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157B1 - 커피 생원두 볶음기 - Google Patents

커피 생원두 볶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157B1
KR970002157B1 KR1019940007238A KR19940007238A KR970002157B1 KR 970002157 B1 KR970002157 B1 KR 970002157B1 KR 1019940007238 A KR1019940007238 A KR 1019940007238A KR 19940007238 A KR19940007238 A KR 19940007238A KR 970002157 B1 KR970002157 B1 KR 970002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ir
heater
cover
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8625A (ko
Inventor
송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멕스
송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멕스, 송유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멕스
Priority to KR1019940007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157B1/ko
Priority to EP95101091A priority patent/EP0676148A1/en
Publication of KR950028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8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1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커피 생원두 볶음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에 패킹과 안착구의 조립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과 히터의 조립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볶음통의 조립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와 껍질 수거통의 조립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01 : 공기유입구
110 : 송풍팬/히터 내장부 120 : 볶음통안착부
130 : 껍질 수거통안착부 200 : 타이머
300 : 송풍팬 310 : 모터
320 : 팬 400 : 히터
410 : 케이스 420 : 열선
500 : 볶음통 510 : 바닥부
520 : 몸통부 600 : 커버
700 : 껍질 수거통 800 : 패킹
900 : 안착구
본 발명은 개인의 기호에 따라 소량의 생원두를 즉석에서 볶음 가공하여 커피 특유의 맛과 향내음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커피 생원두 볶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커피 생원두 볶음기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전세계적으로 애용되는 기호식품으로써, 매우 대중화된 음료이다. 초기에 퍼콜레이터(Percolator)로 원두를 끓여 마시는 방법이나, 인스턴트 커피 분말을 끓인 물에 타서 마시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점차 맛과 향기에서 탁월한 원두커피를 애호하는 추세이다.
원두커피는 맛과 향기가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원두의 가공방식에 따라 변한다. 그리고 원두의 보관방법 및 보관기간에 따라 맛과 향이 변한다. 따라서 원두 특유의 맛과 향을 음미하려면 소량으로 원두를 구입하여 필요시마다 즉석에서 적절히 가공하는 것이 관건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건을 만족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정에서 개인 기호에 따라 원두를 볶을 수 있는 커피 생원두 볶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며, 송풍팬/히터 내장부, 볶음통안착부, 그리고 껍질 수거통 안착부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 전면에 설치되어 설정기간동안 작동하는 타이머; 상기 송풍팬/히터 내장부에 설치되며, 상기 타이머에 의해 제어되어 일정시간 동안 상향으로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 상측에 조립되며, 상기 타이머에 의해 제어되어 일정시간 동안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상기 히터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볶음통안착부에 안착되며, 원두가 투입되어 볶음가공되는 볶음통; 상기 볶음통과 연결되어 원두껍질을 후방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커버; 상기 껍질 수거통 안착부에 안착되어 이송되어온 원두껍질이 쌓이도록 하는 껍질 수거통으로 구성하여 원두를 열풍으로 일정시간 동안 볶은 동시에 껍질을 제거하고 냉풍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몸체(100), 타이머(200), 송풍팬(300), 히터(400), 볶음통(500), 커버(600) 그리고 껍질 수거통(70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 구성요소의 구조 및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00)는 중앙부위가 원통에 가까운 형태로써 상방으로 개구되게 한 것으로, 공기유입구(101)가 형성되며, 송풍팬/히터 내장부(110), 볶음통안착부(120), 그리고 껍질 수거통안착부(130)를 갖는다. 공기 유입구(101)는 몸체(101)의 바닥면에 수개 형성하여 외부공기가 몸체(100)의 하측에서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송풍팬/히터 내장부(110)는 몸체(100)의 내측에 추후에 설명될 송풍팬(300) 및 히터(4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공간을 마련한다.
