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470B1 - 전자동 커피(coffee)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동 커피(coffee)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470B1
KR910008470B1 KR1019890010539A KR890010539A KR910008470B1 KR 910008470 B1 KR910008470 B1 KR 910008470B1 KR 1019890010539 A KR1019890010539 A KR 1019890010539A KR 890010539 A KR890010539 A KR 890010539A KR 910008470 B1 KR910008470 B1 KR 910008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power distribution
coffee beans
distribution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351A (ko
Inventor
다나까 무두오
Original Assignee
다나까 무두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까 무두오 filed Critical 다나까 무두오
Publication of KR910002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동 커피(coffee) 추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추출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배전부(焙煎部)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3도는 상두부(上頭部)를 설명하기 위한 제2도에 있어서 A-A의 단면도.
제4도는 상부 카버를 제거한 상태의 추출장치의 평면도.
제5도는 생콩 상태의 커피콩을 배전 용기에 투입하는 상태의 추출장치를 표시하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추출장치의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에 표시하는 추출장치인 좌측면도.
제8도는 배전부의 단면도.
제9도는 배전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에 관하여, 특히 생두로서 커피를 전자동으로 추출하는 것에 의하여 커피의 맛의 향상을 도모한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커피의 추출방법으로서는, 사이폰식(Siphon식), 드립식(drip식)등이 알려져 있으나, 작금 각 방식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자동 커피 추출장치(말하자면 자동커피 메이커)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자동 커피 추출장치는, 대별하면 기히 배전(로스트:roast)된 커피콩이 들어있어 분쇄하는 밀(mill)부와, 분쇄된 커피콩에서 상기 사이폰식 혹은 드립식 등의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거기에서 시판되어 있는 배전된 커피콩을 구입하여, 이것을 자동 커피 추출장치에 넣어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커피를 얻을 수가 있다.
커피를 다시 맛좋게 추출하기 위하여는, 커피의 생콩을 배전한 후 즉시 밀에 의하여 분쇄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커피 추출장치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배전된 커피콩을 구입하여 이것에서 커피를 추출한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커피의 생콩을 배전하여 이것을 즉시 추출한 커피에 비하여 맛이 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커피의 생콩을 상온, 상습의 상태에서는 장기간의 보존을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리어 맛이 증가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배전된 커피콩은 맛이 열화가 빠르고, 또, 습기가 없는 비교적 저습상태에서 보존하지 않으면 맛이 유지되지 않고, 이점으로서도 배전된 커피콩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종래의 자동 커피 추출장치에서는 맛이 좋은 커피를 추출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매우 맛좋은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투입되는 생콩상태의 커피콩을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하여 이 커피콩을 배전하는 배전부와, 이 배전부에서 배전된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부와, 상기 배전부와 분쇄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배전부에서 배전된 커피콩을 배전종료 후, 자동적으로 분쇄부 내에 반송하는 반송부와, 분쇄부에서 분쇄된 커피콩을 투입되어 이것으로부터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부와의 일체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를 상기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생콩상태의 커피콩을 배전한 후 즉시 분쇄하여 커피를 추출할 수가 있어, 더욱이 이들의 동작이 모두 자동적으로 행하여지므로, 좋은 맛을 가지는 커피를 매우 간단하게 추출할 수가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과 아울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1)(이하, 단순히 추출장치라 한다)를 표시하는 추출장치(1)는, 드립방식의 추출장치이며, 대략하면 추출장치 본체(1a)에 배전부(2), 분쇄부(3), 반송부(4) 및 추출부(5)등을 일체적으로 설치하여 이루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배전부(2)는, 제2도에서도 표시하는 것처럼, 배전부 본체(6), 기둥보(7), 상부(上頭)(8), 배전용기(9) 및 하두(下頭)부(1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전부 본체(6)는 추출장치 본체(1a)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어, 그 내부에 송풍기(11), 히터(12) 및 엷은 껍질 수집부(13)을 설치하고 있다.
송풍기(11)를 내부에 팬모터를 설치하고 소정압의 압축공기를 히터(12)에 불어보낸다.
