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932B1 -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7932B1 KR102007932B1 KR1020180146492A KR20180146492A KR102007932B1 KR 102007932 B1 KR102007932 B1 KR 102007932B1 KR 1020180146492 A KR1020180146492 A KR 1020180146492A KR 20180146492 A KR20180146492 A KR 20180146492A KR 102007932 B1 KR102007932 B1 KR 1020079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coffee
- supply device
- bean
- coffee bea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4—Powder dos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2—Liquid dos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원두분쇄기 및 물탱크를 통해 원두가루에 물을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원두커피추출기를 포함하는 커피 머신에 장착되는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로서, 상기 원두분쇄기를 통해 분쇄된 원두가루를 공급받아 원두커피추출기 측으로 공급하는 원두가루공급장치; 상기 원두가루공급장치의 하부에 배치되고, 원두가루공급장치에서 배출되는 원두가루를 통과시키며, 물탱크와 연결되어 물을 원두커피추출기 측으로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상기 원두가루공급장치와 물공급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선회운동을 통해 원두가루공급장치와 물공급장치 사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 상기 개폐장치에 형성된 회동부와 연결되어 개폐장치를 선회운동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와 물공급장치 및 원두분쇄기가 상부에 장착되며, 원두가루와 물을 원두커피추출기 측으로 공급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지지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원두가루의 양에 따라 물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일반적으로 원두커피와 인스턴트 커피로 구분할 수 있다. 원두커피는 인스턴트 커피와 다르게 원두로부터 직접 커피를 추출하고 있기 때문에 맛과 향이 뛰어난 특징이 있고, 그 맛과 향이 우수한 장점으로 인하여 소비층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원두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커피 머신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커피 머신은 예컨대, 생두(Green Bean)를 로스팅(Roasting)하고, 로스팅한 원두를 분쇄한 후 원두가루에 온수를 유입하여 드리핑(Dripping)을 진행함으로써, 원두커피를 추출토록 하고 있다.
여기서 이러한 커피 머신은 원두가루의 공급량에 따라 적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원두커피의 맛과 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는 원두가루를 공급하는 장치와 물을 공급하는 장치의 선회운동을 통해 원두커피추출기에 원두가루와 물을 번갈아가면서 공급하고 있는데, 이들의 선회운동 과정에서 원두가루와 물의 외부 누출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는 원두가루와 물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두가루와 물을 공급하는 구성요소들을 감싸 실링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며, 이 경우에도 선회운동 과정에서 원두가루가 바닥에 쓸리면서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두가루와 물을 번갈아가면서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조의 개선을 통해 원두가루와 물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는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원두분쇄기 및 물탱크를 통해 원두가루에 물을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원두커피추출기를 포함하는 커피 머신에 장착되는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로서,
상기 원두분쇄기를 통해 분쇄된 원두가루를 공급받아 커피추출기 측으로 공급하는 원두가루공급장치;
상기 원두가루공급장치의 하부에 배치되고, 원두가루공급장치에서 배출되는 원두가루를 통과시키며, 물탱크와 연결되어 물을 원두커피추출기 측으로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상기 원두가루공급장치와 물공급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선회운동을 통해 원두가루공급장치와 물공급장치 사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
상기 개폐장치에 형성된 회동부와 연결되어 개폐장치를 선회운동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와 물공급장치 및 원두분쇄기가 상부에 장착되며, 원두가루와 물을 원두커피추출기 측으로 공급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지지패널;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두가루공급장치는 원두가루가 배출되는 원두분쇄기의 출구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출구부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장치는 원두가루가 통과하는 유로가 중심부에 형성되고, 측면에 물이 유입되는 제1,2 주입부가 교차방향으로 각기 구비되며, 물이 배수되는 배수부가 하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장치는 제1,2 주입부가 측면에 각기 구비된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조립되고, 배출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노출되는 배수부가 하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하부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유로에 대응하는 사각모양으로 형성된 개구부,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폐쇄부 및 상기 폐쇄부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 주입부에 각기 연결되어 물공급장치와 물탱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제1 주입부와 연결관을 상호 연결하는 보조연결관;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원두커피추출기 측으로 원두가루와 물을 번갈아가면서 공급하는 과정에서 원두가루와 물의 외부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 가능함으로써,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가 장착되는 커피 머신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가 장착되는 커피 머신을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가 장착되는 커피 머신의 내부구조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를 결합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가 