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041A - 커피원두 분쇄 및 커피제조공정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 Google Patents

커피원두 분쇄 및 커피제조공정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041A
KR20240026041A KR1020220104406A KR20220104406A KR20240026041A KR 20240026041 A KR20240026041 A KR 20240026041A KR 1020220104406 A KR1020220104406 A KR 1020220104406A KR 20220104406 A KR20220104406 A KR 20220104406A KR 20240026041 A KR20240026041 A KR 20240026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housing
grinding
bean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버블바스켓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버블바스켓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버블바스켓 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220104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6041A/ko
Publication of KR20240026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04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원두를 분쇄하여 커피가루를 만드는 분쇄공정과 분쇄된 커피가루에 고온의 물을 공급하여 커피를 제조하는 공정이 가능한 커피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첫째, 커피를 다리는 공정을 단순하게 함과 동시에 커피 다리는 공정을 위생적으로 하고, 커피메이커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커피메이커를 제공하고, 둘째, 본체에 안착된 하우징에 고온의 물을 공급하는 공정을 펌프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도 공급할 수 있는 커피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안착되면서 커피원두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커피원두를 분쇄하여 커피가루를 제조하는 분쇄수단; 상기 분쇄수단에 의하여 제조된 커피가루를 수용하고 하우징에 수용되는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에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커피원두를 분쇄할 경우에는 하부하우징을 사용하고, 분쇄된 커피가루로 커피를 다릴 경우에는 하부하우징을 사용하게 하는 구성을 취하여 공정에 따라 하우징을 180도 뒤집어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커피원두 및 커피가루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위생적으로 커피를 다릴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커피제조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고, 분쇄 공정 및 커피 다리는 공정을 하나의 하우징으로 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커피메이커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둘째, 상부하우징에 장착된 바스켓에 고온의 물을 공급하는 공급원을 펌프 등과 같은 별도의 동력원을 구비하지 않고 증기압을 이용해 드립터를 통하여 바스켓에 고온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원두 분쇄 및 커피제조공정이 가능한 커피메이커{Coffee maker capable of grinding coffee beans and making coffee}
커피를 다리는 공정을 단순하게 함과 동시에 커피다리는 공정을 위생적으로 하고, 커피메이커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커피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커피원두를 분쇄하여 커피가루를 만드는 분쇄공정과 분쇄된 커피가루에 고온의 물을 공급하여 커피를 제조하는 공정이 가능한 커피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커피를 다리는 공정을 단순하게 함과 동시에 커피 다리는 공정을 위
생적으로 하고, 커피메이커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커피메이커를 제공하고, 본체에 안착된 하우징에 고온의 물을 공급하는 공정을 펌프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도 공급할 수 있는 커피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형 커피 추출장치는 배전된 커피원두를 분쇄하여 커피액을 추출하게 되어 있어 배전된 커피 원두(이하, “배전두”라고 한다.)를 미리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 경우 미리 구입해 둔 배전두를 오랜 기간동안 사용하지 않
으면 커피의 맛과 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생두를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배전하고, 배전된 원두를 분쇄한 후 온수를 부어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을 하나의 장치에서 자동으로 수행하는 커피추출기
가 한국 특허공고 제96-11520호에 의하여 공지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커피추출기는 배전가마 내부에 교반날개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생두를 교반시키면서 배전하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하여 생두가 균일하게 교반되지 못하여 바닥부근의 생두는 타거나 바닥에 눌어붙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종래의 커피추출기는 배전두가 배전가마에서 분쇄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를 솔레노이드의 의해 수평방향으로 개폐하는 개폐셔터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란 구조로 인하여 개방된 배출구를 통하여 배전열이 유실되고, 생두가 배출되지 않은 상태로 분쇄기로 낙하 또는 배출함으로서 분쇄기에서 분쇄가 원활히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의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한 전자동 커피추출기 등록고안이 20-225910호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 고안은 생두를 회전시키면서 가열하여 배전한 후 배출시키는 배전부와, 상기 배전부에서 배전되어 배출되는 배전두를 소정의 입자로 분
쇄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되어 낙하된 배전두분말을 수용하는 드립터와, 상기 드립터와 연통되게 드립터의 하부를 얹어서 지지하는 포트와, 물탱크에서 배출되는 물을 히터로써 가열
하여 온수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드립터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자동 커피추출기에 있어서,상기 배전부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외통에 지지되고, 한쪽 측편에는 상기 분쇄
부와 연통된 배출구가 형성되고, 그 배출구에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문이 힌지로 결합되며, 원주방향의 측벽은 상기 개폐문쪽으로 점차 하강 경사져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껍질 배출구멍을 구비하고, 원주방향 내
측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중심방향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교반날개를 구비한 배전통;과 상기 배전통을 수평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시키는 제1모터; 및 상기 배전통의 내부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배전통 내부에서 회전하는 생두
를 생두의 교반이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배전이 완료된 커피콩을 벼로의 이송장치에 의하지 않고 자연 낙하 방식으로 분쇄기로 낙하시킴으로서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의 경우에도 포트
를 사용하여 추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추출물을 받아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고 포트 내부로 외부 공기등이 유입될 수 있는 단점이 있어 위생적이지 못한 단점과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또한,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물통에 히터를 내장 설치하여 물통에 커피물을 충진시킨 상태에서 히터를 가열시키면 커피물이 증발되어 커피컵에 집수되도록 된 커피메이커에, 하우징을 다수개로 등분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물통의 하단에 l룰구를 구비하여 잔여커피물과 찌꺼기등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물통에 충진되는 커피물의 양을 감지하여 히터에 공급하는 전원을 ON/OFF시켜 히터를 보호하는 이 커피메이커의 경우에는 커피를 분쇄할 수 있는 분쇄부가 구비되지 않은점, 하우징을 본체 측면에 장착시킴으로서 커피메이커의 부피가 비대해지고, 커피제조공정에서 외부의 공기나 먼지등이 집수컵으로 들어가는 등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어 왔다 가열하는 전열 히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커피원두를 분쇄할 경우에는 하부하우징을 사용하고, 분쇄된 커피가루로 커피를 다릴 경우에는 하부하우징을 사용하게 하는 구성을 취하여 공정에 따라 하우징을 180도 뒤집어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커피원두 및 커피가