히터(12)는 예를 들어 니크롬(nicrom)이 코일식 히터이며, 송풍기(11)에서 불어넣는 공기를 배전하는데 적합한 온도까지 가열한다.
상기의 송풍기 (11)및 히터(12)는 추출장치(1)에 설치되는 전기적 구성부품을 제어하는 제어회로(14)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회로(14)에 의하여 송풍기(11) 및 히터(12)가 동시에 작동한 때에는, 압축열풍이 보내어져서 또, 송풍기(11)만이 작동한 때에는 압축공기가 보내어진다.
기둥부(7) 내에는 송풍배관(17)과 흡입배관(18)과의 2개의 배관이 설치되어 있다.
각 배관(17,18)은 다 같이 내열구조로 되어 있어, 송풍배관(17)의 하단은 히터(12)에, 또 흡입배관(18)의 하단은 엷은 수집부(13)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한편, 각 배관(17,18)의 상단은 상두부(8)에 접속되어 있다. 더욱, 엷은 껍질 수집부(13)에는, 필터(13a)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2도에 있어서 A-A 단면을 제3도에 표시한다. 상두부(8)의 중앙위치는 취출구(吹出口)(19)가 설치되어 있어, 이 취출구(19)에는 후술하는 커피콩의 엷은 껍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망상의 필터(2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취출구(19)의 외주 부분에는 상기 엷은 껍질의 흡인구(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취출구(19)는 상기한 송풍 배관(17)에 접속되어 있어, 한편 흡입구(21)는 흡입배관(1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중 단면에서 표시되는 것은 배전용기(9)에서, 이 배전용기(9)는 상두부(8)에 기밀하고 또한 회동가능하게 부착된다.
또, 후술하는 것과 같이, 배전용기(9)에 생콩상태의 커피콩을 넣을때, 이 배전용기(9)는 상두부(8)에서 이탈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배전용기(9)는, 통상(筒狀)의 내열유리로서 이루어지고, 그 하단부분을 하두부(10)에 회동이 자재롭게 부착되어 있다. 하두부(10) 내에는 모터(22) 및 반송부(4)의 일부를 구성하는 개폐기구(23)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두부(10)에 회동이 자재로이 배전용기(9)를 회동구동한다. 이 모터(22)도 제어회로(14)에 접속되어 있다.
또, 개폐기구(23)는 일종의 개폐변기구이며, 제어회로(14)에 접속되어 있다.
이 개폐기구(23)는, 커피콩을 배전하고 있을 때에는 폐변(閉弁)하여 배전용기 (9)를 폐쇠하고, 배전이 종료한 후 개변(開弁)하여 배전용기(9)에 열림을 형성하여 , 이것에서 배전된 커피콩을 배전용기(9)밖으로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 제2도에 있어서 24는 배전용기 카버이며, 배전시에 고열이 되는 배전용기(9)에의 접속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배전용기 카버(24)는, 핀(24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25는 커피를 추출할 때에 사용하는 물이 들어 있는 탱크이며, 그 하단부에는 탱크(25)내의 물을 끓이기 위한 히타(26)가 설치되어 있다.
탱크(25) 내에서 끓은 열탕은 추출장치(1)의 상부카버(1b)에 접속된 파이프 (27)를 사이에 두고 추출부(5)로 보내어진다. 다음에 분쇄기(3)에 관하여 제1도 및 제4도(제4도는 상부 카버(1b)을 제거한 상태를 표시한다)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분쇄부(3)는 일반적으로 밀(mill)이라 불리우는 것으로서, 대략하여 분쇄부 용기(28)와 분쇄부 용기(28)내에 설치된 분쇄용 컷터(29)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분쇄부(3)는 배전된 커피콩이 투입되어, 분쇄용 컷터(29)를 도면으로 나타나지 않는 모터(제어회로(14)에 접속되어 있음)로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커피콩을 분쇄하는 것이다. 이 분쇄부(3)와, 배전부(2)와의 사이는 반송부(4)에서 연결되어 있다.
