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375A -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375A
KR20120117375A KR1020110035100A KR20110035100A KR20120117375A KR 20120117375 A KR20120117375 A KR 20120117375A KR 1020110035100 A KR1020110035100 A KR 1020110035100A KR 20110035100 A KR20110035100 A KR 20110035100A KR 20120117375 A KR20120117375 A KR 20120117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apsule
cap
tray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4549B1 (ko
Inventor
최석종
심윤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
Priority to KR1020110035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54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분말이나 차원료, 한약재 등이 충진되는 캡슐을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 상부에 부착된 커버를 통해 액체를 공급하고 캡슐 몸체의 하면을 통해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추출장치는 캡슐이 안착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밀착되 캡; 상기 캡에 구비되며, 상기 캡슐을 개구하고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펀치; 및 음료를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캡슐을 개구하는 토출펀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EXTRACTION APPARATUS OF BEVERAGE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피분말이나 차원료, 한약재 등이 충진되는 캡슐을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 상부에 부착된 커버를 통해 액체를 공급하고 캡슐 몸체의 하면을 통해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일회용 팩으로서 캡슐이 사용되고 있다. 캡슐은 사용자가 정확한 커피의 양을 계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또한 커피 분말을 기밀상태로 보관하기 때문에 습기로부터 보호되어 커피분말의 변질없이 장시간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향기밀봉(aroma-tight)방식으로 패키징되어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캡슐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캡슐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온수를 주입하면 음료가 생성되어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토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음료 추출장치는 캡슐의 상부와 하부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캡슐을 트레이에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캡슐 내부에 액체를 공급함과 동시에 자연적으로 낙하하여 음료로 추출되기 때문에 충진물이 충분히 용해되거나 우러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 상부에 부착된 커버를 통해 액체를 공급하고 캡슐 하부를 통해 음료를 추출하고, 캡슐의 로딩 및 언로딩이 용이한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진물을 충분히 용해하거나 우려낼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추출장치는 캡슐이 안착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밀착되 캡; 상기 캡에 구비되며, 상기 캡슐을 개구하고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펀치; 및 음료를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캡슐을 개구하는 토출펀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출펀치는 상기 트레이를 관통하여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는 토출되는 음료를 취합하는 캐비티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비티는 반구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료가 토출되는 토출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캡을 선회하면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캡의 일단이 결합되며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가이드홈에 구속되도록 상기 캡에 구비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부 또는 나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선회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추출방법은 1) 캡슐의 커버가 상방을 향하도록 트레이에 안착하는 단계; 2) 캡을 하강하여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밀착시키는 단계; 3) 상기 캡슐의 커버에 액체공급홀을 형성하고, 캡슐의 몸체 하면에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홀을 개구하는 단계; 4) 상기 액체공급홀을 통해 액체를 공급하는 단계; 및 5) 상기 액체가 충진물을 용해하거나 우려내어 생성된 음료를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2)단계에서 상기 캡은 선회하면서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단계와 3)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4)단계시 토출유로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액체를 공급하고, 소정시간 경과후 상기 토출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5)단계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5)단계는 설정된 농도에 맞게 상기 액체를 추가공급하면서 음료를 토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슐 상부에 부착된 커버를 통해 액체를 공급하고 캡슐 몸체의 하면을 통해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레이의 상방에서 캡을 선회하면서 승강하기 때문에 캡슐의 로딩 및 언로딩이 용이하다.
