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058B1 - 전자동커피메이커 - Google Patents

전자동커피메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058B1
KR100306058B1 KR1019930021107A KR930021107A KR100306058B1 KR 100306058 B1 KR100306058 B1 KR 100306058B1 KR 1019930021107 A KR1019930021107 A KR 1019930021107A KR 930021107 A KR930021107 A KR 930021107A KR 100306058 B1 KR100306058 B1 KR 100306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extractor
beans
main body
fully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1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831A (ko
Inventor
에노모또가즈오
Original Assignee
미야와키 다카유키
가부시키가이샤 카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야와키 다카유키, 가부시키가이샤 카펙스 filed Critical 미야와키 다카유키
Priority to KR1019930021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058B1/ko
Publication of KR950010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058B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생콩에서 맛과 향기가 빠지는 것을 줄이고 전자동으로 단기간에 커피를 얻을 수 있는 전자동 커피메이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피메이크는 생커피콩을 볶은 배전기(焙煎器)와 볶은 커피콩을 냉각하는 바람을 보내는 송풍기와, 냉각한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분쇄 후 커피 가루에서 커피를 빼내는 추출기와, 이 추출기에 고온의 물을 붓는 주탕기와, 전기한 추출기에서 추출되고 여과된 커피액을 받는 커피 서버등을 가지며, 예정된 순서에 따라 전술한 배전기로 생콩을 볶고, 그 배전기에 전기한 송풍기에서 바람을 보내어 커피콩을 식히며, 이 식은 커피콩을 전기한 분쇄기로 분쇄하고, 이 분쇄한 커피가루에 전술한 추출기에서 열탕을 붓고 이 추출기에서 여과된 커피액을 전기한 커피 서버로 받게끔 만들어진 전자동 커피메이커로서, 전기한 배전기는 배전 가마 본체와 배전 가마 본체의 안쪽 상부에 설치된 전기 히터와, 배전 가마 본체의 내부 바닥을 따라 도는 교반용 날개를 적어도 비치하며, 교반용 날개는 탄력성있는 용수철 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동 커피메이커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자동 커피메이커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2도는 상기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제3도는 상기 실시예의 일부를 절단한 평면도이다.
제4도는 상기 실시예의 송풍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를 절단한 주요부 측면도이다.
제5도는 상기 실시예의 위치결정 가이드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제6도는 송풍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를 절단한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의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배전기 21 : 배전가마 본체
22 : 원적외선 히터 23 : 교반용 날개
24a : 제2의 용수철체 25 : 우산꼴 차폐부재
27a : 제1의 용수철체 30, 31 : 송풍기
40 :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50 : 위치 결정 가이드부재
60 : 주탕기 70 : 커피 서버
본 발명은 커피 생콩에서 전자동으로 커피를 얻을 수 있는 전자동 커피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피메이커는 일반적으로 이미 볶아 놓은 커피콩을 사용하여 이것을 분쇄에서 시작하여 커피액이 나올때까지 행하는 구조였다. 이런 커피메이커로서는, 볶은 커피콩을 미리 사둘 필요가 있고, 일주동안이나 안쓰고 두면 커피의 맛이나 향기가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생콩에서 전자동으로 커피액을 얻게 되는 커피 제조기로서 일본특개평1-190317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 전자동의 커피제조기는 딴 위치에서 얻은 열풍을 생콩에 보내서 생콩을 볶고 그후 볶은 콩에 송풍하여 식히고 다시 분쇄부에 보내어 부셔서 추출기에서 추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일본특개평1-190317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커피제조기, 즉 열풍을 써서 이것을 커피 생콩에 보내서 볶는 것으로서는 실제문제로서 커피 콩을 볶는 일을 콩의 중심에 미칠때까지 고르게 행하는 것은 어렵고 이 때문에 잘 볶을 수가 없었으며 커피액의 맛이나 향기가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커피제조기의 결점을 해소하고 커피 생콩에서 맛과 향기가 빠지는 것을 줄이고 전자동으로 단기간에 커피를 얻을 수 있는 전자동 커피메이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동 커피메이커는 생커피콩을 볶는 배전기와, 볶은 커피콩을 냉각하는 송풍기와, 식힌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분쇄한 후에 커피가루에서 커피를 빼내는 추출기와, 이 추출기에 고온의 물을 붓는 주탕기와, 전기한 추출기에서 추출되어 여과된 커피액을 받는 커피 서버를 갖추며, 예정된 순서에 따라, 전기한 배전기에서 생콩을 볶고, 전기한 배전기에 송풍기에서 바람을 보내 커피를 식히고, 이 식은 커피콩을 전기한 분쇄기로 분쇄하고 분쇄한 커피가루에 전기한 추출기 안에서 열탕하며, 이 추출기에 의해 여과된 커피액을 전기한 커피 서버로 받게끔 구성한 전자동 커피메이커이며, 전기한 배전기는 배전 가마 본체와 이 배전가마 본체의 내부 상부에 설치된 전기 히터와, 배전가마 본체의 내부 바닥을 따라 회전하는 교반용 날개를 최소한 비치하고, 교반용 날개는 탄력성 있는 용수철로 구성된 것이 제1의 특징이다.