반송부(4)는 상기한 개폐기구(23)와, 반송파이트(30)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반송파이프(30)는 한끝단이 개폐기구(23)에 접속됨과 아울러, 다른 끝단이 분쇄부 용기(28)의 상부에 열려져 있다.
배전부(2)에서 배전된 커피콩은 이 반송부(4)를 통하여 분쇄부(3) 내에 반송된다.
추출부(5)는 드립퍼(31), 포트(32) 및 도시하지 않은 드립퍼 카버로서 구성되어 있다.
드립퍼(31)의 저면에는 커피추출용 필터(33)(제4도에 전개도로서 표시함)이 설치되어 있어, 또 드립퍼카버의 상부에 형성된 주탕부(柱湯部)에는 열탕을 부어 떨구기 위한 주탕구멍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히터(12)에 의하여 끓여진 탱크(25)의 열탕은, 드립퍼 카버의 상부로부터 부어 떨어뜨려 주탕구멍을 사이에 두고 드립퍼(31)에 부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분쇄부(3)는 추출부(5)에 대하여 높은 위치에 배설되어 있고, 또 분쇄부 용기(28)와 드립퍼(31)의 일부는 필터(34)를 사이에 두고 연이어 통하고 있다.
이 필터(34)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커피의 추출에 적합한 형상까지 분쇄된 커피콩만이 통과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분쇄부(3)에서 커피콩이 소정의 입경(粒徑) 이하로 분쇄되면, 분쇄용 컷터(29)의 회전에 수반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분쇄된 커피콩은 필터(34)를 통과하여 드립퍼(31)내에 쌓인다.
따라서 분해부(3)에서 추출부(5)에의 커피콩의 반송은 커피콩의 분쇄와 더불어 행하여진다.
이때, 커피콩은 분해용 컷터(29)의 회전력에 의하여 힘차게 추출부(5)에 반송된다.
그러나, 추출부(5)를 구성하는 드립퍼 카버로 형성된 열탕적하용의 주탕 구멍은 분해된 커피콩의 크기보다 크기(주탕구멍의 크기는 추출부(5)에 공급되는 열탕의 양에 의하여 결정되어 있다.)때문에 이 주탕구멍에서 분쇄된 커피콩이 휘어 흐터질 염려가 있다.
이것 때문에, 드립퍼 카버의 주탕부에는 분쇄된 커피콩의 통과를 저지할 수 있는 다수의 소경(小經)구멍이 형성된 필터판이 부착되어 있다.
이 필터판에 의하여 분쇄된 커피콩이 비산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이어서 상기 구성으로서는 추출장치(1)에 있어서 커피가 추출되는 과정을 순서를 따라 설명한다.
분원의 추출장치(1)에서는, 생콩 상태의 커피콩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콩 상태의 커피콩은 배전부(2)의 배전 용기(9) 내에 투입된다.
생콩 상태의 커피콩을 배전 용기(9)에 넣을 때는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배전용기 카버(24)를 올림과 아울러, 배전용기(9)를 회동시켜(배전용기(9)는 반송파이프(3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곧바로 세운다. 이 상태에서 생콩상태의 커피콩을 투입한다.
이때, 배전용기(9)는 곧바로 서있기 때문에 커피콩의 투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2도에 표시하는 상태로 배전용기(9)를 세트한다. 이어서 다이알 (15,16)을 조작하여 커피콩을 빻을 때의 굵기 및 커피의 농도를 선택하여, 추출장치(1)를 시동시킨다.
추출장치(1)가 시동하면 제어회로(14)는 송풍기(11), 히터(12), 모터(22) 및 히터(26)를 구동시켜 이것에 의하여 송풍기(11) 및 히터(12)로서 생성된 압축열풍은 송풍배관(17)을 사이에 두고 상두부(8)의 취출구(19)로 부터 배전용기(9) 내에 불어낸다.
이 열풍에 의하여 생콩상태의 커피콩은 배전된다.
또, 모터(22)에 의하여 배전용기(9)는 회동한다.
한편, 취출구(19)에서 불어나온 열풍은 배전용기(9)의 하두부(10)측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배전용기(9) 내에서 제2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은 흐름이 된다.