장착되는 커피 머신을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가 장착되는 커피 머신의 내부구조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를 결합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가 장착되는 커피 머신(1)을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외부커버(30)를 결합하여 커피 머신(1)의 전체적인 외부구조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가 장착되는 커피 머신(1)을 분해하여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외부커버(30)를 분리하여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 및 원두커피추출기(900)가 구비되는 커피 머신(1)의 내부구조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가 장착되는 커피 머신(1)의 내부구조를 측면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커피 머신(1)의 내부구조를 측면 양측에서 각각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는 생두(Green Bean)를 로스팅(Roasting)하고, 원두를 분쇄하며, 분쇄된 원두가루에 물을 공급하여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머신(1)의 내부에 장착되며,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원두분쇄기(700) 및 원두가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21a)와 연결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피 머신(1)은 다음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커피 머신(1)은 뼈대를 구성하는 상부프레임(11) 및 하부프레임(12)을 포함하는 베이스프레임(10), 상기 상부프레임(11)에 설치된 로스터기(100), 상기 로스터기(100)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로스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제연하는 제연기(200), 상기 로스터기(100)와 원두배출기(160)를 통해 연결되어 원두를 저장하는 제1,2 원두저장소(500)(6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원두저장소(500)와 연결되어 원두를 분쇄하는 원두분쇄기(700), 상기 원두분쇄기(700) 및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21)와 각기 연결되어 원두가루와 물을 공급하는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 상기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와 연결되어 물과 원두가루를 공급받아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원두커피추출기(9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피 머신(1)은 생두의 로스팅, 원두의 분쇄, 원두커피의 추출 등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커피 머신(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커넥터(51) 및 상기 전원커넥터(51)의 전원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전원스위치(52) 및 상기 전원커넥터(51)와 연결되어 커피 머신(1)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메인스위치를 포함하는 메인구동장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커피 머신(1)의 상부에 로스터기(100), 제연기(200) 및 제1 원두저장소(500) 등을 설치하고, 하부에 커피포트(2) 등을 안착시키기 위한 일종의 뼈대로서,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2)을 이격 배치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12)은 커피포트(2)에 저장 중인 원두커피의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PTC히터(20)가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상기 로스터기(100)는 커피 머신(1)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연기(200)와 연통하게 연결됨으로써, 생두의 로스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연이 가능토록 하게 된다.
이러한 로스터기(100)는 생두를 로스팅하도록 히터가 매립되는 로스팅 케틀(110), 로스팅이 완료된 로스팅 케틀(110)을 냉각시키는 냉각기(130) 및 로스팅 과정에서 배출되는 원두의 껍질을 저장하는 껍질저장소(117)를 포함한다. 그리고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를 제1,2 원두저장소(500)(600)로 배출하는 원두배출기(160)가 연결된다.
상기 원두배출기(160)는 로스터기(100)와 연결되어 원두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분기 형성된 제1,2 원두배출라인(160a)(160b) 및 상기 제1,2 원두배출라인(160a)(160b)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방향전환장치(160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방향전환장치(160c)는 예컨대, 스위블 모터(Swivel Motor)와 연동하여 회동하는 밸브(Valve)를 제1,2 원두배출라인(160a)(160b)의 분기점의 내부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용이하게 실시 가능하다.
또한, 상기 원두배출기(160)는 제1,2 원두배출라인(160a)(160b)의 분기점에 설치되어 진동을 통해 원두를 배출하는 진동발생기(160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발생기(160d)는 통상의 진동모터로 실시 가능하다.
상기 제1 원두저장소(500)는 제1 원두배출라인(160a)을 통해 로스터기(100)와 연결되어 방향전환장치(160c)를 통한 원두의 배출시 이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원두저장소(600)는 제2 원두배출라인(160b)을 통해 로스터기(100)와 연결되어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가 보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원두저장소(500)는 상부프레임(11)의 하부에 설치되며, 저장된 원두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제1 냉각팬(501)이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원두저장소(600)는 하부프레임(12)의 상부에 설치되며, 이 역시 저장된 원두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제2 냉각팬(602)이 하부프레임(12)에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원두저장소(500)는 상부에 열기배출구멍(511)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뚜껑(510)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 중인 원두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외부에서 원두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원두분쇄기(700)는 제1 원두저장소(5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운용되며, 원두커피의 추출을 위해 원두를 가루로 분쇄하게 된다.