루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위생적으로 커피를 다릴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커피제조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고, 분쇄 공정 및 커피 다리는 공정을 하나의 하우징으로 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커피메이커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부하우징에 장착된 바스켓에 고온의 물을 공급하는 공급원을 펌프 등과 같은 별도의 동력원을 구비하지 않고 증기압을 이용해 드립터를 통하여 바스켓에 고온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커피메이커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피메이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커피메이커를 사용하여 커피원두를 분쇄하는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커피메이커를 사용하여 커피가루에 고온의 물을 공급하여 커피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체의 공간부의 저면의 상태를 도시한 도.
도 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저장탱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하우징에 고온의 물을 이송하는 드립터의 사시도.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안착되면서 커피원두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커피원두를 분쇄하여 커피가루를 제조하는 분쇄수단; 상기 분쇄수단에 의하여 제조된 커피가루를 수용하고 하우징에 수용되는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에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부하우징, 하부하우징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상부하우징, 하부하우징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급수수단은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저장탱크에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에 장착되어 있는 연결수단은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다.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유출구를 통하여 연결수단에 연결되어 히터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물은 비중차에 의하여 유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에는 드립터가 더 구비된다.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이 일정온도로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되면 증기압에 의하여 드립터를 통하여 하우징에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일정한 개폐도어가 형성되어 있어 커피컵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하우징을 덮을 수 있는 투명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에서 발생하는 향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1은 본 발명인 커피메이커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피메이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커피메이커를 사용하여 커피원두를 분쇄하는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커피메이커를 사용하여 커피가루에 고온의 물을 공급하여 커피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체의 공간부의 저면의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저장탱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하우징에 고온의 물을 이송하는 드립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커피메이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공간부(18)에 안착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을 커버하는 투명커버(80)가 본체(10)에 거치되어 있다.상기 본체(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제조공정 중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52)가 소정의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후술할 히터 및 분쇄수단(40)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버튼이 구비된 제어버튼부(6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22), 상기상부하우징(22)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2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부하우징(24)의 테두리에는 환형의 돌출편(22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편(222)에 상부하우징(22)에 장착된 체결구(242)를 사용하여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체결구에 의하여 연결하였지만, 반드시 체결구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수단 등으로 연결하는 구성에도 권리범위가 미친다고 할 것이다.또한, 상기 상부하우징(22) 및 하부하우징(24) 사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패킹링이 장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부하우징(22)과 하부하우징(24) 사이가 기밀성을 유지하여야만 하우징을 180도 회전시킬 경우에 내용물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24) 저면에는 커피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수단(40)이 장착되어 있고, 이 분쇄수단(40)은 하부하우징(24) 저면에 장착되어 커피원두를 갈아내는 밀커터(42), 상기 밀커터(42) 저면에 형성된 연결부재(4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결부재(44)의 외주연에는 하부하우징(24) 저면에서 커피가루가 밖으로 새어나
가지 않게 하는 등의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패킹(46)이 장착된다.
상기 연결부재(44)는 본체(10)의 저면에 장착된 모터(M)의 회전축(X)의 일단에 치합식으로 결합되어 있고, 이 모터(M)의 작동 및 중지는 제어버튼부(60)의 작동버튼으로 조절한다.상기 상부하우징(22)에는 분쇄수단(40)에 의하여 분쇄된 커피가루를 모으기 위한 바스켓(30)이 고정장착되는데, 상기 바스켓(30)은 상광하협의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커피원액이 취출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22)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통공(224)을 형성되어 있고, 이 통공(224)은 커피를 제조할 때 발생하는 향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22)에는 제조된 커피를 수용하기 위한 커피용기를 꺼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도어(226)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바스켓(30)에 고온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수단(50)이 구비되어야 하는 바, 상기 고온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소정의 위치에 마련되고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52), 상기 저장탱크
(52)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H), 상기 저장탱크(52)의 홈부(524)에 끼워지는 드립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상기 저장탱크(52)에는 유입구(526) 및 유출구(528)가 형성되어 있고, 물을 투입하기 위한 뚜껑(522)이 장착되게 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상기 저장탱크(52)의 유입구(526) 및 유출구(528)는 파이프(5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54)는 히터(H)의 외주연을 감싸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상기 히터(H)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선, 상기 전열선에서 발생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전도판(D)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고, 히터(H)의 작동은 제어버튼부(60)의 작동버튼을 통하여 이루어진다.상기 전도판(D)의 중앙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공은 본체(10)에 장착된 모터(M)의 회전축(X)이 관통된다.
상기 저장탱크(52)에 저장된 물은 유출구(528)를 통하여 파이프(54)로 유출되고, 제어버튼부(60)의 가열버튼을 눌러 히터를 작동시키면 전열선 및 전도판(D)이 가열되면서 파이프(54)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파이프(54)에서 가열된 물은 차가운
보다 비중이 적어 상부로 상승하여 저장탱크(52)의 유입구(526)를 통하여 저장탱크(52)로 유입되고, 저장탱크(52)로 유입된 만큼의 물이 유출구(528)를 통하여 파이프(54)로 유입되고 상기의 과정이 반복되면 저장탱크(52)의 물의 온도가 올라 간다.
히터(H)에 의하여 저장탱크(52)의 물이 일정온도로 상승하면 증기가 발생되게 되고, 이 증기는 저장탱크(52) 상부로 상승하여 홈부(524)에 장착된 드립터(70)를 통하여 하우징(20)을 향하여 이송되고, 하우징(20)으로 공급될 때는 증기가 응축
되어 고온의 물로 되면서 하우징(20)의 바스켓(30)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드립터(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증기를 이동하는 이동파이프, 상기 이동파이프와 연결되어 있고 저면에 분출구가 형성된 분출부로 이루어져 있다
100: 커피메이커 10: 본체
18: 공간부 20: 하우징
22: 상부하우징 24: 하부하우징
30: 바스켓 40: 분쇄수단
42: 밀커터 44: 연결부재
46: 패킹 50: 급수수단
52: 저장탱크 54: 파이프
60: 제어버튼부 70: 드립터
72: 이동파이프 74: 분출부
C: 커피용기 H: 히터
D: 전도판 80: 투명커버

