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419Y1 -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 Google Patents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419Y1
KR200227419Y1 KR2020010000020U KR20010000020U KR200227419Y1 KR 200227419 Y1 KR200227419 Y1 KR 200227419Y1 KR 2020010000020 U KR2020010000020 U KR 2020010000020U KR 20010000020 U KR20010000020 U KR 20010000020U KR 200227419 Y1 KR200227419 Y1 KR 200227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or
opening
coffee
lower portion
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원영
Original Assignee
송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원영 filed Critical 송원영
Priority to KR2020010000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4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419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전된 커피원두 및 생두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부의 구조를 개량하여 배전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별도의 냉각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자연냉각방식으로 냉각효율을 향상시키고 배전되어 냉각된 커피콩을 별도의 반송부를 통하지 않고 분쇄부에 자연낙하시켜 수직형 스크류에 의해 분쇄함으로써 분쇄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드립방식의 메이커로서 일측부가 개방되고 껍질 배출용 구멍을 외면에 뚫은 배전기를 모터에 의해 자체 회전되도록 축설하고 투입구와 연통된 개방부의 일측에 개폐문을 솔레노이드에 의해 개폐하는 배전부와; 상기 배전기의 개폐문 하방에 배전되어 낙하되는 커피콩을 수용하는 통체와, 이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회전되는 원추형 하부를 가진 스크류와, 통체의 하부에 착탈자재되게 당접되어 스크류의 원추형 하부에 대응하는 경사면과 분쇄익편을 가지고 그 중앙에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구를 가지는 분쇄부로 이루어진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Distributor-having automatic coffee maker}
본 고안은 배전된 커피원두 및 생두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부의 구조를 개량하여 배전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별도의 냉각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자연냉각방식으로 냉각효율을 향상시키고 배전되어 냉각된 커피콩을 별도의 반송부를 통하지 않고 분쇄부에 자연낙하시켜 수직형 스크류에 의해 분쇄함으로써 분쇄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형 커피 메이커는 배전된 커피콩을 이용하여 분쇄에서 커피액의 추출까지를 행하는 것이므로 배전된 커피콩을 미리 구입해 둘 필요가있고 짧은 기간에 사용하지 않게 되면 커피의 맛과 향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생두상태의 커피콩을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하여 배전하고 이를 분쇄와 추출을 동시에 자동하는 실시하는 커피메이커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배전의 과정이 복잡하고 구조 또한 복잡하며 특히 이미 배전된 커피콩은 동시에 사용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혹은 일부 배전두 투입이 가능한 것도 있으나 이는 생두와 배전두의 투입구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배전두를 사용하는 데는 불편함이 수반되었다.
또한 생두를 이용하는 커피메이커는 전기한 문제점이외에도 배전부가 수평으로 된 배전가마의 내부에 교반날개를 수직으로 회전되게 설치하여 생두를 교반날개에 의해 교반시키면서 배전하게 되어 있으므로 생두가 완전하게 교반되지 못하여 내저부에 있는 생두는 고루고루 배전되지 못하고 타거나 눌러붙게 되는 문제가 있고 배전된 커피콩을 분쇄부로 이송시키기 위해 수평식 개폐셔터를 설치하여 솔레노이드에 의해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배출용 셔터 사이에서 커피콩이 끼는 문제로 인해 배전열이 유실되고 또 배전되지 않은 생두가 곧바로 분쇄기로 낙하 또는 이송되는 문제로 분쇄기가 잘 동작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배전동작중에 탈피되는 생두의 껍질이 수평으로 설치된 배전가마의 내측벽에 설치된 슬롯을 통해 분리되어지므로 껍질이 효율적으로 분리되지 못하고 분쇄되어 추출되는 커피에 껍질이 섞여 나오는 폐단이 있을 뿐 아니라 상기한 종래의 배전장치는 배전후 냉각을 위해 별도의 냉각팬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과도한 소음이 발생하고 냉각팬의 회전에 의한 콩껍질의 비산으로 기기내부가 지저분해짐과 동시에 커피분말의 내부로 유입되어 커피의 맛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분쇄부에 있어서도 일반적으로 밀(mill)이라 불리우는 분쇄컷터를 이용한 분쇄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맷돌과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분쇄하게 되므로 분쇄속도가 느리고 커피콩이 컷터 등에 끼어 원활한 분쇄를 방해하게 됨에 따라 분쇄효율이 낮으며 청소도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많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배전기의 내부에 별도의 교반날개를 설치하지 않고 교반기 자체를 회전시켜 커피콩의 교반이 전체적으로 잘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교반시에 