볶음통안착부(120)는 송풍팬/히터 내장부(110) 상측 둘레에 몸체(100)의 내향으로 턱을 형성하여 추후에 설명될 볶음통(500)이 안착되도록 한다. 껍질 수거통안착부(130)는 공기회수구(102)가 형성된 몸체(100)의 뒷쪽에 추후에 설명될 껍질 수거통(7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타이머(200)는 몸체(10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로터리방식으로 작동되어 로스팅단계(ROASTING STEP)와 쿨링단계(COOLING STEP)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말해서 타이머(200)가 로스팅 단계에 있을때에는 송풍팬(300) 및 히터(400)가 작동되게 하고, 쿨링단계에 있을때에는 송풍팬(300)만이 작동되게 하고 히터(400)는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
타이머(200)는 가동될 원두의 양에 따라 히터(400)의 작동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타이머(200)가 설치되는 몸체(100) 전면부위에 쿨링단계 및 로스팅단계에 대한 표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로스팅단계는 가공될 원두에 의해 추출될 커피잔수를 표시하고 쿨링단계는 분단위로 표시하되, 3분정도까지 설정함이 적당하다.
송풍팬(300)은 모터(310)와 팬(320)을 결합시킨 것으로 송풍팬/히터 내장부(110)에 위치되도록 몸체(100)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소형의 모터(310)를 성능이 10,000rpm 정도가 되는 것을 마련한다. 그리고 팬(320)은 평판을 방사상으로 절곡시킨 구조로써 히터(400)에 내설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한다.
히터(400)는 송풍팬(300) 상측에 조립되는 것으로, 크게 케이스(410)와, 이 케이스(410)에 내장되는 열선(420)으로 구분된다. 케이스(410)는 하부케이스(411)와 상부케이스(412)로 분리되며 각각 통풍구(411a)(412a)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케이스(411)에 형성된 통풍구(411a)는 모터(310)가 장착되는 부위에 크게 형성하여 통풍량을 극대화시키며, 이에 반해 상부케이스(412)에 형성된 통풍구(412a)는 넓은 면적에 걸쳐 작게 다수 형성함으로써 분산되도록 한다. 열선(420)은 하부절연판(431)과 상부절연판(432)으로 분리되는 절연판(430)사이에 고정된다. 그리고 하부절연판(431)은 상부절연판(432)보다 직경을 크게하여 케이스(4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그 저면에 섬머스타트(411)와 온도휴즈(450)를 취부하고 열선(420)과 연결함으로써 히터(400)의 과열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볶음통(500)은 히터(400) 상부에 위치되도록 몸체(100)에 형성된 볶음통안착부(120)에 안착되는 것으로, 바닥부(510)와 몸통부(520)로 구분된다. 바닥부(510)는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으로 열전도가 좋은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되, 바닥면(511)을 원뿔형으로 돌출시키고, 방사상으로 배열되게 통풍공(512)(513)을 형성한다. 이때, 바닥면(511) 중심부위에 형성되는 통풍공(512)은 바닥면(511)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구멍을 형성하며, 바닥면(511)외측둘레에 형성되는 통풍공(513)은 바닥면(511)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구멍을 형성하며, 바닥면(511) 외측둘레에 형성되는 통풍공(513)은 바닥면(511)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구멍을 형성한다. 그리고 바닥부(510)의 테두리(514) 부위는 내경을 확대형성하여 몸통부(520)의 하단에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몸통부(520)는 열전도성이 적은 투명유리로 제작하여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하고 계량표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볶음통(500)에 투입되는 원두의 량에 따른 추출될 커피잔수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정확히 계량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를 도모한다.
그리고 몸통부(520)에는 손잡이(521)를 형성하되, 열발산효과를 증대하기 위하여 그 단면을 H형상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커버(60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성형성을 좋게 한다. 이 커버(600)는 몸통부(520) 상부를 개폐하는 기능뿐 아니라 껍질 수거통(700)과 연결하여 원두 껍질을 껍질 수거통(70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송풍로(601)를 형성하고 그 후단양측면에 힌지구멍(620)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커버(600)의 상면에는 제1배출구(603)와 제2배출구(604)를 장공형태로 형성하되, 제1배출구(603)는 커버(600)의 중심부위에 방사상으로 배열하고, 제2배출구(604)는 송풍로(601)로 형성되는 연장부위에 횡렬로 배열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껍질 수거통(700)은 커버(600)와 힌지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면에 돌기(710)를 형성하며, 몸체(100) 후방에 있는 껍질 수거통안착부(110)에 안착되도록 제작한다. 이 껍질 수거통에도 커버(600)에 형성된 제1, 제2배출구(603)(604)와 마찬가지로 하향 경사면에 배출구(703)를 형성하여 커버(600)로부터 송풍된 통풍공기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볶음통(500)을 몸체(100)에 안착될 때 밀착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패킹(800)을 더 구비하며, 볶음통(500)을 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안착구(90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800)은 내열성이 강한 실리콘재로써 환형상으로 제작하되, 내측둘레는 히터(400)의 가장자리에 걸치게 하고, 외측둘레는 몸체(100)의 볶음통안착부(120)에 걸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한다. 그리고 패킹(800)의 저면에는 홈(801)을 형성하여 압착성을 좋게 한다.