Claims (1)

  1.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안착되면서 커피원두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커피원두를 분쇄하여 커피가루를 제조하는 분쇄수단
    상기 분쇄수단에 의하여 제조된 커피가루를 수용하고 하우징에 수용되는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에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
KR1020220104406A 2022-08-19 2022-08-19 커피원두 분쇄 및 커피제조공정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KR20240026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406A KR20240026041A (ko) 2022-08-19 2022-08-19 커피원두 분쇄 및 커피제조공정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406A KR20240026041A (ko) 2022-08-19 2022-08-19 커피원두 분쇄 및 커피제조공정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041A true KR20240026041A (ko) 2024-02-27

Family

ID=90058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406A KR20240026041A (ko) 2022-08-19 2022-08-19 커피원두 분쇄 및 커피제조공정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60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342348U (zh) 磨豆咖啡壶的流水排气装置
KR101073072B1 (ko) 커피 로스터
KR910008470B1 (ko) 전자동 커피(coffee) 추출장치
CN103040361B (zh) 一种磨豆咖啡机器
KR101796486B1 (ko) 커피 머신
KR101285558B1 (ko) 커피추출장치 및 방법
KR20240026041A (ko) 커피원두 분쇄 및 커피제조공정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KR100675750B1 (ko) 분쇄공정 및 커피제조공정 수행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JP2799874B2 (ja) コーヒメーカの焙煎装置
CN205548336U (zh) 一种磨豆的咖啡壶
JPS58426Y2 (ja) ミル付コ−ヒ−メ−カ−
KR101318563B1 (ko) 죽 제조장치
KR20060108043A (ko) 멀티 푸드메이커
KR200225910Y1 (ko)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
CN108078379A (zh) 一种便携小型咖啡机
KR102007932B1 (ko)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
KR200223740Y1 (ko) 커피메이커의 생두 볶음부 구조
KR20240051506A (ko) 쿨링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CN204682390U (zh) 负压上料滤渣排渣电磁加热豆浆机
KR200227419Y1 (ko)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KR0163116B1 (ko) 원두커피 볶음기
KR900007760Y1 (ko) 커피 제조기
KR20010025521A (ko)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JPH0497715A (ja) コーヒーメーカー
KR20240051556A (ko) 오작동에 의한 손상한 커피메이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