생콩상태의 커피콩에는, 그 표면에 엷은 껍질이 붙어 있어, 이 엷은 껍질이 붙은채로 배전된 커피콩을 추출하면 맛이 떨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하여, 본원과 같이 배전하는 수단으로서 열풍을 사용하면, 커피콩의 표면에 붙어 있던 엷은 껍질은 깨끗이 커피콩에서 떨어져 나간다.
이 떨어져 나간 엷은 껍질은 가볍기 때문에 열풍의 흐름에 의하여 떠다닌다.
상기와 같이 상두부(8)에는 흡인구(21)가 설치되어, 이 흡인구(21)는 흡인배관(18)을 사이에 두고 엷은막 수집부(13)에 접속되어 있다.
열풍은 흐름에 따라 흡인구(21)에 진입하여, 흡인배관(18) 및 엷은막 수집부(13)을 사이에 두고 대기로 방출된다. 이때, 열풍과 아울러 흡인구(21)에 들어온 엷은 껍질은 필터(13a)에 의하여 엷은막 수집부(13)내에 쌓인다.
또한, 이때 취출구(19)에는 필터(2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속에 엷은 껍질이 침입하는 일은 없다.
배전부(2)에서 소장시간 열풍이 불어서 커피콩의 배전이 종료하면, 제어회로 (14)의 타이머에 의하여 히터(12)는 정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배전용기(9) 내에는 송풍만 행하여지는 것이 된다.
커피콩이 분쇄부(3)에 반송되어도 불평이 생기지 않을 정도까지 냉각되면, 제어회로(14)는 개폐기구(23)에 신호를 부여하여 배전용기(9)를 열리게 한다.
반송부(4)의 반송 파이브(30)(제1도, 제4도 참조)는 배전부(2)에서 분쇄부(3)을 행하여 경사지기 때문에 배전된 커피콩은 분쇄부 용기(28)내로 투입되어 간다.
배전된 커피콩이 모두 분쇄부 용기(28) 내에 투입되면, 제어회로(14)에 의하여 분쇄용 컷트(29)가 회전하여 커피콩을 분쇄한다.
상기와 같이 소정의 크기를 분쇄된 커피콩은 분쇄용 컷터(29)의 회전에 수반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필터(33)를 통과하여 드립터(31)내에 반송된다.
그리고 모든 커피콩이 분쇄되어 드립퍼(31)내에 반송되면, 제어회로(14)는 파이프(27)에 배설된 발브(도시하지 않음)를 개별하여 히터(26)에서 끓어진 탱크(25)내의 열탕을 드립퍼 카버의 상부로부터 트립퍼(31)로 떨어뜨려, 따라서 포트(32)내에 추출된 커피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추출장치(1)에서는, 생콩상태의 커피콩을 배전하여, 이것을 즉시 분쇄, 추출하기 위하여 맛좋은 커피를 만들 수가 있다.
또, 배전시에 있어서 커피의 맛을 열화시켜 는 엷은 껍질을 제거할 수가 있으므로, 커피의 맛은 더욱 양호한 것이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40)(이하, 추출장치라 함)의 정면도이며, 제7도는 그 좌측면도, 제8도는 배전부(41)의 단면도이다.
더욱, 각 도면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서 표시한 추출장치(1)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와 대응하는 구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쳐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추출장치(40)는 그 기본구조에 관하여는 제1실시예에 관한 추출장치(1)와 거의 같으나, 배전부(41), 엷은 껍질 수집부(42), 개폐기구(43)등의 구조에 있어 차이가 있다.
배전부(41)는, 상두부(44) 및 하두부(45)가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어, 배전용기(46)는 이 고정된 상/하두부(44,45)에 대하여 자재로히 빼낼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배전용기(46) 내에는 2매의 날개(47a,47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전시에 배전용기(46)가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날개(47a,47b)도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배전용기(46)에 들어 있는 커피콩을 교반하기 위하여 커피콩을 골고루 배전할 수가 있다.