안착구(900)는 환형상으로 제작하되, 그 하면에는 수개의 고정돌기(901)를 형성하여 몸체(100)의 볶음통안착부(120)의 내경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그 내측면에는 돌륜턱(902)을 형성하여 조립시 패킹(800)의 상면에 걸치도록 하고, 그 상면에는 경사홈(903a)을 갖는 고정부(903)를 수개 형성하여 볶음통(500)을 착탈할 수 있게 한다. 즉, 바닥부(510) 외면에 고정부(903)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수의 고정편(515)을 형성함으로써, 볶음통(5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조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타이머(200)를 몸체(100) 전면에 조립한다.
그리고 송풍팬(300)과 히터(400)의 조립시 팬(320)이 히터(400)의 하부케이스(411) 부위에 내장시킨 상태에서 팬(320)과 모터(310)를 일체로 결합한다. 그리고 열선(420)이 개재된 절연판(430)을 케이스(410)내에 내장시킨다. 이때, 하부절연판(431)을 하부케이스(411)와 상부케이스(412)의 결합부위에 고정시킨다. 그러므로 팬(320)이 열선(420)의 하측에 위치되며, 히터(400)의 케이스(410)에 내장된 상태로 송풍팬(300)과 히터(400)가 일체로 조립된다.
볶음통(500)의 조립시 몸통부(520)를 바닥부(510)의 테두리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서 일체로 결합한다. 그리고 커버(600)와 껍질 수거통(700)을 결합할 때에는 껍질 수거통(700)의 양측면을 눌러 돌기(702)가 힌지구멍(602)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커버(600)와 껍질 수거통(700)이 힌지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몸체(100)와 타이머(200), 송풍팬(300)과 히터(400), 그리고 볶음통(500)의 각 구성요소를 조립한 다음, 몸체(100)의 송풍팬/히터 내장부(110)에 위치되게 송풍팬(300) 및 히터(400)를 고정시킨다. 이때 모터(310)가 몸체(100)의 바닥면에 고정되면 히터케이스(410)의 상부가 볶음통안착부(120)에 근접된다.
그 다음에 패킹(800)을 볶음통안착부(120)와 상부케이스(412)에 연접되게 올려 놓고 안착구(900)를 볶음통안착부(120) 내측단부에 끼워 넣는다. 이때, 고정돌기(901)가 볶음통안착부(120)의 내측단부(120)에 취부되면 돌륜턱(902)이 패킹(800)의 상면에 밀착된다.
이후, 바닥부(510)와 몸통부(520)가 일체로 결합된 볶음통(500)을 볶음통안착부(120)에 안착시킬 때에는 몸통부(520)의 손잡이(512)를 손으로 잡고 바닥부(510)를 안착구(90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몸통부(520)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고정편(515)이 안착구(900)에 형성된 경사홈(903a)에 끼워져 몸체(100)에 고정된다. 이때, 바닥부(510)의 가장자리는 패킹(800) 상부의 중심선상에 안착된다. 그러므로 패킹(800)의 홈(801) 부위가 벌어지면서 바닥부(510)와 패킹(800)간에 면접촉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하여 볶음통안착부(120)에 밀폐성이 확보된다.
