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116B1 - 원두커피 볶음기 - Google Patents

원두커피 볶음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116B1
KR0163116B1 KR1019960006276A KR19960006276A KR0163116B1 KR 0163116 B1 KR0163116 B1 KR 0163116B1 KR 1019960006276 A KR1019960006276 A KR 1019960006276A KR 19960006276 A KR19960006276 A KR 19960006276A KR 0163116 B1 KR0163116 B1 KR 0163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coffee
lid
coupl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6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386A (ko
Inventor
송유진
Original Assignee
송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진 filed Critical 송유진
Priority to KR1019960006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116B1/ko
Publication of KR970064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두커피 볶음기에 관한 것으로 커피 볶음기의 외관 디자인을 자유럽게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껍질 수거통(60)과 볶음통(50)의 결합을 일치시켜 소음을 발생하지 않으면서 부피가 작아 안정감있고 열손실을 줄여 원두를 볶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한 새로운 타입의 원두커피 볶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두커피 볶음기
제1도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보인 제2도의 '가-가'선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송풍팬 20: 히터
30: 예열판 31: 예열 보강부
32: 예열 배출공 40: 와류 발생 송풍판
50: 볶음통 51: 배출 유도 경사면
52: 배출구 53: 걸림단턱
54: 체결밴드 55: 볶음통 손잡이
57,58: 패킹홈 60: 껍질 수거통
61: 껍질 수거부 62: 껍질 분리대
70: 뚜껑 71: 뚜껑 손잡이
72: 배기공 73: 휠타망
74: 배기 조절판
본 발명은 커피 원두 볶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의 기호에 따라 소량의 원두를 가정에서 볶음 가공하여 커피 특유의 맛과 향내음을 즐길 수 있게한 것이다.
커피는 전세계적으로 애용되는 기호식품으로써, 매우 대중화된 음료중 하나이다.
이러한 커피를 끓여마시는 방법으로는 원두 커피를 끓여마시는 방법과 인스턴트 커피를 끓인 물에 타서 마시는 방법으로 재별해 볼 수 있는데, 근래에는 맛과 향에서 탁월한 원두 커피를 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원두커피는 맛과 향기가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원두의 보관방법가 보관 기간 그리고 가공방식에 따라 맛과 향이 변한다.
따라서 원두 특유의 맛과 향을 음미하려면 소량으로 생원두를 구입하여 필요할 때마다 즉석에서 가공하여야 한다.
종래에 이러한 점을 가안하여 가정에서 개인의 기호에 따라 원두를 볶을 수 있게한 커피 생원두 볶음기가 있었으나 이것은 껍질 수거통의 외경과 투명유리재로 된 볶음통의 내경이 일치하지 않아 원두커피를 볶을 때 발생하는 상승기류로 인한 풍압으로 껍질 수거통과 볶음통이 서로 부딪히면서 소음을 발생하며, 껍질 수거통과 볶음통이 일치하지 않아서 형성된 틈새로 달아나는 열손실이 있었다.