또 본 발명의 전자동 커피메이커는 전기 제1의 특성에 더하여, 배전기의 교반 우근의 회전은 작동원의 축에 고정된 제1의 용수철의 회전에 의하여 교반용 날개의 축에 고정된 제2의 용수철이 눌려 회전됨으로써 행하여지는 구성임이 제2의 특징이다.
또 본 발명의 전자동 커피메이커는 전기한 제1 또는 제2의 특징에 더하여 배전가마 본체가 알루미늄 합금이라는 것이 제3의 특징이다.
또 본 발명의 전자동 커피메이커는 전기한 제1에서 제3까지의 특징 외에 전기 히터가 링꼴의 원적외선 히터이고 이 히터의 링의 주심부 아래쪽에 전기 히터에서 오는 열복사를 차폐하는 우산꼴 차폐부재를 설치하고 있는 것이 제4의 특징이다.
또 본 발명의 전자동 커피메이커는 전기한 제1~제4에 기술한 특징 외에 2개의 송풍기를 사용하여, 배전가마 본체의 바깥면 및 배전가마 본체의 내부에 송풍함으로써 배전가마 본체와 커피콩의 양쪽을 동시에 냉각하는 구성인 것이 제5의 특징이 된다.
또 본 발명의 전자동 커피메이커는 전기한 제1~제5에서 기술한 특징 외에, 냉각한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부신 후의 커피가루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기를 하나의 구성으로 하여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로 만든 것을 제6의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전자동 커피메이커는 전기한 제6의 특징 외에 외장 케이스에 끼워 담음으로써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를 빼고 끼워 자유로이 위치를 결정하여 고정시키는 위치 결정 가이드 부재를 설치함과 함께, 이 위치결정 가이드 부재에 찌꺼기 받이를 설치하고, 이 위치결정 가이드 부재가 외장 케이스에 끼워 담겨진 상태로 배전가마 본체의 내부에서 콩에서 떨어져나오고 또 배전가마 본체에서 배출된 실버 스킨을 전기 찌꺼기 받이에 받게끔 구성된 것을 제7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자동 커피메이커의 제1의 특징에 의하면, 소요량의 커피생콩을 배전기의 배전가마 본체에 넣으면 커피생콩은 자동적으로 가열되어 볶이고, 볶고 나면 이번에는 송풍기에서 송풍된 냉각 공기에 의하여 볶인 콩이 상온까지 냉각되고 냉각이 끝나면 분쇄기에 의해 분쇄되고 또 열탕이 부어져 추출되고 여과되어서 커피액이 된다.
커피 생콩은 배전가마 본체 속에서 상부의 전기 히터에 의하여 이 전기 히터로부터의 직접적인 복사열과 배전가마 본체에서의 전도열에 의하여 점차 온도가 상승되면서 볶인다. 볶이는 동안 교반용 날개에 의하여 배전본체 내부 바닥면을 교반되면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모든 생콩이 고루 또 낱낱의 생콩이 속까지 균일하게 볶인다.
교반용 날개는 탄력성이 있는 용수철 물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교반용 날개와 배전가마 본체의 바닥 사이에 콩이 끼여도 교반용 날개가 적당히 굴곡하여 쉽게 빠지게 하고, 따라서 교반을 아주 원활히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콩은 고루 볶인다.
또 상기한 제2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의 특징에 의한 작용에 더하여 배전기의 교반용 날개의 회전은 작동원의 축에 고정된 제1의 용수철 물체의 회전에 의하여 교반용 날개의 축에 고정된 제2의 용수철 물체가 눌려 회전하게끔 되어 있으므로 교반용 날개의 축을 통하여 작동원에 전해지는 배전기측의 고열이 차단된다. 다시 제1의 용수철 물체로 제2의 용수철 물체를 눌러 회전 하게끔 되어 있으므로 용수철체의 복원력을 이용한 여유있는 회전이 가능하다.
또 상기한 제3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한 제1 또는 제2의 특징에 의한 작용에 더하여 배전가마 본체를 알루미늄 합금제로 하는 것으로써, 비교적 소량의 커피생콩을 잘 볶을 수 있음과 아울러 볶은 후의 콩을 재빨리 상온으로 냉각할 수가 있다.
즉 종래에 있어서의 커피콩만을 볶는 배전가마는 일반적으로 철제거나 스테인레스제이며 대량의 콩을 한꺼번에 볶는데 적합하였다. 그러나 예를들어 30g~50g 정도의 소량의 콩을 볶을 때는 상기한 철이나 스테인레스제의 배전가마에서는 콩을 잘 볶을 수 없다.