엷은 껍질 수집부(42)는, 상두부(44)내에 설치되어 있어 차프(chaff)(엷은 껍질) 박스(48), 챠프필터(49), 송풍투과 필터(50)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챠프박스(48)는 송풍투과 필터(50)의 하부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자유롭게 잡아뺄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두부로부터 빼낸 상태는 제8도에 일점 긴점선으로 표시함)
후술하는 것과 같이, 이 챠프박스(48)에는 배전중에 생콩상태의 커피콩에서 발생하는 엷은 껍질이 수집된다.
챠프필터(49)는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배전용기(46)의 열린부분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엷은 껍질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커피콩의 통과는 저지하는 크기의 복수의 슬리트(slit)가 형성되어 있다.
또, 송풍투과 필터(50)는 상두부(44)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어, 토출구 (吐出口)(51)로 부터 토출되는 상온 혹은 가열된 공기는 제8도 중 화살표로서 표시하는 것과 같은 경로를 통하여 송풍투과 필터(50)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 송풍투과 필터(50)는 커피콩에서 발생하는 엷은 껍질의 투과를 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엷은 껍질 수집부(42)에서는, 배전시 혹은 냉각시에 토출구(51)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부유하는 엷은 껍질은, 공기의 흐름에 따라 챠프필터(49)의 슬리트를 통과하여 송풍투과 필터(50)에 이른다.
그램으로 송풍투과 필터(50)는 엷은 껍질(52)(제8도에 표시)의 통과를 저지하기 위하여 엷은 껍질(52)은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고, 하부에 배설된 챠프박스(48) 내에 수집된다.
이와 같이 생콩상태의 커피콩에서 발생하는 엷은 껍질(52)은 엷은 껍질 수집부(42)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챠프박스(48)에 수집되어, 또 엷은 껍질의 처리도 단순히 챠프박스(48)를 상두부(44)에 뽑아내버리기만 하면 되기에 간단하다. 개폐기구(43)는, 배전용기(46), 샤터(53), 솔레노이드(5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9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배전용기(46)의 챠프필터(49)가 부착되는 측과 반대측의 열린 부분에는 밑판(55)이 고정되어 있어, 이 밑판(55)에는 배전된 커피콩의 통로가 되는 열린부(55a,55b)가 형성되어 있다.
샤터(53)는 밑판(55)과 대항하도록, 또한 동축적으로 배설되는 것으로, 상기 열린부(56a,56b)와 거의 같은 형상의 열린부(57a,57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샤터(53)는 배전용기(4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약간 강한 회전력을 가하지 않으면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밑판(55)의 열린부분(56a,56b)와 샤터(55)의 열린부분(57a,57b)이 샤터(53)의 회전에 수반하여 일치하면, 배전용기(46)는 개량되어, 커피콩은 배전용기(46)에서 열린 부분 (56a,56b,57a,57b)를 통하여 반송부(4)에 송출된다.
다시 샤터(53)의 측면부에는 오목한 부분(53a,53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솔레노이드(54)는 제8도 중, 스톱퍼핀(58)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이다.
이 스톱퍼핀(58)의 상단부는 샤터(53)의 측면부와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된 개폐기구(43)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배전개시 시에는 미리 밑판(55)의 열린부분(56a,56b)과 샤터(53)의 열린부분(57a,57b)이 일치하지 않도록 샤터(53)의 위치를 설정한 위에서 배전용기(46)를 상두부(44) 및 하두부(45)에 장착한다.
또, 샤터(53)는 소정치 이상의 회전력이 가하여지지 않는 한 배전용기(46)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따라서 배전시에 배전용기(46)가 회전하면 이것에 수반하여 일체적으로 샤터(53)도 회전하기 때문에 커피콩이 배전용기(46)에서 반송부(4)에 송출되는 일은 없다.
또한, 이때 스톱퍼핀(58)은 하동하지만 위치에 있다.
커피콩의 배전이 종료하면 제어회로(14)(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4비트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하여 배전에서 추출까지의 일련의 공정이 제어된다)는 솔레노이드(54)를 구동하여 스톱퍼핀(58)를 상동시킨다.