이러한 원두분쇄기(700)는 예컨대, 두 개의 톱니바퀴 모양으로 되어있는 버(burr)가 위쪽과 아래쪽에 위치하여 간격 조정으로 원두의 굵기를 조정하며 회전을 통해서 원두를 분쇄하는 코니컬 버(Coincal Burr)를 통해 원두를 분쇄하는 분쇄구동부(701) 및 상기 분쇄구동부(701)와 어셈블리하여 분쇄가 완료된 원두가루를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되는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로 배출하는 원두가루배출부(70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두분쇄기(700)는 원두의 분쇄 정도를 제어하는 조작 레버(70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레버(703)는 외부커버(30)의 외부로 일단이 노출되어 손쉽게 분쇄 정도를 선택토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원두분쇄기(700)의 하부에 연결되어 분쇄된 원두가루와 물을 원두커피추출기(900)에 공급하기 위한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는 원두가루의 양에 따른 물의 공급량을 제어하여 일정한 원두커피의 맛과 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피 머신(1)에 장착되는 물탱크(21)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물탱크(21)는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와 연결관(21a)을 통해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커피 머신(1)은 물의 공급 및 가열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와 물탱크(21) 사이에 배치되는 펌프(22) 및 순간 가열방식의 온수히터(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탱크(21)는 온수히터(23)를 통해 순간 가열한 온수를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에 펌프(22)를 통해 뜸을 위한 물로 1차 공급하고, 예컨대 40초 정도의 뜸 이후에 드립을 위한 물로 2차 공급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초 온수의 공급시 발생하는 거품으로 인한 넘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원두커피추출기(900)는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에서 공급된 물과 원두가루를 이용하여 원두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여과지(901) 및 상기 여과지(901)를 통해 추출된 원두커피를 커피포트(2)에 공급하기 위한 추출 포트(902)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피 머신(1)은 베이스프레임(10)을 구성하는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2)에 각각 조립되어 상기 커피 머신(1)의 외관을 구성하게 되며, 내부의 열기를 배출하는 덕트(31)가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외부커버(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커버(3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덕트(31)는 예컨대, 서비스패널로 지칭 가능하다.
이러한 외부커버(30)는 제2 원두저장소(600)를 커피 머신(1)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출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원두저장소(600)는 커피 머신(1)의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를 통해 내부에 저장 중인 원두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를 결합하여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지지패널(84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844)를 통해 원두분쇄기(700), 물공급장치(830) 및 구동장치(850)가 분산 설치되고, 상기 물공급장치(830)와 원두가루공급장치(820) 사이에 개폐장치(810)가 배치된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를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를 평면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원두분쇄기(700), 물공급장치(830) 및 개폐장치(810)가 지지패널(840)에 분산 설치되고, 보조연결관(832)을 통해 상기 물공급장치(830)에 연결관(21a)이 연결된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를 분해하여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지지패널(840)에서 원두분쇄기(700), 물공급장치(830), 원두가루공급장치(820), 개폐장치(810) 및 구동장치(850)를 분리하고, 상기 물공급장치(830)를 분해하여 상부몸체(830a)와 하부몸체(830b)로 구성된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를 하부에서 바라봤을 때를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지지패널(840)에 형성된 배출구(842)를 통해 외부 노출되는 하부몸체(830b)의 유로(831)와 배수부(833)의 구성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의 요부를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구동장치(850)를 통해 선회운동하는 개폐장치(810)가 원두가루공급장치(820)와 물공급장치(830)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5 내지 9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는 원두분쇄기(700)와 연결되는 한편 연결관(21a)을 통해 물탱크(21)와 연결되어 물 및 원두가루를 원두커피추출기(도 2의 900 참조)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는 원두분쇄기(700)로부터 분쇄가 완료된 원두가루를 원두커피추출기로 공급하는 원두가루공급장치(820), 상기 원두가루공급장치(8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원두가루공급장치(820)에서 배출되는 원두가루를 통과시키며, 물을 원두커피추출기로 공급하는 물공급장치(830) 및 상기 원두가루공급장치(820)와 물공급장치(830) 사이에 배치되며, 선회운동을 통해 원두가루공급장치(820)와 물공급장치(830) 사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8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810)에 형성된 회동부(811)와 연결되어 개폐장치(810)를 선회운동시키는 구동장치(850) 및 상기 구동장치(850), 물공급장치(830) 및 원두분쇄기(700)가 상부에 장착되며, 물 및 원두가루를 원두커피추출기 측으로 공급하는 배출구(842)가 형성된 지지패널(84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800)는 예컨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하게 되는 지지패널(840)을 통해 커피 머신(도 2의 1 참조)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용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패널(840)은 상부에 장착되는 구동장치(850), 물공급장치(830) 및 개폐장치(810) 등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며, 예컨대 원두분쇄기(700)와 구동장치(850) 등이 스크루를 포함하는 통상의 체결수단에 의해 장착 가능하도록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844)가 돌출 형성되고, 물공급장치(810)의 유로(831)와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원형의 배출구(842)가 형성된다.