알루미늄 합금제로 함으로써 배전가마의 열전도성이 매우 좋아지고 그 결과 볶음 초기의 낮은 온도 영역에서는 배전가마의 온도를 원활한 상승률로 높일 수 있고, 콩의 온도를 탈없이 올릴 수 있다. 그리고 배전가마가 어느 정도의 온도, 예를들어 200℃를 넘어가면 이번에는 양열 전도성에 따른 방열의 효과가 나타나서 그후의 급격한 온도 상승이 억제되고(급격히 온도가 상승하면 콩의 표면만이 탄다), 적당한 온도 상승률을 유지하며 온도가 상승한다. 이것에 의하여 소량의 콩이라도 지나치지 않고 적당한 열량으로 볶을 수가 있다. 또 낱개의 콩도 마찬가지로 현저한 열량에 의하여 볶이는 것이 아니라 적당한 열로 표면에서 속까지 고루 볶는 것이 가능하다. 볶는 일은 전기 히터의 용량이나 배전가마의 용량에 따라서 다르지만, 예를들어 배전가마의 온도가 상온에서 시작하여 280℃ 정도로 상승할 때 까지의 시간동안 볶는 일로, 따로 특별한 온도조절을 도중에 할 것 없이 소량의 콩을 잘 볶을 수 있다.
다시 알루미늄 합금제로 하는 것으로 또 하나의 중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자는 실험의 결과, 다음 사항을 알게 되었다. 즉 볶기가 끝난 콩은, 그것이 재빨리 상온으로 냉각됨으로써, 커피콩의 탄닌이 완전히 고정되어서(추출할 때 탄닌이 추출되지 않는다는 뜻), 또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잡맛이 고정되어 이것에 의하여 커피 추출액으 맛을 매우 좋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배전가마를 알루미늄 합금제로 함으로써 이 배전가마를 빨리 상온까지 식힐 수 있고(예를들어 250℃에서 상온까지 식히는데 3~4분으로 족하다), 볶은 콩도 재빨리 상온까지 냉각할 수 있어서 좋은 커피액을 추출할 수 있는 콩이 된다.
물론 배전가마의 냉각이 재빨리 되기 때문에 다음 콩도 재빨리 볶을 수가 있다.
또 상기한 제4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한 제1~제3의 특징에 의한 작용에 더하여 링꼴 원적외선 히터의 중심부 아래쪽의 배전기의 중심부는 그 부분에 모여드는 커피콩이 다른 주위에 있는 콩보다 더 지나치게 볶이는 경향이 있는 것이 실험에서 드러났는데 우산꼴 차폐부재에 의하여 이와 같은 경향이 없어지고, 중앙부와 둘레에 있는 콩이 고루 볶인다. 또 볶은 콩을 냉각할 때 콩에서 떨어져나간 실버스킨이 냉각 공기에 의하여 날러가서 냉각 공기 배기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전술한 우산꼴 차폐부재에 의하여 완화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제5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한 제1~제4에서 기재한 어느 특징에 의한 작용에 더하여, 2개의 송풍기를 사용하여, 배전가마 본체의 바깥쪽 및 내부에 송풍하여 배전가마 본체와 커피콩의 양쪽을 동시에 냉각하는 구성으로 된 점인데, 볶은 콩을 매우 빨리 상온까지 냉각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하여 맛좋은 추출액을 얻을 수 있는 볶은 콩이 된다. 또 냉각시간이 짧아짐으로써 전자동 커피메이커로서 그만큼 빨리 목적한 커피액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한 제6의 특징에 의하면 분쇄기와, 분쇄후의 커피분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기를 하나의 구조로 하여, 분쇄기겸용의 추출기로 한 것인데, 이 종류로서, 대형이 되기 쉬운 전자동 커피메이커를 소형으로 만들 수 있다.
또 상기한 제7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한 제6의 특징에 더하여 외장 케이스에 끼워 닫음으로서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를 자유로이 탈착하여 뜻대로 위치를 결정하여 고정하는 위치결정 가이드부재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위치결정 가이드부재에 찌꺼기받이를 달아 이 위치결정 가이드부재가 외장 케이스에 들어 있는 상태로 배전가마 본체 내에서 콩에서 벗겨져서 배전가마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실버스킨을 전기한 찌꺼기받이에 받게끔 구성함으로써,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의 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위치결정 가이드부재를 겸용하여 볶은 콩에서 벗겨진 실버스킨을 찌꺼기 받이로 받아 위치결정 가디으부재를 빼냈을 때 버릴 수 있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자동 커피메이커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2도는 본 실시예를 설명해주는 단면도, 제3도는 본 실시예의 일부를 절단한 주요부 평면도, 제4도는 본 실시예의 송풍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를 절단한 요부 측면도, 제5도는 본 실시예의 위치결정 가이드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제6도는 송풍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를 절단한 주요부의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외장 케이스 10안의 상부에 배전기 20이 설치되고, 그 옆에 배전기 20에 송풍하는 2개의 송풍기 30, 31이 설치되고, 또 배전기 20의 아래쪽에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이 설치되고, 이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과 배전기 20의 사이에는 이것들을 고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가이드부재 50이 설치되고, 이 위치결정 가이드부재 50의 상부에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에 고온의 물을 붓는 주탕기 60의 주탕구 61이 설치되어 있다. 또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에서 비스듬히 아래쪽에 추출 여과된 커피액을 받는 커피 서버 70이 설치되고, 외장 케이스 10의 배전기 20의 위 천정부에는 탈취소연(脫臭消燃)장치 80이 설치되고 외장 케이스 10의 측면에는 물탱크 62가 배치되어 있다. 90은 조작 패널이다.