한편, 껍질 수거통가 볶음통이 일치하지 않는 것은 볶음통을 제작할 때 볶음통의 외측면은 금형이 가능하나 유리로 제조된 볶음통의 내부는 입김압으로 압력을 가하여 내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유리 볶음통의 두께를 일정하게 제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커피 생원두 볶음기는 껍질 수거통에 형성된 배기공으로 열이 빠져나갈 때 열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없는 것과, 히터를 거쳐 와류 발생 송풍관을 통해 볶음통의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도 충분히 가열될 만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 열손실이 심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껍질 수거통의 내경와 볶음통의 외경을 일치시켜 껍질 수거통이 볶음통의 외측에서 결합되게하여 원두커피 볶음기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추고, 소음을 줄이는 동시에 열손실을 줄이며, 볶음기의 외관 디자인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게 하며 껍질 수거통에 배기공을 형성하지 않고 별도의 열조절 장치를 구비하여 열의 손실을 막으면서도 부피가 작은 원두커피 볶음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송풍팬 및 히터가 설치된 원두커피 볶음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상부에 결합된 예열판과, 상기 예열판의 중앙에서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예열보강판과, 상기 예열보강판의 주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예열 배출공과, 상기 예열판의상부에 설치된 와류 발생 송풍판과, 상기 와류 발생 송풍판에 형성된 다수개의 송풍공과, 상기 와류 발생 송풍판의 상부에 세워지게 결합되는 투명유리제의 볶음통과, 상기 볶음통의 일측에 체결밴드로 결합된 볶음통 손잡이와, 상기 볶음통 손잡이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된 홈부와, 상기 볶음통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 유도 경사면과, 상기 배출 유도 경사면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껍질 수거통과, 상기 껍질 수거통의 안쪽에 형성된 껍질 분리대에 의해 분리된 껍질 수거부와, 상기 껍질 수거통의 일측에 결합되어 하단이 홈부에 끼워지는 수거통 손잡이와, 상기 껍질 수거통을 닫아주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상부 중앙에 결합된 뚜껑 손잡이와, 상기 뚜껑 손잡이의 주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기공과, 상기 배기공의 내측에 설치된 휠터망과, 상기 휠터망의 내측에서 상기 뚜껑 손잡이에 힌지 결합된 배기 조절판에 의하여 달성되어 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10) 및 히터(20)가 설치된 원두커피 볶음기에 있어, 상기 히터(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예열판(30)과, 상기 예열판(30)의 중앙에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예열보강부(31)과, 상기 예열보강부(31)의 주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예열 배출공(32)과, 상기 예열판(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와류 발생 송풍판(40)과, 상기 와류 발생 송풍판(40)에 형성된 다수개의 송풍공(41)과, 상기 와류발생 송풍판(40)의 상부에 세워지게 결합되는 투명유리재의 볶음통(50)과, 상기 송풍판(10)과 결합되는 볶음통(50)의 하단부에 형성된 패킹홈(57)과, 상기 패킹홈(57)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패킹(80)과, 상기 볶음통(5)의 일측에 체결밴드(54)로 결합되어 하부가 트인 볶음통 손잡이(55)와, 상기 볶음통손잡이 (55)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된 홈부(56)와, 상기 볶음통(50) 상부에 형송된 배출 유도 경사면(51)과, 상기 배출 유도 경사면(51)의 외측에 형성된 패킹홈(58)과, 상기 패킹홈(58)에 끼워지는 패킹(81)과, 상기 배출 유도 경사면(51)의 외측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껍질 수거통(60)과, 상기 껍질 수거통(60)의 안쪽에 형성된 껍질 분리대(62)와, 상기 껍질 분리대(62)에 의해 분리된 껍질 수거부(61)와, 상기 껍질 수거통(60)의 일측에 결합되어 하단이 홈부(56)에 얹혀지는 수거통 손잡이(63)와, 상기 껍질 수거통(60)을 닫아주는 뚜껑(70)과, 상기 뚜껑(70)의 상부 중앙에 결합된 뚜껑 손잡이(71)와, 상기 뚜껑 손잡이(71)의 주위에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배기공(72)과, 상기 배기공(72)의 내측이 설치되어 배기공(72)과 위치가 같은 부분이 배기공(72)과 일치하도록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휠타망(73)과, 상기 휠타망(73)이 내측에서 상기 뚜껑 손잡이(71)에 한지결합되는 배기 