상동한 스톱퍼핀(58)은 샤터(53)의 회전에 수반하여 그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한 부분(53a,53b)에 걸맞추어 이 걸어맞춤에 의하여 샤터(53)의 회전은 정지된다.
그리하여 배전용기(46)는 의연하게 회전을 계속하므로, 샤터(53)는 상대적으로 배전용기(46)에 대하여 회전하고, 각 열린부분(56a,56b,57a,57b)은 대향하여 배전된 커피콩은 반송부(4)에 송출된다.
또, 각 열린부분(56a,56b,57a,57b)이 대향한 후, 스톱퍼핀(58)은 다시 하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드립방식의 추출장치(1)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사이폰 방식 혹은 다른 방식의 추출장치에 관하여도 본원이 적용되는 것은 명백하다.
또, 본 각 실시예에서는 배전을 행하기 위한 히터(12)와, 탱크(25)내의 물을 끓이는 히터(26)를 별체로 하였으나, 이 두개의 히터(12,26)을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추출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또, 본 각 실시예에서는 배전용기(9)를 추출장치 본체(1a)의 측부에 비스듬이 뉘인 상태로서 배설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의 배설양상을 생각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수직으로 세워서 배설하여도 좋다.
다시 본 각 실시예에서는, 반송부(4)를 사이에 두고 배전된 커피콩을 배전부(2)에서 분쇄부(3)에 반송하는 데에 반송파이프(30)의 경사를 이용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배전용기(9)의 내부에 나선상의 교반돌기를 설치하여, 이 배전용기(9)의 회전방향을 적절히 선정하여 배전시에는 커피콩을 교반시켜, 분쇄부(3)에의 반송시에는 역회전 시키는 것에 의하여 배전된 커피콩을 분쇄부(3)를 향하여 강제적으로 반송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더욱 이것 외에 송풍기(11)에서 보내오는 압축기체에 의하여 커피콩을 분쇄부(3)을 향하여 불어내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생콩상태의 커피콩을 배전한 후 즉시 이것을 분쇄하여 커피를 추출하기 위하여, 풍미 높고 맛좋은 커피를 추출 할 수가 있어 또 생콩상태의 커피콩을 배전하여, 분쇄하고, 추출하는 일련의 커피의 추출동작을 1대의 장치로서 전자동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풍미좋은 커피를 매우 용이하게 얻을 수 있어, 또 커피의 생콩에서 커피를 추출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커피콩을 배전 전의 생콩상태에서 보관할 수가 있어, 장기의 보존에 있어서도 커피의 맛이 열화하는 일 없이, 도리어 장기의 보존에 의하여 풍미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등 장점을 가진다.

Claims (1)

  1. 투입되는 생콩상태의 커피콩을 가열수단(12)에 의하여 가열하여 해당 커피콩을 배전하는 배전부(2)와, 해당 배전부에서 배전된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부(13)와, 상기 배전부(2)와 분쇄부(13)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해당 배전부(2)에서 배전된 커피콩을 배전 종료후 자동적으로 해당 분쇄부 내에 반송하는 반송부(4)와, 해당 분쇄부(13)에서 분쇄된 커피콩을 투입시켜 이것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부(5)와를 일체 구성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
KR1019890010539A 1988-01-25 1989-07-25 전자동 커피(coffee) 추출장치 KR910008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085 1988-01-25
JP63014086A JPH01190317A (ja) 1988-01-25 1988-01-25 全自動コーヒー抽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351A KR910002351A (ko) 1991-02-25
KR910008470B1 true KR910008470B1 (ko) 1991-10-18

Family

ID=1185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539A KR910008470B1 (ko) 1988-01-25 1989-07-25 전자동 커피(coffee) 추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95308A (ko)
JP (1) JPH01190317A (ko)
KR (1) KR910008470B1 (ko)
DE (1) DE3828453A1 (ko)
FR (1) FR2626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2005A (en) * 1988-09-02 1994-06-21 Nichimen Corporation High capacity coffee maker with improved filtration
US5190228A (en) * 1991-10-01 1993-03-02 Unidynamics Corporation Coffee grinder mount assembly
JPH05154053A (ja) * 1991-12-04 1993-06-22 Kazuo Enomoto コーヒーメーカ
JPH05154055A (ja) * 1991-12-04 1993-06-22 Kazuo Enomoto 小量焙煎用コーヒー焙煎器
JPH05161552A (ja) * 1991-12-11 1993-06-29 Kazuo Enomoto コーヒーメーカ
JPH05161551A (ja) * 1991-12-11 1993-06-29 Kazuo Enomoto コーヒーメーカ
US5269072A (en) * 1992-05-22 1993-12-14 Felknor International Coffee roaster
DE9304686U1 (ko) * 1993-03-27 1993-07-15 Neuendorff, Joachim, 7800 Freiburg, De