전기한 외장케이스 10은 천장부 11과 측벽 12로 형성되고, 그 내부는 칸막이 13에 의해 상하부로 대충 갈라져 있다. 천장부 11은 그 일부가 전기한 배전기 20의 천장부 21a로 겸해 있어, 이 천장부 21a에 개폐뚜껑 21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외장 케이스 10의 측벽 12에 담겨 커피 등을 추출하는데 쓰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62가 설치돼 있다. 칸막이재 13의 위편 구획에는 배전기 20과 볶은 커피콩을 빼내기 위하여 배전기 20을 열어주는 여닫이 개폐용의 솔레노이드(solenoid) 28등이 설치돼 있다. 칸막이재 13의 아래편 구획에는 송풍기 30, 31과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등이 설치돼 있다. 전기한 개폐뚜껑 21b는 콩을 배전기 20의 배전가마 본체 21안에 보내기 위한 뚜껑이다.
전기한 배전기 20의 배전가마 본체 21은 알루미늄 합금제로 되어 있고 커피 생콩을 그 속에서 볶으며 볶은 콩을 전기한 송풍기 30,31에 의해 냉각하는 기구이며, 대개 원통형이다. 배전가마 본체 21은 내부 공간의 위편에 전기 히터인 링꼴의 원적외선 히터 22를 배치하고, 바닥근처를 따라 회전하는 교반용 날개 23을 아래쪽에 배치하고 있다. 이 교반용 날개는 탄력성있는 용수철로서, 코일꼴의 막대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전기한 교반용 날개 23이 붙어있는 축 24는 바다에서부터 적당한 높이에 세워진 모양이며 그 위끝에 우산꼴 차폐부재 25가 설치돼 있다.
전기한 교반용 날개 23측의 축 24는 모터 및 감속기로 되는 작동원 26측의 축 27과 분단돼 있으며 각각의 축 24, 27에 고정된 제2의 용수철 24a, 제1의 용수철 27a로 서로 연결되게 구성되어 있다. 전기한 배전기 20의 배전가마 본체 21의 천정부 21a는 외장 케이스 10의 천정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배전가마 본체 21의 바닥측에서 아래측에 걸쳐 일부에 콩 배출용의 문 21c가 있다. 콩 배출용의 문 21c는 솔레노이드 28의 진퇴봉 28a와 붙어 있어 진퇴봉 28a의 후퇴에 의해 문 21c가 열린다.
또 배전가마 본체 21의 측부에서 바닥부에 걸친 벽부에 복수의 슬리트(slit)군 29a, 29b가 각각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배전가마 본체 21의 벽부의 측면 상부에는 슬리트군 29c가 설치되어 있다. 슬리트군 29a는 커피콩에서 분리된 실버 스킨을 배전기 20에서 위치결정 가이드부재 50의 찌꺼기 받이 54에 떨어뜨리기 위한 틈이다. 슬리트군 29b는 배전기 20안에 있는 커피콩을 식힘과 동시에 커피콩과 실버스킨을 분리하는 바람을 공급하는 주둥이이다. 슬리트군 29c는 슬리트군 29b에 불어와서 커피콩을 냉각시킨 바람을 배출하는 주둥이이다.
전기한 송풍기 30, 31은 제4도에서 보여주듯이 전기한 외장 케이스 10속에 구획을 형성한 칸막이재 13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송풍기 31의 출입구에서 송풍로를 거쳐 전기한 배전기 20의 슬리트군 29b으로부터 배전기 20안에 바람을 불어넣고 볶은 커피콩을 냉각함과 동시에 커피콩과 실버스킨을 분리한다.
전기한 송풍기 31은 전기한 외장 케이스 10안의 구획을 형성한 칸막이재 13의 하부에 고정되어, 외장 케이스 10의 외부에서 냉각풍을 들이고 전기한 배전기 20의 배전가마 본체 21의 주위에 송풍하여 외벽면에서 배전기 20 및 볶은 커피콩을 냉각한다.
전기한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은 전기한 배전기 20에서 볶은 콩을 분쇄하고 또 분쇄후에 커피액을 추출하고 여과하는 기구이다.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의 본체 41은 원통상의 바닥 42를 갖는 그릇이다.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은 전기한 배전기 20의 콩 배출용의 문 21c 아래 배설된 위치결정 가이드부재 50의 아래쪽에, 이 위치결정 가이드부재 50에 의하여 위치결정되어 고정된다.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의 본체 41의 윗편은 개방되어 있고, 본체 41의 바닥은 본 바닥 42와 중간바닥 43으로 되는 2중바닥이며, 중간바닥 43에는 빼고 꽂는 것이 자재로운 여과필터 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여과필터 44는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레스 메쉬(mesh)판이 사용되고 있다.