조절판(7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볶음통(50)은 내부가 들여다 보이는 투명 유리재이며, 상하부가 뚫린 원통형상이며, 상부에는 껍질 수거통(60)이 걸리는 걸림단턱(53)아 형성되어 있으며, 와류 발생 송풍관(40)이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배출 유도 경사면(51)을 형성하여 껍질을 포함한 배기가 넓은 곳에서 좁은 곳으로 원활히 배기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뚜껑(70)은 상부 중앙에 결합된 뚜껑 손잡이(71)와, 상기 뚜껑 손잡이(71)의 주위에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배기공(72)과, 상기 배기공(72)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휠타망(73)과, 상기 휠타망(73)이 내측으로 배기조절판(74)이 결합되며, 상기뚜껑(70)은 돔형태로 형성되어 배출구(52)를 통해 배출된 배기를 하향으로 유도함으로써 껍질이 껍질 수거부(61)에 낙하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배기공(72)의 내측에 결합된 휠타망(73)은 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되고 껍질은 수거통(60)에 남게하는 휠터 역할을 하며, 상기 배기 조절판(74)은 껍질 배출 공(6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의 양을 뚜껑 손잡이(71)를 회전시켜면 상기 뚜껑 손잡이(71)에 결합된 배기조절판(74)이 껍질 배기공(72)을 여닫으면서 열손실을 줄일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배기조절판(74)이 회전할 때 휠타망(73)은 배기공(72)과 일치하는 부분이 배기공(72)에 걸려서 배기조절판(74)과 함께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와류발생 송풍판(40)의 저면은 연속해서 이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면 사이의 단차에 송풍공(41)이 전체적으로 보면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송풍공(41)은 하나는 길게 하나는 짧게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와류를 형성하며 원두커피를 볶을 경우 원두커피의 덤블링을 도와 껍질이 잘 벗겨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송풍팬(10)밑에 설치된 예열판(30)은 상부 중앙에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예열 보강부(31)와, 상기 예열 보강부(31)의 주위에서 단이지게 예열보강부(31)쪽으로 장공으로 뚫린 다수개의 예열 배출공(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히터(20)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예열배출공(32)를 통해 예열판(30)에서 온도가 상응하고 다시 예열 보강부(31)에서 충분히 가열된 다음 와류 발생 송풍판(40)으로 배출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예열 보강부(31)에서 공기가 충분히 가열된다는 것은 종래보다 적은 전력으로도 원두를 볶을 수 있는 온도로 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어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볶음통(50)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 유도 경사면(51)의 외경을 껍질 수거통(60)의 내경과 일치시켜 원두 커피를 볶을 때 발생하는 상승기류로 인한 풍압으로 껍질 수거통(60)과 볶음통(50)이 서로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고, 그 틈새로 달아나는 열손실을 줄일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껍질 수거통(60)이 볶음통(50)의 외측에서 결합되어 볶음통(50)의 배출 유도 경사면(51)에 껍질 수거통(60)의 껍질 분리대(62)가 완전히 안착되므로 종래와는 달리 껍질 수거통(60)의 높이가 껍질분리대(62)의 높이만큼 낮아지는 효과가 있어 전체적으로 원두커피 볶음기의 높이가 낮아져서 안정감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원두커피를 볶으려고 할 경우에는 우선 원두를 볶음통(50)에 20인분(약 120~150g)가량 넣고 본체(1)에 결합한 후 뚜껑(70)이 구비된 껍질 수거통(60)을 볶음통(50)의 상부에 끼워 결합한다.
이렇게 껍질 수거통(60)을 볶음통(50)의 상부에 끼워 결합하면 볶음통손잡이(55)에 형성된 홈부(56)에 수거통 손잡이(63)가 마주 닿아 외관상 심플한 느낌을 주게 된다.
볶음통(50)과 껍질 수거통(60)이 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뚜껑(70)을 열고 배출구(52)를 통해 원두를 넣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상태에서 타이머(2)를 돌려 표시눈금에 맞추게 되면 로스팅 단계와 쿨링 단계가 차례로 진행되게 된다.
로스팅 단계에서 송풍팬(10)은 10000rpm으로 회전하고 히터(20)의 유입공기는 약 240℃로 가열되어 상기 예열판(30)의 예열 배출공(32)을 거쳐 예열 보강부(31)에서 열을 흡수하여 와류 발생 송풍판(40)의 계단형 송풍공(41)을 통해 볶음통(50)으로 회전 상승하게 된다.