USRE37238E1 (en) 1994-11-03 2001-06-26 Hearthware Home Products, Inc.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US5564331A (en) * 1994-11-03 1996-10-15 Imex Corporation Ltd.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US5463932A (en) * 1995-01-19 1995-11-07 Olson; Allen W. Coffee maker
IT1280833B1 (it) * 1995-03-31 1998-02-11 Enrico Marogna Dispositivo per il controllo della macinatura del caffe', macchina macinadosatrice provvista di tale dispositivo e procedimento per il
US5749288A (en) * 1996-09-20 1998-05-12 Skaling; Tim Device for home roasting of coffee beans
FR2791227A1 (fr) 1999-03-23 2000-09-29 Croq O Pain France Appareil pour la torrefaction du cafe vert
US6227102B1 (en) 1999-04-27 2001-05-08 John C. K. Sham Automatic coffee maker with grinder
US6173506B1 (en) 1999-04-29 2001-01-16 Premark Wb Holdings, Inc. Roaster
NZ523125A (en) * 2000-06-26 2004-02-27 Snap On Tech Inc Alternator testing method and system using ripple detection
US6558726B2 (en) 2001-09-28 2003-05-06 The Metal Ware Corporation Coffee bean roasting apparatus
CA2474085C (en) * 2002-01-23 2010-12-21 Michael R. Caswell Coffee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US6460451B1 (en) 2002-04-26 2002-10-08 The Helman Group, Ltd. Popcorn maker
US6988444B1 (en) * 2002-05-15 2006-01-24 Grindmaster Corporation Combination grinder and brewer
WO2007041954A1 (en) * 2005-10-11 2007-04-19 Zhiping Li Coffee maker
US20090031900A1 (en) * 2007-06-12 2009-02-05 Barraclough James R Coffee maker
US9267730B2 (en) 2010-10-29 2016-02-23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d dispensing liquid enhancement components from a refrigerator
GB2484983A (en) * 2010-11-01 2012-05-02 Ikawa Ltd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US20140076167A1 (en) * 2012-09-15 2014-03-20 Deepak Boggavarapu Coffee preparation system
US20180000108A1 (en) * 2012-09-15 2018-01-04 Seva Coffe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ffee preparation
US10213047B2 (en) 2012-09-15 2019-02-26 Seva Coffee Corporation Coffee preparation system
EP3590350A1 (en) * 2012-09-15 2020-01-08 Deepak Boggavarapu Systems and methods for coffee preparation
WO2014181231A1 (en) * 2013-05-07 2014-11-13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unroasted beans and a coffee maker
WO2014207616A1 (en) * 2013-06-26 2014-12-31 Koninklijke Philips N.V.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ffee beans
EP3193684B1 (en) 2014-09-19 2019-08-07 Koninklijke Philip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roasting coffee beans, and coffee machine
US11006652B2 (en) * 2014-11-05 2021-05-18 Koninklijke Philips N.V. Coffee roasting apparatus, coffee brewing apparatus and method
GB2550106B (en) 2016-03-24 2018-08-29 Cambdev Ltd Coffee brewing system
KR20180133389A (ko) * 2016-04-13 2018-12-14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로스팅 및 분쇄 시스템
GB201705694D0 (en) * 2017-04-07 2017-05-24 Ikawa Ltd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GB201708215D0 (en) 2017-05-23 2017-07-05 Cambdev Ltd Apparatus for preparing herbal infusions
GB201715365D0 (en) 2017-09-22 2017-11-08 Cambdev Ltd Coffee brewing apparatus
GB201719687D0 (en) 2017-11-27 2018-01-10 Cambdev Ltd Extraction sleeve coffee making apparatus
GB201719683D0 (en) 2017-11-27 2018-01-10 Cambdev Ltd Improved extraction sleeve coffee infusion
GB201719682D0 (en) 2017-11-27 2018-01-10 Cambdev Ltd Improved extraction sleeve coffee brewing apparatus
WO2020115583A1 (en) * 2018-12-03 2020-06-11 Granot Eitan Foodstuff preparation device
CN111358312A (zh) * 2020-04-10 2020-07-03 金文� 一种烘焙研磨一体机
MX2022014833A (es) * 2020-06-10 2023-01-16 Nestle Sa Aparato y metodo para tostar granos de cafe.