발생되는 껍질이 원심력에 의해 교반기의 외벽에 뚫은 구멍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게 하므로서 배전효율을 높이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전된 커피콩을 냉각시키는 별도의 냉각용 송풍기를 설치하지 않고 배전이 끝난 후 배전기를 공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지는 자연냉각방식을 적용하므로서 소음과 진동을 해소하고 냉각시간을 줄이면서도 냉각효율을 높이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전이 완료된 커피콩을 별도의 이송장치에 의하지 않고 자연 낙하 방식으로 분쇄기에 바로 낙하시키므로서 구조를 간단화시켜 소형화 및 경량화함과 동시에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재 스크류를 수직으로 회전시켜분쇄효율을 높이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드립방식의 메이커로서 일측부가 개방되고 껍질 배출공을 외면에 뚫은 배전기를 모터에 의해 자체 회전되도록 축설하고 생두 투입구와 연통된 개방부의 일측에 개폐문을 솔레노이드에 의해 개폐하는 배전부와; 상기 배전기의 개폐문 하방에 배전되어 낙하되는 커피콩을 수용하는 통체와, 이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회전되는 원추형 하부를 가진 스크류와, 통체의 하부에 착탈자재되게 당접되어 스크류의 원추형 하부에 대응하는 경사면과 분쇄익편을 가지고 그 중앙에 배출공이 형성된 추출구를 가지는 분쇄부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 은 드립퍼와 포트를 분리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도
도 2 는 온수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3 은 내부 전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4 는 온수공급관과 히터의 배관구조에 대한 설명도
도 5 는 배전부와 분쇄부의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장 케이스 2 : 드립터 3 : 포트
4 : 공간부 5 : 받침턱 6 : 재치대
7 : 스윗치 8 : 물투입구 9 : 껍질회수구
10 : 물탱크 11 : 배기구 12 : 투입구
13 : 배전기 14 : 스크류 15 : 히터
16 : 온수공급관 17 : 외통 18 : 회전축
19 : 교반날개 20 : 껍질배출공 21 : 솔레노이드
22 : 힌지 23 : 개폐문 24 : 안내닥트
25 : 통체 26 : 경사면 27 : 분쇄익편
28 : 중앙 배출공 29 : 추출기 30 : 필터
31 : 드립공 100 : 배전부 200 : 분쇄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드립터와 포트를 분리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도이고, 도 2는 온수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이다. 도 3은 내부 전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온수공급관과 히터의 배관구조에 대한 설명도이며, 도 5는 배전부와 분쇄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외장케이스로서, 일측에 분리되어 도시된 드립터(2)와 포트(3)가 수용되는 공간부(4)가 요입되게 구성되어 천정에는 드립터(2)의 받침턱(5)이, 그리고 바닥에는 포트(3)의 재치대(6)가 설치되어 있으며 외장 케이스(1)의 타측에는 스윗치(7)와 물투입구(8), 껍질회수구(9) 및 물탱크(10)가 내장되어 있고, 상면에는 배기구(11)와 생두 투입구(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장케이스(1)의 내부 상부에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배전기(13)가 설치된 배전부(100)가, 이의 하부에는 배전된 커피콩을 분쇄하는 스크류(14)를 축설시킨 분쇄부(2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쇄부(200)는 하부에 설치된 드립터(2) 및 포트(3)와 연결되고, 분쇄부(200)에는 히터(15)가 설치된 재치대(6)의 하부를 거친 온수공급관(16)이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내부 전체를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내부 단면도로서, 상부에 설치된 배전부(100)는 생두 투입구(12)로 부터 투입된 생두를 볶는 장치로 도 5의 확대도와 같이 외통(17)의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타측에 모터 (M)의 회전축(18)이 연결되어 정위치에서 회전되는 배전기(13)가 설치되어 있다. 전기 배전기(13)는 내부에 히터(15)와 같은 가열수단이 설치되고 내면에 다수개의 교반날개(19)가 돌설되어 있으며 외면에는 껍질을 배출하는 껍질배출공(20)이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의 개방부는 일부가 생두 투입구(12)와 연결되고 나머지 일부는 솔레노이드(21)로서 상부 힌지(22)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개폐문(23)이 설치되며 상기 배전기(13)를 감싸고 있는 외통(17)의 저부에는 외장케이스(1)의 껍질회수구 (9)와 연결되는 안내닥트(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전부(100)의 하부에는 배전이 완료되어 낙하되는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부(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쇄부(200)는 도 5의 확대도와 같이 배전기(1 3)의 개폐문(23) 하방에 배전되어 낙하되는 커피콩을 수용하는 통체(25)와, 이의 내부에 수직으로 축설되어 배전된 커피콩을 이송과 동시에 분쇄하는 원추부를 가진 스크류(14)를 포함하며, 전기 통체(25)의 하부에 착탈자재되게 당접되어 스크류(14 )의 원추형 하부에 대응하는 경사면(26)과 분쇄익편(27), 그리고 중앙 배출공(28)을 가지는 추출기(29)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분쇄부(200)의 하부에는 중앙의 배출공(28)으로 부터 분쇄되어 낙하되는 커피가루와 온수를 혼합하여 드립하는 드립터(2)가 받침턱(5)에 재치되어 있고 상기 드립터(2)의 내면에는 필터(30)가 세트되어 있으며 이의 하부에는 드립터 (2)의 드립공(31)으로 드립하는 커피액을 받는 포트(3)가 재치대(6)의 상부에 재착되어 있다.