그리고 몸통부(520)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고정편(515)이 경사홈(903a)으로부터 빠지면서 볶음통(500)을 이격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부(510)와 몸통부(520)가 일체로 결합된 볶음통(500)을 몸체(100)에 고정시키고, 커버(600)와 껍질 수거통(700)이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커버(600)는 몸통부(520)의 입구를 덮고, 껍질 수거통(700)은 몸체(100)의 껍질 수거통안착부(130)에 안착시키면 사용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사용을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원두를 볶음통(500)에 적당량을 넣는다. 이때 필요량을 몸통부(520)에 표시된 눈금을 기준으로 넣으면 된다.
㉯ 원두를 담은 볶음통(500)을 몸체(100)의 볶음통안착부(120)에 위치시켜 놓고 시계 방향으로 돌려 록킹시킨다.
㉰ 커버(600)와 껍질 수거통(700)과 힌지결합한 상태에서 껍질 수거통(700)은 몸체(100)의 껍질 수거통안착부(130)에 안착시키고 커버(600)로 볶음통(500) 입구를 닫는다.
㉱ 전원과 연결한 상태에서 원두량에 따라 타이머(200)를 돌려 표시눈금에 맞춘다.
이때, 몸통부(520)에 표시된 눈금과 일치시켜 조정하면 로스팅단계와 쿨링단계를 차례로 수행하게 된다.
로스팅단계에서 송풍팬(300)과 히터(400)를 작동하여 송풍팬(300)의 모터(310) 및 팬(320)은 7000∼8000rpm으로 회전하고 히터(400)의 열선(420)은 약 180℃로 가열된다. 그러므로 외부공기가 몸체(100) 바닥면의 공기유입구(101) 및 히터케이스(410)의 통풍구(411a)를 통하여 유입되고, 발생되어 히터케이스(412a)를 통하여 급속하게 상승된다.
그런데, 상승되는 열풍이 패킹(800)으로 밀폐되어 있어 몸체(100) 외부로 새지않고 바닥부(510)의 바닥면에 형성된 통풍공(512)(513)으로 빠져나간다. 그리하여, 중앙에 있는 통풍공(512)을 지나는 바람은 수직상승되고, 가장자리에 있는 통풍공(513)을 지나는 바람은 원주방향으로 맴돈다. 결국, 볶음통(500) 내부에서 상승기류 및 와류가 발생된다.
이러한 열풍으로 인하여 볶음통(500)내의 원두는 골고루 섞이면서 익혀지고 점차 껍질이 벗겨진다. 원두로부터 벗겨진 껍질은 상승된다.
이때 볶음통(500)내에서 상승되는 열풍은 커버(600)내의 제1배출구(603) 및 제2배출구(604)로 일부 빠져나가면서 풍량이 줄어들어 커버(600)에까지 상승된 껍질은 통풍로(601)로 따라 껍질 수거통(700)측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껍질 수거통(700)의 배출구(702)로 배출되는 기류를 따라 껍질이 하강되어 껍질 수거통(700)에 적층된다. 한편, 껍질이 벗겨져 볶아지는 원두는 검갈색을 띄우게 됨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적당히 볶아졌을 때 타이머(200)가 로스팅단계를 마치고 쿨링단계에 들어간다.
쿨링단계에서는 송풍팬(300) 전원만 계속 연결되고 히터(400) 전원은 차단되어 송풍팬(300)만 작동한다. 그리하여 냉풍이 공급되므로 원두가 식혀지면서 기름이 스며나오지 않게되고 원두끼리 마찰되어 표면이 윤택해진다. 쿨링단계는 대략 3분 정도 수행되며, 이때 송풍팬(300)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볶음과정이 끝나게 된다.
㉲ 상기 단계에서 볶음가공된 후 커버(600)를 위로 들어올리고, 볶음통(500) 손잡이를 잡고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몸체(100)로부터 볶음통(500)을 이격시켜 볶음가공된 원두를 획득할 수 있다.
㉳껍질은 껍질 수거통(700)의 양측면을 눌러 커버(800)와 분리시킨 후 쏟아버리면 된다.