또한 토출유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액체를 공급하고, 소정시간 경과 후 토출유로를 개방하기 때문에 액체가 충진물을 충분히 용해하거나 우려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음료의 농도를 조절하여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캡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추출장치에 사용되는 캡슐은 커피분말 뿐 아니라 차, 한방 기능성 건강음료 원료, 한약재, 간식용 음료의 원료 등(이하, '충진물'이라고 한다)을 충진하고, 물 또는 기타 액체 등을 공급하여 커피나 차나 한약 또는 간식용 음료 등(이하, '음료'라고 한다)을 추출하기 위한 캡슐이다. 또한 충진물은 용해성 또는 비용해성을 가리지 않고, 또한 분말뿐 아니라 소정의 점도를 갖는 액상일 수도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추출장치에 적용되는 캡슐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캡슐(100)은 상부가 개방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를 밀봉하는 커버(120)와, 분배판(130)과, 부직포(140)와, 필터(150)를 포함한다. 상기 분배판(130)은 원형의 플레이트에 액체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원추형태로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150)는 원형의 플레이트에 음료가 통과하는 토출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토출공은 상협하광(上狹廣下)의 원추형태로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몸체(110)의 하면에는 개구가 용이하도록 언더컷부(112)가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추출장치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받침대(211)와, 물통(212)과, 프레임(213)과, 상기 프레임(213)상에 형성된 캠샤프트(220)와, 상기 프레임(213)에 연결된 본체(240)와, 상기 캠샤프트(220)에 연결 설치된 캡(231)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240)는 캡슐이 안착되는 트레이(241)와, 상기 트레이(241)에 안착된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기 위하여 상기 캡슐 몸체의 하면(도 1의 112 참조)을 개구하는 토출펀치(242)와, 추출된 음료가 토출되는 토출유로 상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244)와, 추출된 음료가 최종 토출되는 토출구(245)를 포함한다. 상기 토출펀치(242)는 트레이(241)를 관통하여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는 토출되는 음료가 취합되는 캐비티(2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캐비티(243)는 음료의 취합 및 흐름이 원활하도록 반구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캡(231)은 트레이(241)에 밀착되어 캡슐을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캡(231)의 내측 중심부에는 캡슐의 커버를 개구하고 온수 등의 액체를 고압으로 공급하는 액체공급펀치(23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캠샤프트(220)는 원통형으로 프레임(213)상에 형성되는데, 상기 캠샤프트(22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1 이상의 가이드홈(22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21)은 제1수직부(221a)와, 나선방향으로 형성된 선회부(221b)와, 제2수직부(221c)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제1수직부 없이 선회부와 제2수직부만으로 형성되거나 수직부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선회부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캡(231)의 일단은 상기 캠샤프트(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고, 상기 캠샤프트(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21)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232)이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추출장치의 작동상태 및 음료 추출방법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체(240)의 트레이(241)에 커버(120)가 상방을 향하도록 캡슐(100)을 안착한다(도 4의 (a)참조).
한편, 이 때, 상기 캡(231)은 (a)와 같이 트레이(241)에 밀착되지 않고 일정높이 이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b)와 같이 트레이(241)의 수직상방이 아닌 측방으로 도피되어 있다. 이는 캡슐(100)을 본체의 트레이(241)에 장착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가이드핀(232)이 캠샤프트(220)에 형성된 가이드홈(221)의 상사점(제1수직부의 상단)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캡(231)을 트레이(241)에 밀착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픈상태의 캡(231)을 하강하면 가이드핀(232)은 가이드홈(221)을 따라 하강하는데 특히, (b)와 같이 가이드핀(232)이 선회부(도 2의 221b 참조)를 따라 하강하여 캡(231)은 트레이(241)의 상부에 완전히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 캡(231)을 하강한 후,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록킹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캡(231)을 트레이(241)에 밀착시키면, 액체공급펀치(243)가 캡슐의 커버(120)를 개구하고, 토출펀치(242)가 캡슐의 하면을 개구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액체공급펀치(243)의 내부를 통해 고압의 온수를 공급하면, 충진물(P)이 온수에 용해되거나 우러나와 음료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음료는 부직포(140)와 필터(150)의 토출공을 통해 토출되어 트레이(241)의 하방에 형성된 캐비티(243)에 고이게 된다. 한편, 음료의 토출유로는 솔레노이드밸브(244)에 의해 폐쇄되어 일정시간 토출되지 못한다. 충진물이 충분히 용해되거나 우려질 수 있도록 온수가 캡슐 내부에 일정시간 머무르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충진물의 특성 및 캡슐의 체적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244)의 개방시간이 제어된다.
일정 시간 경과 후, 솔레노이드 밸브(244)를 개방하여 음료를 토출한다. 또한, 이 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토출되는 음료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음료가 토출될 때, 추가적으로 액체공급펀치로 온수를 공급하는 것이다.
200: 실시예 211: 받침대
212: 물통 213: 프레임
220: 캠샤프트 221: 가이드홈
230: 리드 231: 캡
232: 가이드 핀 233: 액체공급펀치
240: 본체 241: 트레이
242: 토출펀치 243: 캐비티
244: 솔레노이드밸브 245: 토출구