계단형 송풍공(41)을 통과한 공기는 원주 방향으로 맴돌면서 상승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볶음통(50)내의 원두는 하나는 길게 하나는 짧게 교대로 형성된 계단형 송풍공(41)의 일끝단에서 와류의 상승기류와 송풍공(41)으로 인해 낙하 덤블링하게 되어 열풍에 의해 골고루 섞이면서 익혀지게 되고, 덤블링시 원두의 회전 방향이 비틀리면서 껍질은 점차 벗겨져 상승기류를 타고 볶음통(50) 중앙의 배출구(52)로 상승하게 된다.
껍질 배출공(64)을 통해 상승된 공기는 껍질 수거통(60)의 상부에서 사방으로 확개되어 풍속이 즐어 들게 되고 뚜껑(70)에 부착된 휠타망(73)을 통해 배기공(72)으로배출되게 된다.
원두 껍질은 기류가 확개되어 배출됨에 따라 배출 유도 경사면(51)에의해 껍질 분리대(62)와 나뉘어진 껍질 수거부(61)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볶음통(50)이 투명해지기 때문에 원두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데 원두가 검갈색을 띄게 되면 적당히 볶아진 것이다.
원두가 적당히 볶아지면 타이머(2)가 약 5-7분간 로스팅 단계를 마치고 송풍팬(10)만 작동되는 쿨링 단계에 들어가게 된다.
약 3분간의 쿨링 단계가 끝나게 되면 전원이 차단되게 되고, 이상태에서 수거통 손잡이(63)를 잡고 껍질 수거통(60)을 들어낸 후 볶음통 손잡이(55)를 잡고 볶음통(50)을 들어내 볶아진 원두를 쏟아내게 되면 원두의 볶음가공이 완료되게 된다.
볶음가공이 된 원두는 분쇄기에서 분쇄하고 추출기로 추출하여 음용하면 된다.
한편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껍질 분리대(62)의 입구에 다수개의 껍질 배출공(64)이 형성된 껍질 수거통(60)과, 휠타망(73)의 내측에서 뚜껑 손잡이(71)에 결합되는 회전봉(75)과 상기 회전봉(75)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껍질 수거통(60)의 입구에 형성된 껍질 배출공(64)의 상부에 얹혀지는 배기 조절판(74)아 구비된 뚜껑(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뚜껑 손잡이(71)를 돌려 회전봉(75)과 함께 껍질 분리대(62)의 입구에 형성된 껍질 배출공(64)애 얹혀진 배기 조절판(74)을 회전시켜 껍질 배출공(64)의 입구를 조절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원두커피 볶음기는 본체(1)와 볶음통(50), 그리고 껍질 수거통(60)이 차례로 세워지게 구성되기 때문에 본체(1)의 디자인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으며, 종래의 원두커피 볶음기와는 다르게 껍질 수거통(60)의 내경과 볶음통(50)의 외경을 일치시켜 껍질 수거통(60)과 볶음통(50)이 부딪혀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는 동시에 열손실을 줄이고, 껍질 수거통(60)에는 껍질 배출공(64)을 뚜껑(70)에는 배기공(72)과 휠타망(73) 및 배기조절판(74)을 구비하여 열의 손실을 줄이고, 쿨링단계에서 배기 조절판(74)을 완전개방하면 쿨링도 원활해지고 찌꺼기 껍질 등이 풍압에 의해 쉽게 수거통(60)에 쌓여진다.
또한, 히터(20)에서 가열된 공기가 예열 배출공(32)을 통해 예열판(30)의 예열보강부(31)에서 더욱 가열되어 고온의 공기로 원두를 볶을 수 있어 열손실과 예열시간을 줄임으로써 원두를 볶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볶음통 손잡이(55)의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손으로 잡기가 편리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두커피 볶음기의 외관 디자인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게하고, 원두 껍질의 제거가 용이하며 껍질 수거통(60)과 볶음통(50)의 결합을 일치시켜 소음을 발생하지 않으면서 부피가 작아 안정감 있고 열손실을 줄여 원두를 볶는데 소비되는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게 한 원두커피 볶음기에 관한 것이다.