45는 분쇄용 날개부에서 작동원 46의 축 46a에 떼고 붙이는 것이 자재롭게 달려서 회전한다. 전기한 본체 41의 본바닥 42는 한편으로 경사되어 있으며 그 경사의 연장 방향에 커피액의 도출관 47이 한몸으로 붙어있다.
도출관 47에는 전기한 커피 서버70로 가는 액체의 낙하구 47a가 설치돼 있다.
전기한 위치결정 가이드부재 50은 도면 5에서 보여주듯이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이 설치된 바로 위의 외장 케이스 10측벽의 고정하는 구멍에 전기한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이 설치된 뒤에 끼워짐으로써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이 흔들거리지 않게 고정한다. 위치결정 가이드부재 50은 케이스 10에 장착되어 탈착이 가능한 본체 51로 구성된다. 전기한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본체 51에는 후술하는 주탕기 60의 주탕구 61에서 탕을 붓는 개구 52가 설치돼 있다. 또 전기한 배전기 20의 여닫이문 21c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본체 51의 부분에 커피콩을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의 본체 41에 떨어지게 하는 통과구 53이 있다. 또 전기한 배전기 20의 배전가마 본체 21에 만들어진 슬리트군 29a의 아래쪽에 자리잡은 본체 51의 부분에 실버스킨을 받아들여 저장하는 찌꺼기 받이 54가 설치돼 있다.
전기한 주탕기 60은 주탕구 61과 이 주탕구 61까지 물탱크 62에서 물을 날르는 관 63과 이 관 63의 도중에 만들어진 간접식 가열기 64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 가열기 64는 실시예에서는 전기한 커피 서버 70이 놓이는 받침대 14의 이면측, 즉 아래측에 배치되어 히터 64a와 열교환 코일 63a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한 커피 서버 70은 받침대 14에 대하여 자유로이 꺼낼 수 있는 것은 물론이지만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도 탈착이 자유롭게 외장케이스 10에서 꺼낼 수가 있다.
전기한 조작 패널 90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의 조작 패널이며 커피메이커의 운전,물의 가열, 커피 생콩의 배전강도(시간)을 정하고 커피를 자동적으로 추출하는 작업을 선택하는 스위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커피생콩을 볶을때까지와 커피콩의 분쇄에서 커피의 추출까지를 따로 정하게 해도 좋다. 또 물탱크 62에 물이 없는 경우 가열기 64가 온(on)이 안되는 등 조작과 제어를 짜맞추어 사용토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금 예를들어 3인분의 커피를 얻는 경우, 예를들어 3인분으로서 30g의 생콩을 전기한 개폐 뚜껑 21b를 열어 배전기 20속에 넣고, 소정량의 물을 물탱크 62에 넣어 배전 제어 스위치부를 중간정도로 맞추고 조작 패널 90의 스위치를 눌르면 본 장치에 의한 전자동의 동작이 시작된다. 우선 배전기 20의 원적외선 히터 22가 작동하고 작동원 26이 작동한다. 이로하여 안으로 들어간 생콩이 교반용 날개 23에 의해 교반되면서 히터 22에 의해 볶인다. 교반용 날개 23측의 축 24와 작동원 26측의 축 27과는 분단되어 있어 배전기 20측의 고열이 작동원 26에 전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작동원 26측의 회전을 제1의 용수철 27a와 제2의 용수철 24a의 연결로 교반용 날개 23에 전하게 하면 회전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 교반용 날개 23은 탄력성있는 용수철로서의 코일꼴의 막대기이므로 콩을 교반하는 경우 콩이 교반용 날개 23과 바닥과의 사이에 끼는 일이 있어도 교반용 날개 23의 탄력성을 갖고 쉽게 그런 상태를 없애고 좋은 교반상태를 유지한다.
또 배전기 20의 배전가마 본체 21은 알루미늄 합금제이므로 좋은 열전도성에 의해 최초는 빨리 온도가 상승하고 도중부터는 방열이 활발해져서 급격한 온도상승을 막는다. 이것에 의해 특별한 온도관리를 하는 일 없이 소량의 콩을 속까지 고루 볶을 수 있다.
또 용기의 중심부는 교반용 날개 23에 의한 콩의 이동속도도 늦어져서 중심에 모이는 콩이 다른 주위에 있는 콩보다도 지나치게 볶이는 경향이 있으나 우산꼴 차폐부재 25를 설치함으로써 중심부에 있어서의 볶임도 적당히 완화되어 전체가 고르게 볶인다.