MX2022016268A (es) * 2020-07-24 2023-03-03 Nestle Sa Aparato y proceso para tostar y descargar granos de caf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57C (ko) *
CH84257A (fr) * 1919-02-06 1920-03-01 Vincenzo Cappelli Appareil pour torréfier et moudre le café et pour en préparer ensuite un breuvage
DE524657C (de) * 1930-01-28 1931-05-12 Josef Petri D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affeebereitung
US2783149A (en) * 1953-08-10 1957-02-26 Violet De Beck Epstein Method of producing a coffee extract
CH349770A (de) * 1956-06-19 1960-10-31 Spezial Technik Et Verfahren zur Kaffeebereitung und Kaffee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3153377A (en) * 1963-02-11 1964-10-20 Bosak Paul Machine for coffee roasting, grinding and cooking
JPS57110146A (en) * 1980-12-26 1982-07-08 Shinji Moriya Baking of coffee beans and its device
US4484064A (en) * 1982-07-26 1984-11-20 Murray Jerome L Coffee roaster
EP0213645A1 (en) * 1985-05-09 1987-03-11 S.A. Innovi N.V. An apparatus for preparing coffee
JPS63304395A (ja) * 1987-06-04 1988-12-12 富士電機株式会社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焙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95308A (en) 1990-01-23
FR2626161A1 (fr) 1989-07-28
JPH01190317A (ja) 1989-07-31
JPH0344522B2 (ko) 1991-07-08
DE3828453A1 (de) 1989-08-03
FR2626161B1 (fr) 1992-12-31
KR910002351A (ko) 199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470B1 (ko) 전자동 커피(coffee) 추출장치
EP0386267B1 (en) Coffee maker
US5322005A (en) High capacity coffee maker with improved filtration
JP2799874B2 (ja) コーヒメーカの焙煎装置
JPH01190318A (ja) 全自動コーヒー抽出装置
JP3900056B2 (ja) 茶系飲料供給装置の茶葉供給装置
JP2004118680A (ja) 茶系飲料供給装置
KR100306058B1 (ko) 전자동커피메이커
JPH02237519A (ja) コーヒーメーカ
KR200225910Y1 (ko)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
JPH0316129B2 (ko)
JP3931779B2 (ja) 茶系飲料調理装置
JPH0795925A (ja) 全自動コーヒーメーカ
JPH0736803B2 (ja) 全自動コーヒー抽出装置
JPH03219837A (ja) コーヒ豆の焙煎装置
KR970002796B1 (ko) 전자동 커피메이커
KR102007932B1 (ko)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
JPH06292633A (ja) コーヒーメーカ
JPH0880255A (ja) コーヒーメーカ
JP3885761B2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KR200227419Y1 (ko)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JPH03149011A (ja) 全自動コーヒー抽出装置
JPH04224719A (ja) コーヒーメーカ
JP2808304B2 (ja) コーヒメーカ
JPH01285223A (ja) 全自動コーヒー沸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30921

Effective date: 19950217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