Claims (15)

  1. 캡슐이 안착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밀착되 캡;
    상기 캡에 구비되며, 상기 캡슐을 개구하고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펀치; 및
    음료를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캡슐을 개구하는 토출펀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펀치는 상기 트레이를 관통하여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는 토출되는 음료를 취합하는 캐비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반구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음료가 토출되는 토출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캡을 선회하면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캡의 일단이 결합되며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가이드홈에 구속되도록 상기 캡에 구비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부 또는 나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선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11. 1) 캡슐의 커버가 상방을 향하도록 트레이에 안착하는 단계;
    2) 캡을 하강하여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밀착시키는 단계;
    3) 상기 캡슐의 커버에 액체공급홀을 형성하고, 캡슐의 몸체 하면에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홀을 개구하는 단계;
    4) 상기 액체공급홀을 통해 액체를 공급하는 단계; 및
    5) 상기 액체가 충진물을 용해하거나 우려내어 생성된 음료를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상기 캡은 선회하면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와 3)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시 토출유로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액체를 공급하고, 소정시간 경과후 상기 토출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5)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는 설정된 농도에 맞게 상기 액체를 추가공급하면서 음료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방법.



KR1020110035100A 2011-04-15 2011-04-15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KR101284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100A KR101284549B1 (ko) 2011-04-15 2011-04-15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100A KR101284549B1 (ko) 2011-04-15 2011-04-15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375A true KR20120117375A (ko) 2012-10-24
KR101284549B1 KR101284549B1 (ko) 2013-07-11

Family

ID=4728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100A KR101284549B1 (ko) 2011-04-15 2011-04-15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5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932B1 (ko) * 2018-11-23 2019-08-06 주식회사 테쿰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
KR20190110331A (ko) 2018-03-20 2019-09-30 주식회사 아하 가이드 모듈 및 하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KR102477170B1 (ko) * 2022-10-13 2022-12-15 주식회사 아이덱스 자동판매기의 캡슐 토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3479B (en) * 2004-02-17 2006-06-28 Kraft Foods R & D Inc An insert and a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KR100922940B1 (ko) * 2004-10-01 2009-10-22 하우스브란트 트리에스테 1892 에스피에이 캡슐에 내포되어 있는 원료를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 및전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E202004021229U1 (de) * 2004-11-19 2007-03-29 Tchibo Gmbh System mit einer Kaffeemaschine und einer Portionskapsel
EP2133008A1 (de) * 2008-06-09 2009-12-16 Tchibo GmbH Brühkammer und Brüh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Brühkamm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331A (ko) 2018-03-20 2019-09-30 주식회사 아하 가이드 모듈 및 하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KR102007932B1 (ko) * 2018-11-23 2019-08-06 주식회사 테쿰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
KR102477170B1 (ko) * 2022-10-13 2022-12-15 주식회사 아이덱스 자동판매기의 캡슐 토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549B1 (ko)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2985C2 (ru) Способ заваривания чайных листьев, содержащихся в капсуле
KR101284550B1 (ko)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US20130247774A1 (en)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Starting From an Infusion Product Contained in an Interchangeable Capsule
EP2177460A1 (en) Crema forming septum for installation downstream of a chamber containing a substance in powder form for extracting a beverage, such as ground coffee
JP2010512202A (ja) 一回量カプセルで飲料を作る機械用のディスペンシングヘッド及びディスペンシングヘッドを備えた機械
RU2012143360A (ru) Капсулы для получения настоев, таких как кофе эспрессо, или напитков из водорастворимых продуктов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машины, использующие такие капсулы
KR20070119661A (ko) 특히 음료수인 액체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와 일회용캡슐
KR101284549B1 (ko)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KR20120106833A (ko) 세척 시스템을 갖는 음료용 인퓨전 유닛
KR101327549B1 (ko)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KR20120093949A (ko) 커피 추출용 추출 유닛
KR101284552B1 (ko)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KR20120114741A (ko)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KR20120117529A (ko)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ITTO20090646A1 (it) Sistema, capsula, macchina percolatrice e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per infusione a concentrazione selezionabile dall'utente
KR101284257B1 (ko) 음료 추출장치의 리드
KR101284566B1 (ko)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KR20210059510A (ko)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CN110234256B (zh) 用于冲泡饮料的浸泡设备和方法
KR20120113893A (ko) 캡슐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추출방법
KR101289339B1 (ko) 음료 추출장치
KR20120117473A (ko)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KR101262237B1 (ko) 음료 추출용 캡슐
KR20120117319A (ko) 캡슐
CN109431275B (zh) 带背压的饮料胶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