또 포트(3)를 재착하는 재치대(6)의 저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0)에 연결된 온수 공급관(16)이 히터(15)와 당접되게 권착되어 있고 당해 온수 공급관(16)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쇄부(200)의 추출기(29)에 연결되어 급수공(32)을 통해 드립터(2)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생두를 생두 투입구(12)를 통해 투입하여 배전부(100 )에서 히터(15)의 가열로서 볶고, 배전된 커피콩을 분쇄부(200)에서 미분으로 분쇄하여 드립터(2)로 낙하시킴과 동시에 온수를 공급하여 혼합시키면서 필터(30)로서 찌꺼기를 여과한 다음 순수한 커피액만을 히터(15)로서 가열되는 포트(3)에 드립시키므로서 커피액을 얻게 되는 데 본 고안의 배전기(13)는 일측을 개방시킨 타측에 모터(M)의 회전축(18)을 축설하여 이의 회전으로 배전기(13)를 자체적으로 회전시키고 개폐문(23)을 솔레노이드(21)로서 개폐자재되게 한 것이므로 생두를 투입구를 통해 배전기(13)의 내부에 투입시켜 회전축(18)을 회전시키게 되면 내부의 생두는 배전기(13) 자체의 회전에 의해 효과적으로 교반되면서 가열되는 히터(15)에 의해 배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내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교반날개(19)에 의해 교반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져 정체된 생두 없이 전체적인 교반이 이루어져 배전된다. 이같은 배전기(13)의 회전은 타이머에 의해 일정한 시간동안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데 이과정에서 배전이 완료되는 시간을 기점으로 히터(15)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면 배전기(13)는 히터(15)의 가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설정시간동안 회전하게 되므로 송풍기의 사용없이 자연냉각이 이루어져 종래와 같이 송풍기의 설치로 인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지 않고 빠른 시간에 효과적인 냉각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타이머의 설정시간이 되면 배전기(13)의 회전이 자동으로 정지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21)가 작동되어 개폐문(23)을 상부 힌지(22)를 중심으로 개방시키게 되고 개방과 동시에 배전되어 냉각 된 커피콩은 배전기(13)의 경사로 인해 밑으로 흘러 이의 직하방에 설치된 분쇄기로 자연 낙하된다.
그리고 배전과정에서 발생되는 콩껍질은 배전기(13)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내벽면으로 분리되면서 이에 뚫린 껍질배출공(20)으로 배출되어 안내닥트(24)를 통해 껍질회수구(9)로 회수되는 데 종래의 분리방법과는 다르게 원심력을 이용하여 콩보다 가벼운 껍질을 분리시키게 되므로 분리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고 특히 콩이나 껍질이 개폐문(23)에 끼이지 않고 원활하게 하부로 배출되어 다음 공정의 분쇄부(200)로 자연낙하하게 되며, 볶는 과정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는 배전부 (100)와 연통되어 외장케이스(1)의 상면으로 노출된 배기구(11)로 자동 배기된다.
한편 배전이 완료된 커피콩은 별도의 이송장치에 의하지 않고 이의 직하방에 설치된 분쇄부(200)로 낙하하여 분쇄가 이루어지게 되는 데 배전된 커피콩이 분쇄부 (200)의 통체(25)로 낙하 투입되면 수직으로 설치되어 회전되는 스크류(14)가 커피콩을 하부로 이송시키게 되고 하부로 이송된 커피콩은 원추형의 스크류(14) 하부에서 통체(25)와 당접되게 설치된 추출기(29)의 경사면(26)에 부착된 분쇄익편(27)과의 사이에서 분쇄가 이루어져 중앙의 배출공(28)으로 배출된다.
이와같이 배전된 커피콩은 이송장치를 거치지 않고 바로 낙하되어 수직으로 회전되는 합성수지재 스크류(14)에 의해 밑으로 하강하면서 분쇄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송장치의 생략으로 커피메이커를 소형화 및 경량화 할 수 있게 되고 분쇄효율이 증가될 뿐 아니라 스크류(14)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인체에 무해한 잇점이 있으며, 특히 추출기(29)가 착탈자재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필요시 추출기(29)를 분리해내어 스크류(14)와 통체(25)의 내부등 분쇄부(200)를 전체적으로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분쇄부(200)에서 분쇄되어 중앙의 배출공(28)을 통해 낙하된 커피가루는 분쇄부(200)의 하방에 설치된 드립터(2)로 투입되고 이와 동시에 물탱크(10)에서 포트 (3)의 재치구 하부에 설치된 히터(15)와 당접되어 상부로 배관된 온수공급관(16)을 통해 추출기(29)의 급수공(32)으로 뜨거운 온수가 공급되어 혼합되므로서 커피액이 드립되고 필터(30)에 의해 찌꺼기가 여과된 순수한 커피액이 드립공(31)을 통해 하부의 포트(3)에 저장되어 히터(15)에 의해 가열되는 것이다.