상기 원두가루공급장치(820)는 원두분쇄기(700)를 통해 분쇄된 원두가루를 공급받아 원두커피추출기 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원두가루공급장치(820)는 원두분쇄기(700)에 구성된 출구부(702a)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출구부(702a)의 하부에 예컨대, 볼팅(Bolting) 설치되며, 원두가루의 유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내측에 관통 형성된 공간부(821)가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장치(830)는 원두가루공급장치(820)의 하부에 배치되되, 지지패널(840)의 배출구(842)와 원두가루공급장치(820)의 공간부(821)를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원두가루공급장치(820)에서 배출된 원두가루를 통과시키게 된다.
즉 상기 물공급장치(830)는 중심부에 유로(831)가 형성됨으로써, 원두가루공급장치(820)의 하부에 배치되더라도 상기 원두가루공급장치(820)에서 배출된 원두가루가 배출구(842)를 거쳐 원두커피추출기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물공급장치(830)는 물탱크(도 2의 21 참조)와 연결되어 물을 원두커피추출기 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물공급장치(830)는 물이 유입되는 주입부(832a)(832b)가 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입부(832a)(832b)는 제1 주입부(832a)와 제2 주입부(832b)로 분리 구성되어 물공급장치(830)의 측면에 교차방향으로 각기 구비됨으로써, 물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며, 내부에 유입된 물의 배수시 다수의 물줄기가 뭉치지 않고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배수부(833)가 하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1 주입부(832a)에는 연성호스(Flexible hose)로 실시 가능한 보조연결관(832)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보조연결관(832)의 타단에 물탱크(21)와 보조연결관(832)을 연결하여 일정량의 물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관(21a)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주입관(832b)에는 연결관(21a)이 직접 연결되어 물탱크(21)에 저장되어 물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상기 물공급장치(830)는 상부몸체(830a)와 하부몸체(830b)로 분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몸체(830a)의 측면에 제1,2 주입부(832a)(832b)가 각기 구비되고, 상기 하부몸체(830b)의 하부에 배수부(833)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830a)와 하부몸체(830b)는 서로 조립되어 물공급장치(830)를 구성하게 되며, 배출구(842)의 상부에 상기 하부몸체(830b)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배출구(842)를 통해 배수부(833)가 외부노출된다.
상기 개폐장치(810)는 물공급장치(830)와 원두가루공급장치(820) 사이에 배치되어 예컨대, 통상의 스위블 모터(Swivel Motor)로 실시되는 구동장치(850)의 작동에 따라 선회운동하면서 상기 물공급장치(830)와 원두가루공급장치(820) 사이를 개폐하게 된다.
이러한 개폐장치(810)는 얇은 패널의 형태로 구성되어 구동장치(850)를 통한 선회운동을 통해 유로(831)와 공간부(821)를 연통시 원두커피추출기 측으로 원두가루가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유로(831)와 공간부(821)를 폐쇄시 물이 원두커피추출기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개폐장치(810)는 유로(831)에 대응하는 사각모양으로 형성된 개구부(812)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로(831)를 폐쇄하는 폐쇄부(813)가 형성되며, 구동장치(850)와의 축 연결을 위한 회동부(811)가 상기 폐쇄부(813)의 일측에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개구부(812)는 유로(831)와 공간부(821)를 연통시켜 상기 공간부(821)와 유로(831)를 통과한 원두가루가 배출구(842)를 거쳐 원두커피추출기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게 된다.
반대로 폐쇄부(813)는 유로(831)와 공간부(821)를 가로막음으로써, 원두가루 대신 물이 원두커피추출기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이러한 원두가루와 물의 공급 여부는 커피 머신에 구성되어 있는 제어부를 통한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원두분쇄기(700)를 통한 원두의 분쇄가 완료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장치(850)가 개폐장치(810)를 선회운동시켜 원두가루공급장치(820)에서 배출되는 원두가루가 원두커피추출기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원두가루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장치(850)가 개폐장치(810)를 선회운동시켜 물공급장치(830)에서 배수되는 물이 원두커피추출기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게 된다.