소정시간, 예를들어 10분의 배전시간에 대하여 예를들어 9분이 경과하거나 또는 온도가 28℃가 되면 원적외선 히터 22가 끊긴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들어 1분 남짓 더 볶은 후에 양 송풍기 30, 31이 작동하고, 예를들어 수분간 냉각공기를 배전기 20의 배전가마 본체 21의 내외에 보낸다. 송풍기 30에서의 바람에 의하며, 배전기 20의 외벽면에서 배전기 20 및 간접적으로 커피콩이 냉각된다. 또 송풍기 31에 의하여 배전기 20 속에 불어드는 공기에 의하여 콩이 직접적으로 냉각된다. 전기한 배전기 20의 여열로 1분간 남짓 볶으면 히터 22의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전기한 2개의 송풍기 30, 31을 사용하여 배전 가마 본체 21 및 볶은 콩을 배전 가마 본체 21의 내외에서 급속히 냉각할 수 있다. 볶은 콩을 빨리 상온까지 냉각할 수 있으므로 탄닌등을 충분히 볶은 콩에 고정하여 추출되지 않게 할 수가 있으며 맛있는 커피액을 추출할 수가 있다. 전기 탄닌등은 함께 추출하면 피로갈롤산이 생기며 커피맛을 아주 나쁘게 한다.
또 배전 가마 본체 21도 빨리 냉각되므로 다음 배전동작으로 속히 옮길 수가 있다.
더욱이, 배전 가마 본체 21은 볶기를 위한 그릇인 동시에 볶은 콩을 냉각하기 위한 용기를 겸하고 있으므로 냉각용의 특별한 용기를 생략할 수 있다.
송풍기 30, 31에서의 송풍에 의하여 커피콩이 냉각됨과 동시에 커피콩에 붙어 있던 실버스킨은 완전히 커피콩에서 떨어지고 냉각풍은 슬리트군 29c에서 배출 위치결정 가이드부재 50의 찌꺼기받이 54에 떨어져 저장된다. 배전기 20안에의 송풍냉각이 될때, 배전기 20의 배전가마 본체 21에 설치된 우산꼴 차페부재 25의 작용으로 실버스킨이 냉각풍과 더불어 슬리트군 29c에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전기한 두 송풍기 30, 31에 의한 냉각이 끝나면 솔레노이드 28에 의하여 일정 시간에 문 21c가 열리고 교반용 날개에 의하여 식은 커피콩이 배전기 20의 배전가마 본체 21에서 낙하되고 위치결정 가이드부재 50의 통과구 53을 거쳐,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의 본체 21안에 낙하된다. 그리고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의 분쇄용 날개부 45가 회전하여 10수초에서 수십초동안 콩이 분쇄된다.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에서 커피콩의 분쇄가 끝나거나 끝나기 전에, 주탕기 60의 간접식의 가열기 64의 히터 64a가 가동하고, 열교환코일 63a안의 물이 가열되어 관 63을 주탕구 61측으로 이동하고 주탕구 61에서 예를들어 70℃의 온수가 부어진다.
부어진 온수는 위치결정 가이드부재 50의 본체 51의 개구 52에서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안에 원활하게 도입된다. 이것에 의하여 분쇄후의 커피분에서 커피가 추출되고 여과필터 44에서 여과된다. 이 여과필터 44에서 방울져 떨어진 커피액은 도출관 47을 지나 커피 서버 70에 떨어진다. 또 커피 생콩을 넣은 후 여과되어 떨어지기가 끝날 때까지 15분 정도가 걸린다.
물탱크 62의 물이 없어지면 가열기 64가 끊어진다. 이동안이 5-6분정도이다. 또 가열기 64는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보온 단추에 의하여 보온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으로 구성함으로써 분쇄기와 추출기를 따로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충분히 작은 공가을 도모할 수 있어 밀도 있는 전자동 커피메이커를 얻을 수 있다.
또 배전 가마 본체 본체 21의 벽부에 찌꺼기를 떨어 뜨리는데 쓰는 슬리트군 29a를 설비하고 이 슬리트군 29a 아래에, 찌꺼기받이 54를 가지는 위치 결정 가이드부재 50을 자유로이 탈착하여 끼워담음으로써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 40을 고정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실버스킨도 쉽게 제거되므로 위생적이고, 실버스킨이 붙은 커피 생콩에서 실버스킨을 제거하여 양질의 커피액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송풍기의 배치등은 상술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들어 송풍기의 배치는 제6도와 제7도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송풍기 32, 33을 케이스 10안에 형성된 칸막이 13의 상부에 고정해도 좋다. 이와같은 배치로 하면, 칸막이 13의 아래편에 설치하는 부분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제조 코스트가 그만큼 낮게 된다. 더욱이 송풍기 32, 33을 칸막이 13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배치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전자동 커피 메이커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청구항 1에 기재한 구조에 의하면 커피생콩을 자동적으로 볶고 식히며 분쇄하고 추출하여, 커피액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배전기는 배전가마 본체와 이 배전가마 본체의 안쪽 상부에 설치된 전기 히터와, 배전가마 본체의 내부 바닥면을 따라 회전하는 교반용 날개를 최소한 갖추고, 교반용 날개를 탄력성 있는 용수철로 구성함으로써 이 전기 히터에서의 직접적 복사열과 배전가마 본체에서의 전도열과 용수철의 교반용 날개에 의한 교반에 의하여, 모든 생콩을 고루게 또한 낱낱의 생콩을 내부까지 볶을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의해서는,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의 효과 외에도 배전기의 교반용 날개의 회전은 작동원의 축에 고정된 제1의 용수철의 회전에 의하여 교반용 날개측의 축에 고정된 제2의 용수철이 눌려 회전하게끔 되어 있어, 교반용 날개의 축을 지나 작동원에 전하는 배전기의 고열을 차단할 수가 있다. 또 제1의 용수철로 제2의 용수철을 눌러 회전시킴으로써 용수철의 복원력을 이용한 매우 여유있는 회전이 가능하다.