이와 같이 볶음가공을 거쳐 획득된 원두는 분쇄기로 분쇄하고 추출기로 추출하여서 원두커피를 음용하면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은 소형으로 제작하여 가정에서 취급하기 용이하고, 필요시마다 소량의 원두를 볶아서 생커피를 즐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개인 기호에 따라 가공 시간을 조절하여 원두의 맛과 향을 다양하게 음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송풍팬(300) 및 히터(400)가 내설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볶음통안착부(120)에 설치되는 볶음통(500)과; 상기 볶음통(500)에 연결설치된 커버(600) 및 껍질 수거통(70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하부에 고정돌기(901)가 돌설되고, 상부에는 경사홈(903a)을 갖는 고정부(903)가 다수 돌설되어 고정돌기(901)가 몸체(100)의 내경에 끼워지게 결합되는 안착구(900)와; 상기 경사홈(903a)에 채워지는 고정편(515)이 외측에 돌설되고, 바닥면(511)에는 원뿔형으로 돌출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통풍공(513)이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상승기류를 형성하는 통풍공(512)이 형성된 볶음통(500)과; 상기 커버(600) 후단의 힌지공(602)에 끼워지는 돌기(701)가 상부에 형성되어 커버(600)가 볶음통(500)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회동되게 한 껍질 수거통(700)으로 구성된 커피 생원두 볶음기.
KR1019940007238A 1994-04-07 1994-04-07 커피 생원두 볶음기 KR970002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238A KR970002157B1 (ko) 1994-04-07 1994-04-07 커피 생원두 볶음기
EP95101091A EP0676148A1 (en) 1994-04-07 1995-01-26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238A KR970002157B1 (ko) 1994-04-07 1994-04-07 커피 생원두 볶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625A KR950028625A (ko) 1995-11-22
KR970002157B1 true KR970002157B1 (ko) 1997-02-24

Family

ID=1938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238A KR970002157B1 (ko) 1994-04-07 1994-04-07 커피 생원두 볶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0676148A1 (ko)
KR (1) KR9700021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3506B1 (en) 1999-04-29 2001-01-16 Premark Wb Holdings, Inc. Roaster
KR20040023152A (ko) * 2002-09-10 2004-03-18 (주)하이얼핸즈 커피의 생두를 매장내에서 직접 로스팅하고, 그 로스팅한커피를 사이폰등의 즉석 커피 추출기를 통해 고객에게서비스하는 커피 전문점의 프랜차이즈
KR100907684B1 (ko) * 2009-01-02 2009-07-14 이현석 열풍식 커피 로스터
GB2484983A (en) 2010-11-01 2012-05-02 Ikawa Ltd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7055A1 (de) * 1982-05-06 1983-11-10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oesten insbesondere kleiner mengen gruener kaffeebohnen
US4494314A (en) * 1983-11-28 1985-01-22 Gell Jr Harold A Coffee roaster
GB8333301D0 (en) * 1983-12-14 1984-01-18 Hignett G A Domestic forced air dry roaster
US5269072A (en) * 1992-05-22 1993-12-14 Felknor International Coffee roa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625A (ko) 1995-11-22
EP0676148A1 (en) 1995-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9072A (en) Coffee roaster
US5890418A (en) Coffee bean roaster
US5500237A (en) Removable coffee roaster oven chamber
US59026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beverages in a microwave oven
US2858762A (en) Coffee maker
KR920008545B1 (ko) 조리기구
WO2003090552A1 (en) Popcorn maker
US5996480A (en)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CN105249505B (zh) 一种微型炒豆机及利用该炒豆机炒豆的工艺方法
KR970002157B1 (ko) 커피 생원두 볶음기
US6112644A (en) Coffee bean roaster
KR101078528B1 (ko) 커피 원두의 로스팅 장치
USRE37238E1 (en)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KR20120054909A (ko) 커피쿨러
CN205143446U (zh) 一种微型炒豆机
KR20180013318A (ko) 생두낙하블레이드가 구비된 수동식 커피 로스터
KR101427002B1 (ko) 튀김장치
KR0163116B1 (ko) 원두커피 볶음기
KR200225910Y1 (ko)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
KR200223740Y1 (ko) 커피메이커의 생두 볶음부 구조
CN215605169U (zh) 食物处理机
CN210695890U (zh) 咖啡豆空气焙炒机
KR102537467B1 (ko) 휴대용 커피 로스터
JP2002119269A (ja) 焙煎機
KR0135197B1 (ko) 커피 원두 볶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