이상은 생두를 배전하여 분쇄하고 커피액을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배전된 커피원두로서 별도의 배전부(100) 투입구를 사용하지 않고 생두용 배전부(100)의 배전기(13)를 그대로 통과하여 전기한 바와 같은 동일한 공정으로 분쇄하고 주탕하여 커피의 추출을 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타이머와 예약기능을 부여하여 자동으로 지정된 시간에 커피의 추출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배전부(100)의 배전기(13)가 자체 회전되어 배전효율이 매우 높고 별도의 냉각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자연냉각방식으로 냉각효율이 향상되며 배전되어 냉각된 커피콩을 별도의 반송부를 통하지 않고 분쇄부(200)에 자연낙하시켜 수직형 스크류(14)에 의해 분쇄함으로써 분쇄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화와 경량화 할 수 있으며 생두 뿐 아니라 배전된 커피콩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1)

  1. 일측부가 개방되고 껍질 배출공(20)을 외면에 뚫은 배전기(13)를 모터(M)에 의해 자체 회전되도록 축설하고 생두투입구(12)와 연통된 개방부의 일측에 개폐문 (23)을 솔레노이드(21)에 의해 개폐하는 배전부(100)와; 상기 배전부(100)의 개폐문 (23) 하방에 배전 완료된 커피콩을 수용하는 통체(25), 이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회전되는 원추형 하부를 가진 스크류(14), 통체(25)의 하부에 착탈자재되게 당접되어 스크류(14)의 원추형 하부에 대응하는 경사면(26)과 분쇄익편(27)을 가지고 그 중앙에 배출공(28)이 형성된 추출기(29)를 가지는 분쇄부(200)로 이루어진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KR2020010000020U 2001-01-02 2001-01-02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KR200227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020U KR200227419Y1 (ko) 2001-01-02 2001-01-02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020U KR200227419Y1 (ko) 2001-01-02 2001-01-02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035A Division KR20010025521A (ko) 2001-01-02 2001-01-02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419Y1 true KR200227419Y1 (ko) 2001-06-15

Family

ID=73080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020U KR200227419Y1 (ko) 2001-01-02 2001-01-02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4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438B1 (ko) * 2012-05-24 2013-03-06 주식회사 티에이치엠코리아 곡물차 제조기
KR101294265B1 (ko) 2011-05-17 2013-08-07 주식회사 나본 커피 원두 분쇄 수단 및 드립핑 수단을 포함하는 커피 머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265B1 (ko) 2011-05-17 2013-08-07 주식회사 나본 커피 원두 분쇄 수단 및 드립핑 수단을 포함하는 커피 머신
KR101239438B1 (ko) * 2012-05-24 2013-03-06 주식회사 티에이치엠코리아 곡물차 제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470B1 (ko) 전자동 커피(coffee) 추출장치
EP0386267B1 (en) Coffee maker
KR101612040B1 (ko) 자동 커피 추출장치
KR101796486B1 (ko) 커피 머신
WO2004110627A1 (fr) Dispositif de broyage-pressage, dispositif de preparation de lait de soja comprenant ce dispositif de broyage-pressage et procede correspondant
KR101457054B1 (ko) 커피 로스터
KR200227419Y1 (ko)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KR20010025521A (ko)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KR200225910Y1 (ko)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
JP2799874B2 (ja) コーヒメーカの焙煎装置
KR20090006055U (ko) 커피메이커
KR100306058B1 (ko) 전자동커피메이커
KR200223740Y1 (ko) 커피메이커의 생두 볶음부 구조
JP3016031B2 (ja) コーヒ豆の焙煎装置
KR100187509B1 (ko) 콩 마쇄기
KR20060108043A (ko) 멀티 푸드메이커
KR200263071Y1 (ko) 커피메이커
KR200256455Y1 (ko) 커피 추출장치
KR102007932B1 (ko)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
KR200249737Y1 (ko) 커피생콩 볶음장치
KR20030018628A (ko) 커피 추출장치
KR101776217B1 (ko) 생두 로스팅 장치
JPH02237519A (ja) コーヒーメーカ
KR970002796B1 (ko) 전자동 커피메이커
KR20240051506A (ko) 쿨링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