또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구조에 의한 효과에 더하여, 배전가마 본체를 알루미늄 합금제로 함으로써 비교적 소량의 커피생콩을 잘 볶을 수 있음과 동시에 볶은 후의 콩을 재빨리 상온으로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추출된 커피액을 아주 맛있게 할 수가 있다. 또 다음 볶는 일을 원활하게 시작할 수가 있다. 또 복잡한 온도제어 및 제어장치를 필요로 함이 없이 소량의 콩을 볶을 수가 있다.
또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1~3의 어디에선가 기재된 구조에 의한 효과에 더하여, 전기 히터는 링꼴의 원적외선 히터로 되고, 이 히터의 링의 중심부 아래편에 전기 히터에서의 열복사를 차폐하는 우산꼴 차폐부재를 설치함으로서, 우산꼴 차폐부재에 의하여 중앙부 부근의 콩이 과도로 볶이는 것을 막고 모든 콩을 고루 볶을 수 있다. 볶은 콩을 식힐 때 콩에서 분리된 껍질이 날아올라 냉각 공기 배기부에서 배출되는 것을 완화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5의 구조에 의하면 청구항 1~4의 어느 것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2개의 송풍기를 쓰고, 배전가마 본체의 외측면 및 배전가마 본체의 내부에 송풍함으로써, 배전가마 본체와 커피콩의 양쪽을 동시에 냉각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볶은 콩을 아주 빨리 상온까지 냉각할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하여 아주 맛이 좋은 커피액을 추출할 수 있는 볶은 콩을 얻을 수 있다.
또 냉각시간이 짧아지므로 전자동 커피메이커로서 그만큼 빨리 목적하는 바 커피액을 얻을 수 있다.
또 청구항 6의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1~5의 어느 것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냉각한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분쇄 후의 커피가루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기를 하나의 구조로 하여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로 함으로써 대형이 되기 쉬운 전자동 커피메이커를 소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7의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6의 효과외에도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를 위치결정 가이드부재와 겸용하여 볶은 콩에서 떨어져나간 실버스킨을 찌꺼기받이로 받을 수가 있고 위치결정 가이드부재를 빼냈을때는 버릴 수도 있다.

Claims (18)

  1. 생커피콩을 볶은 배전기(焙煎器)와 볶은 커피콩을 냉각하는 바람을 보내는 송풍기와, 냉각한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분쇄 후 커피가루에서 커피른 빼내는 추출기와, 이 추출기에 고온의 물을 붓는 주탕기와, 전기한 추출기에서 추출되고 여과된 커피액을 받는 커피 서버를 포함하며, 전술한 배전기로 생콩을 볶고, 그 배전기에 전기한 송풍기에서 바람을 보내어 커피콩을 식히며, 이 식은 커피콩을 전기한 분쇄기로 분쇄하고, 이 분쇄한 커피가루에 전술한 추출기에서 열탕을 붓고 이 추출기에서 여과된 커피액을 전기한 커피 서버로 받게끔 만들어진 전자동 커피메이커로서, 전기한 배전기는 배전가마 본체와 배전가마 본체의 안쪽 상부에 설치된 전기 히터와, 배전가마 본체의 내부 바닥을 따라 도는 교반용 날개를 비치하며, 교반용 날개는 탄력성있는 용수철 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커피메이커.
  2. 제1항에 있어서, 배전기의 교반용 날개의 회전은 작동원의 축에 고정된 제 1 의 용수철 물체의 회전에 의하여 교반용 날개측의 축에 고체 형성된 제 2 의 용수철이 눌려서 회전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커피메이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배전가마 본체는 알루미늄 합금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커피메이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히터는 링 형태의 원적외선 히터로 하며, 이 히터의 링의 중심부 아래편에 전기 히터로 부터 오는 열복사를 차단하는 우산꼴 차폐물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커피메이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송풍기를 사용하여 배전가마 본체의 바깥면과 내부에 송풍하여 배전가마 본체와 커피콩의 양쪽을 동시에 냉각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커피메이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냉각한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분쇄된 커피가루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기를 하나의 구조로 구성하여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커피메이커.
  7. 제6항에 있어서, 외장 케이스에 끼워 닫음으로써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를 자유롭게 탈착하여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위치결정 가이드부재를 설비함과 아울러 이 위치결정 가이드부재에 찌꺼기 받이를 설치하고, 이 위치결정 가이드부재가 외장 케이스에 끼워 담긴 상태로 배전가마 본체내에서 콩에서 벗겨져 배전가마 본체에서 배출된 실버 스킨을 전술한 찌꺼기 받이에 받게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커피메이커.