Claims (4)

  1. 송풍팬(10)이 상부에 설치된 히터(20)와, 상기 히터(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예열판(30)과, 상기 예열판(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와류 발생 송풍판(40)과, 상기 와류 발생 송풍판(40)의 상부에 세워지게 결합되는 투명유리재의 볶음통(50)과, 상기 볶음통(50)에 삽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껍질 수거통(60)과, 상기 껍질 수거통(60)을 닫아주는 뚜껑(70)으로 구성된 원두커피 볶음기에 있어서, 상부에 껍질 수거통(60)이 걸리는 걸림단턱(53)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단턱(53)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배출 유도 경사면(51)을 형성한 볶음통(50)과, 내부로 상기 볶음통(50)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 유도 경사면(51)의 외경과 일치되게 형성된 껍질분리대(62)와 상기 껍질분리대(62)에 의해 분리된 껍질 수거부(61)를 형성한 껍질수거통(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볶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뚜껑(70)이 상부 중앙에 결합되는 뚜껑 손잡이(71)와, 뚜껑 손잡이(71)의 주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기공(72)과, 상기 배기공(72)의 내측에 설치된 휠타망(73)과, 상기 휠타망(73)의 내측에서 상기 뚜껑 손잡이(71)에 결합되는 배기 조절판(7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볶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껍질 분리대(62)의 입구에 다수개의 껍질 배출공(64)이 형성된 껍질 수거통(60)과, 휠타망(73)의 내측에서 뚜껑 손잡이(71)에 결합되는 회전봉(75)과 상기 껍질 수거통(60)의 입구에 형성된 껍질 배출공(64)의 상부에 얹혀지도록 회전봉(75)의 하부에 결합되는 배기조절판(74)이 구비된 뚜껑(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볶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판(30)의 상부를 위로 볼록하게 형성한 예열보강부(31)와, 상기 예열보강부(31)의 주위에서 단이지게 예열보강부(31)쪽으로 향하여 장공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예열 배출공(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볶음기.
KR1019960006276A 1996-03-11 1996-03-11 원두커피 볶음기 KR0163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6276A KR0163116B1 (ko) 1996-03-11 1996-03-11 원두커피 볶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6276A KR0163116B1 (ko) 1996-03-11 1996-03-11 원두커피 볶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386A KR970064386A (ko) 1997-10-13
KR0163116B1 true KR0163116B1 (ko) 1998-11-16

Family

ID=19452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6276A KR0163116B1 (ko) 1996-03-11 1996-03-11 원두커피 볶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31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771B1 (ko) * 2008-03-05 2010-07-09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곡물볶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771B1 (ko) * 2008-03-05 2010-07-09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곡물볶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386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470B1 (ko) 전자동 커피(coffee) 추출장치
US5890418A (en) Coffee bean roaster
US6460451B1 (en) Popcorn maker
CN105431058B (zh) 咖啡烘焙器
KR101130547B1 (ko) 커피 로스터 및 그 운용방법
WO1997016985A1 (en) Coffee roaster
US20200107672A1 (en) Coffee roaster and degasser
US5322005A (en) High capacity coffee maker with improved filtration
US6112644A (en) Coffee bean roaster
KR0163116B1 (ko) 원두커피 볶음기
KR102389688B1 (ko) 뜸들임을 이용한 원두 가공장치
KR0135197B1 (ko) 커피 원두 볶음기
USRE37238E1 (en)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JP2799874B2 (ja) コーヒメーカの焙煎装置
KR970002157B1 (ko) 커피 생원두 볶음기
JPH0728827B2 (ja) コーヒーメーカ
KR200223740Y1 (ko) 커피메이커의 생두 볶음부 구조
KR100306058B1 (ko) 전자동커피메이커
KR102597803B1 (ko) 가정용 열풍하향식 원두가공기
CN210695890U (zh) 咖啡豆空气焙炒机
JPH06292633A (ja) コーヒーメーカ
JPH01285223A (ja) 全自動コーヒー沸し器
JPH03266966A (ja) コーヒー豆焙煎装置
KR200263071Y1 (ko) 커피메이커
KR100675750B1 (ko) 분쇄공정 및 커피제조공정 수행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