예컨대, 원두커피추출기에 공급되는 물은 펌프(도 4의 22 참조) 및 온수히터(도 4의 23 참조)를 통해 온수를 일정 간격을 두고 1,2차에 걸쳐 공급함으로써, 마치 사람이 직접 수작업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듯한 뜸들이기가 가능토록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개폐장치(810)의 선회운동만으로 원두가루의 공급량에 따라 적정량의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어 다양한 맛과 향기의 원두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커피 머신 2 - 커피포트
10 - 베이스프레임 11 - 상부프레임
12 - 하부프레임 20 - PTC히터
21 - 물탱크 21a - 연결관
22 - 펌프 23 - 온수히터
30 - 외부커버 31 - 덕트
50 - 메인구동장치 51 - 전원커넥터
52 - 전원스위치 100 - 로스터기
110 - 로스팅 케틀 117 - 껍질저장소
130 - 냉각기 160 - 원두배출기
160a - 제1 원두배출라인 160b - 제2 원두배출라인
160c - 방향전환장치 160d - 진동발생기
200 - 제연기 500 - 제1 원두저장소
501 - 제1 냉각팬 510 - 뚜껑
511 - 열기배출구멍 600 - 제2 원두저장소
700 - 원두분쇄기 701 - 분쇄구동부
702 - 원두가루배출부 702a - 출구부
703 - 조작 레버 800 -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
810 - 개폐장치 811 - 회동부
812 - 개구부 813 - 폐쇄부
820 - 원두가루공급장치 821 - 공간부
830 - 물공급장치 830a - 상부몸체
830b - 하부몸체 831 - 유로
832 - 보조연결관 832a - 제1 주입부
832b - 제2 주입부 833 - 배수부
840 - 지지패널 842 - 배출구
844 - 체결부 850 - 구동장치
860 - 밀폐커버 900 - 원두커피추출기
901 - 여과지 902 - 추출 포트
10 - 베이스프레임 11 - 상부프레임
12 - 하부프레임 20 - PTC히터
21 - 물탱크 21a - 연결관
22 - 펌프 23 - 온수히터
30 - 외부커버 31 - 덕트
50 - 메인구동장치 51 - 전원커넥터
52 - 전원스위치 100 - 로스터기
110 - 로스팅 케틀 117 - 껍질저장소
130 - 냉각기 160 - 원두배출기
160a - 제1 원두배출라인 160b - 제2 원두배출라인
160c - 방향전환장치 160d - 진동발생기
200 - 제연기 500 - 제1 원두저장소
501 - 제1 냉각팬 510 - 뚜껑
511 - 열기배출구멍 600 - 제2 원두저장소
700 - 원두분쇄기 701 - 분쇄구동부
702 - 원두가루배출부 702a - 출구부
703 - 조작 레버 800 -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
810 - 개폐장치 811 - 회동부
812 - 개구부 813 - 폐쇄부
820 - 원두가루공급장치 821 - 공간부
830 - 물공급장치 830a - 상부몸체
830b - 하부몸체 831 - 유로
832 - 보조연결관 832a - 제1 주입부
832b - 제2 주입부 833 - 배수부
840 - 지지패널 842 - 배출구
844 - 체결부 850 - 구동장치
860 - 밀폐커버 900 - 원두커피추출기
901 - 여과지 902 - 추출 포트
Claims (5)
-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원두분쇄기 및 물탱크를 통해 원두가루에 물을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원두커피추출기를 포함하는 커피 머신에 장착되는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로서,
상기 원두분쇄기를 통해 분쇄된 원두가루를 공급받아 원두커피추출기 측으로 공급하는 원두가루공급장치;
상기 원두가루공급장치의 하부에 배치되고, 원두가루공급장치에서 배출되는 원두가루를 통과시키며, 물탱크와 연결되어 물을 원두커피추출기 측으로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상기 원두가루공급장치와 물공급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선회운동을 통해 원두가루공급장치와 물공급장치 사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
상기 개폐장치에 형성된 회동부와 연결되어 개폐장치를 선회운동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와 물공급장치 및 원두분쇄기가 상부에 장착되며, 원두가루와 물을 원두커피추출기 측으로 공급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지지패널;
을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장치는 원두가루가 통과하는 유로가 중심부에 형성되고, 측면에 물이 유입되는 제1,2 주입부가 교차방향으로 각기 구비되며, 물이 배수되는 배수부가 하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제1,2 주입부가 측면에 각기 구비된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조립되고, 배출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노출되는 배수부가 하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하부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두가루공급장치는 원두가루가 배출되는 원두분쇄기의 출구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출구부의 하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유로에 대응하는 사각모양으로 형성된 개구부,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폐쇄부 및 상기 폐쇄부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6492A KR102007932B1 (ko) | 2018-11-23 | 2018-11-23 |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6492A KR102007932B1 (ko) | 2018-11-23 | 2018-11-23 |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7932B1 true KR102007932B1 (ko) | 2019-08-06 |
