분쇄하는 분쇄기(13)와,
    생두의 분쇄물과, 물저장통(19)으로 부터 물이송관(18)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혼합하여 하측의 집수컵(16)에 액상의 커피를 공급하는 집수나팔관(15)과,
    집수컵(16)과 물저장통(19)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구(17)로 구성된 커피메이커에 있어서,
    생두 볶음부의 용기(1)의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10)을 형성하고, 각각의 통공(10)의 상측에 경사편(12)을 돌설하고, 바닥면의 저면에 가열 히터(9)를 설치하고, 그 하측에 모터(7)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8)을 설치하며, 용기(1)의 내주면에는 생두 찌꺼기 매집구(20)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KR2020000034886U 2000-12-13 2000-12-13 커피메이커의 생두 볶음부 구조 KR200223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886U KR200223740Y1 (ko) 2000-12-13 2000-12-13 커피메이커의 생두 볶음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886U KR200223740Y1 (ko) 2000-12-13 2000-12-13 커피메이커의 생두 볶음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740Y1 true KR200223740Y1 (ko) 2001-05-15

Family

ID=73061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886U KR200223740Y1 (ko) 2000-12-13 2000-12-13 커피메이커의 생두 볶음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7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628A (ko) * 2001-08-30 2003-03-06 주식회사 제이에스테크 커피 추출장치
KR101294264B1 (ko) 2011-06-01 2013-08-07 주식회사 나본 커피 머신에 장착되는 커피 원두 로스팅용 케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628A (ko) * 2001-08-30 2003-03-06 주식회사 제이에스테크 커피 추출장치
KR101294264B1 (ko) 2011-06-01 2013-08-07 주식회사 나본 커피 머신에 장착되는 커피 원두 로스팅용 케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072B1 (ko) 커피 로스터
US2858762A (en) Coffee maker
JP3049037B2 (ja) コ―ヒ―生豆焙煎機
KR101796486B1 (ko) 커피 머신
KR20080034062A (ko) 커피 볶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19826B1 (ko) 분쇄 가열 겸용 구조의 식품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식품가공방법
KR200223740Y1 (ko) 커피메이커의 생두 볶음부 구조
KR200446053Y1 (ko) 커피메이커
JP2799874B2 (ja) コーヒメーカの焙煎装置
CN113069015A (zh) 料理机
CN214231006U (zh) 料理机
KR100622781B1 (ko) 스팀을 이용한 음식물 제조기구
KR200225910Y1 (ko)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
KR20060108043A (ko) 멀티 푸드메이커
KR200227419Y1 (ko)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KR20010025521A (ko)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JP2004073518A (ja) コーヒーメーカー
JPH09206050A (ja) コーヒー豆焙煎器
KR200263071Y1 (ko) 커피메이커
JP3016031B2 (ja) コーヒ豆の焙煎装置
KR970002157B1 (ko) 커피 생원두 볶음기
KR20240026041A (ko) 커피원두 분쇄 및 커피제조공정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KR0163116B1 (ko) 원두커피 볶음기
KR100675750B1 (ko) 분쇄공정 및 커피제조공정 수행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KR20240051506A (ko) 쿨링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