  8. 제3항에 있어서, 전기 히터는 링 형태의 원적외선 히터로 하며, 이 히터의 링의 중심부 아래편에 전기 히터로부터 오는 열복사를 차단하는 우산꼴 차폐물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커피메이커.
  9. 제3항에 있어서, 2개의 송풍기를 사용하여 배전가마 본체의 바깥면과 내부에 송풍하여 배전가마 본체와 커피콩의 양쪽을 동시에 냉각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커피메이커.
  10. 제4항에 있어서, 2개의 송풍기를 사용하여 배전가마 본체의 바깥면과 내부에 송풍하여 배전가마 본체와 커피콩의 양쪽을 동시에 냉각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커피메이커.
  11. 제8항에 있어서, 2개의 송풍기를 사용하여 배전가마 본체의 바깥면과 내부에 송풍하여 배전가마 본체와 커피콩의 양쪽을 동시에 냉각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커피메이커.
  12. 제3항에 있어서, 냉각한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분쇄된 커피가루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기를 하나의 구조로 구성하여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커피메이커.
  13. 제4항에 있어서, 냉각한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분쇄된 커피가루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기를 하나의 구조로 구성하여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커피메이커.
  14. 제5항에 있어서, 냉각한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분쇄된 커피가루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기를 하나의 구조로 구성하여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커피메이커.
  15. 제8항에 있어서, 냉각한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분쇄된 커피가루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기를 하나의 구조로 구성하여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커피메이커.
  16. 제9항에 있어서, 냉각한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분쇄된 커피가루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기를 하나의 구조로 구성하여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커피메이커.
  17. 제10항에 있어서, 냉각한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분쇄된 커피가루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기를 하나의 구조로 구성하여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커피메이커.
  18. 제11항에 있어서, 냉각한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분쇄된 커피가루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기를 하나의 구조로 구성하여 분쇄기 겸용의 추출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커피메이커.
KR1019930021107A 1993-10-12 1993-10-12 전자동커피메이커 KR100306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107A KR100306058B1 (ko) 1993-10-12 1993-10-12 전자동커피메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107A KR100306058B1 (ko) 1993-10-12 1993-10-12 전자동커피메이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831A KR950010831A (ko) 1995-05-15
KR100306058B1 true KR100306058B1 (ko) 2001-11-30

Family

ID=6682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1107A KR100306058B1 (ko) 1993-10-12 1993-10-12 전자동커피메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0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521A (ko) * 2001-01-02 2001-04-06 송원영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KR100675750B1 (ko) * 2005-04-22 2007-01-30 강두환 분쇄공정 및 커피제조공정 수행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KR101306792B1 (ko) * 2011-06-14 2013-09-10 주식회사 나본 커피 머신에 있어서의 할로겐 히터를 구비한 커피 원두 로스팅용 케틀
KR20160069110A (ko) 2014-12-08 2016-06-16 양재영 온도차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동 원두 커피 머신 및 온도차 보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118A1 (ko) * 2016-03-30 2017-10-05 오세훈 커피원두 로스팅 및 분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521A (ko) * 2001-01-02 2001-04-06 송원영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KR100675750B1 (ko) * 2005-04-22 2007-01-30 강두환 분쇄공정 및 커피제조공정 수행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KR101306792B1 (ko) * 2011-06-14 2013-09-10 주식회사 나본 커피 머신에 있어서의 할로겐 히터를 구비한 커피 원두 로스팅용 케틀
KR20160069110A (ko) 2014-12-08 2016-06-16 양재영 온도차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동 원두 커피 머신 및 온도차 보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831A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86267B1 (en) Coffee maker
KR910008470B1 (ko) 전자동 커피(coffee) 추출장치
KR101796486B1 (ko) 커피 머신
KR100306058B1 (ko) 전자동커피메이커
JP2799874B2 (ja) コーヒメーカの焙煎装置
KR970002796B1 (ko) 전자동 커피메이커
JPH0795925A (ja) 全自動コーヒーメーカ
JPH0728827B2 (ja) コーヒーメーカ
JP2908843B2 (ja) コーヒーメーカ
JP3016031B2 (ja) コーヒ豆の焙煎装置
KR970002795B1 (ko) 커피메이커
KR200225910Y1 (ko)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
KR960009233B1 (ko) 커피메이커
CN1117833A (zh) 全自动咖啡制造器
JP2004073518A (ja) コーヒーメーカー
KR200227419Y1 (ko)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JP2808304B2 (ja) コーヒメーカ
JPH03251212A (ja) コーヒーメーカ
KR20010025521A (ko)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JPH0880255A (ja) コーヒーメーカ
JP3831124B2 (ja) コーヒーメーカ
JPH01285223A (ja) 全自動コーヒー沸し器
CN1053334C (zh) 咖啡制造器
KR200263071Y1 (ko) 커피메이커
KR200256455Y1 (ko) 커피 추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