Family
ID=67612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6492A KR102007932B1 (ko) | 2018-11-23 | 2018-11-23 |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7932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56620U (ko) * | 1979-04-27 | 1980-11-11 | ||
KR101152836B1 (ko) * | 2009-05-14 | 2012-06-12 | 김명기 | 드립퍼 장치 |
KR20120117375A (ko) * | 2011-04-15 | 2012-10-24 | 주식회사 다인 |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
KR20130079663A (ko) * | 2011-09-13 | 2013-07-10 | 콘에어 코포레이션 | 음료 추출 기기 및 방법 |
KR20170099075A (ko) * | 2016-02-23 | 2017-08-31 | 박준영 | 착탈 가능한 블록형 물공급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
KR101775685B1 (ko) | 2016-11-03 | 2017-09-06 | 주식회사 테쿰 | 물 및 원두 자동공급장치 |
KR101796486B1 (ko) | 2017-03-14 | 2017-12-01 | 주식회사 테쿰 | 커피 머신 |
-
2018
- 2018-11-23 KR KR1020180146492A patent/KR1020079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56620U (ko) * | 1979-04-27 | 1980-11-11 | ||
KR101152836B1 (ko) * | 2009-05-14 | 2012-06-12 | 김명기 | 드립퍼 장치 |
KR20120117375A (ko) * | 2011-04-15 | 2012-10-24 | 주식회사 다인 |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
KR20130079663A (ko) * | 2011-09-13 | 2013-07-10 | 콘에어 코포레이션 | 음료 추출 기기 및 방법 |
KR20170099075A (ko) * | 2016-02-23 | 2017-08-31 | 박준영 | 착탈 가능한 블록형 물공급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
KR101775685B1 (ko) | 2016-11-03 | 2017-09-06 | 주식회사 테쿰 | 물 및 원두 자동공급장치 |
KR101796486B1 (ko) | 2017-03-14 | 2017-12-01 | 주식회사 테쿰 | 커피 머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5685B1 (ko) | 물 및 원두 자동공급장치 | |
KR910008470B1 (ko) | 전자동 커피(coffee) 추출장치 | |
KR101796486B1 (ko) | 커피 머신 | |
US5498757A (en) | Milk frothing and heating system | |
KR101612040B1 (ko) | 자동 커피 추출장치 | |
KR101896838B1 (ko) | 자동 드립 커피 머신 | |
US10004354B2 (en) | Coffee making appliance for brewing coffee | |
KR101285558B1 (ko) | 커피추출장치 및 방법 | |
KR102007932B1 (ko) |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 | |
CN107126092B (zh) | 一种带自动清洗功能的咖啡机 | |
JP2006346061A (ja) | コーヒー沸かし器 | |
JP3900056B2 (ja) | 茶系飲料供給装置の茶葉供給装置 | |
KR200225910Y1 (ko) |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 | |
KR20060108043A (ko) | 멀티 푸드메이커 | |
KR100675750B1 (ko) | 분쇄공정 및 커피제조공정 수행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 |
KR200227419Y1 (ko) |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 |
KR20160045259A (ko) | 전자동 원두커피 메이커 | |
JPH01190318A (ja) | 全自動コーヒー抽出装置 | |
KR20240051556A (ko) | 오작동에 의한 손상한 커피메이커 | |
KR20240051506A (ko) | 쿨링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 |
KR20240026041A (ko) | 커피원두 분쇄 및 커피제조공정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 |
JP3931779B2 (ja) | 茶系飲料調理装置 | |
KR200256455Y1 (ko) | 커피 추출장치 | |
KR200334311Y1 (ko) | 두유제조기 | |
KR20010025521A (ko) |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